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488B1 -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488B1
KR101710488B1 KR1020100082464A KR20100082464A KR101710488B1 KR 101710488 B1 KR101710488 B1 KR 101710488B1 KR 1020100082464 A KR1020100082464 A KR 1020100082464A KR 20100082464 A KR20100082464 A KR 20100082464A KR 101710488 B1 KR101710488 B1 KR 10171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le
unique
shar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198A (ko
Inventor
석태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2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4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4Details of searching files based on file meta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41User authentication where a single sign-on provides access to a plurality of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6Using a specific storage system architecture
    • G06F2212/263Network storage, e.g. SAN or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해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파일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고유 아이디에 해당되는 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장치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기에 공유하는 장치로서,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 파일과 단말기의 사용자가 공유 요청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단말기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파일 처리부와, 공유 요청 파일에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에 전송하는 아이디 공유부와,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단말기에서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한 접근 요청이 수신되면, 접근 요청한 단말기에 공유 요청 파일을 실행시키는 파일 실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FILE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파일 공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해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파일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고유 아이디에 해당되는 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분산 파일 시스템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표적인 개인용 휴대 통신 장비인 휴대 전화에 각종 부가 기능이 다양한 형태로 탑재되고 있다. 휴대 전화는 이미 고화소 카메라폰, DMB(Digital Mutimedia Broadcasting) 수신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특별히 기존에 스마트 폰 등이 가졌던 파일 뷰어나 텍스트 뷰어를 이미 탑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동영상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기능을 탑재한 휴대 전화는 이미 널리 사용하는 대표적인 휴대용 단말이 되었다. 그리고, 최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는 본래의 동영상 및 음악 재생, 텍스트 뷰어, 네비게이션 기능 이외에 HSDPA 모뎀 또는 무선랜 디바이스 같은 무선 통신장치와 소프트웨어인 인터넷 브라우져(browser)를 탑재하여 인터넷으로 무선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최근 애플사에서 출시된 아이팟 터치(i-Pod touch)등도 다양한 동영상 및 음악 재생 기능, 슬라이드쇼 기능 등을 가지고 있으며, 자체적인 무선랜 기능을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온라인 상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 휴대 전화의 기능과 PDA의 기능을 결합시킨 스마트폰(smartphone)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에는 기존 휴대 전화기에 비해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성능 CPU가 실장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음성/데이터 통신 및 PC 연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OS)가 탑재된다. 스마트폰의 운영체제로는 영국의 심비안사가 개발한 "symbian OS" 와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WindowsCE OS"가 대표적이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모바일 폰 가입자수는 3천만명을 넘어서고 있고 10대 청소년에서부터 70대 노인까지 연령층도 다양하다. 또한 PDA등의 이동 단말의 사용자수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다수이고 다양한 연령층의 사용자는 그만큼 다양하고 많은 기능과 서비스를 요구할 뿐 다양한 종류의 단말을 소유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단말들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인 스마트폰에 많은 대용량 데이터, 예컨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여 재생하기를 원하고 있으나, 휴대 단말의 특성 상 고정 단말과 같이 저장매체의 용량이 작기 때문에 데이터 저장 및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단말, 예컨대 스마트 폰, 개인용 컴퓨터 등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폰에서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와 공유하기를 원할 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공유하기를 원하고 있다. 그 예로써, 자신의 스마트 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자신의 컴퓨터 또는 자신이 지정한 단말에서 볼 수 있거나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되어있는 MP3 데이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공유하여 재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스마트폰 관련 업체들은 자신의 운영체제, 예컨대 안드로이드 OS(Operating System), 윈도우 모바일 OS, 아이폰 OS 등에 다양한 단말들과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자 많은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에 발맞춰서 각 관련 업체에서는 다른 기종의 단말간에 멀티미디어와 같은 컨텐츠 자원을 공유하거나 휴대 단말에 비해 비교적 풍부한 자원을 내장할 수 있는 고정 단말의 멀티미디어와 같은 컨텐츠 자원을 공유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구 결과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대용량 스토리지에 저장한 후 고유 아이디를 이용한 파일 접근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실행시켜 파일 접근 요청한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등록한 후 임의의 파일에 대한 공유 요청 시 공유 요청한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고,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등록된 단말에 제공하여 공유 요청한 파일을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들에게 공유시킬 수 있는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장치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기에 공유하는 장치로서, 