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640B1 - Gauges for measuring occlusion - Google Patents

Gauges for measuring occlu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640B1
KR101720640B1 KR1020150149438A KR20150149438A KR101720640B1 KR 101720640 B1 KR101720640 B1 KR 101720640B1 KR 1020150149438 A KR1020150149438 A KR 1020150149438A KR 20150149438 A KR20150149438 A KR 20150149438A KR 101720640 B1 KR101720640 B1 KR 101720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measurement arm
gauge
fixing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소희
Original Assignee
심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윤섭 filed Critical 심윤섭
Priority to KR102015014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6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6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uge for occlusion measurement including: an upper tooth measurement gauge (100) where an impression platform (110) unfolding such that maxillomandibular sets of teeth are engaged is formed in a tip portion and a measurement arm (120) integrally extends toward a rear end of the impression platform (110), a front upper surface of the measurement arm (120) being provided with an upper tooth fixing portion (130) where an upper tooth receiving groove (131) is formed; a lower tooth measurement gauge (200)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provided with a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guiding insertion of the measurement arm (120) with a plurality of guiders (211) formed across the open upper portion side, a lower tooth fixing portion (220) having a lower tooth receiving groove (221) being formed in a front bottom surface of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and a fixing wedge insertion groove (230) being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and a fixing wedge (300) removably inserted into the fixing wedge insertion groove (230) of the lower tooth measurement gauge (200) and fix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measurement arm (120) is inserted into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lusion state of a patient wishing to undergo maxillomandibular occlusion correction can be relatively simply measured for malocclusion or snoring patient treatment and then a maxillomandibular occlusion correction position can be selected. Accordingly, the patients state of maxillomandibular occlusion correction can be precisely and frequently measured without a cost burden in the correction process. As a result, correction treatment based on precise measurement can be anticipated during treatment of, for example, growing children and snoring patients.

Description

교합 측정용 게이지{Gauges for measuring occlusion}Gauges for measuring occlusion}

본 발명은 교합 측정에 사용되기 위한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치료 대상 환자의 초기 상악 및 하악의 교합 상태를 측정한 후, 교정 가능한 범위내에서 교정값에 따른 상태를 정한 후 상하악 가드를 제조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교합 측정용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uge for use in occlusal measurement, which can measure the occlusal state of the initial upper and lower jaws of a patient to be treated, and then determine the condition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within a correctable range, To a gauge for occlusal measurement.

안면 구조에서 턱의 구조의 비정상적 위치는 여러 질병을 발생 시킬 수 있는 인자로 인식되고 있으며, 턱의 비정상적 구조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로 부정교합 환자나 코골이 환자 발생을 들 수 있다.The abnormal position of the jaw structure in the facial structure is recognized as a factor that can cause various diseases. One of the phenomena depending on the abnormal structure of the jaw is malocclusion or snoring.

턱관절(또는 약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 구조는, 얼굴뼈와 턱뼈 사이에 턱관절 디스크가 위치되어 아래턱을 열고 닫아 턱관절 디스크를 중심으로 회전 방식에 따라 운동 되는 것으로, 인체가 노화되거나 아랫 치아가 닳게 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상부쪽으로 이동되며 턱관절 디스크가 앞쪽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의 턱관절 구조를 갖을 수 있다.A temporomandibular joint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a jaw joint disc is positioned between a facial bone and a jaw bone, and the lower jaw is opened and closed to move according to a rotation method about a jaw joint disc. When worn out, it moves relatively to the upper side, and the jaw disk comes out to the front side, so that the jaw joint structure can be structurally unstable.

턱관절 구조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구조적인 불안정성을 갖게 되는 턱관절 구조를 올바르게 교정하려는 시도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Due to the importance of the jaw joint structure, efforts have been made to correctly correct the jaw joint structure, which has structural instability.

예를 들면, 입안의 치아 구조에 부합되는 치아가드 또는 도구를 이용하는 것이 있는데, 이를 위하여 고체상의 성형폼으로 형성되는 보조 기구를 윗니 또는 아랫니 잇몸에 부착하여 착용자가 그 기구를 물고 있어 턱관절을 교정하도록 하고 있다.For example, a tooth gauge or a tool conforming to the tooth structure of the mouth is used. For this purpose, an auxiliary device formed of a solid-shaped molded foam is attached to the upper teeth or the lower teeth gingiva so that the wearer fixes the jaw, .

이러한 방법은 서로 다른 형태, 크기를 갖는 치아나 관절 구조에 모두 부합되는 턱관절 교정패드 또는 교정가드를 제작할 수 없어, 환자 상태에 맞는 정확하고 정교한 교정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환자에 맞게 제작하는 경우 그 비용이 상당히 증가하게 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In this method, it is not possible to make a correction plate or a correction guards for a jaw that are compatible with teeth or joint structures having different shapes and sizes, and therefore, accurate and precise calibration can not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And the cost is considerably increased.

또한, 이와 같은 턱관절의 비정상적 위치는 코골이를 유발하여 수면 장애 또는 무호흡 수면을 유발시키는 인자로 작용된다.In addition, such an abnormal position of the jaw joint induces snoring and acts as a factor causing sleep disorder or sleep apnea.

수면 중 코를 고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으나,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코로 정상적인 호흡을 하지 못하기 때문인데 특히, 수면시 턱관절의 위치가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The reason for choosing the nose during sleep may vary, but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nose can not perform normal breathing. Especially, the location of the jaw joint is an important cause of sleeping.

즉, 수면 상태에서 아래턱이 뒤로 쳐지거나 평상시에도 아래턱이 뒤로 쳐져 있는 경우 또는 목이 굵은 경우에 코를 심하게 고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목젖 주위가 좁고 숨을 쉬기 위한 기도의 폭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lower jaw falls back from the sleeping state, or when the lower jaw is normally backward, or when the neck is thick, the nose tends to be severely cramped because the neck is narrow and the width of the airway for breathing is difficult to secure.

특히나 코골이가 심사게 되면 밤에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 수면 무호흡증을 동반할 수 있다. Especially, when snoring is examined, it can not take a sleep at night, and sometimes it can accompany sleep apnea.

이러한 폐쇄성 수면성 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oea)으로 진행되는 것은 잠정적으로 10초 이상 또는 밤에 잠을 자는 동안 300회 이상 수면 중 호흡이 멈추어지는 치명적 질환으로 이어지는바, 이러한 증상에 의해 주간에 피로감, 졸림 증상 등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수면 무호흡증상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심폐 계통의 합병증으로 발전하여 고혈압, 부정맥 등을 동반하거나 또는 돌연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어, 상기한 증상의 치료는 가능한 한 조기에 진단 및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ch obstructive sleep apnea leads to a fatal disease that temporarily stops breathing for more than 10 seconds or sleeps at night more than 300 times during the night. These symptoms lead to fatigue, sleepiness If the sleep apnea symptoms are left untreated, complications of the cardiopulmonary system may develop, leading to hypertension, arrhythmia, or the like, leading to sudden death.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diagnosis and treatment.

