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125B1 - Condu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 Google Patents

Condu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125B1
KR101699125B1 KR1020140106868A KR20140106868A KR101699125B1 KR 101699125 B1 KR101699125 B1 KR 101699125B1 KR 1020140106868 A KR1020140106868 A KR 1020140106868A KR 20140106868 A KR20140106868 A KR 20140106868A KR 101699125 B1 KR101699125 B1 KR 101699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se 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0150A (en
Inventor
우동현
양세우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020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1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1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66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CO, ITO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 도전성 필름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는, 예를 들어 제조 과정에서의 열처리 등에 의해 발생하여 광학 물성을 저해하는 기포 등이 존재하지 않는 도전성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도전성 필름이 양면에 도전층이 존재하는 구조인 경우에도 기포의 발생이 없는 도전성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a conductive film and a use thereof.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ductive film which is generated, for example, by heat treatment in a manufacturing process, and which does not contain bubbles or the like which hinders opt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even when the conductive film has a conductive layer on both sid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ductive film free from air bubbles.

Description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Condu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film,

본 출원은 도전성 필름과 그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conductive film and its us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TO(Indium Tin Oxide) 필름으로 대표되는 도전성 필름은,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전극 또는 터치 패널용 전극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The conductive film typified by ITO (Indium Tin Oxide) film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display device such as a PDP (Plasma Display Panel) or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 electrode such as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도전성 필름은, 유리 기판이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일면 또는 양면에 ITO와 같은 도전층을 증착 등의 방식으로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film can be produced by forming a conductive layer such as ITO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a glass substrate, a plastic film, or the like by vapor deposition or the like.

도전성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는 ITO 등의 도전층의 결정화를 위하여 고온에서의 열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플라스틱 필름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고온에서의 열처리를 수행하면 플라스틱 필름에 존재하는 올리고머 등의 저분자 성분 등의 영향으로 도전성 필름의 내부에서 기포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기포는 도전성 필름의 투명성 등의 광학 물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된다. 특히, 필름의 양면에 도전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전층이 기포 등에 대한 장벽(barrier)으로 작용하여 발생된 기포가 제거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ductive film, a heat treatment process at a high temperature can be performed to crystallize the conductive layer such as ITO. Particularly, when a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a plastic film and a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air bubbles or the like may be generated inside the conductive film due to the influence of low molecular components such as oligomers present in the plastic film. Which is a factor that hinders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film. Particularly, when a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lm, the conductive layer acts as a barrier against bubbles, and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remove bubbles generated.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7-0055363호Patent Document 1: 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7-0055363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4-0012552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12552

본 출원은 도전성 필름의 제조 방법, 도전성 필름 및 그 용도를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a conductive film, and uses thereof.

본 출원은 중간 기재층; 및 상기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도전성 기재층을 포함하는 도전성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도전성 기재층은 0.3m/min의 박리속도 및 180도의 박리각도로 측정한 상기 중간 기재층에 대한 상온 박리력이 1000gf/inch이상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base layer adhered to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ttached so that the room temperature peeling force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0.3 m / 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is 1000 gf / inch or more.

또한, 본 출원은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0.3m/min의 박리속도 및 180도의 박리각도로 측정한 상기 중간 기재층에 대한 상온 박리력이 1000gf/inch이상이 되도록 도전성 기재층을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dher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so that the room temperature peeling force for the intermediate base layer measured at a peeling rate of 0.3 m / 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is 1000 gf / inch or mor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conductive film.

더욱이, 본 출원은 상기 도전성 필름의 용도를 제공한다.Moreover,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the use of the conductive film.

본 출원에서는, 예를 들어 제조 과정에서의 열처리 등에 의해 발생하여 광학 물성을 저해하는 기포 등이 존재하지 않는 도전성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도전성 필름이 양면에 도전층이 존재하는 구조인 경우에도 기포의 발생이 없는 도전성 필름,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ductive film which is generated, for example, by heat treatment in a manufacturing process, and which does not contain bubbles or the like which hinders opt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even when the conductive film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ductive layer is present on both sid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ductive film free from air bubbles, its use, and its production method.

또한 본 출원에서는, 중간 기재층에 대한 우수한 박리력을 가지는 도전성 기재층을 포함하는 도전성 필름,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a conductive film comprising a conductive base layer having an excellent peeling force for an intermediate base layer, its us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도 1 및 2는 본 출원의 점착성 조성물의 층이 가교되기 전에 도전성 기재층이 부착되어 제조된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조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점착성 조성물의 층이 가교되어 점착제층이 형성된 후, 도전성 기재층이 부착되어 제조된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조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점착성 조성물의 층이 가교되기 전 도전성 기재층이 부착된 후, 가교되어 제조된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조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 및 6은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가교하는 열처리 공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Figs. 1 and 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produced by adhering a conductive base layer before a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crosslinked.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produced by crosslinking a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llowed by adhering a conductive base layer.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produced by crosslinking after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bonded with the conductive base layer before crosslinking. Fig.
Figs. 5 and 6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heat treatment process for crosslinking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은 도전성 필름,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 도전성 필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conductive film, a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and a use of a conductive film.

도전성 필름의 열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기포는 도전성 필름의 투명성 등의 광학 물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되며, 기포는 중간 기재층과 도전성 기재층과의 박리력이 저하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필름내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중간 기재층과 도전성 기재층과의 박리력을 높이는 공정이 필요하다. Bubbles that can be generated during the heat treatment of the conductive film are a factor that hinders the optical properties such as transparency of the conductive film and bubbles may occur due to a decrease in the peeling force between the intermediate base layer and the conductive base layer. 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bubbles that may occur in the conductive film, a step of increasing the peeling force between the intermediate base layer and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required.

본 출원은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형성 한 후, 도전성 기재층의 부착 전 또는 후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내에 가교반응을 유도하여 도전성 기재층의 중간 기재층에 대한 박리력이 우수한 도전성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hich comprises forming a layer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n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and then introducing a crosslinking reaction into the layer of the pressure- This excellent conductive film can be provided.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중간 기재층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직접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필름상태의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라미네이트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점착성 조성물의 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중간 기재층에 직접 도포되어 형성된 층 또는 중간 기재층에 적층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 타입의 층을 의미할 수 있다. The step of forming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performed by directly coa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or by laminating a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 film state. That is,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mean a film-type layer formed fro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at is laminated on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or a layer formed by directly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본 출원에서 용어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 반응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의 조성물을 의미하고, 용어 점착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가교 반응을 거친 후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용어 점착제 조성물의 층은 중간 기재층에 형성된 점착성 조성물의 층이 가교반응을 거치지 않은 상태의 층을 의미 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용어 점착제층은 중간 기재층에 형성된 점착성 조성물의 층이 가교반응을 거쳐 가교된 상태의 층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가교된 상태라는 것은 가교반응이 완료된 상태 뿐 아니라, 가교 반응이 진행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term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a composition in which the crosslinking reaction has not proceeded, and the term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refer to a state aft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s undergone the crosslinking reaction. Therefore,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mean a layer in which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med on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is not subjected to the crosslinking reaction, and the term pressure- Quot; layer " refers to a layer in which a layer is crosslinked through a crosslinking reaction. The crosslinked state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not only a state where the crosslinking reaction is completed but also a state in which the crosslinking reaction is proceeding.

본 출원의 도전성 필름은, 상기 전술한 공정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도전성 기재층이 중간 기재층에 높은 박리력을 나타내도록 부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전성 필름 내, 예를 들면, 도전성 기재층과 중간 기재층의 계면 등으로부터 기포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계면에서의 들뜸이나 박리도 방지될 수 있다.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adhered so that the conductive base layer exhibits a high peeling force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by being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ereby, in the conductive film, for example, Bubbles are not generated from the interface of the base layer or the like, and lifting or peeling at the interface can be prevented.

