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948B1 -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Google Patents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948B1
KR101769948B1 KR1020160070993A KR20160070993A KR101769948B1 KR 101769948 B1 KR101769948 B1 KR 101769948B1 KR 1020160070993 A KR1020160070993 A KR 1020160070993A KR 20160070993 A KR20160070993 A KR 20160070993A KR 101769948 B1 KR101769948 B1 KR 101769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diting
sub
user
information
tas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동우
신수용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6007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948B1/en
Priority to PCT/KR2017/005947 priority patent/WO201721343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9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2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user information and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us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and outputting the task information in a display device by changing the size of one or more sub-screens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solution of a terminal. The control unit receives a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and activates a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screen if a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is authenticat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hangeable user interface and enhance security.

Description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0001]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0002]

본 발명은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업무에 최적화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that provide a user interface optimized for a user's work.

하나의 조직에서 사용하는 관리 시스템은 서로 다른 부서의 서로 다른 직급의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형태의 UI(User Interface) 및 동일한 업무 메뉴를 제공하는 문제가 있다.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agement system used in one organization provides the same type of UI (User Interface) and the same task menu to all users even though a plurality of users of different levels of the different departments use it.

의료 시설에서 사용하는 의료 정보 시스템의 경우에도, 의사, 간호사, 스텝 등 서로 다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사용하지만, 어떤 사용자가 접속하더라도 기존의 의료 정보 시스템은 동일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Even in the case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s used in medical facilities, those who perform different tasks such as doctors, nurses, and staffs are used, but the existing medical information systems output the same screen regardless of the users.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해당 시스템이 제공하는 모든 메뉴, 모든 아이콘이 표시되지만, 표시되는 모든 메뉴와 모든 아이콘을 사용자가 전부 사용할 확률은 극히 낮다.When accessing the management system, all the menus and all the icons provided by the system are displayed, but the probability that the user will use all the displayed menus and all icons is extremely low.

따라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업무 메뉴를 제공하고, 업무에 따라 업무 메뉴에 포함되는 콘텐츠 편집 권한을 부여하며, 사용자 친화적인 UI를 제공하는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an appropriate task menu to a user, grants content editing rights included in a task menu according to tasks, and provides a user-friendly UI.

본 발명은 사용자 친화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업무에 대한 시각 정보를 보다 유연하게 추가하고 변경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that provide a user-friendly user interface and provide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flexible addition and change of visual information about a new busines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업무에 따라 콘텐츠 편집 권한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키고 보안을 강화시킨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enhancing security by determining a content editing right according to a user's work and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content editing mode with a simple operation of a us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고, 단말기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태스크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스크린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 장치에 상기 태스크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한다.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user information and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put us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and changing the size of one or more sub-screens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solution of the terminal and outputting the task information to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and activates a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screen when a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is recogniz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은 상기 서브 스크린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ent edit mode activation request may be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area of the sub-scree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 영역은 콘텐츠가 표시된 영역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ne area may be an area i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 영역은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ne area may be an area where the content is not display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 영역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activate the content editing mode for the one are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일 영역과 무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activates a content editing mode for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screen, and the predetermined area may be independent of the one are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ent edit pop-up window of the sub screen to the display devic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태스크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 스크린은 각각 환자 정보, 진료 정보, 및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ne or more subscreens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patient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prescrip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의 소속 및/또는 직무 필드 항목을 참조하여 상기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을 판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by referring to the affiliation of the user information and / or the job field item in the databas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deactivate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screen if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screen is not recogniz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태스크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단말기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태스크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스크린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 장치에 상기 태스크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receiving user information; Detecting task information of a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n a database; Changing the size of one or more sub-screens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solution of the terminal, and outputting the task information to a display device; Receiving a content edit mode activation request; Determining whether content editing authority for a sub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is recognized; And activating a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screen when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is recogniz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스크린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일 영역 또는 상기 일 영역과 무관한 소정 영역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may include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area of the sub-screen, and activating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Or activating a content edit mode for a predetermined area that is not related to the one are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팝업창을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p of activating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screen may be a step of outputting a content editing pop-up window of the sub screen to the display devic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f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is not recognized, the step of deactivating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screen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may be provided to execute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친화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업무에 대한 시각 정보를 보다 유연하게 추가하고 변경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that provide a user-friendly user interface and provide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flexible addition and change of visual information about a new task.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업무에 따라 콘텐츠 편집 권한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키고 보안을 강화시킨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enhancing security by determining a content editing right according to a user's work and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content editing mode with a simple operation of a user can do.

