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964B1 -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964B1
KR101741964B1 KR1020160169155A KR20160169155A KR101741964B1 KR 101741964 B1 KR101741964 B1 KR 101741964B1 KR 1020160169155 A KR1020160169155 A KR 1020160169155A KR 20160169155 A KR20160169155 A KR 20160169155A KR 101741964 B1 KR101741964 B1 KR 101741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board
smartphone
swit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건
Original Assignee
이종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건 filed Critical 이종건
Priority to KR1020160169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one television signal, i.e. both picture and sound, by a singl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센서 및 스위치를 제어함에 있어 원거리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고유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영역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영상과 스마트폰의 터치영역에 제공되는 아이콘을 통해 센서 데이터와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10)와 연결되어 카메라(1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녹화하고, 통신부(21)를 통해 인터넷(30)과 연결되어 스마트폰(60)으로 영상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DVR(20); 원격지 내부에 설치된 각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40)와 센서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부(40)와 센서부(50)의 현재 온/오프 상태 및 동작상태를 DVR(20)로 전송하는 제어보드(100); 및 상기 제어보드(100)에서 제공되는 스위치부(40)와 센서부(50)의 현재 온/오프 상태 및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보드(100)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치부(40)와 센서부(50)의 현재 온/오프 상태 및 동작상태를 상기 DVR(20)로부터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참조하여 제어하는 상기 스마트폰(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ontrol board for simultaneous communication of video and data}
본 발명은 원격지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센서 및 스위치를 제어함에 있어 원거리에서 영상을 보면서 센서 데이터와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는 기존에 쓰이던 비디오카세트레코더(VCR)가 녹화를 여러번 반복하는 방식이라 화질이 떨어지고, 비디오테이프를 교체하는 등 사용이 번거로워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비디오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HDD)나 디지털비디오디스크(DVD) 등을 사용하므로 저장된 화면을 재생하거나 검색하기가 쉽다.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로 저장되기 때문에 편집과 화상을 전송하기에도 편리하다.
감시용 카메라로 입력된 영상 데이타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 동화상 국제 압축 표준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으로 영상을 압축·복원하여 장시간 녹화 및 재생하여 볼 수 있는 고해상도의 녹화 시스템 방식이다.
Motion Detection 기능·Sensor와 연결녹화·Auto Pan/Tilt/Zoom/Control 기능 및 화상 확대·편집 기능 등 다양한 선택메뉴 기능이 있으며, 데이타를 HDD·DAT등에 반영구적으로 보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시간별·날짜별은 물론, 카메라별·이벤트별로 검색할 수 있으며,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고, 검색과 백업 및 카메라 제어 등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고선명 비디오레코더(HDV Recorder)는 물론,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기기까지 개발되었다. 얼굴인식 기기는 모니터링되는 실시간 영상과 특정 인물의 얼굴을 데이터베이스로 확인 비교할 수 있어 경찰서나 공항 등에서 보안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통신을 이용해 전선없이 인터넷 등과 연결되는 제품도 등장하여 차세대 보안장치로 각광받을 전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DVR은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센서 및 스위치를 제어함에 있어 데이터 통신만을 주고받거나, 영상만을 확인할 수 있어 긴급상황이 발생하거나 불특정 현상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였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10766호(2015.05.04)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99505호(2016.08.22)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99003호(2013.08.16) 특허문헌 4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40518호(2012.12.3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센서 및 스위치를 제어함에 있어 원거리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고유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영역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영상과 스마트폰의 터치영역에 제공되는 아이콘을 통해 센서 데이터와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와 연결되어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녹화하고, 통신부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 영상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DVR; 원격지 내부에 설치된 각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부와 센서부의 현재 온/오프 상태 및 동작상태를 DVR로 전송하는 제어보드; 및 제어보드에서 제공되는 스위치부와 센서부의 현재 온/오프 상태 및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제어보드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치부와 센서부의 현재 온/오프 상태 및 동작상태를 DVR로부터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참조하여 제어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어보드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원격의 전원이나 접점을 실시간 영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것으로, 복수의 릴레이 출력단자와, DVR과의 통신은 RS-485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RS-485 ID를 달리하여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의 제어보드를 연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보드는, 제어보드 ID를 설정하기 위한 RS-485 통신 ID 세팅용 단자와, 시간설정을 위한 딥스위치와, 시간설정 온/오프 스위치와,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위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단자와, 센서부의 센서를 연결하며, 외부에서 릴레이로 