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712B1 - Component feeder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feeding method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mponent feeder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feeding method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712B1
KR101729712B1 KR1020100109609A KR20100109609A KR101729712B1 KR 101729712 B1 KR101729712 B1 KR 101729712B1 KR 1020100109609 A KR1020100109609 A KR 1020100109609A KR 20100109609 A KR20100109609 A KR 20100109609A KR 101729712 B1 KR101729712 B1 KR 101729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tape feeder
feeder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0378A (en
Inventor
토시야 아카가와
히토시 코바야시
나오야 미우라
요스케 츠치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3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CDIGITAL COMPUTERS IN WHICH ALL THE COMPUTATION IS EFFECTED MECHANICALLY
    • G06C11/00Output mechanisms
    • G06C11/10Arrangements for feeding single sheets or continuous web or tape, e.g. ejection device; Line-spacing devices
    • G06C11/12Arrangements for feeding single sheets or continuous web or tape, e.g. ejection device; Line-spacing devices for feeding ta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8Simultaneously loading a plurality of loose objects, e.g. by means of vibrations, pressure differences,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공급장치의 개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구동방식이 다른 테이프 피더를 병용할 수 있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부품실장장치(1)에서의 부품공급장치(3)는, 일괄 교환 캐리지를 이용하여 장착된 테이프 피더가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인지 전동 테이프 피더(52)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구동동력부(10 ; 노크 핀(11) 및 노크 실린더(12))를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의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이 실시되는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전동 테이프 피더(52)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구동동력부(10)를 상승시키지 않고 전동 테이프 피더(52)의 테이프 배출경로를 확보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nent supply device in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a component supply method in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that can use a tape feeder of a different drive system without requiring modification of a component supply apparatus.
The component feeding device 3 i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discriminates whether the tape feeder mounted using the batch exchange carriage is the mechanically driven tape feeder 32 or the electric tape feeder 52.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ape feeder 32 is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the drive power section 10 (the knock pin 11 and the knock cylinder 12) When the electric tape feeder 52 is determined, the tape discharging path of the electric tape feeder 52 is ensured without raising the driving power section 10. In this case,

Description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방법{COMPONENT FEEDER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FEEDING METHOD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supplying apparatus for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a component supplying method for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를 테이프 피더에 의해 풀어내어, 부품흡착위치로 공급이송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 및 부품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supply device and a component supply method in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that unloads a component storage tape for storing electronic components by a tape feeder and feeds the components to a component pickup position.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로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본 기술은, 피더 뱅크마다 테이프 피더를 교환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일괄 교환 캐리지를 이용하여 복수의 테이프 피더를 일괄 교환한다.As a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for example, there is a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n this technique, a tape feeder is exchanged for each feeder bank. Here, a plurality of tape feeders are collectively exchanged using a batch exchange carriage.

테이프 피더로서는, 기계구동방식의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와 전동구동방식의 전동 테이프 피더가 있다.As the tape feeder, there are a mechanical drive type tape feeder and an electric drive type electric tape feeder.

기계 구동식 테이프 피더는, 노크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기구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것이다. 노크 실린더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본체에서의 테이프 피더 설치위치의 전방 하측에 고정되며, 에어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receives power from a drive mechanism, such as a knock cylinder, and supplies electronic components. The knocking cylinder is generally fixed to the front lower side of the tape feeder mounting position 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main body, and is driven by supply of air.

도 12에서 종래의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110)를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ventional machine-driven tape feeder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전자부품이 수용된 테이프(112)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본체(도시생략)에 고정된 노크 실린더(201)를 동력으로 하는 기계적인 구동기구에 의해 순차적으로 풀려 나와, 테이프 카트리지(113)로부터 픽업위치(P)로 보내진다. 그리고, 픽업위치(P)에서 전자부품이 흡착된 후의 빈 테이프(112a)는, 하방으로 꺾여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 내부를 지나, 해당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의 후방(도 12에서의 좌측)으로 배출된다.The tape 112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is accommodated is sequentially released by a mechanical driving mechanism that is powered by the knock cylinder 201 fix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body (not shown) (P). The empty tape 112a after the electronic component is picked up at the pick-up position P is bent downward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and is discharged to the rear (left side in FIG. 12) do.

한편, 전동 테이프 피더는, 상술한 노크 실린더로부터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전동 테이프 피더 본체에 내장된 모터에 의해 테이프를 이송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tape feeder does not require the power from the knock cylinder described above, and has a structure for feeding the tape by the motor incorporated in the electric tape feeder main body.

도 13에서 종래의 전동 테이프 피더(120)를 설명한다.The conventional electric tape feeder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전동 테이프 피더(120)는, 전동 일괄 교환 캐리지(121)를 이용하여 전자부품 실장장치 본체(300)에 장착된다. 전자부품이 수용된 테이프(122)는, 캐리지(121)에 배치된 테이프 카트리지(124)로부터, 전동 테이프 피더(120)에 내장된 모터(123)의 동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끌려 나와, 픽업위치(P)로 보내진다. 픽업 후의 빈 테이프(122a)는, 전동 테이프 피더 전방(도 13에서의 우측)을 지나, 자연 낙하하듯이 전자부품 실장장치 하방으로 배출된다.The electric tape feeder 120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part mounting apparatus main body 300 by using the motor-driven batch exchange carriage 121. The tape 122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is accommodated is sequentially drawn by the power of the motor 123 incorporated in the electric tape feeder 120 from the tape cartridge 124 disposed in the carriage 121, ). The picked-up empty tape 122a passes through the front of the electric tape feeder (the right side in Fig. 13) and is discharged downwardly as if it is a natural drop.

이와 같이, 테이프 피더의 구동방법에 따라 테이프 배출경로가 다르다. 이 때문에, 도 12의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110)를 장착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본체에, 도 13에 나타낸 전동 일괄 교환 캐리지(121)를 이용한 전동 테이프 피더(120)를 장착하였을 경우, 전자부품 실장장치 본체에 고정된 노크 실린더(201) 등의 구동기구가 전동 테이프 피더(120)의 테이프 배출경로를 막기 때문에, 전동 테이프 피더(120)를 사용할 수가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tape ejection path differs depending on the method of driving the tape feeder. Therefore, when the electric tape feeder 120 using the motor-driven batch exchange carriage 121 shown in Fig. 13 is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to which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110 shown in Fig. 12 is attached, The drive mechanism such as the knock cylinder 201 fixed to the mounting apparatus main body blocks the tape discharging path of the electric tape feeder 120, so that the electric tape feeder 120 can not be used.

이에, 구동방식이 다른 테이프 피더를 병용가능하도록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의 풀어내는 조출(繰出)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동력부(노크 실린더)를 전자부품 실장장치 본체에 설치하지 않고 부품공급장치측에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for example,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that can use a tape feeder having a different drive system in combinatio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cludes a drive power section (knock) for performing a feed- Cylinder) is provided on the component supply device side rather than o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main body.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319791호[Patent Document 1] JP-A-2002-319791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8-294286호[Patent Document 2] JP-A-2008-294286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본체가 상기 구동동력부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동동력부를 구비하지 않은 일반적인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는 사용할 수가 없다. 즉,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를 사용할 경우에는, 부품공급장치 본체에 구동 동력부를 구비하기 위한 개조가 필요하게 된다.However, 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since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main body does not include the drive power section, a general machine-driven tape feeder having no drive power section as shown in Fig. 12 can be used none. That is, when a machine-driven tape feeder is used,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component feeder main body to provide a drive power section.

이에, 본 발명의 과제는, 부품공급장치를 개조할 필요없이 구동방식이 다른 테이프 피더를 병용할 수 있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that can use a tape feeder having a different drive system without having to modify the component supplying apparatu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관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실장장치는, 테이프 피더에 부착된 부품 수납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繰出)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하로 구동하는 노크 핀과, 상기 노크 핀을 구동시키는 노크 실린더를 갖는 테이프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테이프 이송수단에 의해 부품 수납 테이프를 풀어내어 공급이송하는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 또는 전동모터에 의해 부품 수납 테이프를 풀어내어 공급이송하는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로서,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을, 상기 풀어내는 조출 동작이 실시될 수 있는 제 1 배치위치와, 상기 제 1 배치위치로부터 상하방향 중 한쪽으로 이격되는 제 2 배치위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includes: a knock pin which is driven up and down to perform a feeding operation for unloading a component storing tape attached to a tape feeder; A tape feeder of a machine-driven type for feeding and feeding the component storing tape by the tape feeding means, or a component feeder tape is loosened and supplied by an electric motor, provided with a tape feeding means having a knock cylinder for driving the knock pin The tape feed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ape feeding means is a first feeding position in which the fee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 And a second arrangement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rrangement pos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means.

이와 같이,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테이프 이송수단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연결된 테이프 피더의 구동방식에 따라, 테이프 이송수단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구동방식이 다른 테이프 피더를 병용할 수 있는 부품실장장치로 할 수가 있다.In this manner, since the tape feeding means for performing the feeding operation for releasing the tape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tape feeding means at an appropriat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connected tape feed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that can use a tape feeder having a different drive system.

