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469B1 - Smart switch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switch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469B1
KR101733469B1 KR1020150146527A KR20150146527A KR101733469B1 KR 101733469 B1 KR101733469 B1 KR 101733469B1 KR 1020150146527 A KR1020150146527 A KR 1020150146527A KR 20150146527 A KR20150146527 A KR 20150146527A KR 101733469 B1 KR101733469 B1 KR 101733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area
unit
smart switch
sensor
oper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6837A (en
Inventor
김효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탬
Priority to KR102015014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469B1/en
Publication of KR2017004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8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4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09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8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making use of an electromagnetic wav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05B37/0227
    • H05B37/027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구역에 설치되고,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200)가 내장된 스마트 스위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ON) 상태로 자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witch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switch system that includes a sensor unit 100 installed in a setting area and sensing motion information of a setting area, A smart switch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smart switch (10) incorporating an integrated controller (2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ssociated means in a setting area,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When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etting zone is sens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zon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be ON,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setting zone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OFF state The.

Description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Smart switch system}Smart switch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구역에 설치되는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으로, 스마트 스위치에 형성된 다양한 버튼부의 조작을 통해 내장된 센서부에 의해 인가되는 센싱 정보들을 상이하게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또는 수동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전, 방재 효과와 더불어 저장된 움직임 정보에 따른 인명구조 등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witch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switch system including a smart switch installed in a setting area. The smart switch system includes sensing information applied by a built-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conomically cope with efficient saving and disaster prevention effects and correspondence with the lif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ored motion information by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by using them differently To a smart switch system.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형광등, 백열등, 3파장 광원등 등과 같은 실내 조명 또는 전등(입실등)은 입실자가 출입문 근처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여 수동으로 점멸된다.Indoor lighting such as a fluorescent lamp, an incandescent lamp, a three-wavelength light source, or the like installed in a room is usually turned on manually by directly operating a power switch provided near a door.

이러한 전등이 실내의 중앙부위 천정에 설치되고, 이에 소정 전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전선이 연결되는데, 특정 실내를 기준으로 외부로부터 최초로 전원이 공급되는 부위를 전원공급원이라 할 때, 상기 전원공급원과 상기 전등 사이에 상기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그 사이에 상기 전등에 전원공급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점멸을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전원 스위치가 설치된다.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is connected to the ceiling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om. When the first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with reference to a specific room as a power source, The electric power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upply source and the electric lamp, and the electric power switch is provided between the electric power source and the electric power source so that the electric power can be manually operated to control the blinking.

따라서, 실내에 입실한 사람이 어두운 실내의 조도를 높이려고 하면, 실내로 진입하기 위한 출입문 근처의 상기 전원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여 점등한다.
Therefore, when a person entering the room intends to increase the illuminance of the dark room, the power switch near the door for entering the room is directly operated to light up.

이러한 수동조작의 형태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자동으로 점멸될 수 있는 전등 자동점멸장치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아파트 및 빌라 계단, 공동화장실, 학교 등과 같이 특정 개인의 실내 거주장소와는 달리 불특정 다수인의 출입이 잦으면서도, 수동조작을 통해 점등하는 스위치의 설치가 오히려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로 이어지는 곳에 설치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automatic flashing device has come out of the manual operation mode. However, unlike an apartment or a villa staircase, a common toilet, a school, etc., The installation of the switch that is lit frequently by manual operation is installed at a place which leads to unnecessary energy waste.

이러한 자동점멸장치는 일정한 동작 감지 센서 및 이에 결부되어 타이머 및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구동회로로 이루어져 출입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전등을 자동으로 점멸할 수 있다.The automatic flasher includes a constant motion detection sensor and a driving circuit for supplying and disconnecting a timer and a power supply in response to the constant motion detection sensor.

허나, 이러한 자동점멸장치의 경우, 입실자가 계속적으로 입실상태를 유지하더라고 상기 점멸장치에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한정된 시간동안만 점등되고 이 후 점멸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으며,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flasher, it is inconvenient that the user keeps on the entrance state continuously, but is lit up for a limited time by the timer built in the flasher and then flickers,

입실자가 계속적인 점등을 소망할 경우, 동작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포착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반경 이상 과장된 움직임을 수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must perform an exaggerated movement over a predetermined radius to capture and detect movement.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내장된 센서부에 다양한 센서(동체 감지 센서 및 카운트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설정구역 내에 입실, 퇴실 움직임 신호와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mart swi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sensors (a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and a count sensor) in a built-in sensor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or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vehicle.

