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750B1 -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750B1
KR101744750B1 KR1020157026404A KR20157026404A KR101744750B1 KR 101744750 B1 KR101744750 B1 KR 101744750B1 KR 1020157026404 A KR1020157026404 A KR 1020157026404A KR 20157026404 A KR20157026404 A KR 20157026404A KR 101744750 B1 KR101744750 B1 KR 101744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ser
invita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727A (ko
Inventor
신사쿠 이누카이
다이스케 사토
마사토 미야자키
겐시로 하나모토
히로유키 호소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42186A external-priority patent/JP56626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42183A external-priority patent/JP56626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42184A external-priority patent/JP56626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42185A external-priority patent/JP566260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4/05627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4156605A1/ja
Publication of KR2015012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5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finding other players; for building a team; for providing a buddy l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63F13/352Details of game servers involving special game server arrangements, e.g. regional servers connected to a national server or a plurality of servers managing partitions of the game worl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8Starting a game, e.g. activating a game device or waiting for other players to join a multiplayer s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7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data related to game devices or game servers, e.g. configuration data,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9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characterized by low level software layer, relating to hardware management, e.g.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수 있는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관리 장치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의,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를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초대 신청 수취부와, 초대 신청 수취부가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 중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초대 통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및 기억 매체{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의 회원에 대하여 제공되는 소셜 게임이 알려져 있다. 이 SNS는, 회원에 대하여 제공되는 소셜 게임의 포털 사이트로서도 기능하고 있어, SNS에서의 유저의 회원 정보와, 각각의 소셜 게임에 있어서의 유저의 유저 정보를 대응지어서 관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회원끼리는, 서로 어떤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음과 함께, 자신이 플레이하고 있어도 친구 관계에 있는 회원이 플레이하고 있지 않은 게임이 있는 경우에는, SNS를 통해서 그 회원에게 당해 게임을 플레이하도록 초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SNS의 회원에 대하여 제공되는 소셜 게임이 아니라, SNS의 회원이 아니어도 이용할 수 있는 소셜 게임(이하, 독립형 소셜 게임이라고 함)이 있다. 이 독립형 소셜 게임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판매하는 스토어 사이트나 각 애플리케이션의 전용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해서 유저 단말기에 인스톨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소위 네이티브형의 애플리케이션이다.
이러한 네이티브형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유저가 이용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른 유저를 초대하는 경우, 소셜 미디어나 메일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행하여지고 있었다. 이 방법에서는, 초대하는 유저의 유저 ID를 통지(초대 통지)하고, 초대를 받는 유저가, 초대를 받은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할 때 초대자의 유저 ID를 입력함으로써, 초대하는 유저와 초대를 받는 유저를 링크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런데,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는, 초대하고 싶은 유저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는지도 불분명하고, 메일 어드레스를 모르는 경우도 있다. 애당초,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는, 반드시 현실 사회에서 친구 관계에 있다고는 할 수 없으며,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알려져 있는 유저명(닉네임)과, 현실 사회에서 이용되고 있는 소셜 미디어나 메일에서의 유저명(어카운트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서는 초대하고 싶은 유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초대 통지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초대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초대를 받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이에서, 유저를 초대할 수 있는 구조가 요망되고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유저의 유저 정보를 독자적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간에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다. 그 때문에,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수 있는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편의적으로 괄호 쓰기로 부기하지만,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이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초대 신청 수취부(233)와,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가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 중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초대 통지부(2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2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가,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와 관련지어서 취득하고,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가 관련지어서 취득한 상기 초대 신청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를 관련지어서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관리하는 초대 신청 관리부(2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가,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저에 대응한 정보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와 관련지어서 취득하고, 상기 초대 신청 관리부가,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가 관련지어서 취득한 상기 초대 신청 정보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저에 대응한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를 관련지어서 상기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저에 대응한 정보는,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직접적 또는 당해 단말 장치의 기억부(140)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취득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의 유무를 조회하는 신청 조회부(235)를 구비하고, 상기 초대 통지부가, 상기 신청 조회부가 조회한 결과,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상기 초대 신청 정보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가,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와 관련지어서 취득하고,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가 관련지어서 취득한 상기 초대 신청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를 관련지어서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관리하는 초대 신청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청 조회부가,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기 신청 조회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수취하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와, 상기 초대 성립 수취부가 수취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초대 성립 처리부(2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성립 처리부가, 상기 소정의 처리로서, 상기 초대 성립 수취부가 수취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통지하는 초대 완료 통지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성립 처리부가, 상기 초대 성립 수취부가 수취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저에게 보수가 부여되도록, 적어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저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초대 완료 통지 정보로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는 상기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관련지어져 있고, 당해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직접적 또는 당해 단말 장치의 기억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취득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는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2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초대 신청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애플리케이션과, 당해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조합으로 한 초대 금지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고 있는 상기 초대 금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고 있는 초대 금지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초대 금지 정보가 나타내는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고 있는 상기 초대 금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고 있는 초대 금지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초대 금지 정보가 나타내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초대 신청 정보 또는 상기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와 통신,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송수신부(2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를 통해서 통신 세션을 확립시킨 후에,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는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송신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와,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가 송신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 기동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하는 초대 신청 수취부와,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신청 기록을 관리하는 초대 신청 관리부와,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하는 신청 조회부와, 상기 신청 조회부가 조회한 결과,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초대 통지부와,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수취하는 초대 성립 수취부와, 상기 초대 성립 수취부가 수취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초대 성립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는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 상기 초대 신청 정보, 상기 초대 통지 정보, 또는 상기 초대 성립 정보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와 통신,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를 통해서 통신 세션을 확립시킨 후에,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리 장치의 관리 방법이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갖고, 상기 제어 스텝이, 상기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 중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리 장치의 관리 방법이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갖고, 상기 제어 스텝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스텝과,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 기동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신청 기록을 관리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하는 스텝과, 상기 조회한 결과,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수취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 중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스텝과,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 기동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신청 기록을 관리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하는 스텝과, 상기 조회한 결과,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수취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소정 관계 유저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소정 관계 유저 정보에 포함되는 유저 중,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하는 추출부(239)와,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초대 후보 유저 통지부(240)와,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에 나타나는 유저 중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초대 신청 수취부(233)와,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초대 통지부(2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2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가,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한 적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가,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이 성립되어 있는 당해 초대 신청이 된 적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가,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이 된 적이 있는 유저이며, 당해 초대 신청이 성립되지 않은 초대 신청 중인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가,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각하한 적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를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당해 정보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유저의 재초대를 허가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서 관리하고, 상기 추출부가,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유저의 재초대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각하한 적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가,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각하한 유저라도, 당해 초대 신청과 상이한 제1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인 경우에는 당해 유저를 추출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가,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1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유저와, 당해 설정측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유저를 조합으로 한 제1 금지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추출부가,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고 있는 상기 제1 금지 정보 중, 상기 제1 유저를 상기 피 설정측 유저로 설정하고 있는 제1 금지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제1 금지 정보가 나타내는 설정측 유저를, 상기 제1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로서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가,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유저와, 당해 설정측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조합으로 한 제2 금지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추출부가,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고 있는 상기 제2 금지 정보 중,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고 있는 제2 금지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제2 금지 정보가 나타내는 설정측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로서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리 장치의 관리 방법이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갖고, 상기 제어 스텝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소정 관계 유저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소정 관계 유저 정보에 포함되는 유저 중,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추출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에 나타나는 유저 중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소정 관계 유저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소정 관계 유저 정보에 포함되는 유저 중,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추출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에 나타나는 유저 중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제1 조작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부(168)와, 상기 제1 표시 제어부가 표시시킨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제2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2 애플리케이션을 특정 모드로 해서 기동시키는 기동부(162)와, 상기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인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관리 장치(200)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정보를 취득하는 초대 후보 유저 정보 취득부(163)와,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 중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유저에 대응한 제2 유저 정보가 관련지어진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초대 신청 통지부(164)와,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가 상기 제2 유저 정보가 되는 상기 초대 신청 정보가 상기 관리 장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초대 통지 취득부(167)와, 상기 초대 통지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2 표시 제어부(168)와, 상기 제2 표시 제어부가 표시시킨 상기 초대 정보에 대한 제3 조작에 기초하여, 당해 초대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시키는 화면 천이부(169)를 구비하는 단말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표시 제어부가 표시시킨 상기 초대 정보 중 상기 제3 조작이 이루어진 상기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관련지어진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자 단말 장치의 기억부(140)에 기억시키는 초대 정보 관리부(170)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자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부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관련지어진 적어도 일부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한 초대 성립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초대 성립 통지부(17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가 상기 제2 유저 정보가 되는 상기 초대 신청 정보의 유무를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하여 조회하는 조회부(166)를 구비하고, 상기 초대 통지 취득부가, 상기 조회부가 조회한 결과,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가 상기 제2 유저 정보가 되는 상기 초대 신청 정보가 상기 관리 장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취득부(16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표시 제어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제어부가, 자 단말 장치가 구비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하고, 검출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 취득부가, 상기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인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소정 관계 유저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통지함과 함께, 통지한 상기 소정 관계 유저 정보로부터 소정의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된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해서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통지부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자 유저에 대응한 제1 유저 정보, 및 상기 제2 유저 정보가 관련지어진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통지부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가 또한 관련지어진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초대 신청 통지부가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송신한 후에, 상기 특정 모드에서 기동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특정 모드 종료부(16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 상기 초대 신청 정보, 또는 상기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를 통해서 상기 관리 장치와 통신,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관리 장치와 통신하는 송수신부(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를 통해서 통신 세션을 확립시킨 후에, 직접적으로 상기 관리 장치와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제어부의 기능과, 상기 기동부의 기능과,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 취득부의 기능과, 상기 초대 신청 통지부의 기능과, 상기 초대 통지 취득부의 기능과, 상기 제2 표시 제어부의 기능과, 상기 화면 천이부의 기능이, 상기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내장된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상기 제1 표시 제어부의 기능과, 상기 기동부의 기능과,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 취득부의 기능과, 상기 초대 신청 통지부의 기능과, 상기 초대 통지 취득부의 기능과, 상기 제2 표시 제어부의 기능과, 상기 화면 천이부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제1 조작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표시시킨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제2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2 애플리케이션을 특정 모드로 해서 기동시키는 스텝과, 상기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인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 중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유저에 대응한 제2 유저 정보가 관련지어진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과,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가 상기 제2 유저 정보가 되는 상기 초대 신청 정보가 상기 관리 장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표시시킨 상기 초대 정보에 대한 제3 조작에 기초하여, 당해 초대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컴퓨터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제1 조작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표시시킨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제2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2 애플리케이션을 특정 모드로 해서 기동시키는 스텝과, 상기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인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 중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유저에 대응한 제2 유저 정보가 관련지어진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과,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가 상기 제2 유저 정보가 되는 상기 초대 신청 정보가 상기 관리 장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표시시킨 상기 초대 정보에 대한 제3 조작에 기초하여, 당해 초대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시키는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내장되는 프로그램이며, 컴퓨터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제1 조작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표시시킨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제2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2 애플리케이션을 특정 모드로 해서 기동시키는 스텝과, 상기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인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 중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유저에 대응한 제2 유저 정보가 관련지어진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과,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가 상기 제2 유저 정보가 되는 상기 초대 신청 정보가 상기 관리 장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표시시킨 상기 초대 정보에 대한 제3 조작에 기초하여, 당해 초대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시키는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키는 기동부(162)와,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유저 정보 취득부(163)와, 상기 유저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유저 중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유저를 당해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장치(200)에 대하여 송신하는 초대 신청 통지부(1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1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가, 타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된 상기 초대 신청 정보 중, 상기 초대되는 유저가 자 유저가 되는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초대 통지 취득부(167)와, 상기 초대 통지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시키는 제2 표시 제어부(16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표시 제어부가 표시시킨 상기 초대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이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고, 또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초대 정보에 대응한 초대 성립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초대 성립 통지부(17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통지부가, 상기 초대되는 유저의 식별 정보가 관련지어진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초대 통지 취득부가, 타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된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초대되는 유저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된 유저가 자 유저가 되는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통지부가,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자 유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초대되는 유저의 식별 정보가 관련지어진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통지부가,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자 유저의 식별 정보가 또한 관련지어진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통지부가,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가 또한 관련지어진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기능이,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자 유저의 식별 정보를 당해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기능이,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자 유저의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통지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가,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취득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부(16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유저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3 표시 제어부(16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표시 제어부가, 취득한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정보의 표시 화면을,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던 표시 화면으로부터 전환되도록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표시 제어부가, 상기 초대 신청 통지부가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한 후,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킨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정보의 표시 화면의 표시를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동부의 기능과, 상기 유저 정보 취득부의 기능과, 상기 초대 신청 통지부의 기능이, 상기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의 프로그램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내장된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상기 기동부의 기능이 실현되고, 상기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내장된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상기 유저 정보 취득부의 기능과, 상기 초대 신청 통지부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키는 스텝과,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유저 중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유저를 당해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컴퓨터에,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키는 스텝과,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유저 중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유저를 당해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내장되는 프로그램이며, 컴퓨터에,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키는 스텝과,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자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유저 중 상기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유저를 당해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 리스트 중,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하는 초대 후보를 소정의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하기 때문에,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유저 단말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상호 초대 시스템의 구성 및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초대 처리에서의 유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저 단말기의 SDK에 기초하여 실행하는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관리 서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초대 처리의 동작의 제1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초대 처리의 동작의 제2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관리 서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상호 초대 거부 설정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초대 처리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관리 서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해서 필터링하는 처리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해서 필터링하는 처리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해서 필터링하는 처리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해서 필터링하는 처리의 제4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해서 필터링하는 처리의 제5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통신 세션의 확립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상호 초대 시스템의 개요〕
먼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상호 초대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한다. 이 상호 초대 시스템은, 서로 상이한 종류의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는 유저의 유저 단말기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당해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다른 유저의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시키도록 초대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의 회원에 대하여 제공되는 소셜 게임에서는, 각각의 소셜 게임에 있어서의 유저의 유저 정보와 SNS에서의 유저의 회원 정보가 대응지어져서 관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회원끼리는, 이 회원 정보를 사용한 대응짓기에 의해, 서로 어떤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음과 함께, 자신이 플레이하고 있어도 친구 관계에 있는 회원이 플레이하고 있지 않은 게임이 있는 경우에는, SNS를 통해서 그 회원에게 당해 게임을 플레이하도록 초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SNS의 회원에 대하여 제공되는 소셜 게임이 아니라, SNS의 회원이 아니어도 이용할 수 있는 소셜 게임(이하, 독립형 소셜 게임이라고도 함)이 있다. 이 독립형 소셜 게임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판매하는 스토어 사이트나 각 애플리케이션의 전용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해서 유저 단말기에 인스톨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소위 네이티브형의 애플리케이션이다.
그러나, 이러한 네이티브형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유저의 유저 정보를 독자적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간에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다. 그 때문에,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리성이 높은 애플리케이션간의 상호 초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톨이란, 유저 단말기에 도입되어 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을 신규로 도입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호 초대 시스템에 대응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갱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유저 단말기에 탑재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호 초대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한 갱신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서 갱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상호 초대 시스템을 실현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네트워크 시스템(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네트워크 시스템(1)은, 복수의 유저 단말기(100-N)(N은 양의 정수. 유저 단말기(100-1), 유저 단말기(100-2), …)와, 관리 서버(200)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애플리케이션 서버(310), 애플리케이션 서버(320), …)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400)의 컴퓨터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이 컴퓨터 장치는 네트워크(NW)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여기서, 복수의 유저 단말기(100-N)는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1」, 「-2」 등의 기재를 생략하고 유저 단말기(100)로서 설명한다.
관리 서버(200)는, 본 실시 형태의 상호 초대 시스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함과 함께, 유저 단말기(100)와 통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간의 초대 정보의 관리나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관리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관리 서버(200)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다른 유저의,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시키는 초대 처리를 제어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이다. 여기에서는,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게임인 경우를 예로 들어, 게임 A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와, 게임 B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가, 네트워크(NW)를 통해서 유저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시스템(1)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320)에 한하지 않고,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서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에 대응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는 애플리케이션이란,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이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됨으로써, 인스톨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유저 단말기(100)가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예를 들어, 게임의 처리)를 행하는, 소위 네이티브형의 애플리케이션이다. 유저 단말기(100)는,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에 대응한 유저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하거나, 게임의 플레이 중에 필요한 정보나 게임에 있어서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취득하거나 한다.
애플리케이션 스토어(400)는,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가능한 스토어 사이트(다운로드 서비스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이다. 유저는, 자신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네트워크(NW)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400)에 접속해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유료 또는 무료로 구입함으로써, 구입한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유저 단말기(100)에 다운로드해서 인스톨할 수 있다.
유저 단말기(100)는, 유저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 장치이며, 예를 들어,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통신 기능을 구비한 게임기 등이 사용된다. 여기에서는, 유저 단말기(100)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저 단말기(1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기(100)는, 입력부(110)와, 표시부(120)와, 단말기 통신부(130)와, 단말기 기억부(140)와, 단말기 제어부(150)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부(110)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에 따라서 유저의 지시를 접수하고, 지시 내용에 따른 입력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입력 디바이스이다. 입력부(110)에는, 예를 들어, 키보드나 버튼, 터치 패널,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화상이나 문자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입력부(110)와 표시부(120)는 일체로 구성되어서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터치 패널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
단말기 통신부(130)는, 네트워크(NW)를 통해서 관리 서버(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와 통신한다.
단말기 기억부(14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ROM, HDD(Hard Disk Drive) 등의 기록 매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해서 구성되고, 유저 단말기(100)가 구비하는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150)에 기본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각종 정보 등을 기억한다.
단말기 제어부(150)는, 유저 단말기(100)의 제어 중추로서 기능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유저 단말기(100)가 구비하는 각 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150)는, 단말기 기억부(140)에 기억되어 있는 OS에 기초하는 기본 동작의 처리를 실행함과 함께,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게임의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150)는, OS상에서 동작 가능한 각종 애플리케이션(Web 브라우저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400)가 제공하는 스토어 사이트의 스토어 페이지를 표시시키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기능을 OS를 통해서 실행하는 처리를 행한다.
네트워크(NW)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망,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망, VPN(Virtual Private Network)망, 전용 통신 회선망, WAN(Wide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 교환 전화망) 등,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정보 통신 네트워크이다.
〔상호 초대 시스템의 구성 및 처리〕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상호 초대 시스템의 구성 및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의 상호 초대 시스템의 구성 및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 1의 각 부와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여기서, 유저 X의 유저 단말기(100)를 유저 단말기(100-1)로 하고,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를 유저 단말기(100-2)로 한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 가능한 게임 A와 게임 B는 상호 초대 시스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유저 단말기(100-1)에는 게임 A와 게임 B가 인스톨되어 있고, 유저 단말기(100-2)에는 게임 B가 인스톨되어 있는(게임 A는 인스톨되어 있지 않음) 것으로 한다. 또한, 유저 X와 유저 Y는, 게임 B에서 친구 관계에 있다고 하자.
