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316B1 - Coffee Brewing Machine Using Centrifugal Force - Google Patents

Coffee Brewing Machine Using Centrifugal Fo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316B1
KR101716316B1 KR1020160100667A KR20160100667A KR101716316B1 KR 101716316 B1 KR101716316 B1 KR 101716316B1 KR 1020160100667 A KR1020160100667 A KR 1020160100667A KR 20160100667 A KR20160100667 A KR 20160100667A KR 101716316 B1 KR101716316 B1 KR 10171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steam
mixing
case
rota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6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헌
마틴 안톤 페르뮬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316B1/en
Priority to PCT/KR2017/0044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20447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2Centrifuges for producing filtered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8Clips, rings, hooks, or like devices to support filter parts while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liquid extracting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xing case having a penetration hole longitudinally penetrated in the center thereof; a raw ingredient supplying member inserted in and installed through the penetration hole of the fixing case, and having a flow pathway for feeding coffee powder and hot water; a stator including cores formed on the fixing case at constan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nd including a coil wound on the cores and having electrical power applied thereto; a rotation case installed at the bottom side of the fixing case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case, including a filter accommodation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penetration hole of the fixing case, and including an extraction hole penetrated therein to have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mixing member installed in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rotation case, including a feed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way of the raw ingredient supplying member, and including a mixing unit having a top surface communicating with the bottom of the feeding part and disposed in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with an opened side surface par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accommodate coffee powder and hot water fed through the feeding part; and a filter installed between the side surface part of the mixing unit and the extraction hole in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rotation case, and allowing only a liquid to pass therethrough without allowing coffee powder to pass therethrough.

Description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Coffee Brewing Machine Using Centrifugal Force}{Coffee Brewing Machine Using Centrifugal Force}

본 발명은 커피액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을 케이스 내에 투입하고, 케이스를 스테이터와 로터의 영구자석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으로 고속으로 회전시켜 원심력으로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case in which coffee powder and hot water are put into a case and the case is rotated at a high speed by an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a stator and a permanent magnet of a rotor, To a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using centrifugal force.

일반적으로, 커피숍이나 가정에서 원두 커피 분말을 이용한 원두 커피액 추출방식은 에소프레소라고 하는 가압방식과 가정에서 흔히 추출하는 드립방식이 사용된다.Generally, in the coffee shop or home, a method of extracting coffee beans using coffee bean powder is a pressurizing method called an espresso and a drip method commonly extracted in the home.

상기 가압방식은 기계에 압력을 가하여 원두 커피액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단시간내에 많이 추출할 수 있는 반면, 침전물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립방식은 보통 종이필터에 분말 커피를 넣고 위에서 물을 떨어트려 자연적으로 흘러내리는 원두 커피액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The pressurizing method is a method of extracting a coffee bean liquid by applying pressure to a machine, and can extract a large amount of coffee beans in a short tim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precipitate is generated. The drip method is a method of putting powdered coffee into an ordinary paper filter and extracting the coffee bean liquid flowing naturally by dropping water from above.

이러한 기존의 가압방식 또는 드립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경우, 온수의 체류 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커피 분말의 풍미를 손상하는 성분(예를 들면 쓴맛의 성분)까지도 추출되어 버려서 커피의 풍미를 손상할 가능성이 있다.When the coffee is extracted by the conventional pressurization method or drip method, the residence time of the hot water tends to be excessively long. Therefore, components (for example, a bitter component) that compromises the flavor of the coffee powder are also extracted, There is a possibility of damage.

한국 공개특허 제1990-0007373호 등에 개시된 원심 추출형의 커피액 추출장치는 커피 분말이 수용되는 용기 내에 뜨거운 물을 투입하고 모터를 이용하여 용기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을 발생시켜, 뜨거운 물이 용기 내측의 여과망에 압착된 커피 분말을 통과하게 하여 커피액을 추출함으로써 커피액이 더욱 부드러운 풍미를 갖게 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0-0007373 discloses a centrifugal extracting type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which introduces hot water into a container containing coffee powder and rotates the container at a high speed by using a motor to generate centrifugal force, A method in which coffee powder pressed through an inner filter net is passed through to extract a coffee liquor so that the coffee liquor has a softer flavor is also used.

그런데, 이러한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 방식을 구현하는 종래의 커피액 추출장치는 모터의 축이 커피 분말이 투입되는 용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풀리와 벨트 등의 동력 전달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를 분리하여 세척하기가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워 위생상의 문제가 있으며, 원심 추출시에 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요구되는 등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for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using the centrifugal force, the axis of the moto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ainer into which the coffee powder is inputted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mechanism such as a pulley and a bel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problem of hygiene because it is impossible or difficult to separate the container from the container, and a structure is required to prevent the coffee powder and the hot water from scattering to the outside during centrifugal extraction.

미국 등록특허 US4962693US registered patent US4962693 한국 등록특허 제10-1618383호Korean Patent No. 10-1618383 한국 공개특허 제1990-000737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0-000737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에 전기를 인가받는 코일을 구비한 스테이터를 구성하고, 커피분말이 투입되는 회전케이스에 상기 스테이터와 마주보는 영구자석을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스테이터와 영구자석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케이스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커피액을 원심력에 의해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케이스를 고정케이스에 대해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며, 전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회전 제어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or having a coil to which electricity is applied to a stationary case fixed to a main body, The rotating case is rotated at a high spe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tator and the permanent magnet by arranging the permanent magnets to be view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coffee liquid can be extract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o provide a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using centrifugal force which can simplify the entire structure and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ways by rotation contro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피액 추출장치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케이스와; 상기 고정케이스의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되고 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이 투입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원료공급부재와; 상기 고정케이스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코어 및 상기 코어에 권선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고정케이스의 하측에 고정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케이스의 관통공과 연통되는 필터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일단이 상기 필터수용공간과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통되어 커피액을 배출하는 추출구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케이스와; 상기 회전케이스에 상기 스테이터와 마주보게 설치되어 스테이터와 함께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회전케이스의 회전 운동을 일으키는 영구자석과; 상기 회전케이스의 필터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원료공급부재의 유로와 연통되는 투입부와, 상부면이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연통되고 측면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되어 상기 필터수용공간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을 수용하는 믹싱부를 구비한 믹싱부재; 그리고, 상기 회전케이스의 필터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믹싱부의 측면부와 상기 추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커피 분말은 통과시키지 않고 액체만 통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comprising: a stationary case having a through-hole penetrating vertically; A raw material supply member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xed case and having a flow path for supplying coffee powder and hot water; A stator having a co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fixed case, and a coil wound around the core and being supplied with power; And a filter accommodat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of the fixing case,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rotary case having an extraction port formed therethrough; A permanent magnet installed in the rotary case so as to face the stator and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together with the stator to caus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ry case; A feed portion provid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rotary case and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of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and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n upper surface communicat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ion and an open side portion, A mixing member having a mixing portion for receiving coffee powder and ho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troduction portion; And a filter install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mixing unit and the extraction port in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rotary case and allowing only the liquid to pass without passing the coffee powder.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케이스에 전기를 인가받는 코일을 구비한 스테이터가 구성되고, 커피분말이 투입되는 회전케이스에 상기 스테이터와 마주보는 영구자석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스테이터와 영구자석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케이스가 고속으로 회전하여 커피액을 원심력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tor having a coil to which electricity is applied to a stationary case, wherein a permanent magnet facing the stator is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 rotary case into which coffee powder is introduced, The rotating case rotates at a high spe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nd the coffee liquid can be extracted by the centrifugal force.

따라서 회전케이스를 고정케이스에 대해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며, 전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rotary case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leaned from the fixed case, and the entir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또한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회전케이스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 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커피 추출 시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case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coil, and the rotation speed can be easily controlled, the rotation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ways when extracting coffee.

