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889B1 - Cooling and heating system - Google Patents

Cooling and hea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889B1
KR101762889B1 KR1020170017901A KR20170017901A KR101762889B1 KR 101762889 B1 KR101762889 B1 KR 101762889B1 KR 1020170017901 A KR1020170017901 A KR 1020170017901A KR 20170017901 A KR20170017901 A KR 20170017901A KR 101762889 B1 KR101762889 B1 KR 101762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wall surface
suppli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은희
Original Assignee
한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은희 filed Critical 한은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8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9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 F24F11/0012
    • F24F11/00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5Systems using a compressed air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2005/00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receiving heat-exchange fluid from the drinking or sanitary water supply circuit
    • F24F2011/008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은 일단부는 수도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도관에서 공급되는 물이 분할되도록 제1분할관과 제2분할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할관과 상기 제2분할관에는 각각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급수밸브가 설치된 급수관과, 상기 제1분할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분할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여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기와, 상기 제2분할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2분할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가열수를 배출하는 보일러와, 상기 냉각기에서 배출된 냉각수가 이동되는 냉각수관과,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가열수가 이동되는 가열수관에 각각 연결되는 공급관과, 건축물 천장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매설되되,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에 제1천장관과, 건축물 천장과 벽면이 접하는 경계선에 인접되는 벽면의 상측에 매설되고,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는 제1벽면관과, 건축물의 바닥면에 매설되고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는 바닥관 및 상기 급수밸브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냉각기와 상기 보일러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oling /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divided pipe and a second divided pipe to divid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A water supply pip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of the second divided pipes, a cooler connected to the first divided pipe for cool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divided pipe to discharge the cooling water, And a cooling water pipe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cooler is moved and a heating water pipe through which the hea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boiler is move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oling water pipes which are embed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nd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is supplied, A first wall surface tube embedded in the upper side of a wall adjacent to a boundary line between the building ceiling and the wall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is supplied; A bottom pipe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so as to supply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and a controlle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ler and the boiler depending on whether th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or closed.

Description

냉난방 시스템{Cooling and heating system}[0001] Cooling and heating system [0002]

본 발명은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장, 벽면 및 바닥면에 각각 냉각수와 가열수를 공급하여 실내를 전체적 또는 선택적으로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게 하는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 hea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ling / heating system that can supply cooling water and heating water to a ceiling, a wall surface, and a floor surface of a building to enable cooling or heating of the room as a whole or selectively.

일반적으로 사람이 생활을 하는 건축물, 특히 주택에는 난방 시스템이 구비되어 실내를 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Generally, a building in which a person lives is provided with a heating system, in particular, a house, so that the room can be heated.

이러한 난방 시스템은 건축물의 실내 바닥면에 매설되는 난방배관과, 상기 난방배관에 연결되어 난방배관을 통해 순환되는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로 구성되어, 상기 보일러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한 후 상기 난방배관을 통해 순환시켜 건축물의 실내 바닥면을 난방할 수 있다.The heating system includes a heating pipe embedded in an indoor floor of a building and a boiler connected to the heating pipe to heat the water circulated through the heating pipe. The water is heated using the boiler, So that the indoor floor of the building can be heated.

또한, 이러한 건축물에는 상기 난방 시스템과 별도로 냉방장치가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냉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separately from the heating system, so that the indoor air can be cooled.

상기 냉방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를 갖는 일반적인 냉각사이클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는 실외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증발기에서 흡수된 열을 실외로 배출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uses a general cooling cycle hav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are installed outdoors, and the evaporator is installed in the room to discharge the heat absorbed by the evaporator to the outside, Can be cooled.

그러나 이와 같이 냉방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냉각하는 방식은 매우 고가이고 다량의 전기를 소비할 뿐 아니라, 프레온 가스를 이용하므로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 시스템과 냉방장치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유지관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ethod of cooling air in the room using the air conditioner is very expensive and consumes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In addition, since it uses the CFC gas, it can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heating system and the air conditioner There is a problem that maintenance is troublesome.

그래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435176호(냉난방 시스템)를 특허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iled a patent application for the registered patent No. 10-1435176 (heating and cooling system).

상기 냉난방 시스템은 건축물의 실내 바닥면에 매설되는 난방배관에 찬물이나 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oling / heating system is configured to cool / heat the room by supplying cold water or hot water to a heating pipe embedded in an indoor floor of a building.

