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896B1 -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896B1
KR101701896B1 KR1020100075308A KR20100075308A KR101701896B1 KR 101701896 B1 KR101701896 B1 KR 101701896B1 KR 1020100075308 A KR1020100075308 A KR 1020100075308A KR 20100075308 A KR20100075308 A KR 20100075308A KR 101701896 B1 KR101701896 B1 KR 101701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de
pmi
parameter indicating
neighbor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120A (ko
Inventor
한슈앙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896B1/ko
Priority to US13/196,295 priority patent/US8605800B2/en
Publication of KR2012001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이웃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평균 수신 전력의 갭(gap)에 대한 임계 값을 수신하는 과정과 평균 전력이 특정 값보다 큰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자 또는 임시 기지국 식별자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는 과정과 비트맵 또는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된 조인트 프로세싱에 관련된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관련된 기지국의 전송 코베리인스 행렬 또는 주 아이겐 벡터를 서빙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과정과 주 아이겐 벡터에 해당하고 PMI를 나타내는 비트맵 및 PMI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PMI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에 따라. PMI 사이클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된 PMI 반복 모드 및 코릴레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PMI 사이클링 모드는 사용자 다이버시티 및 코디네이션 기지국 사이에서 우수한 채널 매칭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ANCE ENHANCEMENT IN OPEN LOOP MULTI CELL MIMO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Open Loop Muti Cell MIMO System) 에서 PMI(Precoding Matrix Index) 사이클링 또는 PMI 반복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세대 통신 시스템 (4G) 또는 IMT-Advanced(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Advanced) 와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차세대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m 표준 및 3GPP LTE Advanced(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표준을 기반으로 하고, 이러한 규격은 OFDMA/OFDMA(OrthogonalFrequency Division Multiple/Orthogonal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 물리 채널에서 광대역 네트워크룰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거나 가장자리에 인접한 단말은 간섭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을 셀 간 간섭(inter-cell inference)이라고 한다.
멀티 셀 미모 시스템은 셀 간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셀 가장자리 및 셀 평균 스루풋(throughput) 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지국 커버리지를 확장시킬 수 있다.
하지만, 특히, 폐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은 단말의 피드백 지연 및 백홀 지연 때문에, PMI 에이징(aging) 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에서 PMI 사이클링 또는 PMI 반복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이웃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평균 수신 전력의 갭(gap)에 대한 임계 값을 수신하는 과정과 평균 전력이 특정 값보다 큰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자 또는 임시 기지국 식별자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는 과정과 비트맵 또는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된 조인트 프로세싱에 관련된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관련된 기지국의 전송 코베리인스 행렬 또는 주 아이겐 벡터를 서빙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과정과 주 아이겐 벡터에 해당하고 PMI를 나타내는 비트맵 및 PMI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PMI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에 따라. PMI 사이클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평균 전력이 특정 값보다 큰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자 또는 임시 기지국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인접 기지국과 단말에 대한 조인트 데이터 프로세싱을 위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하는 과정과 비트맵 또는 기지국의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커버리지 이내에 있는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모든 코베리언스 행렬 또는 주 아이겐 벡터 또는 PMI를 수신하는 과정과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 프리코더를 공동 기지국과 공동으로 결정하여 코디네이트를 수행하는 과정과 주 아이겐 벡터에 해당하는 PMI를 나타내는 비트맵 및 PMI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방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3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장치에 있어서 정보를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정보로 변환하는 모뎀과 이웃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평균 수신 전력의 갭(gap)에 대한 임계 값을 수신하고, 평균 전력이 특정 값보다 큰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자 또는 임시 기지국 식별자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고, 비트맵 또는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된 조인트 프로세싱에 관련된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고, 관련된 기지국의 전송 코베리인스 행렬 또는 주 아이겐 벡터를 서빙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주 아이겐 벡터에 해당하고 PMI를 나타내는 비트맵 및 PMI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PMI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에 따라. PMI 사이클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4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장치에 있어서 정보를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정보로 변환하는 모뎀과 평균 전력이 특정 값보다 