또한, 청구항 2에 관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실장장치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피더가, 상기 기계구동방식인지 상기 전동구동방식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이 기계구동방식인 것으로 판별하였을 때,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을 상기 제 1 배치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판별수단이 전동구동방식인 것으로 판별하였을 때,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을 상기 제 2 배치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there is provided a discriminating means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tape feeder is the mechanical drive system or the electric drive system, The elevating means moves the tape transporting means to the first arrangement pos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riminating means is a mechanical drive system and when the discriminating means judges that the transporting drive system is used, To a second disposition position.

이로써,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가 연결되었을 경우에는, 부품실장장치측에 설치된 테이프 이송수단에 의해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부품공급장치를 개조할 필요없이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tape feeder of the mechanical driving type is connecte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feeding operation of releasing the tape by the tape feeding means provid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a tape feeder of a mechanical drive type without needing to modify the component feeder.

또한,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가 연결되었을 경우에는, 부품실장장치측에 설치된 테이프 이송수단이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의 장착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Further, when the tape feeder of the electric drive type is conn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pe feed means provid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side from interfering with the mounting of the tape feeder of the electrically driven type, .

더욱이, 청구항 3에 관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실장장치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와 상기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에 따라 부품 수납 테이프의 배출경로가 다른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 2 배치위치는, 상기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의 배출경로로부터 상하방향 중 한쪽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the ejection path of the component storage tap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ape feeder of the mechanical drive system and the tape feeder of the electric drive system And the second placement posi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ath of the tape feeder of the electrically driven type in one of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이로써,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를 연결하였을 때, 부품실장장치측에 설치된 테이프 이송수단에 의해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배출경로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 피더의 전방으로 부품공급 후의 빈 테이프를 배출하는 일반적인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라 하더라도 적정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tape discharging path of the electrically driven type tape feeder from being blocked by the tape feeding means provid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side when the electrically powered tape feeder is connected. Therefore, even a tape drive of a general electric drive type in which a blank tape after component supply is discharged in front of the tape feeder can be suitably used.

또한, 청구항 4 또는 5에 관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실장장치는, 청구항 2 또는 3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연결된 상기 테이프 피더와의 접촉에 의해 임의의 출력값을 출력하는 접촉식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피더의 구동방식에 따라 상기 출력값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or 5 is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discriminating means is a contact which outputs an arbitrary output value by contact with the connected tape feeder And the output value changes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of the tape feeder.

이로써, 비교적 간이한 구성으로 테이프 피더의 구동방식을 확실히 판별할 수가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reliably discriminate the driving method of the tape feeder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더욱이, 청구항 6 또는 7에 관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실장장치는, 청구항 2 또는 3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유체압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별수단은, 연결된 상기 테이프 피더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승강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실린더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경로의 연통(連通)과 차단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or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elevat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cylinder moving up and down by fluid pressure, The means switche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working fluid supply path to the cylinder constituting the elevating means by contact with the connected tape feeder.

이로써, 비교적 간이한 구성으로 테이프 피더의 구동방식을 확실히 판별할 수 있는 동시에, 승강수단의 구동제어를 수행할 수가 있다.As a result, the driving method of the tape feeder can be reliably discriminated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the driving control of the elevating means can be performed.

더욱이 청구항 8 또는 9에 관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실장장치는, 청구항 6 또는 7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 및 상기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가, 각각 이동가능한 캐리지에 탑재되며, 상기 캐리지에 탑재된 상태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or 9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tape feeder of the electric drive system and the tape feeder of the mechanical drive system And mounted on the carriage so as to be mounted o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더욱이, 청구항 10에 관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실장방법은, 상기 테이프 피더에 부착된 부품 수납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하로 구동하는 노크 핀과, 상기 노크 핀을 구동시키는 노크 실린더를 갖는 테이프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테이프 이송수단에 의해 부품 수납 테이프를 풀어내어 공급이송하는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 또는 전동모터에 의해 부품 수납 테이프를 풀어내어 공급이송하는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방법으로서, 연결된 상기 테이프 피더가, 기계구동방식인지 혹은 전동구동방식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프 피더가 기계구동방식인 것으로 판별하였을 때,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을 상기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제 1 배치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테이프 피더가 전동구동방식인 것으로 판별하였을 때,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을 상기 제 1 배치위치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배치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onent mounting method 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es a knock pin that is driven to move up and down in order to perform a feeding operation for unloading the component storing tape attached to the tape feeder, A tape feeder of a mechanical drive type that has a tape transporting means having a cylinder and which transports the component storage tape by unloading the component storage tape by the tape transporting means or an electric drive type tape which uncovers and feeds the component storage tape by an electric motor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tape feeder connected to the tape feeder is a mechanical drive system or an electric drive system;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ape feeder is a mechanical drive system The tape conveying means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pe conveying means Moving the tape transporting means from the first placement position to a second placement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cement pos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ape feeder is an electric drive system And a control unit.

이와 같이, 연결된 테이프 피더의 구동방식에 따라, 테이프 이송기구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구동방식이 다른 테이프 피더를 병용할 수 있는 부품실장방법으로 할 수가 있다.In this manner, the tape feeding mechanism can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method of the connected tape feeder, so that the component mounting method capable of using different tape feeders in combination with the driving method.

더욱이, 청구항 11에 관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실장방법은,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치위치는, 상기 기계구동방식 테이프 피더의 부품 수납 테이프 배출경로와는 다른 상기 전동구동방식 테이프 피더의 부품 수납 테이프 배출경로로부터 상하방향 중 한쪽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the component mount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rrangement position is a position in which the component mounting tape discharging path of the machine- And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mponent storage tape discharge path of the tape feeder.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계구동방식의 구동동력부(노크 핀 및 노크 실린더)를 부품실장장치 본체에 설치하고, 그 구동동력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 때문에, 부품실장장치 본체에 연결하는 테이프 피더의 종류가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인지 전동 테이프 피더인지에 따라, 구동동력부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대폭적으로 개조할 필요없이 구동방법이 다른 테이프 피더를 병용할 수 있는 부품실장장치로 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ucture in which a driving force portion (knock pin and knock cylinder) of a mechanical driving type for performing a feeding operation for releasing a tape is provided i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main body and the driving power portion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refore, depending on whether the type of the tape feeder connected to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main body is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or the electric tape feeder, the drive power section can be disposed at a proper posi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using other tape feeders in a driving method without requiring a large modification.

도 1은 기계구동방식의 부품공급장치를 연결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부품실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측면도이다.
도 2는 전동구동방식의 부품공급장치를 연결한 상태에서의 부품실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측면도이다.
도 3은 구동동력부와 그 주변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노크 실린더의 상태도이다.
도 5는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 사용시의 뱅크 확인 스위치의 상태도이다.
도 6은 전동 테이프 피더 사용시의 뱅크 확인 스위치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부품실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어부에서 실행하는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 사용시의 테이프 배출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전동 테이프 피더 사용시의 테이프 배출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노크 실린더의 승강 판단에 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전동 테이프 피더를 사용한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component supplying apparatus of a mechanical drive type is connected;
2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 a state in which a component supplying apparatus of an electric drive system is connect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power section and its peripheral components.
4 is a state diagram of the knock cylinder.
5 is a state diagram of a bank check switch when a machine-driven tape feeder is used.
6 is a state diagram of the bank check switch when the electric tape feeder is used.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8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Fig. 9 is a view showing a tape discharge path when a machine-driven tape feeder is used. Fig.
10 is a view showing a tape discharging path at the time of using the electric tape feeder.
Fig. 1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judgment of the knocking cylinder.
12 is a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conventional mechanical drive type tape feeder.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tape feed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구성)(Configuration)

부품실장장치(1)는,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공급장치(3)가 분리·연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품공급장치(3)는 기계구동방식 및 전동구동방식의 2종류를 병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mponent supplying apparatus 3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separated and connected.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ponent feeding device 3 can be used in combination of two types of machine driving method and electric driving method.

