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190B1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190B1
KR101720190B1 KR1020100109254A KR20100109254A KR101720190B1 KR 101720190 B1 KR101720190 B1 KR 101720190B1 KR 1020100109254 A KR1020100109254 A KR 1020100109254A KR 20100109254 A KR20100109254 A KR 20100109254A KR 101720190 B1 KR101720190 B1 KR 101720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digital
digital photographing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595A (ko
Inventor
진성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190B1/ko
Priority to US13/236,930 priority patent/US8890938B2/en
Publication of KR2012004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6Calibration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5Image signal generators from 3D object models, e.g. computer-generated stereoscopic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6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한 제1 이미지와, 피사체를 촬영한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전송된 제2 이미지를 기초로 3D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별도의 센서 및 하드웨어의 추가 없이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와, 3D 이미지 생성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3D 입체 영화를 비롯한 3D 콘텐츠의 보급 확대와 이를 재생 가능한 가정용 3D TV와 프로젝터 등 하드웨어 보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3D 콘텐츠와 이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예전에 비하여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3D 이미지와 영상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자연스럽게 3D 콘텐츠를 사용자 스스로 제작할 수 있는 기기로서,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디지털 촬영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2 대의 장치로부터 얻어진 영상 데이터와 촬영 위치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데이터 교환하여 3D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와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는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한 제1 이미지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전송된 제2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셔터와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셔터는 동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와 동일한 시각에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셔터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셔터 동기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전송하는 촬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이미지와 함께 기록하는 촬영 위치 기록부;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 이미지에 기록된 제2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상대적 위치와 상기 전송된 제2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보정부;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3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3D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 각각의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및 촬영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 동기화 신호는 상기 GPS 모듈의 UTC(Universal Time Coordinate)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영역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생성한 3D 이미지를 side-by-side, top-down, frame-by-frame, line-by-line 또는 checkerboard 포맷들 중 하나의 3D 이미지 포맷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모듈은 Wi-Fi 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촬영을 제어하고,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와 동일한 시각에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셔터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셔터 동기화 신호를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전송하는 촬영 제어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제1 이미지에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1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촬영 위치 기록부;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 이미지에 기록된 제2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상대적 위치와 상기 전송된 제2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보정부;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3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3D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 각각의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및 촬영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제2 디지털 촬영 장치 각각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지털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전송받아,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기초로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생성된 셔터 동기화 신호를 상기 제2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셔터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디지털 촬영 장치의 셔터를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의 셔터와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이미지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지털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제2 이미지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송받은 제2 디지털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상대적 위치와 상기 전송된 제2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3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 각각의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및 촬영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영역을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생성한 3D 이미지를 side-by-side, top-down, frame-by-frame, line-by-line 또는 checkerboard 포맷들 중 하나의 3D 이미지 포맷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셔터 동기화 신호는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제2 디지털 촬영 장치의 GPS 모듈의 UTC(Universal Time Coordinate)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 제2 디지털 촬영 장치는 Wi-Fi 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중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별도의 센서 및 하드웨어의 추가 없이, 다른 촬영 장치로부터 얻어진 영상 데이터와 촬영 위치를 전송받아 3D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 간의 셔터를 동기화시킴으로써 각각의 이미지 촬영 시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촬영 시간차에 의한 좌우 이미지의 부정확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2 렌즈/2 센서를 이용한 3D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를 나타낸 상세 블록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2 렌즈 및 2 센서를 이용한 3D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2 렌즈 및 2 센서를 갖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사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단계 1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온 시키고, 단계 2에서, 3D 촬영 모드로 진입한다. 단계 3에서, 렌즈 1 및 센서 1의 촬영 준비를 하고, 단계 5에서, 렌즈 2 및 센서 2의 촬영 준비를 한다. 단계 4 및 6에서, 동일 피사체에 대해, 좌측 이미지를 촬영하고, 우측 이미지를 촬영한다. 단계 7에서, 좌측 이미지와 우측 이미지를 합성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한다.