큰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자 또는 임시 기지국 식별자를 수신하고, 인접 기지국과 단말에 대한 조인트 데이터 프로세싱을 위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하고, 비트맵 또는 기지국의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커버리지 이내에 있는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모든 코베리언스 행렬 또는 주 아이겐 벡터 또는 PMI를 수신하고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 프리코더를 공동 기지국과 공동으로 결정하여 코디네이트를 수행하고 주 아이겐 벡터에 해당하는 PMI를 나타내는 비트맵 및 PMI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방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채널 불일치(Channel Mismatch)로 인한 성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아이겐벡터 피드백은 롱 와이듭 밴드 피드백이고 매우 제한된 오버헤드만을 야기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안된 PMI 반복 모드 및 코릴레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PMI 사이클링 모드는 사용자 다이버시티 및 코디네이션 기지국 사이에서 우수한 채널 매칭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의 생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MI 사이클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MI 반복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MIM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 완화에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후에 설명되는 OFDM/OFDMA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일 실시 예이고,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하기 설명은 단지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다양한 표준에서 활용되는 용어들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하기 설명은 IEEE 802.16m, 3GPP LTE Advanced 표준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참조한다. 하지만, 하기 설명은 IEEE 802.16m, 3GPP LTE Advanced 표준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의 생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30)은 기지국(110)이 할당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수신한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경우, 만약, 상기 기지국(110)이 상기 단말(130(로 할당한 무선 자원이 간섭 기지국(120) 이 사용하는 무선 자원과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130)은 상기 기지국(110)이 전송한 하향링크 신호 및 상기 기지국(120)이 전송한 하향링크 신호 모두를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130)은 2 개의 하향링크 신호의 혼합 신호를 디코딩하기 때문에, 데이터 수신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기지국(120)이 전송한 하향링크 신호가 상기 단말(130) 에 간섭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IEEE 802.16m 또는 LTE Advanced 시스템과 같이 OFDM/OFDMA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주파수 자원 또는 시간 자원을 사용하는 다른 셀이 전송한 하향링크(DL:DownLink) 또는 상향링크(UP:Uplink) 신호에 의한 셀 간 간섭이 시스템 성능 저하를 야기시킬 수 있다.
OFDM/OFDMA 방식에 추가적으로, IEEE 802.16m 또는 LTE Advanced 시스템은 모두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방식을 채용한다.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비교하면,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 단은 추가적인 주파수 또는 전송(Tx) 전력 할당 없이 안테나의 수에 비례하여 채널 전송 용량을 증가시킨다. 상기 MIMO 방식의 또 다른 이점은 셀 간 간섭 완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셀 간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IEEE 802.16m 또는 LTE Advanced 시스템과 같이 MIMO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 간 간섭 완화를 위해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한다.
하향링크 통신에서, 기지국은 이웃 셀에 미치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서 그리고 셀 내에서 하향링크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전송(Tx) 신호를 프리코딩 행렬과 곱한다
간섭 완화에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은 코드북에 포함된 다수의 프리코딩 행렬 중의 하나이다. 여기서, 프리코딩 행렬 각각은 PMI(Precoding Matrix Index)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특정 코드북은 기지국의 동작의 기반이 되는 표준에 의존한다.
PMI 코디네이션 방식(PMI coordination scheme)은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하여 셀 간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채용된다. 이러한 동작에서, 셀 가장자리의 단말은 서빙 기지국의 하향링크 채널을 측정하고 모든 간섭 기지국의 채널을 특정한다.
PMI를 결정함에 있어서, 단말은 선호하는 PMI 또는 원하지 않는 PMI 중에서 하나의 PMI를 또는 모든 PMI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빙 및 간섭 기지국에 대한 PMI가 결정되면, 단말은 서빙 기지국에 대한 그리고 간섭 기지국에 대한 PMI를 서빙 기지국에 피드백한다.
서빙 기지국은 상기 PMI를 이용하고 간섭 기지국에 대한 PMI를 간섭 기지국에 백홀(Backhaul)을 통해 포워딩한다. 간섭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PMI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전송을 조절한다. 이렇게 하여, 간섭 기지국에 의해 야기된 단말에 대한 간섭은 감소된다.
하지만, 하향링크 채널 조건은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변한다. 달리 설명하면, 단말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과 간섭 기지국의 전송 조절 사이에 많은 지연이 있을 경우에는 전술한 PMI 방식은 PMI 에이징(aging) 분제가 있다.
이러한 지연은 피드백 지연 및 백홀 지연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피드백 지연은 코드북의 모든 PMI로부터 단말이 하나의 PMI를 선택하는데 소요되고 선택된 PMI를 서빙 기지국으로 보내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양에 해당한다. 백홀 지연은 단말로부터 PMI를 수신한 서빙 기지국이 백홀 연결을 통해 간섭 기지국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PMI를 통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양에 해당한다.
이러한 지연을 줄이기 위해, 백홀 관련 기술에서 상당한 개선이 없는 경우, 폐 루프 멀티 셀 미모 기술은 실질적으로 구현하기가 곤란하다. 시스템 성능에서 피드백 지연 및 백홀 지연의 역효과를 완화시키기 위해,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기술이 실질적인 배치를 위해 고려되어 왔다.
단일 셀 개 루프 미모 시스템에서 프리코더 사이클링(Precoder Cycling)은 중요한 방식이다. 여기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각각의 기지국은 주어진 코드북에서 고정된 순서의 송신기 프리코더를 가진다.
