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490B1 - Wireless Mouse Having Auxiliary Battery - Google Patents

Wireless Mouse Having Auxili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490B1
KR101750490B1 KR1020140147311A KR20140147311A KR101750490B1 KR 101750490 B1 KR101750490 B1 KR 101750490B1 KR 1020140147311 A KR1020140147311 A KR 1020140147311A KR 20140147311 A KR20140147311 A KR 20140147311A KR 101750490 B1 KR101750490 B1 KR 101750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wireless mouse
mouse
output termina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9737A (en
Inventor
이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4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490B1/en
Publication of KR20160049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7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4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 본체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송부하는 무선 마우스로서, 무선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 본체에 송부하는 내부 회로 소자, 상기 내부 회로 소자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지셀, 무선 마우스의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디바이스 본체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충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 2 전지셀, 상기 제 2 전지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제 1 전지셀 및 제 2 전지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마우스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및 상기 제 2 전지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마우스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ous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operation of a device body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mouse comprising: an internal circuit element for generating a wireless operation signal and sending the generated wireless operation signal to the device body; A second battery cel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cell or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cell and the second battery cell, the second battery cell being connected to the device body according to a need of a user of the wireless mouse, At least one charg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se housing and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cell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se housing And a wireless mouse.

Description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 {Wireless Mouse Having Auxiliary Battery}Wireless Mouse Having Auxiliary Battery < RTI ID = 0.0 >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선 마우스 내부에 마우스 본체의 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지셀 및 외부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셀을 포함하고 있는 무선 마우스로서 보조전원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한 휴대성으로 인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ouse including an auxili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mouse including a battery cell for supplying power for operating the mouse body and a battery cell for supplying power to the external device, Not only can it serve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a mouse, but also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due to its easy portability.

일반적으로 통상의 컴퓨터는 서로 분리된 본체, 모니터, 키보드와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선 등이 일정 공간에서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 이용도가 극히 감소한다. 이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사용자나 실외 또는 이동 중에 작업을 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신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패드 등의 휴대용 컴퓨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컴퓨터는 휴대용이라는 특성상 마우스 대신에 터치패드 또는 트랙볼 등의 포인팅 장치를 내장하고 있으나, 정확도가 감소되고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휴대용 컴퓨터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정확한 조작을 실현하면서도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무선 마우스가 개발되었다.
Generally, in a typical computer, space utilization is greatly reduced because a main body, a monitor, a keyboard, and a wire connecting them are arranged in a certain space. Accordingly, portable computers such as notebook computers and smart pads are widely used to provide convenience and promptness to users who work in a limited space or users who work outside or on the move.
The portable computer has a pointing device such as a touch pad or a trackball in place of a mouse due to its portability, but its accuracy is reduced and it is inconvenient to use. Accordingly, a wireless mouse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connecting with a portable computer and to overcome the space limitation while realizing accurate operation.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7181호에는 일반적인 무선마우스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In this connectio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97181 discloses a structure of a general wireless mouse.

이와 같은 마우스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본체의 작동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부하는 내부 회로 소자의 부피는 작지만, 사용자의 그립감을 고려하여 외형을 설계하고 있는 바, 필연적으로 빈 공간이 많이 생기게 되는 구조이다.
또한, 기술의 개발과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가 증가하고 있는 바, 상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디자인 및 무게를 고려할 때, 배터리 용량을 증가시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더욱이, 상기 모바일 기기는 인터넷, 카메라 촬영, 동영상 재생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용량에 대한 증가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
In such a mouse, although the volume of the internal circuit element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signal for operating the device main body is small, the external shape is designed considering the grip of the user, which inevitably results in a lot of empty space.
In addition, mobile devices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nd a smart phone are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user's demands. Considering the design and weight of the mobile device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easy to make it possible. Further, since the mobile device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the Internet, camera shooting, moving image playback, and the like, the demand for increasing the battery capacity is further increased.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9883호에는 보조배터리가 포함된 이동 단말용 메모리 카드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In this connec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7-0009883 discloses a memory card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upplementary battery.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로 인하여 배터리 용량을 대폭 증대시키는 것은 단시간에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인 바, 보조 배터리나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한 요구 및 별도의 배터리를 휴대하는 것에 대한 부피 및 무게 증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However, due to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and lightening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battery capacity in a short tim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the increase in the volume and weight of carrying the battery, There is a high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that can be solv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와 함께 휴대하는 무선 마우스의 빈 공간에 보조 배터리를 채용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가 무선 마우스의 전원 공급뿐만 아니라, 외부 디바이스의 전원 공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보조배터리를 휴대하는 것에 대한 부피 및 무게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에 용이한 방법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용량 부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conducted intensive research and various experiments. As described late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dopted a secondary battery in an empty space of a wireless mouse carried with a portable computer, In addition, by allowing the external device to function as a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volume and weight of carrying a separate auxiliary battery, an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mobile device in an easy manner. Can be solv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는 디바이스 본체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송부하는 무선 마우스로서,Accordingly, 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mous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operating the device body via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 본체에 송부하는 내부 회로 소자;An internal circuit element for generating a wireless operation signal and sending it to the device body;

