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557B1 -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communication d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communication d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557B1
KR101750557B1 KR1020100097201A KR20100097201A KR101750557B1 KR 101750557 B1 KR101750557 B1 KR 101750557B1 KR 1020100097201 A KR1020100097201 A KR 1020100097201A KR 20100097201 A KR20100097201 A KR 20100097201A KR 101750557 B1 KR101750557 B1 KR 10175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mmunication
protocol
video
video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5590A (en
Inventor
김윤정
노혜은
유현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557B1/en
Priority to PCT/KR2010/007898 priority patent/WO2012046910A1/en
Publication of KR2012003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5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96Supplementary features, e.g. call forwarding or call ho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6Call signalling protocols; H.323 and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통화 상대방의 연락처 및 상기 연락처에 대하여 설정된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단축번호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단축번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단축번호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통화를 위한 전화연결시 단축번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단축번호를 선택하여 간편하게 화상통화를 위한 전화걸기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memory for storing contacts of a video communication party and an abbreviated number set for the contac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list of abbreviated number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list of abbreviated numbers according to the abbreviated numbers stored in the memory And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rtcut number list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when a telephone is connected for a video call, so that a user can easily make a telephone call for a video call by selecting the shortcut number.

Description

화상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화상 통화 장치{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COMMUNICATION DVICE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 video communication, and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method. [0002]

본 발명은 화상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화상 통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video communication and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method.

화상 통화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a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video or a moving image through a camera, a voice storage function, a music file playback function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an image or video display function.

일부 화상 통화 장치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화상 통화 장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화상 통화 장치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Some video telephony devices include additional features that enable playing games, and some other video telephony devices are also implemented as multimedia devices. Moreover, recent video communication devices can receive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s to watch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또한, 상기 화상 통화 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화상 통화 장치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이러한 화상 통화 장치의 디자인 형태로서는 폴더 형태, 슬라이드 형태, 바 형태 또는 로테이션 형태의 디자인이 적용되고 있다.Further, efforts for supporting and increasing the function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re continuing. Such efforts include not only changes and improvements in the structural components that form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but also improvements in software or hardware. As a design mode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 folder style, a slide style, a bar style, or a rotation style design is applied.

그런데, 사용자가 상기 화상 통화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일일이 통화 프로토콜(Call Protocol), 대역폭(Bandwidth) 및 통화 모드(화상모드 또는 음성모드)를 설정하고,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IP 또는 전화번호를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화상통화를 위한 전화걸기에 불편함이 있다.
When a user wishes to perform a video call using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the user sets a call protocol, a bandwidth and a call mode (picture mode or voice mod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making a telephone call for a video call by inputting the IP or the telephone number through the keypa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통화 프로토콜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통화 프로토콜을 설정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화상통화 상대방에게 전화걸기를 할 수 있는 화상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화상 통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a video call in which a user can easily make a call to a video caller without changing a call protocol by changing a call protocol according to a network condition And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metho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상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등록된 화상통화 상대방의 연락처에 단축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단축번호메뉴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대기화면상에 단축번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 video call,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 shortcut number to a contact of a registered video call partner; And displaying the abbreviated number list on the idle screen.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단축번호 리스트상의 어느 하나의 단축번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화상통화 상대방과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one of the shortcut numbers on the shortcut number list and connecting the video call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hortcut numb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단축번호 리스트는 화상통화 상대방의 이미지, 이름, IP 주소 및 단축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cut number lis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mage name, an IP address, and an abbreviated number of a video call recipi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단축번호 리스트상의 어느 하나의 단축번호를 선택하는 단계는 키패드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숫자 키를 길게 누름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selecting one of the shortcut numbers on the shortcut number list is performed by pressing at least one of the numeric keys of the keypa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단축번호 리스트상의 어느 하나의 단축번호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단축번호 리스트상의 어느 하나의 단축번호에 대하여 소정의 터치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selecting any one of the abbreviated numbers on the abbreviated-number list may include a step of, when the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selecting one of the abbreviated numbers on the abbreviated- Of the touch pane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화상 통화 장치는 화상통화 상대방의 연락처 및 상기 연락처에 대하여 설정된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단축번호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단축번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단축번호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a memory for storing a contact number of a video communication party and a shortcut number set for the contac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hortcut number lis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abbreviated number list according to the abbreviated nu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단축번호 메뉴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축번호 메뉴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단축번호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shortcut menu icon, and when the shortcut menu icon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shortcut number list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단축번호 리스트상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축번호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화상통화 상대방과 화상통화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one shortcut number on the shortcut number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elected, control is performed to connect a video call with a video call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hortcut number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키패드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숫자 키가 길게 눌러지는 경우, 단축번호가 선택되었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detects that a shortcut number is selected when at least one of the numeric keys of the keypad is presse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단축번호 리스트상의 어느 하나의 단축번호에 대하여 소정의 터치가 입력됨에 따라 단축번호가 선택되었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lect one of the shortcut numbers on the shortcut number lis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통화를 위한 전화연결시 일일이 통화 프로토콜(Call ProtocOl), 대역폭(Bandwidth) 및 통화 모드(화상모드 또는 음성모드)를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단축번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단축번호를 선택하여 간편하게 화상통화를 위한 전화걸기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t a call protocol, a bandwidth, and a call mode (a picture mode or a voice mode) at the time of telephone connection for a video cal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ke a telephone call for a video call by selecting the shortcut nu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 전화걸기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축번호 리스트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전화걸기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mage diagram of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call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mage diagram of a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video call dia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mage diagram of a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a video call dialing using a speed dial number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화상 통화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화상 통화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화상 통화 장치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30)는 화상 통화 장치(100)간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네트워크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코어 네트워크(Data Core Network: DCN) 및 화상 통화 시스템을 포함한다.1,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for connecting betwee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es 100. The network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data core network (DCN) Video call system.