쇼트를 시키면 이 신호가 DVR을 통해 세팅된 푸쉬알람을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센서입력단자와,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스위치부의 스위치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스위치 1~6번까지의 연결단자와, 메인보드와 어댑터 보드 연결을 위한 제1, 제2 연결단자와, 1~6번 스위치 작동 표시용 LED, 통신상태 표시용 LED 및 전원표시용 LED로 구성되는 메인보드와, 메인보드와 센서 입출력신호들을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기 위한 어댑터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방법은 제어보드의 ID 세팅용 딥 스위치를 세팅하는 단계; 신호용 릴레이 출력단자와 센서 입력단자를 쇼트(연결)하는 단계; DVR과 제어보드간을 별도의 어댑터 보드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제어보드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센서 및 푸쉬알람을 설정하는 단계;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고, 스마트폰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보드를 등록하고 실행하는 단계; 스마트폰에서 푸쉬알람 세팅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설정 후 스마트폰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스위치부의 작동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제어보드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푸쉬알람 메시지가 스마트폰에 안내되고, 현장 영상이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되며, 신호용 릴레이 역시 스마트폰에 제어 아이콘으로 생성되는 단계; 및 생성된 릴레이 제어 아이콘에 따라 릴레이를 온/오프하면, 온/오프 제어 후의 현장 영상이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되어 제어가 성공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보드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의 제어보드간 RS-485 확장용 단자를 연결하는 단계와; 신호용 릴레이 출력단자와 센서 입력단자를 쇼트(연결)하는 단계 후 스마트폰으로의 푸쉬알람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어보드의 프로토콜 설정 시 여러 대의 제어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보드의 ID를 서로 다르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센서 및 스위치를 제어함에 있어 원거리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고유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영역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DVR 녹화 영상과 스마트폰의 터치영역에 제공되는 아이콘을 통해 센서 데이터와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둘째, 미리 설정된 특정 장소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푸쉬알람을 통해 알려주어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셋째, 스마트 제어보드를 통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릴레이를 추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시공시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다.
넷째, 시간설정 딥스위치를 이용해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의 스마트 제어보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등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의 스마트 제어보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등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10)와 연결되어 카메라(1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녹화하고, 통신부(21)를 통해 인터넷(30)과 연결되어 스마트폰(60)으로 영상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DVR(20)과, 원격지 내부에 설치된 각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40)와 센서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부(40)와 센서부(50)의 현재 온/오프 상태 및 동작상태를 DVR(20)로 전송하는 제어보드(100)와, 제어보드(100)에서 제공되는 스위치부(40)와 센서부(50)의 현재 온/오프 상태 및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제어보드(100)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치부(40)와 센서부(50)의 현재 온/오프 상태 및 동작상태를 DVR(20)로부터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참조하여 제어하는 스마트폰(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카메라(10)는 도면상에 1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대부분은 복수개로 구성되므로 특별히 카메라(10)의 개수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DVR(20)은 고선명 비디오레코더(HDV Recorder)를 이용하며, 통신부(21)는 기본적으로는 DVR(20)에 설치된 것으로, 유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위치부(40)와 센서부(50)는 카메라(10)가 촬영하는 공간(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전등(41), 도어락(42), 히터/모터(43) 및 스피커(44) 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류와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51)와, 도어/버튼(52)의 온/오프 감지하는 센서 등으로 스위치나 센서에 대하여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제어보드(100)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60)을 활용하여 원격의 전원이나 접점을 실시간 영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것으로, 복수(예를 들면, 4채널)의 릴레이 출력단자와, DVR(20)과의 통신은 RS-485 통신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RS-485 ID를 달리하여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의 제어보드를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연동되는 스마트폰 푸쉬알람(PUSH ALARM) 기능을 추가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특정장소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푸쉬알람을 통해서 알려주며 이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스마트한 최첨단 IOT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 제어보드(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보드와 어댑터 보드로 구성되는데, 어댑터 보드는 제어보드(100)와 DVR(20)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우선 제어보드(100)는 제어보드 ID를 설정하기 위한 RS-485 통신 ID 세팅용 단자(110)와, 시간설정 딥스위치(120)와, 시간설정 온/오프 스위치(121)와,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단자(130)와, 센서입력단자(140)와, 스위치 1~6번까지의 연결단자(150)와, 메인보드와 어댑터 보드 연결을 위한 제1, 제2 연결단자(160)(170)와, 1~6번 스위치 작동 표시용 LED(180), 통신상태 표시용 LED(190) 및 전원표시용 LED(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RS-485 통신 ID 세팅용 단자(110)는 제어보드 ID를 설정한다.