이 도면은, 유저 X(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1)의 게임 A로부터, 게임 B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 Y(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2)에 대하여 게임 A를 인스톨시키도록 초대 신청하는 초대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이 초대 처리는, 유저 X(초대 유저)가 플레이하고 있는 초대 신청원의 애플리케이션(이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함)인 게임 A에, 초대 신청처의 애플리케이션(이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함)인 게임 B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 Y(피 초대 유저)를 초대하는 처리이다. 또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은, 초대 처리가 행하여지기 이전에는 각각 신청원과 신청처로 되어 있지 않지만, 편의상, 각각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게임 A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이며 게임 B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인 경우의 예를 설명하지만, 게임 B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이 되고 게임 A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될 수도 있다. 상호 초대 시스템에서의 「상호 초대」란, 각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있어서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애플리케이션간에 서로 초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에서는, 유저 단말기(100-1)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유저 단말기(100-2)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인스톨되어 있고,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이 처음에는 인스톨되어 있지 않고, 유저 X로부터의 초대 신청에 기초해서 인스톨되는 것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은, 게임 A를 플레이하는 유저에 대응한 유저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에 송신하거나, 게임 A의 플레이 중에 필요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로부터 취득하거나 한다. 마찬가지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은, 게임 B를 플레이하는 유저에 대응한 유저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에 송신하거나, 게임 B의 플레이 중에 필요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로부터 취득하거나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상호 초대 시스템에서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은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서의 유저 리스트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와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는, 각각의 유저의 유저 정보를 독자적인 형식에 의해 관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유저 정보에는 호환성이 없다. 여기서, 이 유저 정보란, 예를 들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유저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식별 정보이며, 애플리케이션마다 독자적으로 관리되는 식별 정보(이하, 「유저 ID」라고 함)이다. 또한, 유저 ID는, 유저를 파악할 수 없는 불가시화 정보(내부 정보)여도 된다. 또한, 유저 ID와 유저 자신이 등록한 유저명이 관련지어져서 유저 정보로서 등록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상호 초대 시스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는, 초대 처리용의 소프트웨어(이하, SDK(Software Development Kit)(11)라고 함)가 내장되어 있다. 이 SDK(11)는,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된 상호 초대 시스템에 대응하는 각 애플리케이션과 관리 서버(200)를 중개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는 SDK(11A)가 내장되고,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는 SDK(11B)가 내장되어 있다. SDK(11A)와 SDK(11B) 각각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각각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필요한 기능이 실행된다. 또한, 상호 초대 시스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 중 어느 쪽이든 될 수 있으므로, SDK(11A)와 SDK(11B)의 양쪽의 구성을 구비한 SDK(11)가 내장되어 있다.
즉, 상술한 SDK(11)를 내장 가능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은, 본 실시 형태의 상호 초대 시스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된다. 또한, 상술한 SDK(11)가 미리 내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가능하게 제공되어도 되고,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나중에 내장 가능한 SDK(11)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호 초대 시스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중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만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SDK(11B)만이 내장되어 있도록 해도 되고, SDK(11)를 내장해서 SDK(11A)를 기능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이 종료되는 것이 결정되어서 새로운 유저의 등록을 접수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호 초대 시스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중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만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SDK(11A)만이 내장되어 있도록 해도 되고, SDK(11)를 내장해서 SDK(11B)를 기능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들 경우에는 「상호 초대」가 아니라 「일방향 초대」가 된다. 즉, 상호 초대 시스템은 「상호 초대」와 「일방향 초대」 중 어느 한쪽에만 대응시키거나,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상호 초대」와 「일방향 초대」 중 어느 하나를 대응시키거나 할 수 있다.
상술한 SDK(11)(이 도면에서는 SDK(11A), SDK(11B))와 관리 서버(200)를 구비한 구성이 본 실시 형태의 상호 초대 시스템의 주요한 구성이며(부호 500 참조), 이하, 상호 초대 시스템(500)과 부호를 붙여서 기술한다. 또한, 이하의 기술에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대응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ID」라고 칭한다.
관리 서버(200)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된 SDK(11)와 통신함으로써, 초대 처리를 제어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0)와, 기억부(220)와, 제어부(230)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NW)를 통해서 유저 단말기(100),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와 통신한다. 기억부(220)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초대 신청에 관한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제어부(230)는, 유저 단말기(1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와의 초대 처리에 관한 정보의 수수나 초대 처리의 제어를 행한다.
계속해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있어서의 초대 처리의 개략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유저 X의 유저 단말기(100-1)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인스톨되어 있다. 한편,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2)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인스톨되어 있는(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은 인스톨되어 있지 않음) 것으로 한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에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서 처음으로 실행(기동)했을 때, 예를 들어, 대응 애플리케이션 본체로부터 SDK(11)에,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 및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자 유저의 유저 ID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1)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관리 서버에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
초대 유저인 유저 X의 유저 단말기(100-1)에 인스톨되어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SDK(11A)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제1 조작(유저 X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REQ11). 여기서, 상술한 제1 조작이란, 피 초대 유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이 가능한(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서 선택 가능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취득하기 위한, 예를 들어 입력부(110)에 대한 조작이다.
관리 서버(200)는, 유저 단말기(100-1)(SDK(11A))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를 취득하면, 피 초대 유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초대 신청이 가능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유저 X의 유저 단말기(100-1)(SDK(11A))에 대하여 송신한다(RES11). 유저 단말기(100-1)(SDK(11A))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취득하면,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1)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2)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프렌드 일람 표시(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
유저 단말기(100-1)의 표시부(120)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유저 X의 제2 조작에 의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초대하고 싶은 유저가 등록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된다. 여기서, 상술한 제2 조작이란, 표시부(120)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예를 들어 입력부(110)에 대한 조작이다.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포함되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여기서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가 선택되면, 유저 단말기(100-1)(SDK(11A))는 선택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킨다.
여기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에는, 「통상 모드의 기동」과 「특정 모드의 기동」이 있다. 「통상 모드의 기동」이란,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예를 들어, 게임을 플레이)할 목적에서의 기동이며, 「특정 모드에서의 기동」란,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갖는 기능 중 특정한 기능을 호출하는(실행하는) 형식의 기동이다. 예를 들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한 경우,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은 자신이 갖는 기능 중 특정한 기능을 실행하는 특정 모드에서의 동작 상태로 이행한다. 여기에서의 특정한 기능이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 초대 유저(유저 X)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에 대응하는 프렌드 일람을 유저 단말기(100-1)의 표시부(120)에 표시시키는 기능이다.
또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의 일례로서, 비동작 상태(Not running)와, 어떠한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동작 상태(Active)와, 어떠한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만 화면에 비표시로 하는 백그라운드 상태(BackGround)와, 어떤 처리도 실행하지 않고 중단하고 있는 서스펜드 상태(Suspended)가 있다. 여기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란, 비동작 상태(Not running), 서스펜드 상태(Suspended), 또는 서스펜드 상태(Suspended)에서 동작 상태(Active)로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종료」란, 동작 상태(Active)에서, 비동작 상태(Not running), 서스펜드 상태(Suspended), 또는 서스펜드 상태(Suspended)로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한다는 것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을 특정 모드의 동작 상태(Active)로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은 통상 모드의 동작 상태(Active)에서, 비동작 상태(Not running), 서스펜드 상태(Suspended), 또는 서스펜드 상태(Suspended)로 이행한다. 또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특정 모드의 동작이 종료된다는 것은, 특정 모드의 동작 상태(Active)에 있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을, 비동작 상태(Not running), 서스펜드 상태(Suspended), 또는 서스펜드 상태(Suspended)로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동작 상태로 될 수 있는 경우에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란, 예를 들어,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화면의 최전면에 표시되거나 하여, 유저에 대해 조작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유저 단말기(100-1)에 있어서, 특정 모드에서 기동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 유저 X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에 문의해서 취득한다. 그리고, 유저 단말기(100-1)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SDK(11B)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취득한 유저 리스트에 대응하는 프렌드 일람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3)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관리 서버에 초대 신청(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
유저 단말기(100-1)의 표시부(120)에 표시된 프렌드 일람 중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초대되는 피 초대 유저인 유저 Y를 초대 유저인 유저 X가 선택하면, 유저 단말기(100-1)(SDK(11B))는, 선택된 유저 Y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REQ13). 이때 피 초대 유저가 복수 선택되어도 된다. 복수의 피 초대 유저가 선택된 경우에는, 유저 단말기(100-1)(SDK(11B))는, 각각의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관리 서버(200)는, 유저 단말기(100-1)(SDK(11B))로부터 송신된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하면,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의 기록을 기억부(220)에 기억시켜서 관리한다.
(4)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관리 서버에 신청 조회(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
피 초대 유저인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2)에 인스톨되어 있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SDK(11B)는, 관리 서버(200)에 관리되어 있는 초대 신청 정보 중에 피 초대 유저가 유저 Y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소정의 타이밍(기동시나 기동 중인 소정의 시간 간격 등)에서 조회한다(REQ21). 피 초대 유저가 유저 Y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가 관리 서버(200)에 관리되어 있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유저 단말기(100-2)(SDK(11B))로부터의 상술한 조회에 따라,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유저 단말기(100-2)(SDK(11B))에 대하여 송신한다(RES21). 유저 단말기(100-2)(SDK(11B))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초대 통지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2)(SDK(11B))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초대 통지 정보를 취득한 경우,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기동 화면이나 소정의 화면에 초대 통지 정보를 취득한 것을 나타내는 초대 통지의 표시를 행한다. 이에 의해, 유저 X가 유저 Y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초대하는 초대 신청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을 통해서 유저 Y에게 통지된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2)(SDK(11B))는, 취득한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초대 신청의 내용을 나타내는 초대 정보(초대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나타내는 정보 등)를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5)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톨(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
피 초대 유저인 유저 Y는, 통지된 초대 신청의 승낙도 거부도 가능하다. 또한, 통지된 초대 신청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이 이미 유저 단말기(100-2)에 인스톨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저 단말기(100-2)(SDK(11B))는 그 취지를 표시부(120)에 표시시켜도 된다.
통지된 초대 신청을 유저 Y가 승낙한 경우, 유저 단말기(100-2)(SDK(11B))는, 승낙한 초대 신청에 대응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단말기 기억부(140)에 기억시킨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2)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400)로부터 제공되는 스토어 사이트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다운로드 가능한 스토어 페이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유저 Y는, 이 스토어 페이지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유저 단말기(100-2)에 다운로드해서 인스톨한다. 유저 단말기(100-2)에 인스톨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이 유저 Y의 조작에 의해 기동하면,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SDK(11A)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SDK(11B)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해서 단말기 기억부(140)에 기억시킨 초대 통지 정보를 취득한다. 이 초대 통지 정보의 유무에 의해, 상기 초대 신청에 기초해서 인스톨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6)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관리 서버에 초대 성립 통지(피 초대 유저 단말기)
상기 초대 신청에 기초하여 유저 단말기(100-2)에 인스톨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유저 Y가 기동한 것이나, 플레이를 개시해서 미리 설정된 성과 지점에 도달한 것에 기초하여, 유저 단말기(100-2)(SDK(11A))는, 이 초대 신청에 의한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REQ22). 여기서, 상술한 성과 지점이란, 어느 정도 게임 A가 진행된(플레이된) 지점이며, 튜토리얼의 종료, 또는 게임 진행에 있어서의 소정의 스테이지의 종료나 소정의 포인트의 획득 등 애플리케이션측에서 임의로 설정 가능한 성과 지점이다.
(7) 관리 서버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초대 완료 통지
관리 서버(200)는, 유저 단말기(100-2)(SDK(11A))로부터 송신된 초대 성립 정보를 수취하면, 이 초대 신청에 의한 초대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완료 통지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에 대하여 송신한다(REQ23).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초대 완료 통지 정보를 수취하면, 초대가 완료(성립)됨으로 인한 소정의 보수(예를 들어, 인센티브)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유저 X에 대하여 부여한다. 이 소정의 보수는,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통화나 아이템이다.
이러한 처리의 흐름에 의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의 초대 신청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을 통해서 행하여진다. 여기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있어서는, 피 초대 유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초대 유저와 피 초대 유저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을 통해서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서는,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서는, 관리 서버(200)가 상술한 초대 신청 정보의 기록(초대 신청 기록)을 관리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간에 유저 정보가 상이한 경우의 초대 처리를 관리하기 때문에, SNS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마다 독자적인 유저 정보를 링크하여 관리하는 것과는 상이하다. 따라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서는, SNS와 같은 회원 ID에 의한 SNS 서버에의 로그인 조작이 불필요해서, 유저는 관리 서버(200)의 존재를 의식할 필요없이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간에 유저를 초대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초대 처리에 있어서의 유저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 예〕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있어서의 초대 처리에 있어서, 유저 단말기(100)의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4는, 초대 처리에 있어서의 유저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a), (b), (c), (d)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은, 초대 처리의 과정(도 3의 (1) 내지 (3)의 처리의 과정)에서 초대 유저인 유저 X의 유저 단말기(100-1)의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호 (e), (f)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은, 초대 처리의 과정(도 3의 (4) 내지 (5)의 처리의 과정)에서 피 초대 유저인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2)의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부호 120a의 영역이 초대 처리에 관한 표시 화면의 전체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호 120a의 영역에는, 타이틀 등이 표시되는 부호 120b의 영역과, 그 타이틀에 대응하는 콘텐츠 등이 표시되는 부호 120c의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먼저, 초대 유저인 유저 X의 유저 단말기(100-1)의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a)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초대 화면의 예이다(도 3의 (1)의 처리에서 표시되는 표시 화면 예). 부호 120b의 영역에는,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타이틀(여기서는, 「게임 A」)이 표시된다. 부호 120c의 영역에는, 다른 게임의 친구를 초대하는 초대 처리를 개시하는 「초대 버튼」(K1)이 표시된다. 이 「초대 버튼」(K1)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를 유저 단말기(100-1)(SDK(11A))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시키기 위한 조작자로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유저 X가 이 「초대 버튼」(K1)에 대하여 조작(제1 조작)함으로써, 유저 단말기(100-1)(SDK(11A))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도 3의 (1)의 REQ11).
(b)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응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일람 표시 화면(애플리케이션 일람 화면)의 예이다(도 3의 (1)의 처리에서 표시되는 표시 화면 예). 상술한 「초대 버튼」(K1)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유저 단말기(100-1)(SDK(11A))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취득하면(도 3의 (1)의 RES11),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1)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애플리케이션 일람 화면으로서, 초대 화면으로부터 전환해서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부호 120b의 영역에는, 이 표시 화면의 타이틀로서 「애플리케이션 일람」이 표시된다. 부호 120c의 영역에는, 초대 신청이 가능(피 초대 유저를 선택 가능)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가 나란히 표시된다. 여기서, 이 부호 120c에 표시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 각각은, 유저 X로부터의 조작(제2 조작)에 따라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가능한 조작자로서 표시된다. 또한, 부호 120b의 영역에는, 하나 앞의 표시 화면으로 복귀되는 조작자로서 「복귀 버튼」(K2)이 표시된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1)(SDK(11A))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 이외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유저 단말기(100-1)에 인스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취지를 통지하는 메시지 또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하는 정보 등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c)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은, 프렌드 일람이 표시된 표시 화면(프렌드 일람 화면)의 예이다(도 3의 (2)의 처리에서 표시되는 표시 화면 예). (b)에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일람 화면으로부터 유저 X의 조작(제2 조작)에 의해 선택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특정 모드에서 기동하면, 유저 단말기(100-1)(SDK(11B))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 유저 X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에 대응하는 프렌드 일람이 표시된 프렌드 일람 화면을,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인 애플리케이션 일람 화면으로 전환해서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부호 120b의 영역에는, 이 표시 화면의 타이틀로서 「게임 B의 프렌드 일람」이 표시된다. 부호 120c의 영역에는, 피 초대 유저로서 선택 가능한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가 나란히 표시된다. 여기서, 이 부호 120c에 표시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 각각은, 유저 X로부터의 조작에 따라서 피 초대 유저를 선택 가능한 조작자로서 표시된다. 또한, 이 프렌드 일람 화면에 있어서 피 초대 유저를 복수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 각각에 대응해서 표시되는 체크 박스의 온과 오프(체크 있음과 체크 없음)를 전환함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의 유저를 피 초대 유저로서 선택 가능하다. 부호 120b의 영역에는, 부호 120c의 영역에서 선택된 유저를 결정(선택 확정)하는 조작자로서 「결정 버튼」(K3)이 표시된다. 또한, 부호 120b의 영역에는, 하나 앞의 표시 화면으로 복귀되는 조작자로서 「복귀 버튼」(K2)이 표시된다.
유저 단말기(100-1)(SDK(11B))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 유저 X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가 없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통지하는 메시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d)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은,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표시 화면(초대 신청 완료 화면)의 예이다(도 3의 (3)의 처리에서 표시되는 표시 화면 예). 유저 단말기(100-1)(SDK(11B))는, (c)에 나타내는 프렌드 일람 화면으로부터 유저 X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된 유저(여기서는, 유저 Y)를 피 초대 유저로서, 유저 Y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하면(도 3의 (3)의 REQ13), 프렌드 일람 화면으로부터 전환해서 이 초대 신청 완료 화면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부호 120b의 영역에는, 이 표시 화면의 타이틀로서 「초대 신청 완료」가 표시된다. 부호 120c의 영역에는, 유저 X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초대 처리를 종료하는 조작자로서 「종료 버튼」(K4)과, 초대 처리를 계속하는 조작자로서 「계속 버튼」(K5)이 표시된다.
「계속 버튼」(K5)에 대하여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유저 단말기(100-1)(SDK(11B))는, 예를 들어, (c)에 나타내는 프렌드 일람 화면으로 표시를 전환한다. 한편, 「종료 버튼」(K4)에 대하여 조작이 이루어지면, 유저 단말기(100-1)(SDK(11B))는, 초대 신청 완료 화면의 표시를 종료함과 함께 특정 모드의 동작을 종료한다. 그리고, 표시부(120)의 표시 화면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초대 화면의 표시로 복귀된다.
여기서, 상술한 (a)에 나타내는 초대 화면, 및 (b)에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일람 화면은, 유저 단말기(100-1)(SDK(11A))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통상 모드의 동작에 있어서 표시하는 표시 화면이다. 한편, 상술한 (c)에 나타내는 프렌드 일람 화면, 및 (d)에 나타내는 초대 신청 완료 화면은, 유저 단말기(100-1)(SDK(11B))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특정 모드의 동작에 있어서 표시하는 표시 화면이다.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특정 모드의 동작 상태(Active)에 있고, (c)에 나타내는 프렌드 일람 화면, 또는 (d)에 나타내는 초대 신청 완료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기간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동작 상태는, 비동작 상태(Not running), 서스펜드 상태(Suspended), 또는 서스펜드 상태(Suspended)로 되어 있다.
