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052B1 - Air Separating and Venting Device - Google Patents

Air Separating and Ven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052B1
KR101720052B1 KR1020160144200A KR20160144200A KR101720052B1 KR 101720052 B1 KR101720052 B1 KR 101720052B1 KR 1020160144200 A KR1020160144200 A KR 1020160144200A KR 20160144200 A KR20160144200 A KR 20160144200A KR 101720052 B1 KR101720052 B1 KR 10172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at
nozzle
water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2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해성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장한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한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한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4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0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0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air comprises: an air separation unit; and an ai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device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air, a heat loss can be minimized.

Description

공기분리배출기{Air Separating and Venting Device}[0001] Air Separating and Venting Device [

본 발명은 냉난방시스템 배관에 존재하는 공기를 분리하고 배출시키는 공기분리배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상부층으로 부유되어 포집된 공기만 제거할 뿐 배관수와 함께 흐르는 부유공기나 용존산소는 제거할 수는 없는 기존 에어벤트의 단점을 보완하여 배관충수 이후 남아있는 공기와 온도나 압력변화로 인해 추가로 발생되는 공기를 분리배출하는 역할을 하여 안정적인 냉난방시스템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배관수에 존재하는 공기를 좀 더 능동적으로 분리 및 배출시키는 공기분리배출기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air existing in a cooling / heating system pip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 for removing air trapped by the uppermost layer, It compensates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air vent which can not be done, and it plays the ro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additional air generated due to the remaining air and temperature or pressure change after the piping intake,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ble cooling and hea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separator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air more actively.

현재 건물용 냉난방시스템은 물과 같은 비압축성 유체에 열에너지를 전달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이를 배관계통에서 순환시키는 방법이 대부분이다. Currently, heating and cooling systems for buildings are mostly used to transfer heat energy to incompressible fluids such as water and to circulate them through a piping system using a pump.

여기서 비압축성 유체가 배관계통을 잘 순환하면서 효율적인 열전달을 하기 위해서는 공기와 같은 압축성 유체가 배관계통에 최대한 없는 것이 유리하다. It is advantageous for the incompressible fluid to circulate well in the piping system and to have a compressible fluid such as air as little as possible in the piping system for efficient heat transfer.

하지만 실질적으로 배관계통에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공기(Air pocket)가 존재하게 된다.In practice, however, there are air pockets in the piping system due to various factors.

순환배관계통에서 공기가 존재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 측면이 있는데, 첫 번째는 최초 배관계통에 물을 충수할 때 배관에 있던 공기가 다 빠지지 않고, 특정 영역에 남아있게 되는 것과 두 번째는 최초 충수되는 물 자체에 용존되어 있던 공기가 물과 함께 배관계통을 순환하면서 온도와 압력변화를 거치면서, 물속에서 분리되는 현상 때문이다.There are two main reasons for the presence of air in the circulation piping system. The first is that the air in the pipeline is not completely exhausted when the water is added to the first piping system, but remains in a specific region. This is because the air dissolved in the water itself is separated from the water under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pressure while circulating the piping system together with water.

배관계통에 공기가 존재할 경우 다양한 문제점이 야기되는데 첫 번째로, 공기 내 산소는 철과 화학반응하여 배관부식을 발생시키는데, 배관부식은 설비수명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관마찰손실을 증가시키고, 열전달 효율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전체적인 건물 에너지 효율을 감소시키게 한다. The presence of air in the piping system causes various problems. First, the oxygen in the air chemically reacts with iron to cause pipe corrosion. Pipe corrosion not only reduces the life of the equipment but also increases the tube friction loss, Thereby reducing overall building energy efficiency.

두 번째로 펌프를 통과하면서 캐비테이션(Cavitation), 서징(Surging) 현상이 발생될 위험이 있고, 이런 경우 펌프 운전이 불안정해 질 수 있고, 이런 현상이 심할 경우 펌프 임펠러(Impeller)가 파손 될 수 도 있다. Secondly, there is a risk of cavitation and surg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pump. In such a case, the operation of the pump may become unstable. If this phenomenon is severe, the pump impeller may be damaged have.

세 번째로 물의 와류 또는 공기의 방해로 워터햄머나 맥동현상 등의 진동이 발생될 수 있고, 배관 내에 공기가 혼입될 경우에는 체적유량이 증가하므로 유속이 증가되어 유체마찰 소음이 급속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Third, vibration of water hammer or pulsation phenomenon may occur due to water vortex or air disturbance, and when air is mixed in the pipe, the volumetric flow rate increases, so that the flow velocity increases and the fluid friction noise rapidly increases have.

공기혼입이 과다해질 경우 압력에너지가 전달되지 않아 순환장애로 인하여 냉난방 자체가 불가능해 질 수도 있다. If the air mixture is excessive, the pressure energy is not transmitted and the air conditioning itself may become impossible due to the circulation disorder.

따라서 냉난방시스템에 있어 배관수 내 공기를 연속적으로 계속 분리하고 배출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로 된다.Therefore, in the air-conditioning system,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continually separate and discharge air in the piping water.

현재는 냉난방시스템 배관 내 공기를 분리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대부분 에어벤트(Air vent)와 공기분리기(Air separator)가 수행하고 있는데, 에어벤트는 최상부층에 설치되어 최초 배관충수 시 배관 내에 있던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공기분리기는 공기발생이 많은 열원장비 근처에 설치되어 배관충수 이후 남아있는 공기와 온도나 압력변화로 인해 추가로 발생되는 공기를 분리배출하는 역할을 한다.Currently, most of the air vent and air separator perform the function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air in the air-conditioning system piping. The air vent is installed on the uppermost floor, And the air separator is installed near the heat source equipment which generates a lot of air, and serves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remaining air due to the change in temperature or pressure after the pipeline has been filled.

여기서 에어벤트는 최상부층으로 부유되어 포집된 공기만 제거할 뿐 배관수와 함께 흐르는 부유공기나 용존산소는 제거할 수는 없다.In this case, the air vent is floated to the top layer and only the collected air is removed, and the suspended air or dissolved oxygen that flows with the piping water can not be removed.

현재 건물용 냉난방 시스템은 대부분 도 2와 같이 크게 열을 생산하는 열원장비(보일러 또는 열교환기)와 열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열배관과 펌프와 배관압력을 일정상태로 유지하는 팽창탱크로 구성되며, 여기서 열을 전달하는 매개체는 일반적으로 물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냉난방시스템 운전시 각 구성품들의 유기적인 작동수행과 더불어 효율적인 열에너지 전달을 위해서는 반드시 배관계통내 잔류 공기가 최소화되도록 유지해야한다.Currently, most of the heating and cooling systems for buildings are composed of heat source equipment (boiler or heat exchanger) that generates heat as large as shown in Fig. 2, heat pipes that can transmit heat to users, and expansion tanks that maintain the pump and piping pressure at a constant state , Where the heat transfer medium usually uses water.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efficient operation of each compone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and cool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residual air in the piping system.

배관계통에 공기가 존재할 경우 배관부식 및 배관수 순환장애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고, 이러한 문제는 결국 비효율적인 냉난방시스템 운용으로 이어져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If air is present in the piping system, it can lead to various problems such as pipe corrosion and piping water circulation disorder, and this problem leads to inefficient operation of the cooling and heating system, resulting in energy waste.

배관시스템 내 공기는 1차적으로 최초 배관충수 시 배관내부에 있던 공기를 배출시켜야 하며, 2차적으로는 배관충수 이후 배관에 남아있는 공기와 냉난방시스템이 정상운전되는 상황에서 새롭게 발생되는 공기도 함께 제거해야 한다. 배관충수 시에는 도 2에서 보여지듯이 대부분 에어벤트(Air vent)를 Supply / Return 배관에 각각 1개씩 설치함으로써 공기 배출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배관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배관내 수위가 상승되는 속도에 따라 에어벤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되는데, 에어벤트 용량이 부족할 경우 배관압력이 상승될 위험이 있고, 추가로 충수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에어벤트는 충수속도에 적합한 공기배출능력을 갖춰야하며, 최대한의 공기배출을 위해서 Supply / Return 배관에 에어벤트를 각각 설치해야만 한다. 만약 에어벤트 1개만 설치 시 Supply배관 또는 Return배관에 있던 공기가 배출되지 않고 정체될 가능성이 있다.The air in the piping system must first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pipeline when the pipeline is first introduced. Secondarily, the air remaining in the pipeline after the pipeline has been added, and the air that is newly generated whe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operating normally Should be. As shown in FIG. 2, most of the air vent is provided in the supply / return piping at the time of the plumbing addition. The air filled in the pipin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vent according to the rising speed of the water level in the piping. If the capacity of the air vent is insufficient, there is a danger that the piping pressure is increased, The vent must have an air discharge capacity suited to the rate of sucking and an air vent must be installed in the Supply / Return piping for maximum air discharge. If only one air vent is install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ir in the supply pipe or the return pipe is stagnant without being discharged.

