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591B1 -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Wireless Power Transfor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Wireless Power Trans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591B1
KR101742591B1 KR1020160096798A KR20160096798A KR101742591B1 KR 101742591 B1 KR101742591 B1 KR 101742591B1 KR 1020160096798 A KR1020160096798 A KR 1020160096798A KR 20160096798 A KR20160096798 A KR 20160096798A KR 101742591 B1 KR101742591 B1 KR 101742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essage
target device
targ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94919A (en
Inventor
권상욱
김남윤
홍영택
박은석
유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591B1/en
Publication of KR20160094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9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5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은, 타겟 장치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웨이크 업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웨이크-업 요청 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된 타겟 장치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수요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요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장치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re provided. In one aspect, a wireless 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includes transmitting a wake-up request signal for waking up a target device,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from a target device activated by the wake-up request signal, Setting a demanded power based on the response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resonant power to the target device based on the demanded power.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Wireless Power Transfor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기술 분야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예를 들어 공진 전력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field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example a resonant power transmission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최근 들어 IT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휴대용 전자제품이 출시되었고, 이들의 보급도 늘고 있다. 휴대용 전자제품의 특성 상, 해당 휴대용 전자제품의 배터리 성능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제품뿐 아니라 생활가전제품에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나, 전력(power)은 전력선(power line)을 통하여 제공 받는다.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 variety of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have been introduced and their spread is increas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battery performan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The ability to transmit data wirelessly in portable electronics as well as in household appliances is provided, but power is provided through the power line.

최근 들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 (wireless power transmission)이 연구되고 있다. 무선 환경의 특성 상, 전원 공진기(source resonator) 및 대상 공진기(target resonator) 사이의 거리가 시간에 따라 변할 가능성이 높고, 양 공진기의 매칭(matching) 조건 역시 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가변 상황에서 무선 전송의 효율의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제시된다.Recentl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capable of supplying power wirelessly has been studi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dio environ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source resonator and the target resonator is likely to vary with time, and the matching conditions of both resonators may also vary. In this specification, a new scheme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wireless transmission in such a variable situation is presented.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은, 타겟 장치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웨이크 업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웨이크-업 요청 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된 타겟 장치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수요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요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장치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a wireless 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includes transmitting a wake-up request signal for waking up a target device,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from a target device activated by the wake-up request signal, Setting a demanded power based on the response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resonant power to the target device based on the demanded power.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는, 타겟 장치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웨이크 업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웨이크-업 요청에 의하여 활성화된 타겟 장치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수요 전력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수요 전력에 대응하는 공진 전력을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하는 소스 공진기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 wake-up request signal for waking up a target apparatus and receives a response message from a target apparatus activated by the wake-up request; And a source resonator for transmitting the resonant power corresponding to the demanded electric power to the target device.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는, 소스 공진기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동작하는 타겟 공진기와, 소스 장치로부터 웨이크 업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웨이크-업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공진 전력에 의하여 활성화 되고, 상기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타겟 장치의 식별자(ID) 및 필요한 전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target resonator operating at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s the source resonator,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wake-up request signal from the source apparatu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wake- And a control unit activated by the resonance power included in the wake-up signal and generating the response message. The response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 identifier (ID) of a target device and necessary power.

소스 장치에서 AC 및 DC 전력을 센싱하거나 타겟 장치에서 수신 전력을 센싱함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전력 전송 및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다.By sensing AC and DC power at the source device or sensing received power at the target device, stable power transmission and system operation is possible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타겟 장치의 수요 전력 및 소스 장치의 전송 전력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demand power of the target apparatus and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source apparatus.

타겟 장치를 식별하고, 타겟 장치의 상태를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target device and control the transmission power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the target device.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응답 메시지 포맷을 나타낸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교류 발생부 및 전류 설정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shows a response message forma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shows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shows a configuration of an AC generator and a current sett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shows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소스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 장치(110, 120, 130)에게 전력을 전송한다. 이때, 소스 장치(100)는 공진 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공진 전력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 장치(110, 120, 13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소스 공진기(source resonator)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 장치(110, 120, 130)는 각각 타겟 공진기(target resonator)를 포함한다. 소스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에 일 모듈의 형태로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 장치(110, 120, 130)는 각각 전송 전력 제어에 사용되는 "Power control data"를 소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source device 100 transmits power to at least one target device 110, 120, 130. At this time, the source apparatus 100 may generate resonance power and wirelessly transmit the generated resonance power to at least one target apparatus 110, 120, 130. The source device 100 includes a source resonator that transmits resonant power and at least one of the target devices 110, 120, and 130 includes a target resonator. The source device 100 may be embodied as a module in a portable terminal. At least one of the target devices 110, 120, and 130 may transmit the "Power control data" used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to the source device 100, respectively.