상기 내부 회로 소자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지셀;A first battery cell for supplying power for operation of the internal circuit element;

무선 마우스의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디바이스 본체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충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 2 전지셀;At least one second battery cell connected to a device body by a user of the wireless mouse and capable of charging / discharging to supply power;

상기 제 2 전지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제 1 전지셀 및 제 2 전지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마우스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및At least one charg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cell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cell and the second battery cell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se housing; And

상기 제 2 전지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마우스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출력 단자;At least one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cell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se housing;

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는, 마우스 하우징 내부에, 디바이스 본체의 작동을 위한 내부 회로 소자에 대한 작동 전원 공급을 위한 제 1 전지셀 및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한 제 2 전지셀로 구성된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는 바, 마우스 사용자의 편리함을 고려하여 설계된 마우스 내부의 빈 공간에 상기 보조 배터리를 수납함으로써,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의 장시간 사용시 발생하는 배터리 부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the mouse housing, a first battery cell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internal circuit elements for operating the device body and a second battery cell for supplying power to the external device By accommodating the auxiliary battery in the empty space inside the mouse, which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the mouse us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pace utilization and solve the problem of battery shortage which occurs when the mobile device is used for a long time. .

이와 같이,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에 보조 배터리를 별도로 가지고 다니는 것에 비하여 무게 및 부피증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wireless mouse including the auxiliary battery, the problem of increase in weight and volume can be solved compared to carrying the auxiliary battery separately in the past, and thus convenience for the user can be increas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구성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전지셀은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로 구성될 수도 있고,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battery cell included in the wireless mous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non-rechargeable primary battery or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전지셀이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인 경우로서, 외부 디바이스 본체에 무선 작동 신호를 송부하는 내부 회로 소자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전지셀은 상기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order to charge a power source for the operation of an internal circuit element that transmits a wireless operation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body, the first battery cell is connected to the charge terminal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 1 전지셀이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이고, 상기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로서, 상기 내부 회로 소자의 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의 역할 뿐만 아니라, 제 2 전지셀과 함께 디바이스 본체에 전원을 병행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attery cell may b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upplying power for operation of the internal circuit device, And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main body in parallel.

이 때, 상기 제 2 전지셀은 보조 배터리로서, 자체 충전 후 외부 디바이스의 충전을 위한 방전이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전원인 바,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볍고 에너지 밀도가 커서 고용량 및 고효율의 효과를 나타내는 리튬 이차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battery cell is an auxiliary battery, which is a power source in which discharging for charging an external device is repeatedly performed after self-charging. Since the secondary battery cell is relatively light in weight and has a high energy density, Battery.

또한, 상기 제 2 전지셀은 배터리 용량이 부족한 외부 디바이스의 충전을 위한 목적을 위하여 제한된 부피 내에서 최대의 용량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 바,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된 상태로 내부 회로 소자 및 충전 단자 등의 위치를 고려하여 둘 이상의 복수의 전지셀들이 컴팩트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attery cell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realizing a maximum capacity within a limited volume for the purpose of charging an external device with insufficient battery capacity.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be arranged in a compact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s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는 마우스 자체의 작동을 위한 내부 전지셀의 충전 및 상기 충전된 전지셀을 이용한 외부 디바이스의 충전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면, 충전 단자 및 출력 단자의 위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충전 단자와 출력 단자는 마우스 하우징의 일 측면에 함께 위치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more easily charge the internal battery cell for operation of the mouse itself and charge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charged battery cell In one specific example,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may be co-located on one side of the mouse housing.

