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264B1 -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264B1
KR101719264B1 KR1020100133195A KR20100133195A KR101719264B1 KR 101719264 B1 KR101719264 B1 KR 101719264B1 KR 1020100133195 A KR1020100133195 A KR 1020100133195A KR 20100133195 A KR20100133195 A KR 20100133195A KR 101719264 B1 KR101719264 B1 KR 10171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formation
broadcas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1592A (ko
Inventor
정영호
안충현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264B1/ko
Priority to US13/335,551 priority patent/US20120164938A1/en
Publication of KR2012007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mage modifying data, e.g. handwritten addenda, highlights 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되는 동영상 또는 방송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은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방송 콘텐츠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양방향 증강 현실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ASED ON BROADCASTING}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되는 동영상 또는 방송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 서비스는, 1990년대 초 보잉사에서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해 항공기의 배선 조립 업무를 보조하는 시스템을 개발한 것으로 시작되었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에 내장된 카메라,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광대역 무선 접속 장치, 기울기 센서, 디지털 나침반 등을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서비스들이 선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센서를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은 교육, 게임, 광고, 스포츠, 관광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영상 인식 기반 증강 현실로 진화하고 있다. 영상 인식 기반 증강 현실은 카메라에 포착된 사물을 직접 인식하거나 마커(marker)를 통해 사물을 간접 인식한 후 증강 현실 정보를 오버레이(overlay) 하는 것으로, 지피에스(GPS) 수신이 어려운 실내에서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비즈니스 도구로 활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물리적인 현실 세계 위에 디지털 정보를 겹쳐 보이게 함으로써 현실감을 향상시키는 증강 현실과 교육, 광고, 스포츠, 관광 콘텐츠 등에 파급력이 강한 방송의 융합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는 방송에 적용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가 방송 영상에 합성된 형태로 단방향으로 시청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는 증강 현실 정보에 대한 시청자 선택권을 제한함은 물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증강 현실 콘텐츠의 양방향 서비스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스마트 폰을 통해 증강 현실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으나, 스마트 폰의 작은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는 현실감 및 몰입감 향상에 그 한계가 존재한다.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방송 콘텐츠를 수용하는 모든 방송 수신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 장치에서 방송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양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 또는 방송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양방향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은,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증강 현실 연동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참조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증강 현실 서비스에 접속이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 현실 서비스 접속에 대한 요청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요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에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 주변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휴대용 단말 장치로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기준 마커 정보를 휴대용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기준 마커 정보에 따라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를 입력하고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에 상기 기준 마커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기준 마커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하고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마커 정보의 이미지를 카메라를 통해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방송 콘텐츠에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부가하여 송출하는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장치; 상기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가 부가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받는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주변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 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는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요청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해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준 마커 정보를 주변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 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는 상기 제공된 기준 마커 정보에 따라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해 전송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는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제어 정보에 따라 검색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되는 동영상 또는 방송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 장치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양방향 서비스 요구를 수용할 수 있으며, 방송 및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들이 보유한 콘텐츠 간의 융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간의 연결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증강 현실 연동 정보에 포함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간의 연결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 디엠비(DMB) 방송,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등의 방송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되는 동영상 또는 방송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교육, 광고, 게임, 지도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의 다양한 증강 현실 콘텐츠(augmented reality contents)가 양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1000)은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100),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200), 및 방송 수신 장치(300)로 구성된다.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100)은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포함시켜 방송 콘텐츠를 제작한다.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100)은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해서 증강 현실 연동 정보 제작 및 전송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100)은 제작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방송 수신 장치로 송출한다. 또한,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100)은 방송 콘텐츠 제작시 영상 데이터에 포함시킨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200)을 예시하였으나,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들이 운영하는 복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들이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1000)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200)은 복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들(210 및 220)을 포함한다.