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412B1 -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412B1
KR101752412B1 KR1020100074874A KR20100074874A KR101752412B1 KR 101752412 B1 KR101752412 B1 KR 101752412B1 KR 1020100074874 A KR1020100074874 A KR 1020100074874A KR 20100074874 A KR20100074874 A KR 20100074874A KR 101752412 B1 KR101752412 B1 KR 101752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cut
character
menu
display devic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2866A (en
Inventor
강행준
서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412B1/en
Priority to EP11000434.8A priority patent/EP2416564B1/en
Priority to US13/028,911 priority patent/US8411201B2/en
Priority to CN201110049703.XA priority patent/CN102346630B/en
Publication of KR20120012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866A/en
Priority to US13/799,743 priority patent/US2013026896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4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using alphanumeric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바로가기(Short Cut)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을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된 소정 문자를 선택받아 대응하는 바로가기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바로가기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providing a short cut of a video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method, A predetermined character set as a shortcut object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a corresponding shortcut is executed, and a video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method.

Description

바로가기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cut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바로가기(Shortcut)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하고 편리하게 바로가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영상표시기기의 바로가기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for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video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hortcut for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video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method.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을 디스플레이부(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The video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that a user can view. Therefore, the user can watch the broadcast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A video display device displays a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selected channel on a display unit (or a display panel)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 station. Currently, broadcasting is changing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around the world.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broadcasting in which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are transmitted. Compared to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strong against external noise and has a small data loss, is advantageous for error correction, has a high resolution, and provides a clear screen. Also, unlike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capable of bidirectional service.

디지털 방송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서비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영상표시기기에서 해당 메뉴항목들을 검색하여 선택하는 조작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As digital broadcasting technology develops, a variety of services are provided. Accordingly, it is indispensable for a user to search for and select corresponding menu items from a video display device in order to use a desired service among various services.

또한, 디지털 방송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영상표시기기는 무수히 많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er)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as the digital broadcasting technology is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receive and display various kinds of contents services provided by a large number of contents providers.

최근 들어 이러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소정의 영상표시기기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종류 및 개수도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content providers that provide such content has increased exponentially, and the types and number of contents or applications that can b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video display device are also increasing.

종래 기술의 영상표시기기는 상기와 같이 영상표시기기의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개수의 증가로 인하여 한 화면 내에서 모든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사용자는 원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어느 하부 메뉴에 존재하는지, 이용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어떠한 조작을 하여야 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a display of all functions or applications can not be displayed within one screen due to the increase in the types and the number of applicatio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application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which submenu exists the menu item for executing the function of the application and what kind of operation should be performed to execute the application to be used.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영상표시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영상표시기기의 다양한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을 한 화면 내에서 용이하고 편리하게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바로가기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가 개발될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to a video display device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video display device and enables various func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o be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ed and used within a screen It is inevitable that a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display device should be develop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바로가기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rtcut providing method for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video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method, .

