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012B1 - System, Method for Providing Merchandises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Method for Providing Merchandises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012B1
KR101735012B1 KR1020150027891A KR20150027891A KR101735012B1 KR 101735012 B1 KR101735012 B1 KR 101735012B1 KR 1020150027891 A KR1020150027891 A KR 1020150027891A KR 20150027891 A KR20150027891 A KR 20150027891A KR 101735012 B1 KR101735012 B1 KR 10173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information
display area
produc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8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5572A (en
Inventor
박보하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012B1/en
Publication of KR2016010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5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상품 정보 검색부 및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에서 검색된 상품 정보를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출력된 상기 상품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품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re disclosed.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product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roducts, a search unit for receiving a search wor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ed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unit 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outputting the product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in the output product information to the second display area And a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goods information.

Description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System, Method for Providing Merchandises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기기를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확인한 상품 정보를 따로 모아 고정된 별도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that collect product information selected or confirmed by a user who purchases goods or services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각종 유무선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뿐만 아니라 온라인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As the number of people using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creases, the number of consumers who buy goods and / or services in the offline store as well as consumers who use the online are increasing.

이러한 경향에 따라 온라인을 통해 상품 및/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판매 주체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판매 주체들은 마케팅과 홍보에 있어서도 온라인 통신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this tendency, there are increasing numbers of sellers who provide information about goods and / or services and sell goods and / or services online, and these sellers actively utilize online communication network in marketing and publicity .

한편, 단 하나의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비슷한 종류의 상품을 고려하게 되며, 위와 같은 온라인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상품의 개수는 무수히 많이 존재하므로 최종 구매에 이르기까지 다소 긴 시간이 필요하기도 하다.On the other hand, a user who purchases only one product considers a similar type of product, and since the number of products provided through the online communication network is numerous, a long time is required until the final purchase .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상품 구매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효율적인 상품 구매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Accordingly, it is important for the user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purchasing the product and to provide an efficient product purchase environment.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해 상품 정보 제공받는 사용자가 지정한 상품과 지정하지 않은 상품을 각각 구분된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정보 제공의 효과를 향상시키고 구매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which can improve the effect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a purchase process by displaying a product designated by a user who is provided with product information on- A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상품 정보 검색부 및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에서 검색된 상품 정보를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출력된 상기 상품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품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product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roducts, a search unit for receiving a search wor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ed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unit 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outputting the product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in the output product information to the second display area And a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goods information.

또한,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may not display the goods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in the first display area.

또한, 상기 상품 정보는 제1 상품 정보 및 제2 상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는 동일한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상품 정보보다 많은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first product information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me product, and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more information than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Type information.

또한,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는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에서 검색된 상품 정보 중 제1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 상품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제1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may display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ed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unit 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may select one of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area may include the second display are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수신하는 단말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어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1 검색 기록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terminal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a MAC address of a user terminal, a terminal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a MAC address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roduct information.

또한,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는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제1 검색 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The goods information outputting unit may display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and store the same goods information as the goods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Can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2 검색 기록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database for receiving and storing account information of a user, a database for storing the search word inputted by the user, 2 search history storage unit.

또한,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최근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최근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제2 검색 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may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earch word that the user has recently entered, and may include product information that is the same as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among pieces of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Can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상품 정보를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정보 지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정보 지정 신호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search word from a user terminal, searching for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displaying the goods information searched in the searching step 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oods information designating signal in the second display area.

또한, 상기 제2 표시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second display step, the product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may not b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또한, 상기 상품 정보는 제1 상품 정보 및 제2 상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는 동일한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상품 정보보다 많은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first product information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me product, and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more information than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Typ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1 표시 단계에서는 상기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상품 정보 중 제1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 상품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제1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the first display step,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step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may be displayed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irst goods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area may include the second display are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어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1 검색 기록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MAC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MAC address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first search record storing step of storing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1 표시 단계에서는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제1 검색 기록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display step,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is displayed, and the same goods information as the goods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earch record storing step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2 can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2 검색 기록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ccount information of a user; performing a second search for storing the search word input by the user and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And a record storing step.

또한, 상기 제1 표시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최근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최근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제2 검색 기록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display step,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recently input by the user is displayed, and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entered search word, the same goods information as the goods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ing step Can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can be provided.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해 상품 정보 제공받는 사용자가 지정한 상품과 지정하지 않은 상품을 각각 구분된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정보 제공의 효과를 향상시키고 구매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which can improve the effect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a purchase process by displaying a product designated by a user who is provided with product information on- ,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검색 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검색 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illustrate an area where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FIG. 4 to FIG. 6 illustrate exemplary good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mplary data stored in a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mplary data stored in a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dure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dure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dure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핵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presentation includes plural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상품 정보 검색부(110), 상품 정보 출력부(120) 및 상품 정보 저장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duct information searching unit 110, a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120, and a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온라인 통신을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복수의 상품 및/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i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goods and / or services to a consumer by utilizing online communication, and to sell the plurality of goods and / or services.

상품 정보 저장부(130)는 복수의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를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품은 상품과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의 명칭, 가격, 규격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상품 정보는 그 개수에 제한이 없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stores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a plurality of products. In this specification, a produc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both goods and services. The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name of the product, price, specification, etc., and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is defined as having no limitation on the number of products.

상품 정보 검색부(1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한다.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ing unit 110 receives the search word from the user terminal and searches for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데스크탑, 노트북, PDA, 휴대용 전화기(Cell Phone)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시각 및/또는 청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사운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includes all kinds of communication devices support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and may be, for example, a desktop, a notebook, a PDA, a cellular phone, or the like. The user terminal may also include means for providing visual and / or audio information to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and / or a sound devic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수단은,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input means for inputting letters, numbers, symbols, and the like, and the input means may include a keyboard, a mouse, a touch pad, and the like.

