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425B1 - Relay station and signal relaying method of the relay station - Google Patents

Relay station and signal relaying method of the relay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425B1
KR101740425B1 KR1020100133672A KR20100133672A KR101740425B1 KR 101740425 B1 KR101740425 B1 KR 101740425B1 KR 1020100133672 A KR1020100133672 A KR 1020100133672A KR 20100133672 A KR20100133672 A KR 20100133672A KR 101740425 B1 KR101740425 B1 KR 10174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 transmission
repeater
channel
eq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1933A (en
Inventor
배효준
정세영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425B1/en
Publication of KR2012007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9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4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1Ground-based stations combining by calculations packets received from different stations before transmitting the combined packets as part of network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의 신호 중계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송신단이 채널 정보를 알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중계기가 채널 정보를 기초로 신호의 송수신 방식을 결정하는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채널 정보 피드백(feedback)에 따른 송신단의 오버헤드(overhead)를 방지할 수 있고, 채널 상황에 따라 시스템 용량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송수신 기법에 대한 것이다.A repeater and a signal relaying method of the repeater are disclosed. In particula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echnique in which a repeater determines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of a signal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in a situation where a transmitter does not know the channel information, so that overhead of a transmitter according to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overhead of the system, and to maximize the system capacity according to channel conditions.

Description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의 신호 중계 방법{RELAY STATION AND SIGNAL RELAYING METHOD OF THE RELAY STA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and a signal relaying method of the repeater,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의 신호 중계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송신단이 채널 정보를 알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중계기가 채널 정보를 기초로 신호의 송수신 방식을 결정하는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채널 정보 피드백(feedback)에 따른 송신단의 오버헤드(overhead)를 방지할 수 있고, 채널 상황에 따라 시스템 용량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송수신 기법에 대한 것이다.A repeater and a signal relaying method of the repeater are disclosed. In particula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echnique in which a repeater determines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of a signal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in a situation where a transmitter does not know the channel information, so that overhead of a transmitter according to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overhead of the system, and to maximize the system capacity according to channel conditions.

멀티플(multiple) 액세스(access) 중계 채널 환경에서 중계기는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신호 수신 장치로 재전송하는 AF(Amplify and Forward) 기법과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디코딩하여 신호 수신 장치로 재전송하는 DF(Decode and Forward) 기법 또는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압축하여 신호 수신 장치로 재전송하는 압축 후 전송 기법을 사용하여 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In a multiple access relay channel environment, a repeater amplifie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transmits the signal to a signal reception apparatus, and an AF (Amplify and Forward) scheme in whic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is decoded, A DF (Decode and Forward) scheme for retransmitting to a device, or a post-compression scheme for retransmi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to a signal reception apparatus.

보통, 중계기는 DF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를 중계하는 것이 AF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를 중계하는 것보다 향상된 신호 전송 속도를 얻을 수 있고, 채널 상태에 따라서는 DF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압축 후 전송 기법보다 향상된 신호 전송 속도를 얻을 수 있다.In general, a repeater can obtain an improved signal transmission rate by relaying a signal using the DF technique rather than relaying the signal using the AF technique, and using the DF technique according to the channel state improves the transmission technique The signal transmission rate can be obtained.

일반적으로,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채널 상태보다 송신단과 중계기 사이의 채널 상태가 좋은 경우, 중계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전체 시스템 용량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peater is better than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verall system capacity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ing a repeater.

하지만,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채널 상태가 송신단과 중계기 사이의 채널 상태보다 좋은 경우, 중계기를 이용하는 것보다 송신단과 수신단이 직접 신호를 주고 받는 것이 전체 시스템 용량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is better than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peat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directly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may help improve the overall system capacity.

따라서, 최근에는 멀티플 엑세스 중계 채널 환경에서 송신단이 송신단과 중계기 사이의 채널 상태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여 각 채널 상태에 따라 신호의 송수신 방식을 결정하는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Therefore, recently, a scheme has been introduced in which, in a multiple access relay channel environment, a transmitting terminal determines a channel state between a transmitting end and a repeater, and a channel state between a transmitting end and a receiving end, and determines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each channel state.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송신단에 채널 정보의 피드백(feedback)으로 인한 오버헤드(overhead)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송신단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However, in this method, overhead due to feedback of channel information may occur in 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techniques for reducing the overhead of a transmitting terminal and improving system capacity .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송신단이 채널 정보를 알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중계기가 채널 정보를 기초로 신호의 송수신 방식을 결정하는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채널 정보 피드백에 따른 송신단의 오버헤드를 방지할 수 있고, 채널 상황에 따라 시스템 용량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verhead of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by providing the technique that the repeater decid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of the signal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transmitter does not know the channel information, The system capacity can be maximized according to the channel cond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는 n(n≥1)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및 신호 수신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간 링크(link)의 온(on)/오프(off)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 중 상기 링크가 오프되지 않은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및 상기 디코딩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The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inter-repeater link apparatuses based on n (n? 1)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at least one channel state formed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es, a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 link is turned on or off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that is not turned off from the link among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decod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신호 중계 방법은 n(n≥1)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및 신호 수신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간 링크의 온/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 중 상기 링크가 오프되지 않은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lso, a signal relaying method of a repea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ransmitting signals of n signals (n > = 1) based on states of at least one channel formed between n Determining whether the link between the device and the repeater is on / off,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of which the link is not turned off among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ecod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송신단이 채널 정보를 알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중계기가 채널 정보를 기초로 신호의 송수신 방식을 결정하는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채널 정보 피드백에 따른 송신단의 오버헤드를 방지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verhead of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by providing the technique that the repeater decid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of the signal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transmitter does not know the channe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채널 상황에 따라 송신단이 수신단으로 직접 신호를 전송하거나 송신단이 중계기를 이용하여 수신단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용량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ystem capacity by transmitting signals directly to a receiving end according to channel conditions or allowing a transmitting end to transmit signals to a receiving end using a repe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중계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relay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두 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한 개의 중계기 및 한 개의 신호 수신 장치가 있는 경우를 가정한 예이다.The communication system shown in FIG. 1 is an example in which there are two signal transmission devices, one relay device, and one signal reception device.

