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531B1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531B1
KR101749531B1 KR1020100098424A KR20100098424A KR101749531B1 KR 101749531 B1 KR101749531 B1 KR 101749531B1 KR 1020100098424 A KR1020100098424 A KR 1020100098424A KR 20100098424 A KR20100098424 A KR 20100098424A KR 101749531 B1 KR101749531 B1 KR 101749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mmunication event
symbol
touch lock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4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6642A (en
Inventor
이은상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531B1/en
Publication of KR20120036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6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5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10Command input means
    • B65H2551/18Graphical interactive displays; Mouses; Touch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터치락 상태를 알리는 터치락 심볼을 표시하고,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터치락 심볼상에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1 알림 정보를 표시하며, 터치락 심볼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제1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사용자 명령으로 터치락 상태의 해제와 동시에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화면 또는 실행 중인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키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re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displaying a touch lock symbol indicating a touch lock state in one area of a touch screen and displaying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communication event has occurred on a touch lock symbol when a communication event occurs And upon receiving a first user command for touching an area in which the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and dragging in a first direction, the touch lock state is canceled and a scree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ev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ommand for displaying specific information can be simplified since a screen related to a communication event or a control key of an executing audio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simultaneously with the release of the touch lock state by one user command.

Figure R1020100098424
Figure R1020100098424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 화면에서의 사용자 동작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provid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in a lock scree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having one or more functions capable of carrying out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while being portable. As the functions of such portable terminals are diversified, they can provide complex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movies, reproduction of music files or video files, reception of games, broadcasting, and wireless Internet.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는,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이 적용되기도 한다.In order to realize a complicated function, a mobile terminal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is being applied variously in terms of hardware and software. For example, there is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In addition, a two-sided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a front touch screen may be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그런데,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으면,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 등에 대해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않는 터치락(touch lock) 상태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터치락 상태를 해제시키는 다양한 방안들이 강구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if there is no user inpu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 touch lock state in which no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can be set. Various measures for releasing the above-mentioned touch lock state have been propo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락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거나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releasing a touch lock state and displaying a screen related to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or displaying a menu scree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터치락 상태를 알리는 터치락 심볼을 표시하는 단계;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락 심볼상에 상기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1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락 심볼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제1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displaying a touch lock symbol indicating a touch lock state in one area of a touch screen; Displaying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mmunication event has occurred on the touch lock symbol when a communication event occurs; And releasing the touch lock state and displaying a scree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event upon receiving a first user command for touching an area where the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and dragging in a first direction.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락 상태에서 상기 터치락 상태임을 알리는 터치락 심볼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락 심볼상에 상기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1 알림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락 심볼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제1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 touch lock symbol indicating that the touch lock state is in a touch lock state; And displaying a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mmunication event has occurred on the touch lock symbol when a communication event occurs, displaying a first user command for touching an area in which the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and dragg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controller for releasing the touch lock state upon receiving and displaying a scree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event on the touch screen.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사용자 명령으로 터치락 상태의 해제와 동시에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화면 또는 실행 중인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키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ommand for displaying specific information can be simplified since a screen related to a communication event or a control key of an executing audio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simultaneously with the release of the touch lock state by one user comman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심볼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이벤트의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심볼이 표시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면서 통신 이벤트 관련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심볼의 크기가 가변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면서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면서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의 제어키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심볼을 이용하여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touch lock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e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releasing a touch lock st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touch lock symbo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communication event related screen while releasing a touch lock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varying the size of a touch lock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while releasing a touch lock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control key of an audio application while releasing a touch lock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leasing a touch lock state using a touch lock symb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In addition, suffixes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1,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1,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When such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practical application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7, and a GPS module 119.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t this tim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a server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roadcast signal to the terminal.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case it can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exist in various forms.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나 방송 관련 정보 등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 systems and can receive digital broadcast signals using the digital broadcast system.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The broadcast signal and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이동통신 모듈(113)은,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can b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externally.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119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3.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n,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mera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3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nd output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123 may be a variety of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nd a touch pad (static / static) capable of receiving commands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Also,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a jog wheel for rotating a key, a jog type or a joystick, or a finger mouse.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it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reby generating a sensing sig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can be handled.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 pressure sensor 143, a motion sensor 145, and the like. The proximity sensor 141 can detect the pre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an object existing near the portable terminal 100 without mechanical contact. The proximity sensor 141 can detect a nearby object by using a change in the alternating magnetic field or a change in the static magnetic field, or a rate of change in capacitance.