상기 검색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특정한 상품 및/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어는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110)에서 활용 가능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품 정보 검색부(110)는 상기 검색어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따라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The search term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may consist of letters, numbers, symbols, or combinations thereof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 particular product and / or service. The search term may include a keyword available in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unit 110.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unit 110 may extract a keyword included in the search term and store the product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xtracted keyword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erm among a plurality of produc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따라서,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상품 정보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와 매칭되며,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110)는 상기 검색어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와,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상품 정보 중 상기 추출된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와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찾아낼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is matched with at least one keyword, and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ing unit 110 searches th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for the keyword extracted from the search word,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can be found by searching the goods information matching with the same keyword as the extracted keyword.

상품 정보 출력부(120)는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110)에서 검색된 상품 정보를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표시된 상품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상품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120 displays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ed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unit 110 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displays the produc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in the second display area.

상품 정보 검색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검색어 또는 상기 검색어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정보 중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상품 정보를 상품 정보 출력부(120)에 제공한다.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ing unit 110 searches the plurality of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for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extracted by the user terminal or the keyword extracted from the search word, To the merchandise information output unit 120. FIG.

상품 정보 출력부(120)는 상품 정보 검색부(110)로부터 제공된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전체 표시 영역 중 일부 영역일 수 있으며, 특정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품 정보 출력부(120)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상품 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전체 표시 영역에 대한 표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120 displays the good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goods information searching unit 110 in the first display area. The first display area may be a part of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user terminal,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location. 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120 may include a function of controlling product information display in the first display region, and may perform a display control function for the entire display region of the user terminal.

그리고, 상품 정보 출력부(120)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품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구분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영역일 수 있다.Then, the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120 displays the goods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among the goods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in the second display area. The second display area is an area separated from the first display area, and may be an area included in the first display area.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품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지정한 상품을 별도을 표시 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다.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earch word input by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product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among the goods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is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 Accordingly, the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can confirm the item designated by the user in a separate display area.

여기서, 상품 정보를 지정하는 것은, 복수의 상품 정보 중 특정한 상품 정보를 현재 표시 영역과 다른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자 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예컨대, 특정 상품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상품 정보에 포함된 체크 박스(check box)를 클릭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Here, designating the product information means an operation for displaying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product information in a display area different from the current display area. For example, it may mean dragging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r clicking a check box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한편, 상기 상품 정보는 제1 상품 정보 및 제2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는 동일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상품 정보보다 많은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first product information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include information on the same product.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more information than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예컨대,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상품 정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필수적인 정보 위주로 간략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표시된 상품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 또는 동작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 또는 동작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해서 부가적인 정보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pieces of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may exist, and a plurality of pieces of product information may be briefly displayed with essential information for convenience of the user. At this time, in order to confirm more specific information, input or operation for selecting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may be required, and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oduct selected by the input or operation.

상기 제1 상품 정보가 하나의 이미지, 가격, 상품 명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상품 정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미지, 규격, 사용 방법, 주문 방법, 색상 등 상기 제1 상품 정보보다 더 많은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one image, a price, and a product name,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images, a specification, a usage method, an ordering method, And the like.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120)는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110)에서 검색된 상품 정보 중에서 제1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 상품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제1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120 displays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n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ed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unit 110 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n the first display area,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can be displayed.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여기서, 상기 제1 상품 정보를 선택하는 것은, 앞서 상품 정보를 지정하는 것과 구별되는 개념으로서, 상기 제1 상품 정보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영역, 상품 명칭을 나타내는 텍스트 영역 등을 클릭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selection of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s an operation distinguishing from designation of the product information, which is an operation of click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cluded in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a text area indicating the product name, or the like Can be understood.

따라서, 상품 정보 지정은 특정 상품 정보를 현재와 다른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동작, 상품 정보 선택은 현재 표시되는 상품 정보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동작을 이해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oduct information designation can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aiming at displaying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in a display area different from the current one, and an operation for selecting product information to confirm more specific information than the currently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관심을 갖고 있는 상품을 지정하거나, 그렇지 않은 상품을 지정하여 별도의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By utilizing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designate a commodity of interest or designate a commodity that is not interested, so that the commodity can be displayed in a separate area. Thus, have.

입력되는 검색어에 따라서 무수히 많은 상품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많은 수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에 상응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은, 간략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제2 상품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품 정보, 즉 복수의 제1 상품 정보 중 특정 상품 정보를 선택하여 제2 상품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거나 구매를 포기하기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large number of goods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putted search word, and corresponding time is required to confirm a large number of pieces of information. This process includes a process of confirming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in order to obtain more specific information by the user who has confirmed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the brief informatio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information and confirming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can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desired product is purchased or the purchase is abandoned.

많은 수의 상품 중 특정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잠재적 구매 의사가 있는 상품을 따로 기억하거나,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해 두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많은 수의 상품을 기억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거나 정확한 상품을 기억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품을 다시 확인하기 위해서는 현재 표시 화면을 벗어나는 과정이 수반되므로, 사용자의 구매 활동을 방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In order to purchase a particular item from a large number of items, the user uses a method of storing the item with potential purchase intention separately or storing it in a separate memory. Remembering a large number of items may cause an inefficient or accurate item to be stor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done. In order to check the goods stored in the separate memory,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involves the process of getting out of the current display screen and thus hindering the purchase activity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제1 상품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확인한 후, 관심을 갖고 있는 상품을 지정하여 별도의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관심이 없는 상품을 지정하여 별도의 영역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현재 표시 화면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상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a user confirms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and / or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designates a product of interest and displays it in a separate area,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enabling the merchandise information to be more efficiently confirm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current display screen.