도 1은 네트워크 망에 연결되는 서버와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 및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서브 스크린 필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rver and a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a network.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ask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4A and 4B, Figs. 5A and 5B, and Figs.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activation of the content editing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ub-screen field of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네트워크 망에 연결되는 서버와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rver and a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a network.

도 1은 네트워크 망(30)에 연결된 복수의 단말 장치(20)와 서버(10)를 도시한다. 도 1은 세 개의 단말 장치(20)와 하나의 서버(1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단말 장치(20)와 서버(10)의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G. 1 shows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20 and a server 10 connected to a network 30. Although FIG. 1 shows three terminal devices 20 and one server 10, this is only an illustrative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number of terminal devices 20 and servers 10 It is not.

서버(10)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또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단말 장치(20)에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store data for performing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r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control a UI (User Interfac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20. [ Also, the server 10 may store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네트워크 망(30)은 의료 시설에 구축되어 있는 인트라넷(Intranet) 또는 의료 시설 외부의 단말 장치(20)와 의료 시설 내에 설치되는 서버(10)와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형성하는 인터넷(Internet) 망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network 30 shown in FIG. 1 includes an Internet that forms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between an intranet built in a medical facility or a terminal 10 installed outside the medical facility and a server 10 installed in the medical facility, It can be understood as a network.

단말 장치(20)는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기기를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단말 장치(20)는 휴대용 통신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terminal device 20 includes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ncluding a display device and an input device, and is not limited to the personal computer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20 is a concept includ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notebook computer,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110 and a controller 120.

데이터베이스(110)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 및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 직급, 소속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태스크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관련 업무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The database 110 stores a plurality of pieces of user information and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user information.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n identification (ID) of a user accessing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 position, a position, and the like, and the task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on the related task set by the user.

예를 들어, 정형외과 의사인 제1 사용자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 상에서 높은 빈도로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항목들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이때, 지정된 하나 이상의 항목들이 태스크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태스크 정보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user, who is an orthopedic surgeon, may designate one or more items to be used at a high frequency on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wherein one or more designated items are stored in the database 110 as task information . At this time, the task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한편, 태스크 정보는 환자 정보, 진료 정보, 및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앞선 예시에서, 제1 사용자는 자신이 진료하는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를 자신의 태스크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환자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 및/또는 처방 정보를 상기 환장 정보와 함께 하나의 태스크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ask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subscreen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patient information, medical care information, and prescription information. In the preceding example, the first user may include patient information about his / her patient in his / her task information, and the medical information and / or prescri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Information can be set.

또한, 한 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태스크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앞선 예시에서, 제1 사용자는 자신이 진료하는 복수의 환자 각각에 대한 복수의 태스크 정보를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 single user can set a plurality of task information. In the preceding example, the first user may set and store a plurality of task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patients to be examined in the database 110.

제어부(12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출한다. 사용자 정보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20)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20)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detects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us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110. The user information may be input through a terminal device 20 used by a user accessing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nd the terminal device 2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user information.

제어부(120)는 태스크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20)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를 통해 디폴트 태스크 정보(Default Task Information)를 출력할 수 있고, 태스크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20)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를 통해 검출된 태스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f the task information is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120 can output default task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terminal device 20. When the task information is detected, The task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디폴트 태스크 정보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태스크 정보로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직급, 소속 등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The default task information is task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20 when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user information is not detected in the database 110. The default task information includes task information of the user who accesses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nd the like.

예를 들어, 원무과 소속인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디폴트 태스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원무과 소속의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참조하여,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디폴트 태스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belonging to the bookmark is not present in the database 110, the control unit 120 can output the default task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20 may generate default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by referring to the items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s belonging to the department.

