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874B1 -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deo Contents Using Collaboration of Performing Object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deo Contents Using Collaboration of Performing Obje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874B1
KR101743874B1 KR1020160076009A KR20160076009A KR101743874B1 KR 101743874 B1 KR101743874 B1 KR 101743874B1 KR 1020160076009 A KR1020160076009 A KR 1020160076009A KR 20160076009 A KR20160076009 A KR 20160076009A KR 101743874 B1 KR101743874 B1 KR 10174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icture
clip
equipment control
performance
studio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솔지
Original Assignee
(주)잼투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잼투고 filed Critical (주)잼투고
Priority to KR1020160076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874B1/en
Priority to PCT/KR2017/006262 priority patent/WO201721778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8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동작기반 스튜디오 장비 제어방법은,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에 있어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단계;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을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이용하여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의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의 상기 제 2 공연객체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및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and a generating method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based studio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moving picture contents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The apparatus control system generating the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using the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nd generating the first combin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Generating a second composite motion picture clip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performing a performance of a second performance object; And generating the first final individual moving picture clip using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clip and the second concert object of the first combin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nd the second concerted object of the second combin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Generating a final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of the composite moving picture section by synthesizing the combined moving picture clip to be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and generating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s including the first final individualized moving picture clip and the final combin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deo Contents Using Collaboration of Performing Object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 moving image content using collaborations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본 발명은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관한 것으로, 동기화된 스튜디오 장비 제어를 통해 복수의 공연객체들을 한 화면에 합성한 동영상 컨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picture content cre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collaborations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ving picture content creation system and a moving picture content creation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generate moving picture contents, And methods.

통신 기술 및 협업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이 시공간을 초월하여 이루어지고 있다.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llaborative software technology, collaborations in various fields are being made over time and space.

영화, 드라마, 뮤직비디오 등의 전문적인 비디오 컨텐츠 생성 분야에서도 통신 기술 및 협업 편집 기술을 통한 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멀리 떨어져 있는 배우 및 가수들도 각각의 스튜디오의 전문가들의 도움으로 해당 파트를 촬영하고, 총괄 감독 및 편집 전문가들은 협업을 통해 전문적인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한다.Collaboration is also taking place through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llaborative editing technology in the field of professional video content creation such as movies, dramas, and music videos. Even distant actors and singers shoot the part with the help of experts in their respective studios, and general supervisory and editing professionals collaborate to create professional video content.

한편, 일반인들은 통신기술의 발달로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과도 사회적 관계를 유지 및 확장할 수가 있게 되었다. 또한, 일반인들은 UGC가 대부분인 유튜브 등을 접하면서, 본인도 자신의 재능을 표출하는 컨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욕구를 갖게 된다. 그런데, 자기 자신만이 등장하는 UGC 뿐만 아니라 멀리 떨어져 있는 지인들과 각자의 재능을 같이 발휘하는 협업 컨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욕구도 자연스럽게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enabled the general public to maintain and expand social relationships with those who are far away. In addition, the general public has a desire to produce contents expressing their own talents, while touching UGC, which is mostly UGC. By the way, not only UGC where it appears alone but also the desire to produce collaborative contents that show talent of each other with distant acquaintances naturally comes naturally.

일반인들이 협업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각자의 파트를 생성하고, 통신 기술을 이용한 소통을 통해 협업 컨텐츠를 편집 및 생성할 수는 있지만, 같이 출연하는 장면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약속된 시간 및 장소에서 서로 만나야만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있다. 또한, 같이 만날 시간을 정하고 촬영 장소를 섭외하더라도, 촬영 현장에서 일반인들이 전문가들의 도움 없이 전문가 수준 품질의 협업 컨텐츠를 제작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예컨대, 일반인들이 전문가 수준의 촬영기술 및 편집기술을 구현하여 고품질의 동영상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방송국 수준의 전문적인 장비, 예컨대, 다양한 조명, 여러 대의 전문가용 카메라, 역동적인 카메라 워크를 위한 카메라 무빙 시스템들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는 과도한 비용이 요구될뿐 아니라 일반 사용자가 다루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문 촬영 장비뿐만 아니라 동영상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전문 편집 소프트웨어도 일반인들이 사용하기는 어렵고, 해당 전문가도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The public can create their own parts to produce collaborative contents, and edit and create collaborative contents through communication using communication technology. However, in order to shoot scenes that appear together, it is necessary to meet each other at the appointed time and place There is still an inconvenience. In addition, even if the meeting time is set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s taken out, the public can not produce professional-quality collaborative contents without expert assistance at the shooting site. For example, in order for general people to implement high-quality video contents by implementing professional shooting and editing technologies, it is necessary to use specialized equipment at the broadcasting station level, such as various lights, several professional cameras, moving cameras for dynamic camera work Systems are required. However, this is not only costly but also difficult to handle by ordinary users. In addition, professional editing equipment that can edit video contents as well as professional shooting equipment is difficult to use by the general public, and there are not many experts.

전문가들의 도움 없이 유저가 제공한 동영상 클립을 이용하여 모바일 상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제작하는 것을 돕는 모바일 동영상 편집 앱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앱들은 유저가 제공한 여러 동영상 클립들을 인위적으로 합성하고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러한 앱들은 한 화면에 여러 유저가 동시에 등장하여 마치 같은 공간에서 같이 촬영한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으나, 카메라 각도, 조명, 배경 등이 불일치하여 자연스럽지 못한 조악한 품질의 합성 컨텐츠만 제공하는 문제가 있다.A mobile video editing app has been developed that helps users create video content on mobile using video clips provided by users without the help of experts. These apps artificially synthesize several video clips provided by the user and apply the editing effect to create the video contents. These apps can cause multiple users to appear on the same screen at the same time, but they can provide the same effect as if they were shot in the same spac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the coarse quality synthetic content that is not natural due to inconsistent camera angle, have.

같은 공간에 있는 것처럼 사후적으로 합성된 동영상 컨텐츠 생성을 위해, 영화나 광고 등에는 동작 인식 기술 및 컴퓨터 그래픽 처리를 이용한 합성 기술 등이 사용되지만, 일반인들이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제작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반인의 수준에서 사후적으로 합성된 동영상 컨텐츠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이 여전히 요구된다.In order to create video content that is composited posteriorly as if it is in the same space, 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and synthesis technique using computer graphics processing are used for movies and advertisement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produce video contents using these technologies there is a problem. Therefore, there is still a need for a technique that can easily generate video content that has been synthesized at the level of the general public.

한편, 같은 공간에 있는 것처럼 합성된 동영상 컨텐츠가 비록 자연스럽게 합성되었다고 할지라도, 전체 동영상 컨텐츠가 적은 수의 피사체를 포함하고, 다양한 촬영 각도의 동영상 클립들을 포함하지 못한다면, 관람자의 흥미를 끌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각도의 영상들이 교차 편집되는 효과가 부여된 동영상 클립들과 자연스럽게 합성된 합성 동영상 클립을 모두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 제작 기술이 여전히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are synthesized as if they are in the same space, if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s include a small number of subjects and do not include moving picture clips at various shooting angles, it may be difficult for spectators to attract interest . Therefore, there is still a need for a moving picture content creation technology that includes both moving picture clips having effects of cross-editing videos of various angles and naturally synthesized moving picture clips.

CrowdFlik, Inc.의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55475호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video from a plurality of devices and organizing them for editing, viewing, and dissemination based on one or more criteria"은 동일한 이벤트를 여러 유저가 촬영하고, 촬영 당시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의 시간 순서에 따른 합성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여러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채롭게 편집된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본 종래기술에 따르면 첫째, 여러 유저가 촬영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피사체는 유저 본인이 아닌 이벤트이기 때문에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통해 유저의 재능을 표출할 수 없고, 둘째, 본 종래기술의 합성 동영상은 단순히 시간 순서에 따라 연결편집을 한 것에 불과하여 예컨대 이격된 공간의 유저들을 한 화면에 합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6-0155475 to CrowdFlik, Inc., entitled "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video from a plurality of devices and organizing them for editing, viewing, and dissemination based on one or more criteria " And generating a synthesized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 temporal order of events using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shooting. According to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generate variously edited moving images by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rst, since the subject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s photographed by various users is an event which is not the user's own, the user's talent can not be expressed through the corresponding moving picture content. Second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ombine users of a spaced space, for example, on a screen merely by performing connection editing according to time order.

