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82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alar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al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824B1
KR101715824B1 KR1020140089729A KR20140089729A KR101715824B1 KR 101715824 B1 KR101715824 B1 KR 101715824B1 KR 1020140089729 A KR1020140089729 A KR 1020140089729A KR 20140089729 A KR20140089729 A KR 20140089729A KR 101715824 B1 KR101715824 B1 KR 10171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alarm
user
alarm message
emergency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9337A (en
Inventor
이양수
박태준
전상훈
안대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8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824B1/en
Publication of KR2016000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3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8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한 상황에 대한 알람(alarm)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는 기설정된 순서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지 감지하고, 긴급 상황 발생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긴급 상황 실행부 및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람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larm for an emergency situation.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ergency state execu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f a user occurs in a predetermined order, generating an alarm message for an emergency occurrence, and an alarm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n alarm message .

Description

긴급 상황 알람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ALARM}[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ALARM [0002]

본 발명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이에 대한 알람(alarm)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larm for an emergency occurrence.

강력 범죄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금품을 노린 범죄자들에 의한 납치, 강도 상해 사건은 금전 및 인명 피해를 야기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Violent crime is increasing every year, especially kidnapping and robbery by criminals who are looking for money. This is a serious social problem that causes money and personal injury.

특히, 보호자의 동반 없이 귀가하는 여성 또는 어린이에 대한 납치, 강도 상해 사건이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범죄 사건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Especially, kidnapping and robbery incidents are increasing for women or children who return home without a guardian, and a technique for preventing such crime has been proposed.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고전압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상대방을 제압하기에는 상당한 순발력이 필요한데, 위급 상황에 처하여 두려움을 느낀 사용자는 이러한 휴대용 고전압 장치 사용을 망설이게 되어 범죄자를 제압하기 어렵고, 특히 범죄자에게 협박을 받는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고전압 장치를 가방 등에서 꺼내어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 user who feels fear in an emergency situation is hesitant to use such a portable high-voltage device, so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criminal, an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for a criminal to be intimida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take out the portable high-voltage device from the bag or the like in an emergency.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긴급 상황 알람 기술은 알람을 실행하기 위하여 특정 신호가 입력되어야 하므로, 긴급 상황 발생 시 효과적으로 알람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는 방식은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조작하여 자신의 위치 및 자신이 처한 위급 상황에 대하여 원격 서버로 알려주는 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나, 칼 등의 흉기로 위협을 받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조작하는 것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mergency alarm technique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an alarm can not be effectively generated when an emergency occurs because a specific signal is input to execute an alarm. For example, the method of pressing a button employs a technique in which an emergency user directly manipulates a button to notify a remote server of his / her location and an emergency situation of his / her own.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for a user to operate a specific button in a situ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최소한의 동작 패턴 변환을 이용하여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되, 주변 상황에 대하여 획득한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제로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정확성과 신뢰성이 높은 긴급 상황 알람을 제공하고,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에게 조속한 지원이 가능한 긴급 상황 알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ransmit an alarm message using a minimum operation pattern conversion and analyze situation data acquired for a surrounding situation to verify whether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actually occurred , An emergency alarm with high accuracy and reliability, and an emergency alarm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providing prompt support to an emergency user.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는 기설정된 순서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지 감지하고, 긴급 상황 발생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긴급 상황 실행부 및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람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ergency state execu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f a user occurs in a predetermined order, generating an alarm message for an emergency occurrence, and an alarm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n alarm message .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시스템은 기설정된 순서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지 감지하고, 긴급 상황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말 및 단말로부터 알람 메시지를 전송 받고,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지정된 디바이스로 전송 처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alarm system detects whether a user's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in a predetermined order, generates an alarm message for an emergency situation, receives an alarm message from a terminal and a terminal transmitting the alarm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included in the emergency information to the predetermined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면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방법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입력 받는 단계와, 입력 받은 행동 패턴이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으로 변환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행동 패턴이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으로 변환되는 경우, 긴급 상황 발생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larming an emergency situation, comprising: receiving a behavior pattern of a user; determining whether a received behavior pattern is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behavior patter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generating an alarm message for an emergency occurrence and transmitting the alarm message;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범죄자에 의하여 겁박 받는 긴급 상황에서도 최소한의 동작 패턴으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고 경보를 발생하여, 긴급 상황에 대한 구조 요청 신호를 용이하게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user transmits an alarm message in a minimum operation pattern even in an emergency where the criminal is being threatened and generates an alarm to easily generate a rescue request signal for an emergency situation have.

단말에 대한 터치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는 경우, 긴급 상황으로 인한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에 대한 버튼 누르기 동작 등의 능동적인 입력 동작을 요청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가 갑작스러운 공격에 의하여 의식을 잃거나 알람 장치를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도 긴급 상황 발생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input of the touch signal to the terminal is interrup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due to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user is not requested to perform an active input operation such as a button pressing operation for an emergency situa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n alarm for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even if the user is unconscious due to an attack or can not operate the alarm device.

기설정된 순서로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서버는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에게 구조가 지원될 수 있도록 기지정된 단말(예: 경찰관의 단말)로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효과가 있다. When a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in a preset order,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s an alarm message. The server receives the action pattern, It is effective to transmit the rescue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of the police officer).

또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예: 경찰관제서버, 이동통신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하였는지 여부를 검증(예: 폐쇄회로 티브이가 설치된 공간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긴급 상황에 처하였는지 검증)함으로써, 오경보(False Alarm)발생에 대한 검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server (for example, a policeman's server,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erver) receiving the alarm message verifies whether or not the user is in an emergency (for example, inducing a user to move to a space in which a closed-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occurrence of a false alarm by verifying whether or not an actual emergency has occurred.

오경보로 인한 출동을 막기 위하여 기설정된 순서로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되,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가 기등록한 해제 신호에 해당하는 패턴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게 함으로써, 위급하지 않은 상황에 경찰 또는 보안 요원이 출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If a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in a predetermined order to prevent dispatch due to false alarms,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If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signal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user is not input within the critical time, Thereby preventing the police or security personnel from dispatching to an emergency.