구체적으로, 마우스 사용자의 손이 놓여지는 마우스의 상부 및, 상기 상부의 대향면인 하부를 제외한 부분에 상기 충전 단자 및 출력 단자가 위치할 수 있는 바, 마우스의 버튼이 위치한 면을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타측면을 후면부, 및 그 외의 측면을 각각 우측면부 및 좌측면부라고 하는 경우에, 상기 충전 단자와 출력 단자는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형성되는 것이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고, 또는 마우스의 좌측면부 또는 우측면부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Specifically,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may be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use on which a mouse user's hand is plac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nvenience. Alternatively, in the case wher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se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form it on the surface portion or the right side portion.

이와 같은 구성을 택하는 경우에는, 전지셀들과 충전 단자 또는 출력 단자를 연결한 와이어의 방향을 한쪽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마우스 내부 회로 설계를 간소화할 수 있고, 충전 단자 및 출력 단자가 함께 위치하기 때문에 전지셀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 단자 및 출력 단자를 마우스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디바이스 본체에 대한 무선 마우스의 기능 수행과 동시에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단자들에 연결된 케이블 등이 마우스 전면부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구조인 바, 사용자의 마우스 사용에 대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direction of the wire connecting the battery cells and the charging terminal or the output terminal can be set to one side, the design of the internal circuit of the mouse can be simplified, and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re locat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s. Specifically, when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re locat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mouse, even when charge and discharge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mouse with respect to the device body, The user can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mouse.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충전 단자와 출력 단자는 마우스 하우징의 서로 다른 측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 단자 및 출력 단자와 외부 디바이스의 연결이 별도의 케이블 없이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도 보조 배터리의 충전 및 외부 디바이스의 충전을 위한 보조 배터리의 방전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In another specific example,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may be located on different sides of the mouse housing, respectively. When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 separate cable, charging of the auxiliary battery and discharging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charging the external device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

상기 충전 단자의 충전 전압은 다양한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 기기로서 노트북 패드 및 스마트 폰 등의 충전에 주로 사용되는 것을 고려하면, 5 V이거나 또는 16 V 내지 20 V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termin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easily charged from various external power sources. However, considering that it is mainly used for charging a notebook pad and a smart phone as a widely used mobile device , 5 V, or 16 V to 20 V,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film.

또한, 상기 출력 단자의 전압이 충전되는 디바이스의 충전 전압과 일치하는 경우, 별도의 전압변환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고, 상이한 충전 전압을 갖는 디바이스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2 이상의 출력 단자가 형성될 수 있는 바, 5 V의 제 1 출력 단자 및 16 V 내지 20 V 범위의 제 2 출력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is equal to the charging voltage of the device to be charged, a separate voltage conversion device is not necessary. Therefore, in order to be applicable to various devices having different charging voltages, A first output terminal of 5 V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of 16 V to 20 V, which may be formed.

한편, 다양한 디바이스에 USB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 단자는 USB 포트(port)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출력 단자와 제 2 출력 단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USB 포트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는, USB 2.0 Type A, USB 2.0 Type B, USB 2.0 Mini Type B(미니5핀), USB 2.0 Micro Type B(마이크로 5핀), USB 3.0 Type A 또는 USB 3.0 Type 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서로 다른 2 종 일 수 있다. 출력 단자가 상기와 같은 USB 포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무선 마우스와 충전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별도의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야 하는 바, 케이블이 사용되기 때문에 출력단자의 위치 선택의 자유가 넓어지고, 무선 마우스 자체의 사용 중에도 외부 디바이스의 충전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USB terminals are formed in various devices,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terminal may have a USB port structure. In addition,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may be composed of different kinds of USB ports. Specifically, USB 2.0 Type A, USB 2.0 Type B, USB 2.0 Mini Type B ), USB 2.0 Micro Type B (Micro 5 pin), USB 3.0 Type A, or USB 3.0 Type B. In the case where the output terminal is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USB port, a separate cable is requir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wireless mouse and the external device to be charged. Since a cable is used, And the external device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during use of the wireless mouse itself.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는 외부 디바이스에 충전시, 외부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충전을 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는 바, 상기 출력 단자는 USB 커넥터(connector)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마우스가 충전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케이블을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tructure capable of directly charging an external device when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output terminal may have a USB connector structure. When the wireless mouse is direct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be charged,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a separate cable, so that the wireless mouse can be used more easily.

