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708B1 - Smart yearbook - Google Patents

Smart yearboo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708B1
KR101736708B1 KR1020170012097A KR20170012097A KR101736708B1 KR 101736708 B1 KR101736708 B1 KR 101736708B1 KR 1020170012097 A KR1020170012097 A KR 1020170012097A KR 20170012097 A KR20170012097 A KR 20170012097A KR 101736708 B1 KR101736708 B1 KR 101736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means
main body
album
cov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경성
Original Assignee
배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성 filed Critical 배경성
Priority to KR1020170012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7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05Associated digital information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yearbook comprises: a main body in which a storage space with an opened front side is formed; a cover plate rotationally attach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a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a certification car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ver plate, having a certification means capable of being recognized by a user terminal for an online yearbook to be used. The smart yearbook has the storage space to store pictures and souvenirs.

Description

스마트 기념앨범{SMART YEARBOOK}Smart memorial album {SMART YEARBOOK}

본 발명은 스마트 기념앨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이나 기타 기념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물리적인 기념앨범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되, 이 기념앨범의 일 측에 장착되는 임의의 코드를 사용자단말을 통해 읽어 웹 기반 기념앨범에 접속하여 졸업사진의 확인 및 졸업생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스마트 기념앨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emorial albu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ysical memorial album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photographs and other memorabilia, This is a smart memorial album designed to read through a user terminal and access a Web-based commemorative album to confirm graduation photographs and communicate with graduates.

과거 기념앨범은 통신망이나 저장수단이 충분히 발전되지 못하여 졸업, 결혼, 축하, 파티, 대회, 잔치 등 특정 사건을 기념하거나 추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으나, 최근에는 통신망의 발전으로 누구든지 쉽게 인터넷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예전 사진이나 안부를 물을 수 있게 되어 기념앨범의 인기가 많이 시들해지고 있는 현실이다.Past memorial albums were the only way to memorize or memorize certain events such as graduation, marriage, celebration, party, competition, feast, etc. due to inadequate communication network or storage means. Recently, It is a reality that commemorative album is becoming popular because it is possible to ask for old photographs and regards in real time.

또한, 책자 형태로 제작되어 졸업을 앞둔 학생들 중에는 비싼 가격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으로 기념앨범을 구매하여야 할지 여부에 대하여 고민을 하게 되고, 책자 형태의 앨범은 특별한 이유가 있지 않은 경우에 꺼내어 볼일도 없어서 구매를 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mong the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graduation, they are worried about whether or not to purchase the commemorative album at an economical burden due to the expensive price, and the book form album can not be taken out when there is no special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many purchases are not made.

또한, 종이로 제작되는 기념앨범의 특성상 업데이트가 불가능하고, 10년 후 동창생에게 연락하려고 해도 이미 바뀐 전화번호, 주소 때문에 연락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며, 친구들의 요즘 모습을 보고 싶어도 볼 수가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동창회, 반창회, 동아리 친구들 모임 및 친구들끼리 연락을 하려고 하면 동창회장이 모든 친구에게 연락을 하기가 어렵고, 모든 친구의 연락처를 다 알아야하고 또 연락처가 바뀐 친구가 생겨서 연락이 제대로 되지 아니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Also, due to the nature of the commemorative album made of paper, it is impossible to update, and even if you try to contact your alumni after 10 years, you may not be able to contact because of the changed phone number or address. Have. As a result, if you are trying to contact an alumni association, a rendezvous, club friends, or friends, you may find it difficult for the alumni associate to contact all of your friends, know all your friends' contac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occu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47981호에 "다기능 포토앨범"이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ultifunctional photo album"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7981.

상기 포토앨범은, 앨범의 전면 커버에 표시부를 형성하여 앨범에 수록된 사진 영상을 표시하고, 앨범의 전면 커버가 열리는 경우 표시부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방지하며, 앨범의 각 페이지를 인식하여 해당 페이지에 수록된 사진과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정당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특징을 갖는다.The photo album displays a photographic image recorded on an album by forming a display on a front cover of the album. When the front cover of the album is opened,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is switched to the sleep mode to prevent power consumption. And outputs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 recorded on the page. In addition, it has a feature of protecting privacy by making it possible to use only authorized users through user authentication.