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들(210 및 220) 각각은 방송 수신 장치(300)로부터 증강 현실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를 전송한 방송 수신 장치(3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들(210 및 220) 각각은,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 해당 증강 현실 콘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300)로 제공한다.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200)은 증강 현실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들(210 및 220) 각각은 서로 다른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1(210)은 방송 콘텐츠와 연동되는 관광과 관련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wi-fi)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N(220)은 방송 콘텐츠와 연동되는 지도 정보와 관련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wi-fi)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텔레비전(TV), 디엠비(DMB)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예를 들면, 디엠비(DMB) 폰), 다양한 종류의 셋 톱 박스(예를 들면,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오티티(OTT),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수신하기 위한 셋 톱 박스),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 장치(300)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수신된 방송 콘텐츠로부터 증강 현실 서비스 연동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210 또는 220)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방송 수신 장치(300)가 접속할 수 있는 최적의 망을 통해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210 또는 220)로 전송된다.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1000)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한다.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100)은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포함한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고, 제작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300)로 전송한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증강 현실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200)은 증강 현실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증강 현실 콘텐츠를 검색한다.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200)은 검색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300)로 전송한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내부에 장착 또는 분리된 카메라, 및 기준 마커(marker)를 통해 양방향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여기에서, 기준 마커는 증강 현실 연동 정보 제작 및 전송 서버(130)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210 또는 220)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100)은 영상 촬영 장치(110), 미디어 프로세서(120), 증강 현실 연동 정보 제작 및 전송 서버(130), 멀티플렉서(140), 및 전송 서버(150)를 포함한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방송용 카메라와 같이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이하, '영상 데이터'라 칭함)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할 당시의 증강 현실 기초 정보를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증강 현실 기초 정보는 영상 촬영 장치(110)의 위치 좌표, 방향, 또는 움직임 정보 등을 의미한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증강 현실 기초 정보를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시키기 위해서, 증강 현실 기초 정보 수집 장치(111)를 포함한다. 증강 현실 기초 정보 수집 장치(111)는 지피에스(GPS) 모듈,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기울기 센서, 자이로스코프, 또는 디지털 나침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연동 정보 제작 및 전송 서버(130)는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제작하여 멀티플렉서(14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증강 현실 연동 정보는 후술되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증강 현실 연동 정보 제작 및 전송 서버(130)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도 1의 210 또는 220)와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동기화시킨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증강 현실 기초 정보는 영상 촬영 장치(110)를 통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증강 현실 기초 정보는 증강 현실 연동 정보 제작 및 전송 서버(130)를 통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140)는 증강 현실 연동 정보 제작 및 전송 서버(130)를 통해 제공된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미디어 프로세서(120)를 통해 전달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증강 현실 연동 정보가 포함된 방송 콘텐츠는 전송 서버(150)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도 1의 300)로 전송된다.
도 3은 증강 현실 연동 정보에 포함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증강 현실 연동 정보는 증강 현실 기초 정보, 증강 현실 콘텐츠 관련 정보, 마커 이미지 관련 정보, 큐알(QR: quick response) 코드 관련 정보, 및 양방향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증강 현실 기초 정보는 영상 촬영 장치(도 2의 110)의 위치 좌표, 방향, 움직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증강 현실 콘텐츠 관련 정보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안내 정보,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 링크 정보 등을 포함한다. 마커 이미지 관련 정보는 마커 이미지, 마커 이미지 다운로드 링크 정보 등을 포함한다. QR 코드 관련 정보는 QR 코드 정보, QR 코드 다운로드 링크 정보 등을 포함한다. 양방향 서비스 관련 정보는 양방향 서비스 안내 정보,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 링크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처리(예를 들면, 렌더링(rendering) 등) 주체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 및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230)는 증강 현실 서비스 엔진(232)을 포함하고, 방송 수신 장치(400)는 증강 현실 서비스 엔진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렌더링 등의 처리를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230)가 담당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클라우드 개념이 적용된 하나의 예이다. 이러한 구성은, 방송 수신 장치(400) 내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방송 수신 장치(400)의 하드웨어 구성이 단순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방송 수신 장치(400)가 휴대용 장치인 경우에 고려될 수 있는 전원 공급 문제로부터 자유로워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500)는 증강 현실 서비스 엔진(512)을 포함하고,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240)는 증강 현실 서비스 엔진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렌더링 등의 처리를 방송 수신 장치(500)가 담당한다. 이러한 구성은, 방송 수신 장치(500)가 실시간으로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수시로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처리 요청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예시된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 및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은 증강 현실 서비스 사업자 및 방송 수신 장치 제조사 등의 이해 관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와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의 연동 절차를 보여준다.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전송되는 방송 콘텐츠를 파싱(parsing)하여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수신한다(S110 단계). 즉,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방송 콘텐츠에 증강 현실 연동 정보가 포함되어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방송 콘텐츠에 증강 현실 연동 정보가 포함된 경우,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서비스 접속 가능 여부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연동에 대한 요청을 확인한다(S120 단계).