이와 같이, 출력 단자가 USB 커넥터의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USB 커넥터와 제 2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가 마우스 하우징 내의 와이어 수납부에 와인딩 상태로 수납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수납부의 일면에 착탈식 커버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utput terminal has the structure of the USB connector, a wir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SB connector and the second battery cell is housed in the wire housing part in the mouse housing in a winding state, And a removable cover may be mounted on the cov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충전 잔량을 외부에서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 부족한 전원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우스 하우징의 외면에는 제 2 전지셀의 저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ED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전력 상태는 만충된 상태를 기준으로 30% 이하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우스의 제 2 전지셀의 충전잔량이 만충된 상태의 30%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LED 디스플레이부에 색깔을 달리하는 불빛이 점등됨으로써 저전력 상태임을 알 수 있는 신호를 보내줄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easily find out the remaining charge amount of th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supply the insufficient power when necessary, so that the low power state of the second battery cell is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se housing And the display unit may be formed of an LED. At this time, the low power state can be set in a range of 30% or less based on the fully charged state. Therefore, when the remaining charge amount of the second battery cell of the mouse drops to 30% or less of the fully charged state, the LED display unit may send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battery is in the low power state .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는 디바이스 본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 본체는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본체, 스마트 패드 본체, 웨어러블 전자기기 본체,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본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the device main body, but the device main body may be, for example, a notebook computer main body, a smart pad main body,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or a desk- .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 본체 내지 장치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device body or devices are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는 휴대용 컴퓨터와 함께 휴대하는 무선 마우스의 빈 공간에 보조 배터리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보조 배터리가 무선 마우스에 대한 전원 공급뿐만 아니라,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전원 공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보조배터리를 휴대하는 경우의 부피 및 무게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용이한 방법으로 모바일 기기에 전원의 공급을 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용량 부족의 문제를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the auxiliary battery in the empty space of the wireless mouse carried with the portable computer,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can supply not only the power for the wireless mouse but also the power for the external devic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volume and weight increase when a separate auxiliary battery is carried,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mobile device with an easy method, so that the problem of insufficient battery capacity can be solved easily .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외부 및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사시도이다; 및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투과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utside and inside of a wireless mou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m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m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무선 마우스의 외부 및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utside and inside of a wireless mouse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100)는 디바이스 본체의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 본체에 송부하는 내부 회로 소자(101), 상기 내부 회로 소자(101)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위한 제 1 전지셀(102), 외부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을 위한 충방전이 가능한 제 2 전지셀(103)이 마우스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어 있으며, 2개의 출력 단자들(104, 105) 및 충전 단자(106)가 마우스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mou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nal circuit element 101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of a device body and sending the generated operation signal to the device body, a power supply And a second battery cell 103 capable of being charged and discharged for supplying power to an external device are included in the inside of the mouse housing and two output terminals 104 and 105 and a charging terminal (106)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se housing.

또한, 상기 충전 단자(106) 및 출력 단자들(104, 105)은 마우스 하우징의 일 측면에 함께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출력 단자들(104, 105)은 서로 다른 종류의 USB 포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charging terminal 106 and the output terminals 104 and 105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mouse housing and the output terminals 104 and 105 are constructed of different types of USB ports.

구체적으로, 제 1 충전 단자(104)는 스마트폰의 충전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충전 전압을 5V로 할 수 있고, 제 2 충전 단자(105)는 일반적인 스마트 패드 및 노트북 PC 등의 충전을 위하여 16 V 내지 20 V의 범위에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 단자(106)는 제 1 전지셀(102) 및 제 2 전지셀(103)에 전기적으로 연결(도시하지 않음)되어 있고, 상기 출력 단자들(104, 105)은 제 2 전지셀(103)에 전기적으로 연결(도시하지 않음)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harging terminal 104 may have a charging voltage of 5 V for use in charging the smart phone,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105 may be a 16 V to < RTI ID = 0.0 > 20V. ≪ / RTI > The output terminal 10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cell 102 and the second battery cell 103 and the output terminals 104 and 10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cell 103 (Not shown).