1차적으로 배관충수과정에서 수행되는 공기배출 이후에도 2차적으로 배관수가 열배관을 통하여 순환시 압력,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와 특정영역에 정체되어있던 공기와 보충수 공급시 유입되는 공기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되는 공기를 계속 연속적으로 배출 시킬 수 있어야 한다. 현재는 이와같은 역할수행을 위해 온도변화가 많은 열원장비 근처에만 공기분리기를 설치하고 있고, 압력이 낮은 최상부층 영역이나 다른영역에는 이같은 역할을 수행할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있다. 배관수와 함께 떠다니거나,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는 공기는 별도의 공기분리장치가 없을 경우 물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해 물에서 분리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물과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최상부층에 설치되는 에어벤트는 이와 같은 공기를 제거하는 것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그 이유는 에어벤트는 에어벤트 내부로 유입된 공기만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수동적인 기능만을 수행할 뿐, 별도의 공기분리 기능이 없기 때문이다. 배관속에서 존재하는 공기는 철과 화학반응하여 배관부식을 발생시키고, 순환장애를 일으키고, 펌프의 불안정한 운전을 유발 시키고, 열전달 효율을 감소 시키는등 다양한 문제점을 유발하는데, 특히 공기에 포함되어있는 용존산소는 철과 화학반응하여 부식을 발생시키고 점차적으로 사라지므로, 철과 반응하여 부식되기 전에 빠르게 배관밖으로 배관수에서 분리하여 배출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Aft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ipeline in the first stage, the piping water is circulated through the piping in the second place, and the air generated by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changes and the air stagnated in the specific area and the air supplied when the replenishing water is supplied The air generated through the path must be continuously discharged continuously. Currently, air separators are installed only in the vicinity of heat source equipment which has a lot of temperature change, and no separate unit for performing such a role is installed in the uppermost layer region or the lower pressure region. The air which floats together with the piping water or is dissolved in the piping water is not separated from the water due to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by the flow of water when there is no separate air separation device and is continuously moved with the water. Air vents can not be used to remove such air.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air vent merely performs a passive function of discharging on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vent, and there is no separate air separation function. The air present in the pipe causes various problems such as chemical reaction with iron, causing pipe corrosion, causing circulation disorder, causing unstable operation of the pump, and reducing heat transfer efficiency. Especially, Oxygen chemically reacts with iron to cause corrosion and gradually disappe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act with iron so that it is quickly separated from the piping water before it is corroded and discharged.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20000014685 (등록일자 : 2000년 07월 31일) 다기능 에어벤트 밸브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Bulletin 2020000014685 (Registration Date: July 31, 2000) Multifunctional Air Bent Valve 2.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64965 (등록일자 : 2013년 01월 21일) 공기분리기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Bulletin 20-0464965 (Registration Date: Jan. 21, 2013) Air Separator 3.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88371 (등록일자 : 2002년 08월 27일) 건축설비용 에어밴트3.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Bulletin 20-0288371 (Registered Date: August 27, 2002) Airbent for Building Equipment 4.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02433 (등록일자 : 2000년 08월 30일) 냉,난방 시스템의 공기분리장치4.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Bulletin 20-0202433 (registered on August 30, 2000) Air separation system for cooling and heating system 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0762914 (등록일자 : 2007년 09월 21일) 다기능 에어벤트5.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62914 (Registered Date: September 21, 2007) Multifunctional Air Vents 6.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64715 (등록일자 : 2004년 10월 04일) 에어벤트 밸브6.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Bulletin 20-0364715 (Registration Date: October 04, 2004) Air vent valv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벤트 기능에 배관수와 함께 흐르는 부유공기와 용존산소를 분리하는 공기분리기능 갖추기 위하여,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Spiral Flow)를 형성할 수 있게 배관수 인입과 토출 노즐의 위치와 형태를 설계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원심력과 관성력에 의해 공기가 중앙으로 포집되고, 내부의 배관수와 이물질을 드레인할 수 있는 공기분리부와, 공기가 가지고 있는 압력에 의해 플로트가 아래로 내려가 상부에 포집된 공기는 에어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배출부로 이루어진 공기분리배출기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vent which is equipped with an air separation function for separating suspended air and dissolved oxygen, And an air separation unit which is configured to design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discharge nozzle and to collect the air in the center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inertia force generated therein and to drain the number of internal pipes and foreign matter, And the air trapped in the upper por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pin.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는 냉난방시스템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는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배관의 최상부에 설치되며, 칠러(Chiller)나 히터(Heater)의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관수가 흐르는 공급라인(Supply Line)과 연결되어 배관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배관수가 내부에서 유속이 감소되어 공기의 부력에 의하여 배관수로부터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던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가 분리되며, 분리된 공기는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Spiral Flow)를 형성할 때 내부에서 발생되는 원심력과 관성력에 의해 중앙으로 포집되고, 내부의 배관수와 이물질을 드레인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배관수는 열부하장치를 지난 배관수가 흐르는 환수라인(Return Line)에 결합되는 공기분리부와; 상기 공기분리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포집된 공기 압력이 배관수의 부력보다 크면 내려가 공기가 배출되고 작으면 올라가 누수를 방지하는 플로트(Float)와 공기배출을 제어하는 에어핀(Air Pin)과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분리배출기의 내부로 역류하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체크볼(Air Check Ball)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리부에서 포집된 공기가 상부로 인입되며, 공기가 가지고 있는 압력에 의해 상기 플로트가 아래로 내려가 상부에 포집된 공기는 상기 에어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배출부로 구성된다.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nd discharges the air dissolved in the piping water and the floating air floating in the piping water, installed in the cooling / heating system piping, and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piping, The number of pipes is connected to a supply line through which the number of pipes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of the heater flows, and the flow rate of the inflowing pipe is decreased, so that it is dissolved in the pipe water from the pipe water by the buoyancy of air. The floating air is separated from the air and the piping water, and the separated air is collected centrally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inside when the number of the piping forms the spiral flow, And the number of pipes to be discharged is connected to a return line through which the number of pipes passing through the heat load device flows; A float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ir separation part and which is lowered when the collected air pressure is larger than the buoyancy of the number of pipes and is floated if it is small and an air pin for controlling the air discharge, And an air check ball for preventing air from flowing back into the inside of the air separation / discharge unit, the air collected by the air separation unit is drawn into the upper part, And the air collected at the upper portion is composed of an air discharging portion discharged through the air pin.

상기 공기분리부는 상기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배관수가 유입되며, 배관수가 내부에서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하도록 중앙에서 한쪽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배관수인입노즐이 형성되는 배관수 인입부와; 상기 배관수 인입부의 하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일정 공간을 가지며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하면서 공급라인과 환수라인의 차압에 의해 소량의 배관수가 환수라인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관수인입노즐의 맞은편 하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인입된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환수라인에 결합되는 배관수배출노즐과, 내부의 배관수를 드레인할 수 있는 바닥에 드레인노즐이 형성되는 바텀바디부와; 상기 배관수 인입부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부의 하부와 상부가 나사 결합되고, 유입된 배관수가 내부에서 유속이 감소되어 공기의 부력에 의하여 배관수로부터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던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가 분리되어 포집되는 공기포집부로 구성된다. The air separ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to receive the number of pipes, and the number of pipes is formed eccentrically to one side from the center so as to form a spiral flow therein. A number of pipe lines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line inlet portion and have a certain space and the number of pipelines forms a spiral flow while a small amount of pipe line is discharged to the water return line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supply line and the water return line, A bottom body part formed on the side surface to form a spiral flow and having a drainage nozzle discharge nozzle coupled to the drainage line and a drain nozzle on the bottom to drain the internal piping number; And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air discharge part are screwed to each other and the flow rate of the inflowing pipe is decreased so that the air which has been dissolved in the pipe water from the pipe water by the buoyancy of the air, And an air collecting part in which floating air floating in the water is collected and collected.

상기 공기배출부는 포집된 공기가 배출되는 벤트노즐이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공기분리부와 나사 결합을 위한 하부나사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있는 탑바디부와; 상기 탑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공기는 압력을 형성하고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높아지면 밑으로 내려가고 포집된 공기가 상기 벤트노즐로 배출되어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다시 물의 부력으로 올라가는 상기 플로트를 포함한 플로트부와; 상기 탑바디부의 벤트노즐에 설치되어 공기배출을 제어하는 상기 에어핀과; 상기 벤트노즐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에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분리배출기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에어체크볼로 구성된다.The air discharge unit is provided with a vent nozzle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air, a lower body provided with a lower screw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air separation unit, and a space inside the air discharge unit; The air collected in the inside of the tower body forms a pressure, and when the pressu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air goes down and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to the vent nozzle. When the pressur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A float portion including a float; An air pin installed in a vent nozzle of the top body part to control air discharge; And an air check ball installed in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vent nozzle is discharged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flowing back in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상기 공기포집부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배출부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레이너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포집부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배출부와 나사 결합을 위한 상부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수인입노즐에는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시키기 위해 바로 확산되지 않고 일정 깊이까지 유로를 형성하도록 편심된 인입노즐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관수배출노즐에는 입출구 차압에 따른 유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오리피스홀이 형성된다.A strainer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trapped in the air discharge portion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air collecting portion, an upper thread portion for screwing with the air discharge portion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air collecting portion, An orifice hole is formed in the pipe discharge nozzle so as to determine the flow rate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상기 탑바디부는 최하부에 형성되며,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분리부의 공기포집부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공기포집부에서 포집된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로 올라가는 길목 역할을 하는 공기분리결합부와; 상기 공기분리결합부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공기분리결합부와 같이 포집된 공기와 물이 상존하고 상기 플로트부가 설치되는 챔버부와; 상기 챔버부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챔버부를 덮어주며 상기 에어핀과 벤트노즐이 설치되는 탑커버부로 이루어진다.The top body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most portion and is formed with an external thread to be screwed with the air collecting portion of the air separating portion and has an air separating and coupling portion serving as a path for raising the air collected by the air collecting portion to the air discharging portion ; A chamber part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ir separation and coupling part and having a float part in which air and water are trapped like the air separation and coupling part; And a top cover part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part to cover the chamber part and to which the air pin and the vent nozzle are installed.

상기 벤트노즐은 외부에 상기 노즐 결합구에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며, 내부에 포집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벤트홀이 형성되는 벤트홀부와; 상기 벤트홀부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벤트홀이 양측으로 일정 각도로 커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첵크볼이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핀과의 나사결합을 위해 암나사가 형성되는 벤트노즐본체부로 구성된다.Wherein the vent nozzle has a vent hole formed in an outer portion thereof with a screw coupled to the nozzle coupling port and formed with a vent hole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trapped in the vent hole is discharged; A bent nozzle main body portion formed continuously in an upper portion of the vent hole portion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in which the vent hole is enlarged at a certain angle to both sides so that the check ball is installed at the center and a female screw is formed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air pin, .