또한, 본 발명은 소정 언어의 문자를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바로가기 객체를 파악할 수 있는 바로가기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rtcut providing method and a video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method, in which a user can grasp a shortcut object more easily and intuitively by setting a character of a predetermined language as a shortcut object d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제공 방법은,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을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소정 문자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바로가기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rtcu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a shortcut menu including a character list of a predetermined language through a user interface;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executing a shortcut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charact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바로가기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로가기 메뉴에서 소정 문자를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을 포함하는 상기 바로가기 메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문자 목록에서 소정 문자가 선택되면, 대응하는 바로가기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hortcut menu; A user interface unit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in the shortcut menu;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shortcut menu including a character list of a predetermined language to the display unit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executing a corresponding shortcut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selected in the character list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개수가 많아지더라도, 바로가기 메뉴를 통하여 한 화면 내에서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 항목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쉽고 편리하게 검색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shortcut providing method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hortcut display method and a video display device in which a user can use a short- A menu item or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a function to perform a function to search for and / or use an application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ed or u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방송 시청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등 소정의 작업을 수행중인 경우에도, 핫키(Hot Key)입력을 통하여 즉시 바로가기 메뉴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hortcut providing method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ot Key input even when a user is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such as viewing a broadcast or executing an application through an image display device The shortcut menu can be immediately call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 가능한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을 바로가기 메뉴에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어떠한 바로가기 객체를 선택하여야 하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hortcut providing method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haracter list of a predetermined language that can be set as a shortcut object in a shortcut menu,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whether to select the top object.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 중심의 편리하고, 컨버젼스된 영상표시기기의 이용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shortcut providing method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interface suitable for use of a convenient and converged image display device centered on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3의 소정문자를 선택받는 단계(S302)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도 4의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된 문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2)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정 문자에 바로가기를 매핑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정 문자에 바로가기를 매핑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다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일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정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편집 메뉴 항목 및 문자 선택 블록을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편집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편집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매핑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schematic view of a video display de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shortcu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 chart showing details of the step S302 of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i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details of step S402 of determining whether a character is set as the shortcut object of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pping a shortcut to a predetermined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pping a shortcut to a predetermined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user interface of a shortcut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user interface of a shortcut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shortcut menu including a list of applic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shortcut menu including a shortcut editing menu item and a character selec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 user interface of a shortcut menu including a shortcut selection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user interface of a shortcut menu including a shortcut selection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user interface of a shortcut editing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user interface of a shortcut editing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showing shortcut mapp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n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a computer support function is added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is equipped with an Internet function while being faithful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It can be equipped with a more convenient interface such as a space remote controller. With the support of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it can be connected to internet and computer and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e.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can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즉,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 (Smart TV)일 수 있다. That is, since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on the general-purpose OS kernel,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For example, it may be a smart TV.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은, 방송 송출자 기준으로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측면에서 볼 때,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사용자(Customer)(40)로 구분될 수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ent provider (CP) 10, a service provider (Service) (SP) 20, a network provider (NP) 30, and a user 40.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er 10 produces and provides various contents. 1, a terrestrial broadcaster, a cable SO (System Operator), a MSO (Multiple System Operator), a satellite broadcaster, Internet broadcaster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또한, 컨텐츠 제공자(10)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er 10 may provide various applications in addition to the broadcast content.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20 can provide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s provider 10 in a service package.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20 of FIG. 1 can package and provide the first terrestrial broadcast, second terrestrial broadcast, cable MSO, satellite broadcast, various Internet broadcasts, applications, etc. to the user.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4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20 can provide a service to the user 40 by using a unicast or multicast method. The unicast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1: 1 between one sender and one receiver. For example, in a unicast method, when a receiver requests data from a server, the server can transmit data to the receiver upon request. The multicast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a plurality of receivers of a specific group. For example, the server can transmit data to a plurality of pre-registered receivers at once. An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GMP) protocol may be used for multicast registration.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비스를 사용자(40)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4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 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The network provider 30 may provide a network for providing services to the user 40. The user 40 may construct a home network end user (HNED) to receive a service.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Conditional access or content protection may be used as means for protecting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system. As an example of such restriction reception or content protection, a scheme such as a cable card (CableCARD) and a DCAS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may be used.

한편, 사용자(40)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사용자(40)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가 사용자(40)로부터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40 can also provide the content through the network. In this case, conversely, conversely, conversely, the user 40 may be a content provider and the content provider 10 may receive content from the user 40. [ Thereby enabling bidirectional content services or data service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는, 신호 입력 및 처리부(201), 저장부(202), 제어부(20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는 디스플레이부(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gnal input and processing unit 201, a storage unit 202, a control unit 203, and a user interface unit 205 .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204. [

여기서, 영상표시기기는 소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전과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 또는 셋톱박스(Set-Top Box)와 같은 디지털 방송 단말기를 포함한다. 영상표시기기가 디지털 텔레비전인 경우, 영상표시기기는 내부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가 셋톱박스인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영상표시기기에 포함되지 않으며, 외부적으로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등)와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image display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and includes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such as a digital television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 digital broadcast terminal such as a set-top box . If the video display device is a digital television,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internally include the display portion 204. [ Also,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a set-top box, the display part is not includ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but may be connected to a device (e.g., a display panel or the like) externally performing a display function.

도 2에서는 영상표시기기가 디지털 텔레비전과 같이 내부적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FIG.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rt internally such as a digital television.

이 중 신호 입력 및 처리부는, 방송 수신부(미도시)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부는, 튜너(미도시), 복조부(미도시),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튜너와 복조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ignal input and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unit (not shown) and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not shown).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tuner (not shown), a demodulating unit (not shown),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not shown). The tuner and demodulator may be selectively provided with the network interface unit.

튜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The tuner selectively receives an RF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frequency band of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channels stored in an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lso,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복조부는, 튜너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The demodulator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복조부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전송 스트림(TS: Transfer Stream)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demodulation unit may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then output a TS (Transport Stream) signal.

복조부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203)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03)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204)에 영상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203. The control unit 203 performs demultiplexing,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and then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204.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can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 / V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And can be networked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s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various set-top boxe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 box.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203) 또는 저장부(202)로 전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can receive the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in the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can transmit the received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to the control unit 203 or the storage unit 2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영상표시기기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wit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may include an Ethernet terminal or the like for connection with a wired network and may be a wireless LAN (WLAN) (Wi-Fi), a Wibro (wireless broadband), 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he lik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via the network. That is, it is possible to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the server. In addition,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can be received. That is, it can receive contents such as a movie, an advertisement, a game, a VOD, a broadcast signal, and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the update information and the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can be received. It may also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can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one of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via the network.