이와 같은 결과를 유발할 수 있는 코골이 증상을 완화 또는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가지의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는데 예를 들면 코골이 방지 수술을 시행하거나, 또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 등을 사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alleviating or preventing the snoring symptom that may cause such a result. For example, snoring prevention surgery or snoring prevention pillow is used .

그러나 수술의 경우, 양압환기방식(positive ventilation methods) 및 하악 전진, 혀의 앞쪽 이동 또는 양자의 결합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다양한 장치들의 사용을 포함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surgery, it involves the use of various devices designed to provide positive ventilation methods and mandibular advancement, forward movement of the tongue, or combination of both.

특히 가장 통상적 수술방법 중 하는 구개수구개성형술로, 연개구의 일부를 제거하여 수면동안 인후 기도의 폐쇄를 방지하는 수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방법은 수일의 입원 및 몇주의 회복 주기를 요하게 되어 가장 고치기 어려운 환자들에게 적용되며, 아울러 예상치 못한 현상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어 일반 환자들에게는 비가역적 치료를 선호하지 않게 되고, 이와는 달리 뼈 고정구 삽입 또는 목젖에 자석의 이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술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여전히 환자들에게는 선호되지 않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articularly, it is the most common surgical method to remove the part of the soft opening to prevent obstruction of the throat during sleep. However, these surgical methods are often applied to patients who are difficult to repair due to several days of admission and several weeks of recovery. In addition, unexpected cases may be accompanied by an unreliable treatment for general patients Various surgical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cluding implantation of a bone fixator or implantation of a magnet into a molar, but this is still not preferred for patients.

한편 이와는 달리 양압식 호흡법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 호흡법은 그 중 가장 통상적인 것이 지속적 기도양압(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으로, 이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가압 공기를 잠자는 환자에게 공급하는 방법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positive pressure breathing can be taken as an example. The most common of these breathing methods is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which means that the pressurized air is supplied to the sleeping patient using a mask do.

이러한 CPAP 의 이용은 대개 수면의 질과 삶의 질에서 즉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지만 CPAP 장치에 수반되는 마스크와 호스 등의 구성에 의해 일반 환자들이 기피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라 볼 수 있다.The use of this CPAP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one of the ways that general patients are avoid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sk and hose associated with the CPAP device, although it can usually give an immediate effect on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따라서 이러한 수술방법 또는 치료방법으로 제안되는 것들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효과적인 측면 및 선호도등에 의해 크게 꺼려지는 문제가 있고, 앞서 전술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제공하는 교정용 베개의 경우 수면 상태에서 몸을 뒤척이는 경우 목 뒷부분을 받쳐주는 베개로부터 이탈되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a surgical method or a treatment method is largely unfavorable depending on an effective aspect and a preference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a patient. In the case of a correcting pillow which provides the above-described relatively simple constitution, In some cases, it may not be effective because it is detached from the pillow that supports the back of the throat.

상기한 수술방법 또는 치료방법들 중에서 턱관절을 이용하여 치료 또는 교정을 하는 경우가 있다.Among the surgical methods or treatment methods described above, there are cases where treatment or correction is performed using the jaw joint.

예컨데 이와 같은 턱관절의 교정을 통하여 하악 전진을 이루도록 설계되는 교정장치등이 있는데, 이러한 하악 전진 이동에 의존할 경우 혀의 윗부분이 인두후벽에 대하여 이완되는 경향을 크게 줄여, 코골이와 많은 경우 수면 무호흡 증상을 완화시키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For example, there are orthodontic appliances designed to perform mandibular advancement through the correction of the jaw joints. When the mandibular advancement is relied upon, the tendency of the upper part of the tongue to relax on the pharyngeal wall is greatly reduced, It has been known to relieve apnea symptoms.

예컨데 하악의 전진은 바람직한 방식으로는 혀를 앞으로 받치게 하는 것인데, 상기한 증상의 완화를 위해서는 5 ~ 10 mm 정도의 하악 전진이 필요하게 된다.For example, advancing the mandible is a desirable way to support the tongue in the future. To alleviate the above symptoms, mandibular advancement of about 5 to 10 mm is required.

이와 같은 하악 전진을 위한 장치 또는 교정도구들은 한 쌍의 별개로 이루어지는 활모양의 치아 결합유닛 즉 치아가드를 기초적 구성으로 한다.Such devices or orthodontic appliances for mandibular advancement comprise a pair of separate arcuate tooth coupling units, i.e. tooth guard, as a basic construction.

이들 각각은 서로의 상보적 면에 접하는 대체로 편평한 면을 갖도록 하며, 적절한 경우 상악(上顎) 또는 하악(下顎) 치열의 모두 또는 일부와 정확히 맞물리도록 설계되며 마주보는 치열결합면을 갖도록 한다.Each of these has a generally fla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mplementary surface of each other and is designed to mate correctly with all or a portion of the maxillary or mandibular dentition, if appropriate, and to have opposing dentition-engaging surfaces.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개시되어 있는 선행 특허 중,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2010-6504 호의 '코골이 방지 보조기'가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C자 형태의 몸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를 코에 삽입한 이후에 분리 이탈을 방지하고 또한 콧구멍의 면적을 확대하는 보조역할을 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하는 효과가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면 중의 호흡에 장애를 가져와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mong the prior patents disclosed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Korean Patent Laid-Open No. 20-2010-6504 discloses a snoring prevention assistant, which is a C-shaped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noring by preventing detachment and separation after inserting the snoring preventive auxiliary device including the body into the nose and by enlarging the area of the nostril.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obstructs breathing during sleeping and interferes with taking sufficient sleeping.

이와는 달리 구강구조내에 삽입하여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시되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96129호에서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장치를 들 수 있는바, 구강에 삽입하여 호흡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종래 기술에서는 치아 안착홈이 기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수면시 이탈되거나 고정성을 확보할 수 없어 본 종래 기술이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In contrast, Korean Patent No. 596129 discloses a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by inserting it into the oral cavity structure. Korean Patent No. 596129 discloses a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which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s shown in Fig.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since the tooth seating groove is formed and does not correspond to the oral structure of various users, it can not be separated at the time of sleeping or securing the fixation property.