더불어, 앞서서 언급한 종래의 조명등에 센서를 설치하여 이를 스위치와 연계할 경우, 사용자가 조명등을 교체할 시, 스위치까지 전면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nsor is installed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illumination lamp and the sensor is connected to the switch,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user changes the illumination lamp, the entire switch needs to be replaced.

국내공개특허 10-2008-0064393호("댁내의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자동 점등하는 일괄제어시스템",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감지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외출 전 상태의 점등상태로 댁내의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점등하도록 하는 일괄제어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64393 ("a batch control system that automatically lights up the lighting lamps at home in a batch", here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the lighting sensors are automatically turned on So as to illuminat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64393호(공개일자 2008.07.09.)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64393 (published on Jul.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구역에 설치되는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으로, 스마트 스위치에 형성된 다양한 버튼부의 조작을 통해 내장된 센서부에 의해 인가되는 센싱 정보들을 상이하게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또는 수동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전, 방재 효과와 더불어 저장된 움직임 정보에 따른 인명구조 등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switch system including a smart switch installed in a setting area,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applied by the sensor unit differently,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real time, thereby realizing efficient power saving and disaster prevention effects, And to provide a smart switch system capable of facilitating the correspondence of structure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설정구역에 설치되고,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200)가 내장된 스마트 스위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ON) 상태로 자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swit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0 installed in a setting area and sensing movement information of a setting area and a sensor unit 100 using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mart switch 10 in which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ssociated means within the sensor unit 100 is controlled, When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etting zone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states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zone to be ON, and when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etting zon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the OFF state.

이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상기 센서부(100) 및 통합 제어부(200)와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제 1 전등 버튼부(210),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콘센트 버튼부(220) 및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수동 버튼부(230) 를 형성하되, 각각의 버튼부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100) 또는 상기 통합 제어부(200)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mart switch 1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lamp button unit 210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00 and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and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And a manual button unit 230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sensor unit 100 or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And the operation state is controlled.

상세하게는,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며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detail,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manually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unit in the setting area to be off, When the external signal is re-inputted to the control unit 210,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on,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area.

또는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시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가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활성화시켜 상기 센서부(100)에서의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may manual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be in the off state and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1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be maintained in the current state 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electric power button unit 210. In this case,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00 is activated to detect the movement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zone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setting zone in the sensor unit 100, There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motor.

더 나아가,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며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manually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the off state, and the outlet button unit 220 When the external signal is re-inputt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on, and when the detected information of the movement of the setting area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means is automatically controlled.

더 나아가,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시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가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활성화시켜 상기 센서부(100)에서의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manually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the off state, and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1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be maintained in the current state 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part 220. [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0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unit in the setting area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the sensor unit 100 senses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etting zone, .

더불어,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manual button unit 23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deactivates the sensor unit 100. 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again to the manual button unit 230, And the sensor unit 100 is activated.

이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등 버튼부(240)를 형성하되,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과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mart switch 10 forms at least on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and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controls th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to output an external signal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turned on and the operation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again to th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And the illuminat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first lamp button portion 210 and the illuminat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second lamp button portion 24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o.

이 때, 상기 센서부(100)는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In this case, the sensor unit 100 includes a moving body sensor for sensing movement of the moving body in the setting area,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에 의해 감지되는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ng states of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associated with each other in the setting area according to the moving body motion information in the setting area sensed by the sensor unit 100. [

또는, 상기 센서부(100)는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움직임(IN count)과 설정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움직임(OUT count)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count sensor) 및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Alternatively, the sensor unit 100 may include a count sensor for detecting an entrance count (IN count) to the setting zone and an exit count (OUT count) from the setting zone, and a body sensor And a sensor,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카운트 센서로부터 입실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어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고 상기 동체 감지 센서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자동 제어하고, 상기 카운트 센서로부터 퇴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되어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여 동체의 수가 0이 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동체 감지 센서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calculates the number of moving bodies by counting the moving body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entering motion information from the count sensor of the sensor unit 100 and detecting the moving body motion information in the preset region from the moving body detecting sensor The number of the moving bodies is calculated by counting the moving body by detecting the moving motion signal from the count sensor, and the number of the moving bodies is set to 0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be off when the moving body motion information in the setting area is not further detected from the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더불어,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각 버튼부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수단(3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switch 10 is formed with display means 300 for indicating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each button portion.