이동통신 네트워크(30)는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교환기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 includes a base station, a controller, and a mobile exchange.

기지국은 화상 통화 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조절하고, 제어기는 화상통화나 멀티미디어 서비스, VOD(Video On Demand) 서비스의 연결을 제어한다. 화상통화장치는 제어기와 연결되며, 이동교환기의 호 제어는 ATM 방식인 셀 단위로 이루어지고, 서브 컨트롤인 이동성 제어(mobility control)에서는 가입자 등록, 갱신 기능 등을 처리하고, 지능 교환기는 각종 부가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The base station control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peed with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100, and the controller controls connection of a video call, a multimedia service, and a video on demand (VOD) service.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all control of the mobile exchange is performed in units of cells, which are ATM systems. In the mobility control, which is a sub control, subscriber registration and update functions are handled. Function.

이동통신 네트워크(30)의 제어기와 연결된 데이터 코어 네트워크는 화상 통화 장치(100)의 접속 신호를 화상통화, 멀티미디어 서비스, VOD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The data core network connected to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 converts the connection signal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100 into a video call, a multimedia service, and a VOD service.

화상통화 시스템은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제공하기 위한 인코딩 서버, 동영상이나 MP3 등의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로 저장하여 제공하는 디지털 서버, 이동통신 네트워크(30)로 동영상 데이터나 음악 등의 사운드 데이터를 스트리밍으로 공급하는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버 등으로 구성되어 화상 통화를 처리한다. 또한, 화상통화 시스템은 화상 통화 장치(100)로 화상통화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 VOD 서비스를 이용시에 과금을 처리한다.The video call system includes an encoding server for providing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digital server for digitally storing voice data such as moving pictures and MP3s, and a digital server for providing sound data such as moving picture data and music And a network streaming server that supplies data to streaming, and processes the video call. In addition, the video call system processes billing when using the video call service, the multimedia service, and the VOD service with the video call apparatus 100.

