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840B1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840B1
KR101711840B1 KR1020100053875A KR20100053875A KR101711840B1 KR 101711840 B1 KR101711840 B1 KR 101711840B1 KR 1020100053875 A KR1020100053875 A KR 1020100053875A KR 20100053875 A KR20100053875 A KR 20100053875A KR 101711840 B1 KR101711840 B1 KR 101711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content
unit
image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34088A (en
Inventor
정영호
최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3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840B1/en
Publication of KR20110134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0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8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은, 재생 중인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컨텐츠 재생의 일시 정지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단계와, 일시 정지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에 기반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ing an image related to content being played back on a display unit, suspending playback of the content when there is a pause input of the content playback, Displaying an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executable on the basis of an image related to a paused content or a content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user.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improve the usability of a user.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The video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that the user can view. The user can view the broadcast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displays the broadcast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 station on the display. Currently, broadcasting is changing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around the world.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broadcasting in which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are transmitted. Compared to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strong against external noise and has a small data loss, is advantageous for error correction, has a high resolution, and provides a clear screen. Also, unlike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capable of bidirectional ser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user.

특히, 컨텐츠를 재생 중 일시 정지된 영상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execute an application using a video temporarily stopped during reproduction of a content.

또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provide various user interfac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재생 중인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컨텐츠 재생의 일시 정지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단계와, 일시 정지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에 기반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n image related to content being reproduced on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executable on the basis of an image related to a paused content or content in a first area of a display unit; If so, execut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재생 중인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컨텐츠 재생의 일시 정지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n image related to content being reproduced on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o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executing the application if a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ion instruction is present in the application menu .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장치와, 컨텐츠 재생의 일시 정지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하며, 일시 정지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에 기반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related to a content, a remote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o display an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executable on the basis of the image related to the paused content or the content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from the application menu.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재생하다가 일시 정지하고, 일시 정지된 영상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표시하고,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특히,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시청 중인 방송 영상에 광고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등 짧은 시간 동안 실행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enhanced by displaying an application menu including an application item using the temporarily stopped image while playing back the content, and execu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articularly, such an application can be executed for a short time, such as while the advertisement image is displayed on the broadcast image being watched, and thus the user can easily use the application.

한편, 일시 정지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일시 정지 시점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또는 일시 정지 이후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일시 정지된 시점 또는 일시 정지 후 경과 시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a pause, an object indicating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is temporarily stopped or an object indicating an elapsed time after the pause can be displayed.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point .

한편,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추가, 삭제, 또는 배치 순서 변경 등의 편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 등을 애플리케이션 메뉴에 추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application menu can be edited such as addition, deletion, or change of the order of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add a user-preferred application item or the like to the application menu,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user.

한편,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오브젝트 또는 일시 중지된 컨텐츠를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광고 등의 종료 시점에 맞추어, 다시 방송 영상으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executing the application, a timer object indica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application or an object capable of replaying the suspended content can be displayed.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reproduce the broadcast image It is possible to return.

한편, 영상표시기기 내에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various user interfaces can be provid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7c는 도 11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of FIG.
FIG.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FIG.
5 to 6 ar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platform structur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f FIG.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FIG. 2. FIG.
8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FIG. 9 and FIG.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to 1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f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n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a computer support function is added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is equipped with an Internet function while being faithful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It can be equipped with a more convenient interface such as a space remote controller. Also, i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by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and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e.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can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즉,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일 수 있다. That is, since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on the general-purpose OS kernel,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For example, it may be a smart TV.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은, 방송 송출자 기준으로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측면에서 볼 때,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사용자(Customer)(40)로 구분될 수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ent provider (CP) 10, a service provider (Service) (SP) 20, a network provider (NP) 30, and a user 40.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er 10 produces and provides various contents. 1, a terrestrial broadcaster, a cable SO (System Operator), a MSO (Multiple System Operator), a satellite broadcaster, Internet broadcaster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또한, 컨텐츠 제공자(10)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er 10 may provide various applications in addition to the broadcast conten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following.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20 can provide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s provider 10 in a service package.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20 of FIG. 1 can package and provide the first terrestrial broadcast, second terrestrial broadcast, cable MSO, satellite broadcast, various Internet broadcasts, applications, etc. to the user.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4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20 can provide a service to the user 40 by using a unicast or multicast method. The unicast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1: 1 between one sender and one receiver. For example, in a unicast method, when a receiver requests data from a server, the server can transmit data to the receiver upon request. The multicast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a plurality of receivers of a specific group. For example, the server can transmit data to a plurality of pre-registered receivers at once. An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GMP) protocol may be used for multicast registration.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비스를 사용자(40)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4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The network provider 30 may provide a network for providing services to the user 40. The user 40 may construct a home network end user (HNED) to receive a service.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Conditional access or content protection may be used as means for protecting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system. As an example of such restriction reception or content protection, a scheme such as a cable card (CableCARD) and a DCAS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may be used.

