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516B1 - Multipurpose sink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s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516B1
KR101765516B1 KR1020160049455A KR20160049455A KR101765516B1 KR 101765516 B1 KR101765516 B1 KR 101765516B1 KR 1020160049455 A KR1020160049455 A KR 1020160049455A KR 20160049455 A KR20160049455 A KR 20160049455A KR 101765516 B1 KR101765516 B1 KR 101765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sink ball
plate
upper pl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필현
신선이
Original Assignee
계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5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5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2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combined with outlet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ink capable of detaching a sink bowl from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sink comprises a main body to include a casing which includes an upper plate, and a sink bowl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s a drain. The sink bowl includes: a short protrusion provided at an outer surface of the sink bowl; a withdrawing handle grip provided at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being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 filter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a drain. The main body includes: a multipurpose plate coupled to the casing and provided to cover the upper plate; a sink bowl accommodating unit which is provided at the upper plate and has a space in which the sink bowl is accommodated; a short protrusion provided at an upper plate so that the short protrusion of the sink bowl is caught; and a drain connector which is provided at a floor of the sink bowl accommodating unit, which has a larger opening than the drain, which has an upper side which is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ink bowl when the sink bowl and the upper plate of the casing are coupled, and includes a drain connecting unit to have a lower side connected with a drain tube.

Description

다용도 싱크대{MULTIPURPOSE SINK}Multi-purpose sink {MULTIPURPOSE SINK}

본 발명은 다용도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싱크대를 선반으로 활용활 수 있으며, 선반으로 사용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i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nk capable of utilizing a sink as a shelf and providing a pleasant environment when used as a shelf.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캠핑카를 이용하여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캠핑카는 공간의 제약이 많기 때문에, 작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1인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소형화 된 방이 늘어나면서, 위와 같은 효율적 공간의 활용은 그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Recently, as the quality of life has improved, more and more people are enjoying trips using campervans. Since the space of the camper is limited, there is a possibility to utilize the small space efficiently. In addition, with the increase in the size of a single room, the use of such an efficient space is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싱크대는 일반적으로 식기류 또는 음식물의 세척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싱크볼(sink bowl)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싱크대는 일반적인 책상이나 식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싱크볼로 인하여 다른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싱크대를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면, 보다 효율적인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다.The sink is generally used for washing dishes or food, and includes a sink bowl. Although such a sink is a size that can be utilized as a general desk or a dining table, it is not utilized for other purposes due to the sink ball. Therefore, if the sink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a more efficient space can be utilized.

등록실용신안 제20-0466400호에는 싱크대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싱크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고정형 상판 및 개폐형 상판을 포함한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개시된 다용도 싱크대는 개폐형 상판을 개방할 경우 식기류 및 음식물 세척의 용도로서 사용이 가능하고, 개폐형 상판을 폐쇄할 경우 테이블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66400 discloses a versatile sink capable of utilizing a sink in a versatile manner.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includes a fixed top plate and an openable top plate. The multi-purpose sink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utility model can be used as a tableware and food washing appliance when the openable top plate is opened, and can be used as a table when closing the openable top plate.

한편, 싱크대의 상판에는 식기류나 조리도구가 놓이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싱크볼에는 세척이 필요한 식기류가 방치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dishes and cooking utensils are frequently placed on the top of the sink. Also, there is a case where a dishware requiring washing is left in the sink ball.

위와 같은 경우, 상기 등록실용신안에서는 개방형 상판을 폐쇄하기 위해 싱크대 상판에 놓은 식기류나 조리도구를 치워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싱크볼에 적재된 미세척 식기류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이 들 수 있다.In such a case, it is inconvenient to remove the utensils and the cooking utensil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in order to close the open top plate. In addition,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due to the odor generated from the unpolished dishes loaded on the sink ball.

