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684B1 - An apparatus for locking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locking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684B1
KR101733684B1 KR1020160157489A KR20160157489A KR101733684B1 KR 101733684 B1 KR101733684 B1 KR 101733684B1 KR 1020160157489 A KR1020160157489 A KR 1020160157489A KR 20160157489 A KR20160157489 A KR 20160157489A KR 101733684 B1 KR101733684 B1 KR 101733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ing
ring
por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창훈
Original Assignee
(주)컴엑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엑스아이 filed Critical (주)컴엑스아이
Priority to KR102016015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6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6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082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for office machines, e.g. PC's, portable computers, typewriters, calcul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005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using chains, cabl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017Anti-theft devices, e.g. tags or monitors, fixed to articles, e.g. clothes, and to be removed at the check-out of sho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lock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or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device main body and a connection port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a locking and unlocking portion installed in the port coupling portion and locked or unlocked in a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port of the electronic device; a ring locking key portion provided in the device main body; and a lock ring coupled to the ring locking key to be able to enter and advance between a locking position and a neutral position and capable of moving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an unlocking position by rotating. The lock ring is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and unlocking portion when the lock ring is moved between the neutral position and the locking position to move the locking and unlocking portion to the locking position and unlocking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lock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locking a position not to be moved by using a connection por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AN APPARATUS FOR LOCKING PORTABLE DEVICE}≪ Desc / Clms Page number 1 > AN APPARATUS FOR LOCKING PORTABLE DEVICE &

본 발명은 노트북 등의 포터블 전자기기를 위치 이동시킬 수 없도록 전자기기에 구비된 접속포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ing device capable of fix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notebook by using a connection port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not be moved.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지며, 그 중에서 하드웨어는 컴퓨터의 외관을 이루는 본체 즉,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전자부품 중에는 고가의 칩이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고가이면서도 중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장치가 포함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computer is made up of hardware and software, and the hardware includes a main body that form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mputer, that is, a case a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stalled inside the case. Amo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stalled in the case, expensive chips can be included, and a data storage device in which expensive and important information is stored is also included.

이러한 데이터 저장장치는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그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매우 중용한 정보가 저장된 경우에는 이를 도난이나 분실에 대비하여 안전하게 관리되어야 한다.Such a data storage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se, and when very important information is stored, it should be safely managed in preparation for the theft or loss.

즉, 최근에는 금융기관이나 정부산하 기관 등에 외부인이 침입하거나, 비 관리자가 진입하여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해가는 사건이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에 대비하여 여러 가지 대응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부분이 컴퓨터에 물리적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다운받아 빼가는 것에 대한 대비책이 대부분이며, 컴퓨터 기기 자체 즉, 노트북 등과 같이 포터블 한 전자기기의 경우 기기 자체를 도난하는 것에 대한 대비책이 없는 상태이다.In other words,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incidents in which an outsider enters into a financial institution or a government affiliated institution, or a case in which a non-manager enters and fetches data stored in a computer, causing a great social wave, and various countermeasures . Most of them have a countermeasure against downloading data by physically connecting to a computer. In the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device itself, such as a notebook computer, there is no preparation against theft of the device itself.

종래 기술의 일예로는, 컴퓨터 케이스를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케이스 자체를 책상 등에 체인이나 와이어 등으로 연결하여 분실을 방지하는 기술이 있으나,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외관 케이스에 체인이나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가 없는 경우에는 종래의 기술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there is a technique of preventing the computer case from being detached, or preventing the computer case from being lost by connecting the case itself to a desk with a chain or a wire, but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a chain or a wire to the outer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nventional technique.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146895호를 통해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의 접속포트(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락킹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In view of this point,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an electronic device by lock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connection port (a USB port)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notebook through a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46895 A device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적용하다 보니, 락킹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해제키를 구비해야 하고, 해제키를 별도로 관리자가 보관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release key for releasing the locking and an administrator must separately store the release key.

또한, 해제키를 분실하거나 도난시에도 전자기기 락 장치를 보호할 수 없으며, 유사한 해제키가 보급될 경우에 보안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견되었다.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protect the electronic device lock device even when the release key is lost or stolen, and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security when a similar release key is suppli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2715호(인터넷연결감시를 통한 컴퓨터 도난방지 방법 및 시스템)Korean Patent No. 10-0562715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Computer Theft by Monitoring Internet Connec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3364호(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23364 (USB port locking device)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146895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4689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휴대 가능한 포터블 전자기기의 접속포트를 이용하여 위치를 이동시킬 수 없도록 록킹시킬 수 있는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apparatus which can lock a position by using a connection port of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전자기기에 마련된 포트에 결합되는 포트 결합부; 상기 포트 결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포트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로킹결합되거나 로킹해제되는 로킹 및 해제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고리 잠금키부; 및 상기 고리 잠금키부에 결합되어 잠금위치와 중립위치 사이에서 진입 및 진출 가능하며, 상기 중립위치에서 회전되어 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한 자물쇠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 고리가 상기 중립위치와 상기 잠금위치 사이에서 이동시 상기 로킹 및 해제부와 연결된 상태로 연동되어 상기 로킹 및 해제부를 로킹위치와 로킹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er comprising: a main body; A port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and coupled to a port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locking and releasing part installed in the port coupling part and locked or unlocked in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port of the electronic device; A ring lock key unit install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a lock ring coupled to the ring lock key portion and capable of entering and advancing between a locked position and a neutral position, the lock ring being rotatable in the neutral position to move to the unlocked position, And the locking / unlocking unit is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 unlocking unit when the locking / unlocking unit is moved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unlocking position.