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sensor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The pressure sensor 143 can detect whether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nd the like. The pressure sensor 143 may be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pressur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When the pressure sensor 143 is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pressure applied by the touch input The pressure touch input can be identified. Als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51 at the time of the pressure touch inpu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143. [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The motion sensor 145 detects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or the like. An acceleration sensor that can be used for the motion sensor 145 is a device that converts an acceleration change in one direction into an electric signal and is widely us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technology. The acceleration sensor measures the acceleration of a small value built in the airbag system of an automobile and recognizes the minute motion of the human hand and measures the acceleration of a large value used as an input means such as a game There are various kinds. Acceleration sensors are usually constructed by mounting two or three axes in one package.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only one axis of Z axis is required. Therefore,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is used instead of the Z-axis direction for some reason,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mounted on the main substrate by using a separate piece substrate.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gyro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angular velocity, and it can sense the direction of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3, an alarm unit 155, and a haptic module 157.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or received images can be displayed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and the UI and the GUI are display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 pad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to constitute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Can also be used.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If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t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a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panel is a transparent panel attached to the outsid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bu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touch screen panel keeps a watch on the contact result, and if there is a touch input, sends the corresponding signals to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so that the controller 180 can determine whether the touch input has been made and which area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formed of an e-paper. Electronic paper (e-Paper) is a kind of reflective display, and has excellent visual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resolution, wide viewing angle and bright white background as conventional paper and ink. The electronic paper (e-paper) can be implemented on any substrate such as plastic, metal, paper, and the image is retained even after the power is shut off, and the battery lif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long Can be maintained. As the electronic paper, a hemispherical twist ball filled with a telephone can be used, or an electrophoresis method and a microcapsule can be used.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 (3D display).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lude an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t the same time.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3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tone, a message reception ton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15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and key signal input. The alarm unit 1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ignal in a vibration mode. The alarm unit 155 can output a signal to notify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Also. When the key signal is inputted, the alarm unit 155 can output a signal as a feedback to the key signal inpu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the signal output by the alarm unit 155.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153. [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57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7 is a vibration effect. When the haptic module 157 generates vibration with a haptic effect,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7 can be converted, and the different vibrations can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7 may be provided with a function of stimulating by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n effect of stimulating air through the injection or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the suction port, The effect of stimulation through contact of an electrode (eletrode), the effect of stimulation by electrostatic force, and the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 device capable of endothermic or exothermic can be generated. The haptic module 157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ular sense of the user's finger or arm. The haptic module 157 may include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7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80 and may stor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M , And a ROM. ≪ / RTI >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for storing the memory 15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a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a UIM An audio input / output (I / O) terminal, a video I / O (input / output) terminal, and an earphone.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so that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is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connect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radle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ted from the cradle by the user are carried And may be a pa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spective unit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in the controller 180 or separately from software in the controller 180. [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frame or a packet, includ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system. have.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3,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m.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bar-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bar-type portab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typ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case of the present portable terminal 100 is formed by a front case 100A-1 and a rear case 100A-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incorpor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Such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본체,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 제3 사용자 입력부(130),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the first camera 121a, and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a may be disposed in the main body, specifically, the first front case 100A-1. The second user input unit 130b, the third user input unit 130, and the microphone 123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ear case 100A-2.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 touch screen by inputting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by superimposing the touch pad on the display unit 151 in a layer structure.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acoustic output module 153a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The first camera 121a may be adapted to photograph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or the like. The microphone 123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voice, sound, etc. of the user.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user input units 130a, 130b, and 130c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user input unit 130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with a tactile impression.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통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embodi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In terms of functions,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a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and call, and the second user input unit 130b is for inputting an operation mode selection or the like. Also, the third user input unit 130c may operate as a hot-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는 경우, 제1 바디 등에 설치된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한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접센서에 검출물체가 접근하여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이와 같이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하여,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검출물체가 어느 정도 근접하였는지 알 수 있다.When the user's finger is close to the display unit 151, the proximity sensor 141 installed on the first body or the like senses it and outputs a proximity signal.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o output different proximity signals depending on the distance that the user's finger is located. In general, a distance at which a detection object approaches a proximity sensor and a proximity signal is output is referred to as a detection distance. When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having different detection distances are used in this way and the proximity signals output from the respective proximity sensors are compared, Can be known.