또한, 상기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 내장되어,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외부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수단(400)에 의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센싱된 움직임 정보 및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mart switch system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embedded in the smart switch 10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network.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mart switch 10, The motion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to 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mart switch system through the external network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400 and the current information of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And transmit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설정구역에 설치되는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으로, 스마트 스위치에 형성된 다수 개의 버튼부의 조작을 통해 스마트 스위치에 내장된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센싱 정보를 상이하게 이용하여, 스마트 스위치의 동작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설정구역 내의 스마트 스위치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또는 수동 제어)하는 자동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smart swi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a smart switch system including a smart switch installed in a setting area. The smart switch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 units formed on a smart switch, To an automatic switch system that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mart switch (automatic or manual control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associated with the smart switch in the setting area).

센서로 동체 감지 센서(특히, PIR 센서)를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카운트 센서와 동체 감지 센서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되어, 센서들을 통해서 생성된 신호 또는 사용자의 제어를 통해,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전, 방재 효과와 더불어 저장된 움직임 정보에 따른 인명구조 등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ensor is constituted by a body detection sensor (in particular, a PIR sensor) alone, or includes both a count sensor and a body detection sensor, so that the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sensors or the user's control,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s of the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efficient saving and the disaster prevention effect as well as the correspondence of the lif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ored motion information.

설정구역 중 특별 관리를 위한 특정 공간(화장실 등)을 지정할 경우, 노약자나 아동들이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입실 움직임과 퇴실 움직임의 분석, 공간 내 움직임의 분석을 통해 안전사고 발생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When a specific space (toilet, etc.) for the special management is designated in the setting area, the elderly person or the child can quickly judge the occurrence of the safety accid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vement of the entrance and exit, There is an effect that prompt response is possible.

또는, 재난 발생시 설정구역의 입실 움직임 정보와 퇴실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각 장소 또는 각 공간에 남아있는 인원수를 정확히 카운팅하여 효과적인 인명 구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saster occurs, the entrance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exit movement information of the setting area are analyzed, and the number of persons remaining in each place or each space can be accurately counted, so that an effective life structure can be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스위치의 실시예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swit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8 show an embodiment of a smart switch to which a smart swit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smart swit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In addition, a system refers to a collection of components, including devices, mechanisms, and means that are organized and regularly interact to perform the required function.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설정구역에 설치된 스마트 스위치(10)에 내장된 센서(100)를 이용하여, 스마트 스위치(10)에 형성된 다양한 버튼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센서(100)에 의해 인가되는 센싱 정ㅈ보를 상이하게 이용하여, 연계되어 있는 설정구역 내의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또는 수동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smart swit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switch system that uses a sensor 100 incorporated in a smart switch 10 installed in a setting area to perform sen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switch system which can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a connected setting area by using different kinds of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swit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8 illustrate smart switches using a smart swit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the smart swi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스위치(10)와 스마트 스위치에 내장된 센서부(100) 및 통합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는 제 1 전등 버튼부(210), 콘센트 버튼부(220), 수동 버튼부(230) 및 제 2 전등 버튼부(24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각각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1, the smart swit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mart switch 10, a sensor unit 100 incorporated in the smart switch, and an integrated controller 200, The smart switch 10 includes a first lamp button unit 210, an outlet button unit 220, a manual button unit 230 and a second lamp button unit 24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ng states of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associated with each other differently.

이 때,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 콘센트 버튼부(220), 수동 버튼부(230) 및 제 2 전등 버튼부(24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ectric light button unit 210,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manual button unit 230, and the second electric light button unit 240 are inputted with an operation signal by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To learn more about each configuration,

상기 센서부(100)는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The sensor unit 100 may sense motion information of a preset zone,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100) 및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may generat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ssociated means in the setting area by using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unit 100 an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are preferably built in the smart switch 10.

상기 센서부(100)는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감지 센서를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00 may include a moving body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moving body within the setting area.