즉,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제1 상품 정보 중 관심이 있는 상품을 지정하여 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설정한 사용자는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품 정보들을 위주로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품 정보 확인의 집중도를 향상시키고, 상품 구매에 수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who designates a commodity of interest among the first commodity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sets it to b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can determine whether to mainly purchase the commodity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roduct information confirmation and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purchase of the product.

한편,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품 정보가 다시 지정되면, 선택된 상품 정보는 다시 최초 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초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이 아닌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is designated again, the selected produc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gain in the initial display area. He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initial display area means an area that is not the second display area of the first display area.

도 2 및 도 3은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and Fig. 3 illustrate an area where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먼저, 도 2는 제1 표시 영역(DA1)을 나타내는데,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을 둘러싸는 영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표시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2 shows a first display area DA1, and an area surrounding the first display area DA1 represents an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erm input by the user terminal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그리고, 상기 전체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을 제외한 영역에는 검색창, 상품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메뉴, 광고 배너 등이 표시될 수 있다.A search window, a menu for displaying a product category, an advertisement banner,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in an area of the entire display area excluding the first display area DA1.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위치는 도 2에 도시되는 위치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 크기 또한 도 2와 다르게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DA1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2. The size of the first display area DA1 can also be variously set as shown in FIG.

도 3은 제2 표시 영역(DA2)을 나타내며, 도 3(a)는 제1 표시 영역을 종 방향으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제2 표시 영역(DA2)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3(b)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횡 방향으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제2 표시 영역(DA2)을 나타낸다.Fig. 3 shows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nd Fig. 3 (a) shows the second display area DA2 formed by dividing the first display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 (b) shows a second display area DA2 formed by dividing the first display area in the lateral direction.

도 3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균등하게 분할하는 영역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비율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50%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3, the second display area DA2 is an area dividing the first display area evenly, but the ratio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2 is limited to 50% of the first display area It is not.

예컨대, 관심있는 상품 정보를 지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비율을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50%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으며, 관심없는 상품 정보를 지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비율을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50%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item information of interest is designated, the ratio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2 can be set to be larger than 50% of the first display area. When the item information of interest is designated, The ratio of the display area DA2 may be set smaller than 50% of the first display area.

그리고, 도 3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별도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일정 부분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In FIG. 3, the second display area DA2 is included in the first display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be formed in a separate area that is not overlapped with the first display area. Alternatively,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be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with the first display area.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to FIG. 6 illustrate exemplary good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상품 정보 출력부(120)에 의해 표시되는 상품 정보를 나타낸다. 도 4는 상품 정보 검색부(110)에 입력된 검색어가 ‘남자 구두’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며, 상품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정보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는 제1 표시 영역(DA1)에 표시된다.Fig. 4 shows the goods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120. Fig. FIG. 4 exemplarily shows a case where the search word input to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unit 110 is' male verbal ', and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among a plurality of goods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is' 1 display area DA1.

도 4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상품 정보 표시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종류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FIG. 4 exemplarily shows a product information display screen displayed through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a user terminal, and the configuration of a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the type of user terminal may be changed.

한편,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을 제외한 나머지 표시 영역에는 검색어 입력을 위한 검색창, 상품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메뉴바, 표시된 상품 정렬을 위한 설정창 등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maining display areas except for the first display area DA1, a search window for inputting a search word, a menu bar for displaying a product category, a setting window for displaying the displayed goods,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품 정보는 제1 상품 정보 및 제2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되는 상품 정보는 제1 상품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품 정보는 해당 상품의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하며, 예컨대, 해당 상품의 이미지, 상품 명칭, 상품 가격 등의 필수적인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first product information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and the product information shown in FIG. 4 may be understood as first product information.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basic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may include only essential information such as an image of the product, a product name, a product price, and the like.

도 5는 도 4에 도시되는 상품 정보 중 첫 번째 상품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표시되는 제2 상품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FIG. 5 exemplarily shows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when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s selected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shown in FIG.

상기 제2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품 정보에 비하여 많은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상품 정보를 포함하여 상품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 배송 관련 정보, 할인 정보, 옵션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same product as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and may include many kinds of information as compared with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 detailed description of goods, delivery related information, discount information, option information, etc., including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도 6은 제1 표시 영역(DA1)에 표시된 제1 상품 정보 중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제1 상품 정보가 제2 표시 영역(DA2)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위치는 도 6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6 shows that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in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is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display area DA1 includes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nd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b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display area DA1. have. The position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2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6, and may be formed at another posi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e size may be set differently.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110)가 수신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표시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표시된 상품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지정된 상품 정보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지정되어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표시되는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더 이상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표시되는 상품 정보와 나머지 영역(DA1-DA2) 표시되는 상품 정보는 서로 다른 상품 정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receiv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ing unit 110 is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product information indicated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by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The product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no longer b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According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nd 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remaining areas DA1-DA2 are different product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을 둘러싸는 영역에는 별도의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된 것으로서, 검색어 입력을 위한 검색창, 상품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메뉴바 등이 표시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shown that no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area surrounding the first display area DA1, it is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 search window for inputting a search word, a menu It will be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a bar or the like may be displayed.