여기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포트 결합부가 결합되는 제1장착부; 상기 고리 잠금키부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 및 상기 자물쇠 고리의 자유단부가 상기 중립위치에서 수용되며, 상기 제1장착부와 연결되는 고리 수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pparatus main body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port coupling portion is coupled; A second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ring lock key portion is mounted; And a ring receiving portion that is received in the neutral position and has a free end portion of the lock ring,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또한, 상기 로킹 및 해제부는, 상기 포트 결합부의 내외로 출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접속포트 내부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로킹 결합되는 로킹부재; 및 포트 결합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자물쇠 고리에 구속되어 연동시 상기 로킹부재를 선택적으로 간섭하여 간섭 해제하여 상기 로킹부재의 로킹 및 해제동작을 제어하는 가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locking and unlocking portion may include a locking member installed to protrude and retreat in and out of the port coupling portion and selectively locked and coupled to a locking groove in the connection port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movable unit which is movably installed in the port coupling portion and which is locked to the lock ring to selectively interfere with and interfere with the locking member during interlocking to control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the locking member.

또한, 상기 가동유닛은, 상기 포트 결합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프레임; 상기 가동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자물쇠 고리에 밀려 이동시 상기 로킹부재를 간섭하여 로킹위치로 이동시키는 간섭부재; 및 상기 가동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자물쇠 고리와 상기 중립위치에서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movable unit may include: a movable frame movably installed in the port engaging portion; An interference member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and interfering with the locking member when the locking member is pushed by the lock ring to move to the locking position; And a ring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body and connected to the lock ring at the neutral position.

또한,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포트 결합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상기 포트 결합부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가동유닛에 간섭되어 탄성변형 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포트 결합부 외측으로 돌출시 상기 전자기기의 접속포트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리는 로킹후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locking member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port coupling portion,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connection portion and extending into the port engagement portion and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interference with the movable unit; And a locking hook protruding from the elastic portion and engaged with a latching groove formed in a connection port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protruding outside the port engagement portion.

또한, 상기 로킹후크는 한 쌍이 이격되게 배치되며, 반 원뿔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locking hook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e a half-conical shape.

또한, 상기 자물쇠 고리는, 절곡된 고리 몸체부; 상기 고리 몸체부의 일단으로 연장되어 고리 잠금키부(150)에 전진, 후진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물쇠 연결축부; 및 상기 고리 몸체부의 타단에서 상기 자물쇠 연결축부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부; 및 상기 자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킹 및 해제부에 연결 및 분리 가능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Further, the lock ring may include a bent ring body portion; A lock connecting shaft portion extending to one end of the ring body portion and coupled to the ring lock key portion 150 in a forward, backward, and rotatable manner; And a free e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annular body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ck connecting shaft portion; And a locking part provided at the free end and being connect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locking and releasing part.

또한, 상기 고리 잠금키부는 상기 자물쇠 고리가 삽입된 상태에서 빠지는 것을 잠그고, 해제시에는 빠진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허용하는 자물쇠뭉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물쇠 뭉치는 다이얼방식 자물쇠, 버튼식 자물쇠 및 전자식 자물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ing lock key part includes a lock lock which locks the lock lock when the lock ring is inserted, and allows the lock lock to be rotated when the lock lock is released, and the lock lock includes a dial lock, And an electronic lock.

본 발명의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에 따르면,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USB 포트를 포함하는 접속포트에 결합되어, 고정수단의 고리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a connection port including a USB port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to connect and fix the hook of the fixing means.

따라서 전자기기의 외관 케이스를 직접 고정하거나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크고 복잡한 고정장치(고정기구 등)가 불필요하고, 별도의 연결구를 마련하지 않고, 접속포트 즉, USB 포트를 이용하여 고정수단으로 전자기기를 분리할 수 없게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전자기기의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large and complicated fixing device (fixing mechanism, etc.) for directly fixing or accommodating and fixing the outer ca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use a connecting port,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in a detachable manner,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electronic device from being stolen.