사용자로부터 증강 현실 서비스 연동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증강 현실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S130 단계).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생성된 요청 메시지를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로 전송한다(S140 단계).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전송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S150 단계).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증강 현실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요청한 방송 수신 장치 또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것이다. 만약, 제공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가 무료로 제공되는 경우, S15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인증 처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수신된 증강 현실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S160 단계).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증강 현실 콘텐츠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S170 단계).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검색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로 전송한다(S180 단계). 방송 수신 장치는 장착된 증강 현실 서비스 엔진을 통해 방송 콘텐츠와 연동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한다(S190 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 휴대용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 및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의 연동 절차를 보여준다.
텔레비전(TV)과 같이 여러 사람이 시청 가능한 형태의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가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받게 되면, 함께 시청하는 사용자는 증강 현실 콘텐츠로 인해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휴대용 단말 장치를 통해 증강 현실 콘텐츠가 제공될 것이다.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전송되는 방송 콘텐츠를 파싱하여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수신한다(S205 단계). 즉,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방송 콘텐츠에 증강 현실 연동 정보가 포함되어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방송 콘텐츠에 증강 현실 연동 정보가 포함된 경우, 방송 수신 장치의 서비스 에이전트는 방송 수신 장치 주변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 장치의 유무를 확인한다(S210 단계). 여기에서, 휴대용 단말 장치는 방송 콘텐츠와 증강 현실 콘텐츠 모두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이거나, 증강 현실 콘텐츠만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주변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 장치의 유무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그 결과를 자동적으로 갱신할 것이다.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한다(S215 단계).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생성된 메시지를 휴대용 단말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로 전송한다(S220 단계).
휴대용 단말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서비스 접속 가능 여부 및 관련 정보를 휴대용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한다(S225 단계). S225 단계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연동에 대한 요청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증강 현실 서비스 연동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증강 현실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S230 단계). 휴대용 단말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생성된 요청 메시지를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로 전송한다(S235 단계). S235 단계에 있어서, 생성된 요청 메시지는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수신된 증강 현실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S240 단계). S240 단계 이전에,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증강 현실 콘텐츠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S245 단계).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검색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휴대용 단말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로 전송한다(S250 단계). 휴대용 단말 장치는 장착된 증강 현실 서비스 엔진을 통해 방송 콘텐츠와 연동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한다(S255 단계).
만약, 휴대용 단말 장치에 증강 현실 서비스 엔진이 포함되어있지 않고, 방송 수신 장치에 증강 현실 서비스 엔진이 포함된 경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검색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의 증강 현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장착된 증강 현실 서비스 엔진을 통해 증강 현실 콘텐츠를 휴대용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휴대용 단말 장치를 이용해 증강 현실 콘텐츠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절차를 보여준다.
기준 마커 기반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이에 출력된 기준 마커 이미지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고, 이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어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기준 마커를 종이에 출력하거나 출력된 기준 마커를 구해야 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휴대용 단말 장치를 통해 증강 현실 콘텐츠 제어 정보를 생성할 것이다.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는 기준 마커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S305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마커 정보는 증강 현실 연동 정보에 포함된 정보이다. 기준 마커 정보는 마커 이미지 또는 QR 코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수신된 기준 마커 정보를 휴대용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310 단계). 휴대용 단말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전화, 스마트 리모컨, 스마트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예를 들면, 액정 화면)를 포함한다.