이에 본 발명은 싱크대 상판의 정리가 용이하며, 싱크볼의 분리가 가능한 싱크대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nk capable of easily arranging a sink top plate and separating a sink ball.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싱크대는, 상판을 포함한 케이싱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배수구가 마련된 싱크볼을 포함하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싱크볼은 상기 싱크볼의 외면에 마련된 단턱; 상기 싱크볼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마련된 인출 손잡이; 및 상기 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름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다용도 판; 상기 상판에 마련되며, 상기 싱크볼이 수용될 공간을 갖는 싱크볼 수용부; 및 상기 상판에 마련되며, 상기 싱크볼의 단턱이 걸리도록 마련된 단턱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싱크볼 수용부 바닥에 마련되며, 상기 배수구의 크기보다 큰 개구를 갖고, 상기 싱크볼과 상기 케이싱 상판의 결합시 상측이 상기 싱크볼 외면에 접촉되고, 하측이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는 배수관 연결부를 갖는 배수관 연결체;를 포함한다.A multi-purpos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casing including an upper plate, and a sinkball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drain hole, the sinkball having a step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inkball; A pull-out handle provided at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sink ball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 filtering cha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drain port. Wherein the main body comprises: a multi-purpose plate coupled to the casing and configured to cover the top plate; A sink ball rece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sink ball; And a stepped lock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late, the stepped locking part being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ink ball receiving part and having an opening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rain hole, wherein the coupling between the sink ball and the casing upper plate And a drain pipe connector having a drain pipe connection part in which the upp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ink ball and the lower side is in connection with the drain pipe.

또한, 상기 배수관 연결체는 연결체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 도어는 상기 배수관 연결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되, 외력이 없을 경우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거름통의 삽입으로 인해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Also, the drain pipe connector may include a connecting body door, and the connecting body door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drain pipe connector, maintain a closed state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

또한, 상기 다용도 판은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결합하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슬라이더; 및 실린더 형태의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더는 통과시키되, 상기 회전부는 통과시키지 않도록 마련된 슬라이딩 홈;을 포함한다.The multi-purpose plate may include a slider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the slider being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lider; And a cylinder-shaped rotating part,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sliding groove that allows the slider to pass therethrough but does not allow the rotating part to pass therethrough.

한편, 상기 다용도 판은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에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상판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multi-purpose plate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casing, and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top plate of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다용도 판은 상기 다용도 판이 상기 상판을 덮지 않으면서 지면과 수평하게 놓인 경우 상기 지면과 상기 다용도 판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The multi-purpos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multi-purpose plate between the ground and the multi-purpose plate when the multi-purpose plate is plac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without covering the top pl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싱크대는, 상판을 포함한 케이싱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배수구가 마련된 싱크볼을 포함하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싱크볼은 상기 싱크볼의 외면에 마련된 단턱; 상기 싱크볼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마련된 인출 손잡이; 및 상기 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름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상판에 마련되며, 상기 싱크볼이 수용될 공간을 갖는 싱크볼 수용부; 상기 상판에 마련되며, 상기 싱크볼의 단턱이 걸리도록 마련된 단턱 걸림부; 및 상기 단턱 걸림부의 상부에서 상기 상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싱크볼 수용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슬라이딩 판;을 포함하고, 상기 싱크볼 수용부 바닥에 마련되며, 상기 배수구의 크기보다 큰 개구를 갖고, 상기 싱크볼과 상기 케이싱 상판의 결합시 상측이 상기 싱크볼 외면에 접촉되고, 하측이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는 배수관 연결부를 갖는 배수관 연결체;를 포함한다.A multi-purpose si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casing including a top plate, and a sinkball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drain hole, the sinkball having a step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inkball, ; A pull-out handle provided at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sink ball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 filtering cha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drain port.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nd includes a sink ball receiving portion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sink ball; A stepped hook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nd provided so as to catch the step of the sink ball; And a sliding plate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epped portion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sliding plat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and has an opening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rain hole And a drain pipe connection part having an upper side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ink ball when the sink ball is engaged with the casing upper plate and a drain pipe connecting part having a lower sid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또한, 상기 배수관 연결체는 연결체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 도어는 상기 배수관 연결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되, 외력이 없을 경우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거름통의 삽입으로 인해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Also, the drain pipe connector may include a connecting body door, and the connecting body door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drain pipe connector, maintain a closed state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

