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215B1 -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215B1
KR101747215B1 KR1020120089666A KR20120089666A KR101747215B1 KR 101747215 B1 KR101747215 B1 KR 101747215B1 KR 1020120089666 A KR1020120089666 A KR 1020120089666A KR 20120089666 A KR20120089666 A KR 20120089666A KR 101747215 B1 KR101747215 B1 KR 101747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sition information
radar sensor
camera
surveil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697A (ko
Inventor
전기용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210391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051868B/zh
Priority to US13/651,498 priority patent/US9055201B2/en
Publication of KR2013004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0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act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69Event triggers storage or change of storage poli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는, 레이다 센서로부터 탐지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대기 모드인 카메라를 감시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레이다 센서로부터 상기 물체의 침입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감시 모드 중에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물체의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searching image using ladar}
본 발명은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카메라 또는 CCTV와 연동된 NVR/DVR 시스템은 외부 트리거(trigger)없이 영상 데이터를 녹화하거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에서 움직임이 검출되면 녹화를 한다. 또한, PIR 센서 및 Dual 센서를 통하여 외부 입력을 받은 경우에 한하여 영상 데이터를 녹화하기도 한다.
외부 트리거 없이 영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녹화하는 경우, 테라 바이트(Tera byte) 이상의 데이터 저장 공간이 매우 크게 필요하다.
영상 데이터의 분석에 의해 움직임이 검출되면 녹화하는 경우, 움직임 검출이 어렵고, 특히 실외를 감시하는 카메라나 CCTV의 경우 바람, 나무의 흔들림 등 자연현상에 의하여 움직임 검출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PIR 센서 및 Dual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센서의 주변 환경에 따른 오작동이 빈발함으로써 저장 영상에 대한 트리거로서의 기대효과가 저감된다.
이와 같이 트리거 입력이 없는 경우 및 부실한 트리거 정보를 사용하여 저장된 영상 자료는 매우 방대하게 되며, 따라서 카메라 또는 CCTV와 연동된 NVR/DVR 시스템 및 향후의 클라우드(cloud) 시스템에 사후에 의미있는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 매우 긴 시간의 검색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효과적으로 영상을 저장하고 영상을 검색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는, 레이다 센서로부터 탐지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의 감시 방향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레이다 센서로부터 상기 물체의 침입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감시 모드 중에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물체의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감시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감시 영상을 각각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장치를 대기 모드에서 감시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검색 조건에 의한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된 영상을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 요청이 수신되면, 검색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레이다 센서에 의해 탐지된 물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물체의 감시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장치를 대기 모드에서 감시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레이다 센서로부터 상기 물체의 침입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감시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검색 조건에 의한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된 영상을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 요청이 수신되면, 검색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은, 물체로부터 반사된 레이다 신호를 기초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체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레이다 센서; 상기 레이다 센서와 연동하여 상기 물체의 감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레이다 센서로부터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의 감시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레이다 센서로부터 상기 물체의 침입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다 센서는, 상기 물체의 거리가 기 설정된 침입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물체의 침입으로 판단하고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는,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감시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검색 조건에 의한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부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된 영상을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의 영상 저장 및 검색 방법은, 레이다 센서로부터 탐지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의 감시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다 센서로부터 상기 물체의 침입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감시 모드 중에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물체의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영상은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t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감시 방향 설정 단계는,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의 팬틸트줌 값을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검색 조건에 의한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부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된 영상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의 영상 저장 및 검색 방법은, 카메라로부터 레이다 센서에 의해 탐지된 물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물체의 감시 영상을 수신하면, 대기 모드에서 감시 모드로 전환하여 활성화되는 단계; 및 상기 레이다 센서로부터 상기 물체의 침입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감시 모드 중에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영상은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검색 조건에 의한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부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된 영상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의 영상 저장 및 검색 방법은, 레이다 센서가 물체로부터 반사된 레이다 신호를 기초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에서, 상기 레이다 센서로부터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의 감시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레이다 센서가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체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고, 물체의 침입시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에서, 상기 레이다 센서로부터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감시 모드 중에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상기 물체의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영상은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검색 조건에 의한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부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된 영상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이다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영상 저장 및 검색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기 일체형 레이다 센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기 분리형 레이다 센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의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의 감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의 영상 검색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의 감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이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련의 처리 단계들은 시계열적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고,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10)은 레이다 센서(100), 카메라(300) 및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를 포함한다.
