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741B1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ris through pupil detec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ris through pupil de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741B1
KR101769741B1 KR1020160122958A KR20160122958A KR101769741B1 KR 101769741 B1 KR101769741 B1 KR 101769741B1 KR 1020160122958 A KR1020160122958 A KR 1020160122958A KR 20160122958 A KR20160122958 A KR 20160122958A KR 101769741 B1 KR101769741 B1 KR 101769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ris
unit
region
pup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9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우택
견민수
신현철
이민정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캔버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캔버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6012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7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G06K9/00604
    • G06K9/38
    • G06K9/62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8Quantising the image, e.g. histogram thresholding for discrimination between background and foreground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1Comparing pixel values or logical combinations thereof, or feature values having positional relevance, e.g. template m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 device to recognize an iris through pupil detection capable of improving accuracy of extracting an iris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to recognize the iris comprises: an image conversion unit converting an original image of a subject being photographed obtained by an image capturing part into a grayscale image; an image binarization unit performing binarization with respect to the image converted into the grayscale; a pixel grouping unit having a same pixel value in the binary image, classifying an interconnected region into a same group; a pupil detection unit determining a region where a physical value belongs within a reference range among the regions grouped by the pixel grouping unit as a pupil region; and an iris image extraction unit specifying an iris region on an original image based on a location of the pupil region.

Description

동공 탐지를 통한 홍채 인식 방법 및 홍채 인식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RIS THROUGH PUPIL DETEC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is recognition method and an iris recognition method,

본 발명은 동공 탐지를 통한 홍채 인식 방법 및 홍채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획득된 이미지에서 동공을 탐지해내고, 탐지된 동공의 영역을 기준으로 홍채 이미지를 추출해냄으로써, 정확하고 일정한 홍채 이미지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is recognition method and an iris recognition method using pupil det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ris recognition method and an iris recognition method using pupil det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iris image acquisition.

전통적인 개인 식별 방법으로 암호 인증 방법, 식별번호 인증 방법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도용 및 분실의 위험 등에 노출되기가 쉽기 때문에, 최근에는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성이 높은 개인 식별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since these methods are easily exposed to the risk of theft or loss, recently, a more stable and accurate personal identification method has been required.

상기와 같은 전통적인 개인 식별 방법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체 인식 및 인증 방법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에는 지문, 얼굴, 홍채 등의 생체 정보가 활용된다.Biometrics and authentica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raditional personal identification methods such as fingerprint, face, and iris.

특히, 홍채 인증 방식은 개인 식별에 있어서 유일성, 불변성, 안정성 측면에서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particular, the iris authentication method is known to be the most excellent in terms of uniqueness, invariance, and stability in personal identification, and is being applied to fields requiring high security.

홍채 인증은 피촬영자의 홍채 이미지를 추출하여 기 등록된 홍채 이미지와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피촬영자에 대한 촬영 이미지에서 피촬영자의 눈에 해당하는 영역을 감지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오픈소스인 OpenCV 등의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The iris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process of extracting an iris image of a subject and comparing the iris image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iris image. In order to do th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ye of the photographee should be detected in a photographed image of the photographee. Generally, an algorithm such as OpenCV, which is an open source, is utilized.

OpenCV는 피촬영자의 이미지에서 특징이 되는 영역, 홍채 인식 및 인증에 있어서는 눈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해내는 알고리즘인데, 이러한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높은 확률로 눈의 영역을 검출해낼 수는 있지만 정확한 눈 이미지의 획득이 보장되지 않고, 전체 이미지에서 눈 이미지만을 추출해낸 후 홍채 이미지를 추출해내는 경우 홍채 인식에 필요한 홍채 이미지의 일부가 잘리거나 이미지의 크기가 일정하게 획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OpenCV is an algorithm that detects feature regions in the image of a photographer and iris recognition and authentication. It can detect the eye region with high probability by using such an algorithm,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art of iris image necessary for iris recognition is cut off or the size of the image is not constantly acquired when extracting the iris image after extracting only the eye image from the whole image.