한편, 사용자(40)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사용자(40)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가 사용자(40)로부터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40 can also provide the content through the network. In this case, conversely, conversely, conversely, the user 40 may be a content provider and the content provider 10 may receive content from the user 40. [ Thereby enabling bidirectional content services or data service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촬영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2,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receiving unit 105,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 storage unit 14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170, a display unit 180, an audio output unit 185, a power supply unit 190, and a photographing unit 195.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05 may include a tuner 110, a demodulating unit 120,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30. The tuner 110 and the demodulator 120 may be selectively provided wit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The tuner 110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previously 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lso,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voice signal (CVBS / SIF). That is, the tuner 110 can proces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 SIF) output from the tuner 110 can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Also, the tuner 110 can receive RF carrier signals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cheme or RF carriers of a plurality of carriers according to a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scheme.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uner 110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the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the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s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have.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the ATSC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an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Also,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120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to perform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Solomon decoding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a DVB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COFDMA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demodulation. Also,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For this, the demodulator 120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solomon decoder to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on decoding.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then output a stream signal TS. At this tim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S (Transpo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demodulating unit 120 may be separat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ATSC scheme and the DVB scheme. That is, it can be provided as an ATSC demodulation unit and a DVB demodulation unit.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 unit 170 performs demultiplexing,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and then outputs the video to the display unit 180 and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a Blu 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notebook)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transmits external video, audio, or data signals to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a connected external device. Also, the control unit 170 can output the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 / V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epending on the standard, it can be networked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s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connected to the various set-top boxes via at least one of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 box.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the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in the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may transmit the received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to the control unit 170 or the storage unit 1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n Ethernet terminal or the like for connection to a wired network and may be a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tandard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 또는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other us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via a network connected thereto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transmit some content data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user or a selected one of the users or the electronic devices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it is possible to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the server. In addition,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can be received. That is, it can receive contents such as a movie, an advertisement, a game, a VOD, a broadcast signal, and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the update information and the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can be received. It may also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can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among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via a network.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 unit 170 or may store the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특히, 저장부(140)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일시 정지 입력이 있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를 일시 정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되는 동영상의 저장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명령 시점부터 종료 명령까지의 컨텐츠의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해당 명령 시점에서 일정 기간 이전의 컨텐츠 내용도 함께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의 저장 시점을 놓쳤을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재생되는 컨텐츠의 일부 가간을 저장하는 것을 클립핑(cliping) 기능이라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pause input of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the storage unit 140 can temporarily stop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For example, when there is a save command for a moving image to be reproduced, a part of content from the time of the command to the end command can be stored.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contents of contents before a certain period of time at the time of the corresponding command. This is in case the user misses the storage point of the desired interval. In this manner, a function of saving a part of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can be referred to as a cliping function.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40 may also function to temporarily store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 RAM, ROM (EEPROM, etc.), and the lik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reproduce and provide a content file (a moving image file, a still image file, a music file, a document file, an application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o a user.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FIG. 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70,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 off the power, select the channel, and display the screen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ection 170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ection 170,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ler 170.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70, or may sense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Not shown). Here,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an audio sensor, a position sensor, an operation sensor, and the like.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the tuner 110 or the demodulation unit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to generate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Can be generated and output.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 [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through audio.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17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and the lik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tuner 110 to control the tuner 110 to select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 previously stored channe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In particular, the user can access the network and download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desired by the user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tuner 110 to input a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hen, video, audio, or data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are processed. The control unit 170 allows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to output the video or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user through the channel information or the like selected by the user.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for example, a camera or a camcorder,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video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So that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f the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can be outputted.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10,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n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 And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80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o reproduce the content. The content at this time may be content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The content may b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an audio file, a still image, a connected web screen, and a document file.

제어부(170)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일시 정지 입력이 있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를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시 정지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에 기반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의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로컬키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o temporarily stop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when there is a pause input of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Furth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isplay,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an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executable based on the image related to the paused content or the content. If the local key or remote control device 200 ha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in the application menu,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application to be executed. Thus,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한편, 제어부(170)는, 재생 중인 컨텐츠가 방송 영상인 경우, 재생 중인 방송 영상의 일시 정지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을 저장부(1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is a broadcast imag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storage unit 140 to store the broadcast image received from the time when the broadcast image being reproduced is temporarily stopped.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디스플레이부(180)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오브젝트 또는 일시 중지된 컨텐츠를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단하게 다시 컨텐츠 재생시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 timer object indica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application or an object capable of replaying the suspended content. Thus, the user can simply return to the content reproduction mode.

한편, 제어부(170)는, 컨텐츠의 다시 재생시, 일시 중지된 시점부터 다시 재생하거나, 소정 시간 경과 시점부터 다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o reproduce the content again from the point in time when it is paused, or to reproduce the content again from the point of time that has elap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195)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부재로 판단되는 경우, 컨텐츠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bsent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95, and to control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to be temporarily stopped when it is judged that the user is absent.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소정 애플리케이션의 추가하거나 삭제하거나 배치 순서를 변경하는 편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o perform addition or deletion of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the application menu or editing to change the order of arrangement.

한편, 제어부(170)는, 일시 정지된 영상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 외에,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더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 second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in addition to the application menu having the application item based on the paused image.

한편, 제어부(170)는, 일시 정지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일시 정지 시점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또는 일시 정지 이후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n object indicating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is temporarily stopped or an object indicating the elapsed time after the pause.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channel signal or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 or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nd extracts an image from an input stream signal to generate a thumbnail image .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directly or encoded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70. In addition,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encoded in a stream format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 unit 170 may display a thumbnail list hav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on the display unit 180 using the input thumbnail images. On the other hand, the thumbnail images in this thumbnail list can be updated in sequence or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The display unit 18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or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Thereby generating a driving signal.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80 may be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or the like.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8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it as a voice. The voice output unit 185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촬영부(195)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195)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195)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100) 앞에 존재하는 지 또는 부재 중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별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hotographing section 195 photographs the user. The photographing unit 195 may be implemented by a single camer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camera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95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present in fro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r not. It is also possible to distinguish users by user.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In order to detect the user's gesture, a sensing unit (not shown) hav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n operation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have. A signal sensed by a sensing unit (not show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제어부(170)는, 촬영부(195)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170 may detect the gesture of the user by combining the images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95 or the sensed signals from the sensing unit (not shown).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기기(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to the entire video display device 100.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a control unit 170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a display unit 18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for audio output .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verter (not shown) for converting the AC power into DC power. Meanwhile,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80 is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plurality of backlight lamps, an inverter (not shown) that can perform a PWM operation for variable luminance or dimming driving is further provided It is possible.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ransmits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use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or the lik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receive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display it o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or output sound or vibration.