특히, 고리 잠금키부를 비밀번호 등을 이용하여 잠금해제 가능한 자물쇠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해제키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관리가 용이하고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by using a lock capable of unlocking the ring lock key portion using a password or the lik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eparate lock key or the like a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management is easy and the securit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트 결합부재와 가동유닛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동유닛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포트 결합부재의 요부를 학대하여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전자기기 락장치를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자물쇠 고리를 잠금위치로 이동시켜 로킹부재를 접속포트에 로킹 결합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자물쇠 고리를 해제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를 이용하여 노트북 컴퓨터를 사무기기에 고정하는 예를 보이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port engaging member and the movable unit shown in FIG.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the movable unit shown in FIG.
FIG. 5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recess of the port coupling member shown in FIG. 2;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USB port of an electronic device.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ring is moved to the lock position in the state of FIG. 6 to lock the lock member to the connection port.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ring is rotated to the release position.
FIG. 9 illustrates an example of fixing a notebook computer to an office equipment us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100)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USB 포트를 포함하는 접속포트(11)를 가지는 전자기기(1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없도록 고리, 체인, 와이어 등으로 USB 포트 즉, 접속포트(11)에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1 to 8,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ove an electronic apparatus 10 having a connection port 11 including a USB port,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 chain, a wire, or the like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the USB port, that is, the connection port 11.

여기서, 접속 포트(11)의 내부의 벽면에는 걸림홈(12)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속포트(11)는 금속프레임 등을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하여 전자기기(10)의 측면에 설치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금속프레임에 로킹부 즉, 걸림홈(12)을 홈 또는 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Here, one or more latching grooves 12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11. [ That is, the connection port 11 may be formed by forming a metal frame or the lik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frame, and installing the connection port 11 o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locking part, that is, the locking groove 12, Can be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100)는 장치 본체(110)와,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는 포트 결합부(120), 포트 결합부(120)에 설치되는 로킹 및 해제부(130),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는 자물쇠 고리(140), 자물쇠 고리(140)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고리 잠금키부(150)를 구비한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aratus main body 110, a port engaging portion 120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10, a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provided in the port engaging portion 120, And a lock lock key part 150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lock ring 140. The lock lock key part 150 includes a lock part 130, a lock ring 140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10,

장치 본체(110)는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제1 및 제2하우징(110a)(110b)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하우징(110a)(110b) 사이에 상기 고리 잠금키부(150), 포트 결합부(120)가 개재되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장치 본체(110)는 포트 결합부(120)가 결합되는 제1장착부(111)과, 제1장착부(111)와 이웃하여 상기 고리 잠금키부(150)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113)를 가진다. 제1장착부(111)에 포트 결합부(12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2장착부(113)는 제1장착부(111)와 격리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 잠금키부(150)가 동작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장치 본체(110)는 제1장착부(111)와 연통되며 상기 자물쇠 고리(140)의 자유단부(143)가 수용되는 고리 수용부(115)를 가진다. 고리 수용부(115)는 자물쇠 고리(150)의 자유단부(143)가 수용된 상태의 중립위치에서 해제위치로 회동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장치 본체(1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느 한 하우징(110a)에는 리벳돌기(117a)가 형성되고 다른 하우징(110b)에는 리벳구멍(117b)이 형성됨으로써, 리벳돌기(117a)를 리벳구멍(117b)에 결합한 상태에서, 하우징(110b)의 외측에서 리벳팅하여 하우징들(110a,110b)을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in body 110 has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a and 110b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ring lock key part 150 and the port coupling part 120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a and 110b. Specifically, the apparatus main body 110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111 to which the port coupling portion 120 is coupled, a second mounting portion 111 that is adjacent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and on which the ring lock key portion 150 is mounted 113). The port coupling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and fixe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13 may be formed to be isolated from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and the ring locking key portion 150 is operably mounted. The apparatus main body 110 also has a ring receiving portion 115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and receiving the free end 143 of the lock ring 140. The ring receiving portion 115 has a structure that is open to one side so that the free end 143 of the lock ring 150 can be pivoted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unlocked position. The apparatus main body 1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rivet protrusion 117a is formed in one of the housings 110a and the rivet hole 117b is formed in the other housing 110b so that the rivet protrusion 117a is coupled to the rivet hole 117b, So that the housings 110a and 110b can be rigidly coupled so as not to be detached.

상기 포트 결합부(120)는 장치 본체(110)의 제1창착부(111)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포트 결합부(120)는 포트 결합부재(121)와, 포트 결합부재(1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구조물(123)을 가진다. 포트 결합부재(121)의 일단부(121a)는 제1장착부(111)에 결합되고, 타단부(121b)는 전자기기(10)의 접속포트 즉, USB 포트(1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장치 본체(110)의 후단으로 돌출된다. 포트 결합부재(121)의 타단부(121b)가 전자기기(10)의 접속포트(11)에 삽입되어 결합 시, 접속포트(11) 내부의 접속단자부(13)에 마주하여 접하도록 내부 구조물(123)이 포트 결합부재(121)의 타단부(121b)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포트 결합부(120)를 접속포트(11)에 결합시 결합자세가 바뀌는 것(뒤집힌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ort coupling portion 120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shrinking portion 111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 The port coupling portion 120 has a port coupling member 121 and an internal structure 123 provided inside the port coupling member 121. One end 121a of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is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and the other end 121b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is projected to the rear end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 The other end portion 121b of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 11 of the electronic apparatus 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3 in the connection port 11 123 are provided inside the other end 121b of the port coupling member 121.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upling posture from being changed (coupled in an inverted state) when the port coupling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 11.