SSTATZZ OY의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300832호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video filming and broadcasting of sports events"은 스포츠 활동을 촬영하기 위한 여러 대의 자동화된 카메라를 구비하고, 선수의 위치 정보에 따라 약속된 카메라가 해당 선수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편집하는 자동화된 편집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자동화된 편집을 통해 스포츠 경기 중계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런데, 본 종래기술은 전술한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일반 사용자가 비디오 촬영의 피사체가 될 수 없으며, 여러 대의 자동화된 카메라는 서로 다른 위치, 각도에 설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클립을 한 화면에 합성하더라도 자연스러운 합성영상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3-0300832 entitled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video filming and broadcasting of sports events "of SSTATZZ OY has a plurality of automated cameras for photographing sports activities, Discloses an automated editing system in which a camera captures and edits the movement of a player.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ar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relaying sports games through automated editing. However, since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can not be used as a subject of video shooting by a general user and many automated cameras are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angles as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a movie clip photographed by each camera There is a problem that a natural composite image can not be obtained even when synthesized on one screen.

Studio one entertainment, Inc.의 미국 등록특허 제8,957,942호 "Studio booth configured to produce illusion that customer is photographed in different locale"은 이동형 가라오케에서 크로마키 배경으로 뮤직 비디오를 촬영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용자의 공연 영상에서 사용자를 객체의 형태로 추출하고 가상의 배경과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현장에 가지 않고도 실제 현장에 있는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한다. 그런데, 본 종래기술은 단순히 촬영된 하나의 유저 영상을 가상의 배경과 합성한 것에 불과하여 예컨대 이격된 공간의 유저들의 영상을 한 화면에 합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U.S. Patent No. 8,957,942 to Studio one entertainment, Inc., discloses a method for shooting music video from a mobile karaoke to a chroma key background in a "studio booth configured to produce illusion that customer is photographed in different loca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user is extracted from a performance image of a user in the form of an object and synthesized with a virtual background,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same experience as in a real scene without going to the actual site. 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merely combines a single captured user image with a virtual background, and thus has a problem in that, for example, images of users in a spaced space can not be synthesized on one screen.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55475호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16-0155475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300832호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13-0300832 미국 등록특허 제8,957,942호United States Patent No. 8,957,94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은, 서로 다른 스튜디오 또는 서로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피사체를 촬영하는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가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로 제어됨으로써, 카메라 각도, 조명, 배경 등이 서로 자연스럽게 일치하는 고품질의 합성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고, 규격화된 스튜디오 장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카메라 등의 스튜디오 장비를 제어함으로써 합성 동영상 컨텐츠 제작비용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oving picture contents using collaborations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including a first camera for photographing different subjects in different studios or different times, The second camera is controlled by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to generate high quality synthetic moving picture contents in which the camera angle, illumination, background, etc. natur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studio equipment such as a camera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은, 제 1 공연객체의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제 2 공연객체의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공연객체의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합성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의 영상들이 교차 편집되는 효과를 부여하며,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공연객체가 표시되지 않는 부가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각도의 영상들이 교차 편집되는 효과를 부여하여 합성 동영상 컨텐츠의 품질을 제고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oving picture content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a first concert object, a second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a second concert object, The second moving object and the second moving object are combined to generate the combined moving picture contents including the moving picture clip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by giving the effect of cross-editing the images of various angl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은, 각각 촬영된 동영상 클립에서 제 1 동영상 객체의 컨투어 및 제 2 동영상 객체의 컨투어를 추출하여 단일 배경화면에 합성함으로써, 협소한 실제 스튜디오 배경이 아닌 가상배경을 통해 합성 동영상 컨텐츠의 품질을 제고하고, 컨텐츠 제작비용을 저감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oving image content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 contours of a first moving image object and contours of a second moving object from a photographed movie clip,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through a virtual background rather than a narrow real studio background and to reduce the cost of producing conten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은, 3D 형태로 구성된 단일 배경화면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에 따라 랜더링하여 카메라의 이동, 회전, 줌의 변화에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단일 배경화면을 제공함으로써, 합성 동영상 컨텐츠의 품질을 제고하고, 컨텐츠 제작비용을 저감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rendering a single background screen constructed in 3D form according to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nd changing the movement, Another object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and to reduce the cost of contents production by providing a single background picture that changes naturally.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은, 제 2 공연객체의 촬영 중에 시간적으로 선행한 제 1 공연객체의 동영상 클립을 제 2 공연객체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공연객체들 간의 공연의 조화를 이루어 보다 자연스러운 합성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oving image content using collaborations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isplaying a moving image of a first performance object temporally preceding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on a second performance object, So as to produce more natural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은, 제 2 공연객체의 촬영 중에 시간적으로 선행한 제 1 공연객체의 기점유 위치에 제 2 공연객체가 진입하려는 경우 시각, 청각, 또는 촉각적 경고를 송출하는 경고를 함으로써, 공연객체들이 합성 동영상에서 서로 겹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Fi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performance object enters at a pre-occupancy position of a first performance object temporally preceding a second performance object Another object is to prevent the performance objects from overlapping in the composite video by issuing warnings to transmit visual, audible, or tactile warnings if desir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생성하고자 하는 전체 동영상 컨텐츠의 전체 동영상 구간 중 제 1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고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 및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동시에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는 합성 동영상 구간을 정의하는 시간구간 정의모듈;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및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제어하는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와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는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 상기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공연객체를 촬영한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공연객체를 촬영한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제 1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촬영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 및 상기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의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의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의 상기 제 2 공연객체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및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ing picture content cre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ons of a plurality of concert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concert object is displayed on a moving picture frame A time duration defining module for defining a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in which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s not displayed on the moving picture frame and a moving picture section for displaying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simultaneously on the moving picture frame; At least one first camera; At least one second camera;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first camera in corresponde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n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and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first camera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 first ful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cluding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camera and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second camera in corresponde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the synthesizing moving picture interval A non-volatile dat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 second ful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in which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s photographed is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first camera using the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first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And controlling the first camera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first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section to generate a first synthesiz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photographed by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1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A second studio that controls the second camera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section to generate a second synthesiz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photographed by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Equipment control module; And generating a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using the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nd generating a first la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by using the first concurrent moving picture clip and the second concurrent moving picture clip The second concatenated moving image clip is synthesized so that the second concert object of the first concatenated moving image clip is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image frame to generate a final concatenated moving image clip of the combined moving image interval, And a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moving picture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상기 시간구간 정의모듈은, 생성하고자 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전체 동영상 구간 중에서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을 더 정의하고, 상기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은, 상기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은,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을 상기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더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은, 상기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의 상기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더 생성하고, 상기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상기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및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ime duration definition module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using the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the moving picture frame from among the entire moving picture sections of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 to be generated, Wherein the second non-temporal data storage module further defines a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that does not display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on the moving picture frame, and the non-temporal data storing module defines, in the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Wherein the second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stores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urther comprising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camera, Using the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control data, And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further generates the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using the second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The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nd the final combin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컨투어(contour)를 따라 정의되는 제 1 동영상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컨투어를 따라 정의되는 제 2 동영상 객체를 추출하는 동영상 객체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동영상 객체 및 상기 제 2 동영상 객체가 단일 배경화면에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our of the first concert object from the first concatenated moving picture clip generated or generated, And a moving image objec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second moving image object defined along the contour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from the generated second composition moving image clip during the generation or completion of the generation of the moving image object The first moving picture object and the second moving picture object are displayed on a single background screen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to generate the final combin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combined moving picture section.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은, 상기 단일 배경화면을 3D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에 적응적으로 대응되게 상기 단일 배경화면을 렌더링하는 3D 배경화면 렌더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using the collaboration of the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construct the single background screen in 3D form and to adaptively correspond to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nd a 3D background image rendering unit for rendering a single background imag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컨투어를 따라 정의되는 제 2 동영상 객체를 추출하는 동영상 객체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배경으로 상기 추출된 제 2 동영상 객체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And a moving picture objec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second moving picture object to be defined, wherein the extracted second moving picture object is synthesized so that the extracted second moving picture object is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in the background of the first synthesis moving picture clip, And the final synthesis section moving picture clip is generated.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 중에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상기 제 2 공연객체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using the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first composite motion picture clip to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상기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은,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 생성시,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기점유 위치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상기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 생성시, 상기 기점유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에 상기 제 2 공연객체가 진입하려는 경우 시각, 청각, 또는 촉각적 경고를 송출하는 경고 송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n-temporal data storage module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store the occupancy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first composition moving picture clip, Wherein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includes a warning sending module for sending a visual, audible or tactile warning when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enter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occupied posi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second combined moving picture clip, ; And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상기 제 1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 및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 및 상기 제 2 카메라와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and the first camera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apart from the second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and the second camera do.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은,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부가 동영상 클립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moving picture clip that does not display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on a moving picture frame And generating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은,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생성하고자 하는 전체 동영상 컨텐츠의 전체 동영상 구간 중 제 1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고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 및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동시에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는 합성 동영상 구간을 정의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및,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카메라를 제어하는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를 제어하는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상기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을 상기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상기 제 1 공연객체가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는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을 상기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상기 제 2 공연객체가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는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의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의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의 상기 제 2 공연객체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및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generating a moving picture content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displays a first performance object in a moving picture frame among all moving picture sections of all moving picture contents to be generated, A first moving picture segment in which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are not displayed on the moving picture frame, and a synthetic moving picture section in which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moving picture frame;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comprises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first camera corresponding to a performance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n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A second step of storing first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cluding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first camera corresponding to a performance of a first performance object in a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es a second overal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clud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second camera in correspondence to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A third step of storing the data in the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generates a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using the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first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using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 fourth step of generating a first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in which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s displayed on a moving picture frame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equipment control data;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is operable to control the second concert moving object to play a second concert moving picture in which the second concert object is displayed on a moving picture frame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 fifth step of generating a clip; And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generates a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using the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nd generates a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first concurrent moving picture clip, The second concatenated moving picture clip of the second combined moving picture clip is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to generate a final combined moving picture clip of the combined moving picture section, And a sixth step of generating the entire moving image content including the moving image clip.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의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생성하고자 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전체 동영상 구간 중에서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을 더 정의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상기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을 상기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더 생성하고,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의 상기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더 생성하고, 상기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상기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및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tep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ethod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controls the moving pictur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among the entire moving picture sections of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 to be created, Wherein the second device is further configured to define a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that displays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on the frame and does not display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on the moving picture frame, Storing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urther including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second camera corresponding to a performance of a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the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In the fifth step,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performs a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Wherein the second individual section video clip further generates a second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using the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The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the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nd the final combin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re included in the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s are gener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의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컨투어(contour)를 따라 정의되는 제 1 동영상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컨투어를 따라 정의되는 제 2 동영상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제 1 동영상 객체 및 상기 제 2 동영상 객체가 단일 배경화면에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step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ethod using the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ch that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generates the moving picture content from the first concert moving picture clip, Extracting a first moving image object defined along a contour of an object from the first composite moving image clip and generating a first moving image object based on a contour of the second concurrent object, Wherein the first moving picture object and the second moving picture object are combined to be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on a single background screen, And a final synthesis section moving picture clip is gener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의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단일 배경화면을 3D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에 적응적으로 대응되게 상기 단일 배경화면을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xth step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ethod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forms the single background screen in 3D form, The single background screen is rendered adaptively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scree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의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컨투어를 따라 정의되는 제 2 동영상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배경으로 상기 추출된 제 2 동영상 객체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fth step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ethod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further includes a second synthesiz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generation / Extracting a second moving image object defined according to the contour of the performance object, and the sixth step of synthesizing the extracted second moving image object so that the extracted second moving image object is displayed on the background of the first combined moving image clip, And the final composite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combined moving picture section is generated.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의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 중에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상기 제 2 공연객체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fth step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ethod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controls the first concatenated moving picture clip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concert object, And displays it on the object.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의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 생성시,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기점유 위치정보를 상기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 생성시, 상기 기점유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에 상기 제 2 공연객체가 진입하려는 경우 시각, 청각, 또는 촉각적 경고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step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ethod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tudio apparatus control system generates the first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In the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and in the fifth step,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stores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ase occupation position information when generating the second composition moving picture clip And a visual, audible, or tactile warning is sent when the user intends to enter.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의 상기 제 3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 및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제 2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 및 상기 제 1 카메라와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the second camera in the third and fifth steps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ethod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studio of the second and the fourth steps An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the first camera.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의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부가 동영상 클립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xth step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creation method using the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includes a step of not displaying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on a moving picture frame And further includes a moving picture clip to generate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s.