상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digital broadcasting of the ATSC system (8-VSB system), digital broadcasting of the DVB-T system (COFDM system), digital broadcasting of the ISDB-T system (BST-OFDM system) And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digital broadcasting signals.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영상표시기기로서,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타입일 수도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isplay unit 180 and the audio output unit 185 shown in FIG. 2 are excluded. The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180 and an audio output Or a wireless typ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a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can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element, or one constituent element may be constituted by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apparatus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2,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tuner 110 and a demodulator 120 shown in FIG. 2 and may include a network interface unit 130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reproduce the image contents.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municate with a broadcasting station 210, a network server 220, or an external device 230.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a broadcasting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210.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process the video signal, the audio signal, or the data signal included in the broadcast signal so as to be suitable for output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output video or audio based on the processed video signal.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네트워크 서버(22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20)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20)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server 220. The network server 220 is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via an arbitrary network. For example, the network server 220 may be a mobile phone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network server 220 may be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conten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The content provider can provide the conten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using the network server.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2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230)는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device 230. The external device 230 is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directly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by wire or wirelessly.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230 may be a media storage device or a playback device used by a user. That is, the external device 230 may be a camera, a DVD or Blu-ray player, a personal computer, or the like.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3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및 외부장치(230)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직접 재생하는 외에도 전달할 수 있다. The broadcasting station 210, the network server 220, or the external device 230 can transmit a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display an image based on a video signal included in an input signal.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transmi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210 or the network server 220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the external device 230. In additio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230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broadcasting station 210 or the network server 220. That is,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transmit content included in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210, the network server 220, and the external device 230, in addition to directly reproducing the video content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FIG.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includes a demultiplexing unit 310, an image processing unit 320, an OSD generating unit 340, a mixer 350, a frame rate converting unit 355 ), And a formatter 360.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demultiplexer 31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For example, when an MPEG-2 TS is input, it can be demultiplexed into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respectively.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310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or the demodulator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For this,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may include a video decoder 325 and a scaler 335.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The video decoder 325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scaler 335 performs scaling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80.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video decoder 325 can include a decoder of various standards.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MPEG-2 standard encoded video signal, it can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Also, 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encoded video signal of the H.264 standard according to the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cheme or DVB-H, it can be decoded by the H.264 decoder.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Meanwhile, the video signal decoded by the video processor 320 is input to the mixer 350.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SD generation unit 340 generates an OSD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by itself. For exampl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signal for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in a graphic or text format can be genera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various menu screens, a widget, and an icon.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SD generating unit 340 may generate a signal for displaying broadcast information based on a caption of a broadcast image or an EPG.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The mixer 350 may mix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340 and the decoded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220. The mixed signal is provided to formatter 360. Since the decoded broadcast video signal or the external input signal and the OSD signal are mixed, the OSD can be overlaid on the broadcast image or the external input imag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A frame rate converter (FRC) 355 can convert a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For example, a frame rate of 60 Hz is converted to 120 Hz or 240 Hz. When converting the frame rate of 60 Hz to 120 Hz,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same first fram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r insert the third frame predicted from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n converting a frame rate of 60 Hz to 240 Hz, it is possible to insert three more identical frames or insert three predicted frames.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the input frame rate without performing another conversion.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The formatter 360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355 and changes the format of the signal to be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180 and outputs the signal. For example, the R, G, and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signals or mini-LVDS signals.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can perform the audio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audio signal. To this end,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various decoders.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When a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 coded speech signal, the speech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can decode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For example,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may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an MPEG 4 decoder, an AAC decoder, or an AC-3 decoder.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can process a base, a treble, a volume control, and the like.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can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is a coded data signal, it can be decoded.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on each channel. For example, the EPG information may be ATSC-PSIP (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ATSC scheme and may include DVB-SI information in the DVB scheme . The ATSC-PSIP information or DVB-SI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stream, i.e., the header (4 bytes) of the MPEG-2 TS.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170 shown in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can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control unit 170 actually implemented.

도 5 내지 도 6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5 to 6 ar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platform structur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f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latform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S-based software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분리형 플랫폼으로서,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이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다. OS 커널(OS Kernel)(410)은,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5, the platform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e platform. The legacy system platform 400 and the smart system platform 40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be designed. The OS kernel 410 can be commonly used in the legacy system platform 400 and the smart system platform 405.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은, OS 커널(410) 상의 드라이버(Driver)(420), 미들웨어(Middleware)(43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gacy system platform 400 may include a driver 420 on the OS kernel 410, a middleware 430, and an application layer 450.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은, OS 커널(410) 상의 라이브러리(Library)(435), 프레임워크(Framework)(44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5)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system platform 405 may include a library 435, a framework 440, and an application layer 455 on the OS kernel 410.

OS 커널(410)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핵심으로써, 영상표시기기(100)의 구동시, 하드웨어 드라이버 구동,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의 보안,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관리,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에 의한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공, 멀티 프로세스, 및 멀티 프로세스에 따른 스케쥴 관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S 커널(410)은, 파워 매니지먼트(power management) 등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The OS kernel 410 is a core of an operating system and is used as a core of an operating system to drive a hardware driver, security of hardware and a processor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efficient management of system resources, Management, provision of an interface to hardware by hardware abstraction, multi-process, and schedule management according to multi-process. Meanwhile, the OS kernel 410 may further provide power management and the like.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와이파이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파워 관리자(Power management), 바인더 드라이버(Binder Driver), 메모리 드라이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rdware driver in the OS kernel 4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driver, a Wi-Fi driver, a Bluetooth driver, a USB driver, an audio driver, a Power management, a Binder driver, .

또한,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장치를 위한 드라이버로서,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character device driver)와, 블럭 장치 드라이버(block device), 및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network device dirver)를 구비할 수 있다. 블럭 장치 드라이버는, 특정 블럭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단위 크기 만큼을 보관할 버퍼가 필요할 수 있으며,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는, 기본 데이터 단위 즉 캐릭터 단위로 전송하므로 버퍼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The hardware driver in the OS kernel 410 is a driver for a hardware device in the OS kernel 410 and includes a character device driver, a block device driver, and a network device driver dirver. Since a block device driver transfers data in units of specific blocks, a buffer for storing a unit size may be required. The character device driver may transmit a basic data unit, i.e., a character unit, so that a buffer may not be needed.

이러한, OS 커널(410)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The OS kernel 4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perating system (OS) based kernels such as UNIX based (Linux) and Windows based. The OS kernel 410 is an open OS kernel, and can be general-purpose which can be used in other electronic devices.

드라이버(420)는, OS 커널(410)과 미들웨어(430) 사이에 위치하며, 미들웨어(430)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층(450)의 동작을 위해 디바이스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42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마이컴(micom), 디스플레이 모듈, 그래픽 처리 유닛(GPU),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HDMI, SDEC(System Decoder 또는 역다중화부), VDEC(Video Decoder), ADEC(Audio Decoder),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등의 드라이버(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들은,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The driver 420 is located between the OS kernel 410 and the middleware 430 and drives the device along with the middleware 430 for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layer 450. For example, the driver 420 may include a microcomputer, a display module,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 frame rate conversion unit (FRC), a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pin (GPIO) A driver such as HDMI, SDEC (System Decoder or Demultiplexer), VDEC (Video Decoder), ADEC (Audio Decoder), PVR (Personal Video Recorder), or I2C (Inter-Integrated Circuit) . These drivers operate in conjunction with hardware drivers in the OS kernel 410. [

또한, 드라이버(420)는, 원격제어장치(200), 특히 후술하는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는, 드라이버(420)외에, OS 커널(410) 또는 미들웨어(430) 내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Further, the driver 420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particular, a driver for a space remote controll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driver of the space remote controller may be variously provided in the OS kernel 410 or the middleware 430, in addition to the driver 420.

