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508B1 - Catheter assembly - Google Patents

Cathete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508B1
KR101722508B1 KR1020140141997A KR20140141997A KR101722508B1 KR 101722508 B1 KR101722508 B1 KR 101722508B1 KR 1020140141997 A KR1020140141997 A KR 1020140141997A KR 20140141997 A KR20140141997 A KR 20140141997A KR 101722508 B1 KR101722508 B1 KR 101722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ember
inner tube
balloon
balloon portion
bloo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6214A (en
Inventor
이훈범
박문서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508B1/en
Priority to PCT/KR2015/008568 priority patent/WO2016064076A1/en
Publication of KR2016004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2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5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61B17/2201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 A61B17/220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the ultrasound transducer being inside patient's body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01Angioplasty, e.g. PC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61B2017/2205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with two 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7Auxiliary appliance with irrigat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61M2025/0681Systems with catheter and outer tubing, e.g. sheath, sleeve or guide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2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for temporarily occluding a vessel for isolating a s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어셈블리는 혈관 내로 삽입되는 외 튜브부재; 상기 외 튜브부재를 통하여 혈관 내로 삽입되는 제1 내 튜브부재; 상기 제1 내 튜브부재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제1 벌룬부; 및 상기 외 튜브부재 및 상기 제1 내 튜브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2 벌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벌룬부 및 상기 제2 벌룬부는 팽창 시 상기 제1 벌룬부 및 상기 제2 벌룬부 사이의 혈관내의 혈류를 외부와 차단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상동맥의 협착질환이 발생한 위치 전후에서 혈류를 차단함으로써 초음파를 이용하여 혈전 및 아테롬 등을 안전하게 분리 및/또는 분해하고 분리 및 분해된 찌꺼기를 회수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a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tube member inserted into a blood vessel; A first inner tube member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outer tube member; A first balloon portion provided on an end sid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And a second balloon portion formed on one of the outer tubular member and the first inner tubular member, wherein the first balloon portion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are configured such that, when inflated, the first balloon portion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Thereby blocking the blood flow in the blood vessels between the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isolate and / or decompose thrombus and atheroma using ultrasound, and to recover the separated and disassembled debris by blocking blood flow before and after the position where the stenosis of the coronary artery occurs.

Description

카테터 어셈블리{Catheter assembly}Catheter assembly.

본 발명은 카테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혈전이나 아테롬(아세롬, atherom)과 같은 색전(embolus)의 안전한 파괴 및 회수가 가능한 카테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theter assembly capable of safe destruction and recovery of an embolus such as thrombus or atheroma.

최근 협심증, 심근경색증, 돌연사로 대표되는 심장혈관(관상동맥) 질환의 발생률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심혈관 질환의 치료 면에 있어서 지난 10년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어 왔다. 약물 치료 이외에도 수술적 방법으로 좁아진 혈관 부위를 이어 붙이는 관동맥 우회로술과 그물망 시술 등의 여러 치료법이 발달하여 동맥경화증으로 관상동맥이 좁아져 고통을 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으며, 심장질환의 치료에 새로운 전기가 오고 있다. Recently, the incidence of angina, myocardial infarction, and cardiovascular (coronary) disease typified by sudden death has increased rapidly. In the treatment of these cardiovascular diseases, we have made remarkable progress over the past decade. In addition to drug therapy, there are several other treatments such as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nd mesh operation that connect the narrowed blood vessel area by a surgical method, which narrows the coronary artery due to arteriosclerosis and gives hope to the suffering patients. Electricity is coming.

구체적으로 관상동맥 협착질환의 치료는 순환기내과에서 시행하는 약물 치료와 비수술적인 확장 성형술 및 흉부외과에서 시행하는 수술적 치료(관동맥 우회로술)가 있다. 약물 치료로는 협착 부위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지속적으로 항협심증약 또는 관상동맥 확장제 약물을 복용해야 하고 약물 치료의 한계로 인하여 약을 복용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협심증에 의한 흉통이 있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reatment of coronary artery stenosis is medication in cardiopulmonary medicine, non-surgical expansion plasty, and surgical treatment (coronary artery bypass) in thoracic surgery. Medication can not fundamentally resolve the stenosis. Continuous angina pectoris or coronary artery dilator medication should be used. If medication is used due to the limitation of medication, there may be chest pain caused by persistent angina.

이에 반해 관상동맥 확장 성형술은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좁아진 혈관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고, 협심증의 증상을 완화하기에 효과적이며 항협심증 약물의 복용을 줄이거나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관상동맥 확장 성형술은 1979년에 Gruentzig 등에 의해 보고된 이후로 괄목할 만한 발전을 하여, 80년대에는 벌룬(풍선)을 이용한 관상동맥 풍선 확장 성형술을 많이 시행하였지만 시술 직후에 2~8%의 급성 폐쇄와 35~55%의 재협착이 발생하였다.In contrast, coronary angioplasty is a non-invasive method that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narrowed blood vessels, is effective in relieving the symptoms of angina, an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or eliminating the use of anti-anginal drugs. Coronary angioplasty was developed by Gruentzig et al. In 1979, and in the 1980s, balloon angioplasty was performed. However, 2 to 8% of acute occlusion And 35 ~ 55% restenosis.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어 왔으며, 이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이 관상동맥내 그물망 시술(coronary stent)이다. 그물망 시술은 관모양의 얇은 금속망을 협착 부위에 위치시킨 후 팽창시킴으로써 협착 부위를 넓히는 시술로 현재 가장 많이 시술되고 있다. 관상동맥 내 그물망 시술은 성공율이 95%이상으로 재협착율은 병변의 심한 정도와 보고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15~25% 정도로 보고되어 있으며, 그물망 시술의 효과는 풍선 확장성형술에 비하여 원발 병변은 물론 재협착 병변, 만성완전폐쇄 병변, 심근경색관련 병변, 관상동맥 우회로술 후 협착 병변 등 각각의 경우에서 좋은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Several methods have been studi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coronary stents are the most effective. The mesh technique is the most widely used technique for expanding the stenotic area by expanding the narrow metal nail at the stenosis site. The success rate of coronary artery catheterization was more than 95%, and the restenosis rate varies between 15% and 25%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lesion and the severity of the lesion. The effect of the catheterization procedure is not limited to the primary lesion, Lesions, chronic complete closure lesions, myocardial infarction-related lesions, and coronary lesion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또한 장기적으로는 그물망이 삽입된 부위는 안정된 상태로 허혈 증상을 거의 유발시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물망 시술의 성공율과 재협착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금속망 및 금속망 내에 항응고제 스테로이드제 등을 코팅하여 삽입 후 서서히 조직내로 방출되도록 하거나 관상동맥 내 다이아몬드 드릴을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동맥경화증에 의한 죽상반을 제거하는 시술 또는 시술 후 부가적인 방사선을 국소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재협착을 줄이려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In addition, in the long term, it is known that the site where the network is inserted does not induce ischemic symptoms in a stable state. In order to reduce the success rate and restenosis of the mesh, an anticoagulant steroid agent is coated , And studies are under way to reduce restenosis by locally irradiating additional radiations after surgery or surgery to slowly release tissue into the tissues or to remove corpus callosum by atherosclerosis by rotating a coronary diamond drill at high speed.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의 협착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카테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theter assembly capable of treating stenosis of a coronary artery using ultrasound.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혈전이나 아테롬을 분해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혈전이나 아테롬이 원래 위치하는 혈관에서 타 부분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격리함으로써 안전하게 혈전 및 아테롬의 회수가 가능한 카테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theter assembly capable of safely recovering thrombus and atheroma by isolating the thrombus or atheroma from a blood vessel where the thrombus or atheroma is originally located so as not to move to another part in the process of decomposing or separating thrombus or atheroma using ultrasonic waves.