또한, 상기 마우스(100)는 충방전이 가능한 제 2 전지셀의 저전력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07)를 마우스 상부에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저전력 상태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use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07 for displaying a low-power state of the second battery cell capable of charging / discharging,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battery is in a low-power stat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모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2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마우스(200)는 마우스 하우징 외면에 충전 단자(206) 및 출력 단자들(204, 205)을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 충전 단자(206)는 마우스의 후면부(21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출력 단자들(204, 205)은 마우스의 좌측면부(213)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200)는 충방전이 가능한 제 2 전지셀의 저전력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7)를 마우스 상부에 포함하고 있다.2, the mouse 200 includes a charging terminal 206 and output terminals 204 and 20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se housing. The charging terminal 206 is located at the rear portion 212 of the mouse And the output terminals 204 and 205 are located on the left side surface 213 of the mouse. The mouse 200 includes a display unit 207 for displaying a low-power state of the second battery cell capable of charging / dischargin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Fig. 3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마우스(300)는 마우스 하우징의 외부로 충전 단자(306) 및 출력 단자들(304, 305)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출력 단자들(304, 305)은 USB 커넥터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USB 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의 충전시 마우스와 디바이스의 위치 조절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3, the mouse 300 includes a charging terminal 306 and output terminals 304 and 305 to the outside of the mouse housing. The output terminals 304 and 305 have a USB connector structure consist of.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mouse and the device can be more freely adjusted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harged by the wire connected to the USB connector.

상기 출력 단자들(304, 305)과 제 2 전지셀(30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들(320, 321)이 마우스 하우징 내의 와이어 수납부(331)에 와인딩 상태로 수납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수납부(331)의 일면에 착탈식 커버(332)가 장착되어 있다.The wires 320 and 321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utput terminals 304 and 305 to the second battery cell 303 are accommodated in the wire housing part 331 in the mouse housing in a winding state, A removable cover 332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lead portion 331.

또한, 상기 마우스 하우징 외면에는 제 2 전지셀(303)의 저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LED 디스플레이부(307)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저전력 상태에 해당되는 경우 사용자가 신속하게 충전을 실시하여 부족한 디바이스의 전력을 보충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ED display unit 307 for indicating the low power state of the second battery cell 303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se housing, when the user is in the low power state, the user quickly charges the power of the deficient device You can be prepared to make a supplement.

이와 같이, 빈 공간이 많이 형성되는 마우스 하우징 내부에 마우스 자체의 전원 공급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본체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지셀들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보조배터리를 휴대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USB 포트 또는 USB 커넥터 구조의 출력 단자를 채용함으로써 용이한 방법으로 모바일 기기에 전원 공급을 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용량 부족의 문제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다.By including the battery cells for power supply of the device body as well as the power supply of the mouse itself inside the mouse housing in which a lot of empty space is forme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a separate auxiliary battery, Or the output terminal of the USB connector structure is employe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mobile device in an easy way, so that the problem of insufficient battery capacity can be solved simply and quickly.

Claims (19)