상기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 파일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단말기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파일 처리부와,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상기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에 전송하는 아이디 공유부와, 상기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한 접근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접근 요청한 단말기에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을 실행시키는 파일 실행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장치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기에 공유하는 장치로서, 임의의 단말기의 등록 요청에 따라 등록하고자 하는 단말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단말기 정보와 상기 임의의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매핑시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말 등록부와,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 파일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파일 처리부와, 상기 임의의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서 단말기 정보를 검색한 후 상기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상기 검색된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에 전송하는 아이디 공유부와, 상기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한 접근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을 실행시키는 파일 실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장치는 상기 등록된 단말기별로 쓰기 또는 읽기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등록된 단말기별로 권한을 설정하는 권한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방법은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 파일과 상기 임의의 단말기가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단말기의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상기 단말기의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한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을 실행시켜 상기 접근 요청한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방법은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 파일을 수신되면,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상기 추출된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한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을 실행시켜 상기 접근 요청한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방법에서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고유 아이디를 팝업식의 알림창을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대용량 스토리지에 저장한 후 고유 아이디를 이용한 파일 접근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실행시켜 파일 접근 요청한 단말기에 제공해줌으로써, 저장 공간이 부족한 이동 단말에서 저장 공간의 제약 없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파일 시스템을 이용한 파일 공유 장치와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해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파일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고유 아이디에 해당되는 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분산 파일 시스템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파일 시스템을 이용한 파일 공유 장치와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파일 공유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분산 파일 시스템(140)과 유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기(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산 파일 시스템(140)은 파일 처리부(142), 아이디 공유부(144), 파일 실행부(146) 및 권한 설정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산 파일 시스템(140)은 유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다수의 단말기(100)와 연결되며, 기본적으로 유무선 통신망(120)을 통한 파일 저장 및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분산 파일 시스템(140)은 단말기(100)와 접속하여 파일의 저장과 관리, 비용 결제 등을 처리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 요소는 종래 개시된 기술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핵심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분산 파일 시스템(140)은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 스토리지(154)를 구비할 수 있다.
파일 처리부(142)는 유무선 통신망(120)에 연결된 단말기(100)로부터 공유 요청 파일과 공유 요청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대용량 스토리지(154)에 저장한다.
한편, 파일 처리부(142)는 공유 요청 파일에 부여한 고유 아이디와 단말기 정보를 아이디 공유부(144)에 제공하고, 고유 아이디를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파일 실행부(146)는 임의의 단말기(100)로부터 고유 아이디를 이용한 파일 접근 요청이 수신되면,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임의의 단말기(100)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한 후 고유 아이디에 해당되는 파일을 대용량 스토리지(154)에서 검색하여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임의의 단말기(100)에는 고유 아이디에 대응되는 파일이 디스플레이된다. 상세히, 파일 실행부(146)는 임의의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아이디를 기반으로 대용량 스토리지(154)에 대한 검색을 실시하여 고유 아이디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 검증된 고유 아이디인 경우 고유 아이디에 대응되는 파일을 대용량 스토리지(154)에서 검색하여 실행시킨다.
한편, 아이디 공유부(144)는 공유 요청 파일을 전송한 단말기(100)의 사용자 정보, 예컨대 로그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52)의 검색을 실시하여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등록한 단말기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기 정보에 해당되는 단말기(100)에 고유 아이디를 전송할 수 있다. 고유 아이디를 수신한 단말기(100)는 고유 아이디를 파라미터로 하여 고유 아이디에 대응되는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단말 등록부(148)는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로그인 절차를 통해 로그인한 후 단말 등록 요청에 따라 등록하고자 하는 단말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단말기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매핑시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한다.