미들웨어(430)는, OS 커널(410)과 애플리케이션층(450) 사이에 위치하여,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지원, 및 체계가 다른 업무와 상호 연동이 가능해진다.The middleware 430 is located between the OS kernel 410 and the application layer 450 and can serve as intermediary between other hardware or software to exchange data.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ndardized interface, various environment support, and system can interoperate with other tasks.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미들웨어(430)의 예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와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의 미들웨어가 있을 수 있으며,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 등이 있을 수 있다.Examples of the middleware 430 in the legacy system platform 400 may be middleware of MH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 and ACAP (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which are data broadcasting related middleware. Or SI middleware, and peripheral communication related middleware DLNA middleware.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 즉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450)층은,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다양한 메뉴 등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User Interfac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편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을 이용하여, 방송 영상 시청 중 원격제어장치(200)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중 원하는 메뉴로의 진입이 가능하다. The application layer 450 on the middleware 430, that is, the application 450 layer in the legacy system platform 400, can be used to display,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application for various menus and the like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he application layer 450 on this middleware 430 may be editable by the user's choice and may be updated over the network. With this application layer 450, it is possible to enter a desired menu among various user interface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hile watching the broadcast video.

또한,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예약(reservation)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영상 녹화(Digital Video Recoder;DVR) 애플리케이션, 핫키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layer 450 within the legacy system platform 400 may also include at least one of a TV guide application, a Bluetooth application, a reservation application, a Digital Video Recorder (DVR) application, .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라이브러리(435)는, OS 커널(410)과 프레임워크(440)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435)는,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c library), 비디오(video) 포맷과 오디오(audio) 포맷 등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435)는, C 또는 C++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워크(440)를 통해 개발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brary 435 in the smart system platform 405 is located between the OS kernel 410 and the framework 440, and can form the basis of the framework 440. For example, the library 435 may include a security related library such as Secure Socket Layer (SSL), WebKit (WebKit) related to Web engine, libc (c library), video format and audio format A media framework such as a media-related library, and the like. Such a library 435 may be written on a C or C ++ basis. It can also be exposed to the developer through the framework 440.

라이브러리(435)는, 코어 자바 라이브러리(core java library)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VM)을 구비하는 런타임(runtime)(4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런타임(437)은, 라이브러리(435)와 함께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한다. The library 435 may include a runtime 437 having a core Java library and a virtual machine (VM). This runtime 437 forms the basis of the framework 440 along with the library 435.

가상 머신(VM)은, 복수의 인스턴스, 즉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머신일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 가상 머신(VM)이 할당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인스턴스 사이의 스케쥴 조정 또는 인터커넥트(interconnect)를 위해, OS 커널(410) 내의 바인더(Binder) 드라이버(미도시)가 동작할 수 있다.The virtual machine (VM) can be a plurality of instances, that is, a virtual machine that can perform multitasking. On the other hand, each virtual machine (VM) may be allocated and executed in accordance with each application in the application layer 455, at which time a binder (not shown) in the OS kernel 410, for scheduling or inter- Binder) driver (not shown) may be operated.

한편, 바인더 드라이버와 런타임(437)은,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과, C 기반의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줄 수 있다. Meanwhile, the binder driver and the runtime 437 can connect a Java-based application and a C-based library.

한편, 라이브러리(435)와 런타임(437)은, 레가시 시스템의 미들웨어에 대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brary 435 and the runtime 437 can correspond to the middleware of the legacy system.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프레임워크(440)는, 애플레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440)는, 어떤 애플레케이션과도 호환 가능하며, 컴포넌트의 재사용, 이동 또는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는, 지원 프로그램,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엮어 주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와 관련한 액티비티 매니저(activity manager),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공유 정보를 요약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440)는,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work 440 in the smart system platform 405 includes a program that is the basis of the application in the application layer 455. The framework 440 is compatible with any application and may be capable of reusing, moving or exchanging components. The framework 440 may include a support program, a program for weaving other software components, and the like. For example, a resource manager, an activity manager associated with an activity of an application, a notification manager, a content provider that summarizes shared information between applications, and the like . Such a framework 440 can be created based on Java (JAVA).

프레임워크(44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서 구동되어 표시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메일(email),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달력(calendar), 지도(map), 브라우저(browser)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코어 애플리케이션(Cor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layer 455 on the framework 440 includes various programs that can be displayed and driven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For example, a Core Application having at least one of an email,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calendar, a map, a browser, etc. . This application layer 450 may be created on a Java (JAVA) basis.

또한,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4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4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The application layer 455 may be an application 465 stor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not deletable by the user, an application 465 downloaded and stored through an external device or a network, 475).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웹 앨범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위치기반 서비스(LBS), 지도 서비스, 웹 검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검색 서비스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일정관리 등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VOD) service, a web album service,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 location-based service (LBS), a map service, a web search Service, an application search service,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such as game and schedul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통합형 플랫폼으로서, OS 커널(OS kernel)(510), 드라이버(520), 미들웨어(Middleware)(530), 프레임워크(Framework)(540), 및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550)을 포함할 수 있다. 6, the platform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S kernel 510, a driver 520, a middleware 530, a framework 540, and an application layer 550. [

도 6의 플랫폼은, 도 5와 비교하여, 도 5의 라이브러리(435)가 생략된 것과, 애플리케이션층(550)이 통합 레이어로 구비되는 것이 차이가 있다. 그 외, 드라이버(520), 프레임워크(540)는, 도 5에 대응한다.The platform of FIG. 6 differs from that of FIG. 5 in that the library 435 of FIG. 5 is omitted and the application layer 550 is provided as an integrated layer. In addition, the driver 520 and the framework 540 correspond to Fig.

한편, 도 5의 라이브러리(435)가, 미들웨어(530)에 병합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미들웨어(530)는, 레가시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 또는 ACAP의 미들웨어,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는, 물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런타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brary 435 of FIG. 5 may be merged with the middleware 530. That is, the middleware 530 is middleware under the legacy system, middleware of MHEG or ACAP, middleware of PSIP or SI, middleware of broadcasting information, DLNA middleware which is middleware related to peripheral communication, Middleware under the device system can include SSL (Secure Socket Layer) which is a security related library, WebKit (WebKit) which is a web engine related library, libc, and a media framework which is a media related library. On the other hand, it may further include the above-described runtime.

애플리케이션층(550)은, 레가시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메뉴 관련 애플리케이션,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예약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메일, SMS, 달력, 지도,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layer 550 is an application under the legacy system that can include menu related applications, TV guide applications, reserved applications, etc. and can include email, SMS, calendars, maps, browsers, etc. have.