저장부(202)는, 제어부(203)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202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 unit 203 or may store a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또한, 저장부(202)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02)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02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02 can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또한, 저장부(202)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Further, the storage unit 202 may store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구체적으로, 저장부(202)는 바로가기 매핑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 또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바로가기 매핑 데이터는 이하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202 may store the shortcut mapping data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or a database. The shortcut mapping dat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저장부(202)가 제어부(203)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202)는 제어부(203)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202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203,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202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203.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05)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03)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03)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05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203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3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05)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6)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03)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6)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05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05 in accordance wit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R (infrared)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communication, A process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user input signal or a control signal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etc.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6 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3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6 can do.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05)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03)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05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or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 unit 203.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05)는, 바로가기 메뉴의 소정 문자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05 can receive a predetermined character selection signal of the shortcut menu.

따라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03)에 전달하거나, 제어부(203)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input signal or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sensing unit sensing the user's gesture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3, or th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3 can be transmitted to the sensing unit. Here,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05)는 외부적으로 구비되는 원격제어장치(206)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Specifically, the user input interface 205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ly provided remote control device 206.

제어부(203)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3 can demultiplex an input stream or process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a tuner or a demodulation unit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to generate and output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제어부(203)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04)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3)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03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204 and can be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In addition,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03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203)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203 may include a demultiplexing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like.

그 외, 제어부(203)는, 영상표시기기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3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in the video display device.

한편, 제어부(203)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entering the application view item, the control unit 203 can control to display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that can be downloade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from an external network.

제어부(203)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04)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3 can control, in addition to various user interfaces, to install and drive an application downloaded from the external network. Furth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unit 204 to display an image related to the executed application by the user's selection.

또한, 제어부(203)는,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을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04)에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05)를 통하여 소정 문자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신호에 따른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바로가기를 실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3 outputs a shortcut menu including a character list of a predetermined language to the display unit 204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 selec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05, It is possible to execute a shortcut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haracter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signal.

디스플레이부(204)는, 제어부(203)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The display unit 204 converts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03 or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

디스플레이부(204)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04 may be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or the like.

한편, 디스플레이부(204)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204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203)에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photographing a user can be further provided.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by a single camer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camera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203. [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가 영상표시기기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5)를 통해 제어부(203)로 전달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detect the gesture of the user, the sensing unit having at least one of the touch sensor, the voice sensor, the position sensor, and the motion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3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05.

제어부(203)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203 may sense the gesture of the user by combining each of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or the sensed signals from the sensing unit.

원격제어장치(206)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05)로 송신한다. The remote control device 206 transmits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05. [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6)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6 can use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or the like.

사용자는, 바로가기 메뉴에서 소정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6)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via the remote control device 206,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in the shortcut menu.

또한, 원격제어장치(206)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05)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6)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device 206 receives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05 and displays it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6 or output voice or vibration.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204)가 제외된 영상표시기기로서,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04)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타입일 수도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 image display device excluding the display portion 204 shown in FIG. 2, and is a wireless display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display portion 204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ype.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기기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element, or one constituent element may be constituted by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apparatus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이하의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제공 방법과 기술적 사상 및 동작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세부 구성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제공방법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ncludes a shortcut providing method, a technical idea and an operatio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3, same. Accordingly, detailed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a shortcu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제공방법이 실시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implementing a shortcu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 가능한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을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한다(S301). 구체적으로, 단계(S301)는 제어부(203)에서 전술한 바로가기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출력하고,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20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hortcut menu including a character list of a predetermined language that can be set as a shortcut object through a user interface (S301). Specifically, step S301 may be performed by generating and outputt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the shortcut menu described above in the control unit 203 and displaying the output user interface through the display unit 204. [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핫키(Hot-key)입력에 의해 출력되거나, 영상표시기기의 설정에 의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인가와 함께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may be output by a hot-key input of an image display device or a remote controller, o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be output.

이를 통하여, 상기 바로가기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소정의 컨텐츠 및 애플리케이션을 이용중인 경우에도 핫키 입력을 통하여 편리하게 즉시 바로가기 메뉴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user interface including the shortcut menu has an effect that the shortcut menu can be conveniently called immediately through the hot key input even when the user is using predetermined contents and applications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hav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지상파 방송을 시청 중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소정의 웹사이트를 검색 중인 경우, 또는 영상표시기기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영상표시기기의 메뉴 항목을 탐색 중인 경우에도, 리모트 컨트롤러의 핫키 입력만으로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바로가기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is viewing a terrestrial broadcast through a video display device, a predetermined web site is being searched through an application, or a menu item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s being searched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 It is possible to output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shortcut menu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nly by hot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ler.

