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285B1 -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285B1
KR101734285B1 KR1020100127884A KR20100127884A KR101734285B1 KR 101734285 B1 KR101734285 B1 KR 101734285B1 KR 1020100127884 A KR1020100127884 A KR 1020100127884A KR 20100127884 A KR20100127884 A KR 20100127884A KR 101734285 B1 KR101734285 B1 KR 101734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mensional image
format
glasses
anagly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511A (ko
Inventor
지석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285B1/ko
Priority to EP11849161.2A priority patent/EP2630732A4/en
Priority to CN2011800592028A priority patent/CN103262429A/zh
Priority to PCT/KR2011/005391 priority patent/WO2012081787A1/en
Priority to US13/191,714 priority patent/US9106893B2/en
Publication of KR20120066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 H04N2013/0096Synchronisation or controlling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근거로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전송 및/또는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3차원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VIDEO PROCESSING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였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근거로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전송 및/또는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3차원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프레임 순차표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들을 애너글리프 포맷(anaglyph format)으로 변환하고, 상기 애너글리프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이 상기 3차원 영상으로 변환되었을 때 상기 3차원 영상을 전송할지를 문의하는 창을 발생하고, 상기 발생한 창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3차원 영상을,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를 통해 3차원 영상 텔레비전에 전송하거나, 유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이 상기 3차원 영상으로 변환되었을 때 상기 3차원 영상을 서버에 전송할지를 문의하는 창을 발생하고, 상기 발생한 창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3차원(3D) 영상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발생하고,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에 표시된 특정 3차원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을 상기 선택된 특정 3차원 안경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에 표시된 편광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액티브 셔터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또는 프레임 순차표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에 표시된 애너글리프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을 애너글리프 포맷으로 변환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애너글리프 포맷은 레드/블루 애너글리프 포맷 또는 그레이 애너글리프 포맷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에 표시된 육안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을 2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여 2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2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는 편광 안경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편광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편광 안경의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편광 안경 선택 항목과; 액티브 셔터 안경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액티브 셔터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액티브 셔터 안경의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액티브 셔터 안경 선택 항목과; 애너글리프 안경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애너글리프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애너글리프 안경의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애너글리프안경 선택 항목과; 육안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육안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육안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육안 선택 항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근거로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3D TV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3D TV를 통해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근거로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3차원 영상 표시 기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3차원 안경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빠르게 3차원 안경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표시된 창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표시된 창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된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근거로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전송 및/또는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도1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이동 전화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미리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및/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이동 단말기가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차량의 위치 확인 가능)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로서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하이브리드 위치추적 시스템(Hybrid Positioning System)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방향을 검출하는 지자계 센서 및/또는 중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상기 지자계 센서(전자 나침반)를 통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구현을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방향(예를 들면, 동서남북)을 검출한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상기 중력 센서(G 센서)를 통해 중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지를 탐지하고,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세로로 길게 들고 있을 때는 세로로 된 화면을 보여주고, 가로로 들고 있을 때는 화면을 자동으로 90도 회전시켜 넓은 화면을 보여준다. 또한,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할 때,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상기 중력 센서(G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들고 있는 방향에 따라 화면을 회전시켜 사용자가 편하게 영상을 시청하도록 한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형태에 따라 2개 이상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표시부)(151)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근접 터치(proximity-touch)는, 포인터(pointer)가 화면에 실제로 터치는 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가속도 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2)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142)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142)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람부(153)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그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차량에서 사용자와의 접촉이 빈번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휠, 변속 기어 레버, 좌석 시트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 한다)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구성 