본 발명의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은, 서로 다른 스튜디오 또는 서로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피사체를 촬영하는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가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로 제어됨으로써, 카메라 각도, 조명, 배경 등이 서로 자연스럽게 일치하는 고품질의 합성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고, 규격화된 스튜디오 장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카메라 등의 스튜디오 장비를 제어함으로써 합성 동영상 컨텐츠 제작비용을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re controlled by the synchronous studio device control data to generate high quality synthetic video contents in which the camera angle, illumination, and background match each other naturally, and the studio equipment such as a camera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producing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은, 제 1 공연객체의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제 2 공연객체의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공연객체의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합성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의 영상들이 교차 편집되는 효과를 부여하며,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공연객체가 표시되지 않는 부가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각도의 영상들이 교차 편집되는 효과를 부여하여 합성 동영상 컨텐츠의 품질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oving picture content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a first concert object, a second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a second concert object, The second moving object and the second moving object are combined to generate the combined moving picture contents including the moving picture clip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by providing the effect of cross-editing the images of a greater variety of angl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은, 각각 촬영된 동영상 클립에서 제 1 동영상 객체의 컨투어 및 제 2 동영상 객체의 컨투어를 추출하여 단일 배경화면에 합성함으로써, 협소한 실제 스튜디오 배경이 아닌 가상배경을 통해 합성 동영상 컨텐츠의 품질을 제고하고, 컨텐츠 제작비용을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oving image content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 contours of a first moving image object and contours of a second moving object from a photographed movie clip, The quality of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is improved through a virtual background rather than a narrow real studio background, and the effect of reducing content production cost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은, 3D 형태로 구성된 단일 배경화면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에 따라 랜더링하여 카메라의 이동, 회전, 줌의 변화에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단일 배경화면을 제공함으로써, 합성 동영상 컨텐츠의 품질을 제고하고, 컨텐츠 제작비용을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rendering a single background screen constructed in 3D form according to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nd changing the movement, By providing a single background screen that changes naturally, it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and reducing the cost of producing the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은, 제 2 공연객체의 촬영 중에 시간적으로 선행한 제 1 공연객체의 동영상 클립을 제 2 공연객체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공연객체들 간의 공연의 조화를 이루어 보다 자연스러운 합성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oving image content using collaborations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isplaying a moving image of a first performance object temporally preceding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on a second performance object, Thereby providing a more natural synthesis of moving picture contents.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은, 제 2 공연객체의 촬영 중에 시간적으로 선행한 제 1 공연객체의 기점유 위치에 제 2 공연객체가 진입하려는 경우 시각, 청각, 또는 촉각적 경고를 송출하는 경고를 함으로써, 공연객체들이 합성 동영상에서 서로 겹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Fi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performance object enters at a pre-occupancy position of a first performance object temporally preceding a second performance object A warning to send a visual, audible, or tactile warning is provided to prevent the performance objects from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composite vide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 및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동영상 객체, 제 2 동영상 객체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 제 2 동영상 객체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 및 합성 동영상 구간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 및 합성 동영상 구간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부가 동영상 클립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연객체의 기점유 지역 진입시 경고 송출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생성을 도시하는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and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of a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omposite video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cond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moving image object, a second moving image object, and a final combining section moving image cl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a second moving object, and a final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and a combined moving picture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a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and a combined moving picture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nd a final compos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 second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nd a final combining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image clip, an additional moving image clip, and a final combining section moving imag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moving image contents using collaborations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warning transmission of a performanc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ccupancy area enters. FIG.
FIG.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moving picture contents using collaborations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moving picture contents using collaborations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generation of a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on the basis of principles that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nfigurations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명세서 전반에서 어떠한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기재는, 이에 대한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듈", "..부", "..시스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 또는 각각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The specification that "comprises" any element in any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terms " module, "" part," " system,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ncluded in one device or in another devic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Hereinafter, a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100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100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은 시간구간 정의모듈(110), 제 1 카메라(121), 제 2 카메라(122), 비일시적(non-transitory) 데이터 저장모듈(130), 제 1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1),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2), 및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100 using a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me interval definition module 110, a first camera 121, a second camera 122, A non-transitory data storage module 130, a first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1, a second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2, and a moving image content generation module 150.