또한, 포트 결합부재(121)는 금속재질로서 틀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각 틀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Also, the port coupling member 121 may be formed to have a frame structure as a metal material, and preferably has a quadrangular frame structure.

상기 로킹 및 해제부(130)는 포트 결합부재(121)의 내외로 출몰되게 설치되는 로킹부재(131), 포트 결합부재(121)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로킹부재(131)를 선택적으로 간섭하여 연동시키는 가동유닛(133)을 구비한다.The locking and releasing unit 130 includes a locking member 131 installed to protrude and retract into and out of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and a locking member 131 movably installed in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to selectively move the locking member 131 And a movable unit 133 for interlocking and interlocking.

로킹부재(131)는 포트 결합부재(121)에 연결되는 연결부(131a)와, 연결부(131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탄성부(131b) 및 탄성부(131b)에 형성되는 로킹후크(131c)를 구비한다. 탄성부(131b)가 가동유닛(133)에 의해 간섭되어 탄성 변형되면, 로킹후크(131c)가 포트 결합부재(1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자기기(10)의 접속포트(11) 내의 걸림홈(12)에 걸린다(도 7 참조). 이러한 로킹후크(131c)는 탄성부(131b)의 단부에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이 형성된다. 그리고 로킹후크(131c)는 소위 반 원뿔 형상을 가짐으로써, 걸림홈(12)에 걸린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구부러지지 않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로킹부재(131)는 포트 결합부재(121)의 일부를 절개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member 131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131a connected to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and a locking hook 131c formed on the elastic portion 131b and the elastic portion 131b which are bent and extend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31a Respectively. The locking hook 131c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so that the engaging groove 131c of the engaging groove 131c in the connecting port 11 of the electronic apparatus 10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elastic portion 131b interferes with and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movable unit 133. [ (See Fig. 7). These locking hooks 131c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elastic portion 131b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ocking hook 131c has a so-called semi-conical shape so that the locking hook 131c can be maintained in a rigid state without being easily deformed or bent by an external force in a state of being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12. [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member 131 is integrally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상기 가동유닛(133)은 포트 결합부재(121)에 소정 거리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위치에 따라 로킹부재(131)의 탄성부(131b)를 간섭하여 로킹 위치로 이동시키거나(도 7 참조), 해제위치(초기위치)로 로킹부재(131)가 복귀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도 6 참조). 이러한 가동유닛(133)은 포트 결합부재(12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프레임(134), 가동프레임(134)에 연결되어 상기 로킹부재(131)를 간섭하는 간섭부재(135), 가동프레임(134)에 연결되며 상기 자물쇠 고리(140)와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재(136)를 구비한다.The movable unit 133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reciprocating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and moves the elastic part 131b of the locking member 131 to the loc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 The locking member 131 is allowed to return to the release position (initial position) (see FIG. 6). The movable unit 133 includes a movable frame 134 movably installed in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an interference member 135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134 to interfere with the locking member 131, And a loop connecting member 136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134 and connected to the lock ring 140.

가동프레임(134)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4각 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동프레임(134)의 내부에 고리 연결부재(136)와 간섭부재(135)가 연결된 상태로 결합된다. 가동프레임(134)에는 외측으로 걸림턱(134a)이 돌출 형성된다. 걸림턱(134a)은 포트 결합부재(121)에 형성된 장공(121c)에 끼워진 상태로 가동프레임(134)의 왕복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포트 결합부재(121)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movable frame 134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may have a substantially quadrangular frame structure. The loop connecting member 136 and the interference member 135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movable frame 134 in a connected state. The movable frame 134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34a protruding outward. The stopping protrusion 134a is engaged with the slot 121c formed in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so as to restrict the reciprocating movement distance of the movable frame 134 and prevent the movable engaging member 12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in the sliding direction .

상기 간섭부재(135)는 가동프레임(134) 내에서 고리 연결부재(136)와 결합되는 결합공(135a)을 가진다. 간섭부재(135)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지며, 가동프레임(134)으로부터 로킹부재(131)에 접촉될 수 있도록 연장된다. 가동프레임(134)이 로킹부재(131) 측으로 밀려서 이동되면, 간섭부재(135)가 탄성부(131b)를 간섭하여 외측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로킹후크(131c)가 걸림홈(12)에 걸리는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도 7 참조).The interference member 135 has a coupling hole 135a to be engaged with the link connecting member 136 in the movable frame 134. [ The interference member 135 has a plate structure and extends from the movable frame 134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member 131. When the movable frame 134 is pushed toward the locking member 131 side and the interference member 135 interferes with the elastic portion 131b and deforms outwardly so that the locking hook 131c is caught in the engagement groove 12 (See FIG. 7).

