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269B1 - Portable manual type lawn trimmer - Google Patents

Portable manual type lawn trim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269B1
KR101727269B1 KR1020140157294A KR20140157294A KR101727269B1 KR 101727269 B1 KR101727269 B1 KR 101727269B1 KR 1020140157294 A KR1020140157294 A KR 1020140157294A KR 20140157294 A KR20140157294 A KR 20140157294A KR 101727269 B1 KR101727269 B1 KR 101727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power
gear
user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6678A (en
Inventor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최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진 filed Critical 최우진
Priority to KR102014015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269B1/en
Publication of KR20160056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6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24Lifting devices for the cutter-bar
    • A01D34/26Lifting devices for the cutter-bar manually actu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5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01D34/57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actuated by advance of the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잡초나 잡목을 절단하는 커터가 장착되는 작업대 선단부의 구조개선을 통해 부품의 간소화 및 기기의 경량화를 달성한 한편 사용자 수동조작(manual operation)에 의한 자가동력의 생성을 통해 언제 어느 때라도 즉시 구동 및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으로 부여잡고 선 채로 보행하며 풀베기가 수월토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상기 작업대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동력을 이어받아 자전함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자라난 잡초나 잡목을 베어낼 수 있게 된 커터; 상기 작업대에 연결하여 상기 커터로 이어지는 동력생성을 위하되, 사용자의 정해진 팔 스윙 행위에 따른 자가동력의 생성이 가능한 동력장치; 및, 상기 동력장치를 올려놓고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자 자신의 신체의 일부분에 의지시켜 짊어질 수 있게 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anual lawn mow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nual lawn mowing machine which is capable of simplifying parts and lightening a machin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a work table where a cutter for cutting a weed or a knife is moun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which can be driven and used immediately at any time through the generation of self-generated power by th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 tab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hand, walk while standing, A cutter capable of cutting a weed or a weed that has grown from the ground by rotating with the power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worktable; A power unit connected to the workbench to generate power to the cutter, wherein the power unit is capable of generating self-pow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m swinging behavior of the user; And a support unit that supports the power unit by holding the power unit on a part of the user's body in a fixed state.

Description

휴대형 수동 예초기{PORTABLE MANUAL TYPE LAWN TRIMMER}Portable manual lawn mower {PORTABLE MANUAL TYPE LAWN TRIMMER}

본 발명은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잡초나 잡목을 절단하는 커터가 장착되는 작업대 선단부의 구조개선을 통해 부품의 간소화 및 기기의 경량화를 달성한 한편 사용자 수동조작(manual operation)에 의한 자가 동력의 생성을 통해 언제 어느 때라도 즉시 구동 및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anual lawn mow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nual lawn mowing machine which is capable of simplifying parts and lightening a machin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a work table where a cutter for cutting a weed or a knife is moun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which can be driven and used immediately at any time through the generation of self-generated power by the driver.

예초기(lawn trimmer, 刈草機)라 함은,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커터(cutter)를 이용하여 풀을 깎는데 쓰이는 기구를 일컫는 것으로, 최소의 인력으로 넓은 범위의 잡초(weeds, 雜草)와 잡목(scrub, 雜木)을 빠른 시간 내에 베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서 넓은 면적의 개활지(Exposed ground, Open country, 開豁地)를 관리하거나 묘지의 벌초(伐草)를 위한 필수품으로 사용되고 있다.A lawn trimmer is a machine used to cut grass by using a rapidly rotating cutter. It has a wide range of weeds (weeds) and brushes (scrub, 雜木) can be cut in a short time, so it is necessary to manage large open area (Exposed ground, Open country, open land) .

외국에서는 보통 차량형태의 기계를 사용하여 잔디를 손질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야산과 구릉지 등에서 묘지의 벌초작업이나 농경지 잡초 제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차량 기동(機動)이 어려운 곳이 많은 지형적 특성상 어깨에 메거나 등에 짊어지는 형태의 휴대형 예초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6652호(고안의 명칭 : 비 전력 펌핑장치) 및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07493호에서와 같이, 엔진 또는 모터 구동에 의한 전동식 예초기(발명의 명칭 : 예초기)가 개시되고 있다.In most of the cases, it is used mainly for the purpose of trimming the lawn by using a machine in the form of a vehicle in foreign countries. In Korea, however, it is often us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the weeds from the cemetery in the fields of hills and hills, ) Is a portable type lawn mower that is placed on the shoulder or carried on the shoulder due to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36652 (entitled "Non-electric power pumping device")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 -0607493 discloses an electric lawn mower driven by an engine or a motor (the invention is called a lawn mower).

그러나 기존의 엔진 구동에 의한 전동식 예초기는 절삭력은 우수하나 매연이 심하고 일반 자동차에 비해 발암물질 등 인체에 매우 위험한 물질들이 다량으로 배출된다. 또한, 엔진의 채용으로 제품의 가격이 고가이고, 엔진 구동시의 소음과 진동이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구조적 관계상 작업자의 주의력을 산만하게 만드는 등 작업집중도를 크게 떨어뜨려 커터날에 신체 일부가 베이게 되는 등의 치명상을 줄 수 있는 상해사고 유발의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However, the electric power cutter using the conventional engine is excellent in the cutting power, but the exhaust gas is heavier and a lot of substances that are very dangerous to human body such as carcinogenic substances are discharged in a large amount compared with the general automobile. In addition, since the price of the product is high due to the adoption of the engine and the noise and vibration at the time of driving the engine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orker, the worker's attention is disturbed due to the structural relation, And it is exposed to the problem of causing an accident that can give a fatal injury such as being burdened.

그리고 기존의 모터 구동에 의한 전동식 예초기는 국내 몇몇의 기업체가 제품을 개발하여 시판 중에 있으나, 엔진 구동방식에 비해 절삭력이 크게 떨어지고 배터리의 무게로 장시간 사용시 불편함 있어 안전성과 효율성 등 모든 면에서 각종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utting power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engine driven type and the weight of the battery is inconvenient when used for a long time, various problems such as safety and efficiency can be solved .

더욱이, 엔진 구동방식 또는 모터 구동방식에 따른 에너지원 즉, 오일통(oil box)이나 배터리(battery)가 반드시 필요하기에, 그로 인한 장비의 무게 및 부피 증가와 더불어 에너지 소비와 낭비에 따른 비용지출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Furthermore, since an energy source such as an oil box or a battery is necessarily required depending on an engine driving method or a motor driving method, an increase in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equipment resulting therefrom, and a cost expenditure due to energy consumption and waste Can not be neglected.