먼저, 신호 전송 장치 1(110)이 전송하는 신호를 X1, 신호 전송 장치 2(120)가 전송하는 신호를 X2, 중계기(130)가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신호 전송 장치 2(12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Y3, 중계기(130)가 신호 수신 장치(140)로 전송하는 신호를 X3, 신호 수신 장치(140)가 수신하는 신호를 Y4라고 가정한다.X1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X2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X2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A signal that the repeater 130 transmits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is X3, and a signal that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receives is Y4.

또한,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중계기(130) 사이에 형성된 채널을 g13,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신호 수신 장치(140) 사이에 형성된 채널을 g14, 신호 전송 장치 2(120)와 중계기(130) 사이에 형성된 채널을 g23, 신호 전송 장치 2(120)와 신호 수신 장치(140) 사이에 형성된 채널을 g24, 중계기(130)와 신호 수신 장치(140) 사이에 형성된 채널을 g34라 가정한다.A channel formed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and the relay apparatus 130 is g 13 and a channel formed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and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140 is g 14 and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 and formed between the channel formed between the repeater 130 g 23,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and signal the channel formed between the reception device 140, g 24, the repeater 130 and the signal receiving device 140 Assume the channel is g 34 .

전술한 바와 같이, g13의 채널 상태가 g14의 채널 상태보다 좋고, g23의 채널 상태가 g24의 채널 상태보다 좋은 경우, 중계기(130)가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신호 전송 장치 2(120)로부터 각각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신호 수신 장치(140)로 전송하는 것이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신호 전송 장치 2(120)가 신호 수신 장치(140)로 직접 신호를 전송하는 것보다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G channel state of 13 is better than the channel status of the g 14, g when 23 channel status is better than that of g 24 channel state, repeater 130,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and a signal transmiss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10 and 120 transmit signals to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140 after decoding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10 and 12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ystem capacity rather than directly transmitting the signal.

반대로, g14의 채널 상태가 g13의 채널 상태보다 좋거나, g24의 채널 상태가 g23의 채널 상태보다 좋은 경우,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신호 전송 장치 2(120)는 중계기(130)를 이용하는 것보다 신호 수신 장치(140)로 직접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시스템 용량 측면에서 더 효율적일 수 있다.In contrast, the channel conditions of a g 14 a g 13 a or better than the channel status, when the channel status of the g 24 is better than the channel status of the g 23,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and the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2 120 is a repeater ( 130 may be more efficient in terms of system capacity to transmit signals directly to the signal receiving device 140. [

하지만, 채널 상태에 따라 신호의 송수신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가 채널의 상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는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feedback)받아야 한다.However, sinc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110 and 120) must know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hannel in order to determin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of signals according to the channel stat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110 and 120) To be fed back.

이때,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에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에 따른 오버헤드(overhead)가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overhead due to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may occur i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110, 12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송신단이 채널 정보를 알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중계기(130)가 채널 정보를 기초로 신호의 송수신 방식을 결정하는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채널 정보 피드백에 따른 송신단의 오버헤드를 방지할 수 있고, 채널 상황에 따라 시스템 용량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신호 송수신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echnique for the repeater 130 to determine 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of a signal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in a situation where a transmitter does not know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o provide an optimal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technique that maximizes system capacity according to channel condition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채널 상황에 따라 몇 가지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several cases according to channel conditions.

첫 번째 실시예로, 상기 통신 시스템의 채널 상황이 g24가 g23보다 좋고, g13이 g14보다 좋은 경우를 가정한다.As a firs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channel condi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s g 24 is better than g 23 and g 13 is better than g 14 .

이때, 중계기(130)는 신호 전송 장치 2(120)와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link)를 수신단 빔포밍(beamforming) 기법 등을 이용하여 오프(off)시키고,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를 온(on) 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peater 130 turns off a link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2 and 120 and the repeater 130 using a beamforming technique such as a beamforming method, And the link between the repeater 130 and the repeater 130 can be turned on.

이때, 신호 전송 장치 1(110)은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가 온 상태이기 때문에 중계기(130)로 신호 X1을 전송하고, 중계기(130)는 신호 전송 장치 1(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 Y3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신호 X3를 신호 수신 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transmits the signal X1 to the repeater 130 because the link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and the repeater 130 is on, and the repeater 130 transmits the signal X1 to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And may decode the received signal Y3 and transmit the decoded signal X3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

그리고, 신호 전송 장치 2(120)는 신호 전송 장치 2(120)와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가 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중계기(130)로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신호 수신 장치(140)로 신호 X2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Since the link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and the relay apparatus 130 is off,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does not transmit the signal to the relay apparatus 130 and transmits the signal X2 Can be directly transmitted.

결국, 중계기(130)는 채널 상태에 따라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와의 링크의 온/오프를 결정함으로써,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가 모두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보다, 시스템 용량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 repeater 130 determines whether to turn on / off the link with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110 and 120) according to the channel state, so that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110 and 12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ystem capacity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ransmitting the signal through the antenna.

이하에서는 전술한 채널 상황에서 중계기(130)가 중계기(130)와 신호 전송 장치 1(110)과의 링크는 온 시키고, 중계기(130)와 신호 전송 장치 2(120)와의 링크는 오프 시켰을 경우에 얻을 수 있는 시스템 용량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hen the repeater 130 turns on the link between the repeater 13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10 in the above-described channel condition, and turns off the link between the repeater 13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20 Let's look at the available system capacity.

먼저, 신호 전송 장치 1(110)의 데이터 레이트(rate)를 R1, 신호 전송 장치 2(120)의 데이터 레이트를 R2,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의 데이터 레이트를 R1+R2라고 하는 경우, 상기 R1, R2 및 R1+R2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First, the data rate of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is R1, the data rate of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is R2 and the data rate of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2 (110,120) is R1 + R2 R1, R2 and R1 + R2 may have the same values as in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0 ≤ R1 < max min{I(X1;Y3|X3),I(X1,X3;Y4)}0? R1 <max min {I (X1; Y3 | X3), I (X1, X3;

0 ≤ R2 < I(X2;Y3|X1,X3)0? R2 <I (X2; Y3 | X1, X3)

R1+R2 < I(X1,X2,X3;Y4)
R1 + R2 < I (X1, X2, X3; Y4)

여기서, I는 통신 시스템의 각 노드들이 서로 공유하고 있는 정보량을 의미한다.Here, I denotes an amount of information that each node of the communication system shares with each other.

