KR101772997B1 - 3d pri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3d pri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997B1
KR101772997B1 KR1020160089375A KR20160089375A KR101772997B1 KR 101772997 B1 KR101772997 B1 KR 101772997B1 KR 1020160089375 A KR1020160089375 A KR 1020160089375A KR 20160089375 A KR20160089375 A KR 20160089375A KR 101772997 B1 KR101772997 B1 KR 101772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racket
light
resin
light source
pri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신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9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9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29C64/232Driving means for motion along the axis orthogonal to the plan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64Arrangements for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40Structures for supporting 3D objects during manufacture and intended to be sacrificed after comple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3D printing apparatus which cures a resin by using a light source, wherein the 3D printing apparatus comprises: a molding plate which includes an attachment surface for attaching an object to be molded thereto; an accommodation unit which accommodates a resin, and includes a space allowing the object to be molded to be immersed in the resin; a lower bracket which is joined to the molding plate; an upper bracket which is joined to the lower bracket by a knob; an elevating means which is joined to the upper bracket to raise or lower the lower bracket and the molding plate together; and a grip portion which is fixed to the lower bracket.

Description

3D 프린팅 장치{3D PRINTING APPARATUS}[0001] 3D PRINT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3D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지 보수가 용이한 3D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printing apparatus that is easy to maintain.

사고 등에 의해 두개골, 광대뼈, 턱뼈, 치아 등의 골체가 부분적으로 결손된 경우, 그 결손부에 인공 재료로 구성되는 인공 보형물 및 인공 보형물용 지지 부재를 삽입하게 된다.When a bone such as a skull, a cheek bone, a jaw, or a tooth is partially missing due to an accident or the like, the artificial implant made of artificial material and the support member for artificial implant are inserted into the defect.

이러한 보형물은 대표적으로 임플란트를 꼽을 수 있다. 임플란트란 상실된 인체 조직을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한다.These implants are representative of implants. Implants are replacements that restore lost tissue.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이차원 CT에 의해 결손부를 갖는 골체의 잔존부를 촬영하고, 그 촬영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잔존부에 해당하는 형상의 모델을 제작한다.Generally, in order to manufacture an implant, a residual portion of a bone body having a defect portion is photographed by a two-dimensional CT, and a model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ortion is produced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이후, 상기 모델의 뼈 결손부에 지점토 등을 끼워 넣어, 뼈 결손부에 상당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고, 지점토 등으로 형성한 뼈 결손부를 수지 재료 등으로 본뜸으로써, 암형을 제작하고, 이러한 암형을 이용하여 수형을 제작한다.Thereafter, a clay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a bone defect portion of the model to form a shape corresponding to a bone defect portion, and a bone defect portion formed with a clay or the like is treated with a resin material or the like to manufacture a female type. To make a male figure.

이후, 상기 수형과 수산화 인회석의 덩어리로 구성되는 블록을 기초로 하여 상기 블록을 가공함으로써 요구되는 형상의 임플란트를 제작한다.Thereafter, the block is processed on the basis of the block composed of the male mold and the hydroxyapatite block to produce an implant having a desired shape.

하지만, 임플란트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 충분한 치수 정밀도로 제조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복잡한 형상의 공극을 갖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임플란트 성형이 불가능하다.However, when the shape of the implant is complicate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implant with sufficient dimensional accuracy, and in particular, when the implant has a complex shape pore, implant formation is practically impossible.

최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3D프린터를 이용한 보형물 제조 장치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ere have been proposed a number of implant manufacturing apparatuses using 3D printers.

3D 프린터를 이용한 보형물 제조 장치로서,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DLP(Digital Light Processing), MJM(Multi Jet Modeling),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DMT(Laser-aided Direct Metal Tooling), LOM(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PolyJet(Photopolymer Jetting Technology) 및 3DP(Three Dimensional Printing) 등의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중, 표면 조도가 우수한 장점을 가진 DLP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As a device for manufacturing implants using 3D printers, there are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SL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Multi Jet Modeling (MJM), 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Metal Tooling), LOM (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PolyJet (Photopolymer Jetting Technology), and 3DP (Three Dimensional Printing). Among them, the DLP method having a merit of excellent surface roughness is attracting attention.