본 발명에 의하면, 싱크볼이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싱크대를 테이블로 사용할 경우 싱크볼에 적재된 미세척 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겪지 않고 쾌적한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nk ball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when the user uses the sink as a table, the user can enjoy comfortable use without experiencing the odor generated from the un-cleaned container loaded on the sink bal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싱크볼의 분리 후에도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after the sink ball is separated, the odor generated from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main body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용도 판의 공간활용성이 높아지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ace utilization of the multipurpose plate is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싱크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싱크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싱크대의 다목적 판이 상판을 덮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다용도 싱크대의 뒷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싱크볼과 싱크볼 수용부와 거름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싱크대에서, 거름통에 의해 연결체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거름통에 의해 연결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다용도 판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싱크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sink shown i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board of the multi-purpose sink shown in FIG. 1 is covered with the top plat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the multipurpose sink shown in Fig.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sink ball,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and the sewing thread shown in FIG. 2. FIG.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opening a connecting body door by a filtering cylinder in a multi-purpos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door is opened by the filter box shown in FIG. 6 from another angl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multi-purpose plate shown i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plate shown in FIG. 8 is clos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si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싱크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ultipurpos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used herein are not to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싱크대(100)는 싱크대의 용도 변경이 용이하고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다용도 판(150)과, 싱크볼(140)을 포함한다.1 to 3, a multi-purpose sin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multi-purpose plate 150, And a sink ball 140.

상기 싱크볼(140)은 식기류의 세척을 위한 볼(bowl)로서, 상기 본체(110)의 상판(1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싱크볼(140)은 단턱(141)과 인출 손잡이(143)를 포함한다.The sink ball 140 is a bowl for washing dishes,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plate 120 of the main body 110. To this end, the sink ball 140 includes a step 141 and a pull handle 143.

상기 단턱(141)은 상기 싱크볼(140)의 외면에 마련된다. 상기 단턱(141)은 상기 싱크볼(140)이 상기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싱크볼(140)의 외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단턱(141)과 상기 본체(110)의 접촉 면적이 넓을 수록 싱크볼(140)을 지지하는 힘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단턱(141)은 상기 싱크볼(140)의 외면 일부에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단턱(141)이 상기 싱크볼(140)의 외면 일부에 마련된 경우, 싱크볼(140)은 지지하는 힘은 작아질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제작이 용이해 지는 장점이 있다.The step 14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nk ball 140.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141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ink ball 140 so that the sink ball 140 can be fixed to the main body 110. This is because the greater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tep 141 and the main body 110, the greater the force for supporting the sink ball 140. Alternatively, the step 141 may be provid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nk ball 140. When the step 141 is provid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nk ball 140,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ink ball 140 can be reduced, but the manufacturing is relatively easy.

상기 인출 손잡이(143)는 상기 본체(110)로부터 상기 싱크볼(14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싱크볼(140)이 상기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마련된다. 따라서 싱크볼(140)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단턱(141)에 마련될 수도 있다. The drawer handle 143 is provided to facilitate withdrawing of the sinkball 140 from the main body 110. The drawball handle 143 is disposed at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sinkball 14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 Therefore, it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nk ball 140 or on the step 141.

한편, 상기 싱크볼(140)은 식기류의 세척을 위한 것이므로 배수를 위한 배수구(14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145)에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통(16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Meanwhile, since the sink ball 140 is for washing dishes, a drain port 145 for draining water is provided. The drain hole 145 is detachably coupled to a filtering cylinder 160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상기 본체(110)는 상판(120)을 포함한 케이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는 다용도 판(150)과, 싱크볼 수용부(130)와, 단턱 걸림부(131)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110 includes a casing including the upper plate 120 and includes a multi-purpose plate 150 coupled to the casing, a sink ball receiving portion 130, and a step-

상기 다용도 판(150)은 상기 본체(110)의 상판(120)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싱크대의 상판(120)을 상기 다용도 판(150)으로 덮게 되면, 사용자는 싱크대를 테이블이나 책상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multi-purpose plate 150 is provided to cover the top plate 120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upper plate 120 of the sink is covered with the multi-purpose plate 150, the user can use the sink for other purposes such as a table or a desk.

여기서 상기 다용도 판(1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결합하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슬라이더(151) 및 실린더 형태의 회전부(153)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110)는 상기 슬라이더(151)는 통과시키되, 상기 회전부(153)는 통과시키지 않도록 마련된 슬라이딩 홈(121)을 갖도록 마련된다. 사용자는 상기 다용도 판(150)의 회전부(153)가 상기 슬라이딩 홈(121)에 걸릴때까지 상기 다용도 판(150)을 인출한 후에, 상기 회전부(153)를 이용해 상기 다용도 판(150)을 회전시켜 상기 상판(120)을 덮게 된다. 이와 같이 마련된 본체(110)와 다용도 판(150)으로 인해 사용자는 싱크대가 설치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싱크대의 용도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multi-purpose plate 150 may include a slider 151 and a cylinder-shaped rotation unit 153, which ar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sliding groove 121 through which the slider 151 passes but does not allow the rotating part 153 to pass through. The user rotates the multipurpose plate 150 using the rotation unit 153 after drawing the multipurpose plate 150 until the rotation part 153 of the multipurpose plate 150 is caught in the sliding groove 121, Thereby covering the upper plate 120. With the main body 110 and the multi-purpose plate 150 thus provided, the user can efficiently use the space where the sink is installed, and can easily change the use of the sink.