X1, X2, X3의 전송 파워가 모두 1이고, g13 2, g23 2, g14 2, g24 2, g34 2이 각각 S13, S23, S14, S24, S34라고 하는 경우, 상기 수학식 1을 기초로 상기 R1, R2, R1+R2를 유도하면, 상기 R1, R2, R1+R2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X1, X2, and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X3 are both 1, g 13 2, g 23 2, g 14 2, g 24 2, g 34 2 is that each of S 13, S 23, S 14 , S 24, S 34 R1, R2, and R1 + R2 are derived based on Equation (1), R1, R2, and R1 + R2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quot;

R1 ≤ max min{log(1+S13(1-ρ12)),log(1+S14+S34+2ρ1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1
)}R1 ≤ max min {log (1 + S 13 (1-ρ 12)), log (1 + S 14 + S 34 + 2ρ 1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1
)}

R2 ≤ log(1+S23)R2? Log (1 + S23 )

R1+R2 ≤ log(1+S14+S24+S34+2ρ1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2
)
R1 + R2 ≤ log (1 + S 14 + S 24 + S 34 + 2ρ 1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2
)

R1 = C(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3
/S13) for S13 ≥ S14 + S34 R1 = C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3
/ S 13 ) for S 13 ≥ S 14 + S 34

otherwise, R1 = C(S13) otherwise, R1 = C ( S13 )

여기서, C(x) = log(1+x)
Where C (x) = log (1 + x)

R2 = C(S24)
R2 = C (S 24)

R1+R2 = C(A+S24) for S13 ≥ S14 + S34 R1 + R2 = C (A + S 24) for S 13 ≥ S 14 + S 34

otherwise, R1+R2 = C(S14+S24+S34+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4
) otherwise, R1 + R2 = C ( S 14 + S 24 + S 34 +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4
)

여기서, A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5
/S13
Here, A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5
/ S 13

ρ1, ρ2는 각각 X1과 X3, X2와 X3 사이의 상관 정도를 의미하며, ρ1 = E{X1X3}2/E{X12}E{X32}, ρ2 = E{X2X3}2/E{X22}E{X32} 이다.ρ 1, ρ 2 are X1 and X3, it means a correlation degree between X2 and X3, and, ρ 1 = E {X1X3} 2 / E {X1 2} E {X3 2}, ρ 2 = E {X2X3} 2 , respectively / E {X2 2 } E {X3 2 }.

만약,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신호 전송 장치 2(120)가 모두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R1, R2, R1+R2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If both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10 and 120 transmit signals through the repeater 130, R1, R2, and R1 + R2 have the same values as in Equation (3) .

[수학식 3]&Quot; (3) &quot;

0 ≤ R1 < min{I(X1;Y3|X2,X3),I(X1,X3;Y4|X2)}0? R1 <min {I (X1; Y3 | X2, X3)

0 ≤ R2 < min{I(X2;Y3|X1,X3),I(X2,X3;Y4|X3)}0? R2 <min {I (X2; Y3 | X1, X3), I (X2, X3; Y4 |

R1+R2 < min{I(X1,X2;Y3|X3),I(X1,X2,X3;Y4)}
R1 + R2 <min {I (X1, X2; Y3 | X3), I (X1, X2, X3;

이때, 상기 수학식 3을 기초로 상기 R1, R2, R1+R2를 유도하면, 상기 R1, R2, R1+R2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연산될 수 있다.
If R1, R2, and R1 + R2 are derived based on Equation (3), R1, R2, and R1 + R2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4).

[수학식 4]&Quot; (4) &quot;

R1 ≤ max min{log(1+S13(1-ρ1 2)), log(1+S14+S34+2ρ1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6
)}R1 ≤ max min {log (1 + S 13 (1-ρ 1 2)), log (1 + S 14 + S 34 + 2ρ 1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6
)}

R2 ≤ max min{log(1+S23(1-ρ2 2)),log(1+S14+S34+2ρ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7
)}R2 ≤ max min {log (1 + S 23 (1-ρ 2 2)), log (1 + S 14 + S 34 + 2ρ 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7
)}

R1+R2 ≤ R1 + R2 &lt;

max min{log(1+S13(1-ρ1 2)+S23(1-ρ2 2)),log(1+S14+S24+S34+2ρ1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8
+2ρ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9
)}
max min {log (1 + S 13 (1-ρ 1 2) + S 23 (1-ρ 2 2)), log (1 + S 14 + S 24 + S 34 + 2ρ 1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8
+ 2ρ 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09
)}

R1 = C(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0
/S13) for S13 ≥ S14 + S34 R1 = C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0
/ S 13 ) for S 13 ≥ S 14 + S 34

otherwise , R1 = C(S13)
otherwise, R1 = C ( S13 )

R2 = C(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1
/S13) for S23 ≥ S24 + S34 R2 = C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1
/ S 13 ) for S 23 ≥ S 24 + S 34

otherwise, R2 = C(S23)
otherwise, R2 = C (S 23 )

R1+R2 = C(A+B-S34) for S13 ≤ S14 + S34 와 S23 ≤ S24 + S34 R1 + R2 = C (A + BS 34) for S 13 ≤ S 14 + S 34 and S 23 ≤ S 24 + S 34

min{C(A+S24),C(A+S23)} for S13 ≥ S14 + S34 와 S23 ≤ S24 + S34 min {C (A + S 24 ), C (A + S23)} for S 13 ≥ S 14 + S 34 and S 23 ≤ S 24 + S 34

min{C(A+S14),C(A+S13)} for S13 ≤ S14 + S34 와 S23 ≥ S24 + S34 min {C (A + S14) , C (A + S13)} for S 13 ≤ S 14 + S 34 and S 23 ≥ S 24 + S 34

C(S13+S23) for S13 ≥ S14 + S34 와 S23 ≥ S24 + S34 C (S13 + S23) for S ≥ 13 S 14 + S 34 and S 23 ≥ S 24 + S 34

여기서, A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2
/S13, B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3
/S23
Here, A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2
/ S 13 , B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3
/ S 23

상기 수학식 2와 상기 수학식 4의 연산 결과를 기초로 채널 상황이 g24가 g23보다 좋고, g13이 g14보다 좋은 경우, 신호 전송 장치 1(110)이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신호 전송 장치 2(120)가 직접 신호 수신 장치(140)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과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가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channel condition g 24 is greater than g 23 and g 13 is better than g 14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of Equations (2) and (4),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110 and 120) transmit the signal through the repeater 130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directly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140 The system capacity is compared as follows.

