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603B1 -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603B1
KR101770603B1 KR1020150173511A KR20150173511A KR101770603B1 KR 101770603 B1 KR101770603 B1 KR 101770603B1 KR 1020150173511 A KR1020150173511 A KR 1020150173511A KR 20150173511 A KR20150173511 A KR 20150173511A KR 101770603 B1 KR101770603 B1 KR 10177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rgo
logistics
smart
borr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230A (ko
Inventor
홍교식
전현주
채재훈
차재규
신동렬
Original Assignee
홍교식
전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교식, 전현주 filed Critical 홍교식
Priority to KR102015017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6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주가 출발시간과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하면 기구축된 전자지도 서비스를 통해 소요시간과 동선, 목적지 도착시간이 자동으로 화주가 열람 가능하게 등록되어 차주와 화주의 정보 중개가 이루어지고, 화주의 화물 배송 발주시 중개센터에 배송비용을 에스크로 서비스를 통해 중개토록 하며, 개인인 단기 물류의 경우에도 배송 등록 가능하게 하고, 인증번호 생성을 통해 일반 물류와 더불어 배송받은 자가 안전하게 택배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소지역내에서도 분할하여 배달음식점의 배달차주가 피크타임이 아닌 시간대에 가장 작은 지역범위내에서 물류 배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SMART LOGISTIC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차주가 출발시간과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하면 기구축된 전자지도 서비스를 통해 소요시간과 동선, 목적지 도착시간이 자동으로 화주가 열람 가능하게 등록되어 차주와 화주의 정보 중개가 이루어지고, 화주의 화물 배송 발주시 중개센터에 배송비용을 에스크로 서비스를 통해 중개토록 하며, 개인인 단기 물류의 경우에도 배송 등록 가능하게 하고, 인증번호 생성을 통해 일반 물류와 더불어 배송받은 자가 안전하게 택배를 이용할 수 있게 된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물류 시스템은 화주와 차주가 상호 필요에 의해 접촉을 시도하고자 하여도 일정한 중개업체를 통해서 중개가 이루어지고, 그 중개도 모두 오프라인 전화접수와 같은 원시적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므로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즉, 차주의 차량 동선에 따라 화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차주가 자신의 동선을 고려해서 중개업체에 시간과, 목적지, 경유지 등을 알려줘야 화물을 수주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방식으로 차주가 동선을 설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고, 매우 번거로우며, 경유지나 시간을 정확하게 알 수도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화주는 적당한, 특히 보다 저렴한 차주를 찾을 수가 없었으며, 차주는 화물 배송후 빈 차로 돌아가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였으며, 차주가 화물 배송을 수주하기 위해서는 1박은 기본이고, 심지어는 며칠 씩 화물터미널 등에서 기다려야 했었다.
한편, 화주의 경우에는 화물 배송에 대해 차주에게 발주하는 주체로서, 배송 비용을 지급할 때 비용 지급이 지연되는 경우가 빈번했지만 화주에 비해 상대적인 약자인 차주는 비용 지급을 독촉하기 어려웠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셜 택시인 승용차를 이용한 우버택시처럼, 개인이 지방 출장 등을 위해 일정한 원거리 목적지로 이동하는 경우, 복귀시 빈차나 또는 충분한 적재공간을 남긴 상태로 그냥 복귀하게 되지만 범국가적으로 볼 때에는 기름 낭비와 같은 심각한 문제가 있지만, 실제로 개인의 동선을 통해 화주의 화물을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 전무하기도 하였고, 개인에 대한 인증과 검증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택배의 경우 아파트 택배서비스를 제공할 때, 강도가 택배기사로 위장해서 강도나, 성범죄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서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더불어, 종래의 물류 시스템은 대지역만 배송하는 장거리 배송과, 일정한 소지역내에서 배송하는 근거리 배송으로 이루어지고, 장거리 배송과 근거리 배송에 해당하는 차주들이 물류센터에서 배송 물류를 배분하는 작업을 한다.