표시 장치는 입력 장치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2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단말 장치(20)의 해상도(resolution)를 고려하여 태스크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스크린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 장치에 태스크 정보를 출력한다.The display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terminal device 20 used by the user like the input device and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size of one or more sub screens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solu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 And outputs the task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사용자는 복수의 단말 장치(20)를 이용하여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종류의 단말 장치(2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해상도 또한 다를 수 있다.The user can access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using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20. [ At this time, different kinds of terminal devices 20 may include display devices having different sizes, and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device may also be different.

따라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현재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단말 장치(20)의 해상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태스크 정보에 포함되는 서브 스크린의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표시 장치에 여백 발생을 최소화하는 크기로 각각의 서브 스크린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e resolu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 that the user is currently using to access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nd changes the size of the sub screen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output it.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20 may change the size of each sub-screen to a size that minimizes the margin generation on the display device.

서브 스크린은 사용자가 태스크 정보에 포함시킨 항목에 대응하며,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항목들을 지정할 수 있으므로, 태스크 정보는 하나 이상의 서브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bscreen corresponds to an item that the user has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and the user can specify one or more items, so that the task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subscreens.

제어부(120)는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한다.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and activates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screen when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is recognized.

사용자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입력할 수 있으며,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은 서브 스크린 내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하기 위한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요청을 의미한다.The user can input a content edit mode activation request using the input device and the content edit mode activation request means a request to activate the edit mode for adding, changing or deleting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sub screen.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은 서브 스크린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은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가 표시된 영역,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 또는 서브 스크린에 표시된 콘텐츠 편집 모드 전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may be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area of the subscreen. For example,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may be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content editing mode switching icon displayed on the sub screen, the area where the content of the sub screen is not displayed, or the sub screen.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은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의 대상이 되는 서브 스크린의 ID,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서브 스크린의 일 영역이 가리키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may include an ID of a sub screen to which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is directed, information indicated by one area of the sub screen selected according to user input, and the like.

제어부(120)는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사용자 정보의 소속 및/또는 직무 필드 항목을 참조하여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edit mode activation request is recognized by referring to the affiliation of the user information and / or the job field item in the database 110. [

앞선 예시에서, 제어부(120)는 정형외과 의사인 제1 사용자가 환자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을 선택하여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를 요청한 경우라면, 정형외과 즉, 진료과에 소속된 제1 사용자는 해당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the preceding example, if the first user, who is an orthopedic surgeon, selects a subscreen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information and requests activation of the content editing mode, the first user, who belongs to the departmen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ontent editing right on the screen.

반면, 제1 사용자가 진료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을 선택하여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를 요청한 경우라면, 제어부(120)는 제1 사용자에게 해당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제1 사용자가 진료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을 선택하여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를 요청한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사용자가 소정 기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경우라면, 해당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user selects the subscreen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and requests activation of the content editing mode, the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user has the right to edit the content on the subscreen. Alternatively, even if the first user requests activation of the content editing mode by selecting the sub screen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if the first user has a caree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perio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right to edit content.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해당 서브 스크린의 일 영역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해당 서브 스크린의 일 영역과는 무관한 소정 영역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해당 서브 스크린의 상기 일 영역 또는 상기 소정 영역에 직접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콘텐츠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If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120 can activate the content editing mode for one area of the selected sub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user input.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20 may activate a content editing mode for a predetermined area that is not related to one area of the corresponding sub-screen selected according to user input.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20 may activate the content editing mode by adding new content directly to the one area or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 screen, or by enabling user input to change or delete the existing content.

또는, 제어부(120)는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단말 장치(20)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에 해당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팝업창을 출력함으로써,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해당 서브 스크린이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해당 서브 스크린의 일 영역이 가리키는 항목을 검출하고, 해당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팝업창 내에서도 검출된 항목을 나타내는 영역에 바로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content editing right of the sub screen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120 may activate the content editing mode by outputting a content edit popup window of the sub screen to the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terminal device 20. [ If the sub-screen includes a plurality of items, the control unit 120 detects an item indicated by one area of the selected sub-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nd displays the item indicated in the content editing pop- So that user input is possible immediately.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해당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If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is not recognized, the control unit 120 may deactivate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elected sub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user inpu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스크린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소정의 편집 권한이 없는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안이 강화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ub-screen from being edited by a user who does not have a predetermined editing right, so that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with enhanced security is provided to the user .