동체 감지 센서는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 초음파 센서,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가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 PIR 센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정확도가 높아 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icrowave sensors, ultrasonic sensors, and PIR sensors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s) are widely used. Currently, PIR sensors are widely used, 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PIR sensors because they are highly accurate to detect movement of a moving object in a setting area .

상기 센서부(100)가 동체 감지 센서(특히, PIR 센서)를 단독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통합 제어부(2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자면,In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when the sensor unit 100 comprises a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particularly, a PIR sensor) alone,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동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s of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associated with each other in the setting area according to the moving body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of the sensor unit 100.

즉,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동체 감지 센서에 의해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자동 제어하고,That is, when the moving body motion information in the setting area is detected by the moving body detecting sensor of the sensor unit 10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the ON state ,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moving body motion information in the setting area is not detected,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to be in an off state.

또한, 상기 센서부(100)는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감지 센서와 더불어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움직임(IN count)과 설정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움직임(OUT count)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count sensor)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0)의 동체 감지 센서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센서부(100)의 카운트 센서는 사용자의 입/퇴실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문틀 등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nsor unit 100 includes a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a moving object in a setting area, a count sensor (IN count) for detecting entry movement into a setting area and a count sensor sensor may be included. As shown in FIGS. 2 to 8, the sensor for detecting a moving body of the sensor unit 100 may be embedded in the smart switch 10, and the count sensor of the sensor unit 100 may be mounted on the user's mouth A door frame or the like capable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oor / exit.

상기 센서부(100)가 동체 감지 센서(특히, PIR 센서)와 카운트 센서로 구성될 경우, 상기 통합 제어부(2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자면,When the sensor unit 100 comprises a moving body sensor (particularly, a PIR sensor) and a count sensor,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카운트 센서로부터 입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될 경우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면서 상기 센서부(100)의 동체 감지 센서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entrance movemen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count sensor of the sensor unit 100,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counts the number of the moving object by counting the moving object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the moving object from the moving object detection sensor of the sensor unit 100, The operating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to be in the ON state.

이와 반대로, 상기 카운트 센서로부터 퇴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되어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여 동체의 수가 0이 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동체 감지 센서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the moving body is counted by counting the moving body by counting the moving body by detecting the moving motion signal from the count sensor, the moving body detection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for a preset time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to be in an OFF state. Here, the preset time can be changed by the setting of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100)는 동체 감지 센서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동체 감지 센서 및 카운트 센서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unit 100 may be constituted by a moving body detecting sensor alone, or may include both a moving body detecting sensor and a counting sensor.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 감지 센서 단독으로 구성될 경우, 동체 감지 센서는 스마트 스위치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As shown in FIGS. 2 to 8, when the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is configured sol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smart switch,

동체 감지 센서 및 카운트 센서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 동체 감지 센서는 스마트 스위치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운트 센서는 스마트 스위치의 일측면(가로방향) 모두에 형성되거나, 좌측면 또는 우측면(가로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uselage sensor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mart switch when the fuselage sensor and the count sensor are all included, and the count sensor is formed on one side (lateral direction) of the smart switch, And is formed on the right side (lateral direction).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설정구역에서 모든 사용자가 퇴실할 경우, 조명수단을 점멸하여 자동 절전 모드로서, 전기수단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자동 방재 모드로 제어할 수 있으며, 설정구역에서 사용자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잠든 것으로 가정하여, 조명수단을 점멸하여 자동 절전 모드로, 전기수단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자동 방재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Thus, the smart swi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automatic disaster prevention mode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means as the automatic power saving mode by blinking the lighting means when all users leave the setting area,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utomatic disaster prevention mode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means in the automatic power saving mode by blinking the illumination means assuming that the user does not exist or the user is asleep when the user is no longer moving.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최초 동작 시, 상기 센서부(100)가 활성화 상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버튼부의 조작이 없을 경우, 상술한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통합 제어부(200)에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자동 제어하게 된다.In the smart swi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or unit 100 is set to the active state at the initial operation, when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various buttons formed on the smart switch 10,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states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be on or off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 [

상세하게는,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ON) 상태로 자동 제어하고,In detail, when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preset zone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switch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unit and the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zone to the ON Control,

이와 반대로,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설정구역의 추가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etting zon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or when additional motion information of the setting zone is not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unit and the electric means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in the OFF state.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더 이상의 스위치 조작 없이 용이하게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효율적인 절전 및 방재까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use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without any further switch operation, and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efficient power saving and disaster prevention are possible.