본 실시예에서, 화상 통화 장치(100)간에 화상 통화를 위한 호가 연결되면 이동통신 네트워크(30)에서 호 채널을 연결하여 데이터 코어 네트워크와 화상통화 시스템을 경유하여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화상 통화가 수행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call for a video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es 100, a video communication is performed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data via the data core network and the video communication system by connecting a call channe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 do.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화상 통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화상 통화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화상 통화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and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components having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화상 통화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화상 통화 장치(100)와 화상 통화 장치(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100 is located .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화상 통화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attached to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100.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위치정보 모듈(115)은 화상 통화 장치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position of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도 2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2,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키보드, 마우스, 리모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keyboard, a mouse, a remote controller,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화상 통화 장치(100)의 개폐 상태, 화상 통화 장치(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화상 통화 장치의 방위, 화상 통화 장치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화상 통화 장치(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화상 통화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position of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position of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100. [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the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a haptic module 154 .

디스플레이부(151)는 화상 통화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화상 통화 장치가 화상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화상 통화 장치(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100. For example, whe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a user interface (UI) related to the call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s displayed. Whe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video capture mode, the captured video and / or the received video or UI and GUI ar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142)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142 may tak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or a touch pad.

터치센서(142)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42)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142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display part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art of the display par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142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센서(14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142,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Thus, the control unit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or the like.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화상 통화 장치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2,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which is enclosed by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화상 통화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tones, message reception tones, etc.) perform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100.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화상 통화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100.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it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The memory 16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ted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인터페이스부(170)는 화상 통화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화상 통화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화상 통화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channel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100 or allows data in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100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화상 통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통신부(200)는 화상통화 장치(100)간 화상통화 또는 음성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H.323 통신 모듈(210) 및 SIP 통신 모듈(220)을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00 includes a H.323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a SIP communication module 220 for performing a video call or a voice call betwee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es 100.

상기 H.323 통신 모듈(210)은 IP 네트워크에서 보이스와 비디오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 통신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호의 구축과 관리 및 종료를 관리하고 호에 참여한 디바이스간의 미디어 스트림 교환을 수행한다. The H.323 communication module 210 is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including voice and video in an IP network through real-time communication. The H.323 communication module 210 manages the establishment, management and termination of calls, and exchanges media streams between devices participating in the call.

상기 SIP 통신모듈(220)은 인터넷 상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화상통화 장치(100)간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 멀티미디어 통신 세션을 생성하거나 삭제 또는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The SIP communication module 220 identifies each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es 100 to be communicated on the Internet, finds its position, and performs a procedure for creating, deleting or changing a multimedia communication session.

리모콘 수신부(300)는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른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기능을 하며, 제어부는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른 처리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receiver 300 has a function of receiving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operation of the user, and the control unit can display a processing resul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on the display.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8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화상통화 상대방의 연락처에 대한 정보 및 단축번호를 메모리(160)에 저장한다(S31). 제어부(180)는 연락처 및 단축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정보 입력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정보 입력창을 이용하여 통화 상대방의 이름, 전화번호, IP 주소 이미지를 포함하는 통화 상대방 정보 및 단축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180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contact of the video communication party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and the abbreviated number in the memory 160 (S31). The control unit 18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setting a contact and a shortcut number. The user may use the information input window to input a name, a phone number, and an IP address image It is possible to register the communication partner information and the abbreviated number.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화상통화를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대기화면상에 단축번호 메뉴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단축번호 메뉴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단축번호 리스트를 표시한다(S33).Next, the control unit 180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for video communication, displays a shortcut menu icon on the idl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and when the shortcut menu icon is selected, displays the shortcut number list (S33).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단축번호 리스트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하고자 하는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IP 주소 또는 전화번호 입력없이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상기 단축번호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화상통화 상대방을 결정할 수 있다(S35).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패드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키패드의 숫자를 길게 누름으로서 단축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단축번호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소정의 터치를 입력함으로써 간편하게 단축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other party to make a video call using the list of speed dial number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Thereafter, the user can determine the video communication party by selecting any one of the shortcut numbers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without inputting an IP address or a telephone number (S35). Here,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a keypad, and the user can select a shortcut number by pressing and holding the number of the keypad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number. Also,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a touch screen, and the user can easily select a shortcut number by inputting a predetermined touch to any one of the shortcut number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이후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선택된 단축번호에 따른 통화 상대방의 IP 주소 또는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연결을 수행한다(S37).Thereafter, the control unit 180 performs a video call connection using the IP address or 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according to the selected shortcut number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S37).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단축번호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간편하게 화상통화를 위한 전화걸기를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make a telephone call for a video call by selecting any one of the shortcut number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도이다.4 is an image diagram of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call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대기화면상의 설정메뉴 아이콘(도 5의 560참조)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화상통화 연결을 위한 설정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4, when a setting menu icon (see 560 in FIG. 5) on the idle scree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a setting screen for connection of a video call on the display unit 151, .