하지만, 소지역이 통상 시단위나 구단위 정도 되기 때문에, 정작 택배기사는 소지역 내의 위치를 잘 찾아가지 못하는 경우도 매우 빈번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물류시스템중 가장 하위의 열악한 근무조건을 갖는 배달음식점의 배달 차주는 주로, 점심시간대 또는 저녁시간대의 피크시간대만 잠시 바쁠 뿐,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배송 물량이 너무 작아서 대기시간 대비 수입이 현저하게 작고 열악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택배 물류를 이용하는 구매자의 경우에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직접 접속해서 로그인을 행한 다음, 해당 물품에 대한 배송상태를 확인해야만 물품 배송의 진행여부를 알 수 있으나, 이러한 배송상태 확인의 경우에도 정확한 차주의 배송 위치를 알 수 없고, 그 배송상태의 확인까지 너무 많은 정보를 입력하고 많은 페이지 뷰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주가 출발시간과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하면 기구축된 전자지도 서비스를 통해 소요시간과 동선, 목적지 도착시간이 자동으로 화주가 열람 가능하게 등록되어 차주와 화주의 정보 중개가 이루어지고, 화주의 화물 배송 발주시 중개센터에 배송비용을 에스크로 서비스를 통해 중개토록 하며, 개인인 단기 물류의 경우에도 배송 등록 가능하게 하고, 인증번호 생성을 통해 일반 물류와 더불어 배송받은 자가 안전하게 택배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소지역내에서도 분할하여 배달음식점의 배달차주가 피크타임이 아닌 시간대에 가장 작은 지역범위내에서 물류 배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에 화물 정보를 등록시키고, 배송비용을 에스크로 서비스로 지급할 수 있도록 이체하며, 화물에 매칭된 다단 물류 차주의 위치를 감지하여 적용한 화물 배송지로의 접근 정보를 그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부터 제공받아 배송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화주 물류 요청 어플리케이션(4)이 내부에 설치된 화주 단말기(2)와; 화물 출발지에서 대단위(시)로 이동하는 차주정보 및 물류 이송 정보를 등록하고, 소지역 물류 관리서버(10)와 연동하여 대단위 물류 차주 단말기(6b)의 이송위치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상기 스마트 물류 제어서버(18)에 대해 정보 공유하는 대지역 물류 관리서버(8)와; 상기 화물 코드에 매칭되고 상기 대지역 물류 관리서버(8)와 연동되어 도착지 소단위(구)의 물류기지로부터 연결된 다음 소지역 물류기지로 이동하는 소지역 물류차주정보 및 물류 이송지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 물류 제어서버(18)에 대해 정보 공유하는 소지역 물류 관리서버(10)와; 상기 화물 코드에 매칭된 상기 대지역 물류 관리서버(8)와, 상기 소지역 물류 관리서버(10)와 연동되어 도착지 초소단위(동)의 물류기지로부터 연결된 최종 화물 배송지로 이동하는 초소지역 물류 차주정보를 등록하고, 배송 완료신호를 화물 수취인으로부터 제공받아 각 물류 차주에게 배송비용을 분할하여 지급하며, 화주 및 해당 화물코드에 연결된 각 지역별 차주 또는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부터 화물의 이송위치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차주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화물 배송을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배송 시간이 달라진 경우 다음 차주 단말기로 배송시간 변경정보를 자동 전송하여 관리하는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와 연동되어 각 화물코드별로 매칭되어 배송 경로상에 위치된 차주 단말기(6a,6b)의 위치정보를 일정시간 주기로 전송하고, 상위 지역의 물류 차주의 이송 위치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각 차주 단말기(6a,6b)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와 연동되어 차주 단말기(6a,6b)의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부터 제공받아 교통량을 반영하여 경로정보 및 도착시간 정보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 전송하는 지도 검색서버(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특정 출발지와 목적지가 설정된 화물 이송에 참여한 다수의 차주 단말기(6a,6b) 및 화주 단말기(2),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동일 화물인지를 확인하고 배송하고, 수취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에 일반 승용 차주 등록요청 정보 및 해당 차주의 목적지 및 출발지와, 예상 운행경로 정보를 일반 승용 차주 단말기(6d)로부터 업로드받아 해당 경로상에 위치된 화물 위치와 배송지 위치정보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부터 제공받아 일반 승용 차주 단말기(6d)로 전송함으로써 일반 승용차를 이용한 물류를 처리하는 단기 물류 관리서버(12)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차주 단말기(6A,6B)로부터 챠랑 복귀시 배송을 요청 등록하는 복귀 배송조건 정보를 전송받아 화주가 열람 가능하게 등록하며, 복귀 배송조건 정보에 포함된 복귀 출발 시간정보를 지도 검색서버(14)를 통해 검증하고 복귀 출발시간이 지연될 수 있는 차주정보는 등록을 취소처리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동일한 화물코드로 패키징된 대지역 차주와 소지역 차주 및 초소지역 차주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화물의 이송정보와, 각 중간 물류창고로의 도착 예상시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처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동일한 화물코드로 패키징된 대지역 차주와 소지역 차주 및 초소지역 차주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일정 시간간격마다 자동으로 제공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특정 화물에 대한 차주 정보가 중개되면 해당 화물 정보는 관련자만이 열람 가능하고, 제 3자의 열람이 불가능하게 close 처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특정 출발지로부터 특정 목적지까지 특정 화물의 운송을 요청하는 화주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화주 정보 등록부(32)와; 특정 출발지와 차량정보 및 차주 신상정보로 이루어지고, 대지역, 소지역, 초소지역중 어느 한 전문 물류정보로 이루어진 차주 정보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차주 정보 등록부(34)와; 상기 화주 정보 등록부(32)와 연동되어 화물의 종류와 수량 및 중량을 포함한 상세 화물정보를 등록하는 화물정보 등록부(35)와; 상기 화주 정보 등록부(32)와 차주 정보 등록부(34)를 통해 화주와 차주정보중 지역기반으로 일치되는 화주와 차주를 추출하는 