하지만, 상기 2 렌즈 및 2 센서 방식의 경우, 2 개의 경통 및 센서의 사용으로 인하여 장치의 부피가 증가하고 디자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2개의 영상 처리 시스템 구동을 위한 소비 전류 및 인터페이스 문제 등으로 인해, 실제 제품화에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1개의 렌즈나 1개의 센서를 통해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1개의 렌즈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만드는 경우, 좌우 이미지를 동시에 바라볼 수 없게 된다. 즉, 좌/우 이미지 중 하나는,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가상의 이미지일 수밖에 없으며, 알고리즘을 통한 후보정의 경우, 시야각 내의 데이터 외의 정보는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완벽한 좌우 이미지를 만들 수 없게 되고, 이는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는 경우 어지러움을 일으키기도 하고 3D 화면 같지 않은 느낌을 가지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1개의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좌우 이미지의 촬영 시점에 시간적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이미지 센서가 좌우에서 들어오는 빛을 동시에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촬영시의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나, 피사체가 움직이고 있는 경우 정상적인 3D 이미지를 만들 수 없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를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디스플레이 구동부(162), 디스플레이부(160),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 및 조작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부로 지칭할 수 있다.
렌즈부(110)(lens unit)는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렌즈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줌 렌즈 및 피사체 렌즈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리개(112)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부 구동부(111) 및 조리개 구동부(11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각각 렌즈(110) 및 조리개(112)를 구동한다. 렌즈부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 구동부(113)는 조리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f 넘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렌즈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15)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는 가리개의 이동하여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15)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5)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조작부(17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7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7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시각적인 정보 및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부(162)는 디스플레이부(16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GPS 모듈(140)은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도, 경도, 고도, 속도 및 시간을 측정한다. 여기서, GPS 데이터는 상세 위성궤도정보(Ephemeris), 간략 위성궤도정보(Almanac) 및 시간(Time)을 포함한다. 상세 위성궤도정보(Ephemeris)는 각 GPS 위성의 시간별 공전 궤도정보로, 이전 및 현재 궤도 정보를 물론이고, 미래 궤도 예상치까지 포함한다. 간략 위성궤도정보(Almanac)는 상세 위성궤도정보(Ephemeris)의 간략한 형태로, 모든 GPS 위성의 대략적인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부(150)는 외부의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미 도시)와 근거리 통신을 한다. 통신부(17)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제어에 따라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로서,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 UWB(Ultra-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미 도시)와의 통신은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압축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 구동부(113),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6)에 제공하고, 셔터, 플래시 등 디지털 카메라(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를 나타낸 상세 블록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촬영 제어부(210), 촬영 위치 기록부(220), 이미지 보정부(230) 및 3D 이미지 생성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한다. 3D 이미지 생성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하나의 이미지와 다른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소정의 통신망, 예를 들면 WiFi를 통해 전송받아 2장의 이미지를 통해 3D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2대의 촬영 장치를 통해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3D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위치(410 및 420)에서, 동시에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여야 한다. 위치(410)에서 촬영한 사진은 일반적인 촬영으로 생성 가능하므로, 동일한 시각에 위치(420)에서 촬영된 사진을 만들 수 있다면 3D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여기서, 위치(410)에서 제1 촬영 장치로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고, 위치(430)에서 제2 촬영 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 폰, 휴대폰 등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다. 이상적인 3D 이미지 생성을 위해서는 위치(410 및 420)에서 각각 피사체(400)를 바라본 좌우 이미지를 생성하여야만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위치(410 및 420)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위치(410 및 430)에서 각각 촬영된 좌우 이미지와, 위치(410 및 430)의 상대적인 위치와 촬영 방향을 통해 피사체의 위치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위치(420)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만든다. 