즉, 본 출원은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0.3m/min의 박리속도 및 180도의 박리각도로 측정한 상기 중간 기재층에 대한 상온 박리력이 1,000gf/inch이상이 되도록 도전성 기재층을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상온은 가온되거나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약 20 내지 30℃, 약 20 내지 28℃, 약 25℃ 또는 약 23℃ 정도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dhered to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such that the peeling force at room temperature on the intermediate base layer measured at a peeling rate of 0.3 m / 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is 1,000 gf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ambient temperature refers to a natural, non-warmed or non-warmed temperature, and may refer to a temperature of, for example, about 20 to 30 캜, about 20 to 28 캜, about 25 캜 or about 23 캜 .

본 출원의 도전성 기재층은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포함되어 있는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매개로 부착되어 있으며, 0.3m/min의 박리속도 및 180도의 박리각도로 측정한 상기 중간 기재층에 대한 상온 박리력이 1,000gf/inch 내지 5,000gf/inch 또는 1,000gf/inch 내지 10,000gf/inch 일 수 있다. 도전성 기재층의 박리력이 이러한 범위로 유지되면, 내부에 기포 등이 발생하여 광학 물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base lay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dhered via a layer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ed i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and the intermediate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100 m < 2 > The peel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may be 1,000 gf / inch to 5,000 gf / inch or 1,000 gf / inch to 10,000 gf / inch. When the peeling force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maintained within this range, bubbles or the like may be generated in the inside and the case where the optical property is lowered can be prevented.

본 출원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은 점착제 조성물을 중간 기재층 상에 직접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고, 필름 상태의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상기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라미네이트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formed by directly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to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or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 film state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즉, 본 출원의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미가교 상태의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매개로 도전성 기재층을 상기 중간 기재층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non-crosslink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to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an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and a conductive base layer is adhered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through the layer of the applied pressure- ≪ / RTI >

일례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도전성 필름은 중간 기재층(11)의 일면에 점착성 조성물의 층(12a)을 형성한 후에 도전성 기재층(13)을 부착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1, 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duced by forming a layer 12a of a sticky composition on one side of an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11 and then attaching the conductive substrate layer 13 .

도전성 기재층(13)은 도 1과 같이 중간 기재층(13a) 및 그 기재층(13a)의 일면에 형성된 도전층(13b)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도전층(13b)이 형성되지 않는 기재층(13a)의 면이 점착성 조성물의 층(12a)을 매개로 중간 기재층(11)에 부착될 수 있다.1, the conductive base layer 13 may include an intermediate base layer 13a and a conductive layer 13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13a. In this case, when the conductive layer 13b is not formed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13a can b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11 via the layer 12a of the sticky composition.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기재층(11)의 양면에 점착성 조성물의 층(12a)을 형성하고, 도전성 기재층(13)을 상기 점착성 조성물의 층(12a)을 매개로 중간 기재층(11)의 양면에 부착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2, a layer 12a of the adhesive composi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11,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layer 13 is formed on the intermediate substrate 11 via the layer 12a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ring to both sides of the layer 11.

상기 중간 기재층의 양면에 도전성 기재층을 포함하는 도전성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의 경우, 양면에 상기 층의 형성은 순차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은 양면에 점착성 조성물의 층(12a)을 형성하는 공정은, 중간 기재층(11)의 일면에 우선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층(12a)을 형성한 후에 그 층(12a)상에 이형 필름(14)을 적층하고, 다시 중간 기재층(11)의 다른 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층(12a)을 형성한 후에 다시 이형 필름(14)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이형 필름(14)을 순차 또는 동시에 박리한 후에, 도 1과 같이 점착제 조성물의 층(12a)을 매개로 중간 기재층(11)에 도전성 기재층(13)을 적층 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간 기재층의 일면에 점착제 조성물의 층 및 도전성 기재층을 순서대로 적층 한 후, 다시 중간 기재층의 다른 면에 점착제 조성물의 층 및 도전성 기재층을 순서대로 적층하는 공정을 통해 도전성 필름을 제조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 step of producing a conductive film containing a conductive base layer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the formation of the layers on both sides may be carried out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That is, in the step of forming the layer 12a of the adhesive composition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2,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first applied to one side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11 to form the layer 12a, The release film 14 may be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11 and the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11 to form the layer 12a and then the release film 14 may be laminated again. Thereafter, the release film 14 may be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peeled off, and then the conductive base layer 13 may be laminated on the intermediate base layer 11 via the layer 12a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s shown in Fig. Further, a step of laminating a layer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 conductive base layer on one surface of an intermediate base layer in this order, and then laminating a layer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 conductive base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

상기 도전성 기재층은 가교되지 않은 점착제 조성물의 층인 상태에서 부착될 수도 있고, 상기 층에서 가교 반응이 완료되거나 가교 반응이 진행되어 점착제 층이 형성된 상태에서 부착될 수도 있다. 즉, 도전성 기재층을 부착하기 전 또는 부착한 후에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가교시키는 것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The conductive base layer may be adhered in the form of a layer of a non-crosslink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r may be adhered in a state in which the crosslinking reaction is completed in the layer or the crosslinking reaction proceeds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is, crosslinking of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urther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adhesion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도전성 필름은 도전성 기재층이 부착되기 전, 점착제 조성물의 층에 가교반응을 유도하여 형성된 점착제층(12b)상에 도전성 기재층(13)을 부착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도전성 필름은 도전성 기재층이 부착된 후, 점착제 조성물의 층에 가교반응이 유도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도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epared by adhering the conductive base layer 13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b formed by inducing a crosslinking reaction on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efore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dhered ≪ / RTI > Further, as shown in Fig. 4, 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produced through a process in which a conductive base layer is adhered and then a crosslinking reaction is induced in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의 층이 형성 될 수 있는 중간 기재층으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기재층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테르 술폰계 필름, , 폴리아미드계 필름, 폴리이미드계 필름, 폴리올레핀계 필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필름, 폴리염화비닐계 필름, 폴리스티렌계 필름,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폴리아릴레이트계 필름 또는 폴리페닐렌 황화물계 필름 등의 각종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무연신 필름이거나 혹은 일축 또는 이축 연신 필름과 같은 연신 필름일 수 있다.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코로나 방전, 자외선 조사, 플라즈마 또는 스퍼터 에칭 처리 등과 같은 표면 처리가 되어 있거나, 혹은 하드코팅층이나 블로킹 방지층과 같은 표면 처리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각 표면 처리 또는 표면 처리층은, 공지의 방식 또는 소재를 사용하여 수행하거나 형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처리 방식이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중간 기재층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용도를 고려하여 적정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As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on which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formed, a known material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For example, examples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include a polyester film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 polyethylene naphthalate film or a polybutylene terephthalate film, a polyether sulfone film, a polyamide film, a polyimide film, Various kinds of plastic films such as a polymer film, a polymer film, a (meth) acrylate film, a polyvinyl chloride film, a polystyrene film, a polyvinyl alcohol film, a polyarylate film or a polyphenylene sulfide film can be used. The plastic film may be a non-oriented film or a stretched film such as a uniaxial or biaxially oriented film.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may be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such as a corona discharge, an ultraviolet ray irradiation, a plasma or a sputter etching treatment, or a surface treatment layer such as a hard coating layer or an anti-blocking layer. Each of the surface treatment or surface treatment layer may be performed or formed using a known method or material, and the specific treatment method and material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formed to an appropriate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intended use.