먼저, S24 ≥ S23, S13 ≥ S14 + S34인 경우, R1은 수학식 2에서의 연산 결과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가 동일하다.First, when S 24 ≥ S 23 and S 13 ≥ S 14 + S 34 , R1 is the same as the computation result in Equation (2) and the computation result in Equation (4).

하지만, R2는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가 C(S24)이고, 수학식 4에서의 연산 결과가 C(S23)이므로,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However, since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2 is C (S 24 ) and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is C (S 23 ),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2 is small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Big.

따라서, 시스템 전체 용량인 R1+R2는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가 C(A+S24)이고,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가 C(A+S23)이므로,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Therefore, the R1 + R2 is full capacity system operation in the equation because it is the operation result in the divalent C (A + S 24), and the operation result of Equation 4 C (A + S 23) , equation (2) The result is larg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결론적으로 통신 시스템의 채널 상황이 S24 ≥ S23, S13 ≥ S14 + S34인 경우, 신호 전송 장치 1(110)이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신호 전송 장치 2(120)가 직접 신호 수신 장치(140)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이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가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channel condi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s S 24 ≥ S 23 and S 13 ≥ S 14 + S 34 ,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transmits a signal through the repeater 13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Is larger than the system capacity in the case wher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110 and 120) transmit signals through the repeater 130 in the case wher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directly transmit signals to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140 have.

또한, S24 ≥ S23, S13 ≤ S14 + S34인 경우, R1은 수학식 2에서의 연산 결과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가 동일하다.Further, S 24 ? S 23 , S 13 &Lt; S 14 + S 34 , R1 is the same as the computation result in Equation (2) and the computation result in Equation (4).

하지만, R2는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가 C(S24)이고, 수학식 4에서의 연산 결과가 C(S23)이므로,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However, since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2 is C (S 24 ) and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is C (S 23 ),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2 is small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Big.

따라서, 시스템 전체 용량인 R1+R2는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Therefore, the computation result in Equation (2) is larger than the computation result in Equation (4) for R1 + R2 which is the total system capacity.

상기 조건을 좀 더 세분화하면, S24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4
인 경우, R1+R2에 대한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는 C(S14+S24+S34+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5
)이고, R1+R2에 대한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는 C(A+B-S34)이므로,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If the above condition is further subdivided, S 24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4
If the operation result of the Equation 2 for the R1 + R2 is C (S 14 + S 24 + S 34 +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5
), And the operation result in operation result R1 + in equation (4) for R2, so C (A + BS 34), equation (2) is great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equation (4).

또한, S24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6
인 경우, R1+R2에 대한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는 C(S14+S24+S34+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7
)이고, R1+R2에 대한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는 C(B+S14)이므로,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Further, when S 24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6
If the operation result of the Equation 2 for the R1 + R2 is C (S 14 + S 24 + S 34 +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7
), And the operation result in operation result R1 + in equation (4) for R2, so C (B + S 14), equation (2) is great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equation (4).

또한, S24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8
인 경우, R1+R2에 대한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는 C(S14+S24+S34+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9
)이고, R1+R2에 대한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는 C(B+S13)이므로, 수학식 2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Further, when S 24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8
If the operation result of the Equation 2 for the R1 + R2 is C (S 14 + S 24 + S 34 +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19
), And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for R1 + R2 is C (B + S13 ),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2) is larg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결국,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판단하면, 채널 상황이 g24가 g23보다 좋고, g13이 g14보다 좋은 경우, 신호 전송 장치 1(110)이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신호 전송 장치 2(120)가 직접 신호 수신 장치(140)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이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가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 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o e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e channel condition is the g 24 better than g 23, g, and 13 transmits a signal through a good cas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the repeater (130) than g 14, The system capacity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directly transmits a signal to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140 is a system in which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2 (110, 120) transmits a signal via the relay apparatus 130 Capacity. &Lt; / RTI &g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채널 상황이 g24가 g23보다 좋고, g13이 g14보다 좋은 경우, 중계기(130)가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는 온 시키고, 신호 전송 장치 2(120)와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는 오프 시킴으로써,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가 모두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할 때보다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nnel condition is good, g 24 is better than g 23 , and g 13 is better than g 14 , the repeater 130 is connected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and the repeater 130 110 and 120 transmit signals through the repeater 130 by turning off the link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2 and 120 and the repeater 130 by turning on the link of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The capacity can be improved.

이상, 첫 번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두 번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The firs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두 번째 실시예로, 상기 통신 시스템의 채널 상황이 g14가 g13보다 좋고, g23이 g24보다 좋은 경우를 가정한다.As a second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channel condi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s g 14 is better than g 13 and g 23 is better than g 24 .

이때, 중계기(130)는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를 수신단 빔포밍 기법 등을 이용하여 오프시키고, 신호 전송 장치 2(120)와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를 온 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peater 130 turns off the link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110 and the repeater 130 by using the receiving end beam forming technique, Can be turned on.