따라서 전술한 각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상기한 여타의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주로 코골이 방지에만 적용 가능할 수 있어, 턱관절 자체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코골이 방지 기능의 역할은 수행할 수 있더라도 턱관절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수면시 착용되는 상기한 코골이 방지기구를 장기간 사용할 시, 턱관절에 구조적 문제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그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또는 고착화되어 턱관절의 교정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each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s has the above-described other problems, and can be applied mainly to the prevention of snoring. Thus, when the jaw joint itself has a problem, the snoring preven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When the above-mentioned snoring prevention device, which is not calibrated or used at the time of sleep,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case of a patient having a structural problem in the jaw joint, it is difficult to correct the jaw joint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즉, 코골이의 방지 및 무호흡 증상 완화와 상기한 턱관절의 교정까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33386 호인,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In view of this, in order to prevent the snoring and to alleviate the apnea symptom and to correct the jaw joint,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33386 discloses a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a jaw joint correcting device have.

상기 특허의 경우, 중앙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치아가 배열된 형태의 원호를 이루는 경성 중심 골격 경성 중심 골격의 상면에 접착 형성된 상부 부재 및 경성 중심 골격의 하면에 접착 형성된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사용시 열을 가하여 연성으로 만들고, 사용자가 깨물어 사용자의 치아 형태에 맞게 성형될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나, 교정되는 과정에 따라 상기 교정장치를 새롭게 맞추거나 성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 patent, an upper member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ard core of the hard core structure and a lower member adhered to the lower face of the hard core framework are formed, The member and the lower member can be made to be soft by applying heat to the user and can be shap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teeth to bite the user so that the problem can be solv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alibrat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troublesome.

또한 교정자가 턱관절 교정 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교정장치를 자신이 스스로 조절하게 되는 경우 정확한 교정이 어렵게 되거나, 비뚤어져 교정되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이러한 잘못된 교정이 고착되어 교정 불능 상태에 이를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으며, 교정자 자신이 이러한 교정장치를 조정할 때 치과에 내방하여 조절하기 보다는 교정자 임의대로 조정 및 교정을 할 수 있어 환자의 정확한 치료 데이터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In addition, if the orthodontist adjusts the corresponding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orthodontic state of the jaw, it is difficult to correct the orthodontic correction or the orthodontic correction phenomenon occurs. In addition,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correct treatment data of the patient since the calibrator can adjust and correct the calibrator arbitrarily, rather than adjusting it to the dentist when adjusting the calibrator itself.

아울러, 치열 상태에 따라 부정교합을 나타내는 경우가 발생 되는데 부정교합은 현대인에게 흔하게 발생 되는 현상으로서, 치과에서 말하는 부정교합(不正咬合)이란 치열(齒列)이 나쁘거나 골격적인 문제로 상하의 치아교합이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In addition, malocclusion occurs according to the dental state. Malocclusion is a phenomenon that is common to modern people. The malocclusion referred to in dentistry is bad or skeletal, and the upper and lower teeth occlusion It refers to an abnormal condition.

특히, 턱뼈가 충분히 성장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영구치의 발육이 있는 경우나, 성장기 어린이의 패스트푸드 및 단 음식의 섭취에 의해 유치가 손상되어 영구치가 자리를 잘못 잡는 경우나, 성장에 따른 얼굴형 변화가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jawbone is not sufficiently grown,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permanent tooth is developed, or when the permanent tooth is misaligned due to the damage of the tooth due to the ingestion of the fast food and sweet food of the growing child,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re is.

부정교합의 유형은 하기와 같다.The types of malocclusion are as follows.

첫째, 골격형 Ⅰ급 부정교합은 아래 어금니와 위의 어금니의 교합정도는 정상이지만 치아가 삐뚤삐뚤하게 자리 잡고 있거나 치아 사이에 약간의 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First, skeletal type I malocclusion refers to the case where the lower molar and the molar of the upper molar are normal but the teeth are twisted or there is a slight gap between the teeth.

둘째, 골격형 Ⅱ급 부정교합은 아래 어금니가 위의 어금니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부정교합을 말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위의 턱과 위의 앞니가 아래턱과 아래의 앞니보다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골격형 Ⅱ급 부정교합은 위턱이 과도하게 성장하였거나 아래턱의 성장이 부진한 경우 발생 될 수 있으며,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일어나서 발생 될 수도 있다.Second, skeletal type Ⅱ class malocclusion refers to malocclusion in which the lower molars are located behind the molars in the upper part. In this case, the upper jaw and upper incisors protrude forward from the lower jaw and lower incisors. Skeletal Class Ⅱ malocclusion may occur when the upper jaw is overgrown or the lower jaw growth is poor, and both can occur simultaneously.

셋째, 골격형 Ⅲ급 부정교합은 아래 어금니가 위의 어금니에 비해 과도하게 전방에 위치한 부정교합을 말하며, 흔히 주걱턱이라고 말한다.Thir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refers to malocclusion in which the lower molars are overly anterior to the molars in the stomach, and it is often said that they are a jawbone.

어느 경우이든 보기 싫을 뿐더러, 치아가 삐뚤어져 음식물을 씹는 능력이 떨어지고, 입 주위 근육이나 혀에도 영향을 줘 발음 이상이 생길 수 있으며, 아이들의 경우에는 손가락 빨기, 혀 내밀기 등의 나쁜 습관이 생길 수도 있다. 아울러, 치열 부정교합은 음식을 씹을 때 발생 되는 힘에 의해 두개골에 불균형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하는 원인이 되며, 이에 따라, 간헐적인 편두통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In addition to not wanting to see any case, the teeth are distorted, and the ability to chew food is reduced. It affects the muscles and tongue around the mouth and may cause pronunciation abnormalities. In children, bad habits such as finger sucking and tongue sticking may occur . In addition, dentate malocclusion causes the unbalanced pressure to be constantly applied to the skull due to the force generated when chewing the food, thus causing intermittent migraine headache.

아울러, 아래 치아와 위 치아의 고경의 문제로 인해 치열의 부정교합이 생기기도 하고, 잘못된 치과 치료에 의해서도 치열의 부정교합이 생기기도 하며, 정신적 또는 육체적인 외상으로 의한 두개골의 변형으로 인해 치열의 부정교합이 생기기도 하고, 인체의 중심축의 불균형에 의한 턱관절의 문제로 인해 치열의 부정교합이 생기기도 한다.In addition, due to the problems of the lower teeth and lower teeth, malocclusion of the teeth may occur, incorrect dental treatment may result in malocclusion of the teeth, and deformation of the skull due to mental or physical trauma Malocclusion may occur and malocclusion of the teeth may occur due to the problem of the jaw joint caused by the imbalance of the central axis of the human body.