또한 본 발명은 혈전 및/또는 아테롬과 같은 색전의 항응고 또는 분해를 위한 약물을 투입하는 경우에도 국소적으로 한정된 부분에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위 용량 당 약물의 효능을 증가시키고 불필요하게 타 기관 등에 적용됨으로써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카테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only to a locally limited part even when a drug for anticoagulation or decomposition of an embolus such as thrombus and / or atheroma is inject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acy of the drug per unit do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theter assembly capable of minimizing the side effects caused by its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어셈블리는 혈관 내로 삽입되는 외 튜브부재; 상기 외 튜브부재를 통하여 혈관 내로 삽입되는 제1 내 튜브부재; 상기 제1 내 튜브부재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제1 벌룬부; 및 상기 외 튜브부재 및 상기 제1 내 튜브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2 벌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벌룬부 및 상기 제2 벌룬부는 팽창 시 상기 제1 벌룬부 및 상기 제2 벌룬부 사이의 혈관내의 혈류를 외부와 차단시킨다.A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uter tube member inserted into a blood vessel; A first inner tube member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outer tube member; A first balloon portion provided on an end sid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And a second balloon portion formed on one of the outer tubular member and the first inner tubular member, wherein the first balloon portion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are configured such that, when inflated, the first balloon portion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Thereby blocking the blood flow in the blood vessels between the parts.

또한 상기 제1 내 튜브부재는 내측에, 상기 격리된 혈관 내로 유체 유입가능하도록 연통된 유입관; 및 상기 격리된 혈관 내로부터 유체가 유출가능하도록 연통된 유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ner tube member includes an inflow tub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to allow fluid to flow into the isolated blood vessel; And an outflow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solated blood vessel so that fluid can flow out from the isolated blood vessel.

또한 상기 유입관으로는 생리 식염수, 혈액, 색전(embolus)의 항응고 또는 용해를 위한 약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blood, anticoagulation or dissolution medicine for embolus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flow tube.

또한 상기 색전은 혈전 및 아테롬(athero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Also, the embolization may be at least one of thrombosis and atherom.

또한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약물은 Streptokinase, Urokinase,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Warfarin, Hirudin, Paclitaxel, Sirolimus, Everolimus 및 Zotarolimu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Also, the drug introduced into the inflow pipe may be at least one of Streptokinase, Urokinase,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Warfarin, Hirudin, Paclitaxel, Sirolimus, Everolimus and Zotarolimus.

또한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입관에 비하여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flow pipe may have a relatively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inflow pipe.

또한 상기 제1 벌룬부 및 제2 벌룬부는 동일 부재의 타 부분에 비하여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상기 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alloon and the second balloo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weaker strength than the other portions so that the first balloon and the second balloon can swell relative to other portions of the same member.

또한 상기 제1 벌룬부 및 제2 벌룬부는 생리 식염수의 주입에 의하여 팽창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balloon and the second balloon may be inflated by the injection of physiological saline.

또한 상기 제1 내 튜브부재에는 치료용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조사하는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ner tube member may include a transducer for irradiating ultrasonic waves of a therapeutic frequency band.

또한 상기 제1 내 튜브부재에는 진단용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조사하는 트랜스듀서 및 이미지 획득용 촬상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ner tub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transducer for irradiating ultrasonic waves in a diagnostic frequency band and an imaging device for image acquisition.

또한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제1 내 튜브부재의 삽입방향으로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The transducer may irradiate ultrasonic waves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또한 상기 트랜스듀서는 방사상으로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The transducer may irradiate ultrasonic waves in a radial direction.

또한 상기 트랜스듀서가 위치하는 제1 내 튜브부재의 외주면에는 홈,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a groove and a projec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where the transducer is located.

또한 상기 트랜스듀서가 위치하는 제1 내 튜브부재의 외주면에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ring member formed in a ring shape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where the transducer is located.

또한 상기 링부재는 PVA(Polyvinyl alcohol)재질의 스펀지로 형성되어 상기 혈관 내에서 하이드로젤로 변환될 수 있다.
The r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sponge made of PVA (polyvinyl alcohol) and converted into a hydrogel in the blood vessel.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어셈블리는 혈관 내로 삽입되는 외 튜브부재; 상기 외 튜브부재 내측을 통하여 혈관 내로 삽입되는 제1 내 튜브부재; 상기 외 튜브부재를 통하여 상기 혈관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1 내 튜브부재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제2 내 튜브부재; 상기 제1 내 튜브부재 및 상기 제2 내 튜브부재 중 어느 하나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제1 벌룬부; 및 상기 외 튜브부재, 상기 제1 내 튜브부재 및 상기 제2 내 튜브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2 벌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벌룬부 및 상기 제2 벌룬부는 팽창 시 상기 제1 벌룬부 및 상기 제2 벌룬부 사이의 혈관내의 혈류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uter tube member inserted into a blood vessel; A first inner tube member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member; A second inner tube member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outer tube member and guiding insertion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A first balloon portion provided on an end side of any on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and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And a second balloon portion formed on any one of the outer tube member, the first inner tube member, and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wherein the first balloon portion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are configured such that, when inflated, The blood flow in the blood vessel between the balloon portion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can be blocked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제1 내 튜브부재에는 상기 격리된 혈관 내로 유체가 유입가능하도록 연통된 유입관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tube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n inflow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solated blood vessel so as to allow fluid to flow therethrough.

또한 상기 제1 내 튜브부재에는 상기 격리된 혈관 내로부터 유체가 유출가능하도록 연통된 유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ner tub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outflow pip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inner tube member to allow fluid to flow out from the isolated blood vessel.