이때,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에 대한 핵심적인 정보를 간략하게 제공하는 제1 상품 정보일 수 있으며, 제2 상품 정보는 각각의 상품 정보가 선택되기 전에는 표시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product information may be first product information that provides brief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and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until each product information is selected.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정’과 ‘선택’은 서로 다른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품 정보 ‘지정’은 해당 상품 정보를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drag) 하거나, 각각의 상품 정보에 포함되는 체크 박스(check box)(미도시)를 체크하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품 정보 ‘선택’은 상기 제1 상품 정보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영역, 상품 명칭을 나타내는 텍스트 영역 등을 클릭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designation' and the 'selection' are performed by different operations, and the 'designation' of the product information is performed by dragging the product inform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And checking an included check box (not shown). The product information 'selection' can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of click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cluded in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a text area indicating the product name, and the lik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상품 정보 검색부(210), 상품 정보 출력부(220), 단말 정보 수신부(230), 제1 검색 기록 저장부(240) 및 상품 정보 저장부(250)를 포함한다.7,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includes a goods information searching unit 210, a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220, a termin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230, a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240, And an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상품 정보 검색부(210), 상품 정보 출력부(220) 및 상품 정보 저장부(250)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상품 정보 검색부(110), 상품 정보 출력부(120) 및 상품 정보 저장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goods information search unit 210, the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220 and the goods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store the goods information search unit 110, the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120, (130),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s will be omitted.

단말 정보 수신부(230)는 사용자 단말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수신한다. 맥(MAC)은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Media Access Control)을 의미하며, 맥 어드레스는 통신을 위해 랜카드 등에 부여된 일종의 주소를 의미한다.The termin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230 receives a MAC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The MAC refers to Media Access Control, and the MAC address refers to a kind of address given to a LAN card or the like for communication.

맥 어드레스는 랜카드와 모뎀, 스마트폰 등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모든 장비에 존재하는 고유 번호로 12자리의 16진수로 표시한다. 스마트폰에서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할 때는 위도 및 경도와 함께 맥 어드레스를 보낸다. 한편, 맥 어드레스는 사용자 단말에 부여되는 고유한 번호로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부품 자체를 교체하지 않는 한 바뀌지 않는다.The MAC address is a unique number that is present in all the devices used in the network such as LAN card, modem, and smart phone, and is displayed in 12 hexadecimal digits. When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martphone, it sends a MAC address along with latitude and longitude. On the other hand, the MAC address is a unique number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and does not change unless the corresponding component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replaced.

제1 검색 기록 저장부(24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어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한다. 제1 검색 기록 저장부(240)는 상기 단말 정보 수신부(230)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맥 어드레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220)로부터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제1 검색 기록 저장부(240)는 맥 어드레스로부터 사용자 단말을 특정할 수 있고, 특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The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240 stores the search 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The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240 receives the MAC addres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termin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230 and receives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220. Accordingly, the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240 can identify the user terminal from the MAC address, record the search word inputted from the specified user terminal, and the goods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한편, 제1 검색 기록 저장부(2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시간 순으로 기록하고,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240 records the search terms inpu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 chronological order, and records the specified article information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erm.

그리고,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220)는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제1 검색 기록 저장부(240)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The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220 displays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and stores the goods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240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The same produc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즉, 이전에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가 존재하고,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에서 상기 지정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동일한 상품 정보는 곧바로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re is product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received search word and the same product information as the specified product information exists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The product information can be immediately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검색 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mplary data stored in a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맥 어드레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어, 상기 검색어가 수신된 시간 및 지정 상품 정보가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된다. 도 8의 테이블은 설명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맥 어드레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2자리의 16진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정 상품 정보는 공란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지정 상품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지정 상품 정보는 각각의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아이디, 상품 정보 코드일 수 있으며, 상품 정보가 생성되면서 부여되는 어떠한 종류의 숫자, 문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고유한 구분자로 표시될 수 있다.8, the MAC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the search 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time when the search word is received, and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are stored in a table format. The table of FIG. 8 is merely an example for explanation, and the MAC address may be a 12-digit hexadecimal number as described above.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blank space, but does not mean that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may be a product information ID corresponding to each product information, a product information code, May be displayed as a unique identifier made up of any kind of numerals, letters, symbols, or a combination thereof, which is imparted while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도 8에서 ‘무선 마우스’는 ‘사무용품’에 포함되는 상품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무선 마우스’를 검색어로 입력하여 검색된 상품 정보는 ‘사무용품’을 검색어로 입력하여 검색된 상품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In FIG. 8, the 'wireless mouse' can be classified as a commodity included in 'office supplies', and the retrieved commodity information by inputting 'wireless mouse' as a search word can be included in the retrieved commodity information by inputting 'office supplies' .

그리고, ‘무선 마우스’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검색 기록 저장부(240)에 저장되고, 저장된 상품 정보는 상품 정보 출력부(220)에 제공된다.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mouse' is stored in the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240, and the stored produc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220.

그리고, ‘사무용품’이 검색어로 입력되면,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210)는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250)에서 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품 정보를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220)에 제공한다.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220)는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210)로부터 제공된 상품 정보와 상기 제1 검색 기록 저장부(240)로부터 제공된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중복되는 상품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office product' is input as a search word,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ing unit 210 searches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in th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and transmits the searched product information to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220, .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220 compares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unit 210 and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240 to display the duplicated product information in the second display area can do.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입력된 검색어를 시간 순서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 단말별로 기록하고, 각각의 검색어에 대응하는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과거에 이미 지정된 상품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의한 별도의 제어 없이 바로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미 확인한 상품 정보를 또 다시 확인하게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may record the inputted search words for each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time sequence, and stor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earch word. Then,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input search word, the goods information already designated in the past is immediately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without any additional control by the user terminal,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onfirm the goods information already confi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eliminating inconvenienc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상품 정보 검색부(310), 상품 정보 출력부(320), 계정 정보 수신부(330), 제2 검색 기록 저장부(340) 및 상품 정보 저장부(350)를 포함한다.9,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300 includes a goods information searching unit 310, a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320, an accou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330, a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340, And an information storage unit 350.