아울러, 주변을 걸어 다니면서 잡초 등을 제거하는 작업특성상 손으로 파지한 작업대를 기울여 커터를 지면에 근접시킬 경우의 평행유지를 위해서는 상기 작업대의 선단부가 일방향으로 꺾여있어야만 하는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38318호(발명의 명칭 : 양날회전이 가능한 예초기 칼날 구동장치 및 칼날 구동방법)에서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두 축 사이에서 운동을 전할 때 이용하는 한 쌍의 원추형 베벨기어(bevel gear)가 반드시 구비되야만 상기 작업대 내부에서 자체 회전하는 샤프트로부터 커터가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해당 부분의 구조가 매우 복잡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한 작업대와 커터의 무게 증가로 사람이 한 손으로 들고 장시간 작업을 수행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해 왔다.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parallelism when the cutter is brought close to the ground by tilting the workpiece held by the hand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of walking around and removing weeds, the tip of the workpiece must be bent in one direction, A pair of conical bevel gears, which are used to transfer motion between two axes intersecting each other, must be provided, as is the case in the prior art, such as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438318 (entitled "Mowing Blade Driving Device and Blade Drive Method" The cutter can receive the rotational power from the shaft that rotates within the worktable itself. Because of this, the structure of the part is very complicated and the weight of the workbench and the cutter has caused a considerable inconvenience to a person carrying the work with one hand and performing a long time.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6652호 (등록일자 : 2001. 06. 21.)(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36652 (Registered Date: 2001. 06. 21.)

(특허문헌 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07493호 (등록일자 : 2006. 05. 11.)(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0607493 (Registered Date: May 05, 2006)

(특허문헌 2)(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 3)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38318호 (등록일자 : 2014. 08. 29.)(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No. 10-1438318 (Registration date: 2014. 08. 2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팔 스윙 행위에 따라 형성된 직선운동을 증가된 회전운동으로 전환 생성하는 수동식 동력장치를 구비하여, 엔진이나 모터 등과 같이 에너지 소모로 구동하는 별도의 전동식 동력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잡초나 잡목을 베어내기 위한 커터날의 회전구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수동 예초기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held power device for generating a linear motion generated according to an operator's arm swing behavior to an increased rotational mo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which can rotate and drive a cutter blade to cut a weed or a weed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electric power drive device to be driv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삽입된 와이어가 회전동력에 의해 동시 자전(rotation, 自轉)하되 변형이 자유로운 플렉시블(flexible) 동력케이블을 작업대 내부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대체하여, 직진성 상실시 회전동력의 전달이 불가하던 금속 샤프트의 채용으로 상기 작업대의 절곡 선단부에 반드시 장착되던 베벨기어를 생략하고도 방향전환된 커터로의 회전동력 전달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수동 예초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lace a flexible power cable which simultaneously rotates and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inserted wire with a power transmission means provided inside the work table, Which can not be conveyed, by using a metal shaft, the bevel gear, which is always mounted on the bending tip of the work table, can be omitted, and rotational po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cutt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부여잡고 선 채로 보행하며 풀베기가 수월토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상기 작업대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동력을 이어받아 자전함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자라난 잡초나 잡목을 베어낼 수 있게 된 커터; 상기 작업대에 연결하여 상기 커터로 이어지는 동력생성을 위하되, 사용자의 정해진 팔 스윙 행위에 따른 자가동력의 생성이 가능한 동력장치; 및, 상기 동력장치를 올려놓고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자 자신의 신체의 일부분에 의지시켜 짊어질 수 있게 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 table comprising: a work tab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a user can grasp the work, A cutter capable of cutting a weed or a weed that has grown from the ground by rotating with the power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worktable; A power unit connected to the workbench to generate power to the cutter, wherein the power unit is capable of generating self-pow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m swinging behavior of the user; And a support unit that supports the power unit by holding the power unit on a part of the user's body in a fixed state.

또한, 상기 신장대에는, 상기 작업대를 기울일 경우 상기 커터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의 대응각도를 갖도록 중간부를 굽혀서 절곡시킨 벤딩파이프가 선단에 연결되고, 상기 벤딩파이프의 선단에는, 상기 제1동력케이블을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커터와 상호 간의 연결조립이 용이토록 하기 위해 분해결합이 가능한 마감파이프가 더 연결되며, 상기 제1동력케이블에는, 선단부에는 상기 커터의 축결합을 통한 동시회전을 가능케 하는 제1연결척이 더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A bending pipe bent and bent at an intermediat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bar so that the cutter has a corresponding angle in a state in which the cutter i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when the workbench is tilted. The first power cable is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first power cable and a second end of the first power cable is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cutter, And a connecting chuck is further coupled.

더하여, 상기 조작핸들에는, 사용자의 팔 스윙 행위에 의한 파지부위 측의 상,하 왕복운동으로 발생한 동력을 상기 구동체로 전달케 된 판기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체는, 상기 판기어에 맞물림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림 회전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에 맞물림 회전되는 회동기어와, 상기 회동기어에 연이어 축결합된 상태로 동시 회전하되 자체중량에 따른 원심력으로 일방향으로 지속적 회전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원심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ng handl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late gear that transmits power generated by the upward and downward reciprocating motions of the gripping side by the user's arm swinging action to the driving body, A driven gear which is engaged and rotated by the driving gear, a rotating gear which is rotated by engaging with the driven gear, and a driven gear which is simultaneously rotated in a state of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ng gear, And a centrifugal weight for maintaining a constant rotational force.

또한, 상기 조작핸들에는, 사용자의 팔 스윙 행위에 의한 파지부위 측의 상,하 왕복운동으로 발생한 동력을 상기 구동체로 전달케 된 판기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체는, 상기 판기어에 의해 양방향으로 수평운동을 하게 된 래크와, 상기 래크에 맞물림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림 회전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에 맞물림 회전되는 회동기어와, 상기 회동기어에 연이어 축결합된 상태로 동시 회전하되 자체중량에 따른 원심력으로 일방향으로 지속적 회전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원심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perating handl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late gear that transmits power generated by the upward and downward reciprocating motions of the gripping side by the user's arm swinging action to the driving body, A driven gear rotatably engaged with the drive gear; a rotating gear rotatably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and a driven gear rotatably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And a centrifugal weight for maintaining a constant rotational force in one direction by centrifugal force according to its own weight.