기설정된 순서로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한 경우에도, 기등록한 해제 신호에 해당하는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알람 메시지 전송을 취소하므로, 오경보(false alarm)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Even when a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in a predetermined order, when a pattern corresponding to a previously registered release signal is input, the alarm message transmission is canceled, thereby preventing false alarms.

긴급 상황으로 인하여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고, 해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단말 또는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제로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오경보(false alarm)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t least one of the terminal or the server analyzes the data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verifies whether or not an emergency situation has actually occurred when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due to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release signal is not inputted. alarm is prevented from occurr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의 긴급 상황 실행부 및 알람 송신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증부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람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니터링부 및 서버의 알람 검증부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람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검증부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람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and an alarm transmission unit of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alarm apparatus including a ver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alarm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alarm system including a monitoring unit of the terminal and an alarm verification unit of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alarm system including a verification uni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alarm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 comprises, " or "comprising," as used herein, means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Do not exclude the addi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급작스러운 공격을 받거나, 범죄자로부터 협박을 받는 상황에 처하여 버튼 누르기 동작 등 적극적인 입력 행위를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최소한의 행동 패턴을 감지하여 긴급 상황임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경보를 제공하며, 센서가 획득한 주변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긴급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대한 알람 제공의 신뢰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minimum behavior pattern to determine that the us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provides an alert when the user is unexpectedly attacked or is threatened by a criminal and fails to perform an active input action such as a button pressing action And analyzing data on the ambient conditions acquired by the sensor to verify whether an emergency has occurred, thereby increasing reliability and user convenience of providing an alarm for an emergency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의 긴급 상황 실행부(110) 및 알람 송신부(12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and an alarm transmission unit 120 of an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 기설정된 순서로 변환되는지 감지하고, 긴급 상황 발생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긴급 상황 실행부(110) 및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람 송신부(120)를 포함한다. 이 때,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기설정된 순서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모니터링부(111)를 포함한다.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for detecting whether a behavior pattern of a user is converted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generating an alarm message for an emergency occurrence, And a transmission unit 120. In this case,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includes an operation monitoring unit 111 for detecting whether a user's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in a predetermined ord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의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 기설정된 순서로 변환되는지 감지하고, 긴급 상황 발생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며, 알람 송신부(120)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기설정된 순서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모니터링부(111) 및 행동 패턴 변환 발생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계산부(112)를 포함한다. The emergency state execution unit 110 of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a behavior pattern of a user is converted in a predetermined order, generates an alarm message for an emergency occurrence, ) Sends an alarm message. In this case,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includes an operation monitoring unit 111 for detecting whether a user's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in a predetermined order, a time calculation unit 112 for measuring time from the time of occurrence of a behavior pattern change,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니터링부(111)는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 변환 발생을 감지하고, 시간 계산부(112)는 변환 후의 행동 패턴이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동작 모니터링부(111)는 사용자 단말(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비접촉 상태가 되는 행동 패턴 변환을 감지하고, 시간 계산부(112)는 변환 후 행동패턴(비접촉 상태)이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즉,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 변환 발생을 감지하고, 변환 후 행동패턴이 임계 시간(예: 2초) 동안 유지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다.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occurrence of behavior pattern conversion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the time calculation unit 112 measures a time at which a behavior pattern after conversion is maintained. For example,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11 may detect a behavior pattern change that is in a non-contact state away from the screen while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martphone) 112) measures the time at which the behavior pattern after the conversion (non-contact state) is maintained. That is,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detects occurrence of a behavior pattern change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generates an alarm message when the behavior pattern after the change is maintained for a threshold time (for example, 2 second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행동 패턴 변환 후 시간 계산부(112)가 측정한 시간이 임계 시간(예: 2초) 이상이 될 때까지 해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may receive the release signal until the time measured by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time calculation unit 112 becomes equal to or longer than a threshold time (for example, 2 seconds)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an alarm message is generated.

이 때, 해제 신호는 기등록된 일정 행동 패턴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로서,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알람 장치의 안전 귀가 모니터링 모드를 종료시키는 패턴(제3 잠금 해제 패턴)이 아니라, 안전 귀가 모니터링 모드를 유지하되 알람 메시지 생성을 중단시키는 신호이다. 즉,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기설정된 행동 패턴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인지한 사용자의 기등록된 일정 행동 패턴으로 인한 해제 신호를 입력 받음으로써, 알람 메시지 생성을 중단하는 것이 가능하여 오경보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해제 신호를 발생시키는 일정 행동 패턴은 사용자 별로 개인화되어 기등록받으므로, 사용자를 공격한 범죄자는 해제 신호를 발생시키는 일정 행동 패턴에 대하여 알지 못하므로, 해제 신호를 이용한 오경보 발생 방지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단, 사용자가 범죄자의 협박으로 인하여 일정 행동 패턴으로 해제 신호를 입력시키는 경우도 있으므로, 알람 메시지 생성 중단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서버(예: 경찰청 관제 서버,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하여, 현재 사용자가 실제로 급박한 상황에 처하였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시스템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release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from a predetermined registered behavior pattern, and is not a pattern (a third unlock pattern) that terminates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It keeps the mode but stops generating alarm message. That is, when a predetermined behavior pattern change occurs due to a user's carelessness or the like, the alarm message generation can be stopped by receiving a release signal due to a predetermined registered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who recognized the behavior pattern, prevent. Since the predetermined behavior pattern for generating the release signal is personalized and registered for each user, the offender who attacked the user does not know the predetermined behavior pattern for generating the release signal.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prevention of the occurrence of the false alarm using the release signal . However, there is a case where the user inputs a release signal in a certain behavior pattern due to the intimidation of the criminal. Therefore, the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interruption of the generation of the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to a server (e.g., police agency control server or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It is verified whether or not the situation is actually imminen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실행부(110)의 동작 모니터링부(111)는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는 경우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신호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센서로 입력되는 터치 신호이다. 사용자 단말(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비접촉 상태가 되는 경우, 동작 모니터링부(111)는 신호의 입력이 중단됨을 감지하여 행동 패턴 변환 발생을 감지한다.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11 of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at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when the input of the signal is interrupted. For example, the input signal is a touch signal input to the touch sensor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mart phone) and the contactless state falls away from the screen,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11 detects that the input of the signal is stopped, Detection.