차주/화주 매칭처리부(36)와; 차주와 화주의 정보를 각각 등록하고, 지역 기반으로 매칭되는 차주와 화주 정보를 추출하여 각 차주와 화주 단말기로 상대 정보를 전송하여 물류 정보를 중개하고 차주가 결정되면 해당 화물정보는 열람 불가능하게 처리하는 제어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화주와 차주 및 화물 수취인이 결정되면 화물코드를 생성하고, 그 화물코드를 기준으로 화주정보 및 해당 화물을 이송하는 복수의 차주정보 및 화물 수취인 정보를 매칭시켜 관리하는 화물정보 관리부(3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화주와 차주 및 화물 수취인이 결정되어 화물코드가 생성된 경우, 화주와 복수의 차주 및 화물 수취인이 각각 상대방을 확인하고 화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화물에 매칭된 인증번호를 생성시키고 각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을 관리하는 인증번호 관리부(37)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차주의 복귀 배송요청 등록에 의해, 차주의 복귀 동선상에 위치된 화주정보를 탐색하고 해당 경로상에 등록된 차주를 선정하는 경로상 차주 선정부(40)와; 상기 차주의 복귀 배송요청 정보인 차주 신상정보 및 차량정보와 복귀 동선정보를 등록하는 복귀 배송 등록부(4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화주와 차주가 결정되면 화주의 물류비용을 이체받아 화물 배송완료가 확인될 때 차주에게 지급해주도록 처리하는 물류비용 에스크로 정보처리부(4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어느 한 화물이송에 순차적으로 관여된 다수의 차주 운행정보중, 상위 지역의 차주 운행정보를 하위 차주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공유하도록 하는 운행경로정보 공유처리부(4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일반 승용차 차주가 단기 물류 요청정보를 등록하고 화물 배송처리가 가능하도록 중개하고 관리하는 단기물류 관리정보 처리부(4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화주와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화물 이송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배송 알림 처리부(5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배송 알림 처리부(50)는 차주 단말기(6a, 6b)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일정 시간간격으로 상기 화주와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각각 화물 이송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게 설정되고, 그 설정값은 화주 또는 화물 수취인이 설정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배송 알림 처리부(50)는 차주 단말기(6a, 6b)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화주나 화물 수취인이 설정한 지역범위내로 진입할 때 그 화물 이송정보를 자동으로 화주나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전송하게 설정되고, 그 설정 지역범위는 화주 또는 화물 수취인이 설정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은 원거리, 근거리, 협소거리의 운송을 모두 시스템적으로 통합하여 기사들의 대기시간을 최소화시키고, 이를 통해 기사의 수입은 증가시키며, 고객으로의 운송시간은 단축시키면서, 물류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인증코드를 통해 정확한 화물배송 및 차주 확인, 화주 확인 및 화물 수취인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고, 화물 수취인은 안심하고 화물을 받아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차주간 배송 지연시에도 배송정보를 공유함에 따라 미리 배송 지연 가능성을 알고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의 배송 지역범위 분할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 등록되는 차주 정보예를 도시한 테이블,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을 통한 지역별 차주간 운행정보 공유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을 통한 단기 물류 관리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을 통한 자동 배송정보 전송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스마트물류 제어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의 배송 지역범위 분할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 등록되는 차주 정보예를 도시한 테이블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은 차주가 출발시간과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하면 기구축된 전자지도 서비스를 통해 소요시간과 동선, 목적지 도착시간이 자동으로 화주가 열람 가능하게 등록되어 차주와 화주의 정보 중개가 이루어지고, 화주의 화물 배송 발주시 중개센터에 배송비용을 에스크로 서비스를 통해 중개토록 하며, 개인인 단기 물류의 경우에도 배송 등록 가능하게 하고, 인증번호 생성을 통해 일반 물류와 더불어 배송받은 자가 안전하게 택배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소지역내에서도 분할하여 배달음식점의 배달차주가 피크타임이 아닌 시간대에 가장 작은 지역범위내에서 물류 배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은 화주와 차주간의 화물 운송에 관련된 정보를 중개하면서 화주와 차주가 신속하게 정보가 중개되게 하고 이를 통해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정보 관리를 통해 부가적인 편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은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에 화물 정보를 등록시키고, 배송비용을 에스크로 서비스로 지급할 수 있도록 이체하며, 화물에 매칭된 다단 물류 차주의 위치를 감지하여 적용한 화물 배송지로의 접근 정보를 그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부터 제공받아 배송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화주 물류 요청 어플리케이션(4)이 내부에 설치된 화주 단말기(2)와; 물류 관리서버(8, 10) 및, 스마트 물류 제어서버(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류 관리서버(8, 10)는 대지역 물류관리서버(8)와, 소지역 물류관리서버(10)로 구성되는 바, 대지역 물류관리서버(8)는 화물 출발지에서 대단위(시)로 이동하는 차주정보 및 물류 이송 정보를 등록하고, 소지역 물류 관리서버(10)와 연동하여 대단위 물류 차주 단말기(6b)의 이송위치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상기 스마트 물류 제어서버(18)에 대해 정보 공유하는 서버이다.