위와 달리, 상기 다용도 판(150)은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에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110)의 상기 상판(120)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용도 판(150)이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서 힌지로 결합하기 때문에, 다용도 판(150)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진다. Alternatively, the multi-purpose plate 150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casing and may cover the top plate 120 of the main body 110. In this case, since the multi-purpose plate 150 is hinged at the side surface of the casing,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multi-purpose plate 150 is facilitated.

상기 단턱 걸림부(131)는 상기 싱크볼(140)의 단턱(141)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판(120)에 마련된다. The stepped latching part 131 is for supporting the step 141 of the sink ball 140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plate 12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싱크볼(140)이 상기 본체(110)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싱크볼(140)의 단턱(141)이 상기 단턱 걸림부(131)에 의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싱크볼(140)이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단턱 걸림부(13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싱크볼(14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 때 싱크볼(140)의 고정을 견고히 하기 위해 상기 단턱 걸림부(131)와 상기 단턱(141) 사이에는 추가적인 체결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5, when the sink ball 14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he step 141 of the sink ball 140 is caught by the step-joint portion 131. Therefore, the sink ball 140 can not be inserted any more and is supported by the stepped stopper 131, thereby completing the connection of the sink ball 140. At this time, additional fastening mean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tepped latching portion 131 and the stepped portion 141 to secure the fixing of the sink ball 140.

상기 싱크볼 수용부(130)는 상기 싱크볼(140)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판(120)에 마련된다.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130 is for receiving the sink ball 140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plate 120.

상기 싱크볼 수용부(130)는 상기 싱크볼(140)이 상기 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줌과 동시에 상기 싱크볼(140)의 이탈시 물건들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된다. 싱크대의 상판(120)은 조리도구나 식기류 등이 놓여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다용도 판(150)으로 상기 상판(120)을 덮기 위해서는 상기 상판(120)에 놓인 물건들을 따로 치워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마련된 싱크볼 수용부(130)로 인해 사용자는 싱크대의 상판(120)에 놓인 물건을 정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싱크볼 수용부(130)는 상기 싱크볼(140)이 상기 상판(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볼(140)의 외면에 맞닿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싱크볼 수용부(130)는 싱크볼(140)을 2차적으로 지지하게 되면서, 싱크볼(14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sink ball receiver 13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sink ball 140 can be coupled with the main body 110 and serves as a space for accommodating objects when the sink ball 140 is released. Since the upper plate 120 of the sink usually has cooking utensils or tableware placed thereon,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the objects placed on the upper plate 120 in order to cover the upper plate 120 with the multi-purpose plate 150 Lt; / RTI > However, since the sink ball storage unit 13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arrange the objects placed on the upper plate 120 of the sink.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130 may be provided to abut the outer surface of the sink ball 140 in a state where the sink ball 140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120. The sink ball receiving unit 130 thus provided secondarily supports the sink ball 140, so that the sink ball 140 can be firmly fixed.

한편, 상기 싱크볼 수용부(130)는 배수관 연결체(17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관 연결체(170)는 싱크볼 수용부(130) 바닥에 마련되며, 상기 배수구(145)의 크기보다 큰 개구를 갖고, 상기 싱크볼(140)과 상기 본체(110)의 결합시 상측이 상기 싱크볼(140) 외면에 접촉되고, 하측이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는 배수관 연결부(173)를 갖는다.Meanwhile, the sink ball receiver 130 includes a drain pipe connector 170. The drain pipe connector 17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130 and has an opening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rain hole 145. When the sink ball 140 and the main body 110 are coupled, And a drain pipe connection portion 17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pipe 140 and the lower side can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일반적인 싱크대는 싱크볼(140)에 배수관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배수관이 싱크볼(140)에 직접 연결되어 있게 되면 싱크볼(140)을 쉽게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싱크대(100)는 위와 같이 마련된 상기 배수관 연결체(170)로 인해 싱크볼(140)과 배수관이 직접 연결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지 싱크볼(140)을 들어 올림으로써 싱크볼(140)과 본체(11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the general sink, a drain pip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ink ball 140. However, when the drain pip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ink ball 140, the sink ball 140 can not be easily separ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multi-purpose sin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 ball 140 and the drain pipe are indirectly connected without being directly connected by the drain pipe connector 170 provided as above. Thus, the user can separate the sink ball 140 and the main body 110 by simply raising the sink ball 140. [