이어서, 피 초대 유저인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2)의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의 유저 Y를 피 초대 유저로 한 초대 신청의 통지는,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2)에 있어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통상 모드에서 기동했을 때, 유저 Y에게 통지된다.
(e)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은, 피 초대 유저가 유저 Y가 되는 초대 신청이 있는 경우에, 그 취지가 통지되는 초대 통지 화면의 예이다(도 3의 (4)의 처리에서 표시되는 표시 화면 예). 이 초대 통지 화면은, 예를 들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기동 화면(기동했을 때 표시되는 게임의 플레이를 개시 가능한 화면)이다. 부호 120b의 영역에는, 동작 중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타이틀(여기서는, 「게임 B」)이 표시된다. 부호 120c의 영역에는, 유저 Y 앞으로 도착하는 메시지(통지)의 표시 영역이 포함되고, 피 초대 유저가 유저 Y가 되는 초대 신청이 있음을 나타내는 초대 통지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한, 이 초대 통지 메시지는, 유저 Y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 유저 Y앞으로 도착해 있는 초대 정보의 일람을 표시하는 초대 정보 일람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자로서 표시된다.
(f)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은, 초대 정보의 일람을 표시하는 초대 정보 일람 화면의 예이다(도 3의 (4)의 처리에서 표시되는 표시 화면 예). 유저 단말기(100-2)(SDK(11B))는, (e)에 나타내는 초대 통지 화면에 표시된 초대 통지 메시지에 대한 유저 Y의 조작에 따라, 초대 통지 화면으로부터 전환해서 초대 정보 일람 화면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부호 120b의 영역에는, 이 표시 화면의 타이틀로서 「초대 정보 일람」이 표시된다. 부호 120c의 영역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 유저 Y 앞으로 도착해 있는 초대 정보가 나란히 표시된다. 여기서, 이 초대 정보로서, 초대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유저 X)와, 유저 Y를 초대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게임 A)가 표시된다. 또한, 이 초대 정보는, 유저 Y로부터의 초대를 승낙하는 조작(제3 조작)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스토어(400)에 액세스해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다운로드 가능한 스토어 페이지의 표시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자로서 표시된다. 또한, 부호 120b의 영역에는, 하나 앞의 표시 화면으로 복귀되는 조작자로서 「복귀 버튼」(K2)이 표시된다.
〔유저 단말기(100)(SDK(11))의 기능 구성〕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있어서 유저 단말기(100)(SDK(11))가 실행하는 초대 처리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저 단말기(100)에 있어서, 단말기 제어부(150)가 SDK(11)에 기초하여 실행하는 초대 처리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SDK(11)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와,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와,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와, 초대 신청 통지부(164)와, 특정 모드 종료부(165)와, 조회부(166)와, 초대 통지 취득부(167)와, 제시부(168)와, 화면 천이부(169)와, 초대 정보 관리부(170)와, 초대 성립 통지부(171)를 구비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대응 애플리케이션(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상술한 제1 조작에 기초하여,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를 취득한 관리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다.
특정 모드 기동부(162)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킨다.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SDK(11A)의 특정 모드 기동부(162)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킨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특정 모드의 동작 상태(Active)로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특정 모드 기동부(162)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의 유저 ID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SDK(11B)에 대하여 통지한다. 이에 의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의 유저 ID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SDK(11B)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정 모드 기동부(162)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애플리케이션 ID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하여 통지한다. 이에 의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애플리케이션 ID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SDK(11B)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정 모드 기동부(162)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의 유저 ID, 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애플리케이션 ID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SDK(11B)에 대하여 직접적 또는 당해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통지한다.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는,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예를 들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가 관리하고 있는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유저 리스트를 취득하고,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취득한 유저 리스트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SDK(11B)가 구비하는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가 취득한다. 즉,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SDK(11B)가 구비하는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다.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가 취득한 유저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것을 나타내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 초대 신청 정보에는,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의 유저 ID, 특정 모드에서 기동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의 유저 ID 또는 유저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유저 ID가 포함된다. 이에 의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로서, 유저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에 대하여 초대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초대 신청 정보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애플리케이션 ID가 더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초대 신청 정보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애플리케이션 ID가 더 포함되어도 된다.
여기서,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의 유저 ID 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애플리케이션 ID는,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직접적 또는 당해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취득한 것이다.
특정 모드 종료부(165)는, 특정 모드에서 기동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종료시킨다. 예를 들어, 특정 모드에서 기동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SDK(11B)가 구비하는 특정 모드 종료부(165)는, 당해 SDK(11B)가 구비하는 초대 신청 통지부(164)가 초대 신청 정보를 송신한 후에,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특정 모드의 동작을 종료시킨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특정 모드의 동작 종료란, 특정 모드의 동작 상태(Active)에 있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을 비동작 상태(Not running), 서스펜드 상태(Suspended), 또는 서스펜드 상태(Suspended)로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조회부(166)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피 초대 유저가 자 유저(예를 들어, 유저 Y)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즉, 자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의 기록(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조회(신청 조회)한다. 예를 들어, 조회부(166)는, 초대 신청 정보(초대 신청 기록)에 포함되는 피 초대 유저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유저 ID가, 자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의 유저 ID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조회한다.
초대 통지 취득부(167)는, 조회부(166)가 조회한 결과, 자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의 유저 ID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의 유저 ID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초대 신청 기록)가 있는 경우에, 당해 초대 신청 정보(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다.
제시부(168)는, 취득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유저 리스트 등에 포함되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는 표시 화면을 생성해서 표시부(120)에 표시시킴으로써, 당해 각종 정보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제시부(168)(제1 제시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제시부)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가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제시한다(도 4의 (b)에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일람 화면의 예 참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URL 스킴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URL 스킴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내의 특정한 기능을 호출하는 것이며, 애플리케이션마다 정해져 있다. 그 때문에, URL 스킴을 이용함으로써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에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서 처음으로 실행(기동)했을 때, 당해 인스톨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SDK(11)에는, 초기화 처리에 있어서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URL 스킴이 설정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URL 스킴을 취득한다. 그리고, 제시부(168)는, 인스톨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URL 스킴과,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URL 스킴에 기초하여,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하고, 검출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제시한다.
또한, OS의 표준의 기능 등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 완료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일람이 취득 가능한 경우에는, 제시부(168)는, 이 인스톨 완료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일람을 사용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해도 된다.
또한, 제시부(168)는,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가 취득한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저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제시부(168)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 화면(프렌드 일람 화면)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도 4의 (c)에 나타내는 프렌드 일람 화면의 예 참조).
또한, 제시부(168)(제2 제시부, 초대 정보 제시부)는, 초대 통지 취득부(167)가 취득한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제시부(168)는, 피 초대 유저가 자 유저(예를 들어, 유저 Y)가 되는 초대 정보의 일람을 표시하는 초대 정보 일람 화면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도 4의 (f)에 나타내는 초대 정보 일람 화면의 예 참조).
화면 천이부(169)는, 제시부(168)가 제시한 초대 정보 중 피 초대 유저에 의해 초대가 승낙된 초대 정보가 나타내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인스톨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예를 들어, 화면 천이부(169)는, 제시부(168)가 제시한 초대 정보에 대한 상술한 제3 조작에 기초하여, 당해 초대 정보가 나타내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인스톨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예를 들어, 화면 천이부(169)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인스톨 가능(다운로드 가능)한 스토어 사이트의 스토어 페이지를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을 기동시킨다. 그리고, 이 기동시킨 애플리케이션 스토어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400)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인스톨 가능한 스토어 페이지를 취득해서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초대 정보 관리부(170)는, 제시부(168)가 제시한 초대 정보 중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에 의해 초대가 승낙된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에 기억시킨다. 또한, 초대 정보 관리부(170)는, 초대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에 기억시켜도 된다.
초대 성립 통지부(171)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에, 당해 동작 중인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 초대 통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당해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상술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란, 도 3을 사용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성과 지점에 도달한 경우이다. 이 성과 지점에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서 처음으로 실행(기동)했을 때가 포함되어도 된다. 즉,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통상 모드에서 처음으로 실행(기동)한 경우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상술한 초대 성립 정보에는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되어 있다. 이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SDK(11A)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SDK(11B)로부터 직접적 또는 당해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취득한 것이다. 예를 들어,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2))에 있어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SDK(11A)의 초대 성립 통지부(171)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SDK(11B)의 초대 정보 관리부(170)가 단말기 기억부(140)에 기억시킨 초대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SDK(11)가 실행하는 초대 처리의 기능 구성 중,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와,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와, 제시부(168)와, 초대 정보 관리부(170)와, 초대 성립 통지부(171)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SDK(11A)의 기능 구성(즉, 신청원의 기능 구성)에 대응한다. 또한, 예를 들어,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와, 초대 신청 통지부(164)와, 특정 모드 종료부(165)와, 조회부(166)와, 초대 통지 취득부(167)와, 제시부(168)와, 화면 천이부(169)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SDK(11B)의 기능 구성(즉, 신청처의 기능 구성)에 대응한다.
〔관리 서버(200)의 구성〕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관리 서버(200)의 구성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관리 서버(2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관리 서버(20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부(210)와, 기억부(220)와, 제어부(230)를 구비하고 있고, 여기에서는, 기억부(220)와, 제어부(23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억부(220)는, 제어부(230)에 의해 관리되는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억부(220)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1)와,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종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형식이나 JSON(JavaScript(등록 상표) Object Notation) 형식 등, 그 정보의 이용에 적합한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으면 된다.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1)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억한다. 도 7은,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1)에 기억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애플리케이션 정보에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ApID)와, 통지처 URL(NoticeURL)과, 스토어 URL(ApStoreURL)과,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명칭(ApNAME)과,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설명 정보인 애플리케이션 설명(ApDOC)과,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화상인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화상(ApICO)과, 재초대 허가 플래그(FlagResultInvite)가 관련지어져 있다.
통지처 URL(NoticeURL)은, 초대 완료 통지 정보의 통지처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며, 예를 들어,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URL이 설정된다. 스토어 URL(ApStoreURL)은,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가능한 판매 사이트(애플리케이션 스토어(400))의 페이지의 URL이다. 애플리케이션 URL 스킴(ApURI)은,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정해져 있는 URL 스킴이 설정된다. 재초대 허가 플래그(FlagResultInvite)는,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재초대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재초대 허가 플래그(FlagResultInvite)에는, 재초대 불가인 경우에는 플래그 「0」이 설정되고, 재초대 가능인 경우에는 플래그 「1」이 설정된다.
또한, 이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예를 들어,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400)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해지기 전에 미리 설정되어서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1)에 기억된다.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는,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되어서 관리 서버(200)가 취득한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기억한다. 즉,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기억한다.
이 초대 신청 기록은,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가 취득했을 때, 그 초대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레코드(하나 분의 초대 신청 정보의 데이터)가 생성되어서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그 초대 신청 정보의 기록으로서 기억된다.
또한, 이 초대 신청 기록은,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취득한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이외의 정보도 포함하고, 이들 정보 중에는 초대 처리의 과정에서 갱신되는 정보도 포함한다.
도 8은,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되는 초대 신청 기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초대 신청 기록에는, 초대 ID(InviteID)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from_UIDfrom)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from_UIDto)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ID(ApIDto)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to_UIDfrom)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to_UIDto)와,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가 관련지어져 있다.
초대 ID(InviteID)는,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기억되는 초대 신청 정보마다 식별 가능하도록 각 초대 신청 정보를 취득한 순서대로 발행되는 관리 ID이다.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애플리케이션 ID이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from_UIDfrom)는, 초대 유저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유저 ID이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from_UIDto)는, 피 초대 유저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유저 ID이다.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ID(ApIDto)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애플리케이션 ID이며,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to_UIDfrom)는, 초대 유저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유저 ID이며,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to_UIDto)는, 피 초대 유저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유저 ID이다.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는,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처리의 진행 정도의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에는, 관리 서버(200)가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가 피 초대 유저에게 미통지인 상태에서는 플래그 「0」 (초대 신청 미통지)이 설정되고, 피 초대 유저에게 통지 완료가 된 경우에 플래그 「0」에서 플래그 「1」(초대 신청 통지 완료)로 갱신된다. 또한, 이 초대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성립 정보를,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관리 서버(200)가 수취한 경우,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는, 플래그 「1」에서 플래그 「2」(초대 성립 미통지)로 갱신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가 수취한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여, 초대 성립한 것을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하여 통지하는 초대 성립 통지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한 경우,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는, 플래그 「2」에서 플래그 「3」(초대 성립 통지 완료)으로 갱신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가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가 피 초대 유저에 의해 거부된 경우, 및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에 플래그 「0」 또는 플래그 「1」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나 초대 신청이 거부된 경우,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는 초대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1」(실패)로 갱신된다.
또한, 초대 신청 기록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명(Apto_NAMEfrom)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화상 URL(Apto_URLfrom)이 또한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 여기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명(Apto_NAMEfrom)은, 초대 유저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유저명이며,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화상 URL(Apto_URLfrom)은, 초대 유저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유저 화상의 링크처를 나타내는 URL이다. 이들 정보는, 도 3에 도시하는 (1) 내지 (7)의 초대 처리의 흐름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이들 정보가 초대 신청 기록(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됨으로써, 초대 통지 정보를 수취한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SDK(11B)의 처리만으로 초대 유저의 유저명이나 유저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23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인스톨된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서 당해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피 초대 유저의,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인스톨된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인스톨시키는 초대 처리를 제어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와, 초대 신청 수취부(233)와, 초대 신청 관리부(234)와, 신청 조회부(235)와, 초대 통지부(236)와, 초대 성립 수취부(237)와, 초대 성립 처리부(238)를 구비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가 관리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400)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해지기 전에 미리 설정되어서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1)에 기억된다.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는, 유저 단말기(100)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를 참조하여,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는,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의 유저 단말기(100)(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1))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이 가능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송신한다.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한다. 구체적으로는,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선택됨으로써 기동(특정 모드에서 기동)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송신된 피 초대 유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의 유저 단말기(100)(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1))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선택됨으로써 기동(특정 모드에서 기동)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송신된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한다.
여기서, 이 초대 신청 정보에는,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의 유저 ID,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의 유저 ID,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선택된 유저인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의 유저 ID가 포함된다. 또한, 이 초대 신청 정보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애플리케이션 ID,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된다. 그리고,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를 초대 신청 관리부(234)에 공급한다.
초대 신청 관리부(234)는, 초대 신청 수취부(233)가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ID 및 유저 ID를 관련지어서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시켜서 관리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관리부(234)는, 그 초대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레코드를 생성해서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시킨다.
신청 조회부(235)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의 조회(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를 참조하여,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당해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당해 피 초대 유저에의 초대 신청 정보의 기록)의 유무를 조회한다. 예를 들어, 신청 조회부(235)는,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2))로부터의 조회(신청 조회)에 포함되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의 유저 ID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초대 신청 정보)의 유무를 조회한다.
초대 통지부(236)는, 신청 조회부(235)가 조회한 결과,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초대 신청 정보)이 있는 경우에 당해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2))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기록(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 당해 초대 신청 기록(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는, 당해 초대 신청 기록(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초대 통지 정보이다.
초대 성립 수취부(237)는,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2))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초대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 것이나, 미리 설정된 성과 지점에 도달한 것에 기초하여,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당해 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2))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수취한다.
초대 성립 처리부(238)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가 수취한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초대 성립 처리부(238)는, 관리 서버(200)가 수취한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가 성립된 것을 통지하는 초대 성립 통지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에 송신한다.
〔초대 처리의 동작 상세〕
이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상호 초대 시스템(500)의 초대 처리의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초대 처리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개략 처리의 흐름의 상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초대 유저인 유저 X의 유저 단말기(100-1)와 관리 서버(20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1)의 처리부터 (3)의 처리까지의 상세 예를 설명한다.
(1)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관리 서버에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
초대 유저인 유저 X의 유저 단말기(100-1)에 인스톨되어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SDK(11A)는, 다른 게임의 친구를 초대하는 초대 처리를 개시하는 초대 화면(도 4의 (a)에 나타내는 초대 화면의 예 참조)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스텝 SA110).
표시부(120)에 표시된 초대 화면에 대하여 유저 X에 의한 조작(제1 조작)이 이루어지면, 유저 단말기(100-1)의 SDK(11A)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초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REQ11, 스텝 SA120).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애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되어 있다.
관리 서버(200)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는, 유저 단말기(100-1)(SDK(11A))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를 취득하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가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1)를 참조하여,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유저 단말기(100-1)(SDK(11A))에 대하여 송신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는,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를 송신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이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참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참가하고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으로부터의 요구에 대해서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송신한다(RES11, 스텝 SE110).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가 유저 단말기(100-1)(SDK(11A))에 대하여 송신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ApID)가 포함된다. 이 하나 또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ApID)에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는,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를 송신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제외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유저 단말기(100-1)(SDK(11A))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가 유저 단말기(100-1)(SDK(11A))에 대하여 송신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ApID)에 관련지어서, 각각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URL 스킴을 송신해도 된다.
이어서, 유저 단말기(100-1)의 SDK(11A)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초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취득한다(스텝 SA130). 또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시부(168)에 공급한다.
유저 단말기(100-1)의 SDK(11A)의 제시부(168)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가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1)에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제시부(168)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가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URL 스킴을 사용하여, 유저 단말기(100-1)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한다(스텝 SA140).
그리고, 제시부(168)는,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가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1)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검출된 경우에는, 그 적어도 일부를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도 4의 (b)에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일람 화면의 예 참조, 스텝 SA150). 또한, 제시부(168)는, 유저 단말기(100-1)에 인스톨되어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 이외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취지를 통지하는 메시지를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2)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프렌드 일람 표시(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
유저 단말기(100-1)의 표시부(120)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유저 X의 조작(제2 조작)에 의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선택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유저 단말기(100-1)의 SDK(11A)의 특정 모드 기동부(162)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킨다(스텝 SA160).
이때, 특정 모드 기동부(162)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애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유저 X의 유저 ID가 설정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from_UIDfrom)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SDK(11B)에 대하여 통지한다.
이어서, 특정 모드에서 기동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로부터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다. 또한, 이 유저 리스트를 취득하는 처리(이하의 스텝 SB110 및 SB120의 처리)는, SDK(11A)가 실행하는 처리가 아니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실행하는 처리이다.
유저 단말기(100-1)에 있어서 특정 모드에서 기동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 유저 X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요구하는 프렌드 일람 요구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에 송신한다(스텝 SB110). 여기서, 프렌드 일람 요구 정보에는, SDK(11A)로부터 SDK(11B)에 대하여 통지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의 유저 X의 유저 ID가 포함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는, 유저 단말기(100-1)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으로부터 프렌드 일람 요구 정보를 취득하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 유저 X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유저 단말기(100-1)(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D110).