상기 플로트부는 상기 챔버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공기의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높아지면 밑으로 내려가고 포집된 공기가 상기 벤트노즐로 배출되어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다시 물의 부력으로 올라가는 원통형의 상기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가 상기 챔버부 내부에서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탑커버부에 결합되는 플로트행거부와; 상기 플로트행거부의 일정 부분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플로트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벤트노즐을 밀폐시켜 누수가 되지 않게 하거나 상기 벤트노즐을 오픈시켜 포집된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실링패드로 구성된다.Wherein the float portion is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portion,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collected air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float portion is lowered, and when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to the vent nozzle and the pressur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Float; The float being coupled to the top cover portion to be vertically operable within the chamber portion; And a sealing pad which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certain portion of the float hanger so as to seal the vent nozzle by vertical movement of the float to prevent leakage, or to open the vent nozzle to discharge the collected air.

상기 스트레이너는 원형판 형상으로 내부에 불순물은 통과하지 못하고 배관수와 공기만 통과할 수 있게 일정 직경의 타공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The strainer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so that impurities do not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strainer, and perforations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only the number of pipes and air can pass through.

상기 하부소켓부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배출부를 상기 공기분리부와 결합시킬 때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오링이 설치된다.An O-ring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socket so that leakage does not occur when the air discharge unit is coupled with the air separation unit.

상기 탑커버부에는 상기 에어핀을 설치하기 위한 상기 벤트노즐이 설치되는 노즐결합구와, 상기 플로트부를 고정하기 위한 행거탑고정볼트홀이 형성된다.The top cover portion is formed with a nozzle coupling hole in which the vent nozzle for installing the air pin is installed, and a hanger top fixing bolt hole for fixing the float portion.

상기 플로트에는 상기 플로트행거부와 결합하기 위한 스틸와이어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와이어설치홀이 형성된다.The float is formed with a wire installation hole through which a steel wire for coupling with the float row rejection passes.

상기 플로트행거부는 상기 탑커버부의 행거탑고정볼트홀에 볼트로 고정되는 행거탑과; 상기 행거탑의 하부 내부에 핀으로 결합되어 상기 플로트의 상하운동시 상기 핀을 고정점으로 하여 회전되며, 상기 실링패드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행거바텀과; 상기 핀으로 상기 행거바텀의 내부에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으로 상기 실링패드가 상기 벤트노즐에 밀착되어 배관수가 상기 벤트노즐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션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Wherein the float hanger portion is fixed to the hanger top fixing bolt hole of the top cover portion with a bolt; A hanger bottom which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anger tower by a pin and rotates with the pin as a fixing point when the float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sealing pad is inserted and fixed; And a torsion coil spr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anger bottom with the pin to prevent the sealing pads from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ent nozzle due to elasticity of the spring to prevent the piping water from leaking to the vent nozzle.

상기 실링패드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로 제작되며, 상기 행거바텀의 패드삽입홀에 삽입하기 쉽게 하부가 뽀쪽한 역원추 형상의 패드원추부와; 상기 원추부의 중앙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행거바텀의 살두께가 끼워지는 패드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가 평면을 가져 상기 벤트노즐의 벤트홀을 막고, 상기 패드삽입홀에서 빠지지 않게 하부가 상기 패드삽입홀의 직경보다 일정 길이만큼 큰 원추기둥 형상의 패드원추기둥부로 구성된다.Wherein the sealing pad is made of an elastic silicone rubber and has an inverted cone shape pierc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anger bottom for easy insertion into the pad insertion hole; A pad cylinder formed at a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cone portion to receive the thickness of the hanger bottom; And a pad conical column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having a flat upper surface and covering a vent hole of the vent nozzle and having a lower portion which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ad insertion hole so as not to come out of the pad insertion hole .

상술한 공기분리배출기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olved by the above-described air separation / discharge unit.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르면 공급라인이 배관수인입노즐에 결합되고, 환수라인이 배관수배출노즐에 결합되어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특정 부유 공기뿐만 아니라 배관수에 용해되거나 혼합되어 같이 순환되고 있는 공기도 강제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고, 오리피스홀을 통하여 바이패스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어 최적화된 공기분리배출을 수행할 수 있고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piping water inlet nozzle, and the water return line is connected to the piping water discharge nozzle to form the bypass flow path so that it is dissolved or mixed with the piping water as well as the specific suspended air, Air can be forcibly separated and discharged efficiently, and the flow rate bypassed through the orifice hole can be controlled, so that optimized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can be performed and heat loss can be minimized.

도 1은 기존 에어벤트 개략도
도 2는 기존 에어벤트가 설치된 냉난방 시스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가 설치된 냉난방 시스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 전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 작동원리 1단계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 작동원리 2단계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공기분리부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공기분리부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공기배출부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공기배출부의 탑바디부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공기배출부의 플로트부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서의 플로트부의 작동에 의해 벤트노즐이 열리고 닫히는 상태 비교도
도 14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플로트부의 플로트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플로트부의 행거부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플로트부의 행거탑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플로트부의 행거버텀 및 토션코일 스프링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탑바디부에 설치되는 벤트노즐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플로트부의 행거버텀에 설치되는 실링패드 개략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xisting air vent schematic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system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n air-cond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the air-
FIG. 4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air separation /
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irst step of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two-level explanatory diagram of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air separation < RTI ID = 0.0 >
8 is a schematic view of an air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
FIG. 9 is a schematic view of a strainer installed in an air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
10 is a schematic view of an air discharge portion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view of a top body part of an air discharge par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
12 is a schematic view of a float part of an air discharge par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
13 is a state comparative diagram in which the vent nozzl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float portion in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view of a float of a floa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
FIG. 1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ow rejection of a floa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
16 is a schematic view of a hanger top of a floa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
17 is a schematic view of a hanger bottom and a torsion coil spring of a float par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
18 is a schematic view of a vent nozzle installed in a top body par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chematic view of a sealing pad installed in a hanger bottom of a float portion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Firs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분리배출기"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Furthe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It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분리배출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separation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기존 에어벤트 개략도이며, 도 2는 기존 에어벤트가 설치된 냉난방 시스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가 설치된 냉난방 시스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 전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 작동원리 1단계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 작동원리 2단계 설명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공기분리부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공기분리부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공기배출부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공기배출부의 탑바디부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공기배출부의 플로트부 개략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서의 플로트부의 작동에 의해 벤트노즐이 열리고 닫히는 상태 비교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플로트부의 플로트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플로트부의 행거부 개략도이며,도 16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플로트부의 행거탑 개략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플로트부의 행거버텀 및 토션코일 스프링 개략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탑바디부에 설치되는 벤트노즐 개략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에 따른 플로트부의 행거버텀에 설치되는 실링패드 개략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xisting air vent, FIG. 2 is a cooling / heating system in which a conventional air vent is installed, FIG. 3 is a cooling / heating system equipped with an air separation /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step of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of a strainer installed in the air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chematic view of the air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view of a top body of an ai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hematic view of a float unit of an ai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state comparative view in which the vent nozzl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float portion in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view of a float of the float portion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chematic view of a hanger bottom and a torsion coil spring of a float according to an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schematic view of a hanger top of a float par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 FIG. 18 is a schematic view of a vent nozzle installed in a top body par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schematic view of a sealing pad installed in a hanger bottom of a float part 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A)는 냉난방시스템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는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배관의 최상부에 설치되며, 칠러(Chiller)나 히터(Heater)의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관수가 흐르는 공급라인(3)(Supply Line)과 연결되어 배관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배관수가 내부에서 유속이 감소되어 공기의 부력에 의하여 배관수로부터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던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가 분리되며, 분리된 공기는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Spiral Flow)를 형성할 때 내부에서 발생되는 원심력과 관성력에 의해 중앙으로 포집되고, 내부의 배관수와 이물질을 드레인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배관수는 열부하장치를 지난 배관수가 흐르는 환수라인(4)(Return Line)에 결합되며 포집된 공기 압력이 배관수의 부력보다 크면 플로트(221)이 내려가 공기가 배출된다.As shown in FIG. 3,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A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nd discharges the air dissolved in the piping water and the floating air floating in the piping water, installed in the cooling / heating system piping, And is connected to a supply line 3 (Supply Line) through which the number of pipes passing through a chiller or a heater heat exchanger is connected so that the number of pipes is introduced and the flow rate of the incoming pipe is decreased The air that has been dissolved in the piping water and the floating air that is floating in the piping water are separated from the piping water by the buoyancy of the air and the separated air is gene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inertia force generated internally when the piping number forms the spiral flow And the number of pipes to be discharged can be discharged to the return line 4 (return line) through which the number of pipes passing through the heat load device flows And the collected air pressure is lowered is larger float 221 than the buoyancy of the air pipe can be discharged.