상기 설정 화면은 최대 전화 걸기 시간(Maximum Call Time), 대역폭 설정메뉴(Maximum Call Bandwidth, 410), 통화 프로토콜 셋업 메뉴(Outgoing Protocol,420)의 메뉴를 포함하여 표시한다. The setting screen includes menus of a maximum call time, a maximum call bandwidth 410, and a call protocol setup menu 420.

사용자는 상기 설정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대역폭 설정메뉴(410)를 통하여 통화 대역폭(256kpbs ~ 2048kbps)을 직접 설정할 수도 있으나, 제어부(180)는 최대 대역폭(2048kbps)을 디폴트 값으로 초기 설정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네트워크 상태 및 전송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설정된 최대 대역폭을 점차 떨어뜨리면서 적합한 대역폭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user can directly set the communication bandwidth (256 kbps to 2048 kbps) through the bandwidth setting menu 410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but the controller 180 initially sets the maximum bandwidth (2048 kbps) as the default value. Then, the control unit 180 can set the bandwidth value to be a proper bandwidth value by gradually decreasing the set maximum bandwidth according to the network status and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또한 사용자가 통화 프로토콜 셋업 메뉴(420)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오토(Auto), H323, SIP의 선택화면(421)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설정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통화 프로토콜 셋업 메뉴(420)를 통하여 오토(AUTO) 또는 통화 프로토콜(H.323 또는 SIP_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으나, 제어부(180)는 '오토(AUTO)'를 디폴트 값으로 초기 설정하여 표시한다. 통화 프로토콜이 오토(AUTO)로 설정된 경우에 이후 제어부(180)는 먼저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화걸기를 수행한 후 응답이 없으면,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를 이용하여 전화걸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네트워크 상태 등에 따라 적합한 통화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Also, when the user selects the communication protocol setup menu 420,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a selection screen 421 of Auto, H323, and SIP. The user can select an AUTO or a communication protocol (H.323 or SIP_Session Initiation Protocol)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tocol setup menu 420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 'As the default value. When the call protocol is set to AUTO, the controller 180 first performs the telephone call using the H.323 protocol, and if there is no response, performs the telephone call using th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have.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80 can set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the network status and the like.

한편 제어부(180)는 통화 모드(Call Mode)에 대한 디폴트 값으로 비디오로 초기 설정하고, 이후 네트워크 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 음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80 initializes the video as a default value for the call mode, and can set it as a voice if the network state is not good.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화상 통화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일일이 통화 프로토콜(Call Protocol), 대역폭(Bandwidth) 및 통화 모드(Call Mode)를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편하게 화상통화 전화걸기를 실행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a user wishes to perform a video call using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it is not necessary to individually set a call protocol, a bandwidth, and a call mode, hav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 전화걸기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도이다.5 is an image diagram of a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video call dia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화상통화를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통화 이력 메뉴 아이콘(510), 단축번호 메뉴 아이콘(520), 통화 연결 입력창(530), 통화연결 아이콘(540), 디렉토리 표시 아이콘(550) 및 설정메뉴 아이콘(560)를 포함한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5, the control unit 180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for a video call and displays a call history menu icon 510, a shortcut menu icon 520, a call connection input window 530, a call connection icon 540 ), The directory display icon 550, and the setting menu icon 560 on the display unit 151. [

사용자는 통화 이력 메뉴 아이콘(510)을 선택하여 이전 화상통화에 대한 이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디렉토리 표시 아이콘(550)을 선택하여 화상통화 상태방의 연락처 정보 및 단축번호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can check the history of the previous video call by selecting the call history menu icon 510 and select the directory display icon 550 to check the contact information and the shortcut number setting information in the video call status room.

