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313B1 - Water-jetting toothbrush - Google Patents

Water-jetting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313B1
KR101703313B1 KR1020160127377A KR20160127377A KR101703313B1 KR 101703313 B1 KR101703313 B1 KR 101703313B1 KR 1020160127377 A KR1020160127377 A KR 1020160127377A KR 20160127377 A KR20160127377 A KR 20160127377A KR 101703313 B1 KR101703313 B1 KR 10170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dy housing
water supply
longitudinal direction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용채
Original Assignee
최용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채 filed Critical 최용채
Priority to KR102016012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3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3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jetting toothbrush capable of spraying cleansing water between bristles. The water jetting toothbrush includes: a body housing which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has an inner hol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center axis thereof; a water supply pipe having a water supply hose coupled to one si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first sl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portion inserted into body housing of the outer circumference, wherei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hose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body hou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ake-out tube having one sid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a body hou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econd sl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a toothbrush portion having a head connected to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take-out tube and planted with bristles, having a jet flow hole formed on a surface of the head where the bristles are planted, and having a jet flow path for communicating the take-out tube with the jet flow hole; and a flow path assembly fixedly mounted on an inner hole of the body housing, wherein the flow path assembly connects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take-out tub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guides cleansing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take-out pipe.

Description

워터 칫솔{Water-jetting toothbrush}Water-jetting toothbrush < RTI ID = 0.0 >

본 발명은 칫솔모 사이로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워터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세정수 공급을 위한 급수관과 칫솔모가 식재된 칫솔대의 착탈이 용이하면서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한 워터 칫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oothbrush configured to spray wash water between brist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oothbrush capable of easily removing and installing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cleaning water and a toothbrush provided with bristles.

주지하다시피 칫솔은 손으로 파지하는 칫솔대 선단의 헤드부에 다수의 칫솔모를 직각방향으로 고정하여 음식물의 섭취로 이빨 사이사이에 끼이거나 부착되어 있는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칫솔모로 깨끗하게 쓸어냄으로써 치아를 청결하게 유지시키고 치아 관련 각종 질병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도구이다.As known, the toothbrush has a plurality of bristles perpendicularly fixed to the head of the tip of a toothbrush handle held by a hand, and cleaned teeth with bristles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irt trapped between the teeth due to the ingestion of food,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various diseases related to teeth.

그런데, 이러한 칫솔을 이용한 양치질은 이를 행하는 사람의 습관에 따라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이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는 경우도 많으며, 이 경우 장기간 경과하면 치석이 쌓이면서 치주질환 등의 잇몸병 유발로 이어지기 쉬울 뿐 아니라 충치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However, in such a toothbrush, it is often the case that foreign substances sandwiched between the teeth are not removed cleanly according to the habit of the person performing the toothbrush. In this case, when a long period of time elapses, calculus accumulates and is liable to lead to periodontal disease such as periodontal disease It can also cause tooth decay.

또한, 양치질을 올바로 하더라도 인체 구조상 구강의 안쪽은 볼살과 치아의 사이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칫솔만으로 구강 안쪽의 치아를 깨끗이 닦아주기에는 다소 불편하고 불완전한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구강 안쪽의 치아가 앞쪽 치아보다 쉽게 썩는 경향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In addition, even if the toothbrush is properly cleaned, since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s very close to the tooth between the teeth, it is somewhat inconvenient and incomplete to clean the teeth inside the oral cavity with only the toothbrush.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eeth tend to rot more easily than teeth.

특히, 치아와 잇몸은 틈새가 거의 없이 밀착되어 있을 뿐 아니라 치아와 치아 사이도 대체로 서로 밀착되어 틈새가 거의 없거나 매우 협소한데 반해서 칫솔모는 일정한 지름을 가지기 때문에 치아와 잇몸 사이 및 치아와 치아 사이의 공간까지 깨끗하게 닦아내기는 어려웠던바, 이러한 공간에 이물질이 쌓이면서 치석을 형성하여 치주질환과 충치의 원인이 되고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tooth and the gum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almost no clearance, but also between the teeth and the teeth, the bristles have a certain diameter, whereas the gap between the teeth and the teeth is very little, It is difficult to wipe clean up to this place, and foreign materials accumulate in such a space, and it becomes the cause of periodontal disease and tooth decay by forming tartar.

물론, 양치 후에 컵을 이용하여 물로 입안을 헹구어 줌으로써 칫솔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거듭 소제히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이는 양치질을 번거롭게 할 뿐만 아니라 헹굼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나아가 양치컵을 여러명의 가족이 공용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따른 비위생적인 문제도 내포하고 있었다.Of course, it is common to rinse out the foreign body removed by the toothbrush by rinsing the mouth with water using a cup after brushing, but this may not only make the brushing of the toothbrush possible, but may also result in improper rinsing, Several families were using it publicly, which was also associated with unsanitary problems.

한편, 이와 같은 일반적인 칫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29913호에는 칫솔의 머리부에 다수의 분사구멍을 형성하고, 칫솔대에 물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수로를 형성하여 양치 시 세정수가 칫솔모 사이에서 함께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치아와 잇몸 및 구강을 보다 편리하게 깨끗이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칫솔모 사이로 세정수가 분사되는 칫솔이 제공되어 있기도 하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uch a general toothbrush,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9913 discloses a method of forming a plurality of spray holes in the head of a toothbrush, and a water channel in which a water supply hose is connected to a toothbrush handle The bristles are sprayed between the bristles to clean the teeth, the gums, and the mouth more conveniently by allowing the bristles to spray the bristles between the bristles.