각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의 동작을 명료히 설명하기 위해 기능적으로 구분된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모듈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단일의 구성요소로 반드시 구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프로그램의 일부를 구성하는 컴퓨터 명령어들의 집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연산처리 장치에 의해 해당 모듈의 기능이 발현될 수 있다.The components are functionally distinguished to clarify the operation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each module is not necessarily divided into physically distinct single compon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set of computer instructions constituting a part of a program,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module can be expres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예컨대, 스마트폰 또는 사용자 컴퓨터와 같은 단일의 정보처리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요소들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현되고 다른 일부 구성요소들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서버 컴퓨터에 구현되는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분산형 서버 시스템의 각 서버에 구성요소들이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반도체 프로세서를 구성하는 논리회로들의 집합으로 구성요소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l components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 application executed by a sing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for example, a smart phone or a user computer, A client terminal, and some oth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client service implemented in a server computer connected to a client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ponents may be distributed to each server of the distributed server system . Or a set of logic circuits that constitute a semiconductor processor.

시간구간 정의모듈(1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하고자 하는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의 전체 동영상 구간(time_video_full) 중 제 1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고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1) 및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공연객체를 동시에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는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을 정의한다.9, the time interval defining module 110 displays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of the entire video section (time_video_full) of all the video contents (contents_video_full) to be generated on the moving picture frame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A first video segment (time_video_separate_1) not to be displayed on the video frame, and a composite video segment (time_video_composit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on the video frame.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공연객체는 예컨대 서로 다른 공연자일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시간적으로 이격되어 특정한 퍼포먼스를 수행하는 동일 공연자일 수도 있다. 공연객체는 반드시 사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촬영된 배경과 이미지 상에서 구별되는 객체를 의미한다. 하나의 공연객체는 반드시 단일의 객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하나의 촬영세션에서 퍼포먼스를 수행하는 3인조의 퍼포먼스 그룹이 제 1 공연객체가 되고 다른 촬영세션에서 퍼포먼스를 수행하는 2인조의 퍼포먼스 그룹이 제 2 공연객체가 될 수 있다. 이때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된 2개의 스튜디오에서 동시에 2개의 퍼포먼스가 촬영되는 경우 스튜디오별로 각각 촬영세션을 구성할 수 있고, 단일의 스튜디오에서 서로 시간적으로 이격되어 2개의 퍼포먼스가 순차적으로 촬영되는 경우 각각 촬영세션을 구성할 수 있고, 서로 공간적, 시간적으로 이격된 2개의 스튜디오에서 2개의 퍼포먼스가 촬영되는 경우도 각각 촬영세션을 구성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may be, for example, different performers, and in some embodiments may be the same performer that is temporally spaced to perform a particular performance. A performance object is not necessarily a person, but means an object that is distinguished on a photographed background and an image. One performance objec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single object. For example, a performance group of two persons performing a performance in a shooting session may be a performance object of a trio performing a performance in a different shooting session, and a performance group of a trio performing a performance in a shooting session may be a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this case, if two performances are photographed simultaneously in two studio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hooting session can be formed for each studio, and if two performances are sequentially captured in a single studio, And a case in which two performances are photographed in two studio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ime, is also defined as constituting a shooting session, respectively.

두 개의 촬영세션에서 각각 제 1 동영상 클립과 제 2 동영상 클립을 각각 생성한 경우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1)은 제 2 동영상 클립의 전체 또는 부분을 이용하지 않고, 제 1 동영상 클립에 기초하여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의 일부분을 생성하는 구간을 의미하고,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은 제 1 동영상 클립의 전체 또는 부분과 제 2 동영상 클립의 전체 또는 부분에 기초하여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의 일부분을 생성하는 구간을 의미한다.In the case where the first movie clip and the second movie clip are respectively generated in the two shooting sessions, the first individual movie section (time_video_separate_1) does not use all or part of the second movie clip, And the composite video section (time_video_composite) is a section for generating a part of the video content (contents_video_full) based on all or part of the first movie clip and all or part of the second movie clip . ≪ / RTI >

스튜디오 장비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121)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예컨대, 조명 및 오디오 장치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카메라(121) 및 제 2 카메라(122)는, 예컨대, 초점, 화각, 셔터스피드 등과 같은 촬영기능을 원격 제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는 전문적인 촬영용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 사용자들이 휴대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의 정보단말기에 부가되어 설치된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The studio devices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camera 121 and at least one second camera 122,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n illumination and an audio device. The first camera 121 and the second camera 122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remotely control a shooting function such as a focus, an angle of view, a shutter speed, and the like.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re not limited to a professional camera, and may be a camera module installed in an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or a notebook computer carried by ordinary users.

또한, 제 1 카메라(121) 및 제 2 카메라(122)는 원격으로 제어되는 무빙 시스템에 탑재되어 스튜디오 내의 현장 전문가 없이도 전문적인 촬영 기술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무빙 시스템이 스튜디오 장비들에 포함될 수 있다. 무빙 시스템은 예컨대 고정된 궤적을 갖도록 설계된 카메라 암 또는 카메라 랙일 수 있고, 임의의 지점을 촬영하도록 설계된 드론, 원격조정 자동차 등과 같은 자체 이동수단을 구비한 장비일 수 있다.Also, the first camera 121 and the second camera 122 may be mounted on a remotely controlled moving system, and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professional imaging techniques without field experts in the studio. In this case, a moving system that moves the camera may be included in the studio equipment. The moving system can be, for example, a camera arm or a camera rack designed to have a fixed locus, and can be equipped with its own moving means such as a drones, a remote controlled car, etc. designed to photograph any point.

조명은 다수의 발광체를 구비하고, 발광체의 밝기, 색깔, 점등 시간, 위치 등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조명도 무빙 시스템에 탑재되어 원격 제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에는 각종 오디오 녹음장치, 믹서, 이펙터, 및 페이더 등이 있으며, 원격 제어를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The illumin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uminous bodies, and may be configured as a system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brightness, color, lighting time, and position of the luminous body. On the other hand, the illumination can be mounted on the moving system and remotely controllable. The audio device includes various audio recording devices, a mixer, an effector, a fader,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mote control.

제 1 카메라(121)와 제 2 카메라(122)는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된 장소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고, 공간적으로 인접한 장소에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멀티 카메라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공간적으로 이격된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멀티 카메라 시스템들일 수도 있다. 여기서 스튜디오는 고품질 촬영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폐쇄된 공간에 한정되지 않으며, 촬영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개방된 공간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amera 121 and the second camera 122 may be install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r may be constituted by a multi camera system for photographing the same subject in a spatially adjacent place, Or may be multi-camera systems that ar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places. Here, the studio is not limited to a closed space specifically designed for high-quality shooting, and may also include an open space formed for shooting.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130)은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1)에서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제 1 카메라(121)를 제어하는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eparate_1) 및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에서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제 1 카메라(121)를 제어하는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ync)를 포함하는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1)를 저장한다. 또한,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130)은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에서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제 2 카메라(122)를 제어하는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ync)를 포함하는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2)를 저장한다.The non-temporal data storage module 130 stores the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eparate_1) for controlling the first camera 121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n the first individual video section (time_video_separate_1) (data_control_full_1) including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ync) for controlling the first camera 121 in response to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n the time_video_composite. In addition, the non-temporal data storage module 130 may include a second overall (not shown) including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ync) for controlling the second camera 122 in response to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the composite moving picture time_video_composite And stores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2).

상술한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들은 각각의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미리 생성된 제어데이터로서, 예컨대, 제어 프로토콜에 따라 카메라, 조명, 오디오 장치 등과 같은 스튜디오 장비를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명령들의 집합일 수 있다.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들은 공연 순서에 따라 사전 설정될 수도 있고, 공연객체의 실제 공연을 인식한 후 사전 설정된 제어데이터들 중에서 적응적으로 선택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may be control data generated in advance corresponding to performances of respective performance objects, and may be a set of control commands for comprehensively controlling studio equipment such as cameras, lights, audio equipment, etc. according to a control protocol have.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may be preset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rder or may be adaptively selected and set among the preset control data after recognizing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object.