DLP방식은 프로젝터의 광원에서 광을 이용하고,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가면서 프린팅을 하는 방식이다. 즉, 프로젝터에서 컬러 필터를 제거하고, 광이 발광되게 하며, 화면에는 단층으로 슬라이싱된 화면을 하나씩 비추게 되면 조사된 광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부분만 경화시키고 층 단위로 쌓아가면서 조사하고 프린팅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DLP방식은 수조에 수용된 광경화성 수지를 매번 교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조형판을 분리 또는 교환해야 하지만, 교환 시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별도 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안정적인 조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The DLP method uses light from the light source of the projector and prints while hardening the photocurable resin. In other words, if the color filter is removed from the projector and the light is emitted, and the screen is illuminated with a sliced single-layer screen, only the portion displayed on the screen is cured with the illuminated light, . However, the DLP method requires not only replacing the photocurable resin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every time but also separating or replacing the plate. However,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a separate member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during the manual replac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difficult.

일본공개공보 특개2003-052804호(2003.2.25)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052804 (Feb. 25, 2003)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액상 수지의 충전 시 또는 유지 보수 시 분리장착이 용이한 3D 프린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3D printing apparatus which is easy to separate and mount at the time of filling or maintenance of a liquid resi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는 광원으로 수지를 경화시키는 3D 프린팅 장치로서, 조형 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을 갖는 조형판, 수지가 수용되고, 상기 조형 대상물이 상기 수지 내부에 잠길 수 있도록 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조형판에 결합되는 하부 브래킷, 노브를 통하여 상기 하부 브래킷과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 상기 상부 브래킷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 브래킷과 조형판을 함께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 및 상기 하부 브래킷에 고정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3D printing apparatus for curing a resin with a light source, the apparatus comprising: a molding plate having a mounting surface for mounting a molding object; A lower bracket coupled to the shaping plate, an upper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bracket through a knob, a lower bracket coupled to the upper bracket, a lower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bracket and the shaping plate, Up and down means for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and a grip portion fixed to the lower bracket.

상기 파지부는 상기 하부 브래킷에 파지부 샤프트로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 샤프트는 상기 노브의 몸체부와 직교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bracket with a grip portion shaft, and the grip portion shaft can be orthogonal to the body portion of the knob.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부 샤프트를 중심으로 90˚ 단위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may be installed to rotate in units of 90 degrees around the grip portion shaft.

상기 파지부 샤프트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스크류 볼트일 수 있다.The grip shaft may be a screw bolt having a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파지부 샤프트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two gripper shafts may be provided.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는 논슬립(non-slip)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A non-slip member may be included on the surface of the grip por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는 사용자가 파지부를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다.That is, in the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grip and operate the grip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가 챔버 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파지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chamber.
2 is a front view of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sectional view of Fig. 3.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 portion of Fig. 3 is rota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e are used in a generic sense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ther than the stat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It is used not to exclude.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schematic drawing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3D 프린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가 챔버 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chamber,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는 조형판(100), 하부 브래킷(210), 상부 브래킷(213), 승강 수단(220), 수용부(300), 파지부(215) 및 광원(1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lding plate 100, a lower bracket 210, an upper bracket 213, a lifting unit 220, a receiving unit 300 A grip portion 215, and a light source 10,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 3D 프린팅 장치는 챔버(1) 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조형판(100)에 부착된 조형 대상물이 층 단위로 광경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3D printing apparatus may be arranged to be fixed in the chamber 1, and means that the molding object attached to the molding plate 100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is photocured on a layer basis .

조형판(100)은 수용부(300)의 바닥부(300b)와 평행한 부착면(100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형판(100)이 수직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승강 수단(220)이 구비되고, 조형판(100)은 하부 브래킷(210) 및 상부 브래킷(213)을 통하여 승강 수단(220)과 연결될 수 있다.The molding plate 100 may include an attachment surface 100a parallel to the bottom portion 300b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300. [ The elevating means 220 is provided so that the molding plate 100 is drive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olding plate 100 can be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ans 220 through the lower bracket 210 and the upper bracket 213 .