상기 냉난방시스템에는 공기분리기가 있으나 용존산소 및 보급수 등에 의해 계속 발생하므로 최상단에 공기배출기가 설치되어야 하며, 도 2에서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대부분 에어벤트(Air vent)를 공급라인 및 환수라인에 각각 1개씩 설치되나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A)는 1개만 설치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The air-conditioning system includes an air separator, but is continuously generated by dissolved oxygen and water. Therefore, an air vent must be installed at the uppermost stage. Most of the air vents are connected to a supply line and a water- Howe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only on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공기분리배출기(A)는 냉난방시스템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는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며, 배관의 최상부에 설치되며, 칠러(Chiller)나 히터(Heater)의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관수가 흐르는 공급라인(3)(Supply Line)과 연결되어 배관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배관수가 내부에서 유속이 감소되어 공기의 부력에 의하여 배관수로부터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던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가 분리되며, 분리된 공기는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Spiral Flow)를 형성할 때 내부에서 발생되는 원심력과 관성력에 의해 중앙으로 포집되고, 내부의 배관수와 이물질을 드레인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배관수는 열부하장치를 지난 배관수가 흐르는 환수라인(4)(Return Line)에 결합되는 공기분리부(1)와; 상기 공기분리부(1)의 상부에 결합되며, 포집된 공기 압력이 배관수의 부력보다 크면 내려가 공기가 배출되고 작으면 올라가 누수를 방지하는 플로트(221)(Float)와 공기배출을 제어하는 에어핀(23)(Air Pin)과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분리배출기(A)의 내부로 역류하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체크볼(24)(Air Check Ball)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리부(1)에서 포집된 공기가 상부로 인입되며, 공기가 가지고 있는 압력에 의해 상기 플로트(221)가 아래로 내려가 상부에 포집된 공기는 상기 에어핀(2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배출부(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ooling / heating system pipe to separately separate air discharged in the pipe water and floating air floating in the pipe water, And is connected to a supply line 3 (Supply Line) through which the number of piping passes through a chiller or a heater heat exchanger, and the number of piping is introduced, and the flow rate of the introduced piping decreases, The air that has been dissolved in the piping water and the floating air that is floating in the piping water are separated from the piping water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inside when the number of the piping forms the spiral flow, And the number of pipes to be discharged can be reduced by the amount of the air that is coupled to the return line 4 (return line) through which the number of pipes passing through the heat load device flows Rib (1) and; When the collected air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buoyancy of the piping water, the float 221 is floated when the collected air is lowered and the air is discharged if it is small. And an air check ball 24 for preventing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back into the inside of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A, And the air collec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at 221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fin 23.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ing portion 2 flows through the air outlet 23, do.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공기분리배출기(A)는 공급라인(3)에서 배관수인입노즐(111)로 배관수가 인입되며, 유입된 배관수가 내부에서 유속이 감소되어 공기의 부력에 의하여 배관수로부터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던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가 분리되고, 상기 배관수인입노즐(111)이 중앙에서 한쪽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며, 환수라인(4)에 연결되는 배관수배출노즐(121) 역시 중앙에서 한쪽으로 편심되고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분리된 공기는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Spiral Flow)를 형성할 때 내부에서 발생되는 원심력과 관성력에 의해 중앙으로 포집되고 공기가 가지고 있는 압력에 의해 상기 플로트(221)가 아래로 내려가 상부에 포집된 공기는 상기 에어핀(23)를 통해 배출된다.As shown in FIG. 5, the air separation / discharge unit A is connected to the pipeline water inlet nozzle 111 through the supply line 3, and the flow rate of the inflowed pipe water is reduced, The number of pipes connected to the water return line (4) is set so that the air dissolved in the pipe water and the floating air floating in the pipe water are separated from the pipe water, Since the discharge nozzle 121 is also eccentrically disposed at one side from the center and installed at the lower part, the separated air is collected centrally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therein when the number of the pipelines forms the spiral flow, The float 221 is lowered by the pressure, and the air collected at the upper por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pin 23.

도 6은 상기 공기분리배출기(A)에서 용해되어 있는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작동원리 1단계를 설명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operating princip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air dissolved in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A and the floating air floating in the piping water.

용해되어 있는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가 배관수와 같이 상기 배관수인입노즐(111)로 인입되며, 인입된 배관수에 의해 1단계에서는 수위가 상승하고 플로트가 상승하게 된다.The dissolved air and the floating air floating in the piping water flow into the piping water inlet nozzle 111 like the piping number, and the water level rises and the float rises in the first stage due to the number of the piped piping.

배관수는 유입되는 각도 및 배출되는 위치에 의해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하고, 공기의 부력에 의해 분리되고 스파이럴 플로에 의해 내부에서 발생되는 원심력과 관성력에 의해 중앙으로 포집되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위로 올라가게 위로 올라간 공기는 일정 압력을 형성하게 된다.The number of pipelines forms a spiral flow by the inflow angle and the position to be discharged and is collected by centrifugal force and inertial force generated inside by spiral flow separated by buoyancy of air and raised by the pressure of air The air above the store forms a certain pressure.

공기가 형성한 압력이 상기 플로트(221)의 부력보다 적으면 실링패드(223)가 벤트노즐(2131)의 하부를 밀폐시켜 포집된 공기는 챔버부(212)의 상부에 정체해 있고 계속 일정 압력까지 상승하게 되며, 공기의 압력이 상기 플로트(221)의 부력보다 커지면 도 7의 2단계로 넘어가게 된다.The sealing pad 223 closes the lower part of the vent nozzle 2131 and the collected air stagnates in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part 212 and the pressure of the constant pressure When the pressure of the air is greater than the buoyancy of the float 221, the flow proceeds to step 2 of FIG.

도 7은 상기 공기분리배출기(A)에서 용해되어 있는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작동원리 2단계를 설명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operating princip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air dissolved in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A and the floating air floating in the piping water.

공기의 압력이 상기 플로트(221)의 부력보다 커지면 수위와 플로트(221)이 하강하고 상기 플로트(221)의 하강으로 행거바텀(2222)의 와이어고리(22222)과 스틸와이어(2211)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행거바텀(2222)도 회전하여 하강하게 되고 실링패드(223)가 벤트노즐(2131)의 하부를 막고 있다가 상기 벤트노즐(2131)의 벤트홀(213111)이 오픈되어 상기 벤트홀(213111)로 포집된 공기가 빠져나가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에어체크볼(24)가 들려 공기가 에이핀(23)을 통해 배출되고, 공기가 일정량 배출되고 나면 챔버부(212) 내의 압력이 떨어져 다시 작동원리 1단계로 되돌아가 수위가 상승하고 플로트가 상승하게 된다.The water level and the float 221 are lowered and the wire loop 22222 of the hanger bottom 2222 is connected to the steel wire 2211 by the fall of the float 221 when the air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buoyancy of the float 221 The vent hole 213111 of the vent nozzle 2131 is opened so that the vent hole 213111 is opened so that the vent hole 213111 is opened, The air check ball 24 is heard by the pressure of the air and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s pin 23. When the air is discharged a certain amount, the pressure in the chamber 212 is reduced Principle Returning to the first stage, the water level rises and the float rises.

상술한 것 같이 상기 공기분리배출기(A)는 작동원리 1단계와 2단계를 계속 반복하면서 배관수 내의 공기가 분리되어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A) continuously discharges the air in the piping water while repeating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principles.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공기분리부(1)은 배관의 최상부에 설치되며, 칠러(Chiller)나 히터(Heater)의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관수가 흐르는 공급라인(3)(Supply Line)과 연결되어 배관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배관수가 내부에서 유속이 감소되어 공기의 부력에 의하여 배관수로부터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던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가 분리되며, 분리된 공기는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Spiral Flow)를 형성할 때 내부에서 발생되는 원심력과 관성력에 의해 중앙으로 포집되고, 내부의 배관수와 이물질을 드레인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배관수는 열부하장치를 지난 배관수가 흐르는 환수라인(4)(Return Line)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 8, the air separation unit 1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piping, and includes a supply line 3 (Supply Line) through which the number of pipes passing through a chiller or a heat exchanger of a heater flows, The flow rate of the inflowing pipe is decreased, and the air that has been dissolved in the pipeline water and the floating air floating in the pipeline water are separated from the pipeline water by the buoyancy of the air, and the separated air is separated from the pipeline water When the spiral flow is formed, it is collected centrally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internally, and it is possible to drain the internal piping and foreign matter, and the discharged piping number is regulated by the circulation line (4) (Return Line).

상기 공기분리부(1)는 상기 공급라인(3)과 연결되어 배관수가 유입되며, 배관수가 내부에서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하도록 중앙에서 한쪽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배관수인입노즐(111)이 형성되는 배관수 인입부(11)와; 상기 배관수 인입부(11)의 하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일정 공간을 가지며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하면서 공급라인(3)과 환수라인(4)의 차압에 의해 소량의 배관수가 환수라인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관수인입노즐(111)의 맞은편 하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인입된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환수라인에 결합되는 배관수배출노즐(121)과, 내부의 배관수를 드레인할 수 있는 바닥에 드레인노즐(122)이 형성되는 바텀바디부(12)와; 상기 배관수 인입부(11)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부(2)의 하부와 상부가 나사 결합되고, 유입된 배관수가 내부에서 유속이 감소되어 공기의 부력에 의하여 배관수로부터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던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가 분리되어 포집되는 공기포집부(13)로 이루어진다.The air separation unit 1 is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3 to receive piping water and has piping water inlet nozzles 111 eccentrically installed at one side from the center so as to form a spiral flow therein, A water inlet portion 11; A small amount of piping is discharged to the water returning line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supply line 3 and the water return line 4 while the number of the piping forms a spiral flow and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lower part of the piping water inlet portion 11, A pipe water discharge nozzle 121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opposite to the pipe water inlet nozzle 111 so as to form a spiral flow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A bottom body part 12 on which a drain nozzle 122 is formed;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air discharge part 2 are screwed to each other and the flow rate of the inflowed pipe is decreased. And an air collecting unit 13 for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air dissolved in the water and the floating air floating in the pipe water.

상기 공기포집부(13)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배출부(2)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레이너(131)가 형성된다.A strainer 13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collecting part 13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trapped in the air discharging part 2. [

상기 스트레이너(131)는 상기 공기포집부(13)에 형성된 스트레이너설치턱에 얹혀진다.The strainer 131 is mounted on a strainer mounting jaw formed in the air collecting part 13.

상기 공기포집부(13)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배출부(2)와 나사 결합을 위한 상부나사부(132)가 형성된다.An upper screw portion 132 for screwing the air discharge portion 2 is formed in the air collecting portion 13.

