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066B1 - Drone units for rescu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rescue situation using drone units - Google Patents

Drone units for rescu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rescue situation using drone uni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066B1
KR101723066B1 KR1020160070223A KR20160070223A KR101723066B1 KR 101723066 B1 KR101723066 B1 KR 101723066B1 KR 1020160070223 A KR1020160070223 A KR 1020160070223A KR 20160070223 A KR20160070223 A KR 20160070223A KR 101723066 B1 KR101723066 B1 KR 101723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module
unit
base poin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2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봉
Original Assignee
김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봉 filed Critical 김기봉
Priority to KR1020160070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0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0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16Blades
    • B64C11/20Constructional features
    • B64C11/28Collapsible or fold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64C27/10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arranged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7
    • B64C2201/141
    • B64D2700/621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unit for rescue, which stores the position of a user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user as a drone is carried by the user and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user by moving to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position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unit for rescue comprises: a position recognition module yielding drone position dat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rone when the drone unit drives; a storage module storing base position database including base position data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base position and the drone position data yield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a main body unit comprising a control module calculating the position of a target base position adjacent to the position of the drone by comparing the base position database of the storage module and the drone position data yield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a rotor moving the drone unit by providing a lift force to the drone unit; and a driving unit comprising a driving module driving the r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unit for rescue is driven at an accident occurrence position by the user and can actively transmit a surrounding situ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user to a rescuer.

Description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 및 드론유닛을 이용한 구난정보 제공방법 { DRONE UNITS FOR RESCU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RESCUE SITUATION USING DRONE UNIT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vag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 salvag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구난 구조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한 드론이 사용자의 위치를 산출하여 저장하고, 드론의 위치와 인접한 거점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전달하는 구난 구조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cue structure dron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lvage rescue drones in which a dron carried by a user calculates and stores a position of a user, moves to a base adjacent to the dron, will be.

무인비행체인 드론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드론은 군사, 지형탐색, 영상촬영, 물류, 통신, 방범, 구조,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As the technology of drone, a unmanned aerial vehicle, develops, drones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ilitary, terrain search, image shooting, logistics, communication, crime prevention, rescue and agriculture.

최근 구난 구조분야에서는 통신장치가 구비된 드론을 이용하여, 재난 지역에서 구난자를 탐색하는데 이용되고 있다.Recently, rescue structures have been used to search rescuers in disaster areas by using drone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devices.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033241 호에는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재난 구조 방법으로, 재난이 발생한 지점으로 드론이 이동하여 비콘(Beacon)신호를 구난자의 이동단말기로 송신하고, 구난자의 이동단말기는 드론의 비콘 신호를 수신받아 구난자의 위치를 송신하여 구난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Accordingl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33241 discloses a disaster relief method using an unmanned airplane in which a drone moves to a point where a disaster occurs and transmits a beacon signal to a rescuer's mobile terminal, The beacon signal of the drone is received and the position of the rescuer is transmitted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rescuer.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재난이 발생한 넓은 지역 내에서 다수의 구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a plurality of survivors can be located in a wide area where a disaster occurs.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구조자가 구난자의 발생한 사실을 인지 못하거나, 구난자의 위치로 드론이 도달하지 못하여, 드론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난 구난자의 위치는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cuer does not recognize the fact that the rescuer has occurred, or the drone can not reach the rescuer's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rescuer deviating from the path of the drone can not be grasped.

즉, 종래기술에서는 다수의 구난자 위치파악아 용이하나, 부상 여부와 같은, 개별 구난자의 정확한 상태파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prior art, it is easy to grasp the position of a plurality of spherical eggs, bu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accurate state of individual survivors, such as the degree of injury.

또한, 기존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구축에는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cost is incurred in constructing a structural system using a conventional unmanned aerial vehicl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033241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3324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응급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의해 구동되고, 사용자 위치정보 및 주변상황을 기설정된 거점에 알릴 수 있는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cue drill unit which is driven by a user in case of an emergency, .

또한, 본 발명은 응급상황 발생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접이식 블레이드가 구비된 구난구조용 드론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rescue drill unit with a foldable blade for the user to carry easily in case of an emergenc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드론유닛의 구동시, 드론위치를 나타내는 드론위치데이터를 산출하는 위치인식모듈과; 거점위치를 나타내는 거점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거점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드론위치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모듈; 그리고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드론위치데이터와 상기 저장모듈의 거점데이터베이스를 대비하여 상기 드론위치와 인접한 목표거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드론유닛에 양력을 제공하여 이동되도록 구동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rone unit, the apparatus comprising: a position recognition module for calculating drone position data indicating a position of a drone when the drone unit is driven;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 database of a base point including base point position data representing a base point position and a position data of the drone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And a control module for calculating a position of a target base point adjacent to the drone position by comparing the drone position data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with a base database of the storage module, And driven to move; And a driving unit including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rotor.

여기서, 상기 위치인식모듈은 GPS위성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드론의 드론위치를 나타내는 드론위치데이터를 산출하는 GPS장치와; 상기 드론유닛의 상하좌우 이동방향을 특정하고, 기체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비행자세유지 및 고도유지를 하도록 드론유닛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may include a GPS device for receiving the GPS satellite signal and calculating the dron position dat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ron of the current dron; And a gyro sensor for det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on unit for specify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on unit, calculating the slope of the gas, and maintaining the flight attitude and maintaining the altitude.