상기 소지역 물류관리서버(10)는 상기 화물 코드에 매칭되고 상기 대지역 물류 관리서버(8)와 연동되어 도착지 소단위(구)의 물류기지로부터 연결된 다음 소지역 물류기지로 이동하는 소지역 물류차주정보 및 물류 이송지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 물류 제어서버(18)에 대해 정보 공유하는 서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상기 화물 코드에 매칭된 상기 대지역 물류 관리서버(8)와, 상기 소지역 물류 관리서버(10)와 연동되어 도착지 초소단위(동)의 물류기지로부터 연결된 최종 화물 배송지로 이동하는 초소지역 물류 차주정보를 등록하고, 배송 완료신호를 화물 수취인으로부터 제공받아 각 물류 차주에게 배송비용을 분할하여 지급하며, 화주 및 해당 화물코드에 연결된 각 지역별 차주 또는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부터 화물의 이송위치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차주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화물 배송을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배송 시간이 달라진 경우 다음 차주 단말기로 배송시간 변경정보를 자동 전송하여 관리하는 서버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을 통해, 화주와 차주 정보를 실시간으로 중개처리할 수 있는 바, 화주는 화주 단말기(2)에 탑재된 상기 화주 물류요청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화물의 위치와, 목적지, 희망 요금, 운송희망 시간정보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에 등록하고, 차주는 차주 단말기(6a,6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통해 미리 현위치와 목적지를 입력하고, 목적지로부터 이동 가능한 지역정보, 시간정보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에 등록하여,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상호 자동 매칭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대방 정보를 상호 교차시켜서 중개한다.
차주는 미리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에 이동 동선을 올려야 하므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실제로 해당 차주의 미래 차량 이동 동선이 정확한지를 미리 검증할 수 있다. 즉, 차주가 자신의 동선상 경로도 아닌데 무분별하게 화물배송을 수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는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와 연동되어 각 화물코드별로 매칭되어 배송 경로상에 위치된 차주 단말기(6a,6b)의 위치정보를 일정시간 주기로 전송하고, 상위 지역의 물류 차주의 이송 위치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각 차주 단말기(6a,6b)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화물에 대한 배송시, 각 지역군별 물류창고를 통해서 대지역만 오가는 차주와, 소지역내에서 배송을 행하는 차주, 초소지역내에서만 배송을 처리하는 차주들이 패키징으로 연합하여 배송을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상위 지역의 해당 화물에 대한 배송정보는 하위 지역의 차주와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언제쯤 약속된 물류창고로 상위 지역을 배송하는 차주가 도착할 것인지를 하위 지역내 배송을 행하는 차주가 예상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는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와 연동되어 차주 단말기(6a,6b)의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부터 제공받아 교통량을 반영하여 경로정보 및 도착시간 정보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 전송하는 지도 검색서버(14)로 구성된다.
상기 지도 검색서버(14)는 경로를 안내해주고 특히, 교통량을 반영하여 경로를 안내해주는 네비게이션 처리가 가능한 서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은 화물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화물코드와 별개로, 화주나 화물 수취인인 정확한 차주인지를 인증할 수 있고, 차주는 화주나 화물 수취인이 해당 화물을 건네주거나 또는 받을 수 있는 정확한 화주나 화물 수취인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가 인증번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특정 출발지와 목적지가 설정된 화물 이송에 참여한 다수의 차주 단말기(6a,6b) 및 화주 단말기(2),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동일 화물인지를 확인하고 배송하고, 수취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해당 인증번호는 1일 1회씩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화물코드가 ‘112’이고, 인증번호가 ‘234’인 경우라면, 해당 화물에는 화물코드인 ‘112’가 스티커 형태로 부착되어져 있지만, ‘234’라는 인증번호는 차주, 화주 및 화물 수취인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어진 상태가 되고, ‘112-234’라고 전송되어진다.