본 출원에서는 상기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공정의 일례로써,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직접 도포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직접 도포란, 미가교 상태의 점착제 조성물이 중간 기재층에 그 상태로 도포되거나, 혹은 적절한 용제에 희석되어 코팅액으로 제조된 후 도포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In this application, as an example of a step of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directly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layer. In this case, the direct application may mean a state in which an uncrosslink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in such a state, or diluted with an appropriate solvent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and then applied.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 코팅(bar coating), 블레이드 코팅(blade coating) 또는 스핀 코팅(spin coating) 등의 통상의 코팅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중간 기재층의 표면에 직접 도포될 수도 있고, 전술한 표면 처리층 등이 중간 기재층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면 처리층의 표면에 도포 될 수 있다. The method of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lied by a conventional coating method such as bar coating, blade coating or spin coa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or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urface treatment layer when the surface treatment layer or the like is present in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점착제 조성물로는 공지의 점착제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제 조성물로는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고무 점착제 조성물 또는 폴리에스테르 점착제 조성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 know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used. For example,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 rubb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r a polyest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used as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Generally,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used.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점착성을 나타낼 수 있는 중합체 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중합 단위와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중합단위란 어떤 단량체가 중합되어 형성된 중합체의 측쇄 또는 주쇄 등의 골격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or example, comprise an acrylic polymer, and the acrylic polymer may be a polymer capable of exhibiting tackiness. The acrylic polymer may include, for example, a polymerization unit derived from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a polymerization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The term polymerized unit derived from the term monomer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mean a state in which a polymer formed by polymerization of a certain monomer is contained in a skeleton such as a side chain or a main chain.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4077693393-pat00001
Figure 112014077693393-pat00001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2 이상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다.In Formula (1), R 1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R 2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2 or more carbon atoms.

상기에서 R2의 알킬기는, 예를 들면, 탄소수 2 내지 20, 탄소수 2 내지 14 또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일 수 있다.The alkyl group for R 2 may be, for example, a straight chain or branched chain alkyl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2 to 14 carbon atoms, or 2 to 10 carbon atoms.

점착성을 가지는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종류는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로는,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 중에 1종 또는 2종 이상이 중합되어 중합체의 중합 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The types of the compounds of the formula (1) that can be used for producing acrylic polymers having adhesiveness are variously known. For example, the compound of Formula 1 may be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n-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sec-butyl (meth) acrylate, pentyl Octyl (meth) acrylate, isobonyl (meth) acrylate or lauryl (meth) acrylate. One or more of such compounds may be polymerized to form polymerized units of the polymer.

아크릴 중합체는 또한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등과 같은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다른 화합물과 공중합 될 수 있는 관능기와 가교성 관능기를 동시에 포함하는 단량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는 중합되어 아크릴 중합체에 가교성 관능기를 제공할 수 있다. 가교성 관능기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기, 카복실기, 에폭시기, 아민기, 글리시딜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이 알려져 있고, 점착제의 제조분야에서는 상기와 같은 가교성 관능기를 제공할 수 있는 단량체도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The acrylic polymer may also comprise polymerized units derived from a monomer contain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The term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mean a monomer which simultaneously contains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opolymerizing with another compound forming an acrylic polymer such as the compound of the above-mentioned formula (1) and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Such monomers can be polymerized to provid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s to acrylic polymers. As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for example,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epoxy group, an amine group, a glycidyl group or an isocyanate group are known, and in the field of the production of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 monomer capable of providing such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Lt; / RTI >

예를들면,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8-히드록시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히드록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폴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Examples of the monomer containing a hydroxyl group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6-hydroxyhexyl (Meth) acrylate such as hydroxyalkyl (meth) acrylate or 8-hydroxyoxyl (meth) acrylate, hydroxy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or hydroxypolypropylene glycol Polyalkylene glycol (meth) acrylat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monomer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e (meth) acrylic acid, 2- (meth) acryloyloxyacetic acid, 3- (meth) acryloyloxypropyl acid, 4- (meth) acryloyloxybutyric acid, Dimer, itaconic acid, maleic acid, or maleic anhydride.

본 출원의 아민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일례는 2-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monomer containing an amine group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 2-aminoethyl (meth) acrylate, 3-aminopropyl (meth) acrylate, N, N-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or N, Prop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아크릴 중합체는,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80 중량부 내지 99.9 중량부 및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부터 유도된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량부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 80 중량부 내지 99.9 중량부로부터 유도된 중합된 단위와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부터 유도된 중합된 단위를 포함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중량(A)과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량(B)의 비율(A:B)이 「80 내지 99.9:0.1 내지 10」이 되도록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혼합물로부터 상기 중합체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의 비율을 상기와 같이 조절하여 적절한 점착성을 나타내면서, 가교 시에 응집력이 적합하게 확보되는 중합체가 형성될 수 있다.The acrylic polymer may include, for example, 80 to 99.9 parts by weight of the compound of Formula 1 and 0.1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As used herein, the term " weight portion " means the ratio of the weight between the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us, the inclusion of polymerized units derived from 80 to 99.9 parts by weight of the compound of formula (I) and 0.1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as described above, (B) of the compound (A) and the weight (B) of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s 80 to 99.9: 0.1 to 10, It may mean that the polymer is formed from a mixture of monomers comprising monomers. The proportion of the monomer forming the acrylic polymer can b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polymer which exhibits adequate tackiness and suitably ensuring cohesive force during crosslinking.

아크릴 중합체는 상기 언급된 것 외에도 다른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중합 단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이소보닐, 아크릴산 시클로헥실, 아크릴산 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산 시클로도데실, 아크릴산 메틸시클로헥실, 아크릴산 트리메틸시클로헥실, 아크릴산 tert-부틸시클로헥실, α-에톡시 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또는 아크릴산 시클로헥실페닐 등의 지환식의 구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예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지환식 구조란, 탄소수가 통상 5 이상, 또는 5 내지 7 정도의 시클로파라핀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The acrylic polymer may also comprise polymerized units derived from other monomers than those mentioned above. Examples of such monomers include isobornyl acrylate, cyclohexyl acrylate, dicyclopentanyl acrylate, cyclododecyl acrylate, methylcyclohexyl acrylate, trimethylcyclohexyl acrylate, tert-butylcyclohexyl acrylate, (Meth) acrylic acid esters having an alicyclic structure such as hexyl or cyclohexylphenyl acrylate can be exemplified. The term "alicyclic structure"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mean a cycloparaffin structure having generally 5 or more carbon atoms or 5 to 7 carbon atoms.

상기와 같은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중합 단위가 추가로 포함되면, 고온에서의 기포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고, 또한 중합체의 제조 시에 전환율을 적절히 유지하고, 분자량의 제어도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및/또는 상기 지환식 측쇄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부터 유도된 중합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polymerization unit derived from such a monomer is further contained, generation of bubbles at a high temperature can be inhibited more effectively, the conversion rate can be appropriately maintained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polymer, and the molecular weight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The acrylic polymer may, for example, be prepared by adding a polymerization unit derived from 5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methyl (meth) acrylate and / or 5 to 30 parts by weight of (meth) acrylate having the alicyclic side chain As shown in FIG.