그리고 상기 드론유닛 구동시, 구동되어 주변 상황을 촬상하는 촬상모듈을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촬상모듈에서 촬상된 촬상데이터는,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다.And an imaging module that is driven when the drone unit is driven and captures an ambient situation. The imaging data captured by the imaging module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그리고 상기 거점은,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 가능한 소방서, 경찰서 또는 구조대 중 어느 하나이다.The base is any one of a fire department, a police station, or a rescue team capable of responding to a situation of a user.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드론위치로부터 상기 목표거점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값을 산출하고, 상기 구동값에 의해 상기 목표거점위치로 이동되도록 구동모듈을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calculates a driving value for moving from the drone position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to the target base point position, and controls the driving module to move to the target base point position by the driving value.

여기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으로부터 산출된 구동값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로터에 동력을 제공한다.Wherein the drive module provides power to the rotor to be driven by a drive value calculated from the control module.

상기 로터에는 한 쌍의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로터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힌지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상기 블레이드 타측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드론유닛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드론유닛 외주면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안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대응하는 형태로 안착홈이 형성된다.Wherein the rotor is provided with a pair of blades: the blades are hinged to one side of the rotor; The other end of the blade is pivoted downward about the hinge-coupled shaft to be se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unit. A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unit to correspond to the blade so that the blade is seated.

상기 힌지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펼쳐지도록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안착되도록,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이 위치하도록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일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체결된 상태의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리공이 분리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분리버튼이 구비된다.Wherein the hinge is further formed with an elastic member such that the blade is unfolded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blade is seated, ≪ / RTI > A hook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groove so that the hook is positioned so that the hook and the hook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user, A separation button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드론위치와 목표거점위치가 설정된 범위내로 근접시, 거점도착을 알리도록, 알람신호를 출력한다.Also, the control module outputs an alarm signal to notify the arrival of the base point when the drones position and the target base point position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are within a set range.

그리고 발광을 통해 시각적 알람효과를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음향를 통해 청각적 알람효과를 발생시키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력모듈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한다.A light emitting unit for generating a visual alarm effect through light emission; And an output module including an acoustic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udible alarm through sound. The output module receives and outputs an alarm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그리고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무선신호인 도착신호를 출력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드론유닛 구동시, 상기 통신모듈이 고유코드가 포함된 상기 도착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거점에 구비된 수신기가 상기 도착신호를 수신시, 상기 드론유닛 도착을 인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착신호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비콘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이 적용된다.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outputting an arrival signal which is a radio signal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outputs the arrival signal including a unique code at the time of driving the drone unit, Upon receipt of the arrival signal by the receiver, to recognize arrival of the dron unit; The arrival signal may be a Bluetooth, a Wi-Fi or a beacon.

한편, (A) 사용자에 의해 드론유닛이 구동되는 단계; (B) 위치인식모듈이 구동되어 드론위치를 나타내는 드론위치데이터를 산출하고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상기 드론위치데이터와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거점데이터베이스를 대비하여 드론위치로부터 인접한 목표거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상기 드론위치와 상기 제어모듈이 거점위치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한 상기 목표거점의 위치를 대비하여 상기 제어모듈에서 구동값을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구동값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에서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제어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듈이 구동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A) driving the drone unit by a user; (B) calculating and storing the drone position data indicating the drone position by driving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C) calculating, by the control module, a position of an adjacent target base point from the drone position in comparison with the base point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with the drone position data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D) calculating a driving value in the control module by comparing the position of the drones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with the position of the target base point calculated from the base point position database by the control module; (E) generating a drive control signal in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drive value; (F) driving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control module.

이때, 상기 (A) 단계는 (a) 촬상모듈이 구동되어 주변 상황을 촬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된다.In this case, the step (A)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 driving the imaging module to capture a surrounding situation.

그리고 (G)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드론위치데이터로부터 목표거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H) 드론위치와 목표거점 위치가 설정된 범위내로 근접시, 구동모듈이 종료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된다.(G) calculating a distance from the drone position data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to a target base point; And closing the drive module when the (H) drone position and the target base point position are within a set range.

여기서, 상기 (H) 단계는 (b) 상기 촬상모듈의 구동이 종료되고, 상기 촬상모듈에서 생성된 촬상데이터가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된다.Here, the step (H)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b) ending driving of the imaging module and storing the imaging data generated by the imaging module.

그리고 (K) 상기 드론유닛이 거점도착시, 알람신호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된다.And (K) output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drone unit arrives at the base point.

이때, 상기 거점은 사용자 상황에 대응 가능한 소방서, 경찰서 또는 구조대 중 어느 하나이다.At this time, the base is any one of a fire department, a police station, or a rescue team capable of responding to a user situation.

그리고 상기 (K) 단계는 (K1) 상기 드론유닛에 구비된 통신모듈이 도착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거점에 설치된 수신기가 상기 도착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드론 유닛의 도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모듈은, 상기 드론유닛 본체에 입출가능한 이동식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론유닛은,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출력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tep (K)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K1) transmitting the arriva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drone unit, and receiving the arrival signal by the receiver installed at the base point to indicate arrival of the drone unit .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odule may include a removable storage medium which can be input into and out of the drone unit main body.
The drone unit may further comprise a display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삭제delete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salvage structural drones unit according to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사고발생지점에서 구동되어, 구조자에게 사용자의 위치와 주변상황을 능동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y a user at the point of occurrence of an accident, and has the effect of actively transmitting the user's position and surrounding situation to the rescue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시 용이하도록, 블레이드가 원터치로 펼쳐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휴대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blade is deployed in a one-touch manner so that a user can easily carry it, thereby increasing por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블레이드 접이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블레이드가 접힌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구동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구동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목표거점 산출예를 도시한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lade folding structure of a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lded shape of a blade of a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driving a salvage structural dron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driving a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calculating a target base point of a salvage structural dron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을 살펴보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1000)은 상기 드론유닛(1000)의 각 구성모듈을 제어하는 본체부(100)와 비행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구동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 salvage structural drones unit 1000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module of the drones unit 1000, And a driving unit 200.