도 2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10)에서 소스 장치(100)는 타겟 장치(110)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웨이크 업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타겟 장치(110)는 하나의 예에 해당하며, 복수의 타겟 장치도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웨이크-업 요청 신호는 소스 장치(100)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찾기 위한 신호이다. 웨이크-업 요청 신호는 타겟 장치(110)가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요청 신호는 20MHz Continuous wave(CW)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CW는 타겟 장치(110)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되어 임의의 메시지를 변조할 수 있는 만큼의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step 210, the source device 100 transmits a wake-up request signal for waking up the target device 110. Here, the target device 110 corresponds to one example, and a plurality of target devices may exist. Here, the wake-up request signal is a signal for searching for a device operating at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s the source device 100. The wake-up request signal may include power that the target device 110 is used to transition to the receive mode. For example, the wake-up request signal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20 MHz continuous wave (CW). At this time, the CW may include enough power that a processor included in the target device 110 can be activated and modulate an arbitrary message.

단계(220)에서 소스 장치(100)는 웨이크-업 요청 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된 타겟 장치(11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응답 메시지는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ID) 및 타겟 장치(110)에서 필요한 전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의 포맷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In step 220, the source device 100 receives a response message from the target device 110 activated by the wake-up request signal. At this time, the response message may include an identifier (ID) of the target device 110 and information on the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110. A specific example of the format of the response mess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소스 장치(100)는 설정된 시간 내에 어느 하나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웨이크-업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주변에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ource device 100 fails to receive any one of the response messag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may periodically transmit a wake-up request signal to detect whether a device exists in the vicinity.

단계(230)에서 소스 장치(100)는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수요 전력을 설정하고, 설정된 수요 전력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110)로 공진 전력을 전송한다. 단계(230)는 구체적으로, 응답 메시지를 복조하는 것, 복조된 응답 메시지로부터 타겟 장치(110)의 필요 전류 및 필요 전압을 확인하는 것, 타겟 장치(110)의 필요 전류 및 필요 전압에 기초하여 수요 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소스 장치(100)는 타겟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Power control data"에 기초하여 수요 전력을 설정하고, 수요 전력만큼의 전력을 타겟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요 전력은 타겟 장치의 개수 및 반사 전력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타겟 장치가 복수인 경우, 또는 타겟 장치 내에 복수의 충전부가 구비된 경우를 고려하여 수요 전력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수요 전력은 타겟 장치(110)에서 측정되는 반사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타겟 장치(110)에서 측정되는 반사 전력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In step 230, the source device 100 sets the demanded power based on the response message, and transmits the resonant power to the target device 110 based on the set demanded power. Step 230 specifically includes demodulating the response message, determining the required current and required voltage of the target device 110 from the demodulated response message, determining the required current and required voltage of the target device 110, And setting the demanded power. That is, the source apparatus 100 sets the demand power based on the "Power control data" received from the target apparatus 110, and can transmit power as much as the demand power to the target apparatus 110. [ In addition, the demanded power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arget devices and the reflected power. That is, the demand power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a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target devices or a case where a plurality of live parts are provided in the target device. In addition, the demanded power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reflected power measured at the target device 110, and the reflected power measured at the target device 110. [

단계(240)에서 타겟 장치(110)는 타겟 장치의 식별자(ID) 및 전력 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체크 메시지를 소스 장치(100)로 전송한다. 즉, 타겟 장치(110)는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ID를 소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타겟 장치(110)의 ID를 수신함으로써, 타겟 장치(110)가 계속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타겟 장치(110)는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전력 수신 상태를 소스 장치(100)로 알려 줄 수 있다. 이때, 전력 수신 상태는 베터리 충전 상태, 전원 온/오프 여부, 반사 전력량, 커플링 정보 및 소비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240, the target device 110 sends a check message to the source device 100, including an identifier (ID) of the target device and a power receiving status. That is, the target device 110 may transmit its ID to the source device 10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The source device 100 can know that the target device 110 still exists by receiving the ID of the target device 11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In addition, the target device 110 may inform the source device 100 of the power reception status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t this time, the power receiving sta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attery charging state, power on / off state, reflected power amount, coupling information, and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도 3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응답 메시지 포맷을 나타낸다.3 shows a response message forma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응답 메시지는 프리엠블(310), ID(320), 설정 정보(330) 및 CRC(3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response message may include a preamble 310, an ID 320, setting information 330, and a CRC 340.