상품 정보 검색부(310), 상품 정보 출력부(320) 및 상품 정보 저장부(350)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상품 정보 검색부(110), 상품 정보 출력부(120) 및 상품 정보 저장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ing unit 310,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320 and th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350 are the same as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ing unit 110,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120, (130),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s will be omitted.

계정 정보 수신부(330)는 사용자의 계정(Account) 정보를 수신한다. 계정(Account)은 인터넷 서비스 공급업체나 PC통신 서비스 등에 가입했을 때 부여되는, 사용자 ID와 암호를 의미한다. 특히, 사용자 ID는 자신의 전자우편 주소의 일부분이 될 뿐 아니라, 서비스 공급 업체의 접속 전화번호 다이얼링을 하여 로그인(log in) 하는 데에도 사용된다.The accou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330 receives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user. Account refers to the user ID and password that are given when subscribing to an Internet service provider or PC communication service. In particular, the user ID is used not only to be part of his e-mail address, but also to log in by dialing the access phone number of the service provider.

따라서, 상기 계정 정보 수신부(330)가 수신하는 계정 정보에 의해 현재 어떠한 사용자가 검색을 요청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ccou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330 can determine which user is currently requesting the search according to the account information received.

제2 검색 기록 저장부(34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어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한다. 제2 검색 기록 저장부(340)는 상기 계정 정보 수신부(330)로부터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220)로부터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제2 검색 기록 저장부(340)는 계정 정보로부터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고, 특정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The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340 stores the search 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340 receives user account information from the accou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330 and receives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220. Accordingly,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340 can identify the user from the account information, record the search word input by the specified user, and the goods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한편, 제2 검색 기록 저장부(340)는 입력된 검색어를 시간 순으로 기록하고,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340 records the input search words in chronological order and records the specified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erm.

그리고,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320)는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제2 검색 기록 저장부(340)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The goods information output unit 320 displays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and stores the goods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340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The same produc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즉, 이전에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가 존재하고,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에서 상기 지정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동일한 상품 정보는 곧바로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re is product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received search word and the same product information as the specified product information exists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The product information can be immediately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검색 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mplary data stored in a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계정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어, 상기 검색어가 수신된 시간 및 지정 상품 정보가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된다. 도 10의 테이블에 기재된 계정 정보, 검색어, 검색 시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상기 지정 상품 정보는 공란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지정 상품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지정 상품 정보는 각각의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아이디, 상품 정보 코드일 수 있으며, 상품 정보가 생성되면서 부여되는 어떠한 종류의 숫자, 문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고유한 구분자로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user, the search 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time when the search word is received, and the designated goods information are stored in a table format. The account information, the search word, and the search time described in the table of Fig. 10 are merely exampl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blank space, but does not mean that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may be a product information ID corresponding to each product information, a product information code, May be displayed as a unique identifier made up of any kind of numerals, letters, symbols, or a combination thereof, which is imparted while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도 10에서 ‘무선 마우스’는 ‘사무용품’에 포함되는 상품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무선 마우스’를 검색어로 입력하여 검색된 상품 정보는 ‘사무용품’을 검색어로 입력하여 검색된 상품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In FIG. 10, 'wireless mouse' may be classified as a product included in 'office supplies', and 'wireless mouse' may be input as a search word, and the searched produc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searched product information by inputting 'office supplies' .

그리고, ‘무선 마우스’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는 상기 제2 검색 기록 저장부(340)에 저장되고, 저장된 상품 정보는 상품 정보 출력부(320)에 제공된다.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mouse' is stored in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340, and the stored produc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320.

그리고, ‘사무용품’이 검색어로 입력되면,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310)는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350)에서 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품 정보를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320)에 제공한다.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320)는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310)로부터 제공된 상품 정보와 상기 제2 검색 기록 저장부(340)로부터 제공된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중복되는 상품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office supplies' is input as a search word,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ing unit 310 searches th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350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and searches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320 for the searched product information. .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320 compares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unit 310 with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340 to display the duplicated product information in the second display area can do.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입력된 검색어를 시간 순서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별로 기록하고, 각각의 검색어에 대응하는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과거에 이미 지정된 상품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의한 별도의 제어 없이 바로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미 확인한 상품 정보를 또 다시 확인하게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3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may record the inputted search words for each user according to a time sequence, and stor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earch word. Then,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input search word, the goods information already designated in the past is immediately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without any additional control by the user terminal,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onfirm the goods information already confi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eliminating inconvenience.

따라서, 동일한 계정 정보를 소유한 사용자가 과거에 사용했던 사용자 단말과 다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과거의 검색 기록을 활용하여 이미 지정한 상품 정보를 별도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a user who owns the same account information inputs a search word through a user terminal different from a user terminal used in the past, the already specified produc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a separate area by utilizing the past search recor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dure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검색어 수신 단계(S110), 상품 정보 검색 단계(S120),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제1 표시 단계(S130), 상품 정보 지정 신호 수신 단계(S140) 및 지정된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제2 표시 단계(S150)를 포함한다.11, the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a query (S110), a step of retrieving a product information (S120), a first displaying step (S130) of outputting product information, A designated signal receiving step (S140), and a second displaying step (S150) of outputting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상기 검색어 수신 단계(S110)에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데스크탑, 노트북, PDA, 휴대용 전화기(Cell Phone)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시각 및/또는 청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사운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query receiving step (S110), a search wor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includes all kinds of communication devices support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and may be, for example, a desktop, a notebook, a PDA, a cellular phone, or the like. The user terminal may also include means for providing visual and / or audio information to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and / or a sound devic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수단은,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input means for inputting letters, numbers, symbols, and the like, and the input means may include a keyboard, a mouse, a touch pad, and the like.

