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461B1 - Circle Shape Touch Panel - Google Patents

Circle Shape Touch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461B1
KR101767461B1 KR1020150103229A KR20150103229A KR101767461B1 KR 101767461 B1 KR101767461 B1 KR 101767461B1 KR 1020150103229 A KR1020150103229 A KR 1020150103229A KR 20150103229 A KR20150103229 A KR 20150103229A KR 101767461 B1 KR101767461 B1 KR 101767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inger
fingers
patterns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2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1168A (en
Inventor
민동진
Original Assignee
(주)멜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멜파스 filed Critical (주)멜파스
Priority to KR1020150103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461B1/en
Priority to PCT/KR2016/004859 priority patent/WO2017014417A1/en
Publication of KR2017001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1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4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은, 원형 기판과, 원형 기판의 둘레에서 중심 방향으로 배치되며 원주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핑거들을 포함하는 제1 핑거 패턴 및 원형 기판의 둘레에서 중심 방향으로 배치되며 원주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핑거들과 서로 깍지 끼워져(interdigitated) 배치된 복수의 제2 핑거들을 포함하는 제2 핑거 패턴을 포함하며, 제1 핑거 패턴과 제2 핑거 패턴은 부분 고리꼴(annular sector shape)을 이룬다.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ircular substrate, a first finger pattern disposed in the center direction around the circular substrat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finger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 second finger pattern disposed in a center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fingers interdigitated with the first fingers, The finger pattern forms an annular sector shape.

Description

원형 터치 패널{Circle Shape Touch Panel}A circular touch panel {Circle Shape Touch Panel}

본 발명은 원형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r touch panel.

현재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는 감지 방식들은 저항막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및 정전 용량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 중 정전 용량 방식의 경우 내구성, 시인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휴대용 모바일 기기의 주 입력 수단으로 채택되고 있는 추세이다.Currently, the sensing methods used in touch screens are mainly composed of resistive film type, surface ultrasonic type, and capacitive type. Of these, capacitive type is superior in durability and visibility, and thus adopted as a main input means of portable mobile devices .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간섭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 상의 축전 센서 (capacitive sensor)들에 대전된 전하량이 변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입력을 인식하며, 전하 축전 방식에 따라 자기 정전 용량 방식 (self-capacitive)과 상호 정전 용량 방식 (mutual-capacitive)으로 나뉜다. 자기 정전 용량 방식이 하나의 축전 센서(capacitive sensor) 당 하나의 도전체를 구성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 외부의 기준 접지면 (reference ground)과 대전면을 형성한다.The capacitive touch screen recognizes the user input by sensing the change in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on the capacitive sensors on the touch screen panel due to user intervention, and recognizes the user input by self-capacitive type according to the charge storage method. And mutual-capacitive. The self-capacitance scheme constitutes one conductor per capacitive sensor to form a reference ground and a charging surface outside the touch screen panel.

종래의 원형 터치 스크린 패널은 투명한 원형 기판에 육각형 또는 사각형의 터치 감지 전극들을 형성하여 오브젝트의 터치를 검출하였다. 종래 기술에 따른 원형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하면 원형의 둘레 부근에는 육각형이나 사각형 패턴을 형성할 수 없어 터치를 감지하지 못하는 영역이 분포되어 있었다. Conventional circular touch screen panels detect the touch of an object by forming hexagonal or rectangular touch sensing electrodes on a transparent circular substrate. According to the circular touch screen panel of the related art, a hexagonal or rectangular pattern can not b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ircular shape, so that a region where touch is not detected is distributed.

본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부분은 물론 둘레 부근에서도 높은 감도와 정확도로 터치를 검출할 수 있는 원형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 본 실시예의 주된 목적 중 하나이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lar touch panel capable of detecting a touch with high sensitivity and accuracy not only in the center portion but also in the vicinity of the circumference.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은, 원형 기판과, 원형 기판의 둘레에서 중심 방향으로 배치되며 원주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핑거들을 포함하는 제1 핑거 패턴 및 원형 기판의 둘레에서 중심 방향으로 배치되며 원주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핑거들과 서로 깍지 끼워져(interdigitated) 배치된 복수의 제2 핑거들을 포함하는 제2 핑거 패턴을 포함하며, 제1 핑거 패턴과 제2 핑거 패턴은 부분 고리꼴(annular sector shape)을 이룬다.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ircular substrate, a first finger pattern disposed in the center direction around the circular substrat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finger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 second finger pattern disposed in a center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fingers interdigitated with the first fingers, The finger pattern forms an annular sector shape.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은, 원형 기판과, 각각 원주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A 핑거들과, 원주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B 핑거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과, 각각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A 핑거들과 깍지 끼워지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핑거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 및 각각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B 핑거들과 깍지 끼워지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3 핑거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3 패턴을 포함한다.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ircular substrate, a plurality of A finger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and each disposed in the center direction around the circumference, and a plurality of A finger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 second pattern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fingers each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nd interdigitating with A fingers and disposed in a central direction about the periphery, And a third pattern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finger pattern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interdigitating with the B fingers and disposed in a central direction around the finger.

본 실시예에 의하면 원형 터치 패널의 내부 뿐만 아니라 둘레 부근에도 터치를 검출할 수 있는 패턴들을 형성하므로, 둘레 부근에서 터치를 검출할 수 없었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4분원, 8분원 및 반원의 부분 고리꼴을 형성하는 패턴들을 이용하므로 높은 감도와 정확성으로 오브젝트의 터치 및 오브젝트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적은 개수의 패턴으로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를 검출하므로 패턴과 검출부를 연결하는 도선의 개수가 감소된다는 장점도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patterns capable of detecting touch are formed not only in the inside but also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touch panel,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related art that the touch can not be detected in the vicinity of the circumferen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patterns forming the partial circles of the quadrant, the quadrant, and the semicircle are used, the touch of the object and the movement of the object can be detected with high sensitivity and accurac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touch by the object is detected with a small number of pattern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there is also provided an advantage that the number of conductors connecting the pattern and the detection unit is reduc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 터치 패널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가 원주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터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가 둘레에서 중심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가 원주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로 오브젝트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가 둘레에서 중심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로 오브젝트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circular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cting a touch using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object providing touch input mov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using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object providing a touch input is moved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locating an object with a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object providing touch input m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locating an object with a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object providing a touch input is moved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is present and not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Each step may take place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unless explicitly stated in a specific order in the context.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은 설명의 편의 및 이해의 용이를 위하여 의도적으로 크기, 높이, 두께 등이 과장되어 표현되어 있으며, 비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어느 구성요소는 의도적으로 축소되어 표현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의도적으로 확대되어 표현될 수 있다.The drawings referred to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exaggerated in size, height, thickness, and the like intentional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nd are not enlarged or reduced in proportion. In addition, any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intentionally reduced, and other components may be intentionally enlarged.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constru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이하, 본 명세서에서 부분 고리꼴(annular sector shape)이라 함은, 공통의 중심을 가지나 서로 다른 두 개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리꼴(ring shape)에서 목적하는 중심각으로 가지는 부분만을 얻어낸 것을 말한다. 일 예로, 사분원의 부분 고리꼴이라 함은 고리꼴에서 90도의 중심각을 가지는 부분만을 얻은 것을 말한다. 따라서, 사분원의 부분 고리꼴은 90도의 중심각을 가지며 반지름 r1을 가지는 부채꼴에서 동일한 중심과, 동일한 중심각을 가지나 반지름 r2(r1 > r2)인 부채꼴 부분을 제거한 부분이라고도 설명할 수 있다. 부분 고리꼴의 중심각은 180도보다 클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annular sector shape refers to a shape obtained by only obtaining a portion having a desired central angle in a ring shape formed by a circle having a common center but two different radii It says. As an example, the partial annulus of a quadratic circle means that only a portion having a central angle of 90 degrees in the ring is obtained. Thus, the partial annulus of the quadrants has a central angle of 90 degrees and can be described as a part of the fan with radius r1, which has the same center and the same central angle, but with the radius r2 (r1> r2) removed. It is natural that the central angle of the partial ring can be larger than 180 degrees.