프리엠블(310)은 응답 메시지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비트이다. 또한, 프리엠블(310)은 응답 메시지에서 설정 정보(330)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amble 310 is a bit indicating the start and end of the response message. In addition, the preamble 310 may include a value indicating the start and end of the setting information 330 in the response message.

ID(320)는 타겟 장치의 식별자이다. 또한, ID(320)는 타겟 장치의 종류 또는 제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장치의 종류는 가전제품, 모바일 제품, 충전 베터리 창착 유무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ID 320 is an identifier of the target device. In addition, the ID 320 may include a type of the target device or product information. The types of target devices can be classified into household appliances, mobile products, and rechargeable batteries.

설정 정보(330)는 수요 전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설정 정보(330)는 타겟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정격전압, 타겟 장치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전류, 커플링 레이트(Coupling rate), 커플링 범위(Coupling range), 반사 전력량, 충전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oupling rate는 소스 장치(100)에서 전송한 전력량과 타겟 장치에서 수신되는 전력량의 비로 정의될 수 있다. Coupling range는 타겟 장치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최소 전력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setting information 330 inclu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setting the demanded power. That is, the setting information 330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rated voltage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target device, a current required for the target device to operate, a coupling rate, a coupling range, a reflected power amount, . ≪ / RTI > The coupling rate may be defined as a ratio of the amount of power transmitted from the source apparatus 100 to the amount of power received by the target apparatus. The coupling range can be defined as the minimum amount of power required for the target device to operate.

CRC(340)는 메시지의 오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패리티 비트를 의미한다. The CRC 340 indicates a parity bit for checking whether a message is erroneous.

한편, 도 3에 도시된 응답 메시지 포맷은 단계(240)에서 전송되는 체크 메시지의 포맷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체크 메시지에는 타겟 장치의 시스템 안정 상태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sponse message format shown in FIG. 3 may also be used as a format of a check message transmitted in step 240. At this time, the check message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system stability state of the target apparatus.

소스 장치(100)는 도 3의 예에서 설명한 설정 정보(330)에 기초하여 수요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장치(100)는 타겟 장치에서 필요한 정격전압, 전류를 고려하여 수요 전력을 설정하고, 설정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소스 장치(100)는 Coupling rate 및 Coupling range를 고려하여 타겟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The source apparatus 100 can set the demanded power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330 described in the example of FIG. Therefore, the source apparatus 100 can set the demanded power in consideration of the rated voltage and current required in the target apparatus, and can transmit the set power. Also, the source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target apparatus in consideration of the coupling rate and the coupling range.

도 4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예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소스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4 shows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xample shown in Fig. 4 can be applied to a source devic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는 통신부(410), 제어부(420) 및 소스 공진기(430)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는 AC/DC 변환부(440), 공진 전력 생성부(4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진 전력 생성부(45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서 공진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공진 전력을 소스 공진기(430)로 제공한다. 공진 전력 생성부(450)는 직류 레벨 설정부(460), 교류 발생부(470), 전류 설정부(480), 공진 전력 센싱부(4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4,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410, a control unit 420, and a source resonator 430.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C / DC conversion unit 440 and a resonance power generation unit 450. At this time, the resonance power generation unit 450 generates resonance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20, and provides the generated resonance power to the source resonator 430. The resonance power generating unit 450 may include a DC level setting unit 460, an AC generating unit 470, a current setting unit 480, and a resonance power sensing unit 490.

통신부(410)는 타겟 장치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웨이크 업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410)는 웨이크-업 요청에 의하여 활성화된 타겟 장치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통신부(410)는 응답메시지에 오류가 없는 경우, 응답 메시지를 복조하고, 타겟 장치의 ID 및 필요한 전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420)로 제공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410 transmits a wake-up request signal for waking up the target devic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410 receives a response message from the target device activated by the wake-up request. If there is no error in the response message, the communication unit 410 demodulates the response message, and provides the control unit 420 with information on the ID of the target device and the required power.