즉, 설정구역에서 최초 사용자가 입실할 경우, 조명수단을 점등하고 전기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설정구역에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활동을 하고 있을 경우에, 조명수단을 점등하고 전기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irst user enters the setting area, the lighting means is turned on and power is supplied by the electric means, so that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can be automatically provided without the user's oper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lluminate the lighting means and supply electric power by the electric means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종래에는 조명수단 자체에 동체 감지 센서가 내장되어, 조명수단을 교체할 시 동체 감지 센서까지 같이 교체하거나, 동체 감지 센서가 포함된 조명수단으로만 교체가 가능하여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조명수단 또는 전기수단의 교체가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센서부(100) 및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할 필요가 없어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Conventional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moving body detecting sensor is incorporated in the lighting means itself, and when the lighting means is replaced, the moving body detecting sensor can be replaced or replaced only with the lighting means including the moving body detecting sensor. However, Since the switch unit is incorporated in the smart switch 10, the sensor unit 100 an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are not required to be replaced even if the lighting unit or the electric unit is replaced, thereby reducing the cost .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사용자)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 콘센트 버튼부(220), 수동 버튼부(230) 및 제 2 전등 버튼부(240)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mart switch 10 includes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manual button unit 230, and the second lamp button 230, which receive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user) Thereby forming a portion 240.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버튼부들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또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각각 상이하게 생성하게 된다.
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button units,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generate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s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or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 제 1 전등 버튼부(210)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최초에 설정되어 있던 조명수단의 자동 제어 모드에서 수동 제어 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can manual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unit in the setting area to be off. This means switching from the automatic control mode of the lighting means initially set to the manual control mode.

예를 들자면, 자연광이 있는 낮의 경우에는 굳이 조명수단을 통한 광이 없어도 충분히 설정구역이 밝기 때문에, 불필요한 조명수단의 점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를 입력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daytime with natural light, since the setting area is sufficiently bright even without light through the lighting means, the first light button unit 210 can be operated by the user to perform a touch operati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forcibly controlled to be turned off.

이 후,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ted again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the operating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manually controlled to be on.

즉,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자동 제어 모드로의 재전환을 의미한다.
That is, this means that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switched back to the automatic control mode.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가 입력되어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가 수동 제어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도,The smart swit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even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switched to the manual control mode,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자동 제어 모드로 유지하거나, 현재의 동작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al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the automatic control mode or to maintain the current operating state.

상세하게는,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자동 제어 모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In detail,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It can be forcibly controlled in the automatic control mode.

이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 모드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al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switched on / off to the automatic control mode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setting area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part 100,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자면, 자연광이 있는 낮의 경우에는 굳이 조명수단을 통한 광이 없어도 충분히 설정구역이 밝기 때문에, 조명수단의 점등은 필요치 않지만, 선풍기나 TV 등의 전기수단의 동작은 사용자의 이용 여부에 따라서 자동 제어가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daytime with natural light, lighting of the lighting means is not necessary because the setting area is sufficiently bright even without the light through the lighting means, bu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eans such as a fan or a TV is performed by the user Automatic control is possible.

즉,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되어 있지만, 연계되어 있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That is, although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ght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first electric power button unit 210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in an off st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s determined by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It can automatically control ON / OFF.

이 후,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 및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 모두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an external signal is re-inputted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both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and the illumina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ar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Off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또는,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시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deactivat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00 to change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the current state . ≪ / RTI >

상세하게는,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현재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In detail,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ted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can forcib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the current state.

이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상기 센서부(100)가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와 무관하게 현재 상태로 강제 제어된다.In this case, since the sensor unit 100 is inactivat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zone is forcibly controlled to the current state regardless of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etting zone.

예를 들자면, 취침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의 잠결 뒤척임으로 인해 조명수단의 자동 점등은 원치 않지만, 전기장판이나 선풍기 등의 전기수단의 동작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켜져있거나 꺼져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fter sleeping, it is not desired to automatically turn on the illumination means due to the user's confrontation, bu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eans such as the electric plate or the fan is continuously turned on or off regardless of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즉,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되어 있고, 연계되어 있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되는 순간의 상태로 유지된다.That is,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ght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in the off state,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s controlled by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Is held at the moment of input.