또한, 본 명세서에서 패턴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고 함은 패턴이 일 방향으로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있음을 의미하는 것과 더불어, 일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패턴의 폭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fact that the pattern extends in one direction means that the pattern is not broken in one direction, and that the width of the pattern decreases as the pattern proceeds in one direction.

제1 1st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 터치 패널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원형 터치 패널에서 4분원만 서로 다른 색으로 영역을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 터치 패널은 원형 기판과, 원형 기판의 둘레에서 중심 방향으로 배치되며 원주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핑거들(110a, 110b, 110c)을 포함하는 제1 핑거 패턴(110) 및 원형 기판의 둘레에서 중심 방향으로 배치되며 원주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핑거들(110a, 110b, 110c)과 서로 깍지 끼워져(interdigitated) 배치된 복수의 제2 핑거들(120a, 120b, 120c)을 포함하는 제2 핑거 패턴(120)을 포함하며, 각각의 핑거들이 깍지 끼워져 배치된 제1 핑거 패턴과 제2 핑거 패턴은 부분 고리꼴(annular sector shape)을 이룬다.1 is a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circular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FIG. 1, for the sake of easier understanding, only four quadrants are shown in different colors in the circular touch panel. Referring to FIG. 1, the circular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ircular substrate, a plurality of first fingers 110a, 110b, and 110c that are arranged in the center direction around the circular substrate and extend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 And a first finger pattern 110 disposed in a center direction around the circular substrate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to interdigitate with the first fingers 110a, 110b, and 110c And a second finger pattern (120)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fingers (120a, 120b, 120c), wherein each of the fingers is interdigitated, wherein the first finger pattern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have a partial annular shape annular sector shape.

기판(100)의 일면에는 제1 핑거 패턴(210) 및 제2 핑거 패턴(220)이 위치한다. 일 실시예로,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하여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표시하는 시각정보를 투과시키기 위하여 기판은 투명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은 유리(glass)기판이다. 다른 예로, 기판은 투명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일 수 있다. 예시되지 않은 다른 예로, 기판은 배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하는 시각 정보를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이면 기판으로 사용 가능하다.A first finger pattern 210 and a second finger pattern 220 ar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00. In one embodiment, when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a display panel to form a touch screen, the substrate may be transparent to transmit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For example, the substrate is a glass substrate. As another example, the substrate may be a transparent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s another example, which is not illustrated, the substrate can be used as a substrate if it is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transmit the visu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isplay located on the backside.

제1 핑거 패턴(11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핑거들(110a, 110b, 110c)을 포함하며, 제2 핑거 패턴(120)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핑거들(120a, 120b, 120c)을 포함한다. 제1 핑거 패턴(110) 및 제2 핑거 패턴(120)은 서로 깍지 끼워져(interdigitated) 배치되며, 서로 깍지 끼워져 배치된 각각의 핑거 들을 포함하는 제1 핑거 패턴과 제2 핑거 패턴은 부분 고리꼴(annular sector shape, 115)을 이룬다.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ingers 110a, 110b, and 110c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fingers 110a, (120a, 120b, 120c).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are interdigitat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finger pattern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including each of the fingers arranged in an interdigitated arrangement form a partial annular shape annular sector shape, 115).

제1 핑거 패턴(110), 제2 핑거 패턴(120)을 포함하는 각각의 패턴들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을 구현하고자 하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제공받는 패턴들도 투명하여야 한다. 일 예로, 터치 입력을 제공받는 패턴들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ium Zinc Oxide), ICO(Indium Cadmium Oxide)와 같은 전도성을 가지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된다. 다른 예에서, 패턴들은 CNT 막(Carbon Nano Tube Film)으로 형성될 수 있다. CNT막은 ITO등과 같은 투명 전도 물질에 비하여 높은 밀도의 전류를 흘릴 수 있다.Each of the patterns including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order to implement a touch screen using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atterns to be provided with a touch input from a user must also be transparent. For example, the patterns provided with a touch input ar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AZO (Aluminum Zinc Oxide), and ICO (Indium Cadmium Oxide). In another example, the patterns may be formed of a CNT film (Carbon Nano Tube Film). The CNT film can flow a current having a higher density than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일 실시예에서, 제1 핑거 패턴(110)은 복수의 제1 핑거들(110a, 110b, 110c)을 포함한다. 제2 핑거 패턴(120)은 복수의 제2 핑거들(120a, 120b, 120c)을 포함한다. 도 1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핑거 패턴(110)에는 세 개의 핑거들(110a, 110b, 110c)를 포함하며, 제2 핑거 패턴(120)에는 세 개의 핑거들(120a, 120b, 120c)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은 단지 예시일 따름이며, 각각의 패턴에 포함된 핑거들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ingers 110a, 110b, and 110c.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fingers 120a, 120b, and 120c. 1,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includes three fingers 110a, 110b, and 110c,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includes three fingers 120a, 120b, and 120c ), But these are examples only, and the number of fingers included in each pattern may vary.