요소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모듈(182)은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300)은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영상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3D(three-dimensional)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3차원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를 통해 3차원 영상 텔레비전에 출력하는 통신부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3D TV)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에 상기 3차원 영상을 표시하거나 2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 및/또는 상기 2차원 영상을 실시간 상기 저장부(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프레임 순차표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애너글리프 포맷(anaglyph format)으로 변환하고, 그 애너글리프 포맷으로 변환된 3차원 영상을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3D TV)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애너글리프 포맷은 레드/블루(red/blue) 애너글리프 포맷 또는 그레이 애너글리프 포맷(common gray anaglyph format)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 또는 상기 2차원 영상을 엔코딩(encoding)하고, 그 엔코딩된 영상을 출력하는 코딩부(coding unit)(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3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 CPU)(212)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13)와, 각종 키 신호를 제어하는 키 제어부(211)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214)를 내장한 메인 보드(210)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213)는 길 안내 정보를 디지털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정보(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13)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인 보드(210)는 고유의 기기번호가 부여되어 차량에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206), 차량의 위치 안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추적 등을 위한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수집된 교통정보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로 송신하는 GPS 모듈(207), CD(compact disk)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CD 데크(CD Deck)(208), 자이로 센서(gyro sensor)(20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CDMA 모듈(206), GPS 모듈(207)은 안테나(204, 205)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수신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222)은 상기 메인 보드(210)에 연결되고, 안테나(223)를 통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메인보드(210)에는 인터페이스 보드(203)를 통해서 상기 LCD 제어부(214)의 제어를 받는 표시부(LCD)(201)와,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는 프론트 보드(202)와 차량의 내부 및/또는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227)가 연결된다. 상기 표시부(201)는, 각종 비디오 신호, 문자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각종 키 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메인 보드(2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01)는 도2의 근접 센서 및 터치 센서(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교통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메뉴 키를 구비하며, 상기 메뉴 키는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메인 보드(210)와 연결되고,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오디오 보드(217)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219),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218),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1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6), 각종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220)와, 오디오 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한 테이프 데크(221)로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오디오 보드(217)에서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예를 들면, 앰프)(226)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앰프)(226)는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오디오 보드(217)와 메인 보드(210)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핸즈프리(225a), 탑승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225b),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센서(225c)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속도 센서(225c)는 차량 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차량 속도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2)에 제공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300)은, 지도 데이터 및 차량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표시부(201)는 근접 센서를 통해 표시창 내에서 근접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201)는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팬(stylus pen))가 근접 터치될 때 그 근접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212)에 출력한다.
음성 인식 장치(또는 음성 인식 모듈)(301)는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300)은, 지도 데이터 상에 현재 위치 및 주행 경로를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영상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3D(three-dimensional)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3차원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를 통해 3차원 영상 텔레비전에 출력하는 통신부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3D TV)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에 상기 3차원 영상을 표시하거나 2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 및/또는 상기 2차원 영상을 실시간 상기 저장부(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프레임 순차표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애너글리프 포맷(anaglyph format)으로 변환하고, 그 애너글리프 포맷으로 변환된 3차원 영상을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3D TV)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애너글리프 포맷은 레드/블루(red/blue) 애너글리프 포맷 또는 그레이 애너글리프 포맷(common gray anaglyph format)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 또는 상기 2차원 영상을 엔코딩(encoding)하고, 그 엔코딩된 영상을 출력하는 코딩부(coding unit)(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3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 내비게이션 장치와 같은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3D 및/또는 2D 영상을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텔레비전(3D TV)과 같은 영상 기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400)는,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예를 들면, stereoscopic camera)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는 카메라 모듈(401)과; 상기 카메라 모듈(401)에 수신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3D(three-dimensional)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어부(402)와; 상기 3차원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를 통해 3차원 영상 텔레비전(500)에 출력하는 통신부(40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 자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통신부(405)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3D TV)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표시부(403)에 상기 3차원 영상을 표시하거나 2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3차원 영상 및/또는 상기 2차원 영상을 실시간 상기 저장부(404)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프레임 순차표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애너글리프 포맷(anaglyph format)으로 변환하고, 그 애너글리프 포맷으로 변환된 3차원 영상을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3D TV)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애너글리프 포맷은 레드/블루(red/blue) 애너글리프 포맷 또는 그레이 애너글리프 포맷(common gray anaglyph format)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3차원 영상 또는 상기 2차원 영상을 엔코딩(encoding)하고, 그 엔코딩된 영상을 출력하는 코딩부(coding unit)(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을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카메라 모듈(401)은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들을 상기 제어부(402)에 출력한다(S11).