레이다 센서(100)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사용하여 감시 영역 내에 들어온 물체의 탐지, 추적 및 위치를 검출한다. 레이다 센서(100)는 감시 영역 내에서 물체를 탐지하고, 탐지한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물체의 침입 여부를 판단한다. 물체의 위치 정보는 레이다 센서(100)와 물체 사이의 거리(이하, '물체의 거리'라고 함)(r)를 포함한다.
레이다 센서(100)는 탐지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하고,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카메라(300)가 레이다 센서(100)와 연동하여 탐지된 물체를 촬영하며 감시하도록 제어한다. 레이다 센서(100)는 물체의 침입으로 판단되면, 알람 신호를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하고, 알람 신호를 수신한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카메라(300)가 촬영한 감시 영상을 저장한다.
레이다 센서(100)는 송수신기 일체형 레이다 센서 또는 송수신기 분리형 레이다 센서일 수 있다. 도 2는 송수신기 일체형 레이다 센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송수신기 분리형 레이다 센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수신기 일체형 레이다 센서(100A)는 안테나(101)를 통해 레이다 신호를 출력하고,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한다. 출력된 레이다 신호는 물체까지 직선으로 진행한 후, 물체에서 반사하여 돌아온다. 레이다 센서(100A)는 출력되는 레이다 신호와 반사되어 돌아온 신호를 기초로 물체의 거리(r), 위상(θ)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다 센서(100A)는 물체의 거리(r)를 기초로 물체의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레이다 센서(100A)는 물체의 거리(r)를 기초로 위상(θ)을 산출할 수 있고, 물체의 거리(r) 및 위상(θ)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하고, 물체의 침입으로 판단시 알람 신호를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한다.
안테나(101)는 송수신용 단일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송신용 및 수신용의 별개 안테나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수신기 분리형 레이다 센서(100B)는 레이다 송신기(103) 및 레이다 수신기(105)를 포함한다.
레이다 송신기(103)와 레이다 수신기(105)는 각각 별개로 상호 이격되어 감시 영역 내에 배치된다. 도 3의 송수신기 분리형 레이다 센서(100B)는 도 2의 송수신기 일체형 레이다 센서(100A)에 비해 물체 탐색거리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어도 3개의 수신기(105)를 배치하는 경우 물체의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송신기(103)와 3개의 수신기(105)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시 영역의 범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송신기와 하나 이상의 수신기가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레이다 송신기(103)는 안테나(104)를 통해 레이다 신호를 출력한다.
각 레이다 수신기(105)는 안테나(106)를 통해 레이다 송신기(103)가 출력한 레이다 신호 및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한다. 레이다 수신기(105)는 레이다 송신기(103)가 출력하는 레이다 신호와 반사된 신호를 기초로 물체의 거리(r1, r2, r3)를 검출할 수 있다. 각 레이다 수신기(105)는 물체의 거리(r1, r2, r3)를 기초로 물체의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각 레이다 수신기(105)는 물체의 거리(r1, r2, r3)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하고, 물체의 침입으로 판단시 알람 신호를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300)는 감시 영역에 설치되고, 팬틸트줌(PTZ)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300)는 평상시 감시 모드 상태로 활성화되어 있으며, 정해진 자신의 감시 영역을 프리셋 방식에 의하여 감시하면서 물체를 탐지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감시 영상을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하지 않는다. 카메라(300)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부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감시 모드에서의 감시 방식을 중단하고 카메라 제어 신호에 포함된 PTZ 값에 따라 방향을 조정하여 지향된 위치에서 물체를 탐지한다. 그리고, 카메라(300)는 촬영한 감시 영상을 시간 정보와 함께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한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레이다 센서(100) 및 카메라(3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탐지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를 기초로 레이다 센서(100)와 연동된 카메라(300)의 위치를 제어한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평상시 대기(stand-by) 모드 상태로서, 영상을 저장하지 않는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위치 정보를 제1 트리거 신호로 하여 활성화(wake-up)되고, 대기 모드에서 감시 모드로 전환된다. 감시 모드로 전환된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감시 모드로 동자 중인 카메라(300)를 탐지된 물체의 위치로 지향시켜 물체를 감시하도록 한다.