제1 핑거들(110a, 110b, 110c)과 제2 제2 핑거들(120a, 120b, 120c)은 서로 깍지끼워져 배치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핑거가 서로 깍지끼워져 배치되므로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으며, 터치입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터치 좌표의 변화를 보다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다.The first fingers 110a, 110b, and 110c and the second fingers 120a, 120b, and 120c are interleaved with each oth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fingers are arranged in a pod, the touch coordinates by the object can be detected, and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providing the touch input changes, the change of the touch coordinates can be tracked more precisely.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핑거 패턴(110)과 제2 핑거 패턴(120)은 8분원의 부분 고리꼴(115)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핑거 패턴과 제2 핑거 패턴은 8분원의 고리꼴 보다 더 크거나 더 작게 분할된 원의 고리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핑거 패턴(130)과 제4 핑거 패턴(140)도 각각 복수의 핑거들(도면 부호 생략)을 포함하며, 제3 핑거 패턴(130)에 포함된 핑거들과 제4 핑거 패턴(140)에 포함된 핑거들은 서로 깍지끼워져 배치된다. 제3 핑거 패턴(130) 및 제4 핑거 패턴(140)은 8분원 부분 고리꼴(155)을 형성한다. 제1 핑거 패턴(110)과 제2 핑거 패턴(120)이 형성하는 8분원 고리꼴(115)과 제3 핑거 패턴(130)과 제4 고리꼴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form a partial annulus 115 of eight quar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finger pattern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may form a circular ring segment that is larger or smaller than an eight-ring circular. The third finger pattern 130 and the fourth finger pattern 140 also include a plurality of fingers (not shown), and the fingers included in the third finger pattern 130 and the fourth finger pattern 140, Are placed interdigitally with one another. The third finger pattern 130 and the fourth finger pattern 140 form an eight-part circular annulus 155.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may form an eight-channel annulus 115, a third finger pattern 130, and a fourth annulus.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 패널에서의 터치 입력을 8분원의 부분 고리꼴을 형성하는 패턴들로 검출한다. 이러한 패턴은 4분원 또는 반원의 부분 고리꼴을 형성하는 패턴들에 비하여 패턴 길이에 대한 패턴 폭 변화량이 크므로,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높은 감도와 높은 정확도로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ouch input on the touch panel is detected as patterns forming a partial circle of 8 minutes. This patter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movement of the object providing the touch input can be detected with high sensitivity and high accuracy because the pattern width variation with respect to the pattern length is larger than the patterns forming the quadratic or semi-circular partial rings / RTI >

도 1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5 핑거 패턴(150)와 제6 핑거 패턴(160)들은 각각 복수의 핑거들(도면 부호 생략)을 포함하며, 제5 핑거 패턴(150)과 제6 핑거 패턴(160)에 포함된 핑거들은 서로 깍지 끼워져 배치된다. 도 1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5 핑거 패턴(150)과 제6 핑거 패턴(160)는 각각 세 개의 핑거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단지 예시일 따름이며, 각각의 패턴에 포함된 핑거들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fifth finger pattern 150 and the sixth finger pattern 160 each include a plurality of fingers (not shown), and the fifth finger pattern 150 and the sixth finger pattern 160 The fingers included in the pattern 160 are interleaved with one anoth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fifth finger pattern 150 and the sixth finger pattern 160 are shown to include three fingers, respectively. However, these are only illustrative, and the number of fingers included in each pattern may vary.

서로 깍지끼워져 배치된 제5 핑거 패턴(150) 및 제6 핑거 패턴(160)은 4분원의 부분 고리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5 핑거 패턴(150)과 제6 핑거 패턴(160)은 제1 내지 제4 핑거 패턴들이 형성하는 4분원 부분 고리꼴의 중공(中孔)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6 핑거 패턴들은 결과적으로 4분원의 부분 고리꼴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fth finger pattern 150 and the sixth finger pattern 160, which are interdigitated with each other, form a four-member circular ring. In one embodiment, the fifth finger pattern 150 and the sixth finger pattern 160 may be disposed in a hollow of a quadratic part circular formed by the first through fourth finger patterns, To 6 < th > finger patterns can consequently form a four-membered circular ring.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부채꼴 패턴(170) 및 제2 부채꼴 패턴(180)은 제5 핑거 패턴(150)과 제6 핑거 패턴(160)이 형성하는 4분원의 부분 고리꼴의 중공(中孔) 내에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부채꼴 패턴(170) 및 제2 부채꼴 패턴(180)은 각각 8분원의 부채꼴 형태이나, 이는 일 예일 따름으로, 부채꼴의 중심각은 실시예마다 변형될 수 있다. 1, the first fan-shaped pattern 170 and the second fan-shaped pattern 180 are formed by a fourth fingerprint pattern 150 formed by the fifth finger pattern 150 and the sixth fingerprint pattern 160, And is located in the hollow.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fan-shaped pattern 170 and the second fan-shaped pattern 180 each have a fan shape of eight quarters,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central angle of the fan shape may be modified for each embodiment.

도 1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6 핑거 패턴들과 제1 및 제2 부채꼴 패턴들은 원형 터치 패널을 네등분한 영역중 어느 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실시예일 따름으로,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원형 터치 패널을 n(n: 자연수) 분할한 터치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first to sixth finger patterns and the first and second fan patterns may form any one of the four regions of the circular touch panel. This is a simple embodiment, and a typical artisan can form a touch panel in which a circular touch panel is divided into n (n: natural number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일 실시에에서, 제1 내지 제6 핑거 패턴들과 제1 및 제2 부채꼴 패턴들이 형성하는 터치 패널 4분원에서, 호를 제외한 양 변에 인접하여 각각의 핑거 패턴 및 부채꼴 패턴으로 전기적 신호를 주거나 받을 수 있는 도선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도선은 각각의 패턴들과 동일한 재질로 제1 내지 제6 핑거 패턴들과 제1 및 제2 부채꼴 패턴을 형성하는 패터닝 과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선은 실버 와이어, 골드 와이어등과 같이 금속 재질의 와이어를 이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touch panel quadrangle formed by the first to sixth finger patterns and the first and second fan patterns, an electric signal is given to each finger pattern and a sector pattern adjacent to both sides except the arc A wire is formed that can be received. In one embodiment, the conductive lines may be formed together in the patterning process to form the first to sixth finger patterns and the first and second fan-shaped patterns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respective patterns. In another embodiment, the wire may be a metal wire such as silver wire or gold wire.

제1 내지 제6 핑거 패턴들 각각이 복수의 핑거들을 가지는 것과는 달리, 제1 및 제2 부채꼴 패턴(170, 180)은 각각 8분원 형태를 가진다. 만약에 터치 패널의 중심부(도 3 B3 참조)에 서로 깍지 끼워진 복수의 핑거들을 가지는 핑거 패턴을 형성하면 핑거의 폭이 미세하게 형성되므로 오브젝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감도(sensitivity) 저하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중심부(도 3 B3 참조)에서 검출해야 하는 오브젝트의 이동량은 터치 패널의 외곽부(도 3 B1 위치 참조)에서 원주를 따라 움직이는 것에 비하여 미세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중심부에 복수의 부채꼴 패턴들을 형성하여 오브젝트의 터치 및 이동을 검출하는 것이 감도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Unlike the first to sixth finger patterns each having a plurality of fingers, the first and second fan-shaped patterns 170 and 180 each have an eight-quadrant shape. If a finger pattern having a plurality of fingers interdigit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uch panel (see FIG. 3B3) is formed, the width of the finger is finely formed, so there is a problem of sensitivity degradation . Further,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object to be detected at the central portion (see Fig. 3B3) is finer than the movement of the object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outer frame portion of the touch panel (see Fig. 3B1 position). 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in terms of sensitivity to detect the touch and movement of the object by forming a plurality of fan-shaped patterns at the central portion as in this embodiment.