그러면, 화주도 ‘112-234’의 코드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부터 전송받아서 보유한 상태이고, 해당 화물을 배송하기 위한 차주도 마찬가지로, ‘112-234’의 코드를 보유한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화주를 찾아가게 되므로 화주는 해당 화물코드와 인증코드만을 비교하면 해당 차주가 자신의 화물을 배송할 정확한 차주가 맞는 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화물을 지역별로 나눠서 배송하는 복수의 차주들도 상호 확인을 위해 상기 화물코드와 인증코드만을 비교하면 상대 차주가 정확한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또, 화물 수취지가 일반 가정이고, 화물 수취인이 가정주부인 경우에도, ‘112-234’의 코드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부터 전송받아서 보유한 상태이므로 차주가 읽어주는 코드가 자신이 보유한 코드와 일치하는 지만을 확인하면 택배기사인 지, 강도인지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초소지역(동단위)내의 배송을 위해, 음식배달업체 오토바이 차주를 서버에 등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바, 차주를 원거리 운송차주(시단위), 근거리 운송차주(구단위), 로컬배송 차주(동단위: 야식배달 오토바이 포함)의 정보를 서버에 등록하고, 공유하며, 각 구역으로의 도착시간을 연산해서 해당 미래의 운동경로상에 위치된, 운송 가능한 기사를 접수받아 등록하는 시스템으로 물류정보 통합 및 자동 물류주문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즉, 운송수단별로 업무가 집중되는 시간대가 상이하므로 이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접목시켜서 기사의 수익을 극대화시키고, 집중되는 운송시간대의 차주 모집과 분산이 이루어지게 하여 물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은 화물의 배송을 완료한 차주가 출발지로 복귀할 때, 공차로 복귀하지 않고 보다 빠르고 합리적으로 복귀시 화물배송을 수주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차주 단말기(6A,6B)로부터 챠랑 복귀시 배송을 요청 등록하는 복귀 배송조건 정보를 전송받아 화주가 열람 가능하게 등록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복귀 배송조건 정보에 포함된 복귀 출발 시간정보를 지도 검색서버(14)를 통해 검증하고 복귀 출발시간이 지연될 수 있는 차주정보는 등록을 취소처리한다.
또,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특정 화물에 대한 차주 정보가 중개되면 해당 화물 정보는 관련자만이 열람 가능하고, 제 3자의 열람이 불가능하게 close 처리한다.
복귀 배송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차주정보(26)는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내에 원 배송시 등록된 차주정보내에 포함되어 별도의 테이블 형태로 관리되며, 그 차주정보(26)는 개인 신상정보와, 출발지 및 도착지정보, 출발시간 및 도착시간 정보, 차량정보와, 복귀 배송조건 정보(복귀 출발시간)으로 이루어져 원 화물의 배송 이전에 미리 복귀 배송 요청정보를 등록해야만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화주가 차주 정보를 열람하고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을 통한 지역별 차주간 운행정보 공유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동일한 화물코드로 패키징된 대지역 차주와 소지역 차주 및 초소지역 차주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화물의 이송정보와, 각 중간 물류창고로의 도착 예상시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처리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동일한 화물코드로 패키징된 대지역 차주와 소지역 차주 및 초소지역 차주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일정 시간간격마다 자동으로 제공하게 구성된다.
예컨대, 시단위의 지역만을 오가는 대지역 차주의 운행경로 정보(28a)에는 상세한 경로정보 및 도착예상시간이 표시되는 바, 그 대지역 차주의 운행경로 정보(28a)는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를 통해 하위의 지역인 소지역 차주(동단위의 지역만 오가는 차주)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공유된다.
마찬가지로, 소지역 차주 운행경로정보(28b)는 로컬 지역차주(동단위 내부의 범위만 오가는 차주)인 초소지역 차주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공유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을 통한 단기 물류 관리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는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에 일반 승용 차주 등록요청 정보 및 해당 차주의 목적지 및 출발지와, 예상 운행경로 정보를 일반 승용 차주 단말기(6d)로부터 업로드받아 해당 경로상에 위치된 화물 위치와 배송지 위치정보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부터 제공받아 일반 승용 차주 단말기(6d)로 전송함으로써 일반 승용차를 이용한 물류를 처리하는 단기 물류 관리서버(12)가 더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은 마치 우버택시처럼, 자가용으로도 화물을 운송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지역별로 물류센터를 두고, 해당 자가용의 경유지상에 위치한 물류센터에 해당 화물을 놓고가는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승용차주 단말기(6d)를 통해 승용차주는 상기 단기 물류 관리서버(12)로 단기 물류 등록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바, 단기 물류 등록정보로는 목적지와, 경유지, 개인 인증정보가 해당된다.
그 상태에서, 해당 단기 물류 등록정보는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에 등록되고, 화주가 열람 가능하게 된다. 화주가 정보를 열람하고 특정 화물에 대한 배송 요청신호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 발생시키면,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해당 화물에 대한 인증번호를 생성하고 해당 일반 승용차주의 배송 요청정보를 close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해당 인증번호를 해당 화물의 화주와, 일반 승용차주의 단말기로 각각 전송하는 바, 일반 승용차주가 해당 화주를 방문하면 화주는 해당 일반 승용차주가 제시한 인증번호가 자신이 전송받은 인증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고 화물 배송을 맡긴다.