그렇지만, 이 기술은 사출 등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는 칫솔의 머리부와 칫솔대 내부에 분사구멍 및 이에 연통하는 수로를 동시에 형성하는데, 사출 공정상 제작 작업이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칫솔의 머리부와 칫솔대가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일정기간 사용 후 칫솔모가 마모될 경우 칫솔 자체를 새것으로 교환해야 하는바 유지비용이 많이 들고, 물 공급을 위한 호스가 몸체에 항상 연결되어 있어 세정수 분사가 필요치 아니한 경우 사용이 불편하며, 세정수 유로의 세척이 어려워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a head portion of a toothbrush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or the like and a spray hole and a wate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pray hole ar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toothbrush body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since the head portion of the toothbrush and the toothbrush bristle are integrally formed, if the bristles are worn out after a certain period of use, the toothbrush itself must be replaced with a new one, and the maintenance cost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when washing water injection is not required, and washing of the washing water flow path is difficult and unsanitary.

KR 제20-0229913 Y1KR 20-0229913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칫솔모 사이로 고압의 세정수가 분사될 수 있고, 누수 우려 없이 칫솔대와 급수관을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각 부품들을 분리 및 교체할 수 있어 세척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워터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ush dispenser capable of spraying high-pressure washing water between bristl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oothbrush which is easy to clean and maintai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워터칫솔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내부홀이 형성된 몸체하우징; 길이방향 일측에 급수호스가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몸체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에 삽입되며, 외주면 중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부위에 돌출되는 제1 슬라이드돌기를 구비하는 급수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몸체하우징의 길이방향 타측에 삽입되며, 외주면 중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부위에 돌출되는 제2 슬라이드돌기를 구비하는 인출관; 상기 인출관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되며, 칫솔모가 식재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 중 상기 칫솔모가 식재되는 면에 형성되는 분사공과, 상기 인출과 상기 분사공을 연통시키기 위한 분사유로를 구비하는 칫솔대;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홀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급수관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인출관의 길이방향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제공된 세정수를 상기 인출관으로 안내하는 유로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측 내벽에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둘레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제1 슬라이드홈과 제2 슬라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인출관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몸체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와 제2 슬라이드돌기가 상기 제1 슬라이드홈과 제2 슬라이드홈에 각각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급수관과 상기 인출관은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유로조립체에 결합 및 탈거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othbrush comprising: a body housing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inner hole along a longitudinal center axis; A water supply pipe having a water supply hos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slide protrusion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And a second slide protrusion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body housing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projecting to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A toothbrush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ake-out tub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for spraying the bristles, a spray hole formed on a surface of the head on which the bristles are planted, and a spray channel for communicating the draw-out and the spray holes; And a flow path assembly fixedly mounted on an inner hole of the body housing and connecting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one side of the take-out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uide the washing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take- A first slide groove and a second slide groove which are arrang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are formed respectively on both longitudinally inner walls of the housing and a second slide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Wherein the first slide protrusion and the second slide protrusion are respectively seated in the first slide groove and the second slide groove when the first slide protrusion and the second slide protrusion are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As shown in FIG.

상기 제1 슬라이드홈의 외측벽면과 제2 슬라이드홈의 외측벽면 중, 상기 급수관과 상기 인출관이 삽입될 때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 또는 제2 슬라이드돌기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 또는 제2 슬라이드돌기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낮게 형성되고,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e protrusion or the second slide protrusion when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take-out pipe are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first slide groove an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slide groove, 2 are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lide projections,

상기 제1 슬라이드홈의 내측벽면과 제2 슬라이드홈의 내측벽면 중, 상기 급수관과 상기 인출관이 삽입될 때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 또는 제2 슬라이드돌기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 또는 제2 슬라이드돌기가 걸리도록 높게 형성되며,A portion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slide groove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sl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e protrusion or the second slide protrusion when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take-out pipe are inserted, 2 slide projections,

상기 제1 슬라이드홈의 외측벽면과 제2 슬라이드홈의 외측벽면에는, 상기 급수관과 상기 인출관이 사전에 설정된 깊이만큼 상기 몸체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와 상기 제2 슬라이드돌기가 타고 넘어가는 돌출턱이 형성된다.The first slide protrusion and the second slide protrusion are moved over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first slide groove an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slide groove when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take-out pipe are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by a predetermined depth A protruding jaw is formed.

상기 유로조립체는,The flow path assembly includes: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급수관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단에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체결관과, 상기 제1 삽입홈에 압입되는 제1 삽입돌부가 길이방향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제1 니플이 구비되는 제1 연결관과, 길이방향 일단에 제2 삽입홈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인출관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제2 체결관과, 길이방향 일측에 제2 니플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삽입홈에 압입되는 제2 삽입돌부가 길이방향 타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연결관과, 상기 제1 니플과 제2 니플을 연결하는 튜브관으로 구성된다.A first fastening pipe which is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pi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side thereof in a fitting manner and has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first insertion insert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 second coupling pipe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groove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extraction pipe in a fitting mann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connecting tube having a second nipple and being press-fit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ube tube connecting the first nipple and the second nipple.

상기 제1 체결관의 길이방향 타측 외주면에는 제1 체결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면에는 제1 연결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관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면에는 제2 체결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관의 길이방향 타측 외주면에는 제2 연결플랜지가 형성되며,A first coupling flange is formed o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ipe, a first coupling flang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first coupling pipe, A second coupling flang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pe,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벽에는, 상기 제1 체결플랜지와 제1 연결플랜지가 압입되는 제1 압입홈과, 상기 제2 체결플랜지와 제2 연결플랜지가 압입되는 제2 압입홈이 형성된다.A first press-fit groove into which the first fastening flange and the first connection flange are press-fitted and a second press-fit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flange and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are press-fitted are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body housing.