또한, 검출영역이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배치하여 이들 근접센서 중에서 어느 근접센서로부터 근접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파악하여,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여부와, 검출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여 이동하는지 여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키를 선택하여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having different detection areas to determine whether proximity signals are output from which proximity sensors among the proximity sensors and to determine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the proximity object approaches, Whether or not the display unit 151 is moving close to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80 may select a touch key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lose to the user's finger or the like, and control to output a corresponding vibration signal.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기울거나 흔들면 모션 센서(145)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45)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 각도, 속도, 세기, 현재 위치 등 움직임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한다. When the user tilts or shakes the portable terminal, the motion sensor 145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otion sensor 145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180. The control unit 180 det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tion, such as the direction, the angle, the speed, the intensity,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signal generated by the motion sensor 145.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45)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검출한 정보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트랙킹한다. 모션 센서(145)를 구성하는 부품에 따라 자이로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정보를 다를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는 검출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모션 센서(145)가 구비된다. 모션 센서(145)는 휴대 단말기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검출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응하여 모션 센서(145)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시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tracks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signal generated by the motion sensor 145. The information that can be detected from the signal generated by the gyro sensor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tion sensor 145. [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motion sensor 145 according to mo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be detected. At least one motion sensor 145 may b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motion sensor 145 to operate only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executed in response to information to be detected.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d),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A-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3, the fourth user input unit 130d, the fifth user input unit 130d, and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ear case 100A-2, and the rear case 100A-2 The second camera 121b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amera 121b.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amera 121b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and may have pixel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camera 121a. For example, the first camera 121a has low pixels so that it is easy to capture a face of a user in the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ransmit the face to the other party. The second camera 121b photographs a general object and immediately transmits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거울(125)과 플래쉬(12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거울(125)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플래쉬(126)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A mirror 125 and a flash 126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The mirror 125 enable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a picture of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cond camera 121b. The flash 126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21b.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A second sound output module (not shown)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rear case 100A-2.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may implement the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and may be used for talking in the speakerphone mode.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A-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A-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An antenna (not shown)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100A-2 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communication. The antenna may be install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out from the rear case 100A-2.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is a path for allow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hav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or a UIM (user identity module),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and the like.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rear case 100A-2.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for exampl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0A-2 for charging or the like.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camera 121b and the like are disposed in the rear case 100A-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second camera 12b may be separately provided, but the first camera 121a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first camera 121a can be photographed up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second camera 121b.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증강 현실 구현 방안을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realizing an augmented reality using a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The following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more easily when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unit 151 is a touch scree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심볼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touch lock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이나 키 입력 등이 소정 시간동안 없거나 혹은 사용자의 명령 등에 따라, 제어부(180)는 특정 종류의 터치 입력을 제외한 터치 입력에 대해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터치락(touch lock) 상태를 설정한다(S410). 제어부(180)는 터치락 상태를 설정할 때,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 오디오 데이터만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음악을 재생시키는 어플리이션이나,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4, when the touch input or the key input is not pres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uch lock (touch) lock state (S410). When setting the touch lock state, the control unit 180 preferably terminates the execution application except for the audio application. Here, the audio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that executes only audio data among contents including audio data. For example, this may be an application for playing music or an application for receiving and reproducing a radio broadcast.

터치락 상태가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터치락 상태임을 알리는 심볼(이하 ‘터치락 심볼’이라고 한다)를 생성한다(S420). 상기한 터치락 심볼은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터치락 심볼은 이동가능한 바 형태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고, 텍스트 또는 특수 기호로 구성되어 터치락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사용자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When the touch lock state is set, 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a symb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lock symbol') indicating that the touch lock state is present (S420). Preferably, the touch lock symbol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mage and text. For example, the touch lock symbol may include a movable bar-shaped image, or may comprise text or special symbols to include information about a user's action to release the touch lock state.

그리고 터치락 상태에서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면(S430-Y), 제어부(180)는 생성한 터치락 심볼을 터치스크린의 중간 영역에 표시한다(S440).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영역은 터치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상단 영역과, 터치스크린의 하단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하단 영역 및 상단 영여과 하단 영역 사이에 있는 중간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단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단 영역은 같은 크기일 수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If the audio application is running in the touch lock state (S430-Y),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generated touch lock symbol in the middle area of the touch screen (S440). The touch region capable of sensing the touch of the touch screen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region including the upper edge of the touch screen, a lower region including the lower edge of the touch screen, and an intermediate reg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lower filter . The top region, middle region and bottom region may be the same size, but may be different.

그러나,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않으면(S430-N), 제어부(180)는 터치락 심볼을 터치스크린의 하단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S450).However, if the audio application is not being executed (S430-N),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the touch lock symbol in the lower area of the touch screen (S450).