여기서, 위치(41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위치(42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경우, 위치(420)에서의 제1 촬영 장치의 렌즈가 바라보지 못하는 사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위치(430)에서의 제2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이미지와 촬영 장치들간의 상대적 위치를 이용해 사각에 대한 보정을 하여, 위치(420)에서 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위치(420)에서의 이미지로의 보정 및 3D 이미지 생성은 제1 촬영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촬영 장치에서는 위치(430)에서 촬영된 이미지 및 위치 정보만을 보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후, PC 등에 백업한 후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위치(410)에서의 제1 촬영 장치와 위치(420)의 촬영 영역을 맞추어 줌으로써 촬영 영역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촬영시 데이터 교환을 통해 격자 등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해주면, 제1 촬영 장치와 제2 촬영 장치 간의 촬영 영역을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저장시에는 좌/우 이미지의 외곽 사이즈/영상을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외곽 잘라내기 또는 리사이즈를 한 후 정해진 방식에 의해 3D 이미지 형식으로 저장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촬영 제어부(210)는 도 4에 도시된 제2 촬영 장치와 동일한 시각에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셔터 동기화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셔터 동기화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제2 촬영 장치에 전송한다. 여기서, 셔터 동기화 신호는 제1 촬영 장치와 제2 촬영 장치 간의 촬영 시간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제1 촬영 장치의 셔터를 누른 시점에 셔터 동기화 신호가 제2 촬영 장치에 전송되어 제1 촬영 장치와 제2 촬영 장치의 셔터가 동기화되어 촬영된다. 여기서, 셔터 동기화 신호는 사용자로부터 제1 촬영 장치의 셔터가 눌러진 시점이며, 이때 셔터 동기화 신호는 내부의 시스템 클럭 또는 GPS 모듈의 UTC(Universal Time Coordinate)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으며, 1/1000초 정도의 짧은 시간으로 동기화된다. 또한, 제2 촬영 장치로의 셔터 동기화 신호 전송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제1 촬영 장치의 셔터를 누른 시점에 제2 촬영 장치에 셔터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일정 시간 후 제1 촬영 장치의 셔터를 개방하여 촬영을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1 촬영 장치의 셔터만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촬영 장치의 셔터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촬영 위치 기록부(220)는 피사체를 촬영한 위치 정보를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기록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디지털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한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및 촬영 방향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촬영 장치 또는 보조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에는 제2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가 함께 기록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촬영한 이미지의 EXIF에 기록될 수 있으며, 별도의 메타 데이터로서 기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 또는 제1 촬영 장치의 구성 요소로서 촬영 위치 기록부(220)를 설명하였지만, 동일하게 촬영 위치 기록부는 제2 촬영 장치에 구비되어, 제2 촬영 장치가 피사체를 촬영한 위치 정보를 촬영 이미지와 함께 기록한다.
이미지 보정부(230)는 제2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 이미지에 기록된 위치 정보와 제1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대적 위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된 상대적 위치와 전송된 제2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3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대적 위치는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의 촬영 지점,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410 및 430) 정보에 기반한 상대적 위치이다. 상대적 위치는 GPS와 6축 센서, 거리 센서와 6축 센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획득 가능하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1 촬영 장치의 위치(X1, X2)와, 전송받은 제2 촬영 장치의 위치(X2, Y2)를 통해 피사체의 위치(X,Y)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위치(420)에서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이미지 보정부(230)는 전송받은 제2 이미지를 위치(420)에서 촬영한 이미지로 변환한다.
3D 이미지 생성부(240)는 제1 이미지와 제3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한다. 3D 이미지는 동일 시점에 생성된 두 개의 이미지와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먼저, 메인이 되는 좌 또는 우 이미지를 선정하고, 상대적인 위치와 이미지를 기반으로 맞은 편 시야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또한, 생성한 3D 이미지는 side-by-side, top-down, frame-by-frame, line-by-line 또는 checkerboard 포맷들 중 하나의 3D 이미지 포맷으로 저장한다. 또한, 3D 이미지의 생성 및 저장은 제1 촬영 장치 또는 메인 촬영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촬영 장치 또는 보조 촬영 장치로부터 메인 촬영 장치와 동일 시점에 촬영한 이미지와 해당 위치 정보만을 수신한 후, 이미지 보정 및 3D 이미지 생성은 다른 장치, 예를 들면 PC로 백업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3D 이미지 촬영 모드가 선택된다. 단계 502에서, 제1 촬영 장치와 제2 촬영 장치의 셔터를 동기화한다. 여기서, 제1 촬영 장치는 메인 촬영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이고, 제2 촬영 장치는 보조 촬영 장치로서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그리고 셔터 동기화는 각각의 촬영 장치의 촬영 시각을 일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촬영 장치가 셔터 동기화 신호를 제2 촬영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단계 504에서, 각각의 촬영 장치에서 동일한 피사체를 동일한 시각에 촬영한다. 단계 506에서, 각각 촬영한 이미지에 각각의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 예를 들면 위도, 경도, 고도, 촬영 방향 등의 위치 정보를 기록한다. 단계 508에서, 제2 촬영 장치가 촬영한 이미지를 제1 촬영 장치에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된 이미지에는 피사체를 촬영한 제2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510에서, 제2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촬영 장치와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고, 상대적 위치와 제2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보정한 후, 제1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보정된 이미지를 합성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촬영 장치(600)와 제2 촬영 장치(610)가 3D 모드를 선택한다. 제1 촬영 장치(600)에서 셔터 동기화 신호를 제2 촬영 장치(610)에 전송한다. 셔터 동기화 신호는 제1 촬영 장치(600)의 셔터가 눌러진 시점에 생성되어, 제2 촬영 장치(610)에 전송되고, 이에 따라 제2 촬영 장치(610)의 셔터가 제1 촬영 장치(600)의 셔터와 동기화된다. 여기서, 셔터 동기화 신호는 GPS 모듈의 UTC에 따라 생성된 클럭 신호일 수 있다.