다른 실시예로서, 동작 모니터링부(111)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의 압력이 기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인한 터치 면적이 기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감지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즉, 동작 모니터링부(111)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누르는 사용자 손가락에 의하여 터치 신호를 감지하며, 터치 신호의 압력 변화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손가락의 화면에 대한 터치 면적 변화를 감지하여, 압력 변화 또는 터치 면적 변화가 기설정 범위 이상이 되는 경우,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감지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11 may detect that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when the pressure of the touch signal inpu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exceeds the preset range, or if the touch area due to the user's finger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at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when out of range. That is,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11 senses the touch signal by the user finger press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tects the change of the touch signal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the pressure of the touch signal and the change of the touch area with respect to the screen of the user's finger, When the area change exceeds the preset range, it is detected that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강도가 사용자 단말을 파지한 사용자의 손을 잡고 있어, 사용자가 터치 신호 입력 중단을 통하여 행동 패턴 변환을 발생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하여, 동작 모니터링부(111)는 기설정된 세기보다 더 큰 세기로 사용자 단말을 통해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한다. 다른 예로서, 동작 모니터링부(111)는 스마트워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주먹을 쥐고 있다가 편 상태, 스마트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정면을 주시하다가 다른 방향을 보는 상태를 행동 패턴 변환 발생의 경우로 감지한다. As another embodiment, in case that the user holds the hand of the user holding the strength of the user terminal and it is impossible for the user to generate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through interruption of the touch signal input,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at an intensity greater than the intensity, it is detected that a behavior pattern conversion has occurred. As another example,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11 may detect a state in which a user wearing a smart watch grasps a fist and watches a user wearing a smart state or a smart glass while looking at the other direction, Detec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를 기설정 순서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한 경우로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s finger is touched on a display screen of a smartphone from a state in which the user's finger is touched to a state in which the touch is not performed, As an example, a cas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니터링부(111)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버튼 조작 등 특정한 작위(作爲, 의식적인 의사에 의한 적극적 행위)를 요청하지 아니하고, 긴급 상황이 아닌 상황에서 유지되던 행동 패턴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행동 패턴 변환 발생의 경우)를 감지한다. 즉,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범죄자의 공격 또는 협박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적극적 행위를 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 유지되지 않는 현상을 감지하고, 긴급 상황 실행부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다.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est a specific action (action by a user, conscious doctors) such as a specific button operation from the user, and does not request a behavior pattern maintained in a non- (In the case of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rence). That is, when the user can not consciously act actively due to an attack or intimidation of a criminal,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detects a phenomenon in which a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is not maintained, and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generates an alarm message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동작 모니터링부(111)가 감지한 행동 패턴 변환은 긴급 상황으로부터 야기되지 아니하더라도, 장애물과의 부딪힘,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행동 패턴 변환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 계산부(112)는 이러한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 변환이 일어나는 경우 변환 시점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한다.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시간 계산부(112)가 측정한 시간이 임계 시간(예: 2초)이 되는 동안 변환 후 행동 패턴이 유지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detected by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11 may be caused by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or a behavior pattern conversion due to a user's mistake even if it is not caused by an emergency situation . Therefore, the time calculator 11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time from the conversion time when a predetermined order of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generates an alarm message when the post-conversion behavior pattern is maintained while the time measured by the time calculation unit 112 reaches a threshold time (for example, 2 second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행동 패턴 변환 후 시간 계산부(112)가 측정한 시간이 임계 시간(예: 2초) 이상이 될 때까지 해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may receive the release signal until the time measured by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time calculation unit 112 becomes equal to or longer than a threshold time (for example, 2 seconds)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an alarm message is generated.