또한, 상기 바로가기 메뉴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중인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반투명한 색상으로 표시되거나, 상기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출력되지 않는 소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로가기 메뉴가 출력되더라도, 사용자는 실행중인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계속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hortcut menu may be displayed in a translucent color 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the use of the content or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or may b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in which the content or application is not output. Therefore, even if the shortcut menu is displayed, the user can continue to use the running content or application.

상기 바로가기 메뉴는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의 시청자가 영어를 영상표시기기의 시스템 언어로 설정한 경우 A부터 Z까지의 영문 문자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국어를 영상표시기기의 시스템 언어로 설정한 경우 ㄱ 부터 ㅎ 까지의 한글 초성 문자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문자 목록은 소정의 숫자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hortcut menu includes a character list of a predetermined language. For example, if the viewer of the video display device sets the English language as the system languag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list of English characters A through Z can be included. In addition, if Korean is set as the system languag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t may include a list of Hangul initial characters from A to H.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haracter list may include a predetermined number list.

다음으로, 상기 문자 목록에서 소정 문자를 선택받는다(S302). 문자 목록은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selected from the character list (S302). The character lis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구체적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정 문자의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pecifically, the video display device receives the selection signal of the predetermined character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다음으로,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바로가기를 실행한다(S303).Next, a shortcu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is executed (S303).

상기 바로가기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소정 메뉴 항목으로 이동하거나 영상표시기기의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ortcut may include moving to a menu item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r executing an applic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도 4는 도 3의 소정문자를 선택받는 단계(S302)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a step S302 of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in FIG.

단계(S401)는, 단계(S301)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바로가기 메뉴의 소정 문자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401,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lec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character in the shortcut menu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device in step S301.

실시 예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 입력신호가 없는 경우,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re is no input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interface of the shortcut menu can be removed from the display unit.

단계(S401)에서 소정 문자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자가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된 문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2).If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selected in step S40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lected character is a character set as a shortcut object (S402).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소정 문자의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바로가기 매핑된 지정 메뉴항목 또는 지정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When the selection signal of the predetermined character is received, the video display device searches the databas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hortcut-mapped specified menu item or a designated application.

실시 예에 따라,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자 목록에서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된 문자와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되지 않은 문자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구별 표시는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of the shortcut menu can display characters set as shortcut objects and characters not set as shortcut objects in the character list. The above-described distinguishing displa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도 4의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된 문자인지 판단하는 단계(S402)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S402 of determining whether a character is set as a shortcut object in FIG.

도 4의 단계(S401)에서 소정문자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에 복수의 바로가기가 매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1).If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selected in step S401 of FIG. 4, it is determined whether a plurality of shortcuts are mapped to the selected predetermined character (S501).

선택된 소정 문자에 복수의 바로가기가 매핑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바로가기 중 하나 이상의 바로가기를 선택하기 위한 바로가기 선택 메뉴를 출력한다(S502).If a plurality of shortcuts are mapped to the selected character, a shortcut selection menu for selecting one or more shortcuts of the plurality of shortcuts is output (S502).

다음으로, 상기 단계(S502)의 바로가기 선택 메뉴에서 하나 이상의 바로가기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503).Next, one or more shortcut selection signals are received from the shortcut selection menu of step S502 (S503).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정 문자에 바로가기를 매핑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pping a shortcut to a predetermined charac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단계(S401)에서 소정문자의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바로가기 편집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1).If no selec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received in step S401 of FIG. 4,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shortcut editing signal is received (S601).

실시 예에 따라, 바로가기 메뉴에 포함된 바로가기 편집 메뉴 항목의 선택 신호 및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핫키(Hot Key)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신되는 경우 바로가기 편집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at least one of the selection signal of the shortcut editing menu item included in the shortcut menu and the hot key input signal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r the remote controller is received, have.

상기 핫키 입력을 통하여 바로가기 편집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신속하고 간단히 바로가기를 편집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When a shortcut editing signal is input through the hotkey input,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edit the shortcut.

또한, 도 4와는 달리 소정 문자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어도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가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되지 않은 소정 문자인 경우, 상기 소정 문자의 선택 신호를 바로가기 편집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Also, unlike FIG. 4, if the selected character is a predetermined character not set as a shortcut object, the selection signal of the predetermined character can be recognized as a shortcut edit signal.

다음으로, 상기 바로가기 편집 신호가 수신된 경우,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할 문자를 선택받는다(S602).Next, when the shortcut editing signal is received, a character to be set as a shortcut object is selected (S602).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바로가기 메뉴 항목에 포함된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에서 바로가기를 매핑하고자 하는 소정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user may select a predetermined character to map a shortcut from a character list of a predetermined language included in a shortcut menu item.