그런데 이러한 냉난방 시스템은 실내의 바닥면에 매설된 난방배관에 냉수와 온수를 순환시킴으로, 면적이 좁은 방에 설치할 경우 실내를 충분히 냉각시킬 정도로 충분히 넓은 냉각면적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사용자가 냉각된 바닥면에 장시간 접촉을 할 경우, 신체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oling / heating system circulates cold water and hot water in the heating pipe embedded in the floor of the room,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ly large cooling area to sufficiently cool the room when the room is installed in a small spac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an abnormality may occur in the body when the floor surface is contacte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축물의 천장, 벽면 및 바닥면에 각각 냉각수와 가열수를 공급하여 실내를 전체적 또는 선택적으로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게 하는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ling and heating system which can supply cooling water and heating water to a ceiling, a wall surface and a floor surface of a building, respectively, so that the room can be entirely or selectively cooled or heat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은 일단부는 수도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도관에서 공급되는 물이 분할되도록 제1분할관과 제2분할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할관과 상기 제2분할관에는 각각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급수밸브가 설치된 급수관과, 상기 제1분할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분할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여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기와, 상기 제2분할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2분할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가열수를 배출하는 보일러와, 상기 냉각기에서 배출된 냉각수가 이동되는 냉각수관과,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가열수가 이동되는 가열수관에 각각 연결되는 공급관과, 건축물 천장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매설되되,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에 제1천장관과, 건축물 천장과 벽면이 접하는 경계선에 인접되는 벽면의 상측에 매설되고,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는 제1벽면관과, 건축물의 바닥면에 매설되고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는 바닥관 및 상기 급수밸브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냉각기와 상기 보일러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ooling and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divided pipe and a second divided pipe such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the other end is divided into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 A water supply pip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and second divided pipes, respectively,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first divided pipe for cool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divided pipe to discharge the cooling water A cooling water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divided pipe for hea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divided pipe to discharge the heated water, a cooling water pipe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cooler is move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pipes to which the water is moved, and a plurality of heating water pipes which are embedded along the edge of the ceiling of the building,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A first wall pipe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so as to be supplied with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the first wall pipe being embedded in the supply pipe at an upper side of a wall adjacent to a boundary line between the building ceiling and the wall surface, A bottom pipe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is supplied to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ler and the boiler depending on whether th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or closed, And a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제1천장관의 내측에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1천장관의 둘레를 따라 매설되는 제2천장관과, 상기 제1천장관과 상기 제2천장관의 사이에서 상기 제1천장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천장관에 타단부가 연결된 복수의 천장 연결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econd perforated pip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erforated pip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uri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perforated pipe; and a second perforated pipe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ipe and the second perforated pipe, And a plurality of ceiling connector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ceiling tube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the second ceiling tube.

또한, 상기 제1벽면관의 하부에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1벽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매설되는 제2벽면관과, 상기 제1벽면관과 상기 제2벽면관 사이에서 상기 제1벽면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벽면관에 타단부가 연결된 복수의 벽면 연결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econd wall pip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all pip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mbed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wall pipe; and a second wall pipe disposed between the first wall pipe and the second wall pipe, And a plurality of wall surface connector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wall tube and at the other end to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또한, 건축물의 바닥면과 벽면이 접하는 경계선에 인접되는 벽면의 하측에 매립되는 제3벽면관과, 상기 제2벽면관과 상기 제3벽면관 사이에서 상기 제2벽면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3벽면관에 타단부가 연결된 복수의 보조 연결관과, 상기 제2벽면관과 상기 보조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위와 상기 제3벽면관과 상기 보조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제1개폐밸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hird wall surface tube embedded in a lower side of a wall surface adjacent to a boundary line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a second wall surface tub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between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and the third wall surface tube, A plurality of auxiliary connection pipes connected to the third wall pipe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connection pipes connected to the third wall pipe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pipe,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is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제2벽면관은 건축물의 바닥면과 벽면이 접하는 경계선에 인접되는 벽면의 하측에 매립되고, 상기 제1벽면관과 상기 벽면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위와 상기 제2벽면관과 상기 벽면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제2개폐밸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is buried in a lower side of a wall surface adjacent to a boundary line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a portion where the first wall surface tube and the wall surface connection tub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provided at a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ng pipe is connected.