각 주파수 서브밴드에서, 단말은 어떤 프리코더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것인지를 알고 있고 effective SNR을 측정할 수 있다.
개 루프 미모 시스템에서의 모든 단말은 이러한 SINR을 기지국에 피드백할 것이다. 그리고 이는 각 서브 밴드 상에 어떤 단말을 스케줄링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단일 셀 시나리오에서는, 이러한 방식은 모든 단말이 단일 기지국 주위에 있기 때문에, 미리 정의된 각 프리코더는 하나의 단말의 채널에 매칭될 수 있지만, 단일 셀 개 루프 미모 방식을 멀티 셀 환경에 단순 적용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멀티 셀 개 루프 미모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들은 일반적으로 인접 기지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는 프리코딩 사이클링은 성능 손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프리코딩 사이클링 방식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현재의 IEEE 802.16 m 규격에서는, 2가지 타입의 MIMO 방식이 정의되어 있다.
첫 번째 방식은 하기와 같다.
다중 기지국 코디네이션(Multi-BS coordination) 에서의 단일 기지국 프리코딩 기술은 PMI 코디네이션을 포함하고, 코드북 기반의 피드백에 의해 지지받거나 상향링크 사운딩에 의해 지지받는 코드북 기반의 피드백, 간섭 널링(interference nulling)에 의해 지지받는다. 다중 기지국 코디네이션을 포함하는 단일 기지국 프리코딩은 서비 및 이웃 셀에서 폐 루프 미모 프리코딩이 적용될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에 대해서, 기지국이 활성화할 수 있다. 셀 간 간섭은 단말로부터 해당 서빙 기지국으로 각각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이웃 셀에서 적용되는 프리코딩을 코디네이팅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코드북 기반의 피드백에서, PMI 코디네이션은 기지국에 의해서 PMI 추천 또는 PMI 제한 중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은 하기와 같다.
다중 기지국을 가로지르는 조인트 미모 전송 기술로, 기지국 및 단말은 다중 기지국 조인트 프로세싱 기반의 적응 프리코딩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다중 기지국 조인트 프로세싱의 예는, CL_MD (Closed-loop Marco Diversity) 전송 또는 Co-MIMO (Collaborative MIMO) 전송을 들 수 있다.
다중 기지국 조인트 미모 프로세싱은 서빙 및 이웃 셀에서 적응 또는 비 적은 프리코딩이 적용되고, 사용자 데이터가 멀티 셀에서 공유될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에 대해 기지국이 활성화할 수 있다.
적응 프리코딩에서, 프리코더 행렬 Wk는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서 유도된다. 상기 피드백은 코드북 기반의 피드백 및 사운딩 기반의 피드백을 그 예롤 들 수 있다. 멀티 기지국 조인트 프로세싱 기반의 2가지의 적응 프리코딩인 CL-MD 및 Co-MIMO 가 지원된다. CL-MD가 활성화될 때, 단일 단말은 다수의 코디네이팅 기지국에 의해 서빙받는다. Co-MIMO가 활성화될 때, 다수의 단말은 MU-MIMO 스케줄링과 프리코딩을 통해다수의 코디네이팅 기지국에 의해 서빙받는다.
본 발명의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단말은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이웃 기지국들의 하향링크 채널을 측정한다. 상기 단말은 서빙 기지국의 기준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는 미드앰블(midamble) 또는 파일롯이 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이웃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평균 수신 전력의 갭(gap)에 대한 임계 값을 방송한다. 여기서, 상기 임계 값을 P_delta 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후, 단말은 평균 전력이 P-P_delta 보다 큰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자(BSID:Base Station ID) 또는 임시 BSID 를 서빙 기지국에 알린다. 여기서, P 는 서빙 기지국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이다.
이후, 서빙 및 해당 인접 기지국은 단말에 대한 조인트 데이터 프로세싱 코디네이션을 수행한다.
이후, 기지국은 단말의 인접 기지국 BSID 피드백에 기반한 비트맵 또는 BSID를 이용하여 조인트 프로세싱에 관련된 기지국들의 정보를 단말에 알린다.
이후, 단말은 관련된 기지국의 전송 코베리인스 행렬 또는 관련된 기지국의 서빙 기지국에 대한 주 아이겐 벡터를 서빙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상기 주 아이겐 벡터는 PMI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아이겐 벡터 V(1 by m 차원의) 에 대해서, 코드북에서 벡터 U를 찾는 것이다. 상기 U는 PMI에 의해 지시되고, norm(V*U')를 최대화하기 위한 벡터이다.
이후, 기지국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이내에 있는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모든 코베리언스 행렬 또는 주 아이겐 벡터 또는 PMI를 수집한다.