아크릴 중합체는, 필요한 경우 다른 임의의 공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카프로락탐 등과 같은 질소 함유 단량체; 알콕시 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디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트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테트라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알콕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디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트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테트라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페녹시 폴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등과 같은 알킬렌옥시드기 함유 단량체; 스티렌 또는 메틸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또는 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카르복실산 비닐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crylic polymer may further comprise other optional comonomers, if necessary. Examples of such monomers include (meth) acrylonitrile, (meth) acrylamide, N-methyl (meth) acrylamide, Nitrogen-containing monomers such as dimethyl (meth) acrylamide, N-butoxymethyl (meth) acrylamide, N-vinylpyrrolidone or N-vinylcaprolactam; (Meth) acrylic acid esters, alkoxy 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esters, alkoxy 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esters, alkoxy 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esters, phenoxy 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esters, phenoxy 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esters, phenoxy trialkylene glycol Alkylene oxide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poly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esters and the like; Styrene-based monomers such as styrene or methylstyrene; Glycid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glycidyl (meth) acrylate; And carboxylic acid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아크릴 중합체는 통상의 중합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적하는 단량체 조성에 따라 필요한 단량체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단량체 혼합물을 용액 중합(solution polymerization), 광 중합(photo polymerization), 괴상 중합(bulk polymerization), 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유화중합(emulsion polymerization)과 같은 중합 방식에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할 경우, 적합한 중합 개시제 또는 분자량 조절제나 사슬 이동제 등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The acrylic polymer can be produced by a conventional polymerization method. For example, a monomer mixture prepared by blending necessary monomers according to the desired monomer composition may be subjected to solution polymerization, photo polymerization, bulk polymerizat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or emulsion polymerization and emulsion polymerization. If necessary in this process, suitable polymerization initiators or molecular weight regulators, chain transfer agents and the like may be used together.

점착제 조성물은 티올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티올 화합물은, 예를 들면, 점착제 조성물에 별도의 성분으로 포함되거나, 혹은 상기 아크릴 중합체의 중합 과정에서 첨가되어 상기 아크릴 중합체와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포함되거나, 혹은 상기 아크릴 중합체 외 다른 중합체에 결합된 형태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thiol compound. The thiol compound is contained, for example, as a separate component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r added in the form of being combined with the acrylic polymer added in the course of polymerization of the acrylic polymer, or contained in a polymer other than the acrylic polymer May be inclu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티올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2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예시될 수 있다.As the thiol compound, for example, at least one compound among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s (2) to (5) can be exemplified.

[화학식 2](2)

Figure 112014077693393-pat00002
Figure 112014077693393-pat00002

[화학식 3](3)

Figure 112014077693393-pat00003
Figure 112014077693393-pat00003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Figure 112014077693393-pat00004
Figure 112014077693393-pat00004

[화학식 5][Chemical Formula 5]

Figure 112014077693393-pat00005
Figure 112014077693393-pat00005

화학식 2 내지 5에서, A1 내지 A3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렌이고, R1은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이며, R2는 수소, 알킬기 또는 -A4-C(-A5-O-C(=O)-A6-SH)nR(3-n)이며, 상기에서 A4 내지 A6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렌이고, R은,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이며, n은 1 내지 3의 수이다.In formulas (2) to (5), A 1 to A 3 are each independently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R 1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R 2 is hydrogen, an alkyl group or -A 4 -C A 5 -OC (= O) -A 6 -SH) n R (3-n) wherein A 4 to A 6 are each independently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ene, and R is a linear or branched And n is a number of 1 to 3.

티올 화합물로는, 상기 화학식 2 내지 5에서 A1은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형 알킬렌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티올 화합물로는, 상기 화학식 2 내지 5에서 R1은 탄소수 3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형의 알킬기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티올 화합물로는, 상기 화학식 2 내지 5에서 A2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티올 화합물로는, 상기 화학식 2 내지 5에서 A3은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이며, R2는 수소, 탄소수 4 내지 12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 또는 -A4-C(-A5-O-C(=O)-A6-SH)nR(3-n)이며, 상기에서 A4 내지 A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이고, n은 2또는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s the thiol compound, A 1 in the general formulas (2) to (5) may be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having 1 to 8 carbon atoms. As the thiol compound, R < 1 > in the general formulas (2) to (5) may be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s the thiol compound, those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s 2 to 5 in which A 2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can be used. As the thiol compound, A 3 is a straight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R 2 is hydrogen,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4 to 12 carbon atoms, or -A 4 -C (- A 5 -OC (= O) -A 6 -SH) n R (3-n) wherein A 4 to A 6 are each independently a straight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n is 2 or 3 is more preferable.

화학식 2 내지 5의 정의에서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 등은 예를 들면, 티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definitions of the formulas (2) to (5), the alkyl group or the alkylene group and the like may be substituted with, for example, a thiol group, a hydroxyl group or a carboxyl group.

티올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2-머캅토 에탄올, 글라이시딜 머캅탄, 머캅토아세트산, 2-에틸헥실티오글리콜레이트, 2,3-다이머캅토-1-프로판올, n-도데칸 티올, t-부틸 머캅탄, n-부틸 머캅탄, 1-옥타데칸 티올,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스(3-머캅토 티올) 및/또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머캅토 프로피오네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thiol compound include 2-mercaptoethanol, glycidylmercaptan, mercaptoacetic acid, 2-ethylhexyl thioglycolate, 2,3-dimercapto-1-propanol, n-dodecanethiol, t (1-octadecanethiol, trimethylolpropane tris (3-mercaptothiol), and / or pentaerythritol tetrakis (3-mercaptopropionate) .

티올 화합물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점착제층의 초기 접착력, 내구성 및 박리력 등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thiol compound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01 part by weight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und of the formula (1) of the acrylic polymer. As a result, properties such as initial adhesion, durability and peeling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 중합체내에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containing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n the acrylic polymer.

본 출원에서 용어 다관능성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 중합체의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한 분자 내에 2개 이상 포함하는 2관능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예를 들면, 관능기를 한 분자 내에 2 내지 6개 포함하는 다관능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한 분자 내에 포함되어 있는 2개 이상의 관능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종의 관능기일 수 있다.The term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as used herein means a bifunctional or multifunctional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of the acrylic polymer in one molecule, for example, a functional group having 2 to 6 May mean a multifunctional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The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contained in the molecul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kinds of functional groups.