시간설정 딥스위치(120)는 제어보드의 시간을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시간설정은 연월일시와 분초단위로까지 설정할 수 있다.
시간설정 온/오프 스위치(121)는 제어보드의 시간설정을 온/오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시간설정 시에는 온을 하고, 시간 설정 후에는 오프하도록 한다.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단자(130)는 제어보드에 대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외부 장비(예로써 노트북 등)와 연결시 이용된다.
센서입력단자(140)는 센서부(50)의 센서를 연결하며, 외부에서 릴레이 등으로 쇼트를 시키면 이 신호가 DVR(20)을 통해 세팅된 푸쉬알람을 사용자의 스마트폰(60)으로 전송한다. 이때 원할한 서비스 동작의 체크를 위하여 주 1회 이상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1~6번까지의 연결단자(150)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스위치부(40)의 스위치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출력단자는 COM과 NO 로 이루어지는 경우 스마트폰(60)에 디스플레이되는 스위치1 을 터치하면 릴레이가 ON이 되어 COM1 단자와 NO1 단자를 CLOSE 시키고, 다시 한번 스위치 1을 터치하면 릴레이가 OFF되어 두 단자간을 OPEN 해주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시간설정 딥스위치는 채널 5, 6번을 이용할 수 있다.
메인보드와 어댑터 보드 연결을 위한 제1, 제2 연결단자(160)(170) 중 제1연결단자(160)는 센서입력을 사용할 경우의 연결단자이고, 제2연결단자(170)는 전원 및 RS-485통신을 사용할 경우의 연결단자이다. 여기서, DVR(20)과 제어보드(100)의 연결 시 일반적으로 DVR과 같은 녹화기의 센서입출력단은 커넥터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센서 입출력신호들을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어댑터 보드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1~6번 스위치 작동 표시용 LED(180)는 신호용 릴레이 출력시 점등되고, 통신상태 표시용 LED(190)는 485 통신 시 통신상태가 정상동작 상태인지를 표시하며, 전원표시용 LED(200)는 제어보드(100)에 대한 전원인가시 점등된다.
일반적으로 DVR과 같은 녹화기는 인터넷이 제공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고, 본 발명 제어보드(100)의 위치는 전원제어기능을 수행하므로 제어할 장치의 근처에 설치하게 되므로 이러한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제어보드(100의 전원(12V/3A)도 DVR(20) 근처에서 공급해 주는게 편리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조명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는 DVR을 통해 제공되는 카메라 영상을 스마트폰을 보면서 스마트폰의 제어스위치를 통해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 3의 스마트폰에서 조명 1을 오프시키는 경우 조명 1에 해당되는 버튼이 어두운색으로 되고, 온 시키는 경우 밝은 색으로 되도록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제어명령 실행을 보다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방법은 도 4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보드(100)의 ID 세팅용 딥 스위치를 세팅한다(S110). 그리고 필요한 경우 복수의 제어보드(100)간 RS-485 확장용 단자를 구비하여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어보드의 ID를 각각 다르게 설정한다.
그리고 신호용 릴레이 출력단자와 센서 입력단자를 쇼트(연결)한다(S120).
또한 필요에 따라 푸쉬알람 테스트를 진행하여(S130), 세팅된 푸쉬알람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에 따라 정상인가를 판단하고(S140), 정상이 아니라면 복구를 수행한다(S150).
이어 DVR(20)과 제어보드(100)간을 별도의 어댑터 보드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S160).
그 다음 노트북, PC, 스마트 패드 등을 이용하여 제어보드의 네트워크를 설정한다(S170). 이때, 고정 IP 셋팅을 하는데 DVR의 IP와 공유기의 게이트웨이를 입력하고, 활성항목에 체크한다. 그리고 서버를 선택하고 호스트명이 있는데 이 주소를 추후에 스마트폰(60)에 입력해야 하므로 기록해 둔다.
이어서 센서 및 푸쉬알람을 설정한다(S180). 이때, 센서 및 푸쉬알람을 설정 시 이벤트 설정창이 나오면 센서탭을 누르도록 한다. 그리고 각 센서에 사용할 이름을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한다(S190). 즉 제어보드의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것으로, 공장 출하시의 ID는 1번으로 셋팅되어 출고되므로 제어보드를 한대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ID를 1번으로 사용하고 여러 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ID를 변경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고(S200), 스마트폰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보드를 등록하고 실행한다(S210). 이때,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스마트폰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아이콘이 생성되고 아이콘을 실행하면 등록화면이 실행된다. 이때 앞에서의 호스트 주소 및 포트는 제어보드 설정을 참조하게 된다.