공동(Collaborative)의 기지국은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 OL MIMO 프리코더를 공동으로 (jointly) 결정함으로써 코디네이트한다. 상기 공동(Collaborative)의 기지국이 서빙하는 단말의 수를 ms_num 이라고 하기로 한다. j번째 공동 기지국에 대한 i번째의 단말이 리포트하는 PMI는 Vj,j 이다. 기지국은 주 아이겐 벡터에 해당하는 보고된 PMI를 지시하는 하나의 비트맵을 방송한다. 예를 들어, j 번째 기지국의 PMI 리스트는 V1,j, V2,j,...,Vms_num 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또한 PMI_cycle_mode (1 bit)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방송한다. 서브 밴드 번호(Nsub) 와 보고된 PMI 번호(ms_num)를 기반으로, 기지국 및 단말은 각 보고된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Ncycle)를 하기 수식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Ncycle =[Nsub/ms_num]
여기서, Nsub 는 서브 밴드 번호이고, ms_num는 보고된 PMI 번호이다. 그리고, 여기서, Ncycle 는 방송되지 않는다.
만약, PMI_cycle_mode = 0b0 이면, PMI 사이클 모드는 반복 모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24 서브밴드에 있어서, 3 개의 보고된 PMI는 8번 반복될 것이다. 반목 모드에 대한 예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만약, Nsub > ms_num * Ncycle, 의 경우 마지막 PMI는 Ncycle 보다 더 반복될 것이다.
만약, PMI_cycle_mode = 0b1 이면, PMI 사이클 모드는 코릴레이션 레벨을 기반으로하는 사이클링 모드이다. 보고된 PMI에 가장 높은 코릴레이션을 가지는 Bcycle PMI가 사이클될 것이다. 사이클링 모드에 대한 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이웃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평균 수신 전력의 갭(gap)에 대한 임계 값 (P_delta)을 방송한다(205 단계).
이후,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평균 전력이 P-P_delta 보다 큰 기지국의 BSID 또는 임시 BSID 를 수신한다(210 단계). 여기서, P는 서빙 기지국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이다.
이후, 기지국은 인접 기지국과 단말에 대한 조인트 데이터 프로세싱을 위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한다(215 단계).
이후, 기지국은 단말의 인접 기지국 BSID 피드백에 기반한 비트맵 또는 BSID를 이용하여 조인트 프로세싱에 관련된 기지국들의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220 단계).
이후, 기지국은 커버리지 이내에 있는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모든 코베리언스 행렬 또는 주 아이겐 벡터 또는 PMI를 수집한다(225 단계).
기지국(공동(Collaborative)기지국)은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 OL MIMO 프리코더를 공동으로 (jointly) 결정함으로써 코디네이트를 수행한다(230 단계)
여기서, 상기 공동(Collaborative)의 기지국이 서빙하는 단말의 수를 ms_num 이라고 하기로 하고 j번째 공동 기지국에 대한 i번째의 단말이 리포트하는 PMI를 Vi,j 라고 하기로 한다.
이후, 기지국은 주 아이겐 벡터에 해당하는 보고된 PMI를 지시하는 하나의 비트맵 및 PMI_cycle_mode 파라미터(1비트)를 방송한다(235 단계).
이후, 기지국은 서브 밴드 번호(Nsub) 와 보고된 PMI 번호(ms_num)를 기반으로, 각 보고된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Ncycle)를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한다(240 단계).
만약, PMI_cycle_mode = 0b0 인 경우(245 단계), 기지국은 PMI 사이클 모드를 반복 모드로 설정한다(250 단계).
만약, PMI_cycle_mode = 0b1 인 경우(255 단계), 기지국은 PMI 사이클 모드를 코릴레이션 레벨을 기반으로하는 사이클링 모드로 설정한다(260 단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이웃 기지국들의 하향링크 채널을 측정한다(305 단계). 상기 단말은 서빙 기지국의 기준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는 미드앰블(midamble) 또는 파일롯이 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이 방송한 이웃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평균 수신 전력의 갭(gap)에 대한 임계 값을 수신한다(310 단계). 여기서, 상기 임계 값을 P_delta 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후, 단말은 평균 전력이 P - P_delta 보다 큰 기지국의 BSID 또는 임시 BSID 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한다(315 단계). 여기서, P 는 서빙 기지국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이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한, 단말의 인접 기지국 BSID 피드백에 기반한 비트맵 또는 BSID 를 이용하여 조인트 프로세싱에 관련된 기지국들의 정보를 수신한다(320 단계).
이후, 단말은, 관련된 기지국의 전송 코베리인스 행렬 또는 관련된 기지국에 대한 주 아이겐 벡터를 서빙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325 단계).