도 2는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가 화살표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터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브젝트가 터치 패널에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단면을 원(F)로 도시하였다.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cting a touch using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object providing touch input mov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an arrow. Referring to FIG. 2, a cross section of an object providing a touch input to a touch panel is indicated by a circle (F).

오브젝트가 A1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핑거 패턴(110)이 오브젝트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이 제2 핑거 패턴(120)이 오브젝트 단면(F)를 차지하는 비율에 비하여 크다. 오브젝트가 A1 위치에서 터치를 수행하면 제2 핑거 패턴(120)과 오브젝트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비하여 제1 핑거 패턴(110)과 오브젝트 사이에서 형성되는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더 크다. 따라서, 터치를 검출하는 검출부(미도시)는 제1 핑거 패턴(11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과 제2 핑거 패턴(12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의 비율을 연산하여 터치를 수행하는 오브젝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The ratio of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occupying the object section F is larger than the ratio of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occupying the object section F when the object is at the A1 position. When the object is touched at the position A1,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formed between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and the object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formed between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and the object. Accordingly,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the touch can calculate the ratio of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to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thereb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performing the touch.

오브젝트가 화살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1 핑거 패턴(11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은 감소하고, 제2 핑거 패턴(12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한다. 오브젝트가 움직여 A2 위치에 도달하면, 제1 핑거 패턴(11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에 비하여 제2 핑거 패턴(12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이 크고, 제4 핑거 패턴(14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에 비하여 제3 핑거 패턴(13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 또한, 제2 핑거 패턴(12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과 제3 핑거 패턴(13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은 비슷하다. 따라서, 오브젝트가 A2 위치에서 터치 입력을 제공하면 터치를 검출하는 검출부(미도시)는 오브젝트의 터치에 의하여 발생하는 제1 내지 제4 핑거 패턴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여 오브젝트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As the object moves along the arrow, the rate at which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occupies the cross-section F of the object decreases and the rate at which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occupies the cross-section F of the object increases. The ratio of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occupying the section F of the object is larger than the ratio of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occupying the section F of the object when the object moves to the A2 position, The ratio of the third finger pattern 130 occupying the cross section F of the object is larger than the ratio of the finger pattern 140 occupying the cross section F of the object. The ratio of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occupying the cross section F of the object and the third finger pattern 130 occupying the cross section F of the object are similar. Accordingly, when the object provides the touch input at the position A2,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the touch detects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first to fourth finger patterns generated by the touch of the object, have.

오브젝트가 화살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1 핑거 패턴(110)과 제2 핑거 패턴(12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은 감소하며, 제3 핑거 패턴(130) 및 제4 핑거 패턴(14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한다. 오브젝트가 움직여 A3 위치에 도달하면 제3 핑거 패턴(13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에 비하여 제4 핑거 패턴(14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 따라서, 오브젝트의 터치에 의하여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는 제3 핑거 패턴(130)에 비하여 제4 핑거 패턴(140)이 더 크다. 검출부(미도시)는 오브젝트의 터치에 의하여 발생하는 제3 핑거 패턴(130)과 제4 핑거 패턴(14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여 터치를 수행하는 오브젝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As the object moves along the arrow, the ratio of the first finger pattern 110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120 occupying the object section F decreases, and the third finger pattern 130 and the fourth finger pattern 120 140) occupies the cross-section (F) of the object increases. The ratio of the fourth finger pattern 140 occupying the section F of the object is larger than the ratio of the third finger pattern 130 occupying the section F of the object when the object moves to the A3 position. Therefore, the change in capacitance caused by the touch of the object is larger in the fourth finger pattern 140 than in the third finger pattern 130.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may detect the position of an object performing a touch by detecting a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third finger pattern 130 and the fourth finger pattern 140, which are generated by the touch of an object.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에서 터치를 수행하는 오브젝트가 화살표를 따라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오브젝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브젝트가 B1 위치에 있을 때, 제1 내지 제4 핑거 패턴들이 오브젝트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은 서로 비슷하다. 따라서, 오브젝트에 의하여 터치가 수행되면 제1 내지 제4 핑거 패턴과 오브젝트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커패시턴스 변화량은 모두 유사하다. 따라서, 터치를 검출하는 검출부(미도시)는 제1 내지 제4 핑거 패턴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의 비율을 연산하여 터치를 수행하는 오브젝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cting a position of an object when a touching object moves in a direction from a circumference to a center along an arrow in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 when the object is at the B1 position, the ratio of the first through fourth finger patterns occupying the object section F is similar to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touch is performed by the object, the amounts of change in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first to fourth finger patterns and the object are all similar. Therefore,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the touch can calculate the ratio of the capacitance variation of the first to fourth finger pattern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bject performing the touch.

오브젝트가 화살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1 내지 제4 핑거 패턴들이 오브젝트의 단면(F)를 차지하는 비율은 감소하고, 제5 핑거 패턴(150)과 제6 핑거 패턴(16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한다. 오브젝트가 움직여 B2 위치에 도달하면, 또한, 제1 내지 제4 핑거 패턴이 오브젝트의 단면을 차지하지 못하고, 제5 핑거 패턴(150)과 제6 핑거 패턴(160)이 서로 유사한 비율로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한다. 따라서, 오브젝트의 터치에 의하여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는 제5 핑거 패턴(150) 및 제6 핑거 패턴에서 서로 유사하다. 검출부(미도시)는 제5 핑거 패턴(150) 및 제6 핑거 패턴(160)에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하여 오브젝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As the object moves along the arrow, the ratio of the first to fourth finger patterns occupying the cross section F of the object decreases and the fifth finger pattern 150 and the sixth finger pattern 160 cross the object's cross section F ) Is increased. When the object moves to reach the B2 position, the first to fourth finger patterns do not occupy the cross section of the object, and the fifth finger pattern 150 and the sixth finger pattern 160 have a cross- (F). Therefore,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caused by the touch of the object is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fifth finger pattern 150 and the sixth finger pattern.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object by detecting a capacitance change occurring in the fifth finger pattern 150 and the sixth finger pattern 160.