따라서, 홍채 인식 및 인증을 위해 균일한 크기의 홍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obtaining iris images of uniform size for iris recognition and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홍채 인식 시 항상 일정한 홍채 이미지가 획득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ways obtain a constant iris image at the time of iris recogni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람마다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특징을 이용하여 홍채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홍채 이미지 추출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iris image extraction by acquiring an iris image using features that do not vary greatly from person to pers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피촬영자의 원본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 유닛; 그레이스케일로 변환된 이미지에 대해 이진화를 수행하는 이미지 이진화 유닛; 이진화된 이미지 내에서 동일한 픽셀값을 가지며 상호 연결된 영역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픽셀 그룹화 유닛; 상기 픽셀 그룹화 유닛에 의해 그룹화된 영역들 중 물리적인 수치가 기준 범위 내에 속하는 영역을 동공 영역으로 결정하는 동공 탐지 유닛; 및 상기 동공 영역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원본 이미지 상에서 홍채 영역을 특정하는 홍채 이미지 추출 유닛을 포함하는, 홍채 인식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n image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an original image of a person to be imaged acquired by an image photographing unit into gray scale; An image binarization unit for binarizing the image converted to gray scale; A pixel grouping unit having the same pixel value in the binarized image and classifying the interconnected areas into the same group; A pupil detection unit which determines a pupil region in which a physical value among the regions grouped by the pixel grouping unit falls within a reference range; And an iris image extracting unit for specifying an iris region on the original ima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upil region.

상기 이미지 변환 유닛은, 그레이스케일로 변환된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The image conversion unit may further perform an operation of reducing the size of the image converted to gray scale.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하는 동작은, 상기 그레이스케일로 변환된 이미지를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별 픽셀값의 평균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reducing the size of the image may be performed by dividing the image converted into the gray scale into a plurality of blocks and generating an image composed of an average of pixel values of each block.

상기 이진화는, 상기 그레이스케일로 변환된 이미지 내에서 기준값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지점을 "1",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픽셀값을 가지는 지점을 "0"으로 표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The binarization can be performed by expressing a point having a pixel value equal to or larger than a reference value in the grayscale-converted image as "1 ", and a point having a pixel value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as" 0 ".

상기 픽셀 그룹화 유닛은, 8방향 재귀적 플러드 필 알고리즘을 통해 각 영역들에 대한 그룹화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ixel grouping unit may perform grouping for each of the regions through an 8-way recursive flood fill algorithm.

상기 물리적인 수치는, 상기 그룹화된 영역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 간의 비, 넓이, 무게 중심으로부터 영역의 최외곽 픽셀들까지의 거리들 간 표준편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physical value may be at least one of a width, a vertical length, a ratio between a horizontal length and a vertical length of the grouped area, and a standard deviation between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outermost pixels of the area.

상기 동공 탐지 유닛은, 상기 그룹화된 영역들 중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 간의 비가 제1 기준값 이하이며, 무게 중심으로부터 최외곽 픽셀들까지의 거리들 간 표준편차가 제2 기준값 이하인 영역을 동공 영역으로 감지할 수 있다. Wherein the pupil detection unit detects an area where a ratio between a horizontal length and a vertical length of the grouped areas is equal to or less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and a standard deviation between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outermost pixels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as a pupil area can do.

상기 홍채 이미지 추출 유닛은, 상기 원본 이미지 상에서의 동공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픽셀값을 측정하고, 상기 동공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픽셀값 변화가 임계값 이상을 나타내는 지점을 홍채 이미지의 경계 영역으로 특정할 수 있다. The iris image extracting unit measures a pixel value of pixel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centered on a pupil area on the original image and calculates a point at which a pixel value change in a direction toward the pupil area indicates a threshold value or more, As shown in FIG.

상기 홍채 이미지 추출 유닛은, 상기 원본 이미지 상에서 상기 경계 영역 사이의 이미지를 홍채 이미지로서 추출할 수 있다. The iris image extracting unit may extract an image between the boundary regions on the original image as an iris imag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촬영자의 원본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로 변환하는 단계; 그레이스케일로 변환된 이미지에 대해 이진화를 수행하는 단계; 이진화된 이미지 내에서 동일한 픽셀값을 가지며 상호 연결된 영역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그룹화된 영역들 중 물리적인 수치가 기준 범위 내에 속하는 영역을 동공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공 영역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원본 이미지 상에서 홍채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채 인식 방법이 제공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verting an original image of a photographee into a grayscale; Performing binarization on the grayscale-converted image; Classifying interconnected regions having the same pixel value in the binarized image into the same group; Determining a region of the grouped regions to be within a reference range as a pupil region; And specifying an iris region on the original ima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upil region.