그 다음 푸쉬알람 세팅을 한다(S220).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설정 후 스마트폰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스위치부의 작동화면이 표시된다(S230). 이때, 사용자는 작동화면에 따라 채널의 릴레이에 대한 온/오프를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설정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하면(S240), 푸쉬알람 메시지가 스마트폰에 안내된다(S250).
그에 따라 제어버튼 및 릴레이 버튼을 선택하게 되는데(S260), 이때, 현장 영상이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되고, 신호용 릴레이 역시 도 3에서와 같이 안내되어(S270), 제어 아이콘이 생성된다(S280).
이어 생성된 릴레이 제어 아이콘에 따라 릴레이를 온/오프하고(S290), 제어가 성공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S300). 이때,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서도 현장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제어명령 성공 여부를 쉽게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센서 및 스위치를 제어함에 있어 원거리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고유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영역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DVR 녹화 영상과 스마트폰의 터치영역에 제공되는 아이콘을 통해 센서 데이터와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데, 미리 설정된 특정 장소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푸쉬알람을 통해 알려주어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카메라 20 : DVR
21 : 통신부 30 : 인터넷
40 : 스위치부 41 : 전등
42 : 도어락 43 : 히터/모터
44 : 스피커 50 : 센서부
51 : 진동센서 52 : 도어/버튼 센서
60 : 스마트폰 100 : 제어보드

Claims (6)

  1. 복수개의 카메라(10)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1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녹화하고, 인터넷(30)과 연결되어 스마트폰(60)으로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통신부(21)가 설치된 DVR(20);
    상기 스마트폰(60)을 활용하여 원격의 전원이나 접점을 실시간 영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것으로, 복수의 릴레이 출력단자와, 상기 DVR(20)과의 통신은 RS-485 통신방식을 이용하며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원격지 내부에 설치된 전등(41), 도어락(42), 히터/모터(43) 및 스피커(44)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40) 및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51)와, 도어/버튼(52)의 온/오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부(40)와 센서부(50)의 현재 온/오프 상태 및 동작상태를 상기 DVR(20)로 전송하고, RS-485 ID를 달리하여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의 제어보드를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보드(100); 및
    상기 제어보드(100)에서 제공되는 상기 스위치부(40)와 센서부(50)의 현재 온/오프 상태 및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어보드(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스위치부(40)와 센서부(50)의 현재 온/오프 상태 및 동작상태에 대하여 상기 DVR(20)을 통해 카메라(1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은 화면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상기 전등(41)의 조명 온/오프 제어, 도어락(42) 제어, 스위치 제어 및 센서 제어를 위한 복수개의 버튼이 상기 화면의 다른 일측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버튼은 각각은 상기 전등(41)의 조명 온/오프 제어, 도어락(42) 제어, 스위치 제어 및 센서 제어 시 온 시에는 밝은 색, 오프 시에는 어두운색으로 되도록 설정되며,
    사용자가 상기 DVR(20)을 통해 카메라(1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상기 화면의 일측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카메라 영상을 보면서 상기 화면의 다른 일측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복수개의 버튼에 대한 터치를 통해 상기 전등(41)의 조명 온/오프 제어, 도어락(42) 제어, 스위치 제어 및 센서 제어에 따라 상기 버튼이 밝은 색과 어두운 색 중 하나로 디스플레이되록 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 실행 확인을 상기 버튼의 색 변화로 확인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 실행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10)로부터의 실시간 전송되는 영상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 실행 역시 영상으로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상기 스마트폰(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100)는,
    제어보드 ID를 설정하기 위한 RS-485 통신 ID 세팅용 단자(110)와, 시간설정을 위한 딥스위치(120)와, 시간설정 온/오프 스위치(121)와,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위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단자(130)와, 상기 센서부(50)의 센서를 연결하며, 외부에서 릴레이로 쇼트를 시키면 이 신호가 상기 DVR(20)을 통해 세팅된 푸쉬알람을 사용자의 상기 스마트폰(6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센서입력단자(140)와,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기 스위치부(40)의 스위치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스위치 1~6번까지의 연결단자(150)와, 메인보드와 어댑터 보드 연결을 위한 제1, 제2 연결단자(160)(170)와, 1~6번 스위치 작동 표시용 LED(180), 통신상태 표시용 LED(190) 및 전원표시용 LED(200)로 구성되는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와 센서 입출력신호들을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기 위한 어댑터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의 원격지 제어 방법은,