먼저, 상기 본체부(100)는 드론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인식모듈(110), 거점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거점데이터베이스(이하 거점DB)(131) 및 상기 위치인식모듈(110)에서 산출된 드론위치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모듈(130), 목표거점을 산출하고 상기 목표거점으로 이동을 위한 구동값을 산출하는 제어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position recognition module 110 for calculating a position of a drone, a base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ase point database) 131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base points, A storage module 130 for storing position data, and a control module 140 for calculating a target base point and calculating a drive value for moving to the target base point.

여기서, 상기 위치인식모듈(110)은 인공위성에서 발생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드론위치를 산출하는 GPS장치(111)와 상기 드론유닛(1000)의 이동방향을 특정하고, 비행 자세유지 및 고도유지를 위한 기체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자이로센서장치(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110 includes a GPS device 111 for receiving a radio wave generated from an artificial satellite to calculate a dronion position, and a navigation device for specify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dron unit 1000, And a gyro sensor device 113 for calculating the slope of the gas.

이와 같은, 상기 GPS장치(111)는 상기 드론유닛(1000)이 구동시, 상기 드론유닛(1000)의 위치를 나타내는 드론위치데이터를 산출한다.When the drones 1000 are driven, the GPS device 111 calculates the position data of the drones 1000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rones 1000.

이때, 상기 드론위치데이터는 상기 목표거점 산출 및 상기 목표거점으로 이동을 위한 구동값을 산출하는데 이용될 뿐만 아니라, 최초 드론 구동위치를 산출하여 구조에 필요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데 이용된다.At this time, the dragon position data is used not only for calculating the drive point for calculating the target station and moving to the target station, but also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tructure by calculating the initial drone drive position.

그리고 상기 자이로센서장치(113)는 상기 드론유닛(1000)이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드론유닛(1000)의 상하좌우 이동방향을 특정하고, 상기 드론유닛(1000)이 자세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롤링값, 요잉값 및 피크값을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gyro sensor unit 113 specifi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ones 1000 so that the drones 1000 can fly stably and the gyro sensor unit 113 detects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drones 1000, Value, a yaw value, and a peak value.

그리고 상기 저장모듈(130)에는 목표거점을 산출하는데 이용되는 다수의 거점위치들이 저장된다.In the storage module 130, a plurality of base positions used for calculating a target base point are stored.

이와 같은, 다수의 거점위치는 거점DB(131)에 저장되는데, 상기 거점DB(131)에는 산악구조대, 해양구조대, 조난구조대, 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 구조활동에 관련기관의 거점위치데이터가 저장된다.A plurality of base locations are stored in a base database 131. Base location data of relevant organizations are stored in the base database 131 for structural activities such as mountain rescue, marine rescue, rescue, fire, police, and hospital do.

여기서, 상기 거점위치데이터는 상기 드론 유닛을 충전시, 하술할 통신모듈에 의해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거점DB(131)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Here, the base point position data may be updated in the base point database 131 when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a communication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drone unit is charged.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40)은 상기 위치인식모듈(110)에서 산출된 드론위치데이터와 거점DB(131)에 저장된 거점위치데이터들을 대비하여 상기 드론위치와 가장 인접한 위치의 목표거점을 산출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140 calculates a target base point of a position closest to the drone position, in comparison with the base point position data stored in the base point database 131, with the drone position data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110 .

또한, 상기 제어모듈(140)은 산출된 목표거점으로 드론유닛(1000)을 이동시키기 위해 하술 할 구동모듈(210)을 제어하도록 구동값을 산출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40 calculates a drive value to control the drive module 210 to be driven to move the drone unit 1000 to the calculated target base point.

여기서, 상기 구동모듈(210)은 구동부(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module 2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한편, 상기 제어모듈(140)은 상기 드론위치와 상기 목표거점의 위치가 설정된 범위내로 접근시, 도착을 알리는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odule 140 generates and transmits an alarm signal indicating arrival when the position of the drone position and the target base point approaches the set range.

이때,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알람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드론유닛(1000)이 거점에 도착함을 알리기 위한 출력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module 150 for receiving the alarm signal and informing that the drones 1000 arrive at the base point.

여기서, 상기 출력모듈(150)은 상기 드론유닛(1000)이 거점에 도착시, 빛과 음향을 이용해 구조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output module 150 informs the rescuer by using light and sound when the drones 1000 arrive at the base.

이때, 상기 출력모듈(150)은 빛을 발광하여 시각적인 알람 효과를 생성하는 발광장치(151)와 음향을 발생하여 청각적인 알람 효과를 생성하는 음향발생장치(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module 15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151 that generates a visual alarm effect by emitting light, and a sound generating device 153 that generates an audible alarm effect by generating sound .

즉, 상기 출력모듈(150)은 구조자의 시, 청각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유닛(1000)의 도착을 인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output module 150 plays a role of recognizing the arrival of the drones unit 1000 using the auditory sense of the rescuer.

한편,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드론유닛(1000)이 구동시, 거점에 설치된 수신기가 수신하여 도착을 인식하도록 도착신호를 출력하는 통신모듈(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60 for outputting an arrival signal so that the receiver installed at the base station recognizes arrival when the drones 1000 are driven.

이때, 상기 통신모듈(160)은 근거리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수신기가 도착신호를 수신하여 도착을 인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odule 160 receives the arrival signal by the receiver using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recognizes arrival.