제어부(420)는 공진 전력 생성부(45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변조된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수요 전력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20)는 타겟 장치에서 필요로하는 전압을 설정하기 위하여, 직류 레벨 설정부(4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20 may control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included in the resonance power generation unit 450. Further, the controller 420 sets the demanded power based on the modulated response messag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20 may control the direct current level setting unit 460 in order to set a voltage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소스 공진기(430)는 수요 전력에 대응하는 공진 전력을 타겟 장치로 전송한다. The source resonator 430 transmits the resonant power corresponding to the demanded electric power to the target device.

AC/DC 변환부(440)는 85~265volt의 교류 전압을 입력 받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The AC / DC converting unit 440 receives an AC voltage of 85 to 265 volts and converts it into a DC voltage.

직류 레벨 설정부(460)는 AC/DC 변환부(440)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전압의 레벨을 조정한다. 즉, 직류 레벨 설정부(460)는 수요 전력에 대응하는 필요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류 레벨 설정부(460)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서, 타겟 장치에서 필요로하는 전압으로 전압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The DC level setting unit 460 adjusts the level of the voltage converted to DC by the AC / DC converting unit 440. That is, the direct current level setting unit 460 can set the required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emanded electric power. For example, the direct current level setting unit 460 can control the voltage level to a voltage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20. [

교류 발생부(470)는 레벨 조정된 직류 전압으로부터 다시 AC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류 발생부(470)는 1MHz 이상의 교류 전압을 발생 시킬 수 있다. The AC generating unit 470 can generate the AC voltage again from the level adjusted DC voltage. For example, the AC generating unit 470 can generate an AC voltage of 1 MHz or more.

전류 설정부(48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서, 교류 발생부(470)에서 생성된 교류 전압의 전류량을 제어한다. 즉, 전류 설정부(480)는 타겟 장치에서 필요로하는 전류량이 생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류 설정부(480)는 실시간으로 전류량을 센싱함으로써, 일정한 전압 및 전류가 생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e current setting unit 480 controls the amount of the AC voltage generated by the AC generating unit 4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20. [ That is, the current setting unit 48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amount of current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is generated. Further, the current setting unit 480 can be controlled to generate a constant voltage and current by sensing the amount of current in real time.

공진 전력 센싱부(490)는 소스 공진기(430)로 제공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센싱한다. 제어부(420)는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전력량을 체크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력이 전송되도록 공진 전력 생성부(450)를 제어한다. The resonance power sensing unit 490 senses the amount of power provided to the source resonator 430 in real time. The control unit 420 controls the resonance power generation unit 450 so that power is transmitted stably by checking the amount of power sensed in real time.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소스 장치는 실시간으로 전류, 전압 및 전력량을 센싱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source device can operate the system stably by sensing the current, voltage, and power amount in real time.

도 5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교류 발생부 및 전류 설정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5 shows a configuration of an AC generator and a current sett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교류 발생부(470)는 RF line(5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류 설정부(480) RF line(5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전류량을 센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AC generator 470 may include an RF line 510. At this time, the amount of current can be sensed in real time by measuring the current flowing in the RF line 510 of the current setting unit 480.

한편, 교류 발생부(470)의 출력 단자는 λ/4 길이의 RF line(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F line(520)의 λ/4 지점(501)에서 AC Coupling을 하면, AC 전압 및 전력량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λ 는 공진주파수의 파장을 의미한다. 이때, λ/4 지점(501)에서 AC Coupling을 하면, 주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임피던스 미스 매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λ/4 지점(501)에서 AC Coupling을 하면, 일정량의 AC 전압을 커플링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공진 전력 센싱부(490)는 커플링된 AC 신호를 ADC 처리하여 전압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The output terminal of the AC generator 470 may include an RF line 520 having a length of? / 4. At this time, if AC coupling is performed at the lambda / 4 point 501 of the RF line 520, the AC voltage and the power amount can be sensed. Here,? Denotes the wavelength of the resonance frequency. At this time, AC coupling at the lambda / 4 point 501 does not affect the main signal, and impedance mismatching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Further, AC coupling at the? / 4 point 501 can be effective for coupling a certain amount of AC voltage. The resonance power sensing unit 490 can ADC-process the coupled AC signal to detect the voltage level.

도 6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예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타겟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6 shows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xample shown in Fig. 6 can be applied to a target devic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는 타겟 공진기(610), 통신부(620) 및 제어부(630)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는 수신 전력 처리부(640), 충전부(650) 및 충전 상태 감지부(6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6,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target resonator 610, a communication unit 620, and a control unit 630.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ceived power processing unit 640, a charging unit 650, and a charging state sensing unit 660.