한편,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130)은 하드드라이브, 플래쉬 메모리, SSD와 같이 재사용 가능하게 비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매체일 수도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이 일정 기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일 수도 있다.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130)은 본 발명의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내의 로컬 저장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통신망을 통해 이격된 지역에 서버-클라이언트 저장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고, 통신망을 통해 여러 지역에 분산된 분산 저장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130 may be a data storage medium for storing non-temporary data that can be reused such as a hard drive, a flash memory, and an SSD, or may store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such as a RAM (Random Access Memory) Or the like. The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local storage unit in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client storage system in a remote area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implemented as a distributed distributed storage system.

제 1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1)은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1)에서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1) 중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eparate_1)를 이용하여 제 1 카메라(121)를 제어하여 제 1 공연객체를 촬영한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1)을 생성한다. 또한, 제 1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1)은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에서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1) 중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ync)를 이용하여 제 1 카메라(121)를 제어하여 제 1 공연객체를 촬영한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을 생성한다.The first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1 uses the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eparate_1) of the first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1) in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time_video_separate_1) And generates a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1) in which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s photographed. Also, the first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1 controls the first camera 121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ync) of the first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1) in the combined moving picture time (video_composite) (Clip_time_composite_1) in which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s photographed.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2)은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에서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2) 중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ync)를 이용하여 제 2 카메라(122)를 제어하여 제 2 공연객체를 촬영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2)을 생성한다.The second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2 controls the second camera 122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ync among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2 in the combined moving picture time_video_composite, (Clip_time_composite_2) in which the performance object is photograph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은 제 2 공연객체의 공연 중에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을 제 2 공연객체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공연객체의 촬영 중에 시간적으로 선행하거나 동시의 제 1 공연객체의 동영상 클립을 제 2 공연객체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서로 다른 시간 또는 서로 다른 공간에서 동일한 공연을 분산 수행하는 공연객체들 간의 공연의 조화를 이루어 보다 자연스러운 합성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2,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160 for displaying a first composite duration movie clip (clip_time_composite_1) to a second performance object during a performance of a second performance object . Displaying the moving pictures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s temporally preceding or simultaneously in time of shooting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to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thereby achieving a harmony of performances between performance objects that distribute the same performance at different times or in different spaces So that more natural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can be generated.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에서 제 1 카메라(121) 및 제 2 카메라(122)는 동일한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ync)로 제어된다. 따라서,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의 제 1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1)와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2)의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를 한 화면에 합성시, 카메라 화각, 줌, 노출, 촬영 각도 등이 달라 생기는 부자연스러움을 해소할 수 있다.The first camera 121 and the second camera 122 are controlled by the sam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ync) in the combined video section (time_video_composite). Accordingly, when synthesizing the first video object (object_video_1) of the first composite video clip (clip_time_composite_1) and the second video object (object_video_2) of the second composite video clip (clip_time_composite_2) , The shooting angle, and the like can be eliminated.

제 1 카메라(121)와 제 1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1) 간의 제어 프로토콜 및 제 2 카메라(122)와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2) 간의 제어 프로토콜은 업계에서 통용되는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A control protocol between the first camera 121 and the first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1 and a control protocol between the second camera 122 and the second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2 may be used in the industry.

한편,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2) 및 제 2 카메라(122)는, 제 1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1) 및 제 1 카메라(121)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카메라(121) 및 제 1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1)과 제 2 카메라(122) 및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2)은 각각 서로 다른 스튜디오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2 and the second camera 122 may be installed apart from the first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1 and the first camera 121. For example, the first camera 121 and the first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1, the second camera 122, and the second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2 may be installed in different studios, respectively.

제 1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1) 및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2)에 의해 제어되는 카메라의 대수는 각각 1대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보다 역동적인 촬영 및 편집을 위해 2대 이상의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The number of cameras controlled by the first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1 and the second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2 is not limited to one, and two or more cameras may be used for more dynamic shooting and editing .

한편,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130)은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 생성시, 제 1 공연객체의 기점유 위치정보(data_positional_1)를 더 저장한다.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은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2) 생성시, 기점유 위치정보(data_positional_1)에 해당하는 지역에 제 2 공연객체가 진입하려는 경우, 시각, 청각, 또는 촉각적 경고를 송출하는 경고 송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고를 통해 공연객체들이 합성 동영상에서 서로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연객체의 위치정보, 예컨대 3차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깊이 카메라(depth camera)가 사용될 수 있다. 간단한 깊이 카메라의 일례로서, 스테레오 카메라, 인텔 사의 리얼센스(Realsense) 카메라,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키넥트(Kinect)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 정보의 수준에 따라, 간단한 2D 카메라 또는 공연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non-temporal data storage module 130 further stores the occupancy position information (data_positional_1)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when generating the first composite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1). When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s to be entered in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ase occupancy position information (data_positional_1)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second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2),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100 generates a visual, audible, or tactile warning And a warning sending module for sending out the warning message. These warnings can prevent performance objects from overlapping in the composite video. A depth camera may be used to obtai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erformance object, e.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Examples of simple depth camera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stereo camera, a Realsense camera from Intel, and a Kinect from Microsoft.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 simple 2D camera or an infrared sensor may be used to sense the location of the performance object.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150)은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1)을 이용하여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1)의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1)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150)은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의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2)의 제 2 공연객체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의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150)은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1)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포함하는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를 생성할 수 있다.11,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150 may generate a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1) of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time_video_separate_1) using the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1) have. 5 and 6, the moving image content generation module 150 generates the moving object of the first composite section of the first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1)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of the second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2) To be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to generate a final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of the composite moving picture time_video_composite. In addition,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150 may generate all the moving picture contents (contents_video_full) including the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1) and the final combin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 및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2)이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ync)로 제어된 제 1 카메라(121) 및 제 2 카메라(122)에 의해 촬영되므로, 카메라 각도, 조명, 배경 등이 서로 자연스럽게 일치하는 고품질의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생성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synthesiz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s clip_time_composite_1 and clip_time_composite_2 ar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121 and the second camera 122 controlled by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ync,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high-quality final synthesis section movi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in which angles, lights, backgrounds, and the like coincide naturally.

또한,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는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1)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포함하므로, 다양한 촬영 각도의 다양한 피사체가 등장하는 영상들이 교차 편집되는 효과 갖는다.Also, since the entire video content contents_video_full includes the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1 and the final composite section movi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images in which various subjects of various shooting angles appear are cross-edited.

<제 1 실시예>&Lt; Embodiment 1 >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는 객체 추출을 통한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생성하는 일례이다. 반복되는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작기반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7. FIG. The first embodiment is an example of generating a final composite video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through object extraction. In order to avoid repetitive explanation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FIG. 1 will be omitted.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based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150)은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으로부터 제 1 공연객체의 컨투어(contour)를 따라 정의되는 제 1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1)를 추출하고,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2)으로부터 제 2 공연객체의 컨투어를 따라 정의되는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를 추출하는 동영상 객체 추출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컨투어 추출은 통상의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150)은 제 1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1) 및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가 단일 배경화면에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의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생성할 수 있다.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150 extracts a first moving picture object (object_video_1) defined along the contour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from the first composit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1) being generated or generated, And a moving picture object extraction unit 151 for extracting a second moving object object_video_2 defined along the contour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from the generated second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2. Contour extraction can use conventional computer graphics techniques. 7, the moving image content generation module 150 synthesizes the first moving image object (object_video_1) and the second moving image object (object_video_2) to be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image frame on a single background image, and outputs the combined moving image interval (time_video_composite) (Clip_time_composite_final).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협소한 실제 스튜디오 배경이 아닌 가상배경을 통해 합성 동영상 컨텐츠의 품질을 제고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and reduce the cost through the virtual background rather than the narrow real studio background.

또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150)은 단일 배경화면을 3D 형태로 구성하고,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ync)에 적응적으로 대응되게 단일 배경화면을 렌더링하는 3D 배경화면 렌더링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1) 및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와 가상배경이 보다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다.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150 may further include a 3D background rendering unit 152 for rendering a single background screen in 3D form and rendering a single background screen adaptively corresponding to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ync) . Thus, the virtual background can be more smoothly integrated with the first video object (object_video_1) and the second video object (object_video_2).