더하여, 상기 회동기어에는, 상기 조작핸들을 들어올림에 따른 역회전 동력이 상기 원심추에 전달되지 않도록, 폴(pawl)의 작용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을 전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운동을 전하지 않는 래칫이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o the rotation gear, a rotation is transmitted in only one direction due to the action of a pawl so as not to transmit a reverse rotation force due to the lifting of the manipulation handle to the centrifugal weight, And a ratchet is integrally coupled.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휴대형 수동 예초기는, 유류 또는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고도 커터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의 생성이 가능함에 따라, 언제 어디서라도 기기를 즉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향상의 효과와 더불어 에너지자원(energy resources)의 낭비 및 그에 따른 부대비용 지출의 부담을 해소함은 물론 엔진 또는 모터의 구동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의 발생 방지를 통한 작업환경 및 주변환경 개선의 효과를 나타낸다.As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ortable manual lawn m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generating power capable of rotating and driving the cutter without consuming oil or electric energy,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functionality, it eliminates the waste of energy resources and the expense of incidental expenses, and also improves working environment and environment by preventing the noise and vibration which are inevitably generated when driving the engine or motor. .

또한, 기기구동을 위한 컨트롤러(스위치 등)의 조작없이도 커터의 회전과 정지를 간단히 이룰 수 있어, 돌발상황 발생시 커터의 회전을 정지시키지 못하게 되는 등의 기기조작 미숙으로 작업자 자신과 주위 사람의 신체 일부 절단 및 베임 등의 부상과 같은 상해사고 발생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준다.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and stop of the cutter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the operation of a controller (switch or the like) for driving the apparatus, and the operation of the cutter can not be stopped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from the risk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such as cutting and bum injury.

이와 함께, 지금까지 설명한 각종 효과의 달성으로, 남녀노소 누구라도 손쉽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고, 에너지의 소비로 구동하는 기존 전동식 동력장치의 생략과 아울러 작업대와 커터 연결부위의 구조개선을 통한 부품 간소화와 제품 경량화 실현 및 이를 통해서 해당 기기의 제조비용과 판매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어 소비자 욕구충족에 따른 제품판매의 경쟁력 확보는 물론이거니와 농기계(agricultural machine, 農機械) 제조기술 및 그 관련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At the same time, with the achievement of the various effects described so far, anyone can easily use the machine for the aged and the elderly,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electric power driven by the energy consumption and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work table and the cutt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sales unit cost of the device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light weight of the product, thereby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sales by satisfying the consumer's desire, and also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al machine Can be a very useful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의 전체 구성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있어서, 작업대와 커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와 요부확대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있어서, 커터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와 저면도.
도 4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있어서, 동력장치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및 요부측단면도와 요부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있어서, 동력장치의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구동체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있어, 동력장치의 다른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a main part and a main part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work table and a cutter in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cutter in the portable manual lawn m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4 to 6B are a main part perspective view, a main part side view and a yaw pillar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wer device in the portable manual lawn m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riving body mounted in a case of a power unit in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a power device in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의 전체 구성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있어서 작업대와 커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와 요부확대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있어서 커터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와 저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있어서 동력장치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및 요부측단면도와 요부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있어서 동력장치의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구동체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에 있어 동력장치의 다른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work table and a cutter in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utter in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6B show a structure of a power device in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rincip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riving body mounted in a case of a power unit in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a power plant in a portable manual lawn mo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A)는, 사용자가 손으로 부여잡고 선 채로 보행하며 풀베기가 수월토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1)와, 상기 작업대(1)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동력을 이어받아 자체 회전(이하 "자전"이라 함)함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자라난 잡초나 잡목을 베어낼 수 있게 된 커터(2)와, 상기 작업대(1)에 연결하여 상기 커터(2)로 이어지는 동력생성을 위하되, 사용자의 정해진 팔 스윙 행위에 따른 자가동력의 생성이 가능한 동력장치(3)와, 상기 동력장치(3)를 올려놓고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자 자신의 신체의 일부분에 의지시켜 짊어질 수 있게 한 지지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는 커터(2)로서 원반형 커터(2)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지면으로부터 자라난 잡초나 잡목을 베어낼 수 있는 한 커터(2)의 형상, 모양 등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도면에는 신체의 일부분으로서 등을, 지지부(4)로서 등받이(4)를 예로서 표현하고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지지부(4)는 사용자의 자신의 신체의 어느 곳에라도 의지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커터(2)로서 원반형 커터(2)를, 사용자 자신의 신체의 일부분으로서 등을, 지지부(4)로서 등받이(4)를 활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수동 예초기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1, the portable manual lawn mowe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rk table 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length capable of allowing the user to grasp and hold the worker while walking, A cutter 2 capable of cutting a weed or a weed that has grown from the ground by self-ro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otation")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worktable 1, A power unit 3 connected to the cutter 2 for generating power and capable of generating a self-pow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m swing action of the user, and a power unit 3 for holding the power unit 3 in a fixed state And a support portion (4) that can be carried on a portion of the user's own body. In the figure, a disc-shaped cutter 2 is shown as an example of a cutter 2. As an exampl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above example is not limited in shape, shape, and the like of the cutter 2 as long as it can cut a weed or a bark grown from the ground. In the drawings, the back portion 4 is used as a support portion 4 and the back portion 4 is exemplified as a part of the body. The above example is an exampl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nd the support 4 can depend on any part of the user's own bod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using the disc cutter 2 as a cutter 2 as a part of the user's own body and the back 4 as a support 4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clear that this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of the hand-held manual lawnmow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작업대(1)는, 풀베기하는 예초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작업자(사용자)가 직접 한 손으로 들고 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운전하여 지면과 근접하도록 위치한 상기 커터에 의해 주변에 자라난 잡초와 잡목을 베어내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파지대(11)와 그 선단으로부터 진,퇴 작용을 이루는 신장대(12)의 연결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파지대(11)와 신장대(12)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상기 동력장치(3)로부터 생성된 회전동력을 이어받아 상기 커터(2)로 최종 전달하되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플렉시블(flexible)한 특성을 지닌 제1동력케이블(13)로 구성된다.The workbench (1) is operated by a worker (user) holding the worker (user) with his / her hand held in a forward direction so as to perform the mowing work for grassing, and the weeds and the grass The length of the fabric 11 can be adjusted by connecting the fabric 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extension 1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fabric 11, The first power cabl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capable of being turned and transferred finally to the cutter 2 while receiving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unit 3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utter 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tter 2, (13).