이와 같은, 상기 통신모듈(160)은 상기 드론유닛(1000)이 구동시, 근거리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고유코드가 포함된 도착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수신기는 해당 고유코드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드론유닛(1000)이 거점에 도착했음을 거점 내 구조자에게 알린다.When the drones 1000 are driven, the communication module 160 outputs an arrival signal including a unique code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The receiver outputs a signal including the unique code, When it is received, it informs the rescue resident in the base station that the drones unit 1000 has arrived at the base point.

이때, 상기 통신모듈(16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uletooth), 와이파이(WI-FI), 비콘(Beacon) 뿐만 아니라 도착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다양한 표준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이 이용될 수 있으나, 다만 도착신호가 수신기에 수신되기만 하면, 수신기가 상기 드론유닛(1000)의 도착을 알릴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odule 160 may be any of a variety of standar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for transmitting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 Bluetooth, a Wi-Fi, a beacon, A communication standard may be used but the receiver may notify the arrival of the drones 1000 as long as an arrival signal is received at the receiver.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160)은 전송거리가 먼 통신규격이 사용될 경우, 거점내 구조자가 드론이 도착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므로, 상기 수신기의 수신거리가 짧게 설정되도록 상기 통신모듈(160)의 신호는 출력이 낮거나 전송거리가 짧은 통신규격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60 can not accurately grasp the position where the rescuer in the strong point arrives when the communication standard distant from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used. Therefore, the signal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60 A communication standard having a low output or a short transmission distance may be used.

한편, 상기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주변상황을 촬영하는 촬상모듈(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n imaging module 120 for photographing the user's surroundings.

여기서, 상기 촬상모듈(120)은 영상을 촬영하는 일반적인 카메라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상황이나 사용환경에 따라 야간, 운무와 같이 가시확보가 제한적인 환경에서도 촬상이 가능한 적외선카메라, 열화상카메라와 같은 다양한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ing module 120 is a general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n infrared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even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visibility is secured, Camera or the like may be used.

이때, 상기 촬상모듈(120)에서 촬상된 촬상데이터는 상기 저장모듈(130)에 저장된다.At this time, the image sensing data captured by the image sensing module 120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구동부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unit of the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드론유닛(1000)의 비행에 필요한 양력 및 추력을 생성하도록 회전하는 로터(230)와 상기 로터(230)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고, 구동하는 구동모듈(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iving unit 200 includes a rotating rotor 230 for generating a lift force and a thrust force required for flying the drones 1000 and a driving module 210 for driving and driving the rotor 230 to rotate, .

여기서, 상기 로터(230)는 회전시, 상기 로터(230)의 회전력을 양력으로 변환하는 블레이드(240)가 구비된다.Here, the rotor 230 is provided with a blade 240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230 into a lift force when the rotor 230 rotates.

이때, 상기 로터(230)는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제 1 로터(231)와 상기 제 1 로터(231)하부에 위치하여 제 1 로터(231)와 반대로 회전하는 제 2 로터(232)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rotor 230 includes a first rotor 231 located at an upper portion and a second rotor 232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otor 231 and rotating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first rotor 231 .

이와 같은 상기 제 1 로터(231)와 상기 제 2 로터(232)는 하나의 축으로 서로 반대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rst rotor 231 and the second rotor 232 may be provided so as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on one axis.

이에 따라, 상기 제 1 로터(231)와 상기 제 2 로터(23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로터(231)가 생성하는 토크를 상기 제 2 로터(232)가 생성하는 토크로 상쇄시켜, 상기 드론유닛(1000)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first rotor 231 and the second rotor 232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generate a torque generated by the first rotor 231 as a torque generated by the second rotor 232 So as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of the drones unit 1000.

또한, 상기 제 1 로터(231)와 상기 제 2 로터(232)의 회전력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유닛(1000)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s 1000 can be moved in a desired direction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otor 231 and the second rotor 232.

이때, 상기 구동모듈(210)은 목표거점으로 드론유닛(1000)이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상기 로터(23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driving module 210 provides power to the rotor 230 to move the dronon unit 1000 to a target base point.

여기서, 상기 구동모듈(210)은 상기 제어모듈(140)에서 산출된 구동값에 따라 구동된다.Here, the driving module 210 is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value calculated by the control module 140.

즉, 상기 구동모듈(210)은 상기 로터(230)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상기 드론유닛(1000)이 목표거점 이동하거나, 상기 드론유닛(1000)의 자세 및 고도를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driving module 210 control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rotor 230 so that the dronon unit 1000 moves to a target base point or maintains the attitude and altitude of the dronon unit 1000 .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블레이드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lade of the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블레이드 접이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블레이드가 접힌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lade folding structure of a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blade of the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드론유닛(1000)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본체부(100)와 구동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rone unit 1000 may include a cylindrical body 100 and a driving unit 200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구동부(200)에는 비행에 필요한 양력을 제공하도록 로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200 includes a rotor 230 to provide lift required for flying.

여기서, 상기 로터(230)에는 상기 로터(23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블레이드(240)가 구비된다.Here, the rotor 230 is provided with the blades 240 in the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rotor 230.

이때, 상기 블레이드(240)는 구동되지 않을 시, 접히도록 힌지(290)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blade 240 is not driven, a hinge 290 may be provided to fold the blade 240.