또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있는 서브 스크린과 콘텐츠 편집 권한이 없는 서브 스크린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유로운 정보 열람이 가능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creen having the content editing right and the sub-screen having no content editing right are provided together, thereby providing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that allows the user to freely browse the information.

한편, 제어부(120)는 태스크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태스크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이 추가된 새로운 태스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20 receives the task selection signal, and can store new task information to which the sub-screen corresponding to the task selection signal is added, in the database 110. [

사용자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태스크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태스크 선택 신호는 사용자가 기존의 태스크 정보에 추가하고자 하는 업무 메뉴, 항목 또는 서브 스크린에 대응하는 신호를 의미한다.A user can input a task selection signal using an input device, and the task selection signal mean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task menu, item, or sub screen to be added to existing task information by the user.

제어부(120)는 기존의 태스크 정보와 함께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업무 메뉴, 항목 또는 서브 스크린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태스크 정보 또는 제어부(120)에 의해 임의로 생성된 디폴트 태스크 정보에 추가하고자 하는 태스크를 업무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태스크 즉, 태스크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태스크는 상기 태스크 정보 또는 상기 디폴트 태스크 정보에 추가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output a task menu, an item, or a sub screen that is not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existing task information. The user can select a task to be added to the task information set by the user or the default task information arbitrarily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20 in the task menu, and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selected by the user, that is, the task selection signal, Information or the default task information.

제어부(120)는 태스크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이 추가된 태스크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 된 태스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update the task information to which the sub-screen corresponding to the task selection signal is added, and may store the updated task information in the database 110. [

한편,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태스크 정보 또는 제어부(120)에 의해 생성된 디폴트 태스크 정보 중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서브 스크린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서브 스크린이 제거된 태스크 정보 또한 데이터베이스(110)에 업데이트 되어 저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remove the task information set by the user or the default task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task information from which the sub screen is removed by the user is also deleted from the database 110 And may be updated and stored.

데이터베이스(110)는 복수의 업무 메뉴 및 복수의 업무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업무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선택된 업무 메뉴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서브 스크린은 표시 장치를 통해 출력 중인 태스크 정보에 추가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출력 중인 다른 서브 스크린의 크기를 변경하여 새로운 서브 스크린을 추가할 수 있다.The database 110 may store a plurality of task menus and subscree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menus. When the user selects the task menu, the control unit 120 can detect the sub screen corresponding to the task menu selected in the database 110. [ The detected sub-screen may be added to the task information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ler 120 may add a new sub-screen by changing the size of another sub-screen being output.

또한, 관리자는 새로운 업무 메뉴 및 새로운 업무 메뉴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을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11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데이터베이스(110)의 업데이트 상황을 반영하여 태스크 정보와 함께 업무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ministrator can update the database 110 by storing a new task menu and a subscreen corresponding to the new task menu. The control unit 120 may reflect the update status of the database 110 and output a task menu together with the task information.

한편,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는 서브 스크린 중 일정 기간 이상 사용되지 않는 서브 스크린은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삭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ubscreens that are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the subscreens stored in the database 110 may be deleted from the database 110.

따라서, 서브 스크린은 복수의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될 수 있으며, 서브 스크린을 추가, 개선, 또는 삭제하는 구성을 통하여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하는 플랫폼(platform)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bscreen can be continually improved or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a plurality of users, and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can appropriately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configuration for adding, improving, or deleting the subscreen And can play a role as a platform.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ask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정보는 예컨대, 제1 내지 제5 서브 스크린(Sub 1 내지 Sub 5)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ask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first to fifth sub-screens (Sub 1 to Sub 5).

