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535B1 -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535B1
KR101768535B1 KR1020160015874A KR20160015874A KR101768535B1 KR 101768535 B1 KR101768535 B1 KR 101768535B1 KR 1020160015874 A KR1020160015874 A KR 1020160015874A KR 20160015874 A KR20160015874 A KR 20160015874A KR 101768535 B1 KR101768535 B1 KR 101768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ime
attendance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상연
정유영
정희진
최영규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5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5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5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 beac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The beacon is arranged in a place where silence is required to transmit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place where silence is requir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beacon to be automatically set to a manner mode and transmit a corresponding number, us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to obtain horizontal location information of a current location and apply a moving speed to a moving route to a pre-stored lecture room to obtain an expected arrival time to the lecture room, and sets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arrival time and a pre-stored lecture start time as a lateness prediction time to display a lateness prediction warning if the expected arrival time is later than the lecture start time.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corresponding number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mpare the corresponding number with pre-stored attendance book data to check an attendance situation including lateness.

Description

출석관리 시스템{Attendance Management System}[Attendan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출석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각방지, 자동매너모드, 및 출석체크가 가능한 출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More particularly, to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tardiness, an automatic manners mode, and attendance checking.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달로 이동통신수단이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수단의 사용에 있어서 정숙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도 벨소리가 울리는 경우 주변 사람들을 방해하여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mobile communication means are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fe. In the case of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quietness is required, a ringing tone may disturb people nearby and cause discomfort.

특히, 학교, 법정 등의 장소에서는 이동통신수단의 사용이 제한되며 사회생활의 매너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수업시간의 벨소리로 인한 수업흐름 방해, 지각으로 인한 수업 방해, 법정의 증거조사 중의 벨소리로 인한 재판진행방해 등 당연히 지켜지리라고 생각하는 것들이 지켜지지 않는 모습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means is limited in places such as schools and courts, and is demanded as manners of social life. However, it is not uncommon for students to observe that the classroom is disturbed by the ringing of the classroom hours, the class disturbance due to the perception, the interference with the trial due to the ringing during the investigation of the evidence of the court, and so on.

또한 학교, 법정 등의 장소는 이동통신수단 뿐만 아니라 소음을 야기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출석체크 등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도움없이 수업 주재자의 호명에 따라 수강생이 응답하거나, 수기로 출석부에 출석여부를 기재하는 방식으로 출석체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호명식 출석체크나, 출석부 기재의 경우, 출석체크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대리출석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places such as schools and courts have limited use of electronic devices that can cause noise as well as mobile communication means. Therefore, the attendance check i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attendee responds according to the name of the host of the class without help of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attendance check or the attendance is recorded in the attendance part by han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check attendance and it is difficult to prevent substitute attendance in the case of check-in attendance check or registration of attendance part.

또한 대학교 수업의 경우, 하나의 강의실에서 수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강의실을 오가면서 수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학교의 규모가 큰 경우, 서로 이격된 강의실을 오가는 과정에서 강의실로의 이동시간을 정확하게 알기 어렵기 때문에 학기초에 지각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niversity classes, classes are not held in one classroom, but classes are held in various classrooms.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school is larg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know the moving time to the lecture room in the process of moving to and from the lecture room.