상기 제1 체결관과 상기 제1 연결관이 서로 맞닿는 면에는 제1 오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관과 상기 제2 연결관이 서로 맞닿는 면에는 제2 오링이 구비되며,A first O-ring is provided on a surface where the first fastening pipe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second O-ring is provided on a surface where the second fastening pip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 체결플랜지와 제1 연결플랜지가 상기 제1 압입홈에 압입될 때 상기 제1 체결관과 상기 제1 연결관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 오링이 압축되고, When the first fastening flange and the first connection flange are press-fitted into the first press-fit groove, the first fastening pipe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are pressed in a direction toward each other to compress the first O-ring,

상기 제2 체결플랜지와 제2 연결플랜지가 상기 제2 압입홈에 압입될 때 상기 제2 체결관과 상기 제2 연결관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2 오링이 압축된다.When the second fastening flange and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are press-fitted into the second press-fit groove, the second fastening pip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are pressed in a direction toward each other to compress the second O-ring.

본 발명에 의한 워터칫솔을 이용하면, 칫솔모 사이로 고압의 세정수가 분사되어 치아를 보다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고, 누수 우려 없이 칫솔대와 급수관을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각 부품들을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여 세정수가 흐르는 유로의 세척 및 각 부품의 유지 보수가 용이다는 장점이 있다.The use of the water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clean the teeth more cleanly by injecting the high-pressure cleaning water between the bristles, and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toothbrush handle and the water supply pipe without fear of leakag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flow channel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and to maintain the maintenance of each part.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워터칫솔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워터칫솔에 포함되는 유로조립체의 분해단면도 및 장착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급수관을 몸체하우징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몸체하우징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1 to 3 are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water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a dis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and a mounting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w path assembly included in the water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sequentially show a process of coupling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body housing.
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ody hous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워터칫솔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water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워터칫솔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종단면도이다.1 to 3 are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water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워터칫솔은 칫솔모(412) 사이로 고압의 세정수가 분사되어, 치아를 보다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히 세정수 분사기능만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세정수의 누수 우려 없이 각 부위별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The water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clean the teeth cleanly by spraying high-pressure washing water through the bristles 412, and is not only provided with the function of spraying the washing water, And is configured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coupling.

즉, 본 발명에 의한 워터칫솔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내부홀이 형성된 몸체하우징(100)과, 길이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급수호스(미도시)가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이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삽입되며 외주면 중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된 부위에 돌출되는 제1 슬라이드돌기(210)를 구비하는 급수관(200)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삽입되며 외주면 중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된 부위에 돌출되는 제2 슬라이드돌기(310)를 구비하는 인출관(300)과, 상기 인출관(3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되되 칫솔모(412)가 식재되는 헤드(410)와 상기 헤드(410) 중 상기 칫솔모(412)가 식재되는 면에 형성되는 분사공(420)과 상기 인출과 상기 분사공(420)을 연통시키기 위한 분사유로(430)를 구비하는 칫솔대(400)와,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내부홀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급수관(200)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인출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급수관(200)으로부터 제공된 세정수를 상기 인출관(300)으로 안내하는 유로조립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water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ousing 100, which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has an inner hol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center axis thereof, and a water supply hose (not shown) And a first slide protrusion 210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body housing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00 and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00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00 And a second slide protrusion 310 protruding from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00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00, A head 41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ake-out tube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having bristles 412 arranged therein; and a head 410 on which the bristles 412 are arranged, A discharge hole (420)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A toothbrush 400 having a spraying passage 430 for communicating the puncture holes 420 with the toothbrush 400 and a toothbrush 400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hole of the body housing 100, And a flow path assembly 500 connecting the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200 to guide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200 to the take-out pipe 300.

이때, 상기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이 단순히 끼워맞춤 방식으로 몸체하우징(100)에 결합되면,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에 몸체하우징(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몸체하우징(100)으로부터 탈거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몸체하우징(100)을 손으로 잡고 칫솔질을 하는 동안 인출관(300)이 몸체하우징(100)으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고, 급수관(200)에 결합된 급수호스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급수관(200)이 몸체하우징(100)으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다.When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are coupled to the body housing 100 by simply fitting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00, There is a risk of being detached from the body housing 10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When the user pulls the water supply hose coupled to the water supply pipe 200, for example, when the user pulls the takeout pipe 300 out of the body housing 100 while brushing the body housing 100 by hand, The body housing 100 may be detached from the body housing 100.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을 나사결합 구조로 몸체하우징(100)에 결합시키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으나,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을 나사결합 구조로 몸체하우징(10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을 수 회에 걸쳐 회전시켜야만 몸체하우징(100) 내의 유로조립체(500)에 연결되는바, 조립 및 분해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method of coupling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to the body housing 100 in a screwed connection structure may be proposed. However,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 The water supply tube 200 and the take-out tube 300 are rotated several times to be connected to the flow path assembly 500 in the body housing 100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body housing 100 in a screw- There is a drawback that it is inconvenient.

본 발명에 의한 워터칫솔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을 일정 수준 직선으로 삽입시킨 후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을 90도 내외의 각도만큼만 회전시켰을 때 상기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이 몸체하우징(100)에 결합되되, 몸체하우징(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이 몸체하우징(100)으로부터 탈거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The water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sert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in a straight line in a straight line, and then connect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are coupled to the body housing 100.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00, 300 are not detached from the body housing 100.