본 출원에서 다관능성 가교제로는, 상기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로서, 카르복시기, 산 무수물기, 비닐에테르기, 아민기, 카르보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아지리디닐기, 카르보디이미드기 또는 옥사졸린기 등의 관능기를 1종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2종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poly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may be a carboxyl group, an acid anhydride group, a vinyl ether group, an amine group, a carbon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n epoxy group, an aziridinyl group, a carbodiimide group, An oxazoline group, and the like can be use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o-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디메틸테레프탈산, 1,3-디메틸이소프탈산, 5-설포-1,3-디메틸이소프탈산, 4,4-비페닐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노르보르넨디카르복실산, 디페닐메탄-4,4'-디카르복실산 또는 페닐인단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류; 무수 프탈산, 1,8-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2,3-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무수물류; 헥사히드로프탈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류; 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3-메틸-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4-메틸-헥사히드로 무수프탈산 또는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무수물류;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수베르산, 말레산, 클로로말레산, 푸마르산, 도데칸이산, 피멜산, 시트라콘산, 글루타르산 또는 이타콘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류 등이 있을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es, for example, o-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1,4-dimethylterephthalic acid, 1,3-dimethylisophthalic acid, 3-dimethylisophthalic acid, 4,4-biphenyldicarboxylic acid, 1,4-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norbornene dicarboxylic acid, diphenylmethane- Arom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4'-dicarboxylic acid or phenyl dicarboxylic acid; Aromatic dicarboxylic acid anhydrides such as phthalic anhydride, 1,8-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anhydride or 2,3-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anhydride; Alicycl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hexahydrophthalic acid; Alicyclic dicarboxylic acid anhydrides such as hexahydrophthalic anhydride, 3-methyl-hexahydrophthalic anhydride, 4-methyl-hexahydrophthalic anhydride or 1,2-cyclohexanedicarboxylic anhydride; Aliphatic compounds such as oxalic acid, malonic acid, succinic acid, adipic acid, sebacic acid, azelaic acid, suberic acid, maleic acid, chloromaleic acid, fumaric acid, dodecanedic acid, pimelic acid, citraconic acid, glutaric acid or itaconic acid Dicarboxylic acids, and the lik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산 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가교제는 무수 피로멜리트산,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옥시디프탈산 2무수물, 디페닐설폰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디페닐설피드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또는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등일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poly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comprising the acid anhydride group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hydrous pyromellitic acid, benzophenone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biphenyl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oxydiphthalic acid dianhydride, diphenylsulfonetetracarboxylic acid Acid anhydrides, diphenylsulfide 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s, butane 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s, perylenetetracarboxylic dianhydrides or naphthalenetetracarboxylic dianhydrides, and the lik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비닐에테르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디비닐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비닐에테르, 1,4-부탄디올디비닐에테르, 1,6-헥산디올디비닐에테르, 글리세린디비닐데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비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시클로헥산디비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디비닐에테르, 하이드로퀴논디비닐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하이드로퀴논디비닐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레조르신디비닐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A 디비닐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S 디비닐에테르, 글리세린트리비닐에테르, 소르비톨테트라비닐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비닐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비닐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비닐에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비닐에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폴리비닐에테르,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비닐에테르 또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비닐에테르 등 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oly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comprising the vinyl ether group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divinyl ether, diethylene glycol divinyl ether, triethylene glycol divinyl ether, tetraethylene glycol divinyl ether, pentaerythritol divinyl ether, propylene Glycol divinyl ether, dipropylene glycol divinyl ether, tripropylene glycol divinyl ether, neopentyl glycol divinyl ether, 1,4-butanediol divinyl ether, 1,6-hexanediol divinyl ether, glycerin divinyldeether , Trimethylolpropane divinyl ether, 1,4-dihydroxycyclohexane divinyl ether, 1,4-dihydroxymethylcyclohexane divinyl ether, hydroquinone divinyl ether, ethylene oxide modified hydroquinone divinyl ether, Ethylene oxide modified resorcin divinyl ether, ethylene oxide modified bisphenol A divinyl ether, ethylene oxide modified ratio Phenol S divinyl ether, glycerin trivinyl ether, sorbitol tetravinyl ether, trimethylolpropane trivinyl ether, pentaerythritol trivinyl ether, pentaerythritol tetravinyl ether, dipentaerythritol hexa vinyl ether, dipentaerythritol poly Vinyl ether, ditrimethylolpropane tetravinyl ether or ditrimethylolpropane polyvinyl ether, and the lik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아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가교제는 에틸렌디아민 또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류; 4,4'-디아미노-3,3'-디메틸디시클로헥실메탄, 4,4'-디아미노-3,3'-디메틸디시클로헥실, 디아미노시클로헥산 또는 이소포론디아민 등의 지환족 디아민류; 크실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류 등 일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containing the amine group may be an aliphatic diamine such as ethylenediamine or hexamethylenediamine; Alicyclic diamines such as 4,4'-diamino-3,3'-dimethyldicyclohexylmethane, 4,4'-diamino-3,3'-dimethyldicyclohexyl, diaminocyclohexane or isophoronediamine Ryu; And aromatic diamines such as xylylenediamin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가교제는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톨루이딘디이소시아네이트, 2,4,6-트리이소시아네이트톨루엔, 1,3,5-트리이소시아네이트벤젠,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4,4',4''-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2,3-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부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4,4-트라메틸헥사메티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ω,ω'-디이소시아네이트-1,3-디메틸벤젠, ω,ω'-디이소시아네이트-1,4-디메틸벤젠, ω,ω'-디이소시아네이트-1,4-디에틸벤젠, 1,4-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3-이소시아네이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2,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2,6-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4-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이나, 상기 중 하나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물 등 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아크릴 중합체에 포함되어 있는 가교성 관능기의 종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comprising an isocyanate group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3-phenylene diisocyanate, 4,4'-diphenyl diisocyanate, 1,4-phenyle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 2,4-tolylene diisocyanate, 2,6-tolylene diisocyanate, 4,4'-toluidine diisocyanate, 2,4,6-triisocyanate toluene, 1,3,5-triisocyanate benzene, dianisidine diisocyanate , Aromatic polyisocyanates such as 4,4'-diphenyl ether diisocyanate, 4,4 ', 4 "-triphenylmethane triisocyanate, tolu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or xylylene diisocyanate; Propylene diisocyanate, 2,3-butylene diisocyanate, 1,3-butylene diisocyanate, dodecamethylene diisocyanate, 2-methylene diisocyanate, , 4,4-trimethyl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other aliphatic polyisocyanates; ω'-diisocyanate-1,3-dimethylbenzene, ω'-diisocyanate-1,4-dimethylbenzene, ω'-diisocyanate-1,4-diethylbenzene, 1,4- Aromatic polyisocyanates such as tetramethyl xylylene diisocyanate and 1,3-tetramethyl xylylene diisocyanate; 3-isocyanatomethyl-3,5,5-trimethylcyclohexyl isocyanate, 1,3-cyclopentane diisocyanate, 1,3-cyclohexane diisocyanate, 1,4-cyclohexane diisocyanate, methyl- Alicyclic polyisocyanates such as hexane diisocyanate, methyl-2,6-cyclohexane diisocyanate, 4,4'-methylene bis (cyclohexyl isocyanate) or 1,4-bis (isocyanate methyl) cyclohexane, A reaction product of one or more polyisocyanates and a polyol, and the like. The specific kind of the poly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contained in the acrylic polymer.

다관능성 가교제는,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범위에서 점착제층의 적절한 응집력 등을 확보할 수 있다.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t a ratio of 0.01 to 10 parts by weight or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and the appropriate cohesiv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ensured within this range.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필요한 경우에 실란 커플링제, 점착 부여제, 에폭시 수지,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또는 가소제와 같은 공지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known additives such as a silane coupling agent, a tackifier, an epoxy resin, a UV stabilizer, an antioxidant, a colorant, a reinforcing agent, a filler, a defoamer, a surfactant or a plasticizer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

또한,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은 부착된 상태에서는 점착제로서, 일시적인 점착력을 보유하나, 가교 공정 등을 거치면서, 기재층에 대한 영구적인 부착력을 보유할 수 있는 점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 일 수 있다. 일례로써, 점착제 조성물은 우레탄 또는 에폭시 점접착제 조성물 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which is capable of forming a point-adhesive layer capable of holding a permanent adhesive force to a base layer while having a temporary adhesive force but undergoing a crosslinking process . By way of example,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 urethane or epox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본 출원의 도전성 필름에 점착제층은 점착성 조성물을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가교시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formed by apply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to form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layer and crosslinking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layer.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교는 도전성 기재층이 부착되기 전에 수행되거나, 혹은 부착된 후에 수행되거나 혹은 부착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키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아크릴 중합체와 다관능성 가교제가 반응할 수 있도록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소정 온도에서 유지하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만일 점착제 조성물이 가교 성분으로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반응하는 성분을 포함할 경우에는 상기 성분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적절한 활성 에너지선, 예를 들면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rosslinking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ttached, or may b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being attached or attached. The manner of crosslink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in such a manner that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o that the above-mentioned acrylic polymer and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can react. In another example, i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a component that reacts as a crosslinking component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it may be conducted by irradiating with an appropriate active energy ray such as ultraviolet ray to induce the reaction of the component.

점착제 조성물의 층이 가교되기 전 또는 후, 또는 가교되는 과정에서 도전성 기재층이 상기 층에 부착될 수 있다. 도전성 기재층(13)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재층(13a)과 그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도전층(13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에서 도전층(13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이 점착제 조성물의 층(12a) 또는 점착제층(12b)에 부착될 수 있다.A conductive base layer may be attached to the layer before or after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crosslinked or crosslinked. The conductive base layer 13 may include a base layer 13a and a conductive layer 13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s shown in Figs. 1 and 3,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13b is formed May be adhered to the layer 12a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b.