본 발명에 따르면, 피촬영자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일정한 특징점을 갖는 영역, 즉, 동공 영역을 기준으로 홍채 이미지를 추출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홍채 이미지를 획득해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ris image is extracted based on an area having a predetermined feature point, that is, a pupil area, in an image taken by a photographer, so that a constant iris image can always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해 사람마다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동공 영역을 감지해내고, 이를 통해 홍채 이미지를 추출해내기 때문에, 어떠한 사용자가 홍채 인식을 시도하더라도 동공 영역에 대한 감지 및 이를 통한 정확한 홍채 이미지의 추출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upil region that does not show a large difference for each person compared to other body regions is detected, and an iris image is extracted through the pupil region. Therefore, even if a user attempts iris recogni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an accurate iris image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 장치가 장착되는 전자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홍채 인식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부의 동작 시 활용 또는 생성되는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공 탐지를 통한 홍채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각 단계에서 활용 또는 생성되는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apparatus to which an iris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2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n iris recognition unit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9 show an example of an image utilized or generated in operation of the iris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ris recognition process using pupil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shows an example of an image utilized or generated in each step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 장치가 장착되는 전자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apparatus to which an iris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이미지 촬영부(100), 홍채 인식부(200),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capturing unit 100, an iris recognition unit 200, and a display unit 300.

이미지 촬영부(100)는 전자기기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피촬영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부(100)는 홍채 인식을 위해 적외선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부(200)는 이미지 촬영부(100)에 의해 획득된 피촬영자의 이미지에서 동공을 탐지하고, 동공 탐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홍채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이미지 촬영부(100)에 의해 촬영될 이미지를 미리 표시하는 기능, 홍채 인식 및 인증 처리 과정을 표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The image capturing unit 100 is formed in a partial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performs a function of acquiring an image of a person to be photographed. The image captur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infrared rays for iris recognition. The iris recognition unit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etects a pupil in an image of a person to be imaged acqui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00 and extracts an iris image based on a pupil detection result. The display unit 300 performs a function of previously displaying an image to be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100, a function of displaying iris recognition and authentication processing,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이미지 촬영부(100)에 의해 획득된 피촬영자의 이미지를 기초로 홍채 인식부(200)가 동공을 탐지하고 홍채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pupil and acquiring the iris image based on the image of the person to be imaged acqui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홍채 인식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n iris recognition unit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부(200)는 이미지 변환 유닛(210), 이미지 이진화 유닛(220), 픽셀 그룹화 유닛(230), 동공 탐지 유닛(240), 홍채 이미지 추출 유닛(250)을 포함한다. 2, an iris recognition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conversion unit 210, an image binarization unit 220, a pixel grouping unit 230, a pupil detection unit 240, (2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변환 유닛(210), 이미지 이진화 유닛(220), 픽셀 그룹화 유닛(230), 동공 탐지 유닛(240), 홍채 이미지 추출 유닛(250)은 전자기기에 내장 또는 설치되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전자기기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n image binarization unit 220, a pixel grouping unit 230, a pupil detection unit 240 and an iris image extraction unit 250 are embedded in an electronic device, Program modules or hardware to be installed. Such a program module or hardware may be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or other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it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module,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on various known memory devices. Such program modules or hardware, on the other hand, encompass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tasks or implement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부(200)는 이미지 촬영부(100)에 의해 촬영된 피촬영자의 이미지를 전달받는다. The iris recognition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the image of the photographee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100.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유닛(210)은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이미지 촬영부(100)에 의해 획득된 피촬영자의 적외선 촬영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Grayscale) 이미지로 변환한다.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은 널리 알려진 다양한 변환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적외선 촬영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적색값(R), 녹색값(G), 청색값(B)을 3으로 나눈 값을 기초로 이미지를 재구성함으로써 그레이스케일로 변환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의 (a) 및 (b)는 그레이스케일로 변환된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The image conversion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verts the infrared photographing image of the to-be-photographed person obtain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100 mounted on the electronic apparatus into a grayscale image. The process of converting to a grayscale image can be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various well-known conversion schemes. As an example, an image converted to grayscale can be obtained by reconstructing an image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 red value (R), a green value (G), and a blue value (B) extracted from an infrared radiographic image by three, But is not limited thereto. 3 (a) and 3 (b) show an example of an image converted to gray scale.