상기 상품 정보 검색 단계(S120)에서는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특정한 상품 및/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어는 상기 상품 정보 검색 단계(S120)에서 활용 가능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품 정보 검색 단계(S120)에서는 상기 검색어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따라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In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step (S120),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is searched. The search term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may consist of letters, numbers, symbols, or combinations thereof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 particular product and / or service. The search term may include a keyword that can be utiliz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step (S120). In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step (S120), keywords included in the search term may be extracted, and the search term may be associated with the search term Can be searched for.

상품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와 매칭되며, 상기 상품 정보 검색 단계(S120)에서는 상기 검색어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찾아낼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is matched with at least one keyword. In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ing step (S120),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can be found by searching for the keyword extracted from the search word and the matching product information.

상기 제1 표시 단계(S130)에서는 상기 상품 정보 검색 단계(S120)에서 검색된 상품 정보를 제1 표시 영역에 출력한다.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전체 표시 영역 중 일부 영역일 수 있으며, 특정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표시 단계(S130)에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상품 정보 표시가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전체 표시 영역에 대한 표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first display step (S130), the goods information searched in the goods information searching step (S120) is outputted to the first display area. The first display area may be a part of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user terminal,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location. In addition, in the first display step (S130), 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 is controlled 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display control of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user terminal can be performed.

한편, 본 명세서에서 '표시'와 '출력'은 어떠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play' and 'output' mean to express some information visually and can be understoo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meaning.

상기 상품 정보 지정 신호 수신 단계(S14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정보 지정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상품 정보 지정 신호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품 정보 중 특정한 상품 정보를 지정하는 신호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 지정 신호는 예컨대, 특정 상품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동작, 또는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되는 체크 박스(check box)를 체크하는 동작 등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the product information designation signal reception step (S140), the product information design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product information design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as a signal designating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The product information design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for example, by an operation of dragging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r an operation of checking a check box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상기 제2 표시 단계(S150)에서는 상기 상품 정보 지정 신호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출력한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구분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영역일 수 있다.In the second display step (S150),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oods information designation signal is outputted to the second display area. The second display area is an area separated from the first display area, and may be an area included in the first display area.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는 제1 표시 단계(S130)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출력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품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는 제2 표시 단계(S150)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지정한 상품을 별도의 표시 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상품 정보를 지정하는 것은, 복수의 상품 정보 중 특정한 상품 정보를 현재 표시 영역과 다른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자 하는 동작을 의미한다.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input by the user terminal i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area in the first display step S130 and the goods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user terminal among the goods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is And is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area in the second display step (S150). Therefore, the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can confirm the product designated by the user in a separate display area, and designating the product information is performed by the user who wants to display the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product information in the display area different from the current display area .

한편, 상기 제2 표시 단계(S15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는 지정되기 전의 표시 영역에서 다른 표시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cond display step (S150), the product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may not b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That 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mmodity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moves from the display area before being designated to another display area.

그리고, 상기 상품 정보는 제1 상품 정보 및 제2 상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는 동일한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상품 정보보다 많은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first product information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me product, wherein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is more information than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Type information.

예컨대,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상품 정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필수적인 정보 위주로 간략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표시된 상품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 또는 동작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 또는 동작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해서 부가적인 정보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pieces of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may exist, and a plurality of pieces of product information may be briefly displayed with essential information for convenience of the user. At this time, in order to confirm more specific information, input or operation for selecting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may be required, and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oduct selected by the input or operation.

상기 제1 상품 정보가 하나의 이미지, 가격, 상품 명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상품 정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미지, 규격, 사용 방법, 주문 방법, 색상 등 상기 제1 상품 정보보다 더 많은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one image, a price, and a product name,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images, a specification, a usage method, an ordering method,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제1 표시 단계(S130)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출력되는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상품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출력된 상기 제1 상품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어떠한 제1 상품 정보가 선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제2 상품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in the first display area in the first display step (S130) may be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f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among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display area, the corresponding second product information may be output.

여기서, 상기 제1 상품 정보를 선택하는 것은, 앞서 상품 정보를 지정하는 것과 구별되는 개념으로서, 상기 제1 상품 정보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영역, 상품 명칭을 나타내는 텍스트 영역 등을 클릭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selection of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s an operation distinguishing from designation of the product information, which is an operation of click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cluded in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a text area indicating the product name, or the like Can be understood.

따라서, 상품 정보 지정은 특정 상품 정보를 현재와 다른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동작, 상품 정보 선택은 현재 표시되는 상품 정보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동작을 이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oduct information designation can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aiming at displaying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in a display area different from the current one, and an operation for selecting product information to confirm more specific information than the currently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dure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포함하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수신 단계(S220) 및 제1 검색 기록 저장 단계(S27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method of providing goods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method of providing goods inform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wherein a MAC address receiving step (S220) And a first search record storing step (S270).

검색어 수신 단계(S210), 상품 정보 검색 단계(S230),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제1 표시 단계(S240), 상품 정보 지정 신호 수신 단계(S250) 및 지정된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제2 표시 단계(S260)에서는 각각, 도 11에서의 검색어 수신 단계(S110), 상품 정보 검색 단계(S120), 제1 표시 단계(S130), 상품 정보 지정 신호 수신 단계(S140) 및 제2 표시 단계(S150)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이 수행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한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A first display step S240 of outputting product information, a product information designation signal reception step S250 and a second display step S260 of outputting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S110), a product information search step (S120), a first display step (S130), a product information designation signal receiving step (S140), and a second display step (S150) in FIG. 11 Since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substantially,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the redundant contents.