도전성 기재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도전층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전층이 형성되는 기재층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전술한 중간 기재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소재 중에서 적절한 소재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기재층은, 약 3 내지 300 ㎛, 약 5 내지 250 ㎛ 또는 10 내지 200 ㎛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conductive base layer can be produced by forming a conductive layer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The type of the base layer on which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suitable material may be selected and used from among the materials used for forming the above-described intermediate base layer.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uitably set. Typically, the substrat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3 to 300 microns, about 5 to 250 microns, or about 10 to 200 microns.

도전층은,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스프레이 열분해법, 화학 도금법, 전기 도금법 또는 상기 중 2종 이상의 방법을 조합한 박막 형성법으로 형성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진공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한다.The conductive layer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a vacuum deposition method, a sputtering method, an ion plating method, a spray pyrolysis method, a chemical plating method, an electroplating method, or a thin film formation method combining two or more of the above methods. Or a sputtering method.

도전층을 구성하는 소재로는, 금, 은, 백금, 팔라듐, 구리, 알루미늄, 니켈, 크롬, 티탄, 철, 코발트, 주석 및 상기 중 2종 이상의 합금 등과 같은 금속, 산화 인듐, 산화 주석, 산화 티탄, 산화 카드뮴 또는 상기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금속 산화물, 요오드화 구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금속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결정층 또는 비결정층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도전층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을 사용하여 형성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전층의 두께는, 연속층의 형성 가능성, 도전성 및 투명성 등을 고려하여, 약 10 nm 내지 300 nm, 바람직하게는 약 10 nm 내지 200 nm로 조절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onductive layer include metals such as gold, silver, platinum, palladium, copper, aluminum, nickel, chromium, titanium, iron, cobalt, tin and alloys of two or more of the above metals, indium oxide, tin oxide, Titanium, cadmium oxid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 foregoing, or other metal oxides such as copper iodide. The conductive layer may be a crystalline layer or an amorphous layer. Typically,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using indium tin oxide (ITO),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can be adjusted to about 10 nm to 300 nm, preferably about 10 nm to 200 nm,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formation of the continuous layer, conductivity, transparency and the like.

도전층은, 앵커층 또는 유전체층을 매개로 상기 기재층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도전성 기재층은, 기재층, 앵커층 또는 유전체층 및 도전층이 순차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앵커층 또는 유전체층은, 도전층과 기재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내찰상성 또는 내굴곡성을 개선할 수 있다. 앵커층 또는 유전체층은, 예를 들면, SiO2, MgF2 또는 Al2O3 등과 같은 무기물;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또는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기물 또는 상기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형성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또는 도공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앵커층 또는 유전체층은 통상적으로 약 100 nm 이하, 15 nm 내지 100 nm 또는 20 nm 내지 60 nm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Th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base layer via an anchor layer or a dielectric layer. That is, the conductive base lay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base layer, an anchor layer, or a dielectric layer and a conductive layer are sequentially formed. The anchor layer or the dielectric layer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base layer, and improves scratch resistance or flex resistance. The anchor layer or the dielectric layer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O 2 , MgF 2 or Al 2 O 3 ; An organic material such as an acrylic resin, a urethane resin, a melamine resin, an alkyd resin or a siloxane-based polymer,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 above materials can be used. Examples of the forming method include a vacuum vapor deposition method, a sputtering method, A coating method or a coating method may be adopted. The anchor layer or dielectric layer may be formed typically to a thickness of about 100 nm or less, 15 nm to 100 nm, or 20 nm to 60 nm.

도전성 기재층의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또한 코로나 방전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플라즈마 처리 또는 스퍼터 에칭 처리 등의 적절한 접착 처리가 수행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전성 기재층의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하드코팅층이나 블로킹 방지층과 같은 통상적인 표면 처리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dhesive treatment such as corona discharge treatment, ultraviolet ray irradiation treatment, plasma treatment, or sputter etch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In addition, a conventional surface treatment layer such as a hard coating layer or an anti-blocking lay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도전성 기재층을 중간 기재층에 부착시키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manner of attaching the conductive base layer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arried out in a conventional manner.

도전성 기재층을 부착한 후에 공지의 임의의 공정이 추가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공정의 대표적인 예로는 상기 도전성 기재층의 도전층이 미결정 또는 반결정 상태인 경우에 수행되는 결정화 공정을 들 수 있다. Any known process may be further carried out after attaching the conductive base layer. Typical examples of the above process include a crystallization process performed when the conductive layer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in a microcrystalline or semi-crystalline state.

이러한 결정화 공정은 통상 고온에서 수행되며, 예를 들면, 약 100 내지 300℃ 정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결정화가 진행되는 시간은 요구되는 수준의 결정화가 달성될 수 있도록 조절되면 되고, 통상적으로는 약 10분 내지 1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결정화 공정이 수행되는 구체적인 조건이나 결정화 공정 외에 수행될 수 있는 기타 공정의 종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도전성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Such a crystallization process is usually carried out at a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at a temperature of about 100 to 300 ° C. The time for the crystallization to proceed may be adjusted so that the required level of crystallization can be achieved, and may be generally conducted for about 10 minutes to 12 hours. The specific conditions under which the crystallization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types of other processes that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crystallization proces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ose normally perform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conductive film may be applied.

본 출원의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점착제 조성물의 층은 전술한 점착제 조성물을 중간 기재층에 직접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 이외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필름 타입의 층을 중간 기재층상에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formed by directly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to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Or may be formed by laminating them on a layer.

보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전술한 점착제 조성물을 임의의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 공정을 거쳐 층을 형성한 후 박리함으로써, 필름 타입의 미가교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중간 기재층에 적층 함으로써, 상기 중간 기재층에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above-mentio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an arbitrary support, and then a layer is formed through a drying and curing process to form a layer, and then the layer is peeled to form a layer of a film type uncrosslinked adhesive composition, Layer is laminated on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a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formed on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의 층이 형성된 후에 점착제 조성물의 층은 가교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점착제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미가교 상태의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매개로 도전성 기재층을 중간 기재층에 부착한 후에 상기 도전성 기재층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도전성 필름의 경우에도, 전술한 우수한 박리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After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crosslinked, and thu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That is, in the method of producing a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application, after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via the layer of the uncrosslinked adhesive composition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And crosslink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the state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ven in the case of the conductive film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또한, 본 출원은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 조성물의 층이 형성된 중간 기재층을 열처리 한 후,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매개로 도전성 기재층을 중간 기재층에 부착하여 기포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도전성 기재층의 중간 기재층에 대한 박리력이 우수한 도전성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hich comprises heat-treating an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o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thereof and then attaching the conductive substrate layer to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via the pres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ductive film excellent in peelability against the intermediate base layer of the base layer.

즉,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성 조성물의 층이 형성된 중간 기재층을 소정온도로 유지하는 열처리 공정 후, 도전성 기재층을 부착함으로써, 전술한 도전성 기재층의 중간 기재층에 대한 우수한 박리특성 및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That is, by adhering the conductive base layer after the heat treatment step of keeping the intermediate base layer having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excellent peeling properties and bubble generation Can be achieved.