이 후,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 및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 모두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an external signal is re-inputted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both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and the illumina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ar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Off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 콘센트 버튼부(220)- an outlet button part (220)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최초에 설정되어 있던 전기수단의 자동 제어 모드에서 수동 제어 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can manual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be off when an external signal through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 This means the transition from the automatic control mode of the first electrical means to the manual control mode.

이 후,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manually controlled to be on.

즉,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자동 제어 모드로의 재전환을 의미하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is means switching back to the automatic control mod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an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가 입력되어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가 수동 제어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도,The smart swi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even when an external signal through the user's touch operation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switched to the manual control mode,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자동 제어 모드로 유지하거나, 현재의 동작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controlled to be maintained in the automatic control mode or kept in the current operating state.

상세하게는,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자동 제어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In detail,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illumination means in the setting area,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Control mode.

즉,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 모드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unit in the setting area to be on / off controlled in the automatic control mode according to whether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etting area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와 연계되어 있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되지만,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An external signal through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eans associated with the outlet button unit 220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off, The operation state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on / off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

이 후,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 및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 모두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external signal is re-inputted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and the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ar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Can be controlled automatically.

또는,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시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deactivat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00 to maintain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unit in the setting area as a current state .

상세하게는,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현재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In detail,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can forcib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the current state.

이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가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와 무관하게 현재 상태로 강제 제어된다.In this case, since the sensor unit 100 is inactivat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illumination means in the setting region is forcibly controlled to the current state regardless of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etting region.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와 연계되어 있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되고,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되는 순간의 상태로 유지된다.An external signal through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so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means associated with the outlet button unit 220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in the off state, The operation state is maintained in a state at the moment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

이 후,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 및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 모두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external signal is re-inputted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and the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ar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Can be controlled automatically.

- 수동 버튼부(230)The manual button unit 230,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manual button unit 23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deactivates the sensor unit 100. 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again to the manual button unit 230, The portion 100 can be activated.

즉, 사용자가 상기 수동 버튼부(230)를 터치할 경우, 더 이상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의 자동 제어 모드를 사용을 원치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센서부(100)를 비활성화시키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manual button unit 230, the automatic control mode of the smart switch system is not considered to be used and the sensor unit 100 is inactivated.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비활성화 상태로 인해 자동 제어 모드가 종료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 1 조명 버튼부(210), 콘센트 버튼부(220) 및 제 2 조명 버튼부(240)로부터 외부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또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수동 제어하게 된다.Since the automatic control mode is terminated due to the deactiv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00,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controls the first illumination button unit 210, the outlet button unit 220, and the second illumination button unit 240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ghting means or the electric means associated with each other is manually controlled.

이 후, 자동 제어 모드로의 전환을 원할 경우, 반드시 상기 수동 버튼부(230)를 재터치하여 외부 신호를 재입력해야 한다.Thereafter, when it is desired to switch to the automatic control mode, the manual button 230 must be re-touched to re-enter the external signal.

이 때, 상기 수동 버튼부(230)는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 전환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시간동안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동작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100 from being switched, the manual button unit 230 may be operated only when the manual button unit 230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

여기서, 소정시간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초 이상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user, and it is generally preferable to input at least three seconds.

다시 말하자면, 상기 수동 버튼부(230)는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수동 제어를 위함으로,In other words, the manual button unit 230 is provided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센서부(100)가 비활성화된 이후,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 콘센트 버튼부(220) 또는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외부 신호(사용자의 터치 동작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직관적으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또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수동 제어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the outlet button unit 220 or the second lamp button unit 220 after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manual button unit 230 and the sensor unit 100 is deactivated. When an external signal (an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which is a touch operation of the user) is input to the lamp button unit 240,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or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intuitively controlled manually.

이를 통해서, 자동 제어 시스템의 조작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 등이 직관적으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an elderly person or the like who has difficulty in operating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can intuitive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 제 2 전등 버튼부(240)The second light button unit 240,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는 반자동 버튼부로서,Th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is a semi-automatic button unit,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과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은 서로 상이하다.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may manual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when the external signal through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is input to th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 In this case, the illuminat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first lamp button portion 210 and the illuminat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second lamp button portion 24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는 비상등이나 수면등 등의 필요에 따라 점등을 하는 조명수단에 연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is connected to an illuminating means for lighting according to necessity such as an emergency light or a water surface.