디바이스 본체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송부하는 무선 마우스로서,
무선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 본체에 송부하는 내부 회로 소자;
상기 내부 회로 소자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지셀;
무선 마우스의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디바이스 본체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충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 2 전지셀;
상기 제 2 전지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제 1 전지셀 및 제 2 전지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마우스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및
상기 제 2 전지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마우스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단자는 5V의 제 1 출력 단자와 16V 내지 20V 범위의 제 2 출력 단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A wireless mous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operation of a device body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 internal circuit element for generating a wireless operation signal and sending it to the device body;
A first battery cell for supplying power for operation of the internal circuit element;
At least one second battery cell connected to a device body by a user of the wireless mouse and capable of charging / discharging to supply power;
At least one charg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cell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cell and the second battery cell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se housing; And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cell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se housing;
Lt; / RTI >
Wherein the output terminal is composed of a first output terminal of 5V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of 16V to 20V ra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지셀은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 또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attery cell is a non-rechargeable primary battery or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지셀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이고, 상기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attery cell is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지셀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이고, 상기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전지셀과 함께 디바이스 본체에 전원을 병행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battery cell is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and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device body together with the second battery cell in parallel. Wireless mou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battery cell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지셀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된 둘 이상의 전지셀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battery cell comprises two or more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or in seri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와 출력 단자는 마우스 하우징의 일 측면에 함께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re co-located on one side of the mous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와 출력 단자는 마우스 하우징의 서로 다른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wireless mouse of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re located on different sides of the mouse housing,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의 충전 전압은 5V이거나 또는 16V 내지 20V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terminal is 5V or 16V to 20V.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USB 포트(port)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terminal has a USB port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단자와 제 2 출력 단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USB 포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are configured by different kinds of USB po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USB 커넥터(connector)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terminal has a USB connector structur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와 제 2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가 마우스 하우징 내의 와이어 수납부에 와인딩 상태로 수납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수납부의 일면에 착탈식 커버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3, characterized in that a wir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SB connector and the second battery cell is housed in a wire housing part in a mouse housing and a removable cover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wire housing part Wireless mou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하우징의 외면에는 제 2 전지셀의 저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a low power state of the second battery cell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ouse housing.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E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16. 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display unit comprises an LE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상태는 만충전된 상태를 기준으로 30% 이하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16. The wireless mous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low power state is set in a range of 30% or less based on a fully charged state. 제 1 항에 따른 무선 마우스와 디바이스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 device, comprising a wireless mouse and a device body according to claim 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본체는 노트북 컴퓨터 본체, 스마트 패드 본체, 웨어러블 전자기기 본체,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9. The device of claim 18, wherein the device body is a notebook computer body, a smart pad body,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body, or a desk-top computer body.
KR1020140147311A 2014-10-28 2014-10-28 Wireless Mouse Having Auxiliary Battery KR1017504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311A KR101750490B1 (en) 2014-10-28 2014-10-28 Wireless Mouse Having Auxili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311A KR101750490B1 (en) 2014-10-28 2014-10-28 Wireless Mouse Having Auxili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737A KR20160049737A (en) 2016-05-10
KR101750490B1 true KR101750490B1 (en) 2017-06-23

Family

ID=56020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311A KR101750490B1 (en) 2014-10-28 2014-10-28 Wireless Mouse Having Auxili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4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28Y1 (en) * 2017-01-23 2021-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Multi-Functional Wireless Input Device Comprising Portable Secondary Batte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0248A1 (en) * 2005-08-03 2007-02-08 Tennrich International Corp. Wired mouse with mobile cell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0248A1 (en) * 2005-08-03 2007-02-08 Tennrich International Corp. Wired mouse with mobile cell uni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ter88, Logitech M125, Youtube.com, [online] 2011.07.13., [2016.10.18. 검색], 인터넷:[URL:https://www.youtube.com/watch?v=97QsT04Jly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737A (en)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1805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connecting ports for internal and external charging/output operations
JP3160449U (en) Secondary battery
US9800084B2 (en) Solar powered case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s
US8803851B2 (en) Stylus pen
TWI566498B (en) Mobile power capable of carrying charging adapter and supporting recognition of two-dimensional barcode
US20070210749A1 (en) Portable charger
US20090079392A1 (en) Por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winding unit
TWM513505U (en) Power bank and protective case thereof
KR101750490B1 (en) Wireless Mouse Having Auxiliary Battery
KR101162362B1 (en) Battery pack with solar cell charger for portable device
US10797495B2 (en) Power bank with a plurality of pluggable battery modules
US20150162756A1 (en) Back-up power supply for mobile phone
TWM397037U (en) Three-in-one lithium battery structure of portable power bank, power capacity detection and charger
KR200442869Y1 (en) Multi litulum ion charger
KR20140130806A (en) Portable charging apparatus using solar cell
US20140062404A1 (en) Movable power source device
KR100623625B1 (en) Portable type apparatus for universal supplying an electric power
CN201974726U (en) Tablet personal computer with replaceable battery
CN215185970U (en) Charging combination structure
CN203014445U (en) Mobile power supply
CN210297281U (en) Charger baby
JP3134484U (en) Charger with versatile charging socket
US20130346767A1 (en) Electronic Device
TW201412003A (en) Voltage converter
KR200493628Y1 (en) Multi-Functional Wireless Input Device Comprising Portable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