관련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33245호가 있다. Related reference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3324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각방지, 자동매너모드, 및 출석체크가 가능한 출석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tardiness, automatic silent mode, and attendance check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출석관리 시스템은 비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비콘은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에 배치되어 일정한 시간 단위로 상기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에 근거리 통신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비콘에서 발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매너모드로 자동설정되며 해당번호를 전송하고, 위성위치확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재위치의 수평위치정보를 구하고 기저장된 강의실까지의 이동경로에 이동속도를 적용하여 상기 강의실까지의 예상도착시간을 구하고, 상기 예상도착시간이 기저장된 강의시작시간보다 늦는 경우 상기 예상도착시간과 상기 강의시작시간의 차이를 지각예상시간으로 설정하여 지각예상경고를 표시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해당번호를 인가받아 기저장된 출석부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각여부를 포함하는 출석현황을 체크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beac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The beacon is placed at a place where the beacon is required, and transmit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place where the beacon is required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and is automatically set in a silent mode, transmits the corresponding number, obtains the horizont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position using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The estimated arrival time of the lecture room is calculated by applying a travel speed to the lecture room, and if the expected arrival time is later than the lecture start time of the lect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arrival time and the lecture start time is set as a perception estimated time, Displays a warning. The management server compares the corresponding number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ares it with previously stored attendance data to check attendance status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attendance is perceiv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 외부에 배치되어 일정한 시간단위로 근거리 통신신호를 발신하는 외부비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 벨소리모드로 자동설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beacon disposed outside the required area and transmitt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outside the area where the indoor unit is requested to be quiet, Can be s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경로를 지도데이터와 비교하여 수직위치정보를 구하고, 상기 이동경로 중에서 상기 지도데이터의 수직이동지형물에 대응되는 부분의 이동속도에 기설정된 지연값을 곱하여 예상도착시간을 보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btains vertical position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movement route with map data, and calculates a delay value preset to the movement speed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ly moving terrain of the map data in the movement route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estimated arrival ti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지각예상시간을 포함하는 지각예상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display a perceptual prediction message including the perception estimated time in real tim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업시작시간과 수업장소, 현재장소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예상도달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예상도달시간과 수업시작시간을 비교하여 지각이 예상되는 경우, 지각알람을 표시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user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class start time, the class location, and the current place. Compares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user with the start time of the class and displays the perception alarm when the perception is expected.

평지, 계단, 언덕, 층수, 등을 입력하여 강의실까지의 이동에 필요한 이동시간을 산정하고, 이동시간을 이용하여 예상도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by calculating the time required to travel to the lecture room by inputting the flat land, the stairs, the hill,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like.

또한, GPS등을 이용하여 평지, 계단, 언덕, 등에서의 실제이동속도 또는 기상상황에 따라 별도로 산정된 지연값을 이용하여 실제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정하고, 보정된 이동시간을 이용하여 예상도착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Also, the time required for the actual movement is corrected using the delay value separatel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ctual moving speed or the weather condition in the flat, stair, hill, etc. by using the GPS,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You can update the time.

또한, 수강생 등의 이동에 의해 변경되는 현위치에 따라 예상도착시간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보다 정확한 지각예상시간의 산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stimated arrival time can be upd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which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a student or the like, so that a more accurate estimated time can be calculated.

또한, 강의실에 설치된 비콘에서 발신된 근거리 통신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자동적으로 매너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silent mode using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installed in the classroom.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관리서버에 기저장된 수강생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각여부, 출석여부 등을 자동으로 산정할 수 있다.Also,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compared with the data of the learner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alculate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ceived or abs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콘에서 수신된 고유값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관리서버 디스플레이의 로그인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에 기저장된 출석부 리스트가 관리서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관리서버 디스플레이에 수강생리스트 및 지각여부를 포함하는 출석부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에 구축된 출석부 테이블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에 구축되는 수강생 테이블을 타나내는 이미지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에 구축되는 출석 테이블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에 구축되는 수업테이블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10) 내에 저장된 지도데이터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부재에 표시된 위치정보 및 예상시간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부재에 표시된 지각알람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3 is an image showing the eigenvalues received from the beacon shown in FIG.
4 is an image showing a login screen of the management server display of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5 is an image showing that a list of attendance parts previously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 is displayed on the management server display.
FIG. 6 is an image showing that an attendance list including a list of learners and a perception is displayed on the management server display of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
7 is an image showing an attendance table constructed in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8 is an image showing a learner table constructed in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9 is an image showing an attendance table constructed in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0 is an image showing a class table constructed in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splay member shown in Fig.
12 is map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hown in FIG.
13 is an image show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and estimated time displayed on the display member shown in Fig.
14 is an image showing the late alarm displayed on the display member shown in Fig.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Before describing in detail several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bottom,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for terms such as "left," " right, "" lateral, " and the like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the element has to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출석관리 시스템은 관리서버(10), 인터넷 시스템(20), 이동통신 단말기(110), 비콘(beacon)(170), 및 위성위치확인 시스템(18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10, an Internet system 20,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 beacon 170, and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180.

위성위치확인 시스템(180)은 복수의 인공위성에서 송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위성위치확인 시스템(180)으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180 identifi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using signal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an confirm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us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180.