오브젝트가 화살표를 따라 더 이동함에 따라 제5 핑거 패턴(150)과 제6 핑거 패턴(16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은 감소하며, 제1 부채꼴 패턴(170) 및 제2 부채꼴 패턴(18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한다. 오브젝트가 B3 위치에 도달하면 제5 핑거 패턴(150) 및 제6 핑거 패턴(160)이 오브젝트의 단면을 차지하지 못한다. 또한, 제1 부채꼴 패턴(170) 및 제2 부채꼴 패턴(18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서로 비슷하게 차지한다. 따라서, 오브젝트의 터치에 의하여 제1 부채꼴 패턴(170)과 제2 부채꼴 패턴(180)에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는 서로 비슷하다. 따라서, 검출부(미도시)는 오브젝트의 터치에 의하여 제1 부채꼴 패턴(170) 및 제2 부채꼴 패턴(180)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하여 오브젝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As the object further moves along the arrow, the ratio of the fifth finger pattern 150 and the sixth finger pattern 160 occupying the object's cross-section F decreases, and the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fan- The ratio of the object 180 occupying the cross section F of the object increases. When the object reaches the B3 position, the fifth finger pattern 150 and the sixth finger pattern 160 do not occupy the cross section of the object. Also, the first and second fan-shaped patterns 170 and 180 similarly occupy the cross-sections F of the objects. Therefore, the capacitance changes occurring in the first and second fan-shaped patterns 170 and 180 due to the touch of the object are similar to each other. Therefore,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can detect the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fan-shaped patterns 170 and 180 by touching the object, thereb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의 길이에 따른 패턴 폭의 변화가 큰 8분원 고리꼴을 이루는 패턴들과 4분원 고리꼴을 이루는 패턴들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므로, 오브젝트의 터치 좌표 및 오브젝트의 이동을 보다 높은 감도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uch input by the object is detected by using the patterns of the quadratic quadrangle and the patterns of the quadratic quadrangle having a large variation of the pattern width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attern, Can be accurately detected with a higher sensitivity.

제2 Second 실시예Example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원형 터치 패널에서 반원만 서로 다른 색으로 영역을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명확하고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only the semicircle is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in the circular touch panel for easier understanding. Hereinafter,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owever,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ciseness,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원형 기판과, 각각 원주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A 핑거들(210a, 210b, 210c)과, 원주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B 핑거들(212a, 212b, 212c)을 포함하는 제1 패턴(210)과, 각각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A 핑거들과 깍지 끼워지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핑거들(220a, 220b, 220c)을 포함하는 제2 패턴(220) 및 각각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B 핑거들과 깍지 끼워지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3 핑거들(230a, 230b, 230c)을 포함하는 제3 패턴(230)을 포함한다.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ircular substrate, a plurality of A fingers 210a, 210b, and 210c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and each disposed in a center direction around the circumference, A first pattern (210) comprising a plurality of B fingers (212a, 212b, 212c)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 a central direction, each of the first patterns (210)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nd interdigitating with A fingers A second pattern 220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fingers 220a, 220b, and 220c disposed in the center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pattern 22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terdigitating with the B fingers, And a third pattern 230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fingers 230a, 230b, and 230c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기판(Sub)은 제1 실시예와 같이 배면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유리, PET 필름일 수 있다. 기판(Sub)의 일면에는 제1 패턴(210), 제2 패턴(220), 제3 패턴(230)등의 패턴들이 형성된다. 패턴을 이루는 재질은 위의 제1 실시예와 같이 투명하고, 전도성이 있는 물질일 수 있다.The substrate Sub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r may be a glass or PET film. Patterns such as the first pattern 210, the second pattern 220, and the third pattern 230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Sub. The material forming the pattern may be a transparent and conductive material as in the first embodiment.

제1 패턴(21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A 핑거들(210a, 210b, 210c)을 포함하며, A 핑거들은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패턴(210)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B 핑거들(212a, 212b, 212c)을 포함하며, B 핑거들은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다.The first pattern 210 includes a plurality of A fingers 210a, 210b, and 210c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A fingers are disposed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periphery. The first pattern 210 includes a plurality of B fingers 212a, 212b, and 212c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nd the B fingers are disposed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periphery.

제2 패턴(220)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핑거들(220a, 220b, 220c)을 포함하며, 제2 패턴(220)의 핑거들은 제1 패턴(210)의 A 핑거들과 깍지끼워져 배치된다. 제1 패턴(210)의 A 핑거들(210a, 210b, 210c)과 제1 패턴의 핑거들(220a, 220b, 220c)은 4분원의 부분 고리꼴(215)을 이룬다. The second pattern 220 includes a plurality of fingers 220a, 220b and 220c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nd the fingers of the second pattern 220 are interdigitated with the A fingers of the first pattern 210 . The A fingers 210a, 210b and 210c of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fingers 220a, 220b and 220c of the first pattern form a quadratic subregion 215.

제3 패턴(23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핑거들(230a, 230b, 230c)를 포함하며, 제3 패턴(230)의 핑거들은 제1 패턴의 B 핑거들과 깍지끼워져 배치된다. 제1 패턴(210)의 B 핑거들(212a, 212b, 212c)과 제3 패턴의 핑거들(230a, 230b, 230c)도 4분원의 부분 고리꼴(217)을 이룬다.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이 이루는 부분 고리꼴(215), 제1 패턴(210)과 제3 패턴(230)이 이루는 부분 고리꼴(217)은 반원의 부분 고리꼴을 이룬다. The third pattern 230 includes a plurality of fingers 230a, 230b and 230c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fingers of the third pattern 230 are interleaved with the B fingers of the first pattern. The B fingers 212a, 212b and 212c of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fingers 230a, 230b and 230c of the third pattern form a quadrangle loop 217. A partial annular shape 215 formed by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second pattern 220 and a partial annular shape 217 formed by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third pattern 230 form a semi- It accomplishes.

일 실시예로, 제1 패턴(210), 제2 패턴(220) 및 제3 패턴(230)이 이루는 부분 고리꼴의 중공(中孔)내에는 제4 패턴(240), 제5 패턴(250) 및 제6 패턴(2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패턴(240)은 원주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핑거들(도면 부호 생략)과, 원주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핑거들(도면 부호 생략)을 포함한다. The fourth pattern 240, the fifth pattern 250, and the fourth pattern 250 may be formed in the hollow of the partial annulus formed by the first pattern 210, the second pattern 220, And a sixth pattern 260 may be disposed. The fourth pattern 240 includes a plurality of fingers (not show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rranged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periphery, a plurality of fingers (not shown)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Not shown).