이와 같은, 상기 접이식 블레이드(240)는 일단이 로터(230) 일측에 힌지결합 되어,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상, 하방으로 회동하여 접히거나 펼쳐 질 수 있다.The foldable blade 240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rotor 230 so that the foldable blade 240 can be folded or unfolded by being pivoted up and down about the hinged shaft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힌지(290)에는 상기 블레이드(240)가 펴지는 것이 용이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91)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inge 29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291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facilitate the expansion of the blade 240.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91)는 핀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블레이드(240)가 펴지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elastic member 29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in spring, but various types of springs for extending the blade 240 may be used.

한편, 상기 드론유닛(1000)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40)가 접혔을시, 상기 드론유닛(1000)의 외주면에 상기 블레이드(240)가 안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240)의 하부면에 대응하도록 함몰된 형태의 안착홈(270)이 형성될 수 있다.4, when the blade 240 is folded, the blade 240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unit 1000 so that the blade 240 is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unit 1000 The mounting recess 270 may be formed to have a recess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recess 270.

또한, 상기 블레이드(240) 상부면은 상기 안착홈(270)에 안착시, 상기 드론유닛(1000)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형태로, 상기 드론유닛(1000)의 외주면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240 may be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on unit 1000 when the dron unit 100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70 and may b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on unit 1000 have.

한편, 상기 힌지(290)에는 상기 블레이드(240)가 상기 안착홈(270)에 안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240)를 고정하는 걸림턱(29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hinge 290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293 for fixing the blade 240 so that the blade 24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70.

그리고 상기 안착홈(270) 일측에는 상기 블레이드(240)가 상기 안착홈(270)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걸림턱(293)이 위치하여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걸림공(295)이 함몰되어 형성된다.A locking hole 29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ating groove 270 to provide a fixing force for fixing and fixing the locking jaw 293 so that the blade 24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70. [ Respectively.

즉, 상기 블레이드(240)가 안착홈(270)에 안착시, 상기 걸림턱(293)은 상기 걸림공(295)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291)는 탄성 변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lade 24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70, the catching jaw 293 is fixed to the catching hole 295, and the elastic member 291 may be elastically deformed .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드론유닛(1000) 구동시, 상기 걸림턱(293)은 상기 걸림공(295)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탄성부재(291)의 탄성복원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240)는 힌지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지 않은 타단이 상방으로 회동하여 펼쳐진다.Accordingly, when the dron unit 1000 is driven by the user, the latching jaw 293 is disengaged from the latching hole 295, and is elastically restor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e other end of the blade 240, which is not hinged to the hinge-coupled shaft, rotates upward and unfold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론유닛(1000)에서는 상기 걸림턱(293)과 상기 걸림공(295)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블레이드(24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드론유닛(1000)을 케이싱 하는 커버와 상부 내지는 하부로 열리는 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drone unit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 293 and the coupling hole 295 are not formed, and the dron unit 1000 ) And a lid that opens to the top or the bottom.

이때, 상기 블레이드(240)는 상기 드론유닛(1000)으로부터 상기 커버와 상기 덮개가 제거되면, 상기 힌지(290)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29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lade 240 may be configured to be unfolded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91 provided on the hinge 290 when the cover and the cover are removed from the dron unit 1000.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구동을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of the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구동예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구동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의 목표거점 산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5 is a flow chart showing a driving example of a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driving a salvage structure drone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calculating a target base point of a salvage structural drones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구조용 드론유닛(1000)의 구동은, 사용자(P)에 의해 드론유닛(1000)이 구동되는 것으로 시작된다(S100).5 and 6, the driving of the structural drones unit 1000 according to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with the drones unit 1000 being driven by the user P (S100 ).

상기 드론유닛(1000)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위치인식모듈(110) 및 구동모듈(210)이 구동된다(S230, S240).As the drone unit 1000 is driven,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110 and the driving module 210 are driven (S230, S240).

이때, 상기 제 230 단계에 의해 구동된 상기 위치인식모듈(110)은 드론위치를 나타내는 드론위치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드론위치데이터는 저장모듈에 저장된다(S231).At this time,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110 driven by step 230 calculates the position dat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rone, and the position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S231).

이후, 제어모듈(140)은 상기 위치인식모듈(110)에서 산출된 드론위치데이터와 상기 거점DB(131)에 저장된 거점들의 위치정보들을 대비하여 인접한 목표거점의 위치을 산출한다(S233).Thereafter, the control module 140 compares the position data of the base points stored in the base point database 131 with the position data of the drone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110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adjacent base point (S233).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상기 드론위치데이터와 상기 목표거점의 위치를 대비하여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이에 따른 구동값을 산출한다(S235).Then, the control module 140 calculates a movement path by comparing the position of the drone position data and the position of the target base point, and calculates a driving valu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movement path (S235).

이후, 상기 제어모듈(140)은 상기 드론유닛(1000)이 상기 목표거점의 위치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값에 따라,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한다(S237).Thereafter, the control module 140 generates a driv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rive value so that the drone unit 1000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target base point (S237).

이때, 상기 제어모듈(140)은 생성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구동모듈(210)로 전송한다(S239).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140 transmits the generated drive control signal to the drive module 210 (S239).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210)은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된다(S241).Accordingly, the driving module 210 is driven by the driving control signal (S241).

이때, 상기 구동모듈(210)은 로터(230)로 동력을 전달하되,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량을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driving module 210 transmits power to the rotor 230, and controls the amount of rot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40)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모듈(210)이 제어되어 목표거점으로 이동되고,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위치인식모듈(110)에서 산출된 위치정보와 목표거점의 위치가 설정된 범위 내에 근접할 때까지, 상술한 상기 제 235 단계 내지 상기 제 241 단계를 반복한다(S243).Accordingly, the driving module 210 is controlled by the driv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odule 140 and is moved to the target station.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steps 235 to 241 are repeated until the position of the target position is within the set range (S243).