상기 열처리 공정을 통해, 상기 언급된 아크릴 중합체와 다관능성 가교제가 반응하여, 가교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열처리 공정은 아크릴 중합체와 다관능성 가교제가 가교반응을 진행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에서 점착성 조성물의 층이 형성된 중간 기재층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써,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 조성물의 층(12a)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 기재층(11)을 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유지하는 열처리 공정을 통해 점착제 조성물의 층에 가교반응을 유도하여 점착제층(12b)을 형성 할 수 있으며, 상기 열처리 공정은 도전성 기재층(13)을 부착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점착성 조성물의 층이 형성된 중간 기재층을 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유지한 후에 도전성 기재층을 중간 기재층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hrough the heat treatment process, the above-mentioned acrylic polymer and the poly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can be reacted to perform the crosslinking reaction. Accordingly, the heat treat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crylic polymer and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maintain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in which the layer of the sticky composition is formed at a temperature at which the cross-linking reaction can proce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11 hav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layer 12a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thereof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50 to 200 ° C,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b may be formed by inducing a crosslinking reaction on the layer of the conductive base material layer 13, and the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the conductive base material layer 13 is attached. That is,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dhering the conductive base layer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after holding the intermediate base layer having the layer of the sticky composition at a temperature of 50 to 200 ° C.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2 단계로 나누어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처리 공정은, 상기 중간 기재층을 100 내지 200℃ 또는 110 내지 180℃ 정도의 온도에서 유지하는 1차 공정과 상기 중간 기재층을 40 내지 100℃ 또는 50 내지 90℃에서 유지하는 2차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한 용어 1차 및 2차는 각 공정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공정의 순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열처리 공정은 1차 및 2차 공정의 순서로 진행되거나, 2차 및 1차 공정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정은 1차 및 2차 공정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각 공정이 수행되는 시간은, 예를 들면, 추후 부착되는 도전성 기재층이 전술한 박리력을 나타내면서 중간 기재층에 부착될 수 있도록 조절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In one example, the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divided into two stages. For example, the heat treatment step may include a first step of holding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at a temperature of about 100 to 200 DEG C or about 110 to 180 DEG C and a second step of holding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at 40 to 100 DEG C or 50 to 90 DEG C And a secondary process. The term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re for distinguishing each proces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f the processes. That is, the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processes, or may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secondary process and the primary process. For example, the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processes. The time at which each step is perform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conductive base layer to be attached later can be adhered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while exhibiting the peeling force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열처리 공정은 도전성 기재층이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매개로 중간 기재층에 부착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전성 기재층이 중간 기재층에 부착된 상태에서 열처리 공정을 통해 점착제 조성물의 층에 가교반응을 유도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전술한 1차 및 2차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performed with the conductive base layer adhered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via a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step of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y inducing a crosslinking reaction on a layer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rough a heat treatment process in a state where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primary and secondary processes.

본 출원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도전성 필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즉, 본 출원은 중간 기재층; 및 상기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0.3m/min의 박리속도 및 180도의 박리각도로 측정한 상기 중간 기재층에 대한 상온 박리력이 1,000gf/inch이상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는 도전성 기재층을 포함하는 도전성 필름에 대한 것일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may relate to a conductive film produced by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That is,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And a conductive base layer adhered to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so as to have a room temperature peeling strength of not less than 1,000 gf / inch measured at a peeling rate of 0.3 m / 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And may be for a conductive film including the conductive film.

본 출원의 도전성 필름의 중간 기재층은 전술한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채용되었던 중간 기재층의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base layer of 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ll the content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employ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본 출원의 도전성 기재층은,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매개로 중간 기재층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기재층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기재층의 양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The conductive base lay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via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and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as shown in Fig. 1, Or may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as described above.

일례로써, 도전성 필름은 0.3m/min의 박리속도 및 180도의 박리각도로 측정한 중간 기재층에 대한 상온 박리력이 1,000gf/inch이상인 도전성 기재층이 상기 중간 기재층의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 일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conductive film has a conductive base layer having a room temperature peeling force of 1,000 gf / inch or more adhered to both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0.3 m / min and a peel angle of 180 degrees Lt; / RTI >

상기 도전성 기재층은 중간 기재층에 직접 도포되거나 또는 라미네이트 방식으로 형성된 점착제 조성물의 층이 가교반응을 수행하기 전 또는 가교 반응을 수행한 후에 부착됨으로써, 중간 기재층에 대한 높은 박리력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일례로써, 0.3m/min의 박리속도 및 180도의 박리각도로 측정한 상기 중간 기재층에 대한 상온 박리력이 1,000gf/inch 내지 10,000gf/inch또는 1,000gf/inch 내지 5,000gf/inch 일 수 있다.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directly or after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med in a laminated manner is subjected to the crosslinking reaction or after the crosslinking reaction is performed, thereby achieving a high peeling force for the intermediate base layer Temperature peeling force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0.3 m / 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is 1,000 gf / inch to 10,000 gf / inch or 1,000 gf / inch to 5,000 gf / inch .

본 출원의 도전성 필름의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의 층이 가교된 후의 상태의 층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전술한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에서 언급된 점착제 조성물의 대한 모든 내용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a layer in a state after th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crosslinked, and all content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entioned in the above-mentioned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can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즉,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 점착제, 실리콘 점착제, 고무 점착제 및 폴리에스테르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 점착제는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rubb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polyest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Th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include ethyl (meth) acrylate, n-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2-ethylbut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isooctyl Or the like.

또한, 본 출원의 점착제층은, 부착된 상태에서는 점착제로서, 일시적인 점착력을 보유하나, 가교 공정 등을 거치면서, 기재층에 대한 영구적인 부착력을 보유할 수 있는 점접착제의 층일 수 있다. 일례로써, 점접착제층은 우레탄 또는 에폭시 점접착제층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공지이며, 전술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emporary adhesive force in the attached state, but may be a layer of a point adhesive capable of retaining a permanent adhesive force to the base layer while undergoing a crosslinking process or the like. By way of example, the point-adhesive layer may be a urethane or epoxy point-adhesive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known and can b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tep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escribed above.

본 출원은 상기 도전성 필름의 용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도전성 필름은, 예를 들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나 터치 패널 등에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출원의 상기 도전성 필름은 상기와 같은 공지의 도전성 필름의 용도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may relate to the use of the conductive film. The conductive film can be used for a display device such as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DP (Plasma Display Panel) or LCD (Liquid Crystal Display), a touch panel, And can be applied to all uses of the same known conductive films.

이하, 본 출원의 도전성 필름, 도전성 필름의 용도 및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나, 하기 예는 본 출원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 뿐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시되는 물성은 하기의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conductive film, the conductive film, and 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but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nd do not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hysical properties shown in this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were evaluated in the following manner.

1. One. 박리력Peel force 평가 방식 Evaluation method

(1) 측정 장치 : TA-XT2plus(1) Measuring device: TA-XT2plus

(2) 모드 : tension mode(2) Mode: tension mode

(3) Trigger force : 5gf(3) Trigger force: 5 gf

(4) 박리 속도 :0.3m/min(4) Peeling speed: 0.3 m / min

(5) 박리 각도 : 180도(5) Peeling angle: 180 degrees

(6) 시편크기 : 가로 12cm x 세로 2.54cm
(6) Specimen size: Width 12cm x Width 2.54cm

[ 실시예 1 ][Example 1]

부틸 아크릴레이트(BA) 94 중량부 및 아크릴산(AA) 6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액 및 상기 혼합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를 1중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층의 양면에 직접 도포한 후, 오븐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4개 구역으로 나누어, 80 내지 140℃의 온도조건에서 건조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양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매개로, 도전성 기재층을 부착하여 양면 도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면 도전성 필름의 박리력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또한, 제조된 양면 도전성 필름을 40℃ 및 60℃의 온도조건에서 에이징(aging) 시킨 후, 일별로 기포의 발생여부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이 때, 도전층의 열처리 공정은 190℃에서 15분 동안 실시하였다. 94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BA) and 6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and 1 part by weight of a toluene di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liquid were added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directly applied on both sides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base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by dividing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ate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n oven into four zones and drying at 80 to 140 ° C . A conductive base layer was attached via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to prepare a double-sided conductive film. The peel strength results of the produced double-sided electroconductive films are shown in Table 1 below. Further, the produced double-sided conductive film was aged at a temperature of 40 캜 and 60 캜, and then the occurrence of bubbles was measured every da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At this time, the heat treatment process of the conductive layer was performed at 190 占 폚 for 15 minutes.