제5 패턴(250)은 각각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A 핑거들과 깍지 끼워지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핑거들(도면 부호 생략)을 포함한다. 제4 패턴(240)과 제5 패턴(250)은 각각의 핑거가 깍지끼워져 배치되어 4분원의 부분 고리꼴(245)을 이룬다. 제6 패턴(260)은 각각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4 패턴(240)의 핑거들과 깍지 끼워지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핑거들(도면 부호 생략)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패턴과 제5 패턴이 이루는 부분 고리꼴(245)과 제4 패턴과 제6 패턴이 이루는 부분 고리꼴(247)은 반원의 부분 고리꼴을 형성한다. The fifth pattern 250 includes a plurality of fingers (not shown)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terdigitating with the A fingers and disposed in a central direction around the fingers. The fourth pattern 240 and the fifth pattern 250 are arranged in an interdigitated manner with respective fingers to form a four-part circular ring 245. The sixth pattern 260 includes a plurality of fingers (not show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terdigitating with the fingers of the fourth pattern 240 and disposed in the center direction around the fingers. As shown in the figure, the partial annular pattern 245 formed by the fourth pattern and the fifth pattern and the partial annular pattern 247 formed by the fourth pattern and the sixth pattern form a semi-circular partial annulus.

제4 패턴(240) 내지 제6 패턴(260)이 이루는 반원의 부분 고리꼴의 중공에는 제1 부채꼴 패턴(270)과 제2 부채꼴 패턴(280)등의 부채꼴 패턴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부채꼴 패턴은 도시된 바와 같이 4분원의 부채꼴 패턴일 수 있다. Fan patterns of the first fan pattern 270 and the second fan pattern 280 may be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semi-circular part of the circular pattern formed by the fourth pattern 240 to the sixth pattern 260. The fan pattern in this embodiment may be a fan pattern of four quadrants as shown in the figur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터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가 화살표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로 오브젝트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브젝트가 X1 위치에 있으면 오브젝트의 단면(F)은 제1 패턴(210)과 제3 패턴(230)이 대부분을 점유한다. 오브젝트의 단면(F) 중, 제3 패턴(230)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제1 패턴(210)이 차지하는 차지하는 면적 비율에 비하여 크므로,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3 패턴(230)에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제1 패턴(21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비하여 크다. 따라서, 오브젝트의 터치를 검출하는 검출부(미도시)는 상술한 제1 패턴(210)과 제3 패턴(23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여 오브젝트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Hereinafter, a method of detecting a touch of an object using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locating an object with a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object providing a touch input mov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an arrow. Referring to FIG. 5, when the object is at the X1 position,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third pattern 230 occupy most of the cross section F of the object. The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third pattern 230 to the area occupied by the first pattern 210 is larger than the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first pattern 210 among the object cross-sections F. Therefore,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is larger than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first pattern 210. Accordingly,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the touch of the object can detect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third pattern 230 to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bject.

오브젝트가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3 패턴(23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면적비율은 감소하고, 제1 패턴(210)이 오브젝트 단면(F)을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증가한다. 따라서, 제3 패턴(23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은 감소하고, 제1 패턴(21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증가한다.As the object moves along the arrow direction, the area ratio of the third pattern 230 occupying the cross section F of the object decreases, and the area ratio of the first pattern 210 occupying the object section F increases. Accordingly,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of the third pattern 230 decreases, and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of the first pattern 210 increases.

오브젝트가 X2 위치에 도달하면 제1 패턴(210)이 오브젝트 단면(F)의 대부분을 차지하되, 제2 패턴(220)과 제3 패턴(230)이 서로 유사한 비율로 오브젝트 단면(F)을 차지한다. 따라서,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가 이루어질 때 제1 패턴(210)에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가장 크고, 제2 패턴(220) 및 제3 패턴(230)에서 서로 유사한 정도의 커패시턴스 변화가 발생한다. 검출부(미도시)는 각 패턴에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이용하여 오브젝트가 X2에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When the object reaches the X2 position, the first pattern 210 occupies most of the object section F while the second pattern 220 and the third pattern 230 occupy the object section F at a similar ratio to each other do. Therefore, capacitance variation occurring in the first pattern 210 is largest when a touch is made by the object, and capacitance variation is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second pattern 220 and the third pattern 230.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can detect that the object is in X2 by using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in each pattern.

오브젝트가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3 패턴(230)은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지 못하고,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며, 오브젝트가 화살표 방향을 따라 X3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패턴(210)에 비하여 제2 패턴(220)이 오브젝트의 단면(F)을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증가한다. 따라서, 검출부는 커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하여 오브젝트가 화살표를 따라 이동하고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 As the object moves along the arrow direction, the third pattern 230 does not occupy the cross-section F of the object, and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second pattern 220 occupy the cross-section F of the object The area ratio of the second pattern 220 occupying the cross section F of the object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pattern 210 as the object moves to the X3 position along the arrow direction. Therefore, the detecting unit can detect the capacitance change and detect that the object is moving along the arrow.

오브젝트가 X3 위치에 도달하면 제2 패턴(220)이 오브젝트 단면(F)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오브젝트가 터치를 수행하면 제2 패턴(22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제1 패턴(21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비하여 크다. 검출부(미도시)는 제1 패턴(21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과 제2 패턴(22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의 비율을 연산하여 오브젝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The second pattern 220 occupies most of the object section F when the object reaches the X3 position. Accordingly, when the object touches,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of the second pattern 220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of the first pattern 210.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object by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capacitance variation of the first pattern 210 to the capacitance variation of the second pattern 220.

도 6은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가 화살표를 따라 둘레에서 중심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로 오브젝트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가 Y1 위치에 있을 때 오브젝트의 단면은 제1 패턴(210)과 제3 패턴(230)이 비슷한 비율로 차지한다. 따라서,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가 이루어질 때 검출부(미도시) 제1 패턴(210)과 제3 패턴(230)에서 동일한 정도로 커패시턴스 증가를 검출한다. 따라서, 오브젝트는 제1 패턴(210)과 제3 패턴(230)에서의 커패시턴스 증가량을 검출하여 오브젝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locating an object with a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object providing a touch input is moved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along the arrow. Referring to FIG. 6, when the object is at the Y1 pos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object occupies a similar ratio between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third pattern 230. Accordingly, when a touch is made by the object, the increase in capacitance is detected to the same degree in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third pattern 230 of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Accordingly, the object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object by detecting the amount of capacitance increase in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third pattern 230.