비콘(170)은 일정한 시간 단위로 지정된 범위 내에 근거리 통신신호를 발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지정된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비콘(170)으로부터 발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비콘(170)은 RECO 비콘을 포함하고 소정의 주기마다 블루투스 신호를 발신한다. 비콘(170)이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한 RECO 비콘을 포함할 수 있다.The beacon 170 transmits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within a specified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disposed within the specified ran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ransmits the short- Signal. For example, the beacon 170 includes a RECO beacon and emits a Bluetooth sign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beacon 170 may include a RECO beacon using Bluetooth low energy (BLE).

본 실시예에서, 비콘(170)으로부터 발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전송되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비콘(170)에서 발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의 고유값을 이용하여 매너모드로 자동설정한다.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7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uses the unique value of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70 And automatically sets it to the silent mode.

다른 실시예에서, 강의실의 외부에 외부비콘(175)이 더 배치되고, 강의실 내부의 비콘과 외부비콘(175)이 서로 다른 근거리 통신신호의 고유값들을 가질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강의실 내부의 비콘(170)에서 발신되는 근거리 통신신호의 고유값을 수신하는 경우, 매너모드로 자동설정될 수 있다. 매너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강의실 외부비콘(175)에서 발신되는 근거리 통신신호의 고유값을 수신하는 경우, 매너모드를 종료하고 벨소리모드로 자동변경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n external beacon 175 may be further disposed outside the classroom, and beacons within the classroom and external beacons 175 may have eigenvalues of different local communication signal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the eigenvalue of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70 in the classroom, it can be automatically set to the manner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the silent mode mode receives the eigenvalue of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lassroom external beacon 175, the silent mode may be terminat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ring tone mode.

비콘(170)에서 발신되는 근거리 통신신호의 고유값은 각 강의실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비콘(170)에서 발신되는 근거리 통신신호의 고유값이 '101', '102', '103'인 경우, 첫 번째 건물의 첫 번째 강의실, 두 번째 강의실, 세 번째 강의실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비콘(175)에서 발신되는 근거리 통신신호가 '000'에 대응될 수 있다.The eigenvalue of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70 varies depending on each room. For example, when the eigenvalues of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70 are '101', '102', and '103', the first and second lecture rooms, . In another embodiment,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originating at the external beacon 175 may correspond to '000'.

본 실시예에서, 각 강의실별로 동일한 고유값의 근거리 통신신호를 발신하는 비콘들(170)이 2개씩 구비되고, 각각 강의실의 앞과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도에 배치되는 외부비콘들(175)도 각 강의실별로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강의실 내에 배치되는 비콘들(170)의 신호강도가 복도에 배치되는 외부비콘들(175)의 신호강도보다 강할 수 있다. 강의실 내에 배치되는 비콘들(170)의 신호강도가 복도에 배치되는 외부비콘들(175)의 신호강도와 동일하거나 약한 경우, 일부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강의실 내에서 벨소리모드로 자동변경되는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wo beacons 170 for transmitting a local communication signal having the same eigenvalue are provided for each classroom, and the beacons 170 may be arranged before and after the classroom. Similarly, two external beacons 175 arranged in the hallway may be arranged for each classroom. In another embodiment,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cons 170 disposed in the lecture room may be strong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external beacons 175 disposed in the aisle.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cons 170 disposed in the lecture room is equal to or weak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external beacons 175 disposed in the corridor, an error that som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10 are automatically changed to a ring mode in the lecture room May occur.

본 실시예에서, 관리서버(10)는 비콘(170)에서 송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 및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번호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출석현황을 체크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10 can check the attendance status by receiving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70 and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근거리 통신부(117), 위성통신부(118), 메모리(120), 정보처리부(130), 및 디스플레이 부재(140)를 포함한다.1 and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cludes a local communication unit 117, a satellite communication unit 118, a memory 120,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and a display member 140.