레이다 센서(100)가 도 2의 송수신기 일체형 레이다 센서(100A)인 경우,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레이다 센서(100A)로부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물체의 위치 정보는 물체의 거리(r) 및 위상(θ)을 포함한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300)의 PTZ 값을 산출하고, PTZ 값을 갖는 카메라 제어 신호를 카메라(300)로 출력한다.
레이다 센서(100)가 도 3의 송수신기 분리형 레이다 센서(100B)인 경우,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레이다 센서(100B)로부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물체의 위치 정보는 적어도 3개의 레이다 수신기(105)가 전송한 각각의 물체의 거리(r1, r2, r3)를 포함한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수신한 물체의 거리(r1, r2, r3)를 기초로 물체의 위상(θ)을 산출할 수 있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물체의 거리(r1, r2, r3) 및 위상(θ)을 포함하는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300)의 PTZ 값을 산출하고, PTZ 값을 갖는 카메라 제어 신호를 카메라(300)로 출력한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물체 침입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알람 신호를 영상 저장을 위한 제2 트리거 신호로 하여 카메라(300)로부터 수신한 감시 영상을 저장한다. 이때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시간 정보, 물체의 위치 정보, 및 영상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추후 영상 검색시 물체의 위치 정보를 검색 조건으로 이용하여 손쉽게 영상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레이다 센서(100)는 수신부(110), 물체 탐지부(130), 침입 판단부(150), 알람부(170), 및 송신부(190)를 포함한다.
레이다 센서(100)는 물체의 유무 및 물체의 위치를 파악한다. 도 4에 도시된 레이다 센서(100)는 도 2에 도시된 레이다 센서(100A), 또는 도 3에 도시된 레이다 센서(100B)에 구현될 수 있다.
수신부(110)는 물체로부터 반사된 레이다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다.
물체 탐지부(130)는 반사된 레이다 신호에서 클러터 및 노이즈를 제거한다. 예를 들어, 물체 탐지부(130)는 루프 필터 알고리즘(Loop-filter algorithm), 특이값 분해 알고리즘(singular value decomposition(SVD) algorithm) 등을 이용하여 클러터 및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물체 탐지부(130)는 출력되는 레이다 신호와 물체로부터 반사된 레이다 신호 사이의 유사도를 기초로 물체의 거리(r)를 추정할 수 있다. 물체 탐지부(130)는 상호 상관(cross correlation) 함수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레이다 신호와 반사된 레이다 신호 사이의 시간 차를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물체의 거리(r)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물체 탐지부(130)는 물체의 거리(r)를 기초로 물체의 위상(θ)을 추정할 수 있다.
침입 판단부(150)는 탐지된 물체의 거리(r)를 침입 거리(rdet)와 비교한다. 침입 판단부(150)는 물체의 거리(r)가 침입 거리(rdet) 이하인 경우, 즉 물체가 침입 거리(rdet) 내에 들어오면, 침입으로 판단한다. 침입 판단부(150)는 침입으로 판단되면, 이벤트(event) 발생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알람부(170)와 송신부(190)로 전송한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침입 판단부(150)는 물체의 거리(r)를 침입 거리(rdet)와 비교한다. 침입 판단부(150)는 물체가 이동하여 물체의 거리(r)가 r1에서 침입 거리(rdet) 이내인 r2로 진입하면 침입으로 판단한다.