또한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입관에 비하여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flow pipe may have a relatively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inflow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관상동맥의 협착질환이 발생한 위치 전후에서 혈류를 차단함으로써 초음파를 이용하여 혈전 및 아테롬 등을 안전하게 분리 및/또는 분해하고 분리 및 분해된 찌꺼기를 회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isolate and / or decompose thrombus and atheroma using ultrasound, and to recover the separated and disassembled debris by blocking blood flow before and after the position where the stenosis of the coronary artery occur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와 차단된 혈관 내에서 혈전 및/또는 아테롬과 같은 색전의 항응고 또는 분해를 위한 약물을 투입함으로써 약물이 국소적으로 한정된 부분에만 적용되어 단위 용량 당 약물의 효능이 증가되고, 타 기관 등으로 약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출혈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jecting a drug for anticoagulation or degradation of thrombus and / or atheroma in a blood vessel that is blocked from the outside, the drug is applied to a locally limited portion, and the efficacy of the drug per unit dose is increased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such as unintended bleeding by preventing the drug from leaking to other organs and the lik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 튜브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내 튜브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 튜브부재를 구비하는 카테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 튜브부재, 제1 내 튜브부재 및 제2 내 튜브부재의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 튜브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 튜브부재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트랜스 듀서의 타입에 따른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셈블리의 이용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내 튜브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 튜브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 튜브부재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튜브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튜브부재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튜브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트랜스듀서의 외부 노출을 위한 구조를 갖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튜브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is a top view of a catheter having a first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outer tube member, a first inner tube member, and a second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a first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ner appearance of a first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7 and 8 are schematic views showing operation modes according to types of transducers. Fig.
9 to 12 are schematic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and 14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alloon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spectively.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a second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an out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7 and 18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internal view of a first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9 and 20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of a third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third tubular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a third tub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3 and 24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embodiments having a structure for external exposure of a transducer.
2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a third tube memb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bsence of special definitions or references, the terms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condi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hicknesses and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y do not mean that the dimensions and the proportions of the structures should be actually set.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 튜브부재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 튜브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The out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외 튜브부재는 일반적인 카테터나 스텐트 시술에 이용되는 직경이 큰 카테터(catheter)나 케뉼라(cannula)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각 튜브 형상의 부재들은 특정 목적의 의료 기구에 한정되지 않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외 튜브부재와 유사한 구성을 갖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한 명칭에 상관없이 다양한 의료 기구들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The outer tube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a catheter or a cannula having a large diameter used for a general catheter or a stent. Each tubular memb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medical instrument for a specific purpose. That is, various medical instruments may be applicable regardless of the name, which has a similar configuration to the outer tube member in this embodiment or performs a similar function.

외 튜브부재(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 튜브부재(10)는 환자의 혈관 속으로 삽입되어 혈관이 다치지 않고 후술할 제1 내 튜브부재와 제2 내 튜브부재를 비롯한 다양한 의료 기구들이 혈관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The outer tube member 10 is formed into a tub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outer tube member 10 is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of the patient so that the blood vessel is not injured and various medical instruments including the first inner tube member and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described later can pass through the blood vessel.

또한 필요에 따라 외 튜브부재(10)를 통하여 혈관조영술 등에 필요한 염료나 기타 약물 등을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inject dyes and other drugs necessary for angiography or the like through the outer tube member 10 as necessary.

도 2를 참조하여 제2 내 튜브부재를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내 튜브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The second inner tube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제2 내 튜브부재(20)는 상술한 외 튜브부재(10)에 비하여 단면상 작은 직경을 갖는 튜브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내 튜브부재(20)는 후술할 제1 내 튜브부재가 혈관으로 삽입되는 경우 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필요 시 혈관 내부에 벌룬을 형성하여 혈류를 차단하는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is formed into a tube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in cross section than the outer tube member 10 described above.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may be used for guiding a first inner tube memb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it is inserted into a blood vessel, and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blocking a blood flow by forming a balloon inside the blood vessel, . A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내 튜브부재(20)의 형상을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2 내 튜브부재(20)는 필요한 경우 후술할 제1 내튜브부재와의 관계에서 단순한 와이어 타입으로 대체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2 내 튜브부재(20)가 단순한 와이어 타입, 예를들어 제1 내 튜브부재의 삽입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이드 와이어인 경우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lthough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may be formed of a simple wire It is also possible to replace it with a type. That is, the case where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is a guide wire which is generally used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a simple wire type, for example, the first inner tube member, is a general techniqu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 내 튜브부재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 튜브부재를 구비하는 카테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 튜브부재, 제1 내 튜브부재 및 제2 내 튜브부재의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 튜브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 튜브부재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The first inner tube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catheter having a first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outer tube member, a first inner tube member, Fig.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a first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ner appearance of a first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내 튜브부재(31)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카테터(30)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내 튜브부재(31)는 목적에 따라 하나 이상의 독립적인 튜브들을 구비하며, 제1 조절부(32) 및 제2 조절부(33) 등을 통하여 주입되는 약물이나 생리 식염수 등이 혈관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혈관 내의 혈액 및 혈액에 혼합되어 있는 기타 혈전, 아테롬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provided in a type of a generally used catheter 30.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independent tube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a drug or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inj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gulating portions 32 and 33 flows into the blood vessel And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h as blood clots and atheroma mixed in blood and bloo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needed.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 튜브부재(31)의 단부로부터 단부측 측면을 관통하는 가이드홀(313)이 형성될 수 있다. 비교적 연질인 제1 내 튜브부재(31)를 외 튜브부재(10)를 통하여 혈관 내로 직접 삽입하는 경우에는 제1 내 튜브부재(31)가 외 튜브부재(10) 내에서 말리는 현상 등이 발생하여 용이하게 삽입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4, a guide hole 313 may be formed through the end sid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from the end thereof. When the first inner tubular member 31 is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directly through the outer tubular member 10, the first inner tubular member 31 is curled in the outer tubular member 10 It may be difficult to insert easily.

이러한 이유로 제2 내 튜브부재(20)를 먼저 혈관에 삽입한 후 제2 내 튜브부재(20)를 따라 외 튜브부재(10)를 삽입한다. 그 후 제1 내 튜브부재(31)의 단부 측의 가이드홀(313)에 제1 내 튜브부재(31)에 비하여 경질인 제2 내 튜브부재(20)가 삽입된 상태로 제1 내 튜브부재(31)를 삽입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내 튜브부재(31)는 제2 내 튜브부재(20)를 따라 휘거나 말리는 현상 없이 용이하게 외 튜브부재(10) 내로 삽입이 가능하다.For this reason,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is first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and then the outer tube member 10 is inserted along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13 on the end sid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31). In this case,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member 10 without bending or curling along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한편, 이와는 달리 가이드와이어(20)와 제1 내 튜브부재(31)를 앞서 설명한 순서대로 먼저 삽입한 후, 제1 내 튜브부재(31)를 코어로 하여 외 튜브부재(10)를 삽입하는 방법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guide wire 20 and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may be first inserted in the above-described order, and then the outer tube member 10 may be inserted with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serving as a core It is also possible.

또한 제1 내 튜브부재(31)의 단부 측에는 마커(311)가 구비된다. 마커(311)는 X선과 같은 진단장비를 통하여 검출이 가능한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된다. 마커(311)는 제1 내 튜브부재(31)가 혈관 내로 삽입되는 경우 X선 영상장치 등을 통하여 제1 내 튜브부재(31)의 단부가 어느 위치까지 삽입이 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A marker 311 is provided on the end sid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The marker 311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the like that can be detected through diagnostic equipment such as an X-ray. The marker 311 can be used to determine to which position the end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is inserted through the X-ray imaging apparatus or the like when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is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hav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 튜브부재(31)의 일 지점에는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트랜스듀서(319)가 구비된다. 트랜스듀서(319)는 초음파를 조사하여 혈관 내부의 혈전 및/또는 아테롬 등을 혈관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더욱 작은 덩어리로 분해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트랜스듀서(319)는 진단 목적으로 영상 획득을 하기 위한 트랜스듀서에 비하여 강한(intensive) 강도의 초음파를 조사하게 된다.In addition, a transducer 319 for irradiating ultrasonic waves is provided at one point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ducer 319 is used to irradiate ultrasound to separate blood clots and / or atheroma from the blood vessels or decompose them into smaller clumps. Such a transducer 319 irradiates ultrasound with an intensity that is stronger than a transducer for image acquisition for diagnostic purposes.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듀서(319)와는 별도로 또는 일체형으로 앞서 설명한 진단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2 트랜스듀서(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2 트랜스듀서는 직접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로 카메라 등으로도 대체가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econd transducer (not shown) separately from the transducer 319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r integrally to acquire the diagnostic image described above. Such a second transducer can be replaced by a micro camera or the like for acquiring a direct image.