한편, 애플리케이션층(550)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5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5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layer 550 includes an application 565 that is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can not be deleted by the user, an application 565 that is downloaded and stored through an external device or a network, 575).

상술한 도 5 및 도 6의 플랫폼은 영상표시기기는 물론, 그 외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의 플랫폼은, 상술한 저장부(140) 또는 제어부(170)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미도시)에 탑재(loading)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platforms of Figs. 5 and 6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 in various electronic apparatuses as well as video display apparatuses. 5 and 6 may be loaded in the storage unit 140 or the control unit 170 or a separate processor (not shown).

도 7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FIG. 2. FIG.

도면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RF 통신규격 또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or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도 7(a)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FIG. 7A illustrates that the pointer 205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FIG.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7(b)), 앞뒤(도 7(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The user can move or rotat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up and down, left and right (Fig. 7 (b)), and back and forth (Fig. 7 (c)).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orresponds to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In this remote control device 200, as shown in the figure, since the pointer 205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3D space, it can be called a space remote controller.

도 7(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7B illustrate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left,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oves to the left correspondingly.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through th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5 from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display the pointer 205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도 7(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7C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 while the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pressed. Thereby, the selected area in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can be zoomed in and displayed. Conversely,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lose to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ion area within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out and display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ed area is zoomed out, an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pproaches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ed area may be zoomed in.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pressed, it is possible to exclude recognizing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That is,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or approaches the display unit 180, it is not recognized that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recognized, and onl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re recognized. Only the pointer 205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downward, leftward, and rightward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a state where the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not pressed.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ving speed and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205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and mov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oin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corresponde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refore, various shapes of objects other than the arrow shapes shown in the figure are possible with the pointer 205. [ For example, it can be a concept that includes points, cursors, prompts, thick outlines, and so on. The pointer 205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a point on a horizontal axis or a vertical axis on the display unit 180 or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such as a line or a surface Do.

도 8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8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a user input unit 235, a sensor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 power supply unit 260, a storage unit 270,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280.

무선통신부(225)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n RF module 221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n IR module 223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 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transmit a command regarding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and the like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R module 223 as necessary.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user input unit 235 may include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operating the user input part 235. [ When the user input unit 235 has a hard key butto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5 has a touch screen, the user can touch a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to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235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such as a scroll key, a jog key, and the like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an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40 may include a gyro sensor 241 or an acceleration sensor 243. The gyro sensor 241 can sense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For example, the gyro sensor 241 can sens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243 can sense information on the moving spee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like. Meanwhil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distance to the display unit 180 can be sensed.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50 may output an image or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 or correspon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5 is operated or whether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controlled through the output unit 250.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LED module 251 that is turned on when a user input unit 235 is oper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253 for outputting sound, an acoustic output module 255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257 for outputting an image.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power supply unit 260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not moving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operated.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RF module 221,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ransmit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Send and receive. The control unit 28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tores information on a frequency band or the like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the storage unit 270 Can be referenced.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various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control unit 28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 (100).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9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the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9는, 네트워크 상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사용자가 직접 해당 컨텐츠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탐색 후 다운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FIG. 9 illustrates that a list of applications on the network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FIG. That is,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directly access the content server or the network server to search for and download various applications.

도 9(a)는, 접속된 서버 내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목록(6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애플리케이션 목록(610)은, 각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략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에서는, 풀브라우징이 가능하므로, 접속된 서버로부터의 수신된 아이콘 또는 설명 정보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FIG. 9A illustrates that various application lists 610 in the connected server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FIG. The application list 610 may include an icon representing each application and a brief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ach appli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ince full browsing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enlarge and display the size of the icon or expla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nected server. Thus,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application item.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 도 9(b)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목록(610)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620)을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간편하게 다운로드될 수 있게 된다.Next, FIG. 9 (b) illustrates the selection of any one of the application items 620 of the application list 610 by using the pointer 205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FIG. As a result, the application can be easily downloaded.

한편, 도 10은, 영상표시기기 내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On the other hand, Fig. 10 illustrates that an application list i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먼저, 도 10(a)는, 사용자의 원격제어장치(200)의 조작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목록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목록(66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각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만이 도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와 같이,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략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10A shows an application list 660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n the display unit 180 when the user enters the application list view item by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s shown in Fig. In the drawing, only the icon representing each application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brief explanatory information for each application, as shown in FIG. Thus,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application item.

다음, 도 10(b)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목록(1210)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660)을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간편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된다.Next, FIG. 10 (b) illustrates the selection of any one of the application items 660 of the application list 1210 by using the pointer 205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FIG. As a result, the application can be easily executed.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7c는 도 11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A to 1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an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컨텐츠를 재생한다(S1105). Referring to FIG. 11, first, content is played back (S1105).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은,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로컬키(미도시)로부터의 컨텐츠 재생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영상표시기기에 접속한 외부장치 내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o reproduce the content. For example, the content reproduction can be performed by the content reproduction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a local key (not shown). The content may be content received in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the video display device or via a network connected thereto. Such content may b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an audio file, a still image, a connected web screen, and a document file.

다음, 컨텐츠 재생시, 재생되는 컨텐츠에 관련된 영상을 표시한다(S1110).Next, at the time of content reproduction, an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is displayed (S1110).

제어부(170)는, 컨텐츠 재생시 재생되는 컨텐츠에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12a와 같이, 방송이 재생되는 경우, 해당 방송 영상(12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게 된다.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o display an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at the time of content reprodu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A, when a broadcast is reproduced, the corresponding broadcast image 12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그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오디오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 오디오 파일이 재생되는 것을 나타내는 영상(미도시)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서버에 접속한 경우, 해당 웹 화면(미도시)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자북(e-book)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 전자북 파일이 재생되는 것을 나타내는 영상(미도시)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an audio file is reproduced, an image (not shown) indicating that the audio file is reproduce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web server is accessed through a network, a corresponding web screen (not show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addition, when an e-book file is reproduced, an image (not shown) indicating that the e-book file is reproduce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다음, 재생되는 컨텐츠의 일시 정지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5). 해당하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를 일시 정지한다(S1120). 이때, 일시 정지된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다(S1125). 예를 들어, 재생 중인 컨텐츠가 방송 영상인 경우, 일시 정지된 시점의 방송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다.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pause input of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S1115). If so, the playback content is temporarily stopped (S1120). At this time, an image related to the temporarily stopped content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S1125). For example, if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is a broadcast image, the broadcast image at the time of the paus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컨텐츠의 일시 정지 입력은,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키 입력에 의해, 또는, 해당 메뉴에 진입하여, 컨텐츠 일시 정지 항목을 선택하는 것 등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일시 정지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ause input of the content can be input by inputting a specific key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by entering the menu and selecting a content pause item.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hat an application for suspending contents is executed.