알람부(170)는 물체 침입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수신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 알람부(170)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고음과 함께 빛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알람부(170)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사이렌과 빛을 발생시키는 경광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부(190)는 물체의 위치 정보를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레이다 센서(100)의 종류에 따라 물체의 거리(r), 또는 물체의 거리(r) 및 위상(θ)일 수 있다. 그리고, 송신부(190)는 알람 신호를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송신부(190)는 물체의 종류를 물체의 위치 정보와 함께 또는 별개로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의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레이다 센서(100) 및 카메라(3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한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레이다 센서(100) 및 카메라(3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레이다 센서(100)와 카메라(300)는 감시 영역에 하나 이상의 개수로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레이다 센서(100)와 카메라(300)는 일체로 구성되어 동일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 또는 레이다 센서(100)와 카메라(300)는 별개로 각각 분산 배치되어 정해진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레이다 센서(100)에 복수의 카메라(300)가 연동되어 일정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CCTV(Closed-Circuit TV) 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Digital Video Recorder),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etwork Video Recorder, NVR)는 물론,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클라우드(cloud) 환경 하에서 데이터 저장을 위한 서버(Server)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제1 신호 처리부(201), 제2 신호 처리부(202), 제어부(203), 저장부(204), 표시부(205), 입력부(206), 및 네트워크 처리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201)는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시간 정보 및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시간 정보는 타임 스탬프일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201)는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물체의 종류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레이다 센서(100)가 도 2에 도시된 의 송수신기 일체형 레이다 센서(100A)인 경우, 제1 신호 처리부(201)는 레이다 센서(100A)로부터 물체의 거리(r) 및 위상(θ)을 물체의 위치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레이다 센서(100)가 도 3의 송수신기 분리형 레이다 센서(100B)인 경우, 제1 신호 처리부(201)는 레이다 센서(100B)의 적어도 3개의 레이다 수신기 각각으로부터 물체의 거리(r)를 위치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201)는 제어부(203)의 제어하에,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300)의 PTZ 값을 산출하고, PTZ 값을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300)로 출력한다. 카메라 제어 신호는, 카메라(300)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패닝 및 틸팅 값과 영상 확대 비율을 나타내는 줌잉 값을 포함하여, 카메라(300)의 촬영 방향 및 포커스를 설정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카메라 제어 신호에 의해 PTZ 값을 조정하고, 물체를 촬영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신호 처리부(201)가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300)로 제공하고 있으나, 제1 신호 처리부(201)가 카메라(300)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카메라(300)에서 물체 위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300)의 촬영 방향 및 포커스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 신호 처리부(201)는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03)로 전송한다.
제2 신호 처리부(202)는 카메라(300)로부터 물체를 촬영한 감시 영상을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하고,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수신한 영상을 처리한다. 시간 정보는 타임 스탬프일 수 있다.
제어부(203)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제어부(203)는 제1 신호 처리부(202)가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제1 트리거 신호로 수신한 경우,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를 활성화시켜 대기 모드에서 감시 모드로 전환시킨다.