타겟 공진기(610)는 소스 공진기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동작하고, 공진 전력을 수신한다. The target resonator 610 operates at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s the source resonator and receives resonance power.

통신부(620)는 소스 장치로부터 웨이크 업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620)는 웨이크-업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소스 장치로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620 receives a wake up request signal from the source devic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620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the wake-up request signal to the source device.

제어부(630)는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공진 전력에 의하여 활성화 되고,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630)는 타겟 장치의 전력 소비 상태를 나타내는 체크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30)는 타겟 장치의 식별자(ID) 및 전력 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체크 메시지를 주기적 또는 비 주기적으로 소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620)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630 is activated by the resonance power included in the wake-up signal and generates a response messag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30 may generate a check message indicating the power consumption state of the target apparatu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3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620 to transmit the check message including the identifier (ID) of the target device and the power reception state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to the source device.

수신 전력 처리부(640)는 타겟 공진기(610)에 의하여 수신된 전력을 처리하여 직류 전압을 충전부(650)로 제공한다. 수신 전력 처리부(640)는 공진 매칭부(641), 커플링 상태 감지부(643), 정류부(645) 및 전압 제어부(6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ceived power processing unit 640 processes the power received by the target resonator 610 and provides the DC voltage to the charging unit 650. [ The received power processing unit 640 may include a resonant matching unit 641, a coupling state sensing unit 643, a rectifying unit 645, and a voltage control unit 647.

공진 매칭부(641)는 타겟 공진기(610)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resonance matching unit 641 may perform a function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arget resonator 610. [

커플링 상태 감지부(643)는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610)간의 커플링 레이트, 반사 전력을 커플링하여 반사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커플링 상태 감지부(643)에 의하여 센싱되는 커플링 레이트, 반사 전력 측정 값을 제어부(630)로 보고한다. The coupling state sensing unit 643 can measure the reflected power by coupling the coupling rate and the reflected power between the source resonator and the target resonator 610. And reports the coupling rate and the reflected power measurement value sensed by the coupling state sensing unit 643 to the control unit 630.

정류부(645)는 타겟 공진기(610)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를 정류하여 DC 신호를 생성한다. The rectification section 645 rectifies the signal received by the target resonator 610 to generate a DC signal.

전압 제어부(647)는 정류부(645)에 의하여 정류된 DC 신호의 레벨을 조정한다. 또한, 전압 제어부(647)는 충전부(650)로 제공되는 전력을 센싱함으로써, 과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voltage control unit 647 adjusts the level of the DC signal rectified by the rectification unit 645. In addition, the voltage controller 647 senses the power supplied to the charger 650, thereby preventing over-power from being supplied.

충전부(650)는 공진 전력을 충전하고, 타겟 장치에 연결된 각종 부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The charging unit 650 can charge the resonance power and supply power to various loads connected to the target device.

충전 상태 감지부(660)는 충전부(650)의 충전 상태, 충전 완료 등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630)로 보고한다. The charging state sensing unit 660 senses the state of charge of the charging unit 650, the completion of charging, and reports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 unit 630.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는 전력 수신 상태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소스 장치로 피드백 함으로써,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도록 동작한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target apparatus operates to detect a power receiving state or the like, and to feedback the detected result to the source apparatus, thereby enabling stable system oper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Claims (19)