특히 스테이터와 영구자석 간의 전기적인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회전케이스를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비상 상황에서 회전케이스를 안전하게 정지시켜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rotating case can be stopped by using an electric brake between the stator and the permanent magnet, there is an effect that safety can be prevented by stopping the rotating case safely in an emergency situa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장치의 단면도로, 도 1은 커피액을 추출하는 상태이고, 도 2는 커피액 추출 후 커피분말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커피액 추출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피액 추출장치의 제2회전케이스와 믹싱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피액 추출장치의 분산부재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커피액 추출장치의 분산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피액 추출장치의 추출구에 코크가 추가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적용된 코크의 정면도와 측면도 및 배면도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커피액 추출장치의 회전케이스가 일체형으로 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장치의 단면도로, 도 10은 커피액을 추출하는 상태이고, 도 11은 커피액 추출 후 커피분말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0의 커피액 추출장치의 일부분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장치의 주요 부분을 절단하여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커피액 추출장치의 버퍼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버퍼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버퍼유닛을 구성하는 버퍼부재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커피액 추출장치의 버퍼유닛의 작동례를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1 and 2 are sectional views of a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shows a state of extracting coffee liquid, FIG. 2 shows a state of discharging coffee powder residue to the outside after extracting coffee liquid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ffee-liquid extracting apparatus of Fig. 1 in an exploded stat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rotating case and the mixing member of the coffee-liquid extracting apparatus of Fig.
5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ng member of the coffee-liquid extracting apparatus of Fig. 1;
Fig. 6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dispersing member of the coffee-liquid extracting apparatus of Fig. 1;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ck is additionally mounted on an extraction port of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of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cock applied to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rotating case of the coffee-liquid extracting apparatus of Fig. 1 is integrated.
10 and 11 are sectional views of a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 state of extracting coffee liquid, FIG. 11 shows a state of discharging coffee powder residue to the outside after extracting coffee liquid .
1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of Fig.
FIG. 1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ffer unit of the coffee-liquid extracting apparatus shown i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ffer unit shown in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ffer member constituting the buffer unit shown in Fig. 14 as viewed from below.
Fig. 17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buffer unit of the coffee-liquid extracting apparatus shown in Fig. 1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using centrifugal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장치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케이스(10)와; 상기 고정케이스(10)의 관통공(11)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되고 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이 투입되는 유로(40a)가 형성되어 있는 원료공급부재(40)와; 상기 고정케이스(10)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코어(21) 및 상기 코어(21)에 권선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코일(22)을 포함하는 스테이터(20)와; 상기 고정케이스(10)의 하측에 고정케이스(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케이스(10)의 관통공(11)과 연통되는 필터수용공간(32a)을 구비하고, 일단이 상기 필터수용공간(32a)과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통된 추출구(33)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케이스(30)와; 상기 회전케이스(30)에 상기 스테이터(20)와 마주보게 설치된 영구자석(25)과; 상기 회전케이스(30)의 필터수용공간(32a) 내에 설치되며, 상기 원료공급부재(40)의 유로(40a)와 연통되는 투입부(51)와, 상부면이 상기 투입부(51)의 하부에 연통되고 측면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되어 상기 필터수용공간(32a)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부(51)를 통해 투입된 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을 수용하는 믹싱부(52)를 구비한 믹싱부재(50); 그리고, 상기 회전케이스(30)의 필터수용공간(32a)의 측면부에 상기 믹싱부(52)의 측면부를 막도록 설치되어 커피 분말은 통과시키지 않고 유체(커피액)만 통과시키는 필터(60)를 포함한다. 1 to 8, a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ionary case 10 having a through hole 11 vertically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A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 of the fixed case 10 and having a flow path 40a into which coffee powder and hot water are introduced; A stator 20 including a core 21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ed case 10 and a coil 22 wound around the core 21 and receiving power; And a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rotatab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ed case (10) with respect to the fixed case (10) and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11) of the fixed case (10) A rotary case 30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and having an extraction port 33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t the other end to penetrate therethrough; A permanent magnet (25) installed in the rotary case (30) so as to face the stator (20); A charging part 51 provid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of the rotary case 30 and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40a of the raw material supplying member 40; And a mixing part (52) dispos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art (51) and receiving the coffee powder and the ho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troducing part (51) 50); A filter 6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of the rotary case 30 so as to close the side surface of the mixing part 52 and allows only the fluid (coffee liquid) to pass without passing the coffee powder. .

상기 고정케이스(10)는 중앙에 관통공(1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통 형태로 이루어져, 커피액 추출장치의 본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케이스(10)의 하부에는 상기 스테이터(20)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링 형태로 된 스테이터브라켓(14)이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The stationary case 1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through hole 11 vertically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and is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A ring-shaped stator bracket 14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case 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tator bracket 14 is fixed to the stator 20.

상기 스테이터(20)는 상기 스테이터브라켓(14)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코어(21)와, 상기 코어(21)에 권선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전도성 금속 재질의 코일(22)을 포함한다. The stator 20 includes a core 21 of a conductive material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stator bracket 14 and a coil 22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wound on the core 21 and being supplied with power .

상기 회전케이스(30)는 외주면에 상기 영구자석(25)이 고정되게 설치된 링 형태로 된 제1회전케이스(31)와, 상기 제1회전케이스(31)의 하측에 클램프(35)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필터수용공간(32a)이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케이스(32)를 포함한다. The rotary case 30 includes a first rotary case 31 having a ring shape and having the permanent magnet 25 fix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rotary case 31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otary case 31 by a clamp 35. [ And a second rotary case (32) which is coupled to the filter housing space (32a).

상기 제1회전케이스(31)에 설치되는 영구자석(25)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것들이 교대로 배열되어 스테이터(20)와 함께 제1회전케이스(31)를 회전시키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The permanent magnets 25 provided in the first rotary case 31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lternately arranged with different polarities to form the first rotary case 31 together with the stator 20, Thereby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for rotating the rotor.

상기 제1회전케이스(31)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케이스(10) 사이에는 베어링(15)이 설치되어 제1회전케이스(31)가 고정케이스(1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케이스(31)와 제2회전케이스(32)는 개별체로 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회전케이스(31)의 외주면 하부에는 상기 클램프(35)의 상단부가 걸려져 결합되는 결합홈(37)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프(35)는 하부가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의 외주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가 'ㄱ'자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37)에 탄력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클램프(35)의 하단부는 스프링(36)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클램프(35)의 상단부가 결합홈(37) 내측에 단단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A bearing 15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tary case 31 and the fixed case 10 so that the first rotary case 31 can rotate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fixed case 10. The first rotary case 31 and the second rotary case 3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 coupling groove 37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otary case 31 to engage with the upper end of the clamp 35. In this embodiment, the clamp 35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and the upper end of the clamp 35 is bent in a " do. The lower end of the clamp 35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36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lamp 35 remains tight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groove 37 in the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상기 제2회전케이스(32)는 중앙부에 개구부(31a)가 관통되게 형성된 링 형태를 가지며, 하측에 커피 분말을 외부로 배출할 때 커피 분말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원추형의 스커트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의 일측면에는 커피액을 외부로 추출하기 위한 추출구(33)가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추출구(33)는 내측 단부가 필터수용공간(32a)과 연통되고, 외측 단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추출구(33)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개가 제2회전케이스(3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추출구(33)들은 필터수용공간(32a) 내측면에 링 형태로 형성된 추출가이드유로(33a)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The second rotary case 32 has a ring shape having an opening 31a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conical skirt portion 34 for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the coffee powder when the coffee powd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Respectively. 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an extraction port 33 for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to the outside is formed in a lateral direction. The extraction port 33 has an inn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and an out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ne or more extraction ports 33 may be formed, but a plurality of extraction ports 33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The plurality of extraction ports 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xtraction guide channel 33a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상기 개구부(31a)에는 상기 믹싱부재(50)의 투입부(51) 외면에 상향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돌기(51a)가 각각 삽입되어 상하로 안내되는 복수의 가이드홈(31b)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31b are vertically guided in the opening 31a by inserting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51a extending upward in the upward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51 of the mixing member 50, As shown in FIG.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의 필터수용공간(32a) 내측에는 상기 필터(6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60)는 링 형태의 그물망 또는 다공체, 필터지로 이루어져 상기 필터수용공간(32a)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커피 분말은 통과시키지 않고 액체, 즉 커피액만 통과시킨다. The filter 60 is installed inside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 The filter 60 is formed of a ring-shaped network or a porous body and filter paper, and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so that only the liquid, that is, the coffee liquid is passed without passing the coffee powder.