한편, 터치락 상태에서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터치락 심볼을 터치스크린의 중간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S470). 여기서 통신 이벤트는 부재중 전화의 수신, 메시지나 메일 수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사이트에 업데이트된 정보의 수신,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리더로부터의 정보 수신 등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communication event occurs in the touch lock state, the controller 180 moves the touch lock symbol to the middle area of the touch screen and displays it (S470). Here, the communication event means reception of a missed call, reception of a message or mail, reception of updated information at a social network service site, reception of information from a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reader, and the like.

상기와 같이, 터치락 상태에서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거나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터치락 심볼을 터치스크린의 중간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상단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명령 및 터치스크린의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락 심볼의 표시 위치로부터 사용자는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udio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or the communication event is generated in the touch lock state, the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in the middle area of the touch screen to display a user command for dragging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You can receive user commands to drag. From the display position of the touch lock symbol, the user can also check whether a communication event has occurred or whether an audio application is running.

한편, 터치락 상태에서 통신 이벤트는 복수 개 발생할 수 있다. 통신 이벤트에 대응하여 터치락 심볼의 크기를 가변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통신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events may occur in the touch lock state. By varying the size of the touch lock symbol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event,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confirm the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the communication ev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이벤트의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e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S510), 제어부(180)는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S520). 알림 정보는 통신 이벤트의 종류와 발생 빈도를 포함하며, 아이콘,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5, when a communication event occurs (S510), the controller 180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communication event has occurred (S520).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con, text, and an image.

한편, 제어부(180)는 알림 정보의 크기가 터치락 심볼의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30). Meanwhile,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size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ouch lock symbol (S530).

알림 정보의 크기가 터치락 심볼의 크기 이상이라고 판단되면(S530-Y), 제어부(180)는 터치락 심볼의 크기를 확대시키고(S540), 터치락 심볼상에 알림 정보를 중첩시켜 표시한다(S550). 그러나, 알림 정보의 크기가 터치락 심볼의 크기 미만이라고 판단되면(S530-N), 제어부(180)는 터치락 심볼상에 알림 정보를 중첩시켜 표시한다(S55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ze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ouch lock symbol (S530-Y), the controller 180 enlarges the size of the touch lock symbol (S540) and superimpos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touch lock symbol S550).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ze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touch lock symbol (S530-N), the control unit 180 superimpos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touch lock symbol.

상기와 같이, 알림 정보가 많아질수록 그에 상응하여 터치락 심볼의 크기가 확대되기 때문에 알림 정보의 양을 그래픽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ze of the touch lock symbol is enlarged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amount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graphically displayed.

다음은 사용자 동작에 따라 터치락 상태를 해제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explains how to release the touch lock state according to user ac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releasing a touch lock st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를 참조하면, 터치락 상태에서 터치락 심볼이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표시되어 있다(S610). 터치락 심볼은 터치스크린의 중간 영역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6, in a touch lock state, a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touch screen (S610). Preferably, the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in an intermediate area of the touch screen.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락 심볼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S620). 제어부(180)는 터치락 심볼이 표시된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에 대해서만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80 receives a user command for touching and dragging the area where the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S620). Preferably, the controller 180 performs an operation only for the touch input through the area where the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상기한 드래그 방향이 제1 방향을 포함하면(S630Y-Y), 제어부(180)는 터치락 심볼을 드래그에 대응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터치락 상태를 해제한다(S640). 상기한 제1 방향은 터치스크린의 하단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한다(S650).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은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화면 또는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인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drag direction includes the first direction (S630Y-Y), the controller 180 moves the touch lock symbol in the firs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rag and releases the touch lock state (S640). Preferably, the first direction is a bottom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Then,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a screen related to the specific application (S650). Preferably, the screen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application is a screen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event or a screen for controlling an audio application.

반면, 상기한 드래그 방향이 제2 방향을 포함하면(S660-Y), 제어부(180)는 터치락 심볼을 드래그에 대응하여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터치락 상태를 해제한다(S670). 상기한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서 터치스크린의 상단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시작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rag direction includes the second direction (S660-Y), the controller 180 moves the touch lock symbol in the secon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rag and releases the touch lock state (S670). Preferably, the second direction is the upper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a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n,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a menu screen for starting execution of all applications.

그러나, 상기한 드래그 방향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포함하지 않으면(S660-N), 제어부(180)는 터치락 심볼을 드래그에 대응하여 이동시키지 않으며, 터치락 상태를 유지한다. 즉,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무시하고, 터치락 화면의 표시를 유지한다. However, if the drag direction does not include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S660-N), the controller 180 does not move the touch lock symbol corresponding to the drag, and maintains the touch lock state. That is, the received user command is ignored, and the display of the touch lock screen is maintained.