상기 맥 어드레스 수신 단계(S220)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맥 어드레스를 수신한다. 맥(MAC)은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Media Access Control)을 의미하며, 맥 어드레스는 통신을 위해 랜카드 등에 부여된 일종의 주소를 의미한다.The MAC address receiving step S220 receives the MAC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The MAC refers to Media Access Control, and the MAC address refers to a kind of address given to a LAN card or the like for communication.

맥 어드레스는 랜카드와 모뎀, 스마트폰 등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모든 장비에 존재하는 고유 번호로 12자리의 16진수로 표시한다. 스마트폰에서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할 때는 위도 및 경도와 함께 맥 어드레스를 보낸다. 한편, 맥 어드레스는 사용자 단말에 부여되는 고유한 번호로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부품 자체를 교체하지 않는 한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맥 어드레스를 수신하면, 현재 사용자 단말의 단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특정할 수 있다.The MAC address is a unique number that is present in all the devices used in the network such as LAN card, modem, and smart phone, and is displayed in 12 hexadecimal digits. When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martphone, it sends a MAC address along with latitude and longitude. On the other hand, the MAC address is a unique number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and does not change unless the corresponding component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replaced. Thus, upon receipt of the MAC address, it is possible to specify only one user terminal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상기 제1 검색 기록 저장 단계(S27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어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한다.In the first search record storing step (S270), the specified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search 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is stored.

상기 제1 검색 기록 저장 단계(S270)에서는 상기 맥 어드레스 수신 단계(S220)에서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맥 어드레스와, 상기 상품 정보 지정 신호 수신 단계(S250)에서 수신된 상품 정보 지정 신호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 단말에 따른 검색어 및 지정된 상품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In the first search record storing step (S270), the MAC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in the MAC address receiving step (S220) and the MAC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goods information specifying signal received in the goods information specifying signal receiving step (S250) The search word and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terminal can be recorded with reference to the product information.

한편, 상기 제1 검색 기록 저장 단계(S270)에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시간 순으로 기록하고,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irst search record storing step (S270), the search words inputted from the user terminal can be record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the specified article information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can be recorded together.

그리고, 상기 제1 표시 단계(S240)에서는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제1 검색 기록 저장 단계(S270)에서 저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In the first display step S240,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is displayed, and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goods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earch record storing step (S270) The same produc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서로 다른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중복되는 상품 정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상품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기존에 지정한 상품 정보는 곧바로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기존과 동일한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동일한 상품 정보를 다시 지정하는 불편함을 겪게 하지 않을 수 있다.
Even if different search words are inputted, there may exist duplicated product information. In the duplicated product information, the product information previously designated by the user is immediately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so that the user using the same user terminal as the existing one It may not be inconvenient to re-specify the same product informa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dure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포함하되, 계정 정보 수신 단계(S320) 및 제2 검색 기록 저장 단계(S370)를 더 포함한다.13, the method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method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account information (S320) And a record storage step (S370).

검색어 수신 단계(S310), 상품 정보 검색 단계(S330),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제1 표시 단계(S340), 상품 정보 지정 신호 수신 단계(S350) 및 지정된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제2 표시 단계(S360)에서는 각각, 도 11에서의 검색어 수신 단계(S110), 상품 정보 검색 단계(S120), 제1 표시 단계(S130), 상품 정보 지정 신호 수신 단계(S140) 및 제2 표시 단계(S150)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이 수행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한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A first display step S340 of outputting product information, a product information designation signal reception step S350 and a second display step S360 of outputting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S110), a product information search step (S120), a first display step (S130), a product information designation signal receiving step (S140), and a second display step (S150) in FIG. 11 Since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substantially,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the redundant contents.

상기 계정 정보 수신 단계(S320)에서는 사용자의 계정(Account) 정보를 수신한다. 계정(Account)은 인터넷 서비스 공급업체나 PC통신 서비스 등에 가입했을 때 부여되는, 사용자 ID와 암호를 의미한다. 특히, 사용자 ID는 자신의 전자우편 주소의 일부분이 될 뿐 아니라, 서비스 공급 업체의 접속 전화번호 다이얼링을 하여 로그인(log in) 하는 데에도 사용된다.The account information receiving step (S320) receives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user. Account refers to the user ID and password that are given when subscribing to an Internet service provider or PC communication service. In particular, the user ID is used not only to be part of his e-mail address, but also to log in by dialing the access phone number of the service provider.

따라서, 상기 계정 정보 수신 단계(S320)에서 수신되는 계정 정보에 의해 현재 어떠한 사용자가 검색을 요청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user is currently requesting the search according to the account information received in the account information receiving step (S320).

상기 제2 검색 기록 저장 단계(S37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어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한다.In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ing step (S370), the specified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search 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is stored.

상기 제2 검색 기록 저장 단계(S370)에서는 상기 계정 정보 수신 단계(S320)에서 수신된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와, 상기 상품 정보 지정 신호 수신 단계(S350)에서 수신된 상품 정보 지정 신호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 단말에 따른 검색어 및 지정된 상품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In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ing step S370, the user account information received in the account information receiving step S320 and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oods information specifying signal received in the goods information specifying signal receiving step S350 The search term and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terminal can be recorded.

한편, 상기 제2 검색 기록 저장 단계(S370)에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시간 순으로 기록하고,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ing step (S370), the search words inputted from the user terminal may be record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the specified article information of the artic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erm may be recorded together.

그리고, 상기 제1 표시 단계(S340)에서는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제2 검색 기록 저장 단계(S370)에서 저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In the first display step (S340),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is displayed, and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the goods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ing step (S370) The same produc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서로 다른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중복되는 상품 정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상품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기존에 지정한 상품 정보는 곧바로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동일한 상품 정보를 다시 지정하는 불편함을 겪게 하지 않을 수 있다.
Even when different search words are inputted, duplicate product information may exist, and product information previously designated by the user among the duplicated product information may be immediately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re- You may not want to suffer.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Unless there is explicitly stated or contrary to the description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eps may be carried out in any suitable ord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abov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language (e.g., etc.) in this inven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in detail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alterations may be made depending on design criteria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range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laims Category.