한편, 싱크볼(140)을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싱크볼 수용부(130)와 함께 배수관 연결체(170)가 노출되게 된다. 그런데 배수관 연결체(170)에는 배수관이 연결되어 있어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싱크볼 수용부(130)에 물건을 수납할 경우 배수관 연결체(170)를 통해 배수관으로 물건이 빠질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ink ball 14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the drain pipe connector 170 is exposed together with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130. However, since a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connector 170, odor may be generated from the drain pipe. In addition, when an object is received in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130, the objec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connector 170 through the drain pipe.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 연결체(170)는 연결체 도어(171)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체 도어(171)는 상기 배수관 연결체(170)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되, 외력이 없을 경우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거름통(160)의 삽입으로 인해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s shown in FIGS. 6 to 7, the drain pipe connector 170 includes a connecting body door 171. The connecting body door 171 is provided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drain pipe connector 170 and to be kept closed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and to be opened by insertion of the filtering pipe 160.

위와 같이 마련된 상기 배수관 연결체(170)는 상기 싱크볼(140)이 분리되어 있을 경우 연결체 도어(171)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싱크볼(140)이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고, 상기 싱크볼(140)의 배수구(145)를 통해 상기 거름통(160)이 끼워지게 되면, 상기 연결체 도어(171)가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싱크볼(140)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관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악취가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싱크볼 수용부(130)에 물건이 놓이는 경우에도 상기 배수관으로 물건이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The drain pipe connector 17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body door 171 is closed when the sink ball 140 is separated. When the sink ball 14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nd the filtering cylinder 160 is inserted through the drain port 145 of the sink ball 140, the connecting body door 171 is opened. Therefore,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is not exposed in a state where the sink ball 140 is separated, so that the odor is prevented from leaking out. Also, even when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130 is placed in the sink hole, it is prevented that the object is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싱크대(100)는 싱크볼(140)을 인출한 상태에서 상판(120)을 다용도 판(150)으로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사용자는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싱크대(100)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sin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upper plate 120 with the multi-purpose plate 150 in a state in which the sink ball 140 is drawn out. Accordingly, the user can utilize the narrow space efficiently and at the same time, the sink 100 can be used comfortably.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다용도 판(150) 역시 상기 싱크대(100)가 본래의 용도로 사용되는 중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다용도 판(15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용도 판(150)이 상기 상판(120)을 덮지 않으면서 지면과 수평하게 놓인 상태에서 상기 지면과 상기 다용도 판(150)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152)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plate 150 can also be utilized while the sink 100 is used for its original purpose. 8 and 9, the multi-purpose plate 150 is placed on the ground and the multi-purpose plate 150 in a state in which the multi- 150)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52) and the support portion (152).

위와 같이 마련된 상기 다용도 판(150)은 상기 다용도 판(150)이 상기 상판(120)을 덮지 않을 때, 즉 상기 싱크대(100)가 본래의 용도로 사용될 경우 상기 지지부(152)에 의해 지면과 수평하게 놓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부(152)의 높이에 따라 상기 다용도 판(150)은 의자, 책상 또는 좌식 책상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multi-purpose plate 150 does not cover the upper plate 120, that is, when the sink 100 is used for its original purpose, the multi-purpose plate 150 is horizontally . At this time, the multi-purpose plate 150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chair, a desk, or a left-handed desk,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upport 152.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싱크대(2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ulti-purpose sink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a description of the par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싱크대(200)는 슬라이딩 판(250)을 포함한다.10, the multi-purpose sink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ing plate 250. As shown in FIG.

상기 슬라이딩 판(250)은 전술한 다용도 판(150)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단턱 걸림부(231)의 상부에서 상기 상판(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싱크볼 수용부(23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sliding plate 250 is provided in place of the versatile plate 150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220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epped latching portion 231, .