도 1에 도시된 기계구동방식의 부품공급장치(3)는, 기계구동식의 일괄 교환 캐리지(31)가 배치되어 있다. 일괄 교환 캐리지(31)는, 캐스터(31a)에 의해 바닥면 위를 자유롭게 수평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일괄 교환 캐리지(31)에 기계구동식 피더 뱅크(33)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component feeding device 3 of the machine driving type shown in Fig. 1, a machine-driven batch exchange carriage 31 is disposed. The batch exchange carriage 31 can freely move horizontally on a floor surface by a caster 31a and a machine driven feeder bank 33 is provided in the batch exchange carriage 31. [

기계구동식 피더 뱅크(33)는, 복수의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를 병렬상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보유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부품실장장치(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machine-driven feeder bank 33 has a plurality of machine-driven tape feeders 32 detachably attached in a parallel state, and is configured to be vertically movable up and down. The machine-driven feeder bank 33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Respectively.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에 설치된 테이프 카트리지(34)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테이프 본체와 커버 테이프로 이루어진 주지의 부품 테이프가 감겨 보유되어 있다. 상기 부품 테이프는, 테이프 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부품을 수용하는 부품수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들 부품수납부 위를 커버하도록 커버 테이프가 피복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 테이프가 테이프 카트리지(34)로부터 도출되어 피더 전방의 픽업위치(P)로 유도되면, 픽업위치(P) 바로 앞에서, 커버 테이프가 테이프 본체로부터 박리되어 부품을 꺼낼 수 있게 됨에 따라 부품실장장치(1)의 부품흡착노즐에 의한 부품의 흡착이 이루어진다.Although not shown, a known component tape made of a tape main body and a cover tape is wound and held by the tape cartridge 34 provided on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 The component tape has a component housing part for hous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tape main body, and a cover tape is coated and bonded to cover the parts housing part. When the component tape is pulled out from the tape cartridge 34 and is guided to the pick-up position P in front of the feeder, the cover tape can be peeled off from the tape body just before the pickup position P, The component is suctioned by the component suction nozzle of the mounting apparatus 1. [

부품이 흡착된 후에는, 예컨대 노크 레버와 래칫을 갖는 주지의 소정의 조출(繰出)기구(도시생략)에 의해, 부품 테이프가 일정량씩 풀어내어져 반송된다. 구체적으로는,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에서의 픽업위치(P)의 하방에 노크 레버를 배치하고, 상기 노크 레버의 요동에 따라 래칫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테이프를 일정량씩 풀어낸다.After the component is sucked, the component tape is unrolled and transpor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feeding mechanism (not shown) having, for example, a knock lever and a ratchet. Specifically, a knock lever is disposed below the pick-up position P in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and the ratchet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cking motion of the knock lever to release the tape by a predetermined amount.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의 조출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동력원이 부품실장장치(1)측에 설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driving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feeding mechanism of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is provid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side.

도 2에 도시된 전동구동방식의 부품공급장치(5)는, 전동 일괄 교환 캐리지(51)를 이용하여 부품실장장치(1)에 전동 테이프 피더(52)를 장착하는 것이다.2 is that the electric tape feeder 52 i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by using the motor-driven batch exchange carriage 51. The component-

전동 일괄 교환 캐리지(51)는, 캐스터(51a)에 의해 바닥면 위를 자유롭게 수평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전동 피더 뱅크(53)를 고정 유지하고 있다.The motor-driven batch exchange carriage 51 is freely movable horizontally on the floor surface by the caster 51a, and the motorized feeder bank 53 is fixedly held.

전동 피더 뱅크(53)는, 복수의 전동 테이프 피더(52)를 병렬상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유지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 일괄 교환 캐리지(51)는 부품실장장치(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electric feeder bank 53 holds the plurality of electric-tape feeders 52 in a detachable state in a parallel state, and is configured to be vertically movable up and down. The motor-driven batch exchange carriage 51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전동 테이프 피더(52)는, 테이프 카트리지(54)를 구비한다.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54)는 상기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카트리지(3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 본체와 커버 테이프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부품이 수용된 테이프를 감은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트리지(54)로부터 도출된 테이프가 상기 픽업위치(P)로 유도되어, 픽업위치(P) 바로 앞에서 커버 테이프가 테이프 본체로부터 박리되어 부품을 꺼낼 수 있게 된다.The electric tape feeder (52) has a tape cartridge (54). The tape cartridge 54, like the tape cartridge 34 of the mechanical drive type, is made of a tape main body and a cover tape, and holds a tape containing a plurality of part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wound state. The tape led out from the tape cartridge 54 is guided to the pickup position P so that the cover tape is peeled from the tape main body immediately before the pickup position P to take out the component.

부품이 흡착된 후에는 소정의 조출기구에 의해 테이프가 일정량씩 풀어 내어진다. 여기서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조출기구로서 스프로킷(sprocket) 등의 회전체를 이용한다.After the component is adsorbed, the tape is released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a predetermined feeding mechanism. Here, although not particularly shown, a rotating body such as a sprocket is used as a feeding mechanism.

구체적으로는, 전동 테이프 피더(52)에서의 픽업위치(P)의 하방에, 테이프에 걸림결합되는 스프로킷을 배치하고, 해당 조출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동력원인 전동모터에 의해 스프로킷을 회전시켜 테이프를 일정량씩 풀어낸다.Specifically, a sprocket to be engaged with the tape is disposed below the pickup position P in the electric tape feeder 52, and the sprocket is rotated by the electric motor serving as a driving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feeding mechanism to move the tape It releases a certain amount.

이와 같이, 부품공급장치(5)는, 전동 테이프 피더(52)의 조출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동력원을 구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nent feeding device 5 is provided with a driving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feeding mechanism of the electric tape feeder 52.

다음으로, 부품실장장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부품실장장치(1)는,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의 조출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인 구동동력부(10)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동력부(10)는, 피더 뱅크(33) 상에 설치가능한 테이프 카트리지(34)의 개수에 상당하는 수만큼 상기 테이프 피더의 배열방향(X방향)으로 배열된 노크 핀(11)과, 상기 노크 핀(11)을 승강시키는 노크 실린더(12)로 구성된다.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a driving power section 10 which is a power source for driving a feeding mechanism of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The drive power section 10 includes knock pins 11 arranged in the tape feeder arrangement direction (X direction) b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ape cartridges 34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feeder bank 33, And a knock cylinder (12)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knock pin (11).

노크 실린더(12)는 길이방향(도 4의 좌우방향)으로 노크 핀(11)과 동일 수가 배열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에어공급 및 에어다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knocking cylinders 12 are arranged in the same number as the knock pins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IG. 4), and can be operated by air supply and air-down individually by a control unit described later.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동력부(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부품실장장치(1)에 장착되는 테이프 피더의 종류(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인지 전동 테이프 피더(52)인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로 세팅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power section 1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ype of the tape feeder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or the electric tape feeder 52 )), As shown in Fig.

즉, 부품실장장치(1)는 구동동력부(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노크 실린더 고정대(13)와, 에어 실린더(14)와, 가이드 레일(15)을 구비한다.That is,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includes a knock cylinder fixing table 13, an air cylinder 14, and a guide rail 15 in order to configure the driving power section 10 to be movable up and down.

에어 실린더(14)는 테이프 피더 설치위치의 전방 하측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에어 실린더(14)를 부품실장장치(1)의 X방향 양단부에 각각 1개씩 배치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에어 실린더(14)에는,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에어공급 및 에어다운이 실시된다.The air cylinder 14 is disposed in the front lower side of the tape feeder installation posi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he air cylinders 14 are arranged in the X-direction both ends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respectively. The air cylinder 14 is supplied with air and air-down by a control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에어 실린더(14)의 구동부 선단에는, 각각 노크 실린더 고정대(13)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노크 실린더 고정대(13)에 노크 실린더(12)가 부착된다.A knock cylinder fixing table 13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driving unit of the air cylinder 14 and knock cylinders 12 are attached to these knock cylinder fixing stands 13, respectively.

또, 가이드 레일(15)은 테이프 배출경로의 양측으로 떨어져 노크 실린더(12)의 양측에 배치되며, 부품실장장치(1)의 Z방향으로 연이어 존재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15)에 노크 실린더(12)가 걸림결합되어 있다.The guide rails 15 are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tape discharge path and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knock cylinder 12 and exist in the Z direction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The guide rails 15 are provided with knock cylinders 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에어 실린더(14)의 에어를 제어함으로써, 노크 실린더(12)가 가이드 레일(15)로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by controlling the air in the air cylinder 14, the knocking cylinder 12 is guided by the guide rails 15 and linearly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부품실장장치(1)에 전동 테이프 피더(52)를 장착한 경우에는, 에어 실린더(14)를 에어다운한 초기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노크 실린더(12)를 도 4(a)에 나타낸 초기위치(제 2 배치위치)에 배치한다. 그리고, 부품실장장치(1)에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를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에어 실린더(14)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노크 실린더(12)를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위치로부터 소정 높이(H)만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동작위치(제 1 배치위치)로 한다.When the electric tape feeder 52 i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the knocking cylinder 12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shown in Fig. 4 (a) by keeping the air cylinder 14 in the initial state of air- Second placement position). When the mechanical drive type tape feeder 32 i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air is supplied to the air cylinder 14 so that the knock cylinder 12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4 (b) (First placement position) that is moved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position.

제 2 배치위치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크 핀(11) 및 노크 실린더(12)가 전동 테이프 피더(52)에서의 후술하는 테이프 배출경로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한다.The second arrangement position is such that the knock pin 11 and knock cylinder 12 do not interfere with the tape ejection path described later in the electric tape feeder 52 as shown in Fig.

또한, 제 1 배치위치는, 노크 핀(11)이 도시되지 않은 조출기구에 연결동작 가능한 위치,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의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繰出) 동작이 실시될 수 있는 위치로 한다.9, the knock pin 1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knock pin 11 can be connected to a feeding mechanism (not shown),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is assumed.