또한, 사용자가 설정온도를 입력하는 온도설정부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부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제1분할관과 상기 제2분할관에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tting unit for inputting a set temperature by a user and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to be set to a temperature set by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Wherein the first branch pipe and the second branch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pe.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 천장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분과 벽면에 밀착된 다양한 물품을 피해서 각각 냉각수와 가열수가 공급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건축물의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실내를 선택적으로 냉난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이 예방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are respectively supplied to a portion not used in a ceiling of a building and various articles closely attached to a wall surface, the room can be selectively cooled and heated while efficiently utilizing the area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condensation phenomenon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is prevented, and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can be cre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냉난방 시스템 중 천장에 설치되는 부분을 도시한 일례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냉난방 시스템 중 벽면에 설치되는 부분을 도시한 일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의 제어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rt installed in a ceiling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shown in Fig.
Fig. 3 to Fig. 5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part of a cooling / heating system shown in Fig. 1 installed on a wall surface. Fig.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of an air-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ner tha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한 냉난방 시스템 중 천장에 설치되는 부분을 도시한 일례도가 도시되며, 도 3 내지 도 5에는 도 1에 도시한 냉난방 시스템 중 벽면에 설치되는 부분을 도시한 일례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의 제어관계를 나타낸 블럭도가 도시된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ir-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rt installed in a ceiling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shown in FIG. 3 to 5 show one example of a portion of the cooling / heating system shown in FIG. 1 installed on a wall surface,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relationship of the cooling /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수도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도관에서 공급되는 물이 분할되도록 제1분할관(11)과 제2분할관(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할관(11)과 상기 제2분할관(12)에는 각각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급수밸브(11a,12a)가 설치된 급수관(10)과, 상기 제1분할관(11)에 연결되어 상기 제1분할관(1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여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기(20)와, 상기 제2분할관(12)에 연결되어 상기 제2분할관(1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가열수를 배출하는 보일러(30)와, 상기 냉각기(20)에서 배출된 냉각수가 이동되는 냉각수관과, 상기 보일러(30)에서 배출된 가열수가 이동되는 가열수관에 각각 연결되는 공급관(40)과, 건축물 천장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매설되고,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40)에 연결되는 제1천장관(50)과, 건축물 천장과 벽면이 접하는 경계선에 인접되는 벽면의 상부측에 매설되고,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40)에 연결되는 제1벽면관(60) 및 건축물의 바닥면에 매설되고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40)에 연결되는 바닥관(70) 및 상기 급수밸브(11a,12a)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냉각기(20)와 상기 보일러(3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one end of the cooling and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and the other end is divided into a first divided pipe 11 and a second divided pipe 12 to divid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And a water supply pipe (10) provided with water supply valves (11a, 12a) for controlling opening / closing of the first and second divided pipes (11, 12) A cooler 20 connected to the first divided pipe 12 to cool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divided pipe 11 to discharge the coolant water and a cooler 20 connected to the second divided pipe 12, A boiler 30 for heating the water to discharge the heated water, a cooling water pipe to which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cooler 20 is moved, and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pipe to which the hea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boiler 30 is moved, (40), and is embed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 first ceiling pipe (50)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40)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ceiling; And a bottom pipe (60)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40)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is supplied to the bottom wall of the building And a control unit 80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ler 20 and the boiler 30 depending on whether the water supply valves 11a and 12a are open or closed.

여기서, 상기 급수관(10)은 건축물에 공급되는 물이 상기 냉각기(20)와 상기 보일러(30)에 각각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부는 건축물에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수도관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냉각기(20)에 공급되도록 상기 냉각기(20)에 연결되는 제1분할관(11)과 수도관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보일러(30)에 공급되도록 상기 보일러(30)에 연결되는 제2분할관(12)으로 이루어진다. Here, the water supply pipe (10) supplies water supplied to the building to the cooler (20) and the boiler (30), and one end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buildin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A first divided pipe 11 connected to the cooler 20 so that the supplied water is supplied to the cooler 20 and a second divided pipe 11 connected to the boiler 30 such tha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is supplied to the boiler 30 And a second branch pipe (12).

이와 같은 상기 급수관(10)은 수도관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냉각기(20)와 상기 보일러(3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공급되거나 상기 냉각기(20)와 상기 보일러(30)에 함께 공급되도록 상기 제1분할관(11)과 상기 제2분할관(12) 상에는 각각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급수밸브(11a,12a)가 설치된다. The water supply pipe 1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0 so tha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is selectively supplied to either the cooler 20 or the boiler 30 or the cooler 20 and the boiler 30, On the partitioning pipe (11) and the second partitioning pipe (12) are provided water supply valves (11a, 12a)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respectively.

이때 상기 급수밸브(11a,12a)가 개폐 방식으로만 이루어진다면, 상기 냉각기(20)와 상기 보일러(30)를 통해 상기 공급관(40)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제어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급수밸브(11a,12a)는 상기 냉각기(20)와 상기 보일러(30)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supply pipe 40 through the cooler 20 and the boiler 30 can not be controlled if the water supply valves 11a and 12a are only opened and closed, 11a and 12a may control the flow rates of water supplied to the cooler 20 and the boiler 30, respectively.