유저 단말기(100-1)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은,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로부터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다(스텝 SB120). 또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은, 취득한 유저 리스트를 SDK(11B)에 전달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1)의 SDK(11B)의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는, 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취득한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다.
이어서, 유저 단말기(100-1)의 SDK(11B)의 제시부(168)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취득한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저의 적어도 일부를 프렌드 일람으로서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즉, 제시부(168)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 유저 X(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에 대응하는 프렌드 일람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도 4의 (c)에 나타내는 프렌드 일람 화면의 예 참조, 스텝 SB150).
(3)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관리 서버에 초대 신청(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
유저 단말기(100-1)의 표시부(120)에 표시된 프렌드 일람 중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초대되는 유저(여기서는, 유저 Y)를 유저 X가 선택하면, 유저 단말기(100-1)의 SDK(11B)의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선택된 유저 Y를 피 초대 유저로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REQ13, 스텝 SB160).
여기서, 초대 신청 정보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유저 X(초대 유저)의 유저 ID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의 유저 X(초대 유저)의 유저 ID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의 유저 Y(피 초대 유저)의 유저 ID가 포함된다. 또한, 초대 신청 정보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애플리케이션 ID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된다.
관리 서버(200)의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유저 단말기(100-1)(SDK(11B))로부터 송신된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한다. 그리고,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를 초대 신청 관리부(234)에 공급한다. 초대 신청 관리부(234)는, 초대 신청 수취부(233)가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레코드를 생성해서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시킨다(스텝 SE130).
여기서,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기억되는 초대 신청 정보의 새로운 레코드는, 초대 신청 수취부(233)가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애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되고,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from_UIDfrom)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유저 X(초대 유저)의 유저 ID가 설정된다.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ID(ApIDto)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애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되고,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to_UIDfrom)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의 유저 X(초대 유저)의 유저 ID가 설정되고,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to_UIDto)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의 유저 Y(피 초대 유저)의 유저 ID가 설정된다.
또한,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에는 플래그 「0」(초대 신청 미통지)이 설정된다. 또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from_UIDto)는, 유저 Y(피 초대 유저)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유저 단말기(100-2)에 인스톨한 후에 설정되기 때문에, 새롭게 레코드 생성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null」이 설정된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1)의 SDK(11B)의 제시부(168)는, 초대 신청 통지부(164)가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 후에,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신청 완료 화면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도 4의 (d)에 나타내는 초대 완료 화면의 예 참조).
이어서, 유저 단말기(100-1)의 SDK(11B)의 특정 모드 종료부(165)는, 특정 모드에서 기동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을 종료시킨다(스텝 SB170).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종료됨으로써, 유저 단말기(100-1)의 표시부(120)의 표시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초대 화면(스텝 SA110에서 표시된 초대 화면)의 표시로 복귀된다(스텝 SA170). 이때,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이 비동작 상태(Not running), 서스펜드 상태(Suspended), 또는 서스펜드 상태(Suspended)인 경우에는, 통상 모드의 동작 상태(Active)로 이행시킨다.
이와 같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여기까지의 처리에 의해, 유저 X(초대 유저)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 Y(피 초대 유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초대 신청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피 초대 유저인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2)와 관리 서버(20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4)의 처리부터 (7)의 처리까지의 상세 예를 설명한다.
(4)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관리 서버에 신청 조회(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
피 초대 유저인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2)에 인스톨되어 있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통상 모드에서 기동하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은 기동 화면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스텝 SB210).
유저 단말기(100-2)에 있어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통상 모드에서 기동하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SDK(11B)의 조회부(166)는, 피 초대 유저가 유저 Y(자 유저)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조회(신청 조회)한다. 예를 들어, 조회부(166)는, 피 초대 유저가 유저 Y(자 유저)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하는 신청 조회 정보이며,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ID(ApIDto)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to_UIDto)를 포함하는 신청 조회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REQ21, 스텝 SB220).
여기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ID(ApIDto)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애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되고,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to_UIDto)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의 유저 Y의 유저 ID가 설정되어 있다.
관리 서버(200)의 신청 조회부(235)는, 유저 단말기(100-2)(SDK(11B))로부터 신청 조회 정보를 취득하면,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되어 있는 초대 신청 기록을 참조하여,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가 플래그 「0」(초대 신청 미통지)으로 되어 있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의 유저 Y가 피 초대 유저가 되는 초대 신청 기록(즉, 유저 Y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한다. 구체적으로는, 신청 조회부(235)는, 취득한 신청 조회 정보에 기초하여,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되어 있는 초대 신청 기록 중에,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ID(ApIDto)에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애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되고, 또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to_UIDto)에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의 유저 Y의 유저 ID가 설정되어 있는 초대 신청 기록이 있는지 여부를 조회한다.
신청 조회부(235)가 소개한 결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의 유저 Y가 피 초대 유저가 되는 초대 신청 기록이 있는 경우에는, 초대 통지부(236)는,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2)(SDK(11B))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기록(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RES21, 스텝 SE210).
또한, 관리 서버(200)의 초대 신청 관리부(234)는, 초대 통지부(236)가 초대 통지 정보를 유저 Y의 유저 단말기(100-2)(SDK(11B))에 대하여 송신하면,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되는 초대 신청 기록에 포함되는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를, 플래그 「0」(초대 신청 미 통지)에서 플래그 「1」(초대 신청 통지 완료)로 갱신한다.
여기서, 초대 통지 정보에는, 당해 초대 신청 기록(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초대 통지 정보에는, 당해 초대 신청 기록(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초대 ID(InviteID)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to_UIDfrom)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명(Apto_NAMEfrom)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화상 URL(Apto_URLfrom)이 포함된다.
이어서, 유저 단말기(100-2)의 SDK(11B)의 초대 통지 취득부(167)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초대 통지 정보를 취득한다. 즉, 초대 통지 취득부(167)는, 조회부(166)가 조회한 결과, 유저 Y(자 유저)의 유저 ID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의 유저 ID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 기록이 있는 경우에, 당해 초대 신청 기록(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B230).
또한, 유저 Y가 피 초대 유저가 되는 초대 신청 기록이 있는 경우, 유저 단말기(100-2)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은, 유저 Y가 피 초대 유저가 되는 초대 신청이 있음을 나타내는 초대 통지 메시지가 표시된 기동 화면(도 4의 (e)에 나타내는 초대 통지 화면의 예 참조)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스텝 SB240). 또한, 이 기동 화면은, 스텝 SB210에서 표시부(120)에 표시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기동 화면이며, SDK(11B)의 처리가 아니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처리에 의해 표시부(120)에 표시된다.
이어서, 유저 단말기(100-2)의 SDK(11B)의 제시부(168)는, 초대 통지 취득부(167)가 취득한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제시부(168)는, 유저 Y(자 유저)가 피 초대 유저가 되는 초대 정보의 일람을 표시하는 초대 정보 일람 화면(도 4의 (f)에 나타내는 초대 정보 일람 화면의 예 참조)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스텝 SB250).
여기서, 초대 정보 일람 화면에 표시되는 초대 정보에는, 초대 유저의 유저명 또는 유저 화상이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대 통지 정보에 초대 유저명(Apto_NAMEfrom)과 초대 유저 화상 URL(Apto_URLfrom)을 포함시키고 있기 때문에, 유저 단말기(100-2)의 SDK(11B)의 처리만으로, 초대 정보 일람 화면에 초대 유저의 유저명 또는 유저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f)에 나타내는 초대 정보 일람 화면의 예에서는, 초대 유저의 유저명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초대 유저의 유저명에 대응지어서 그 초대 유저의 유저 화상을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초대 정보에 초대 유저의 유저명이나 유저 화상이 포함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초대 유저 ID(Apto_UIDfrom)에 대응한 유저명이나 유저 화상을,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320)로부터 직접적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을 통해서 취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처리가 복잡해진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2)의 SDK(11B)의 제시부(168)는, 초대 통지 취득부(167)가 취득한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를 제시할 때, URL 스킴을 사용하여, 유저 단말기(100-2)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해도 된다. 그리고, 이 SDK(11B)의 제시부(168)는, 초대하려고 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이 인스톨되어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해당하는 초대 정보를 제외하고 초대 정보 일람 화면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키도록 하거나, 해당하는 초대 정보에 인스톨 완료된 취지의 정보를 부가해서 초대 정보 일람 화면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키도록 하거나 해도 된다.
(5)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톨(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
표시부(120)에 표시된 초대 정보 일람 화면에 있어서, 피 초대 유저인 유저 Y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의 초대를 승낙하는 조작(제3 조작)이 이루어지면(스텝 SB260), 유저 단말기(100-2)의 SDK(11B)의 초대 정보 관리부(170)는, 승낙된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에 기억시킨다(스텝 SB270).
또한, 유저 단말기(100-2)의 SDK(11B)의 화면 천이부(169)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400)에 액세스해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다운로드 가능한 스토어 페이지를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기동시킨다(스텝 SB280).
(6)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관리 서버에 초대 성립 통지(피 초대 유저 단말기)
상기 초대 신청에 기초하여 유저 단말기(100-2)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이 인스톨된 후에,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이 통상 모드에서 기동했다고 하자. 예를 들어, 유저 Y는, 스텝 SB280에서 기동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유저 단말기(100-2)에 다운로드하여, 인스톨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기동했다고 하자.
유저 단말기(100-2)에 인스톨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SDK(11A)의 초대 정보 관리부(170)는, 단말기 기억부(140)에 기억되어 있는 초대 통지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A210).
유저 단말기(100-2)에 있어서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유저 Y가 플레이해서 게임을 진행시킨다(스텝 SA220). 그리고,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은, 소정의 성과 지점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A230). 또한, 이 스텝 SA220 및 스텝 SA230의 처리는, SDK(11A)가 실행하는 처리가 아니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이 실행하는 처리이다.
유저 단말기(100-2)에 인스톨되어서 기동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게임 진행에 따라, 소정의 성과 지점에 도달한 경우(스텝 SA230: "예"),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은 당해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SDK(11A)에 전달한다. 한편, 소정의 성과 지점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스텝 SA230: "아니오"), 소정의 성과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이 계속된다.
유저 단말기(100-2)의 SDK(11A)가, 소정의 성과 지점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으로부터 수취한 경우, SDK(11A)의 초대 성립 통지부(171)는,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대응한 초대 통지 정보가 단말기 기억부(140)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당해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RE22, 스텝 SA240). 여기서, 초대 성립 정보에는, 예를 들어, 초대 ID(InviteID)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from_UIDto)가 포함된다. 초대 ID(InviteID)에는, 이 초대 성립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통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던 초대 ID(InviteID)가 설정된다.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from_UIDto)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유저 Y의 유저 ID가 설정된다. 또한 소정의 성과 지점에는, 유저 단말기(100-2)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이 인스톨되어서 처음으로 실행(기동)했을 때가 포함되어도 된다.
(7) 관리 서버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초대 완료 통지
관리 서버(200)의 초대 성립 수취부(237)는, 유저 단말기(100-2)(SDK(11A))로부터 송신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초대 성립 정보를 수취한다(스텝 SE220). 또한, 초대 성립 수취부(237)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가 수취한 초대 성립 정보를 초대 신청 관리부(234)에 공급한다.
초대 신청 관리부(234)는, 당해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여,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되어 있는 초대 신청 기록에 포함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from_UIDto)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유저 Y의 유저 ID를 설정한다. 또한, 초대 신청 관리부(234)는,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를 플래그 「1」(초대 신청 통지 완료)에서 플래그 「2」(초대 신청 성립 미통지)로 갱신한다.
이어서, 관리 서버(200)의 초대 성립 처리부(238)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가 수취한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초대 성립 처리부(238)는, 상기 소정의 처리로서, 관리 서버(200)가 수취한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X(초대 유저)로부터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의 초대가 성립된 것을 통지하는 초대 성립 통지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에 송신한다(REQ23, 스텝 SE230). 여기서, 초대 성립 통지 정보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유저 X(초대 유저)의 유저 ID가 포함된다. 또한, 초대 신청 관리부(234)는,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를 플래그 「2」(초대 신청 성립 미통지)에서 플래그 「3」(초대 성립 통지 완료)으로 갱신한다. 또한, 이 플래그의 갱신은, 초대 성립 통지 정보의 통지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로부터의 응답 통지를 수취했을 때여도 된다.
또한, 초대 신청 관리부(234)는, 초대 성립 정보 대신에, 상술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인스톨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를 플래그 「1」(초대 신청 통지 완료)에서 플래그 「2」(초대 신청 성립 미통지)로 갱신해도 된다. 또한, 초대 성립 처리부(238)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가 수취한 상술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인스톨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X(초대 유저)로부터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의 초대가 성립된 것을 통지하는 초대 성립 통지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에 송신해도 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초대 완료 통지 정보를 수취하면(스텝 SC210), 초대가 완료됨으로 인한 소정의 보수(예를 들어, 인센티브)를, 초대 성립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유저 ID가 나타내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있어서의 유저 X에 대하여 부여한다(스텝 SC220). 이 소정의 보수는,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 내에서 유저 X를 사용할 수 있는 가상 통화나 아이템이다.
〔정리〕
(1) 이상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서버(200)(관리 장치의 일례)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이 인스톨된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단말 장치의 일례)로부터,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의,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인스톨된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인스톨시키는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부(230)는, 초대 신청 수취부(233)와, 신청 조회부(235)와, 초대 통지부(236)를 구비하고 있다.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선택된 유저인 피 초대 유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수취한다. 신청 조회부(235)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의 유무를 조회한다. 초대 통지부(236)는, 신청 조회부(235)가 조회한 결과,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가 있는 경우에, 당해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초대 통지 정보에는, 예를 들어, 초대 ID(InviteID)나 당해 초대 ID(InviteID)와 관련지어진 토큰 정보(예를 들어, 초대 신청 토큰)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관련지어진 정보란, 항구적으로 관련지어져 있을 필요는 없고, 일시적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초대 ID(InviteID)나 토큰 정보 대신에, 예를 들어, 초대 ID(InviteID)에 대응한 초대 신청 기록으로 나타내어지는 각종 정보여도 된다.
이 초대 ID(InviteID)와 관련지어진 토큰 정보(예를 들어, 초대 신청 토큰)는,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에서 생성된다. 이 토큰 정보를 생성하는 타이밍은,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가 초대 신청 정보를 취득했을 때이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인스톨되어 있는 유저 단말기(100)를 이용하는 초대 유저로부터 수취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당해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피 초대 유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을, 당해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서는,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수 있다. 즉, 상호 초대 시스템(500)은,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간에 유저를 초대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인스톨된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란,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인스톨되어서 실행된 적이 있는 유저 단말기(100)를 말한다. 즉,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실행된 적이 있고, 또한 실행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적어도 한 사람 이상의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서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피 초대 유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할 때, 적어도 실행되고 있다. 또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서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피 초대 유저의,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인스톨된 유저 단말기(100)란, 예를 들어,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인스톨되어서 실행된 적이 있는 유저 단말기(100)를 말한다. 즉,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실행된 적이 있고, 또한 실행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적어도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서버(200)(관리 장치의 일례)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이 실행된 적이 있는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단말 장치의 일례)로부터,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 중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와 피 초대 유저는 소정의 관계로 되어 있으므로,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실행되고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실행되었다는 것은,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인스톨되어서 실행된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전부가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일부가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고, 당해 프로그램의 나머지 부분이 유저 단말기(100) 이외의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실행을 개시하기 위해서 최저한 필요한 프로그램만이어도 된다. 그리고, 나머지 프로그램은 유저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나 다른 단말 장치(예를 들어, 다른 유저 단말기 100)에 의해 실행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에 의해 실행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프로그램 전부가 유저 단말기(100) 이외의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유저 단말기(100)에는 인스톨되지 않고, 유저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나 다른 단말 장치(예를 들어, 다른 유저 단말기(100))에 의해 실행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유저 단말기(100)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은, 유저 단말기(10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와 통신망을 통해서 접속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실행된 경우도 포함한다. 이 경우, 서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표시 정보)가 유저 단말기(100)에서 표시된다. 즉, 유저 단말기(100)에 의해 실행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은, 소위 클라우드형이나 WEB형의 애플리케이션이어도 된다.
또한,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도입시킨다는 것은, 당해 유저 단말기(100)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프로그램 일부 또는 전부를 인스톨시키는 것이어도 되고,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이 소위 클라우드형이나 WEB형의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주체가 되는 서버 장치에 대하여, 유저 단말기(10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서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이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이용 등록(예를 들어, 유저 등록)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도입시키기 위해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인스톨 가능한 화면을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표시시키는 예를 설명했지만, 그 대신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이용 등록 화면을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의 신청 조회가 없어도,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당해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있어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기동한 것을 계기로 해서, 당해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당해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초대 통지 정보를 소정의 시간 주기로 송신해도 되고, 소정의 시각에 정기적으로 송신해도 된다.
즉, 제어부(230)는, 초대 신청 수취부(233)와, 초대 통지부(236)를, 적어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수취한다. 그리고, 초대 통지부(236)는, 초대 신청 수취부(233)가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 중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당해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실행된 적이 있는 유저 단말기(100)를 이용하는 초대 유저로부터 수취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당해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피 초대 유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을, 당해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서는,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수 있다. 즉, 상호 초대 시스템(500)은,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간에 유저를 초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의 일례)가 송신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나타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기동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 중 피 초대 유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한다. 그리고, 초대 통지부(236)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해서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초대 유저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개재시켜서, 피 초대 유저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초대 통지 정보를 통지하도록 했으므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과 같이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용이하게 유저를 초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현실 사회에서 이용하고 있는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지 않고 피 초대 유저에게만 초대 통지 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므로, 무관계인 유저를 초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실 사회에서 이용하고 있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메일 소프트나 채팅)을 이용하면 피 초대 유저에게만 초대 통지 정보를 통지할 수 있는데, 이 경우라면 유저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수신처(메일 어드레스나 어카운트)를 알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가상 사회)에서 클로즈한 소정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0)는,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의 유무를 조회하는 신청 조회부(235)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초대 통지부(236)는, 신청 조회부(235)가 조회한 결과,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가 있는 경우에, 당해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신청 조회를 수취한 것을 계기로 해서,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을, 당해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통지할 수 있다.
(2) 유저 단말기(100)(단말 장치의 일례)는,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 중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서 자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타 유저의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인스톨되어 있는 다른 유저 단말기(100)(단말 장치의 일례)에 대하여,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시키는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관리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단말 장치이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서의 조작에 기초하여,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킨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자 유저(초대 유저의 일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다른 유저(피 초대 유저의 일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을, 관리 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초대 신청은, 관리 서버(200)를 통해서 당해 다른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통지된다. 따라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서는,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수 있다. 즉, 상호 초대 시스템(500)은,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간에 유저를 초대할 수 있다.