위와 같이 마련된 다용도 싱크대(200)는 상판(220)을 전부 또는 일부 덮도록 마련된 경우와 달리 싱크볼 수용부(230)만을 덮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싱크볼 수용부(230)의 개폐가 훨씬 용이해지는 장점이 생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판(250)은 싱크대의 크기에 따라 하나의 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multi-purpose sink 200 is provided so as to cover only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230, unlike the case where the entirety or part of the upper plate 220 is covered.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opening and closing of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230 is much easier tha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liding plate 250 may be formed of one plate or two plat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ink.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except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200: 다용도 싱크대 110, 210: 본체
120: 상판 121: 슬라이딩 홈
130, 230: 싱크볼 수용부 131, 231: 단턱 걸림부
140, 240: 싱크볼 141: 단턱
143: 인출 손잡이 150: 다용도 판
151: 슬라이더 152: 지지부
160: 거름통 170: 배수관 연결체
171: 연결체 도어 173: 배수관 연결부
250: 슬라이딩 판
100, 200: multipurpose sink 110, 210:
120: upper plate 121: sliding groove
130, 230: sink ball receiving portion 131, 231:
140, 240: sink ball 141:
143: drawing handle 150: multi-purpose plate
151: slider 152:
160: drain pipe 170: drain pipe connector
171: Connecting body door 173: Drain pipe connection
250: sliding plate

Claims (7)

상판을 포함한 케이싱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배수구가 마련된 싱크볼을 포함하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싱크볼은
상기 싱크볼의 외면에 마련된 단턱;
상기 싱크볼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마련된 인출 손잡이; 및
상기 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름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다용도 판;
상기 상판에 마련되며, 상기 싱크볼이 수용될 공간을 갖는 싱크볼 수용부; 및
상기 상판에 마련되며, 상기 싱크볼의 단턱이 걸리도록 마련된 단턱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싱크볼 수용부 바닥에 마련되며, 상기 배수구의 크기보다 큰 개구를 갖고, 상기 싱크볼과 상기 케이싱 상판의 결합시 상측이 상기 싱크볼 외면에 접촉되고, 하측이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는 배수관 연결부를 갖는 배수관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 연결체는 연결체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 도어는 상기 배수관 연결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되, 외력이 없을 경우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거름통의 삽입으로 인해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용도 싱크대.
A sink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casing including an upper plate and a sinkball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drain hole,
The sink ball
A step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nkball;
A pull-out handle provided at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sink ball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nd a drain port separably coupled to the drain port,
The body
A multi-purpose plate coupled to the casing and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plate;
A sink ball rece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sink ball; And
And a stepped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late, the stepped fastening part being provided so as to catch the step of the sink ball,
A drain pipe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rain hole and having an upper side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ink ball when the sink ball is engaged with the casing upper plate, ≪ / RTI >
Wherein the drain pipe connector comprises a connector body,
Wherein the connecting body door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drain pipe connector and to be kept closed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and to be opened by insertion of the filtering pi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판은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결합하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슬라이더; 및
실린더 형태의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더는 통과시키되, 상기 회전부는 통과시키지 않도록 마련된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다용도 싱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
A slider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the slider being provided on both sides; And
And a rotating portion in the form of a cylinder,
The body
And a sliding groove that allows the slider to pass therethrough but does not allow the rotating portion to pass there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판은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에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상판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다용도 싱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ulti-purpose plate is hing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casing, and is configured to cover the top plate of the main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판은
상기 다용도 판이 상기 상판을 덮지 않으면서 지면과 수평하게 놓인 경우 상기 지면과 상기 다용도 판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싱크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ulti-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between the ground and the multi-purpose plate when the multi-purpose plate is plac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without covering the top plate.
상판을 포함한 케이싱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배수구가 마련된 싱크볼을 포함하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싱크볼은
상기 싱크볼의 외면에 마련된 단턱;
상기 싱크볼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마련된 인출 손잡이; 및
상기 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름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상판에 마련되며, 상기 싱크볼이 수용될 공간을 갖는 싱크볼 수용부;
상기 상판에 마련되며, 상기 싱크볼의 단턱이 걸리도록 마련된 단턱 걸림부; 및
상기 단턱 걸림부의 상부에서 상기 상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싱크볼 수용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슬라이딩 판;을 포함하고,
상기 싱크볼 수용부 바닥에 마련되며, 상기 배수구의 크기보다 큰 개구를 갖고, 상기 싱크볼과 상기 케이싱 상판의 결합시 상측이 상기 싱크볼 외면에 접촉되고, 하측이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는 배수관 연결부를 갖는 배수관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 연결체는 연결체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 도어는 상기 배수관 연결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되, 외력이 없을 경우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거름통의 삽입으로 인해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용도 싱크대. 경우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거름통의 삽입으로 인해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용도 싱크대.
A sink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casing including an upper plate and a sinkball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drain hole,
The sink ball
A step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nkball;
A pull-out handle provided at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sink ball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nd a drain port separably coupled to the drain port,
The body
A sink ball rece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sink ball;
A stepped hook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nd provided so as to catch the step of the sink ball; And
And a sliding plate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epped engagement portion, the sliding plate being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A drain pipe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ink ball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rain hole and having an upper side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ink ball when the sink ball is engaged with the casing upper plate, ≪ / RTI >
Wherein the drain pipe connector comprises a connector body,
Wherein the connecting body door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drain pipe connector and to be kept closed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and to be opened by insertion of the filtering pipe. And is opened to be able to be opened by the insertion of the filter box.
삭제delete
KR1020160049455A 2016-04-22 2016-04-22 Multipurpose sink KR1017655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455A KR101765516B1 (en) 2016-04-22 2016-04-22 Multipurpose s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455A KR101765516B1 (en) 2016-04-22 2016-04-22 Multipurpose s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516B1 true KR101765516B1 (en) 2017-08-07