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모듈(401)은 이동 단말기에 나란히 설치된 제1 카메라(좌측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우측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된 영상들(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들을 상기 제어부(402)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카메라 모듈(401)에 수신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한다(S12).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2)는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으로 변환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프레임 순차표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코딩부를 통해 상기 3차원 영상을 엔코딩하고, 그 엔코딩된 결과를 상기 통신부(405)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이 상기 3차원 영상으로 변환되었을 때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에 전송할지를 문의하는 창(예를 들면, 팝업 창)을 발생하고, 그 발생한 창을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한다(S13).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카메라 모듈(401)에 수신된 영상들(예를 들면,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예를 들면, 좌측 영상, 2D 영상)를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하거나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표시된 창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3차원 영상(5-1)을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에 전송할지를 문의하는 창(예를 들면, 팝업 창)(5-2)을 발생하고, 그 발생한 창(5-2)을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카메라 모듈(401)에 수신된 영상들(예를 들면,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예를 들면, 좌측 영상, 2D 영상)를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하거나 상기 3차원 영상(5-1)을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표시된 창(예를 들면, 팝업 창)에 응답하여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에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때(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창에 표시된 "Yes"가 선택될 때)(S14),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통신부(405)에 출력한다.
상기 통신부(405)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500)에 전송한다(S15).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405)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를 통해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5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405)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3D TV)에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3D TV)의 패널 타입에 따라 편광 안경(Polarized glasses) 또는 액티브 셔터 안경(Active Shutter glasses)을 선택하여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2)가 애너글리프 포맷(common gray anaglyph format)으로 변환된 영상을 상기 3차원 영상 텔레비전(3D TV)에 전송했을 때, 사용자는 애너글리프 안경(Anaglyph glasses)을 통해 상기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근거로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3D TV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3D TV를 통해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 내비게이션 장치와 같은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3D 및/또는 2D 영상을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텔레비전(3D TV)과 같은 영상 기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는 카메라 모듈(401)과; 상기 카메라 모듈(401)에 수신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어부(402)와; 상기 3차원 영상을 유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600)에 출력하는 통신부(40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 자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통신부(405)는 유선/무선 통신망(예를 들면, 인터넷 통신망, 와이파이(WiFi) 통신망, 와이브로(WiBro) 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망 등)을 통해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서버(6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표시부(403)에 상기 3차원 영상을 표시하거나 2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3차원 영상 및/또는 상기 2차원 영상을 실시간 상기 저장부(404)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프레임 순차표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애너글리프 포맷(anaglyph format)으로 변환하고, 그 애너글리프 포맷으로 변환된 3차원 영상을 상기 서버(60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애너글리프 포맷은 레드/블루(red/blue) 애너글리프 포맷 또는 그레이 애너글리프 포맷(common gray anaglyph format)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3차원 영상 또는 상기 2차원 영상을 엔코딩(encoding)하고, 그 엔코딩된 영상을 출력하는 코딩부(coding unit)(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을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카메라 모듈(401)은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들을 상기 제어부(402)에 출력한다(S21).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모듈(401)은 이동 단말기에 나란히 설치된 제1 카메라(좌측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우측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된 영상들(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들을 상기 제어부(402)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카메라 모듈(401)에 수신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한다(S22).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2)는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으로 변환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프레임 순차표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코딩부를 통해 상기 3차원 영상을 엔코딩하고, 그 엔코딩된 결과를 상기 통신부(405)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이 상기 3차원 영상으로 변환되었을 때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서버(600)에 전송할지를 문의하는 창(예를 들면, 팝업 창)을 발생하고, 그 발생한 창을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한다(S23).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카메라 모듈(401)에 수신된 영상들(예를 들면,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예를 들면, 좌측 영상, 2D 영상)를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하거나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표시된 창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3차원 영상(8-1)을 상기 서버(600)에 전송할지를 문의하는 창(예를 들면, 팝업 창)(8-2)을 발생하고, 그 발생한 창(8-2)을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카메라 모듈(401)에 수신된 영상들(예를 들면,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예를 들면, 좌측 영상, 2D 영상)를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하거나 상기 3차원 영상(5-1)을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표시된 창(예를 들면, 팝업 창)에 응답하여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서버(600)에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때(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창에 표시된 "Yes"가 선택될 때)(S24), 상기 통신부(405)를 통해 상기 서버(600)에 연결한다(S25).