상기 파지대(11)에는, 차후 후술할 상기 동력장치(3)의 제2동력케이블과 상기 제1동력케이블(13) 상호 간 연결결합에 필요한 어댑터(adapter, 111)가 상기 신장대(12)와 대향하는 일측 말단에 더 구비되어 있다.An adapter 111 requir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ower cable of the power unit 3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rst power cable 13 is connected to the cloth band 11, And is further provided at one opposed end.

상기 신장대(12)에는, 작업자가 선 채로 상기 작업대(1)를 기울여 커터(2)를 지면에 근접시킬 경우 지면과 평행한 상태의 대응각도를 갖도록 중간부를 굽혀서 절곡시킨 벤딩파이프(121)가 선단에 연결되고, 상기 벤딩파이프(121)의 선단에는 상기 제1동력케이블(13)을 외부로 노출시켜 커터(2)와 상호 간의 연결조립이 용이토록 하기 위해 분해결합이 가능한 마감파이프(122)가 더 연결된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신장대(12)의 선단에는, 상기 제1동력케이블(13)을 외부로 노출시켜 커터(2)와 상호 간의 연결조립이 용이토록 하기 위해 분해결합이 가능한 마감파이프(122)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동력케이블(13)의 선단부에는 커터(2)와의 축결합을 통한 동시회전을 가능케 하는 제1연결척(142)이 더 구비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장대(12)에는, 상기 작업대(1)를 기울일 경우 커터(2)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의 대응각도를 갖도록 상기 신장대(12)의 상기 선단에서 상기 파지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서 굽혀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worker 1 tilts the workbench 1 in a straight line to bring the cutter 2 close to the ground, the bending pipe 121 bent and bent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so as to have a corresponding angle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And a finishing pipe 122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ending pipe 121 to expose the first power cable 13 to the outside so that the cutter 2 and the cutter 2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together Further connected. The first power cable 13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cutter 2 can be disassembled and coupled with the cutter 2 in order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cutter 2 and the cutter 2. In other words, Closing pipe 122 may be further connected.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ng cable 142 may b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power cable 13 to allow simultaneous rotation through axial coupling with the cutter 2. At this time, when the worktable 1 is tilt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elongated strip 12 to the gripper is set so that the cutter 2 has a corresponding angle in a state parallel to the ground The bent portion may be bent at a position away from the center portion.

상기 제1동력케이블(13)에는, 케이블헤드(131)가 일측 선단에 구비결합되는바, 상기 케이블헤드(131)는 별도의 스크류볼트에 의해 상기 벤딩파이프(121)의 내부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헤드(131)의 그 선단부에는 상기 커터(2)의 축결합을 통한 동시회전을 가능케 하는 제1연결척(132)이 더 구비결합되어 있다.The cable head 131 is coupled to the first power cable 13 at one end and the cable head 131 is fixed in the bending pipe 121 by a separate screw bolt do. A first connecting chuck 132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ble head 131 to enable simultaneous rotation of the cutter 2 through axial coupling.

커터(2)는, 상기 작업대(1)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동력장치(3)로부터 회전동력을 이어받아 빠른 속도로 자전하여 잡초와 잡목을 베어내는 절단을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의 신장대(12) 선단에 연결된 상기 벤딩파이프(121) 내부에 내재된 제1연결척(132)에 축결합됨으로써 일방향 자전이 가능한 커터헤드(21)와, 상기 커터헤드(21) 하면에 밀착결합된 상태로 동시 회동을 이루는 회전판(22)과, 상기 회전판(22)에 방사형으로 외향 돌출결합된 상태로 동시 회전하여 잡초와 잡목을 절단하는 하나 이상 다수의 커터날(23)로 구성된다.The cutter 2 is for cutting cutting the weeds and the weeds by rotating at a high speed after receiving the rotational power from the power unit 3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work table 1, A cutter head 21 which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by being axially coupled to a first connection chuck 132 provided inside the bending pipe 121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bar 12 of the workbench 1, A rotary plate 22 for simultaneously rotating in a state of being tight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utter head 21 and at least one rotary cutting unit 22 for simultaneously cutting the weeds and the weeds while being radially outwardly projectingly coupled to the rotary plate 22 And a cutter blade (23).

여기서, 상기 커터날(23)은, 도 4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회전판(22) 하면에 배치시켜, 풀베기시 바위 또는 돌덩이와의 충돌로 파손될 경우 사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절단된 파편이 날아오르는 것을 미리 차단함이 바람직하다.4 (a) and 4 (b), the cutter blade 23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22, and when the cutter blade 23 is broken due to collision with a rock or a stone during grass cutting, It is preferable to block the fragments cut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in advance.

상기 커터헤드(21)에는, 상기 제1연결척(132)에 끼워넣어 축결합할 수 있게 된 중심핀(211)이 중앙 상단으로부터 소정길이 상향 돌출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회전판(22) 하면과 밀착하는 커터날(23)의 후단부를 압박하여 결합상태를 견고히 하는 고정뭉치(212)가 조립되되, 상기 커터날(23)의 교체교환을 감안하여 별도의 렌치볼트에 의해 분해결합이 가능토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cutter head 21 is provided with a center pin 211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chuck 132 so as to be axially engaged with the cutter head 21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er upper 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ixing bundle 212 for press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utter blade 23 in close contact with the cutter blade 23 to firmly engage the cutter blade 23. The cutter blade 23 can be disassembled by a separate wrench bolt .

이와 함께, 상측 둘레부에는, 상기 벤딩파이프(121)의 끝단부를 일부 삽입시킨 상태로 외부로부터 별도의 스크류볼트를 체결시켜, 상기 커터(2)가 작업대(1) 선단에 연결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파이프홀더(213)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 separate screw bolt is fastened from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bending pipe 121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so that the cutter 2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work table 1 A pipe holder 213 is provided.

상기 회전판(22)의 바닥면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상기 커터날(23)들의 조립결합 및 결합상태 유지를 위한 하나 이상 다수의 고정판(221)이 구비조립된다.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ry plate 22, one or more fixing plates 221 for assembling and maintaining the plurality of the cutter blades 23 radially arranged are assembled.