즉,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양측 내벽에는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둘레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제1 슬라이드홈(110)과 제2 슬라이드홈(12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200)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인출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몸체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와 제2 슬라이드돌기(310)가 상기 제1 슬라이드홈(110)과 제2 슬라이드홈(120)에 각각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슬라이드돌기(210)와 제2 슬라이드돌기(310)가 제1 슬라이드홈(110)과 제2 슬라이드홈(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을 회전시키면, 상기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은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 되어 상기 유로조립체(500)에 결합 및 탈거된다.That is, the first slide groove 110 and the second slide groove 120, which are arrang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00, are formed on the inner wall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00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and the second slide protrusion 310 are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00 whe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take-out pipe 300 are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00 The first slide groove 110 and the second slide groove 120, respectively. When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and the second slide protrusion 310 are seated in the first slide groove 110 and the second slide groove 120 and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are rotated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are moved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are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the flow path assembly 5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워터칫솔은,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을 몸체하우징(100)에 결합시켰을 때 제1 슬라이드돌기(210)와 제2 슬라이드돌기(310)가 각각 제1 슬라이드홈(110)과 제2 슬라이드홈(120)에 걸리게 되는바, 상기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에 몸체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몸체하우징(100)으로부터 빠지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을 수 회에 걸쳐 회전시키지 아니하더라도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이 몸체하우징(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는바,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을 빠르고 간편하게 체결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이 몸체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When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are coupled to the body housing 100,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and the second slide protrusion 31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00, the water is not released from the body housing 100 . Even if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are not rotated several times,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are stably coupled to the body housing 100, The tube 300 can be quickly and easily fastened and separated. The process of coupling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to the body housing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FIG.

상기 급수관(200)으로 공급된 세정수는 유로조립체(500)를 통해 인출관(300)으로 전달된 후 분사유로(430)를 거쳐 분사공(420)으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분사공(420)의 형성위치 및 개수 세정수를 분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분사공(420)을 통해 분사된 세정수는 사용자의 치간 및 치아를 세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정수로 치간 및 치아를 세정하는 기술적 사상은 종래의 물분사 치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200 is transferred to the outlet pipe 300 through the flow path assembly 500 and then injected into the injection hole 420 through the injection path 430. At this tim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spray holes 420 and the number of washing water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portion to be sprayed. The cleansing wate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420 cleans the teeth and the teeth of the user. The technical idea of cleaning the teeth and the teeth with the cleansing water sprayed at such a high pressur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water-spraying toothbrush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급수관(200)으로 공급된 세정수가 몸체하우징(100)의 내부공간 전체를 채운 후 인출관(300)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면, 세정수의 압력이 현격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몸체하우징(100)의 각 부위를 통해 세정수가 누수될 우려도 있고, 세정수가 오염될 우려도 야기된다. 따라서 세정수가 공급되는 급수관(20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유로조립체(500)를 통해 인출관(300)으로 전달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200 is filled in the entire inner space of the body housing 100 and then transferred to the take-out tube 300,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remarkably lower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ashing water may leak through each part, and the washing water may be contamina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pipe 200 to which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is transferred to the take-out tube 300 through a separate flow path assembly 500 as shown in FIGS.

상기 유로조립체(500)는 세정수의 압력강하를 최소화시키면서 급수관(200) 및 인출관(3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유로조립체(500)의 내부구조 및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flow path assembly 500 is configured to be stably coupled to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outlet pipe 300 while minimizing the pressure drop of the washing water. The inner structure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low path assembly 500 are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한편,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이 몸체하우징(100)의 내측으로 과도하게 깊이 삽입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제1 안착단(101) 및 제2 안착단(102)이 형성되고,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의 중단 외주면에는 제1 안착단(101)과 제2 안착단(102)에 안착 가능한 제1 안착블록(220)과 제2 안착블록(32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안착블록(220)과 제2 안착블록(320)은 급수관(200)과 인출관(300)이 몸체하우징(100)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스토퍼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이와 같은 스토퍼는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at both ends of the body housing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first seat 101 and the second seat 100 are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00 such that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 A first seating block 220 which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end 101 and the second seating end 102 and a second seating block 102 which is se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pipe 200 and the outgoing pipe 300, Two seating blocks 320 are formed. The first seating block 220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320 serve as a kind of stopper for preventing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from being excessively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00 As such, th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mercialized in various forms in the related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워터칫솔에 포함되는 유로조립체(500)의 분해단면도 및 장착단면도이다.4 and 5 are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nd a mounting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w path assembly 500 included in the water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급수관(200)으로 공급된 세정수를 인출관(3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유로조립체(500)는,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급수관(200)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단에 제1 삽입홈(512)이 형성되는 제1 체결관(510)과, 상기 제1 삽입홈(512)에 압입되는 제1 삽입돌부(522)가 길이방향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제1 니플(524)이 구비되는 제1 연결관(520)과, 길이방향 일단에 제2 삽입홈(532)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인출관(300)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제2 체결관(530)과, 길이방향 일측에 제2 니플(544)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삽입홈(532)에 압입되는 제2 삽입돌부(542)가 길이방향 타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연결관(540)과, 상기 제1 니플(524)과 제2 니플(544)을 연결하는 튜브관(550)으로 구성된다.The flow path assembly 500 for deliver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200 to the take-out pipe 300 is formed by inserting the water supply pipe 200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n a fitting manner, And a first insert pin 522 that is press-fitted into the first insert groove 512 is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trud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insert pin 512 A second coupling pipe 532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coupling pipe 532 inserted into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take-out pipe 300 in a fitting manner, A second connecting pipe 540 having a second nipple 544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542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542, And a tube pipe 550 connecting the first nipple 524 and the second nipple 544.