이러한 치열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방법으로는 치아에 와이어로 된 교정장치를 부착하는 방법이 있는데, 치열의 교정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교정 후의 상태를 예상하여 교정장치를 부착하기 보다는 인위적인 가압 방법에 의해 상악치열을 앞으로 잡아당기고, 하악 치열을 후방측으로 미는 힘을 강제적으로 가하는 치열 교정장치를 사용하게 된다.A method of correcting such dental malocclusion is to attach a wire-based orthodontic device to the teeth. The orthodontic device is attached to the teeth by an artificial pressing method rather than attach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An orthodontic appliance that forcibly pulls the dentition forward and forcibly applies a force to push the mandibular dentition backward is used.

따라서 이러한 부정교합 치열 교정장치의 경우, 초기 치열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한 후, 치열 상태에 따라 점진적인 교정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 치과 의사의 판단에 따라 인위적 치열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의 경우 과도한 교정에 의한 제2의 문제점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is or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 an artificial orthodontic correc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dentist rather than the gradual correction according to the dental condition after correctly recognizing the state of the initial dent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econd problem due to excessive correction may occur.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가 있는데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치열 교정기의 제조 방법은 환자의 진단 정보를 입력 장치를 통해 데이터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입력 저장하고, 두부 방사선 규격과 수(근)골(손가락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환자의 성장방향과 잔여 성장량을 결정하며, 최종적으로 아치와이어와 스프링, 고무줄, 자석 등에 의해 치면에 가해지는 압력(힘)을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압력으로 교정치료를 하도록 아치와이어와 탄성부재 등 치열 교정기들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to convert the diagnosis information of the patient into data through an input device and store the data in a computer, ) The bone (finger bone) radiograph is used to determine the growth direction of the patient and the amount of residual growth. Finally, the pressure (force) applied to the tooth surface by the arch wire, spring, There is a way to have the orthodontists, such as arch wires and elastic members, selected for treatment.

그러나, 전술한 기술은 치열 고정기(브라켓 등)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로서, 치료 전후의 상악과 하악의 중첩 비교에 의한 치아 이동량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해결하지 못한다.However, the technique described above is a technique for manufacturing a dental fixture (such as a bracket), and does not solve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by comparing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superim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공학 분야에서 이용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3차원 스캐너를 사용하여 석고모형을 대체함으로써 좀 더 조직적이고 정확하게 치아 및 구강형태를 계측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more accurately and systematically and precisely measure the shape of teeth and oral cavity by replacing the gypsum model using a laser beam-based three-dimensional scanner used in the engineering field.

이와 같이 현재 임상적으로 응용되는 3차원 계측시스템은 단지 일정시점에서의 구강 내 형태에 대한 단순한 계측 및 분석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구강 혹은 악안면 해부학적 구조물과 치아는 시간의 경과 혹은 치료에 의해 역동적으로 변화되고 특히, 교정학 분야에서는 치료 전후에 많은 양의 치아 이동이 발생 된다. 이러한 변화량의 측정은 진단 및 치료결과의 평가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고 있다.Thus, the currently clinically applied three-dimensional measuring system is merel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morphology of the oral cavity at a certain point in time. Oral or maxillary anatomical structures and teeth are changed dynamically by the passage of time or by treatment, and especially in orthodontics, a large amount of tooth movement occurs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measurement of these change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evaluation of diagnosis and treatment outcome.

그러나, 현재의 3차원 계측시스템으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정시점에서의 계측만이 가능하며, 특히 상악이나 하악과 같은 해부학적 구조물의 변화를 3차원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준선 혹은 기준면 혹은 기준공간의 설정이 불가능함과 동시에 이러한 설정과정을 자동화하는 방법의 개발이 전무하다는 점 등이 가장 큰 장애요소로 여겨지고 있다.However, in the current three-dimensional measuring system, only the measurement at a certain point of time can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a reference line or a reference plane for measuring three-dimensional changes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such as the maxilla or mandible, And the fact that there is no way to automate this process is considered to be the biggest obstacle.

한편, 전술한 교정력 측정을 위한 방법 이외에 CAD/CAM/CAE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교정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종래의 방법은 대부분의 치아이동 해석의 단일 치아를 기본으로 하고 치아 이동량 자체의 해석을 실시함에 따라 해석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there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orthodontic force through simulation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CAD / CAM / CA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method for measuring the orthodontic force. The conventional method is based on a single tooth of most of the tooth movement analysis, The interpretation of the movement amount itself causes a problem that the analysis takes a long time.

전술한 바와 같이, 치열 상태에 따라 코골이 증상이 발생되거나 부정교합 상태에 있게 될 때,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 상기한 각 방법들이나 장치들 및 시스템 들이 채택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장치 및 방법들을 채택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초기 치열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 인식한 후 순차적 교정을 위한 데이터를 얻는 것 보다는 주로 치과 진료 과정에서 인위적 판단에 의한 교정 치료가 주를 이루고 있어,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올바르고 정확한 교정 데이터를 얻은 상태에서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할 것이고, 설사 교정 전의 데이터를 얻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치료를 진행한다 하더라도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과다한 비용이 환자의 부담으로 작용되어, 이를 유효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have been adopted and used for correcting snoring when a snoring condition occurs or is in a malocclusion state according to a dental condition, and employing such apparatuses and methods This is because the orthodontic treatment mainly consists of an artificial judgment in the dental treatment process rather than the accurate recognition and recognition of the patient's initial dental state during the procedure and obtaining the data for the sequential correction. It is extremely rare that the treatment proceeds in the state in which it is obtained, and even if the treatment is proceed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of obtaining the data before the correction, the excessive cost incurred in the treatment process acts as a burden on the patient, It has been pointed out.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2010-6504 호Korean Utility Model No. 20-2010-65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596129 호Korean Patent No. 10-59612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33386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33386 대한만국 공개특허 제 10-2011-31427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314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11050 호Korean Patent No. 10-091105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84346 호Korean Patent No. 10-0784346 국제특허(PCT) 공개번호 WO 2004/026163International Patent (PCT) Publication No. WO 2004/02616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72875 호Korean Patent No. 10-107287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여타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치열 교정을 희망하는 환자의 치열 상태를 비교적 간단한 장치에 의해 측정한 후, 치열 교정을 위한 인위적 수치에 의하여 교합 교정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교합 측정을 위한 게이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prosthesis that measures a dental state of a patient who wishes to undergo orthodontic correction by a relatively simpl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uge for occlusal measurement which enables the measurement of occlusal force.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교합 측정을 위한 게이지를 제공하여, 환자의 교정 상태를 비용 부담 없이 수시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교정 과정에서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 등의 치료시 정밀한 측정에 의한 교정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uge for relatively simple occlusal measurement, allowing the patient to be able to measure the calibration state from time to time without incurring cost, thereby enabling precise measurement during the calibration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선단부에 상하악 치열이 맞물리도록 활개 되는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이 형성되고, 윗니안착홈(131)이 형성된 윗니고정부(130)가 전방측 상면에 구비되는 측정아암(120)이 상기 임프레이션 플랫폼(110) 후단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윗니측정게이지(100)와; A measurement arm 120 having an upper surface fixing portion 130 having a top surface receiving groove 131 formed on the front side thereof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ssion platform 110, A topsheet measuring gauge 100 extending integrally to a rear end side of the platform 110;