Family

ID=5965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455A KR101765516B1 (en) 2016-04-22 2016-04-22 Multipurpose s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51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046B1 (en) * 2019-09-04 2020-12-04 주식회사 백조씽크 Sink bowl equipped with rubber basket
FR3126893A1 (en) * 2021-09-15 2023-03-17 Alain LANGE Device for washing, in particular dish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06Y1 (en) * 2003-09-15 2003-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ver for drain hole
KR200369568Y1 (en) * 2004-09-24 2004-12-09 박용근 Sink table
JP4400930B2 (en) * 2005-02-15 2010-01-20 ヤマハリビングテック株式会社 Counter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06Y1 (en) * 2003-09-15 2003-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ver for drain hole
KR200369568Y1 (en) * 2004-09-24 2004-12-09 박용근 Sink table
JP4400930B2 (en) * 2005-02-15 2010-01-20 ヤマハリビングテック株式会社 Counter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046B1 (en) * 2019-09-04 2020-12-04 주식회사 백조씽크 Sink bowl equipped with rubber basket
FR3126893A1 (en) * 2021-09-15 2023-03-17 Alain LANGE Device for washing, in particular dishes
EP4151808A1 (en) * 2021-09-15 2023-03-22 Alain Lange Device for washing, in particular for dish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00471A1 (en) Clothes hamper cabinet
KR101765516B1 (en) Multipurpose sink
JP4621545B2 (en) Drawer type drying cabinet
KR200463106Y1 (en) Chopping board sterlizer
KR200464755Y1 (en) Dishes dry shelf having drawer type cup holder
US2068591A (en) Kitchenette cabinet
JPS6318484B2 (en)
KR200484814Y1 (en) Suspension tableware construction unit
US20110272429A1 (en) Diaper And Wipe Dispensing System
KR200485902Y1 (en) Portable spoon set case
JP2004321707A (en) Dish dryer
JP2001008753A (en) Cabinet for kitchen furniture
KR200437594Y1 (en) Table with a drawing refrigerator for basis dishes
KR101410228B1 (en) Sink for spoon and chopsticks
KR200476856Y1 (en) Combination table for outdoor prefab countertops
CN208329074U (en) Concealed sink with storage function
KR0125786Y1 (en) Connecting device for slide board of sink bowl
JP3127618U (en) Wheelchair sink
CN208491291U (en) A kind of school's schoolhouse multiple purpose cabinet
KR200256085Y1 (en) Kitchen sink
KR20200001497U (en) Sink having improved space utilization
JPH0245B2 (en)
JP2003334114A (en) Furniture
KR200219430Y1 (en) Prefabricated readjustment stand of corner establishment
JPS591550Y2 (en) kitche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