(3)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는,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의 일례)와,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와, 초대 신청 통지부(164)를 구비하고 있다.
특정 모드 기동부(162)는,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당해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다른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킨다(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킴).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는,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특정한 기능을 실행 중)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 자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다. 이 유저 리스트는, 예를 들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서버 장치의 일례)에서 관리되고 있고,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이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다.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가 취득한 유저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유저(피 초대 유저의 일례)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킨(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대응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관리 장치의 일례)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상술한 유저 리스트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이며, 그 정보의 형태는 어떤 형태여도 된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가 구비하는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와, 초대 신청 통지부(164)의 각각의 구성은, 이하와 같이 기재할 수 있다.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유저 정보 취득부의 일례)는,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특정한 기능을 실행 중)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 자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다.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가 취득한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유저 리스트)에 의해 나타나는 유저 중,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킨(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초대되는 피 초대 유저를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와 같이, 초대 신청 정보를 초대 유저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개재(기동)시켜서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했으므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과 같이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용이하게 유저를 초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서의 조작에 기초하여,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킨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자 유저(초대 유저의 일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다른 유저(피 초대 유저의 일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을, 관리 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초대 신청은, 관리 서버(200)를 통해서 당해 다른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통지된다. 따라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서는,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수 있다. 즉, 상호 초대 시스템(500)은,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간에 유저를 초대할 수 있다.
(4) 관리 서버(200)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를 구비하고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포함하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를 참조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이 가능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는,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이면 되고, 그 정보의 형태는 어떤 형태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명칭,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화상, 애플리케이션 ID 등)가 포함되는 데이터여도 되고, 적어도 하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 정보로서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일람 화면의 데이터여도 되고, 애플리케이션 일람 화면의 링크처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일람 화면에 있어서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하 방향(세로 방향)의 배열로 표시(소위 리스트 표시)되어도 되고(도 4의 (b) 참조), 좌우 방향(가로 방향)의 배열로 표시되어도 되고, 또는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바둑판 형상(격자 형상)의 배열로 표시(소위 그리드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초대 신청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란,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즉,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가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가 관리하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로서,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초대 신청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란,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 관리 서버(200)에 있어서, 초대 신청이 금지되어 있지 않은 대응 애플리케이션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에 설정된 초대 신청의 금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해도 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를 참조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이 가능한지 여부(예를 들어, 초대 신청의 금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가)를 판정하고, 초대 신청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를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초대 신청이 금지되어 있지 않은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초대 신청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으로 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후술한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를 구비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초대 처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제1 조작에 기초하여, 상호 초대 시스템(500)(초대 처리의 일례)에 대응하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제시부(168)(제1 제시부의 일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제시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가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제시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송신하고, 유저 단말기(100)가 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취득해서 제시하므로, 초대 유저는, 피 초대 유저를 선택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당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이면 되며, 그 정보의 형태는 어떤 형태여도 된다.
즉,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애플리케이션 정보 취득부의 일례)는, 초대 처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제1 조작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제시부(168)(제1 표시 제어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가 취득한, 하나 또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 중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5)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URL 스킴을 취득한다. 그리고, 제시부(168)(제1 제시부의 일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제시부의 일례)는, 취득한 URL 스킴을 사용하여,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해서 자 유저에 제시한다.
또한, URL 스킴을 이용해서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OS가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 완료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 가능한 경우에는, 이 OS가 취득한 인스톨 완료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타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시부(168)(제1 표시 제어부의 일례)는,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애플리케이션 정보 취득부의 일례)가 취득한, 하나 또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하고, 검출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 대응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만을 제시할(표시부(120)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제시부(168)(제1 표시 제어부의 일례)는,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시키는 경우,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기동한 적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기동한 적이 있다고 판정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표시부(120)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초대 신청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가 송신됨으로써, 관리 서버(200)는,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인식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포함하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정보(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나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등)를 관리해도 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를 참조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이 가능한지 여부(예를 들어, 인스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초대 신청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를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만을,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기동한 적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기동한 적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초대 신청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으로 해도 된다.
(6) 유저 단말기(100)의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의 일례)는, 제시부(168)(제1 제시부의 일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제시부의 일례)가 제시한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제2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하여,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자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제1 유저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를 관리 서버(200)에 통지 가능하도록 당해 선택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킨다. 이와 같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킴으로써, 유저가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목적으로 기동하는 경우와 상이하게 할 수 있고,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갖는 기능 중 특정한 기능을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의 일례)는, 제시부(168)(제1 표시 제어부의 일례)가 표시부(120)에 표시시킨 하나 또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제2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킨다.
또한, 상술한 특정 모드(특정한 기능의 일례)는, 특정 모드를 실행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자 유저의 일례)의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를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20)(서버 장치의 일례)에 송신함으로써,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 소정 관계 유저 정보의 일례)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당해 유저를 피 초대 유저로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7)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자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식별 정보))를 더 포함한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는, 초대 신청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으면 되고,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자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의 일례)가 또한 관련지어진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자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 제1 유저 정보의 일례), 및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 제2 유저 정보의 일례)가 관련지어진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식별 정보))를 특정 모드에서 기동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서 관리 서버(200)에 통지할 수 있다.
(8)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의 일례)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대하여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의 애플리케이션 ID(식별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또한 통지 가능하도록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켜도 된다. 그리고,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의 애플리케이션 ID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즉, 특정 모드(특정한 기능)는, 특정 모드를 실행시킨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의 애플리케이션 ID(식별 정보의 일례), 및 특정 모드를 실행시킨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자 유저의 일례)의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를 관리 서버(200)에 통지하는 기능을 더 가져도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ID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초대 신청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으면 되고,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의 애플리케이션 ID(식별 정보의 일례,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가 또한 관련지어진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애플리케이션 ID(즉, 피 초대 유저를 초대하고 싶은 대응 애플리케이션)를 특정 모드에서 기동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서 관리 서버(200)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20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애플리케이션 ID에 의해, 피 초대 유저가 초대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할 수 있다.
(9)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선택된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를 포함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또한, 피 초대 유저(초대되는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정보는, 초대 신청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으면 되고,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가 관련지어진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의 유저 ID를 관리 서버(200)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200)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ID에 의해, 피 초대 유저를 특정할 수 있음과 함께,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를 특정할 수 있다.
(10)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특정한 기능을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선택된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를 포함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또한,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는, 초대 신청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으면 되고,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특정한 기능을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가 관련지어진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또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자 유저(초대 유저의 일례)의 유저 ID를 관리 서버(200)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200)는, 초대 유저의 유저 ID에 의해,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누구로부터의 초대 신청인지를 통지할 수 있다.
(11)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정보는,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직접적 또는 당해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기억부의 일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취득한 것이다. 여기서,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는,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나 당해 유저 ID와 관련지어진 토큰 정보(예를 들어, 초대자 토큰) 등, 관리 서버(200)에서 초대 유저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면 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취한 초대 신청이 누구로부터의 초대 신청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
이 유저 ID와 관련지어진 토큰 정보(예를 들어, 초대자 토큰)는,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에서 생성된다. 이 토큰 정보를 생성하는 타이밍은,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구 정보를 취득했을 때나, 초대 신청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의 동안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소정의 정보(예를 들어, 선택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정보)를 취득했을 때이다.
또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는, 초대 신청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으면 되고,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정보는,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직접적 또는 당해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기억부의 일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취득한 것이어도 된다.
(12) 유저 단말기(100)는, 초대 신청 통지부(164)가 초대 신청 정보를 송신한 후에, 특정 모드에서 기동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종료시키는 특정 모드 종료부(165)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특정 모드에서 기동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초대 신청을 한 후에, 특정 모드에서 기동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저 단말기(100)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한 초대 유저의 일련 조작 중에서, 초대 유저에 의식시키지 않고 일시적으로 기동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특정한 기능을 이용하여, 피 초대 유저의 선택이 가능하다.
(13)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의 제시부(168)(유저 리스트 제시부의 일례)는,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가 취득한 유저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로서 제시한다.
또한, 제시부(168)는, 예를 들어,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표시부(120)에 표시시킴으로써, 당해 유저 리스트를 피 초대 유저에 대하여 제시한다. 예를 들어, 제시부(168)(제3 표시 제어부의 일례)는,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유저 정보 취득부의 일례)가 취득한 유저 리스트(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의 적어도 일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에 초대되는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로서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서의 조작에 기초하여,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킴으로써,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유저 리스트를, 유저 단말기(100)가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
(14) 이때, 제시부(168)(유저 리스트 제시부의 일례)는, 취득한 유저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유저 리스트의 표시 화면을,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의해 표시부(120)에 표시되어 있던 표시 화면으로부터 전환되도록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제시부(168)(제3 표시 제어부의 일례)는, 취득한 유저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유저 리스트(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정보의 일례)의 표시 화면을,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의해 표시부(120)에 표시되어 있던 표시 화면으로부터 전환되도록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유저 단말기(100)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과, 피 초대 유저를 선택하기 위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표시의 전환을, 초대 유저에 애플리케이션이 전환되는 것을 의식시키지 않고 행할 수 있다.
(15) 제시부(168)(제2 제시부의 일례, 초대 정보 제시부의 일례)는, 초대 신청 통지부(164)가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 후,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표시부(120)에 표시시킨 유저 리스트의 표시 화면의 표시를 종료시킨다.
예를 들어, 제시부(168)(제3 표시 제어부의 일례)는, 초대 신청 통지부(164)가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 후,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표시부(120)에 표시시킨 유저 리스트(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정보의 일례)의 표시 화면의 표시를 종료시킨다.
이와 같이, 유저 단말기(100)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과, 피 초대 유저를 선택하기 위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표시의 전환을, 초대 유저에 애플리케이션이 전환되는 것을 의식시키지 않고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초대 신청을 종료한 유저에 대하여 계속해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이용시킬 수 있어, 예를 들어, 유저에 대하여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이용 중지 시기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16) 관리 서버(200)의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선택됨으로써 기동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한다.
여기서, 초대 신청 정보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는,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나 당해 유저 ID와 관련지어진 토큰 정보(예를 들어, 초대자 토큰) 등, 관리 서버(200)에서 초대 유저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면 된다. 또한,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가 토큰 정보인 경우에, 그 토큰 정보로부터 초대 유저뿐만 아니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도 특정할 수 있게 해도 된다.
또한,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는, 유저 ID나 당해 유저 ID와 관련지어진 토큰 정보 등, 관리 서버(200)에서 초대 유저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면 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ID 및 유저 ID를 관련지어서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관리하는 초대 신청 관리부(234)를 구비하고 있다. 즉, 관리 서버(200)의 초대 신청 관리부(234)는, 초대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신청 기록을 관리한다.
또한, 초대 신청 정보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SDK(11))와 관리 서버(200)와의 사이의 통신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초대 신청 정보를 송신하는 유저(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를 통신 세션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세션 정보)로부터 특정할 수 있으므로, 초대 신청 정보에 있어서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 정보와 같이 세션 정보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는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세션 정보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초대 신청 정보에 한한 것이 아니라 다른 정보라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초대 신청 정보를 취득해서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취득한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유저 ID에 기초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초대 신청 정보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는, 초대 신청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으면 되며, 어느 한쪽이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고, 양쪽이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초대 신청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정보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정보와 관련지어서 취득해도 된다. 그리고, 초대 신청 관리부(234)는, 초대 신청 수취부(233)가 관련지어서 취득한 초대 신청 정보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를 관련지어서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관리해도 된다.
또한,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초대 신청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를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피 초대 유저에 대하여 초대 유저가 누구인지를 알리지 않는 경우, 또는 초대가 성립했을 때 초대 유저에 대하여 보수를 부여하지 않는 경우 등은, 관리 서버(20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없고, 취득한 초대 통지 정보를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초대 신청 정보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정보와 관련지어서 취득해도 된다. 그리고, 초대 신청 관리부(234)는, 초대 신청 수취부(233)가 관련지어서 취득한 초대 신청 정보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를 관련지어서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관리해도 된다.
(17) 관리 서버(200)의 신청 조회부(235)는,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당해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한다. 예를 들어, 신청 조회부(235)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포함되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한다. 일례로서, 신청 조회부(235)는, 상기 신청 조회에 포함되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의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에 대응하는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한다.
또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는, 신청 조회에 관련지어져 있으면 되고, 당해 신청 조회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신청 조회부(235)는,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관련지어진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에 대응하는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해도 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당해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을 관리하고 있는지 여부를 조회할 수 있다.
(18) 유저 단말기(100)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가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하는 정보(제2 유저 정보의 일례, 예를 들어, 유저 ID)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의 유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조회하는 조회부(16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유저 단말기(100)의 초대 통지 취득부(167)는, 조회부(166)가 조회한 결과,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가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하는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가 있는 경우에,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다.
즉, 유저 단말기(100)의 초대 통지 취득부(167)는, 예를 들어, 다른 유저 단말기(100)(타 단말 장치의 일례)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된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피 초대 유저(선택된 유저의 일례)의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에 기초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초대 신청된 유저(피 초대 유저의 일례)가 자 유저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의 제시부(168)(제2 제시부의 일례, 초대 정보 제시부의 일례)는, 초대 통지 취득부(167)가 취득한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를 제시한다.
또한, 피 초대 유저(초대받는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정보는, 초대 신청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으면 되고,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의 초대 통지 취득부(167)는, 다른 유저 단말기(100)(타 단말 장치의 일례)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된 초대 신청 정보에 관련지어진 피 초대 유저(초대받는 유저의 일례)의 유저 ID(식별 정보의 일례)에 기초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초대 신청된 유저(피 초대 유저의 일례)가 자 유저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즉, 초대 통지 취득부(167)는, 다른 유저 단말기(100)(타 단말 장치의 일례)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된 초대 신청 정보 중, 피 초대 유저(초대되는 유저의 일례)가 자 유저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그리고, 제시부(168)(제2 표시 제어부의 일례)는, 예를 들어, 초대 통지 취득부(167)가 취득한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자 유저가 피 초대 유저가 되는 초대 신청 기록이 관리 서버(200)에 관리되어 있는 경우, 당해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취득해서 제시할(표시부(120)에 표시시킬) 수 있다. 즉,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있어서,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이 피 초대 유저에게 통지된다.
(19) 유저 단말기(100)는, 제시부(168)(제2 제시부의 일례)가 제시한 초대 정보에 대한 제3 조작에 기초하여, 당해 초대 정보가 나타내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인스톨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시키는 화면 천이부(169)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천이부(169)는, 제시부(168)(제2 표시 제어부의 일례)가 표시부(120)에 표시시킨 초대 정보에 대한 제3 조작에 기초하여, 당해 초대 정보가 나타내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인스톨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가 승낙된 경우, 승낙된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인스톨 가능한 스토어 페이지를 유저에게 특별한 조작을 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20) 유저 단말기(100)는, 제시부(168)(제2 제시부의 일례, 초대 정보 제시부의 일례)가 제시한 초대 정보 중 제3 조작이 이루어진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의 단말기 기억부(140)(기억부의 일례)에 기억시키는 초대 정보 관리부(1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초대 정보 관리부(170)는, 초대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정보 대신에, 초대 통지 정보에 관련지어진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단말기 기억부(140)에 기억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정보 관리부(170)는, 제시부(168)(제2 표시 제어부의 일례)가 표시부(120)에 표시시킨 초대 정보 중 제3 조작이 이루어진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통지 정보에 관련지어진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의 단말기 기억부(140)(기억부의 일례)에 기억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승낙된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기억시켜서 둠으로써, 이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이 인스톨된 경우에, 당해 인스톨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이 초대 신청된 것임을 특정할 수 있다.
(21) 유저 단말기(100)는, 제시부(168)(초대 정보 제시부의 일례)가 제시한 초대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이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에 인스톨되고, 또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초대 정보에 대응한 초대 성립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하는 초대 성립 통지부(17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소정의 조건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이 인스톨되어서 처음으로 실행(기동)한 것이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성립 통지부(171)는, 제시부(168)(제2 표시 제어부의 일례)가 표시부(120)에 표시시킨 초대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이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에 인스톨되고, 또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초대 정보에 대응한 초대 성립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예를 들어, 초대 성립 통지부(171)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동작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대응한 초대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한 초대 성립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초대 정보 관리부(170)는, 제시부(168)(제2 표시 제어부의 일례, 초대 정보 제시부의 일례)가 표시부(120)에 표시시킨 초대 정보 중 제3 조작이 이루어진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통지 정보에 관련지어진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의 단말기 기억부(140)(기억부의 일례)에 기억시켜도 된다. 이 경우, 초대 성립 통지부(171)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응한 초대 통지 정보에 관련지어진 적어도 일부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한 초대 성립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에 기초하여 피 초대 유저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인스톨해서 이용함으로써, 당해 초대 신청에 의해 초대가 성립된 것을 관리 서버(200)에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초대 성립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하는 타이밍을,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이용한 후의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로 하면, 단순히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이 인스톨되기만 하고 이용되지 않은 경우를 초대 성립의 조건으로부터 제외할 수 있다.
(22) 관리 서버(200)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와, 초대 성립 처리부(238)를 구비하고 있다. 초대 성립 수취부(237)는,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이 기동한 것에 기초하여,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수취한다. 예를 들어, 초대 성립 수취부(237)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초대 성립 정보를 수취한다.
초대 성립 처리부(238)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가 수취한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에 의한 초대가 성립된 경우, 예를 들어, 초대가 성립됨으로 인한 소정의 보수(예를 들어, 인센티브)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에 대하여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초대 성립 수취부(237)는, 상기 초대 성립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어,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이 기동한 경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하여져,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이 기동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초대 성립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게임 A)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성립 수취부(237)는,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이 기동한 것에 기초하여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 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서버 장치의 일례)로부터 송신된,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수취한다. 그리고, 초대 성립 처리부(238)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가 수취한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에 의한 초대가 성립된 경우, 성립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에 의한 초대가 성립된 것을 인식한 경우, 예를 들어, 소정의 보수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에 대하여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대 성립 처리부(238)는, 소정의 처리로서, 초대 성립 수취부(237)가 수취한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여,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통지하는 초대 완료 통지 정보를,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 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서버 장치의 일례)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는,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조건으로 해서, 보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초대 성립 처리부(238)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가 수취한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에게 보수가 부여되도록, 적어도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에 대응하는 정보를 초대 완료 통지 정보로 해서,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 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서버 장치의 일례)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는,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초대 유저에 대하여 보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에 의한 초대가 성립된 경우, 소정의 보수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피 초대 유저에 대하여 부여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 또는 피 초대 유저에 대하여 소정의 보수가 부여되도록 해도 되고,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보수가 초대 유저 또는 피 초대 유저에 대하여 부여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보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과는 상이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보수, 또는 웹 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보수(예를 들어,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의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매매할 때 이용하는 할 수 있는 통화나 포인트 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200)는, 예를 들어, 유저에게 부여된 보수에 관한 정보를 일단 관리하고, 그 후 소정의 수속이 행해짐으로써,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보수, 또는 웹 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보수가 되도록, 당해 관리하고 있는 보수에 관한 정보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 또는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에 송신해도 된다.