또한 제1 내 튜브부재(31) 내에는 다양한 튜브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317) 및 유출관(315)이 구비될 수 있다. 유입관(317)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생리식염수, 혈액 또는 치료에 필요한 약물 등이 유입구(3171)를 통하여 혈관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may further include various tub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n inlet pipe 317 and an outlet pipe 315 may be provided. The inflow pipe 317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blood or medicines required for the treatment to flow into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inlet 3171.

이러한 약물들로는 혈전용해제인 Streptokinase, Urokinase,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Warfarin, Hirudin 등과 아테롬의 분해 및/또는 완화시키는 Paclitaxel, Sirolimus, Everolimus, Zotarolimus, 비스테로이드성(non-steroidal) 소염제 및 스테로이드 등을 들 수 있다.These drugs include Paclitaxel, Sirolimus, Everolimus, Zotarolimu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steroids that decompose and / or alleviate atheroma, such as Streptokinase, Urokinase,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Warfarin and Hirudin. .

또한 유출관(315)은 유출구(3151)를 통하여 혈관 내의 혈액 및 혈액에 혼합되어 있는 색전 즉, 혈전이나 아테롬과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로서 제공된다.The outflow tube 315 is provid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an embolus mixed with blood and blood in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outlet 3151, that is, foreign matter such as thrombus or atheroma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유출관(315)는 유입관(317)과는 달리 혈전이나 아테롬과 같은 고형의 이물질이 통과하는 통로로서 기능하게 되므로 유입관(317)의 단면상의 직경(L1)에 비하여 유출관(315)의 단면 상의 직경(L2)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하여 유입관(317)은 액상의 생리식염수, 혈액 또는 약물 들이 유입되는 통로로서 제공되고, 단위 시간당 유입되는 유량은 압력으로서 조절이 가능하므로 단면 상의 직경(L1)이 크게 형성될 필요가 없다.Unlike the inflow pipe 317, the outflow pipe 315 functions as a passage through which solid matter such as thrombus or atheroma passes. Therefore, the outflow pipe 315 can be made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L1 of the inflow pipe 317, (L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L2). On the other hand, the inflow pipe 317 is provid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blood or drugs are introduced into the liquid phase, and the flow rate introduced per unit time can be adjusted as a pressure, so that the diameter L1 of the cross section need not be formed large.

유입관(317), 유입구(3171), 유출관(315) 및 유출구(3151)의 형성 위치 및 트랜스듀서(319)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는 제한이 없으며, 치료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 및 배열이 가능하다.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inlet pipe 317, the inlet port 3171, the outlet pipe 315 and the outlet 3151 and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transducer 319. Various arrangements and arrangements It is possible.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 튜브부재(31)의 내부에는 다양한 튜브들 및 와이어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벌룬부(312b), 제1 벌룬부(312a) 및 제2 벌룬부(312b)와 제1 벌룬부(312a) 사이의 위치에는 각기 다른 내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Various tubes and wires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may be provided. And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may have different internal structures.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 튜브부재(31)의 내측에는 압력조절관(316a, 316), 유입관(317), 유출관(315) 및 도선(318) 등이 구비될 수 있다. 6, pressure control tubes 316a and 316, an inflow tube 317, an outflow tube 315 and a lead wire 318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

구체적으로 제2 벌룬부(312b)의 내부는 튜브(TB) 외측에 벌룬(316)이 형성된다. 벌룬(316)은 얇은 탄성막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팽창하기 쉽게 형성된다. 벌룬(316)과 튜브(316) 사이의 공간은 압력조절관(316a)과 연통됨으로써 압력조절관(316a)을 통하여 생리 식염수 등의 유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1 벌룬부(312a)의 경우에도 튜브(TB)의 외측에 벌룬(316)이 형성되며 압력조절관(316a)과 연통되어 생리 식염수 등의 유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 때 제1 벌룬부(312a)와 제2 벌룬부(312b)의 벌룬(316)은 각각 독립된 압력조절관(316a)에 의하여 생리식염수를 전달받는 것도 가능하고, 단일의 경로를 갖는 압력조절관(316a)을 이용하여 생리식염수를 전달받는 것도 가능하다.Specifically, inside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a balloon 316 is formed outside the tube TB. The balloon 316 is formed of a thin elastic membrane material and is formed to be easily inflated when a fluid flows into the balloon 316. The space between the balloon 316 and the tube 316 communicates with the pressure control pipe 316a so that the fl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can be delivered through the pressure control pipe 316a. Similarly, in the case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a balloon 316 is formed outside the tube TB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pressure control tube 316a to receive a fl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At this time, the balloon 316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can receive the saline solution by the independent pressure control pipe 316a,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the saline solution by using the saline solution 316a.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셈블리를 이용하기 전 초기 상태에서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벌룬부(312a)와 제2 벌룬부(312b)의 벌룬(BL, 316)은 수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 생리식염수가 압력조절관(316)의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룬(316)의 내측에 생리 식염수가 유입되어 벌룬(316)이 팽창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내 튜브부재(31)의 외측에서는 제1 벌룬부(312a) 및 제2 벌룬부(312b)의 외경이 확대되는 것으로 관찰된다.In the initial state before using th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6A, the balloons BL, 316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are contracted Lt; / RTI > Thereafter, when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flows in through the inlet of the pressure control pipe 316, the saline solution flows into the balloon 316 as shown in FIG. 6 (b), and the balloon 316 expands. It is observed that the outer diameters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are enlarg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in this case.

한편, 팽창이 필요없는 부분 즉 예를 들어 제1 벌룬부(312a)와 제2 벌룬부(312b) 사이의 위치 등에서는 압력조절관(316a)를 형성하는 튜브의 강도가 제1 벌룬부(312a)와 제2 벌룬부(312b)의 벌룬(BL)의 강도에 비하여 강하게 형성됨으로써 생리식염수의 주입에 따라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팽창하지 않고 형상이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ortion where the expansion is not required, that is, for example, between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the strength of the tube forming the pressure control tube 316a is lower than the strength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And the balloon BL of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Therefore, even when the pressure rises due to the injection of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the shape of the balloon BL does not expand relatively.