상기 원료공급부재(40)는 상기 믹싱부재(50) 내측으로 커피 분말과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원료공급부재(40)는 상하방향으로 유로(40a)가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공급부재(40)의 측면부에는 뜨거운 물이 투입되는 온수투입구(41)와, 커피 분말이 투입되는 커피투입구(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료공급부재(40)의 유로(40a)는 커피액 추출 과정에서 상기 믹싱부재(50)에서 생성된 뜨거운 증기를 배출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유로(40a)의 상단부가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배출구(43)가 된다.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is for supplying coffee powder and hot water to the inside of the mixing member 50.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is formed in a pipe shape in which a flow path 40a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hot water inlet 41 into which hot water is injected and a coffee inlet 42 into which coffee powder is injected are formed in a side portion of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The flow path 40a of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forms a flow path for discharging the hot steam generated in the mixing member 50 during the coffee liquid extraction process, And the steam outlet 4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원료공급부재(40)는 승강수단에 의해 고정케이스(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믹싱부재(50)를 회전케이스(30)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용도 한다. 상기 원료공급부재(4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은 고정케이스(10)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71)와, 중앙부가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상부면에 힌지축(7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액추에이터의 승강로드(72)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원료공급부재(40)에 연결되어 승강로드(72)의 상하방향 운동을 원료공급부재(40)의 상하 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부재(74)를 포함한다.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also moves the mixing member 50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rotary case 30 by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xed case 10 by the elevating means. The elevating means for vertically moving the raw material supplying member 40 includes an actuator 71 mounted on the fixed case 10 and a center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case 10 about the hinge shaft 73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rod 72 of the actuato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rod 72 is switched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And a link member (74).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71)에 의해 승강로드(72)가 상측으로 신장되거나 하측으로 수축하면, 링크부재(74)가 힌지축(7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원료공급부재(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lift rod 72 is extended upward or contracted downward by the actuator 71, the link member 74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73 to move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downward Or moved upward.

상기 액추에이터(71)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부재(74)를 사용하지 않고 원료공급부재(40)를 액추에이터(71)에 직접 연결하여 원료공급부재(40)를 승강 운동시킬 수도 있다.The actuator 71 may be a pneumatic cylinder or a hydraulic cylinder, but may alternatively be a motor or a solenoid.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may be moved up and down by directly connecting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to the actuator 71 without using the link member 74. [

상기 회전케이스(30)의 제2회전케이스(32)에는 상기 원료공급부재(40)를 통해 투입되는 커피 분말과 온수를 받아서 커피액을 만드는 믹싱부재(50)가 배치된다. 상기 믹싱부재(50)는 제2회전케이스(32)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믹싱부재(50)의 투입부(51)의 외측에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에 대해 믹싱부재(50)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3)가 설치된다.A mixing member 50 for receiving the coffee powder and ho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and making a coffee liquid is disposed in the second rotary case 32 of the rotary case 30. [ The mixing member 50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ry case 32. An elastic member 53 such as a compression coil spring for exerting an elastic force upward against the mixing member 50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ry case 32 is provided outside the insertion portion 51 of the mixing member 50.

상기 믹싱부재(50)의 믹싱부(52)는 측면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의 필터수용공간(32a) 내측에 거의 꼭 맞게 수용된다. 상기 믹싱부(52)의 상부판(52a)과 하부판(52b)은 커피 분말과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믹싱챔버(52a)를 형성하도록 소정 간격 떨어져서 설치되며, 나사(52c)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조립된다. The mixing portion 52 of the mixing member 5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side face and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almost closely. The upper plate 52a and the lower plate 52b of the mixing unit 5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mixing chamber 52a capable of receiving coffee powder and water, .

상기 믹싱부재(50)의 투입부(51)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되어 상기 믹싱부(52)의 상부판(52a) 중앙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투입부(51)는 상기 믹싱부(52)의 상부판(52a)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투입부(51)의 가이드돌기(51a)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걸림홈(51a)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투입부(51)의 상단부에 링 형태로 된 스프링브라켓(하부판(52b))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브라켓(하부판(52b))은 복수의 걸림후크(하부판(52b)a)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걸림후크(하부판(52b)a)가 상기 걸림홈(51a)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브라켓(54)은 상기 탄성부재(53)의 상단부를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원료공급부재(40)의 하단부와 맞접촉하여 원료공급부재(40)를 지지한다. The input portion 51 of the mixing member 50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52a of the mixing portion 52. The charging unit 5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plate 52a of the mixing unit 52. [ A plurality of latching grooves 51a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projection 51a of the loading portion 51 and a spring bracket 52b. A plurality of hooking hooks (the lower plate 52b) a are formed so as to extend downward and the hooking hooks (the lower plate 52b a) are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latching grooves 51a . The spring bracket 54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 53 and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to support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상기 믹싱부재(50)의 믹싱부(52) 하부면 중앙에는 상기 투입부(51)를 통해 투입된 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을 외측으로 퍼지게 하기 위한 분산부재(55)가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분산부재(55)는 원통형의 몸체를 가지며, 분산부재(55)의 상부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분산날개(55a)가 형성된다. 상기 분산날개(55a)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 dispersing member 55 for spreading the coffee powder and the ho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unit 51 to the outside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ixing unit 52 of the mixing member 50. 5 and 6, the dispersion member 55 has a cylindrical body, and a radially extending dispersion vane 55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rsion member 55. As shown in FIG. The dispersing vane 55a may have a straight shape as shown in FIG. 5, but may be curve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분산부재(55)의 상부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상측으로 볼록한 원추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Fur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rsing member 55 may be a flat surface, but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upward.

한편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의 외측부에는 상기 추출구(33)를 통해 외부로 추출되는 커피액을 받아서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커피액포집부재(80)가 설치된다. 상기 커피액포집부재(80)에는 커피액을 가열하여 온도를 유지하는 히터(81)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there is provided a coffee collecting chamber member 80 for receiving and temporarily storing the coffee liquid extracted through the extraction port 33 to the outside. The coffee hopper housing member 80 is provided with a heater 81 for heating the coffee liqui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또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회전케이스(30)의 하부에는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의 스커트부(34)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 분말 찌꺼기를 받기 위한 포집박스(85)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2, a collecting box 85 for receiving the coffee powder residue discharged through the skirt portion 34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is movab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ry case 30 Can be installed.

또한 상기 믹싱부재(50)의 믹싱부(52) 상부에는 믹싱부재(50)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필터(60)의 내측면에 들러붙은 커피 분말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58)가 믹싱부(52)의 측면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58)는 필터(60)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실리콘 등의 유연한 수지나 얇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A scraper 58 for scraping off the coffee powder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60 when the mixing member 50 moves downward is provided on the mixing portion 52 of the mixing member 50, As shown in FIG. The scraper 58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resin such as silicone or a thin plastic so as not to damage the filter 6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커피액 추출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The thus configured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follows.