조형판(100)의 부착면(100a)에는 조형 대상물이 부착될 수 있으며, 조형 대상물이 수용부(300)의 액상 수지 내에서 단위 성형층으로 경화될 때 조형 대상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원(10)으로부터 광이 조사될 때마다 승강 수단(220)을 이용하여 조형판(100)에 배치된 조형 대상물의 단위 성형층을 적층시킬 수 있다. 이때, 조형 대상물이 조형판(100)에 지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 구조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 molding object may be attached to the mounting face 100a of the molding plate 100 and may function to support the molding object when the molding object is cured into a unit molding layer in the liquid resin of the housing portion 300 have. Each time the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0, the unit forming layer of the molding object placed on the molding plate 100 can be stacked by using the elevating means 220. [ At this time,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not shown) may be formed so that the molding object can be supported by the molding plate 100.

조형판(100)은 하부 브래킷(210)과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브래킷(210)에는 조형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4개소에 배치되는 체결 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211)는 조형판(100)과 하부 브래킷(210)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 결합 및 후크 결합 등의 방법에 따른 다양한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The molding plate 100 may be engaged with the lower bracket 210. The lower bracket 210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211 disposed at at least four locations so as to stably support the molding plate 100. The fastening member 211 may be formed of various members according to methods such as bolt connection and hook fastening for joining the molding plate 100 and the lower bracket 210.

도 4는 도 3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브래킷(210)의 상면에는 상부 브래킷(213)과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부(212)가 형성된다. 즉, 하부 브래킷(210)의 하면이 조형판(100)과 결합되되, 하부 브래킷(210)의 상면은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는 수직부(212)에 결합되고, 수직부(212)는 평평한 면을 갖도록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부 브래킷(213)과 결합된다. 이때, 노브(230)가 상부 브래킷(213)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노브 몸체(231)의 결합 돌기(232)에 의하여 상부 브래킷(213)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Fig. 4 shows a sectional view of Fig. 3. Fig. As shown in FIG. 4, a vertical portion 2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racket 210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bracket 213.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racket 210 is coupled to the molding plate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racket 210 is coupled to a vertical portion 212 that stands up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212 has a flat surface And is connected to an upper bracket 213 formed parallel to the ground. At this time, the knob 230 can be engaged with the upper bracket 213 by the coupling protrusion 232 of the knob body 231 passing through the upper bracket 213 in the thickness direction.

상부 브래킷(213)은 노브(230)를 통하여 수직부(212)와 결합되되, 노브 몸체(231)의 단부에 결합 돌기(232)가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걸림 돌기(미도시) 또는 나사산(미도시)가 형성됨으로써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노브(230)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노브(230)와 일체로 형성되는 노브 몸체(231)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bracket 213 is coupled to the vertical portion 212 through the knob 230 and has a coupling protrusion 232 formed at the end of the knob body 231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not shown) (Not shown) is formed. Here, the knob 230 rotates in a direction to be engaged or disengaged by the user, and the knob body 231 integrally formed with the knob 230 can be rotated together.

수직부(212)에는 파지부(215)가 파지부 샤프트(216)를 통하여 노브 몸체(231)와 직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노브(23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파지부(215)를 파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노브(23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파지부 샤프트(216)의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수직부(21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 샤프트(216)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됨으로써 파지부(215)와 수직부(212)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vertical portion 21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grip portion 215 is orthogonal to the knob body 231 through the grip portion shaft 216. Therefore, when the knob 230 is to be rotated, the knob 230 can be stably rotated while holding the gripper 215. In addition,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shaft 216 so as to be screwed to the vertical portion 212. In addition, at least two gripper shafts 216 are provided so that the gripper 215 and the vertical portion 212 can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파지부(215)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움켜쥘 수 있는 부분으로서, 그 표면에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거나 논슬립 패드를 부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논슬립(non-slip) 처리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안정적으로 움켜쥘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설계를 통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215 is a portion that can be grasped by a user using a hand, and a non-slip portion is formed by using a method of form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or attaching a non-slip pad on the surface of the grip portion 215, And can be formed into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an ergonomic design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handle with stability.