이때, 상기 위치인식모듈(110)에서 산출된 드론위치와 목표거점의 위치가 설정된 범위내로 근접된 경우, 상기 제어모듈(140)은 구동종료신호를 생성한다(S245).In this case, if the position of the drone position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110 and the position of the target base point a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control module 140 generates a driving end signal (S245).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140)은 상기 촬상모듈(120) 및 상기 구동모듈(210)로 구동종료신호를 전하고(S211, S247), 상기 구동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모듈(120) 및 상기 구동모듈(210)의 구동이 중지된다(S213, S249).The control module 140 transmits a driving end signal to the imaging module 120 and the driving module 210 in steps S211 and S247 and outputs the driving end signal to the imaging module 120 and the driving module 210, The driving of the module 210 is stopped (S213, S249).

이후, 상기 제어모듈(140)은 상기 드론유닛(1000)이 거점에 도착했음을 알리는 알람신호를 출력모듈로 전송한다(S300).Thereafter, the control module 140 transmits an alarm signal indicating that the drones unit 1000 has arrived at the base station to the output module (S300).

이때, 상기 출력모듈(150)은 상기 알람신호를 수신받아 거점내 구조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비상알람음을 또는 발광신호를 발생시킨다.At this time, the output module 150 receives the alarm signal and generates an emergency alarm sound or a light emission signal so that the resident within the base can recognize the alarm signal.

이와 같은 상기 출력모듈(150)은 구조자에게 빛을 이용한 시각적 알람 및 음향을 이용한 청각적 알람을 인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output module 150 plays a role of allowing a rescuer to recognize a visual alarm using light and an audible alarm using sound.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어모듈(140)에서 생성된 도착신호를 고유코드가 포함된 근거리 무선통식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기로 전송하고, 거점에 설치된 수신기가 수신하면, 상기 도착신호를 이용하여 수신기의 알람장치를 통해 거점내 구조자가 드론유닛(1000)의 도착을 인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arriva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module 140 to a receiver using a local wireless transmission scheme including a unique code, and when a receiver installed at a base station receives the arrival signal,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resident within the stronghold is aware of the arrival of the drones unit 1000 via the alarm device.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유닛의 거점도착을 알리는 기능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드론유닛은 다양한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이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function of informing the arrival of the base point of the dron unit by using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dr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드론유닛에 블루투스모듈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유닛이 거점 인접시,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거점 수신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luetooth module is provided in the dr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uetooth module can be us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to the base station receiver when the dron unit is adjacent to the base station.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드론유닛에 와이파이모듈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유닛이 거점 인접시,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거점 수신기에 전송하고, 상기 드론 이동 중에는 와이파이 망에 접속되는 경우, 조난자의 데이터를 좀 더 신속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거점위치정보를 갱신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dr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i-Fi module, the Wi-Fi module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to the base station receiver when the dron unit is adjacent to the base station, and is connected to the Wi- , It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victim's data more quickly, and the base point location information can be updated or stored through the Wi-Fi module.

예를 들어, 상기 드론유닛이 충전시, 주변에 와이파이망과 접속되어, 거점위치정보가 자동갱신되어 거점정보위치를 용이하게 거점DB에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harging the drones, the drones are connected to the WiFi network at the time of charging, and the base location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updated so that bas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easily stored in the base DB.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드론유닛에 비콘(Beacon)모듈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비콘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유닛이 거점 인접시,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거점 수신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beacon module is provided in the dr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module may be us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to the base station receiver when the drone unit is adjacent to the base station.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드론유닛은 3G 또는 4G와 같은 이동통신규격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유닛이 거점 인접시,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거점 수신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to the base station receive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3G or 4G when the dron unit is adjacent to the base station.

이때,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드론유닛이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거점 내 구조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구조대의 고유코드를 입력 후,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so that the drone uni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by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resident in the residence can access the Internet and input the unique code of the rescuer, .

한편, 본 발명은 WCDMA, HSDPA, CDMA2000, 와이브로, LTE, LTE-advanced, 와이브로-에볼루션(와이맥스 2)와 같은 무선 이동통신 규격 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화망과 접속하여 거점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신분이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connects to a telephone network using any one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WCDMA, HSDPA, CDMA2000, WiBro, LTE, LTE-advanced and WiBro-Evolution (WiMAX 2) It may be implemented to transmit a text message containing information and identity.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드론유닛은 사용자의 사용편의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r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various configurations for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user.

예를 들어,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액정, 이동저장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USB포트 또는 메모리카드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 USB port or a memory card slot may be provided to transmit data by u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visually outpu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and a mobile storage medium.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수신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모듈 내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텍스트파일로 전송하거나, 소형 액정을 통해 상기 위치정보를 텍스트로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to a text file, which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by wire or wirelessly, or to output the location information as text through a small liquid crystal display.

또한, 본 발명은 USB저장장치와 SD카드와 같은 이동저장매체를 이용하여 거점 내 구난자가 사용자 위치정보를 별도의 단말기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so that a rescuer in a base station can receive user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eparate terminal by using a mobile storage medium such as a USB storage device and an SD card.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한 드론이 사용자의 위치를 산출하여 저장하고, 드론의 위치와 인접한 거점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전달하는 구난 구조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사고발생지점에서 구동되어, 구조자에게 사용자의 위치와 주변상황을 능동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vage structural drones in which a dron carried by a user calculates and stores a location of a user and moves to a base adjacent to the location of the dron to transmit information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actively transmit the user's position and surrounding situation to the rescuer.