본 실시예에서 터치락 심볼이 터치스크린의 중간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다. 터치락 심볼은 터치스크린의 하단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터치락 심볼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180)는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 기존 화면 즉, 터치락 상태를 유지한다. Only the case where the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in the middle area of the touch screen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The touch lock symbol can be displayed in the lower area of the touch screen. In this case, since the touch-lock symbol does not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he controller 180 does not release the touch-lock state but maintains the existing screen, that is, the touch-lock state.

도 7을 참조하여 제1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동작에 따른 터치락 해제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7, a method of releasing a touch lock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f dragging in a first dire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터치락 심볼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제1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S710), 터치락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터치락 상태에서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S720). 발생된 통신 이벤트가 하나이면(S730-N), 제어부(180)는 통신 이벤트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S740). Upon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touching the area where the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and dragging in the first direction (S710), the touch lock state is canceled. Then,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whether a communication event has occurred in the touch lock state (S720). If the generated communication event is one (S730-N),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event (S740).

그러나, 발생된 통신 이벤트가 복수 개 이면(S730-Y), 통신 이벤트의 간략 정보를 기초로 통신 이벤트 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한다(S750). 제어부(180)는 통신 이벤트의 종류, 발생시간, 통신 이벤트의 내용,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상대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이벤트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 이벤트 목록 중 특정 통신 이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S760-Y), 제어부(180)는 선택된 통신 이벤트를 실행시켜 선택된 통신 이벤트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S770). 예를 들어, 선택된 통신 이벤트가 부재중 전화의 수신이면, 제어부(180)는 부재중 전화가 수신된 시간 정보, 부재중 전화의 횟수 정보, 발신자 정보 등을 이용하여 부재중 전화의 수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However, if there are a plurality of generated communication events (S730-Y), the communication event list is generated based on the brief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event and displayed (S750). The control unit 180 can generate a communication event item using at least one of the type of the communication event, the time of occurrence, the content of the communication event, and the counterpart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event. Upon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selecting a specific communication event from the communication event list (S760-Y), the controller 180 executes the selected communication event to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munication event (S770). For example, if the selected communication event is a reception of a missed call, 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detailed information on reception of the missed call us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missed call, the number of missed calls, the caller information, and the like Display.

그리고,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면(S780-Y), 제어부(180)는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키를 표시한다(S790). If the audio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S780-Y),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a control key for controlling the audio application (S790).

이하에서는 참조도면을 기초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심볼이 표시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8 is a referenc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touch lock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은 배터리 충전 상태, 수신 강도 상태 등이 표시되는 인디케이터 영역(81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영역(8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영역(820)은 인디케이터 영역을 기준으로 상단 영역(822), 중간 영역(824) 및 하단 영역(826)으로 구분된다. 터치 영역(820)의 구분은 터치락 심볼이 표시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동일한 크기로 구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터치락 상태가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중간 영역(824) 및 하단 영역(8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터치락 심볼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8A, the touch screen includes an indicator region 810 in which a battery charging state, a reception strength state, and the like are displayed, and a touch region 820 in which a user interface is displayed and a touch can be detected . The touch area 820 is divided into an upper area 822, an intermediate area 824, and a lower area 826 based on the indicator area. The division of the touch area 820 is for describing the area in which the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and may not be divided into the same size. When the touch lock state is set, the controller 180 preferably displays the touch lock symbol in at least one of the middle area 824 and the bottom area 826. [

구체적으로,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터치락 상태가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하단 영역(826)에 터치락 심볼(830)을 표시한다. 터치락 심볼(830)은 터치스크린의 세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미지 형태의 바(이하 ‘슬라이딩 바’라고 한다)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 상에 메뉴 화면의 표시를 위한 사용자 동작을 안내하는 제1 안내 정보(840)가 표시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touch lock state is set in a state in which the audio application is not being executed, the control unit 180 sets the touch lock symbol (the touch lock symbol) in the lower area 826 of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8B 830). The touch lock symbol 830 includes an image-type ba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liding bar')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The first guide information 840 for guiding the user's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menu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bar.

그리고,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 터치락 상태가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중간 영역(824)에 터치락 심볼(830)을 표시한다. 터치락 심볼(830)은 슬라이딩 바 내에 제1 안내 정보(840) 뿐만 아니라, 오디오 어플리케이션 제어 화면의 표시를 위한 사용자 동작을 안내하는 제2 안내 정보(85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하단 영역에는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1 알림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When the touch lock state is set while the audio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the control unit 180 sets the touch lock symbol 830 in the middle area 824 of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8 (c) Display. The touch lock symbol 830 may include not only the first guide information 840 in the sliding bar but also second guide information 850 for guiding the user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audio application control screen. Also,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audio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may be displayed in the lower area of the touch screen.