상기 냉각기(20)는 상기 제1분할관(11)과 연결되어 상기 제1분할관(11)에서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켜 냉각수로 전환하고, 전환된 냉각수를 상기 공급관(40)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배출구 측에 상기 공급관(40)과 연결되는 냉각수관(21)이 구비된다. The cooler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ipe 11 to cool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branch pipe 11 to convert it into cooling water and to discharge the converted cooling water to the supply pipe 40 And a cooling water pipe (21)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40) at the discharge port side.

그리고 상기 보일러(30)는 상기 제2분할관(12)과 연결되어 상기 제2분할관(12)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시켜 가열수로 전환하고, 전환된 가열수를 상기 공급관(40)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배출구 측에 상기 공급관(40)과 연결되는 가열수관(31)이 구비된다. The boiler 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ipe 12 and heat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branch pipe 12 to convert the heated water into heated water and supplies the converted heated water to the supply pipe 40 And a heating water pipe 31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40 is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side.

상기 공급관(40)은 상기 냉각기(20)에서 배출된 냉각수와 상기 보일러(30)에서 배출된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제1천장관(50), 상기 제1벽면관(60) 및 상기 바닥관(70)에 각각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cooler 20 and the hea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boiler 30 flows into the supply pipe 40 through the first perforated pipe 50, the first wall pipe 60, And the pipe 70, respectively.

이때 상기 공급관(40)에는 개폐 여부에 따라 유체가 상기 제1천장관(50), 상기 제1벽면관(60) 및 상기 바닥관(70)에 사용자의 임의로 공급되도록 공급밸브(41)가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supply valve 41 is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40 so that the fluid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superficial pipe 50, the first wall pipe 60, .

한편, 상기 제1천장관(50)은 상기 공급관(40)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건축물의 천장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40)에 연결되고, 건축물 천장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매설된다. The first perforated pipe 50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40 to be supplied to the ceiling of the building through the supply pipe 40 and buried along the edge of the ceiling of the building.

즉, 상기 제1천장관(50)은 상기 공급관(40)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건축물 천장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순환시킨 후에 상기 급수관(10)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That is, the first perforated pipe 50 receives the fluid from the supply pipe 40, circulates the flui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nd discharges the fluid to the water pipe 10.

그리고 상기 제1벽면관(60)은 상기 공급관(40)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건축물 천장과 벽면이 접하는 경계선에 인접되는 벽면의 상측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40)에 연결되고, 건축물 벽면의 상측의 수평 방향을 따라 매설된다. The first wall surface pipe 60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40 by supplying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40 to the upper side of the wall surface adjacent to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building ceiling and the wall surface, As shown in Fig.

즉, 상기 제1벽면관(60)은 상기 공급관(40)으로부터 냉각수와 가열수 중에서 하나 이상을 공급받아 건축물 천장과 벽면이 접하는 경계선에 인접되는 벽면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공급한 후에 상기 급수관(10)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That is,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40 to the first wall surface pipe 60, and the first wall surface pipe 60 is suppl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wall surface adjacent to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building ceiling and the wall surface, 10).

또한, 상기 바닥관(70)은 상기 공급관(40)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건축물의 바닥면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40)에 연결되고, 건축물 바닥면에 지그재그로 매설된다. In addition, the bottom pipe 70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40 by being supplied with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4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and is buried in a zigzag form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급수밸브(11a,12a)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냉각기(20)와 상기 보일러(3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ntrol unit 80 selectiv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oler 20 and the boiler 30 depending on whether the water supply valves 11a and 12a are opened or closed.

즉, 급수밸브(11a,12a)를 통해 상기 제1분할관(11)과 상기 제2분할관(12)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어부(80)를 제어하면 상기 냉각기(20)와 상기 보일러(30)는 각각 작동 상태로 되고, 급수밸브(11a,12a)를 통해 상기 제1분할관(11)과 상기 제2분할관(12)이 폐쇄되도록 상기 제어부(80)를 제어하면 상기 냉각기(20)와 상기 보일러(30)는 각각 작동이 정지되는 상태로 된다. That is, when the controller 80 is controlled to open the first and second divided pipes 11 and 12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s 11a and 12a, the cooler 20 and the boiler 30 are operated, When the controller 80 is controlled to close the first and second divided pipes 11 and 12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s 11a and 12a, Each of the boilers 30 is brought into a stopped stat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천장관(50)의 내측에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1천장관(50)의 둘레를 따라 매설되는 제2천장관(51)과, 상기 제1천장관(50)과 상기 제2천장관(51)의 사이에서 상기 제1천장관(5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천장관(51)에 타단부가 연결된 복수의 천장 연결관(5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perforated pipe 5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erforated pipe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buri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perforated pipe 50, A plurality of ceiling connectors (50) ar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perforated pipe (50) and at the other end to the second perforated pipe (51),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ipe (50) and the second perforated pipe (52)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제2천장관(51)은 상기 제1천장관(50)에서 순환되는 유체를 상기 복수의 천장 연결관(52)을 통해 공급받아 순환시킨 후에 상기 급수관(10)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제1천장관(50)으로부터 20cm 내지 50cm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econd perforated pipe (51) serves to circulate the fluid circulated in the first perforated pipe (50) through the plurality of ceiling connection pipes (52) and discharge the fluid to the water pipe But is preferably spaced 20 cm to 50 cm from the first perforated pipe 50.