이미지 변환 유닛(210)은 이미지 촬영부(100)에 의해 촬영된 원본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로 변환한 후, 이미지 크기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로 변환 완료된 이미지를 일정 크기(예를들면, 4×4 픽셀)를 갖는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각 블록별로 해당 블록을 구성하는 픽셀들의 픽셀값 평균을 구한다. 그 후, 각 블록별 픽셀값의 평균들로 이루어지는 이미지를 획득해낸다. 즉, 여기서 획득되는 이미지의 각 픽셀값은 각 블록별 픽셀값의 평균이 된다. 이에 따라, 각 블록이 하나의 픽셀로 변환되어 재구성된 이미지가 획득된다. 도 4의 (a) 및 (b)는 상기의 과정을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즉, 각 블록별 픽셀 평균값들로 구성된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각 블록의 크기를 4×4 픽셀로 정의한다면, 전체 이미지의 크기는 1/4로 감소하게 되는데, 이미지 크기 감소에 따라 이후 단계에서의 이미지 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과정은 이미지에 대한 블러링(blurring) 처리 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유입될 수 있는 노이즈의 제거 효과도 얻을 수 있다.The image converting unit 210 converts the original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00 into a grayscale image, and then reduces the image siz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image that has been converted into a gray scale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4x4 pixels), and then pixel values The average is obtained. Then, an image composed of averages of pixel values for each block is obtained. That is, each pixel value of an image obtained here is an average of pixel values of each block. Thus, each block is converted into one pixel to obtain a reconstructed image. 4 (a) and 4 (b) show an example of an image composed of images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at is, pixel average values for each block. If the size of each block is defined as 4.times.4 pixels, the size of the entire image is reduced to 1/4, and the time required for image processing at a later stage may be reduced as the size of the image decreases. 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similar to the blurring process for an imag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moving noise that may be introduc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or the like.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이진화 유닛(220)은 이미지 변환 유닛(21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를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으로 나누어 이진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진화의 기준이 되는 값은 이미지 전체의 픽셀값 평균에 양의 유리수를 곱한 값으로 특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의 유리수는 바람직하게는 1 또는 0.5 등으로 특정될 수 있다. 기준값 이상의 픽셀값을 갖는 지점은 "1", 즉, "백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이진화 기준값보다 낮은 픽셀값을 갖는 지점은 "0" 또는 "흑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으로 이진화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으며, 도 5의 (a) 및 (b)는 이러한 과정에 따라 이진화된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The image binariza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performs an operation of binarizing the image processed by the image transform unit 210 into a dark region and a bright region. The binarization reference value can be specified by multiplying the pixel value average of the entire image by a positive rational number. Here, the positive number of the positive number is preferably 1 or 0.5. A point having a pixel valu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may be represented by "1 ", i.e.," white ", and a point having a pixel value lower than the binarization reference value may be represented by "0" Accordingly, an image binarized into a dark region and a bright region can be obtained, and FIGS. 5A and 5B show an example of a binarized image according to this process.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그룹화 유닛(230)은 이미지 이진화 유닛(200)에 의해 이진화되어 표현된 이미지에 존재하는 어두운 영역들을 그룹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룹화에는 플러드 필(Flood Fill)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The pixel grouping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performs operations of grouping the dark regions present in the rendered image by binarization by the image binarization unit 200. [ Flood Fill algorithms may be used for grouping,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플러드 필 알고리즘은 다차원 배열에서 지정된 위치와 연결된 부분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다. 플러드 필 알고리즘으로서는 대표적으로 4방향 재귀적 플러드 필 알고리즘과 8방향 재귀적 플러드 필 알고리즘이 존재하는데, 도 6은 각 플러드 필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The flood fill algorithm is an algorithm that determines the part of a multidimensional array that is connected to a specified location. The four-way recursive flood fill algorithm and the eight-way recursive flood fill algorithm are typically used as the flood fill algorithm.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each flood fill algorithm.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여, 4방향 재귀적 플러드 필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번 영역을 지정하는 경우, 4방향 재귀적 플러드 필 알고리즘에 따르면, 상, 하, 좌, 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동일한 픽셀값을 가지는 영역이 존재한다면, 이를 상호 연결된 영역으로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①번 영역과 ②번 영역, ①번 영역과 ③번 영역은 동일한 픽셀값을 갖더라도 상, 하, 좌, 우 중 어느 방향으로도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각각이 서로 다른 영역으로 결정된다.First, referring to FIG. 6 (a), a four-direction recursive flood fill algorithm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of designating the area (1), according to the 4-way recursive flood fill algorithm, if an area having the same pixel value exists in any one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determined as an interconnected area. Therefore, even though the areas (1) and (2), and the areas (1) and (3) have the same pixel value, they are not connected to any on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s. .

다음으로, 도 6의 (b)를 참조하여, 8방향 재귀적 플러드 필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예와 동일하게 ①번 영역을 지정하는 경우, 8방향 재귀적 플러드 필 알고리즘에 따르면, 상, 하, 좌, 우, 좌상, 좌하, 우하, 우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동일한 픽셀값을 가지는 영역이 존재한다면, 이를 상호 연결된 부분으로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①번 영역과 ②번 영역, ①번 영역과 ③번 영역은 동일한 픽셀값을 가지며, 좌상 방향 또는 우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①번 영역, ②번 영역, ③번 영역은 상호 연결된 영역으로 결정되게 된다. Next, an 8-way recursive flood fill algorith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b). In the case of designating the region (1) in the same way as the above example, according to the 8-way recursive flood fill algorithm, a pixel having the same pixel value in any one of the upper, lower, left, right, upper left, lower left, right lower, If a region exists, it is determined as an interconnected portion. Therefore, since the (1) and (2) regions, (1) and (3) regions have the same pixel value and are connected in the upper left or lower right directions, the regions (1), .