이때, 신호 전송 장치 2(120)는 신호 전송 장치 2(120)와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가 온 상태이기 때문에 중계기(130)로 신호 X2을 전송하고, 중계기(130)는 신호 전송 장치 2(1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 Y3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신호 X3를 신호 수신 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transmits the signal X2 to the repeater 130 because the link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and the repeater 130 is on, and the repeater 130 transmits the signal X2 to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And may decode the received signal Y3 and transmit the decoded signal X3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

그리고, 신호 전송 장치 1(110)은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가 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중계기(130)로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신호 수신 장치(140)로 신호 X1을 직접 전송할 수 있다.Since the link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and the relay apparatus 130 is off,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does not transmit the signal to the relay apparatus 130 and transmits the signal X 1 Can be directly transmitted.

이하에서는 전술한 채널 상황에서 중계기(130)가 중계기(130)와 신호 전송 장치 2(120)와의 링크는 온 시키고, 중계기(130)와 신호 전송 장치 1(110)과의 링크는 오프 시켰을 경우에 얻을 수 있는 시스템 용량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hen the repeater 130 turns on the link between the repeater 13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20 in the above-described channel condition, and the link between the repeater 13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is turned off Let's look at the available system capacity.

먼저, R1, R2 및 R1+R2는 하기의 수학식 5와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First, R1, R2, and R1 + R2 may have the values shown in Equation (5) below.

[수학식 5]&Quot; (5) &quot;

0 ≤ R1 < I(X1;Y3|X2,X3)0? R1 <I (X1; Y3 | X2, X3)

0 ≤ R2 < max min{I(X2;Y3|X3),I(X2,X3;Y4)}0? R2 <max min {I (X2; Y3 | X3), I (X2, X3;

R1+R2 < I(X1,X2,X3;Y4)
R1 + R2 < I (X1, X2, X3; Y4)

이때, 상기 수학식 5를 기초로 상기 R1, R2, R1+R2를 유도하면, 상기 R1, R2, R1+R2는 하기의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f R1, R2, and R1 + R2 are derived based on Equation (5), R1, R2, and R1 + R2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6).

[수학식 6]&Quot; (6) &quot;

R1 ≤ log(1+S14) R1 ≤ log (1 + S 14 )

R2 ≤ max min{log(1+S23(1-ρ2 2)), log(1+S24+S34+2ρ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0
)}R2 ≤ max min {log (1 + S 23 (1-ρ 2 2)), log (1 + S 24 + S 34 + 2ρ 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0
)}

R1+R2 ≤ log(1+S14+S24+S34+2ρ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1
)
R1 + R2 ≤ log (1 + S 14 + S 24 + S 34 + 2ρ 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1
)

R1 = C(S14)
R1 = C (S 14)

R2 = C(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2
/S23) for S23 ≥ S24 + S34 R2 = C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2
/ S 23 ) for S 23 ≥ S 24 + S 34

otherwise, R2 = C(S23)
otherwise, R2 = C (S 23 )

R1+R2 = C(B+S14) for S23 ≥ S24 + S34 R1 + R2 = C (B + S 14) for S 23 ≥ S 24 + S 34

otherwise, R1+R2 = C(S14+S24+S34+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3
)otherwise, R1 + R2 = C ( S 14 + S 24 + S 34 +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3
)

여기서, B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4
/S23
Here, B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4
/ S 23

상기 수학식 6과 상기 수학식 4의 연산 결과를 기초로 채널 상황이 g14가 g13보다 좋고, g23이 g24 보다 좋은 경우, 신호 전송 장치 2(120)가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신호 전송 장치 1(110)이 직접 신호 수신 장치(140)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과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가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of Equations (6) and (4), the channel condition g 14 is better than g 13 and g 23 is g 24 The system capacity in the case wher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transmits a signal through the repeater 13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directly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140, The system capacities when the devices 1 and 2 (110 and 120) transmit signals through the repeater 130 are compared as follows.

먼저, S14 ≥ S13, S23 ≥ S24 + S34인 경우, R2은 수학식 6에서의 연산 결과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가 동일하다.First, when S 14 ≥ S 13 and S 23 ≥ S 24 + S 34 , R2 is the same as the computation result in Equation 6 and the computation result in Equation 4.

하지만, R1은 수학식 6에서의 연산결과가 C(S14)이고, 수학식 4에서의 연산 결과가 C(S13)이므로, 수학식 6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However, since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6 is C (S 14 ) and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is C (S 13 ),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6 is small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Big.

따라서, 시스템 전체 용량인 R1+R2는 수학식 6에서의 연산결과가 C(B+S14)이고,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가 C(B+S13)이므로, 수학식 6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Therefore, the R1 + R2 is full capacity system operation i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equation (6) C (B + S 14), because it is, the result of an operation in Equation 4 C (B + S 13) Equation (6) The result is larg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결론적으로 통신 시스템의 채널 상황이 S14 ≥ S13, S23 ≥ S24 + S34인 경우, 신호 전송 장치 2(120)가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신호 전송 장치 1(110)이 직접 신호 수신 장치(140)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이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가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channel conditions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re S 14 ≥ S 13 and S 23 ≥ S 24 + S 34 ,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transmits a signal through the repeater 13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Is larger than the system capacity in the case wher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110 and 120) transmit signals through the repeater 130, the system capacity in the case of transmitting signals to the direct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have.

또한, S14 ≥ S13, S23 ≤ S24 + S34인 경우, R2는 수학식 6에서의 연산 결과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가 동일하다.Further, S 14 ? S 13 , S 23 For ≤ S 24 + S 34, R2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result in operation result in Equation (4) in equation (6).

하지만, R1은 수학식 1에서의 연산결과가 C(S14)이고, 수학식 4에서의 연산 결과가 C(S13)이므로, 수학식 6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However, since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 6 ) is C (S14) and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is C ( S13 ),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Big.

따라서, 시스템 전체 용량인 R1+R2는 수학식 6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Therefore,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6) is larg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상기 조건을 좀 더 세분화하면, S14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5
인 경우, R1+R2에 대한 수학식 6에서의 연산결과는 C(S14+S24+S34+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6
)이고, R1+R2에 대한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는 C(A+B-S34)이므로, 수학식 6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If the above condition is further subdivided, S 14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5
If the operation result of the equation (6) to the R1 + R2 is C (S 14 + S 24 + S 34 +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6
), And the operation result in operation result R1 + in equation (4) for R2 is, Equation (6), so C (A + BS 34) is great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equation (4).