제1 내지 제5 서브 스크린(Sub 1 내지 Sub 5)은 서로 다른 업무 메뉴에 대응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제어부(120)에 의하여 임의로 선택된다. 이때,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직무, 직급 및/또는 소속을 고려하여 제1 내지 제5 서브 스크린(Sub 1 내지 Sub 5)을 선택할 수 있다.The first to fifth sub-screens (Sub 1 to Sub 5) correspond to different task menus, and are selected by the user or arbitrarily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12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may select the first to fifth sub-screens (Sub 1 to Sub 5) in consideration of the job, rank, and / or affiliation of the user.

메인 창(Main)은 표시 장치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태스크 창을 의미할 수 있다. 메인 창(Main)은 제1 내지 제5 서브 스크린(Sub 1 내지 Sub 5)이 표시되는 영역 이외의 표시 영역을 활용하여 제1 내지 제5 서브 스크린(Sub 1 내지 Sub 5)에 포함되지 않는 서브 스크린에 대응하는 업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업무 메뉴는 텍스트(text)로 표시되거나 아이콘(icon)을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main window (Main) may mean a task window correspon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device. The main window Main uses a display area other than the area in which the first to fifth sub-screens (Sub 1 to Sub 5) are displayed to display sub-screens (Sub 1 to Sub 5)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first to fifth sub- A task menu corresponding to the screen can be displayed. The task menu may be displayed in text or through an ic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사용자는 입력 장치를 통해 크기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크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5 서브 스크린(Sub 1 내지 Sub 5)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input the size control signal through the input device, and the controller 120 can change the size of each of the first to fifth sub-screens (Sub 1 to Sub 5) in response to the size control signal.

한편,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의 해상도, 화면 크기에 따라, 제1 내지 제5 서브 스크린(Sub 1 내지 Sub 5)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제1 내지 제5 서브 스크린(Sub 1 내지 Sub 5) 각각의 가로 대 세로의 비율을 유지하되 크기만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서브 스크린의 크기는 변경하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20 may change the sizes of the first to fifth sub-screens (Sub 1 to Sub 5) according to the resolution and screen size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terminal device used by the user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can maintain the ratio of the first to fifth sub-screens (Sub 1 to Sub 5), but can only change the size.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set by the user, The size of the higher subscreen may not change.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 및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4A and 4B, Figs. 5A and 5B, and Figs.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activation of the content editing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표시 장치를 통해 출력된 태스크 정보 중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콘텐츠(contents)가 표시된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콘텐츠(contents)가 표시된 영역에 마우스 인디케이터(1)를 위치시키고, 마우스를 클릭함으로써, 제3 서브 스크린(Sub 3)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4A and 4B, the user selects an area in which the content of the third sub screen (Sub 3) is displayed among the task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device, You can enter a mode activation request. For example, the user can position the mouse indicator 1 in the area where the contents of the third sub screen (Sub 3) are displayed, and click on the mouse to select the content editing mode for the third sub screen (Sub 3) You can request activation.

이어서, 사용자의 제3 서브 스크린(Sub 3)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영역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표시 장치를 통해 출력된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콘텐츠(contents)가 표시된 영역을 가리키는 커서 인디케이터(2)를 활성화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content editing right of the user is recognized for the third sub screen (Sub 3),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displays the content editing mode for the selected area according to the user input of the third sub screen (Sub 3) Can be activated. For example,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may activate the cursor indicator 2 indicating the area where the contents of the third sub-screen (Sub 3) outputt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are display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스크린에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편집이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diting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ub screen is performed only by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content,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표시 장치를 통해 출력된 태스크 정보 중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빈(blank)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빈(blank) 영역에 마우스 인디케이터(1)를 위치시키고, 마우스를 클릭함으로써, 제3 서브 스크린(Sub 3)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5A and 5B, the user selects a blank area in which the content of the third sub-screen (Sub 3) of the task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device is not displayed,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can be input to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For example, the user may place the mouse indicator 1 in a blank area of the third subscreen (Sub 3) and activate the content edit mode for the third subscreen (Sub 3) by clicking the mouse Can be requested.