동력장치(3)는, 유류 또는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는 전동식 동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자 조작에 의한 자가동력의 생성이 가능케 된 것으로,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이 마련된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 내부로 일부가 내재수용 및 힌지결합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부여잡고 일정반경 상,하로 왕복운동시켜 자가동력 생성을 위한 수동조작이 가능케 된 조작핸들(32)과, 상기 조작핸들(32)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한 조작핸들(32) 상,하 왕복운동에 따라 발생한 직선운동의 회전운동 전환 및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다수의 기어들로 조합된 구동체(33)와, 상기 구동체(33)에 더 연결된 상태로 상기한 구동체(33)의 작동으로 발생한 회전동력을 이어받아 동시 회전되고 상기 작업대(1)의 제1동력케이블(13) 연결결합이 가능한 제2연결척(34)과, 상기 제2연결척(34)과 작업대(1)의 어댑터(111)에 양측 선단이 각각 연결됨에 따라 제2연결척(34)으로부터 이어받은 회전동력을 제1동력케이블(35)로 연이어 전달하는 제2동력케이블(35)로 구성된다. 도면에는 케이스(31)로서 박스형 케이스(31)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케이스(31)의 형상, 모양 등에는 제한이 없다.As shown in Figs. 5 to 6B, the power unit 3 can generate a self-generated power by operating an operator without using an electric power unit consuming oil or electric energy. A manipulation handle 32 for partially manipulating and hinging the inside of the case 31 and manually operating the manipulation handle 32 to generate a self- A driving body 33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gears for increasing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al speed of linear motion generated by the downward reciprocating motion of the operation handle 32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operation handle 32, A first power cable 13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able 13 an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able 13, and a second power cable 13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able 13, 2 connecting chuck 34, The rotary power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necting chuck 34 is successively transmitted to the first power cable 35 as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chuck 34 are connected to the adapter 111 of the work table 1 And a second power cable (35). In the figure, the box-shaped casing 31 is shown as an example. As an exampl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above example is not limited in shape, shape and the like of a case 31 in which an inner space can be formed.

상기 조작핸들(32)에는, 일정범위에 기어의 이(tooth form) 모양의 치형부(321-1)를 가진 판기어(321)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팔 스윙 행위에 의한 파지부위 측의 상,하 왕복운동으로 발생한 동력이 상기 구동체(33)로 전달될 수 있다.Since the plate gear 321 having the tooth form tooth portion 321-1 of the gear in a certain range is integrally formed in the operation handle 32, The power generated by the upward / downward reciprocating motion of the driving body 33 can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body 33.

상기 구동체(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핸들(32) 판기어(321)의 치형부(321-1)에 맞물림 되는 구동기어(331)와, 상기 구동기어(331)에 맞물림 되는 연동기어(332)와, 상기 연동기어(331)에 맞물림 되는 회동기어(333), 그리고 상기 회동기어(333)에 연이어 축결합된 상태로 동시 회전하되 자체중량에 따른 원심력으로 일방향으로 지속적 회전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원심추(遠心錘, 334)로 구성된다.7, the driving body 33 includes a driving gear 331 engaged with the tooth portion 321-1 of the plate gear 321 of the operation handle 32, And a rotary gear 333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331. The rotary gear 333 is coupled to the rotary gear 333 in such a manner that the rotary gear 333 is coupled to the rotary gear 333, And a centrifugal weight (334) for maintaining a constant rotational force.

또한, 상기 회동기어(333)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pawl)의 작용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을 전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운동을 전하지 않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 래칫(ratchet, 333-1)을 추가로 구비결합하여, 상기 조작핸들(32)을 들어올림에 따른 역회전 동력이 상기 원심추(334)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6B, a ratchet 333 having mechanical characteristics that transmits rotation only in one direction due to the action of a pawl and does not transmit movem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rotating gear 333. Further, -1) so that the reverse rotation power generated by lifting the operation handle 32 is not transmitted to the centrifugal weight 334.

상기 제2동력케이블(35)의 양측 각 선단부에는, 상기 파지대(11)의 어댑터(111)와 상기 제2연결척(34)에 끼워 넣어 연결결합할 수 있는 결속핀(351)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A coupling pin 351 which can be fitted and connected to the adapter 111 of the fascia 11 and the second connection chuck 34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ends of both sides of the second power cable 35 Respectively.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체(33)의 구성관계를 달리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구동체(33) 조합에서, 상기 판기어(321)의 치형부(321-1) 구성을 생략하고, 상기 치형부(321-1)를 대신하여 상기 구동기어(331)에 기어 맞물림될 수 있는 다른 치형부을 가진 래크(rack, 321-2)를 추가 구성함을 통해, 상기 판기어(321)의 회전시 래크(321-2)가 일방향으로 밀려나는 수평운동 및 이의 반복운동에 따라 상기 조작핸들(32)을 이용한 상,하 직선운동이 래크와 피니언(rack & pinio)의 기계적 원리를 따른 회전운동으로 전환되어 상기 연동기어(332)에 전달되도록 그 구성을 달리할 수도 있음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f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body 33 is different. More specifically, in the above-described combination of the drive bodies 33, the configuration of the tooth portion 321-1 of the plate gear 321 is omitted, and the drive gear 331 A rack 321-2 having other teeth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321-2 is further provided with a horizontal movement in which the rack 321-2 is pushed in one direction during rotation of the plate gear 321, The upper and lower linear motions using the manipulation handle 32 are converted into rotary motions in accordance with the mechanical principle of the rack and pinion and are transmitted to the interlock gear 332 in accordance with the repetitive motion May be possible.

등받이(4)는, 예초작업시 상기 동력장치(3)를 등에 짊어진 상태에서의 보행 편의와 함께 상기 조작핸들(32)의 사용자 조작(팔 스윙 행위) 편의를 위한 것으로, 상기 동력장치(3)를 올려서 고정결합할 수 있고 등에 의지시킬 수 있도록 "L"자형으로 절곡형성된 한편, 사용자가 자신의 어깨에 걸어 메고 허리에 둘러메는 솔더벨트(shoulder belt, 41) 및 웨이스트벨트(waist belt, 42)가 함께 구성됨이 바람직한바, 이는 도 1을 참조한다.The backrest 4 is provided for a user's manipulation (arm swinging) of the manipulation handle 32 together with a walking aid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unit 3 is carried on the back during the mowing operation. A shoulder belt 41 and a waist belt 42 which are wrapped around the user's shoulders and wrapped around his / her waist, while being folded in an "L" Are preferably combined together, which is illustrated in Fig.