타겟 장치로 웨이크 업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웨이크 업 전력에 의하여 활성화된 타겟 장치로부터 상기 타겟 장치가 필요한 전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타겟 장치가 필요한 전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장치가 필요로 하는 수요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수요 전력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을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Transmitting wake-up power to the target device;
Receiving a first message from the target device activated by the wakeup power, the first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Setting a demanded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apparatus using information about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apparatus included in the first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wireless power corresponding to the set demand power to the target device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의 전력 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second message including a power receiving state of the target device; And
Adjusting the wireless power based on the second messag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신 상태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전원 온/오프 여부, 반사 전력량, 커플링 정보 또는 소비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reception state includes at least one of a battery charging state, a power on / off state, a reflected power amount, coupling information, or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ID)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message and the second message further comprises an identifier (ID) of the targe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전력은 상기 타겟 장치가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전력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ke-up power comprises power used by the target device to transition to a receive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시지를 복조하는 단계;
상기 복조된 제1 메시지로부터 상기 타겟 장치의 필요 전류 및 필요 전압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장치의 필요 전류 및 필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수요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setting the demanded electric power includes:
Demodulating the first message;
Determining a required current and a required voltage of the target device from the demodulated first message; And
Setting the demanded power based on a required current and a required voltage of the target device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전력은 상기 타겟 장치의 개수 및 반사 전력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manded power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arget devices and the reflected power.
타겟 장치로 웨이크 업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부;
상기 웨이크 업 요청에 의하여 활성화된 타겟 장치로부터 상기 타겟 장치가 필요한 전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타겟 장치가 필요한 전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장치가 필요로 하는 수요 전력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전송부는 상기 설정된 수요 전력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을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wakeup power to the target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first message from the target device activated by the wakeup request, the first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And
And a controller for setting a demanded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apparatus by using information on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apparatus included in the first message,
Lt; / RTI >
Wherein the power transmitting unit transmits wireless power corresponding to the set demand power to the target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타겟 장치의 전력 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조절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a second message including a power reception state of the target apparatus,
And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wireless power based on the second mess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전력은 상기 타겟 장치가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전력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ake-up power comprises power used by the target device to transition to a receive mo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전력에 대응하는 필요 전압을 설정하는 직류 레벨 설정부;
상기 수요 전력에 대응하는 필요 전류를 설정하는 전류 설정부; 및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되는 무선 전력을 실시간으로 센싱(sensing)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DC level setting unit for setting a required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emanded electric power;
A current setting unit for setting a required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demanded electric power; And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sensing in real tim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d to the target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RF 라인의 λ/4지점 -여기서, λ 는 공진주파수의 파장-에서 커플링되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되는 무선 전력을 실시간으로 센싱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nsor senses in real tim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d to the target device using AC power coupled at a lambda / 4 point of the RF line, where lambda is the wavelength of the resonant frequency.
소스 장치로부터 웨이크 업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타겟 장치가 필요한 전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시지에 기초하여 설정된 수요 전력에 따른 무선 전력을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장치가 필요로 하는 수요 전력은 상기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타겟 장치가 필요한 전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Receiving wakeup power from a source device;
Sending a first message to the source device, the first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And
Receiving from the source device wireless power according to the set demand power based on the first message;
Lt; / RTI >
Wherein the requested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is set by the source device using information about the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included in the first messag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의 전력 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은 상기 제2 메시지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a second message to the source device, the second message including a power receiving state of the target device,
And the wireless power is adjusted based on the second message.
소스 장치로부터 웨이크 업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타겟 장치가 필요한 전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웨이크 업 전력에 의하여 활성화 되고, 상기 제1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메시지에 기초하여 설정된 수요 전력에 따른 무선 전력을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타겟 장치가 필요로 하는 수요 전력은 상기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타겟 장치가 필요한 전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A power receiver for receiving wakeup power from the source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first message to the source device, the first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is activated by the wakeup power,
Lt; / RTI >
Wherein the power receiver receives radio power according to the set demand power based on the first message from the source device,
Wherein the requested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is set by the source device using information about the power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included in the first messag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타겟 장치의 전력 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 더 전송하고,
상기 무선 전력은 상기 제2 메시지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further transmits a second message including a power reception state of the target apparatus to the source apparatus,
And the wireless power is adjusted based on the second messag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I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메시지를 주기적 또는 비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message and the second message further comprises an identifier (ID) of the target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ransmit the second message.
삭제dele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charge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a charge state of the target device.
KR1020160096798A 2016-07-29 2016-07-29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Wireless Power Transform KR1017425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798A KR101742591B1 (en) 2016-07-29 2016-07-29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Wireless Power Trans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798A KR101742591B1 (en) 2016-07-29 2016-07-29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Wireless Power Transfor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335A Division KR101648751B1 (en) 2010-04-02 2010-04-02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Wireless Power Trans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919A KR20160094919A (en) 2016-08-10
KR101742591B1 true KR101742591B1 (en) 2017-06-01

Family

ID=5671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798A KR101742591B1 (en) 2016-07-29 2016-07-29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Wireless Power Trans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5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985B1 (en) * 2019-11-04 2020-05-11 (주)에어포인트 Device and Method to Automatically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Low Power Wide Area Communication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1156A (en) * 2008-04-17 2009-11-05 Sony Corp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ower supply method,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1156A (en) * 2008-04-17 2009-11-05 Sony Corp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ower supply method,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919A (en)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751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Wireless Power Transform
US11923699B2 (en)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material,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US10916973B2 (en)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material, and device and system therefor
US10622844B2 (en)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and apparatus for same
KR20190026244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20180064741A (en) Foreign Object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1742591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Wireless Power Trans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