다음으로, 바로가기 대상으로 설정할 항목(Item)의 목록(List)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한다(S603).Next, a list (List) of items to be set as a shortcut target is out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S603).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목록은 영상표시기기의 소정의 메뉴항목 목록 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에서 이용가능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일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소정 항목만을 포함하는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st may be a predetermined menu item lis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r a predetermined application list availabl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may output a list including only a predetermined ite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edetermined character .

예를 들어 단계(S602)에서 사용자가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하고자 하는 문자를 영문 문자 'M'으로 선택한 경우, 영문 문자 'M'과 관련된 항목인 MUSIC, METRO, MANAGEMENT 등의 이름을 가진 항목만을 포함하는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tep S602, if the user selects a character to be set as a shortcut object with the English letter 'M', only the item having a name such as MUSIC, METRO, MANAGEMENT, etc. related to the English letter 'M' Can be displayed.

다음으로, 상기 목록에서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를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할 하나 이상의 항목을 선택받는다(S604).In step S604, one or more items to set the selected character as a shortcut object are selected from the list.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선택신호에 따른 매핑정보를 반영하여 바로가기 매핑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When th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video display device reflects the map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and updates the shortcut mapping data.

상기 바로가기 매핑데이터에 관하여는 이하 도 1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shortcut mapping dat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정문자에 바로가기를 매핑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다른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pping a shortcut to a predetermined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영상표시기기는 바로가기 선택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S701).Referring to FIG. 7, the video display device outputs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shortcut selection menu to the display unit (S701).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는 바로가기 메뉴의 편집 메뉴 항목 선택 신호,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핫키(Hot Key)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바로가기 선택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6,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receives any one or more of the edit menu item selection signal of the shortcut menu, the hot key input signa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r the remote controller, The shortcut selection menu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상기 바로가기 편집메뉴는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을 포함한다. 또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이용중인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반투명한 색상 표시되거나 상기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출력되지 않는 소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The shortcut editing menu includes a character list of a predetermined language. In addition, the content may be displayed in a semi-transparent color or in a predetermined area in which the content or application is not outpu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tent or the application being us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 중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할 문자의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702).Next, the image display device receives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to be set as a shortcut object in the character list of the predetermined language (S702).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키버튼 및 키패드를 통하여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character through the key buttons and the keypad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r the remote controller.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는 현재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 중인 항목을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대상으로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S703).Next, the video display device outputs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whether to set an item currently being execut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as a shortcut targe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S703).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하여는 이하 도 1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user interfac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단계(S703)에서 사용자가 상기 항목을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기능으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 영상표시기기는 바로가기 대상 목록을 출력한다. If the user does not set the item to the shortcu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in step S703, the image display device outputs the shortcut target list.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바로가기 대상 목록은 영상표시기기의 소정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목록 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에서 이용가능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목록일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소정 항목만을 포함하는 목록을 출력할 수 있음은, 도 6의 경우와 같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hortcut target list may be a list including a predetermined menu item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r a list includ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vailabl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may include a predetermined ite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edetermined character Can be output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목록 중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대상으로 설정할 바로가기 기능을 선택받는다(S705).Next, the video display device selects a shortcut function to be set as a shortcut targe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among the list (S705).

단계(S703)에서 사용자가 현재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 중인 항목을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하고자 선택하였거나, 단계(S705)에서 사용자가 바로가기 대상의 선택 신호를 입력한 경우, 영상표시기기는 바로가기 매핑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S706).In step S703, if the user has selected to set an item currently being executed on the video display device as a shortcut object, or if the user inputs a selection signal of the shortcut target in step S705, And updates the data (S706).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동작 후, 영상표시기기는 바로가기 메뉴를 출력하거나, 바로가기 선택 메뉴 출력 이전의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fter the update opera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output a shortcut menu or output an execution screen of the content or application before the shortcut selection menu is output.

상기와 같은 바로가기 매핑 과정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영상표시기기에서 이용 중인 메뉴 항목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바로가기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소정의 키 입력 만으로 상기 현재 이용 중인 메뉴 항목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바로가기 대상으로 하는 바로가기 매핑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hortcut mapping proces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wishes to set a shortcut to a menu item or an application currently being us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user can input the currently used menu item or application as a shortcut object It is possible to set up the shortcut mapping data.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일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을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8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을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shortcut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screen 801 of a shortcut menu 802 including a character list of a predetermined langu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에,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 가능한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을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802)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한다.8, a shortcut menu 802 including a character list of a predetermined language that can be set as a shortcut object is output through a user interface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상기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은, 사용자가 시스템 언어를 영어로 설정한 경우, A부터 Z까지의 문자 목록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한국어로 설정한 경우 ㄱ 부터 ㅎ 까지의 문자 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문자 목록은 소정의 숫자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racter list of the predetermined language may include a list of characters from A to Z when the user sets the system language to English, and may include a list of characters from A to H when set to Korean.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haracter list may include a predetermined number list.