이와 같은 제1 내 튜브부재(31)의 내부 구조는 도 6의 구성 및 구성부들의 배치에 한정된 것으로서 트랜스듀서(319)나 관련 구성 들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변경이 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내부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압력조절관(316, 316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 튜브부재(3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유입관(317)과 같이 별도의 튜브부재를 이용하여 제1 내 튜브부재(31) 내에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제1 내 튜브부재(31)는 벌룬이 형성되는 구성이 바뀌거나 치료에 필요한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튜브들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예에 관하여는 후술한다.The inner structur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is limited to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of FIG. 6, and may be changed as the position of the transducer 319 and related structures is changed. . Also, the pressure control pipes 316 and 316a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as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1 may be formed by using a separate tube member such as the inflow pipe 317, (Not shown). In addition,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can include or omit various types of tub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treatment, o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lloon is formed. Additional embodiments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술한 제1 내 튜브부재(31)와 제2 내 튜브부재(20)는 외 튜브부재와 마찬가지로 기능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하는 한 명칭에 상관없이 다양한 의료 기구들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and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edical instruments regardless of the name, which perform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and function as the outer tube member.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스듀서 및 추가 구성들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트랜스듀서의 타입에 따른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7 and 8, a transduc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al configurations are described. Figs. 7 and 8 are schematic views showing operation modes according to types of transducers. Fig.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듀서(319)는 혈관(B) 내에 제1 내 튜브부재(31)와 함께 혈전 및/또는 아테롬(E)의 직전까지 삽입되어 전방을 향하여 치료용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7, the transducer 319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B together with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until just before the thrombus and / or the atheroma E, A therapeutic ultrasonic wave can be irradiated to the target.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듀서(319)는 혈전 및/또는 아테롬(E)의 위치까지 삽입되어 방사상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트랜스듀서(319)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트랜스듀서(319)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내 튜브부재(31)의 외주면 상에 홈(3102), 돌기(3101) 등을 다수 형성하거나, PVA 등 생체적합성이 입증된 재질을 링 형상으로 형성한 링부재(3103)를 외주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Also, as shown in FIG. 8, the transducer 319 may be inserted to the thrombus and / or the position of the atheroma E to irradiate ultrasound in a radial direction. In this cas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transducer 319, a plurality of grooves 3102, protrusions 3101 and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ansducer 319, A ring member 3103 formed of a biocompatible material such as PVA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트랜스듀서(319)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동안 진동을 하게 되며, 이 때 외주면 상의 홈(3102), 돌기(3101) 및 링부재(3103)는 트랜스듀서(319)와 함께 진동하여 색전 찌꺼기 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어셈블리는 스텐트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색전 제거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아테롬 등을 용해하는 약물이 서서히 분비되도록 하는 혈관확장용 스텐트(eluting stent)의 경우에도 이러한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약물에 노출된 아테롬의 잔존 찌꺼기들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혈관확장 스텐트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 grooves 310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rotrusions 3101 and the ring member 3103 vibrate together with the transducer 319 so that the embers can easily To be removed. For example, th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embolization without using the stent. However, even in the case of an eluting stent for slowly releasing a drug dissolving atheroma or the lik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residual debris from the atheroma exposed to the drug,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vasodilation stent.

또한 트랜스듀서(319)에 대응하는 제1 내 튜브부재(31)에는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구(310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구를 통하여 제1 내 튜브부재(31) 내에 구비되는 트랜스듀서(319)는 혈액 또는 주입하는 생리식염수 등과 같은 액체(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즉, 초음파의 경우 매질 간의 경계선에서 반사가 일어날 수 있으나 이러한 관통구(3104)들을 형성하여 트랜스듀서(319)가 직접 혈액 또는 주입하는 생리식염수 등과 같은 액체(유체)에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랜스듀서(319)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holes 3104 may be formed in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corresponding to the transducer 319 as shown in FIG. 8D. The transducer 319 provided in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through the through-hole allows direct contact with blood or liquid (fl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to be injected. That is, in the case of ultrasonic waves, reflections may occur at the boundary line between media. However, by forming the through-holes 3104, the transducer 319 can irradiate ultrasonic waves to a liquid (fl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The efficiency of the transducer 319 can be increased.

유입구(3171) 및 유출구(3151)는 각각 혈액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트랜스듀서(319a, 319)가 포함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트랜스듀서(319)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하여 초음파를 조사하는 경우 트랜스듀서(319)는 혈전 및/또는 아테롬(E)을 기준으로 혈액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유입구(3171)는 혈액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한 트랜스듀서(319)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 7의 A의 참고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랜스듀서(319)의 좌측에도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유출구(3151)는 혈전 및/또는 아테롬(E)을 기준으로 혈액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즉, 유출구(315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혈전 등을 유출시키기 위하여 트랜스듀서(319)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The inlet 3171 and the outlet 3151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blood, respectively. This is the same even when the transducers 319a and 319 are included. Specifically, when the transducer 319 irradiates the ultrasonic waves forward as shown in Fig. 7, the transducer 319 is preferably position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blood based on the thrombus and / or atheroma E In this case, the inlet 3171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transducer 319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blood, and may also b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drain 319 as shown in the reference diagram of FIG. 7A. Can be located. On the other hand, the outlet 3151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blood based on thrombus and / or atheroma (E). That is, the outlet 3151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ransducer 319 in order to discharge the separated thrombus as shown in FIG.

트랜스듀서(319a)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조사하는 타입인 경우 트랜스듀서(319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혈전 등에 인접한 위치까지 삽입이 된다. 이 때 유입구(3171)는 혈액의 상류측에 위치하며, 유출구(3151)는 타측인 혈액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transducer 319a is of a type radially irradiating as shown in Fig. 14, the transducer 319a is insert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thrombus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3171 is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blood and the outlet 3151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blood on the other side.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셈블리의 이용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A method of using th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Fig. 9 to 12 are schematic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순서를 통하여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in the following order.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 튜브부재(10)를 제2 내 튜브부재, 즉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여 혈관(B) 내로 삽입하고, 혈전이나 아테롬(E)과 같은 이물질에 근접시킨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 튜브부재(20)가 외 튜브부재(1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내 튜브부재(20)를 제1 내 튜브부재(31)의 단부에 삽입한 상태로 제1 내 튜브부재(31)를 삽입한다. 이 때 트랜스듀서(319)는 목적에 따라 혈전 등(E)에 근접시키거나 혈전 등(E)과 대응하는 위치까지 삽입을 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9, the outer tube member 10 is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B using a second inner tube member, that is, a guide wire, and brought close to a foreign substance such as thrombus or atheroma (E). 10, when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tube member 10,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is fixed to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is inserted. At this time, the transducer 319 can be inserted close to the thrombus (E) or inser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mbus (E) according to the purpose.

이때 제1 벌룬부(312a)가 혈전 등(E)의 위치까지 삽입된 경우 필요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벌룬부(312a)를 확장시켜 혈관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혈전 등(E)을 방사상으로 압박 및 팽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혈전 등(E)은 외경이 팽창함에 따라 치밀하게 형성되어 있던 결합 구조가 찢기거나 분리됨으로써 혈전용해제와 같은 약물이나 초음파에 의하여 더 효율적으로 혈관 내벽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분해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막힌 원위부로 혈류를 충분히 관류시켜 심근경색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킨다.When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is inserted up to the position of the thrombus etc.,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may be expanded as shown in FIG. 11 to form the thrombus etc. E ) Can be radially compressed and expanded. In this case, the thrombus and the like can be separated or decomposed more efficiently from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by the drug such as the thrombolytic agent or the ultrasonic wave because the tightly formed bonding structure is torn or separated as the outer diameter expands. In this way, myocardial infarction is temporarily relieved by thoroughly perfusing the bloodstream with the clogged distal part.