이때 유체를 상기 급수관(10)으로 배출하는 이유는 상기 제1천장관(50)과 상기 제2천장관(51) 및 상기 천장 연결관(52)에서 유체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열교환으로 인해 유체의 온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유체를 다시 냉각하거나 가열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discharging the fluid to the water supply pipe 10 at this time is that the fluid is moved from the first perforated pipe 50 to the second perforated pipe 51 and the ceiling pipe 52, This is because the fluid needs to be cooled or heated again as the temperature changes.

상기 복수의 천장 연결관(52)은 상기 제1천장관(50)에서 순환되는 유체가 상기 제2천장관(51)으로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The plurality of ceiling connection pipes (52) serve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circulated in the first perforated pipe (5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perforated pipe (51).

이때 상기 천장 연결관(52)이 단순하게 일자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지만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는 면적이 감소되므로, 상기 천장 연결관(52)은 상기 제1천장관(50)과 상기 제2천장관(51)이 이격되는 부분의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벤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eiling connection pipe (52) may have a straight shape but the area for cooling or heating is reduced, so that the ceiling connection pipe (52) It is preferable to bend in a zigzag shape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area of the part where the intestines 51 are separated and to maximize the cooling or heating efficiency.

이에 따라, 천장에서 사용되지 않는 가장자리의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실내를 선택적으로 냉난방시킬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indoor environment can be selectively cooled and heated while efficiently utilizing the area of the edge not used in the ceiling, thereby providing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벽면관(60)의 하부에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1벽면관(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설되는 제2벽면관(61)과, 상기 제1벽면관(60)과 상기 제2벽면관(61) 사이에서 상기 제1벽면관(6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벽면관(61)에 타단부가 연결된 복수의 벽면 연결관(6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3, a second wall surface tube 61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wall surface tube 60 and buri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wall surface tube 60, And a plurality of wall connection tubes (61) ea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wall surface tube (6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61) between the first wall surface tube (60) (62)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제2벽면관(61)은 상기 복수의 벽면 연결관(62)을 통해 상기 제1벽면관(60)에서 공급된 유체를 길이 방향으로 공급한 후에 상기 급수관(10)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Here, the second wall surface pipe 61 serves to supply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irst wall surface pipe 60 through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 connection pipes 6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discharge the fluid to the water pipe 10 do.

이때 유체를 상기 급수관(10)으로 배출하는 이유는 상기 제1벽면관(60)과 상기 제2벽면관(61) 및 상기 벽면 연결관(62)에서 유체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열교환으로 인해 유체의 온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유체를 다시 냉각하거나 가열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discharging the fluid to the water supply pipe 10 at this time is that the fluid is moved from the first wall pipe 60 to the second wall pipe 61 and the wall surface connecting pipe 62, This is because the fluid needs to be cooled or heated again as the temperature changes.

그리고 상기 제1벽면관(60)과 상기 제2벽면관(61)의 이격 거리는 건축물의 벽면에 밀착된 액자, 벽걸이TV, 시계, 서랍장 등 다양한 물품을 회피하는 범위에 매립되도록 상기 제1천장관(50)으로부터 20cm 내지 50cm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all pipe (60) and the second wall pipe (61) is set so that the first wall pipe (60) and the second wall pipe (61) are filled with various items such as a frame,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20 cm to 50 cm away from the base 50.

상기 복수의 벽면 연결관(62)은 상기 제1벽면관(60)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유체가 상기 제2벽면관(61)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 coupling tubes 62 serve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rst wall surface tube 60 is moved to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61.