상기 배관수인입노즐(111)에는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시키기 위해 바로 확산되지 않고 일정 깊이까지 유로를 형성하도록 편심된 인입노즐홈(1111)이 형성된다.In the piping water inlet nozzle 111, an eccentric inlet nozzle groove 1111 is formed so as to form a flow path to a certain depth without being directly diffused to form a spiral flow.

상 인입노즐홈(1111)은 상기 배관수 인입부(11)의 측벽에 형성된다.An upper drawing nozzle groove 1111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piping water inlet portion 11.

상기 배관수배출노즐(121)에는 입출구 차압에 따른 유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오리피스홀(1211)이 형성된다.An orifice hole 1211 is formed in the pipe water discharge nozzle 121 in order to determine a flow rate in accordance with the inlet / outlet differential pressure.

상기 드레인노즐(122)에는 도 6과 도 7에 설치된 것 같이 필요 시 열어 내부의 배관수를 드레인할 수 있고 평상 시는 닫혀있는 드레인밸브(1221)가 설치된다.6 and 7, the drain nozzle 122 is provided with a drain valve 1221 which is opened when necessary to drain the internal piping and is normally closed.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스트레이너(131)는 원형판 형상으로 내부에 불순물은 통과하지 못하고 배관수와 공기만 통과할 수 있게 일정 직경의 타공홀(13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9, the strainer 131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has perforations 1311 of a predetermined diamet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impurities can not pass therethrough and only the number of pipes and air can pass through.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공기배출부(2)는 상기 공기분리부(1)의 상부에 결합되며, 포집된 공기 압력이 배관수의 부력보다 크면 내려가 공기가 배출되고 작으면 올라가 누수를 방지하는 플로트(221)(Float)와 공기배출을 제어하는 에어핀(23)(Air Pin)과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분리배출기(A)의 내부로 역류하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체크볼(24)(Air Check Ball)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리부(1)에서 포집된 공기가 상부로 인입되며, 공기가 가지고 있는 압력에 의해 상기 플로트(221)가 아래로 내려가 상부에 포집된 공기는 상기 에어핀(23)를 통해 배출된다.As shown in FIG. 10, the air discharge portion 2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separation portion 1, and when the collected air pressure is larger than the buoyancy of the number of pipes, the air is discharged and air is discharged. An air pin 23 for controlling the air discharge and an air check ball 24 for preventing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back into the inside of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A, The air collected in the air separation unit 1 is drawn into the upper part, and the float 221 is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pin 23.

상기 공기배출부(2)는 포집된 공기가 배출되는 벤트노즐(2131)이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공기분리부(1)와 나사 결합을 위한 하부나사(2112)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있는 탑바디부(21)와; 상기 탑바디부(21)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공기는 압력을 형성하고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높아지면 밑으로 내려가고 포집된 공기가 상기 벤트노즐(2131)로 배출되어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다시 물의 부력으로 올라가는 상기 플로트(221)를 포함한 플로트부(22)와; 상기 탑바디부(21)의 벤트노즐(2131)에 설치되어 공기배출을 제어하는 상기 에어핀(23)과; 상기 벤트노즐(2131)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에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분리배출기(A)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에어체크볼(24)로 구성된다.The air discharge unit 2 is provided with a vent nozzle 2131 through which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and a lower screw 2112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air separation unit 1 is formed in the lower part. A top body portion 21; The collected air inside the top body 21 forms a pressure, and when the pressure becomes higher than a certain pressure, the collected air goes down and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to the vent nozzle 2131, A float section (22) including said float (221) which rises to the buoyancy of the water again; An air pin (23) installed in a vent nozzle (2131) of the top body part (21) to control air discharge; And an air check ball 24 installed in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vent nozzle 2131 is discharged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flowing back in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A. [

상기 에어핀(23)는 상기 공기배출부(2)를 열고 닫고 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에 있는 나사를 조이면 닫히고, 풀면 열리게 된다. The air pin 23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air discharging part 2. When the screw at the top is tightened, the air pin 23 closes and is opened when the air discharging part 2 is opened.

상기 에어체크볼(24)은 일정 무게를 가진 구형의 구슬로 포집된 상기 실링패드(223)가 아래로 내려가 상기 벤트노즐(2131)의 벤트홀(213111)의 하부를 열면 공기가 벤트홀(213111)로 인입되고 인입된 공기의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높으면 들리고, 낮으면 다시 아래로 떨어져 상기 벤트노즐(2131)의 벤트홀(213111)의 상부를 막는다.When the sealing pads 223 collected in a spherical bead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re lower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vent hole 213111 of the vent nozzle 2131 is opened, the air check ball 24 is blown into the air vent hole 213111 If the pressure of the drawn-in air is higher than a certain pressure, if it is lower, it falls down again and blocks the upper part of the vent hole 213111 of the vent nozzle 2131.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탑바디부(21)는 포집된 공기가 배출되는 벤트노즐(2131)이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공기분리부(1)와 나사 결합을 위한 하부나사(2112)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있어 상기 플로트(221)가 설치된다.11, the top body part 21 is provided with a vent nozzle 2131 through which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and a lower screw 2112 for screwing the air separation part 1 to the lower part. And the float 221 is provided in the space inside.

상기 탑바디부(21)는 최하부에 형성되며, 외부에 수나사인 하부나사(2112)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분리부(1)의 공기포집부(13)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공기포집부(13)에서 포집된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2)로 올라가는 길목 역할을 하는 공기분리결합부(211)와; 상기 공기분리결합부(211)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포집된 공기와 물이 상존하고 상기 플로트부(22)가 설치되는 챔버부(212)와; 상기 챔버부(212)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챔버부(212)를 덮어주며 상기 에어핀(23)과 벤트노즐(2131)이 설치되는 탑커버부(213)로 이루어진다.The top body part 21 is formed at the lowermost part and is screwed to the air collecting part 13 of the air separating part 1 by forming a lower screw 2112 which is externally threaded to the outside, An air separation and coupling unit 211 that serves as a path for the air collected in the air discharge unit 2 to rise to the air discharge unit 2; A chamber part 212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ir separation and coupling part 211 and having the float part 22 in which the collected air and water are present; And a top cover part 213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part 212 to cover the chamber part 212 and on which the air pin 23 and the vent nozzle 2131 are installed.

상기 공기분리결합부(211)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배출부(2)를 상기 공기분리부(1)와 결합시킬 때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오링(2111)이 설치되고, 상기 오링(2111)은 오링홈(21111)에 끼워져 설치된다.An O-ring 2111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ir separation and coupling part 211 so that leakage does not occur when the air discharge part 2 is coupled with the air separation part 1. The O- And is fitted in the groove 21111.

상기 탑커버부(213)에는 상기 에어핀(23)을 설치하기 위한 상기 벤트노즐(2131)이 설치되는 노즐결합구(2132)와, 상기 플로트부(22)를 고정하기 위해 둥근머리나사(22211)가 설치되는 행거탑고정볼트홀(2133)이 형성된다.The top cover portion 213 is provided with a nozzle fitting hole 2132 in which the vent nozzle 2131 for installing the air pin 23 is installed and a round head screw 22211 for fixing the float portion 22, A hanger top fixing bolt hole 2133 is formed.

상기 챔버부(212)의 하부에는 하부걸림턱(2121)이 형성되어 상기 오링홈(21111)과 함께 상기 오링(2111)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리부(1)과의 결합 시 상기 공기분리부(1)가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못하게 한다.The lower end of the chamber part 212 is formed with a lower stop 2121 so that the O-ring 2111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O-ring groove 21111. When the O-ring 2111 is coupled with the air separation part 1, (1) prevents it from moving up any further.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플로트부(22)는 상기 탑바디부(21)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공기는 압력을 형성하고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높아지면 밑으로 내려가고 포집된 공기가 상기 벤트노즐(2131)로 배출되어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다시 물의 부력으로 올라가는 상기 플로트(221)에 의해 상기 벤트노즐(2131)이 열리고 닫혀 포집된 공기가 위로 배출되거나 배출이 중지된다.As shown in FIG. 12, the float portion 22 is installed inside the top body portion 21, and the collected air forms a pressure. When the pressure become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floated portion 22 falls down. When the vent is discharged to the vent nozzle 2131 and the pressur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vent nozzle 2131 is opened and closed by the float 221 which rises up by the buoyancy of the water, so that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upward or the discharge is stopped.

상기 플로트부(22)는 상기 챔버부(212)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공기의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높아지면 밑으로 내려가고 포집된 공기가 상기 벤트노즐(2131)로 배출되어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다시 물의 부력으로 올라가는 원통형의 상기 플로트(221)와; 상기 플로트(221)가 상기 챔버부(212) 내부에서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탑커버부(213)에 결합되는 플로트행거부(222)와; 상기 플로트행거부(222)의 일정 부분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플로트(221)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벤트노즐(2131)을 밀폐시켜 누수가 되지 않게 하거나 상기 벤트노즐(2131)을 오픈시켜 포집된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실링패드(223)로 구성된다.The float part 22 is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part 212. When the pressure of the collected air become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float part 22 is lowered and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to the vent nozzle 2131, The float 221 of the cylindrical shape rising up by the buoyancy of water again when it is lowered; A float latching part 222 coupled to the float 221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within the chamber part 212 and coupled to the top cover part 213; The vent nozzle 2131 is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f the float 221 so as to prevent leakage of water or open the vent nozzle 2131 to trap the trapped air And a sealing pad 223 for discharging the gas.

도 13은 상기 플로트부(22)의 작동에 의해 포집된 공기가 배출되지 않고 있을 때의 각 구성요소 상태(도 13-1)와 포집된 공기가 배출되고 있을 때의 각 구성요소 상태(도 13-2)를 나타낸 것으로 포집된 공기의 압력이 상기 플로트(221)의 부력보다 작을 때는 공기 배출이 되지 않고, 포집된 공기의 압력이 상기 플로트(221)의 부력보다 클 때는 공기 배출이 된다.Fig. 13 shows the state of each constituent element (Fig. 13-1) when the air trapped by the operation of the float part 22 is not discharged and the state of each constituent element when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2). When the pressure of the collected air is smaller than the buoyancy of the float 221, the air is not discharged. When the pressure of the collected air is greater than the buoyancy of the float 221, the air is discharged.