근거리 통신부(117)는 비콘(170) 및 관리서버(10)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는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117)는 블루투스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7 is connected to the beacon 170 and the management server 10 via a local area network and transmits / receives signals.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7 can use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근거리 통신부(117)는 비콘(170)에서 송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를 수신한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7 receive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70.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콘에서 수신된 고유값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3 is an image showing the eigenvalues received from the beacon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비콘(170)이 설치된 강의실에 진입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부(117)가 비콘(170)에서 송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는 각 비콘(170)의 고유값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처리부(130)는 근거리 통신부(117)에서 수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에 포함된 고유값 정보를 메모리(120)에 기저장된 강의실정보와 비교한다.1 to 3,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enters a room where a beacon 170 is installe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7 receive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70. [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includes eigenvalue information of each beacon 170.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compares the eigenvalu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by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17 with the lecture room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20 in advance.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에 포함된 고유값 정보가 메모리(120)에 기저장된 강의실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정보처리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모드를 매너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번호를 근거리 통신부(117)로 전송한다. 근거리 통신부(117)로 전송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번호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서버(10)로 송신된다.When the eigenvalu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is identical to the classroom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20,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converts the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to the silent mode, To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17,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ransmitted to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17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0 using the local area network.

관리서버(10)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송신된 번호를 기저장된 출석부 데이터와 비교하여 출석현황을 체크한다.The management server 10 compares the number transmitted from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with pre-stored attendance data to check attendance status.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관리서버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이미지들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관리서버 디스플레이의 로그인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4 to 6 are images showing a management server display of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4 is an image showing a login screen of the management server display of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강의시작 직전에 관리서버(10)의 관리서버 디스플레이(12)에 교수번호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한다. 예를 들어, 교수번호, 비밀번호 등은 각 과목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a teaching number and a password are inputted into the management server display 12 of the management server 10 immediately before the start of the lecture, and are logged in. For example, teaching numbers, passwords, etc.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for each subject.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에 기저장된 출석부 리스트가 관리서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5 is an image showing that a list of attendance parts previously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 is displayed on the management server display.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로그인 후에 관리서버(10)에 기저장된 출석부 리스트가 표시된다. 이후 출석부 리스트 중에서 해당 강의실의 출석부가 선택된다.1 to 3 and 5, a list of attendance parts previously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 is displayed after login. Then, the attendance part of the corresponding classroom is selected from the attendance list.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관리서버 디스플레이에 수강생리스트 및 지각여부를 포함하는 출석부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FIG. 6 is an image showing that an attendance list including a list of learners and a perception is displayed on the management server display of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출석부 상에 수강생리스트 및 지각여부가 표시된다. 지각기준은 관리서버(10)에 기저장된 지각기준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해당 강의시간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시부터 5분까지는 '정시출석 O'으로 체크되고, 5분부터 30분까지는 '지각 △'으로 체크되고, 30분 이후에는 '결석 X'으로 체크될 수 있다. 또한 수강생이 개별적으로 정당한 사유를 제시하는 경우, 관리서버(10)에 직접 입력하여 지각여부를 정정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nd 6, a list of learners and whether they are perceived are displayed on the attendance part. The perceptual criterion may be obtained by using the perceptual referenc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 or by directly inputting the pertinent criterion at the time of the lecture. For example, the time may be checked as 'O' on a regular basis for 5 minutes, 'Delayed' for 5 minutes to 30 minutes, or 'Missed X' after 30 minutes. Also, if the students individually present a just cause, they can directly input the reason into the management server 10 to correct the perception.