이 후,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an external signal is re-inputted to th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manually controlled to be off.

다만,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최초 외부 신호가 입력된 후, 외부 신호가 재입력되지 않을 경우,However, if the external signal is not re-inputted after the first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electric button part 240,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를 반자동 버튼부라고 칭한 것이다.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on / off state of the lighting unit associated with th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Accordingly, th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is referred to as a semi-automatic button unit.

더불어,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 콘센트 버튼부(220), 수동 버튼부(230) 및 제 2 전등 버튼부(240)의 각 버튼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mart swi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each button of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manual button unit 230 and th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display means 300.

도 1에서는 상기 표시 수단(300)이 각 버튼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의 구성에 따라 각 버튼부 자체가 발광하도록 각 버튼부와 표시 수단이 결합되거나, 표시 수단이 스마트 스위치의 한편에 모여서 발광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1, the display unit 300 is formed separately from each button unit. Howev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switch 10, each button unit itself emits light, Or the display means may be combined, or the display means may be formed to emit light on one side of the smart switch.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네트워크와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mart swi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400)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network, as shown in FIG.

상기 무선통신수단(400)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센서부(100)에 의한 각종 정보와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4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mart switch system through an external network and display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by the sensor unit 100 and information on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

이 때, 상기 정보들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외부의 요청, 즉, 단말기로부터 정보 요청이 있을 경우,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or when an external request, that is, a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is received.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스마트 스위치에 형성된 다양한 버튼부의 조작을 통해 내장된 센서부에 의해 인가되는 센싱 정보들을 상이하게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또는 수동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전, 방재 효과와 더불어 저장된 움직임 정보에 따른 인명구조 등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in other words, the smart swit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ensing information applied by the built-in sensor unit differently through the operation of various button units formed on the smart switch, The automatic and manual control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the vehicle, and the electric means in real time enables an efficient saving and disaster prevention effect as well as a correspondence of the lif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ored motion inform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 스마트 스위치
100 : 센서부
200 : 통합 제어부
210 : 제 1 전등 버튼부 220 : 콘센트 버튼부
230 : 수동 버튼부 240 : 제 2 전등 버튼부
300 : 표시 수단
400 : 무선통신수단
10: Smart Switch
100:
200:
210: first lamp button section 220: outlet button section
230: manual button portion 240: second light button portion
300: display means
400: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laims (14)