도 13-1과 같이 포집된 공기의 압력이 상기 플로트(221)의 부력보다 작을 때는 상기 플로트(221)의 부력에 의해 행거바텀(2222)이 위로 올라가 상기 실링패드(223)가 상기 벤트노즐(2131)을 밀폐시킨다.13-1, when the pressure of the collected air is smaller than the buoyancy of the float 221, the hanger bottom 2222 is lifted up by buoyancy of the float 221 and the sealing pad 223 is moved to the vent nozzle 2131).

도 13-2과 같이 포집된 공기의 압력이 상기 플로트(221)의 부력보다 클 때는 상기 플로트(221)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 같이 연결된 행거바텀(2222)도 아래로 내려가 상기 실링패드(223)가 상기 벤트노즐(2131)을 막고 있다가 벤트홀(213111)의 하부를 열게 되어 공기가 배출된다.13-2, when the pressure of the collected air is larger than the buoyancy of the float 221, the float 221 is lowered downward by the pressure of the air, so that the hanger bottom 2222, (223) closes the vent nozzle (213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vent hole (213111) is opened, so that air is discharged.

도 14와 같이 상기 플로트(221)는 상기 챔버부(212)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공기의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높아지면 밑으로 내려가고 포집된 공기가 상기 벤트노즐(2131)로 배출되어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다시 물의 부력으로 올라가는 원통형이다.14, the float 221 is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212. When the pressure of the collected air becomes higher than a certain pressure, the float 221 goes down and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to the vent nozzle 2131, Is lower than a certain pressure, it is a cylindrical type which rises again with buoyancy of water.

상기 플로트(221)에는 행거바텀(2222)의 와이어고리(22222)에 결합할 스틸와이어(2211)가 형성되며, 상기 스틸와이어(2211)가 통과하는 와이어설치홀(2212)이 형성된다.A steel wire 2211 to be coupled to the wire loop 22222 of the hanger bottom 2222 is formed in the float 221 and a wire installation hole 2212 through which the steel wire 2211 passes is formed.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플로트행거부(222)는 상기 플로트(221)가 상기 챔버부(212) 내부에서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탑커버부(213)에 결합되고, 상기 실링패드(223)가 하부에 끼워진다.15, the float row rejection 222 is coupled to the float 221 so that it can operate up and down within the chamber part 212, is coupled to the top cover part 213, The sealing pad 223 is fitted to the lower portion.

상기 플로트행거부(222)는 상기 탑커버부(213)의 행거탑고정볼트홀(2133)에 볼트로 고정되는 행거탑(2221)과; 상기 행거탑(2221)의 하부 내부에 핀(2224)으로 결합되어 상기 플로트(221)의 상하운동시 상기 핀(2224)을 고정점으로 하여 회전되며, 상기 실링패드(22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행거바텀(2222)과; 상기 핀(2224)으로 상기 행거바텀(2222)의 내부에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으로 상기 실링패드(223)가 상기 벤트노즐(2131)에 밀착되어 배관수가 상기 벤트노즐(2131)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션코일 스프링(2223)으로 구성된다.The float row rejection 222 includes a hanger tower 2221 bolted to a hanger top fixing bolt hole 2133 of the top cover 213, The float 221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anger tower 2221 by a pin 2224 and rotated with the pin 2224 as a fixed point when the float 221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sealing pad 223 is inserted and fixed A hanger bottom 2222; The sealing pad 223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ent nozzle 2131 by the resiliency of the spr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anger bottom 2222 by the pin 2224 to prevent the number of pipes from leaking to the vent nozzle 2131 And a torsion coil spring 2223 which is a spring.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행거탑(2221)은 상기 탑커버부(213)의 행거탑고정볼트홀(2133)에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행거바텀(2222)이 하부에 핀(2224)으로 결합된다.16, the hanger top 2221 is bolted to a hanger top fixing bolt hole 2133 of the top cover portion 213 and the hanger bottom 2222 is fixed to a pin 2224 at the bottom, Lt; / RTI >

상기 행거탑(2221)에는 상기 행거탑고정볼트홀에 둥근머리나사(22211)로 결합을 위한 탑커버부결합홀(22213)과, 상기 벤트노즐(2131)이 통과하는 벤트노즐통과홀(22212))과, 상기 행거바텀(2222)과 핀(2224)으로 결합되기 위한 핀통과홀(22214)이 형성된다.A top cover portion engagement hole 22213 for coupling with a round head screw 22211 to the hanger top fixing bolt hole and a vent nozzle passage hole 22212 through which the vent nozzle 2131 passes, And a pin through hole 22214 for coupling with the hanger bottom 2222 and the pin 2224 are formed.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행거바텀(2222)은 상기 행거탑(2221)의 하부 내부에 핀(2224)으로 결합되어 상기 플로트(221)의 상하운동시 상기 핀(2224)을 고정점으로 하여 회전되며, 상기 실링패드(223)가 삽입되어 고정된다.17, the hanger bottom 2222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anger column 2221 by a pin 2224 so that when the float 221 moves up and down, the pin 2224 is fixed to a fixed point And the sealing pad 223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행거바텀(2222)에는 상기 실링패드(223)가 삽입 설치되는 패드삽입홀(22221)과, 상기 토션코일 스프링(2223)과 같이 상기 행거탑(2221)에 핀(2224)으로 결합하기 위한 바텀핀통과홀(22223)과 상기 스틸와이어(2211)와 결합되는 와이어고리(22222)가 형성된다.The hanger bottom 2222 is provided with a pad insertion hole 22221 through which the sealing pad 223 is inserted and a bottom hole 2224 for coupling with the pin 2224 to the hanger top 2221 like the torsion coil spring 2223. [ A pin through hole 22223 and a wire loop 22222 coupled with the steel wire 2211 are formed.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벤트노즐(2131)은 외부에 노즐결합구(2132)에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며, 내부에 포집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벤트홀(213111)이 형성되는 벤트홀부(21311)와; 상기 벤트홀부(21311)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벤트홀(213111)이 양측으로 일정 각도로 커지는 경사부(213121)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체크볼(24)이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핀(23)과의 나사결합을 위해 암나사가 형성되는 벤트노즐본체부(2131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8, the vent nozzle 2131 is formed with a screw that is coupled to the nozzle coupling port 2132, and a vent hole 213111,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trapped in the nozzle is discharged, A hole portion 21311; An air check ball 24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nt hole portion 21311 and an inclined portion 213121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air check ball 24, And a vent nozzle body portion 21312 in which a female screw is formed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vent hole 23.

상기 벤트홀부(21311)와 벤트노즐본체부(21312)가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탑바디부(21)의 노즐결합구(2132)와의 사이에서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벤트오링(21313)이 형성된다. A vent O-ring 21313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vent hole 21311 and the vent nozzle body 21312 meet to prevent leakage between the nozzle body 2111 and the nozzle body 2132 of the top body 21.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실링패드(223)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로 제작되며, 상기 행거바텀(2222)의 패드삽입홀(22221)에 삽입하기 쉽게 하부가 뽀쪽한 원추 형상으로 최하부에 형성되는 패드원추부(2231)와; 상기 패드원추부(2231)의 중앙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행거바텀(2222)의 살두께가 끼워지는 패드원통부(2232)와; 상기 패드원통부(223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가 평면을 가져 상기 벤트노즐(2131)의 벤트홀(213111)을 막고, 상기 패드삽입홀(22221)에서 빠지지 않게 하부가 상기 패드삽입홀(22221)의 직경보다 일정 길이만큼 큰 원추기둥 형상의 패드원추기둥부(2233)로 구성된다.19, the sealing pads 223 are made of elastic silicone rubber and have a conical lower cone shape for easy insertion into the pad insertion holes 22221 of the hanger bottom 2222, A pad conic section 2231 formed on the substrate; A pad cylindrical portion 2232 formed at a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pad conical portion 2231 to receive the thickness of the hanger bottom 2222; The upper portion of the pad cylindrical portion 2232 has a flat upper surface to cover the vent hole 213111 of the vent nozzle 2131 and a lower portion of the pad insertion hole 22221 And a conical columnar pad conical column portion 2233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ad conical column portion 2233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패드원추기둥부(2233)의 상면에는 상기 벤트노즐(2131)의 벤트홀(213111)을 막기 위해 수평면을 이루는 벤트노즐 접촉부(22331)가 형성된다.A vent nozzle contact portion 2233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cone post 2233 to form a horizontal plane to block the vent hole 213111 of the vent nozzle 2131.

본 발명의 상기 공기분리배출기(A)에 따르면 상기 공급라인(3)이 배관수인입노즐(111)에 결합되고, 상기 환수라인(4)이 상기 배관수배출노즐(121)에 결합되어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특정 부유 공기뿐만 아니라 배관수에 용해되거나 혼합되어 같이 순환되고 있는 공기도 강제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오리피스홀(1211)을 통하여 바이패스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어 최적화된 공기분리배출을 수행할 수 있고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line 3 is coupled to a piping water inlet nozzle 111, and the water return line 4 is connected to the piping water discharge nozzle 121, By forming the flow path, not only the specific suspended air but also the circulated air, which is dissolved or mixed in the piping water, can be forcibly separated,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efficiently and quickly, and the flow rate bypassed through the orifice hole 1211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optimized air separation discharge and minimize heat loss.