도 4에서 상술하였듯이, 사용자는 일일이 통화 프로토콜(Protocol), 대역폭(Bandwidth) 및 통화 모드(Call Mode)를 설정할 필요없이 상기 대기화면상의 통화 연결 입력창(530)에 IP 주소, 이름 및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입력부(130, 예를 들어 키패드, 리모콘 또는 터치스크린)를 통하여 입력한 후 상기 통화연결 아이콘(540)을 선택함으로써 간편하게 화상통화 전화걸기를 수행할 수 있다.4, the user does not need to set up a protocol, a bandwidth, and a call mode, and he / she can input an IP address, a name, and a telephone number in the call connection input window 530 on the idle screen The user can easily make a video call call by selecting one of the call connection icons 540 after inputting any one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e.g., a keypad, a remote controller, or a touch screen).

한편 사용자가 상기 대기화면에 표시된 단축번호 메뉴 아이콘(520)을 사용자 입력부(130, 키패드드, 리모콘 또는 터치스크린)를 통하여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메모리에 저장된 연락처 및 단축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화면상에 단축번호 리스트를 팝업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user selects the shortcut menu icon 520 displayed on the idle scree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the keypad,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180 uses the contact and shortcu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The user can pop up the list of abbreviated numbers on the idle screen.

한편 사용자는 상기 대기화면상의 설정메뉴 아이콘(560)을 통하여 통화 프로토콜, 대역폭 등을 설정할 수 있음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Meanwhile, the user can set the communication protocol, bandwidth, and the like through the setting menu icon 560 on the idle scree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축번호 리스트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전화걸기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도이다.6 is an image diagram of a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a video call dialing using a speed dial number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단축번호 메뉴 아이콘(520)이 선택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연락처 및 단축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대기화면상에 단축번호 리스트(610)를 팝업할 수 있다. 상기 단축번호 리스트(610)는 화상통화 상대방의 이미지, 이름, IP 주소 및 단축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단축번호 리스트(610)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키패드의 숫자를 길게 누름으로서 또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단축번호 리스트(610)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단축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6, when the shortcut menu icon 520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pops up the shortcut number list 610 on the idle screen using the contact information and the shortcut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 The shortcut number list 610 may include an image name, an IP address, and a shortcut number of the video call recipient.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shortcut numbers 61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That is, the user can select the abbreviated number by long-pressing the number of the keypad corresponding to the abbreviated number or touching one of the abbreviated number list 61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따라서 제어부는 화상통화를 위한 전화연결시 단축번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단축번호 리스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간편하게 상대방과의 화상통화를 위한 전화걸기를 실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list of speed dial numbers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telephone is connected for the video call, so that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speed dial numbers and execute the telephone call for the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easily.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call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초기 디폴트 값으로 통화 프로토콜을 오토(AUTO)로 설정한다(S71). 즉 제어부(180)는 화상통화 연결을 위한 사용자의 개별적인 설정없이 화상통화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을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control unit 180 sets the communication protocol to AUTO as an initial default value (S71). That is, the control unit 180 can change the protocol for video cal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network without setting the user for video call connection individually.

다음으로 제어부는 H.323을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시도하여, 상기 호 연결에 대한 상대방의 응답이 없는 경우(S73), 통화 프로토콜을 SIP로 변경하여 호 연결을 시도한다(S75). 한편 H.323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호 연결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현재 설정된 H.323으로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S77).
Next, the control unit tries to establish a call connection for the video call using H.323.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other party in the call connection (S73),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call protocol to SIP and attempts call connection (S75) . Meanwhile, when receiving a response to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y using H.323, the call connection is performed to the currently set H.323 (S77).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520 : 단축번호 메뉴 아이콘 530 : 통화 연결 입력창
610 : 단축번호 리스트
520: shortcut menu icon 530: call connection input window
610: List of speed dial numbers