이어서, 사용자의 제3 서브 스크린(Sub 3)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영역과 무관한 소정 영역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표시 장치를 통해 출력된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콘텐츠(contents)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소정 영역을 가리키는 커서 인디케이터(2)를 활성화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content editing right of the user is recognized for the third sub screen (Sub 3),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displays a predetermined area The content editing mode can be activated. For example,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can activate the cursor indicator 2 indicating a predetermined area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contents of the third sub screen (Sub 3) outputt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are displayed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스크린에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편집이 서브 스크린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보다 간편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editing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sub screen is performed only by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sub scree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that is easier to use.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표시 장치를 통해 출력된 태스크 정보 중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일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일 영역에 마우스 인디케이터(1)를 위치시키고, 마우스를 클릭함으로써, 제3 서브 스크린(Sub 3)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6A and 6B, the user selects one area of the third sub-screen (Sub 3) among the task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device to input a content edit mode activation request to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can do. For example, the user can request activation of the content editing mode for the third sub-screen (Sub 3) by positioning the mouse indicator 1 in one area of the third sub-screen (Sub 3) and clicking the mouse .

이어서, 사용자의 제3 서브 스크린(Sub 3)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콘텐츠 편집 팝업창(3)을 출력함으로써,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3 서브 스크린(Sub 3)이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일 영역이 가리키는 항목을 검출하고,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콘텐츠 편집 팝업창(3) 내에서 검출된 항목을 나타내는 영역을 가리키는 커서 인디케이터(2)를 활성화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content editing right of the user is recognized for the third sub screen (Sub 3),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outputs the content editing popup window 3 of the third sub screen (Sub 3) 3 You can activate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screen (Sub 3). When the third sub-screen (Sub 3) includes a plurality of items, the medical-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detects an item indicated by one area of the third sub-screen (Sub 3)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cursor indicator 2 indicating the area indicating the item detected in the content editing pop-up window 3 of the sub screen (Sub 3).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스크린에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편집이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diting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ub screen is performed only by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content,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서브 스크린 필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ub-screen field of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다섯 명의 사용자가 선택한 서브 스크린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며, 데이터베이스(110)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서브 스크린보다 많은 수의 서브 스크린이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수 또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사용자보다 많이 존재할 수 있다.7 exemplarily shows a subscreen selected by five users, and the database 110 may have more subscreens than the subscreen shown in FIG. 7, and the number of users is also shown in FIG. 7 There can be more than users.

도 7을 참조하면, A 소속의 사용자 1 및 사용자 3은 서브 스크린 3 및 서브 스크린 4를 공통으로 선택하며, B 소속의 사용자 2 및 사용자 5는 서브 스크린 1, 2, 및 4를 공통으로 선택하며, C 소속의 사용자 4는 서브 스크린 1 및 서브 스크린 5를 선택한다.Referring to FIG. 7, user 1 and user 3 belonging to A commonly select sub screen 3 and sub screen 4, user 2 and user 5 belonging to group B commonly select sub screens 1, 2, and 4 , The user 4 belonging to C selects the sub screen 1 and the sub screen 5.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디폴트 태스크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120)는 각각의 서브 스크린을 선택한 사용자의 소속 및 직무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가 검출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A 소속인 경우, 제어부(120)는 A 소속의 사용자들이 공통으로 선택한 서브 스크린 3 및 서브 스크린 4를 이용하여 디폴트 태스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2, if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s not detected in the database 110, the control unit 120 may output the default task information. At this time, You can consider the affiliation and job of the user who selected the subscreen. For example, if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user information is not detected and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belongs to the A,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sub screen 3 and the sub screen 3, 4 can be used to generate default task information.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A 소속의 사용자에게는 진료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고, B 소속의 사용자에게는 일부 처방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며, C 소속의 사용자에게는 환자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된다.Referring again to FIG. 7, the user belonging to A is permitted to edit the contents on the sub-screen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and the user belonging to the B is permitted to edit contents on the sub-screen corresponding to some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belonging to the C is allowed to edit contents on the sub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information.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소속 및 직무를 고려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when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12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is recognized, , The control unit 120 may consider the user's position and job.