상방이 오픈되어지되 오픈 된 상방측을 가로지르는 가이더(211)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측정아암(120)이 삽입 되도록 유도하는 측정아암삽입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측정아암삽입부(210) 전방측 저면으로 아랫니안착홈(221)을 갖는 아랫니고정부(220)가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고정웨지삽입홈(230)을 갖는 아랫니측정게이지(200)와;And a measurement arm insertion unit 210 for guiding the measurement arm 120 to be inserted into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unit 210.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unit 210 includes a measurement arm insertion unit 210 having a plurality of guiders 211, An inferior cruciate measuring gauge 200 having a lower anchor fixing portion 220 having a lower anchor receiving groove 221 on a front side bottom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laterally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230;

상기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측정아암(120)이 측정아암삽입부(210)에 삽입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웨지(300);A fixed wedge 300 detachably fitted in the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230 of the lower knee measurement gauge 200 and fixing a position where the measurement arm 120 is inserted into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 RTI >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정교합 또는 코골이 환자의 치료를 위하여 상악 및 하악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교합 교정을 희망하는 환자의 치열 상태를 비교적 간단하게 측정한 후, 교정 위치를 선정할 수 있어 환자의 교합 교정 상태를 비용 부담 없이 교정 과정에서의 정밀한 측정이 수시로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 및 코골이 환자 등의 치료시 정밀한 측정에 의한 교정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easily measure the dental state of a patient who wishes to perform orthodontic correction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 and mandible for the treatment of malocclusion or snoring, Accurate measurement in the calibr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from time to time without incurring the cost of the occlusion correction of the child and snoring patients in the growing peri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합 교정 측정을 위한 게이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서의 게이지에서, 윗니측정게이지만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의 게이지에서, 아랫니측정게이지만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고정웨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게이지를 이용하여 치료 환자의 상하악 교합 상태를 측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gauge for measuring occlusal calib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only a gauge measuring gauge in the gauge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only the lower tray measurement gauge in the gauge in Fig. 1
4 is a view showing a fixed wedge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measuring an upper and lower occlusal state of a patient to be treated using a gau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It is intende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arious changes can be made and have various forms, and terms and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understood to be either conventional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ventor can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or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 have.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코골이 환자 또는 부정교합 환자의 상하악 교합 상태를 교정하기 위한 측정 게이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surement gauge for calibrating the upper and lower occlusal state of a snoring patient or malocclusion patient,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윗니측정게이지(100)와 아랫니측정게이지(200) 및 상기 윗니측정게이지(100)와 아랫니측정게이지(200)가 결합 되어 치료 환자의 치료전 치열 상태 및 교정 후를 예상한 교정 치열 상태의 측정값 확인이 가능하도록 윗니측정게이지(1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웨지(300)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upper and lower teeth measurement gauges 100 and 200 and the upper and lower teeth measurement gauges 100 and 200, And a fixed wedge 300 for fixing the upper tooth measurement gauge 100 so that a measured value in a correcting tooth state can be confirmed.

상기 윗니측정게이지(100)는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치료 환자의 구강내로 진입하여 환자의 상하악 치열에 맞물리도록 고안되어져 활개 되는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의 후방측으로 일체화되어 연장되는 측정아암(120)이 형성된다.2, the upper and lower teeth measuring gauges 100 form an implantation platform 110 which is designed to enter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patient, The measurement arm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extend.

한편 상기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으로는 등간격 이격 되는 다수의 그립퍼홀(111)이 천공되도록 하였다.Meanwhile, the impression platform 110 has a plurality of gripper holes 111 spaced equidistantly from each other.

이와 같은 그립퍼홀(111)의 경우 통상적 치열 상태 즉, 상악과 하악이 서로 맞물릴때 치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gripper hole 111, it is possible to fix the teeth so that they do not move when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아울러 치열 상태를 측정할 때에는 상기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의 외주면으로 왁스를 형성하여 치열 상태의 본이 떠 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그립퍼홀(111)은 전술한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이 움지이지 못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왁스가 견고하게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measuring the dental state, wax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mpaction platform 110 so that a bone of the dental state can be made to float. The gripper hole 111 is the above- And at the same time the wax is firmly fix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impaction platform 110.

또한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의 중앙 후방측으로는 일체로 연장되는 측정아암(120)을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측정아암(120)의 전방측 상면으로는 윗니가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윗니안착홈(131)이 형성된 윗니고정부(130)가 구성된다.The measuring arm 120 is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rear side of the impaction platform 110. The measurement arm 120 has an upper side seating groove 131 for seating the upper teeth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measurement arm 120, The upper-level fixing part 130 is formed.

또한 상기 윗니고정부(130)의 골 앞쪽 표면으 정준선을 표시하여 교정 환자의 바이트 채득시 중앙 지점 가이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ark the level lin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ne of the upper teeth fixing part 130 so as to be a center point guide when the bite of the patient to be corrected is obtained.

한편 상기 아랫니측정게이지(200)는, 도 4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측정아암(120)이 삽입되며 가이드 되도록 하는 측정아암삽입부(210)가 이루어지는데, 상기 측정아암삽입부(210)의 상방측은 개방되도록 하여, 측정아암(120)의 삽입 위치 파악이 육안으로 가능하도록 하였다.4, the lower arm measurement gauge 200 includes a measurement arm insertion unit 210 for inserting and guiding the measurement arm 120. The upper side of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unit 210 is opened So that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measuring arm 120 can be grasped visually.