이미지 이진화 유닛(22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에는 일정 부분 노이즈가 존재할 수도 있고, 실제 신체에서 하나의 부위로 연결된 부분이라 할지라도, 이진화된 이미지 상에서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The image processed by the image binarization unit 220 may have a certain portion of noise or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on the binarized image even if the portion is connected to one portion of the actual body.

일 실시예에서는 실제 신체에서 동일한 영역으로 분류되는 부분을 이진화된 이미지 상에서도 최대한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해, 동일한 픽셀값을 갖는 영역들이 상, 하, 좌, 우, 좌상, 좌하, 우하, 우상 방향 중 최소한 하나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그룹화 유닛(230)은 8방향 재귀적 플러드 필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이진화 이미지에 대해 그룹화를 수행한다. 도 7은 이진화 이미지를 기초로 그룹화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제 신체의 눈썹에 해당하는 영역은 2개의 그룹(B1, B2)으로 분리되며, 실제 신체의 동공에 해당하는 부분은 하나의 그룹(P)으로 결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n order to classify the portions classified into the same region in the actual body into at most one group even on the binarized image, regions having the same pixel values are classified into upper, lower, left, right, upper left, lower left, lower right, If they are connected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y are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That is, the pixel grouping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performs grouping on the binarized image using an 8-direction recursive flood fill algorithm. 7 shows the result of grouping based on the binarized image. 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yebrows of the actual body is divided into two groups (B1 and B2),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upil of the actual body is determined as one group (P).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공 탐지 유닛(240)은 픽셀 그룹화 유닛(23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를 기초로, 그룹화된 영역 각각의 수치를 측정한다. 측정되는 수치는 영역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 간의 비, 넓이, 무게 중심으로부터 영역의 최외곽 픽셀들까지의 거리들 간 표준편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pupil detection unit 2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easures the value of each of the grouped regions based on the image processed by the pixel grouping unit 230. [ The measured value may be at least one of a width, a length, a ratio between the width and the width, and a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outermost pixels of the area.

각 그룹화된 영역별 수치 측정 결과 그 수치값이 기 설정된 동공의 수치, 즉, 기준값과 동일 또는 유사한 범위 내에 있다면, 해당 영역을 동공으로 감지한다.If the numerical value of each grouped area is within the range of the preset pupil, that is, the reference value, the pupil is detected as the pupil.

예를 들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 간의 비가 1.8을 넘지 않고, 무게 중심으로부터 최외곽 픽셀들까지의 거리들 간 표준편차가 2.0이하로 측정된 영역을 동공으로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a region where the ratio between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does not exceed 1.8 and the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outermost pixels is 2.0 or less can be detected as a pupil.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이미지 추출 유닛(250)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 촬영부(100)에 의해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동공 탐지 유닛(240)에 의해 감지된 동공의 위치(P1)에 대응하는 영역을 최종적인 동공 영역(P2)으로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원본 이미지에서 홍채 이미지만을 추출해낸다.The iris image extracting uni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pil position P1 sensed by the pupil detection unit 240 in an original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100, Is recognized as a final pupil region (P2), and only the iris image is extracted from the original image based on the recognized pupil region (P2).

구체적으로, 도 9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본 이미지 상에서 동공 영역(P2)의 중심을 지나는 축으로서 X축을 정의하고, 상기 X축 상에 존재하는 각 픽셀의 픽셀값을 해당 지점의 Y축 값으로 표시하면, 도 9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그래프가 얻어진다. 홍채는 동공 영역 주변에 위치할 것이므로, 동공 영역을 중심으로 동공 영역 지름의 N배, 예를 들면, 5배에 해당하는 영역을 픽셀값 산출 대상 영역으로 특정하고, 해당 영역 내에서 상기 X축 상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픽셀값을 산출하면 족할 것이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A, an X-axis is defined as an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upil region P2 on the original image, and a pixel value of each pixel existing on the X- Y-axis value, a graph as shown in FIG. 9 (b) is obtained. Since the iris will b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upil region, a region corresponding to N times, for example, five times, the pupil region diameter around the pupil region is specified as the pixel value calculation target region, It is sufficient to calculate the pixel value of the pixels existing in the pixel.