또한,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바로가기 메뉴가 현재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반투명한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출력되지않는 디스플레이부의 소정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displays the shortcut menu in a translucent color or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in which the content or application is not output, so that the shortcut menu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se of the content or application currently running in the video display device .

상기와 같은 바로가기 메뉴를 통하여,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의 다양한 메뉴 항목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한 화면 내에서 편리하게 검색하고 실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Through the shortcut menu, the user can conveniently search and execute various menu items or applicatio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n one screen.

즉, 영상표시기기의 다양한 메뉴 항목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각각의 메뉴 항목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소정 문자를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하고, 상기와 같은 바로가기 메뉴를 통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문자 목록에서 소정 문자를 선택하여 한 화면 내에서 모든 메뉴 항목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various menu items or applicatio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be set as shortcut objects for each menu item or application, and can be executed through the shortcut menu as described above, Characters can be selected to search all menu items or applications in one screen.

도 9는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된 문자와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되지 않은 문자를 서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901)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shortcut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 user interface screen 901 of a shortcut menu for distinguishing characters set as shortcut objects and characters not set as shortcut obj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예에 따라,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된 문자(902)는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되지 않은 문자보다 굵은 폰트로 표시할 수 있으며,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되지 않은 문자(903)는 얇은 폰트, 또는 점선 내지 반투명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된 문자(902)는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되지 않은 문자와 다른 글씨체, 색상 또는 외곽 디자인 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haracter 902 set as a shortcut object can be displayed in a font that is thicker than a character not set as a shortcut object, and the character 903 not set as a shortcut object can be displayed in a thin font, It can be displayed in translucent color. In addition, the character set 902 as a shortcut object may have a font, color, or outline design that is different from a character not set as a shortcut object.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바로가기 메뉴에 포함된 소정의 문자 중 어떠한 문자가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된 문자인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user interface,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which character among the predetermined characters included in the shortcut menu is the character set as the shortcut object.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1001 of a shortcut menu includ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바로가기 메뉴는,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1003)과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목록(100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shortcut menu includes a character list 1003 of a predetermined language and a predetermined application list 1002.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빈도, 최근 사용 여부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개수 및 내용이 변경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list of applications may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the latest usage, and the number and contents of the application items included in the sel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편리하게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user interface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allowing a user to frequently execute an application frequently us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편집 메뉴 항목 및 문자 선택 블록을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01)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ortcut menu user interface 1101 including a shortcut editing menu item and a character selec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과 같이 별도의 메뉴 항목(1103)으로 바로가기 편집 메뉴 항목을 표시할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 바로가기 메뉴의 소정 문자 목록 중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되지 않은 소정 문자의 선택 신호를 바로가기 편집 신호로 인식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1, a shortcut editing menu item can be displayed in a separate menu item 1103, and a selec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character not set as a shortcut object i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list of the shortcut menu, It can be recognized as an edit signal.

바로가기 메뉴는 상기 문자 목록에서 소정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블록 형태의 선택블록(11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선택블록은 선택 커서 형태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hortcut menu may include a selection block 1102 in the form of a selection block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the character list.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lection block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 selection cursor.

사용자는 상기 선택블록(1102)을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재 상기 선택블록이 위치한 소정 문자에 설정된 바로가기를 표시하는 창(1104)을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move the selection block 1102 through a user input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lso, the user interface of the shortcut menu including the window 1104 displaying the shortcut set i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at which the selection block is currently located can be output.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소정 문자에 설정된 바로가기를 표시하는 창(1104)는 바로가기 대상의 이름, 바로가기 대상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indow 1104 displaying the shortcut set i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ame of the shortcut object and the icon of the shortcut object.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바로가기 메뉴에 포함된 소정 문자에 복수의 바로가기가 설정된 경우, 바로가기 선택 메뉴(1203)를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12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01)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shortcut menu including a shortcut selection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12B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1201 of a shortcut menu 1202 including a shortcut selection menu 1203 when a plurality of shortcuts are set for a predetermined character included in the shortcut menu.

영상표시기기에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기능이 존재하므로, 하나의 바로가기 객체에 하나 이상의 바로가기 대상이 설정될 수 있다. Since there are various applications and functions in the video display device, one or more shortcut objects can be set in one shortcut object.