도 12b는, 일시 정지된 방송 영상(122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일시 정지 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30)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일시 정지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12B illustrates that the temporarily stopped broadcast image 122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FIG.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80 may display an object 1230 indicating that it is temporarily stopped. Thereby,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user is temporarily stopped.

한편,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부 영역에는 재생 중인 컨텐츠(방송 영상)의 일시 정지 시점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40) 또는 일시 정지 이후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44)를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일시 정지된 시점 또는 일시 정지 후 경과 시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an object 1240 indicating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broadcast image) is temporarily stopped or an object 1244 indicating an elapsed time after the pause can be displayed. Thereb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is temporarily stopped or the elapsed time after the temporary stop.

한편, 일시 정지 이후, 컨텐츠가 방송 영상인 경우, 방송 영상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을 디지털 영상 녹화(Digital Video Recod; DVR)라 할 수 있다. 이는 다시 방송 시청으로 복귀하였을 때, 일시 정지된 시점부터 다시 재생하기 위함이다. 한편, 방송 영상의 저장되는 양은, 상술한 일시 정지 이후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44)에 대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is a broadcast image after the pause, it is possible to store the broadcast image. Such a function can be referred to as a digital video recording (DVR). This is to reproduce again from the point in time when it is temporarily stopped when returning to the broadcast viewing. On the other hand, the stored amount of the broadcast image may correspond to the object 1244 indicating the elapsed time since the above-described pause.

다음, 일시 정지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에 기반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표시한다(S1130).Next, an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executable based on the image related to the paused content or the content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1130).

애플리케이션 메뉴의 표시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키 입력에 의해, 또는, 해당 메뉴에 진입하여, 애플리케이션 메뉴 표시를 선택하는 것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he display of the application menu can be performed by a specific key input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by entering the menu and selecting the application menu display.

애플리케이션 메뉴(1250)는, 일시 정지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에 기반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시청 중인 방송 영상을 일시 정지한 상태에서, 정지 영상을 그대로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에 보다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application menu 1250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that is executable based on the paused content or an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Accordingly, the user is able to provide a more friendly environment to the user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using the still image as it is while the broadcast image being viewed is paused.

도 12c는, 일시 정지된 방송 영상(1220) 상에 애플리케이션 메뉴(1250)가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영상의 일시 정지 시점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40) 또는 일시 정지 이후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44)가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12C illustrates that the application menu 1250 is superimposed and displayed on the paused broadcast image 1220. [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1240 indicating the time point at which the broadcast image is temporarily stopped or the object 1244 indicating the elapsed time after the pause can be display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display unit 180.

애플리케이션 메뉴(1250)는, 간단 메뉴로서,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pplication menu 1250 is preferably an easy menu and an application item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by the user is disposed.

도면에서는, 그림 맞추기 애플리케이션 항목(puzzle application)(1252), 그리기 애플리케이션 항목(drawing application)(1254), 음악 설정 애플리케이션 항목(music setting application)(1256), 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항목(image reproducing application)(1258) 등을 예시한다. 그 밖에, 확대 보기 애플리케이션 항목, 시간 설정 애플리케이션 항목, 환경 설정 애플리케이션 항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drawing, a puzzle application 1252, a drawing application 1254, a music setting application 1256, an image reproduction application 1258, ).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enlarged view application item, a time setting application item, a configuration application item, and the like.

한편, 애플리케이션 메뉴(1250)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거나 삭제하거나 배치 순서를 변경하는 편집 단계가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 등을 애플리케이션 메뉴(1250)에 추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Meanwhile, in the application menu 1250, an editing step for adding or dele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or changing the arrangement order may be perform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This allows the user to add a favorite application item or the like to the application menu 1250, thereby enhancing the user's convenience.

한편, 도 12d는, 도 12c와 비교하여, 애플리케이션 메뉴(1250) 외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부 영역에 제2 애플리케이션 메뉴(1260)가 더 표시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12D differs from FIG. 12C in that, in addition to the application menu 1250, a second application menu 1260 is additionally displayed in a lower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FIG.

제2 애플리케이션 메뉴(1260)는, 외부 컨텐츠 제공자 또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영상표시기기(100) 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1250)와 차별화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항목 편집시, 삭제 등이 되지 않는 고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구비될 수 있어, 이러한 점에서도 애플리케이션 메뉴(1250)와 차별화될 수 있다. 또한, 제2 애플리케이션 메뉴(1260)는, 홈 화면 구성시에, 기본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second application menu 1260 may include an application item that runs through an external content provider or external network. In this regard, it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application menu 1250 having an application item to be execut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n addition, fixed application items can be provided that are not edited, edited, or otherwise edited with the application item, and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application menu 1250 in this regard. In addition, the second application menu 1260 can be set as a default in the home screen configuration.

다음,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135), 해당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140).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in the application menu (S1135), and if so,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ecuted (S1140).

도 12e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메뉴(1250) 중 그림 맞추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52)을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그림 맞추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Figure 12E illustrates the use of the pointer 205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select the snapshot application item 1252 in the application menu 1250. [ Thereby, the picture fitting application is executed.

도 13a는, 일시 정지된 방송 영상(1220)을 기반으로 한, 그림 맞추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310)을 예시한다. 그림 맞추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310)은, 일시 정지된 방송 영상(1220)이 복수의 조각으로 나뉘어 있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각 조각을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이동시켜, 원래의 일시 정지된 방송 영상(1220)으로 맞출 수 있게 된다.13A illustrates an execution screen 1310 of a picture-snapping application based on a paused broadcast image 1220. FIG. An execution screen 1310 of the picture matching application illustrates that the paused broadcast image 122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Thereby, the user can move each piece by using the pointer 205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align it with the original paused broadcast image 1220.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시청 중인 방송 영상에 광고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등 짧은 시간 동안 실행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Such an application can be executed for a short time, for example, while the advertisement image is displayed on the broadcast image being watched,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다음,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오브젝트를 표시하거나, 일시 중지된 컨텐츠를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1145).Next, at the time of executing the application, a timer object indica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or an object capable of reproducing the paused content is displayed (S1145).