1000: 드론유닛 100 : 본체부
110 : 위치인식모듈 111 : GPS장치
113 : 자이로센서장치 120 : 촬상모듈
130 : 저장모듈 131 : 거점DB
140 : 제어모듈 150 : 출력모듈
151 : 발광장치 153 : 음향발생장치
160 : 통신모듈 200 : 구동부
210 : 구동모듈 230 : 로터
231 : 제 1 로터 232 : 제 2 로터
240 : 블레이드 241 : 제 1 블레이드
243 : 제 2 블레이드 270 : 안착홈
290 : 힌지 291 : 탄성부재
293 : 걸림턱 295 : 걸림홈
297 : 분리버튼
1000: drone unit 100: main body part
110: Position recognition module 111: GPS device
113: Gyro sensor device 120: Imaging module
130: storage module 131: base DB
140: Control module 150: Output module
151: Light emitting device 153: Sound generating device
160: Communication module 200:
210: drive module 230: rotor
231: first rotor 232: second rotor
240: blade 241: first blade
243: second blade 270: seat groove
290: Hinge 291: Elastic member
293: Retaining jaw 295: Retaining groove
297: Release button

Claims (21)

드론유닛의 구동시, 드론위치를 나타내는 드론위치데이터를 산출하는 위치인식모듈과;
거점위치를 나타내는 거점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거점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드론위치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모듈; 그리고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드론위치데이터와 상기 저장모듈의 거점데이터베이스를 대비하여 상기 드론위치와 인접한 목표거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드론유닛에 양력을 제공하여 이동되도록 구동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드론유닛 구동시, 구동되어 주변 상황을 촬상하는 촬상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촬상모듈에서 촬상된 촬상데이터는,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드론위치로부터 상기 목표거점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값을 산출하고, 상기 구동값에 의해 상기 목표거점위치로 이동되도록 구동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로터에는,
한 쌍의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로터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힌지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상기 블레이드 타측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드론유닛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고유코드가 포함된 도착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여, 상기 거점에 구비된 수신기가 상기 도착신호를 수신시, 상기 드론유닛의 거점 도착을 인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드론위치와 목표거점위치가 설정된 범위 내로 근접시, 거점도착을 알리도록, 발광 또는 음향으로 구성되는 알람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
A position recognition module for calculating dron position data indicating a dron position when the dron unit is driven;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 database of a base point including base point position data representing a base point position and a position data of the drone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And
And a control module for calculating a position of a target base point adjacent to the drone position by comparing the drone position data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with a base point database of the storage module,
A rotor driven to move by providing lift to the drones;
A driving unit including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rotor;
And an imaging module that is driven when the drone unit is driven to pick up an ambient situation,
Wherein the image pickup data picked up by the image pick-
Storing in the storage module:
The control module includes:
Calculates a drive value for moving from the drone position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to the target base point position and controls the drive module to move to the target base point position by the drive value,
In the rotor,
A pair of blades are provided:
The blade
Hinged to one side of the rotor;
The other side of the blade is pivoted downward about the hinge-coupled shaft to be se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unit,
The control module includes:
Wherein the receiving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n arrival signal including a unique code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of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o recognize arrival of a base point of the dron unit upon receipt of the arrival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nd outputs an alarm signal composed of light emission or sound so as to inform the arrival of the base point when the position of the drone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and the target base point position a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모듈은,
GPS위성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드론의 드론위치를 나타내는 드론위치데이터를 산출하는 GPS장치와;
상기 드론유닛의 상하좌우 이동방향을 특정하고, 기체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비행자세유지 및 고도유지를 하도록 드론유닛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comprises:
A GPS device for receiving the GPS satellite signal and calculating the dron location data indicative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rones;
And a gyro sensor for detec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dron unit so as to specify a moving direction of the dron unit and to calculate a slope of the gas to maintain the flight attitude and maintain the altitud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모듈은,
상기 드론유닛 본체에 입출가능한 이동식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orage module comprises:
And a removable storage medium capable of being input into and out of the drone unit main bod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은,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 가능한 소방서, 경찰서 또는 구조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Preferably,
Wherein the fire drill is a fire station, a police station, or a rescue unit capable of responding to a user's situation.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으로부터 산출된 구동값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로터에 동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iving module includes:
And provides power to the rotor to be driven by a drive value calculated from the control modu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유닛 외주면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안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대응하는 형태로 안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on unit,
And a seating groov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lade so that the blade is seat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펼쳐지도록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안착되도록,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이 위치하도록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일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 체결된 상태의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공이 분리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분리버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hinge,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unfolding the blade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blade is seat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groove,
A locking hole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jaw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Wherein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user, the separating button is protruded so that the engaging jaw in the engaged state and the engaging hol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신호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비콘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rrival signal,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one of a Bluetooth, a Wi-Fi, and a beac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유닛은,
상기 드론유닛이 거점에 인접시, 상기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거점에 구비된 수신기로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촬상데이터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dronon unit includes: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mage pickup data of the user are transmitted to a receiver provided at a base point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drone unit is adjacent to the base poin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유닛은,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출력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dronon unit includes:
And a display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A1) 사용자에 의해 드론유닛이 구동되는 단계와;
(A2) 촬상모듈이 구동되어 주변 상황을 촬상하는 단계와;
(B) 위치인식모듈이 구동되어 드론위치를 나타내는 드론위치데이터를 산출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C) 제어모듈이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상기 드론위치데이터와 저장모듈에 저장된 거점데이터베이스를 대비하여 드론위치로부터 인접한 목표거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D)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상기 드론위치와 상기 제어모듈이 거점위치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한 상기 목표거점의 위치를 대비하여 상기 제어모듈에서 구동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E) 상기 구동값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에서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F) 상기 제어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듈이 구동되는 단계와;
(G) 상기 위치인식모듈에서 산출된 드론위치데이터로부터 목표거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H) 드론위치와 목표거점 위치가 설정된 범위내로 근접시, 구동모듈이 종료되는 단계와;
(K1) 상기 드론유닛에 구비된 통신모듈이 도착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K2) 상기 거점에 설치된 수신기가 상기 도착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드론 유닛의 도착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K3) 상기 드론유닛이 거점도착시, 알람신호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드론유닛은,
상기 드론유닛에 양력을 제공하여 이동되도록 구동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구동하는 구동모듈과;
상기 로터에는,
상기 로터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드론유닛 외주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블레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유닛을 이용한 구난 정보 제공방법.
(A1) driving the drone unit by the user;
(A2) imaging the periphery by driving the imaging module;
(B) calculating and storing the drone position dat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rone by driving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C) calculating a position of an adjacent target base point from the drone position in comparison with the base point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with the drone position data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D) calculating a driving value in the control module by comparing the position of the drones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with the position of the target base point calculated from the base point position database by the control module;
(E) generating a drive control signal in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drive value;
(F) driving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module;
(G) calculating a distance from the drone position data calcula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to a target base point;
(H) terminating the drive module when the drone position and the target base point position are within a set range;
(K1) transmitting an arrival signal to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drone unit;
(K2) a receiver installed at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arrival signal to indicate arrival of the dron unit; And
(K3) output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drone unit arrives at the base point,
The dronon unit includes:
A rotor driven to move by providing lift to the drones;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rotor;
In the rotor,
And a pair of blades hinged to one side of the rotor and rotated downward to be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는,
상기 촬상모듈의 구동이 종료되고, 상기 촬상모듈에서 생성된 촬상데이터가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유닛을 이용한 구난 정보 제공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H)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pping the driving of the imaging module and storing the imaging data generated by the imaging module.
삭제delet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은,
사용자 상황에 대응 가능한 소방서, 경찰서 또는 구조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유닛을 이용한 구난 정보 제공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Preferably,
Wherein the salvage information is one of a fire station, a police station, and a rescue party capable of responding to a user situation.
삭제delete
KR1020160070223A 2016-06-07 2016-06-07 Drone units for rescu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rescue situation using drone units KR1017230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223A KR101723066B1 (en) 2016-06-07 2016-06-07 Drone units for rescu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rescue situation using drone un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223A KR101723066B1 (en) 2016-06-07 2016-06-07 Drone units for rescu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rescue situation using drone uni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066B1 true KR101723066B1 (en) 2017-04-18