미 설명부호인 (s)는 상기 조작핸들(32)이 자동으로 상향복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탄발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이다.The unspecified code s is a coil spring that exerts an elastic force for automatically restoring the operation handle 32 upwar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manual lawn mowe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지금까지 설명한 바를 토대로 한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과 조립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휴대형 수동 예초기(A)가 단일 구조체를 구성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이용하여 최소의 인력으로 넓은 면적의 개활지를 관리하거나 혹은 묘지의 벌초를 실시할 수 있다.First, a portable manual lawn mower (A)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constitutes a single structure through the combination and assembly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and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manage a wide area of open space or carry out a graveyard.

이를 위해, 상기 동력장치(3)를 등받이(4)에 올려놓고 고정시킨 후 상기 등받이(4)의 솔더벨트(41)와 웨이스트벨트(42)를 각각 양 어깨와 허리에 단단히 걸어 메고 둘러메는 것으로써 보행을 통한 예초(풀베기)작업의 어려움이 없도록 한다.To this end, the power unit 3 is placed on the backrest 4 and fixed, and then the solder belt 41 and the waist belt 42 of the backrest 4 are tightly held on both shoulders and waists, Ensure that there is no difficulty in mowing through sowing.

그 상태에서, 상기 동력장치(3)를 작동시켜 기름(oil)이나 전력이 충전된 배터리 소비로 구동하는 전동식 동력장치가 필요없이도 작업대(1) 선단에 장착된 커터(2)를 회전시켜 풀베기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the power unit 3 is operated to rotate the cutter 2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work table 1 without the need for an electric power unit for driving the battery with consumption of oil or electric power, . ≪ / RTI >

자세하게는, 도 6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상기 등받이(4)를 등에 메는 것에 따라 작업자의 상체 일측으로 전방위 돌출된 상기 동력장치(3)의 조작핸들(32)의 파지부위를 손으로 부여잡은 후, 상기 조작핸들(32)을 상,하로 왕복운동시킨다.6A, the grip portion of the operation handle 32 of the power unit 3 projecting all over the one side of the upper body of the worker as the back of the worker is pushed back, The operation handle 32 is reciprocated upward and downward.

이에 따라, 상기한 조작핸들(32)의 판기어(321)에 형성된 치형부(321-1)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왕복되는 궤도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며, 그에 기어 맞물림된 상기 구동체(33)의 구동기어(331), 연동기어(332), 회동기어(333)가 연쇄적으로 대응회전작용케 된다.Thus, the toothed portion 321-1 formed on the plate gear 321 of the operation handle 32 is orbitally rotated in a reciprocating manner along a fixed orbit, and the driving body 33 engaged with the driven body 33 The driving gear 331, the interlocking gear 332, and the rotating gear 333 are successively rotated in a corresponding manner.

이로써, 상기 회동기어(333)에 축결합된 상기 원심추(334) 및 제2연결척(34)이 동시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연결척(34)에 연이어 연결된 제2동력케이블(35) 내부의 와이어가 회전케 되고 와이어의 그 회전력이 상기 작업대(1)대 내부에 삽입구성된 제1동력케이블(13)의 와이어 회전으로 상기 1연결척(132)에 축결합된 상기 커터(2)가 더불어 회전구동됨으로 인해 주변에 자라난 잡초와 잡목의 절단이 가능한 것이다.The second power cable 35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chuck 34 by the simultaneous rotation of the centrifugal weight 334 and the second connection chuck 34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gear 333, The cutter (2) is axially coupled to the one connecting chuck (132) by the wire rotation of the first power cable (13) whose internal wire is rotated and its rotational forc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work ta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ut the weeds and bushes that grow around due to the rotation drive.

이때, 상기 구동체(33)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기어(331)와 연동기어(332) 그리고 회동기어(333)는, 구동기어(331)가 1회전 할 때 연동기어(332)는 4회전을 하고, 연동기어(332)가 1회전 할 때 회동기어(333)는 10회전을 하는 상대적 기어비(gear ratio)를 예로서 나타낼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gear 331, the interlocking gear 332, and the interlocking gear 333 constituting the driving body 33 rotate the interlocking gear 332 four times when the driving gear 331 makes one rotation And the rotating gear 333 rotates ten times when the interlocking gear 332 makes one rotation, for example, as a relative gear ratio.