권한 설정부(150)는 사용자가 분산 파일 시스템(140)에 등록한 단말기별로 쓰기 또는 읽기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별로 권한이 설정되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컴퓨터와 같은 유선 단말, PDA, 스마트폰, WiFi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100)에는 대용량 스토리지(154) 기반의 파일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API가 설치된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에는 편집중이거나 조회 중인 파일, 예컨대 문서, 이미지 등을 다른 단말기(100)에서 공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임의의 파일을 공유 요청하거나 공유된 파일을 편집 또는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조회 또는 편집하던 문서를 스마트폰의 바탕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내 컴퓨터로 전송"의 아이콘으로 드래그 & 드롭함으로써, 해당 문서 파일은 분산 파일 시스템(140)에 전송되어 고유 아이디가 부여된 뒤 대용량 스토리지(154)에 저장되며, 고유 아이디가 자신의 컴퓨터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에는 공유된 파일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파일에 대한 고유 아이디만을 이용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140)에 파일 접근을 요청한다. 분산 파일 시스템(140)에서는 파일 접근 요청에 따라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대용량 스토리지(154)를 검색한 후 검색된 파일을 실행시켜 사용자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해줄 뿐만 아니라 편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공유 요청 파일을 고유 아이디와 매핑시켜 저장한 후 다른 단말기에서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한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제공해줌으로써, 저장 공간이 부족한 이동 단말에서 저장 공간의 제약 없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파일 공유 장치가 파일을 공유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의 파일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유 요청한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컴퓨터이며, 공유 요청한 파일에 접근하고자 하는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라는 가정 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가정 하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임의의 파일을 조회 또는 편집하는 도중 분산 파일 시스템(140)에 조회 또는 편집 중인 파일에 대한 공유를 요청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조회 또는 편집중인 파일을 자신의 컴퓨터 상에 디스플레이된 "내 폰으로 전송"의 아이콘으로 드래그 & 드롭하면 해당 파일(이하,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한 공유를 분산 파일 시스템(140)에 요청한다(S200). 이때, 사용자의 컴퓨터는 공유 요청 파일과 더불어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스마트폰의 정보를 분산 파일 시스템(14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분산 파일 시스템(140)의 파일 처리부(142)는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S202)한 후 대용량 스토리지(154)에 저장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스마트폰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 요청 파일에 부여한 고유 아이디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한다(S204).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스마트폰에는 팝업식의 알림 창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알림창을 클릭함에 따라 분산 파일 시스템(140)의 파일 실행부(146)는 스마트폰으로부터 고유 아이디를 이용한 파일 접근 요청을 수신(S206)하며, 수신된 고유 아이디로 대용량 스토리지(154)를 검색하여 공유 요청 파일을 실행시킨다. 상세히, 분산 파일 시스템(140)의 파일 실행부(146)는 대용량 스토리지(154)의 검색을 통해 고유 아이디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S208), S208의 검증 결과 유효한 고유 아이디인 경우 고유 아이디에 대응되는 공유 요청 파일을 실행시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제공하며(S210), S208의 검증 결과 유효하지 않을 경우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한다(S21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대용량 스토리지(154)에 저장한 후 고유 아이디를 이용한 파일 접근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실행시켜 파일 접근 요청한 단말기에 제공해줌으로써, 저장 공간의 제약 없이 데이터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140)에 로그인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단말기(100)의 정보를 입력하며, 이에 따라 분산 파일 시스템의 파일 공유 장치에서는 단말기(100)의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하여 등록한다(S300). 여기에서, 단말기(100)의 정보로는 단말기가 스마트폰,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인 경우 전화번호가 될 수 있고, PDA와 같은 이동 단말인 경우 PDA의 고유 번호 또는 맥 주소 정보일 수 있으며, 단말기가 컴퓨터와 같은 유선 단말인 경우 IP 어드레스 또는 맥 주소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분산 파일 시스템(14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52)에 등록된 단말기(100) 중 하나, 예컨대 컴퓨터로 조회 또는 편집 중인 파일을 "공유 요청" 아이콘으로 드래그 & 드롭하면 해당 파일(이하, 공유 요청 파일)이 분산 파일 시스템(140)에 전송된다. 분산 파일 시스템(140)의 파일 처리부(142)는 공유 요청 파일이 수신됨에 따라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S302)한 후 고유 아이디와 공유 요청 파일을 매핑시켜 대용량 스토리지(154)에 저장하고(S304), 고유 아이디와 공유 요청 파일을 전송한 사용자의 정보, 예컨대 로그인 정보를 아이디 공유부(144)에 제공한다.
아이디 공유부(144)는 사용자의 정보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52)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등록한 단말기(100)의 정보를 추출하며(S306), 추출된 단말기(100)의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100)에 고유 아이디를 전송한다(S308).
이후, 파일 실행부(146)는 임의의 단말기(100)로부터 고유 아이디를 이용한 파일 접근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310).
S310의 판단 결과, 파일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파일 실행부(146)는 파일 접근 요청한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대용량 스토리지(154)를 검색한 후 고유 아이디에 대응되는 파일을 실행한다. 상세히, 파일 실행부(146)는 파일 접근 요청한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아이디와 대용량 스토리지(154)간의 비교를 통해 고유 아이디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S312), S312의 검증 결과 고유 아이디가 유효한 경우 고유 아이디에 대응되는 파일을 대용량 스토리지(154)에서 검색하여 파일을 실행시킴으로써, 파일 접근 요청한 단말기(100)에 파일을 제공한다(S314).
한편, S312의 검증 결과 고유 아이디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 파일 실행부(146)는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316).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생략되었지만,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등록할 때 권한 설정부(150)는 등록하고자 하는 단말기(100)별로 권한, 예컨대 읽기 또는 쓰기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토대로 등록하고자 하는 단말기(100)별로 권한을 설정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할 수 있다.