도 13a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단에, 그림 맞추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오브젝트(132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광고 등의 종료 시점에 맞추어, 다시 방송 영상으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게 된다.13A illustrates that a timer object 1320 indica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picture-aligning application is display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180. [ Thereby, the user can easily return to the broadcast image again according to the end time of the advertisement or the like.

한편, 그림 맞추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의 종료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325)가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오브젝트(1325)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게 된다. 종료 이후, 도 12b와 같은 화면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n object 1325 indicating the end of execution of the pic- ture application. When this object 1325 is selected,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After the terminati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2B can be returned.

다음, 도 13b는, 도 13a와 유사하나,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단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의 종료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325) 대신에, 일시 중지된 컨텐츠(방송 영상)를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오브젝트(1330)을 표시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에 의해, 일시 중지된 방송 영상을 다시 재생할 수 있게 된다.Next, Fig. 13B is similar to Fig. 13A. However, instead of the object 1325 indicating the end of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an object (e.g., a video object) 1330) is displayed. As a result, the suspended broadcast image can be reproduced again.

다음, 도 14a는, 도 12e 에 예시된 애플리케이션 메뉴(1250) 중 그리기 애플리케이션 항목(1254)이 선택되어, 그리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예시한다.Next, FIG. 14A illustrates that the drawing application item 1254 of the application menu 1250 illustrated in FIG. 12E is selected, and the drawing application is executed.

일시 정지된 방송 영상(1220)을 기반으로,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동시켜, 그리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의 소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또는 좌, 우 등으로 이동시켜, 그리기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pointer 205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be moved based on the suspended broadcast image 1220 to perform the drawing operation.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be moved upward, downward, leftward, rightward, or the like while the predetermined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pressed, thereby executing the drawing operation.

이러한 그리기 애플리케이션은, 시청 중인 방송 영상에서 관심도 높은 영상(예를 들어, 축구의 프리킥 장면, 축구의 오프 사이드 장면, 선호하는 인물의 등장 화면 등)이 표시되는 경우, 일시 정지시킨 후, 실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Such a drawing application can be executed after pausing when a high-interest image (for example, a soccer-free kicks scene, an offside scene of soccer, an emergence screen of a favorite person, etc.) is displayed on the broadcast image being watched . Thus,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한편, 도 14a 의 하단에는 도 13a 와 같이, 그리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오브젝트(1420) 또는 그리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의 종료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425)가 표시될 수 있다. 14A, a timer object 1420 indica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drawing application or an object 1425 indicating the end of execution of the drawing application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3A.

다음, 도 14b는, 도 14a와 유사하나,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단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의 종료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425) 대신에, 일시 중지된 컨텐츠(방송 영상)를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오브젝트(1430)을 표시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에 의해, 일시 중지된 방송 영상을 다시 재생할 수 있게 된다.Next, Fig. 14B is similar to Fig. 14A. However, instead of the object 1425 indicating the end of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an object (e.g., 1430) is displayed. As a result, the suspended broadcast image can be reproduced again.

다음, 도 15a 는, 도 12e 에 예시된 애플리케이션 메뉴(1250) 중 음악 설정 애플리케이션 항목(1256)이 선택되어, 음악 설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예시한다.Next, FIG. 15A illustrates that the music setting application item 1256 of the application menu 1250 illustrated in FIG. 12E is selected and the music setting application is executed.

음악 설정 애플리케이션은, 일시 정지된 방송 영상(1220)에 배경 음악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일시 정지된 방송 영상(1220)에 적합한 배경 음악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The music setting application may be to set background music on the paused broadcast image 1220. [ That is, the user can directly select the background music suitable for the paused broadcast image 1220. [

도면에서는, 일시 정지된 방송 영상(1220)에 중첩되어 음악 목록 오브젝트(15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들(aaa.mp3, bbb.mp3, ccc.mp3) 중 어느 한 항목에 포커싱하는 경우, 오디오 출력부(185)에서 해당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어느 한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오디오 출력부(185)에서 출력될 수 있다. In the drawing, it is exemplified that the music list object 1510 is superimposed on the paused broadcast video 1220. When focusing on one of a plurality of items aaa.mp3, bbb.mp3, and ccc.mp3 using the pointer 205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be output. When an item is finally selected, it can be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unit 185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한편, 도 15a 의 하단에는 도 13a 와 같이, 그리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오브젝트(1520) 또는 그리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의 종료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5)가 표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the lower end of Fig. 15A, a timer object 1520 indica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drawing application or an object 1525 indicating the end of execution of the drawing application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다음, 도 15b는, 도 15a와 유사하나,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단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의 종료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5) 대신에, 일시 중지된 컨텐츠(방송 영상)를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오브젝트(1530)을 표시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에 의해, 일시 중지된 방송 영상을 다시 재생할 수 있게 된다.Next, Fig. 15B is similar to Fig. 15A. However, instead of the object 1525 indicating the end of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an object (e.g., 1530). ≪ / RTI > As a result, the suspended broadcast image can be reproduced again.

다음, 도 16a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 맞추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310)이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단에, 일시 중지된 컨텐츠(방송 영상)를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오브젝트(1330)가,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330)가 선택된다.Next, FIG. 16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aused content (broadcast image) can be reproduced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180 while the execution screen 1310 of the picture-matching applicatio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3B It is exemplified that the object 1330 is selected. That is, the object 1330 is selected by using the pointer 205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이에 의해, 도 16b와 같이, 일시 정지된 방송 영상이 바로 다시 재생되게 된다. 도 16b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재생되는 영상(164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재생되는 영상(1640)은, 도 12b와 같이 일시 정지 영상 시점부터 다시 재생되는 영상일 수 있다. Thereby, as shown in FIG. 16B, the temporarily stopped broadcast image is immediately reproduced. 16B illustrates that an image 1640 reproduced on the display unit 180 is displayed. At this time, the reproduced image 1640 may be an image reproduced from the time of the still image as shown in FIG. 12B.

한편, 도면과 달리, 일시 정지 시점 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즉, 현재 시점)부터, 방송 영상이 다시 재생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광고 등을 사용자가 스킵(skip)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roadcast image is reproduced again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i.e. As a result, the user can skip the advertisement or the like.

다음, 도 17a 내지 도 17c는, 컨텐츠 재생의 일시 정지가 사용자의 부재시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Next, Figs. 17A to 17C illustrate that the pause of the content reproduction is performed in the absence of the user.