각각의 촬영 장치에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고, 각각의 촬영 장치에서 각각의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각각 생성한다. 제2 촬영 장치(610)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제2 이미지를 제1 촬영 장치(600)에 전송한다.
제1 촬영 장치(600)는 메인 이미지를 선정한다. 여기서, 메인 이미지는 좌 또는 우 이미지 중 선택할 수 있으며, 제1 촬영 장치(600) 또는 제2 촬영 장치(610)에서 촬영한 이미지들 중 선택할 수 있다. 제1 촬영 장치(600)는 제2 촬영 장치(610)에서 전송된 위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촬영 장치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계산하고, 상대적 위치 정보와 제1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2 촬영 장치에서 전송된 제2 이미지를 보정하여 나머지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는 제1 이미지를 메인 이미지로 선택하고, 제2 이미지를 보정하는 경우이다.
제1 촬영 장치(600)는 메인 이미지와 생성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3D 이미지 형식으로 재구성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생성한 3D 이미지를 side-by-side, top-down, frame-by-frame, line-by-line 또는 checkerboard 포맷들 중 하나의 3D 이미지 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촬영 장치에서 이미지 보정 및 3D 이미지 생성 및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과정은 PC 등으로 백업되어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촬영 장치(600)와 제2 촬영 장치(610) 간의 통신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Wi-Fi 또는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 디지털 카메라
110 : 렌즈부
200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10: 촬영 제어부
220: 촬영 위치 기록부
230: 이미지 보정부
240: 3D 이미지 생성부

Claims (20)

  1.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한 제1 이미지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전송된 제2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와 동일한 시각에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셔터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셔터 동기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전송하는 촬영 제어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1 이미지의 EXIF 또는 메타데이터에 기록하는 촬영 위치 기록부;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 이미지의 EXIF 또는 메타데이터 기록된 제2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2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상대적 위치와 상기 전송된 제2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보정부;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3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3D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 각각의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및 촬영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 동기화 신호는,
    상기 GPS 모듈의 UTC(Universal Time Coordinate)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영역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생성한 3D 이미지를 side-by-side, top-down, frame-by-frame, line-by-line 또는 checkerboard 포맷들 중 하나의 3D 이미지 포맷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0. 삭제
  11.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촬영을 제어하고,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와 동일한 시각에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셔터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셔터 동기화 신호를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전송하는 촬영 제어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제1 이미지의 EXIF 또는 메타데이터에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1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촬영 위치 기록부;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 이미지의 EXIF 또는 메타데이터에 기록된 제2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2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상대적 위치와 상기 전송된 제2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보정부;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3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3D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지털 촬영 장치 각각의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및 촬영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3. 제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제2 디지털 촬영 장치 각각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지털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전송받아,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기초로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생성된 셔터 동기화 신호를 상기 제2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셔터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디지털 촬영 장치의 셔터를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의 셔터와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이미지의 EXIF 또는 메타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지털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제2 이미지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송받은 제2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2 이미지의 EXIF 또는 메타데이터에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상대적 위치와 상기 전송된 제2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3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 제2 디지털 촬영 장치 각각의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및 촬영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지털 촬영 장치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영역을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한 3D 이미지를 side-by-side, top-down, frame-by-frame, line-by-line 또는 checkerboard 포맷들 중 하나의 3D 이미지 포맷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동기화 신호는,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제2 디지털 촬영 장치의 GPS 모듈의 UTC(Universal Time Coordinate)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 제2 디지털 촬영 장치는,
    Wi-Fi 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중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00109254A 2010-11-04 2010-11-0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20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254A KR101720190B1 (ko) 2010-11-04 2010-11-0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3/236,930 US8890938B2 (en) 2010-11-04 2011-09-20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254A KR101720190B1 (ko) 2010-11-04 2010-11-0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595A KR20120047595A (ko) 2012-05-14