권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파일 실행부(146)는 파일 접근 요청한 단말기(100)의 권한에 의거하여 고유 아이디에 대응되는 파일에 대한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읽기 권한만 존재하는 단말기(100)인 경우에는 쓰기 권한을 제한한 상태에서 파일을 실행시켜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임의의 단말기가 공유 요청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임의의 단말기가 분산 파일 시스템(140)의 스토리지(154)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드린 후 이를 편집하고, 편집된 파일을 공유 요청하여 다른 단말기에서 공유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편집된 파일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편집된 파일에 대해 고유 아이디를 부여한 후 고유 아이디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에 전송하여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고유 아이디만을 이용하여 파일을 다양한 단말기들간에 공유함으로써, 저장 공간 제약이 있는 단말기에서도 고용량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공유 장치는 다수의 단말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임의의 단말기에서 사용하던 파일을 다른 단말기에서 공유할 수 있는 기술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공유 장치는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 스토리지 기반의 파일 공유 기술로 이용될 수 있다.
100 : 단말기 120 : 유무선 통신망
140 : 분산 파일 시스템 142 : 파일 처리부
144 : 아이디 공유부 146 : 파일 실행부
148 : 단말 등록부 150 : 권한 설정부
152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154 : 스토리지

Claims (7)

  1.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기에 공유하는 장치로서,
    상기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 파일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단말기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파일 처리부와,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상기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에 전송하는 아이디 공유부와,
    상기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한 접근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접근 요청한 단말기에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을 실행시키는 파일 실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 실행부에서 실행된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은 상기 접근 요청한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공유 장치.
  2.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기에 공유하는 장치로서,
    임의의 단말기의 등록 요청에 따라 등록하고자 하는 단말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단말기 정보와 상기 임의의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매핑시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말 등록부와,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 파일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파일 처리부와,
    상기 임의의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서 단말기 정보를 검색한 후 상기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상기 검색된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에 전송하는 아이디 공유부와,
    상기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한 접근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을 실행시키는 파일 실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 실행부에서 실행된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은 상기 접근 요청한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공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단말기별로 쓰기 또는 읽기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등록된 단말기별로 권한을 설정하는 권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파일 공유 장치.
  4.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 파일과 상기 임의의 단말기가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단말기의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상기 단말기의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한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을 실행시켜 상기 접근 요청한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공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고유 아이디를 팝업식의 알림창을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여 전송하는
    파일 공유 방법.
  6.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 파일을 수신되면,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상기 추출된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요청 파일에 대한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 파일을 실행시켜 상기 접근 요청한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공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고유 아이디를 팝업식의 알림창으로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여 전송하는
    파일 공유 방법.
KR1020100082464A 2010-08-25 2010-08-25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171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64A KR101710488B1 (ko) 2010-08-25 2010-08-25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64A KR101710488B1 (ko) 2010-08-25 2010-08-25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198A KR20120019198A (ko) 2012-03-06
KR101710488B1 true KR101710488B1 (ko) 2017-02-28

Family

ID=4612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464A KR101710488B1 (ko) 2010-08-25 2010-08-25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4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531B1 (ko) * 2002-03-30 2009-07-01 주식회사 클래러스 모바일 데이터 스토리지센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과모바일 데이터 스토리지센터 저장정보 기반 모바일 서비스제공 방법
EP1493258B1 (en) * 2002-04-05 2011-11-02 Panasonic Corporation Content using system
KR20060028530A (ko) * 2004-09-24 2006-03-30 주식회사 케이티 파일 호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32338A (ko) * 2008-06-20 2009-12-30 (주)지란지교소프트 웹 상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데이터의 공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198A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06763A1 (en) Conversion of text relating to media content and media extension apps
US8280986B2 (en) Mobile terminal and associated storage devices having web server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96875B1 (ko) 통신 장치 상에서 콘텐츠를 검색/다운로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JP5173816B2 (ja) 情報購読システム
KR100635627B1 (ko) 휴대폰에 저장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753560B (zh) 用于便携式设备的无线网络接入的预配置
US20030222913A1 (en) User interface for transferring data with a communications terminal
JP2016520887A (ja) コンテンツ及びサービスの集約、管理及び提示のシステム
RU2013148773A (ru) Микропроцесс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медиаплееру доступа к удаленно сохраненному цифровому медиаконтенту
US200900221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haring service on network
EP3651421B1 (en) Multimedia display method, apparatus, and device
TW201903604A (zh) 應用導航方法及裝置
KR102173111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컨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934989B1 (ko)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50102522A (ko) 단말-대-단말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997743A (zh) 分享档案资讯的方法
KR101361702B1 (ko) 라이센스 다운로드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KR101899970B1 (ko)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과 클라우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방법
KR20090020327A (ko) 컨텐츠 자동 수신 및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098070A (ko) 디지털 콘텐츠 유통 방법 및 시스템
KR101710488B1 (ko)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846101B1 (ko) 실시간 drm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휴대 단말기
KR101618293B1 (ko) 데이터 공유 방법
JP2003208374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情報配信サーバ装置および情報配信方法
KR101506247B1 (ko) 퍼스널 클라우드 환경에서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