홍채 이미지 추출 유닛(250)은 도 9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픽셀값 산출 대상 영역의 양단을 기점으로 동공 영역을 향해 픽셀값이 임계값, 예를 들면, 20 이상 떨어지는 지점을 홍채 이미지의 경계 지점으로 결정하고, 해당 경계 지점 사이의 영역(I)을 홍채 이미지로 판단한 후, 해당 이미지를 추출해낸다.9 (b), the iris image extracting unit 250 extracts a point at which the pixel value falls to a threshold value, for example, 20 or more toward the pupil region from both ends of the pixel value calculation target region as an origin, (I) between the boundary points is determined as an iris image, and then the corresponding image is extracted.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부(200)는 홍채 이미지 추출 유닛(250)에 의해 추출된 홍채 이미지를 기초로 홍채 인증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인증 동작은 전자기기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다른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The iris recogni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additionally perform iris authentication based on the iris image extracted by the iris image extraction unit 250, May be performed by a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촬영자를 촬영한 이미지에 있어서 일정한 특징점을 갖는 영역, 즉, 동공 영역을 기준으로 홍채 이미지를 추출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홍채 이미지를 획득해낼 수 있다. 또한, 동공 영역의 특징은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해 사람마다 크게 차이가 없기 때문에, 동공 영역 감지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홍채 이미지의 추출의 정확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ris image is extracted based on the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feature point, that is, the pupil region, in the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er, a constant iris image can always be obtained. Further,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pil regio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body regions, accuracy of pupil region detection can be improved, and accuracy of iris image extraction can be improv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공 탐지를 통한 홍채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1은 각 단계에서 사용되거나 획득되는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공 탐지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동작은 이미지 촬영부가 장착된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홍채 인식부(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ris recognition process using pupil det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mage used or acquired at each step. Hereinafter, a pupil dete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The operation described below can be performed by a program module or hardware embedded in an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an image pickup section. For example,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iris recognition section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

먼저, 전자기기에 장착되며 적외선 촬영 기능을 갖는 이미지 촬영부가 초기화된 후 촬영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S110). First, the image pickup unit mounted on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having the infrared ray photographing function is initialized and then set to a photographing standby state (S110).

그 후, 이미지 촬영부가 피촬영자의 얼굴을 적외선 촬영하여 도 11의 (a)와 같은 이미지를 획득한다(S120). Thereafter, the image capturing unit infrared-photographs the face of the person to be imaged to obtain an image as shown in FIG. 11 (a) (S120).

이미지 획득 후에는, 획득된 원본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로 변환하여, 도 11의 (b)와 같은 이미지를 획득한다(S130). 획득된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는 그 크기가 축소되고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로 재구성된다(S140). 크기 축소 및 노이즈 제거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를 일정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블록으로 나눈 후, 각 블록별로 해당 블록을 이루는 픽셀들의 픽셀값 평균을 구하고, 각 블록별 픽셀값의 평균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image acquisition, the acquired original image is converted into a grayscale image, and an image as shown in FIG. 11 (b) is obtained (S130). The obtained grayscale image is reconstructed into a reduced-size noise canceled image (S140). As described above, the size reduction process and the noise reduction process are performed by dividing the gray scale image into a plurality of block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obtaining the pixel value average of the pixels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block for each block, ≪ / RTI >

크기가 축소된 이미지가 생성되면, 각 픽셀을 "1"과 "0"으로 이진화하여 표현한다(S150). 이진화 과정은, 각 픽셀의 픽셀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 이상의 픽셀값을 보이는 픽셀은 "1"("백색"), 그렇지 않은 픽셀은 "0"("흑색")으로 표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의 (c)는 이진화 과정이 수행된 후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When the size-reduced image is generated, each pixel is binarized into "1" and "0" (S150). The binariz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by comparing the pixel value of each pixel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expressing the pixel showing the pixel valu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as "1" ("white") and the other pixel as "0" have. 11 (c) shows an image after the binariza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미지 이진화 후에는, 도 11의 (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픽셀값을 가지며 기 설정된 방향, 예를 들면, 상, 하, 좌, 우, 좌상, 좌하, 우하, 우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결된 영역들을 상호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60). After image binarization, as shown in FIG. 11 (d), at least one of the predetermined pixel values and the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up, down, left, right, upper left, lower left, lower right, (S160). In step S16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gions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그 후, 단계 S160에서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된 영역들 중 물리적인 수치상 동공의 특성과 유사도가 높은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Thereafter, in step S16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exists a region having a similarity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upil among the regions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S170).

만약, 동공의 특성과 유사도가 높은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S120 단계로 돌아가서, 재차 이미지 획득을 시도할 수 있다. If there is no area having similarity to the pupil's characteristic,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20 and an image acquisition may be attempted again.