Claims (6)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통화 대역폭 설정 메뉴와 통화 프로토콜 설정 메뉴를 포함하는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통화프로토콜의 설정시 최소한 2개 이상의 통화 프로토콜과 오토설정을 표시하는 단계;
설정메뉴를 완료하는 단계;
수신자를 선택하고 전화를 거는 단계;
상기 통화프로토콜의 설정이 오토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어느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시도하고, 이후 상대방으로 부터 응답이 없으면 다른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시도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Displaying a setting menu including a call bandwidth setting menu and a call protocol setting menu according to a user's input;
Displaying at least two communication protocols and autoconfiguration when setting up the call protocol;
Completing the setup menu;
Selecting a recipient and placing a call;
If the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set to auto, communication is attempted using one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s, and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other party, attempting to communicate using another communication protocol and connec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 video c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프로토콜은 H.323 및 SIP 방식의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ll protocol is a protocol of H.323 and SI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프로토콜의 설정이 오토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H.323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시도하고, 이후 상대방으로 부터 응답이 없으면 SI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시도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f the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set to auto, communication is attempted using the H.323 communication protocol, and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other party, communication is attempted using the SIP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프로토콜의 설정시 오토설정으로 지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tting of the call protocol is designated as auto-setting and displayed.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 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최소한 2개의 통신모듈을 가지고 외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수신 신호에 따라 통화 대역폭 설정 메뉴와 통화 프로토콜 설정 메뉴를 포함하는 설정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통화프로토콜의 설정 메뉴는 최소한 2개 이상의 통화 프로토콜과 오토설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프로토콜의 설정이 오토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부의 어느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시도하고, 이후 상대방으로 부터 응답이 없으면 다른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시도하여 연결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장치
A display unit;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via a network with at least two communication modules;
And a setting menu including a call bandwidth setting menu and a call protocol setting men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reception signal of the user input unit and the setting menu of the call protocol displays at least two or more call protocols and auto settings on the display unit ;
Here, if the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set to " Auto ", the control unit attempts communication using one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s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other party,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y and connect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H.323 및 SIP 방식의 프로토콜의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a module of a protocol of H.323 and SIP method.
KR1020100097201A 2010-10-06 2010-10-06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communication dvice using the same KR101750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201A KR101750557B1 (en) 2010-10-06 2010-10-06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communication dvice using the same
PCT/KR2010/007898 WO2012046910A1 (en) 2010-10-06 2010-11-10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 video call, and video call apparatus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201A KR101750557B1 (en) 2010-10-06 2010-10-06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communication d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590A KR20120035590A (en) 2012-04-16
KR101750557B1 true KR101750557B1 (en) 2017-06-23

Family

ID=4592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201A KR101750557B1 (en) 2010-10-06 2010-10-06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communication d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0557B1 (en)
WO (1) WO2012046910A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5676B2 (en) * 2005-03-10 2011-05-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ing requests transmitted using a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directed to an application that uses a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JP4856472B2 (en) * 2006-05-18 2012-01-18 株式会社リコー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429712B1 (en) * 2007-01-19 2014-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Blind transfer and attended transfer system and control method in network of SIP base
JP2009246410A (en) * 2008-03-28 2009-10-22 Hitachi Information & Communication Engineering Ltd Protocol converting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590A (en) 2012-04-16
WO2012046910A1 (en)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98678A1 (en) Screencas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2084889B1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king conference calls
RU2670603C9 (en) Mobi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00257433A1 (e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20186945A1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0531913B (en) Video color ring processing method,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9525710B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application program
WO2021129529A1 (en) Device switch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WO2020211612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590869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11432071B (en) Call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5915521A (en) Multi-party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terminal
WO2021031715A1 (en)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5630974A (en) Method and device for refreshing page and equipment
CN111314903B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7071328B (en) A kind of video calling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5119984B (en) Send the method and device of file
CN105100410B (en) It polymerize the method and device of third party's phone application
KR1016648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and executing prefered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101243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ommunication mode in mobile terminal
WO2005043904A1 (en) Open-to-view video telephony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6878655B (en) Video call method and device
KR101750557B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communication dvice using the same
CN114268691A (en) Call metho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WO2013091178A1 (en) Communications devices,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