먼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스테이터(20)에 코일(22)에 전원이 인가되면 스테이터(20)의 코어(21)와 영구자석(25)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제1회전케이스(31) 및 제2회전케이스(32)가 설정된 속도로 천천히 회전한다. 상기 제1회전케이스(31) 및 제2회전케이스(32)가 회전함에 따라 제2회전케이스(32)에 결합된 믹싱부재(5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il 22 from the stator 2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core 21 of the stator 20 and the permanent magnet 25 causes the first rotating case 31 and the second rotary case 32 rotate slowly at a set speed. As the first rotary case 31 and the second rotary case 32 rotate, the mixing member 50 coupled to the second rotary case 32 also rotates together.

이 때, 상기 원료공급부재(40)의 커피투입구(42)를 통해서 커피 분말을 투입하고, 온수투입구(41)를 통해 뜨거운 물을 투입하면, 원료공급부재(40)의 유로(40a)를 통해서 커피 분말과 온수가 하측으로 믹싱부재(50)로 투입된다. 상기 믹싱부재(50)로 낙하한 커피 분말과 온수는 믹싱부재(50)의 투입부(51)를 통해 믹싱부(52)의 챔버(52d) 내측에 유입되는데, 이 때 커피 분말과 온수는 분산부재(55)에 의해 챔버(52d)의 외측으로 고르게 분산된다. At this time, when coffee powder is fed through the coffee inlet 42 of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and hot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hot water inlet 41, the flow of the coffee powder through the flow passage 40a of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The coffee powder and hot water are fed into the mixing member 50 downward. The coffee powder and hot water dropped into the mixing member 50 flow into the chamber 52d of the mixing unit 52 through the inlet 51 of the mixing member 50. At this time, And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52d by the member 55. [

이어서 제1회전케이스(31) 및 제2회전케이스(32), 믹싱부재(50)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믹싱부재(50)의 챔버(52d) 내측에 투입된 커피 분말과 온수의 혼합물이 원심력에 의해 필터(60)의 내측면에 밀착된 후 커피액이 추출된다. 상기 혼합물에서 추출된 커피액은 필터(60)를 통과하게 되고, 커피 분말 찌꺼기는 필터(60)의 내측면에 그대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필터(60)를 통과한 커피액은 추출구(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커피액포집부재(80)에 포집된다. 이 때 커피액포집부재(80)는 히터(81)에 의해 가열되어 추출된 커피액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rotating case 31 and the second rotating case 32 and the mixing member 50 are rotated at a high speed, a mixture of the coffee powder and hot wate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52d of the mixing member 50, And then the coffee liquid is extracted. The coffee liquid extracted from the mixture passes through the filter 60, and the coffee powder residue remain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60 as it is. The coffee liq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6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traction port 33 and is collected in the coffee liquid storage chamber member 80. At this time, the coffee liquid collector member 80 can be heated by the heater 81 to maintain the extracted coffee liquid at a constant temperature.

상기 커피액포집부재(80)에 포집된 커피액은 외부로 배출되어 컵에 담겨지거나 별도의 용기에 담겨져 음용된다.The coffee liquid collected in the coffee collecting chamber member 8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s contained in a cup or in a separate container to be consumed.

한편, 상기와 같이 믹싱부재(50)의 챔버(52d) 내측으로 커피 분말과 온수가 투입되어 커피액이 추출되는 동안 챔버(52d) 내에서 발생한 뜨거운 증기(steam)은 상측의 투입부(51)와 원료공급부재(40)의 유로(40a)를 따라 상승하여 증기배출구(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Meanwhile, hot steam generated in the chamber 52d while the coffee powder and the hot water are introduced into the chamber 52d of the mixing member 50 and the coffee liquid is extracted is supplied to the upper inlet 51, And the flow path 40a of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outlet 43. [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커피액 추출 작업이 종료되면, 스테이터(20)의 코어(21)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제1회전케이스(31) 및 제2회전케이스(32)의 회전이 정지된다. When the coffee extracting operation is comple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power applied to the core 21 of the stator 20 is cut off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case 31 and the second rotating case 32 is stopped .

이어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액추에이터(71)가 작동하여 승강로드(72)가 상승한다. 상기 승강로드(72)가 상승함에 따라 링크부재(74)가 회전하여 링크부재(74)의 말단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원료공급부재(40)가 고정케이스(10)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Subsequently, the actuator 71 operates as shown in Fig. 2, and the lifting rod 72 is lifted. As the lifting rod 72 rises, the link member 74 rotates and the distal end of the link member 74 moves downward, whereby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is mov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case 10 .

상기 원료공급부재(40)가 하강함에 따라 믹싱부재(50)가 탄성부재(53)의 탄성력을 이기고 하강하게 된다. 상기 믹싱부재(50)가 제2회전케이스(32)에 대해 하강하여 스커트부(34)에 도달하게 되면, 믹싱부(52)의 측면이 개방된 상태가 되어 믹싱부(52)의 양측부에 수용되어 있던 커피 분말 찌꺼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믹싱부재(50)의 상단부에 스크레이퍼(58)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면, 스크레이퍼(58)가 필터(60)의 내측면을 긁어내리게 되므로 필터(60)의 내측면에 부착된 커피 분말 찌꺼기도 깨끗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As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is lowered, the mixing member 50 is lowered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3. When the mixing member 50 descends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ry case 32 and reaches the skirt portion 34, the side surface of the mixing portion 52 is opened and the mixing portion 5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ixing portion 52 The stored coffee powder residu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scraper 58 protrudes radially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mixing member 50, the scraper 58 scrapes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60, It is possible to cleanly remove the coffee powder residue adhered to the coffee beans.

이 상태에서 다시 스테이터(20)의 코일(22)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케이스(30) 및 믹싱부재(50)를 회전시키면 믹싱부(52) 내측에 잔류하는 커피 분말 찌꺼기가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 후 하측의 포집박스(85)로 낙하하여 포집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rotating case 30 and the mixing member 50 are rotated by applying power to the coil 22 of the stator 20 again, the coffee powder remnant inside the mixing portion 52 is returned to the outside And discharged to the lower collecting box 85 to be collected.

이러한 커피 분말 찌거기의 제거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액추에이터(71)가 하강하여 승강로드(72)가 수축되고, 전술한 것과는 반대로 원료공급부재(40)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53)의 탄성력에 의해 믹싱부재(50)도 상승하여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새로운 커피 추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removing operation of the coffee powder scum is completed, the actuator 71 is lowered again and the lift rod 72 is retracted, and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is raised, contrary to the above. As a result, the mixing member 50 is also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3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1, and a new coffee extrac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액 추출장치는 상기 고정케이스(10)에 전기를 인가받는 코일(22)을 구비한 스테이터(20)가 구성되고, 커피 분말이 투입되는 회전케이스(30)에 상기 스테이터(20)와 마주보는 영구자석(25)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스테이터(20)와 영구자석(25)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케이스(30)가 고속으로 회전하여 커피액을 원심력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ator 20 having a coil 22 to which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stationary case 10, and a rotary case 30 into which the coffee powder is inserted, The rotating case 30 rotates at a high spe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tator 20 and the permanent magnet 25 by arranging the permanent magnets 25 facing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coffee liquid is extracted can do.

따라서 회전케이스(30)를 고정케이스(10)에 대해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며, 전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rotary case 3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leaned from the fixed case 10, and the entir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또한 코일(22)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회전케이스(30)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 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커피 추출 시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rotation case 30 can be rotated in the normal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by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coil 22, the rotation speed can be easily controlled, have.

특히 스테이터(20)와 영구자석(25) 간의 전기적인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회전케이스(30)를 급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비상 상황에서 회전케이스(30)를 안전하게 정지시켜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rotary case 30 can be suddenly stopped by using an electric brake between the stator 20 and the permanent magnet 25,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otary case 30 can be safely stopped in an emergency situation, .