이 때, 긴급 상황 발생 판단의 기준이 되는 임계 시간은 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threshold time a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can be adjusted.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실행부(110) 및 알람 송신부(120)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는 아래 도 2 및 도 3에 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including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and the alarm transmiss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 등록부(130)는 긴급 상황 알람 장치가 동작하는 모드를 결정하는 패턴을 등록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는 표준모드(제1모드),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제2모드) 및 안전귀가 모니터링 종료 모드(제3모드)별로 동작되는데, 패턴 등록부(130)는 각 모드를 실행하는 패턴을 등록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의 패턴 등록부(130)는 긴급 상황 알람 장치가 적용되는 스마트폰 화면 상의 격자에 입력되는 잠금 해제 패턴 3개를 등록하되, 제1 잠금 해제 패턴을 표준 모드(제1모드)실행을 위한 패턴으로 등록하고, 제2 잠금 해제 패턴을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제2모드)실행을 위한 패턴으로 등록하며, 제3 잠금 해제 패턴을 안전귀가 모니터링 종료 모드(제3모드)실행을 위한 패턴으로 등록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pattern registra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a pattern for determining a mode in which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operates. For example,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the standard mode (first mode),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second mode), and the safety ear monitoring end mode (third mode) 130 registers a pattern for executing each mode. For example, the pattern registration unit 130 of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three unlock patterns to be input to the gri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to which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is applied, Registers the pattern as a pattern for executing the standard mode (first mode), registers the second unlock pattern as a pattern for executing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second mode), and registers the third unlock pattern as the safety ear monitoring end Mode (third mode) is registered as a pattern for execu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패턴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입력 받고, 각 동작 패턴 별로 해당 모드를 활성화한다. 전술한 예의 경우, 사용자가 제1 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표준모드 활성화부(150)에 의하여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준 모드(제1모드)가 실행되고, 사용자가 제2 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제2모드)가 실행된다.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제2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화면에 터치하십시오”라는 안내 문구를 표출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안내 문구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을 화면에 터치한다. The pattern input unit 140 receives a user's operation pattern and activates the corresponding mode for each operation pattern. In the case of the above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the first unlock pattern, the standard mode activating unit 150 releases the lock screen and displays the idle screen. In the standard mode (first mode) 2 When entering the unlock pattern,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second mode) is executed. When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second mode) is executed,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guideline "Touch the user's finger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The user touches the user's finger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guidance tex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 상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는지 감지하고, 터치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는 즉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알람 송신부(120)로 전송한다.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detects whether the user's finger is continuously touching the display, generates an alarm message immediately after the input of the touch signal is stopped, and transmits the alarm message to the alarm transmitter 12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 상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는지 감지하고, 터치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한 시간이 임계 시간 이상이 되면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알람 송신부(120)로 전송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detects whether the user's finger is continuously touching the display, measures the time from when the input of the touch signal is stopped, An alarm mess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alarm transmission unit 12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 상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는지 감지하고, 터치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한 시간이 임계 시간 이상이 될 때까지 해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알람 송신부(120)로 전송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detects whether the user's finger is continuously touching the display, measures the time from when the input of the touch signal is stopped, If the release signal is not input until the time exceeds the predetermined time, an alarm mess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alarm transmission unit 12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스마트폰에 장착된 센서가 획득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변화하고,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변화 전 상태로 회복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알람 송신부(1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걸어가던 중, 범죄자에 의하여 협박을 받거나 범죄자를 발견하여 두려움을 느껴, 그 자리에 멈춰 선 경우를 긴급 상황으로 감지하여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스마트폰에 장착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이동하다가 멈춰 선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알람 송신부(120)로 전송한다.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ata acquired by the sensor mounted on the smartphone to change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to recover the state of the user's mov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alarm transmission unit 120 generates an alarm message.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walking,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detects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user is intimidated by a criminal or feels frightened by finding a criminal and stops on the spot, and generates an alarm message. Generates an alarm messag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larm message to the alarm transmitter 120 when the user senses that the user is moving from the data acqui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gyro sensor mounted on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제2모드)의 실행 중, 정상적인 제3 잠금 해제 패턴을 이용한 안전귀가 모니터링 종료 모드(제3모드) 외에, 비정상적으로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를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여,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범죄자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탈취하여 전원을 꺼버리거나, 부숴버리는 경우는 기등록된 제3잠금 해제 패턴의 정상적인 입력을 통한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제2모드)의 종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이므로,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이러한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알람 송신부(120)로 전송한다.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 safety ear monitoring end mode (third mode) using the normal third unlocking pattern during execution of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second mode) When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is abnormally terminated, it is detect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nd an alarm message is generated. For example, when the criminal seizes the user's smartphone and turns off or crushes the user's smartphone,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second mode) is not terminated through the normal input of the third registered unlock pattern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generates an alarm message and transmits the alarm message to the alarm transmission unit 120 in this case.

알람 송신부(120)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되,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원격 서버로 해당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의 경보부로 전송하여 경보음을 제공하게 한다.The alarm transmitting unit 120 transmits an alarm message to the remote server monitoring the emergency situation, or transmits the alarm message to the alarm unit of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arm sound.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 변환(터치 신호 입력의 중단)이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패턴 입력부(140)가 사용자로부터 제3 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 받은 경우, 기능 종료부(160)는 긴급 상황 실행부(110)로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제2모드)를 종료할 것을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If the pattern input unit 140 receives the third unlocking pattern from the user even if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in the predetermined order has occurred (interruption of the touch signal input), the function termination unit 160 transmits the third unlock pattern to the emergency state execution unit 110 to transmit a signal instructing to terminate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second mod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종료부(160)는 사용자가 기등록한 특정 입력 신호(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제3잠금 해제 패턴)가 입력되는 경우에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제2 모드)를 종료시키게 되므로, 사용자가 아닌 제3자(범죄자)는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를 임의로 종료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That is, the function termination unit 16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safe ear monitoring mode (second mode) when a specific input signal (a third unlocking pattern only known by the user) The third person (the criminal) other than the user can not arbitrarily end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다른 예로서, 기능 종료부(16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예: GPS를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기지정한 목적지(예: 사용자의 주거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3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받는 경우 발생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긴급 상황 실행부(110)로 전송한다. As anothe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unction terminating unit 160 has arrived at a destination (for example, a residence of the user) previously designa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using the GPS) And transmits a signal identical to the signal generated when the unlock pattern is input to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ng unit 110. [

또 다른 예로서, 기능 종료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가 적용된 스마트폰이 기설정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는 경우, 긴급 상황 실행부(110)로 제3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받는 경우 발생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전송한다. 즉,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특정 거치대에 꽂혀지는 경우 스마트폰의 기울기는 기설정된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므로, 기능 종료부(160)는 이러한 기울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무사히 귀가하였음을 판단하고 제3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받는 경우 발생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전송하여,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를 종료시킨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smartphone to which the emergency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unction termination unit 160 may transmit the third unlocking pattern And transmits the same signal as the generated signal. That is, when the user's smartphone is plugged into a specific cradle, the slope of the smartphone is maintained at a preset predetermined angle. Thus, the function termination unit 160 uses the tilt data to determine that the user has safely returned home, When the release pattern is input, the same signal as the generated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is terminated.

또 다른 예로서, 기능 종료부(160)는 사용자가 강도의 겁박에 의하여 제3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제3잠금 해제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로 “주변 영상을 촬영하십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출하도록 명령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영상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 전후 좌우 영상을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은 이를 통신 회사로 전송하며, 통신 회사는 제3잠금 해제 패턴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주변 영상을 이용하여 실제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user inputs a third unlocking pattern due to the intimidation of the strength, the function terminating unit 160 sets " the surrounding image to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third unlocking pattern is input Please shoot "message. The user obtains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images at the position of the current user using the image sensor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image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When the third unlocking pattern is input, And provides a service for verifying whether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using the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 송신부(120)는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transmission unit 120 transmits an alarm message including data acquired by the sensor.