상기 주 아이겐 벡터는 PMI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아이겐 벡터 V(1 by m 차원의) 에 대해서, 코드북에서 벡터 U를 찾는 것이다. 상기 U는 PMI에 의해 지시되고, norm(V*U')를 최대화하기 위한 벡터이다.
이후, 단말은 주 아이겐 벡터에 해당하는 보고된 PMI를 지시하는 비트맵 및 PMI_cycle_mode 파라미터(1비트)를 수신한다(330 단계)
이후, 단말은 서브 밴드 번호(Nsub) 와 보고된 PMI 번호(ms_num)를 기반으로, 보고된 각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Ncycle)를 계산한다(345 단계)
만약, PMI_cycle_mode = 0b0 인 경우(350 단계), 단말은 PMI 사이클 모드를 반복모드로 설정한다(355 단계).
만약, PMI_cycle_mode = 0b1 인 경우(360 단계), 단말은 PMI 사이클 모드를 코릴레이션 레벨을 기반으로하는 사이클링 모드로 설정한다(365 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피드백정보해석기(404), 제어부(406), 메시지생성기(410), 다수의 부호화기들(414-1 내지 414-N), 다수의 심벌변조기들(416-1 내지 416-N), 프리코더(418), 파일럿생성기(420), 다수의 부반송파매핑기들(422-1 내지 422-N), 다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변조기들(424-1 내지 424-N), 다수의 RF(Radio Frequency)송신기들(426-1 내지 426-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06) 및 메시지 생성기(410) 및 피드백정보해석기(404)를 제외한 나머지 기능블록들은 모뎀이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모뎀은 송신부의 역기능을 수행하는 수신부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상기 피드백정보해석기(404)는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정보를 확인한다. 즉, 상기 피드백정보해석기(404)는 미리 약속된 피드백 방식에 따라 피드백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정보 비트열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406)으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406)는 상기 피드백 정보 해석기(404)로부터의 정보들에 근거해서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6)는 제어메시지의 송신이 필요한 경우, 또는 정보 전송이 필요한 경우, 해당 정보를 생성하여 메시지 생성기(410)로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기(410)는 상기 제어부(406)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정보들을 가지고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하, 상기 제어부(406)가 전송 또는 방송하는 표현은 상기 메시지 생성기(410) 및 모뎀을 통해 전송 또는 방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어부(406)가 수신하는 것은 모뎀 또는 상기 피드백정보해석기(404)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406)는 이웃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평균 수신 전력의 갭(gap)에 대한 임계 값(P_delta)을 방송한다.
상기 제어부(406)는 단말이 전송했고, 평균 전력이 P - P_delta 보다 큰 기지국의 BSID 또는 임시 BSID 를 모뎀을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P는 서빙 기지국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이다.
상기 제어부(406)는 기지국과 인접 기지국과 단말을 위한 조인트 데이터 프로세싱을 위한 코디네이션을 모뎀을 통해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406)는 단말의 인접 기지국 BSID 피드백에 기반한 비트맵 또는 BSID를 이용하여 조인트 프로세싱에 관련된 기지국들의 정보를 모뎀을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406)는 모뎀을 통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이내에 있는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모든 코베리언스 행렬 또는 주 아이겐 벡터 또는 PMI 를 수집한다.
상기 제어부(406)는 상기 기지국의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 OL MIMO 프리코더를 다른 기지국(공동(Collaborative)기지국)과 공동으로 (jointly) 결정함으로써 코디네이트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406)는 모뎀을 통해 이전에 보고되고 주 아이겐 벡터에 해당하는 PMI를 나타내는 비트맵 및 PMI_cycle_mode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방송한다.
상기 제어부(406)는 서브 밴드 번호(Nsub) 와 보고된 PMI 번호(ms_num)를 기반으로, 각 보고된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Ncycle)를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만약, PMI_cycle_mode = 0b0 인 경우, 상기 제어부(406)는 PMI 사이클 모드를 반복 모드로 설정한다. 만약, PMI_cycle_mode = 0b1 인 경우(250 단계), 상기 제어부(406)는 PMI 사이클 모드를 코릴레이션 레벨을 기반으로하는 사이클링 모드로 설정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기(410)는 상기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다수의 부호화기들(414-1 내지 414-N)로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부호화기들(414-1 내지 414-N) 각각은 상기 메시지생성기(410) 또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비트열을 부호화한다. 상기 다수의 심벌변조기들(416-1 내지 416-N) 각각은 부호화된 비트열을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complex symbol)들로 변환한다.
상기 프리코더(418)는 셀 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프리코딩을 수행한다. 즉, 상기 프리코더(418)는 상기 제어부(406)로부터 제공되는 프리코딩 벡터(PMI)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들을 프리코딩한다.