더욱이, 부품실장장치(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더 뱅크 설치대(16)와, 상기 피더 뱅크 설치대(16)에 구동 선단부가 고정된 피더 뱅크용 실린더(17)를 구비한다.3,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includes a feeder bank mounting base 16 and a feeder bank cylinder 17 having a drive end fixed to the feeder bank mounting base 16.

피더 뱅크 설치대(16)상에는, 부품공급장치(3 또는 5)를 일괄 교환 캐리지(31 또는 51)를 이용하여 부품실장장치(1)에 장착하였을 때, 일괄 교환 캐리지(31 또는 51)에 조립설치한 피더 뱅크(33 또는 53)가 설치된다.When the component feeder 3 or 5 i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by using the batch exchange carriage 31 or 51 on the feeder bank mounting table 16, One feeder bank 33 or 53 is installed.

또, 피더 뱅크용 실린더(17)에는,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에어의 공급 및 에어 다운이 실시된다. 피더 뱅크용 실린더(17)에 에어의 공급이 이루어지면, 피더 뱅크가 부품의 공급 및 탑재를 수행하는 소정의 부품공급위치까지 상승한다. 이때, 피더 뱅크 설치대(16)와 피더 뱅크 설치대(16)에 대향배치된 대향부재(18)에 의해 피더 뱅크를 끼움지지함으로써, 피더 뱅크가 세팅된다.The cylinder 17 for the feeder bank is supplied with air and downed by the control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air is supplied to the cylinder 17 for the feeder bank, the feeder bank rises up to a predetermined component supply position for supplying and mounting the components. At this time, the feeder bank is set by supporting the feeder bank by the opposing member 18 disposed opposite to the feeder bank mounting base 16 and the feeder bank mounting base 16.

대향부재(18)의 하면(피더 뱅크 설치대(16)와의 대향면)에는, 부품실장장치(1)에 장착된 테이프 피더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해, 접촉식의 뱅크 확인 스위치(19)가 고정되어 있다. 뱅크 확인 스위치(19)는 피더 뱅크와의 접촉에 의해 ON신호를 출력한다.A contact type bank check switch 19 is fix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posing member 18 (the surface facing the feeder bank mounting table 16) to discriminate the type of the tape feeder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have. The bank check switch 19 outputs an ON signal by contact with the feeder bank.

부품실장장치(1)의 부품공급위치에 기계구동식 피더뱅크(33)를 세팅하면,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부재(18)의 하면과 기계구동식 피더 뱅크(33)의 상면이 맞닿는다. 이때,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구동식 피더뱅크(33)의 상면으로 뱅크 확인 스위치(19)를 누름으로써 뱅크 확인 스위치(19)가 ON 상태가 된다.Driven feeder bank 33 is set at the component feed position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as shown in Fig. 5 (a) The top surface touches.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b), the bank check switch 19 is turned on by pressing the bank check switch 19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chine-driven feeder bank 33.

한편, 부품실장장치(1)의 부품공급위치에 전동 피더 뱅크(53)를 세팅하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부재(18)의 하면과 전동 피더 뱅크(53)의 상면이 맞닿는데, 전동 피더 뱅크(53)에 뱅크 확인 스위치(19)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6(b)와 같은 구멍(53a)을 형성함으로써, 뱅크 확인 스위치(19)를 OFF 상태로 유지한다.6 (a), the lower surface of the opposed member 18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 feeder bank 5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omponent supply position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The bank confirmation switch 19 is kept in the OFF state by forming the hole 53a as shown in Fig. 6 (b) in order to prevent the bank confirmation switch 19 from contacting the electric feeder bank 53 .

따라서, 뱅크 확인 스위치(19)는, 부품공급위치에 세팅한 테이프 피더의 종류에 따라 다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erefore, the bank check switch 19 outputs a signal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ape feeder set at the component feed position.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에는, 뱅크 확인 스위치(19)의 ON/OFF 신호와, 세트 업 스위치(21)의 세트 업 신호가 입력된다. 여기서, 세트 업 스위치(21)는, 부품실장장치(1)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부품공급장치(3 또는 5)의 분리연결시에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이다.7, the ON / OFF signal of the bank check switch 19 and the set-up signal of the set-up switch 21 are inputted to the control unit 20. [ The set-up switch 21 is a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and operated by an operator when the component supplying apparatus 3 or 5 is detachably connected.

그리고, 제어부(20)는, 각종 프로그램 혹은 데이터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ROM), 입력된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RAM), 혹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프로세서부(CPU)에 의해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20 includes a storage unit (ROM) for storing various programs or data in advance, a storage unit (RAM) for storing input data or the like, or a processor unit (CPU) .

제어부는,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피더뱅크용 실린더(17), 에어실린더(14) 및 노크 실린더(12)에 대한 에어공급 지령신호 및 에어다운 지령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outputs an air supply command signal and an air down command signal to the cylinder 17 for the feeder bank, the air cylinder 14, and the knock cylinder 12 based on the input signal.

도 8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서, 제어부(20)가 실행하는 처리수순을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lowchart shown in Fig. 8, the processing procedur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20 will be described.

먼저, 세트 업 스위치(21)의 세트 업 신호가 판독되어, 세트 업 스위치(21)가 ON 상태인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 그리고, 세트 업 스위치(21)가 OFF 상태인 경우에는, ON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하고, ON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피더뱅크용 실린더(17)에 대하여 에어공급 지령신호가 출력된다(단계 S2). 이로써, 피더뱅크용 실린더(17)가 동작하여 피더뱅크 설치대(16)가 상승하고, 피더뱅크 설치대(16)상에 설치된 피더뱅크가 부품공급위치까지 상승한다.First, the set-up signal of the set-up switch 21 is read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set-up switch 21 is in the ON state (step S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up switch 21 is in the ON state, the air supply command signal is outputted to the cylinder 17 for the feeder bank (step S2 ). Thereby, the cylinder 17 for the feeder bank is operated to raise the feeder bank mounting table 16, and the feeder bank provided on the feeder bank mounting table 16 is raised to the component feeding position.

다음으로 뱅크 확인 스위치(19)의 ON/OFF 신호가 판독되어, 뱅크 확인 스위치(19)가 ON 상태인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3). 그리고, 피더뱅크가 뱅크 확인 스위치(19)에 접촉하여 뱅크 확인 스위치(19)가 ON 상태일 때에는, 부품실장장치(1)에 장착된 피더뱅크는 기계구동식 피더뱅크(33)인 것으로 하고, 에어 실린더(14)에 대해 에어공급 지령신호를 출력하여 에어실린더(14)에 에어가 공급된다(단계 S4). 에어 실린더(14)에 대한 에어의 공급에 의해, 노크 실린더(12)는 도 4(b)에 도시된 위치까지 상승하여 세트 업이 완료된다(단계 S5).Next, the ON / OFF signal of the bank identifying switch 19 is read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bank identifying switch 19 is in the ON state (step S3). When the feeder bank is in contact with the bank check switch 19 and the bank check switch 19 is in the ON state, it is assumed that the feeder bank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is the machine driven feeder bank 33, An air supply command signal is outputted to the air cylinder 14 to supply air to the air cylinder 14 (step S4). By the supply of air to the air cylinder 14, the knock cylinder 12 is rais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4 (b) and the setting up is completed (step S5).

한편, 상기 단계 S3에서, 피더뱅크가 뱅크 확인 스위치(19)와 접촉되어 있지 않아, 뱅크 확인 스위치(19)가 OFF 상태인 경우에는, 부품실장장치(1)에 장착된 피더뱅크는 전동 피더뱅크(53)인 것으로 판정되고, 그대로 단계 S5로 이행한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3, when the bank check switch 19 is in the OFF state because the feeder bank is not in contact with the bank check switch 19, the feeder bank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feeder bank (53), and the process directly proceeds to step S5.

테이프 피더의 세트 업이 완료되면, 부품실장처리의 프로그램(서브 루틴)이 작동하여 개시를 준비한다(단계 S6). 예컨대, 부품실장장치(1)에 부품공급장치(3)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뱅크 확인 스위치(19)가 ON인 경우)에는,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로부터 부품을 공급하도록, 테이프 피더의 구동동력원으로서 노크 실린더(12)를 지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노크 실린더(12)에 대하여 에어공급 및 에어다운을 반복지령함으로써 노크 핀(11)을 상하로 이동시켜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의 테이프를 일정량씩 풀어내는 동시에, 부품 흡착 노즐을 제어하여 픽업 위치(P)에서 테이프로부터 부품을 흡착하여 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 탑재한다.When the set-up of the tape feeder is completed, the program (subroutine) of the component mounting process is activated to prepare for start-up (step S6). For example, when the component feeding apparatus 3 i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when the bank check switch 19 is ON), the tape feeder 32 is controlled so as to feed the component from the machine- The knock cylinder 12 is designated as the drive power source of the knock cylinder. Specifically, the knock pin 11 is moved up and down by repeatedly instructing air supply and air-down to the knock cylinder 12 to release the tape of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pick up the component from the tape at the pick-up position P and mount it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ubstrate.