A : 공기분리배출기
1 : 공기분리부
11 : 배관수 인입부 111 : 배관수인입노즐
1111 : 인입노즐홈 12 : 바텀바디부
121 : 배관수배출노즐 1211 : 오리피스홀
122 : 드레인노즐 1221 : 드레인밸브
13 : 공기포집부
131 : 스트레이너 1311 : 타공홀
132 : 상부나사부 133 : 스트레이너설치턱
2 : 공기배출부
21 : 탑바디부 211 : 공기분리결합부
2111 : 오링 21111 : 오링홈
2112 : 하부나사 212 : 챔버부
2121 : 하부걸림턱
213 : 탑커버부 2131 : 벤트노즐
21311 : 벤트홀부 213111 : 벤트홀
21312 : 벤트노즐본체부 213121 : 경사부
213122 : 암나사 21313 : 벤트오링
2132 : 노즐결합구 2133 : 행거탑고정볼트홀
22 : 플로트부 221 : 플로트
2211 : 스틸와이어 2212 : 와이어설치홀
222 : 플로트행거부 2221 : 행거탑
22211 :둥근머리나사 22212 : 벤트노즐통과홀
22213 : 탑커버부결합홀 22214 : 핀통과홀
2222 : 행거바텀
22221 : 패드삽입홀 22222 : 와이어고리
22223 : 바텀핀통과홀
2223 : 토션코일 스프링 2224 : 핀
223 : 실링패드 2231 : 패드원추부
2232 : 패드원통부 2233 : 패드원추기둥부
22331 : 벤트노즐 접촉부
23 : 에어핀 24 : 에어체크볼
3 : 공급라인 4 : 환수라인
A: Air separation ejector
1: air separation unit
11: number of piping inlet 111: number of piping inlet inlet nozzle
1111: Inlet nozzle groove 12: Bottom body part
121: Piping water discharge nozzle 1211: Orifice hole
122: drain nozzle 1221: drain valve
13: Air collecting part
131: Strainer 1311: Perforated hole
132: upper threaded portion 133: strainer mounting jaw
2:
21: top body portion 211: air separation coupling portion
2111: O-ring 21111: O-ring groove
2112: lower screw 212: chamber part
2121: Lower jaw
213: top cover portion 2131: vent nozzle
21311: vent hole portion 213111: vent hole
21312: vent nozzle body portion 213121: inclined portion
213122: Female thread 21313: Vent O-ring
2132: nozzle fitting 2133: hanger top fixing bolt hole
22: float part 221: float
2211: Steel wire 2212: Wire mounting hole
222: Refuse to float row 2221: Hanger Top
22211: Round head screw 22212: Vented nozzle through hole
22213: Top cover part bonding hole 22214: Pin through hole
2222: Hanger Bottom
22221: Pad insertion hole 22222: Wire loop
22223: Bottom pin through hole
2223: Torsion coil spring 2224: Pin
223: sealing pad 2231: pad conical portion
2232: Pad cylinder part 2233: Pad cone post part
22331: Vent nozzle contact
23: Air pin 24: Air check ball
3: Supply line 4: Water line

Claims (6)

냉난방시스템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는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공기분리배출기(A)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리배출기(A)는 배관의 최상부에 설치되며, 칠러(Chiller)나 히터(Heater)의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관수가 흐르는 공급라인(3)(Supply Line)과 연결되어 배관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배관수가 내부에서 유속이 감소되어 공기의 부력에 의하여 배관수로부터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던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가 분리되며, 분리된 공기는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Spiral Flow)를 형성할 때 내부에서 발생되는 원심력과 관성력에 의해 중앙으로 포집되고, 내부의 배관수와 이물질을 드레인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배관수는 열부하장치를 지난 배관수가 흐르는 환수라인(4)(Return Line)에 결합되는 공기분리부(1)와;
상기 공기분리부(1)의 상부에 결합되며, 포집된 공기 압력이 배관수의 부력보다 크면 내려가 공기가 배출되고 작으면 올라가 누수를 방지하는 플로트(221)(Float)와 공기배출을 제어하는 에어핀(23)(Air Pin)과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분리배출기(A)의 내부로 역류하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체크볼(24)(Air Check Ball)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리부(1)에서 포집된 공기가 상부로 인입되며, 공기가 가지고 있는 압력에 의해 상기 플로트(221)가 아래로 내려가 상부에 포집된 공기는 상기 에어핀(2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배출부(2)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배출부(2)는 포집된 공기가 배출되는 벤트노즐(2131)이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공기분리부(1)와 나사 결합을 위한 하부나사(2112)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있는 탑바디부(21)와;
상기 탑바디부(21)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공기는 압력을 형성하고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높아지면 밑으로 내려가고 포집된 공기가 상기 벤트노즐(2131)로 배출되어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다시 물의 부력으로 올라가는 상기 플로트(221)를 포함한 플로트부(22)와;
상기 탑바디부(21)의 벤트노즐(2131)에 설치되어 공기배출을 제어하는 상기 에어핀(23)과;
상기 벤트노즐(2131)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에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분리배출기(A)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체크볼(24)로 구성되며,
상기 탑바디부(21)는 최하부에 형성되며,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분리부(1)의 공기포집부(13)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공기포집부(13)에서 포집된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2)로 올라가는 길목 역할을 하는 공기분리결합부(211)와;
상기 공기분리결합부(211)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포집된 공기와 물이 상존하고 상기 플로트부(22)가 설치되는 챔버부(212)와;
상기 챔버부(212)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챔버부(212)를 덮어주며 상기 에어핀(23)과 벤트노즐(2131)이 설치되는 탑커버부(2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로트부(22)는 상기 챔버부(212)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공기의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높아지면 밑으로 내려가고 포집된 공기가 상기 벤트노즐(2131)로 배출되어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다시 물의 부력으로 올라가는 원통형의 플로트(221)와;
상기 플로트(221)가 상기 챔버부(212) 내부에서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탑커버부(213)에 결합되는 플로트행거부(222)와;
상기 플로트행거부(222)의 일정 부분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플로트(221)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벤트노즐(2131)을 밀폐시켜 누수가 되지 않게 하거나 상기 벤트노즐(2131)을 오픈시켜 포집된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실링패드(223)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분리결합부(211)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배출부(2)를 상기 공기분리부(1)와 결합시킬 때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오링(2111)이 설치되고,
상기 탑커버부(213)에는 상기 에어핀(23)을 설치하기 위한 상기 벤트노즐(2131)이 설치되는 노즐결합구(2132)와, 상기 플로트부(22)를 고정하기 위한 행거탑고정볼트홀(2133)이 형성되며,
상기 벤트노즐(2131)은 외부에 노즐결합구(2132)에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며, 내부에 포집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벤트홀(213111)이 형성되는 벤트홀부(21311)와;
상기 벤트홀부(21311)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벤트홀(213111)이 양측으로 일정 각도로 커지는 경사부(213121)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체크볼(24)이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핀(23)과의 나사결합을 위해 암나사가 형성되는 벤트노즐본체부(21312)로 구성되며
상기 플로트(221)에는 상기 플로트행거부(222)와 결합하기 위한 스틸와이어(2211)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와이어설치홀(2212)이 형성되며,
상기 플로트행거부(222)는 상기 탑커버부(213)의 행거탑고정볼트홀(2133)에 볼트로 고정되는 행거탑(2221)과;
상기 행거탑(2221)의 하부 내부에 핀(2224)으로 결합되어 상기 플로트(221)의 상하운동시 상기 핀(2224)을 고정점으로 하여 회전되며, 상기 실링패드(22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행거바텀(2222)과;
상기 핀(2224)으로 상기 행거바텀(2222)의 내부에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으로 상기 실링패드(223)가 상기 벤트노즐(2131)에 밀착되어 배관수가 상기 벤트노즐(2131)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션코일 스프링(22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링패드(223)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로 제작되며, 상기 행거바텀(2222)의 패드삽입홀(22221)에 삽입하기 쉽게 하부가 뽀쪽한 원추 형상으로 최하부에 형성되는 패드원추부(2231)와;
상기 패드원추부(2231)의 중앙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행거바텀(2222)의 살두께가 끼워지는 패드원통부(2232)와;
상기 패드원통부(223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가 평면을 가져 상기 벤트노즐(2131)의 벤트홀(213111)을 막고, 상기 패드삽입홀(22221)에서 빠지지 않게 하부가 상기 패드삽입홀(22221)의 직경보다 일정 길이만큼 큰 원추기둥 형상의 패드원추기둥부(22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배출기
An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A) installed in an air-conditioning system pipeline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air dissolved in piping water and floating air floating in piping water,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A is install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piping and is connected to a supply line 3 through which a number of pipes passing through a chiller or a heater heat exchanger flows, The flow rate inside the piping is reduced, and the air that has been dissolved in the piping water and the floating air that flows in the piping water are separated from the piping water by the buoyancy of the air, and the separated air forms the spiral flow The center pipe is collect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inertia force generated internally, and it is possible to drain the inside pipe number and the foreign matter. The number of the pipe to be discharged is set to the return line (4) An air separation unit (1) to be combined;
When the collected air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buoyancy of the piping water, the float 221 is floated when the collected air is lowered and the air is discharged if it is small. And an air check ball 24 for preventing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back into the inside of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A, And the air collec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at 221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fin 23.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ing portion 2 flows through the air outlet 23, And,
The air discharge unit 2 is provided with a vent nozzle 2131 through which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and a lower screw 2112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air separation unit 1 is formed in the lower part. A top body portion 21;
The collected air inside the top body 21 forms a pressure, and when the pressure becomes higher than a certain pressure, the collected air goes down and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to the vent nozzle 2131, A float section (22) including said float (221) which rises to the buoyancy of the water again;
An air pin (23) installed in a vent nozzle (2131) of the top body part (21) to control air discharge;
And an air check ball 24 installed in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vent nozzle 2131 is discharged to prevent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back into the air separation and discharge unit A,
The top body part 21 is formed at the lowermost part and is formed with an external thread to be screwed to the air collecting part 13 of the air separating part 1. The air collected in the air collecting part 13 An air separation and coupling unit 211 serving as a path to the air discharge unit 2;
A chamber part 212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ir separation and coupling part 211 and having the float part 22 in which the collected air and water are present;
And a top cover part 213 which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part 212 and covers the chamber part 212 and on which the air pin 23 and the vent nozzle 2131 are installed,
The float part 22 is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part 212. When the pressure of the collected air become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float part 22 is lowered and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to the vent nozzle 2131, A float 221 of a cylindrical shape which is lifted up by the buoyancy of the water again when it is lowered;
A float latching part 222 coupled to the float 221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within the chamber part 212 and coupled to the top cover part 213;
The vent nozzle 2131 is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f the float 221 so as to prevent leakage of water or open the vent nozzle 2131 to trap the trapped air And a sealing pad 223 for discharging the liquid,
An O-ring 2111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ir separation / coupling part 211 to prevent leakage when the air discharge part 2 is coupled with the air separation part 1,
The top cover part 213 is provided with a nozzle fitting 2132 in which the vent nozzle 2131 for installing the air pin 23 is installed and a hanger top fixing bolt hole 2132 for fixing the float part 22, (2133)
The vent nozzle 2131 has a vent hole portion 21311 formed with a screw to be coupled to the nozzle coupling hole 2132 and formed with a vent hole 213111 through which air trapped in the vent hole is discharged.
An air check ball 24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nt hole portion 21311 and an inclined portion 213121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air check ball 24, And a vent nozzle body portion 21312 in which a female screw is formed for screwing with the ventilation nozzle 23
The float 221 is formed with a wire installation hole 2212 through which a steel wire 2211 for coupling with the float row rejection 222 is inserted,
The float row rejection 222 includes a hanger tower 2221 bolted to a hanger top fixing bolt hole 2133 of the top cover 213,
The float 221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anger tower 2221 by a pin 2224 and rotated with the pin 2224 as a fixed point when the float 221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sealing pad 223 is inserted and fixed A hanger bottom 2222;
The sealing pad 223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ent nozzle 2131 by the resiliency of the spr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anger bottom 2222 by the pin 2224 to prevent the number of pipes from leaking to the vent nozzle 2131 And a torsion coil spring 2223,
The sealing pad 223 is made of elastic silicone rubber and has a pad conical portion 2231 formed at the lowermost point in a conical shape with a lower pore shape for easy insertion into the pad insertion hole 22221 of the hanger bottom 2222, Wow;
A pad cylindrical portion 2232 formed at a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pad conical portion 2231 to receive the thickness of the hanger bottom 2222;
The upper portion of the pad cylindrical portion 2232 has a flat upper surface to cover the vent hole 213111 of the vent nozzle 2131 and a lower portion of the pad insertion hole 22221 And a pad conical columnar portion 2233 having a conical columnar shape which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air conical columnar portion 2233 by a predetermined leng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리부(1)는 상기 공급라인(3)과 연결되어 배관수가 유입되며, 배관수가 내부에서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하도록 중앙에서 한쪽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배관수인입노즐(111)이 형성되는 배관수 인입부(11)와;
상기 배관수 인입부(11)의 하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일정 공간을 가지며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하면서 공급라인(3)과 환수라인(4)의 차압에 의해 소량의 배관수가 환수라인(4)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관수인입노즐(111)의 맞은편 하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인입된 배관수가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환수라인(4)에 결합되는 배관수배출노즐(121)과, 내부의 배관수를 드레인할 수 있는 바닥에 드레인노즐(122)이 형성되는 바텀바디부(12)와;
상기 배관수 인입부(11)의 상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부(2)의 하부와 상부가 나사 결합되고, 유입된 배관수가 내부에서 유속이 감소되어 공기의 부력에 의하여 배관수로부터 배관수에 용해되어 있던 공기와 배관수에 떠다니는 부유공기가 분리되어 포집되는 공기포집부(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배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eparation unit 1 is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3 to receive piping water and has piping water inlet nozzles 111 eccentrically installed at one side from the center so as to form a spiral flow therein, A water inlet portion 11;
A small amount of piping is connected to the water return line 4 by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supply line 3 and the water return line 4 while forming a spiral flow in the pipeline water inlet part 11, A pipe water discharge nozzle 121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pipe water inlet nozzle 111 and formed so as to form a spiral flow and connected to the water return line 4, A bottom body part 12 on which a drain nozzle 122 is formed on the bottom of which drainage of the piping water is possible;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air discharge part 2 are screwed to each other and the flow rate of the inflowed pipe is decreased. And an air collecting part (13) for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air dissolved in the water and the floating air floating in the pipe water,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포집부(13)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배출부(2)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레이너(131)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레이너(131)는 원형판 형상으로 내부에 불순물은 통과하지 못하고 배관수와 공기만 통과할 수 있게 일정 직경의 타공홀(13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포집부(13)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배출부(2)와 나사 결합을 위한 상부나사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수인입노즐(111)에는 스파이럴 플로를 형성시키기 위해 바로 확산되지 않고 일정 깊이까지 유로를 형성하도록 편심된 인입노즐홈(1111)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수배출노즐(121)에는 입출구 차압에 따른 유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오리피스홀(1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배출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strainer 131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trapped in the air discharge part 2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air collecting part 13,
The strainer 131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has perforations 1311 of a predetermined diamet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impurities can not pass therethrough and only the number of pipes and air can pass therethrough,
An upper screw portion 132 for screwing the air discharge portion 2 is formed in the air collecting portion 13,
In order to form a spiral flow, an eccentric lead-in nozzle groove 1111 is formed in the piping number draw-in nozzle 111 so as to form a flow path to a certain depth without being diffused directly,
An orifice hole (1211) is formed in the pipe water discharge nozzle (121) to determine a flow rate in accordance with an inlet / outlet differential press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44200A 2016-11-01 2016-11-01 Air Separating and Venting Device KR1017200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200A KR101720052B1 (en) 2016-11-01 2016-11-01 Air Separating and Ven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200A KR101720052B1 (en) 2016-11-01 2016-11-01 Air Separating and Ven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052B1 true KR101720052B1 (en) 2017-03-27