고리 연결부재(136)는 가동프레임(134)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간섭부재(135)의 결합공(135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36a)를 가진다. 따라서 결합돌기(136a)에 간섭부재(135)의 결합공(135a)이 끼워지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가동프레임(134) 내부에 함께 결합됨으로써, 간섭부재(135)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고리 연결부재(136)의 일단에는 가동프레임(134)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자물쇠 고리(140)가 걸리는 고리 걸림부(136b)가 형성된다. 고리 걸림부(136b)는 자물쇠 고리(140)의 걸림부(144)가 끼워지는 홈과 걸림턱으로 이루어진다.The link member 136 is inserted into the movable frame 134 and has an engaging projection 136a which engages with the engaging hole 135a of the interference member 135. [ The interference member 135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ovable frame 134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hole 135a of the interference member 135 is fitted to the coupling projection 136a so that the interference member 135 is not separated. One end of the hook connecting member 136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movable frame 134, and a hooking portion 136b to which the hook 140 is hooked is formed. The hooking portion 136b is formed by a groove into which the latching portion 144 of the lock ring 140 is inserted and a latching jaw.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포트 결합부재(121)에 가동유닛(133)을 장착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포트 결합부재(121)의 개방된 외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137)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커버부재(137)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포트 결합부재(121)의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21d)에 대응되는 결합홀(137b)을 가진다.He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137 which is coupled to cover the opened outer side of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so as to prevent the movable engaging member 12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when the movable unit 133 is mounted It is good to do. The cover member 137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coupling hole 137b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jection 121d protruding outward of the port coupling member 121. [

상기 자물쇠 고리(140)는 곡선형의 고리 몸체부(141)와, 고리 몸체부(141)의 일단으로 연장되어 고리 잠금키부(150)에 결합되는 자물쇠 연결축부(142)와, 고리 몸체부(141)의 타측에서 자물쇠 연결축부와 동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자유단부(143) 및 자유단부(143)에 설치되는 걸림부(144)를 가진다.The lock ring 140 has a curved ring body 141 and a lock connecting shaft 142 extending to one end of the ring body 141 and coupled to the ring lock key part 150, A free end portion 143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lock connecting shaft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ck connecting shaft portion 141 and a locking portion 144 provided at the free end portion 143.

자물쇠 연결축부(142)는 고리 잠금키부(150)와 결합되며, 고리 잠금키부(150)에서 잠금위치(진입된 상태)와, 잠김 해제위치(빠진 상태) 사이에서 왕복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자물쇠 연결축부(142)가 고리 잠금키부(150)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고리 잠금키부(150)를 잠그면(다이얼부재를 무작위로 회전시켜서 잠그면), 자물쇠 연결축부(142)는 밖으로 빠지지 않는다.The lock connecting shaft portion 142 is engaged with the ring lock key portion 150 and is reciprocally connected between the lock position (entered state) and the unlock position (missing state) in the ring lock key portion 150. The lock connecting shaft portion 142 does not fall out when the lock lock key portion 150 is locked (when the dial member is rotated and locked at random) in a state in which the lock connecting shaft portion 142 is inserted into the lock lock key portion 150. [

자유단부(143)는 자물쇠 회전축부(142)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장치 본체(110)의 외부에 위치되거나(해제위치; 도 8 참조), 상기 고리 수용부(115)에 수용되는 중립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자유단부(143)가 고리 수용부(115)에 위치되면(중립위치; 도 6 참조), 걸림부(144)가 고리 연결부재(136)의 고리 걸림부(136b)에 연결된다.The free end portion 143 is positioned at a neutral position that is accommodated in the ring receiving portion 115 or is located outside the apparatus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e of the lock rotating shaft portion 142 do. 6), the engaging portion 144 is connected to the hooking portion 136b of the hook connecting member 136. When the free end portion 143 is positioned at the hook receiving portion 115 (neutral position;

상기 걸림부(144)는 자유단부(144)에 설치되며, 상기 고리 걸림부(136b)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리 연결부재(136)와 함께 즉, 가동유닛(133)과 함께 잠금위치와 잠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The locking part 144 is provided at the free end 144 and is coupled with the hook connecting part 136 in the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hook locking part 136b, that is, together with the movable unit 133, Position.

따라서 걸림부(144)가 도 6과 같이 고리 수용부(115)에 위치된 상태에서, 자물쇠 고리(140)를 고리 잠금키부(150) 내부로 밀어 넣으면, 걸림부(144)가 상기 가동유닛(133)을 포트 결합부재(121) 내부로 밀어 넣어서 로킹부재(131)가 로킹상태가 되도록 한다(도 7 참조). 또한, 도 7의 상태가 되면, 걸림부(144)도 제1장착부(111)의 내부 즉, 포트 결합부재(121)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7의 상태에서는 자물쇠 고리(140)는 자물쇠 회전축부(142)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걸림부(144)가 구속된 상태가 되므로, 자물쇠 고리(140)에 도 9와 같이 구속용 와이어(20) 등을 연결하면 분리할 수 없게 된다.6, when the lock ring 140 is pushed into the lock lock key portion 150, the lock portion 144 is locked to the movable unit (not shown) 133 are pushed into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so that the locking member 131 is locked (see FIG. 7). 7, the engaging portion 144 also enters the insid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that is, the inside of the port engaging member 121. In this state, Therefore, in the state of FIG. 7, the lock ring 140 can not be rotated about the lock rotation axis portion 142, and the lock portion 144 is locked. Therefore, (20) or the like can not be connected.