Family

ID=5870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223A KR101723066B1 (en) 2016-06-07 2016-06-07 Drone units for rescu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rescue situation using drone uni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06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763A (en) * 2017-05-10 2018-11-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based on biometric data
KR20190000482A (en) * 2017-06-23 2019-01-0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Disaster evacu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disaster maneuver drone
CN110001888A (en) * 2019-04-26 2019-07-12 上海工程技术大学 A kind of sea Intelligent lifesaving system
KR20210103284A (en) 2020-02-13 2021-08-23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Drone with a rescu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9735A2 (en) * 2001-12-21 2003-07-24 Arlton Paul E Micro-rotocraft surveillanc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9735A2 (en) * 2001-12-21 2003-07-24 Arlton Paul E Micro-rotocraft surveillance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763A (en) * 2017-05-10 2018-11-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based on biometric data
KR102001620B1 (en) * 2017-05-10 2019-07-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based on biometric data
KR20190000482A (en) * 2017-06-23 2019-01-0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Disaster evacu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disaster maneuver drone
KR101944354B1 (en) 2017-06-23 2019-01-3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Disaster evacu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disaster maneuver drone
CN110001888A (en) * 2019-04-26 2019-07-12 上海工程技术大学 A kind of sea Intelligent lifesaving system
CN110001888B (en) * 2019-04-26 2024-05-03 上海工程技术大学 Marine intelligent life-saving system
KR20210103284A (en) 2020-02-13 2021-08-23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Drone with a rescu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2881B1 (en) Imaging using multiple unmanned aerial vehicles
JP6835871B2 (en) Flight control methods, unmanned aerial vehicles, flight systems, programs, and recording media
KR101723066B1 (en) Drone units for rescu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rescue situation using drone units
US9858821B2 (en) Autonomous vehicle passenger locator
Zaheer et al. Aerial surveillance system using UAV
US11106224B2 (en) Multi-drone automotive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11531340B2 (en) Flying body, living body detection system, living body detec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18182883A1 (en) Double folding drone arms with landing gear
CN110383712B (en) Communication relay method, relay flight objec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80033024A (en) Drone system for detection of accident situation and detecting method of accident situation using thereof
KR101851237B1 (en) Drone system based on commercial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network dedicated to drone
US20200033846A1 (en) Vehicle-based deployment of a tethered surveillance drone
WO2016011590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aircraft
JP6781375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system,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143313B1 (en) Moving body
KR10244107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aking off and landing of a dron in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1800680B1 (en) Drone system that provides versatility
KR101793434B1 (en) Drone and System for monitoring danger using drone
GB2559185A (en) Surveillance apparatus
JP6826294B2 (en) System,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20117952A (en) Drone battery replacement support method for seamless power supply and device therefor
JP7166587B2 (en) Monitoring system
KR102009637B1 (en) Drone for relief activity in disaster and emergency situations
KR20110136225A (en) An intelligent aviation robot using gps
US202303432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unmanned vehicle interactions with various payl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