관리서버(10)에는 복수의 교수들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강의들에 대한 복수개의 데이터 테이블들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강의들에 대응되는 출석부 테이블, 복수의 수강생들에 대한 수강생 테이블, 각 출석부에서 수강생이 강의실에 들어왔는지를 나타내는 출석 테이블, 수강생들이 어떤 강의를 수강하는지 각각 확인할 수 있는 수업테이블 등이 구성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10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data tables for a plurality of lecture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professors. For example, an attendance tabl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ectures, a learner table for a plurality of lecturers, an attendance table indicating whether a learner has entered a lecture room in each attendance part, a class table And so on.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에 구성되는 데이터 테이블들을 나타내는 이미지들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에 구축된 출석부 테이블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7 to 10 are images showing data tables configured in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7 is an image showing an attendance table constructed in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 도 7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0)에 복수의 강의들에 대응되는 출석부 테이블이 구성될 수 있다. 출석부 테이블에는 각 강의별 로그인 정보, 해당 과목정보, 각 교수별 강의리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1 to 3 and 7, an attendance tabl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ectures can be configu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 The attendance table may include login information for each lecture, information on the subject, and a list of lectures for each professor.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에 구축되는 수강생 테이블을 타나내는 이미지이다.8 is an image showing a learner table constructed in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 도 8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0)에 복수의 수강생들에 대한 수강생 테이블이 구성될 수 있다. 수강생 테이블에는 수강생의 학번, 성명,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번호, 수강과목의 명칭, 교수성명, 분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nd 8, a plurality of learners' learner tables may be configu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 The learner table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student's student number, nam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name of the lecture course, professor's name, department, and the like.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에 구축되는 출석 테이블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9 is an image showing an attendance table constructed in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 도 9를 참조하면, 관리서버(10)에 각 출석부에서 수강생이 강의실에 들어왔는지를 나타내는 출석 테이블이 구성될 수 있다. 출석 테이블에는 각 수강생의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비콘(170)의 근거리 통신신호를 수신했는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비콘(170)의 근거리 통신신호를 수신한 후에, 전송하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관리서버(10)로 전송하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번호를 수강생 테이블의 수강생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번호가 수강생 테이블의 수강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비콘(170)에서 송신한 비콘 고유값(도 3 참조)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번호, 관리서버(10)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번호를 수신한 날짜, 시각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 to FIG. 3 and FIG. 9, an attendance table indicating whether a student has entered a classroom in each attendance part can be configu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 In the attendance table, it is indicated whether each stud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has received a local communication signal of the beacon 170. For example, 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of the beacon 17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ransmits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the management server 10 You can compare the number to the learner information in the learner table. 3)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70,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date and time of receipt of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re included.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에 구축되는 수업테이블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10 is an image showing a class table constructed in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 도 10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0)에 수강생들이 어떤 강의를 수강하는지 각각 확인할 수 있는 수업테이블이 구성될 수 있다. 수업 테이블에는 각 수업별 강의실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과목별, 강의별 수업시작시간, 수업종료시간, 요일, 교수번호, 교수성명, 분반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o FIG. 3 and FIG. 10, a class table for confirming which lectures are taken by students in the management server 10 can be configured. The class table includes classroom information for each class.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a class start time, a class end time, a day, a professor number, a professor's name, a department, and the like can be stored.

관리서버(10)는 출석 테이블과 수업테이블을 비교하여 해당 수강생의 지각여부를 판단한다.The management server 10 compares the attendance table and the class t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tudent is perceived.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출석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각을 방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이미지들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s. 11 to 14 are images showing how to prevent crusting using th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splay memb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강의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강의실 위치에 대한 정보는 해당 강의실의 위도, 경도, 등의 수평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고도, 층수 등의 수직위치정보도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위치정보는 스마트폰의 기압센서를 이용하거나, 수평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지형도데이터에 적용하여 계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위치정보는 계단, 언덕의 위치를 지도데이터에 업데이트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1 to 3 and 11, information on a classroom location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first. The information on the lecture room location includes not only the horizontal position information such as the latitude, longitude, etc. of the corresponding lecture room but also the vertical position information such as the altitude and the number of stori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position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by using the pressure sensor of the smartphone or applying the preset topographical data using the horizontal position information. In this embodiment, the vertical position information may be used by updating the position of the stairs and the hill to the map data.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강의실, 강의시각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의 8개 강의장소의 수평위치정보 및 수직위치정보가 입력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각 강의장소에 해당되는 8개의 건물아이콘을 표시하고, 수강생이 해당 강의실(141)에 대응되는 건물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다.Then, information such as classroom, lecture time, and the like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For example, eight building ic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lecture places are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which the horizontal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vertic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ight lecture places of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are inputted, and the lecturer 141 by clicking on the building icon corresponding to the icon.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10) 내에 저장된 지도데이터이다.12 is map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지도데이터는 현위치(142), 평지(143a), 언덕길(143b), 및 강의실(141)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1 to 3 and 12, the map data includes data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142, the flat ground 143a, the slope 143b, and the position of the classroom 141. [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정보처리부(130)는 수강생의 현위치(142)와 수강생이 클릭한 해당 강의실(141)의 위치를 비교하여, 이동경로(도 12의 점선부분)를 결정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mpares the current position 142 of the learner with the position of the lecture room 141 clicked by the learner and determines the movement path (the dotted line portion in Fig. 12).