도 5는 도 3의 파지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 샤프트(216)가 1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파지부 샤프트(216)를 중심으로 예를 들어 90˚ 단위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수용부(300), 하부 브래킷(210) 및 상부 브래킷(213)을 분리하여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특히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 잡이 등의 다양한 경우에도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부(215)가 회전되므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파지가 용이하게 된다.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 portion of Fig. 3 is rotated. As shown in FIG. 5, when one gripper shaft 216 is provided, the gripper shaft 216 may be rotated around the gripper shaft 216, for example, in units of 90 degrees. Therefore, when the user desires to move the receiving portion 300, the lower bracket 210, and the upper bracket 213 separately, the user can easily grasp various situations such as left-handed or right- Since the gripper 215 is rotated, gripping is facilitated under any circumstances.

이와 같이 파지부(215)가 90˚ 단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파지부 샤프트(216)의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90˚ 단위로 돌기가 형성되고, 파지부 샤프트(216)가 관통하고 있는 수직부(212)의 관통홀(미도시)의 내주면에 상기 각각의 돌기에 대하여 디턴트(detent)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 돌기(미도시)가 형성됨으로써 구현이 가능해진다. 돌기를 이용하여 디턴트감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은 공지된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grip portion 215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in units of 90 degrees,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shaft 216 in the radial direction in units of 90 degrees, and the grip portion shaft 216 penetrates (Not shown) for providing a sense of detent to each of the protrusions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vertical portion 212. The configuration for imparting a sense of dutility using the projection is well-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승강 수단(220)은 조형 대상물의 일측 표면이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조형 대상물의 형상에 따른 액상 수지의 경화가 완료될 때마다, 조형판(100)을 이동시키되,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자가 인쇄하고자 하는 3차원 구조의 높이 방향(z방향)을 따라 광원(10)으로부터 가까워지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수단(220)에 의해 조형판(100)이 z 방향을 따른 양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elevating means 220 moves the molding plate 100 whenever the surface of the molding object is cured b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lding object, The chemical resin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or separating from the light source 10 along the height direction (z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be printed by the us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fined that the shaping plate 100 is lift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means 220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z direction.

또한, 수용부(300) 내에서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가 발생하는 영역에는 경화되지 않은 광경화성 수지들이 재충전되고, 이후 광원(10)으로부터 광이 조사됨으로써 3차원 구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될 수 있다.In the area where the photocurable resin is cured in the housing part 300, the uncured photocurable resins are refilled and then irradiated with light from the light source 10 to sequentially form a three- The chemical conversion resin can be cured.

광원(10)은 조형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조사 범위 또는 조사각을 조절하면서 수용부(300) 내부의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광을 조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자외선(IR), 가시광선(VR)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10 irradiates light for curing the photocurable resin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300 while adjusting the irradiation range or the irradiation ang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lding object.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may be composed of ultraviolet (IR), visible light (VR), or a combination thereof.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은 자외선(UV)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다른 가시광선에 비하여 파장이 짧기 때문에 자외선을 광원으로 하는 위상 변조 노광 헤드를 갖추는 것으로 미세한 화소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3차원 구조를 인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전자빔(Electron Beam: EB)이나 가시광선과 같이 어떠한 영역의 광도 사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ight may be ultraviolet (UV) light. Since ultraviolet light has a shorter wavelength than other visible light, it is possible to apply a fine pixel by providing a phase-modulation exposure head using ultraviolet light as a light source. However, i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can be printed by curing the photocurable resin, any region of light such as electron beam (EB) or visible light can be used.

수용부(300)의 내부에는 액상 수지가 충전될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광경화성 수지가 수용될 수 있고,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부(300)의 하면에는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간섭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바닥부(300b)가 형성되고, 바닥부(300b)는 광원(10)과 근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외부의 빛이 수용부(300)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The liquid resin can be fill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300, and in particular, the photo-curing resin can be accommod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space in which the photo-curable resin is cured can be provided. A transparent bottom portion 300b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30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can pass through without interference and the bottom portion 300b is disposed in proximity to the light source 10, Thereby blocking light from enter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300.