알람 송신부(120)는 기설정된 행동 패턴 변환 후 임계 시간이 지나는 동안 해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마이크 센서, 모션 센서, 카메라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상황 데이터(주변 소리, 모션 데이터, 주변 영상)를 수집하고, 이를 긴급 상황 실행부(110)가 생성한 알람 메시지에 부가하여 전송한다. The alarm transmission unit 120 transmits the status data (surrounding sound, motion data, and peripheral images) obtained through the microphone sensor, the motion sensor, and the camera sensor when the release signal is not input during the passage of the threshold time after the predetermined behavior pattern conversion And adds the alarm message to the alarm message generated by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ng unit 110 and transmits the alarm mess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송신부(120)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의 상황 데이터를 부가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상황 데이터가 실제로 긴급 상황 발생에 의하여 획득된 것인지 검증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 경우, 실제 긴급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검증은 후술하는 서버(예: 경찰청 관제 서버, 이동통신사 서버 등)가 수행한다.
The alarm transmiss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alarm message to which the situation data at the time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s expected to occur is added and the data for verifying whether the situation data is actually obtained by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Lt; / RTI > In this case, verification of whether an actual emergency occurs is performed by a server (for example, a police service control server,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or the lik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증부(180)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람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alarm apparatus including a verification unit 1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장치는 긴급 상황 실행부(110)가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센서가 획득한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여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긴급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부(180)를 더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in the emergency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generates an alarm message, it analyzes the situation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nd monitors the emergency situation And a verification unit 180 for verifying whether an emergency occurs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검증부(180)는 센서(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카메라센서, 마이크센서 등)로부터 획득된 주변의 소리, 주변의 영상, 사용자의 급작스러운 모션 변화에 관한 상황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The verification unit 180 collects and analyzes situation data related to a sudden change in motion of the surrounding sound, the surrounding image, and the user obtained from the sensors (gyro sensor, acceleration sensor, camera sensor, microphone sensor, Monitor the situation.

일례로, 검증부(180)는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고, 변환 후 행동 패턴이 임계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제로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 For example, when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in the predetermined order occurs and the post-conversion behavior pattern is maintained for the critical time, the verification unit 180 analyzes data acquired by the sensor to monitor whether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performs a verification process.

다른 예로, 검증부(180)는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고, 이로부터 임계 시간이 지나는 동안 해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제로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in the predetermined order occurs and the release signal is not inputted during the passage of the critical time from the predetermined sequence, the verification unit 180 analyzes the data acquired by the sensor to determine whether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performs a verification process to monitor the system.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alarm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시스템은 기설정된 순서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지 감지하고, 긴급 상황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말(100) 및 단말(100)로부터 알람 메시지를 전송 받고,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지정된 번호를 가지는 디바이스로 전송 처리하는 서버(200)를 포함한다. The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a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f a user occurs in a preset order, generates an alarm message for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s the alarm message, And a server 200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n emergency situation included in the alarm message to a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 기설정된 순서로 변환되는지 감지하고,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긴급 상황 실행부(110)와,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서버(200)의 알람 수신부(210)로 전송하는 알람 송신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기입력되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의 식별 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다. 4,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for detecting whether a behavior pattern of a user is converted in a preset order and generating an alarm message, And an alarm transmitting unit 120 for transmitting an alarm message to the alarm receiving unit 210 of the server 200. The emergency state execution unit 110 of the terminal 100 detects that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has occurred when the input signal is not inputted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etc.) And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기입력되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고, 변환 후 행동 패턴이 임계 시간(예: 2초)이상 유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식별 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다.
The emergency state execution unit 110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at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has occurred when the input signal is not inputted and determines that the behavior pattern after the conversion is a critical time Sec.), An alarm message including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etc.) and pos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는 알람 수신부(210) 및 알람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있음을 인지하여 경찰, 구급대 및 지정된 보호자에게 긴급 상황을 알리는 긴급 상황 경보부(220)를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경찰청 관제 서버, 이동통신 서비스 회사의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긴급 상황 경보부(220)는 기지정된 보호자 또는 경찰의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하였음을 알리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100)로 경고음 발생 명령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100)로부터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larm receiving unit 210 for receiving an alarm message and an emergency notification unit 230 for recognizing that the user is in an emergency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alarm message and informing the police, And a status alarm unit 22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er of a police service control server or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ompany. The emergency alert unit 220 transmits a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pre-designated guardian or the polic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user is in an emergency and transmits a warning sound generation command signal to the terminal 100 of the user, So that an alarm sound is generated.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가 실행된 단말(100)로부터 단말(100)의 위치 정보(예: GPS를 이용한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서버(200)가 단말(100)로부터 알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긴급 상황 경보부(220)는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있음을 경찰, 구급대 및 지정된 보호자에게 알리되, 기모니터링 중인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즉각적으로 알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에 대한 조속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e.g., positional information using GPS) of the terminal 100 from the terminal 100 in which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is executed, And monitor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hav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real time. Accordingly, when the server 200 receives the alarm message from the terminal 100, the emergency alert unit 220 informs the police, the paramedic and the designated guardian that the user is in an emergency, It is possible to provide prompt support for the user in an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 기설정된 순서로 변환되는지 감지하고, 변환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 내에 해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긴급 상황 실행부(110)와,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서버(200)의 알람 수신부(210)로 전송하는 알람 송신부(120)를 포함한다. 이 때, 긴급 상황 실행부(110)는 기입력되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고, 변환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예: 2초) 내에 해제 신호(사용자가 기등록한 일정 행동 패턴으로 인하여 발생되며, 알람 메시지 생성을 중단시키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식별 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다.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a behavior pattern of a user is converted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generates an alarm message when a release signal is not input within a threshold time from a conversion time, And an alarm transmitting unit 120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alarm message to the alarm receiving unit 210 of the server 200. At this time,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0 detects that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has occurred when the input signal is not inputted, and outputs the release signal (the predetermined behavior Pattern), and generates an alarm message including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d the like) and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alarm signal is not input.