상기 통신부(405)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상기 서버(600)에 전송한다(S26).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405)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인터넷 통신망, 와이파이(WiFi) 통신망, 와이브로(WiBro) 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6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서버(600)로부터 3차원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리링(Streaming) 데이터를 다운로딩하고, 그 다운로딩한 3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403) 또는 상기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예를 들면, 3D TV)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근거로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3차원 영상 표시 기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도9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 내비게이션 장치와 같은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3D 및/또는 2D 영상을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텔레비전(3D TV)과 같은 영상 기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400)는,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는 카메라 모듈(401)과; 3차원(3D) 영상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발생하고,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에 표시된 특정 3차원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401)에 수신된 영상들(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선택된 3차원 안경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어부(402)와;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 또는 상기 3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40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 자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402)는 표시부(403)에 상기 3차원 영상을 표시하거나 2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3차원 영상 및/또는 상기 2차원 영상을 실시간 상기 저장부(404)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편광 안경(Polarized glasses)을 나타내는 아이콘, 액티브 셔터 안경(Active Shutter glasses)을 나타내는 아이콘, 애너글리프 안경(Anaglyph glasses)을 나타내는 아이콘, 육안(Naked eye)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편광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액티브 셔터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상기 촬영된 영상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또는 프레임 순차표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402)는 애너글리프 안경(Anaglyph glasses)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상기 촬영된 영상을 애너글리프 포맷(anaglyph format)으로 변환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그 애너글리프 포맷으로 변환된 3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405)에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애너글리프 안경을 통해 상기 애너글리프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다. 상기 애너글리프 포맷은 레드/블루(red/blue) 애너글리프 포맷 또는 그레이 애너글리프 포맷(common gray anaglyph format)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육안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상기 촬영된 영상을 2차원 영상으로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2)는 육안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상기 좌측 카메라 또는 상기 우측 카메라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해 촬영된 영상만을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을 도9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카메라 모듈(401)은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들을 상기 제어부(402)에 출력한다(S31).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모듈(401)은 이동 단말기에 나란히 설치된 제1 카메라(좌측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우측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된 영상들(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들을 상기 제어부(402)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402)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3차원(3D) 영상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발생하고, 그 발생한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한다(S32).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된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는, 편광 안경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11-2A)과, 편광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11-2B)과, 편광 안경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11-2C)를 포함하는 편광 안경 선택 항목(11-2)과; 액티브 셔터 안경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액티브 셔터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액티브 셔터 안경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액티브 셔터 안경 선택 항목(11-3)과; 애너글리프 안경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애너글리프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애너글리프 안경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애너글리프안경 선택 항목(11-4)과; 육안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육안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육안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육안 선택 항목(11-5)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된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에서 특정 3D 안경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3).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된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에서 특정 3D 안경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401)에 수신된 영상들(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선택된 특정 3차원 안경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한다(S34).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편광 안경 선택 항목(11-2) 또는 상기 액티브 셔터 안경 선택 항목(11-3)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예를 들면, 상기 편광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액티브 셔터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촬영된 영상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또는 프레임 순차표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표시부(403)의 패널 타입이 상기 편광 안경을 통해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일 때 자동으로 상기 편광 안경 선택 항목(11-2)을 선택하고, 상기 표시부(403)의 패널 타입이 상기 액티브 셔터 안경을 통해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일 때 자동으로 상기 액티브 셔터 안경 선택 항목(11-3)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애너글리프 안경 선택 항목(11-4)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예를 들면, 상기 애너글리프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촬영된 영상을 애너글리프 포맷으로 변환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선택된 특정 3차원 안경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3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한다(S35).