반대로, 동공의 특성과 유사도가 높은 영역이 존재한다면, 해당 영역의 좌표를 토대로 도 11의 (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원본 이미지 상에서 동공 영역(P)을 감지해낸다(S180).On the contrary, if there is a region having a high similarity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pupil, the pupil region P is detected on the original image as shown in FIG. 11 (e)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region (S180).

원본 이미지 상에서 동공 영역(P)을 감지해냈다면, 해당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상기 동공 영역(P)을 향하는 방향으로 픽셀값 변화가 임계값 이상을 보이는 지점을 홍채 이미지의 경계 영역으로 특정한 후, 특정된 경계 영역 사이의 이미지를 홍채 이미지로서 추출해낸다(S190). If the pupil region P is sensed on the original image, the pixel value chang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upil region 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pixel value of pixels existing within a certain distance about the corresponding region After the point is specified as the boundary region of the iris image, the image between the specified boundary regions is extracted as the iris image (S19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미지 촬영부
200: 홍채 인식부
300: 디스플레이부
210: 이미지 변환 유닛
220: 이미지 이진화 유닛
230: 픽셀 그룹화 유닛
240: 동공 탐지 유닛
250: 홍채 이미지 추출 유닛
100: Image shooting unit
200: iris recognition unit
300:
210: image conversion unit
220: Image binarization unit
230: pixel grouping unit
240: pupil detection unit
250: iris image extracting unit

Claims (10)

이미지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피촬영자의 원본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를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한 뒤, 각 블록별 픽셀값 평균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를 생성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하는 이미지 변환 유닛;
상기 이미지 변환 유닛에 의해 축소된 이미지에 대해 이진화를 수행하는 이미지 이진화 유닛;
이진화된 이미지 내에서 동일한 픽셀값을 가지며 상호 연결된 영역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픽셀 그룹화 유닛;
상기 픽셀 그룹화 유닛에 의해 그룹화된 영역들 중 물리적인 수치가 기준 범위 내에 속하는 영역을 동공 영역으로 결정하는 동공 탐지 유닛; 및
상기 원본 이미지 상에서의 동공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픽셀값을 측정하고, 상기 동공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픽셀값 변화가 임계값 이상을 나타내는 지점을 홍채 이미지의 경계 영역으로 특정하여 홍채 영역을 특정하는 홍채 이미지 추출 유닛을 포함하는, 홍채 인식 장치.
An original image of a person to be photographed obtain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is converted into gray scale, the converted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an image composed of an average of pixel values of each block is generated, A conversion unit;
An image binarization unit for binarizing the image reduced by the image transform unit;
A pixel grouping unit having the same pixel value in the binarized image and classifying the interconnected areas into the same group;
A pupil detection unit which determines a pupil region in which a physical value among the regions grouped by the pixel grouping unit falls within a reference range; And
Measuring a pixel value of pixel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a pupil region on the original image and specifying a point at which a pixel value change in a direction toward the pupil region indicates a threshold value or more as a boundary region of the iris image, And an iris image extracting unit for specifying an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화는, 상기 그레이스케일로 변환된 이미지 내에서 기준값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지점을 "1",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픽셀값을 가지는 지점을 "0"으로 표현함으로써 수행되는, 홍채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narization is performed by expressing a point having a pixel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s "1" in an image converted to the gray scale, and a point having a pixel value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as "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그룹화 유닛은, 8방향 재귀적 플러드 필 알고리즘을 통해 각 영역들에 대한 그룹화를 수행하는, 홍채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xel grouping unit performs grouping for each of the regions through an 8-way recursive flood fill algorith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인 수치는, 상기 그룹화된 영역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 간의 비, 넓이, 무게 중심으로부터 영역의 최외곽 픽셀들까지의 거리들 간 표준편차 중 적어도 하나인, 홍채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ysical value is at least one of a width, a vertical length, a ratio between a width and a width of the grouped area, and a standard deviation between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outermost pixels of the area, iris recognit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공 탐지 유닛은, 상기 그룹화된 영역들 중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 간의 비가 제1 기준값 이하이며, 무게 중심으로부터 최외곽 픽셀들까지의 거리들 간 표준편차가 제2 기준값 이하인 영역을 동공 영역으로 감지하는, 홍채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upil detection unit detects an area where a ratio between a horizontal length and a vertical length of the grouped areas is equal to or less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and a standard deviation between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outermost pixels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as a pupil area Iris recognition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이미지 추출 유닛은, 상기 원본 이미지 상에서 상기 경계 영역 사이의 이미지를 홍채 이미지로서 추출하는, 홍채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ris image extracting unit extracts an image between the boundary areas on the original image as an iris image.
피촬영자의 원본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를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한 뒤, 각 블록별 픽셀값 평균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를 생성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하는 단계;
크기가 축소된 이미지에 대해 이진화를 수행하는 단계;
이진화된 이미지 내에서 동일한 픽셀값을 가지며 상호 연결된 영역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그룹화된 영역들 중 물리적인 수치가 기준 범위 내에 속하는 영역을 동공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원본 이미지 상에서의 동공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픽셀값을 측정하고, 상기 동공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픽셀값 변화가 임계값 이상을 나타내는 지점을 홍채 이미지의 경계 영역으로 특정하여 홍채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채 인식 방법.
Converting an original image of a person to be photographed into grayscale, dividing the converted image into a plurality of blocks, and reducing an image size by generating an image composed of pixel value averages for each block;
Performing binarization on the reduced-size image;
Classifying interconnected regions having the same pixel value in the binarized image into the same group;
Determining a region of the grouped regions to be within a reference range as a pupil region; And
Measuring a pixel value of pixel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a pupil region on the original image and specifying a point at which a pixel value change in a direction toward the pupil region indicates a threshold value or more as a boundary region of the iris image, And identifying a region of interest.
KR1020160122958A 2016-09-26 2016-09-26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ris through pupil detection KR1017697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958A KR101769741B1 (en) 2016-09-26 2016-09-26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ris through pupil de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958A KR101769741B1 (en) 2016-09-26 2016-09-26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ris through pupil det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741B1 true KR101769741B1 (en) 2017-08-21