설정구역에 설치되고,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200)가 내장된 스마트 스위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상기 센서부(100) 및 통합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제 1 전등 버튼부(210)와,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콘센트 버튼부(220)와,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수동 버튼부(230)를 형성하며,
각각의 버튼부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100) 또는 상기 통합 제어부(200)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며,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움직임(IN count)과 설정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움직임(OUT count)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count sensor)와,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의 가로방향 일측면에 형성되거나, 가로방향 좌측면 또는 가로방향 우측면에 형성되어,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카운트 센서로부터 입실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어 동체의 카운트를 +1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고 상기 동체 감지 센서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ON) 상태로 자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카운트 센서로부터 퇴실 움직임이 감지되어 동체의 카운트를 -1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여 동체의 수가 0이 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동체 감지 센서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자동 제어하되,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며,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거나,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시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가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활성화시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고,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며,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거나,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시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가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활성화시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A sensor unit 100 installed in the setting area for sensing motion information of the setting area and an integrated controller 2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ssociated means in the setting area using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 in the smart switch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switch 10, a built-in,
The smart switch (10)
The sensor unit 100 and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An outlet button unit 220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and a manual button unit 230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00 or the integrated controller 2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input to each button unit,
The sensor unit 100 includes:
A count sensor formed at a front portion of the smart switch 10 for detecting an IN count and a OUT count from a preset area; And a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formed on a lateral side surface or a right side surface of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sensing movement of the moving body in the setting area,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When counting sensors of the sensor unit 100 detect the entering motion information, the count of the moving body is counted to calculate the number of moving bodies. When the moving body motion information in the setting region is detected from the moving body detecting sens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the ON state,
The count of the moving body is counted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from the count sensor of the sensor unit 100 to count the number of moving bodies so that the number of moving bodies is zero or the moving body movement informati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be OFF,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ted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off,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ted again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on,
Even if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preset zone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00 is deactivated to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to be maintained in the current state,
When the external light signal is re-inputted to the first lamp button unit 210 ,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00 is activated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automatically Control,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off,
When the external signal is re-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the operating state of the associate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on,
Even if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the sensor information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00 is deactivated to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unit in the setting area to be maintained in the current state,
When the external signal is re-input to the outlet button unit 220 ,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unit 100 is activat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ghting unit in the setting area according to whether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etting area is sensed Wherein the smart switch system is a smart switch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manual button unit 230, the sensor unit 100 is deactivated,
And activates the sensor unit (100)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manual button unit (2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등 버튼부(240);를 형성하되,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과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switch (10)
And at least on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00
When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the operating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on,
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again to the second lamp button unit 240, the operating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manually controlled to be off,
Wherein the illuminat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first lamp button portion (210) and the illuminat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second lamp button portion (240) are differ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각 버튼부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수단(300);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switch (10)
Display means (300) for indicat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each button portion;
Wherein said smart switch system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 내장되어,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수단(4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외부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수단(400)에 의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센싱된 움직임 정보 및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switch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400) built in the smart switch (10)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network;
Further comprising:
Depending on the predefined period, or on an external request,
The motion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to 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mart switch system through the external network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400 and the current information of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And transmits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KR1020150146527A 2015-10-21 2015-10-21 Smart switch system KR1017334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527A KR101733469B1 (en) 2015-10-21 2015-10-21 Smart switch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527A KR101733469B1 (en) 2015-10-21 2015-10-21 Smart switch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837A KR20170046837A (en) 2017-05-04
KR101733469B1 true KR101733469B1 (en) 2017-05-25

Family

ID=5874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527A KR101733469B1 (en) 2015-10-21 2015-10-21 Smart switch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46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583A (en)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보탬 Early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moving body direction recognition
KR20230036234A (en) 2021-09-07 2023-03-14 주식회사 보탬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KR20230044684A (en)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보탬 Lighting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224B1 (en) * 2019-09-02 2021-07-14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Remote emergency situation monitering system using smart swit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3Y1 (en) * 2013-05-03 2013-10-04 주식회사 엠알엔지니어링 Multi-function switch
JP2015065080A (en) * 2013-09-25 2015-04-0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Swit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3Y1 (en) * 2013-05-03 2013-10-04 주식회사 엠알엔지니어링 Multi-function switch
JP2015065080A (en) * 2013-09-25 2015-04-0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Swit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583A (en)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보탬 Early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moving body direction recognition
KR20230036234A (en) 2021-09-07 2023-03-14 주식회사 보탬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KR20230044684A (en)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보탬 Lighting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837A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0372B2 (en) Occupancy sensor with dimmer feature and night light and method of lighting control using the same
KR101733469B1 (en) Smart switch system
EP1982565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JP2007520046A (en) Automatic power saving switch
EP2668825B1 (en) Lighting system
JP3823648B2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RU93612U1 (en) ENERGY-SAVING LIGHTING SYSTEM (OPTIONS) AND MOTION SENSOR FOR ENERGY-SAVING LIGHTING SYSTEM (OPTIONS)
KR20080085710A (en) Heat ray wireless transmitter and wireless receiver
KR100778931B1 (en) Automatic lighting switch for infant and the disabled
JP2013026073A (en) Lighting device
TW201436640A (en) Switch system and wall switch used for the same
JP2005071873A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illumination device
KR101597664B1 (en) Energy-saving inner lighting apparatus
JP2006269407A (en) Two-wire system load control device
KR1015085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oilet lighting
KR20160136490A (en) Automatic switch system include PIR sensor and count sensor
KR1009405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lamp by digital type
JP3224376U (en) Lamp control circuit
JP4406826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KR101840333B1 (en) A Senser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40100233A (en) Sensor lamp having and emergency lamp function
KR20140112993A (en) Sensor lamp for controlling brightness
KR20070057104A (en) Automatic light controllling apparatus
JP3080028U (en) Emergency lighting
WO2011081565A2 (en) Energy-saving lighting system (variants) and motion sensor for energy-saving lighting system (vari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