이동경로에는 평지(143a), 언덕길(143b), 계단(도시되지 않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vement path may include a flat land 143a, a slope 143b, a step (not shown), and the like.

예를 들어, 평지(143a)에서의 이동속도(4 km/h)를 기본이동속도로 하고, 언덕길(143b)에서의 이동속도는 기본이동속도에 언덕길(143b)의 경사데이터에 따른 지연값(예, 30%, 50%)을 곱해서 결정될 수 있다. 계단(도시되지 않음)의 경우, 별도의 속도를 설정하지 않고, 해당 강의실(141)의 층수에 따라 소정의 이동시간(예, 30초/층)을 추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ving speed (4 km / h) at the flat land 143a is set as the basic moving speed, and the moving speed at the slope 143b is set to the basic moving speed with a delay value For example, 30%, 50%). In the case of a step (not shown), a predetermined moving time (for example, 30 seconds / layer) can be ad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yers in the classroom 141 without setting a separate speed.

다른 실시예에서, 현재 날씨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각각의 날씨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동시간을 보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날씨정보를 경미한 우천시, 우천시, 집중호우시, 강설량, 외부온도가 30도 이상인 혹서기, 외부온도가 0도 이하인 혹한기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날씨정보에 따라 10%, 20%, 30%, 30%, 40%, 20%, 등의 지연값을 부여하여, 예상이동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current weather information may be received in real time, and each weather information may be weighted to correct the travel time. For example, current weather in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a light rainfall, a rainy weather, a heavy rainfall, snowfall, a cold weather with an outdoor temperature of 30 degrees or higher, a cold weather with an outdoor temperature of 0 degree or lower, , 30%, 30%, 40%, 20%, etc., so that the estimated travel time can be increased.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부재에 표시된 위치정보 및 예상시간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13 is an image show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and estimated time displayed on the display memb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정보처리부(130)는 수강생의 현위치(142), 해당 강의실(141), 지도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해당 강의실(141)까지의 이동시간을 계산하고, 이를 현재시각에 더하여 예상도착시간을 구한다.1 to 3, 12, and 13,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lecture room 141 using the current position 142 of the learner, the lecture room 141, Calculate the time and add it to the current time to get the expected arrival time.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부재에 표시된 지각알람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14 is an image showing the late alarm displayed on the display memb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정보처리부(130)에서 계산된 해당 강의실(141)까지의 예상도착시간이 메모리(120)에 저장된 강의시작시간보다 늦는 경우, 디스플레이 부재(140)에 지각예상경고(146a) 및 지각예상메시지(146b)를 표시한다.1 to 3 and 14, when the estimated arrival time to the corresponding classroom 141 calculat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is later than the start time of the lecture stored in the memory 120, A perceptual prediction warning 146a and a perception prediction message 146b are displayed.

예를 들어, 지각예상메시지(146b)는 예상도착시간과 강의시작시간의 차이를 지각예상시간으로 계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erceptual prediction message 146b may b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arrival time and the lecture start time as a perceptual estimated time.

일 실시예에서, 지각예상메시지(146b)의 하부에 클릭아이콘(예, 'Yes', '확인' 등)을 표시하고, 수강생이 클릭아이콘을 누르게 되면 지각예상경고(146a) 및 지각예상메시지(146b)를 종료할 수도 있다. 지각예상경고(146a) 및 지각예상메시지(146b)가 종료된 이후 소정의 시간(예, 3분)이 지난 후에도 예상도착시간이 강의시작시간보다 늦는 경우, 지각예상경고(146a) 및 지각예상메시지(146b)가 다시 표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click icon (e.g., 'Yes', 'OK', etc.) is displayed below the perceptual prediction message 146b, and a perceptual anticipation warning 146a and a perceptual anticipation message 146b may be terminated. If the estimated arrival time is later than the lecture start time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g., 3 minutes) has elapsed after the perception warning 146a and the perception prediction message 146b are finished, the perceptual prediction warning 146a and the perception prediction message 146a (146b) may be displayed again.