따라서 상기 회동기어(333)에 의한 원심추(334)의 회전관성(rotational inertia, 回轉慣性)을 더한 가속 회전수까지 합산할 경우, 상기한 조작핸들(32)을 1분간 상,하 왕복운동(대략 40 내지 60회)시키게 되면 상기 원심추(334)에 축결합된 제2연결척(34)의 분당 회전수(rpm)는 1500회전에 육박함으로써, 상기한 조작핸들(32)을 빠른 속도로 무리하게 조작하지 않더라도 잡초와 잡목을 베어 절단하는 예초작업을 실시하는데 적당한 상기 커터(2)의 회전구동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rotation inertia of the centrifugal weight 334 by the rotation gear 333 is added to the acceleration rotation speed plus the rotation inertia, the operation handle 32 is rotated for one minute in the upward and downward reciprocating motion The rotation speed per minute (rpm) of the second connecting chuck 34 axially coupled to the centrifugal weight 334 is approached to 1500 revolutions so that the operating handle 32 is rotated at a high speed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cutter 2 suitable for carrying out the mowing operation for cutting the weeds and the weeds even if it is not forcibly operated.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동 예초기(A)를 이용한 자가동력 생성을 통해 별도의 에너지 소비형 전동식 동력장치가 필요없이도 커터(2)를 회전시켜 풀베기를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조작핸들(32)의 상,하 왕복운동을 위한 사용자 조작만으로도 예초기 작동이 가능하며, 플렉시블한 동력케이블 채용을 통한 작업대(1) 절곡부위의 기어뭉치(베벨기어) 생략을 통해 관련부품의 수를 획기적으로 간소화하여 기기의 경량화 실현 및 기기의 제조단가와 판매단가 절감 등과 같은 각종 효과를 거둘 수 있다.In summary, self-power generation using the portable manual lawn mowe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utter 2 to be rotated and unwoun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energy-consuming electric power system, 32) can be operated only by user's operation for upward and downward reciprocating movements. By using a flexible power cable (1), the number of related parts is greatly simplified by omitting the gears (bevel gears) Thereby achieving various effects such as achieving weight reduction of the apparatu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selling unit cost of the apparatu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 : 예초기, 1 : 작업대, 2 : 커터
3 : 동력장치, 4 : 등받이, 11 : 파지대
12 : 신장대, 13 : 제1동력케이블, 21 : 커터헤드
22 : 회전판, 23 : 커터날, 31 : 케이스
32 : 조작핸들, 33 : 구동체, 34 : 제2연결척
35 : 제2동력케이블, 41 : 솔더벨트, 42 : 웨이스트벨트
111 : 어댑터, 121 : 벤딩파이프, 122 : 마감파이프
131 : 케이블헤드, 132 : 제1연결척, 211 : 중심핀
212 : 고정뭉치, 213 : 파이프홀더, 221 : 고정판
321 : 판기어, 321-1 : 치형부, 321-2 : 래크
331 : 구동기어 332 : 연동기어, 333 : 회동기어,
333-1 : 래칫 334 : 원심추, 351 : 결속핀
A: lawn mower, 1: work table, 2: cutter
3: Power unit, 4: Backrest, 11: Fascia
12: extension cable, 13: first power cable, 21: cutter head
22: a rotating plate, 23: a cutter blade, 31: a case
32: operating handle, 33: driving body, 34: second connecting chuck
35: second power cable, 41: solder belt, 42: waste belt
111: Adapter, 121: Bending pipe, 122: Closed pipe
131: cable head, 132: first connecting chuck, 211: center pin
212: fixed bundle, 213: pipe holder, 221: fixed plate
321: plate gear, 321-1: tooth portion, 321-2: rack
331: driving gear 332: interlocking gear, 333: turning gear,
333-1: ratchet 334: centrifugal weight 351:

Claims (9)

사용자가 손으로 부여잡고 선 채로 보행하며 풀베기가 수월토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상기 작업대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동력을 이어받아 자전함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자라난 잡초나 잡목을 베어낼 수 있게 된 커터;
상기 작업대에 연결하여 상기 커터로 이어지는 동력생성을 위하되, 사용자의 정해진 팔 스윙 행위에 따른 자가동력의 생성이 가능한 동력장치; 및,
상기 동력장치를 올려놓고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자 자신의 신체의 일부분에 의지시켜 짊어질 수 있게 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장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일부가 내재수용 및 힌지결합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부여잡고 일정반경 상,하로 왕복운동시켜 자가동력 생성을 위한 수동조작이 가능케 된 조작핸들과,
상기 조작핸들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조작핸들의 상,하 왕복운동에 따라 발생한 직선운동의 회전운동 전환 및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다수의 기어들로 조합된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에 더 연결된 상태로, 상기 구동체 작동으로 발생한 회전동력을 이어받아 동시 회전되고 상기 작업대로의 동력전달을 위한 연결부재가 되는 제2연결척과,
상기 제2연결척과 상기 작업대에 양측 선단이 각각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2연결척으로부터 이어받은 회전동력을 상기 작업대에 연이어 전달하는 제2동력케이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동 예초기.
A workbench which has a certain length and can be adjusted in length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hand, walk while standing,
A cutter capable of cutting a weed or a weed that has grown from the ground by rotating with the power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worktable;
A power unit connected to the workbench to generate power to the cutter, wherein the power unit is capable of generating self-pow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m swinging behavior of the user; And
And a support portion for holding the power unit on a part of the user's own body in a state where the power unit is mounted and fixed,
The power unit includes a case having an internal space,
An operation handle capable of manual operation for generating a self-power by a user's hand-held and reciprocating motion with a predetermined radius, and a hinge-
A driving bod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gears connected to the operating handle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linear motion caused by the upward and downward reciprocating motions of the operating handle,
A second connection chuck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ing body and receives rotation power generated by operation of the driving body and rotates simultaneously and becomes a connection membe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ork,
And a second power cable connected to both of the second connection chuck and the work table so as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from the second connection chuck to the work table in succes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일정길이를 갖는 파지대와 상기 파지대 선단으로부터 진,퇴 작용을 이루는 신장대의 연결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파지대와 상기 신장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동력장치로부터 생성된 회전동력을 이어받아 상기 커터로 최종 전달하되,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제1동력케이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동 예초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table can be adjusted in length by connection between a fasten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astener that is retracted from the distal end of the fastener,
And a first power cable which receives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unit in a state where the power unit is continuously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ascia and the elongated band and finally transmits the rotational power to the cutter, Manual mow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작업대 선단에 축결합된 상태로 일방향 자전이 가능한 커터헤드와,
상기 커터헤드 하면에 밀착결합된 상태로 동시 회동을 이루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방사형으로 외향 돌출결합된 상태로 동시 회전하여, 잡초와 잡목을 절단하는 하나 이상 다수의 커터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동 예초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tter has a cutter head capable of rotating in one direction with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end of the workbench,
A rotary plate which is rotated in a state of being close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utter head,
And one or more cutter blades for simultaneously cutting the weeds and the wefts while being radially outwardly projected and coupled to the rotation plate.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대의 선단에는, 상기 제1동력케이블을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커터와 상호 간의 연결조립이 용이토록 하기 위해 분해결합이 가능한 마감파이프가 더 연결되며,
상기 제1동력케이블의 선단부에는 상기 커터와의 축결합을 통한 동시회전을 가능케 하는 제1연결척이 더 구비결합되되,
상기 신장대에는, 상기 작업대를 기울일 경우 상기 커터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의 대응각도를 갖도록 상기 신장대의 상기 선단에서 상기 파지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서 굽혀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동 예초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finishing pipe connected to the cutter for disassembling and coupling the first power cable to the cutter so that the first power cabl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rst power cable is further coupled to a first connecting chuck at the front end thereof to enable simultaneous rotation through axial coupling with the cutter,
And a bent portion bent and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elongated body so as to have a corresponding angle in a state in which the cutter i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when the worktable is tilted is formed on the elongated strip. Portable manual mower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대에는, 상기 작업대를 기울일 경우 상기 커터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의 대응각도를 갖도록 중간부를 굽혀서 절곡시킨 벤딩파이프가 선단에 연결되고,
상기 벤딩파이프의 선단에는, 상기 제1동력케이블을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커터와 상호 간의 연결조립이 용이토록 하기 위해 분해결합이 가능한 마감파이프가 더 연결되며,
상기 제1동력케이블에는, 선단부에는 상기 커터와의 축결합을 통한 동시회전을 가능케 하는 제1연결척이 더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동 예초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bending pipe bent and bent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is connected to the leading end so that the cutter has a corresponding angle in a state in which the cutter i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when the working table is tilted,
And a finishing pipe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ending pipe to expose the first power cable to the outside so that the cutter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so as to be easily assembled with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power cabl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chuck at its distal end for enabling simultaneous rotation through axial coupling with the cut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에는, 사용자의 팔 스윙 행위에 의한 파지부위 측의 상,하 왕복운동으로 발생한 동력을 상기 구동체로 전달케 된 판기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체는, 상기 판기어에 맞물림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림 회전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에 맞물림 회전되는 회동기어와, 상기 회동기어에 연이어 축결합된 상태로 동시 회전하되 자체중량에 따른 원심력으로 일방향으로 지속적 회전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원심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동 예초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handle is provided with a plate gear integrally formed with a plate gear which transmits power generated by upward and downward reciprocating motions of the gripping side by the user's arm swinging action to the driving body,
Wherein the driving body includes: a driving gear that is engaged with the plate gear; an interlocking gear that is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a rotating gear that is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And a centrifugal weight for maintaining a constant rotational force in one direction by centrifugal force according to its own we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에는, 사용자의 팔 스윙 행위에 의한 파지부위 측의 상,하 왕복운동으로 발생한 동력을 상기 구동체로 전달케 된 판기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체는, 상기 판기어에 의해 양방향으로 수평운동을 하게 된 래크와, 상기 래크에 맞물림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림 회전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에 맞물림 회전되는 회동기어와, 상기 회동기어에 연이어 축결합된 상태로 동시 회전하되 자체중량에 따른 원심력으로 일방향으로 지속적 회전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원심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동 예초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handle is provided with a plate gear integrally formed with a plate gear which transmits power generated by upward and downward reciprocating motions of the gripping side by the user's arm swinging action to the driving body,
Wherein the driving body includes a rack which is horizontally moved in both directions by the plate gear, a driving gear which is engaged with the rack, an interlocking gear which is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And a centrifugal weight that simultaneously rotates in a state of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ng gear and maintains a constant rotational force in one direction by centrifugal force according to its own weight.
제 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기어에는, 상기 조작핸들을 들어올림에 따른 역회전 동력이 상기 원심추에 전달되지 않도록, 폴의 작용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을 전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운동을 전하지 않는 래칫이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동 예초기.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8,
The ratchet is provided with a ratchet that transmits rotation only in one direction due to the action of the pawl and does not transmit movem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a reverse rotation force due to the lifting of the manipulation handle is not transmitted to the centrifugal weight Portable manual mowers with features.
KR1020140157294A 2014-11-12 2014-11-12 Portable manual type lawn trimmer KR101727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294A KR101727269B1 (en) 2014-11-12 2014-11-12 Portable manual type lawn trim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294A KR101727269B1 (en) 2014-11-12 2014-11-12 Portable manual type lawn trim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678A KR20160056678A (en) 2016-05-20
KR101727269B1 true KR101727269B1 (en) 2017-04-14