또한, 부품실장장치(1)에 부품공급장치(5)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뱅크 확인 스위치(19)가 OFF인 경우)에는, 전동 테이프 피더(52)로부터 부품을 공급하도록, 테이프 피더의 구동동력원으로서 부품공급장치(5)가 구비하는 전동모터를 지정한다.When the component feeding apparatus 5 i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when the bank check switch 19 is OFF), the tape feeder is driven so as to supply the component from the electric tape feeder 52 And designates an electric motor provided in the component supply device 5 as a power source.

구체적으로는 전동모터에 대하여 구동 및 정지를 반복지령함으로써 전동 테이프 피더(52)의 테이프를 일정량식 풀어내는 동시에, 부품 흡착 노즐을 제어하여 픽업위치(P)에서 테이프로부터 부품을 흡착하여 기판 위의 소정 위치에 탑재한다.Specifically, by repeatedly instructing driving and stopping of the electric motor, the tape of the electric tape feeder 52 is unloaded by a certain amount, and the component suction nozzle is controlled to attract the component from the tape at the pickup position P, And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이와 같이, 장착되는 테이프 피더의 종류에 따른 구동방법에 의해 부품실장처리가 이루어지고, 테이프 피더로부터의 부품 공급이 종료되면, 부품실장처리의 종료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7). 여기서는, 테이프 피더의 구동동력원인 노크 실린더(12)의 에어다운이나 전동모터의 정지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부품실장처리를 완료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nent mounting process is performed by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pe feeder to be mounted. When the supply of the components from the tape feeder is completed, the component mounting process is terminated (step S7). Here, the component mounting process is completed by performing air-down of the knock cylinder 12, which is the driving power source of the tape feeder, and stopping the electric motor.

다음으로, 세트 업 스위치(21)의 세트 업 신호가 판독되어, 세트 업 스위치(21)가 OFF 상태인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8). 그리고, 세트 업 스위치(21)가 ON 상태인 경우에는, OFF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하고, OFF 상태가 판정되면, 피더 뱅크용 실린더(17)에 대하여 에어다운 지령신호가 출력된다(단계 S9). 실린더(17)는, 피더뱅크 설치대(16)를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피더뱅크 설치대(16) 상에 설치된 피더뱅크가 하강한다.Next, the set-up signal of the set-up switch 21 is read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set-up switch 21 is in the OFF state (step S8). When the set-up switch 21 is in the ON state, it waits until it becomes the OFF state. When the OFF state is determined, the air-down command signal is outputted to the feeder bank 17 (step S9) . The cylinder 17 descends the feeder bank mounting table 16, so that the feeder bank provided on the feeder bank mounting table 16 descends.

다음으로 뱅크확인 스위치(19)의 ON/OFF신호가 판독되어, 뱅크확인 스위치(19)가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변화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0). 그리고, 뱅크확인 스위치(19)가 본래 OFF 상태였을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Next, the ON / OFF signal of the bank identifying switch 19 is read to determine whether the bank identifying switch 19 has chang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step S10). When the bank check switch 19 is in the OFF state, the process is terminated as it is.

한편, 뱅크확인 스위치(19)가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변화하였을 경우에는, 에어실린더(14)에 대하여 에어다운 지령신호가 출력되고(단계 S11), 처리가 종료된다. 상기 에어실린더(14)의 에어다운에 의해, 노크 실린더(12)는 도 4(a)에 도시된 초기위치까지 하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nk check switch 19 is chang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an air down command signal is outputted to the air cylinder 14 (step S11), and the processing is terminated. Due to the air-down of the air cylinder 14, the knock cylinder 12 is lowered to the initial position shown in Fig. 4 (a).

또한, 구동동력부(10)가 테이프 이송수단에 대응하고, 노크실린더 고정대(13), 에어실린더(14) 및 가이드레일(15)이 승강수단에 대응하며, 뱅크확인 스위치(19)가 판별수단에 대응한다.The drive power section 10 corresponds to the tape conveying means and the knock cylinder fixing table 13, the air cylinder 14 and the guide rail 15 correspond to the elevating means. .

(동작)(action)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피더뱅크 상에 새로운 테이프 피더를 장착한 일괄 교환 캐리지를 이용하여, 부품실장장치(1)에 부품공급장치(3 또는 5)를 세팅한다. 그러면, 피더뱅크가 부품실장장치(1)에 설치된 피더뱅크 설치대(16)상에 설치된 상태로 일괄 교환 캐리지가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부품실장장치(1)에 설치된 세트 업 스위치(21)를 누르면, 부품실장장치(1)는 테이프 피더의 세트 업을 개시한다.First, the component feeding device 3 or 5 is set i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by using a batch exchange carriage having a new tape feeder mounted on the feeder bank. Then, the batch exchange carriage is positioned with the feeder bank mounted on the feeder bank mounting table 16 provided i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set-up switch 21 installed i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starts setting up the tape feeder.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세트 업 스위치(21)를 누름으로써, 부품실장장치(1)의 제어부(20)는, ON 상태가 되는 세트 업 신호를 확인한다(도 8의 단계 S1에서 Yes). 그러면, 피더뱅크용 실린더(17)에 에어공급을 실시하여 피더뱅크 설치대(16)를 상승시키고, 상기 피더뱅크 설치대(16) 상에 설치된 피더뱅크를, 대향부재(18)에 맞닿는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이로써, 피더뱅크가 부품공급위치에 세팅된다.Specifically, by pressing the set-up switch 21 by the operator, the control section 20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confirms the set-up signal to be turned on (Yes in step S1 in Fig. 8). Then, air is supplied to the cylinder 17 for the feeder bank to raise the feeder bank mounting table 16, and the feeder bank provided on the feeder bank mounting table 16 is raised to a position where the feeder bank abuts the opposing member 18 . Thereby, the feeder bank is set to the component feeding position.

여기서, 부품실장장치(1)에 세팅한 부품공급장치가, 기계구동방식의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를 구비하는 부품공급장치(3)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피더뱅크 설치대(16)의 상승에 따라,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구동식 피더뱅크(33)의 상면이 대향부재(18)의 하면에 설치된 뱅크 확인 스위치(19)에 접촉하게 된다.Here, it is assumed that the component feeding apparatus set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is the component feeding apparatus 3 having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of the mechanical driving type. 5 (b), the upper surface of the machine-driven feeder bank 33 is connected to the bank check switch 19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posing member 18 .

이 때문에, 제어부(20)는 뱅크 확인 스위치(19)가 ON 상태임을 확인한다(단계 S3에서 Yes). 그러면, 에어실린더(14)에 에어를 공급하여 노크 실린더(12)를 부품실장장치(1)의 좌우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노크 실린더(12)를 도 4(b)에 나타낸 위치에 세팅한다. 즉, 노크 실린더(12)는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의 전방 하측이면서, 또한 노크 핀(11)의 상하이동에 따라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의 노크 레버를 요동가능한 위치(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control unit 20 confirms that the bank check switch 19 is in the ON state (Yes in step S3). Air is supplied to the air cylinder 14 to move the knocking cylinder 12 upward along the guide rails 15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so that the knocking cylinder 12 is rotated b). That is, the knocking cylinder 12 is located at a position below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and at a position at which the knock lever of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can swing (I.e., a position capable of performing a releasing operation).

이와 같이 하여,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의 세트 업이 완료된다.In this manner,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is set up.

다음으로 부품실장장치(1)는 픽업위치(P)에서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의 테이프로부터 부품을 흡착하여 기판상의 소정 위치에 탑재하는 부품실장처리를 수행한다.Next,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performs component mounting processing for picking up the component from the tape of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at the pick-up position P and placing the compone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ubstrate.

이때, 제어부(20)는 노크 실린더(12)에 에어공급과 에어다운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노크 핀(11)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노크 핀(11)의 상하이동에 의해 구동되는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 내부의 조출기구에 의해, 부품이 수용된 테이프를 테이프 카트리지(34)로부터 일정 피치로 보낸다. 이로써, 부품은 순서대로 픽업위치(P)에 배치된다. 픽업위치(P)에서 부품이 흡착된 후의 빈 테이프(Tm)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 내부에 설치된 테이프 배출경로를 통해 상기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의 후방으로부터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 repeatedly performs air supply and air down to the knocking cylinder 12 to move the knocking pin 11 up and down, and the mechanical drive system driven by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knocking pin 11 The feeding mechanism in the tape feeder 32 feeds the tape containing the component from the tape cartridge 34 at a constant pitch. As a result, the parts are arranged in the pickup position P in order. 9, the empty tape Tm after the component is picked up at the pick-up position P passes through the tape discharge path provided inside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And is discharged from the rear.