이후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벌룬부(312a)와 제2 벌룬부(312b) 사이에 혈전 등(E)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벌룬부(312a)와 제2 벌룬부(312b)를 팽창시킨다. 이 경우 혈관은 제1 벌룬부(312a)와 제2 벌룬부(312b)에 의하여 일정 공간(BL1)내의 혈액 또는 혈류가 외부와 격리된 상태가 된다.12,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thrombus (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Lt; / RTI > In this case, blood or blood flow in the certain space BL1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by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이와 같은 격리 상태에서 다양한 조치들이 취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듀서(319)를 이용하여 혈전 등(E)을 분리 및/또는 분해를 시키거나 유입구(3171)를 통하여 혈전용해제나 아테롬 치료제 등을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유출구(3151)를 통하여 혈전 등(E)이 분해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격리 공간(BL1) 내의 혈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유입관(3171)을 통하여 생리식염수를 추가적으로 더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고, 유입관(3171)을 폐쇄시킴으로써 혈관 내 폐쇄 공간(BL1)에 음압을 걸리게 하여 혈전 등(E)으로부터 분리된 찌꺼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Various measures can be taken in this isolated stat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 or decompose the thrombus (E) by using the transducer 319, or to inject a thrombolytic agent or a therapeutic agent through the inlet 3171, and the outlet 3151 It is also possible to discharge the blood in the isolation space BL1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thrombus or the like E is decomposed or separated.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supply physiological saline through the inflow pipe 3171. By closing the inflow pipe 3171,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travascular occlusion space BL1 to remove debris separated from the thrombus etc.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discharge it.

이 때 제1 벌룬부(312a)와 제2 벌룬부(312b)에 의하여 혈전 등(E)의 주변이 외부와 격리됨으로써 혈전 등(E)의 분해 및 분리과정에서 분리된 찌꺼기의 입자나 덩어리 들이 외부로 유출되어 또 다른 색전을 일으킬 우려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혈전 용해제 등이 국부적으로만 적용됨으로써 혈전 등(E)의 용해에 필요한 약물의 정량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며 인체 중 적용이 불필요한 부분에 적용되어 예상치 못한 출혈 등이 발생하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eriphery of the thrombus (E)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by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so that particles and lumps of the separated debr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leakage to the outside and causing another embolization. In addition, since the thrombolytic agent and the like are applied only locally, the amount of drug required for dissolution of the thrombus (E) is drastically reduced, and it can be applied to a portion of the human body where application is unnecessary, thereby reducing unexpected side effects such as bleeding.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벌룬이 형성되는 다른 타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내 튜브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 튜브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Other types of embodiments in which the balloon is form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a second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uter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Fig.

한편, 제1 벌룬부와 제2 벌룬부는 각각 제2 내 튜브부재(20)와 외 튜브부재(1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 튜브부재(10a)에 후방측 벌룬부(112b)가 대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 튜브부재(20)에 전방측 벌룬부(212a)가 대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balloon portion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and the outer tube member 10, respectively. 13, the rear-side balloon portion 112b can be generally formed on the outer tube member 10a. As shown in Fig. 14,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is provided with the front- The portion 212a may be formed generally.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 튜브부재(20)에는 일 단부에 앞서 설명한 제1 벌룬부를 대체하여 전방측 벌룬부(212a)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내 튜브부재(20)는 외 튜브부재의 내부 구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벌룬부(212a)의 외측에 압력조절관(216a)와 연통되는 벌룬(BL2)을 형성할 수 있다. 벌룬(Bl2)은 압력조절관(216a)을 통하여 생리 식염수가 유입되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한다. 또한 제2 내 튜브부재(20)의 내측 공간부(214)는 필요에 따라 형성되거나, 생략하여 제2 내 튜브부재(20)의 압력 조절관(216) 이외의 부분이 막힌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inner balloon portion 212a may be formed at the one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by replacing the first balloon portion described above.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can be form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inner structure of the outer tube member. That is, as shown in FIG. 15A, the balloon BL2 communicating with the pressure control pipe 216a can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ront side balloon portion 212a. The balloon Bl2 expands when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flows through the pressure control pipe 216a as shown in FIG. 15 (b). The inner space 214 of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may be formed as necessary or may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portion other than the pressure control tube 216 of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20 is closed It is possible.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 튜브부재(10)에는 일 단부에 앞서 설명한 제1 내 튜브부재의 제2 벌룬부(도 6의 312b 참조)를 대체하여 후방측 벌룬부(112b)를 형성할 수 있다. 압력 조절관(116a)을 통하여 생리식염수가 공급되면, 후방측 벌룬부(112b)의 벌룬(BL3)으로 생리 식염수가 유입됨으로써 벌룬(BL3)이 팽창하게 된다.16, the rear balloon portion 112b is formed by replacing the second balloon portion (refer to 312b in Fig. 6)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described above at one end with the outer tube member 10 . When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is supplied through the pressure control pipe 116a, the saline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balloon BL3 of the rear side balloon portion 112b, thereby expanding the balloon BL3.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벌룬부와 제2 벌룬부는 다양한 위치 및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alloon unit and the second ballo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positions and shapes.

또한 외 튜브부재(10)의 내측 통로(114)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내 튜브부재나 제2 내 튜브부재가 삽입 될 수 있으며, 혈관 내의 혈액이나 혈액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nner tube member and the second inner tube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passage 114 of the outer tube member 10,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blood or blood in the blood vessel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can also be used as a passageway.

도 1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 튜브부재를 설명한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 튜브부재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The first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ner appearance of a first inner tub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 튜브부재(31)는 외측관(OT)과 내측관(IT)의 2중관 타입으로 형성된다. 이 때 내측관(IT)은 앞서 설명한 유출관(315)으로서 기능한다. 유출관(315)은 혈액 내의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서도 기능하므로 가장 단면적이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as a double pipe type of the outer tube OT and the inner tube IT. At this time, the inner tube IT functions as the outflow tube 315 described above. The outflow pipe 315 also functions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blood to the outside,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flow pipe 315 is formed to have the largest cross-sectional area.

또한 외관(OT)와 내관(IT) 사이에는 압력조절관(316a)이 구비되며, 위치에 따라 유입관(317) 및 도선(318)이 구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압력조절관(316a)은 제1 내 튜브부재(31)의 내에서 하나의 튜브형으로 형성된다.A pressure control pipe 316a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and inner pipes OT and IT and an inlet pipe 317 and a wire 318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position. The pressure regulating tube 316a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into one tube shape within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

제1 벌룬부(312a) 및 제2 벌룬부(312b)에서는 외측에 벌룬(OT`)이 형성되며, 벌룬(OT`)과 내관(IT) 사이의 공간은 앞서 설명한 압력조절관(316a)과 연통된다.The balloon OT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312b and the space between the balloon OT` and the inner tube IT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control pipe 316a .

벌룬(OT`, 316)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 부분에 비하여 강도가 더 적은 탄성재질, 예를 들면 풍선과 같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타 부분에 비하여 용이하게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제조된다. 즉, 도 17의 (b)와 같이 압력조절관(316a)으로 생리 식염수가 주입되어 압력이 증가하면 제1 벌룬부(312a)의 벌룬(OT`, 316)이 부풀어 오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alloon (OT ') 316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smaller strength than other portions, for example, a balloon, so that it can be easily inflated as compared with other portions. 17 (b), when the salin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pressure control tube 316a to increase the pressure, the balloon OT '316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swells.