한편, 터치락 상태에서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중간 영역(824)에 터치락 심볼(830)을 표시한다. 터치락 심볼(830)은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1 알림 정보(860) 및 통신 이벤트 관련 화면의 표시를 위한 사용자 동작을 안내하는 제3 안내 정보(870)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communication event occurs in the touch lock state,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touch lock symbol 830 in the middle area 824 of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8 (d). The touch lock symbol 830 may includ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860 indicating that a communication event has occurred and third guide information 870 indicating a user operation for displaying a communication event related screen.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도중 터치락 상태가 설정되고 이후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락 심볼을 표시한 후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락 심볼을 표시한다. 즉,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알림 정보 및 제2 안내 정보 대신 제1 알림 정보 및 제3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터치락 상태가 설정되고 이후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락 심볼을 표시한 후 터치락 심볼의 위치를 터치스크린의 중간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터치락 심볼상에 제2 안내 정보를 추가하여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락 심볼을 표시한다. When the touch lock state is set during execution of the audio application and a communication event occurs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the touch lock symbol as shown in FIG. 8C, And displays the touch lock symbol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a communication event occurs,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first announcement information and the third announcement information instead of the first announcement information and the second guide information. However, if the touch lock state is set while the audio application is not being executed and the communication event occurs 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touch lock symbol as shown in FIG. 8B, Position is moved to the middle area of the touch screen, and the second guidance information is added on the touch lock symbol to display the touch lock symbol as shown in FIG. 8 (d).