한편, 이러한 커피액 추출장치의 필터(60) 및 믹싱부재(50) 등을 분리하여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클램프(35)의 하단을 눌러서 클램프(35)를 제1회전케이스(31)의 결합홈(37)에서 탈거시켜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제2회전케이스(32)를 제1회전케이스(31)에 대해 분리한 다음, 제2회전케이스(32) 내의 믹싱부재(50)와 필터(60) 등을 깨끗이 세척하면 된다.When the filter 60 and the mixing member 50 of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are to be separated and cleaned, the lower end of the clamp 35 is pushed to press the clamp 35 to the first The second rotary case 32 is disengaged from the first rotary case 31 and then the second rotary case 32 is disengaged from the engagement groove 37 of the rotary case 31 to release the fixed state, The member 50 and the filter 60 may be cleanly cleaned.

따라서 커피 분말와 온수가 투입되어 커피액의 추출 과정이 진행되는 믹싱부재(50)와 필터(60)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인 면에서도 유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mixing member 50 and the filter 60, in which the coffee powder and hot water are introduced and the extraction process of the coffee liquid is progressed,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leaned,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hygiene.

상술한 것과 같은 커피액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커피액을 원심력으로 추출할 때,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회전케이스(32)의 추출구(33)에 별도의 코크(9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추출된 커피액이 확실하게 커피액포집부재(80) 내측으로 유도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When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by centrifugal force using the above-described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a separate cock 90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extraction port 33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extracted coffee liquid can be reliably guided to the inside of the coffee liquid storage chamber member 80.

전술한 실시예의 커피액 추출장치는 제1회전케이스(31)와 제2회전케이스(32)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제1회전케이스(31)는 고정케이스(10) 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회전케이스(32)만 분리하여 세척을 하였다. The first and the second rotating cases 31 and 32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so that the first rotating case 3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case 10, Only the two rotating cases 32 were separated and cleaned.

그러나,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회전케이스(31)와 제2회전케이스(32)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제1회전케이스(31)가 고정케이스(1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제1회전케이스(31)를 고정케이스(10)에서 분리함으로써 제1회전케이스(31)와 제2회전케이스(32)를 함께 분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However, as shown in Fig. 9, the first rotary case 31 and the second rotary case 32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first rotary case 31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xed case 10 The first rotary case 31 and the second rotary case 32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eparating the first rotary case 31 from the fixed case 10.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는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와 비교하여 투입부(51)의 외측에 탄성부재(53)가 설치되지 않고, 믹싱부(52)의 하부면에 복수개(예를 들어 3개)의 스프링마운트바아(56)가 믹싱부(52)의 상부면과 제2회전케이스(32)의 상부면을 관통하게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마운트바아(56)에 제2회전케이스(32)에 대해 스프링마운트바아(56)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압축스프링(57)을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다.10 to 12 show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lastic member 53 is not provided outside the charging unit 51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for example, three) spring mount bars 56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ixing portion 52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mixing portion 5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And the spring mount bar 56 is provided with a compression spring 57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pring mount bar 56 against the second rotary case 32 while applying an elastic force upwar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the same as the example.

따라서, 커피 분말 찌꺼기를 배출 작업 시, 승강수단에 의해 원료공급부재(40) 및 믹싱부재(5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압축스프링(57)이 압축되고, 승강수단에 의해 원료공급부재(4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압축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 믹싱부재(50)가 다시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and the mixing member 50 are lowered by the lifting means during the discharge operation of the coffee powder residue, the compression spring 57 is compressed and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The mixing member 50 can be raised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57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제1회전케이스(31) 및 제2회전케이스(32), 믹싱부재(50)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추출구(33)를 통해 커피액이 외부로 배출될 때 커피액과 뜨거운 증기가 함께 외부로 배출되면서 커피액 및 증기가 비산되면서 커피액포집부재(80)에 제대로 포집되지 않거나 뜨거운 증기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rotating case 31, the second rotating case 32, and the mixing member 50 rotate at a high speed and the coffee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traction port 33, The coffee liquid and the steam are scattered while the stea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coffee liquid pool member 80 may not be collected properly or a safety accident due to hot steam may occur.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3 내지 도 17에 회전케이스(30)의 추출구(33)의 외측에서 커피액이 1차적인 충돌에 의해 에너지가 저감된 후 배출되고, 커피액과 함께 배출되는 증기는 응축되어 응축수로 변환된 후 커피액과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커피액 추출장치의 실시예를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in FIG. 13 to FIG. 17, the coffee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outside of the extraction port 33 of the rotary case 30 after the energy is reduced by the primary collision, Which is condensed into condensed water and then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coffee liquid, is proposed.

이 실시예의 커피액 추출장치는, 고정케이스(10)(도 10 참조)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2)에 제2회전케이스(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의 외측부에 추출구(33)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액과 증기를 분리하여 커피액은 하측으로 유도하여 배출하고 증기는 응축하여 배출하기 위한 링 형태의 버퍼유닛(100)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rotary case 32 is rotatably mounted on a fixing bracket 12 fixed to the fixed case 10 (see Fig. 10) Shaped buffer unit 100 for separating the coffee liquid and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extracting port 33 to the outside of the coffee maker and guiding and discharging the coffee liquid downward and condensing and discharging the steam.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커피액 추출장치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브라켓(12)이 결합되는 고정케이스(10)(도 10 참조)에는 스테이터(20)(도 10 참조)가 설치되고, 제2회전케이스(32)의 상부에는 상기 스테이터(20)와 마주보면서 전자기력을 발생하게 되는 영구자석(25)을 구비한 제1회전케이스(31)(도 10 참조)가 결합되며, 상기 믹싱부재(50)의 투입부(51)의 상단부에는 커피액 및 온수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재(40)(도 10 참조)가 설치된다. 10, a stationary case 10 (see Fig. 10) to which the stationary bracket 12 is coupled is provided with a stator 20 (Fig. 10 And a first rotating case 31 (see FIG. 10)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25 which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while facing the stator 2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And a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see FIG. 10) for supplying coffee liquid and hot water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harging unit 51 of the mixing member 50.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의 추출구(33)의 끝단부에는 추출구(33)와 연통된 분출공(33c)이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추출포트(33b)가 설치되어 있다. An extraction port 33b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xtraction port 33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so that the ejection port 33c communicated with the extraction port 33 is laterally penetrated.

상기 버퍼유닛(100)은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의 추출구(33)의 바로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링 형태의 버퍼부재(110)와, 상기 버퍼부재(110)의 하측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노즐(121)을 구비하는 링 형태의 배출가이드부재(120)를 포함한다. The buffer unit 100 includes a ring-shaped buffer member 110 installed to surround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extraction port 33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And a ring-shaped discharge guide member 120 having nozzles 121 extending laterally at the lower end thereof.

상기 버퍼부재(110)의 내주면에는 추출구(33)를 통해 분출된 커피액과 증기가 부딪히면서 완충됨과 더불어 커피액과 증기의 분리가 일어나도록 상하방향으로 휘어진 곡면형의 완충부(111)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111)의 바로 하측에 커피액을 하측의 배출가이드부재(120) 쪽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진 복수개의 가이드블레이드(112)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The buffer member 110 has a curved buffer portion 111 cur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coffee liquid and steam while being buffered while bombarding the coffee liquid sprayed through the extracting opening 33 with the steam, A plurality of guide blades 112 inclin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guide the coffee liquid to the discharge guide member 120 at the lower side just below the buffer part 111, Respectively.

상기 버퍼부재(110)의 외주면에는 버퍼부재(110)를 배출가이드부재(120)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걸림쇠(11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latches 114 for coupling the buffer member 110 to the discharge guide member 12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member 110 to protrude therefrom.