예를 들어, 사용자 1이 서브 스크린 1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1이 A 소속인 점을 고려하여 환자 정보 1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 1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며, 사용자 1의 서브 스크린 1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1 inputs a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for the sub screen 1, the control unit 120 judges whether or not the user 1 belongs to the A content editing mode for the sub screen 1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information 1 It is determined that the right is not recognized, and the content editing mode for the sub screen 1 of the user 1 can be deactivated.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1이 서브 스크린 4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1이 A 소속인 점을 고려하여 진료 정보 2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 3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된다고 판단하며, 사용자 1의 서브 스크린 3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1 inputs a request for activating the content editing mode for the sub screen 4,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user 1 belongs to the sub-screen 4, It is determined that the editing right is permitted, and the content editing mode for the sub screen 3 of the user 1 can be activa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110).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 1의 ID, 직급, 소속 등의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controller 120 of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user information (S11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the ID of the user 1, rank, position, and the like.

이어서, 제어부(120)는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태스크 정보를 검출하며, 단말 장치(20)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검출된 태스크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스크린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 장치에 태스크 정보를 출력한다(S120).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사용자 1의 태스크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태스크 정보에 포함되는 서브 스크린 1, 3, 4, 및 5의 크기를 단말 장치(20)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detects the task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110 and changes the size of one or more sub screens included in the detected task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solu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 And outputs the task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S12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detects the task information of the user 1 in the database 110 and stores the sizes of the sub screens 1, 3, 4, and 5 included in the detected task information in the resolu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20 And output it to the display device.

제어부(120)는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고(S130),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S130),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is recognized (S140).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서브 스크린 3의 콘텐츠(contents)가 표시된 영역 또는 서브 스크린 3의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빈(blank)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1에게 서브 스크린 3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area where the contents of the sub screen 3 are displayed or the blank area where the contents of the sub screen 3 are not displayed, and informs the user 1 of the sub screen 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ntent editing authority for the content is recognized.

또는, 제어부(120)는 서브 스크린 2의 콘텐츠(contents)가 표시된 영역 또는 서브 스크린 2의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빈(blank)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1에게 서브 스크린 2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region where the contents of the sub screen 2 are displayed or a blank region where the contents of the sub screen 2 are not displayed,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content editing right is recognized.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한다(S151).If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120 activates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screen (S151).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 1의 서브 스크린 3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서브 스크린 3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여, 표시 장치를 통해 출력된 제3 서브 스크린(Sub 3)의 콘텐츠(contents)가 표시된 영역 또는 콘텐츠(contents)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소정 영역을 가리키는 커서 인디케이터(2)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서브 스크린 3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여, 표시 장치에 서브 스크린 3의 콘텐츠 편집 팝업창을 출력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3 of the user 1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120 activates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screen 3 to display the third sub screen (Sub 3) output through the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cursor indicator 2 that indicates the area of the content of the content or the predetermined area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contents are displayed.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20 may activate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screen 3 to output the content edit pop-up window of the sub screen 3 to the display device.

이어서,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콘텐츠 편집 입력에 따라 콘텐츠 편집을 수행한다(S160). 예를 들어, 사용자 1은 서브 스크린 3 내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20 performs content editing according to the content editing input according to the user input (S160). For example, user 1 may add, change, or delete the content displayed within subscreen 3.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비활성화한다(S153).If the content editing authority for the subscreen is not recognized, the control unit 120 deactivates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screen (S153).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 1의 서브 스크린 2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서브 스크린 2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 1은 서브 스크린 2 내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추가, 변경, 및 삭제할 수 없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deactivate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screen 2 when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2 of the user 1 is not recognized. That is, the user 1 can not add, change, or delete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sub screen 2.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language (e.g., etc.) in this inven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in detail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alterations may be made depending on design criteria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range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claims Category.