또한, 고리 잠금키부(150)를 해제하여 자물쇠 고리(140)를 잡아당겨서 도 6과 같이 중립위치로 이동시키면, 걸림부(144)가 고리 걸림부(136b)에 걸린 상태이므로, 가동유닛(133)이 끌려나오게 된다. 따라서 로킹부재(131)의 로킹 상태가 해제되어 접속포트(11)에서 포트 결합부재(120)를 분리할 수 있다. 물론, 자물쇠 고리(140)를 중립위치(도 6의 상태)에서 해제위치(도 8의 상태)로 회전시키면, 자유단부(143)가 고리 수용부(115)에서 분리되므로, 자물쇠 고리(140)에 연결한 잠금용 와이어(20) 등을 자물쇠 고리(14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6, when the lock ring key part 150 is released and the lock ring 140 is pulled out and moved to the neutral position as shown in FIG. 6, the locking part 144 is caught by the hook locking part 136b, ). Therefor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mber 131 is released and the port coupling member 120 can be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port 11. Of course, when the lock ring 140 is rotated from the neutral position (the state of FIG. 6) to the release position (the state of FIG. 8), the free end 143 is separated from the ring receiving portion 115,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lock wire 20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lock ring 140 from the lock ring 140.

상기 고리 잠금키부(150)는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는 소위 자물쇠 뭉치로서, 설정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한 다이얼방식 자물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리 잠금키부(150)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잠그기 위한 다수의 다이얼부재(151)가 장치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다이얼방식 자물쇠는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부터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ring lock key unit 150 may be a so-called lock lock installed in the apparatus body 110, and may include a dial lock capable of locking and unlocking using a set password. Therefore, the ring lock key unit 150 is installed such that a plurality of dial members 151 for setting and locking a password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 and rotated. Such a dial type lock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general publicly known technology,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다이얼방식 자물쇠 이외에도 비밀번호를 버튼식으로 눌러서 자물쇠 고리(140)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비밀번호 버튼식 자물쇠를 적용할 수도 있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dial type lock, a password button type lock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lock ring 140 by pressing the password with a button may be applied.

또한, 고리 잠금키부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자물쇠 고리(140)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을 전원을 이용하여 전자식 자물쇠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e ring lock key portion may also include an electronic lock using a power source to input a password to lock and unlock the lock ring 140. [

또한, 고리 잠금키부는 열쇠키를 집어넣어서 키뭉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물쇠 고리의 잠금 및 해제를 가능하도록 하는 일반적인 열쇠키형 자물쇠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다만, 자물쇠 고리의 잠금 및 해제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유닛(133)이 이동함으로써, 로킹부재(121)의 로킹 및 로킹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에 있어서 일반적인 자물쇠의 구성 및 작용효과와는 다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ring lock key portion may also apply a conventional key lock type lock which allows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lock ring by rotating the key lock by inserting the key lock. However, the lock unit 121 is locked and unlocked by moving the movable unit 133 in conjunction with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of the lock ring, Should be understoo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100)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 고리(140)가 중립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로킹부재(131)가 포트 결합부재(12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포트 결합부재(120)를 전자기기의 접속포트(11)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6, the locking member 131 is positioned inside the port engagement member 120 in a state where the lock ring 140 is positioned at the neutral position. In this state, the port coupling member 120 can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 11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coupled.

도 6의 상태에서, 자물쇠 고리(140)를 도 7과 같은 잠금위치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자물쇠 고리(140)가 고리 잠금키부(150)의 내부로 들어가는 동시에, 걸림부(144)가 가동유닛(133)을 포트 결합부재(121)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된다. 그러면, 가동유닛(133)의 간섭부재(135)가 로킹부재(131)의 탄성부(131b)를 간섭하여 포트 결합부재(121) 외부로 로킹후크(131c)가 돌출되어 접속포트(11)의 걸림홈(12)에 걸려서 결합된다. 또한, 자물쇠 고리(140)의 걸림부(144)는 포트 결합부재(121)의 내부로 진입됨으로써 회동될 수 없게 구속된다. 따라서 도 7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리 잠금키부(150)의 다이얼부재(151)를 무작위로 회전시켜서 비밀번호를 잠그면, 자물쇠 고리(140)는 고리 잠금키부(150)에서 빠지지 않고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state of FIG. 6, the lock ring 140 is pushed into the lock position as shown in FIG. Then, the lock ring 140 enters the inside of the ring lock key part 150,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 part 144 pushes the movable unit 133 into the port engagement member 121. The interference member 135 of the movable unit 133 interferes with the elastic portion 131b of the locking member 131 and the locking hook 131c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port engagement member 121,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12. Further, the latching portion 144 of the lock ring 140 is locked into the port engagement member 121 so as not to be pivotable. 7, when the user locks the password by randomly rotating the dial member 151 of the ring lock key unit 150, the lock ring 140 can be kept locked without being removed from the ring lock key unit 150 .