그리고, 상기 버퍼부재(110)의 상단부에는 증기를 상측으로 유도하여 응축하기 위한 복수(이 실시예에서 2개)의 제1증기가이드리브(115)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의 상단부 외주연부에는 상기 2개의 제1증기가이드리브(115) 사이 및 외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제1증기가이드리브(115)와 함께 지그재그 형태의 증기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복수의 제1유로형성리브(38)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퍼부재(110)의 외곽측 제1증기가이드리브(115)와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의 외곽측 제1유로형성리브(38) 사이에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증기 유로를 폐쇄하는 제1실링재(117)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버퍼부재(110)의 2개의 제1증기가이드리브(115) 사이에는 응축수를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응축수배출공(116)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two in this embodiment) first steam guide ribs 115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to condense the steam upward to the upper end of the buffer member 110, 32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team guide ribs 11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two first steam guide ribs 115 and on the outer side thereof to form a zigzag steam passage together with the first steam guide ribs 115 And the first flow path forming ribs 38 are formed to extend downward. Between the first steam guide rib 115 on the outer side of the buffer member 110 and the first flow path forming rib 38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rotary case 32 the steam flow path is closed A first sealing member 117 is disposed. A first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16 is formed between the two first steam guide ribs 115 of the buffer member 110 so as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downward.

상기 배출가이드부재(120)의 내주부에도 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복수의 제2증기가이드리브(125)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제2회전케이스(32)의 외주연부 하측에 상기 제2증기가이드리브(125) 사이로 연장되면서 지그재그 형태의 증기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제2유로형성리브(39)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증기가이드리브(125)와 제2유로형성리브(39)에 의해 형성된 증기 유로의 끝단부는 제2실링재(127)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제2증기가이드리브(125)와 제2유로형성리브(39)에 의해 형성된 증기 유로 내측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배출가이드부재(120)의 외곽측 제2증기가이드리브(125)의 하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응축수배출공(126)을 통해 배출된 후 노즐(1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A plurality of second steam guide ribs 125 for condensing steam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discharge guide member 120, 2 steam guide ribs 125.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ribs 39 are formed so as to extend in a downward direction. The end of the steam flow path formed by the second steam guide rib 125 and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ribs 39 is closed by the second sealing member 127.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at the inside of the steam passage formed by the second steam guide rib 125 and the second passage defining ribs 39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team guide rib 125 at the outer side of the discharge guide member 12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121 to the outside.

상기 배출가이드부재(120)의 하부면은 커피액과 응축수가 노즐(121) 쪽으로 모여서 노즐(121)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노즐(121)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guide member 1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nozzle 121 so that the coffee liquid and the condensed water collect toward the nozzle 121 and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121.

이와 같이 구성된 커피액 추출장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The embodiment of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constructed as above operates as follows.

믹싱부재(50) 내측에 커피 분말과 뜨거운 온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고정케이스(10)(도 10 참조)에 설치된 스테이터(20)(도 10 참조)에 전원이 인가되어 스테이터(20)와 제1회전케이스(31)(도 10 참조)의 영구자석(25)(도 10 참조) 간에 전자기력이 발생하면, 제1회전케이스(31)(도 10 참조) 및 제2회전케이스(32), 믹싱부재(50)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믹싱부재(50)의 내측의 커피 분말과 온수의 혼합물이 원심력에 의해 필터(60)의 내측면에 밀착된 후 커피액이 추출된다.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20 (see Fig. 10) provided in the fixed case 10 (see Fig. 10) in the state where coffee powder and hot hot water are introduced into the mixing member 50, 10) and the permanent magnet 25 (see Fig. 10) of the case 31 (see Fig. 10), the first rotating case 31 50 is rotated at a high speed and a mixture of coffee powder and hot water inside the mixing member 50 is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60 by centrifugal forc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n the coffee liquid is extracted.

상기 혼합물에서 추출된 커피액은 필터(60)(도 10 참조)를 통과하게 되고, 커피 분말 찌꺼기는 필터(60)의 내측면에 그대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필터(60)를 통과한 커피액은 추출구(33) 및 추출포트(33b)의 분출공(33c)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뜨거운 증기도 함께 배출된다. The coffee liquor extracted from the mixture passes through the filter 60 (see Fig. 10), and the coffee powder remnant remain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60. The coffee liq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60 is discharged through the ejection port 33 and the ejection hole 33c of the ejection port 33b. Hot steam is also discharged at this time.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추출포트(33b)를 통해 배출된 커피액과 증기는 버퍼부재(110)의 곡면으로 된 완충부(111)에 부딪히면서 에너지가 감소한 후 커피액은 하측으로 낙하하여 가이드블레이드(112)를 따라 흘러내리고, 이어서 배출가이드부재(120)의 노즐(1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커피액포집부재(80)에 포집된다.17, the coffee liquid and the vapor discharged through the extraction port 33b collide with the buffer part 111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buffer member 110, and after the energy is reduced, the coffee liquid falls downward Flows along the guide blade 112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121 of the discharge guide member 120 and is collected in the coffee collecting lid member 80.

그리고 상기 추출포트(33b)를 통해 커피액과 함께 배출된 증기는 버퍼부재(110)의 완충부(111)에 부딪힌 후 상측으로 튄 일부는 상측으로 유동하여 제1증기가이드리브(115)와 제1유로형성리브(38) 사이로 유동한다. 이 때, 제1증기가이드리브(115)와 제1유로형성리브(38)의 끝단은 제1실링재(117)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제1증기가이드리브(115)와 제1유로형성리브(38) 사이의 유로 내측에서 응축된 후 제1응축수배출공(116)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 후 커피액과 함께 가이드블레이드(112)를 따라 흘러내려 배출된다.The steam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coffee liquid through the extraction port 33b hits the buffer part 111 of the buffer member 110 and then the part of the spatter upwardly flows upward to the first steam guide rib 115, Flow forming ribs 38. The flow- At this time, since the ends of the first steam guide ribs 115 and the first flow path forming ribs 38 are closed by the first sealing member 117, the first steam guide ribs 115 and the first steam guide ribs And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first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16 and flows along the guide blade 112 along with the coffee liquid.

또한 상기 완충부(111)에 부딪힌 증기 중 하측으로 튄 일부는 제2증기가이드리브(125)와 제2유로형성리브(39) 사이에 형성된 증기 유로를 따라 유동하다가 응축된 후 제2증기가이드리브(125) 하단부의 제2응축수배출공(126)을 통해 배출된 후 노즐(121)을 통해 커피액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A portion of the steam bouncing downward from the steam impinging on the buffer part 111 flows along the steam path formed between the second steam guide rib 125 and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rib 39 and is condensed,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26)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125),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coffee liquid through the nozzle (121).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커피액 추출장치는 추출구(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커피액과 증기가 버퍼부재(110)에 1차적으로 부딪히면서 에너지가 감소된 후 노즐(1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커피액의 배출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뜨거운 증기의 배출에 의해 커피액이 튀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the coffee liquid and steam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extracting opening 33 are primarily collided with the buffer member 110, and the energy is reduced,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12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scharge speed of the coffee liquid and minimize the possibility of the coffee liquid splashing or safety accident due to the discharge of the hot steam.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belong t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고정케이스 11 : 관통공
20 : 스테이터 21 : 코어
22 : 코일 25 : 영구자석
30 : 회전케이스 31 : 제1회전케이스
32 : 제2회전케이스 33 : 추출구
35 : 클램프 38 : 유로형성리브
39 : 제2유로형성리브 40 : 원료공급부재
41 : 온수투입구 42 : 커피투입구
43 : 증기배출구 50 : 믹싱부재
51 : 투입부 52 : 믹싱부
53 : 탄성부재 54 : 스프링브라켓
55 : 분산부재 55a : 분산날개
58 : 스크레이퍼 60 : 필터
71 : 액추에이터 72 : 승강로드
73 : 힌지축 74 : 링크부재
80 : 커피액포집부재 85 : 포집박스
90 : 코크 100 : 버퍼유닛
110 : 버퍼부재 111 : 완충부
112 : 가이드블레이드 115 : 제1증기가이드유로
116 : 제1응축수배출공 117 : 제1실링재
120 : 배출가이드부재 121 : 노즐
125 : 제2증기가이드유로 126 : 제2응축수배출공
127 : 제2실링재
10: Fixing case 11: Through hole
20: stator 21: core
22: coil 25: permanent magnet
30: rotating case 31: first rotating case
32: second rotating case 33:
35: clamp 38: flow path forming rib
39: second flow forming rib 40: raw material supplying member
41: hot water inlet 42: coffee inlet
43: steam outlet 50: mixing member
51: input portion 52: mixing portion
53: elastic member 54: spring bracket
55: dispersing member 55a: dispersing blade
58: Scraper 60: Filter
71: actuator 72: lift rod
73: hinge shaft 74: link member
80: Coffee storage chamber member 85: Collection box
90: Cock 100: Buffer unit
110: buffer member 111:
112: guide blade 115: first steam guide passage
116: first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17: first sealing material
120: discharge guide member 121: nozzle
125: second steam guide flow path 126: second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27: second sealing material