오브젝트가 화살표를 따라 중심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패턴(210)과 제3 패턴(230)이 오브젝트 단면을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감소하고, 제4 패턴(240)과 제6 패턴(260)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한다. 오브젝트가 Y2 위치에 도달하면 오브젝트의 단면은 제4 패턴(240)과 제6 패턴(260)이 비슷한 비율로 점유한다. 따라서, 오브젝트가 Y2 를 터치하면 검출부(미도시)는 제4 패턴(24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과 제6 패턴(26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의 비율을 연산하여 오브젝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The ratio of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third pattern 230 occupying the object section gradually decreases as the object moves in the center direction along the arrow and the fourth pattern 240 and the sixth pattern 260 occupy The ratio gradually increases. When the object reaches the Y2 pos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object occupies the fourth pattern 240 and the sixth pattern 260 in a similar ratio. Accordingly, when the object touches Y2, the detecting unit (not shown)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object by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of the fourth pattern 240 to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of the sixth pattern 260. [

오브젝트가 화살표를 따라 더 중심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4 패턴(240)과 제6 패턴(260)이 오브젝트 단면을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감소하고, 제1 부채꼴 패턴(270)과 제2 부채꼴 패턴(280)이 오브젝트 단면을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한다. 오브젝트가 Y3 위치에 도달하면 오브젝트의 단면은 제1 부채꼴 패턴(270)과 제2 부채꼴 패턴(280)이 비슷한 비율로 점유한다. 따라서,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1 부채꼴 패턴(270)과 제2 부채꼴 패턴(280)에서의 커패시턴스 증가량은 서로 유시하다. 검출부(미도시)는 제1 부채꼴 패턴(270)과 제2 부채꼴 패턴(290)에서의 커패시턴스 증가량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The ratio of the fourth pattern 240 and the sixth pattern 260 occupying the object section gradually decreases as the object moves toward the center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the ratio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n patterns 270 and 280 ) Occupies a cross section of the object gradually increases. When the object reaches the Y3 pos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object occupies a similar ratio of the first fan pattern 270 and the second fan pattern 280. [ Accordingly, when the object is touched, the amount of capacitance increase in the first and second fan-shaped patterns 270 and 280 is constant.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object using the capacitance increase amount in the first and second fan-shaped patterns 270 and 290.

본 실시예에 의하면 두 개의 부채꼴 패턴과 제1 내지 제6 패턴의 총 8개의 패턴을 이용하여 반원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패턴에 연결되어야 하는 배선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없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원형 패널에서 터치를 감지할 수 없는 부분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touch on the semicircular area can be detected using a total of eight patterns of two fan-shaped patterns and first through sixth patterns. Therefore, the number of wirings to be connected to each pattern can be reduce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rea where a touch-sensitive pattern can not be formed in order to form a wiring, thereby reducing the area of a portion where the touch can not be detected in the circular panel.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기술과 달리 팔분원, 사분원 또는 반원의 부분 고리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턴들을 이용하여 원형 패널의 둘레에서의 터치를 검출하므로 터치를 검출할 수 없는 부분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prior art, since the touch on the periphery of the circular panel is detected by using a plurality of patterns forming a partial circle of an octree circle, a quadrant circle or a semicircle,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touch can not be detected is reduced The advantage is provided.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실시를 위한 실시예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0: 제1 핑거 패턴 110a, 110b, 110c: 제1 핑거들
120: 제2 핑거 패턴 120a, 120b, 120c: 제2 핑거들
115: 제1 핑거 패턴과 제2 핑거 패턴이 이루는 부분 고리꼴
130: 제3 핑거 패턴 140: 제4 핑거 패턴
155: 제3 핑거 패턴 및 제4 핑거 패턴이 이루는 8분원 부분 고리꼴
150: 제5 핑거 패턴 160: 제6 핑거 패턴
180: 제1 부채꼴 패턴 및 제2 부채꼴 패턴
210: 제1 패턴 210a, 210b, 210c: A 핑거들
212a, 212b, 212c: B 핑거들 220: 제2 패턴
230: 제3 패턴 230a, 230b, 230c: 제3 핑거들
215: 제1 패턴과 제2 패턴이 이루는 부분 고리꼴
217: 제1 패턴과 제3 패턴이 이루는 부분 고리꼴
240: 제4 패턴 250: 제5 패턴
245: 제4 패턴과 제5 패턴이 이루는 4분원의 부분 고리꼴
247: 제4 패턴과 제6 패턴이 이루는 4분원의 부분 고리꼴
F: 오브젝트 단면
110: first finger pattern 110a, 110b, 110c: first finger
120: second finger pattern 120a, 120b, 120c: second finger
115: a portion of the first finger pattern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130: Third finger pattern 140: Fourth finger pattern
155: 8-branch portion ring formed by the third finger pattern and the fourth finger pattern
150: fifth finger pattern 160: sixth finger pattern
180: 1st sector pattern and 2nd sector pattern
210: first pattern 210a, 210b, 210c: A fingers
212a, 212b, 212c: B fingers 220: second pattern
230: third pattern 230a, 230b, 230c: third fingers
215: part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217: part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third pattern
240: fourth pattern 250: fifth pattern
245: a quadrant of the fourth pattern formed by the fourth pattern and the fifth pattern
247: Four-part circle formed by the fourth pattern and the sixth pattern
F: object section

Claims (13)