(23) 초대 성립 정보에는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되고, 당해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직접적 또는 당해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기억부의 일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취득한 것이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취득된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되는 초대 성립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초대 성립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으면 되고, 당해 초대 성립 정보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성립 정보에는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관련지어져 있고, 당해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직접적 또는 당해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기억부의 일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취득한 것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관련지어진 초대 성립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24)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의 기능과, 특정 모드 기동부(162)의 기능과,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의 기능과, 초대 신청 통지부(164)의 기능과, 특정 모드 종료부(165)의 기능과, 조회부(166)의 기능과, 초대 통지 취득부(167)의 기능과, 제시부(168)의 기능과, 화면 천이부(169)의 기능과, 초대 정보 관리부(170)의 기능과, 초대 성립 통지부(171)의 기능이,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각각의 프로그램)에 내장된 SDK(11)(프로그램(소프트웨어)의 일례)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즉,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각각의 프로그램)에 내장된 SDK(11)(프로그램(소프트웨어)의 일례)가 실행됨으로써,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의 기능과,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의 일례)의 기능과,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초대 후보 유저 정보 취득부의 일례)의 기능과, 초대 신청 통지부(164)의 기능과, 특정 모드 종료부(165)의 기능과, 조회부(166)의 기능과, 초대 통지 취득부(167)의 기능과, 제시부(168)(제1 표시 제어부의 일례, 제2 표시 제어부의 일례)의 기능과, 화면 천이부(169)의 기능과, 초대 정보 관리부(170)의 기능과, 초대 성립 통지부(171)의 기능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내장된 SDK(11A)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의 기능과, 특정 모드 기동부(162)의 기능과, 제시부(168)의 일부 기능과, 초대 성립 통지부(171)의 기능을 실행하고,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내장된 SDK(11B)가,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의 기능과, 초대 신청 통지부(164)의 기능과, 특정 모드 종료부(165)의 기능과, 조회부(166)의 기능과, 초대 통지 취득부(167)의 기능과, 제시부(168)의 일부 기능과, 화면 천이부(169)의 기능과, 초대 정보 관리부(170)의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SDK(11A)와 SDK(11B)는 각각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내장되어 있는지,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내장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의 프로그램에 내장된 SDK(11A)(프로그램(소프트웨어)의 일례)가 실행됨으로써,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의 일례)의 기능이 실현되고,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의 프로그램에 내장된 SDK(11B)(프로그램(소프트웨어)의 일례)가 실행됨으로써,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유저 정보 취득부의 일례)의 기능과, 초대 신청 통지부(164)의 기능이 실현된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에 SDK(11)를 내장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지금부터 개발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도, SDK(11)를 내장 가능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을 갱신 또는 소변경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와,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와, 제시부(168)와, 초대 정보 관리부(170)와, 초대 성립 통지부(171)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SDK(11A)가 실행하는 기능 구성이며,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와, 초대 신청 통지부(164)와, 특정 모드 종료부(165)와, 조회부(166)와, 초대 통지 취득부(167)와, 제시부(168)와, 화면 천이부(169)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SDK(11B)가 실행하는 기능 구성인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내장된 SDK(11A)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내장된 SDK(11B) 각각이 실행하는 초대 처리의 기능 구성은, 일례이며, SDK(11A)와 SDK(11B)의 각각이 실행하는 기능 구성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통지부(164)를 SDK(11A)가 실행하는 기능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상호 초대 시스템(500)의 구성은, 미리 설정한 임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피 초대 유저를 선택 가능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제외할 수 있도록 한 점이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이하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관리 서버(2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관리 서버(200)는, 기억부(220)가 또한 추출 조건 기억부(225)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제어부(230)가 추출부(239)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도 6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관리 서버(200)의 구성과 상이하다. 또한, 도 11에서, 도 6에 나타내는 각 부에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특징적인 구성과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추출 조건 기억부(225)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신청이 가능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는 추출 조건을 기억한다. 예를 들어, 추출 조건 기억부(225)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있어서 서로 초대시키고 싶지 않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조합에 관한 설정을 나타내는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상호 초대 거부 설정 기억부(226)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호 초대 거부 설정 기억부(226)는,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애플리케이션과, 당해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조합으로 한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제3 금지 정보)를 기억한다. 도 12는, 상호 초대 거부 설정 기억부(226)에 기억되는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에는, 필터 ID(FilterID)와, 블록하는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와, 블록되는 애플리케이션 ID(ApIDto)가 관련지어져 있다.
필터 ID(FilterID)는,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마다 식별 가능하도록 각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가 등록된 순서대로 발행되는 관리 ID이다. 블록하는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에는,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된다. 블록되는 애플리케이션 ID(ApIDto)에는,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애플리케이션 ID가 블록되는 애플리케이션 ID(ApIDto)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블록하는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로 설정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제외된다. 즉,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으로부터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대한 초대를 금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블록되는 애플리케이션 ID(ApIDto)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의 애플리케이션 ID를 설정하고, 블록하는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에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애플리케이션 ID를 설정하면 된다.
또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애플리케이션 ID가 블록하는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블록되는 애플리케이션 ID(ApIDto)로 설정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제외되어도 된다. 즉, 블록하는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와 블록되는 애플리케이션 ID(ApIDto)에 각각 설정되는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애플리케이션과,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일방향에 대해 초대 신청이 금지되도록 해도 되고, 쌍방향에 대해 초대 신청이 금지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상술한 상호 초대 거부 설정 기억부(226)에 기억되는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에 의해 관리된다. 즉,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는,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애플리케이션과, 당해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조합으로 한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를 관리한다.
추출부(239)는, 상호 초대 거부 설정 기억부(226)에 기억되어 있는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에 기초한 추출 조건에 의해,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이 가능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는, 추출부(239)가 추출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신청이 가능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로서,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에 의해, 초대 금지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임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피 초대 유저를 선택 가능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제외할 수 있다.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포함하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가 관리하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어,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나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설정된 초대 신청의 금지에 관한 정보이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를 참조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이 가능한지 여부(예를 들어, 초대 신청의 금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정하고, 초대 신청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를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초대 신청 가능한 대응 애플리케이션만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는,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애플리케이션과, 당해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조합으로 한 초대 금지 정보를 관리한다.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가 관리하고 있는 초대 금지 정보를 참조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고 있는 초대 금지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초대 금지 정보(제3 금지 정보의 일례)가 나타내는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는, 추출부(239)가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이 가능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로서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추출 조건으로서,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에서 관리하고 있는 초대 금지 정보 중,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고 있는 초대 금지 정보가 있다고 하자. 이 경우에는, 추출부(239)는, 당해 초대 금지 정보가 나타내는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으로 해서 제외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는, 추출부(239)의 추출 결과에 기초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에 의해,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서는, 상호 초대시키고 싶지 않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관계를 관리 서버(200)에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레이팅(연령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있으면, 레이팅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레이팅이 설정되어 있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의 초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레이팅이 설정되어 있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제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의 설정측 애플리케이션과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설정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은, 서로(쌍방향으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의 게재를 금지(블록)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간 필터 정보에 있어서의 블록하는 애플리케이션 ID(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와 블록되는 애플리케이션 ID(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는 쌍방향으로 게재가 금지되는 관계로 해도 된다. 즉,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232)(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가 관리하고 있는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고 있는 초대 금지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초대 금지 정보가 나타내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쌍방향에 대하여 초대 신청이 금지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일방향의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를 기억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상호 초대 거부 설정 기억부(226)의 기억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초대 거부 설정 기억부(226)에 기억하는 상호 초대 금지 설정 정보에, 일방향으로 유효한지 쌍방향으로 유효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상호 초대 시스템(500)의 구성은, 피 초대 유저로서 선택 가능한 유저의 유저 리스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유저를 제외할 수 있도록 한 점이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이하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예를 들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로부터 취득한 유저 리스트에 대응하는 프렌드 일람이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어 유저를 소정의 추출 조건에 따라 필터링하고 나서 새로운 유저 리스트(이하,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라고도 함)로서 표시부(120)에 표시되도록 구성한다. 이 유저 리스트의 필터링 처리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취득한 유저 리스트가, 유저 단말기(100-1)(SDK(11B))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통지됨으로써, 관리 서버(200)에서 행하여진다.
〔유저 리스트의 필터링 처리의 동작의 설명〕
도 13을 참조하여, 유저 리스트를 필터링하는 경우의 초대 처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초대 처리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초대 처리는, 도 9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의 초대 처리에 대하여 유저 리스트의 필터링 처리(스텝 SB130, SE120, SB140)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이 도 13에서, 도 9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B120에서, 유저 단말기(100-1)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은,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로부터 유저 리스트를 취득하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SDK(11B)의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는, 당해 유저 리스트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유저 리스트를 관리 서버(20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는, 당해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저의 유저 ID를 포함하는 필터링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REQ12, 스텝 SB130).
여기서, 필터링 요구 정보에는, 예를 들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ID(ApIDto)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to_UIDfrom)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to_UIDto)가 포함된다.
이어서, 관리 서버(200)는, 유저 단말기(100-1)(SDK(11B))로부터 필터링 요구 정보를 수취함으로써 유저 리스트를 취득하면, 소정의 추출 조건에 따라 필터링 처리를 행하고, 필터링 결과로서 필터링 후의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유저 단말기(100-1)(SDK(11B))에 대하여 송신한다(RES12, 스텝 SE120). 이 필터링 후의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필터링 결과)에는, 유저 단말기(100-1)(SDK(11B))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통지된 유저 리스트 중에서 소정의 추출 조건에 의해 추출된 유저의 유저 ID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유저 단말기(100-1)의 SDK(11B)의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는, 송신한 필터링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필터링 결과로서, 필터링 후의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다(스텝 SB140).
스텝 SB140에서,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가 필터링 후의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취득하면, 유저 단말기(100-1)의 SDK(11B)의 제시부(168)는, 당해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저의 적어도 일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 리스트에 대응하는 프렌드 일람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스텝 SB150).
〔제3 실시 형태의 관리 서버(200)의 구성〕
이어서, 상술한 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는 관리 서버(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관리 서버(2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관리 서버(200)는, 제어부(230)가 유저 리스트 통지부(240)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과, 추출 조건 기억부(225)가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기억부(227)와,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8)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도 11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관리 서버(200)의 구성과 상이하다. 또한, 도 14에서, 도 11에 도시하는 각 부에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특징적인 구성과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관리 서버(200)의 유저 리스트 통지부(240)는, 유저 단말기(100)에 있어서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SDK(11B))으로부터 유저 리스트의 필터링을 요구하는 필터링 요구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경우, 유저 리스트 통지부(240)는, 추출부(239)에 의한 필터링 결과(추출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저 중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유저 단말기(100)(SDK(11B))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추출부(239)는, 유저 단말기(100)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SDK(11B))으로부터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저 중,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소정의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필터링(추출)한다.
추출부(239)가 추출하는 소정의 추출 조건은,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에 의해 관리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추출 조건 기억부(225)에 기억되어 있다. 추출 조건 기억부(225)는,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기억부(227)와,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8)를 구비하고 있다.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기억부(227)는, 추출부(239)의 추출 조건으로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있어서, 초대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유저에 관한 설정을 나타내는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기억부(227)는,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유저와, 당해 설정측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유저와, 이 설정을 유효로 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조합으로 한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제1 금지 정보)를 기억한다.
도 15는,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기억부(227)에 기억되는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에는, 필터 ID(FilterID)와, 애플리케이션 ID(FilterApID)와, 블록하는 유저(UIDfrom)와, 블록되는 유저(UIDto)가 관련지어져 있다. 필터 ID(FilterID)는,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마다 식별 가능하도록 각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가 등록된 순서대로 발행되는 관리 ID이다. 애플리케이션 ID(FilterApID)에는, 이 금지 설정을 유효로 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애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된다. 블록하는 유저(UIDfrom)에는,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유저의 유저 ID가 설정된다. 블록되는 유저(UIDto)에는,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유저의 유저 ID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애플리케이션 ID(FilterApID)로 설정되고, 또한 초대 유저의 유저 ID가 블록되는 유저(UIDto)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초대 유저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블록하는 유저(UIDfrom)로 설정되어 있는 유저가 제외된다. 따라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 유저 X로부터의 초대를 유저 Y가 받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ID(FilterApID)에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의 애플리케이션 ID를 설정하고, 블록되는 유저(UIDto)에 유저 X의 유저 ID를 설정하고, 블록하는 유저(UIDfrom)에 유저 Y의 유저 ID를 설정하면 된다. 이에 의해, 유저 X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서는,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유저 Y가 제외된다.
또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애플리케이션 ID(FilterApID)로 설정되고, 또한 초대 유저의 유저 ID가 블록하는 유저(UIDfrom)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초대 유저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의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블록되는 유저(UIDto)로 설정되어 있는 유저가 제외되어도 된다. 즉, 블록하는 유저(UIDfrom)와 블록되는 유저(UIDto)에 각각 설정되는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유저와, 초대 신청을 금지되는 피 설정측 유저에 대하여, 일방향에 대해 초대 신청이 금지되도록 해도 되고, 쌍방향에 대해 초대 신청이 금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SDK(11)의 기능으로서,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초대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유저를 설정 가능하게 한다. 유저(블록하는 유저)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어느 하나에서 당해 블록 설정을 행하면, 애플리케이션 ID(FilterApID)로서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 블록하는 유저(UIDfrom)로서 블록 설정을 행하는 유저의 유저 ID, 블록되는 유저(UIDto)로서 초대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유저의 유저 ID 각각이 설정된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가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기억부(227)에 등록되어서 기억된다.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8)는, 추출부(239)의 추출 조건으로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있어서, 유저가 초대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설정을 나타내는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
도 16은,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8)에 기억되는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에는, 필터 ID(FilterID)와, 블록하는 유저(UIDfrom)와, 블록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FilterApID)가 관련지어져 있다. 필터 ID(FilterID)는,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마다 식별 가능하도록 각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가 등록된 순서대로 발행되는 관리 ID이다. 애플리케이션 ID(FilterApID)에는, 유저가 초대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된다. 블록하는 유저(UIDfrom)에는, 이 애플리케이션 ID(FilterApID)로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ID가 나타내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초대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유저의 유저 ID가 설정된다.
또한, SDK(11)의 기능으로서,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유저가 초대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설정 가능하게 한다. 유저(블록하는 유저)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어느 하나에서 당해 블록 설정을 행하면, 애플리케이션 ID(FilterApID)로서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 블록하는 유저(UIDfrom)로서 블록 설정을 행하는 유저의 유저 ID 각각이 설정된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가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8)에 등록되어서 기억된다.
예를 들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애플리케이션 ID(FilterApID)로 설정되고, 또한 유저 Y의 유저 ID가 블록하는 유저(UIDfrom)로 설정되어 있었다고 하자. 이 경우에는,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에 있어서 제시되는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유저 Y가 제외된다.
또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이 애플리케이션 ID(FilterApID)로 설정되고, 또한 유저 Y의 유저 ID가 블록하는 유저(UIDfrom)로 설정되고 있다고 하자. 이 경우에는,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X)에 대하여 제시되는 초대 후보의 프렌드 일람 중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 초대하는 초대 후보 유저의 프렌드 일람으로부터 유저 Y가 제외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이미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또는 한번 플레이된 후에 언인스톨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정리〕
(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저 단말기(100)(단말 장치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와,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의 일례)와, 제시부(168)(제1 제시부의 일례, 제2 제시부의 일례)와,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와, 초대 신청 통지부(164)와, 조회부(166)와, 초대 통지 취득부(167)와, 화면 천이부(169)와, 초대 정보 관리부(170)를 구비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제1 조작에 기초하여,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이 인스톨된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당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인스톨시키는 처리(초대 처리의 일례)에 대응하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다. 제시부(168)(제1 제시부의 일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제시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가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제시한다.
그리고,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의 일례)는, 제시부(168)(제1 제시부의 일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제시부의 일례)가 제시한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제2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하여,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자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제1 유저 정보(유저 ID나 당해 유저 ID에 관련지어진 토큰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통지 가능하도록 당해 선택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킨다.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이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에 관리 서버(200)로부터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다. 그리고,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제1 유저 정보, 및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가 취득한 유저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유저(피 초대 유저의 일례)에 대응한 제2 유저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를 포함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조회부(166)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피 초대 유저가 자 유저(예를 들어, 유저 Y)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즉, 자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의 기록(초대 신청 기록의 일례)의 유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조회(신청 조회의 일례)한다. 그리고, 초대 통지 취득부(167)는, 조회부(166)가 조회한 결과,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가,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제2 유저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가 있는 경우에,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제시부(168)(제2 제시부의 일례, 초대 정보 제시부의 일례)는, 초대 통지 취득부(167)가 취득한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를 제시한다. 화면 천이부(169)는, 제시부(168)가 제시한 초대 정보에 대한 제3 조작에 기초하여, 당해 초대 정보가 나타내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인스톨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그리고, 초대 정보 관리부(170)는, 제시부(168)가 제시한 초대 정보 중 제3 조작이 이루어진(피 초대 유저(예를 들어, 유저 Y)에 의해 초대가 승낙된)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에 기억시킨다.
또한, SDK(11)가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그 경우에는, 당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저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의 구성이 없어도 된다.
또한,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신청 조회를 행하지 않아도, 관리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당해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있어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기동한 것을 계기로 해서, 당해 피 초대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당해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초대 통지 정보를 소정의 시간 주기로 송신해도 되고, 소정의 시각에 정기적으로 송신해도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유저 단말기(100)(단말 장치의 일례)는,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의 일례)와, 제시부(168)(제1 표시 제어부의 일례, 제2 표시 제어부의 일례)와,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초대 후보 유저 정보 취득부의 일례)와, 초대 신청 통지부(164)와, 초대 통지 취득부(167)와, 화면 천이부(169)를 적어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각 구성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기재할 수 있다.