또한, S14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7
인 경우, R1+R2에 대한 수학식 6에서의 연산결과는 C(S14+S24+S34+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8
)이고, R1+R2에 대한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는 C(A+S24)이므로, 수학식 6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Further, when S 14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7
If the operation result of the equation (6) to the R1 + R2 is C (S 14 + S 24 + S 34 +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8
), And the operation result in operation result R1 + in equation (4) for R2 is, Equation (6), so C (A + S 24) is great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equation (4).

또한, S24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9
인 경우, R1+R2에 대한 수학식 6에서의 연산결과는 C(S14+S24+S34+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30
)이고, R1+R2에 대한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는 C(A+S23)이므로, 수학식 6에서의 연산결과가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Further, when S 24 ?
Figure 112010085332534-pat00029
If the operation result of the equation (6) to the R1 + R2 is C (S 14 + S 24 + S 34 +2
Figure 112010085332534-pat00030
), And the operation result in operation result R1 + in equation (4) for R2 is, Equation (6), so C (A + S 23) is great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equation (4).

결국,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판단하면, 채널 상황이 g14가 g13보다 좋고, g23이 g24보다 좋은 경우, 신호 전송 장치 2(120)가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신호 전송 장치 1(110)이 직접 신호 수신 장치(140)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이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가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 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o e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e channel condition is g, and 14 are better than g 13, g 23 is sending signals via a good cas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repeater 130 more g 24, The system capacity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directly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140 is a system in which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2 (110, 120) transmits the signal via the relay apparatus 130 Capacity. &Lt; / RTI &g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채널 상황이 g14가 g13보다 좋고, g23이 g24보다 좋은 경우, 중계기(130)가 신호 전송 장치 2(120)와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는 온 시키고,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는 오프시킴으로써,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가 모두 중계기(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할 때보다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nnel condition is good, g 14 is better than g 13 and g 23 is better than g 24 , the repeater 130 is connected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2 120 and the repeater 130 110 and 120 transmit signals through the repeater 130 by turning off the link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110 and the repeater 130 by turning on the link of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The capacity can be improved.

이상, 두 번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세 번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세 번째 실시예로, 상기 통신 시스템의 채널 상황이 g13이 g14보다 좋고, g23이 g24보다 좋은 경우를 가정한다.The third embodiment, the channel conditions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s better than yi g 13 g 14, it is assumed a case where 23 g better than 24 g.

이때, 중계기(130)는 신호 전송 장치 1(110)과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와 신호 전송 장치 2(120)와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를 모두 온 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peater 130 can turn on the link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110 and the repeater 130, and the link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20 and the repeater 130.

이때,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는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와 중계기(130) 사이의 링크가 모두 온 상태이기 때문에 중계기(130)로 신호 X1, X2를 전송하고, 중계기(130)는 수신 신호 Y3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신호 X3를 신호 수신 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110 and 120) transmit the signals X1 and X2 to the repeater 130 because the links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110 and 120) and the repeater 130 are all on And the repeater 130 may decode the received signal Y3 and then transmit the decoded signal X3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

이상, 세 번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네 번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The thir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네 번째 실시예로, 상기 통신 시스템의 채널 상황이 g14가 g13보다 좋고, g24가 g23보다 좋은 경우를 가정한다.As a fourth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channel condi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s g 14 is better than g 13 and g 24 is better than g 23 .

이때, 중계기(130)는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로부터 모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없이, 압축하여 신호 수신 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peater 130 receives signals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110 and 120), compresses the received signals without decoding, and transmits the signals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상기 통신 시스템의 채널 상황이 g14가 g13보다 좋고, g24가 g23보다 좋은 경우, 중계기(130)가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로부터 모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없이, 압축하여 신호 수신 장치(140)로 전송할 경우의 시스템 용량인 R1+R2는 하기의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f the channel condi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s such that g 14 is better than g 13 and g 24 is better than g 23 , the repeater 130 receives all of the signals from signal transmission devices 1 and 2 (110, 120) The system capacity R1 + R2 when the signal is compressed without decoding and transmitted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7).

[수학식 7]&Quot; (7) &quot;

R1+R2 ≤ I(X1,X2;Y'3,Y4|X3) subject to I(X3:Y4) ≥ I(Y3;Y'3|X3,Y4)
Y1? X3, Y4? X3) subject to I (X3: Y4)? I (Y3; Y'3 | X3, Y4)

여기서, Y'3은 중계기(130)가 압축한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Here, Y'3 denotes a reception signal compressed by the repeater 130.

이때, 상기 수학식 7을 기초로 R1+R2를 유도하면, 하기의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f R1 + R2 is derived based on Equation (7), it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8) below.

[수학식 8]&Quot; (8) &quot;

R1+R2 = C(S14+S24+(S13+S23+(S14S23+S13S24))/(1+Q)) R1 + R2 = C (S 14 + S 24 + (S 13 + S 23 + (S 14 S 23 + S 13 S 24)) / (1 + Q))

for Q ≥ ((1+S13+S23)(1+S14+S24)-(S13S14+S23S24))/((1+S14+S24)(1+S14+S24))
for Q ≥ ((1 + S 13 + S 23) (1 + S 14 + S 24) - (S 13 S 14 + S 23 S 24)) / ((1 + S 14 + S 24) (1 + S 14 + S 24 ))

상기 수학식 8과 상기 수학식 4의 연산 결과를 기초로 채널 상황이 g14가 g13보다 좋고, g24가 g23보다 좋은 경우, 중계기(130)가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로부터 모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없이, 압축하여 신호 수신 장치(140)로 전송할 경우의 시스템 용량과 중계기(130)가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신호 수신 장치(140)로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If the channel condition g 14 is greater than g 13 and g 24 is better than g 23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of Equations 8 and 4, The system capacity when the received signal is compressed without decoding and transmitted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and the system capacity when the repeater 130 receives signals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1 and 2 110 and 120 The system capacity of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ecod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is as follows.