이와 같이 하여,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로부터 부품의 공급이 이루어진다.In this manner, the components are supplied from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한편, 부품실장장치(1)에 전동구동방식의 전동 테이프 피더(52)를 구비하는 부품공급장치(5)를 세팅하였을 경우, 작업자가 세트 업 스위치(21)를 누르면, 상술한 기계구동방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동 피더뱅크(53)가 부품공급위치까지 상승한다. 이때, 전동 피더뱅크(53)의 상면이 대향부재(18)의 하면에 맞닿는데,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피더뱅크(53)에는 구멍(53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 피더뱅크(53)는 뱅크확인 스위치(19)에 접촉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ponent feeding device 5 having the electric-powered tape feeder 52 of the electric driving type is set i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set-up switch 21, The electric feeder bank 53 is raised to the component feed position.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 feeder bank 5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pposing member 18. Since the electric feeder bank 53 has the hole 53a as shown in Fig. 6 (b) The bank 53 is not in contact with the bank check switch 19.

이 때문에, 제어부(20)는 뱅크확인 스위치(19)가 OFF 상태인 채임을 확인한다(단계 S3에서 No). 이 경우에는, 에어실린더(14)에 에어를 공급하지 않고 노크 실린더(12)를 도 4(a)에 나타낸 초기위치에 정지시킨다.For this reason, the control unit 20 confirms that the bank check switch 19 is in the OFF state (No in step S3). In this case, the knock cylinder 12 is stopped at the initial position shown in Fig. 4 (a) without supplying air to the air cylinder 14.

다음으로 부품실장장치(1)는, 픽업위치(P)에서 전동 테이프 피더(52)의 테이프로부터 부품을 흡착하여, 기판상의 소정 위치에 탑재하는 부품실장처리를 수행한다.Next,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performs component mounting processing for picking up a component from the tape of the electric tape feeder 52 at a pick-up position P and placing the compone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ubstrate.

이때, 제어부(20)는 전동 테이프 피더(52)에 설치된 전동모터의 구동/정지를 반복제어함으로써, 부품이 수용된 테이프를 테이프 카트리지(54)로부터 일정 피치로 보낸다. 이로써, 부품은 순서대로 픽업위치(P)에 배치된다. 픽업위치(P)에서 부품이 흡착된 후의 빈 테이프(Te)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테이프 피더(52)의 전방으로부터, 전동 피더 뱅크(53)와 초기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노크 실린더(12)의 사이를 지나 부품실장장치(1)의 하방으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 repeatedly controls driving / stopping of the electric motor provided in the electric tape feeder 52 to send the tape containing the component from the tape cartridge 54 at a constant pitch. As a result, the parts are arranged in the pickup position P in order. The empty tape Te after the component is picked up at the pick-up position P is transferred from the front of the electric tape feeder 52 to the knock cylinder (Fig. 10) stopped at the initial position with the electric feeder bank 53 12, and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

이와 같이 하여, 전동 테이프 피더(52)로부터의 부품의 공급이 이루어진다.In this manner, the components are supplied from the electric tape feeder 52.

그런데, 일반적으로 기계구동방식의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부품실장장치에는,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를 통해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동력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구동동력부는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품실장장치에 전동구동방식의 부품공급장치를 연결하고자 하였을 경우, 부품실장장치측에 고정된 구동동력부가 연결에 방해가 되어, 상기 구동동력부가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배출경로를 막게 되거나 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부품실장장치에서는 전동 테이프 피더를 사용할 수가 없다.[0003] In general,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that can use a component-supplying apparatus of a mechanical driving type is provided with a driving power section for performing a feeding operation for unloading a tape through a mechanical drive type tape feeder. And is fixed at a position where a fee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erefore, when a component feeding device of the electric driving type is to be connected to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the driving power section fixed to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side interferes with the connection, and the driving power section is connected to the tape discharging path . Therefore, in such a conventional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the electric tape feeder can not be used.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품실장장치(1)측에 설치된 노크 핀(11) 및 노크 실린더(12 ; 구동동력부(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knock pin 11 and the knock cylinder 12 (driving power unit 10) provid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side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부품실장장치(1)에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를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노크 핀(11) 및 노크 실린더(12 ; 구동동력부(10))를,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 전방 하측의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이 실시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는, 부품실장장치(1)측에 설치된 구동동력부(10)에 의해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의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적정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When the mechanical drive type tape feeder 32 i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the knock pin 11 and knock cylinder 12 (drive power section 10) As a result,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a feeding operation for unloading the tape on the lower front side can be performed.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uitably carry out the feeding operation of loosening the tape of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by the driving power section 10 provid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side.

또한, 구동동력부(10)를 부품실장장치(1)측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동력원을 구비하지 않은 일반적인 기계구동방식의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부품공급장치를 개조할 필요가 없다.Further, since the driving power section 10 is provid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side, it is possible to use a general mechanical driving type component feeding apparatus that does not include a driving power source for performing a feeding operation for unloading the tape. There is no need to retrofit the feeder.

더욱이, 부품실장장치(1)에 전동 테이프 피더(52)를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노크 핀(11) 및 노크 실린더(12 ; 구동동력부(10))를,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테이프 피더(52)의 테이프 배출경로보다 하방에 설치된 초기위치에 위치시킨다. 이 때문에, 부품실장장치(1)측에 설치된 구동동력부(10)가 전동 테이프 피더(52)의 테이프 배출경로를 막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테이프 배출경로를 확실히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빈 테이프를, 테이프 피더 전방을 통해 부품실장장치의 하방으로 배출하는 일반적인 전동구동방식의 부품공급장치라 하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다.4 (a), when the electric tape feeder 52 i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the knock pin 11 and the knock cylinder 12 (the driving power section 10) And is located at an initial position provided below the tape ejection path of the electric tape feeder 5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ing power section 10 provid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from blocking the tape discharging path of the electric tape feeder 52, and thereby secure the tape discharging path. Therefore, even a general electric driving type component feeding apparatus that discharges the empty tape to the lower side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through the front of the tape feeder can be used.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부품실장장치(1)는, 장치의 대폭적인 개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다른 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를 병용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require extensive modification of the apparatus, and can use tape feeders of different driving methods in combination.

(효과)(effect)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동력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부품실장장치에 연결된 테이프 피더의 구동방식에 따라 해당 구동동력부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riving power section for performing the feeding operation for releasing the tape of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tape feeder connected to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The drive power section can be mov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이때, 테이프 피더의 연결 전에는 상기 구동동력부를 하방에 배치하고, 연결된 테이프 피더가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인 것으로 판별되면,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이 실시될 수 있는 위치까지 구동동력부를 상승시킨다. 이 때문에, 부품실장장치측에 설치된 구동동력부에 의해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가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이 실시가능해져,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를 사용할 수 있는 부품실장장치로 할 수가 있다.When the tape feeder is determined to be a machine-driven tape feeder, the tape feeder is driven to a position where the tape feeding operation for unloading the tape of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can be performed The power section is raised. Therefore, the driving power section provid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side can perform the feeding operation of releasing the tape by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또, 연결된 테이프 피더가 전동 테이프 피더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구동동력부를 상승시키지 않고 초기 위치에 배치한 채로 둔다. 이 때문에, 부품실장장치측에 설치된 구동동력부에 의해 전동구동식 테이프 피더의 장착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초기위치를, 전동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배출경로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구동동력부를 상기 테이프 배출경로 이외에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테이프 피더 전방에 테이프 배출경로를 갖는 전동 테이프 피더라 하더라도, 적정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ed tape feeder is a motorized tape feeder, the drive power section is left at the initial position without being rai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unting of the electric drive type tape feeder from being hindered by the drive power section provid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side. Further, by setting the initial position to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ape ejection path of the electric tape feeder, the driving power portion can be disposed outside the tape ejection path. Therefore, even if an electric tape blower having a tape discharge path in front of the tape feeder is used, it can be suitably used.

더욱이, 테이프 피더의 연결 전에는 상기 구동동력부를 하방에 배치하기 때문에, 설령 구동동력부를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에 동작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라 하더라도, 장치의 고장 등을 억제할 수가 있다. 즉, 구동동력부의 초기위치를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이 실시되는 위치로 하였을 경우, 전동 테이프 피더의 연결시에 에어실린더가 바르게 동작하지 않아 구동동력부가 하강하지 않으면, 전동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가 막혀 장치가 고장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대하여, 구동동력부의 초기위치를 하방으로 설정하면,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의 연결시에 에어실린더가 바르게 동작하지 않아 구동동력부가 상승하지 않아도,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에 지장이 있을 뿐 장치의 고장 등을 억제할 수가 있다.Moreover, since the driving power section is disposed below the tape feeder before connection, even if an operation failure occurs in the air cylind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driving power section, the failure of the apparatus can be suppressed. In other words, wh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ive power section is set to a position where the tapping operation for unscrewing the tape of the mechanical drive type tape feeder is performed, if the drive cylinder does not operate properly when the electric tape feeder is connected, The tape of the tape feeder is clogged and the possibility of failure of the device in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iving power section is set to be downward, the air cylinder is not operated properly during the connection of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and the feeding operation for loosening the tape of the machin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ailure of the apparatus and the like.