상기 제1 체결관(510)과 제1 연결관(520)과 제2 체결관(530)과 제2 연결관(540)과 튜브관(550)은, 상호 결합되었을 때 누수우려가 없도록 일정 수준의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이 하다. 특히 일정 거리 이격된 제1 연결관(520)과 제2 연결관(540)을 연결하기 위한 튜브관(550)은 어느 정도 휘어질 수 있도록 고무성분이 함유된 합성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1 체결관(510)과 제1 연결관(520)과 제2 체결관(530)과 제2 연결관(540)과 튜브관(550)은 누수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재료로도 제작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ipe 510, the first connection pipe 520, the second connection pipe 530, the second connection pipe 540 and the tube pipe 5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level Of the synthetic resin. The tube pipe 550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ipe 5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54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containing a rubber component so as to be bent to some extent. Of course, if the first connection pipe 510, the first connection pipe 520, the second connection pipe 530, the second connection pipe 540 and the tube pipe 550 can be stably coupled without fear of leakage , And can be made of any material.

이때, 상기 유로조립체(500)가 몸체하우징(100) 내에서 완벽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게 되면, 급수관(200) 및 인출관(300)과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할 우려가 있는바, 상기 유로조립체(500)는 몸체하우징(100) 내에 고정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로조립체(500)가 몸체하우징(100)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결관(510)의 길이방향 타측 외주면에는 제1 체결플랜지(516)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520)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면에는 제1 연결플랜지(526)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관(530)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면에는 제2 체결플랜지(536)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관(540)의 길이방향 타측 외주면에는 제2 연결플랜지(546)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하우징(100)의 내벽 중 각 플랜지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제1 압입홈(130)과 제2 압입홈(140)이 형성되는바, 유로조립체(500)가 몸체하우징(100) 내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1 체결플랜지(516)와 제1 연결플랜지(526)가 제1 압입홈(130)에 압입되고, 상기 제2 체결플랜지(536)와 제2 연결플랜지(546)가 제2 압입홈(140)에 압입된다.At this time, if the channel assembly 500 is not completely fixed in the body housing 100 and is shak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may not be stably maintained, The flow path assembly 500 is preferably fixedly mounted within the body housing 100. A first fastening flange 516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first fastening pipe 510 so that the flow path assembly 500 can be fixed within the body housing 100, A second coupling flange 536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ipe 5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second coupling flange 536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ipe 530. [ 54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46. The first press-fit groove 130 and the second press-fit groove 140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flanges of the inner wall of the body housing 100. When the channel assembly 500 is seated in the body housing 100 The first fastening flange 516 and the first fastening flange 526 are pressed into the first press fit groove 130 and the second fastening flange 536 and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546 are pressed into the second press fit groove 130. [ (140).

상기 제1 체결플랜지(516)와 제1 연결플랜지(526)는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제1 압입홈(130)에 압입되고, 상기 제2 체결플랜지(536)와 제2 연결플랜지(546) 역시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제2 압입홈(140)에 압입되는바, 각 플랜지들이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유로조립체(500)는 몸체하우징(100)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fastening flange 516 and the first fastening flange 526 are pressed into the first press fitting groove 13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nd the second fastening flange 536 and the second fastening flange 546 The channel assembly 500 can be stably fixed in the body housing 100 as long as the flanges are not damaged.

또한, 체결관(510, 530)과 연결관(520, 540) 사이로 세정수가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1 체결관(510)과 상기 제1 연결관(520)이 서로 맞닿는 면에는 제1 오링(514)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관(530)과 상기 제2 연결관(540)이 서로 맞닿는 면에는 제2 오링(534)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ipe 510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5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washing water does not leak between the connection pipes 510 and 530 and the connection pipes 520 and 540, And a second O-ring 534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where the second connection pipe 530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54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 오링(514)은 제1 체결관(510)과 제1 연결관(520)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약간 두껍게 제작되는바, 상기 제1 체결플랜지(516)와 제1 연결플랜지(526)가 상기 제1 압입홈(130)에 압입될 때 상기 제1 체결관(510)과 상기 제1 연결관(520)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압축된다. 상기 제2 오링(534) 역시 제2 체결관(530)과 제2 연결관(540)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약간 두껍게 제작되는바, 제2 체결플랜지(536)와 제2 연결플랜지(546)가 상기 제2 압입홈(140)에 압입될 때 상기 제2 체결관(530)과 상기 제2 연결관(540)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압축된다.The first O-ring 514 is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pipe 510 and the first coupling pipe 520. The first coupling flange 516 and the first coupling flange 526, The first connection pipe 510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520 are compressed and compres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ipe 510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520 are brought closer to each other. The second O-ring 534 is also made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upling pipe 530 and the second coupling pipe 540. The second coupling flange 536 and the second coupling flange 546 The second connecting pipe 53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540 are compressed and compres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pipe 53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540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제1 오링(514)과 제2 오링(534)이 체결관(510, 530)과 연결관(520, 540)이 압입홈(130, 140)에 압입되는 힘에 의해 압축되면, 체결관(510, 530)과 연결관(520, 540) 사이가 완벽하게 밀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first O-ring 514 and the second O-ring 534 are compressed by the force of the press-fitting grooves 130 and 140 and the connecting pipes 520 and 540, The effect of completely sealing between the pipes 510 and 530 and the connecting pipes 520 and 540 can be obtained.

도 6 내지 도 8은 급수관(200)을 몸체하우징(100)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며, 도 9는 몸체하우징(100)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FIGS. 6 to 8 sequentially show a process of connecting the water supply pipe 200 to the body housing 100, and FIG. 9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ody housing 100.