만약, S14 ≥ S13, S24 ≥ S23이고, S34가 충분히 크다면, R1+R2에 대한 상기 수학식 8에서의 연산결과는 C(S14+S24+(S13+S23+(S14S23+S13S24))/(1+Q))이고, 상기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는 C(S13+S23)이므로, 상기 수학식 8에서의 연산결과가 상기 수학식 4에서의 연산결과보다 크다. If, S 14 ≥ S 13, S 24 ≥ S 23 , and the surface S 34 is large enough, the operation result of the above equation (8) to the R1 + R2 is C (S 14 + S 24 + (S 13 + S 23 + (S 14 S 23 + S 13 S 24)) / (1 + Q)) , and the operation result of the equation (4) is a result of the operation in the so C (S 13 + S 23) , the equation (8) is Is larger than the calculation result in Equation (4).

결국,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판단하면, 채널 상황이 g14가 g13보다 좋고, g24가 g23보다 좋은 경우, 중계기(130)가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로부터 모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없이, 압축하여 신호 수신 장치(140)로 전송할 경우의 시스템 용량이 중계기(130)가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신호 수신 장치(140)로 전송하는 경우의 시스템 용량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o e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e channel situation g when 14 is better than g 13, g 24 is better than g 23, both from the repeater 130,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and 2 (110, 120) signal The system capacity when the received signal is compressed without decoding and transmitted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is received by the repeater 130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1, 2 (110, 120) Is greater than the system capacity when decoding the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채널 상황이 g14가 g13보다 좋고, g24가 g23보다 좋은 경우, 중계기(130)가 신호 전송 장치 1, 2(110, 120)로부터 모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없이, 압축하여 신호 수신 장치(140)로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용량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us,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situation g 14 better than g 13, if the g 24 better than g 23, both from the repeater 130,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1 and 2 (110, 120) Signal, compresses the received signal without decoding, and transmits the compress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140, thereby improving the system capacit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중계기(220)는 결정부(221), 디코딩부(222) 및 전송부(22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repeater 220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221, a decoding unit 222, and a transmission unit 223.

결정부(221)는 n(n≥1)개의 신호 전송 장치(211, 212, 213)와 중계기(220) 및 신호 수신 장치(230)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상태를 기초로 n개의 신호 전송 장치(211, 212, 213)와 중계기(220) 간 링크의 온/오프 여부를 결정한다.The determination unit 221 determines the number of n signals based on the state of at least one channel formed between the n (n? 1)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211, 212, 213 and the relay apparatus 220 and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230, And determines whether the link between the transmission apparatuses 211, 212, 213 and the relay apparatus 220 is on / off.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부(221)는 n개의 신호 전송 장치(211, 212, 213) 중 제1 신호 전송 장치와 신호 수신 장치(230) 사이에 형성된 제1 채널의 채널이득이 상기 제1 신호 전송 장치와 중계기(220) 사이에 형성된 제2 채널의 채널이득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신호 전송 장치와 중계기(220) 간 링크를 오프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unit 221 determines a channel of the first channel formed between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the signal reception device 230 among the n signal transmission devices 211, 212, The link between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the repeater 220 can be turned off if the gain is greater than the channel gain of the second channel formed between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the relay apparatus 220. [

디코딩부(222)는 n개의 신호 전송 장치(211, 212, 213) 중 상기 링크가 오프되지 않은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한다.The decoding unit 222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of which the link is not turned off among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211, 212, and 213, and decodes the received signal.

전송부(223)는 상기 디코딩된 신호를 신호 수신 장치(230)로 전송한다.The transmitting unit 223 transmits the decod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230.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220)는 압축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220 may further include a compression unit 224.

압축부(224)는 n개의 신호 전송 장치(211, 212, 213)와 신호 수신 장치(230) 사이에 형성된 채널들 각각의 채널이득이 n개의 신호 전송 장치(211, 212, 213)와 중계기(220) 사이에 형성된 채널들 각각의 채널이득보다 큰 경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211, 212, 213)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압축한다.The compression unit 224 compresses the channel gains of the channels formed between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211, 212 and 213 and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230 by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211, 212 and 213 and the repeater 220, respectively, receive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211, 212, 213 and compresses the received signals.

이때, 전송부(223)는 상기 압축된 신호를 신호 수신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mitting unit 223 can transmit the compress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23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딩부(222)는 n개의 신호 전송 장치(211, 212, 213)와 중계기(220) 사이의 모든 링크가 오프되지 않은 경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211, 212, 213)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ll the links between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211, 212, and 213 and the repeater 220 are not turned off, 211, 212, and 213, and may decode the received signal.

이때, 전송부(223)는 상기 디코딩된 신호를 신호 수신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mitter 223 may transmit the decod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er 230.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220)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220)는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중계기(130)의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epeat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Here, the repeat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1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중계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relay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310)에서는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중계기 및 신호 수신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간 링크의 온/오프 여부를 결정한다.In step S3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the repeater link are turned on / off based on the state of at least one channel formed between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the relay apparatus and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310)에서는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 중 제1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신호 수신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제1 채널의 채널이득이 상기 제1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사이에 형성된 제2 채널의 채널이득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간 링크를 오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310, a channel gain of a first channel formed between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the signal reception device, among the n signal transmission devices, And may turn off the link between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the repeater if the channel gain of the second channel is larger than the channel gain of the second channel formed between the repeaters.

단계(S320)에서는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 중 상기 링크가 오프되지 않은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한다.In step S320,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whose link is not turned off among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is received, and the received signal is decoded.

단계(S330)에서는 상기 디코딩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In step S330, the decod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중계 방법은 단계(S330)이전에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신호 수신 장치 사이에 형성된 채널들 각각의 채널이득이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사이에 형성된 채널들 각각의 채널이득보다 큰 경우,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gnal relay method, channel gains of channels formed between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before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re transmitted to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compressing the received signals when the channel gains of the channels formed between the relay apparatuses are greater than the channel gains of the channels formed between the relay apparatuses.