또한, 테이프 피더의 구동방식을 판별하는데 뱅크 확인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동방식에 따라 스위치의 ON/OFF 상태가 변화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이한 구성으로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와 전동 테이프 피더 중 어느 것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별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N / OFF state of the swit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by using the bank check switch in order to discriminate the driving method of the tape feed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n which either the machine driven tape feeder or the electric tape feeder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connected.

이때, 피더 뱅크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일괄 교환 캐리지 상의 초기위치로부터 부품공급위치로 상승시켜 피더 뱅크를 세팅하였을 때, 피더뱅크가 뱅크 확인 스위치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방식을 적정하게 판별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eeder bank is construct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eeder bank is set up from the initial position on the batch exchange carriage to the component feed position, whether or not the feeder bank is in contact with the bank check switch,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determine the driving method.

(응용예)(Application exampl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동구동방식일 때 노크 핀(11) 및 노크 실린더(12)를 배출경로보다 하방에 위치시키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에어실린더(14)를 상방에 설치하여 배출경로보다 상방에 위치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Although the knock pin 11 and the knock cylinder 12 are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path in the electric drive system in the above embodiment, the air cylinder 14 may be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path,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부품공급장치(3 또는 5)를 부품실장장치(1)의 한쪽에만 장착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부품실장장치(1)의 양측(정면측과 배면측)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정면측과 배면측에 동일 구동방식의 부품공급장치를 장착하여도 무방하며, 정면측과 배면측에서 다른 구동방식을 갖는 부품공급장치를 장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or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may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on both sides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It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able. At this time, a component feeding device of the same driving system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nd a component feeding device having different driving methods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뱅크 확인 스위치(19)를 이용하여 테이프 피더의 구동방식을 판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일괄 교환 캐리지의 접속시에 커넥터의 식별에 의해 구동방식을 판별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of discriminating the driving method of the tape feeder by using the bank identifying switch 19 has been described. However, even if the driving method is discriminated by the identification of the connector at the time of connecting the collective exchange carriage Do.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노크 실린더(12)의 상승·하강에 대한 판단을 뱅크 확인 스위치(19)에 의해 전기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기계구동식 메카니컬 밸브에 의한 에어회로의 전환에 의해 수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즉,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크 실린더(12)를 상하로 움직이기 위한 에어 실린더(14)에 대한 공급경로 상에, 3포트타입의 기계구동식 메카니컬 밸브인 기계구동식/전동 판별 스위치(25)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기계구동식/전동 판별 스위치(25)가 눌리는지 여부에 따라, 에어 실린더(14)에 대한 에어의 공급을 전환한다.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determination of the rise / fall of the knock cylinder 12 is electrically performed by the bank check switch 19 has been described. However, in the switching of the air circuit by the mechanical drive type mechanical valve . 11, on the supply path to the air cylinder 14 for moving the knock cylinder 12 up and down, a three-port type mechanical drive type mechanical valve, that is, a mechanical drive type / 25). Then, the supply of air to the air cylinder 14 is switched depending on whether the mechanical drive / electric motion discrimination switch 25 is depressed.

여기서, 기계구동식/전동 판별 스위치(25)는, 뱅크 확인 스위치(19)와 마찬가지로 부품공급장치에 세팅된 테이프 피더가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일 때 접촉상태가 되고, 전동 테이프 피더(52)일 때에는 비접촉상태가 되도록 구성한다.When the tape feeder set on the component feeder is in contact with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as in the case of the bank check switch 19, the mechanical drive / 52), it is configured to be in a non-contact state.

그리고, 기계구동식/전동 판별 스위치(25)는, 통상적으로 도 11에 나타낸 폐쇄상태로 유지하여, 에어 실린더(14)에 대한 에어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로 한다. 따라서, 이때 노크 실린더(12)는, 도 4(a)에 나타낸 초기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가 장착되면, 기계구동식/전동 판별 스위치(25)가 눌림에 따라 개방상태가 되어 에어실린더(14)와 에어공급원이 연통(連通)된다. 이로써, 에어실린더(14)에 에어가 공급되어 노크 실린더(12)가 상승하고, 도 4(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Then, the mechanical drive type / electric motor discrimination switch 25 is normally kept in the closed state shown in Fig. 11, and the supply of air to the air cylinder 14 is cut off. Therefore, at this time, the knock cylinder 12 is placed in the initial position shown in Fig. 4 (a). When the mechanical drive type tape feeder 32 is mounted in this state, the mechanical drive type / electric motion discrimination switch 25 is opened and the air cylinder 14 and the air supply sourc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s a result, air is supplied to the air cylinder 14, and the knock cylinder 12 is raised to the state shown in Fig. 4 (b).

한편, 전동 테이프 피더(52)가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기계구동식/전동 판별 스위치(25)가 눌리지 않게 되어 있기 때문에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에어실린더(14)에 대한 에어의 공급은 차단된 그대로가 된다. 따라서, 노크 실린더(12)는, 도 4(a)의 초기상태를 유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 tape feeder 52 is mounted, since the mechanical drive / electric motion discriminating switch 25 is not depressed, the closed state is maintained and the supply of air to the air cylinder 14 is maintained . Therefore, the knock cylinder 12 maintains the initial state of Fig. 4 (a).

이와 같이, 연결된 테이프 피더와의 접촉에 따라, 에어실린더(14)의 에어회로를 전환하기 때문에, 테이프 피더의 구동방식에 대한 판별과 노크 실린더(12)의 승강에 대한 제어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Since the pneumatic circuit of the air cylinder 14 is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with the connected tape feed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perform the determination of the driving method of the tape feeder and the control of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knock cylinder 12 have.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노크 실린더(12)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로크기구를 설치하고, 전동 테이프 피더(52)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해당 로크기구를 작동시켜, 기계적으로 노크 실린더(12)의 상승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로써, 에어 실린더(14)의 동작불량에 의해 잘못하여 노크 실린더(12)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lock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knock cylinder 12 from rising is provid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 tape feeder 52 is attached, the lock mechanism is operated to mechanically move the knock cylinder 12 may be prevented from ris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knock cylinder 12 from erroneously rising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air cylinder 14,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apparatus.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장착된 테이프 피더가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32)인지 전동 테이프 피더(52)인지를 뱅크 확인 스위치(19)에 의해 자동 판별하여, 구동동력부(10)를 승강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구동동력부(10)의 승강의 필요여부를 작업자가 지시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로써, 예컨대, 구동동력부를 구비하는 기계구동식 테이프 피더를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부품실장장치(1)측에 설치된 구동동력부(10)를 상승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부품공급장치에 대응할 수가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ther the mounted tape feeder is the machine-driven tape feeder 32 or the electric tape feeder 52 is automatically discriminated by the bank identifying switch 19 and the driving power section 10 is raised The operator may instruct the operator to indicate whether or not the driving power section 10 needs to be raised or lowered. As a result, for example, when a machine-driven tape feeder having a drive power section is mounted, the drive power section 10 provided o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aised, There is a number.

1 : 부품실장장치
3 : 부품공급장치(기계구동방식)
5 : 부품공급장치(전동구동방식)
10 : 구동동력부
11 : 노크 핀
12 : 노크 실린더
13 : 노크 실린더 고정대
14 : 에어실린더
15 : 가이드 레일
16 : 피더 뱅크 설치대
17 : 피더 뱅크용 실린더
18 : 대향부재
19 : 뱅크 확인 스위치
20 : 제어부
21 : 세트 업 스위치
25 : 기계구동식/전동판별 스위치
31 : 기계구동식 일괄 교환 캐리지
32 : 기계 구동식 테이프 피더
33 : 기계 구동식 피더 뱅크
51 : 전동 일괄 교환 캐리지
52 : 전동 테이프 피더
53 : 전동 피더 뱅크
1: Component mounting device
3: Parts feeding device (machine driven type)
5: Parts feeding device (electric driving method)
10:
11: knock pin
12: Knock cylinder
13: Knock cylinder holder
14: Air cylinder
15: Guide rail
16: Feeder bank installation
17: Cylinder for feeder bank
18: opposed member
19: Bank check switch
20:
21: Set-up switch
25: Mechanical drive type / electric discrimination switch
31: Machine-driven batch exchange carriage
32: Machine-driven tape feeder
33: Machine-driven feeder bank
51: Motorized batch exchange carriage
52: Electric tape feeder
53: Electric feeder bank

Claims (11)