Family

ID=5849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200A KR101720052B1 (en) 2016-11-01 2016-11-01 Air Separating and Ven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0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5154A (en) * 2018-11-28 2020-06-04 株式会社光合金製作所 Suction/exhaust valv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7903U (en) * 1989-04-14 1990-11-16
KR20000014685U (en) 1998-12-30 2000-07-25 이구택 Debris Removal Device for Strip
KR200202433Y1 (en) 1999-05-26 2000-11-15 곽원복 Air separator of cooling and heating system
KR200288371Y1 (en) 2002-06-11 2002-09-09 주식회사 원일산업 Air vent for constructing facilities
KR200364715Y1 (en) 2004-06-28 2004-10-12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Air vent valve
KR100762914B1 (en) 2006-06-27 2007-10-05 주식회사 아이엠코리아가스보일러 Air vent
KR200464965Y1 (en) 2011-03-18 2013-01-25 (주)상원엔지니어링 Air separator
KR101405820B1 (en) * 2014-01-21 2014-06-11 주식회사 에이엔에이치테크 Fan coil unit with auto air vent structure
US20160009007A1 (en) * 2014-07-11 2016-01-1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discharge apparatus, imprint apparatus,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7903U (en) * 1989-04-14 1990-11-16
KR20000014685U (en) 1998-12-30 2000-07-25 이구택 Debris Removal Device for Strip
KR200202433Y1 (en) 1999-05-26 2000-11-15 곽원복 Air separator of cooling and heating system
KR200288371Y1 (en) 2002-06-11 2002-09-09 주식회사 원일산업 Air vent for constructing facilities
KR200364715Y1 (en) 2004-06-28 2004-10-12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Air vent valve
KR100762914B1 (en) 2006-06-27 2007-10-05 주식회사 아이엠코리아가스보일러 Air vent
KR200464965Y1 (en) 2011-03-18 2013-01-25 (주)상원엔지니어링 Air separator
KR101405820B1 (en) * 2014-01-21 2014-06-11 주식회사 에이엔에이치테크 Fan coil unit with auto air vent structure
US20160009007A1 (en) * 2014-07-11 2016-01-1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discharge apparatus, imprint apparatus,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5154A (en) * 2018-11-28 2020-06-04 株式会社光合金製作所 Suction/exhaust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5253A (en) Gas-liquid vortex separator-eliminator
US4475932A (en) Gas-liquid vortex separator-eliminator
JP5633079B2 (en) Automatic intake / exhaust valve device
KR101720052B1 (en) Air Separating and Venting Device
CN107269892B (en) Liquid conveying pipeline and system thereof
US6092547A (en) Double funnel float valve
CN112762222B (en) Floating ball type drain valve
JP3985238B2 (en) Action storage type siphon unit
US20130228314A1 (en) Expansion and degassing device for connecting to a circut system, in particular the circuit system of a building heating installation
CN110906029A (en) Reversing valve for water heater, water mixing device and water heater
JP6809907B2 (en) Drain pot and drain collection system
JP2016125276A (en) Float type backflow prevention valve
KR101571606B1 (en) Sea water discharge structure having breaker for reducing bubble occurrence
CN1837573A (en) High-efficiency vacuum degasifier for gas-cutting drilling liquid
US3279491A (en) Water tank and air retaining means therefor
US6129523A (en) Air purging circulator
KR200456565Y1 (en) Siphon actual condition prevention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condensate multiple handling system
US20050089420A1 (en) Circulation pump
CN2380785Y (en) Pressure-equalized continuous water-discharging type steam bleeder
US3431708A (en) Vacuum line closure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on chambers in ground-water pumping systems
CN208911723U (en) A kind of moisture trap
CN220056431U (en) Vortex vacuum degasser
RU2314140C2 (en) Installation of discharge of the associated water
CN215822761U (en) Gravity sensing filler washes spray column
KR100333442B1 (en) Air separator of aircondi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