100, 200, 300: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110, 210, 310: 상품 정보 검색부
120, 220, 320: 상품 정보 출력부
130, 250, 350: 상품 정보 저장부
230: 단말 정보 수신부 240: 제1 검색 기록 저장부
330: 계정 정보 수신부 340: 제2 검색 기록 저장부
100, 200, 300: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210, and 310:
120, 220, 320: product information output section
130, 250, 350: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230: terminal information receiver 240: first search recorder
330: Accou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340: Second search record storing unit

Claims (19)

복수의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상품 정보 검색부; 및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에서 검색된 상품 정보를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상품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구분되는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검색된 상품 정보 중 상기 지정된 상품 정보와 지정되지 않은 상품 정보를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하는 상품 정보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지 않되,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A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product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roducts;
A product information searching unit which receives a search word from a user terminal and searches for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among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And
Displaying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unit in a first display area and displaying product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in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in a second display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display area, A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and the non-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product information in different areas;
Lt; / RTI >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does not display the goods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in the first display area,
Where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제1 상품 정보 및 제2 상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는 동일한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품 정보는 하나의 이미지, 가격, 상품 명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상품 정보 및 복수의 이미지, 규격, 색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first product information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me product,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one image, a price, and a product name, and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and the plurality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at includes information on images, specifications, and colo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는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에서 검색된 상품 정보 중 제1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 상품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제1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displays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unit 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displays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among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수신하는 단말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어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1 검색 기록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erminal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a MAC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And
A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arch 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designated article information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Further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는 최근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제1 검색 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displays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recently entered search word and stores product information identical to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earch record storage unit of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And the lik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수신하는 계정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2 검색 기록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ccount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account information of a user; And
A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arch word inputted by the user and the designated goods information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최근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최근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제2 검색 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displays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earch word recently input by the user, wherein the product informa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age unit, 2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상품 정보를 제1 표시 영역에 출력하는 제1 표시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정보 지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정보 지정 신호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구분되는 제2 표시 영역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검색된 상품 정보 중 상기 지정 신호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와 나머지 상품 정보를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지 않되,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
Receiving a search term from a user terminal;
Retrieving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A first display step of outputting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step to a first display area;
Receiving a product information designation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ion signal and the remaining product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different areas among the retrieved product information by outputting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designation signal to the second display area separated from the first display area A second display step of displaying an image;
Lt; / RTI >
In the second display step, the merchandise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is not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Wherein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제1 상품 정보 및 제2 상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는 동일한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품 정보는 하나의 이미지, 가격, 상품 명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상품 정보 및 복수의 이미지, 규격, 색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first product information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me product,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one image, a price, and a product name, and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and the plurality of A method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hat includes information about an image, a specification, and a col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단계에서는 상기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상품 정보 중 제1 상품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 상품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제1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first display step,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step i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outputting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among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어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1 검색 기록 저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Receiving a MAC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And
A first search record storing step of storing the specified goods information among the search 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단계에서는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최근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제1 검색 기록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출력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outputting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in the first display step, wherein product informa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earch record storing step, among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received search word, And outputting the product information to the area.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지정된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2 검색 기록 저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Receiving account information of a user; And
A second search record storing step of storing the search word inputted by the user and the designated article information among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최근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최근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 중 상기 제2 검색 기록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출력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outputting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ntly entered search word in the first display step, wherein the product informa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earch record storing step, And outputting the product information to the second display area.
제10항, 제12항, 제13항 또는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12, 13 and 15 to 17.
KR1020150027891A 2015-02-27 2015-02-27 System, Method for Providing Merchandises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of KR101735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91A KR101735012B1 (en) 2015-02-27 2015-02-27 System, Method for Providing Merchandises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91A KR101735012B1 (en) 2015-02-27 2015-02-27 System, Method for Providing Merchandises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572A KR20160105572A (en) 2016-09-07
KR101735012B1 true KR101735012B1 (en) 2017-05-15

Family

ID=5694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891A KR101735012B1 (en) 2015-02-27 2015-02-27 System, Method for Providing Merchandises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0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057B1 (en) * 2021-06-07 2022-06-23 쿠팡 주식회사 Operat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store inform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support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572A (en)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99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mporaneous product information with animated virtual representations
US20180174212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electronic endcap items
JP2008243008A (en) Sales promotion support method and sales promotion support program
JP5241903B2 (en) Review text output system, review text output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67548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US201402145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submission continuation
US20180247363A1 (en) Feature-based product recommendations
US201001532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and grocery multi-media content to consumers using widgets
WO2018092333A1 (en) Purchase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purchase information utilization method, and program
WO2020142837A1 (en) Smart basket for online shopping
JP6037540B1 (en) Search system, search method and program
KR1011454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hopping mall service
KR101966009B1 (en) System providing reselling platform by curation contents marketing
KR101695570B1 (en) Method of creating online shopping cart automatically by extracting keywords
KR1019792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JP65435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search results based on a user's shopping history, a retailer's identity and items promoted by the retailer
WO20180612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22064756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14730435A (en) Management server and product search method
KR20160020654A (en) Goods Recommending System, Method and Readable Recoding Medium Using Purchasing Information
US108784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serving future purchases of goods and providing a vendor plugin
KR101735012B1 (en) System, Method for Providing Merchandises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of
US20110246301A1 (en) Methods to access product placement data
JP6207121B2 (en) Sale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ales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KR101741823B1 (en) System, Method for Providing Interface for Regular Purchas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