이러한 상기 벽면 연결관(62)은 상기 천장 연결관(52)과 마찬가지로 지그재그 형태로 벤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wall connection pipe 62 is formed in a zigzag shape like the ceiling connection pipe 52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이에 따라, 건축물 천장과 벽면이 접하는 경계선에 인접되는 벽면의 상측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액자, 벽걸이TV, 시계, 붙박이장 등 다양한 물품이 건축물의 벽면에 밀착되더라도 유체를 회피시켜서 공급하기 때문에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이 예방될 수 있음은 물론, 실내를 선택적으로 냉난방시킬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upper side of the wall adjacent to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nd the wall is efficiently used, the fluid is avoided and supplied even if various articles such as a picture frame, a wall-hanging TV, a clock and a bui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ensation phenomenon due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also to selectively cool and heat the room, thereby providing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한편, 경우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면과 벽면이 접하는 경계선에 인접되는 벽면의 하측에 매립되는 제3벽면관(63)과, 상기 제2벽면관(61)과 상기 제3벽면관(63) 사이에서 상기 제2벽면관(61)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3벽면관(63)에 타단부가 연결된 복수의 보조 연결관(64)과, 상기 제2벽면관(61)과 상기 보조 연결관(64)이 연결되는 부위와 상기 제3벽면관(63)과 상기 보조 연결관(64)이 연결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제1개폐밸브(6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third wall pipe 63 is embed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wall adjacent to the boundary between the bottom wall and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 plurality of auxiliary connection pipes (64),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ll pipe (61)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third wall pipe (63), between the third wall pipe (63) Closing valve 65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wall 61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6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ortion where the third wall pipe 63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6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이때 상기 제3벽면관(63)은 상기 제2벽면관(61)과 동일하고, 상기 보조 연결관(64)은 상기 벽면 연결관(62)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third wall pipe 63 is the same as the second wall pipe 61,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pipe 64 is the same as the wall surface connection pipe 62,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제1개폐밸브(65)는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상기 벽면 연결관(62)을 통해 상기 제2벽면관(61)에서 상기 제3벽면관(63)으로 유체의 공급 여부가 제어되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on-off valve 65 controls the supply of the fluid from the second wall pipe 61 to the third wall pipe 63 through the wall surface connection pipe 62 by the control unit 80 .

즉, 건축물의 벽면 중 냉난방이 필요한 영역에는 제1개폐밸브(65)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냉난방이 불필요한 영역에는 제1개폐밸브(65)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That is, the first on-off valve 65 is controlled to be opened in the area where the air conditioner needs to be heated and the first on-off valve 65 is closed in the area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unnecessary.

이에 따라, 건축물의 벽면 전체 영역을 냉난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건축물의 벽면에 밀착된 액자, 벽걸이TV, 시계, 붙박이장 등 다양한 물품을 피해 일부 영역만 냉난방시킬 수 있으므로,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이 예방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As a result, not only the entire area of the wall of the building can be cooled, but also a part of the area can be cooled and heated by various items such as a frame, a wall-hung TV, a clock and a bui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한편, 경우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벽면관(61)은 건축물의 바닥면과 벽면이 접하는 경계선에 인접되는 벽면의 하측에 매립되고, 상기 제1벽면관(60)과 상기 벽면 연결관(62)이 연결되는 부위와 상기 제2벽면관(61)과 상기 벽면 연결관(62)이 연결되는 부위에 각각 제2개폐밸브(66)가 설치될 수 있다. 5, the second wall pipe 61 is embedded in a lower side of a wall adjacent to a boundary line between the bottom wall and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the first wall pipe 60 and the second wall pipe 60 The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66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wall connection pipe 62 is connected an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wall pipe 61 and the wall surface connection pipe 6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제2개폐밸브(66)는 상기 제1개폐밸브(65)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second on-off valve (66) is the same as the first on-off valve (65)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simplification of the description.

이에 따라, 건축물의 벽면 전체 영역을 냉난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건축물의 벽면에 밀착된 액자, 벽걸이TV, 시계, 붙박이장 등 다양한 물품을 피해 일부 영역만 냉난방시킬 수 있으므로,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이 예방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As a result, not only the entire area of the wall of the building can be cooled, but also a part of the area can be cooled and heated by various items such as a frame, a wall-hung TV, a clock and a bui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온도를 입력하는 온도설정부(90)와, 상기 공급관(40)에 설치되는 온도센서(4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a temperature setting unit 90 for inputting a set temperature by the user and a temperature sensor 42 provided in the supply pipe 40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온도센서(42)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부(90)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도록 상기 급수밸브(11a, 12a)를 통해 상기 제1분할관(11)과 상기 제2분할관(12)에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divided pipe 11 and the second divided pipe 11a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s 11a and 12a so that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2 reaches the temperature set in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90. [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flow rate supplied to the second partial pipe 12.

즉, 상기 온도설정부(90)에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80)는 온도설정부(90)에서 설정된 온도와 상기 온도센서(42)에서 측정된 온도를 비교한 후에 불일치하면 냉각수와 가열수가 적절히 공급되어 상기 온도설정부(90)에 설정된 온도와 일치되도록 상기 급수밸브(11a,12a)를 통해 상기 제1분할관(11)과 상기 제2분할관(12)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set temperature is input to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90, the controller 80 compares the temperature set by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90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2, The flow rat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first partial pipe 11 and the second partial pipe 12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s 11a and 12a is adjusted so as to match the temperature set in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90, .