제시부(168)(제1 표시 제어부의 일례)는,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에 인스톨되어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의 제1 조작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특정 모드 기동부(162)(기동부의 일례)는, 제시부(168)가 표시시킨 하나 또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제2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특정 모드로서 기동시킨다.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초대 후보 유저 정보 취득부의 일례)는,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되는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유저 리스트(초대 후보 유저 정보의 일례)를 취득한다. 초대 신청 통지부(164)는,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가 취득한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 중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되는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한 제2 유저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가 관련지어진 초대 신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초대 통지 취득부(167)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 자 유저에 대응한 정보가 피 초대 유저에 대응하는 제2 유저 정보가 되는 초대 신청 정보가 관리 서버(200)에 있는 경우에,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다. 제시부(168)(제2 표시 제어부의 일례)는, 초대 통지 취득부(167)가 취득한 초대 통지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화면 천이부(169)는, 제시부(168)가 표시부(120)에 표시시킨 초대 정보에 대한 제3 조작에 기초하여, 당해 초대 정보가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의 조작에 기초하여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특정 모드에서 기동시킴으로써,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취득해서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에 의해 나타나는 유저는, 예를 들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다른 유저 중에서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로서 추출된 유저이며,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초대 가능한 유저의 후보이다. 따라서, 유저 단말기(100)는, 피 초대 유저로서 선택 가능한 유저만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초대 유저가 피 초대 유저를 선택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는, 초대 유저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피 초대 유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수 있다. 또한,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서는, 초대 유저로부터 초대 신청이 있었을 경우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의 초대 정보가 표시부(120)에 표시되기 때문에, 피 초대 유저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초대된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그 표시부(120)에 표시된 초대 정보에의 조작에 의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인스톨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되기 때문에, 피 초대 유저가, 초대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용이하게 인스톨할 수 있다.
(2) 유저 단말기(100)는, 초대 성립 통지부(171)를 구비하고 있다. 초대 성립 통지부(171)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의 단말기 기억부(140)(기억부의 일례)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동작 중의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대응한 초대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한 초대 성립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대 정보 관리부(170)는, 제시부(168)(제2 표시 제어부의 일례, 초대 정보 제시부의 일례)가 표시부(120)에 표시시킨 초대 정보 중 제3 조작이 이루어진 초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통지 정보에 관련지어진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의 단말기 기억부(140)(기억부의 일례)에 기억시켜도 된다. 이 경우, 초대 성립 통지부(171)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억부(140)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대응한 초대 통지 정보에 관련지어진 적어도 일부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한 초대 성립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에 기초하여 피 초대 유저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인스톨해서 이용함으로써, 당해 초대 신청에 의해 초대가 성립된 것을 관리 서버(200)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초대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호 초대 시스템(500)을 이용하지 않고 유저 자신이 인스톨(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에 기초하지 않는 인스톨)한 것을 제외할 수 있다. 즉,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에 의해 초대가 성립된 것만을 관리 서버(200)에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초대 성립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하는 타이밍을,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 이용 후의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로 하면, 단순히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이 인스톨되기만 하고 이용되지 않은 경우를 초대 성립의 조건에서 제외할 수 있다.
(3) 유저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URL 스킴을 취득한다. 그리고, 제시부(168)(제1 제시부의 일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제시부의 일례)는, 취득한 URL 스킴을 사용하여,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해서 자 유저에게 제시한다.
또한, URL 스킴을 이용해서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OS가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 완료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 가능한 경우에는, 이 OS가 취득한 인스톨 완료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타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시부(168)(제1 표시 제어부의 일례)는,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161)(애플리케이션 정보 취득부의 일례)가 취득한, 하나 또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하고, 검출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한 대응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유저 단말기(100)(자 단말 장치의 일례)에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만을 제시할(표시부(120)에 표시시킬) 수 있다.
(4) 본 실시 형태의 유저 단말기(100)(단말 장치의 일례)에 인스톨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SDK(11)의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는,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대응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서버 장치의 일례)로부터 취득한 유저 리스트를 관리 서버(200)(관리 장치의 일례)에 통지해도 된다. 그리고,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는, 통지한 유저 리스트로부터 소정의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필터링(추출의 일례)된 유저의 리스트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해서 새로운 유저 리스트(예를 들어,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 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 리스트는,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이며, 그 정보의 형태는 어떤 형태여도 된다. 예를 들어,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초대 후보 유저 정보 취득부)는, 특정 모드에서 동작 중인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있어서 초대 유저(자 유저의 일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유저 리스트(소정 관계 유저 정보의 일례)를 관리 서버(200)에 통지해도 된다. 그리고, 유저 리스트 취득부(163)는, 통지한 유저 리스트로부터 소정의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된 유저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취득해서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초대 후보 유저 정보의 일례)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100)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 중 미리 설정된 유저를 제외한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피 초대 유저를 선택 가능한 유저의 프렌드 일람으로서, 초대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초대 유저는, 초대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유저가 제외된 프렌드 일람 중에서 피 초대 유저를 선택할 수 있다.
(5) 관리 서버(200)(관리 장치의 일례)의 제어부(230)는, 추출부(239)와, 유저 리스트 통지부(240)와, 초대 신청 수취부(233)와, 초대 통지부(236)와, 초대 성립 수취부(237)를 구비하고 있다. 추출부(239)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저 중,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소정의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필터링(추출)한다. 유저 리스트 통지부(240)는, 추출부(239)가 추출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인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필터링 후의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 중의 선택된 유저인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수취한다. 초대 통지부(236)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 초대 성립 수취부(237)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수취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한 유저의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유저 단말기(100)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때의 초대하는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관리 장치의 일례)의 제어부(230)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되고, 추출부(239)와, 유저 리스트 통지부(240)와, 초대 신청 수취부(233)와, 초대 통지부(236)를 적어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추출부(239)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소정 관계 유저 정보의 일례)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저 중,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필터링(추출)한다. 유저 리스트 통지부(240)(초대 후보 유저 통지부의 일례)는, 추출부(239)가 추출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초대 후보 유저 정보의 일례)를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송신한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에 나타내어지는 유저 중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수취한다. 초대 통지부(236)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 중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만을 추출해서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때의 초대하는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부(239)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기동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 경우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한다. 그리고, 유저 리스트 통지부(240)는,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하여 송신한다.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피 초대 유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수취한다. 이와 같이, 초대 신청 정보를 초대 유저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수취하는 것이 아니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을 개재(기동)시켜서 수취하도록 했으므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과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과 같이 유저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애플리케이션간이라도 용이하게 유저를 초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수취하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관리 서버(200)는,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에 의한 초대가 성립된 경우, 성립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에 의한 초대가 성립된 것을 인식한 경우, 소정의 보수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있어서의 초대 유저에 대하여 부여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6) 예를 들어, 추출부(239)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로부터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를 제외한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는, 블록하는 유저(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유저)와, 블록되는 유저(설정측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유저)를 조합으로 한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제1 금지 정보의 일례)를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기억부(227)에 기억시켜서 관리한다.
그리고, 추출부(239)는, 추출 조건으로서,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가 관리하고 있는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 중,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를 블록되는 유저(피 설정측 유저의 일례)로 설정하고 있는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가 나타내는 블록하는 유저(설정측 유저의 일례)를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로서 추출 대상에서 제외한다.
또한,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를 블록하는 유저(설정측 유저의 일례)로 설정하고 있는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가 나타내는 블록되는 유저를, 초대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로서 제외해도 된다. 즉, 블록하는 유저와, 블록되는 유저에 대하여, 일방향에 대해 초대 신청이 금지되도록 해도 되고, 쌍방향에 대해 초대 신청이 금지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서는, 상호 초대시키고 싶지 않은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유저의 관계를 관리 서버(200)에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은, 임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초대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초대 유저로부터 피 초대 유저에의 초대 신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7) 추출부(239)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는, 블록하는 유저(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유저)와, 블록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설정측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조합으로 한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제2 금지 정보의 일례)를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8)에 기억시켜서 관리한다.
그리고, 추출부(239)는, 추출 조건으로서,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가 관리하고 있는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 중,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을 블록되는 애플리케이션(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 설정하고 있는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가 나타내는 블록하는 유저(설정측 유저의 일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로서 추출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를 제외한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은, 유저가 초대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대응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서는, 예를 들어, 유저가 자신의 유저 단말기(100)에 이미 인스톨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 또는 한번 플레이된 후에 언인스톨된 대응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을 행하면, 당해 유저에 대하여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상호 초대 시스템(500)의 구성은, 제3 실시 형태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특징적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추출 조건 기억부(225)에 기억되어 있는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정보 또는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리스트를 필터링하는 처리를 설명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되어 있는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하여, 유저 리스트를 필터링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의 추출부(239)는, 유저 단말기(100)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SDK(11B))으로부터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저 중에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하여 필터링(추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필터링 처리에 있어서 우선되어야 할 제1 목적은,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인스톨하고 있어, 이미 이용하고 있는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목적은, 초대 신청 중인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하는 것이다. 또한, 제3 목적은, 초대가 실패 또는 거부된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하는 것이다.
이하에,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해서 필터링하는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필터링 처리의 예로서 제1예 내지 제5예를 설명한다. 또한, 제1예 및 제2예가 상기 제1 목적에 관한 필터링 처리의 예이며, 제3예가 상기 제2 목적에 관한 필터링 처리의 예이며, 제4예 및 제5예가 상기 제3 목적에 관한 필터링 처리의 예이다.
여기서, 도 17 내지 도 21은,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되어 있는 초대 신청 기록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 초대 신청 기록에 포함되는 정보 중 「=」이 기재되어 있는 정보는, 추출부(239)가 필터링할 때의 추출 조건으로서, 과거에 초대 신청된 초대 신청 기록에 설정되어 있는 ID와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1) 도 17은,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해서 필터링하는 처리의 제1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제1예에 나타내는 처리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이미 이용(플레이)하고 있는 초대 후보 유저에 대하여 초대 신청(재초대)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의 초대 신청을 행한 적이 있는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하는 필터링 처리이다. 이 초대 신청은, 동일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및 동일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며, 초대 후보 유저가 초대 유저로 되어 있는 초대 신청임을 의미한다.
관리 서버(200)의 추출부(239)는,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되어 있는 초대 신청 기록에 대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ID(ApIDto)가 각각 일치하고, 또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to_UIDfrom)에 초대 후보 유저의 유저 ID가 일치하는 조건의 초대 신청(재초대)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 조건을 만족하는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한다. 즉,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to_UIDfrom)로 설정되어 있는 유저 ID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to_UIDto)가 되는 초대 신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당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to_UIDfrom)로 설정되어 있는 유저 ID가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한다.
(2) 도 18은, 초대 신청 필터링 처리의 제2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제2예에 나타내는 처리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이미 이용(플레이)하고 있는 초대 후보 유저에 대하여 초대 신청(재초대)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의 초대가 성립 완료된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하는 필터링 처리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초대 신청 정보는,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에, 플래그 「2」, 및 「3」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고, 이 초대 신청은 초대 성립 완료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관리 서버(200)의 추출부(239)는,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되어 있는 초대 신청 기록에 대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ID(ApIDto)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to_UIDto)가 각각 일치하는 조건의 초대 신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 조건을 만족하는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한다.
또한, 이 제2예에 나타내는 처리는, 제1예에 나타내는 처리에 더해서 적용해도 되고, 그 경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이미 이용(플레이)하고 있는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하는 필터링 처리가 된다.
(3) 도 19는, 초대 신청 필터링 처리의 제3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제3예에 나타내는 처리는, 예를 들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의 초대 신청이 초대 신청 중(초대 중)인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하는 필터링 처리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초대 신청 정보는,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에, 플래그 「0」, 및 「1」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고, 이 초대 신청은 초대 신청 중(초대 신청 미통지 또는 초대 신청 통지 완료)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관리 서버(200)의 추출부(239)는,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되어 있는 초대 신청 기록에 대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ID(ApIDto)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to_UIDto)가 각각 일치하는 조건의 초대 신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 조건을 만족하는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한다.
또한, 이 제3예에 나타내는 처리는, 제1예 또는 제2예에 나타내는 처리에 더해서 적용해도 되고, 그 경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이미 이용(플레이)하고 있는 초대 후보 유저 또는 초대 신청 중인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하는 필터링 처리가 된다.
(4) 도 20은, 초대 신청 필터링 처리의 제4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제4예에 나타내는 처리는, 예를 들어,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의 초대 신청이 실패 또는 거부되어 있는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하는 필터링 처리이다.
또한, 이 제4예에 나타내는 처리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221)에 기억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재초대 허가 플래그(FlagResultInvite)가 플래그 「0」(재초대 불가)로 설정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 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초대 신청 정보는,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에, 플래그 「-1」이 설정되어 있고, 이 초대 신청은 실패 또는 거부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관리 서버(200)의 추출부(239)는,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되어 있는 초대 신청 기록에 대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ID(ApIDto)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to_UIDto)가 각각 일치하는 조건의 초대 신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 조건을 만족하는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한다.
또한, 재초대 허가 플래그(FlagResultInvite)가 플래그 「1」(재초대 가능)로 설정되어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및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피 초대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하지 않는다.
또한, 이 제4예에 나타내는 처리는, 제1예 내지 제3예에 나타내는 처리에 더해서 적용해도 되고, 그 경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을 이미 이용(플레이)하고 있는 초대 후보 유저, 초대 신청 중인 초대 후보 유저, 또는 실패 또는 거부되어 있는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하는 필터링 처리가 된다.
(5) 도 21은, 초대 신청 필터링 처리의 제5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제5예에 나타내는 처리는, 제4예에 나타내는 처리에 있어서, 또한 초대 유저가 동일한 경우에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의 초대 신청이 실패한 초대 후보 유저로부터 제외하는 필터링 처리이다. 즉, 제4예에 나타내는 처리에 있어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게임 A)에의 초대 신청이 실패한 피 초대 유저라도, 초대 유저가 상이하면, 당해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하지 않아도 된다.
도 21에 나타내는 초대 신청 정보는, 초대 신청 상태(StatusInvite)에, 플래그 「-1」이 설정되어 있고, 이 초대 신청은 실패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관리 서버(200)의 추출부(239)는,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되어 있는 초대 신청 기록에 대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ID(ApIDfrom)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ID(ApIDto)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초대 유저 ID(Apto_UIDfrom)와, 신청처 애플리케이션의 피 초대 유저 ID(Apto_UIDto)가 각각 일치하는 조건의 초대 신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 조건을 만족하는 초대 후보 유저를,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로부터 제외한다.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필터링(추출)된 유저의 리스트를 새로운 유저 리스트(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의 일례)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하는 추출 조건에서 필터링이 행하여진다.
(1)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서버(200)(관리 장치의 일례)의 제어부(230)는, 추출부(239)와, 유저 리스트 통지부(240)와, 초대 신청 수취부(233)와, 초대 통지부(236)와, 초대 성립 수취부(237)를 구비하고 있다. 추출부(239)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저 중,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소정의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필터링(추출)한다. 유저 리스트 통지부(240)는, 추출부(239)가 추출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인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필터링 후의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 중의 선택된 유저인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수취한다. 초대 통지부(236)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 초대 성립 수취부(237)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수취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한 유저의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유저 단말기(100)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때의 초대하는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관리 장치의 일례)의 제어부(230)는, 초대 성립 수취부(237)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되고, 추출부(239)와, 유저 리스트 통지부(240)와, 초대 신청 수취부(233)와, 초대 통지부(236)를 적어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추출부(239)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소정 관계 유저 정보의 일례)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저 중,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필터링(추출)한다. 유저 리스트 통지부(240)(초대 후보 유저 통지부의 일례)는, 추출부(239)가 추출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초대 후보 유저 정보의 일례)를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초대 신청 수취부(233)는, 송신한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에 나타내어지는 유저 중 피 초대 유저(제2 유저의 일례)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수취한다. 초대 통지부(236)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 중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만을 추출해서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초대할 때의 초대하는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의 추출부(239)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신청을 한 적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한다(제1 추출 조건). 여기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을 한 적이 있는 유저란, 이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이용하고 있는 유저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이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이용하고 있는 유저가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에 게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는, 당해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고, 초대하는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추출부(239)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신청이 성립되어 있는 당해 초대 신청이 이루어진 적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해도 된다(제2 추출 조건). 여기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이 성립되어 있는 당해 초대 신청이 이루어진 적이 있는 유저란, 이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이용하고 있는 유저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이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이용하고 있는 유저가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에 게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는, 당해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고, 초대하는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1 추출 조건과, 이 제2 추출 조건을 조합함으로써, 이미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을 이용하고 있는 유저가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에 게재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4) 추출부(239)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신청이 이루어진 적이 있는 유저이며, 당해 초대 신청이 성립되지 않은 초대 신청 중인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해도 된다(제3 추출 조건).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다른 유저로부터 초대 신청이 이루어져 있는 유저가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에 게재되지 않게 되므로, 초대 신청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유저가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에 게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는, 당해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고, 초대하는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1 추출 조건 또는 제2 추출 조건과, 이 제3 추출 조건을 조합함으로써, 당해 초대 신청이 성립되기 쉬운 유저가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에 게재되게 된다.
(5) 추출부(239)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초대 신청을 각하한 적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해도 된다(제4 추출 조건의 일례). 여기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을 각하한 적이 있는 유저란, 피 초대 유저에 의해 초대 신청을 거부한 유저나, 초대 신청 중인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경과할 때까지 초대 신청을 방치한 유저를 나타낸다.
이러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을 각하한 유저는, 다시,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을 해도 초대 신청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초대 신청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유저가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에 게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는, 당해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고, 초대하는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1 추출 조건 또는 제2 추출 조건, 또는 상기의 제3 추출 조건에, 이 제4 추출 조건을 조합함으로써, 당해 초대 신청이 성립되기 쉬운 유저가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에 게재되게 된다.
(6) 관리 서버(200)의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는, 복수의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에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유저의 재초대를 허가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서 관리한다. 관리 서버(200)의 추출부(239)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를 참조하여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유저의 재초대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에의 초대 신청을 각하한 적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 포함시킨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재초대가 허가되어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의 경우에는, 재초대를 허가할 수 있다.
(7) 추출부(239)는, 상기 추출 조건에 있어서,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으로부터의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의 해당 초대 신청을 각하한 유저라도, 당해 초대 신청과 상이한 초대 유저(제1 유저의 일례)로부터의 초대 신청인 경우에는 당해 유저를 추출 대상에 포함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과거에 동일한 대응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초대 신청을 각하한 피 초대 유저라도, 초대 유저가 상이한 경우에는 재초대를 허가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 1, 2, 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기능은,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서버(200)의 통신부(210)(송수신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1)가 관리하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일례), 초대 신청 정보, 초대 통지 정보, 및 초대 성립 정보를, 직접적으로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 또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마찬가지로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통신부(130)(송수신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유저 리스트(초대 후보 유저 정보의 일례), 초대 신청 정보, 초대 통지 정보, 및 초대 성립 정보를 직접적으로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여기서, 관리 서버(200)의 통신부(21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서버 장치의 일례)를 통해서 통신 세션을 확립시킨 후에, 직접적으로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 또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와 통신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통신부(130)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동작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통해서 통신 세션을 확립시킨 후에, 직접적으로 관리 서버(200)와 통신해도 된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직접적으로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는 경우에, 필요에 따라 통신 세션을 확립시키도록 해도 된다. 즉, 통신 세션을 확립시키기 전에 직접적으로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는 경우와, 통신 세션을 확립시킨 후에 직접적으로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는 경우의 양쪽을 포함해도 된다.