마찬가지로,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도 해당 인증코드가 전송되는 바, 그 인증코드의 비교를 통해 화물 수취인도 안전하게 해당 화물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일반 승용차주는 최종 배송지까지 화물을 배송하지 않고, 중간 물류창고까지만 화물을 배송할 수도 있다. 또한, 화주의 경우에 일반 승용차주의 경우 대부분 출장 등의 복귀시에 처리되는 물류배송이므로 상대적으로 물류비용이 저렴하고, 그로인해 일반 승용차를 이용한 물류 배송도 활성화될 수 있다.
일반 승용차를 이용한 물류배송은 국가적으로 연료비를 감축시킬 수 있고, 물류배송 차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운송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을 통한 자동 배송정보 전송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은 화물 수취인이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에 별도로 접속해서 배송 정보를 일일이 열람하지 않아도, 일정한 조건을 미리 등록해놓으면 상기 화물 수취인에 대해서 차후 다른 화물들의 배송 정보에 대해서도 해당 조건만족시 자동으로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전송되게 처리한다.
즉,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내부에 스마트 배송 알림 처리부(50)가 구성되는 바, 그 스마트 배송 알림 처리부(50)는 차주 단말기(6a, 6b)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일정 시간간격으로 상기 화주와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각각 화물 이송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게 설정되고, 그 설정값은 화주 또는 화물 수취인이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배송 알림 처리부(50)는 차주 단말기(6a, 6b)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화주나 화물 수취인이 설정한 지역범위내로 진입할 때 그 화물 이송정보를 자동으로 화주나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전송하게 설정되고, 그 설정 지역범위는 화주 또는 화물 수취인이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취인이 전자상거래를 통해 택배를 받아야 하는 일반 소비자이고, 3시간의 알림시간을 설정한 상태라면 3시간마다 해당 화물에 대한 택배 이송이 어느 지역에서 배송되고 있는 지를 별도의 조작이나 열람을 위한 소비자의 노력이 없이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특정 지역범위를 설정한 경우, 예컨대, 경기도 안양시 비산동으로 차주가 진입하면 화물 수취인에게 알리도록 설정한 상태인데, 물류창고인 안성에 현재 차주가 위치한 것이 확인되면 점심식사를 편하게 하고 와도 될 시간이 되므로 택배가 점심시간에 도착할지 소비자가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스마트물류 제어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스마트물류 제어 서버(18)는 그 내부에, 특정 출발지로부터 특정 목적지까지 특정 화물의 운송을 요청하는 화주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화주 정보 등록부(32)와; 특정 출발지와 차량정보 및 차주 신상정보로 이루어지고, 대지역, 소지역, 초소지역중 어느 한 전문 물류정보로 이루어진 차주 정보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차주 정보 등록부(34)와; 상기 화주 정보 등록부(32)와 연동되어 화물의 종류와 수량 및 중량을 포함한 상세 화물정보를 등록하는 화물정보 등록부(35)와; 상기 화주 정보 등록부(32)와 차주 정보 등록부(34)를 통해 화주와 차주정보중 지역기반으로 일치되는 화주와 차주를 추출하는 차주/화주 매칭처리부(36)와; 차주와 화주의 정보를 각각 등록하고, 지역 기반으로 매칭되는 차주와 화주 정보를 추출하여 각 차주와 화주 단말기로 상대 정보를 전송하여 물류 정보를 중개하고 차주가 결정되면 해당 화물정보는 열람 불가능하게 처리하는 제어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화주와 차주 및 화물 수취인이 결정되면 화물코드를 생성하고, 그 화물코드를 기준으로 화주정보 및 해당 화물을 이송하는 복수의 차주정보 및 화물 수취인 정보를 매칭시켜 관리하는 화물정보 관리부(38)가 더 포함된다.
또,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화주와 차주 및 화물 수취인이 결정되어 화물코드가 생성된 경우, 화주와 복수의 차주 및 화물 수취인이 각각 상대방을 확인하고 화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화물에 매칭된 인증번호를 생성시키고 각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을 관리하는 인증번호 관리부(37)가 더 포함된다.