저장부(204)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3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수신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저장부는 물체의 종류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는 하나의 저장 장치 또는 별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저장부(20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정보, 영상 및 물체의 위치 정보를 함께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04)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에 내장되거나 또는 장착가능한 자기디스크, 메모리카드, 광디스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203)는 감시 모드에서 제1 신호 처리부(202)로부터 알람 신호를 제2 트리거 신호로 수신하면, 카메라(300)로부터 제2 신호 처리부(202)로 수신되는 감시 영상을 저장부(204)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203)는 카메라(300)로부터 제2 신호 처리부(202)로 수신되는 모든 감시 영상을 저장부(204)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203)는 일정한 주기로 감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205)는 제2 신호 처리부(20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또는 입력부(206)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생성된 메뉴 항목 등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입력부(205)를 통해 영상을 요청하는 경우, 표시부(205)는 물체의 종류 및 위치, 시간 등을 사용자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선택하기 위한 검색 메뉴 항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05)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부(20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P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205)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입력부(206)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06)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예를 들어 원격제어 가능한 유/무선 리모컨을 통해, 또는 표시부(205)에 일체로 구비된 메뉴 버튼을 통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206)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표시부(205)의 디스플레이 화면 자체에 표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또는 트랙볼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또는 손가락, 펜 또는 스타일러스 시스템과 같은 터치스크린 감도를 통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처리부(207)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영상 요청 신호를 입력받고, 검색된 영상을 해당 사용자 단말(40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휴대폰, PDA 등의 이동 단말(Mobile Phone), PC(Personal Computer), DVR 또는 NV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06)를 통해 영상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네트워크 처리부(207)를 통해 원격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영상 요청이 있는 경우, 입력된 검색 조건을 기초로 저장부(204)로부터 해당 영상을 검색 및 선택하여 표시부(205)로 출력하거나, 네트워크 처리부(207)를 통해 원격의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3)는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저장부(204)에 저장된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특정 영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감시 영역(A) 중 검색 영역(B)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의 입력부(206), 또는 사용자 단말(400)의 입력부를 이용하여, 검색 영역(B)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검색 영역(B)의 선택은 도 9의 예시처럼 화면 상의 마우스 포인터로부터 블럭을 설정하거나, 터치 화면인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에 의해 블럭을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검색 영역(B)의 선택은 사용자가 키 입력을 통해 직접 원하는 영역의 좌표를 입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검색 메뉴 화면에서 분류되어 제공되는 영역을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03)는 검색 영역(B)의 좌표 정보를 검색 조건으로 하여, 저장부(204)에서 검색 영역(B)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203)는 검색된 위치 정보에 매칭된 영상을 표시부(205)로 출력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처리부(207)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검색 영역(B)과 관련된 영상을 재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의 감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10을 참조하면, 레이다 센서(100)는 감시 영역으로 레이다 신호를 전송하고(S701), 물체로부터 반사된 레이다 신호를 수신한다(S702). 이때 카메라(300)는 감시 모드로써, 프리셋 방식과 같이 정해진 감시 방식으로 물체를 탐지하고 있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대기 모드이다.
레이다 센서(100)는 반사된 레이다 신호를 기초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S703). 위치 정보는 레이다 센서(100)의 종류에 따라 물체의 거리, 또는 물체의 거리 및 위상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다 센서(100)는 물체의 위치 정보를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한다(S704).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대기 모드에서 감시 모드로 전환한다(S705). 그리고,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300)의 PTZ 값을 설정하고, PTZ 값을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신호를 카메라(300)로 전송한다(S706).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위치 정보를 시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카메라(300)는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카메라 제어 신호에 따라 PTZ 값을 새로 설정한다(S707). 그리고 카메라(300)는 변경된 PTZ 값에 따라 촬영 방향 및 포커스를 조절하며 물체를 감시한다(S708). 카메라(300)는 감시 모드에서 촬영한 영상을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한다(S709).
레이다 센서(100)는 물체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추정하면서 물체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고, 물체의 거리가 기 설정된 침입 거리 이내인 경우 물체의 침입으로 판단한다(S710). 레이다 센서(100)는 물체의 침입으로 판단되면,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711). 레이다 센서(100)는 알람 신호를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한다(S712).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감시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이후 카메라(3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S713).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원격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검색 조건과 함께 영상 요청이 수신되면(S714), 검색 조건에 따라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고(S715), 검색된 영상을 원격의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한다(S716).