테이프 피더에 부착된 부품 수납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繰出)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하로 구동하는 노크 핀과, 상기 노크 핀을 구동시키는 노크 실린더를 갖는 테이프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테이프 이송수단에 의해 부품 수납 테이프를 풀어내어 공급이송하는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 또는 전동모터에 의해 부품 수납 테이프를 풀어내어 공급이송하는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로서,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을, 상기 풀어내는 조출 동작이 실시될 수 있는 제 1 배치위치와, 상기 제 1 배치위치로부터 상하방향 중 한쪽으로 이격되는 제 2 배치위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
And a tape transporting unit having a knock pin for driving the knock pin and a knock cylinder for driving the knock pin to perform a feeding operation for unloading the component storage tape attached to the tape feeder,
A tape feeder of a mechanical drive type that uncovers and feeds the component storing tape by the tape feeding means or an electric drive type tape feeder that uncovers and feeds the component storing tape by an electric motor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As a component supply device in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a lifting means for moving the tape transporting means to a first disposing position in which the discharg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nd a second disposing position in which the tape transporting means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osing position in on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erein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피더가, 상기 기계구동방식인지 상기 전동구동방식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이 기계구동방식인 것으로 판별하였을 때,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을 상기 제 1 배치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판별수단이 전동구동방식인 것으로 판별하였을 때,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을 상기 제 2 배치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crimination means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tape feeder is the mechanical drive system or the electric drive system,
The elevating means moves the tape transporting means to the first disposing pos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riminating means is a mechanical driving system and when the discriminating means judges that it is the electric driving system, And the second position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와 상기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에 따라 부품 수납 테이프의 배출경로가 다른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 2 배치위치는, 상기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의 배출경로로부터 상하방향 중 한쪽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jection path of the component storage tape has a different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tape feeder of the mechanical drive type and the tape feeder of the electric drive type,
Wherein the second placement posi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ath of the tape feeder of the electrically driven type in one of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연결된 상기 테이프 피더와의 접촉에 의해 임의의 출력값을 출력하는 접촉식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피더의 구동방식에 따라 상기 출력값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crimination means is constituted by a contact type sensor which outputs an arbitrary output value by contact with the connected tape feeder and the output value changes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of the tape feeder In which the parts are f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연결된 상기 테이프 피더와의 접촉에 의해 임의의 출력값을 출력하는 접촉식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피더의 구동방식에 따라 상기 출력값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scrimination means is constituted by a contact type sensor which outputs an arbitrary output value by contact with the connected tape feeder and the output value changes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of the tape feeder In which the parts are f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유체압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별수단은, 연결된 상기 테이프 피더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승강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실린더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경로의 연통(連通)과 차단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vat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cylinder moving up and down by fluid pressure,
Wherein the discriminating means switche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interruption of the working fluid supply path to the cylinder constituting the elevating means by contact with the connected tape feeder Component suppl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유체압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별수단은, 연결된 상기 테이프 피더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승강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실린더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경로의 연통(連通)과 차단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vat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cylinder moving up and down by fluid pressure,
Wherein the discriminating means switche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interruption of the working fluid supply path to the cylinder constituting the elevating means by contact with the connected tape feeder Component suppl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 및 상기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가, 각각 이동가능한 캐리지에 탑재되며, 상기 캐리지에 탑재된 상태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ape feeder of the electric driving type and the tape feeder of the mechanical driving type are mounted on a carriage which can be moved respectively and can be mounted on the electronic part mounting apparatus while being mounted on the carriage In which the parts are f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 및 상기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가, 각각 이동가능한 캐리지에 탑재되며, 상기 캐리지에 탑재된 상태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ape feeder of the electric driving type and the tape feeder of the mechanical driving type are mounted on a carriage which can be moved respectively and can be mounted on the electronic part mounting apparatus while being mounted on the carriage In which the parts are fed.
테이프 피더에 부착된 부품 수납 테이프를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하로 구동하는 노크 핀과, 상기 노크 핀을 구동시키는 노크 실린더를 갖는 테이프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테이프 이송수단에 의해 부품 수납 테이프를 풀어내어 공급이송하는 기계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 또는 전동모터에 의해 부품 수납 테이프를 풀어내어 공급이송하는 전동구동방식의 테이프 피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방법으로서,
연결된 상기 테이프 피더가, 기계구동방식인지 혹은 전동구동방식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프 피더가 기계구동방식인 것으로 판별하였을 때,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을 상기 풀어내는 조출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제 1 배치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테이프 피더가 전동구동방식인 것으로 판별하였을 때,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을 상기 제 1 배치위치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배치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방법.
A knock pin driven up and down to perform a feeding operation for unloading the component storing tape attached to the tape feeder, and a tape feeding means having a knock cylinder for driving the knock pin,
A tape feeder of a mechanical drive type that uncovers and feeds the component storing tape by the tape feeding means or an electric drive type tape feeder that uncovers and feeds the component storing tape by an electric motor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A component supply method in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Determining whether the connected tape feeder is a mechanical drive system or an electric drive system;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ape feeder is a mechanical drive system, moves the tape transporting means to a first disposing position where the ejec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ape feeder is an electric driving system, And moving the tape transporting means to a second arrangement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rrangement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치위치는, 상기 기계구동방식 테이프 피더의 부품 수납 테이프 배출경로와는 다른 상기 전동구동방식 테이프 피더의 부품 수납 테이프 배출경로로부터 상하방향 중 한쪽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의 부품공급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arrangement posi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component storage tape discharge path of the electrically driven tape feeder in a vertical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omponent storage tape discharge path of the mechanical drive type tape feeder A method of supplying a component in the apparatus.
KR1020100109609A 2009-11-06 2010-11-05 Component feeder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feeding method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KR1017297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5273A JP5419641B2 (en) 2009-11-06 2009-11-06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JPJP-P-2009-255273 2009-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378A KR20110050378A (en) 2011-05-13
KR101729712B1 true KR101729712B1 (en) 2017-04-24

Family

ID=4396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609A KR101729712B1 (en) 2009-11-06 2010-11-05 Component feeder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feeding method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19641B2 (en)
KR (1) KR101729712B1 (en)
CN (1) CN10205647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7822B (en) * 2015-11-17 2021-05-07 株式会社富士 Mounting processing method, mounting system and component mounting machine
CN105692342A (en) * 2016-03-18 2016-06-22 天津青树机电设备有限公司 Material returning device for packaging machine
CN117062427A (en) * 2018-07-31 2023-11-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Automatic replacement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automatic replacement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7892A (en) 1998-09-03 2000-03-14 Yamaha Motor Co Ltd Tape feeder and surface mounting machine
JP2001185896A (en) 1999-12-24 2001-07-06 Yamaha Motor Co Ltd Feeder attaching structure
JP2004111726A (en) 2002-09-19 2004-04-08 Popman:Kk Electronic component supply device
JP2006261280A (en) 2005-03-16 2006-09-28 Yamaha Motor Co Ltd Surface mounter
JP2008198696A (en) 2007-02-09 2008-08-28 Sony Corp Component supplying apparatus,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supplying method
JP2008294286A (en) 2007-05-25 2008-12-04 Juki Corp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suppl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404B2 (en) * 1993-10-07 2001-01-29 三洋電機株式会社 Component mounting device
JPH1187991A (en) * 1997-09-10 1999-03-30 Toshiba Fa Syst Eng Kk Automatic arranger for chip-type taping
JP4835573B2 (en) * 2007-10-26 2011-1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Substrate transport apparatus and substrate transport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7892A (en) 1998-09-03 2000-03-14 Yamaha Motor Co Ltd Tape feeder and surface mounting machine
JP2001185896A (en) 1999-12-24 2001-07-06 Yamaha Motor Co Ltd Feeder attaching structure
JP2004111726A (en) 2002-09-19 2004-04-08 Popman:Kk Electronic component supply device
JP2006261280A (en) 2005-03-16 2006-09-28 Yamaha Motor Co Ltd Surface mounter
JP2008198696A (en) 2007-02-09 2008-08-28 Sony Corp Component supplying apparatus,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supplying method
JP2008294286A (en) 2007-05-25 2008-12-04 Juki Corp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00893A (en) 2011-05-19
JP5419641B2 (en) 2014-02-19
KR20110050378A (en) 2011-05-13
CN102056471B (en) 2015-11-25
CN102056471A (en)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712B1 (en) Component feeder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feeding method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KR20010084161A (en) PCB auto tester
KR100898267B1 (en) A supply apparatus for insert metal plate in case of mobile phone
CN108950896B (en) Automatic conveying device for sewing material
JP4667091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WO2012014467A1 (en) Parts mounting apparatus and parts mounting method
JP2004335951A (en) Component feeder, its control method and component packaging device
JP2003188591A (en)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part
KR100920973B1 (en) Feed apparatus for seat
JP4850751B2 (en) Surface mount machine
JPH10261893A (en) Electronic part feeding mehtod and device
CN104206048B (en) The erecting device of the component feeding unit of component mounter
JPH0866886A (en) Pressure supply device for suction nozzle
KR101427084B1 (en) Tray Feeder
JP7142209B2 (en) Characteristic measuring device, component mounting device, characteristic measuring method,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KR101389571B1 (en) A insertplate supply apparatus for a case of mobile phone
KR101431079B1 (en) Apparatus for transfering cartridge of automatic solder supplying unit
WO2021014545A1 (en) Tray parts feeder
KR100888056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FPCB with press device
KR1013999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Electronic components
KR100920974B1 (en) Seat hall processing system
KR100567848B1 (en) A Memory Device Handler
JPS6213285A (en) Loader and unloader for thick film module substrate
JP3832604B2 (en) Parts supply device
KR102127695B1 (en) Semiconductor die detach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