100: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110: 데이터베이스
120: 제어부
20: 단말 장치
100: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Database
120:
20:

Claims (15)

복수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고, 단말기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태스크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스크린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 장치에 상기 태스크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소속 및/또는 직무가 동일한 다른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서브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폴트 태스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디폴트 태스크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의 소속 및/또는 직무 필드 항목을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A database for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user information and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putted us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and changing the size of one or more sub screens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solution of the terminal and outputting the task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ther user information having the same affiliation and / or job as the inputted user information is used as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user information, And outputs the default task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request for activating the content editing mode, and refers to the affiliation and / or the job field item of the us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is recognized And activates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screen when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is recogniz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은 상기 서브 스크린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is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area of the sub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 영역은 콘텐츠가 표시된 영역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ne area is an area in which contents are display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 영역은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ne area is an area in which contents are not display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 영역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activates a content editing mode for the one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일 영역과 무관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activates a content editing mode for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 screen,
Wherein the predetermined area is independent of the one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팝업창을 출력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ent editing popup window of the sub screen to th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정보 또는 상기 디폴트 태스크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 스크린은 각각 환자 정보, 진료 정보, 및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ubscreen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or the default task information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patient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prescrip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activates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screen when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is not recognized.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소속 및/또는 직무가 동일한 다른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태스크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서브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폴트 태스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기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태스크 정보 또는 상기 디폴트 태스크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스크린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 장치에 상기 태스크 정보 또는 상기 디폴트 태스크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의 소속 및/또는 직무 필드 항목을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에 대응하는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Receiving user information;
Detecting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n a database;
If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s not detected in the database, default task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sub-screens using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ther user information having the same affiliation and / ;
Changing the size of one or more sub-screens included in the task information or the default task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solution of the terminal, and outputting the task information or the default task information to a display device;
Receiving a content edit mode activation request;
Determining whether or not content editing authority for the sub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editing mode activation request is recognized by referring to the affiliation and / or the job field item of the us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And
And activating a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screen when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 screen is recogniz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편집 모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스크린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일 영역 또는 상기 일 영역과 무관한 소정 영역에 대한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인,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eceiving of the content edit mode activation request comprises: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region of the sub-screen,
Wherein activating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And activating a content editing mode for the one area or a predetermined area not related to the one are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팝업창을 출력하는 단계인,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ctivating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
And outputting a content editing pop-up window of the sub screen to the displa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 편집 권한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스크린의 콘텐츠 편집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deactivating the content editing mode of the subscreen if the content editing right for the subscreen is not recognized.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1항 내지 제14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for executing a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1 to 14 using a computer.
KR1020160070993A 2016-06-08 2016-06-08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7699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993A KR101769948B1 (en) 2016-06-08 2016-06-08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CT/KR2017/005947 WO2017213431A1 (en) 2016-06-08 2017-06-08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993A KR101769948B1 (en) 2016-06-08 2016-06-08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948B1 true KR101769948B1 (en) 2017-08-21

Family

ID=5975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993A KR101769948B1 (en) 2016-06-08 2016-06-08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94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0542A (en) * 2009-01-06 2010-07-22 Nec Corp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0542A (en) * 2009-01-06 2010-07-22 Nec Corp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2867A1 (en) Event listening integration in a collaborative electronic information system
KR102061363B1 (en) Docking and undocking dynamic navigation bar for expanded communication service
US8448093B2 (en) Hierarchical organization chart for mobile applications
US8767019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specifying a processing operation
US8875051B2 (en) Dynamic navigation bar for expanded communication service
KR101634834B1 (en) Providing selected data through a locked display
US20140157142A1 (en) Method for selecting a data set from a plurality of data sets by means of an input device
US20150012815A1 (en) Optimization schemes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s through gesture or touch
US9395906B2 (en) Graphic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objects
US20150177920A1 (en) Displaying an application in a window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environment on a computer system
JP2020067977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11169652B2 (en) GUI configuration
US20150212700A1 (en) Dashboard with panoramic display of ordered content
US20240004518A1 (en) System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 mobile device for an issue tracking system event feed
KR101769948B1 (en)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1829573B2 (en) Dynamic user interface pagination operation
KR101730615B1 (en)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726639B2 (en) Stowing and unstowing browser tabs in groups each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subject
KR101835843B1 (en)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730616B1 (en)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835844B1 (en)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9003696A (en) Display control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management apparatus, and program
KR101737070B1 (en)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50212716A1 (en) Dashboard with selectable workspace representations
US20240111939A1 (en) Multi-parameter, rule-based user experience variants in cloud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