Family

ID=5610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294A KR101727269B1 (en) 2014-11-12 2014-11-12 Portable manual type lawn trim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2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066A (en) 2020-06-19 2021-12-28 농업회사법인 와이즈팜 주식회사 Wireless moving vehicles for multipurpose grass mow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943A (en) * 2016-10-13 2018-04-23 김진성 Trimmer suspenders the back of a chair for frameless spectacles
KR102516794B1 (en) 2022-09-08 2023-03-31 이강일 weed remov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771B2 (en) * 1992-04-02 2001-04-23 触媒化成工業株式会社 Mold material
KR200343103Y1 (en) * 2003-11-10 2004-02-25 김흥교 Brush cutter of adjustable working ba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652Y1 (en) 2001-03-16 2001-10-26 박문섭 Pumping device of non-electric power
KR100607493B1 (en) 2004-11-08 2006-08-02 (주)엠파워텍 Grass cutter
JP4090484B2 (en) * 2005-12-12 2008-05-28 有限会社丸岩商会 Folding attachment and portable brush cutter equipped with the same
JP3159771U (en) * 2010-03-12 2010-06-03 周懐榕 Manual mower
KR101438318B1 (en) 2013-04-25 2014-09-04 허태구 A double-edged revolution is possible The brush cutter knife and knife operating method and knife oper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771B2 (en) * 1992-04-02 2001-04-23 触媒化成工業株式会社 Mold material
KR200343103Y1 (en) * 2003-11-10 2004-02-25 김흥교 Brush cutter of adjustable working b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066A (en) 2020-06-19 2021-12-28 농업회사법인 와이즈팜 주식회사 Wireless moving vehicles for multipurpose grass mow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678A (en)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3886B2 (en) Power tool with a rotatable working head
KR101727269B1 (en) Portable manual type lawn trimmer
US20110258859A1 (en) Cutting device and method
CN113016384B (en) Gardening trimmer
JP2006314278A (en) Brush cutter
EP3771329A1 (en) Reciprocating blade apparatus and handheld working machine
US1937586A (en) Hedge trimmer and the like
EP1747710A1 (en) Pruning assembly
CN110214537A (en) For splitting the connector of bar power tool
US5371977A (en) Portable, in-place sharpener for lawn mower blades and the like
WO2014161257A1 (en) Power tool
EP2380420B1 (en) Portable motorised device for working the soil
CN201146704Y (en) Backpack tea plant trimming machine
US11432468B2 (en) Reciprocating blade apparatus and handheld working machine
JP2007015089A (en) Detachable extension handle, and power tool with detachable extension handle
JP2006314277A (en) Brush cutter
JP3196477U (en) Horticultural clippers
JP3196477U7 (en)
JP2007082498A (en) Pruning tool for bush cutter and pruning apparatus
JP3208014U (en) Brush cutter
JP6315737B1 (en) Grass tray and mower
JPH0446536Y2 (en)
NO140218B (en) ELECTRICALLY POWERED GRASS SHEAR.
JP6302393B2 (en) Horticultural clippers
CN209930933U (en) Multifunctional electric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