Family

ID=5975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958A KR101769741B1 (en) 2016-09-26 2016-09-26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ris through pupil det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74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633A (en) * 2018-01-23 2019-07-31 (주)파트론 Apparatus for determinating iris
KR20190089632A (en) * 2018-01-23 2019-07-31 (주)파트론 Apparatus for determinating pupil
KR20200114531A (en) * 2019-03-29 2020-10-07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to virtual wearing for lenses
CN111832344A (en) * 2019-04-17 2020-10-27 深圳熙卓科技有限公司 Dynamic pupil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617B1 (en) * 2015-11-05 2016-03-07 주식회사 센텍 Method for detecting human in image fr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617B1 (en) * 2015-11-05 2016-03-07 주식회사 센텍 Method for detecting human in image fram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633A (en) * 2018-01-23 2019-07-31 (주)파트론 Apparatus for determinating iris
KR20190089632A (en) * 2018-01-23 2019-07-31 (주)파트론 Apparatus for determinating pupil
WO2019146906A1 (en) * 2018-01-23 2019-08-01 주식회사 파트론 Pupil recognition apparatus
WO2019146907A1 (en) * 2018-01-23 2019-08-01 주식회사 파트론 Iris recognition apparatus
KR102037781B1 (en) * 2018-01-23 2019-10-29 (주)파트론 Apparatus for determinating iris
KR102037779B1 (en) * 2018-01-23 2019-10-29 (주)파트론 Apparatus for determinating pupil
KR20200114531A (en) * 2019-03-29 2020-10-07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to virtual wearing for lenses
KR102214411B1 (en) * 2019-03-29 2021-02-09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to virtual wearing for lenses
CN111832344A (en) * 2019-04-17 2020-10-27 深圳熙卓科技有限公司 Dynamic pupil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111832344B (en) * 2019-04-17 2023-10-24 深圳熙卓科技有限公司 Dynamic pupil detection method an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515B1 (en) Method of object recognition in image data using combined edge magnitude and edge direction analysis techniques
US10679358B2 (en) Learning image automatic sorting device, learning image automatic sorting method, and learning image automatic sorting program
KR1017697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ris through pupil detection
JP4533836B2 (en) Fluctuating reg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5106356B2 (en) Image monitoring device
US114908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water content of skin by means of skin image
KR20190089387A (en) Liveness test method and apparatus
US20080292192A1 (en) Huma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of the same
KR101632912B1 (en)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US10891479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iris recognition
US963328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identifying object in image
KR100824757B1 (en) Gait recognition method
Johnson et al. Fingerprint pore characteristics for liveness detection
US20200211171A1 (en) Adhered substance detection apparatus
CN111476074A (en) Human body foreign matter detection method based on millimeter wave image
CN107145820B (en) Binocular positioning method based on HOG characteristics and FAST algorithm
US10990817B2 (en) Method of detecting fraud during iris recognition
JP6772059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s, electronic control systems and electronic control methods
KR20140089277A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based on finger vein using SIFT keypoint
JP466131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Hadiprakoso Face anti-spoofing method with blinking eye and hsv texture analysis
KR1017670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finger vein image based on fuzzy inference
JP5754931B2 (en) Image analysis apparatus, image analysis method, and program
JP2007060468A (en) Image sensor
TWI589468B (en) Pedestrian detec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