    DVR(20)을 통해 카메라(1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은 화면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전등(41)의 조명 온/오프 제어, 도어락(42) 제어, 스위치 제어 및 센서 제어를 위한 복수개의 버튼이 상기 화면의 다른 일측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DVR(20)을 통해 카메라(1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상기 화면의 일측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카메라 영상을 보면서 상기 화면의 다른 일측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복수개의 버튼에 대한 터치를 통해 상기 전등(41)의 조명 온/오프 제어, 도어락(42) 제어, 스위치 제어 및 센서 제어에 따라 상기 버튼이 밝은 색과 어두운 색 중 하나로 디스플레이되록 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 실행 확인을 상기 버튼의 색 변화로 확인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 실행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10)로부터의 실시간 전송되는 영상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 실행 역시 영상으로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스마트폰(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어보드(100)의 ID 세팅용 딥 스위치를 세팅하되, 상기 제어보드(100)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의 제어보드(100)간 RS-485 확장용 단자를 연결하는 단계와(S110);
    신호용 릴레이 출력단자와 센서 입력단자를 쇼트(연결)하는 단계(S120);
    상기 신호용 릴레이 출력단자와 스마트폰간 푸쉬알람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S130);
    상기 DVR(20)과 상기 제어보드(100)간 별도의 어댑터 보드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S160);
    상기 제어보드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S170);
    센서 및 푸쉬알람을 설정하는 단계(S180);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S190);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고(S200), 상기 스마트폰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보드를 등록하고 실행하는 단계(S210);
    상기 스마트폰에서 푸쉬알람 세팅하는 단계(S220);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정 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스위치부의 작동화면이 표시되는 단계(S230);
    상기 제어보드에 이벤트가 발생하면(S240), 푸쉬알람 메시지가 상기 스마트폰에 안내되고(S250), 현장 영상이 스마트폰 화면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되며, 복수개의 신호용 릴레이 역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화면의 다른 일측에 복수개의 제어 아이콘으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280);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릴레이 제어 아이콘에 따라 릴레이를 터치하여 온 또는 오프하면(S290), 상기 신호용 릴레이 중 터치된 릴레이의 색상이 밝은 색 또는 어두운 색 중 하나로 색 변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따라 상기 온 또는 오프 제어 명령 실행이 확인되고, 동시에 상기 온 또는 오프 제어 후의 현장 영상이 상기 스마트폰 화면의 상기 일측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따라 상기 릴레이 온 또는 오프에 따른 제어가 성공했는가가 하나의 스마트폰 화면에 동시에 비교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의 프로토콜 설정 시 여러 대의 제어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보드의 ID를 서로 다르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방법.
KR1020160169155A 2016-12-13 2016-12-13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41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55A KR101741964B1 (ko) 2016-12-13 2016-12-13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55A KR101741964B1 (ko) 2016-12-13 2016-12-13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964B1 true KR101741964B1 (ko) 2017-05-31

Family

ID=5905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155A KR101741964B1 (ko) 2016-12-13 2016-12-13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963B1 (ko) * 2018-03-26 2019-09-17 주식회사 허브테크 촬영기기가 구비된 원격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963B1 (ko) * 2018-03-26 2019-09-17 주식회사 허브테크 촬영기기가 구비된 원격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249B2 (en) In-hom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having a video camera connected to a set-top box
JP6298930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チャンネルの状態の測定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5035061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environments using smart devices
US20160203370A1 (en) Doorbell camera early detection
CN104184944B (zh) 获取多媒体数据流的方法及装置
KR101221437B1 (ko)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cctv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US103546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sounds corresponding to surveillance images
CN104702919A (zh) 播放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WO2017176066A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5779380B2 (ja) 監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41964B1 (ko)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5306857A (zh) 投影的显示方法及装置
CN106358064A (zh) 控制电视机的方法及设备
JP2014230199A (ja)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4410900A (zh) 一种控制安装在智能设备上的指示灯的方法及装置
CN100447825C (zh) 服务器和显示设备
CN104168452A (zh) 监控控制方法及装置
US11133952B2 (en) Notification control apparatus, detection apparatus, notification control system,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detection method
KR100904748B1 (ko) 도어 감시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도어 개폐시스템
JP2004180086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装置
KR100977537B1 (ko) 홈네트워크 솔루션을 탑재한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CN105100749A (zh) 摄像方法、装置及终端
KR20200045217A (ko) 카메라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KR200385302Y1 (ko) 화상메모리장치를 이용한 간이형 보안 시스템
KR100738556B1 (ko)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