10: 급수관 11: 제1분할관
11a: 급수밸브 12: 제2분할관
12a: 급수밸브 20: 냉각기
21: 냉각수관 30: 보일러
31: 가열수관 40: 공급관
41: 공급밸브 42: 온도센서
50: 제1천장관 51: 제2천장관
52: 천장 연결관 60: 제1벽면관
61: 제2벽면관 62: 벽면 연결관
63: 제3벽면관 64: 보조 연결관
65: 제1개폐밸브 66: 제2개폐밸브
70: 바닥관 80: 제어부
90: 온도 설정부
10: water supply pipe 11: first partition pipe
11a: water supply valve 12: second branch pipe
12a: water supply valve 20: cooler
21: Cooling water pipe 30: Boiler
31: heating water pipe 40: supply pipe
41: supply valve 42: temperature sensor
50: 1st superstructure 51: 2nd superstructure
52: ceiling connector 60: first wall tube
61: second wall tube 62: wall connector
63: third wall tube 64: auxiliary connector
65: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66: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70: bottom pipe 80:
90: Temperature setting unit

Claims (6)

일단부는 수도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도관에서 공급되는 물이 분할되도록 제1분할관과 제2분할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할관과 상기 제2분할관에는 각각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급수밸브가 설치된 급수관;
상기 제1분할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분할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여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기;
상기 제2분할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2분할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가열수를 배출하는 보일러;
상기 냉각기에서 배출된 냉각수가 이동되는 냉각수관과,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가열수가 이동되는 가열수관에 각각 연결되는 공급관;
건축물 천장에 매설되며,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공급된 냉각수와 가열수를 순환시킨 후에 상기 급수관으로 배출시키는 제1천장관;
건축물 벽면에 매설되고,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공급된 냉각수와 가열수를 상기 급수관으로 배출시키는 제1벽면관;
건축물 벽면의 상기 제1벽면관 하부에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1벽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매설되며, 상기 제1벽면관에서 공급된 냉각수와 가열수를 상기 급수관으로 배출시키는 제2벽면관;
상기 제1벽면관과 상기 제2벽면관 사이에서 상기 제1벽면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벽면관에 타단부가 연결되도록 매설된 복수의 벽면 연결관;
건축물 벽면에 매설되고, 상기 제2벽면관으로부터 공급된 냉각수와 가열수를 상기 급수관으로 배출시키는 제3벽면관;
상기 제2벽면관과 상기 제3벽면관 사이에서 상기 제2벽면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3벽면관에 타단부가 연결된 복수의 보조 연결관;
상기 제2벽면관과 상기 보조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위와 상기 제3벽면관과 상기 보조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제1개폐밸브;
건축물의 바닥면에 매설되며,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는 바닥관; 및
상기 급수밸브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냉각기와 상기 보일러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시스템.
The first branch pipe and the second branch pipe are connected to a water pipe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first branch pipe and a second branch pipe so as to divid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A water supply pip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valve;
A cooler connected to the first divided pipe to cool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divided pipe to discharge the coolant;
A boiler connected to the second divided pipe to hea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divided pipe to discharge the heated water;
A cooling water pipe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cooler is moved, and a supply pipe connected to a heating water pipe through which the hea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boiler is moved;
A first chimney pipe embedded in a ceiling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so as to supply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circulates the supplied cooling water and heating water, and discharges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A first wall surface tube embedded in a wall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is supplied and discharging the supplied cooling water and heat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A second wall surfac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first wall surface tube of the building wall and buri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wall surface tube and discharging cooling water and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ll surface tube to the water supply pipe, tube;
A plurality of wall surface coupling tub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wall surface tube between the first wall surface tube and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A third wall surface tube embedded in a wall of the building and discharging cooling water and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wall surface pipe to the water supply pipe;
A plurality of auxiliary connection tub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hird wall surface tube between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and the third wall surface tube;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tub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a portion where the third wall surface tube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tube are connected;
A bottom pipe embedd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is supplied; And
A controller for selectively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cooler and the boiler depending on whether th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or closed;
And an air-condition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천장관의 내측에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1천장관의 둘레를 따라 매설되는 제2천장관과,
상기 제1천장관과 상기 제2천장관의 사이에서 상기 제1천장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천장관에 타단부가 연결된 복수의 천장 연결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perforated pip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erforated pip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uri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perforated pip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eiling connection tube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ceiling pipe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the second ceiling pipe between the first ceiling pipe and the second ceiling pi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일단부는 수도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도관에서 공급되는 물이 분할되도록 제1분할관과 제2분할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할관과 상기 제2분할관에는 각각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급수밸브가 설치된 급수관;
상기 제1분할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분할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여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기;
상기 제2분할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2분할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가열수를 배출하는 보일러;
상기 냉각기에서 배출된 냉각수가 이동되는 냉각수관과,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가열수가 이동되는 가열수관에 각각 연결되는 공급관;
건축물 천장에 매설되며,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공급된 냉각수와 가열수를 순환시킨 후에 상기 급수관으로 배출시키는 제1천장관;
건축물 벽면에 매설되며,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공급된 냉각수와 가열수를 상기 급수관으로 배출시키는 제1벽면관;
건축물 벽면에 상기 제1벽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매설되며, 상기 제1벽면관에서 공급된 냉각수와 가열수를 상기 급수관으로 배출시키는 제2벽면관;
상기 제1벽면관과 상기 제2벽면관 사이에서 상기 제1벽면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벽면관에 타단부가 연결되도록 매설된 복수의 벽면 연결관;
상기 제1벽면관과 상기 벽면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위와 상기 제2벽면관과 상기 벽면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제2개폐밸브;
건축물의 바닥면에 매설되고 상기 냉각수와 상기 가열수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는 바닥관; 및
상기 급수밸브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냉각기와 상기 보일러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시스템.
The first branch pipe and the second branch pipe are connected to a water pipe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first branch pipe and a second branch pipe so as to divid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A water supply pip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valve;
A cooler connected to the first divided pipe to cool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divided pipe to discharge the coolant;
A boiler connected to the second divided pipe to hea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divided pipe to discharge the heated water;
A cooling water pipe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cooler is moved, and a supply pipe connected to a heating water pipe through which the hea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boiler is moved;
A first chimney pipe embedded in a ceiling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so as to supply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circulates the supplied cooling water and heating water, and discharges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A first wall surface tube embedded in a wall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is supplied and discharging the supplied cooling water and heat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A second wall surface tube embedded in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wall surface tube and discharging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ll surface tube to the water supply pipe;
A plurality of wall surface coupling tub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wall surface tube between the first wall surface tube and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A second open / close valv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wall surface tube and the wall surface connection tub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wall surface tube and the wall surface connection tube are connected;
A bottom pipe embedd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water is supplied; And
A controller for selectively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cooler and the boiler depending on whether th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or closed;
And an air-condition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온도를 입력하는 온도설정부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부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제1분할관과 상기 제2분할관에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emperature setting unit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a set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first divided pipe and the second divided pipe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so that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the temperature set in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
KR1020170017901A 2016-08-26 2017-02-09 Cooling and heating system KR10176288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09410 2016-08-26
KR1020160109410 2016-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889B1 true KR101762889B1 (en) 2017-07-28