또,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차주의 복귀 배송요청 등록에 의해, 차주의 복귀 동선상에 위치된 화주정보를 탐색하고 해당 경로상에 등록된 차주를 선정하는 경로상 차주 선정부(40)와; 상기 차주의 복귀 배송요청 정보인 차주 신상정보 및 차량정보와 복귀 동선정보를 등록하는 복귀 배송 등록부(44)가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화주와 차주가 결정되면 화주의 물류비용을 이체받아 화물 배송완료가 확인될 때 차주에게 지급해주도록 처리하는 물류비용 에스크로 정보처리부(42)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화주는 화물배송을 의뢰할 때, 배송비용을 선입금해야 하지만 배송이 완료되지 않고 배송비용만 먼저 입금한 것을 염려하지 않아도 되고, 차주의 경우에는 배송을 완료한 후 수개월씩 배송비용 지급이 지연되는 것을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어느 한 화물이송에 순차적으로 관여된 다수의 차주 운행정보중, 상위 지역의 차주 운행정보를 하위 차주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공유하도록 하는 운행경로정보 공유처리부(46)가 더 포함된다.
또,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일반 승용차 차주가 단기 물류 요청정보를 등록하고 화물 배송처리가 가능하도록 중개하고 관리하는 단기물류 관리정보 처리부(48)가 더 포함된다.
또,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화주와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화물 이송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배송 알림 처리부(50)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원거리, 근거리, 협소거리의 운송을 모두 시스템적으로 통합하여 기사들의 대기시간을 최소화시키고, 이를 통해 기사의 수입은 증가시키며, 고객으로의 운송시간은 단축시키면서, 물류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화주 단말기, 4:화주 물류요청 어플리케이션,
6a,6b:차주 단말기, 8:대지역 물류관리서버,
10:소지역 물류관리서버, 12:단기 물류관리서버,
14:지도검색서버, 16:에스크로 결제관리서버.

Claims (19)

  1.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에 화물 정보를 등록시키고, 배송비용을 에스크로 서비스로 지급할 수 있도록 이체하며, 화물에 매칭된 다단 물류 차주의 위치를 감지하여 적용한 화물 배송지로의 접근 정보를 그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부터 제공받아 배송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화주 물류 요청 어플리케이션(4)이 내부에 설치된 화주 단말기(2)와;
    화물 출발지에서 대단위(시)로 이동하는 차주정보 및 물류 이송 정보를 등록하고, 소지역 물류 관리서버(10)와 연동하여 대단위 물류 차주 단말기(6b)의 이송위치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상기 스마트 물류 제어서버(18)에 대해 정보 공유하는 대지역 물류 관리서버(8)와;
    상기 화물 코드에 매칭되고 상기 대지역 물류 관리서버(8)와 연동되어 도착지 소단위(구)의 물류기지로부터 연결된 다음 소지역 물류기지로 이동하는 소지역 물류차주정보 및 물류 이송지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 물류 제어서버(18)에 대해 정보 공유하는 소지역 물류 관리서버(10)와;
    상기 화물 코드에 매칭된 상기 대지역 물류 관리서버(8)와, 상기 소지역 물류 관리서버(10)와 연동되어 도착지 초소단위(동)의 물류기지로부터 연결된 최종 화물 배송지로 이동하는 초소지역 물류 차주정보를 등록하고, 배송 완료신호를 화물 수취인으로부터 제공받아 각 물류 차주에게 배송비용을 분할하여 지급하며, 화주 및 해당 화물코드에 연결된 각 지역별 차주 또는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부터 화물의 이송위치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차주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화물 배송을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배송 시간이 달라진 경우 다음 차주 단말기로 배송시간 변경정보를 자동 전송하여 관리하는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차주 단말기(6A,6B)로부터 챠랑 복귀시 배송을 요청 등록하는 복귀 배송조건 정보를 전송받아 화주가 열람 가능하게 등록하며, 복귀 배송조건 정보에 포함된 복귀 출발 시간정보를 지도 검색서버(14)를 통해 검증하고 복귀 출발시간이 지연될 수 있는 차주정보는 등록을 취소처리하며;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특정 화물에 대한 차주 정보가 중개되면 해당 화물 정보는 관련자만이 열람 가능하고, 제 3자의 열람이 불가능하게 close 처리하게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특정 출발지로부터 특정 목적지까지 특정 화물의 운송을 요청하는 화주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화주 정보 등록부(32)와; 특정 출발지와 차량정보 및 차주 신상정보로 이루어지고, 대지역, 소지역, 초소지역중 어느 한 전문 물류정보로 이루어진 차주 정보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차주 정보 등록부(34)와; 상기 화주 정보 등록부(32)와 연동되어 화물의 종류와 수량 및 중량을 포함한 상세 화물정보를 등록하는 화물정보 등록부(35)와; 상기 화주 정보 등록부(32)와 차주 정보 등록부(34)를 통해 화주와 차주정보중 지역기반으로 일치되는 화주와 차주를 추출하는 차주/화주 매칭처리부(36)와; 차주와 화주의 정보를 각각 등록하고, 지역 기반으로 매칭되는 차주와 화주 정보를 추출하여 각 차주와 화주 단말기로 상대 정보를 전송하여 물류 정보를 중개하고 차주가 결정되면 해당 화물정보는 열람 불가능하게 처리하는 제어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와 연동되어 각 화물코드별로 매칭되어 배송 경로상에 위치된 차주 단말기(6a,6b)의 위치정보를 일정시간 주기로 전송하고, 상위 지역의 물류 차주의 이송 위치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각 차주 단말기(6a,6b)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와 연동되어 차주 단말기(6a,6b)의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부터 제공받아 교통량을 반영하여 경로정보 및 도착시간 정보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 전송하는 지도 검색서버(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특정 출발지와 목적지가 설정된 화물 이송에 참여한 다수의 차주 단말기(6a,6b) 및 화주 단말기(2),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동일 화물인지를 확인하고 배송하고, 수취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에 일반 승용 차주 등록요청 정보 및 해당 차주의 목적지 및 출발지와, 예상 운행경로 정보를 일반 승용 차주 단말기(6d)로부터 업로드받아 해당 경로상에 위치된 화물 위치와 