Claims (20)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케이스(10)와;
상기 고정케이스(10)의 관통공(11)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되고 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이 투입되는 유로(40a)가 형성되어 있는 원료공급부재(40)와;
상기 고정케이스(10)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코어(21) 및 상기 코어(21)에 권선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코일(22)을 포함하는 스테이터(20)와;
상기 고정케이스(10)의 하측에 고정케이스(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케이스(10)의 관통공(11)과 연통되는 필터수용공간(32a)을 구비하고, 일단이 상기 필터수용공간(32a)과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통되어 커피액을 배출하는 추출구(33)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케이스(30)와;
상기 회전케이스(30)에 상기 스테이터(20)와 마주보게 설치되어 스테이터(20)와 함께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회전케이스(30)의 회전 운동을 일으키는 영구자석(25)과;
상기 회전케이스(30)의 필터수용공간(32a) 내에 설치되며, 상기 원료공급부재(40)의 유로(40a)와 연통되는 투입부(51)와, 상부면이 상기 투입부(51)의 하부에 연통되고 측면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되어 상기 필터수용공간(32a)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부(51)를 통해 투입된 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을 수용하는 믹싱부(52)를 구비한 믹싱부재(50); 그리고,
상기 회전케이스(30)의 필터수용공간(32a) 내부에서 상기 믹싱부(52)의 측면부와 상기 추출구(33) 사이에 설치되어 커피 분말은 통과시키지 않고 액체만 통과시키는 필터(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
A fixed case (10) having a through hole (11) penetrating vertically;
A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 of the fixed case 10 and having a flow path 40a into which coffee powder and hot water are introduced;
A stator 20 including a core 21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ed case 10 and a coil 22 wound around the core 21 and receiving power;
And a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rotatab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ed case (10) with respect to the fixed case (10) and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11) of the fixed case (10) A rotary case 30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t the other end to form an extraction port 33 for discharging the coffee liquid therethrough;
A permanent magnet 25 installed on the rotary case 30 so as to face the stator 20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together with the stator 20 to caus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case 30;
A charging part 51 provid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of the rotary case 30 and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40a of the raw material supplying member 40; And a mixing part (52) dispos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art (51) and receiving the coffee powder and the ho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troducing part (51) 50); And,
A filter 60 installed between the side portion of the mixing part 52 and the extraction port 33 in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of the rotary case 30 so as to pass only the liquid without passing the coffee powder;
Wherein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재(50)는 회전케이스(30)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믹싱부재(50)에 상기 회전케이스(30)에 대해 믹싱부재(50)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mix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xing member (50) is ver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rotary case (30), and the mixing member (50) And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elastic member.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52)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스프링마운트바아(56)가 믹싱부(52)의 상부면과 회전케이스(30)의 상부면을 관통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마운트바아(56)에는 회전케이스(30)에 대해 스프링마운트바아(56)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인 압축스프링(5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mix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spring mount bars (56)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ixing unit (52)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mixing unit (5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case The mounting bar (56) is provided with a compression spring (57) which is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pring mount bar (56) against the rotary case (30) while applying an elastic force upward.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재(40)의 하단부는 상기 믹싱부재(50)의 투입부(51)의 상단부와 연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케이스(10)에는 상기 원료공급부재(40)를 고정케이스(10)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믹싱부재(50)를 회전케이스(30)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mix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lower end of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an upper end of a charging unit of the mixing member, Up means for moving the mixing member (50)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rotary case (30) by vertically moving the mixing member (50)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xed case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고정케이스(10)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71)와, 상기 액추에이터(7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로드(72)와, 중앙부가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상부면에 힌지축(7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승강로드(7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원료공급부재(40)에 연결되어 승강로드(72)의 상하방향 운동을 원료공급부재(40)의 상하 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부재(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levating means comprises an actuator (71) installed in the fixed case (10), a lifting rod (72) moving up and down by the actuator (7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to move up and down the lift rod 72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 link member (74) for switch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재(50)의 믹싱부(52) 상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믹싱부재(50)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필터(60)의 내측면에 들러붙은 커피 분말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5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coffee beverag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ixing member (5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ixing part (52) so as to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when the mixing member (50) And a scraper (58) for scraping off the coffee bever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케이스(30)는 상기 영구자석(25)이 설치된 제1회전케이스와, 상기 제1회전케이스(31)의 하측에 클램프(35)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필터수용공간(32a)이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케이스(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motorcy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ry case (30) comprises: a first rotary case provided with the permanent magnet (25); a first rotary case (31) detachab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rotary case And a second rotating case (32) having a filter accommodating space (32a) forme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케이스(30)에 상기 믹싱부재(50)의 투입부(51)가 관통하는 개구부(31a)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1a)의 테두리 부분에는 복수의 가이드홈(31b)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믹싱부재(50)의 투입부(51)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31b)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믹싱부재(50)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51a)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m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pening (31a) through which the insertion portion (51) of the mixing member (50) penetrates is formed in the rotary case (30) The grooves 31b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1b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51 of the mixing member 50, And a plurality of guide projections (51a) guiding movement ar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재(40)는 상하방향으로 유로(40a)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측면부에는 뜨거운 물이 투입되는 온수투입구(41)와, 커피 분말이 투입되는 커피투입구(42)가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로(40a)의 상단부는 믹싱부재(50) 내에서 발생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배출구(4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w material supply member (40)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flow path (40a)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has a hot water inlet (41) And the upper end of the passage (40a) forms a steam outlet (43) through which the steam generated in the mixing member (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Extra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재(50)의 믹싱부(52) 내측에서 상기 투입부(51)의 바로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51)를 통해 투입된 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을 외측으로 퍼지게 하는 분산부재(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coffee bevera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coffee powder and hot water, which are installed in the mixing part (52) of the mixing member (50) immediately below the charging part (51) And a dispersing member (55) for separating the coffee beans from each oth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재(55)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분산날개(55a)가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12. The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liqui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 plurality of dispersing vanes (55a) are formed radi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rsing member (5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케이스(3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추출구(33)를 통해 외부로 추출되는 커피액을 받아서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커피액포집부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ffee collecting chamber member (80) installed outside the rotary case (30) for receiving and temporarily storing the coffee solution extra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traction opening (33) And a centrifugal for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액포집부재(80)에는 커피액을 가열하여 온도를 유지하는 히터(8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14.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coffee lobe collecting member (80) is provided with a heater (81) for heating the coffee liquo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케이스(30)의 하부에는 상기 믹싱부재(5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회전할 때 믹싱부재(50)의 측면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 분말 찌꺼기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원추형의 스커트부(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case (30) guides downward the coffee powder residu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mixing member (50) when the mixing member (50) And a conical skirt portion (3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p-shaped skirt portion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케이스(30)의 추출구(33)가 형성된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추출구(33)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액과 증기가 부딪히면서 커피액을 하측으로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증기를 응축하여 커피액과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링 형태의 버퍼유닛(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coffee machin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rotary case (30)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an outer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extraction port (33) is formed, and the coffe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extraction port (33) Further comprising a ring-shaped buffer unit (100) for guiding the coffee liquid to the outside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condensing the vapor, and discharging the coffee liqui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coffee liqui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유닛(100)은,
상기 회전케이스(30)의 추출구(33)의 바로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링 형태의 버퍼부재(110)와; 상기 버퍼부재(110)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커피액과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121)이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배출가이드부재(120);
를 포함하며,
상기 버퍼부재(110)의 내주면에는 추출구(33)를 통해 분출된 커피액과 증기가 부딪히면서 완충됨과 더불어 커피액과 증기의 분리가 일어나도록 상하방향으로 휘어진 곡면형의 완충부(111)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111)의 바로 하측에 커피액을 하측의 배출가이드부재(120) 쪽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진 복수개의 가이드블레이드(112)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
17. The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the buffer unit (100)
A ring-shaped buffer member 110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extraction port 33 of the rotary case 30; A discharge guide member 120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buffer member 110 and having a nozzle 121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to extend outwardly to discharge coffee liquid and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 RTI >
The buffer member 110 has a curved buffer part 111 cur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coffee liquid and steam while being buffered while bombarding the coffee liquid sprayed through the extraction opening 33 with the steam, A plurality of guide blades 112 inclin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guide the coffee liquid to the discharge guide member 120 at the lower side just below the buffer part 111, And the coffee beverage extracting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재(110)의 상단부에 증기를 상측으로 유도하여 응축하기 위한 복수의 제1증기가이드리브(115)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케이스(30)의 외주연부에 상기 복수의 제1증기가이드리브(115) 사이 및 외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제1증기가이드리브(115)와 함께 지그재그 형태의 증기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복수의 제1유로형성리브(38)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증기가이드리브(115)와 상기 제1유로형성리브(38)에 의해 형성된 증기 유로의 끝단부에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증기 유로를 폐쇄하는 제1실링재(117)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증기가이드리브(115) 사이에는 응축수를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응축수배출공(116)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steam generator as set forth in claim 17,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steam guide ribs (115) for guiding and condensing steam upward ar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uffer member (110) And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 forming ribs (38)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steam guide ribs (115) and outside to form a staggered steam flow path together with the first steam guide ribs The steam flow path formed by the first steam guide rib 115 and the first flow path forming rib 38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steam flow path, And a first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16) for discharging condensed water downward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steam guide ribs (115)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team guide ribs (115) Coffee liquid Ex device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부재(120)의 내주부에 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복수의 제2증기가이드리브(125)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회전케이스(30)의 외주연부 하측에 상기 제2증기가이드리브(125) 사이로 연장되면서 지그재그 형태의 증기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제2유로형성리브(39)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증기가이드리브(125)와 제2유로형성리브(39)에 의해 형성된 증기 유로의 끝단부에 증기 유로를 폐쇄하는 제2실링재(127)가 설치되며, 상기 제2증기가이드리브(125) 중 가장 외곽측 제2증기가이드리브(125)의 하단에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응축수배출공(126)이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steam turbin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a plurality of second steam guide ribs (125) for condensing steam are arranged at an interval from each other at an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discharge guide member (120) And a second flow path forming rib 39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steam guide ribs 125 and extending in a zigzag form to extend between the second steam guide ribs 125. The second steam guide ribs 125, The second sealing member 127 closing the steam passag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team passage formed by the two passage forming ribs 39. The second sealing guide ribs 125 of the outermost second steam guide ribs And a second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26) for discharging condensed water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densed water discharge hole (1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부재(120)의 하부면은 커피액과 응축수가 노즐(121) 쪽으로 모여서 노즐(121)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노즐(121)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커피액 추출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guide member (12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nozzle (121) so that the coffee liquid and the condensed water gather toward the nozzle (121) Feature of Coffee Liquid Extraction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KR1020160100667A 2016-05-25 2016-08-08 Coffee Brewing Machine Using Centrifugal Force KR101716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4437 WO2017204472A1 (en) 2016-05-25 2017-04-26 Device for extracting coffee liquid using centrifugal fo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4156 2016-05-25
KR1020160064156 2016-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316B1 true KR101716316B1 (en) 2017-03-14