<제 2 실시예>&Lt; Embodiment 2 >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8을 통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객체 추출을 통한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생성하는 다른 일례이다. 반복되는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작기반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8. FIG. The second embodiment is another example of generating a final composite video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through object extraction. In order to avoid repetitive explanation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FIG. 1 will be omitted.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based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150)은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2)으로부터 제 2 공연객체의 컨투어를 따라 정의되는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를 추출하는 동영상 객체 추출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150)은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을 배경으로 추출된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의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생성할 수 있다.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150 includes a moving picture object extraction unit 151 for extracting a second moving picture object (object_video_2) defined along the contour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from the generated or generated second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2) . &Lt; / RTI &gt; In addition, the moving image content generation module 150 synthesizes the second moving image object (object_video_2) extracted in the background of the first combined moving image clip (clip_time_composite_1) to be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image frame, Quot; clip_time_composite_final &quot;.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와 제 1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1)가 등장하는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의 배경이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background of the first composite video clip (clip_time_composite_1) in which the second video object (object_video_2) and the first video object (object_video_1) appear can be naturally merg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가 보다 다양한 피사체 및 촬영 각도의 영상들이 교차 편집되는 효과 갖기 위해,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150)은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부가 동영상 클립(clip_additional)을 더 포함하여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moving picture content creation system 100 using the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3, when the entire contents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s (contents_video_full) are cross- In order to have an effect,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15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moving picture clip (clip_additional) that does not display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on the moving picture frame, thereby generating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s (contents_video_full)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에 따르면,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시간구간 정의모듈(110)은 생성하고자 하는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의 전체 동영상 구간(time_video_full) 중에서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고 제 1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2)을 더 정의할 수 있다.4 and 10, the time interval definition module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ntents_video_full () of the video content to be generated (contents_video_full (Time_video_separate_2) in which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s displayed on the moving picture frame and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s not displayed on the moving picture frame, among the entire moving picture sections (time_video_full) of the moving picture frame.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130)은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2)에서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제 2 카메라(122)를 제어하는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eparate_2)를 더 포함하는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2)를 저장할 수 있다.The non-temporal data storage module 130 further includes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eparate_2) for controlling the second camera 122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the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time_video_separate_2) And can store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2).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142)은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을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2) 중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eparate_2)를 이용해서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2)을 더 생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second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2 uses the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eparate_2) of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2) It is possible to further generate the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2).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150)은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2)을 이용하여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2)의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2)을 더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150)은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1),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2)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포함하는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를 생성할 수 있다.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150 may further generate a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2) of the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time_video_separate_2) by using the second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2). Also,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150 generates all the moving picture contents (contents_video_full) including the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1), the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2) and the final combining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Can be generated.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는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1),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2),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포함하므로, 보다 다양한 촬영 각도의 다양한 피사체가 등장하는 영상들이 교차 편집되는 효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video content contents_video_full includes a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1), a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2), and a final combining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The images in which the subjects of various angles appear are cross-edited.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Lt; Method of generating moving picture contents using collaborations of plural performance objects >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moving image contents using collaborations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생성하고자 하는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의 전체 동영상 구간(time_video_full) 중 제 1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고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1) 및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공연객체를 동시에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는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을 정의하는 제 1 단계(s110)를 수행한다. 전체 동영상 구간(time_video_full)에서,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1) 및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의 순서는 바뀔 수 있으며, 각각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moving image contents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14,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displays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n the moving picture frame among the entire moving picture sections (time_video_full) of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s (contents_video_full) A first step (S110) of defining a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time_video_separate_1) not to be displayed on the moving picture frame and a combined moving picture section (time_video_composite) displaying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simultaneously on the moving picture frame do. In the entire video segment (time_video_full), the order of the first individual video segment (time_video_separate_1) and the composite video segment (time_video_composite) may be changed, and a plurality of them may exist.

다음으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1)에서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121)를 제어하는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eparate_1) 및,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에서,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를 제어하는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ync)를 포함하는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1)를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130)에 저장하는 제 2 단계(s120)를 수행한다.Next,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generates the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eparate_1)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first camera 121 in response to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n the first individual video section (time_video_separate_1) ) And a first ful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1) including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ync) controlling at least one first camera in response to a performance of a first performance object, To the non-volatile data storage module 130 (S120).

다음으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에서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를 제어하는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ync)를 포함하는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2)를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130)에 저장하는 제 3 단계(s130)를 수행한다. 제 2 단계와 제 3 단계는 순서가 서로 바뀔 수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Next, the second device control system 100 controls the at least one second camera in response to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the composite video section (time_video_composite). The second overall control device 100 includes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ync) And a third step (S130) of storing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2) in the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130). The second and third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order and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다음으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을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1) 중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eparate_1)를 이용해서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1)을 생성하고(s141),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1) 중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ync)를 이용해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공연객체가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는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을 생성하는(s142) 제 4 단계를 수행한다.Next,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transmits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to the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1) using the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eparate_1) of the first whol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1) (S141), and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ync) of the first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1), as shown in Fig. 5,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s displayed on the moving picture frame And a fourth step of creating one composite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1) (s142).

다음으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을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2) 중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ync)를 이용해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공연객체가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는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2)을 생성하는 제 5 단계(s152)를 수행한다. 제 4 단계와 제 5 단계는 순서가 서로 바뀔 수 있고, 예컨대, 서로 다른 스튜디오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Next,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uses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ync) among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2) to perform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And a fifth step (s152) of generating a second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2) in which the performance object is displayed on the moving picture frame. The fourth and fifth steps may be reversed in order, for example,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different studios.

한편, 서로 다른 시간 또는 서로 다른 공간에서 동일한 공연을 분산 수행하는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공연객체들 간의 공연의 조화를 이루어 보다 자연스러운 합성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2 공연객체의 공연 중에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을 제 2 공연객체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generate more natural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by harmonizing performances between the first performance objects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s that perform the same performances at different times or in different spaces,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the first composite duration movie clip (clip_time_composite_1) can be displayed to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또한, 제 3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 및 제 2 카메라(122)는 제 2 단계 및 제 4 단계의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 및 제 1 카메라(121)와 이격되어, 예컨대, 서로 다른 스튜디오에 설치될 수 있다.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and the second camera 122 in the third and fifth steps are spaced apart from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and the first camera 121 in the second and fourth steps For example, in different studios.

한편,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공연객체가 합성될시 서로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4 단계에서,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 생성시, 제 1 공연객체의 기점유 위치정보(data_positional_1)를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130)에 저장할 수 있다(s142-2).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2) 생성시, 기점유 위치정보(data_positional_1)에 해당하는 지역에 제 2 공연객체가 진입하는지 판단하고(s152-2), 진입할 경우, 시각, 청각, 또는 촉각적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s152-3).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concert object and the second concert object from overlapping each other when synthesized,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as shown in Fig. 15, clip_time_composite_1) may be stored in the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130 (s142-2). Whe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generates the second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2,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enter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base occupancy position information data_positional_1 (s152-2) , Sight, hearing, or tactile warning (s152-3).

마지막으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1)을 이용하여,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1)의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1)을 생성하고(s161),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의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2)의 제 2 공연객체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의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생성하고(s162),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1)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포함하는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를 생성하는(s163) 제 6 단계를 수행한다. s163 단계에서,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 중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1)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또한,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는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1)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중복하여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생성된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는 다양한 촬영 각도의 다양한 피사체가 등장하는 영상들이 교차 편집되어 고품질을 갖는다.Finally,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uses the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1) to create a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1) of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time_video_separate_1) (S161), synthesizes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s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of the first composite motion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1)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s of the second composite motion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2) to be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time_video_complete_time_video_composite) is generated (s162), and the entire video content (contents_video_full) including the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1) and the final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is generated s163) Step 6 is performed. In step s163, the order of the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1) and the final compos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of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s (contents_video_full) may be changed. In addition, the entire video content contents_video_full may include a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1) and a final combin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in a duplicate manner. Accordingly, the generated entire video contents (contents_video_full) have high quality by cross-editing images in which various subjects of various shooting angles appear.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4 단계에서,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으로부터 제 1 공연객체의 컨투어(contour)를 따라 정의되는 제 1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1)을 추출할 수 있다(s142-1). 또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5 단계에서,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2)으로부터 제 2 공연객체의 컨투어를 따라 정의되는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를 추출할 수 있다(152-1).FIG.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moving image contents using collaboration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16, in the fourth step,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defines the contour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from the first composite duration movie clip (clip_time_composite_1) being created or created, The first video object (object_video_1) can be extracted (s142-1). In the fifth step,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extracts a second video object (object_video_2) defined along the contour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from the generated second composite video clip (clip_time_composite_2) (152-1).