배송지 위치정보를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로부터 제공받아 일반 승용 차주 단말기(6d)로 전송함으로써 일반 승용차를 이용한 물류를 처리하는 단기 물류 관리서버(12)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동일한 화물코드로 패키징된 대지역 차주와 소지역 차주 및 초소지역 차주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화물의 이송정보와, 각 중간 물류창고로의 도착 예상시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처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화주와 차주 및 화물 수취인이 결정되어 화물코드가 생성된 경우, 화주와 복수의 차주 및 화물 수취인이 각각 상대방을 확인하고 화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화물에 매칭된 인증번호를 생성시키고 각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을 관리하는 인증번호 관리부(37)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화주와 차주가 결정되면 화주의 물류비용을 이체받아 화물 배송완료가 확인될 때 차주에게 지급해주도록 처리하는 물류비용 에스크로 정보처리부(4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제어서버(18)는 그 내부에,
    어느 한 화물이송에 순차적으로 관여된 다수의 차주 운행정보중, 상위 지역의 차주 운행정보를 하위 차주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공유하도록 하는 운행경로정보 공유처리부(4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배송 알림 처리부(50)는 차주 단말기(6a, 6b)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화주나 화물 수취인이 설정한 지역범위내로 진입할 때 그 화물 이송정보를 자동으로 화주나 화물 수취인 단말기로 전송하게 설정되고, 그 설정 지역범위는 화주 또는 화물 수취인이 설정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KR1020150173511A 2015-12-07 2015-12-07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KR10177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11A KR101770603B1 (ko) 2015-12-07 2015-12-07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11A KR101770603B1 (ko) 2015-12-07 2015-12-07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30A KR20170067230A (ko) 2017-06-16
KR101770603B1 true KR101770603B1 (ko) 2017-08-25

Family

ID=5927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511A KR101770603B1 (ko) 2015-12-07 2015-12-07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144B1 (ko) * 2018-06-04 2018-10-08 고창신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KR102233216B1 (ko) 2020-04-29 2021-03-29 주식회사 에코엑스랩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
CN112801574B (zh) * 2021-01-06 2023-09-19 何永安 一种物流配送方法和物流配送系统
KR102366324B1 (ko) 2021-05-25 2022-02-23 안성찬 지능형 스마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720B1 (ko) * 2010-11-15 2011-06-02 최동성 차량 배차 매칭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720B1 (ko) * 2010-11-15 2011-06-02 최동성 차량 배차 매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30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15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erving space in carrier vehicles to provide on demand delivery services
US117980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smart containers
US11443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trailers at receiving facility
US11392886B2 (en) Real-time detention avoidance system
JP6476232B2 (ja) 物流支援システム、物流支援方法、および物流支援プログラム
CA2962817C (en) Generating notifications using logical groupings
US20150294262A1 (en) Determining delivery windows for item delivery based on customer and/or item location
US11829927B2 (en) Remote initiation of interaction by a computing entity
KR101859904B1 (ko) 택배 방법
WO2017192276A1 (en) Remote initiation of interaction by a computing entity
KR101770603B1 (ko)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KR102095735B1 (ko)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KR101660873B1 (ko) 앱을 이용한 차주와 화주의 중계 시스템
US20200202284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tem delivery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WO2019034166A1 (zh) 物流共享方法及系统
CN109978653A (zh) 邮购系统
WO2015089570A1 (en) Postal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202400053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smart containers
KR20190012701A (ko) 화물 운송 중계방법, 화물 운송 중계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운송 중계시스템
JP2019028838A (ja) 配送管理システムおよび配送管理方法
KR101553674B1 (ko)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KR100889831B1 (ko)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JP2009211476A (ja) 車両向け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101669126B1 (ko) 아파트 경비실을 이용한 택배 접수 및 배송시스템 및 방법
JP2018063660A (ja) 買い物支援装置および買い物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