다만, 이러한 기념앨범 또한 연락처의 업데이트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할뿐더러 실제로 내부의 사진을 직접 확인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memorial album also has a problem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directly check the photos of the inside as well as the update problem of the contact continuously.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20164호 “유치원 졸업용 앨범”에 따르면, 첫 장에는 유치원이름, 원장님이나 선생님의 사진, 단체사진 및 즐거웠던 사진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장에는 나의 소개, 가정생활 및 원생활의 사진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셋째 장에는 즐거웠던 작은 사진과 큰 사진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넷째 장에는 즐거운 하루의 생활과 관련된 사진을 보관하도록 하고, 다섯째 장에는 5월의 행사와 관련된 글과 부모 및 선생님의 사진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여섯째 장에는 여름에 즐거웠던 생활과 관련된 사진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일곱째 장의 앞면에는 견학과 관련된 사진을 예쁘게 꾸미도록 하고, 여덟째 장 및 아홉째 장에는 재롱잔치와 크리스마스에 관련된 사진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열째 장에는 졸업식의 사진과 1년 동안의 즐거웠던 사진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뒤에는 일반 사진용 사진 첨부판을 다수 포함하도록 하고, 두꺼운 뒤표지판에 비디오 테이프 및 카세트 테이프를 보관하기 위한 테이프 보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유치원 시절의 즐거웠던 추억의 사진을 보관하면서 보다 재미있게 간직할 수 있도록 한 기념앨범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As another prior art, according to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20164, "Album for Kindergarten Graduation", the first chapter will be able to keep the kindergarten name, photos of the director or teacher, group photos and fun photos, The first chapter allows you to keep small photos and large photos. The fourth chapter allows you to keep photos related to your pleasant day. The fifth chapter contains 5 In the sixth chapter, you can keep photographs related to life that you enjoyed in the summer. In the front of the seventh chapter, you should make the photographs related to the visit beautiful. The chapters and ninth chapters allow you to keep journals and photos related to Christmas, The chapters are designed to hold photographs of graduation ceremonies and enjoyable photos for one year, followed by a number of photographs attached to general photographs, a tape storage unit for storing videotapes and cassette tapes on a thick back sign, , Which describes a memorial album that allows photographs of fun memories of kindergarten days to be retained and retained more fun.

이 기념앨범 또한 실제 앨범 내용이 기념앨범에만 내장되어 있어, 사진 또는 내용의 확인이 복잡하고, 특히 기념앨범 내부 구성이 복잡하여 정리가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This commemorative album also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contents of the actual album are only embedded in the commemorative album, so that the confirmation of the picture or contents is complicated, and in particular, the internal composition of the commemorative album is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진 및 기념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기념앨범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morial album includ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photographs and souveni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공간에 사진 및 기념품을 보관한 상태에서 거치하여 액자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photographs and souvenirs are stored in a storage space and can be used as a fr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라인으로 기념앨범에 연결할 수 있는 인증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hentication means that can be linked to a commemorative album on-li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라인 기념앨범을 활용함에 있어 물리적인 기념앨범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friendly function more than a physical commemorative album in utilizing an online commemorative albu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념앨범은, 전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일 측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판; 상기 커버판의 일 측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온라인 기념앨범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인증수단이 포함된 인증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memorial album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with a front surface opened; A cover plate rotatably attach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n authentication car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ver plate, the authentication card including an authentication means that can recognize an online commemorative album through a user terminal.

더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테두리 전면에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받침단턱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전방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받침단턱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완충패드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upport step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rim of the main body, and a buffer pad having an area fittable to the support step is further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

나아가,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후방커버의 후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함입 형성된 회동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수단의 양 측면 일 측에는, 상기 회동고정홈에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된 지지판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판부를 상기 회동고정홈에 결합시켜 전후로 일정 범위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ear cover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fixing groove formed in a shape transverse to a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and a supporting plate portion protru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fixing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authentication means And the support plate portion is coupled to the rotation fixing groove so as to be rotatable in a certain rang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덧붙여, 상기 완충패드에는, 상기 인증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입되어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인증수단삽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ffer pad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thentication means insertion portion which is inserted so as to insert the authentication means and forms an insertion spac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념앨범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smart memorial alb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사진 및 기타 기념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앨범 내부에 제공하고,1) Provide storage inside the album for photo and other souvenirs,

2) 수납공간에 사진 또는 기념품이 보관된 상태로 펼치거나 접어 액자처럼 활용할 수 있는 거치구성을 제공하며,2) Provide a mounting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folded or folded frame with the photo or souvenir kept in the storage space,

3) 사용자단말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인증수단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기념앨범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고,3) allowing the commemorative album to be confirmed online even through the authentication means recognizable through the user terminal,

4) 나아가 온라인 기념앨범에 사용자의 얼굴을 찾아 정리하거나 다른 친구의 사진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user friendly function can be provided by arranging a user's face on the online commemorative album or displaying photos of other friends together.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기념앨범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기념앨범에서 인식수단을 거치대로서 활용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기념앨범에서 인증수단을 거치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강슬롯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증수단결합홈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식수단에 연장걸림부를 적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인식수단에 제1,2 그립부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인식수단에 제1,2 그립부를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마트기념앨범의 온라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 smart memorial albu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recognition means is utilized as a cradle in the smart memorial albu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mounting authentication means in the smart memorial albu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ing slo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hentication means coupling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of the extending latch portion to the recogni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are applied to the recogni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are applied to the recogni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configuration of a smart memorial albu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기념앨범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 smart memorial alb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방향을 설명하면, 앨범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앨범을 개폐시키는 전방커버(210)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명명하며, 나머지 4개의 방향 중 길이가 긴 한 쌍의 방향을 각각 하방과 상방으로, 길이가 짧은 한 쌍의 방향을 각각 좌우로 명명하고 설명하도록 하겠다.Before describing the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cover 2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lbum is positioned is referred to as forward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album form, A direction of a pair of long sides is referred to as a downward direction and a direction of a pair of short sides is referred to as a left and a right direction, respectively.