반대로, 도 7의 상태에서 다이얼부재(151)를 회전시켜서 비밀번호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자물쇠 고리(140)를 외부로 당기면, 자물쇠 고리(140)가 고리 잠금키부(150)에서 빠져나오면서 걸림부(144)에 걸린 가동유닛(133)도 함께 이동된다. 즉, 걸림부(144)는 도 6과 같이 다시 중립위치로 이동되고, 걸림부(144)에 의해 끌려나온 가동유닛(133)은 로킹부재(131)와 분리됨으로써 로킹부재(131)의 로킹후크(131c)는 걸림홈(12)에서 분리된다.7, when the lock ring 140 is pulled outward while the dial member 151 is rotated to match the password, the lock ring 140 comes out of the lock lock key part 150, 144 are also moved together. 6, the movable unit 133 pulled by the locking portion 144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member 131, so that the locking hook 131 of the locking member 131 (131c)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groove (12).

따라서 도 6의 상태에서는 포트 결합부(120)를 접속포트(11)에서 빼내어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상태에서는 자물쇠 고리(140)를 회전시켜서 도 8과 같은 상태 즉, 자물쇠 고리(140)를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자물쇠 고리(140)에 잠금용 와이어(20)를 연결하거나, 연결되어 있던 잠금용 와이어(2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state of FIG. 6, the port coupling portion 120 can be removed from the connection port 11 and separated. Also, in the state of FIG. 6, the lock ring 140 is rotated to move the lock ring 140 to the release position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it becomes possible to connect the lock wire 20 to the lock ring 140 or to disconnect the lock wire 20 that has been connected.

도 9는 잠금용 와이어(20)의 일단은 책상(30)의 다리에 고정하고, 타단은 자물쇠 고리(140)에 연결하여 노트북 컴퓨터를 책상(30)에 고정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locking wire 20 is fixed to the leg of the desk 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adlock ring 140 to fix the notebook computer to the desk 3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100)에 의하면, 노트북 컴퓨터의 USB 포트를 포함하는 접속포트(11)를 가지는 전자기기를 잠금용 와이어(20)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으로 고정할 때, 접속포트(11)에 본 발명의 락 장치(100)를 고정 결합하면서 자물쇠 고리(140)에 고정수단을 연결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connection port 11 including the USB port of the notebook computer can be fixed by the fixing means including the locking wire 20 It is possible to safely protect the electronic device by the simple operation of fixing the lock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nnection port 11 while fixing the lock device 140 to the lock ring 140, thereby preventing the theft.

이와 같이, USB 포트와 같은 접속포트(11)를 사용하여 고정하므로, 별도로 전자기기(10)의 전체를 고정시킬 필요가 없고, 별도로 전자기기(10)의 외부 케이싱을 고정하기 위한 복잡하고, 큰 고정 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us, it is not necessary to fix the whole of the electronic apparatus 10 separately, an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fix the entirety of the electronic apparatus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xing device is not necessary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전자기기 11..접속 포트
20..잠금용 와이어 100..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110..장치본체 120..포트 결합부
130..로킹 및 해제부 133..가동유닛
140..자물쇠 고리 150..고리 잠금키부
10. Electronic device 11. Connection port
20. Locking wire 100 ..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device 110 .. Device body 120 .. Port coupling part
130 .. Locking and releasing part 133 .. Moving unit
140 .. Padlock ring 150 .. Ring lock key part