아울러 상기 측정아암(120)의 삽입 위치를 수치화 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아암삽입부(210)의 표면으로 눈금표시가 표현되도록 하여 측정아암(120)의 단부측이 가르키는 위치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digitize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measurement arm 120, a scale indication i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unit 210 so that the measurement of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end side of the measurement arm 120 can be perform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측정아암(120)이 측정아암삽입부(210)측으로 삽입되어질 때, 측정아암(120)의 원할한 삽입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측정아암삽입부(210)의 오픈 된 상방측을 가로지르는 가이더(211)를 복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section 210 is provided with a measurement arm insertion section 210 and a measurement arm insertion section 210.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section 210 is provided with a measurement arm insertion section 210,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guiders 211 are formed.

아울러 상기 측정아암삽입부(210) 전방측의 저면으로는 환자의 아랫니를 고정하기 위한 아랫니고정부(220)를 형성하게 되는데, 아랫니고정부(220)에는 전술한 윗니고정부(130)와 마찬가지로 아랫니안착홈(221)을 형성하게 된다.The lower knee fixing part 220 for fixing the lower knee of the patien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art 210. The lower knee fixing part 220 is provided with the lower knee fixing part 130, Thereby forming the lower seat receiving groove 221.

한편, 상기 측정아암삽입부(210)의 측방향으로는 후술하게 되는 고정웨지(300)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고정웨지삽입홈(230)을 형성한다.Meanwhi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a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230 for guiding the fixed wedge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이와 같이, 윗니측정게이지(100)의 측정아암(120)은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측정아암삽입부(210)측으로 삽입된 후, 치료 환자의 치열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윗니측정게이지(100)의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을 구강내로 진입시킨 후 자연스럽게 상악 및 하악이 맞물리며 닫혀지도록 하되, 상악의 윗니는 상기한 윗니고정부(130)의 윗니안착홈(131)에 끼워지며 안착 되도록 한 후, 하악의 아랫니는 상기한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아랫니고정부(220)에 형성된 아랫니안착홈(221)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The measurement arm 120 of the upper teeth measurement gauge 100 is inserted into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side of the lower teeth measurement gauge 200 and is then inserted into the upper arm measurement gauge 100 to measure the dental state of the treatment patien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jaws of the upper and lower jaws 130 are fitted into the upper and lower receiving grooves 131 of the upper jaw fixing part 130, The lower jaw of the lower jaw is fixed to the lower jaw receiving groove 221 formed in the lower jaw fixing part 220 of the lower jaw measuring gauge 200.

이와 같이 비교적 환자가 자연스럽게 입을 다물었을 때의 상악과 하악의 치열 상태를 반영하게 되며, 측정아암(120)의 단부측이 가르키는 수치 즉 측정아암삽입부(210)의 표면에 표시되는 눈금표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entition of the upper and lower mandibular nerves when the patient naturally closes the mouth is reflected, and a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the end side of the measurement arm 120, that is, a graduation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It may be visible to the naked eye.

한편 상기 고정웨지(300)는 상기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측정아암(120)이 측정아암삽입부(210)에 삽입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으로 푸시판(310)을 이루고, 상기 푸시판(310) 후면으로 삽입부(320)가 구성된다.Meanwhile, the fixed wedge 300 is detachably fitted in the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230 of the lower knee measurement gauge 200, and the position where the measurement arm 120 is inserted into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is fixed A push plate 31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an insertion portion 32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ush plate 310.

이와 같은 고정웨지(300)는 윗니측정게이지(100)의 측정아암(120)이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측정아암삽입부(210)에서 환자 치열의 상태를 측정한 후 그 측정된 위치를 고정하여, 변위 없이 정확한 위치값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측정아암(12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fixed wedge 3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easurement arm 120 of the upper teeth measurement gauge 100 measures the state of the patient's teeth at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of the lower teeth measurement gauge 200, So as to fix the measuring arm 120 so that accurate positional values can be confirmed without displacement.

또한 상기 고정웨지(300)의 삽입부(320)의 상하면으로 돌부(321)가 형성되도록 하여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삽입부(320)가 삽입되어질 때 돌부(321)가 고정웨지삽입홈(230)에서 고정웨지(300)의 유동성을 방지하고 쉽게 빠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rusion 321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sertion portion 320 of the fixed wedge 300. When the insertion portion 320 is inserted into the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230 of the lower teeth measurement gauge 200, 321 to prevent the fluidity of the fixed wedge 300 in the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230 and to be able to completely block the falling or dropping of the fixed wedge 300.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고정웨지(300)의 삽입부(320)는 푸시판(310)으로부터 점진적으로 테이퍼지며 얇아지도록 구성하여,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삽입되어지며 측정아암(120) 하부로 끼워질 때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ertion portion 320 of the fixed wedg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gradually taper and thinner from the push plate 310 to be inserted into the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23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is facilitated while being inserted, but is not easily releas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료 환자의 상하악 교합 상태를 교정하기 위해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measure the upper and lower occlusal states of a patient to be corrected.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료 대상 환자의 상하악 교합 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은 두 과정에 걸쳐 진행되는데, 첫번째의 과정은 치료 대상 환자의 상하악 교합 상태를 그대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두번째의 과정은 치료 대상 환자의 상악 및 하악 중 교정하고자 하는 위치로 인위적으로 하악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측정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process of measuring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occlusal state of a patient to be treated is performed through two processes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ocess is to measure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occlusion state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s to the position to be corrected and then to the mandibular position.

먼저 치료 대상 환자의 상하악 교합을 현존 그대로 측정하기 위해, 아랫니측정게이지(200)와 윗니측정게이지(100)가 결합 된 상태에서 윗니측정게이지(100)의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을 치료 대상 환자의 구강내로 진입시킨 후 윗니를 윗니고정부(130)의 윗니안착홈(131)에 끼워지도록 한다.The upper and lower teeth measuring gauge 200 and the upper and lower teeth measuring gauges 100 are coupled to the impression platform 110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measuring gauges 100, And then the upper teeth are inserted into the upper bearing seat 131 of the upper tooth fixing part 130. [

그런 다음, 아랫니측정게이지(200)를 전후로 움직여 치료 대상 환자의 아랫니가 아랫니고정부(2200의 아랫니안착홈(221)에 끼워지도록 한다.Then, the lower ratchet measuring gauge 200 is moved back and forth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is inserted into the lower ratchet receiving groove 221 of the lower portion fixing portion 2200.

이와 같은 상태는 치료 대상 환자가 자연스럽게 상악과 하악을 다문 상태이며, 치료 대상 환자의 현 상태를 가장 잘 측정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측정아암(120)의 끝단부가 가리키는 측정아암삽입부(210) 표면의 눈금을 확인한다.In this state, the patient to be treated naturally passes through the maxilla and mandible and can best measure the current state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In this state,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 Check the scale of the surface.