다음으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6 단계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1) 및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가 단일 배경화면에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의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생성할 수 있다(s162).Next, in the sixth step,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video object (object_video_1) and the second video object (object_video_2) are displayed on a single background screen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So that the final composite video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of the composite video stream (time_video_composite) can be generated (s162).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은 협소한 실제 스튜디오 배경이 아닌 가상배경을 통해 합성 동영상 컨텐츠의 품질을 제고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contents and reduce the cost through the virtual background rather than the narrow real studio background.

한편,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단일 배경화면을 3D 형태로 구성하고,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ync)에 적응적으로 대응되게 단일 배경화면을 렌더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1) 및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와 가상배경이 보다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may configure a single background screen in 3D form and render a single background screen adaptively corresponding to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ync). Thus, the virtual background can be more smoothly integrated with the first video object (object_video_1) and the second video object (object_video_2).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5 단계에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2)으로부터 제 2 공연객체의 컨투어를 따라 정의되는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를 추출할 수 있다(152-1).FIG.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moving picture contents using collaborations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17, in the fifth step,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acquires a second performance object (second object) from a second composite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2) (Object_video_2) defined along the contour of the first moving object (object_video_2).

마지막으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6 단계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을 배경으로 추출된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합성 동영상 구간(time_video_composite)의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생성할 수 있다(s162).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은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에 표시되지 않은 관객들의 환호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Finally, in the sixth step,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cond video object (object_video_2) extracted in the background of the first composite video clip (clip_time_composite_1) (S162) so that the final composite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of the composite moving picture section (time_video_composite)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8, the final composite section movi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may include a cheering animation of the audience that is not displayed in the first composite section movie clip (clip_time_composite_1).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은 제 2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2)를 제 1 동영상 객체(object_video_1)가 등장하는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1)의 배경에 자연스럽게 융화시킬 수 있다.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aturally integrate the second moving object object_video_2 into the background of the first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1 in which the first moving object object_video_1 appear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보다 다양한 촬영 각도를 갖는 다양한 피사체들의 영상들을 교차 편집되는 효과 갖기 위해,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공연객체 및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부가 동영상 클립(clip_additional)을 더 포함하여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를 생성할 수 있다.13, in order that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ross-editing images of various subjects having different shooting angles,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objects An additional moving picture clip (clip_additional) which is not displayed on the frame to generate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s (contents_video_full).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2) 생성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1 단계에서, 생성하고자 하는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의 전체 동영상 구간(time_video_full) 중에서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고 제 1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도 10에 도시된,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2)을 더 정의할 수 있다(s110-1). 또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3 단계에서,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2)에서,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eparate_2)를 더 포함하는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2)를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130)에 저장할 수 있다(130-1).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generation of a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18, in the first step,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displays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the moving picture frame from among the entire moving picture sections (time_video_full) of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s (contents_video_full) to be generated The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time_video_separate_2) shown in Fig. 10 in which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s not displayed on the moving picture frame can be further defined (s110-1). In the third step,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controls the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the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camera in corresponde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er object in the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interval time_video_separate_2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2) including the data_control_separate_2 may be stored in the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130 (130-1).

다음으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5 단계에서,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을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full_2) 중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data_control_separate_2)를 이용해서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2)을 더 생성할 수 있다(s151).Next,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controls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the fifth step using the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separate_2) of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data_control_full_2) An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2) can be further generated (s151).

마지막으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100)이, 제 6 단계에서,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2)을 이용하여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time_video_separate_2)의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2)을 더 생성하고(s161-1),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1),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2)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포함하는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를 생성할 수 있다.Finally, in the sixth step,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100 further transmits the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2 of the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time_video_separate_2) by using the second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2) (S161-1), and generates all the moving picture contents (contents_video_full) including the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1), the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2) and the final combining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에 따른 전체 동영상 컨텐츠(contents_video_full)는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1),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separate_final_2), 및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clip_time_composite_final)을 포함하므로, 보다 다양한 촬영 각도의 다양한 피사체가 등장하는 영상들이 교차 편집되는 효과 갖는다.The entire video content (contents_video_full) according to the video content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1), a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separate_final_2), and a final combining section moving picture clip (clip_time_composite_final) Therefore, the images in which a variety of subjects with different shooting angles appear are cross-edited.

본 명세서에서의 발명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모두 포함한다.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0 :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110 : 시간구간 정의모듈 121 : 제 1 카메라
122 : 제 2 카메라 130 :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
141 : 제 1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
142 :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
150 :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
100: Video content creation system
110: Time interval defining module 121:
122: second camera 130: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141: First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42: Second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150: Video content creation module

Claims (18)