일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임계 시간 내에 해제 신호가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경우에도, 긴급 상황이 아님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지정된 디바이스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시킨다. For example,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alarm message to a previously designated device to confirm that the emergency state is not present even when a release signal is input through the terminal 100 within the threshold time .

다른 예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단말(100)이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및 임계 시간 내에 해제 신호가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경우, 단말(100)로 이동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실제 긴급 상황에 처하여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In another example,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nd an alarm message to the terminal 100 when the terminal 100 generates an alarm message and when a release signal is input through the terminal 100 within the threshold time A movement command message is transmitted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user is in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이 때, 서버(200)로부터 이동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폐쇄 회로 카메라가 있는 지점으로 이동하십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출하여, 사용자의 현 상황에 대하여 감독이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At this time, the terminal 100 that has received the move command message from the server 200 displays a message " Move to the point where the closed circuit camera is present " through the display unit to induce the user to supervise the current situation do.

즉, 서버(200)는 단말(100)을 폐쇄회로 감시 카메라가 촬영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시키고, 감시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잘못된 신고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That is, the server 200 moves the terminal 100 to a region where the closed circuit surveillance camera is capable of capturing, and confirms whether the surveillance camera is erroneous by using the acquired image.

또 다른 예로, 부정확한 신고로 인하여 경찰의 업무량이 폭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버(200)는 안전 귀가 모니터링에 관한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의 서버이고, 통신사 서버는 1차적으로 긴급 상황 여부를 검증하고, 긴급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경찰 서버로 해당 긴급 상황 발생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nothe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workload of the police from exploding due to an incorrect report, the server 200 is a server of a communication company providing a fee-based service for monitoring the safety retur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tuation is an emergency, it is preferable to inform the police server of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임계 시간 내에 해제 신호가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경우, 단말(100)로 영상 촬영 명령 신호를 전송한다. 서버(200)로부터 영상 촬영 명령 신호를 전송 받은 단말(100)은 기장착된 카메라를 구동시켜, 현재 사용자가 처해 있는 주변 상황에 대하여 동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image capturing command signal to the terminal 100 when a release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terminal 100 within the threshold time. The terminal 100 that has received the image capturing command signal from the server 200 drives the attached camera to acquire a moving image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urrent user and transmit the acquired image to the server 200.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170) 및 알람 검증부(230)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람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alarm system including a monitoring unit 170 and an alarm verification unit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에 포함되는 모니터링부(170)는 센서가 획득한 상황 데이터(주변 소리, 주변 영상, 모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상황 데이터를 긴급 상황 실행부(110)가 생성한 알람 메시지에 부가하여, 알람 송신부(120)로 전송한다. 이 때, 서버(200)의 알람 수신부(210)는 상황 데이터가 부가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고, 알람 검증부(230)는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알람 메시지가 생성된 상황이 실제로 긴급 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알람 검증부(230)는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 이것이 실제로 긴급 상황에 의하여 발생한 것인지 검증함으로써, 오경보(false alarm)의 발생을 방지한다. 일례로, 알람 검증부(230)는 단말(100)의 센서가 획득하는 소리 데이터, 영상 데이터, 모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 해당 상황이 긴급 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서버(200)의 알람 검증부(230)가 모니터링하는 상황이 긴급 상황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200)의 긴급 상황 경보부(220)는 기지정된 디바이스(예: 경찰, 구급대, 지정된 보호자의 디바이스)로 알람을 전송하고, 단말(100)로 경보음 발생 명령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100)이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5, the monitoring unit 170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collects the situation data (surrounding sound, surrounding image, motion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nd transmits the collected situation data to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ng unit To the alarm transmission unit 120, in addition to the alarm message generated by the alarm transmission unit 110. At this time, the alarm receiving unit 210 of the server 200 receives the alarm message to which the situation data is added, and the alarm verifying unit 230 analyzes the situation data, Verify whether it is applicable. The alarm verifying unit 230 verifies whether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in the predetermined order has occurred due to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thereby preventing false alarms. For example, the alarm verification unit 230 monitors the sound data, the image data, and the motion data acquired by the sensor of the terminal 100, and verifies whether the corresponding situation corresponds to an emergency situation. The emergency alert unit 220 of the server 200 may notify the emergency alert unit 220 of the presence of the designated device (e.g., a police, a paramedic, a designated guardian) Device) and transmits an alarm sound generation command signal to the terminal 100 to control the terminal 100 to generate an alarm sound.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증부(180)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람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alarm system including a verification unit 180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에 포함되는 검증부(180)는 긴급 상황 실행부(110)가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 센서가 획득한 상황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분석 결과 해당 알람 메시지가 생성된 상황이 실제 긴급 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6, the verification unit 180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collects and acquires the situation data acquired by the sensor when the emergency pattern execution unit 110 generates a behavior pattern conversion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analyzes whether the situation in which the corresponding alarm message is generated corresponds to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또한, 단말(100)에 포함되는 검증부(180)는 긴급 상황 실행부(110)가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 및 유지 시간 내 해제 신호 미입력을 감지하여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 경우, 센서가 획득한 상황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분석 결과 해당 알람 메시지가 생성된 상황이 실제 긴급 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ng unit 110 generates an alarm message by detecting a behavior pattern conversion in a preset order and a release signal non-arrival in the holding time, the verifying unit 180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transmits a signal Collects and analyzes the acquired status data, and verifies whether the situation in which the corresponding alarm message is generated corresponds to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즉, 검증부(180)는 센서(마이크센서, 카메라센서, 자이로센서)가 획득한 주변 소리, 주변 영상 및 모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알람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 사용자가 실제로 긴급 상황에 있는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오경보(false alarm)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검증부(180)는 분석 결과 긴급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알람 송신부(120)로 해당 알람 메시지 전송을 명령한다. That is, if the alarm message is generated using the ambient sound, the peripheral image, and the motion data acquired by the sensor (microphone sensor, camera sensor, gyro sensor), the verification unit 18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actually in an emergency By verifying, false alarms are prevented from occurr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nalysis result is an emergency, the verification unit 180 instructs the alarm transmission unit 120 to transmit the alarm message.