스마트 기념앨범은, 메인바디(100)와 커버판(200), 인증수단(300)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먼저, 메인바디(100)는 전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하좌우를 가릴 수 있도록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에 의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 수납공간의 경우 후술할 후방커버(220)에 의해 영구적으로 후면이 밀폐되게 되며, 이에 따라 수납공간에는 사진이나 기타 기념품 등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메인바디(100)가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메인바디(100)는 나무나 판지, 합성수지,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메인바디(100)가 형성된 이후 메인바디(100) 또는 수납공간에 사진을 넣고 투명판을 메인바디(100)에 얹거나 끼워 액자와 같이 활용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수납공간에 별도의 소형 액자나 공간 분리용 파티션, 기념품 등이 수납된 상태에서 투명판 혹은 커버 역할을 할 수 있는 커버판을 덮어 보관이 가능한 구성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smart memorial album has a basic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0, the cover plate 200, and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First, the main body 100 is a sidewall that surrounds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100 to cover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space. Therefore,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by the side walls surrounding the four sides. In the case of this storage space, the rear surface is permanently sealed by the rear cover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photographs and other souvenirs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herefore, the main body 100 is preferably made of wood, paperboard, synthetic resin, stainless steel, or the like so that the main body 100 can have a sufficient strength. After the main body 100 is formed, a photo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or the storage space, and the transparent plate may be put on the main body 100 or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In addi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orm a configuration in which a transparent plate or a cover plate which can serve as a cover is covered and stored in a state in which a partition for separation,

커버판(200)은 메인바디(100)의 후면을 밀폐시키도록 후면에 고정되는 후방커버(220)와, 이 후방커버(220)의 측 부 일 측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장되어 메인바디(100)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전방커버(210)로 구성된다. 즉, 메인바디(100)의 경우, 원래는 전면 뿐 아니라 후면도 개방된 형태를 갖지만, 이 후방커버(220)가 부착됨에 따라 후면이 개방되지 않게 된다. 이 커버판(200) 또한 재질은 무게가 가볍고 충분한 강도를 갖는 나무나 판지,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수납공간에 보관되는 사진이나 기타 기념품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천이나 가죽, 인조가죽 등을 덧대어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cover plate 200 includes a rear cover 220 fixed to the rear surface so as to close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a main body 100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rear cover 220 in a front- And a front cover 210 for opening /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100.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main body 100, the rear surface is opened as well as the front surface, but the rear surface is not opened when the rear cover 220 is attached. The cover plate 200 may also be made of wood, paperboard, or synthetic resin having a light weight and sufficient strength. Further, in order to protect the photographs and other souvenir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 separate cloth, leather, Of course, can be used.

마지막으로 인증수단(300)의 경우, 커버판(200)의 일 측에 스티커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거나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부착되는 것이며, 온라인을 통해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된 기념앨범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스마트폰, 휴대전화, pda, 노트북 등)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인증이미지가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이 인증이미지는 바코드나 QR코드, 컬러코드와 같이 비연속성 무늬를 활용한 암호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나타나는 QR코드 등을 활용한 인터넷 웹페이지 접속방법과 같은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다. 다만, 인증수단(300)은 이러한 인증이미지가 포함된 것으로서 명함과 같은 종이카드이거나 혹은 플라스틱카드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Lastly, in the case of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a sticker, an adhesive or the like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ver plate 200 or is attached by a physical method, and a memorial album implemented on a web page or an application is used online Means that an authentication image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a user terminal (smart phone, mobile phone, pda, notebook, etc.) is included. This authentication image refers to a cryptographic image that utilizes non-continuity patterns, such as bar codes, QR codes, and color codes. Therefore, the same method as the Internet web page accessing method using the QR code shown in the prior art is utilized.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may include various forms such as a paper card such as a business card or a plastic card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image.

이제 보다 상세한 스마트 기념앨범의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Now let's look at the composition of the Smart Memorial album in more detail.

먼저, 메인바디(100)에서 노출된 테두리부위의 전면에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받침단턱(110)이 더 형성된다. 또, 전방커버(210)의 후면에도 이 받침단턱(110)에 대응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완충패드(211)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전방커버(210)를 닫았을 때, 완충패드(211)에 의해 한 번 더 스마트 기념앨범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나아가 이 받침단턱(110)을 활용하여 메인바디(100)의 수납공간에 사진이나 기타 기념품을 보관한 후 투명창을 덮어 액자처럼 활용할 수도 있고, 완충패드(211)를 더 부착하였기 때문에 스마트 기념앨범의 전방커버(210)를 닫았을 때, 투명창이 긁히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irst, a support step 110 is further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a rim portion exposed from the main body 100, A cushioning pad 211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210 to have an area fittable to the pedestal 110.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smart memorial album to be sealed once more by the cushioning pad 211 when the front cover 210 is closed. Further, A transparent window may be covered and used as a frame after storing a photograph or other souvenir in a storage space of the smart memo album. Therefore, when the front cover 210 of the smart memorial album is closed, the transparent window is scratched Of course, be protected against breakage.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기념앨범에서 인식수단을 거치대로서 활용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utilizing recognition means as a cradle in the smart memorial album of the present invention.