상기 파일럿생성기(420)는 파일럿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들을 상기 다수의 부반송파매핑기들(422-1 내지 422-N)로 제공한다. 이때, 파일럿 신호들이 스크램블링되는 경우, 상기 파일럿생성기(420)는 파일럿 신호열에 스크램블링 코드를 곱한 후, 스크램블링 코드와 곱해진 파일럿 신호들을 상기 다수의 부반송파매핑기들(422-1 내지 422-N)로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부반송파매핑기들(422-1 내지 422-N) 각각은 프리코딩된 송신 신호들 중 자신과 대응되는 송신 경로의 송신 신호들 및 파일럿 신호들을 부반송파에 매핑함으로써 주파수 영역의 신호들을 구성한다.
상기 다수의 OFDM변조기들(424-1 내지 424-N) 각각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들을 시간 영역의 신호들로 변환한 후, CP(Cyclic Prefix)를 삽입함으로써 기저대역의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상기 다수의 RF송신기들(426-1 내지 426-N) 각각은 상기 기저대역의 OFDM 심벌들을 RF 대역의 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술한 블록 구성에서, 제어부(406)는 상기 피드백정보해석기(404) 및 메시지생성기(4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상기 피드백정보해석기(404), 메시지생성기(410)의 기능 모두를 상기 제어부(406)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능 중 일부만을 상기 제어부(406)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다수의 RF수신기들(502-1 내지 502-N), 다수의 OFDM복조기들(504-1 내지 504-N), 다수의 부반송파디매핑기들(506-1 내지 506-N), 다수의 심벌복조기들(508-1 내지 508-N), 다수의 복호화기들(510-1 내지 510-N), 메시지해석기(514), 채널추정기(516), 채널품질산출기(518), 제어부(522), 피드백송신기(5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22), 메시지 해석기(514), 채널 추정기(516), 채널 품질 산출기(518)를 제외한 나머지 기능블록들은 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모뎀은 상기 수신부의 역기능을 수행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522)가 수신하는 것은 모뎀 또는 상기 메시지해석기(514)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어부(522)가 전송하는 것은 피드백 송신기(524) 또는 모뎀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다수의 RF수신기들(502-1 내지 502-N) 각각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다수의 OFDM복조기들(504-1 내지 504-N) 각각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구분하고, CP를 제거한 후,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주파수 영역에 매핑된 복소 심벌들을 복원한다.
상기 다수의 심벌복조기들(508-1 내지 508-N) 각각은 상기 복소 심벌들을 복조함으로써 부호화된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다수의 복호화기들(510-1 내지 510-N) 각각은 상기 부호화된 비트열을 복호화한다.
상기 메시지해석기(514)는 수신된 제어 메시지 및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제어 메시지 및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해당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522)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522)는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이웃 기지국들의 하향링크 채널을 채널 추정기(516), 채널 품질산출기(518)을 통해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는 미드앰블(midamble) 또는 파일롯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22)는 기지국이 방송한 이웃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평균 수신 전력의 갭(gap)에 대한 임계 값을 모뎀을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임계 값을 P_delta 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522)는 평균 전력이 P - P_delta 보다 큰 기지국의 BSID 또는 임시 BSID 를 서빙 기지국에 모뎀을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P 는 서빙 기지국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이다
상기 제어부(522)는 기지국이 전송한, 단말의 인접 기지국 BSID 피드백에 기반한 비트맵 또는 BSID 를 이용하여 조인트 프로세싱에 관련된 기지국들의 정보를 모뎀을 통해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522)는 관련된 기지국의 전송 코베리인스 행렬 또는 관련된 기지국의 주 아이겐 벡터를 서빙 기지국으로 피드백 송신기(524)를 통해 피드백한다. 상기 주 아이겐 벡터는 PMI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아이겐 벡터 V(1 by m 차원의) 에 대해서, 코드북에서 벡터 U를 찾는 것이다. 상기 U는 PMI에 의해 지시되고, norm(V*U')를 최대화하기 위한 벡터이다.
이후, 상기 제어부(522)는 보고되고 주 아이겐 벡터에 해당하는 보고된 PMI를 나타내는 비트맵 및 PMI_cycle_mode 파라미터를 모뎀을 통해 수신한다
이후, 단말은 서브 밴드 번호(Nsub) 와 보고된 PMI 번호(ms_num)를 기반으로, 보고된 각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Ncycle)를 계산한다
만약, PMI_cycle_mode = 0b0 인 경우, 상기 제어부(522)는 PMI 사이클 모드를 반복모드로 설정한다.
만약, PMI_cycle_mode = 0b1 인 경우, 상기 제어부(522)는 PMI 사이클 모드를 코릴레이션 레벨을 기반으로하는 사이클링 모드로 설정한다.
상기 채널추정기(516)는 상기 다수의 부반송파디매핑기들(506-1 내지 506-N)로부터 제공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들과의 채널 행렬을 추정한다.