급수관(200)을 몸체하우징(100)에 삽입 장착할 때에는,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200)의 중심선을 제1 체결관(510)의 중심선이 맞춘 후, 급수관(200)을 밀어 넣어 일정 거리 삽입시킨다.6, the center line of the first tightening pipe 510 is aligned with the centerline of the water supplying pipe 200, and then the water supplying pipe 200 is pushed And insert it at a certain distance.

이와 같이 급수관(200)을 밀어 넣었을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돌기(210)는 제1 슬라이드홈(110) 내부에 위치된다. 급수관(200)을 밀어 넣는 과정에서 제1 슬라이드돌기(210)가 제1 슬라이드홈(110)의 외측벽면(112)에 걸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돌기(210)가 제1 슬라이드홈(110) 내부에 위치되지 아니하는바, 상기 제1 슬라이드홈(110)의 외측벽면(112) 중 제1 슬라이드돌기(210)와 대응되는 부위(더 명확하게는 상기 급수관(200)이 삽입될 때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의 이동경로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7,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pipe 20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slide groove 110 when the water pipe 200 is pushed in. 7, when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is caught by the outer wall surface 112 of the first slide groove 110 in the process of pushing the water supply pipe 200,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 groove 110, A portion of the outer wall surface 112 of the first slide groove 1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more specifically, the water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0)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is formed to be low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이때, 상기 제1 슬라이돌기가 과도하게 이동하여 제1 슬라이드홈(110)을 벗어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드홈(110)의 내측벽면(114) 중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와 대응되는 부위(더 명확하게는 급수관(200)이 삽입될 때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의 이동경로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가 걸리도록 높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is mov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of the inner side wall surface 114 of the first slide groove 110 so that the first slide protrusion does not move excessively and escape from the first slide groove 110 (More specifically,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slide projection 210 when the water supply pipe 200 is inserted) should be formed to be high enough to engage with the first slide projection 210.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급수관(2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는 제1 슬라이드홈(110)의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몸체하우징(100)의 내부로 더 깊게 삽입되는바, 급수관(200)의 끝단은 제1 체결관(510)의 내부에 충분한 깊이로 삽입된다.7,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slides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slide groove 110 and is inserted deeper into the body housing 100 while sliding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slide groove 110, Th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pipe 510 at a sufficient depth.

이때, 급수관(200)이 과도하게 삽입되면 제1 체결관(510)이 파손되거나, 제1 슬라이드돌기(210)가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워터칫솔은 급수관(200)이 사전에 설정된 적정 깊이만큼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가 타고 넘어가는 돌출턱(116)이 제1 슬라이홈의 외측벽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water pipe 200 is excessively inserted, the first fastening pipe 510 may be broken or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may be broken. The water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ruding protuberance 116 protruding from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when the water pipe 200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급수관(200)이 사전에 설정된 적정 깊이만큼 삽입되었을 때 제1 슬라이드돌기(210)가 돌출턱(116)을 타고 넘어가게 되면, 사용자는 클릭감을 느끼게 되어 더 이상 급수관(200)을 회전시키지 아니하게 되는바, 제1 체결관(510)의 파손 및 제1 슬라이드돌기(210)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드돌기(210)가 돌출턱(116)을 타고 넘어간 상태에서는 제1 슬라이드돌기(210)가 제1 슬라이드홈(110)의 외측벽면(112)에 밀착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큰 회전력이 급수관(200)에 인가되지 아니하는 한, 상기 급수관(200)은 몸체하우징(100)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상기 급수관(200)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 및 충격력에 의해 몸체하우징(100)으로부터 쉽게 탈거되지 아니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passes over the protruding protrusion 116 when the water pipe 200 is inserted at a predetermined depth, the user feels a clicking feeling and rotates the water pipe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first fastening pipe 510 and breakage of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Since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112 of the first slide groove 11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rides over the protrusion 116, The water supply pipe 200 is not rotated in the direction of being removed from the body housing 100 unless it is a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200. That i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water supply pipe 200 is not easily detached from the body housing 100 due to vibration and impact force externally applied.

한편, 인출관(300)이 몸체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구조는 급수관(200)이 몸체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방향만이 다를 뿐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인출관(300)이 몸체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tructure in which the take-out tube 300 is coupled to the body housing 1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supply tube 200 is coupled to the body housing 100, 300 are coupled to the body housing 100 will not be describ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 몸체하우징 101 : 제1 안착단
102 : 제2 안착단 110 : 제1 슬라이드홈
112 : 외측벽면 114 : 내측벽면
116 : 돌출턱 120 : 제2 슬라이드홈
130 : 제1 압입홈 140 : 제2 압입홈
200 : 급수관 210 : 제1 슬라이드돌기
220 : 제1 안착블록 300 : 인출관
310 : 제2 슬라이드돌기 320 : 제2 안착블록
400 : 칫솔대 410 : 헤드
420 : 분사공 430 : 분사유로
500 : 유로조립체 510 : 제1 체결관
512 : 제1 삽입홈 514 : 제1 오링
516 : 제1 체결플랜지 520 : 제1 연결관
522 : 제1 삽입돌부 524 : 제1 니플
526 : 제1 연결플랜지 530 : 제2 체결관
532 : 제2 삽입홈 534 : 제2 오링
536 : 제2 체결플랜지 540 : 제2 연결관
542 : 제2 삽입돌부 544 : 제2 니플
546 : 제2 연결플랜지 550 : 튜브관
100: Body housing 101: First seat
102: second seat portion 110: first slide groove
112: outer wall surface 114: inner wall surface
116: protruding jaw 120: second slide groove
130: first press-fit groove 140: second press-fit groove
200: water pipe 210: first slide projection
220: First seating block 300: Drawing tube
310: second slide projection 320: second seat block
400: toothbrush handle 410: head
420: jet hole 430: jet flow path
500: flow path assembly 510: first fastening pipe
512: first insertion groove 514: first o-ring
516: first fastening flange 520: first connection pipe
522: first insertion protrusion 524: first nipple
526: first connection flange 530: second fastening pipe
532: second insertion groove 534: second o-ring
536: second fastening flange 540: second connecting pipe
542: second insertion protrusion 544: second nipple
546: second connection flange 550: tube tube