원격의 사용자 단말(400)은 수신한 영상을 표시한다(S717).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대기 모드에서 신호 수신을 기다린다(S801).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S802), 대기 모드에서 감시 모드로 전환한다(S803).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물체의 위치 정보를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한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카메라(300)의 PTZ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생성하여 카메라(300)로 전송하고, 카메라(300)로부터 감시 영상을 수신한다(S804). 카메라(300)는 카메라 제어 신호에 의해 PTZ 값을 변경하며 물체를 감시하고, 감시 영상을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한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S805), 카메라(300)로부터 수신된 감시 영상을 저장한다(S806).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의 영상 검색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탐지된 물체의 영상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901).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복수의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탐지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하고, 복수의 카메라(300)로부터 탐지한 물체를 촬영한 감시 영상을 시간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시간, 감시 영상 및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영상 DB에 저장한다(S902).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물체의 위치 정보, 감시 영상을 시간 정보와 함께 매칭시켜 저장하거나, 물체의 위치 정보와 감시 영상을 각각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903). 이때, 사용자로부터의 영상 요청은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의 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동통신망 또는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원격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에 접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영상 요청이 있는 경우,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저장부의 영상 DB에 저장된 다양한 영상을 검색할 수 있는 영상 검색 메뉴 화면을 제공한다(S904). 이때, 메뉴 화면은 사용자가 직접 검색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거나, 검색 메뉴 화면에 미리 정해진 검색 조건을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의 입력부, 또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에 접속한 자신의 단말장치의 입력 장치를 통해 영상 검색 메뉴 화면에서 검색을 원하는 영역을 선택한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검색 조건이 위치 정보와 관련된 경우(S905), 위치 정보를 DB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위치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감시 영상을 출력한다(S906). 이때,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검색된 감시 영상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리스트를 보면서 원하는 감시 영상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영상 리스트는 시간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영상 리스트에서 원하는 시간의 감시 영상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검색 조건이 위치 정보 외, 예를 들어, 시간, 물체의 종류 등인 경우(S905), 해당 검색 조건에 따라 영상을 검색하여 출력한다(S907).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물체의 위치 정보로서 물체의 거리 및 위상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체의 거리 및 위상을 기초로 산출된 물체의 (x,y) 좌표값을 위치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물체의 (x,y) 좌표값은 레이다 센서 또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가 산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의 감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은 레이다 센서(100')가 물체의 위치 정보를 카메라(300')로 전송하고,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카메라(300')로부터 물체의 위치 정보 및 영상을 수신하는 점에서, 도 6에 도시된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를 포함하는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과 상이하다. 레이다 센서(100')는 탈부착식 또는 고정식으로 카메라(300')에 구비되고, 도 2에 도시된 송수신기 일체형 레이다 센서(100A)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여,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의 감시 방법을 설명하겠다.
레이다 센서(100')는 감시 영역으로 레이다 신호를 전송하고(S601), 물체로부터 반사된 레이다 신호를 수신한다(S602). 이때 카메라(300')와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대기 모드이다.
레이다 센서(100')는 반사된 레이다 신호를 기초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S603). 위치 정보는 물체의 거리 및 위상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다 센서(100')는 물체의 위치 정보를 카메라(300)')로 전송한다(S604).
카메라(300')는 레이다 센서(100')로부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대기 모드에서 감시 모드로 전환한다(S605). 그리고, 카메라(300')는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자신의 PTZ 값을 설정하고, 촬영 방향 및 포커스를 조절하며 물체를 감시한다(S606). 카메라(300')는 감시 모드에서 촬영한 감시 영상과 물체의 위치 정보를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한다(S607). 레이다 센서(100')는 직접 물체의 위치 정보를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는 신호 처리부(212), 제어부(213), 저장부(214), 표시부(215), 입력부(216), 및 네트워크 처리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12)는 감시 영상과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수신한 영상을 처리한다.
제어부(213)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제어부(213)는 신호 처리부(212)가 카메라(300')로부터 물체의 위치 정보 및 감시 영상을 수신한 경우,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를 활성화시켜 대기 모드에서 감시 모드로 전환시킨다(S608).
저장부(21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정보와 영상 및 물체의 위치 정보를 함께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시간 정보는 타임 스탬프일 수 있다. 저장부(214)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에 내장되거나 또는 장착가능한 자기디스크, 메모리카드, 광디스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레이다 센서(100')는 물체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추정하면서 물체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고, 물체의 거리가 기 설정된 침입 거리 이내인 경우 물체의 침입으로 판단하고(S609), 물체의 침입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610). 또한, 레이다 센서(100')는 알람 신호를 카메라(300')와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로 전송한다(S611).