도 8에서는 기준 마커 정보가 방송 수신 장치를 거쳐서 휴대용 단말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기준 마커 정보가 방송 수신 장치를 거치지 않고 휴대용 단말 장치로 직접 전송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휴대용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기준 마커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S315 단계). 예를 들면, 사용자는 기준 마커 정보가 화면에 표시된 휴대용 단말 장치를 움직여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 정보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어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된다(S320 단계). 예를 들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기준 마커의 모양이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된다. 여기에서, 카메라는 휴대용 단말 장치 또는 방송 수신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장착된 증강 현실 서비스 엔진을 통해 기준 마커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한 후, 제어 정보를 추출한다(S325 단계). 추출된 제어 정보는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화면 제어 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방송 수신 장치는 추출된 제어 정보를 바탕으로 증강 현실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30 단계).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는 수신된 증강 현실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S335 단계). S335 단계 이전에,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는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증강 현실 콘텐츠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S340 단계). 증강 현실 콘텐츠 서버는 검색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S345 단계). 방송 수신 장치는 장착된 증강 현실 서비스 엔진을 통해 방송 콘텐츠와 연동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한다(S350 단계).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 또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조가 다양하게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1000 :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00 :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
200 :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300 : 방송 수신 장치

Claims (20)

  1.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수신 장치가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증강 현실 연동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참조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가 상기 요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주변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증강 현실 서비스에 접속이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가 상기 증강 현실 서비스 접속에 대한 요청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가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장치가 상기 방송 콘텐츠에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검색된 휴대용 단말 장치로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8. 삭제
  9.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가 기준 마커 정보를 휴대용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가 상기 제공된 기준 마커 정보에 따라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가 방송 수신 장치로 상기 제어 정보를 입력하고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가 상기 요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에 상기 기준 마커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가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상기 검색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가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기준 마커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가 방송 수신 장치로 상기 제어 정보를 입력하고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가 카메라를 통해 상기 기준 마커 정보의 이미지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15.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에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부가하여 송출하는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장치;
    상기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송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가 부가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받는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증강 현실 연동 정보를 주변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 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는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요청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받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해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받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준 마커 정보를 주변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 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 장치는 상기 제공된 기준 마커 정보에 따라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장치는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제어 정보에 따라 검색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100133195A 2010-12-23 2010-12-23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1719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195A KR101719264B1 (ko) 2010-12-23 2010-12-23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US13/335,551 US20120164938A1 (en) 2010-12-23 2011-12-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ased on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195A KR101719264B1 (ko) 2010-12-23 2010-12-23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592A KR20120071592A (ko) 2012-07-03
KR101719264B1 true KR101719264B1 (ko) 2017-03-23

Family

ID=4631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195A KR101719264B1 (ko) 2010-12-23 2010-12-23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64938A1 (ko)
KR (1) KR101719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29A1 (ko) * 2011-11-22 2013-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tv 방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3116901A1 (en) * 2012-02-08 2013-08-15 Fairweather Corporation Pty Ltd. Computing device for facilitating discounting and promotions using augmented reality
US20130328930A1 (en) * 2012-06-06 201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KR20140021231A (ko) * 2012-08-09 2014-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방송 메타데이터 전송 장치, 사용자 단말, 증강방송 메타데이터 전송 방법과 재생 방법