Claims (5)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내부홀이 형성된 몸체하우징(100);
길이방향 일측에 급수호스가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삽입되며, 외주면 중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된 부위에 돌출되는 제1 슬라이드돌기(210)를 구비하는 급수관(2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삽입되며, 외주면 중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된 부위에 돌출되는 제2 슬라이드돌기(310)를 구비하는 인출관(300);
상기 인출관(3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되며, 칫솔모(412)가 식재되는 헤드(410)와, 상기 헤드(410) 중 상기 칫솔모(412)가 식재되는 면에 형성되는 분사공(420)과, 상기 인출과 상기 분사공(420)을 연통시키기 위한 분사유로(430)를 구비하는 칫솔대(400);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내부홀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급수관(200)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인출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급수관(200)으로부터 제공된 세정수를 상기 인출관(300)으로 안내하는 유로조립체(500);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양측 내벽에는,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둘레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제1 슬라이드홈(110)과 제2 슬라이드홈(1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200)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인출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몸체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와 제2 슬라이드돌기(310)가 상기 제1 슬라이드홈(110)과 제2 슬라이드홈(120)에 각각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급수관(200)과 상기 인출관(300)은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유로조립체(500)에 결합 및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칫솔.
A body housing (100)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inner hole along a longitudinal center axis;
A water supply hos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00 and a first slide protrusion 210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housing 100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00 A water supply pipe (200) having a water supply pipe (200);
And a second slide protrusion (310)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body housing (100)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00) and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00) ;
A head 41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ake-out tube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for cultivating the bristles 412 and a spray hole 420 formed on a surface of the head 410 where the bristles 412 are planted, And a spraying passage (430) for communicating the drawing with the spray hole (420).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water supply pipe (200) is fixed to an inner hole of the body housing (100), and connects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200) (500) which guides the flow path assembly (300);
/ RTI >
A first slide groove 110 and a second slide groove 120 are formed on the inner wall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00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00,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and the second slide protrusion 310 are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00 whe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take-out pipe 300 are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00,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are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the flow path assembly 500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Lt; RTI ID = 0.0 > 1,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홈(110)의 외측벽면(112)과 제2 슬라이드홈(120)의 외측벽면(112) 중, 상기 급수관(200)과 상기 인출관(300)이 삽입될 때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 또는 제2 슬라이드돌기(310)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 또는 제2 슬라이드돌기(310)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홈(110)의 내측벽면(114)과 제2 슬라이드홈(120)의 내측벽면(114) 중, 상기 급수관(200)과 상기 인출관(300)이 삽입될 때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 또는 제2 슬라이드돌기(310)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 또는 제2 슬라이드돌기(310)가 걸리도록 높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드홈(110)의 외측벽면(112)과 제2 슬라이드홈(120)의 외측벽면(112)에는, 상기 급수관(200)과 상기 인출관(300)이 사전에 설정된 깊이만큼 상기 몸체하우징(10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0)와 상기 제2 슬라이드돌기(310)가 타고 넘어가는 돌출턱(1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are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wall 112 of the first slide groove 110 and the outer side wall 112 of the second slide groove 120,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210 or the second slide protrusion 310 is formed to be low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or the second slide protrusion 310,
When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wall 114 of the first slide groove 110 and the inner side wall 114 of the second slide groove 120,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210 or the second slide protrusion 310 is formed to be high enough to catch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or the second slide protrusion 310,
The water supply pipe 200 and the take-out pipe 300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wall 112 of the first slide groove 110 and the outer side wall 112 of the second slide groove 120, And a protruding protrusion (116) formed on the first slide protrusion (210) and the second slide protrusion (310) when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조립체(500)는,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급수관(200)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단에 제1 삽입홈(512)이 형성되는 제1 체결관(510)과, 상기 제1 삽입홈(512)에 압입되는 제1 삽입돌부(522)가 길이방향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제1 니플(524)이 구비되는 제1 연결관(520)과, 길이방향 일단에 제2 삽입홈(532)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인출관(300)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제2 체결관(530)과, 길이방향 일측에 제2 니플(544)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삽입홈(532)에 압입되는 제2 삽입돌부(542)가 길이방향 타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연결관(540)과, 상기 제1 니플(524)과 제2 니플(544)을 연결하는 튜브관(5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path assembly 500 includes:
A first fastening pipe 510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512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which the water supply pipe 200 is fitted in a fitting manner and a first insertion groove 512 is formed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connection pipe 520 having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522 protrud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nipple 524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insertion pipe 532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nipple 544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530. The second connecting pipe 5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ng groove 532, And a tube pipe 550 connecting the first nipple 524 and the second nipple 544. The second connection pipe 540 has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542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t; RTI ID = 0.0 > 1, < / RTI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관(510)의 길이방향 타측 외주면에는 제1 체결플랜지(516)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520)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면에는 제1 연결플랜지(526)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관(530)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면에는 제2 체결플랜지(536)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관(540)의 길이방향 타측 외주면에는 제2 연결플랜지(546)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내벽에는, 상기 제1 체결플랜지(516)와 제1 연결플랜지(526)가 압입되는 제1 압입홈(130)과, 상기 제2 체결플랜지(536)와 제2 연결플랜지(546)가 압입되는 제2 압입홈(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칫솔.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fastening flange 516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first fastening pipe 510 and a first connection flange 526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520 on the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fastening flange 536 is formed on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second fastening pipe 530 and a second connection flange 546 is formed o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540,
A first press-fit groove 130 into which the first fastening flange 516 and the first fastening flange 526 are press-fitted, and a second fastening flange 536 with a second fastening flange 536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housing 100, Wherein a second press-fit groove (140) is formed in which the flange (546) is press-fitt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관(510)과 상기 제1 연결관(520)이 서로 맞닿는 면에는 제1 오링(514)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관(530)과 상기 제2 연결관(540)이 서로 맞닿는 면에는 제2 오링(53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플랜지(516)와 제1 연결플랜지(526)가 상기 제1 압입홈(130)에 압입될 때 상기 제1 체결관(510)과 상기 제1 연결관(520)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 오링(514)이 압축되고,
상기 제2 체결플랜지(536)와 제2 연결플랜지(546)가 상기 제2 압입홈(140)에 압입될 때 상기 제2 체결관(530)과 상기 제2 연결관(540)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2 오링(534)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칫솔.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O-ring 514 is provided on a surface where the first connection pipe 510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5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530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540 And a second O-ring 534 is provided on the surfaces abutting on each other,
When the first fastening flange 516 and the first connecting flange 526 are press-fitted into the first press-fitting groove 130, the first fastening pipe 510 and the first connecting pipe 520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The first O-ring 514 is compressed,
When the second fastening flange 536 and the second connecting flange 546 are press-fitted into the second press-fitting groove 140, the second fastening pipe 53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540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O-ring (534) is compressed.