예를 들어, 바로가기 메뉴(1202)의 선택블록(1204)을 통하여 문자 목록 중 'Y'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Y'에 선택된 바로가기인 'Youtube' 및 'Yahoo' 중 하나 이상의 바로가기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바로가기 선택 메뉴(1203)를 출력한다.For example, if 'Y' is selected from the character list through the selection block 1204 of the shortcut menu 1202, one or more shortcuts of 'Youtube' and 'Yahoo' And outputs a shortcut selection menu 1203 for selecting an object.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한 문자에 복수의 바로가기가 설정되더라도 상기 복수의 바로가기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원하는 바로가기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lurality of shortcuts and conveniently select a desired shortcut even if a plurality of shortcuts are set for one charact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301)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13 is another diagram showing a user interface 1301 of a shortcut menu including a shortcut selection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1)가 바로가기 메뉴(1302), 바로가기 선택 메뉴(1303) 및 문자 선택블록(1304)을 포함할 수 있음은 도 12와 같다.The user interface 1301 may include a shortcut menu 1302, a shortcut selection menu 1303, and a character selection block 1304 as shown in FIG.

다만, 도 12와 달리 바로가기 선택 메뉴(1303)는 상기 선택 블록에 의해 선택된 소정 문자에 설정된 복수의 바로가기를 상기 바로가기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바로가기 중 하나 이상의 바로가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커서(1305)를 포함할 수 있다.However, unlike FIG. 12, the shortcut selection menu 1303 can display a plurality of shortcuts set for a predetermined character selected by the selection block as predetermine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selection cursor 1305 for selecting one or more shortcuts of the plurality of shortcuts.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상기 복수의 바로가기의 종류 및 기능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user interface,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types and functions of the shortcuts through the image data.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편집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screen of a shortcut edit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1)는 바로가기 편집 메뉴(140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user interface 1401 includes a shortcut editing menu 1402. FIG.

상기 바로가기 편집 메뉴(1402)는, 현재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 중인 항목을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대상으로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The shortcut editing menu 1402 selects from the user whether or not to set an item currently being execut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s a shortcut targe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바로가기 편집 메뉴는, 현재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 중인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의 메시지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hortcut editing menu may include a predetermined message or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n item currently being execut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또한, 사용자가 소정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예' 메뉴 항목(1403)을 선택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는 바로가기 매핑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반면에, '아니오'(1404)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는 도 15와 같은 바로가기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소정의 목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Also, when the user selects the 'Yes' menu item 1403 through the predetermined input means, the video display device updates the shortcut mapping data. On the other hand, when selecting the menu item 'NO' 1404,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output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predetermined list for selecting a shortcut object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현재 실행 중인 항목을 손쉽게 바로가기 대상으로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user interface, the user can easily designate and store an item currently being executed as a shortcut target.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편집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15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shortcut editing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바로가기 편집 메뉴는, 바로가기 객체와 매핑시키기위한 영상표시기기의 메뉴 항목 목록 및 영상표시기기에서 이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한다.The shortcut editing menu outputs at least one of a menu item lis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for mapping with the shortcut object and a list of applications availabl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메뉴 항목 목록 및 영상표시기기에서 이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은 사용자가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하고자하는 소정 문자와 관련된 항목의 목록만을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st of menu item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list of applications availabl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include only a list of items related to a predetermined character that the user desires to set as a shortcut object.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자 'M'을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하기 위한 바로가기 편집 메뉴(1502)는 'My Media', 'Music', 'Metro'와 같이 'M'으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항목만을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목록에서 원하는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ETC' 항목(1504)을 선택하여 다른 항목을 검색할 수 있다.For example, a shortcut editing menu 1502 for a user to set the letter 'M' as a shortcut object may include an entry having a name beginning with 'M', such as 'My Media', 'Music' Can be output. If there is no desired item in the list, the user can select 'ETC' item 1504 to search for another item.

또한, 사용자는 상기 목록(1502) 중에서 항목 선택 블록(1503)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바로가기로 설정할 메뉴 또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a menu or an application item to be set as one or more shortcuts through the item selection block 1503 in the list 1502.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로가기 매핑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바로가기 객체별로 바로가기 매핑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shortcut mapp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5 illustrates storage means for storing shortcut mapping data for each shortcut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바로가기 객체는 소정의 영문 문자(1602) 별로, 소정의 영문 문자에 지정된 바로가기 메뉴 항목(1603) 및 소정의 영문 문자에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항목(1604)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영문 문자에 복수의 항목(1605)이 지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rtcut object includes shortcut menu items 1603 assigned to predetermined English characters and application items 1602 specified in predetermined English characters, Lt; RTI ID = 0.0 > 1604 < / RTI > In addition, a plurality of items 1605 can be assigned to one English letter.