이 때, 알람 수신부(210)를 통하여 알람 송신부(120)가 전송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한 서버(200)의 긴급 상황 경보부(220)는 기지정된 디바이스의 번호(예: 경찰, 구급대, 지정된 보호자의 번호)로 음성 또는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하여 구조가 필요함을 알리고, 단말(100)로 경보음 발생 명령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100)이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emergency alert unit 220 of the server 200 receiving the alarm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alarm transmission unit 120 through the alarm receiving unit 210 receives the number of the designated device (e.g., police, emergency service, Number) to notify that the user is in an emergency and needs a structure, transmits an alarm sound generation command signal to the terminal 100, and controls the terminal 100 to generate an alarm sound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alarm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람 방법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입력 받는 단계(S100), 입력 받은 행동 패턴이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으로 변환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 행동 패턴이 기설정된 순서로 변환되는 경우, 긴급 상황 발생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The emergency alarm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behavior pattern of a user (S100), determining whether a received behavior pattern is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behavior pattern (S200)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alarm message for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the order (S400).

일례로, S200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 대한 터치 신호 입력이 중단되는 경우를 기설정된 순서로 행동 패턴이 변환되는 경우로 판단한다. 즉,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통하여 안전귀가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화면에 터치하십시오”라는 안내문구가 표출되고, S200 단계는 휴대 단말의 화면 상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순서의 행동 패턴(터치 신호 입력, 터치 신호 미입력 순으로 변환되는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For example, in step S200, it is determined that a behavior pattern is converted in a predetermined order when a touch signal input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is interrupted. That is, when the safety ear monitoring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a guideline of " Touch the user's finger on the screen "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In step S200, (A behavior pattern converted into a touch signal input or a non-touch signal non-inputting sequence) is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order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input of the touch signal is stopped.

S400단계는 긴급 상황 발생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 때, S400 단계는 알람 메시지를 외부의 원격 서버에 전송하여 긴급 상황 발생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자체적으로 알람 메시지에 따른 경보음을 발생하여 주변에 긴급 상황을 알려 구조를 요청한다. In step S400, an alarm message for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t this time, in step S400, an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remote server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or an alarm sound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alarm message to infor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400 단계는 센서가 획득한 상황 데이터(주변 소리, 주변 영상, 모션 데이터)를 알람 메시지에 부가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러한 알람 메시지 및 상황 데이터를 수신한 서버의 상황 데이터 분석 및 긴급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검증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전송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S400 may include adding the status data (peripheral sound, peripheral image, and motion data) acquired by the sensor to the alarm message to transmit the alarm message and the status data of the server And the basis data for verifying whether an emergency occur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200 단계 이후 및 S400 단계 이전에, 임계 시간 내에 해제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a release signal is inputted within the critical time after steps S200 and S400.

S200 단계에서 기설정된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S300 단계에서는 임계 시간(예: 2초) 내에 해제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해제 신호는 긴급 상황이 발생하지 아니하였음에도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한 경우, 긴급 상황 알람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신호로서, 사용자가 기등록한 특정 패턴 입력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의도치 않게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한 경우 해제 신호를 입력하여 긴급 상황 알람 실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위해를 가한 범죄자는 사용자가 기등록한 특정 패턴을 알 수 없으므로 임의로 해제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0 that a predetermined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it is determined in step S300 whether a release signal is input within a threshold time (e.g., 2 seconds).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ease signal is a specific pattern input signal that the user has previously registered as an input signal in order to prevent the emergency alarm from being executed when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even though the emergency situation has not occurred. That is, when the user unintentionally converts the behavior pattern, the user can input a release signal to control the execution of the emergency alarm so that the criminal who has applied the risk to the user can not know the specific pattern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user. It is impossible to input a signal.

S300 단계에서 임계 시간 내에 해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S400단계는 긴급 상황 발생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 때, S400 단계는 알람 메시지를 외부의 원격 서버에 전송하여 긴급 상황 발생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자체적으로 알람 메시지에 따른 경보음을 발생하여 주변에 긴급 상황을 알려 구조를 요청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0 that the release signal is not input within the critical time, step S400 generates and transmits an alarm message for the emergency occurrence. At this time, in step S400, an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remote server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or an alarm sound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alarm message to infor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400 단계는 센서가 획득한 상황 데이터(주변 소리, 주변 영상, 모션 데이터)를 알람 메시지에 부가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러한 알람 메시지 및 상황 데이터를 수신한 서버의 상황 데이터 분석 및 긴급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검증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전송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S400 may include adding the status data (peripheral sound, peripheral image, and motion data) acquired by the sensor to the alarm message to transmit the alarm message and the status data of the server And the basis data for verifying whether an emergency occur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300 단계 이후 및 S400 단계 이전에, 센서가 획득한 상황 데이터(소리 센서가 획득한 주변 소리, 카메라 센서가 획득한 주변 영상,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가 획득한 모션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해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가 실제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검증 단계를 통하여, 오경보(false alarm)의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며 알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s S300 and S400, the state data acquired by the sensor (the ambient sound acquired by the sound sensor, the peripheral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sensor, the motion acquired by the gyro sensor or the acceleration sensor Data), and verifying whether the case where the release signal is not inputted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rough this verification step,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larm by ensuring accuracy and reliability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false alarms.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단말 110: 긴급 상황 실행부
111: 동작 모니터링부 112: 시간 계산부
120: 알람 송신부 130: 패턴 등록부
140: 패턴 입력부 150: 표준 모드 활성화부
160: 기능 종료부 170: 모니터링부
180: 검증부 200: 서버
210: 알람 수신부 220: 긴급 상황 경보부
230: 알람 검증부
100: terminal 110: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111: operation monitoring unit 112: time calculating unit
120: Alarm transmission unit 130: Pattern registration unit
140: pattern input unit 150: standard mode activation unit
160: Function termination unit 170: Monitoring unit
180: verification unit 200: server
210: alarm reception unit 220: emergency alarm unit
230:

Claims (14)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에 따라 실행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변환되면 이를 기설정된 순서의 사용자 행동 패턴 변환 발생 상황으로 감지하되, 상기 행동 패턴 변환 발생 시점으로부터 기설정 시간 이상 기등록된 잠금 해제 패턴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긴급 상황 실행부;
상기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람 송신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등록된 잠금 해제 패턴이 입력된 경우 상기 긴급 상황 실행부로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의 종료에 대한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 종료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등록된 잠금 해제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주변 영상 촬영에 대한 명령 메시지를 표출하고 영상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전송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폐쇄 회로 카메라가 있는 지점으로 이동하라는 명령 메시지를 표출하며, 상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알람 메시지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것
인 긴급 상황 알람 장치.
When the user's fingers are touched on the display screen to a state in which the user's finger is not touche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user behavior pattern change occurrence status in a predetermined order, An emergency situation executing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when the registered unlock pattern is not inputted from the time point of the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 alarm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alarm message;
And a function termin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mmand signal for ending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to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on unit when the pre-registered unlock pattern is input by the user,
When the pre-registered unlock pattern is input, a command message for surrounding image shooting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 peripheral image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s photographed using the image sensor, Display a command message to move to the point where the closed circuit camera is located through the display screen, collect the situation data, add it to the alarm message and transmit
Emergency aler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 실행부가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센서가 획득한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여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긴급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부
를 더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n emergency situation by analyzing the situation data acquired by the sensor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executing unit generates an alarm message and for verifying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nd an emergency alarm device.
기설정된 순서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 변환이 발생하는지 감지하고, 긴급 상황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알람 메시지를 전송 받고, 상기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지정된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안전귀가 모니터링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변환되면 이를 상기 행동 패턴 변환으로 감지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을 통하여 상기 행동 패턴 변환의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기등록된 잠금 해제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주변 영상 촬영에 대한 명령 메시지 또는 폐쇄 회로 카메라가 있는 지점으로 이동할 것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감독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제로 긴급 상황 발생에 의해 상기 알람 메시지가 생성된 것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
인 긴급 상황 알람 시스템.
A terminal for detecting whether a user's behavior pattern conversion occurs in a predetermined order, generating an alarm message for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ting the alarm message; And
And a server for receiving an alarm message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n emergency situation included in the alarm message to a predetermined device,
When the terminal is switched from a state in which the user's finger is touched on the display screen to a state in which the touch is not performed in the safety ear monitoring mode,
When the unlock pattern registered in advan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of the behavior pattern conversion is inputted through the terminal, the server transmits a message instructing to move to a point where the closed circuit camera exists To the terminal, supervises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r, analyzes status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verifies whether the alarm message has been generated by actually generating an emergency situation
Emergency alarm system.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센서가 획득한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긴급 상황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
인 긴급 상황 알람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erminal analyzes status data acquired by the sensor to verify whether the emergency occurs, and transmits the alarm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Emergency alarm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89729A 2014-07-16 2014-07-16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alarm KR1017158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729A KR101715824B1 (en) 2014-07-16 2014-07-16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al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729A KR101715824B1 (en) 2014-07-16 2014-07-16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al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337A KR20160009337A (en) 2016-01-26
KR101715824B1 true KR101715824B1 (en) 2017-03-13

Family

ID=5530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729A KR101715824B1 (en) 2014-07-16 2014-07-16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al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82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115B1 (en) * 2012-05-24 2013-02-12 주식회사 터치스퀘어 Method of information management for safety home-coming and apparatus thereof
KR101341555B1 (en) * 2013-10-04 2013-12-13 김형욱 Method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706A (en)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Emergency handling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110091258A (en) * 2010-02-05 2011-08-11 옥은호 Auto message transmission system interlocked with transmission condition and that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115B1 (en) * 2012-05-24 2013-02-12 주식회사 터치스퀘어 Method of information management for safety home-coming and apparatus thereof
KR101341555B1 (en) * 2013-10-04 2013-12-13 김형욱 Method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337A (en)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62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bust man-down alarms
US7557701B2 (en) Building monitoring system
EP2704119B1 (en) Fall detection
KR101920537B1 (en) smart band system for detecting emergency patients emergency pati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05160806A (en) Wearing device having alarming function and alarming method thereof
KR20150098288A (en) the emergency situation sensing device responding to physical and mental shock and the emergency situation sen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315863B1 (en) Electronic anklet system, and application executing method and system for prohibiting sexual assault using the same
KR20140024712A (en) User location based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r surroundings image using smart device
US9818291B2 (en) System arm notification based on BLE position
KR1016686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issing child using subscriber terminal
KR1017158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alarm
US112638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KR102240772B1 (en) Watch type smart wearable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90070068A (en) System for Managing Fall Accident using Wearable Device
KR20130037902A (en)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and monitoring dangerous situations using multi-sensor
KR101735491B1 (en) A Real Time joint system for security and supervision
JP2017111496A (en) Behavior monitoring prediction system and behavior monitoring prediction method
US20170018163A1 (en) Method for triggering of the emergency responding system by using human scream
KR20160116492A (en) Smartphone for informing emergency situation and system for informing emergency situation using thereof
KR101397330B1 (en) Emergency repor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personally input signal
KR101716697B1 (en) Wearable apparatus for smart siren and personal guard system using thereof
US10629041B2 (en) Biometric feedback for intrusion system control
KR20150012630A (en)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electronic binding apparatus, and the electronic binding apparatus
JP7114421B2 (en) Mobile terminals, behavior management systems and programs
JP5973894B2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