도 22는, 통신 세션의 확립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통신 세션의 확립 처리(통신 세션 확립 처리)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이 유저 단말기(100)에서 기동된 후에, 관리 서버(200)와 통신을 행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서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도 22에서는, 유저 단말기(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의 SDK(11A)로부터 직접적으로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는 경우에 행하여지는 통신 세션의 확립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통신 세션의 확립 처리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의 SDK(11B)로부터 직접적으로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기(10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310)는 이미 통신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전제가 된다.
먼저, 유저 단말기(100)의 SDK(11A)는, 원타임 토큰의 취득을 요구하는 원타임 토큰 취득 요구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A10). 애플리케이션 서버(310)는, 유저 단말기(100)(SDK(11A))로부터 원타임 토큰 취득 요구 정보를 취득하면, 취득한 원타임 토큰 취득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원타임 토큰 생성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C10). 관리 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로부터 원타임 토큰 생성 요구 정보를 취득하면, 원타임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한 원타임 토큰을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E10). 애플리케이션 서버(31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원타임 토큰을 취득하면, 취득한 원타임 토큰을 유저 단말기(100)(SDK(11A))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C20). 유저 단말기(100)의 SDK(11A)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로부터 원타임 토큰을 취득하면, 취득한 원타임 토큰을 포함한 세션 확립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A20). 관리 서버(200)는, 유저 단말기(100)(SDK(11A))로부터 세션 확립 요구 정보를 취득하면, 취득한 세션 확립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원타임 토큰이 올바른 정보인 경우(유저 단말기(100)(SDK(11A))에 대하여 송신한 원타임 토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통신 세션을 확립하고,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의한 통신이 허가된다(스텝 SE20). 이후, 예를 들어, 도 9,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의한 초대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유저 단말기(100)(SDK(11A))로부터 취득한 세션 확립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원타임 토큰이 올바른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통신 에러로 하여,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의한 통신이 허가되지 않는다. 또한, 관리 서버(200)가 유저 단말기(100)(SDK(11A))로부터 세션 확립 요구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당연,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의한 통신이 허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통신 세션을 확립시킨 후에,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의한 통신을 개시함으로써 상호 초대 시스템(500)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1) 내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초대 신청 정보, 초대 통지 정보, 및 초대 성립 정보의 일부는, 유저 단말기(100)로부터 직접적으로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지 않고,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서버 장치의 일례)를 통해서 유저 단말기(100)와 통신해도 된다. 즉, 관리 서버(200)의 통신부(210)(송수신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초대 신청 정보, 초대 통지 정보, 또는 초대 성립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통해서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 또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와 통신, 또는 직접적으로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 또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통신부(130)(송수신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유저 리스트, 초대 신청 정보, 초대 통지 정보, 또는 초대 성립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동작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통해서 관리 서버(200)와 통신, 또는 직접적으로 관리 서버(200)와 통신해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의 통신부(210)(송수신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초대 신청 정보, 초대 통지 정보, 및 초대 성립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제1 애플리케이션의 일례)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제2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서버 장치의 일례)를 통해서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 또는 피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기(100)와 통신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유저 단말기(100)의 단말기 통신부(130)(송수신부의 일례)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유저 리스트, 초대 신청 정보, 초대 통지 정보, 및 초대 성립 정보를 신청원 애플리케이션(10) 또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동작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통해서 관리 서버(200)와 통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상호 초대 시스템(500)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통해서 유저 단말기(100)와 관리 서버(200)가 통신해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초대 처리를 행할 수 있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상기 제3 실시 형태 및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 단말기(100-1)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이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로부터 유저 리스트를 취득하고, 취득한 유저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저의 유저 ID를 포함하는 필터링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통지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00-1)의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게임 B)은,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로부터 유저 리스트를 취득하지 않고 필터링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통지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유저 단말기(100-1)(SDK(11B))로부터 필터링 요구 정보를 수취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에 대하여 유저 X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요구하는 프렌드 일람 요구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에 송신한다.
이어서,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프렌드 일람 요구 정보를 취득하면, 유저 X와 소정의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의 유저 리스트를,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로부터 유저 리스트를 취득하면, 소정의 추출 조건에 따라 필터링 처리를 행하고, 필터링 결과로서 필터링 후의 초대 후보 유저 리스트를 유저 단말기(100-1)(SDK(11B))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200)가,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로부터 유저 리스트를 취득하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320)(게임 B)로부터 직접적 또는 유저 단말기(100-1)(SDK(11B))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취득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게임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 대응 애플리케이션은 게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임 이외의 어떤 애플리케이션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초대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초대 유저와 친구 관계에 있는 유저로서 설명했지만, 이 소정의 관계는 친구 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 소정의 관계는,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있어서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관계, 회사 관계, 친족 관계 등일 수도 있고, 단순히 신청처 애플리케이션(20)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의 관계로 해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의 기억부(220)는, 관리 서버(200)와는 상이한 서버 장치에 구비되어도 된다. 그리고, 관리 서버(200)의 제어부(230)가 관리 서버(200)와는 상이한 서버 장치에 구비된 기억부(220)에 대하여 네트워크(NW)를 통해서 통신함으로써, 기억부(220)가 구비하는 각 부가 기억하는 각 정보를 관리해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가 일체로 된 서버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이 네이티브형의 애플리케이션인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호 초대 시스템(500)에 대응하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은, 당해 대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의 실행 주체가 유저 단말기(100)가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서버(300)가 되는, 소위, 브라우저형(Web형)의 애플리케이션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어부(230) 또는 SDK(11)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판독시켜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각 부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여기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판독시켜 실행하는」이란, 컴퓨터 시스템에 프로그램을 인스톨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OS나 주변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은, 인터넷이나 WAN, LAN, 전용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복수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가반형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는, CD-ROM 등의 비일과성의 기록 매체여도 된다. 또한, 기록 매체에는, 당해 프로그램을 배신하기 위해서 배신 서버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기록 매체도 포함된다. 배신 서버의 기록 매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단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형식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즉, 배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서 단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로 인스톨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배신 서버에서 기억되는 형식은 상관없다. 또한, 프로그램을 복수로 분할하여, 각각 상이한 타이밍에서 다운로드한 후에 단말 장치에서 합체되는 구성이나, 분할된 프로그램 각각을 배신하는 배신 서버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네트워크를 통해서 프로그램이 송신된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RAM)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 소위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의 집적 회로로서 실현해도 된다. 상술한 각 기능은 개별로 프로세서화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를 집적해서 프로세서화해도 된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방법은 LSI에 한하지 않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LSI에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한 경우, 당해 기술에 의한 집적 회로를 사용해도 된다.
1 : 네트워크 시스템 10 : 신청원 애플리케이션
11, 11A, 11B : SDK 20 : 신청처 애플리케이션
100 : 유저 단말기(단말 장치) 110 : 입력부
120 : 표시부 130 : 단말기 통신부
140 : 단말기 기억부(기억부) 150 : 단말기 제어부
161 :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부 162 : 특정 모드 기동부(기동부)
163 : 유저 리스트 취득부 164 : 초대 신청 통지부
165 : 특정 모드 종료부 166 : 조회부
167 : 초대 통지 취득부 168 : 제시부
169 : 화면 천이부 170 : 초대 정보 관리부
171 : 초대 성립 통지부 200 : 관리 서버(관리 장치)
210 : 통신부 220 : 기억부
221 :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 222 : 초대 신청 정보 기억부
225 : 추출 조건 기억부 226 : 상호 초대 거부 설정 기억부
227 : 초대 신청 거부 유저 설정 기억부
228 : 초대 신청 거부 애플리케이션 설정 기억부
220 : 제어부 231 :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231 :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통지부 233 : 초대 신청 수취부
234 : 초대 신청 관리부 235 : 신청 조회부
236 : 초대 통지부 237 : 초대 성립 수취부
238 : 초대 성립 처리부 239 : 추출부
240 : 유저 리스트 통지부 300 : 애플리케이션 서버
310 : 애플리케이션 서버(게임 A) 320 : 애플리케이션 서버(게임 B)
400 :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500 : 상호 초대 시스템

Claims (71)

  1.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독자적으로 유저 식별 정보가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초대 신청 수취부와,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가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 중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초대 통지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는,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와 관련지어서 취득하고,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가 관련지어서 취득한 상기 초대 신청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를 관련지어서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관리하는 초대 신청 관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는,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저에 대응한 정보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와 관련지어서 취득하고,
    상기 초대 신청 관리부는,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가 관련지어서 취득한 상기 초대 신청 정보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저에 대응한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를 관련지어서 상기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저에 대응한 정보는,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직접적 또는 당해 단말 장치의 기억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취득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의 유무를 조회하는 신청 조회부를 구비하고,
    상기 초대 통지부는,
    상기 신청 조회부가 조회한 결과,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상기 초대 신청 정보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는, 상기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와 관련지어서 취득하고,
    상기 초대 신청 수취부가 관련지어서 취득한 상기 초대 신청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를 관련지어서 초대 신청 기록으로서 관리하는 초대 신청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청 조회부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기 신청 조회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응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수취하는 초대 성립 수취부와,
    상기 초대 성립 수취부가 수취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초대 성립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 성립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처리로서, 상기 초대 성립 수취부가 수취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통지하는 초대 완료 통지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 성립 처리부는,
    상기 초대 성립 수취부가 수취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저에게 보수가 부여되도록, 적어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저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초대 완료 통지 정보로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는 상기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관련지어져 있고, 당해 초대 통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직접적 또는 당해 단말 장치의 기억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취득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는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초대 신청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애플리케이션과, 당해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조합으로 한 초대 금지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고 있는 상기 초대 금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고 있는 초대 금지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초대 금지 정보가 나타내는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고 있는 상기 초대 금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고 있는 초대 금지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초대 금지 정보가 나타내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 신청 정보 또는 상기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와 통신,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송수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를 통해서 통신 세션을 확립시킨 후에,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독자적으로 유저 식별 정보가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는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송신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와,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통지부가 송신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 기동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하는 초대 신청 수취부와,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신청 기록을 관리하는 초대 신청 관리부와,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하는 신청 조회부와,
    상기 신청 조회부가 조회한 결과,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초대 통지부와,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수취하는 초대 성립 수취부와,
    상기 초대 성립 수취부가 수취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초대 성립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는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 상기 초대 신청 정보, 상기 초대 통지 정보, 또는 상기 초대 성립 정보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와 통신,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를 통해서 통신 세션을 확립시킨 후에,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20. 관리 장치의 관리 방법으로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독자적으로 유저 식별 정보가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갖고,
    상기 제어 스텝은,
    상기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 중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관리 장치의 관리 방법으로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독자적으로 유저 식별 정보가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갖고,
    상기 제어 스텝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스텝과,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 기동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신청 기록을 관리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하는 스텝과,
    상기 조회한 결과,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수취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독자적으로 유저 식별 정보가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한 초대 신청 정보 중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
    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독자적으로 유저 식별 정보가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 중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스텝과,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 중 기동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 신청 기록을 관리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신청 조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의 유무를 조회하는 스텝과,
    상기 조회한 결과,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 기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당해 초대 신청 기록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수취한 상기 초대 성립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스텝,
    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24.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독자적으로 유저 식별 정보가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소정 관계 유저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소정 관계 유저 정보에 포함되는 유저 중,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초대 후보 유저 통지부와,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에 나타내어지는 유저 중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초대 신청 수취부와,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초대 통지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한 적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이 성립되어 있는 당해 초대 신청이 된 적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이 된 적이 있는 유저이며, 당해 초대 신청이 성립되지 않은 초대 신청 중인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각하한 적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는, 당해 정보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유저의 재초대를 허가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서 관리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유저의 재초대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각하한 적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각하한 유저라도, 당해 초대 신청과 상이한 제1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인 경우에는 당해 유저를 추출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1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유저와, 당해 설정측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유저를 조합으로 한 제1 금지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고 있는 상기 제1 금지 정보 중, 상기 제1 유저를 상기 피 설정측 유저로 설정하고 있는 제1 금지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제1 금지 정보가 나타내는 설정측 유저를, 상기 제1 유저로부터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로서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를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초대 신청의 금지를 설정하는 설정측 유저와, 당해 설정측 유저에 대한 초대 신청이 금지되는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을 조합으로 한 제2 금지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추출 조건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관리하고 있는 상기 제2 금지 정보 중,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피 설정측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고 있는 제2 금지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제2 금지 정보가 나타내는 설정측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신청을 거부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유저로서 추출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가 성립된 것을 나타내는 초대 성립 정보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초대 성립 수취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36. 관리 장치의 관리 방법으로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독자적으로 유저 식별 정보가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갖고,
    상기 제어 스텝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소정 관계 유저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소정 관계 유저 정보에 포함되는 유저 중,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추출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에 나타내어지는 유저 중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독자적으로 유저 식별 정보가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는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당해 제1 유저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당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도입시키기 위한 초대 처리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소정 관계 유저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소정 관계 유저 정보에 포함되는 유저 중,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추출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의 초대 후보가 되는 유저를 나타내는 초대 후보 유저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초대 후보 유저 정보에 나타내어지는 유저 중 제2 유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초대 신청하는 초대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유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초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는 초대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
    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KR1020157026404A 2013-03-28 2014-03-11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744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0625 2013-03-28
JPJP-P-2013-070627 2013-03-28
JP2013070627 2013-03-28
JP2013070626 2013-03-28
JPJP-P-2013-070625 2013-03-28
JP2013070628 2013-03-28
JPJP-P-2013-070626 2013-03-28
JPJP-P-2013-070628 2013-03-28
JP2014042186A JP5662607B2 (ja) 2013-03-28 2014-03-04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4-042185 2014-03-04
JPJP-P-2014-042183 2014-03-04
JP2014042183A JP5662604B2 (ja) 2013-03-28 2014-03-04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42184A JP5662605B2 (ja) 2013-03-28 2014-03-04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4-042184 2014-03-04
JPJP-P-2014-042186 2014-03-04
JP2014042185A JP5662606B2 (ja) 2013-03-28 2014-03-04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CT/JP2014/056270 WO2014156605A1 (ja) 2013-03-28 2014-03-11 管理装置、管理方法、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727A KR20150122727A (ko) 2015-11-02
KR101744750B1 true KR101744750B1 (ko) 2017-06-09

Family

ID=5459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404A KR101744750B1 (ko) 2013-03-28 2014-03-11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00391B2 (ko)
KR (1) KR101744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0793B1 (en) * 2014-03-12 2021-05-18 Group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user profile data for promotion and marketing service using mobile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US10891651B1 (en) * 2014-03-12 2021-01-12 Groupon, Inc. Method and system for launching application programs using promotion impressions
US10269043B1 (en) * 2014-03-12 2019-04-23 Group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application program for promotion and marketing service
US10937062B1 (en) * 2014-03-12 2021-03-02 Groupon,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download of application programs on mobile computing device
US11042904B1 (en) * 2014-03-12 2021-06-22 Group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pplication programs on mobile computing device
US10846749B1 (en) 2014-03-12 2020-11-24 Groupon, Inc. Method and system for offering promotion impressions using application programs
KR101756191B1 (ko) * 2014-05-16 2017-07-12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게임 서비스의 관리 서버, 게임 서비스의 제공 방법
JP6533085B2 (ja) * 2015-03-31 2019-06-19 Line株式会社 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57128B2 (ja) 2015-10-27 2021-04-14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17072857A1 (ja) 2015-10-27 2017-05-04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GB2559792A (en) * 2017-02-20 2018-08-22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Game application launch system and method
US10835826B1 (en) * 2017-07-11 2020-11-17 Amazon Technologies, Inc. Social player selection for multiplayer electronic games
US10901577B2 (en) 2018-07-17 2021-01-26 Googl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nput suggestion
CN113204671A (zh) * 2021-04-14 2021-08-03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资源展示方法、装置、终端、服务器、介质及产品
WO2023179483A1 (en) * 2022-03-25 2023-09-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uting notification of application st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3853A1 (en) 2007-03-30 2008-10-02 Verizon Services Corp.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an invitee user when an inviting user accesses a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
KR101069315B1 (ko) * 2010-07-12 2011-10-06 최철기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이벤트 이력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1847B2 (en) * 2002-04-26 2010-05-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Managing users in a multi-user network game environment
JP3831695B2 (ja) 2002-09-11 2006-10-11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US7311608B1 (en) * 2003-10-31 2007-12-25 Microsoft Corporation Online game invitations using friends list
JP2005332187A (ja) 2004-05-19 2005-12-02 Dowango:Kk サーバ装置、招待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招待処理システム、および招待処理方法
US20070168958A1 (en) * 2005-11-23 2007-07-19 Nsite Softwa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 organizational sharing of software applications using host platform
JP5430054B2 (ja) * 2007-03-13 2014-02-26 任天堂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8961321B2 (en) * 2009-02-13 2015-02-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ement of gaming data
JP5449827B2 (ja) * 2009-03-31 2014-03-1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用プログラム
US20110250949A1 (en) 2010-04-07 2011-10-13 Van Os Marcel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game center having player specific options and game access
US8944911B2 (en) * 2010-07-27 2015-02-03 Disney Enterprises, Inc. Online parallel play
US9707486B1 (en) * 2011-02-25 2017-07-18 Zynga Inc.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rew mechanics in multiplayer games
KR20120139091A (ko) 2011-06-16 2012-12-27 엔에이치엔(주) 친구 등록을 통한 게임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433639B2 (ja) 2011-06-30 2014-03-05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107455B1 (ja) 2011-10-03 2012-12-26 株式会社ファ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ネットワーク広告管理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広告管理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3853A1 (en) 2007-03-30 2008-10-02 Verizon Services Corp.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an invitee user when an inviting user accesses a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
KR101069315B1 (ko) * 2010-07-12 2011-10-06 최철기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이벤트 이력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캐리브래드슈, '윈드러너'의 모바일친추마케팅 - 신발보내기에서 아이템받기로의 유혹, blog.naver.com, [online] 2013.02.08., [2016.09.19. 검색], 인터넷 [URL:http://blog.naver.com/kss3500/12018090496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00391B2 (en) 2019-05-28
KR20150122727A (ko) 2015-11-02
US20160008720A1 (en)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750B1 (ko)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및 기억 매체
JP6060423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38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9844727B2 (en) Management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016685B2 (e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application system
US9597597B2 (en) Management serv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for a management server and terminal device
WO2014208147A1 (ja) 管理装置、管理方法、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207958A1 (ja) 管理装置、管理方法、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86710B2 (en) Management serv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for a management server and terminal device
JP548249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727558B (zh) 互动邀请处理方法和装置
JP5946513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076042A (zh) 用户信息获取方法、服务器及计算机可读介质
JP6497534B2 (ja) 報酬付与方法、ユーザ端末、報酬付与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JP7080640B2 (ja) リソースアクセスの制御方法及び装置
WO2014156605A1 (ja) 管理装置、管理方法、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62606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377217A (zh) 一种实时通信方法和装置
JP5946512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81367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03148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43764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18683A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155831A1 (ja) 管理装置、管理方法、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82866A (ko)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