제어부(213)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가 감시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신호 처리부(212)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이후 카메라(300')로부터 신호 처리부(212)로 수신되는 감시 영상과 위치 정보를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부(214)에 저장한다(S612). 다른 예로서, 제어부(213)는 카메라(300')가 대기 모드에서 감시 모드로 전환된 후부터 감시 영상과 위치 정보를 저장부(214)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일정한 주기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3)는 원격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 처리부(217)를 통해 검색 조건과 함께 영상 요청이 수신되면(S613), 검색 조건에 맞춰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고(S614), 검색된 영상을 네트워크 처리부(217)를 통해 원격의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한다(S615).
사용자 단말(400)에는 저장부(214)의 영상 DB에 저장된 다양한 영상을 검색할 수 있는 영상 검색 메뉴 화면이 제공된다. 이때, 메뉴 화면은 사용자가 직접 검색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거나, 검색 메뉴 화면에 미리 정해진 검색 조건을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에 접속한 자신의 단말장치의 입력 장치를 통해 영상 검색 메뉴 화면에서 검색을 원하는 영역을 선택한다.
제어부(213)는 검색 조건이 위치 정보와 관련된 경우, 위치 정보를 저장부(214)의 DB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위치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감시 영상을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213)는 검색된 감시 영상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리스트를 보면서 원하는 감시 영상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영상 리스트는 시간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영상 리스트에서 원하는 시간의 감시 영상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13)는 검색 조건이 위치 정보 외, 예를 들어, 시간, 물체의 종류 등인 경우, 해당 검색 조건에 따라 영상을 검색하여 출력한다.
네트워크 처리부(217)는 검색된 영상을 원격의 사용자 단말(400)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의 사용자 단말(400)은 수신한 영상을 표시한다(S616). 원격의 사용자 단말(400)은 이동 단말(Mobile Phone), PC(Personal Computer), DVR 또는 NV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3)는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200')의 입력부(216)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영상 요청이 있는 경우, 입력된 검색 조건을 기초로 저장부(214)로부터 해당 영상을 검색 및 선택하여 표시부(215)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3)는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저장부(214)에 저장된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표시부(215)는 신호 처리부(21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또는 입력부(216)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생성된 메뉴 항목 등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입력부(216)를 통해 영상을 요청하는 경우, 표시부(215)는 물체의 종류 및 위치, 시간 등을 사용자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선택하기 위한 검색 메뉴 항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15)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부(21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P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215)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입력부(216)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16)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예를 들어 원격제어 가능한 유/무선 리모컨을 통해, 또는 표시부(215)에 일체로 구비된 메뉴 버튼을 통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216)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표시부(215)의 디스플레이 화면 자체에 표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또는 트랙볼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또는 손가락, 펜 또는 스타일러스 시스템과 같은 터치스크린 감도를 통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종래의 영상 저장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스템 대비하여, 안정적인 탐색 기술인 레이다 기술을 사용하여 물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영상 정보 저장 방식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레이다 센서에 의해 위험 지역으로 간주되는 영역에 물체가 침범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최적화된 NVR/DVR에의 영상 데이터 저장이 가능해지고, 시스템의 확장시에는 NVR/DVR을 사용하지 않는 클라우드 환경하의 데이터 저장이나 개인별 PC에의 영상 데이터 저장 양을 최소화하여 필요한 시점에의 효과적인 영상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은 레이다 센서와 연동함으로써 레이다 센서의 정보(물체의 종류, 물체의 위치 정보)를 감시 영상과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영상을 검색시 전체 영상에 대한 검색이 아닌, 레이다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고속 검색이 가능하다. 