한편 상기와 같이 현재의 치료 대상 환자 치열 상태를 측정한 후에는, 교정하고자 하는 교정 위치로 하악을 인위적으로 턱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위치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measuring the current patient's dental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mandible is artificially positio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jaw joint is unobtrusive to the calibration position to be corrected.

즉,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서 특히 전술한 부정교합의 유형에 따라 상악 또는 하악을 내밀어 그 상태를 유지하며 교정하고자 하는 경우 치료 대상 환자의 턱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환자 자신이 턱 관절을 이용하여 상악 또는 하악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여 교정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treat malocclusion, in particular, when the user attempts to maintain and maintain the state of the maxilla or mandible according to the type of malocclusion described above, To move the maxilla or mandible forward or backward to set the calibration position.

상기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의 외면으로는 치료 대상 환자의 치열을 본 뜨기 위하여 왁스 등의 물질을 감싼 상태에서, 치료 대상 환자의 구강내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platform 110, it is preferable to enter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while wrapping a substance such as wax in order to see the dentition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이때, 상기 아랫니측정게이지(200)는 치료 대상 환자가 상악 및 하악을 움직일 때 이와 연동하여 전후로 움직이게 되고, 치료 대상 환자가 교정 위치를 설정하게 되면, 아랫니측정게이지(200)와 윗니측정게이지(100)를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한 고정웨지(300)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tattoo measurement gauge 200 moves back and forth in conjunction with the upper and lower mandibular movements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When the patient to be treated sets the correction position, the lower tattoo measurement gauge 200 and the upper / ) Is fixed using the fixed wedge (300) so as not to move further.

즉, 상기 고정웨지(300)는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측면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웨지삽입홈(230)에 강제로 끼워 아랫니측정게이지(200)와 윗니측정게이지(10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xed wedge 300 is forcibly fitted into the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230 formed on the side of the underleath measurement gauge 200 to fix the underleath measurement gauge 200 and the upper and lower tooth measurement gauge 100 .

고정웨지(3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윗니측정게이지(100)의 측정아암(120)과 측정아암삽입부(210)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측정아암(12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며 가이더(211)의 하면측으로 측정아암(120)이 가압되며 고정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고정웨지(300)의 삽입부(320)는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삽입된 후, 삽입부(320)의 외면으로 돌출된 돌부(321)에 의해 고정웨지삽입홈(230)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고정웨지(300)가 쉽게 고정웨지삽입홈(23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빠지지 않게 된다.The fixed wedge 300 is sandwiched between the measurement arm 120 and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of the upper level measurement gauge 100 to lift the measurement arm 120 upward, The insertion portion 320 of the fixed wedge 300 is inserted into the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230 and then the insertion portion 320 of the insertion portion 320 is inserted into the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230. [ The fixing wedge 300 is easily coupled to the fixing wedge insertion groove 230 by the projecting protrusion 321 so that the fixing wedge 30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or removed from the fixing wedge insertion groove 230.

이와 같이, 고정웨지(300)에 의해 윗니측정게이지(100)와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고정이 이루어지면, 측정아암(120)의 단부가 가리키는 측정아암삽입부(210) 표면의 눈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pper and lower teeth measurement gauges 100 and 200 are fixed by the fixed wedge 300 as described above, the scale of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indicated by the end of the measurement arm 120 is checked .

따라서, 치료 대상 환자의 초기 상태 즉 치료 전의 상하악 교합 상태를 확인 한 후 치료 가능한 범위내에서의 교정 범위를 정하여 본 발명을 이용하여 측정한 다음, 치료 대상 환자의 교정 범위내에서 측정된 상악 및 하악의 본을 뜬 후 치료용 상하악 가드를 포함하는 치료툴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fter confirming the initial state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that is, the upper and lower occlusal state before treatment, the correction range within the therapeutic range is determined and measur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eatment tool including a therapeutic upper and lower guard after the mandible is open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of its equivalents or equival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윗니측정게이지 110; 임프레이션 플렛폼
111; 그립퍼홀 120; 측정아암
130; 윗니고정부 131; 윗니안착홈
200; 아랫니측정게이지 210; 측정아암삽입부
211; 가이더 220; 아랫니고정부
221; 아랫니안착홈 230; 고정웨지삽입홈
300; 고정웨지 310; 푸시판
320; 삽입부 321; 돌부
100; Upper teeth measuring gauge 110; Implication platform
111; Gripper holes 120; Measuring arm
130; Upper teeth fixing portion 131; Upper floor seating groove
200; An inferior measurement gauge 210;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1; Guider 220; Ratnagiri Government
221; An abutment seat 230;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300; Fixed wedge 310; Push plate
320; An insertion portion 321; Protrusion

Claims (5)

선단부에 상하악 치열이 맞물리도록 활개 되는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이 형성되고 윗니안착홈(131)이 형성된 윗니고정부(130)가 전방측 상면에 구비되는 측정아암(120)이 상기 임프레이션 플렛폼(110) 후단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윗니측정게이지(100)와; 상방이 오픈된 상방측을 가로지르는 가이더(211)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측정아암(120)이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측정아암삽입부(210) 전방측 저면으로 아랫니안착홈(221)이 형성된 아랫니고정부(220)를 구성하는 아랫니측정게이지(200)와; 상기 윗니측정게이지(100)와 아랫니측정게이지(200)를 고정하게 되는 고정수단을 갖는 교합 측정용 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아랫니측정게이지(200) 측방향으로 고정웨지삽입홈(23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측정아암(120)이 측정아암삽입부(210)에 삽입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면에 각각 돌부(321)가 형성된 삽입부(320)가 푸시판(310) 후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테이퍼지며 얇아지도록 구성되는 고정웨지(300)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교합 측정용 게이지.
A measurement arm 120 having an upper surface fixing surface 130 form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with an impression platform 110 formed to be engaged with an upper and lower dentition teeth at a distal end thereof, (100) extending integrally to a rear end side of the upper body (110); A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for guiding the measurement arm 120 to be inserted therei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uiders 211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200) which constitutes the lower portion measurement gauge (220); The gauge for occlusal measurement having fixing means for fix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measurement gauges (100, 200)
A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230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latitude measurement gauge 200,
The fixing means is detachably fitted in the fixed wedge insertion groove 230 and is for fixing the position where the measurement arm 120 is inserted into the measurement arm insertion portion 210. Each of the projections 321 And forming a fixed wedge (300) configured such that the formed insert (320) progressively tapers and becomes thinner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push plate (3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49438A 2015-10-27 2015-10-27 Gauges for measuring occlusion KR101720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438A KR101720640B1 (en) 2015-10-27 2015-10-27 Gauges for measuring occlu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438A KR101720640B1 (en) 2015-10-27 2015-10-27 Gauges for measuring occlu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640B1 true KR101720640B1 (en) 2017-03-28