KR101720190B1 true KR101720190B1 (ko) 2017-03-27

Family

ID=4601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254A KR101720190B1 (ko) 2010-11-04 2010-11-0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90938B2 (ko)
KR (1) KR101720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1300B2 (ja) 2011-06-07 2015-11-2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WO2013146288A1 (ja) * 2012-03-29 2013-10-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補正装置
JP5803868B2 (ja) * 2012-09-20 2015-11-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処理装置、動画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84632B1 (ko) * 2012-11-12 202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EP2731336B1 (en) * 2012-11-12 2017-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s using plurality of mobile devices
KR101381908B1 (ko) * 2013-01-03 2014-04-04 한국에이치디방송 주식회사 3차원 영상 촬영을 위한 버추얼 리그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US10504200B2 (en) 2014-03-13 2019-12-10 Verance Corporation Metadata acquisition using embedded watermarks
WO2015138798A1 (en) 2014-03-13 2015-09-17 Verance Corporation Interactive content acquisition using embedded codes
US20150264336A1 (en) * 2014-03-17 2015-09-17 Jacob D. Catt System And Method For Composite Three Dimensional Photography And Videography
US9805434B2 (en) 2014-08-20 2017-10-31 Verance Corporation Content management based on dither-like watermark embedding
WO2016086047A1 (en) 2014-11-25 2016-06-02 Verance Corporation Enhanced metadata and content delivery using watermarks
US9942602B2 (en) 2014-11-25 2018-04-10 Verance Corporation Watermark detection and metadata delivery associated with a primary content
US9602891B2 (en) 2014-12-18 2017-03-21 Verance Corporation Service signaling recovery for multimedia content using embedded watermarks
US10523918B2 (en) 2017-03-24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epth map
KR102385844B1 (ko) 2017-09-15 2022-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 1 이미지 센서에서 제공된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이미지 센서에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467783B2 (en) 2018-02-23 2019-11-05 ExoAnalytic Solutions, Inc. Visualization interfaces for real-time identification, tracking, and prediction of space objects
US10647453B2 (en) * 2018-02-23 2020-05-12 ExoAnalytic Solutions, Inc. Systems and visualization interfaces for identification and display of space object imagery
GB2601678B (en) 2019-07-25 2024-03-06 Exoanalytic Solutions Inc Systems and Visualization interfaces for orbital paths and path parameters of space objec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5939A (ja) 2005-02-07 2006-08-17 Kumamoto Univ 自由視点画像合成方法および自由視点画像合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352A (ja) * 1994-03-09 1995-09-26 Nippon Hoso Kyokai <Nhk> 立体撮像表示方式
JP2001221874A (ja) * 2000-02-14 2001-08-17 Toshiba Corp 時刻同期方式
JP5127128B2 (ja) * 2004-12-21 2013-01-23 韓國電子通信研究院 カメラの位置及び姿勢情報補正方法及びその装置
GB2428927A (en) * 2005-08-05 2007-02-0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Accurate positioning of a time lapse camera
KR20070066382A (ko) * 2005-12-22 2007-06-27 주식회사 팬택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카메라 단말기
US20070236514A1 (en) * 2006-03-29 2007-10-11 Bracco Imaging Spa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tereoscopic Image Guided Surgical Navigation
JP5362189B2 (ja) * 2006-05-10 2013-12-11 株式会社トプコン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US20110242355A1 (en) * 2010-04-05 2011-10-06 Qualcomm Incorporated Combining data from multiple image sens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5939A (ja) 2005-02-07 2006-08-17 Kumamoto Univ 自由視点画像合成方法および自由視点画像合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13230A1 (en) 2012-05-10
KR20120047595A (ko) 2012-05-14
US8890938B2 (en)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19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473698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US8633998B2 (e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EP2525565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o increase continuous shooting speed for capturing panoramic photographs
US9077976B2 (en) Single-ey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device
KR101890305B1 (ko)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10234881A1 (en) Display apparatus
US8497932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t least two photographing devices and exposure synchronization
US8593531B2 (en)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80007292A1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device
WO2013183406A1 (ja) 撮像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963526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WO2015192547A1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三维照片拍摄方法及移动终端
JP6086975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70059704A (ko)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3013061A (ja) 撮像装置
JP2006162991A (ja) 立体画像撮影装置
JP201222249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25913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6162990A (ja) 立体画像撮影装置
US8547454B2 (en)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US20110018978A1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display method
JP476790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20110060297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20133745A1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