또, 스마트 기념앨범을 세워 거치할 수 있도록 액자의 받침대와 같은 구성을 더 적용할 수 있다. 후방커버(220)에는 후방커버(220)의 후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회동고정홈(22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수단(300)의 양 측면의 일 측에는 이 회동고정홈(221)에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된 지지판부(31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지지판부(310)를 회동고정홈(221)에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일종의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때, 회동고정홈(221)은 바람직하게는 내측이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좋되, 내측에 일정 각도로 인증수단(300)이 회동된 후 고정될 수도 있도록 별도의 걸림돌기와 같은 걸림수단을 더 형성하는 방법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he same structure as the frame of the frame to mount the smart memorial album. The rear cover 22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fixing groove 221 formed to cross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220.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310 protru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fixing groove 221 a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The support plate 310 may be fixed to the rotation fixing groove 221, So that it can serve as a kind of suppor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fixing groove 221 is formed to be round inside, but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form a locking means such as a locking projection so that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can be fixed after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Of course, can also be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기념앨범에서 인증수단을 거치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mounting authentication means in the smart memorial album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시 전방커버(210)의 설명으로 돌아가, 완충패드(211)에는 인증수단(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입되어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인증수단삽입부(2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이 인증수단삽입부(212)를 통해 인증수단(300)을 고정 및 거치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거치형태는 스마트 기념앨범을 펼쳐 보관하는 경우, 수납공간과 함께 인증수단(300)을 볼 수 있도록 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Referring again to the description of the front cover 210, the buffer pad 211 may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means inserting portion 212 for inserting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so as to form an insertion space. That is, it is possible to fix and mount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through the authentication means inserting section 212. In such a mount mode, when the smart memorial album is unfolded and stored,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can be seen together with the storage space.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mounted.

도 4는 본 발명의 승강슬롯을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ing slot of the present invention.

나아가, 완충패드(211)에는 삽입공간과 메인바디(100)의 테두리까지 가장 가까운 경로로 완충패드(211)를 관통하도록 연장된 슬라이드슬롯(213)이 더 형성되는데, 이 슬라이드슬롯(213)을 통해 인증수단(300)을 삽입공간에 삽입한 후 메인바디(100)의 테두리 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메인바디(100)의 테두리 중 슬라이드슬롯(213)과 맞닿은 면에는 슬라이드슬롯(213)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된 인증수단(300)이 수납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관통된 인증수단통과홈(1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념앨범을 더 이상 전시하지 않으려는 경우, 이 슬라이드슬롯(213)과 인증수단통과홈(120)을 통해 인증수단(30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수납공간에 수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buffer pad 211 further has a slide slot 213 extending through the buffer pad 211 in the path closest to the insertion space and the rim of the main body 100. The slide slot 213 It is possible to slide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to the edge of the main body 100 after inserting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into the insertion space. The authentication unit 300 is slid through the slide slot 213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lide slot 213, ) Can be further formed. When the memorial album is not to be displayed any more,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can be slidably moved through the slide slot 213 and the authentication means passage groove 120 and stored in the storage space.

도 5는 본 발명의 인증수단결합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thentication means coupling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른 추가 구성으로서, 받침단턱(110)에서 모서리부위에는 인증수단(300)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추가 함입된 인증수단결합홈(10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수납공간에 수납시킬 때를 대비하여 받침단턱(110)에 인증수단(300)을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결합홈을 더 형성하여 인증수단(300)을 수납공간에 보관할 때 다른 물건들과 뒤섞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받침단턱(110)에 사진을 얹어 보관하는 경우에도, 이 인증수단결합홈(101)에 인증수단(300)을 끼우게 되면, 사진 위에 인증수단(300)이 위치하여 두 가지를 모두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further construction, the authentication means coupling groove 101 may be additionally form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receiving step 11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so that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can be inserted. In other words, when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 separate coupling groove may be additionally formed so that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can be coupled to the receiving step 110 in order to store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in the storage space. When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is inserted into the authentication means coupling groove 101,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is placed on the photograph and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is placed on the photograph You can see both at a glance.

이 때, 인증수단(300)이 완전히 수납공간에 들어가 버리게 되면, 다음 기념앨범을 펼쳐 전시할 때에 다시 인증수단(300)을 수납공간에서 꺼내 전시해야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줄이고자 인증수단통과홈(120)에는 수납공간을 향해 연장 및 수축이 가능한 안테나 방식의 한 쌍의 연장부재(131)와, 이 연장부재(131)의 단부에 부착되어 인증수단통과홈(120)을 통과한 인증수단(300)의 일 단부를 고정시켜 지지하는 고정부재(132)로 구성되는 승강슬롯(130)이 더 포함되는 것이다. 즉, 승강슬롯(130)의 형태는 CD롬과 같이 수축 및 연장되어 움직일 수 있으며, 인증수단(300)이 고정부재(132)에 고정되어 이 승강슬롯(130)을 통해 수납공간에 들어간 상태로 고정되고, 다시 필요할 때에는 슬라이드 이동시켜 수납공간으로부터 빼내어 삽입공간에 넣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completely enters the storage space, there is a difficulty that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is taken out from the storage space and displayed again when the next memorial album is unfolded and displayed. In order to reduce the difficulty, the authentication means passage groove 1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antenna type extension members 131 capable of extending and retracting toward the storage space, And a fixing member 132 for fixing and supporting one end of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fixing member 120. [ That is, the shape of the lifting slot 130 can be contracted or extended as in the case of a CD-ROM, and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132 and enters the storage space through the lifting slot 130 And when necessary again, it can be slid and removed from the storage space and put into the insertion space.