반면,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육안 선택 항목(11-5)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예를 들면, 상기 육안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촬영된 영상들(예를 들면, 좌측영상 및 우측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예를 들면, 좌측영상)을 상기 표시부(403)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육안 선택 항목(11-5)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예를 들면, 상기 육안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촬영된 영상들(예를 들면, 좌측영상 및 우측 영상)을 2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고(S36), 그 변환된 2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한다(S37).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3차원 안경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빠르게 3차원 안경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근거로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3D TV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3D TV를 통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근거로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3차원 영상 표시 기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3차원 안경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빠르게 3차원 안경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01: 카메라 모듈 402: 제어부
403: 표시부 404: 저장부
405: 통신부

Claims (28)

  1.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3차원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3차원(3D) 영상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발생하고,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프레임 순차표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들을 애너글리프 포맷(anaglyph format)으로 변환하고, 상기 애너글리프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이 상기 3차원 영상으로 변환되었을 때 상기 3차원 영상을 전송할지를 문의하는 창을 발생하고, 상기 발생한 창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3차원 영상을,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를 통해 3차원 영상 텔레비전에 전송하거나, 유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이 상기 3차원 영상으로 변환되었을 때 상기 3차원 영상을 서버에 전송할지를 문의하는 창을 발생하고, 상기 발생한 창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에 표시된 특정 3차원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을 상기 선택된 특정 3차원 안경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에 표시된 편광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액티브 셔터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또는 프레임 순차표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에 표시된 애너글리프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을 애너글리프 포맷으로 변환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3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애너글리프 포맷은,
    레드/블루 애너글리프 포맷 또는 그레이 애너글리프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에 표시된 육안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에 수신된 영상들을 2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여 2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2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는,
    편광 안경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편광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편광 안경의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편광 안경 선택 항목과;
    액티브 셔터 안경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액티브 셔터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액티브 셔터 안경의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액티브 셔터 안경 선택 항목과;
    애너글리프 안경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애너글리프 안경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애너글리프 안경의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애너글리프안경 선택 항목과;
    육안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육안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육안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육안 선택 항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15.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3차원 영상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영상 포맷 설정 메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영상들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00127884A 2010-12-14 2010-12-14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3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884A KR101734285B1 (ko) 2010-12-14 2010-12-14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EP11849161.2A EP2630732A4 (en) 2010-12-14 2011-07-21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OF MOBILE TERMINAL AND ASSOCIATED METHOD
CN2011800592028A CN103262429A (zh) 2010-12-14 2011-07-21 移动终端的图像处理设备及其方法
PCT/KR2011/005391 WO2012081787A1 (en) 2010-12-14 2011-07-21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13/191,714 US9106893B2 (en) 2010-12-14 2011-07-27 3D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using connection status and glasses type selection icon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884A KR101734285B1 (ko) 2010-12-14 2010-12-14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511A KR20120066511A (ko) 2012-06-22
KR101734285B1 true KR101734285B1 (ko) 2017-05-11

Family

ID=4619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884A KR101734285B1 (ko) 2010-12-14 2010-12-14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06893B2 (ko)
EP (1) EP2630732A4 (ko)
KR (1) KR101734285B1 (ko)
CN (1) CN103262429A (ko)
WO (1) WO2012081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8954B (en) * 2012-01-31 2015-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cting an object in an image
KR101715841B1 (ko) * 2015-05-29 2017-03-15 주식회사 크레펀 실감형 콘텐츠를 통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US20170155886A1 (en) * 2015-06-24 2017-06-01 Derek John Hartling Colour-Z: Low-D Loading to High-D Processing
WO2020135745A2 (zh) * 2018-12-29 2020-07-02 未来科技(襄阳)有限公司 裸眼 3d 图像的显示方法及显示系统
CN109886867A (zh) * 2019-01-16 2019-06-14 周口师范学院 一种用于移动智能终端的图像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4352A (en) * 1993-06-14 1996-08-06 Liberte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xing, searching and displaying data
US6216173B1 (en) * 1998-02-03 2001-04-10 Redbox Technologie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processing and routing