이때 레이다 센서 정보들 중 하나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영상의 고속 검색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벤트 검출을 위해 감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에 의해 도출된 복수의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들을 기초로 감시 영상을 검색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영상 검색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레이다 센서로부터 감시 영역에서 탐지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제1 트리거 신호로 하여 활성화되어 대기 모드에서 감시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감시 영역을 프리셋 방식으로 감시 중인 카메라의 감시 방향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 모드에서, 상기 레이다 센서로부터 상기 감시 영역에서 탐지된 물체의 침입 여부 판단 결과 침입으로 판단되어 생성된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알람 신호를 제2 트리거 신호로 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물체의 감시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감시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감시 영상을 각각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검색 조건에 의한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된 영상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영상 요청이 수신되면, 검색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7.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에 있어서,
    감시 영역을 프리셋 방식으로 감시 중인 카메라로부터 레이다 센서에 의해 상기 감시 영역에서 탐지된 물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물체의 감시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제1 트리거 신호로 하여 활성화되고, 상기 장치를 대기 모드에서 감시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 모드에서, 상기 레이다 센서로부터 상기 감시 영역에서 탐지된 물체의 침입 여부 판단 결과 침입으로 판단되어 생성된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알람 신호를 제2 트리거 신호로 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시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감시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검색 조건에 의한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된 영상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영상 요청이 수신되면, 검색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20089666A 2011-10-14 2012-08-16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101747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391199.6A CN103051868B (zh) 2011-10-14 2012-10-15 通过使用雷达存储和搜索图像的设备和方法
US13/651,498 US9055201B2 (en) 2011-10-14 2012-10-15 Apparatus and method of storing and searching for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535 2011-10-14
KR20110105535 2011-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697A KR20130040697A (ko) 2013-04-24
KR101747215B1 true KR101747215B1 (ko) 2017-06-15

Family

ID=4844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666A KR101747215B1 (ko) 2011-10-14 2012-08-16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87B1 (ko) * 2014-03-12 2016-02-03 금호마린테크(주)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41529B1 (ko) * 2019-07-24 2021-04-16 (주)한국아이티에스 구역 설정이 가능한 무인 복합 감시시스템
KR102317186B1 (ko) 2020-09-24 2021-10-26 (주)플레이오니 레이다 취약지역 자동검출 및 표시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N113542695B (zh) * 2021-07-27 2024-04-12 安徽云森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的物联网用区域监视系统
CN113573022B (zh) * 2021-07-27 2024-03-26 安徽云森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毫米波雷达和ptz云台的目标自动跟踪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5107A (ja) * 2010-02-15 2011-08-25 Let's Corporation 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5107A (ja) * 2010-02-15 2011-08-25 Let's Corporation 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697A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520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toring and searching for image
CN103048646B (zh) 基于雷达的监视系统和方法
KR101747215B1 (ko)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EP219696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streaming video data based on a triggering event
US7236176B2 (en) Surveillance management system
KR101743386B1 (ko) 비디오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5279898A (zh) 报警方法及装置
WO2018205844A1 (zh) 视频监控装置、监控服务器及系统
KR20120140518A (ko)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4947993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US201401125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212082B1 (ko) 영상인식장치 및 그 영상 감시방법
KR101290782B1 (ko) 지능적 다중 객체 추적 알고리즘 기반의 다중 ptz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40105612A (ko) 변화검출방법과 장치 및 그 방법 또는 장치를 사용한감시시스템
CN103209316A (zh) 影像监视系统
KR20160093253A (ko) 영상 기반 이상 흐름 감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46819B1 (ko) 소프트웨어 휀스에 의한 침입감시방법 및 침입감시시스템
JP2019180024A (ja) 監視装置
JP2012198802A (ja) 侵入物検出システム
WO2014119991A1 (en) Directing steerable camera with user bias tracking
JP7176868B2 (ja) 監視装置
JP6898826B2 (ja) 監視装置
JP2022098663A (ja) 監視システム、監視システムの異常検知検出方法、及び監視システムの異常検知検出プログラム
JP2019068182A (ja) 監視装置
KR20150012115A (ko) 이동형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