상기와 같이, 터치락 심볼을 터치락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는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면서 메뉴 화면 또는 통신 이벤트 관련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displaying the touch lock symbol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lock state, the portable terminal can display the menu screen or the communication event related screen while releasing the touch lock stat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면서 통신 이벤트 관련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9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communication event related screen while releasing the touch lock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락 심볼(830)은 슬라이딩 바와 상기한 슬라이딩 바내에 통신 이벤트 관련 화면의 표시를 위한 사용자 동작을 안내하는 제3 안내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슬라이딩 바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터치스크린의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터치락 심볼(830)를 터치스크린의 하단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통신 이벤트가 복수 개이면,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이벤트 목록(910)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 그러나, 통신 이벤트가 하나이면, 통신 이벤트의 상세 정보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9A, the touch lock symbol 830 includes third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user operation for displaying a communication event-related screen in the sliding bar and the sliding bar. When the user touches the area where the sliding bar is displayed and then drags the touch screen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180 touches the touch lock symbol 830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as shown in FIG. 9 (b) Move it to the bottom of the screen. Then, if there ar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events, the communication event list 91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9 (c). However, if there is one communication event,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even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심볼의 크기가 가변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varying the size of a touch lock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락 심볼(1010)의 제1 안내 정보(1012)와 제3 안내 정보(1014) 사이에 알림 정보(1030)를 표시한다. 한편, 알림 정보의 개수가 많아질 경우, 즉, 통신 이벤트의 종류가 많아질 경우, 제어부(180)는 통신 이벤트의 종류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도 10의 (b) 내지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내 정보와 제2 안내 정보 사이에 알림 정보(1030)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알림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슬라이딩 바의 크기를 상단 영역 방향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슬라이딩 바의 크기를 터치스크린의 하단 방향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 방향으로 대칭되게 확대시킬 수 있다. When a communication event occurs, 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communication event has occurred. 10A, notification information 1030 is displayed between the first guidance information 1012 and the third guidance information 1014 of the touch lock symbol 101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notification information increases, that is, when the number of types of communication events increases, 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ommunication event. 10 (b) to 10 (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1030 is displayed between the first guida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guidance information. Specifically, in display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180 may enlarge the size of the sliding bar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region as shown in FIG. 10 (b).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0C, the controller 180 may enlarge the size of the sliding bar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d), it is possible to extend symmetrically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r.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면서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11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while releasing a touch lock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락 심볼(1110)은 슬라이딩 바 및 메뉴 화면 표시를 위한 사용자 동작을 안내하는 제1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슬라이딩 바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터치스크린의 상단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바를 터치스크린의 상단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11의 (c) 및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아이콘(1120)의 구성된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메뉴 화면을 표시함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화면에 포함될 복수 개의 아이콘(1120)을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집중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복수 개의 아이콘(1120)을 점진적으로 확대시켜,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복수 개의 아이콘을 터치스크린의 화면 전체에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11A, the touch lock symbol 1110 may include first sliding information and first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user operation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When the user touches the area where the sliding bar is displayed and then drags the bar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180 moves the bar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as shown in FIG. 11 (b) . Then, as shown in Figs. 11C and 11D, a menu screen composed of a plurality of icons 1120 is displayed. In displaying the menu screen,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plurality of icons 1120 to be included in the menu screen in a concentrated area of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11C. Then, as time elapses, the plurality of icons 1120 are gradually enlarged, and a plurality of enlarged icons are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of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11 (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면서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의 제어키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12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control key of an audio application while releasing a touch lock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락 심볼(1210)은 제1 슬라이딩 바(1210), 제2 슬라이딩 바(1220) 및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의 제어키 표시를 위한 사용자 동작을 안내하는 제2 안내 정보(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안내 정보는 제2 슬라이딩 바 내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제1 슬라이딩 바(1210) 및 제2 슬라이딩 바(1220) 중 적어도 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터치스크린의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제2 슬라이딩 바(1220)를 터치스크린의 하단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1 슬라이딩 바(1210)와 제2 슬라이딩 바(1220)사이에 중간 바(1240)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바(1240)상에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제어키(1250)를 표시한다. 제어키의 표시 영역이 작으므로, 제어부(180)는 터치락 심볼을 변형시켜 표시할 수 있다. 12A, the touch lock symbol 1210 includes a first sliding bar 1210, a second sliding bar 1220, and a second sliding bar 1220 for guiding a user operation for control key display of the audio application. And guide information 1230. The third guide information is preferably displayed in the second sliding bar. When a user touches an area where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ding bar 1210 and the second sliding bar 1220 is touched and dragg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12B, the controller 180 Moves the second sliding bar 1220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and displays an intermediate bar 1240 between the first sliding bar 1210 and the second sliding bar 1220. Then, a control key 1250 for controlling the audio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middle bar 1240, as shown in Fig. 11 (c). Since the display area of the control key is small, the control unit 180 can display the touch lock symbol by modifying it.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제1 슬라이딩 바(1210)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터치스크린의 상단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메뉴 화면 표시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 1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화면(1260)을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area where the first sliding bar 1210 is displayed and then drag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menu screen display command has been received, the menu screen 1260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앞서 설명한 터치락 심볼은 상단 방향 또는 하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바를 포함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락 심볼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바를 포함할 수 도 있다.The above-described touch lock symbol includes a sliding bar that can slide in the upper direction or the lower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ouch lock symbol may include a sliding bar that is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락 심볼을 이용하여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1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leasing a touch lock state using a touch lock symb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터치락 상태가 설정되면,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는 제1 바(1310), 제1 바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도록 제1 바를 지지하는 제2 바(1320) 및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의 제1 바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4 안내 정보(1330)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1 바(1310)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안내 정보(1330)가 표시된 영역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180)는 제1 바(1310)을 제4 안내 정보(1330)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고,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메뉴 화면을 표시함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아이콘(1340)을 터치스크린의 중간 영역에 집중시켜 표시한 후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전체에 확대시켜 표시한다. When the touch lock state is set, as shown in FIG. 13A, the controller 180 includes a first bar 1310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touch screen, A second bar 1320 supporting the first bar and fourth guide information 1330 guid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bar when releasing the touch lock state. When the user touches the area where the first bar 1310 is displayed and then drags the guide information 1330 to the area where the guide information 1330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first bar 1310 as the fourth guide information 1330 Area. Then, the touch lock state is canceled and a menu screen is displayed. In displaying the menu screen,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menu icon 1340 in the middle area of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12 (c)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a processor-readable code o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mobile station modem (MSM).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 / V input unit
130: user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51: display unit
160: memory 170: interface section
180:

Claims (18)