Family

ID=5845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667A KR101716316B1 (en) 2016-05-25 2016-08-08 Coffee Brewing Machine Using Centrifugal For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6316B1 (en)
WO (1) WO201720447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019330A (en) * 2018-10-12 2020-06-01 義大利商辛巴利集團公司 Steam dispensing apparatus for hot beverage preparation
CN111925864A (en) * 2020-07-28 2020-11-13 安徽利民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Glossy ganoderma spore oil refines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373A (en) 1988-11-02 1990-06-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Coffee maker
US4962693A (en) 1988-11-02 1990-10-16 Kabushiki Kaisha Toshiba Centrifugal brewing type coffee maker
JPH0678677A (en) * 1992-09-02 1994-03-22 Nippon Sanso Kk Production of coffee extractable with water and device therefor
KR200151829Y1 (en) * 1995-11-21 1999-07-15 최진호 Raw material mixing apparatus for beverage automatic vending machine
US20100266739A1 (en) * 2005-04-22 2010-10-21 Meccano Asia Ltd. Device for preparing coffee
KR101618383B1 (en) 2008-02-29 2016-05-04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a liquid extract from a cell using centrifugal for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9704B1 (en) * 2008-02-29 2011-08-03 Nestec S.A.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KR101583770B1 (en) * 2014-03-11 2016-01-08 박종하 Rotary-Type Crude Liquid Extra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373A (en) 1988-11-02 1990-06-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Coffee maker
US4962693A (en) 1988-11-02 1990-10-16 Kabushiki Kaisha Toshiba Centrifugal brewing type coffee maker
JPH0678677A (en) * 1992-09-02 1994-03-22 Nippon Sanso Kk Production of coffee extractable with water and device therefor
KR200151829Y1 (en) * 1995-11-21 1999-07-15 최진호 Raw material mixing apparatus for beverage automatic vending machine
US20100266739A1 (en) * 2005-04-22 2010-10-21 Meccano Asia Ltd. Device for preparing coffee
KR101618383B1 (en) 2008-02-29 2016-05-04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a liquid extract from a cell using centrifugal fo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4472A1 (en)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126B1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EP2648581B1 (e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automatic cleaning system
KR101424208B1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EP2109387B1 (en) Infusion device to prepare beverages from single-serving capsules with capsule centering device
KR101492482B1 (en) A reusable filter container
KR101591771B1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US9775463B2 (en)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US3812773A (en) Coffee making machine with grinding device and centrifuge drum
KR101716316B1 (en) Coffee Brewing Machine Using Centrifugal Force
CN102727084B (en) Tea maker
CN110537842A (en) Beverage supply device
GB2227405A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 infusion
CN110636786A (en) Beverage supply device
CA3153647A1 (en) Beverage extracting device
US20230309736A1 (en) Improved self-cleaning centrifugal coffee brewer
JP7365606B2 (en) beverage extraction equipment
JPH067252A (en) Cleaning method and agent package for brewing device
GB2463645A (en) Domestic coffee preparation machine
JP6024517B2 (en) Beverage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