원형 기판;
상기 원형 기판의 둘레에서 중심 방향으로 배치되며 원주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핑거들을 포함하는 제1 핑거 패턴 및
상기 원형 기판의 둘레에서 중심 방향으로 배치되며 원주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핑거들과 서로 깍지 끼워져(interdigitated) 배치된 복수의 제2 핑거들을 포함하는 제2 핑거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핑거 패턴과 상기 제2 핑거 패턴은 부분 고리꼴(annular sector shape)을 이루고,
상기 제1 핑거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폭이 감소하고,
상기 제2 핑거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폭이 감소하며,
상기 제1 핑거 패턴과 상기 제2 핑거 패턴이 이루는 상기 부분 고리꼴은 8분원의 부분 고리꼴인 터치 패널.
Circular substrate;
A first finger pattern disposed in a center direction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substrat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finger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long a circumference,
And a second finger pattern disposed in a central direction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substrate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fingers interdigitated with the first fingers,
Wherein the first finger pattern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form an annular sector shape,
The first fingers are reduced in width as the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fingers are reduced in width as the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partial ring-shaped portion formed by the first finger pattern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is a partial annular shape of an 8-minute cir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원형 기판의 둘레에서 중심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3 핑거들을 포함하는 제3 핑거 패턴 및
상기 제3 핑거들과 서로 깍지 끼워져 배치된 복수의 제4 핑거들을 포함하는 제4 핑거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핑거 패턴과 상기 제4 핑거 패턴은 8분원의 부분 고리꼴(annular sector shape)을 이루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panel includes:
A third finger pattern comprising a plurality of third fingers centered about the periphery of the circular substrate, and
And a fourth finger pattern including a plurality of fourth fingers interleaved with the third fingers,
Wherein the third finger pattern and the fourth finger pattern form an eight-circle annular sector sha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핑거 패턴과 상기 제2 핑거 패턴이 이루는 부분 고리꼴은 8분원의 부분 고리꼴로,
상기 제1 핑거 패턴과 상기 제2 핑거 패턴이 이루는 8분원의 부분 고리꼴과 상기 제3 핑거 패턴과 상기 제4 핑거 패턴이 이루는 8분원의 부분 고리꼴은 4분원의 부분 고리꼴을 이루는 터치 패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artial ring-shaped part formed by the first finger pattern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is a partial annulus of 8-
The 8-branch partial ring formed by the first finger pattern and the second finger pattern and the 8-branch partial ring formed by the third finger pattern and the fourth finger pattern form a fou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부분 고리꼴의 중앙에 위치하는 부채꼴 패턴을 더 포함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panel includes:
And a fan pattern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partial annulu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 패턴은 상기 부분 고리꼴의 중심원을 n등분한 부채꼴인 터치 패널(n은 자연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an pattern is a fan-shaped touch panel (n is a natural number) divided into n equal centers of the center circle of the partial ring.
원형 기판;
각각 원주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A 핑거들과, 원주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B 핑거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A 핑거들과 깍지 끼워지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핑거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 및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B핑거들과 깍지 끼워지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3 핑거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3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 제2 패턴 및 제3 패턴은 부분 고리꼴을 형성하는 터치 패널.
Circular substrate;
A plurality of A finger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long a circumference and each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long a circumference and a plurality of B fingers arranged in a center direction around the circumference, pattern;
A second pattern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fingers each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terdigitated with the A fingers and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center direction,
And a third pattern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finger patterns each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terdigitated with the B fingers and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center direction,
Wherein the first pattern, the second pattern, and the third pattern form a partial annulu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사분원의 부분 고리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3 패턴은 사분원의 부분 고리꼴을 형성하는 터치 패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form a partial annulus of a quadrature,
Wherein the first pattern and the third pattern form a partial ring of quadran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상기 제2 패턴 및 상기 제3 패턴은 반원의 부분 고리꼴을 형성하는 터치 패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pattern, the second pattern, and the third pattern form a partial annulus of a semicir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각각의 제1a 핑거 패턴이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a 핑거 패턴들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각각의 제2a 핑거 패턴이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a 핑거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a 패턴;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a 핑거 패턴들과 깍지 끼워지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a 핑거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2a 패턴 및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a 핑거 패턴들과 깍지 끼워지며, 둘레에서 중심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3a 핑거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3a 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a 패턴, 상기 제2a 패턴 및 상기 제3a 패턴은 부분 고리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패턴, 상기 제2 패턴 및 상기 제3 패턴이 형성하는 부분 고리꼴의 중공(中孔)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ouch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finger finger patterns each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rranged in a center direction around the finger finger patterns, and a plurality of finger finger pattern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r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 / RTI > 1a pattern comprising a plurality of 2a finger patterns;
A second pattern, each of the second finger pattern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terlaid with the first finger patterns,
Further comprising a third 3a pattern each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terspersed with the 2a finger patterns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3a finger patterns arranged in a central direction about the periphery,
Wherein the first pattern, the second pattern, and the third pattern form a partial annulus, and the first pattern, the second pattern, and the third pattern are formed in a partial annular hollow formed by the first pattern, Touch pan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제1a패턴, 상기 제2a 패턴 및 상기 제3a 패턴이 형성하는 부분 고리꼴의 중공(中孔)에 위치하는 부채꼴 패턴을 더 포함하는 터치 패널.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ouch panel
Further comprising a fan pattern positioned in a partial annular hollow formed by the pattern (1a), the pattern (2a), and the pattern (3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 패턴은 상기 부분 고리꼴의 중심원을 n등분한 부채꼴인 터치 패널(n은 자연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an pattern is a fan-shaped touch panel (n is a natural number) divided into n equal centers of the center circle of the partial ring.

KR1020150103229A 2015-07-21 2015-07-21 Circle Shape Touch Panel KR1017674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229A KR101767461B1 (en) 2015-07-21 2015-07-21 Circle Shape Touch Panel
PCT/KR2016/004859 WO2017014417A1 (en) 2015-07-21 2016-05-10 Circular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229A KR101767461B1 (en) 2015-07-21 2015-07-21 Circle Shape Touch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168A KR20170011168A (en) 2017-02-02
KR101767461B1 true KR101767461B1 (en) 2017-08-23

Family

ID=5783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229A KR101767461B1 (en) 2015-07-21 2015-07-21 Circle Shape Touch Pane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7461B1 (en)
WO (1) WO201701441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0944B2 (en) 2020-04-08 2022-05-03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5968A (en) * 2012-11-08 2014-05-22 Kyocera Display Corp Touch panel device
KR101452301B1 (en) * 2013-07-29 2014-10-22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sensor pan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10926U (en) * 2011-03-23 2011-09-01 Derlead Invest Ltd Projected capacitive touch control panel
KR101169250B1 (en) * 2012-05-02 2012-08-0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A improved touch location sensor panel having one-layered structure
KR101433052B1 (en) * 2012-10-05 2014-08-25 주식회사 지니틱스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5968A (en) * 2012-11-08 2014-05-22 Kyocera Display Corp Touch panel device
KR101452301B1 (en) * 2013-07-29 2014-10-22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sensor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0944B2 (en) 2020-04-08 2022-05-03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4417A1 (en) 2017-01-26
KR20170011168A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5313B2 (en)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touches of different sized conductive objects on capacitive buttons
US92563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s of touches on a touch sensor
US9128543B2 (en) Touch pad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n input object on the device using capacitive coupling
US20160196003A1 (en) Touch input device
JP6074408B2 (en) Touch sensitive screen
TWI537804B (en) Capacitive touch panel
US20120098760A1 (en) Touch sensitive electronic device
US20140035864A1 (en) Capacitive touch-control panel and apparatus thereof
US9152285B2 (en) Position detection of an object within proximity of a touch sensor
US20130088448A1 (en) Touch screen panel
TW201131449A (en) Single layer capacitance touch device
US9740330B2 (en) Touch sensor
US20080273017A1 (en) Touchpad using a combination of touchdown and radial movements to provide control signals
US9134870B2 (en) Capacitive touch-sensitive pane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60139727A1 (en) Touch screen panel
US20140292708A1 (en) Touchscreen apparatus
KR20160117719A (en) Touch sensor device
KR1013886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touch input
CN206236055U (en) Touch induction device and its touch control device
US20120218220A1 (en) Switching and polling type capacitive touch method and wrist device applying the same
US20150248178A1 (en) Touchscreen appa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KR101767461B1 (en) Circle Shape Touch Panel
CN102419654B (en) Wiring structure of induction layer
CN102331892A (en) Capacitive touch screen
KR20150028646A (en) Touchscreen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