바로가기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바로가기 객체(1602)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지정 메뉴 항목 및 지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관한 매핑 데이터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shortcut object 1602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n the user interface of the shortcut menu, mapping data related to the shortcut application menu item and the designated applic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mage To the control unit of the display device.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방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i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2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소정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바로가기 메뉴의 소정 문자 선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및
소정 언어의 문자 목록을 포함하는 상기 바로가기 메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소정 문자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문자 목록에서 소정 문자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바로가기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로가기 메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중인 소정의 컨텐츠와 함께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소정 문자 선택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를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채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 네트워크 주소 또는 저장부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predetermined contents;
A user input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selection signal of a shortcut menu; And
The shortcut menu including a character list of a predetermined languag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selected from the character list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character selection signal, And a controller,
The shortcut menu is output together with predetermined content being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is set to a broadcasting channel received through a tuner, a network address at which a data packet is received through a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application stored in a storage unit according to receiving the predetermined character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상기 바로가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바로가기를 바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nd if the shortcu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exists, executes the shortcut immediately.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문자 목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각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로가기와 매핑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video display device comprises:
Wherein each of the at least one character included in the character list includes at least one shortcut,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imag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로가기를 편집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문자 목록에서 소정 문자를 선택받고,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항목 목록(list) 및 애플리케이션 항목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메뉴 항목 목록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항목 목록 중 소정 항목(item)을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에 대응되는 상기 바로가기의 객체로 설정하고, 상기 매핑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menu item list and an application item lis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n the display unit when receiving a signal for editing the shortcut, Sets a menu item list or an item of the application item list as an object of the shortcu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and stores the mapp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로가기가 실행되고, 소정 시간 동안 입력신호가 없거나,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바로가기 메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nd the shortcut menu is removed from the user interface when the shortcut is executed and there is no input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or when an end command is inpu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로가기 실행에 응답하여, 소정의 메뉴 항목으로 이동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shortcut, moving to a predetermined menu item or executing an applica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로가기의 객체로 설정된 문자와 상기 바로가기의 객체로 설정되지 않은 문자를 서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상기 문자 목록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nd outputs the character list which distinguishes between a character set as an object of the shortcut and a character not set as an object of the shortcu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 및 상기 선택키가 위치한 소정 문자에 설정된 바로가기를 표시하는 창을 더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Further comprising: a shortcut menu including a selection key for selecting the predetermined character and a shortcut for a predetermined character at which the selection key is locat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문자에 복수의 상기 바로가기가 설정된 경우, 상기 지정된 바로가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상기 바로가기를 선택받기 위한 선택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바로가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바로가기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nd outputting a selection menu screen for selecting one or more shortcuts among the designated shortcuts when a plurality of shortcuts are set for the selected character and executing the selected shortcut when a shortcut is selected Video display devic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빈도, 소정 기간 동안의 사용 여부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하는 바로가기 메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nd outputs a shortcut menu including a list of applications se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is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user's selec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바로가기를 편집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문자 목록에서 소정 문자를 선택받고,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기 메뉴 항목 목록(list) 및 애플리케이션 항목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여, 상기 메뉴 항목 목록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항목 목록 중 소정 항목을 상기 선택된 소정 문자에 대응되는 상기 바로가기의 객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 list of menu items and an application item lis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re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 signal for editing a shortcut is received,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selected from the character list, The menu item list or the application item list is set as an object of the shortcu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가기를 편집하기 위한 신호는,
상기 바로가기 메뉴의 편집키 선택신호, 또는 상기 문자 목록에서 상기 바로가기 객체로 설정되지 않은 소정 문자의 선택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signal for editing the shortcut includes:
An edit key selection signal of the shortcut menu, or a selec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character not set as the shortcut object in the character list.
KR1020100074874A 2010-08-02 2010-08-03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KR101752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874A KR101752412B1 (en) 2010-08-03 2010-08-03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EP11000434.8A EP2416564B1 (en) 2010-08-02 2011-01-20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US13/028,911 US8411201B2 (en) 2010-08-02 2011-02-16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CN201110049703.XA CN102346630B (en) 2010-08-02 2011-02-28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US13/799,743 US20130268967A1 (en) 2010-08-02 2013-03-13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874A KR101752412B1 (en) 2010-08-03 2010-08-03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866A KR20120012866A (en) 2012-02-13
KR101752412B1 true KR101752412B1 (en) 2017-06-29

Family

ID=4583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874A KR101752412B1 (en) 2010-08-02 2010-08-03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41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866A (en) 201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0714B2 (en) Control method using voice and gesture in multimedia device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EP2416564B1 (en)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KR101774316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nents using the same
US9432608B2 (en) Multimedia device connected to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US2012014726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48467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e for updating thumbnail images in a thumbnail list
EP226222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2257052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839725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80139502A1 (en) Display device
CN111726673B (en)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KR20150081040A (en)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spliting screen thereof
EP2605512B1 (en) Method for inputting data o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KR10179927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by using remote controller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CN113542899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isplay device and server
KR101752412B1 (en)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US103976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hannel control on a paired device
EP2934002B1 (en) Control of a cursor of a multimedia device
KR20140061118A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ignal thereof
KR101790342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20309095A1 (en) Display device
KR101710398B1 (en) Method for removing and re-sensing USB storage device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10167688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69679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77389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