다시 말해, 상기 채널추정기(516)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준 신호 또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하향링크 채널을 추정하고, 인접 기지국들로부터의 기준 신호 또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 기지국들과의 하향링크 채널 행렬을 추정한다.
상기 채널품질산출기(518)는 채널 품질을 산출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 생성기로(522)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품질은 프리코딩 벡터를 적용한 경우의 채널 품질이다.
상기 피드백송신기(524)는 상기 제어부(522)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즉, 상기 피드백송신기(524)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술한 블록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522)는 상기 메시지해석기(514), 채널추정기(516), 채널품질산출기(518) 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상기 메시지해석기(514), 채널추정기(516), 채널품질산출기(518)의 기능 모두를 상기 제어부(522)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능 중 일부만을 상기 제어부(522)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피드백정보해석기(404), 제어부(406), 메시지생성기(410), 다수의 부호화기들(414-1 내지 414-N), 다수의 심벌변조기들(416-1 내지 416-N), 프리코더(418), 파일럿생성기(420), 다수의 부반송파매핑기들(422-1 내지 422-N), 다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변조기들(424-1 내지 424-N), 다수의 RF(Radio Frequency)송신기들(426-1 내지 426-N)
다수의 RF수신기들(502-1 내지 502-N), 다수의 OFDM복조기들(504-1 내지 504-N), 다수의 부반송파디매핑기들(506-1 내지 506-N), 다수의 심벌복조기들(508-1 내지 508-N), 다수의 복호화기들(510-1 내지 510-N), 메시지해석기(514), 채널추정기(516), 채널품질산출기(518), 제어부(522), 피드백송신기(524).

Claims (2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에게 평균 수신 전력이 특정 값보다 큰 이웃 기지국의 식별자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된 조인트 프로세싱(joint processing)에 관련된 상기 이웃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에게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PMI(precoding matrix index)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PMI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PMI와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서브밴드(subband)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모드(mode)를 지시하는 파라미터(parameter)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상기 모드에 따라 프리코딩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웃 기지국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하향링크 채널을 측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서브 밴드 번호와 보고된 PMI 번호를 기반으로, 보고된 각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가 반복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모드를 상기 반복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서브 밴드 번호와 보고된 PMI 번호를 기반으로, 보고된 각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가 사이클링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모드를 코릴레이션 레벨(correlation level)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사이클링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상기 서빙 기지국의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에서 상기 이웃 기지국과 상기 서빙 기지국 사이의 상기 평균 수신 전력의 갭(gap)에 대한 임계 값을 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평균 수신 전력이 특정 값보다 큰 이웃 기지국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이웃 기지국과 상기 단말에 대한 조인트 프로세싱(joint processing)을 위한 코디네이션(coordination)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게 상기 코디네이션을 수행한 상기 이웃 기지국의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이웃 기지국의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PMI(precoding matrix index)를 수신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subband) 각각에 대해, 프리코더(precoder)를 상기 이웃 기지국과 공동으로 결정하여 코디네이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PMI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PMI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서브밴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모드(mode)를 지시하는 파라미터(parameter)를 방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게 상기 모드에 따라 프리코딩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평균 수신 전력이 상기 특정 값보다 큰 상기 이웃 기지국의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이웃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상기 평균 수신 전력의 갭(gap)에 대한 임계 값을 방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기지국의 상기 정보는,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조인트 프로세싱에 관련된 상기 이웃 기지국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방송하는 과정은,
    서브 밴드 번호와 보고된 PMI 번호를 기반으로, 보고된 각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가 반복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모드를 상기 반복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를 방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방송하는 과정은,
    서브 밴드 번호와 보고된 PMI 번호를 기반으로, 보고된 각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과정과,
    PMI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가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PMI 사이클 모드를 코릴레이션 레벨(correlation lever)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클링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PMI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를 방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상기 기지국의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에서 상기 임계 값을 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장치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에게 평균 수신 전력이 특정 값보다 큰 이웃 기지국의 식별자를 송신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된 조인트 프로세싱(joint processing)에 관련된 상기 이웃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에게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PMI(precoding matrix index)를 송신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PMI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PMI와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서브밴드(subband)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모드(mode)를 지시하는 파라미터(parameter)를 수신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상기 모드에 따라 프리코딩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웃 기지국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하향링크 채널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브 밴드 번호와 보고된 PMI 번호를 기반으로, 보고된 각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가 반복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모드를 상기 반복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브 밴드 번호와 보고된 PMI 번호를 기반으로, 보고된 각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가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모드를 코릴레이션 레벨(correlation level)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클링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상기 서빙 기지국의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에서 상기 이웃 기지국과 상기 서빙 기지국 사이의 상기 평균 수신 전력의 갭(gap)에 대한 임계 값을 