상기한 구성을 통해 인증수단(300)을 거치하거나 보관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이 인증수단(300)은 다음의 구성을 더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A method of storing or storing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has been described. Further,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may have various functions by further includ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인식수단에 연장걸림부를 적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of the extending latch portion to the recogni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먼저, 커버판(200)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후방커버(220)와 전방커버(210)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장되어 메인바디(100)의 측부를 개폐할 수 있는 중앙커버(2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중앙커버(230)는 메인바디(100)의 측부와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을 매개로 고정시켜 구성할 수도 있겠지만, 커버판(200)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메인바디(100)와 접착하지 않은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기할 내용은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커버판(200)을 구성하였을 때,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The center cover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fold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rear cover 220 and the front cover 210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sides of the main body 100. [ (23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center cover 230 may be fix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an adhesive means such as an adhesive agent.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cover plate 200, . ≪ / RTI > The following is a method that can be utilized when the cover plate 200 is constructed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전방커버(210)는 후방으로 최대 접철되는 경우, 후방커버(220)와 접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 때, 인증수단(300)은 앞서 설명한 바에 의하면 회동고정홈(221)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것을 활용하여 인증수단(300)이 회동고정홈(2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 측으로부터 수축 및 연장 가능하게 부착되는 연장걸림부(320)를 더 형성한다. 이 연장걸림부(320)의 단부에는 걸림고리(321)가 위치하는데, 이 걸림고리(321)를 늘여 전방커버(210)의 단부 일 측이 걸림고리(321)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전방커버(210)가 후방커버(220)와 접하는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앞선 구성과 같이 옆으로 펼치는 형태 이외에도 마치 액자와 같은 형태로 활용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When the front cover 210 is folded back to the maximum extent, the front cover 210 can move to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rear cover 220. At this time,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can be coupled to the rotation fixing groove 221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In this state, when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fixing groove 221, An extension latch portion 320 is further formed which is extendably attached. A hooking ring 321 is located at an end of the extending hook 320. The hooking hook 321 is extended to fit the one end of the front cover 210 to the hooking ring 321, Can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rotated to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rear cover 220.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form of sideways spreading as in the previous configuration, it can be used as a frame.

도 7은 본 발명의 인식수단에 제1,2 그립부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are applied to the recogni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구성으로서, 인증수단(300)의 후면에는 상부를 향해 연장된 제1 그립부(361)와 하부를 향해 연장된 제2 그립부(36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부는 인증수단(300)을 제작할 때 함께 제조될 수도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인증수단(300)에 필요한 경우에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그 형태는 도면에서 보여지듯이 라운드지게 말린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단순 스트랩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 두 그립부는 고정된 형태를 갖기 보다는 일정 수준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고무나 금속판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As another structure, a first grip portion 361 exten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a second grip portion 362 extending toward the lower portion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The grip portion may be manufactured when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is manufactur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 portion is attached to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only when necessary. In addition, the shape may be rounded or curled, as shown in the drawing,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imple strap. However,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two grip portions ar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rubber or a metal plate which can change the shape of a certain level rather than having a fixed shape.

중앙커버(230)가 이격될 수 있도록 변경되면, 상기 중앙커버(230)를 상기 후방커버(220)로부터 후방으로 접철시켜 상기 메인바디(100)의 측부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전방커버(210)를 상기 중앙커버(230)로부터 후방으로 접철시켜 상기 후방커버(220)와 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형태는 도면에 나타난 형태와 같이 되는 것으로서, 이 때, 제1 그립부(361)를 수납공간에, 제2 그립부(362)를 슬라이드슬롯(213)에(물론 이 결합방식은 교차되어도 상관 없다.) 각각 삽입함으로서, 형상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의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enter cover 230 may be folded rearward from the rear cover 220 to separate the center cover 230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ront cover 210 may be folded The rear cover 220 may be folded rearward from the center cover 230 and moved to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rear cover 220. In this case, the first grip portion 361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the second grip portion 362 is placed in the slide slot 213 (although this type of engagement may be crossed, of course). Respectively, can serve as fixing means for fixing the shape.

도 8은 본 발명의 인식수단에 제1,2 그립부를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are applied to the recogni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나아가, 이러한 인증수단(300)을 활용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방커버(210)를 후방커버(220)와 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형태로 접하는 경우, 인증수단(300)을 통해 고정하려면 별도의 끼움용 홈이 더 필요하다. 이에 따라, 후방커버(220)에는 메인바디(100)가 부착된 이후 남아 돌출된 돌출부(222)의 일 측에 제2 그립부(362)가 끼움결합 될 수 있도록 함입된 제1 고정홈(223)이 더 형성된다. 이것의 대략적인 위치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돌출부(222)의 중앙부위가 될 수도 있겠지만, 필요에 따라 형성위치의 이동도 가능함은 물론이다.Further, as another method of utilizing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the front cover 210 can be moved to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rear cover 220 as shown in the figure. 300), there is a need for a separate fitting groove. The rear cover 220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groove 223 formed in the rear cover 220 so that the second grip portion 362 can be fitted to one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222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100 after the main body 100 is attached. Is formed. The approximate position of the protrusion 222 may be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trusion 222, as can be seen in the figure, but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formation position if necessary.