한편, 광경화성 수지는 주로 UV 영역의 광을 조사받으면 가교반응 등을 통해 모노머(monomer)에서 폴리머(polymer) 구조로 변환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다이아조계, 아자이드계, 아크릴산계, 폴리에스터계, 에폭시계 등이 있으며, 입체 조형물의 요구 강도 등을 감안하여 그에 맞는 물성을 가진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액상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조형재료를 조성하는 경우, 광경화의 속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별도의 증감제, 광개시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curable resin may be a polymer compound that converts from a monomer to a polymer structure through a crosslinking reaction when irradiated with light in the UV region. In particular, a diazo system, an azide system, an acrylic acid system, a polyester system, an epoxy system and the like can be used, and those having physical properties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stereolithography can be selected. In the case of forming a molding material using a liquid photocurable resin, a separate sensitizer, photoinitiator and the like may be added in order to increase the speed of photo-curing.

아울러, 수용부(300)의 하부에는 광원(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light source 10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00.

한편, 본 실시예에서 광원(10)은 자외선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300) 내부에 수용되는 광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영역의 광에 반응하여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 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Since the light source 10 emits light in the ultraviolet reg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otocurable resi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3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cts with light in the ultraviolet region, Curable resin.

여기서, 광원(10)이 전자빔(E-Beam)을 방출하는 경우에는 수용부(300)에 수용되는 광경화성 수지는 전자빔 경화수지가 적용될 수 있으며, 광원(10)으로부터 가시광선의 영역에 해당되는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통해 경화되는 경화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Here, when the light source 10 emits an E-beam, the photocurable resi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300 may be an electron beam hardening resin, A cured resin which is cured through the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can be applied.

다시 말해,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 및 수용부(300)에 수용되는 광경화성 수지는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the photocurable resi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300 may b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또한, 수용부(300)와 광원(10) 사이에는 광 조절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광 조절부는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수용부(300) 측에 도달하는 광의 조사 면적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광 조절부는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 경로 상에 진입하거나 이탈함으로써 광의 진행을 결정하는 셔터일 수도 있다.A light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unit 300 and the light source 10. The light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irradiation area of light reaching the accommodation unit 300 by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 Here, the light control unit may be a shutter that determines the progress of light by entering or leaving the light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즉,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부(300)의 바닥부(300b)로부터 분리시키는 동안 상기 광 조절부는 광의 광경로 상에 완전히 진입하여 광의 진행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고, 상기 광 조절부는 인쇄되는 형상에 따라 경화되는 영역을 조절하기 위해 광의 광경로 상에 완전히 이탈하거나 일부 진입함으로써 광의 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광 조절부는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적용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at is, while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ortion 300b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00, the light control portion may completely enter the light path of the light to completely block the progress of the light,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ight can be adjusted by completely or partially entering the light path of the light to adjust the area to be cured according to the shape. At this time, the light control unit is not limited to any means that can control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본 실시예에서 3차원 인쇄는 광이 조사되는 2차원 평면에 대응되도록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되, 이러한 과정이 순차적으로 반복됨으로써 종국에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3차원 구조물을 인쇄하게 되므로, 조형판(100)의 부착면(100a)에 배치된 조형 대상물의 하면이 광원(10)을 마주보도록 위치함으로써 수용부(300) 내부의 광경화성 수지를 2차원 평면으로 경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hree-dimensional printing is performed by curing the photocurable resin so as to correspond to the two-dimensional plane to which the light is irradiated, and the process is sequentially repeated to eventually print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tended by the user. The surface of the molding object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a of the receiving portion 300 is positioned to face the light source 10 so that the photocurable resin in the receiving portion 300 can be cured in a two-dimensional plane.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가 발생하는 영역은 광원(10)에 근접한 영역, 즉 수용부(300)의 하면에 근접한 영역, 더 바람직하게는 수용부(300) 내부의 최하면일 수 있다.The area where the photocurable resin is hardened may be the area near the light source 10, that is, the area clos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300, more preferably the lowest part inside the receiving part 300.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는 수용부(300)에 저장된 액상 수지의 재충전 필요 시 또는 상부 브래킷(213)으로부터 조형판(100) 분리 시, 파지부(215)를 이용하여 조형판(100) 및 하부 브래킷(210)을 동시에 운반하기가 용이해진다.Accordingly, when the liquid resin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300 needs to be refilled or the molding plate 100 is detached from the upper bracket 213, 100 and the lower bracket 210 at the same tim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광원
100: 조형판
200: 연결 브래킷
215: 파지부
220: 승강 수단
300: 수용부
10: Light source
100: plastic plate
200: Connection bracket
215:
220:
300:

Claims (6)

광원으로 수지를 경화시키는 3D 프린팅 장치로서,
조형 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을 갖는 조형판;
수지가 수용되고, 상기 조형 대상물이 상기 수지 내부에 잠길 수 있도록 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조형판에 결합되는 하부 브래킷;
노브를 통하여 상기 하부 브래킷과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
상기 상부 브래킷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 브래킷과 조형판을 함께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 및
상기 하부 브래킷에 고정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회전되도록 상기 하부 브래킷에 설치되는 3D 프린팅 장치.
A 3D printing apparatus for curing a resin with a light source,
A molding plate having an attachment surface for attaching the molding object;
An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resin and having a space so that the molding object can be locked in the resin;
A lower bracket coupled to the shaping plate;
An upper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bracket via a knob;
Elevating means coupled to the upper bracket,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lower bracket and the shaping plate together; And
And a grip portion fixed to the lower bracket,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is mounted on the lower bracket to be rot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하부 브래킷에 파지부 샤프트로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 샤프트는 상기 노브의 몸체부와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bracket with a grip shaft, and the grip shaft is orthogonal to the body portion of the knob.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부 샤프트를 중심으로 90˚ 단위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is installed to be rotated in units of 90 DEG around the grip portion shaf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 샤프트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스크류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ipper shaft is a screw bolt having a screw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 샤프트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t least two gripper shafts are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는 논슬립(non-slip)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non-slip member on the surface of the gripper.
KR1020160089375A 2016-07-14 2016-07-14 3d printing apparatus KR1017729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375A KR101772997B1 (en) 2016-07-14 2016-07-14 3d prin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375A KR101772997B1 (en) 2016-07-14 2016-07-14 3d prin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997B1 true KR101772997B1 (en) 2017-08-31

Family

ID=5976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375A KR101772997B1 (en) 2016-07-14 2016-07-14 3d pri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99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896B1 (en) * 2017-09-11 2019-12-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Bed assembly for dlp type 3d printer
WO2023063550A1 (en) * 2021-10-13 2023-04-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Three-dimensional prin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9336B2 (en) * 2013-02-06 2014-11-1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綜 絖 Frame height adjustment device
KR101533374B1 (en) * 2014-07-07 2015-07-02 김진식 Dlp type three-dimention prin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9336B2 (en) * 2013-02-06 2014-11-1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綜 絖 Frame height adjustment device
KR101533374B1 (en) * 2014-07-07 2015-07-02 김진식 Dlp type three-dimention prin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896B1 (en) * 2017-09-11 2019-12-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Bed assembly for dlp type 3d printer
WO2023063550A1 (en) * 2021-10-13 2023-04-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Three-dimensional pri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999B1 (en) 3d printing apparatus
JP6949024B2 (en) Addition manufacturing system and addition manufacturing method
EP2969489B1 (en) 3d printing using spiral buildup
EP1645402B1 (en) Improved stereolithographic apparatus
JP2019514722A (en) LCD method 3D printer
Barone et al. Development of a DLP 3D printer for orthodontic applications
US20060192312A1 (en) Multiple vat leveling system
JP6964125B2 (en) Equipment and methods for progressively building up objects from photocurable materials
EP2241430A1 (en) Method of reducing the force required to separate a solidified object from a substrate
KR101772997B1 (en) 3d printing apparatus
KR101978996B1 (en) A 3D Printer For Minimum Support
KR101848859B1 (en) stereo lithography 3D printer for multi materials
KR102055896B1 (en) Bed assembly for dlp type 3d printer
US10118338B2 (en) Additive manufacturing with integrated microliter resin delivery
JP2004042545A (en) Photo-setting pigmented molding method and device using the method
CN112638624B (en) Stereolithography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stereolithography apparatus
KR102415399B1 (en) A bio dlp 3d printer containing magnetically linked reservoir for multi cell or material printing
KR102331997B1 (en) 3D printing device using light source rot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527530B1 (en) 3d printer
EP4046777A1 (en) Method for improving lifespan of lcd of a msla 3d printer
Chandra Development of Micro Stereolith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