영상표시기기(100)가 촬영부(195)를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촬영부(195)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7a는 방송 영상(1210)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1710)를 촬영부(195)를 통해 파악하는 것을 예시한다.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the image capturing unit 195, the control unit 170 can determine whether a user exists ba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95. [ 17A illustrates that the user 1710 viewing the broadcast video 1210 is grasp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95. FIG.

한편, 도 17b와 같이, 사용자(1710)가 영상표시기기(100)에서 벗어나는 경우, 또는 벗어나는 시간이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 표시되는 방송 영상은 일시 정지 상태로 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일시 정지된 방송 영상(1220)이 표시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7B, when the user 1710 is ou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user departs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displayed broadcast image is in a paused state.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the paused broadcast image 1220. [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일시 정지 시점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40) 또는 일시 정지 이후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44)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일시 정지 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30)가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1240 indicating the pause time or the object 1244 indicating the lapse time after the paus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 Also, the display unit 180 may display an object 1230 indicating that it is temporarily stopped.

한편, 도 17c와 같이, 사용자(1710)가 영상표시기기(100) 앞으로 다시 위치하는 경우, 도 12d와 유사하게, 일시 정지된 방송 영상(1220) 상에 애플리케이션 메뉴(1250), 방송 영상의 일시 정지 시점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40), 일시 정지 이후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44), 및 제2 애플리케이션 메뉴(1260)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1710)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7C, when the user 1710 is located again in fro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imilar to FIG. 12D, an application menu 1250, An object 1240 indicating the stopping point, an object 1244 indicating the elapsed time since the pause, and a second application menu 1260 may be displayed. The user 1710 may select the desired application item and execute the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the method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processor includ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4)

재생 중인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재생의 일시 정지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단계;
상기 일시 정지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에 기반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상기 일시 정지된 컨텐츠에 중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Displaying an image related to content being reproduced on a display unit;
Temporarily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s when there is a pause input of the contents reproduction;
Displaying an application menu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the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executable based on the paused content or an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And execut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when the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i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menu.
Wherein the application menu having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is superimposed on the paused content and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방송 영상인 경우, 상기 일시 정지시, 상기 방송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hen the content is a broadcast image, storing the broadcast image upon the pa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isplaying a timer object indicating execution time of the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상기 일시 정지된 컨텐츠를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isplaying an object capable of reproducing the paused contents again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다시 재생시, 상기 일시 정지된 시점부터 다시 재생하거나, 소정 시간 경과 시점부터 다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content is reproduced again, the content is reproduced again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content is temporarily stopped or is reproduced again from a point in tim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정지는, 원격제어장치의 입력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stop is performed by an input of a remote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정지는, 사용자 부재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stop is performed when the user is abs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거나 삭제하거나 배치 순서를 변경하는 편집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diting step of adding or dele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the application menu or changing an arrangement order of the appl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isplaying a second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의 일시 정지 시점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또는 일시 정지 이후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n object indicating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is temporarily stopped or an object indicating an elapsed time after the pause.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삭제 또는 배치 순서가 변경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isplaying a second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Wherein the second application menu comprises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whose deletion or placement order is unchanged.
재생 중인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재생의 일시 정지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Displaying an image related to content being reproduced on a display unit;
Temporarily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s when there is a pause input of the contents reproduction;
Displaying an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executing the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ha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among the application menu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displaying a timer object indicating execution time of the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상기 일시 정지된 컨텐츠를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displaying an object capable of reproducing the paused contents again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다시 재생시, 상기 일시 정지된 시점부터 다시 재생하거나, 소정 시간 경과 시점부터 다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when the content is reproduced again, the content is reproduced again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content is temporarily stopped or is reproduced again from a point in tim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삭제 또는 배치 순서가 변경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Displaying a second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Wherein the second application menu comprises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whose deletion or placement order is unchanged.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장치; 및
컨텐츠 재생의 일시 정지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일시 정지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관련한 영상에 기반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상기 일시 정지된 컨텐츠에 중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A remote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nd
An application menu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executable on the basis of the image related to the paused content or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be execute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ha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among the application menus,
Wherein,
Wherein the application menu having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is superimposed on the paused content and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오브젝트 또는 상기 일시 정지된 컨텐츠를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timer object indica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application or an object capable of reproducing the paused content again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다시 재생시, 상기 일시 정지된 시점부터 다시 재생하거나, 소정 시간 경과 시점부터 다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nd controls to reproduce the content again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content is temporarily reproduced, or to reproduce the content again from a point in time when the content is reproduced again.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재시, 상기 컨텐츠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use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is absent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controls to temporarily suspend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when the user is absen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내의 소정 애플리케이션의 추가하거나 삭제하거나 배치 순서를 변경하는 편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Controls to add or delete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the application menu or edit to change the arrangement ord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display unit includes:
Further displaying a second application menu displaying the application menu and ha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시 정지시,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의 일시 정지 시점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또는 일시 정지 이후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nd controls to display an object indicating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is temporarily stopped or an object indicating the elapsed time since the pausing at the time of the paus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은,
오에스 커널; 및
상기 오에스 커널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층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층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 또는 삭제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a platform operable to transmit or receive data via a network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platform comprises:
OS kernel; And
And an application layer running on the OS kernel,
Wherein the application layer includes an application that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or deleted through the network.
KR1020100053875A 2010-06-08 2010-06-08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118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875A KR101711840B1 (en) 2010-06-08 2010-06-08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875A KR101711840B1 (en) 2010-06-08 2010-06-08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088A KR20110134088A (en) 2011-12-14
KR101711840B1 true KR101711840B1 (en) 2017-03-03

Family

ID=4550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875A KR101711840B1 (en) 2010-06-08 2010-06-08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84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186A1 (en) * 2019-11-28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wal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8342A (en) * 2008-05-14 2009-11-26 Sony Corp Electronic device, content reproducing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serv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639B1 (en) * 2000-11-14 2003-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Menu Editing for Mobile
KR20030011265A (en) * 2002-12-30 2003-02-07 비케이메디텍 (주) Pedicle screw and set screw assembly use with surgical apparatus
KR20060067346A (en) * 2004-12-15 200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play in video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8342A (en) * 2008-05-14 2009-11-26 Sony Corp Electronic device, content reproducing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serv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088A (en)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98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9973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52355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KR10173042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507866B1 (en) Method for producing advertisement content using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same
US855297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7985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94164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3755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1708691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10433A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KR101000063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003506B1 (en)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application installation
KR10175054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88141B1 (en) Apparatus for execut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KR10100006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08646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8972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69558B1 (en) Image Display Device Operating Method
KR101711840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78279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23318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4685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20023891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49693A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a storage to store mediu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