Claims (9)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전자기기에 마련된 포트에 결합되는 포트 결합부;
상기 포트 결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포트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로킹결합되거나 로킹해제되는 로킹 및 해제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고리 잠금키부; 및
상기 고리 잠금키부에 결합되어 잠금위치와 중립위치 사이에서 진입 및 진출 가능하며, 상기 중립위치에서 회전되어 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한 자물쇠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 고리가 상기 중립위치와 상기 잠금위치 사이에서 이동시 상기 로킹 및 해제부와 연결된 상태로 연동되어 상기 로킹 및 해제부를 로킹위치와 로킹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며,
상기 로킹 및 해제부는,
상기 포트 결합부의 내외로 출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접속포트 내부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로킹 결합되는 로킹부재; 및
상기 포트 결합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자물쇠 고리에 구속되어 연동되면서 상기 로킹부재를 간섭하거나 간섭 해제하여 상기 로킹부재의 로킹 및 해제동작을 제어하는 가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A device body;
A port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and coupled to a port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locking and releasing part installed in the port coupling part and locked or unlocked in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port of the electronic device;
A ring lock key unit install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And a lock ring coupled to the ring lock key portion and capable of entering and advancing between a locked position and a neutral position and being movable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unlocked position,
Wherein the lock ring is interlocked with the lock and unlock part when the lock ring is moved between the neutral position and the lock position to move the lock and unlock part between the locked position and the unlocked position,
The locking and unlocking portion includes:
A locking member which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and retreat in and out of the port coupling portion and which is selectively locked in a locking groove in a connection port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nd a movable unit movably installed in the port engaging portion and interlocking with or releasing interference with the locking member while being locked with the lock ring to control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the locking member. Electronic device lock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포트 결합부가 결합되는 제1장착부;
상기 고리 잠금키부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 및
상기 자물쇠 고리의 자유단부가 상기 중립위치에서 수용되며, 상기 제1장착부와 연결되는 고리 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port coupling portion is coupled;
A second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ring lock key portion is mounted; And
And a ring receiving portion which is received in the neutral position and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lock ring is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유닛은,
상기 포트 결합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프레임;
상기 가동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자물쇠 고리에 밀려 이동시 상기 로킹부재를 간섭하여 로킹위치로 이동시키는 간섭부재; 및
상기 가동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자물쇠 고리와 상기 중립위치에서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movable frame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port coupling portion;
An interference member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and interfering with the locking member when the locking member is pushed by the lock ring to move to the locking position; And
And a ring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body and connected to the lock ring at the neutral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포트 결합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상기 포트 결합부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가동유닛에 간섭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포트 결합부 외측으로 돌출시 상기 전자기기의 접속포트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리는 로킹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port coupling part;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connection portion and extending into the port engagement portion and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interference with the movable unit; And
And a locking hook protruding from the elastic portion and engaged with a latching groove formed in a connection port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protruding outside the port coupl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후크는 한 쌍이 이격되게 배치되며, 반 원뿔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cking hook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e a semi-conical shape.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전자기기에 마련된 포트에 결합되는 포트 결합부;
상기 포트 결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포트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로킹결합되거나 로킹해제되는 로킹 및 해제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고리 잠금키부; 및
상기 고리 잠금키부에 결합되어 잠금위치와 중립위치 사이에서 진입 및 진출 가능하며, 상기 중립위치에서 회전되어 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한 자물쇠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 고리는,
절곡된 고리 몸체부;
상기 고리 몸체부의 일단으로 연장되어 고리 잠금키부에 전진, 후진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물쇠 연결축부; 및
상기 고리 몸체부의 타단에서 상기 자물쇠 연결축부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부; 및
상기 자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킹 및 해제부에 연결 및 분리 가능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A device body;
A port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and coupled to a port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locking and releasing part installed in the port coupling part and locked or unlocked in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port of the electronic device;
A ring lock key unit install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And a lock ring coupled to the ring lock key portion and capable of entering and advancing between a locked position and a neutral position and being movable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unlocked position,
Wherein the lock ring comprises:
A folded ring body portion;
A lock connecting shaft portion extending to one end of the ring body portion and coupled to the ring lock key portion in a forward, backward, and rotatable manner; And
A free e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annular body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ck connecting shaft portion; And
And an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the free end and connect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잠금키부는 상기 자물쇠 고리가 삽입된 상태에서 빠지는 것을 잠그고, 해제시에는 빠진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허용하는 자물쇠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7,
Wherein the ring lock key portion includes a lock assembly that locks the lock ring in a state in which the lock ring is inserted and allows the lock ring to be rotated in a released state when the lock ring is releas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뭉치는 다이얼방식 자물쇠, 버튼식 자물쇠 및 전자식 자물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ck assembly comprises any one selected from a dial-type lock, a button-type lock, and an electronic lock.
KR1020160157489A 2016-11-24 2016-11-24 An apparatus for locking portable device KR1017336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89A KR101733684B1 (en) 2016-11-24 2016-11-24 An apparatus for locking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89A KR101733684B1 (en) 2016-11-24 2016-11-24 An apparatus for locking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684B1 true KR101733684B1 (en) 2017-05-08

Family

ID=6016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489A KR101733684B1 (en) 2016-11-24 2016-11-24 An apparatus for locking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684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8138B2 (en) Attachment member and lock having the same
US6848926B2 (en) Securing device having bypass interface
KR102062845B1 (en) An apparatus for locking portable device
US2006025024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hysical security apparatus with alarmed cable
KR101475861B1 (en) Lan port rock apparatus
WO2008081443A1 (en) Computer anti-theft locking device with accessories protecting adaptor
TWI526135B (en) Lock mechanism and box-shaped apparatus thereof
JP6611382B2 (en) USB port lock device
JP3192644U (en) Electronic device locking device
US20170335603A1 (en) Guaranteed closed safety lock
US20040250576A1 (en) Double-secured latch
US11098501B2 (en) Hasp with cylindrical lock
US8307675B2 (en) Computer casing lock
CN109687231B (en) Port locking device
JP4369154B2 (en) Anti-thef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733684B1 (en) An apparatus for locking portable device
KR20180032157A (en) An apparatus for locking usb cable
JP2007059252A (en) Plug pull-out prevention unit and cord for transmission/reception
US9810002B2 (en) Rotary cable latch
KR101747327B1 (en) Locking apparatus for case of computer
EP2511457B1 (en) Locking device, particularly for containers of the type of suitcases, trunks and the like
CN209742559U (en) padlock
CN110836052A (en) Padlock capable of preventing accidental unlocking
US8113020B2 (en) Lo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20063627A (en) Tubular pin tumbler lock and information apparatus theft prevention lock equipp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