이에 대응되어 제1 그립부(361)가 끼움결합 될 수 있도록 함입된 제2 고정홈(214)은 전방커버(210)에 위치한 완충패드(211)의 표면에 형성된다. 이 때, 제2 고정홈(214)의 경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렇게 복수개가 형성된다면 제1 그립부(361)를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시킬 수 있어 전방커버(210)와 후방커버(220) 사이의 이격된 간격이나 이격된 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second fixing groove 21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shioning pad 211 located on the front cover 210 so that the first grip portion 361 can be engaged with the second cushioning pad.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second fixing grooves 214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f the plurality of the second fixing grooves 214 are formed, the first grip portion 361 can be selectively fitted and fixed so that the front cover 21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paced distance or the spaced angl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20.

도 9는 본 발명의 스마트기념앨범의 온라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configuration of the smart memorial album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내용을 통해 실존하는 물리적인 앨범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다만, 맨 처음 인증수단(300)에 대하여 설명할 때, 온라인 기념앨범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인증이미지가 포함되어있다고 하였는데, 이 인증이미지를 통해 온라인 기념앨범과 연동되는 구성을 살펴보도록 하겠다.I have looked at the composition of the physical album that exists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ntents. However, when describing the authentication means 300 for the first time, it is assumed that an authentication image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so that an online commemorative album can be used. However, .

먼저, 온라인 기념앨범은 기본적으로 인터넷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진이나 기타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온라인 기념앨범의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사진 및 연락처가 저장된 기념앨범데이터베이스(410)가 포함된다. 이 기념앨범데이터베이스(410)에는 촬영된 졸업사진과 각 개인별 연락처가 저장되어있는 일종의 온라인 서버를 의미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인증모듈(420)의 경우, 온라인을 이용하는 특성 상 누구나 접속하여 졸업사진을 확인할 수도 있다는 위험성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앞서 설명했던 인증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기념앨범데이터베이스(410)에 인적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사용자가 접속한 경우에만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정보가 부여된 인증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다. 나아가 인증과정의 경우 알려진 인증방법인 아이디로그인이나 휴대전화인증 등의 방법이 더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irst, an online commemorative album basically provides a user with a photograph or other data through an Internet web page or an application. As an arrangement of such an online commemorative album, a commemorative album database 410 in which a photograph and a contact of the user are stored is included. The commemorative album database 410 is a kind of online server in which photographed graduation photographs and personalized contacts are stored. Next, in the case of the authentication module 420, there is a risk that anyone can access the graduation picture by using the online feature. To reduce the risk, there is a method of authenticating the user through the authentication image will be. Since huma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mmemorative album database 410 basically, it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confirmed only when a user accesses it, and it can be solved by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to which unique information is given to each user have. Further, in the case of the authentication process,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known authentication method such as an ID login or a mobile phone authentication may be further used.

이렇게 인증작업이 완료되면, 앨범정보제공모듈(430)을 통해 사용자단말로 기념앨범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된 사진 및 연락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연락처갱신모듈(440)을 통해 졸업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있는 연락처를 갱신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모듈로부터 사용자가 신규연락처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이를 졸업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락처와 교체하여 갱신하는 것이다. 이것을 활용하면 앞서 언급한 휴대전화인증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is completed, the album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30 can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the photographs and contacts stored in the commemorative album database 410, further stored in the graduation database through the contact renewal module 440 You can also update your contacts.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new contact information from the user module, the new contact information is replaced with the contact stored in the graduation database. This can be used to authenticate users in the same way as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mentioned above.

더하여, 앨범정보제공모듈(430)에는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진판단부(431)는 졸업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진 중 사용자가 포함된 사진을 판단하여 포함사진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포함된 사진을 판단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기념앨범을 제작할 때, 각 사진마다 어떤 졸업생이 어디에 찍혀있는지를 저장해 두고 이를 기반으로 검색과정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겠으나, 다른 방법으로서 기념앨범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개인별 증명사진에 기반하여 이미지 유사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포함사진정보가 생성되면, 리스트제공부(432)는 이 포함사진정보에 포함된 사진을 리스트화하여 사용자단말로 제공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나온 사진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lbum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30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he photograph determination unit 431 determines the photograph including the user among the photographs stored in the graduation database and generates the inclusion photograph information. In this case, when a memorial album is produced, it is possible to store a photograph of a graduate who is photographed in each photograph and provide the result through a search process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Alternatively,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using a method of determining image similarity based on a personal identification photograph which is necessarily included. When the inclusion photograph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list provider 432 lists the photographs included in the inclusion photograph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list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photograph of himself / herself.

나아가, 기념앨범을 같이 졸업한 친구와 함께 확인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에 자신의 정보와 친구의 정보가 모두 표시된다면 가장 효과적인 표시방법이라 하겠다. 따라서, 먼저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위치한 것을 파악하기 위해, 위치정보확인부(421)에서 사용자가 인증이미지를 인식하는 시점에 사용자단말에 내장된 무선랜이나 GPS모듈 등의 위치정보 생성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위치정보를 통해 동일위치확인부(422)에서는 인증이미지가 인식된 시점에 동일한 위치정보를 갖는 다른 사용자를 추출하여 그룹을 형성하게 된다. 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는 모두 같은 위치에서 함께 기념앨범을 보려고 시도하는 사용자이기 때문이다.Furthermore, it may happen that a memorial album is checked with a graduated friend. In this case, it is the most effective display method if both the user's information and the friend's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herefore, in order to recognize that a plurality of users are located together, at the time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authentication image at the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421, As shown in FIG. The same location confirmation unit 422 extracts other users having the same loc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authentication image is recogniz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to form a group. This is because the users included in this group are all users who try to view the memorial album together in the same location.