Family

ID=5849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438A KR101720640B1 (en) 2015-10-27 2015-10-27 Gauges for measuring occlu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64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37928A1 (en) * 2017-04-06 2018-10-06 Cizeta Surgical S R L DEVELOPMENT AND MEASUREMENT APPARATUS AND DETECTION METHOD TO DETECT A MODIFIED POSITION FOR THE ADVANCEMENT OF THE MANDIBLE
KR102201769B1 (en) * 2020-01-14 2021-01-11 우승현 Prosthesis For Obtaining Tooth Balance Information
WO2022139381A1 (en)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Mandible protrusion length measurement tool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4609A (en) * 1991-07-16 1992-10-13 George Peter T Instrument for registration of the dental bite
WO2004026163A1 (en) 2002-09-20 2004-04-01 Ortho-Tain, Inc. Dental appliances for treating malocclusions
KR100596129B1 (en) 2004-08-02 2006-07-03 황청풍 Snore and sleep apnear preventing device
KR100784346B1 (en) 2007-07-26 2007-12-13 박균섭 Mouthpiece for correcting unconformity of row of teeth, device for correcting unconformity of row of teeth using the mouthpie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device
KR100911050B1 (en) 2008-09-22 2009-08-06 박균섭 A producing method for correcting device for unconformity of row of teeth and correcting device for unconformity of row of teeth produced by the producing method
KR20100006504U (en) 2008-12-17 2010-06-25 조영철 Snoring helper
KR20110031427A (en) 2008-05-21 2011-03-28 스튜어트 컬른 Device for the alleviation of snoring and sleep apnoea
KR101072875B1 (en) 2009-03-03 2011-10-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n orthodontic bracket with a magnetic slot
US8123521B1 (en) * 2011-02-24 2012-02-28 Erkodent Erich Kopp Gmbh Device for the registration of the position of a protruding mandible
KR20120033386A (en) 2010-09-30 2012-04-09 조아라 Snore preventing and temporomandibular joint adjusting device
WO2012108566A1 (en) * 2011-02-10 2012-08-16 Lee Junsik Matthew Apparatus for detec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mandible bone
JP2012528698A (en) * 2009-06-05 2012-11-15 ゼットエスティ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Orthosis and method for mandibular protrusion related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4609A (en) * 1991-07-16 1992-10-13 George Peter T Instrument for registration of the dental bite
WO2004026163A1 (en) 2002-09-20 2004-04-01 Ortho-Tain, Inc. Dental appliances for treating malocclusions
KR100596129B1 (en) 2004-08-02 2006-07-03 황청풍 Snore and sleep apnear preventing device
KR100784346B1 (en) 2007-07-26 2007-12-13 박균섭 Mouthpiece for correcting unconformity of row of teeth, device for correcting unconformity of row of teeth using the mouthpie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device
KR20110031427A (en) 2008-05-21 2011-03-28 스튜어트 컬른 Device for the alleviation of snoring and sleep apnoea
KR100911050B1 (en) 2008-09-22 2009-08-06 박균섭 A producing method for correcting device for unconformity of row of teeth and correcting device for unconformity of row of teeth produced by the producing method
KR20100006504U (en) 2008-12-17 2010-06-25 조영철 Snoring helper
KR101072875B1 (en) 2009-03-03 2011-10-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n orthodontic bracket with a magnetic slot
JP2012528698A (en) * 2009-06-05 2012-11-15 ゼットエスティ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Orthosis and method for mandibular protrusion related applications
KR20120033386A (en) 2010-09-30 2012-04-09 조아라 Snore preventing and temporomandibular joint adjusting device
WO2012108566A1 (en) * 2011-02-10 2012-08-16 Lee Junsik Matthew Apparatus for detec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mandible bone
US8123521B1 (en) * 2011-02-24 2012-02-28 Erkodent Erich Kopp Gmbh Device for the registration of the position of a protruding mandib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37928A1 (en) * 2017-04-06 2018-10-06 Cizeta Surgical S R L DEVELOPMENT AND MEASUREMENT APPARATUS AND DETECTION METHOD TO DETECT A MODIFIED POSITION FOR THE ADVANCEMENT OF THE MANDIBLE
KR102201769B1 (en) * 2020-01-14 2021-01-11 우승현 Prosthesis For Obtaining Tooth Balance Information
WO2022139381A1 (en)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Mandible protrusion length measurement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5395A1 (en)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airway development therapy
US20210153981A1 (en)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therapy
US5562106A (en) Dental appliance for relief of sno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384096B2 (en) Occlusal correction system, corrected camper plane acquisition device, and occlusal correction tool
KR102162586B1 (en) Oral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class Ⅲ problems of mandibular proganthism
JP5758396B2 (en) Adjustable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to prevent epilepsy and sleep apnea
US20220019192A1 (en) Computer aided design matrix for the manufacture of dental devices
US7661955B2 (en) Dental appliance
JP4936061B2 (en) Intraor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90813B1 (en) Replaceable clip typ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KR101710840B1 (en) Self-adjustable jaw joint calibration devices for snoring, sleep apnea treatment
RU2607170C2 (en) Tooth accessory to hold tongue
US973083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al tray for stabilizing jaw joint relationship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KR101720640B1 (en) Gauges for measuring occlusion
JP7182792B2 (en) Dental instruments for sleep apnea, snoring, and tongue and oral cavity reconstruction
CN215458810U (en) Dentition correcting tooth socket
Ahila et al. Evaluation of the correlation of ramus height, gonial angle, and dental height with different facial forms in individuals with deep bite disorders
RU117803U1 (en) INNEROROTHIC THERAPEUTIC APPARATUS OF LUGAN
RU2565842C1 (en) Individual trainer monoblock for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KR101954017B1 (en) The mouth cavity impression material tray width adjustment device
Yildiz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s (MAD) in the Therapy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RU2491041C1 (en) Intraoral therapeutic apparatus by luganskiy
US20220160532A1 (en) Orthodontic/orthopaedic device and method
Showkat et al. Evaluation of changes in maxillary arch dimensions, Posterior Transverse Inter Arch Discrepancy (PTID),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adeno/tonsillectomy: A quasi experimental study
Arifianti et al. MANAGEMENT OF REMOVABLE DENTURES WITH FEW REMAINING TEE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