본 실시예에서, 수강생이 기본이동속도 이상으로 가속하는 경우, 정보처리부(130)는 실시간으로 수강생의 현위치(141)에 따른 예상도착시간을 갱신하여 지각예상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earner accelerates at a speed higher than the basic traveling spe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updates the estimated arrival time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earner 141 in real time, so that the lateness estimation time can be reduc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업시작시간과 수업장소, 현재장소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예상도달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예상도달시간과 수업시작시간을 비교하여 지각이 예상되는 경우, 지각알람을 표시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user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class start time, the class location, and the current place. Compares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user with the start time of the class and displays the perception alarm when the perception is expected.

평지, 계단, 언덕, 층수, 등을 입력하여 강의실까지의 이동에 필요한 이동시간을 산정하고, 이동시간을 이용하여 예상도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by calculating the time required to travel to the lecture room by inputting the flat land, the stairs, the hill,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like.

또한, GPS등을 이용하여 평지, 계단, 언덕, 등에서의 실제이동속도 또는 기상상황에 따라 별도로 산정된 지연값을 이용하여 실제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정하고, 보정된 이동시간을 이용하여 예상도착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Also, the time required for the actual movement is corrected using the delay value separatel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ctual moving speed or the weather condition in the flat, stair, hill, etc. by using the GPS,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You can update the time.

또한, 수강생 등의 이동에 의해 변경되는 현위치에 따라 예상도착시간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보다 정확한 지각예상시간의 산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stimated arrival time can be upd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which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a student or the like, so that a more accurate estimated time can be calculated.

또한, 강의실에 설치된 비콘에서 발신된 근거리 통신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자동적으로 매너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silent mode using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installed in the classroom.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관리서버에 기저장된 수강생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각여부, 출석여부 등을 자동으로 산정할 수 있다.Also,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compared with the data of the learner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alculate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ceived or absent.

본 발명의 출석관리 시스템은 강의실, 학교, 법원, 도서관 등 정숙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스마트폰, 휴대폰, 스마트워치, 노트북, 노드패드, 스마트패드, 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통신장비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quiet environment such as a classroom, a school, a court, a library, and the lik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smart watch, a notebook, a node pad, and a smart pa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5 : 손가락 10 : 관리서버
12 : 관리서버 디스플레이 20 : 인터넷 사이트
110 : 이동통신 단말기 117 : 근거리 통신부
118 : 위성통신부 120 : 메모리
130 : 정보처리부 140 : 디스플레이 부재
141 : 강의실 아이콘 142 : 출발지점
143a : 평지 143b : 언덕길
146a : 지각예상경고 146b : 지각예상메시지
170 : 비콘(beacon) 175 : 외부비콘
180 : 위성위치확인 시스템
5: finger 10: management server
12: Management server display 20: Internet site
1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7:
118: satellite communication unit 120: memory
130: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display member
141: Classroom icon 142: Departure point
143a: flat land 143b: hill road
146a: Perceptual warning warning 146b: Perceptual warning message
170: beacon 175: external beacon
180: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Claims (4)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에 배치되어 일정한 시간 단위로 상기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에 근거리 통신신호를 발신하는 비콘;
상기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 외부에 배치되어 일정한 시간단위로 근거리 통신신호를 발신하는 외부비콘;
상기 비콘에서 발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매너모드로 자동설정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외부비콘에서 발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벨소리모드로 자동 설정되며, 해당번호를 전송하고, 위성위치확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위치를 확인하며 강의실 위치의 위도, 경도를 포함하는 수평위치정보 및 상기 수평위치정보를 기설정된 지도데이터에 적용하여 계산한 고도, 층수를 포함하는 수직위치정보를 구하고, 상기 현위치와 상기 강의실 위치를 비교하여 이동경로를 결정하며, 상기이동경로에 이동속도를 적용하여 상기 강의실까지의 예상도착시간을 구하고, 상기 예상도착시간이 기저장된 강의시작시간보다 늦는 경우 상기 예상도착시간과 상기 강의시작시간의 차이를 지각예상시간으로 설정하여 지각예상경고를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해당번호를 인가받아 기저장된 출석부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각여부를 포함하는 출석현황을 체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근거리 통신신호는 상기 비콘 및 상기 외부비콘 각각의 고유값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경로 중에서 상기 지도데이터의 수직이동 지형물에 대응되는 부분의 이동속도에 기설정된 지연값을 곱하여 예상도착시간을 보정하고, 현재 날씨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각각의 날씨정보에 기설정된 지연값을 곱하여 예상도착시간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석관리 시스템.
A beacon disposed at a place where a quiet position is required to transmit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ignal to a place where the quiet position is required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n external beacon disposed outside the desired place to se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to a place outside the requested pla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beacon and outputs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to the ringing mode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number, confirms the current position by using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calculates horizontal 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room location, and altitude calculated by applying the horizontal position information to predetermined map data Determining a travel route by comparing the current location with the location of the lecture room, calculating an estimated arrival time to the lecture room by applying a travel speed to the travel rout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arrival time and the lecture start time is less than the pre-stored lecture start tim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a perceptual anticipation warning by setting the estimated anticipation time; And
And a management server for checking the attendance status includ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number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ares the received attendance data with previously stored attendance data,
Wherein the local communication signal includes eigenvalue information of the beacon and the external beac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cts the estimated arrival time by multiplying the moving speed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ly moving terrain of the map data by the predetermined delay value in the movement route, and receives the current weather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is corrected by multiplying the estimated arrival time by a predetermined delay val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지각예상시간을 포함하는 지각예상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석관리 시스템.Th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perceptual prediction message including the estimated perceived time in real time.
KR1020160015874A 2016-02-11 2016-02-11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KR1017685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874A KR101768535B1 (en) 2016-02-11 2016-02-11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874A KR101768535B1 (en) 2016-02-11 2016-02-11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535B1 true KR101768535B1 (en) 2017-08-30