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장치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평균 수신 전력이 특정 값보다 큰 이웃 기지국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이웃 기지국과 상기 단말에 대한 조인트 프로세싱(joint processing)을 위한 코디네이션(coordination)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에게 상기 코디네이션을 수행한 상기 이웃 기지국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이웃 기지국의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PMI(precoding matrix index)를 수신하고, 각각의 서브밴드(subband)에 대해, 프리코더(precoder)를 상기 이웃 기지국과 공동으로 결정하여 코디네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PMI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PMI와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서브밴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모드(mode)를 지시하는 파라미터(parameter)를 방송하고, 상기 단말에게 상기 모드에 따라 프리코딩된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평균 수신 전력이 상기 특정 값보다 큰 상기 이웃 기지국의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이웃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상기 평균 수신 전력의 갭(gap)에 대한 임계 값을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기지국의 상기 정보는,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조인트 프로세싱에 관련된 상기 이웃 기지국의 상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브 밴드 번호와 보고된 PMI 번호를 기반으로, 보고된 각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가 반복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모드를 상기 반복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브 밴드 번호와 보고된 PMI 번호를 기반으로, 보고된 각 PMI의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가 사이클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모드를 코릴레이션 레벨(correlation level)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클링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상기 기지국의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에서 상기 임계 값을 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0075308A 2010-08-04 2010-08-04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01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308A KR101701896B1 (ko) 2010-08-04 2010-08-04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196,295 US8605800B2 (en) 2010-08-04 2011-08-02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ance enhancement in open loop multi cell MIMO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308A KR101701896B1 (ko) 2010-08-04 2010-08-04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120A KR20120013120A (ko) 2012-02-14
KR101701896B1 true KR101701896B1 (ko) 2017-02-02

Family

ID=4555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308A KR101701896B1 (ko) 2010-08-04 2010-08-04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05800B2 (ko)
KR (1) KR101701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9009A (zh) * 2015-04-16 2017-11-28 富士通株式会社 预编码矩阵指示的反馈和接收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WO2018164528A1 (ko) * 2017-03-09 2018-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능력을 전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1278005B (zh) * 2019-01-22 2021-09-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能力信息上报方法、预编码矩阵指示反馈方法和相关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9748A1 (ja) 2009-01-07 2010-07-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7176B2 (en) * 2006-02-14 2011-03-29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Structured codebook and successive beamforming for multiple-antenna systems
US7839835B2 (en) * 2006-08-22 2010-11-23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Quantized precoding over a set of parallel channels
WO2008157620A2 (en) * 2007-06-19 2008-12-2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nstant modulus mimo precoding for constraining transmit antenna power for differential feedback
US20090093222A1 (en) * 2007-10-03 2009-04-09 Qualcomm Incorporated Calibration and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99845B1 (ko) * 2008-12-05 2016-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oMP 수행 방법
KR101155628B1 (ko) * 2008-12-10 2012-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펨토셀 기지국의 전력제어 방법 및 자원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9748A1 (ja) 2009-01-07 2010-07-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34911A1 (en) 2012-02-09
US8605800B2 (en) 2013-12-10
KR20120013120A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3496B2 (en) Channel state feedback for multi-cell MIMO
US8259672B2 (en) Method of aiding uplink beamforming transmission
KR101241910B1 (ko) 다중 셀 환경에서 사운딩 채널을 이용한 협력적 mimo 기법
Lan et al. Considerations on downlink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combined with closed-loop SU-MIMO
KR101682973B1 (ko) 기지국 안테나 구성에 기반한 하향링크 피엠아이 코디네이션
KR101763290B1 (ko) 3gpp 무선 네트워크에서 pucch 피드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705576B2 (e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iu et al. Proportional fair scheduling for multi-cell multi-user MIMO systems
KR101643937B1 (ko)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94077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
Chen et al. Impact of rank optimization on downlink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with SU-MIMO
US8699610B2 (en) Feedback scheme for multi-cell interference mitigation consideration legacy mobile users
US90834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tigat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multiple antenna system
US20190098638A1 (e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hen et al. Consideration on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er (SIC) receiver at cell-edge users for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with SU-MIMO
KR101701896B1 (ko) 개 루프 멀티 셀 미모 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81753A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정보의 피드백 방법 및 장치
KR10167667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북을 이용한 피엠아이 제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Holakouei et al. Transmit power allocation for precoded distributed MIMO OFDM systems
Morozov et al. A novel combined CSI feedback mechanism to support multi-user MIMO beamforming schemes in TDD-OFDMA systems
Holakouei et al. Precoded multiuser distributed MIMO OFDM systems
Määttänen et al. System-level studies for single user and multiuser interference alignment in a heterogeneous network
KR20100046345A (ko)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 제거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