US6980641B1 (en) * 1998-10-29 2005-12-2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mputer to implement telephone functions with an enhanced minidialer function
US20020062379A1 (en) * 2000-11-06 2002-05-23 Widegren Ina B.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media flows in a multimedia session with IP bearer services
US7353252B1 (en) * 2001-05-16 2008-04-01 Sigma Design System for electronic file collaboration among multiple users using peer-to-peer network topology
US6781522B2 (en) * 2001-08-22 2004-08-24 Kivalo, Inc. Portable storage case for housing a medical monitoring device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communicating therewith
US20040037314A1 (en) * 2002-08-23 2004-02-26 Spear Stephen L. Method and communication network for cross coding between codecs
US7409454B2 (en) 2003-06-02 2008-08-05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detection of intermediate network device capabilities
US7092693B2 (en) * 2003-08-29 2006-08-15 Sony Corporation Ultra-wide band wireless / power-line communication system for delivering audio/video content
US20050177653A1 (en) * 2004-02-06 2005-08-11 Via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 AV system easily and flexibly
KR20060010089A (ko) * 2004-07-27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영상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0750B1 (ko) 2004-07-27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US7543073B2 (en) * 2004-12-10 2009-06-0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process for performing an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on streaming data to establish a moving average bit rate
US8287379B2 (en) * 2005-09-12 2012-10-16 Igt Distributed game services
KR100735447B1 (ko) * 2005-12-20 2007-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용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US8799106B2 (en) * 2006-05-06 2014-08-05 Travelzoo,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online product research by consumers
US8982181B2 (en) * 2006-06-13 2015-03-17 Newbery Revocable Trust Indenture Digital stereo photographic system
US20070291667A1 (en) * 2006-06-16 2007-12-20 Ericsson, Inc. Intelligent audio limit method, system and node
FR2903259A1 (fr) * 2006-06-29 2008-01-04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e gestion de demandes d'acces a distance a des contenus multimedia
JP4553882B2 (ja) * 2006-10-25 2010-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テレビジョン受像機,テレビジョン受像機操作システム
US8077964B2 (en) * 2007-03-19 2011-12-13 Sony Corporation Two dimensional/three dimensional digital information acquisition and display device
JP2009043371A (ja) * 2007-08-10 2009-02-26 Toshiba Corp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の制御方法
CA2740139C (en) * 2008-10-10 2014-05-13 Lg Electronics Inc. Reception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20100191552A1 (en) * 2009-01-27 2010-07-29 Patrick Behrens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to facilitate propagation of current appointment availability in a network environment
KR101301322B1 (ko) * 2009-07-22 2013-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689019B1 (ko) * 2009-11-02 2016-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객체 검색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들
US8570358B2 (en) * 2009-11-06 2013-10-29 Sony Corporation Automated wireless three-dimensional (3D) video conferencing via a tunerless television device
US20110157322A1 (en) * 2009-12-31 2011-06-30 Broadcom Corporation Controlling a pixel array to support an adaptable light manipulator
US20110179376A1 (en) * 2010-01-21 2011-07-21 Sony Corporation Three or higher 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v menu and document navigation
US9235452B2 (en) * 2010-02-05 2016-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aphics remoting using augmentation data
KR20110098420A (ko) * 2010-02-26 201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47136A1 (en) 2012-06-14
KR20120066511A (ko) 2012-06-22
EP2630732A4 (en) 2014-04-02
WO2012081787A1 (en) 2012-06-21
US9106893B2 (en) 2015-08-11
EP2630732A1 (en) 2013-08-28
CN103262429A (zh)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513B1 (ko)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8155B1 (ko) 이동 단말기의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808625B1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830651B1 (ko)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561913B1 (ko)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1602221B1 (ko) 이동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2433B1 (ko)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영상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KR20120005324A (ko) 이동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34285B1 (ko)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04706A (ko) 이동 단말기의 응급사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5690B1 (ko) 통신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KR101667722B1 (ko)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5134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7695B1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8665B1 (ko)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80939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9105B1 (ko) 정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77628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5472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9578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544454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36211A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02259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67846A (ko)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8092B1 (ko)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