이렇게 그룹이 형성되면, 앨범정보제공모듈(430)에서는, 사용자단말의 화면을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자신의 사진 및 연락처를 일 영역에, 그룹에 속한 다른 사용자의 사진 및 연락처를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분할제공부(43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단말의 화면을 분할시켜 일 영역에는 자신의 정보를, 나머지 영역에는 친구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여 자신의 사진과 친구의 사진을 함께 확인할 수 있어 일일이 자신과 친구의 사진을 찾아 헤메던 과거의 기념앨범 관람에 비해 보다 직관적이고 흥미로운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group is formed, the album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30 divides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nto two areas, and displays the photos and contacts of the user in one area and the photos and contacts of other users in the group in the remaining area And a dividing providing unit 433 for providing a dividing uni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o that one part displays his / her own information and the remaining part displays friend's information, so that his / her own photograph and friend's photograph can be confirmed together, It provides a more intuitive and interesting function than viewing a memorial album.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념앨범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mart memorial alb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메인바디 101: 인증수단결합홈
110: 받침단턱 120: 인증수단통과홈
130: 승강슬롯 131: 연장부재
132: 고정부재 200: 커버판
210: 전방커버 211: 완충패드
212: 인증수단삽입부 213: 슬라이드슬롯
214: 제2 고정홈 220: 후방커버
221: 회동고정홈 222: 돌출부
223: 제1 고정홈 230: 중앙커버
300: 인증수단 310: 지지판부
320: 연장걸림부 321: 걸림고리
361: 제1 그립부 362: 제2 그립부
410: 기념앨범데이터베이스 420: 인증모듈
421: 위치정보확인부 422: 동일위치확인부
430: 앨범정보제공모듈 431: 사진판단부
432: 리스트제공부 433: 분할제공부
440: 연락처갱신모듈
100: main body 101: authentication means coupling home
110: support step 120: authentication means passage groove
130: lift-up slot 131: extension member
132: fixing member 200: cover plate
210: front cover 211: cushion pad
212: authentication means insertion section 213: slide slot
214: second fixing groove 220: rear cover
221: rotation fixing groove 222:
223: first fixing groove 230: center cover
300: Authentication means 310: Support plate
320: extension extending portion 321:
361: first grip portion 362: second grip portion
410: Memorial album database 420: Authentication module
421: Position information verifying unit 422:
430: Album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31:
432: List providing unit 433:
440: Contact Update Module

Claims (14)