한편,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벌룬부(312a)의 벌룬(OT`)는 생리 식염수가 유입되기 전에는 비워진 상태가 되나, 이와는 달리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벌룬부(312a)의 벌룬(OT`)은 생리 식염수가 유입되기 전에는 진공상태가 되어 내관(IT)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사용 시에 공기 등 기타 기체가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7A, the balloon OT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is emptied before the saline solution is introduced.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8A, Likewise, the balloon OT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312a is kept in a vacuum state before the saline solution is introduced and is adsorbed to the inner tube IT, thereby preventing other gases such as air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human body during use .

도 19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바이패스 구조 및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관이 형성된 제3 튜브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튜브부재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튜브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3 및 도 24는 트랜스듀서의 외부 노출을 위한 구조를 갖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The bypass structure and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4. FIG. 19 and 20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third tube member having a bypass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and action of the third tub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2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the third tub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S. 23 and 24 are cross- FIG.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embodiments having a structure for external exposure of a ducer. FIG.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3 튜브부재(40a)의 제3 벌룬부(412a)와 제4 벌룬부(412b)의 양 외측을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바이패스관(419)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튜브부재(40a)는 제3 벌룬부(412a)의 외측 단부에 제1 바이패스홀(4192)이 형성되고, 제4 벌룬부(412b)의 좌측 외주면 상에는 제2 바이패스홀(4191)이 형성된다. 제1 바이패스홀(4192)과 제2 바이패스홀(4191)은 바이패스관(419)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다. 또한 제3 벌룬부(412a)와 제4 벌룬부(412b) 앞서 설명한 이중관 타입의 벌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19 and 20, a bypass tube 419 connecting the outer sides of the third balloon portion 412a and the fourth balloon portion 412b of the third tube member 40a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Specifically, in the third tubular member 4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bypass hole 4192 is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third balloon portion 412a, and a second bypass hole 4192 is formed in the left outer surface of the fourth balloon portion 412b. 2 bypass holes 4191 are formed. The first bypass hole 4192 and the second bypass hole 4191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the bypass pipe 419. In addition, the third balloon portion 412a and the fourth balloon portion 412b may be formed of the double pipe type balloon structure described above.

이 때 유출관(4151) 및 유입관(미도시) 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outflow pipe 4151 and the inflow pipe (not shown)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3 벌룬부(412a)와 제4 벌룬부(412b)가 확장하여 혈관(B) 내를 일정 부분을 차단하면, 종래에는 혈관(B)내 일정 공간이 격리되고, 혈류가 차단된다.21, when the third balloon portion 412a and the fourth balloon portion 412b extend to block a certain portion of the blood vessel B, conventionally, a certain space in the blood vessel B is isolated , The blood flow is blocked.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제3 벌룬부(412a)와 제4 벌룬부(412b)의 양측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바이패스관(419)을 통하여 일정량의 혈액들이 지속적으로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심장 카테터 시술 또는 뇌 혈전제거 등의 긴박한 수술을 하는 경우에도 막힌 원위부로 혈류를 충분히 관류시켜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을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등의 조치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막힌 부위로부터 원위부의 허혈상태에 빠진 조직의 재관류 수술의 제한 시간을 더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even when both sides of the third and fourth balloons 412a and 412b are blocked, a certain amount of blood can continuously flow through the bypass tube 419,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measures such as temporary relief of myocardial infarction or cerebral infarction by thoroughly perfusing the blood flow with a clogged distal portion even in the case of urgent surgery such as removal of a cerebral thrombus, It is possible to further extend the time limit of tissue reperfusion surgery.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튜브부재(40b)의 내관(IT)과 외관(OT) 사이에는 트랜스듀서(418)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랜스듀서(418)의 위치에 대응하는 외관(OT)에는 관통구멍(4102)들을 다수 형성하거나 트랜스듀서(418)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외관(OT)의 적어도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트랜스듀서(418)가 직접 혈액 또는 유체(fluid)에 접촉하여 초음파를 조사함으로써 매질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듀서(418)의 외주면의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개부(4104)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때 절개부(4104)의 강도가 약해짐으로써 제2 튜브부재(40b)가 트랜스듀서(418) 부위에서 휘어지거나 절단되는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4105)를 축방향으로 더 형성할 수 있다. 보강부(4105)는 제3 튜브부재(41)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재질에 비하여 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as shown in FIG. 22, a transducer 418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tube IT and the outer tube OT of the third tube member 40b.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02 are formed in the outer tube O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ansducer 418,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tube OT is exposed so that the transducer 418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transducer 418 directly contacts the blood or fluid and irradiates ultrasonic waves to minimize the reflection occurring at the boundary of the medium.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3, it is possible to form a cutout 4104 such that mos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ducer 418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strength of the cutout 4104 is weakened, The reinforcing portion 4105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4 in order to prevent the tube member 40b from being bent or cut at the portion of the transducer 418 or the like. The reinforcing portion 4105 can be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the material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tube member 41. [

한편, 제3 튜브부재는 별도의 튜브형 기구로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나, 앞서 설명한 제1 내 튜브부재나 외 튜브부재 등의 구성의 변형 또는 추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내 튜브부재, 외 튜브부재 및 제3 튜브부재의 경우 각각의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한 편의 상의 명칭일 뿐 특정 타입이나 방식의 기기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tube member can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tubular mechanism, but it is also possible to modify or additionally form the constitution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and the outer tube member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e case of the first and second inner tube members, the outer tube member, and the third tube member described above, the term is merely a convenience name for describing the respective functions, and does not refer to a device of a specific type or type.

도 25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튜브부재를 설명한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튜브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A third tube member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a third tube memb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한편, 제3 튜브부재(40d)가 앞서 설명한 외 튜브부재 타입인 경우 제1 내 튜브부재(31)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에는 바이패스관(419)을 통하여 원위부(BL2)로 흐른 혈액이 제3 튜브부재(40d)의 내관(IT, 415)를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내 튜브부재(31)의 제1 벌룬부(312a)를 확장시켜 내관(IT, 415)를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rd tube member 40d is the outer tube member type described above, the first inner tube member 31 can be inserted inward.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blood flowing to the distal portion BL2 through the bypass tube 419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inner tube (IT) 415 of the third tube member 40d, It is preferable to expand the one balloon portion 312a to close the inner tube IT 415.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have.