[청구항 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터치락 상태를 알리는 터치락 심볼을 표시하는 단계;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락 심볼상에 상기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1 알림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제1 알림 정보의 크기에 상기 터치락 심볼의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락 심볼의 크기를 확대하여 상기 제1 알림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락 심볼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제1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터치락 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통신 이벤트가 하나이면 상기 통신 이벤트의 상세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 이벤트가 복수 개이면 상기 통신 이벤트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Displaying a touch lock symbol indicating a touch lock state in one area of the touch screen;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mmunication event has occurred on the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when the communication event occurs, and when the communication event occurs, displaying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the communication event on the touch lock symbol, wherein if the size of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ouch lock symbol, Displaying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by enlarging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k state and displays a scree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event when the first user command for dragging the touch-locked symbol in the first direction is touched after touching the area in which the touch-lock symbol is displayed, Displaying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event and displaying a list of the communication events when a plurality of the communication events are present.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락 심볼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2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고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releasing the touch lock state and displaying a menu screen upon receiving a second user command for touching an area where the touch lock symbol is displayed and dragg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복수 개의 아이콘을 포함하며,
상기 메뉴 화면의 표시시, 상기 복수 개의 아이콘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에서 전체 영역으로 확대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enu screen includes a plurality of icons,
Wherein when the menu screen is displayed, the plurality of icons are enlarged and displayed as a whole area in a part of the touch screen.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단 영역에 표시되고 있던 상기 터치락 심볼을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간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mmunication event occurs, moving the touch lock symbol displayed in the bottom area of the touch screen to the middle area of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the touch lock symbol.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이벤트는,
부재중 통화의 수신, 메시지 또는 이메일 수신,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에 업데이트된 정보의 수신,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리더로부터 정보 수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event includes: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one of receiving a missed call, receiving a message or e-mail, receiving updated information in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ite, 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reader.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is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락 심볼은,
바 형태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And a bar-shaped image.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7]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락 심볼은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lock symbol
Wherein the first user command is moved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 command.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8]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락 심볼의 표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when the communication event occurs, a display position of the touch lock symbol is changed.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9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락 상태가 설정될 때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면,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임을 알리는 제2 알림 정보를 상기 터치락 심볼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isplaying second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audio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on the touch lock symbol if the audio application is running when the touch lock state is set.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0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 정보는 상기 제2 알림 정보 대신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stead of the second notification information.
터치락 상태에서 상기 터치락 상태임을 알리는 터치락 심볼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락 심볼상에 상기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1 알림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제1 알림 정보의 크기에 상기 터치락 심볼의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락 심볼의 크기를 확대하여 상기 제1 알림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락 심볼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제1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터치락 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되, 상기 통신 이벤트가 하나이면 상기 통신 이벤트의 상세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 이벤트가 복수 개이면 상기 통신 이벤트의 목록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 touch lock symbol indicating the touch lock state in a touch lock state; And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mmunication event has occurred on the touch lock symbol when a communication event occurs, and displaying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mmunication event has occurred on the touch lock symbol, wherein if the size of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the touch lock symbol, Lock state when the first user command for displaying the first announcement information and dragging the touch-locked symbol in the first direction after touching the area in which the touch-lock symbol is displayed is received and the touch- And a controller for displaying the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event if the communication event is one and displaying a list of the communication events if the communication event is a plurality of the communication events.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락 심볼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터치락 상태를 해제하고 메뉴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rein when the user command for dragging the touch-lock symbol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received after touching the area where the touch-lock symbol is displayed, the touch-lock status is canceled and the menu scree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복수 개의 아이콘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에서 전체 영역으로 확대시켜 상기 복수 개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enu screen includes a plurality of icons,
Wherein,
And displays the plurality of icons by enlarging the entire area from a part of the area of the touch scree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단 영역에 표시되고 있던 상기 터치락 심볼을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간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move the touch lock symbol displayed in the bottom area of the touch screen to the middle area of the touch screen when the communication event occur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락 심볼은,
바 형태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ouch-
And a bar-shaped imag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락 심볼은,
상기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락 심볼의 표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ouch-
Wherein the display position of the touch lock symbol is changed when the communication event occur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락 상태가 설정될 때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면,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임을 알리는 제2 알림 정보를 상기 터치락 심볼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nd displays second announc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audio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on the touch lock symbol if the audio application is running when the touch lock state is set.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 정보는 상기 제2 알림 정보 대신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stead of the second notification information.
KR1020100098424A 2010-10-08 2010-10-08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7495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424A KR101749531B1 (en) 2010-10-08 2010-10-08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424A KR101749531B1 (en) 2010-10-08 2010-10-08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642A KR20120036642A (en) 2012-04-18
KR101749531B1 true KR101749531B1 (en) 2017-07-03

Family

ID=4613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424A KR101749531B1 (en) 2010-10-08 2010-10-08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53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642A (en)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363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55812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43869B1 (en) Operating a Mobile Termianl with a Vibration Module
KR101186332B1 (en) Portable MultiMedia Play Device, the System thereof and the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36723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767504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40080007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51473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72215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20001477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716151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51477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51470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99742B1 (en) Electronic Device With Message Tranfer Function and the Syste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749531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85349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799320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35559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30007348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87550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87547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275581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85340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68242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730045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