스마트 기념앨범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일 측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판;
상기 커버판의 일 측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온라인 기념앨범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인증수단이 포함된 인증카드;
사용자의 사진 및 연락처가 저장된 기념앨범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인식된 인증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모듈 및, 상기 기념앨범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진 및 연락처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앨범정보제공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신규연락처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기념앨범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락처를 갱신하는 연락처갱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For the Smart Memorial Album,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with a front surface opened;
A cover plate rotatably attach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 authentication car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ver plate and including authentication means capable of recogniz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so that an online commemorative album can be used;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a user through an authentication image recogniz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an album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photograph and a contact stored in the memorial album database to the user terminal, And a contact update module for receiving the new contac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updating the cont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ial album datab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은,
상기 메인바디의 일 측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방커버와,
상기 메인바디의 후면에 부착된 후방커버와,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전방커버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측부를 개폐하는 중앙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plate
A front cover rotatably attach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 rear cover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center cover extending between the rear cover and the front cover so as to be folded back and forth to open and close the side of the main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테두리 전면에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받침단턱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방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받침단턱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완충패드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3. The method of claim 2,
On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supporting step that is embedded in the inner side to a certain depth,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a cushioning pad having an area that can be fitted to the receiving step is further attach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후방커버의 후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함입 형성된 회동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수단의 양 측면 일 측에는,
상기 회동고정홈에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된 지지판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판부를 상기 회동고정홈에 결합시켜 전후로 일정 범위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ar cover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pivotal fixing groove formed so as to be transverse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authentication means,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late portion protru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fixing groove,
And the support plate portion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fixing groove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predetermined rang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인증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입되어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인증수단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The method of claim 3,
The cushioning pad may include:
Further comprising an authentication means inserting portion for inserting the authentication means so that the authentication means can be inserted therei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삽입공간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메인바디의 테두리 일 측까지 관통 연장된 슬라이드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의 테두리 중 상기 슬라이드슬롯과 맞닿은 면에는,
상기 슬라이드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된 상기 인증수단이 상기 수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된 인증수단통과홈이 더 구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ushioning pad may include:
Further comprising a slide slo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insertion space to one side of a rim of the main body,
Wherein a surface of the rim of the main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lide slot,
Further comprising an authentication means passage groove penetrated to allow the authentication means slid through the slide slot to move to the storage spa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통과홈은,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연장 및 수축이 가능한 한 쌍의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인증수단통과홈을 통과한 상기 인증수단의 일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승강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uthentication means through-
A pair of extension members capable of extending and contracting toward the storage space,
And a fixing member attached to an end of the extending member and fixing the one end of the authentication means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means passage groov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단턱에서 모서리부위에는,
내측으로 추가 함입되어 상기 인증수단이 끼움결합되는 인증수단결합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The method of claim 3,
At the edge of the pedestal,
Further comprising an authentication means coupling groove which is further inserted inside and wherein the authentication means is fitted to the smart mean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는,
후방으로 접철되어 상기 후방커버와 접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인증수단은,
상기 인증수단의 일 측에서 수축 및 연장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커버의 단부 일 측을 상기 걸림고리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연장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cover
And is movable to a position where it is folded rearwar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cover,
The authentication means,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engaging portion which is attached to the one end of the authentication means so as to be able to shrink and extend, and which has an engagement portion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inserts and fixes one end of the end portion of the front cover into the engagement portion. Smart memorial album.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의 후면에는,
상부를 향해 연장된 제1 그립부와,
하부를 향해 연장된 제2 그립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중앙커버를 상기 후방커버로부터 후방으로 접철시켜 상기 메인바디의 측부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전방커버를 상기 중앙커버로부터 후방으로 접철시켜 상기 후방커버와 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를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제2 그립부를 상기 슬라이드슬롯에 각각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 the rear surface of the authentication means,
A first grip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A second grip portion extending further downward is further formed,
The center cover is folded rearward from the rear cover so as to be spaced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front cover is folded rearward from the center cover to move to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rear cover, The smart memorial albu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grip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lide slot and fixed in the storage spa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의 후면에는,
상부를 향해 연장된 제1 그립부와,
하부를 향해 연장된 제2 그립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메인바디가 중앙부위에 부착된 상태에서 측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 측에 상기 제2 그립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함입된 제1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패드의 표면에는,
상기 제1 그립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함입된 제2 고정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전방커버를 상기 후방커버와 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증수단을 매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The method of claim 3,
On the rear surface of the authentication means,
A first grip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A second grip portion extending further downward is further formed,
The rear cov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side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is attached to a central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first fixing groove embedded in one side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second grip portion can be fitted into the protrusion,
On the surface of the buffer pad,
A second fix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engage with the first grip portion,
Wherein the front cover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front cover is in contact with the rear cover, thereby fixing the smart album through the authentication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정보제공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포함된 사진을 판단하여 포함사진정보를 생성하는 사진판단부와,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포함사진정보에 포함된 사진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lbum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includes:
A photograph judging unit for judging a photograph included in the user and generating inclusion photograph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 lis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a list of the pictures included in the included picture information.
삭제delet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인증이미지가 인식된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위치정보확인부와,
상기 인증이미지가 인식된 시점에 동일한 위치정보를 갖는 다른 사용자를 추출하여 그룹을 형성하는 동일위치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앨범정보제공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의 화면을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자신의 사진 및 연락처를 일 영역에, 상기 그룹에 속한 다른 사용자의 사진 및 연락처를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분할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념앨범.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authentication module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an authentication image is recognized through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same location confirmation unit for extracting another user having the same loc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authentication image is recognized and forming a group,
The album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includes:
Divid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nto two areas,
Further comprising a division providing section for presenting the photographs and contacts of the user in one area, and displaying the photographs and contacts of other users belonging to the group in the remaining areas.
KR1020170012097A 2017-01-25 2017-01-25 Smart yearbook KR1017367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097A KR101736708B1 (en) 2017-01-25 2017-01-25 Smart yearboo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097A KR101736708B1 (en) 2017-01-25 2017-01-25 Smart yearboo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708B1 true KR101736708B1 (en) 2017-05-17

Family

ID=5904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097A KR101736708B1 (en) 2017-01-25 2017-01-25 Smart yearboo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708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ckens Placing post-graffiti: the journey of the Peckham Rock
West Portraiture
JP6130082B1 (en) Device for supporting an object
Macdonald Photos in Wiradjuri biscuit tins: Negotiating relatedness and validating colonial histories
Bush " Intensity by association": TS Eliot's Passionate Allusions
JP2006330907A (en) Information accessory, information system and information reading program
KR101736708B1 (en) Smart yearbook
US9965661B2 (en) Sensory totem badge capable of transmitting individualized information
US20170330199A1 (en) Snap seal system
CN106878539A (en) Take the photograph making and the application method clapped with automatic identification twin-lens mobile phone
JP2021058564A (en) Controller device, mobil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tec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200357553Y1 (en) An album with picture frame
Stone The Knowable Unknown: Female Figures, Louis XIV, French Court Art, and Dutch Realism
Radovanović Between past and future ruins: Post-Ottoman Niš in the album of Knez Milan Obrenović
Valdés " The Love of Race": The Visual Imagery of Arturo Schomburg
Osborne Counter-Space in Charles Lahr's Progressive Bookshop
Fogle Virtual revisions and the vernacular image: the photographs of Elizabeth Howe Bliss
Oles et al. War and Loss
Santistevan That Which Bruises Me: The Affective Power of Wallet Photos and the Construction of Personal and Social Identity
Frost Sir John Gardner Wilkinson (1797–1875) in Turkish Dress, at Thebes: The Self-Fashioning of an Antiquarian Egyptologist
Bruś The Book, the Camera, and the Concept of Dust in Life Writing by Patti Smith
Phillips Seeing Subjects: Recognition, Identity, And Visual Cultures In Literary Modernism
JP3192861U (en) Fan with two-dimensional code or IC chip
Cieplak et al. Chapter 3: Images of Before: Personal Archives and the Kigali Genocide Memorial
Kamlish Claudet, Fenton and the photographic soci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