Family

ID=5976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874A KR101768535B1 (en) 2016-02-11 2016-02-11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53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7518A (en) * 2018-11-18 2019-03-08 大连锐进科技发展有限公司 Dormitory comprehensive management platform
KR20190067587A (en) * 2017-12-07 2019-06-17 전창민 Method for providing care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1156A (en) 2011-02-03 2014-05-12 トムトム デベロップメント ジャーマニー ゲーエムベーハー How to generate the expected average speed of movement
JP2014160093A (en) * 2010-01-22 2014-09-04 Qualcomm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anking recommendations for pedestrian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0093A (en) * 2010-01-22 2014-09-04 Qualcomm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anking recommendations for pedestrian environment
JP2014511156A (en) 2011-02-03 2014-05-12 トムトム デベロップメント ジャーマニー ゲーエムベーハー How to generate the expected average speed of move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87A (en) * 2017-12-07 2019-06-17 전창민 Method for providing care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037218B1 (en) * 2017-12-07 2019-10-28 주식회사 휴브리스 Method for providing care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09447518A (en) * 2018-11-18 2019-03-08 大连锐进科技发展有限公司 Dormitory comprehensive management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Location based services: ongoing evolution and research agenda
US10264394B1 (en) Proximity services
Nakajima et al. New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10547967B2 (en) Integrated assistive system to support wayfinding and situation awareness
US10900790B2 (en) Interior building navigation system
US20100146454A1 (en) Position-dependent information representation system, position-dependent information representation control device, and position-dependent information representation method
Richter et al. Navigating and learning with location based services: A user-centric design
CN107209783A (en) Adaptive location designator
US9035879B2 (en) Digital signs
US1072486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based building guidance
Balata et al. Collaborative navigation of visually impaired
US10212542B2 (en) Facilitating a meeting or education session
US7499797B2 (en) Method and database for navigating a person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Bilgi et al. Navigation system for blind, hearing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in ITU Ayazaga campus
KR101768535B1 (e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CN113420054B (en) Information statistics method, server, client and storage medium
Ross et al. Talking braille: a wireless ubiquitous computing network for orientation and wayfinding
Liao Development of a navigation system using smartphone and bluetooth technologies to help the visually impaired navigate work zones safely
KR20150094921A (en)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s capabilities Xidstory attendance app and check how
Nikander et al. Indoor and outdoor mobile navigation by using a combination of floor plans and street maps
Peraković et al. Possibilities of applying ICT to improve safe movement of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rsons
Hoq et al. Mobile tracking system using web application and android apps
Karita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aid app with iOS devices to support children/persons with speech disabilities improvement in obtaining positioning information with iBeacon as near field radio communication technology
Korbel et al. A radio network for guidance and public transport assistance of the visually impaired
Candy A mobile indoor location-based gis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