KR1020160127377A 2016-10-04 2016-10-04 Water-jetting toothbrush KR1017033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377A KR101703313B1 (en) 2016-10-04 2016-10-04 Water-jetting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377A KR101703313B1 (en) 2016-10-04 2016-10-04 Water-jetting toothbru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313B1 true KR101703313B1 (en) 2017-02-06

Family

ID=5810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377A KR101703313B1 (en) 2016-10-04 2016-10-04 Water-jetting tooth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31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2913A (en) * 2018-04-25 2018-11-06 深圳龙图腾创新设计有限公司 A kind of ball-type toothbrush
WO2019022276A1 (en) * 2017-07-28 2019-01-31 주식회사 블루레오 Oral irrig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26U (en) * 1993-06-29 1995-01-27 曲▲シン▼山 toothbrush
KR200229913Y1 (en) 2000-12-27 2001-07-03 백형기 Toothbrush with cleaning water sprayed between brush heads
KR20150061559A (en) * 2013-11-27 2015-06-04 칸더미르 알렉산더 Mechanical toothbrush
CN204744469U (en) * 2015-06-12 2015-11-11 封荣金 It is portable towards tooth ware
KR20150132144A (en) * 2013-03-15 2015-11-25 워터 피크 인코포레이티드 Mechanically driven, sonic toothbrush and water floss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26U (en) * 1993-06-29 1995-01-27 曲▲シン▼山 toothbrush
KR200229913Y1 (en) 2000-12-27 2001-07-03 백형기 Toothbrush with cleaning water sprayed between brush heads
KR20150132144A (en) * 2013-03-15 2015-11-25 워터 피크 인코포레이티드 Mechanically driven, sonic toothbrush and water flosser
KR20150061559A (en) * 2013-11-27 2015-06-04 칸더미르 알렉산더 Mechanical toothbrush
CN204744469U (en) * 2015-06-12 2015-11-11 封荣金 It is portable towards tooth wa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276A1 (en) * 2017-07-28 2019-01-31 주식회사 블루레오 Oral irrigator
CN108742913A (en) * 2018-04-25 2018-11-06 深圳龙图腾创新设计有限公司 A kind of ball-type toothbrus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095B1 (en) Water jet type toothbrush
KR101449724B1 (en) Apparatus for cleaning oral cavity
JP5023675B2 (en) Mouthwash
JP6361991B2 (en) Portable interdental brush
KR100625267B1 (en) Washer for oral cavity
KR101703313B1 (en) Water-jetting toothbrush
KR100948945B1 (en) A rotation and washing toothbrush
KR102342459B1 (en) Multipurpose shower head
KR100758375B1 (en) Interdental brush comprising detachable container
US20190239991A1 (en) Water toothbrush
KR101057980B1 (en) Tooth scrubber
KR102167980B1 (en) Apparatus for open and shut water pipe and functional washing device for mouth with the same
KR102247903B1 (en) A water purifier toothbrush with oral cleaning washer
KR101492836B1 (en) Apparatus for interdental cleaning
KR101670724B1 (en) Water jet type toothbrush stick
KR200229913Y1 (en) Toothbrush with cleaning water sprayed between brush heads
KR101188902B1 (en) Disposable oral waterjet cleaner
KR200432170Y1 (en) Device for cleaning the oral cavit
KR101337774B1 (en) Oral Cleaning System
CN217525447U (en) Water spraying component of tooth flushing device
KR20120006889U (en) Portable Oral Cleaning System
KR101956364B1 (en) Cleaning device of oral cavity
KR20180118323A (en) supply device for ration of mouth washes
JPH09238961A (en) Rinsing tool for oral cavity
KR200474791Y1 (en) Oral washer and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