KR101955723B1 (ko) * 2012-08-22 2019-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9426506B2 (en) 2012-08-22 2016-08-23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Apparatuses for providing and receiving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 in hybrid broadcasting environment
KR102130733B1 (ko) * 2012-08-22 2020-07-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이브리드 환경에서의 증강 서비스 제공장치 및 수신장치
KR102077305B1 (ko) * 2013-05-09 2020-0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05703B1 (ko) 2014-04-18 2021-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사업자 장치, 콘텐츠 사업자 장치, 수신 단말 및 증강방송 서비스 방법
US10692289B2 (en) 2017-11-22 2020-06-23 Google Llc Positional recognition f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11151792B2 (en) 2019-04-26 2021-10-19 Google Ll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persistent mappings in augmented reality
US11163997B2 (en) 2019-05-05 2021-11-02 Google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venue based augmented reality
US11113713B2 (en) * 2019-08-22 2021-09-07 Edatanetworks Inc. Linking a transaction with a merchant to an interaction with an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US11385856B2 (en) * 2020-10-23 2022-07-12 Streem, Llc Synchronizing positioning systems and content sharing between multiple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030B1 (ko) * 2010-04-30 2010-12-16 (주)올라웍스 단말 장치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및 상기 입력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7127B1 (en) * 1996-10-16 2001-11-13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user real-time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US6175343B1 (en) * 1998-02-24 2001-01-16 Anivi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overlay of computer-generated effects onto a live image
KR100651508B1 (ko) * 2004-01-30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지역 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1309176B1 (ko) * 2006-01-18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 장치 및 방법
KR101285360B1 (ko) * 2007-01-25 2013-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관심 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039611B1 (ko) * 2009-04-16 2011-06-0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
US8645220B2 (en) * 2009-08-28 2014-02-04 Homer Tlc,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in connection with a stored value token
KR101096392B1 (ko) * 2010-01-29 2011-12-22 주식회사 팬택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8963954B2 (en) * 2010-06-30 2015-02-24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constant level of information in augmented reality
US20120019557A1 (en) * 2010-07-22 2012-01-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KR101347518B1 (ko) * 2010-08-12 2014-01-07 주식회사 팬택 필터의 선택이 가능한 증강 현실 사용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증강 현실 서버
US8941559B2 (en) * 2010-09-21 2015-01-27 Microsoft Corporation Opacity filter for display device
US9710554B2 (en) * 2010-09-23 2017-07-1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group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US8676623B2 (en) * 2010-11-18 2014-03-18 Navteq B.V. Building directory aided navigation
KR101763887B1 (ko) * 2011-01-07 201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간 동기화된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콘텐츠 동기화 장치 및 방법
WO2011137764A2 (zh) * 2011-05-11 2011-11-10 华为终端有限公司 实现增强现实应用的方法及系统
KR20130097554A (ko) * 2012-02-24 2013-09-03 주식회사 팬택 증강 현실 서비스를 위한 유해성 검증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030B1 (ko) * 2010-04-30 2010-12-16 (주)올라웍스 단말 장치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및 상기 입력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592A (ko) 2012-07-03
US20120164938A1 (en)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264B1 (ko) 방송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US915916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control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070204014A1 (en) Mobile Webcasting of Multimedia and Geographic Position for a Real-Time Web Log
CN104054111A (zh) 用于无线通信装置的免提增强现实
EP2482537A1 (en) Terminal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02421012A (zh) 一种获得电视节目截屏图片的方法和系统
KR20150083355A (ko) 증강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30283329A1 (en) System for applying metadata for object recognition and event representation
JP2011166589A (ja) 携帯端末および情報提示方法
KR20150072209A (ko) 멀티스크린 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수신방법 및 그 시스템
JP5773747B2 (ja) 端末連携システム、受信機及び情報処理端末
KR20140066547A (ko)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
US20130117798A1 (en) Augmenting content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augmented broadcasting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augmented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1246224A (zh) 一种视频直播方法及视频直播系统
JP2015037242A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87392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gmented broadcast content using augmentation region information
JP2012244340A (ja) 受信機連携システム
US20130091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broadcast content and metadata for augmented broadcasting,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augmenting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augmented broadcast content
JP2012244338A (ja) 端末連携システム
KR20190021814A (ko) 방송 영상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10226B1 (ko) 컨텐츠 지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64677A (ko) 위치 및 방향 정보에 기반한 지도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서비스 방법
KR20140083569A (ko) 컨텐츠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하여 동일한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US88811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gmented broadcast content using analysis algorithm based on reference signal
KR20130016872A (ko)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