Family

ID=5942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901A KR101762889B1 (en) 2016-08-26 2017-02-09 Cooling and hea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88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458Y1 (en) * 2005-12-22 2006-03-28 김인환 Heating and cooling boiler
KR101548468B1 (en) * 2014-12-29 2015-08-28 한은희 cooling and he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458Y1 (en) * 2005-12-22 2006-03-28 김인환 Heating and cooling boiler
KR101548468B1 (en) * 2014-12-29 2015-08-28 한은희 cooling and hea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6913B2 (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using compressed fluid
CN104165414B (en) A kind of temperature-adjusting device
KR101713546B1 (en) One body type airconditioing Circulation System
TWI646291B (en) Floor air conditioning system
CN206973923U (en) A kind of heating and refrigeration all-in-one
US20230408119A1 (en) Air convection system
KR20140088348A (en) Radiant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individual house
KR101762889B1 (en) Cooling and heating system
JP6590983B2 (en) Heat source integrated system air conditioner
JP4675634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0782999B1 (en) Air cooling-heating apparatus for stock farming
CN104633773A (en) Temperature adjusting system
JP2008281319A (en) Air-conditioning outdoor unit connected type hot cold water system floor heating cooling unit
KR101548468B1 (en) cooling and heating system
JP2014142150A (en) Air conditioning panel and panel air conditioner
KR102018218B1 (en) Heating-cooling and water supply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JP2008064444A (en) Hot water circulation heating system circulating hot water to carry out heating in building
KR20100034112A (en) Heating and cooling device for green house
KR101604418B1 (en) Heat pump type cooling and heating system having hot water supplying function
KR200363829Y1 (en) A Fan Coil Unit Connection One Body Boiler Gas Cooling And Heating system
KR102222331B1 (en) Hybrid Boiler Device
KR100458529B1 (en)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for room
KR100924639B1 (en) A floor cooling and heating system
KR20150087675A (en) Distributer for both heating and cooling and the heating and cooling system by the above distributer
KR101435176B1 (en) cooling and he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