이때, 단계(S330)에서는 상기 압축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330, the compresse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중계 방법은 단계(S330)이전에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사이의 모든 링크가 오프되지 않은 경우,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relay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when all the links between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relay apparatus are not turned off before step S330, And receiving the signal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이때, 단계(S330)에서는 상기 디코딩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330, the decode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이상,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중계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중계 방법은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중계기(220)의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ignal relay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Here, the signal relay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2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중계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signal relay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nstituent elem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10: 신호 전송 장치 1 120: 신호 전송 장치 2
130: 중계기 140: 신호 수신 장치
211, 212, 213: n개의 신호 전송 장치
220: 중계기
221: 결정부 222: 디코딩부
223: 전송부 224: 압축부
230: 신호 수신 장치
110: signal transmission device 1 120: signal transmission device 2
130: Repeater 140: Signal receiving device
211, 212, 213: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220: Repeater
221: Decision section 222: Decoding section
223: Transmitting section 224: Compression section
230: Signal receiving device

Claims (8)

중계기에 있어서,
n(n≥1)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및 신호 수신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간 링크(link)의 온(on)/오프(off) 여부를 결정하여, 링크 온 결정된 신호 전송 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상기 중계기로 수신되게 하고 링크 오프 결정된 신호 전송 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상기 중계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수신되게 하는 결정부;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 중 링크 온 결정된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및
상기 디코딩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중계기.
In the repeater,
(n) of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repeater link based on the states of at least one channel formed between the n (n &gt; = 1)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repeater and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determined to be link-off is received by the relay apparatus,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determined to be link-off is received by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elay apparatus part;
A decod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link-o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mong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And
And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decod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 중 제1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신호 수신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제1 채널의 채널이득이 상기 제1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사이에 형성된 제2 채널의 채널이득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간 링크를 오프하는 중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rmination unit
When the channel gain of the first channel formed between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the signal reception device of the n signal transmission devices is larger than the channel gain of the second channel formed between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the relay device, And turns off the link between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the repea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신호 수신 장치 사이에 형성된 채널들 각각의 채널이득이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사이에 형성된 채널들 각각의 채널이득보다 큰 경우,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압축하는 압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압축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중계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channel gain of each of the channels formed between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is larger than the channel gain of each of the channels formed between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relay apparatus, A compression unit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compressing the received signal,
Further comprising:
And the transmitting unit transmits the compress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사이의 모든 링크가 온 결정된 경우,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디코딩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중계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coding unit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s when all links between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relay apparatus are determined to be ON,
And the transmitting unit transmits the decod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중계기의 신호 중계 방법에 있어서,
n(n≥1)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및 신호 수신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간 링크(link)의 온(on)/오프(off) 여부를 결정하여, 링크 온 결정된 신호 전송 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상기 중계기로 수신되게 하고 링크 오프 결정된 신호 전송 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상기 중계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수신되게 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 중 링크 온 결정된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방법.
A method of relaying a signal in a repeater,
(n) of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repeater link based on the states of at least one channel formed between the n (n &gt; = 1)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repeater and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determined to be link-off is received by the repeater,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determined to be link-off is received by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without going through the repeater ;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link-o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mong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ecod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 RTI &g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 중 제1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신호 수신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제1 채널의 채널이득이 상기 제1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사이에 형성된 제2 채널의 채널이득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간 링크를 오프하는 신호 중계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determining
When the channel gain of the first channel formed between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the signal reception device of the n signal transmission devices is larger than the channel gain of the second channel formed between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the relay device, And turning off the link between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the repea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신호 수신 장치 사이에 형성된 채널들 각각의 채널이득이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사이에 형성된 채널들 각각의 채널이득보다 큰 경우,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압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신호 중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channel gain of each of the channels formed between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signal reception apparatus is larger than the channel gain of each of the channels formed between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relay apparatus, Receiv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compressing the received signal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transmitting step transmits the compress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와 상기 중계기 사이의 모든 링크가 온 결정된 경우, 상기 n개의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하는 단계는 상기 디코딩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신호 중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s when all the links between the 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repeaters are determined to be on,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transmitting step transmits the decoded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KR1020100133672A 2010-12-23 2010-12-23 Relay station and signal relaying method of the relay station KR101740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72A KR101740425B1 (en) 2010-12-23 2010-12-23 Relay station and signal relaying method of the relay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72A KR101740425B1 (en) 2010-12-23 2010-12-23 Relay station and signal relaying method of the relay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933A KR20120071933A (en) 2012-07-03
KR101740425B1 true KR101740425B1 (en) 2017-05-26

Family

ID=4670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672A KR101740425B1 (en) 2010-12-23 2010-12-23 Relay station and signal relaying method of the relay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4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6782A (en) 2012-04-16 2013-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calable layer description for scalable coded video bitstrea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e Yang et al, "Resource Allocation for Cooperative Relaying," IEEE CISS 2008, p. 848, (2008.03.19-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933A (en)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529B1 (en) Cooperative Diversity Method in MIO Wireless Network
US20110212684A1 (e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in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US8488653B2 (en)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85541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using network coding scheme
US8254830B2 (en)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forward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KR101210332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relay in amplify-forward relay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90031082A (en)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user cooperation and terminal device of enabling the method
EP24877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multi-nodes using relay node
KR1011031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MIMO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40425B1 (en) Relay station and signal relaying method of the relay station
US87247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ooperation among base stations
KR101018571B1 (en) Cooperative diversity method and cooperative diversity system using opportunistic relaying
KR101688221B1 (en)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expansion method through cooperation level increase
KR100911929B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random access response method
KR101041921B1 (en) Method for selecting source transmit antenna in mimo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KR1010812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cooperatively using network coding in Uplink System comprised of multiple relay device
KR101270008B1 (e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satellite based on analog network coding and method thereof
KR101273467B1 (en) Relay siganl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US20100158145A1 (e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pre-equalizer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1820306B (en) Signal relaying method and signal combining method and device
KR10120599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video signal in two-way relaying system
KR101582880B1 (en) METHOD FOR amplifying and forwarding signal
KR101004000B1 (en) Method for Enhancing Throughput in Decode-and-Forward Relay System
Chaaban et al. Device-relaying in cellular D2D networks: A fairness perspective
KR101471740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in differential and orthogonal space time block code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