생성하고자 하는 전체 동영상 컨텐츠의 전체 동영상 구간 중 제 1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고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 및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동시에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는 합성 동영상 구간을 정의하는 시간구간 정의모듈;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및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제어하는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와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는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
상기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공연객체를 촬영한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공연객체를 촬영한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제 1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촬영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 및
상기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의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의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의 상기 제 2 공연객체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및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A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in which a first performance object is displayed on a moving picture frame and a second performance object is not displayed on a moving picture frame in all moving picture sections of all moving picture contents to be generated, A time interval definition module for defining a composite moving picture section in which object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a moving picture frame;
At least one first camera;
At least one second camera;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first camera in corresponde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n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and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first camera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 first ful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cluding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camera and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second camera in corresponde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the synthesizing moving picture interval A non-volatile dat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 second ful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in which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s photographed is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first camera using the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first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And controlling the first camera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first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section to generate a first synthesiz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photographed by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1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A second studio that controls the second camera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section to generate a second synthesiz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photographed by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Equipment control module; And
A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is generated using the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nd the first concurrent moving picture clip of the first concurrent moving picture clip and the second concurrent moving picture clip The second concatenated moving picture clip is synthesized so that the second concert object is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to generate a final concatenated moving picture clip of the synthesized moving picture section, And a moving image content creation module for creating content based on the collabora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구간 정의모듈은, 생성하고자 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전체 동영상 구간 중에서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을 더 정의하고,
상기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은, 상기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은,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을 상기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더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은, 상기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의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더 생성하고, 상기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상기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및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me duration definition module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on the moving picture frame from among the entire moving picture sections of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 to be generated and to display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on the moving picture frame, Lt; / RTI &gt;
Wherein the non-temporal data storage module further comprises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second camera in response to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the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Storing the data,
Wherein the second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further generates a second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using the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of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by performing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Wherein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further generates a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using the second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The moving picture clips, the moving picture clips, and the moving picture clips of the final result section are gener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컨투어(contour)를 따라 정의되는 제 1 동영상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컨투어를 따라 정의되는 제 2 동영상 객체를 추출하는 동영상 객체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동영상 객체 및 상기 제 2 동영상 객체가 단일 배경화면에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comprises:
Extracting a first moving picture object defined along a contour of the first concert object from the first concurrent moving picture clip during or during the creation of the first concatenated moving picture clip, And a moving picture objec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second moving picture object defined according to a contour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wherein the first moving picture object and the second moving picture object are synthesized so as to be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on a single background screen And the final composite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combined moving picture section is generat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은,
상기 단일 배경화면을 3D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에 적응적으로 대응되게 상기 단일 배경화면을 렌더링하는 3D 배경화면 렌더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comprises:
And a 3D background rendering unit configured to form the single background screen in a 3D form and to render the single background screen adaptively corresponding to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Video Contents Generation System 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컨투어를 따라 정의되는 제 2 동영상 객체를 추출하는 동영상 객체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배경으로 상기 추출된 제 2 동영상 객체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comprises:
And a moving image object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a second moving image object defined along a contour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from the generated or generated second composite moving image clip, And generating the final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of the composite moving picture section by combining the extracted second moving picture object to be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 중에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상기 제 2 공연객체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first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on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은,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 생성시,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기점유 위치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상기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 생성시, 상기 기점유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에 상기 제 2 공연객체가 진입하려는 경우 시각, 청각, 또는 촉각적 경고를 송출하는 경고 송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temporal data storage module further stores the occupancy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when generating the first composition moving picture clip,
Wherein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system includes a warning sending module for sending a visual, audible or tactile warning when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enter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occupied posi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second combined moving picture clip,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 및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제 2 스튜디오 장비 제어모듈 및 상기 제 2 카메라와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and the first camera are installed apart from the second studio equipment control module and the second camer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생성모듈은,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부가 동영상 클립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picture content generation module comprises:
Wherein the first moving object and the second performing object are displayed on the moving picture frame, and the additional moving picture clip is not displayed on the moving picture frame, thereby generating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
복수의 공연객체들의 협업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에 있어서,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생성하고자 하는 전체 동영상 컨텐츠의 전체 동영상 구간 중 제 1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고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 및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동시에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는 합성 동영상 구간을 정의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및,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카메라를 제어하는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를 제어하는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상기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공연을 상기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제 1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상기 제 1 공연객체가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는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을 상기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상기 제 2 공연객체가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는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1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개별 동영상 구간의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의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의 상기 제 2 공연객체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및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
A method for generating moving picture contents using collaborations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includes a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in which a first performance object is displayed on a moving picture frame and a second performance object is not displayed on a moving picture frame in a whole moving picture section of all moving picture contents to be generated, A first step of defining a composite moving picture section for displaying the object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simultaneously on a moving picture frame;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comprises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first camera corresponding to a performance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n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A second step of storing first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cluding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first camera corresponding to a performance of a first performance object in a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es a second overal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clud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second camera in correspondence to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A third step of storing the data in the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generates a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using the first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first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using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 fourth step of generating a first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in which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s displayed on a moving picture frame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equipment control data;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is operable to control the second concert moving object to play a second concert moving picture in which the second concert object is displayed on a moving picture frame using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mong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 fifth step of generating a clip; And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generates the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first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using the first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nd the first concurrent moving picture clip of the first concurrent moving picture clip, The second concatenated moving picture clip is synthesized so that the second concert moving object of the second concatenated moving picture clip is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to generate a final compos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combined moving picture section, And generating the entire moving image content including the clip.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생성하고자 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전체 동영상 구간 중에서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을 더 정의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에서,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상기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을 상기 제 2 전체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 중 상기 제 2 개별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를 이용해서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더 생성하고,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2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개별 동영상 구간의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을 더 생성하고, 상기 제 1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상기 제 2 최종 개별구간 동영상 클립 및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step is a step in which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displays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on the moving picture frame from among the entire moving picture sections of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 to be generated and displays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on the moving picture frame A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is defined,
Wherein the third step is a step in which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further includes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second camera in corresponde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n the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Storing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cluding the first ful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in the non-temporary data storage module,
The fifth step is for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to further generate a second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by using the second individual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of the second entire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as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and,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further generates a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second individual moving picture section using the second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and the first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picture clip , The second final individual section moving image clip, and the final combining section moving image clip.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컨투어(contour)를 따라 정의되는 제 1 동영상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컨투어를 따라 정의되는 제 2 동영상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제 1 동영상 객체 및 상기 제 2 동영상 객체가 단일 배경화면에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ourth step is a step in which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extracts a first moving image object defined along a contour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from the first composite interval moving image clip generated or generated,
The fifth step is a step in which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extracts a second moving image object defined along the contour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from the generated second composition moving image clip during the generation or completion,
And the sixth step is to synthesize the first moving image object and the second moving object so that they are displayed on a single background screen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to generate the final combin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combined moving picture section How to create conten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단일 배경화면을 3D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동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데이터에 적응적으로 대응되게 상기 단일 배경화면을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
13.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2,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configures the single background screen in 3D form and renders the single background screen adaptively corresponding to the synchronous studio equipment control dat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생성 중 또는 생성 완료된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컨투어를 따라 정의되는 제 2 동영상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배경으로 상기 추출된 제 2 동영상 객체가 단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상기 합성 동영상 구간의 상기 최종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fth step is a step in which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extracts a second moving image object defined along the contour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from the generated second composition moving image clip during the generation or completion,
The sixth step may include combining the extracted second moving object to be displayed on a single moving picture frame in the background of the first combined moving picture clip to generate the final combined section moving picture clip of the combined moving picture interval, A method for generating moving picture content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2 공연객체의 공연 중에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을 상기 제 2 공연객체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displays the first composite moving picture clip on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1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 생성시, 상기 제 1 공연객체의 기점유 위치정보를 상기 비일시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2 합성구간 동영상 클립 생성시, 상기 기점유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에 상기 제 2 공연객체가 진입하려는 경우 시각, 청각, 또는 촉각적 경고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stores the occupancy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in the non-temporal data storage module when the first composition moving picture clip is generated,
In the fifth step, when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is to be entered in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re-occupied position informatio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generates a time, audible or tactile warning And transmitting the moving picture conten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 및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제 2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 및 상기 제 1 카메라와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in the third step and the fifth step and the second camera are installed apart from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in the second step and the fourth step and the first camera. How to create conten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 1 공연객체 및 상기 제 2 공연객체를 동영상 프레임 상에 표시하지 않는 부가 동영상 클립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체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생성방법.
11.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0,
Wherein the studio equipment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es an additional moving picture clip that does not display the first performance object and the second performance object on a moving picture frame, thereby generating the entire moving picture content.
KR1020160076009A 2016-06-17 2016-06-17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deo Contents Using Collaboration of Performing Objects KR1017438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009A KR101743874B1 (en) 2016-06-17 2016-06-17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deo Contents Using Collaboration of Performing Objects
PCT/KR2017/006262 WO2017217789A1 (en) 2016-06-17 2017-06-15 Video content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using cooperation of plurality of performance obje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009A KR101743874B1 (en) 2016-06-17 2016-06-17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deo Contents Using Collaboration of Performing Obje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874B1 true KR101743874B1 (en) 2017-06-20

Family

ID=5928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009A KR101743874B1 (en) 2016-06-17 2016-06-17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deo Contents Using Collaboration of Performing Objec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3874B1 (en)
WO (1) WO2017217789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618A (en) 2000-03-06 2001-09-14 Canon Inc Moving picture generating device, moving picture reproducing device,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550B1 (en) * 2008-04-23 2014-09-1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composing image and motion picture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0956768B1 (en) * 2008-07-15 2010-05-11 김승숙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posed moving picture
KR101516850B1 (en) * 2008-12-10 2015-05-04 뮤비 테크놀로지스 피티이 엘티디. Creating a new video production by intercutting between multiple video clips
KR101490506B1 (en) * 2014-07-08 2015-02-10 주식회사 테라클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moving picture cont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618A (en) 2000-03-06 2001-09-14 Canon Inc Moving picture generating device, moving picture reproducing device,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7789A1 (en)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5257B2 (en) Communication stage and imaging systems
EP3238445B1 (en) Interactive binocular video display
CN106792246B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on of fusion type virtual scene
US91609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three dimensional presentations
CN105794202B (en) Depth for video and line holographic projections is bonded to
CN107852476B (en) Moving picture playback device, moving picture playback method, moving picture playback system, and moving picture transmission device
US20140306995A1 (en) Virtual chroma keying in real time
KR101530826B1 (en) Playing method and the system of 360 degree spacial video
CN105938541B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live performances with digital content
US2011030473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Live Interactive Visual Immersion Entertainment Show
CN106534618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alizing pseudo field explanation
KR20160021706A (en) Playing method and the system of 360 degree spacial video
US201801243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ystem Requirements for a Virtual Reality 360 Display
KR20180052494A (en) Conference system for big lecture room
Kavakli et al. The virtual production studio concept–an emerging game changer in filmmaking
US20090153550A1 (en) Virtual object rendering system and method
KR20190031220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
KR101879166B1 (en) A real-world studio system capable of producing contents using the control of a virtual studio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18430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Editing Based on Camera Movement
US100324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udio data in view of corresponding visual data
KR1017438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deo Contents Using Collaboration of Performing Objects
KR20200028830A (en) Real-time computer graphics video broadcasting service system
US9715900B2 (en) Methods, circuits, devices, systems and associated computer executable code for composing composite content
KR102462863B1 (en) Method of operating open market platform that matches users with sellers who automatically recommend products to user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JP2008236708A (en) Medium production apparatus for virtual film stu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