10: 외 튜브부재
20: 제2 내 튜브부재
30: 카테터(catheter)
31: 제1 내 튜브부재
312a, 312b: 벌룬부
319: 트랜스듀서
40: 제3 튜브부재
10: outer tube member
20: second inner tube member
30: catheter
31: first inner tube member
312a and 312b:
319: Transducer
40: third tube member

Claims (20)

혈관 내로 삽입되고, 제3 벌룬부 및 제4벌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벌룬부 및 제4 벌룬부의 양 외측을 연통시키는 제2 바이패스관이 형성되는 외 튜브부재;
상기 외 튜브부재를 통하여 혈관 내로 삽입되는 제1 내 튜브부재; 및
상기 제1 내 튜브부재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제1 벌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벌룬부 및 상기 제4 벌룬부는 팽창 시 상기 제3 벌룬부 및 상기 제4 벌룬부 사이의 혈관내의 혈류를 외부와 차단시키고, 상기 제1 벌룬부는 확장하여상기 제1 내 튜브부재가 유입된 통로를 폐쇄가능한 카테터 어셈블리.
An outer tube member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and having a third balloon portion and a fourth balloon portion, the outer tube member having a second bypass tube communicating both outer sides of the third and fourth balloons;
A first inner tube member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outer tube member; And
And a first balloon portion provided on an end sid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Wherein the third balloon and the fourth balloon block the blood flow in the blood vessel between the third balloon and the fourth balloon when the balloon is inflated and the first balloon portion expands so that the first inner tube member is inflow A catheter assembly capable of closing a passage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 튜브부재는 내측에,
상기 제1 벌룬부를 기준으로 원위부측 혈관 내로 유체 유입가능하도록 연통된 유입관; 및
상기 원위부측 혈관 내로부터 유체가 유출가능하도록 연통된 유출관;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inner tube member has, on the inner side,
An inflow tube communicating with the distal side blood vessel such that fluid can flow into the distal side blood vessel with reference to the first balloon portion; And
And a drain tube communicating with the distal side of the blood vessel so as to allow fluid to flow out from the distal side blood vess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으로는 생리 식염수, 혈액, 색전(embolus)의 항응고 또는 용해를 위한 약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입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physiological saline, blood, a drug for anticoagulation or dissolution of an embolus is introduced into the inflow tub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색전은 혈전 및 아테롬(athero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카테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mbolism is at least one of a thrombus and an atherom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약물은 Streptokinase, Urokinase,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Warfarin, Hirudin, Paclitaxel, Sirolimus, Everolimus, Zotarolimus,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및 스테로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카테터 어셈블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rug introduced into the inflow tube is at least one of Streptokinase, Urokinase,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Warfarin, Hirudin, Paclitaxel, Sirolimus, Everolimus, Zotarolimu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 and steroi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입관에 비하여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utlet tube has a relatively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inlet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벌룬부의 외층은 동일 부재의 타 부분에 비하여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상기 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재질로 형성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layer of the first balloon is formed of a relatively weaker material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 so that the outer layer of the first balloon can swell relative to the other portion of the same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벌룬부는 생리 식염수의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balloon portion is inflated by injection of physiological sa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 튜브부재에는 치료용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조사하는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nner tube member comprises a transducer for irradiating ultrasound in a therapeutic frequency ban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 튜브부재에는 진단용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조사하는 트랜스듀서 및 이미지 획득용 촬상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inner tube membe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transducer for irradiating ultrasonic waves in a diagnostic frequency band and an imaging device for image acquisi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제1 내 튜브부재의 삽입방향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ransducer irradiates ultrasonic waves in an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는 방사상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ransducer radially irradiates ultrasoun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가 위치하는 제1 내 튜브부재의 외주면에는 홈,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t least one of a groove and a project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where the transducer is loca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가 위치하는 제1 내 튜브부재의 외주면에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부재가 구비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ring memb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ner tube member where the transducer is locat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PVA(Polyvinyl alcohol)재질의 스펀지로 형성되어 상기 혈관 내에서 하이드로젤로 변환되는 카테터 어셈블리.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ing member is formed of a sponge made of polyvinyl alcohol (PVA) and converted into a hydrogel in the blood vesse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 튜브부재는,
상기 차단된 혈관 내로 유체 유입가능하도록 연통된 제2 유입관; 및
상기 차단된 혈관 내로부터 유체가 유출가능하도록 연통된 제2 유출관;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tube member comprises:
A second inflow pipe communicating with the blocked blood vessel so as to allow fluid to flow therethrough; And
And a second outlet tube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vessel so that fluid can flow out from the inside of the blocked vess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 튜브부재는 상기 제1 벌룬부를 기준으로 원위부에 위치하는 제2 벌룬부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nner tubular memb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balloon portion distal to the first balloon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41997A 2014-10-20 2014-10-20 Catheter assembly KR1017225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997A KR101722508B1 (en) 2014-10-20 2014-10-20 Catheter assembly
PCT/KR2015/008568 WO2016064076A1 (en) 2014-10-20 2015-08-17 Cathete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997A KR101722508B1 (en) 2014-10-20 2014-10-20 Cathete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214A KR20160046214A (en) 2016-04-28
KR101722508B1 true KR101722508B1 (en) 2017-04-03

Family

ID=5576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997A KR101722508B1 (en) 2014-10-20 2014-10-20 Catheter assembl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2508B1 (en)
WO (1) WO201606407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9401B2 (en) 2016-08-08 2022-09-01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maturation rate of arteriovenous fistula
US11071557B2 (en) 2017-10-19 2021-07-27 Medtronic Vascular, Inc. Catheter for creating pulse wave within vasculature
US11266817B2 (en) 2018-10-25 2022-03-08 Medtronic Vascular, Inc. Cavitation catheter
CN110193131B (en) * 2019-05-09 2021-03-16 江汉大学附属医院(武汉市第六医院) Pulmonary artery thrombolysis catheter
CN112914677B (en) * 2019-12-07 2022-03-08 贵州医科大学附属医院 Double-balloon injection catheter instrument for thrombolysis of blood vess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0399A (en) * 1996-08-28 2001-01-16 ズルツァー・オシィプカ・ゲーエムベーバー Ultrasound sensing catheter with variable directivity
JP2006223341A (en) * 2005-02-15 2006-08-31 Univ Nihon Tissue disintegrator
WO2013130655A1 (en) * 2012-02-27 2013-09-06 Fractyl Laboratories, Inc. Heat ab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908A (en) * 1995-11-17 1997-05-27 Aloka Co Ltd Ultrasonic diagnosis treatment system
KR20130009807A (en) * 2010-03-19 2013-01-23 오사카 유니버시티 Catheter for endosco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0399A (en) * 1996-08-28 2001-01-16 ズルツァー・オシィプカ・ゲーエムベーバー Ultrasound sensing catheter with variable directivity
JP2006223341A (en) * 2005-02-15 2006-08-31 Univ Nihon Tissue disintegrator
WO2013130655A1 (en) * 2012-02-27 2013-09-06 Fractyl Laboratories, Inc. Heat ab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214A (en) 2016-04-28
WO2016064076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64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removing material from body lumens
KR20160046215A (en) Catheter assembly
KR101722508B1 (en) Catheter assembly
EP1289596B1 (en) Embolization protection system for vascular procedures
US6544276B1 (en) Exchange method for emboli containment
US8740961B2 (en) Method for treating a target site in a vascular body channel
US7144381B2 (en) Hemodialysis system and method
JP6968146B2 (en) Catheter sheath that radiates liquid laser-induced pressure waves
US8435225B2 (en) Embolization protection system for vascular procedures
EP3240603A1 (en) Laser-induced fluid filled balloon catheter
JPH0833715A (en) Catheter with baloon to plug aneurism or blood vessel
JP2021532929A (en) Treatment mode selection system and laser catheter system including it
KR20220072854A (en) balloon basket catheter device
JP2024503651A (en) combination balloon catheter
JP2007007021A (en) Catheter
JPH0339170A (en) Catheter for removing athero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