[ 실시예 2 ][Example 2]

부틸 아크릴레이트(BA) 94 중량부 및 아크릴산(AA) 6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액 및 상기 혼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를 3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양면 도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면 도전성 필름의 박리력 결과 및 기포 발생여부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 94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BA) and 6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and 3 parts by weight of a toluene di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liquid were added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ided conductive film. The results of peeling force and bubble occurrence of the produced double-sided conductive films were measured and are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 실시예 3] [Example 3]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메틸 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액 및 상기 혼합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0.2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층의 양면에 직접 도포한 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면 도전성 필름의 박리력 결과 및 기포 발생여부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5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40 parts by weight of methyl acrylate and 10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and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dded at a ratio of 0.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solu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directly applied to both surfaces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base layer, and then a conductive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bove. The results of peeling force and bubble occurrence of the produced double-sided conductive films were measured and are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 실시예 4][Example 4]

부틸 아크릴레이트(BA) 94 중량부 및 아크릴산(AA) 6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액 및 상기 혼합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1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지지체상에 도포 및 건조하여 필름 타입의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형성한 후 박리한다. 상기 박리된 점착제 조성물의 층의 양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여, NCF(Non carrier film)을 제조한다. 상기 NCF(Non carrier film)의 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형필름을 제거 한 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층의 양면에 라미네이트하고, 150℃에서 30분간 오븐에서 열 전처리를 실시한다. 그 후, NCF(Non carrier film)의 다른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도전성 기재층을 부착시킨다. 제조된 양면 도전성 필름의 박리력 결과 및 기포 발생여부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94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BA) and 6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and 1 part by weight of a toluene di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liquid were applied onto a support and dried to obtain a film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 release film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ayer of the peel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prepare NCF (Non-carrier film). After removing the release film attached to one side of the NCF (non-carrier film),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base layer was laminated on both sides and heat pretreated in an oven at 150 ° C for 30 minutes. Thereafter, the release film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NCF (non-carrier film) is removed, and then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ttached. The results of peeling force and bubble occurrence of the produced double-sided conductive films were measured and are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 실시예 5] [Example 5]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메틸 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액 및 상기 혼합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0.2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NCF(Non carrier film)을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양면 도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면 도전성 필름의 박리력 결과 및 기포 발생여부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5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40 parts by weight of methyl acrylate and 10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and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dded at a ratio of 0.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solution A double-side conductive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except that NCF (non-carrier film) prepared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used. The results of peeling force and bubble occurrence of the produced double-sided conductive films were measured and are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0중량부, 메틸 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액 및 상기 혼합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0.2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지지체상에 도포 및 건조하여 필름 타입의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형성한 후 박리한다. 상기 박리된 점착제 조성물의 층의 양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여, NCF(Non carrier film)을 제조한다. 상기 NCF(Non carrier film)의 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층의 양면에 라미네이트하고, NCF(Non carrier film)의 다른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도전성 기재층을 부착시킨다. 제조된 양면 도전성 필름의 박리력 결과 및 기포 발생여부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5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40 parts by weight of methyl acrylate and 10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and 0.2 parts by weight of a xylene di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solution Is coated on a support and dried to form a layer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a film type and then peeled. A release film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ayer of the peel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prepare NCF (Non-carrier film). After removing the release film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NCF (non-carrier film), the release film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NCF (non-carrier film) was removed by lamination on both sides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base layer, Thereby adhering the substrate layer. The results of peeling force and bubble occurrence of the produced double-sided conductive films were measured and are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박리 테스트(peel test) 결과(gf/inch)Peel test results (gf / inch) 실시예 1Example 1 11471147 실시예 2Example 2 10321032 실시예 3Example 3 14491449 실시예 4Example 4 10111011 실시예 5Example 5 12431243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822822

190℃, 15분의도전성 열처리 조건The conductive heat treatment condition at 190 캜 for 15 minutes Day 1Day 1 Day2Day2 Day3Day3 기포bubble 미세기포Fine bubble 기포bubble 미세기포Fine bubble 기포bubble 미세기포Fine bubble 실시예 1
Example 1
40℃ aging40 ℃ aging XX XX XX XX
60℃ aging60 ℃ aging XX XX XX XX XX 실시예 2Example 2 40℃ aging40 ℃ aging XX XX XX XX 60℃ aging60 ℃ aging XX XX XX XX XX 실시예3Example 3 40℃ aging40 ℃ aging XX XX XX XX 60℃ aging60 ℃ aging XX XX XX XX XX 실시예 4Example 4 40℃ aging40 ℃ aging XX XX XX 60℃ aging60 ℃ aging XX XX XX XX XX 실시예 5Example 5 40℃ aging40 ℃ aging XX XX XX 60℃ aging60 ℃ aging XX XX XX XX XX 비교예
Comparative Example
40℃ aging40 ℃ aging
60℃ aging60 ℃ aging

○ : 다량의 기포 발생.○: Large amount of bubbles are generated.

△ : 기포 약하게 발생.Δ: Bubbles are generated weakly.

X : 기포 발생하지 않음.X: No bubbles.

11: 중간 기재층
12a: 점착제 조성물의 층
12b : 점착제층
13 : 도전성 기재층
13a: 기재층
13b: 도전층
14: 이형 필름
11: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12a: layer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12b: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 conductive base layer
13a: substrate layer
13b: conductive layer
14: release film

Claims (16)

중간 기재층; 및 상기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0.3m/min의 박리속도 및 180도의 박리각도로 측정한 상기 중간 기재층에 대한 상온 박리력이 1,000 gf/inch 이상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는 도전성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기재층은 점착제층을 매개로 중간 기재층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도전성 기재층이 부착되기 전, 점착제 조성물의 층에 가교 반응을 유도하여 형성되고,
상기 점착제층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80 중량부 내지 99.9 중량부, 지환식 측쇄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5 내지 30 중량부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다관능성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점착성 조성물의 층이 형성된 중간 기재층을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유지하는 1차 공정 및 50 내지 90℃에서 유지하는 2차 공정의 순차적인 수행에 의해 가교한 후에 도전성 기재층을 중간 기재층에 부착하고,
도전성 기재층을 부착한 후, 상기 도전성 기재층의 도전층을 19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결정화시키는 도전성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6116172548-pat00014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2 이상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다.
An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And a conductive base layer adher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so that a room temperature peeling force against the intermediate base layer measured at a peeling rate of 0.3 m / 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is 1,000 gf / inch or more Including,
Wherein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via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inducing a crosslinking reaction in a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efore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dhered,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es a mixture comprising 80 to 99.9 parts by weight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5 to 30 parts by weight of a (meth) acrylic acid ester having an alicyclic side chain and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pressure-sensitive crosslinking agent,
After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having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rosslinked by a sequential process of a primary process of holding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at a temperature of 100 to 200 DEG C and a secondary process of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50 to 90 DEG C, Respectively,
A conductive film which is crystallized by heat-treating the conductive layer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at a temperature of 190 to 300 DEG C after attaching the conductive base layer;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6116172548-pat00014

In Formula (1), R 1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R 2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2 or more carbon atoms.
제 1항에 있어서, 0.3m/min의 박리속도 및 180도의 박리각도로 측정한 중간 기재층에 대한 상온 박리력이 1,000gf/inch이상인 도전성 기재층이 상기 중간 기재층의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도전성 필름.The conductive bas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base layer having a room temperature peel strength of 1,000 gf / inch or more on the intermediate base layer measured at a peeling rate of 0.3 m / min and a peel angle of 180 degrees has a conductivity fil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의 도전성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A touch panel comprising the conductive film of claim 1. 제 1항의 도전성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conductive film of claim 1. 중간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0.3m/min의 박리속도 및 180도의 박리각도로 측정한 상기 중간 기재층에 대한 상온 박리력이 1,000 gf/inch 이상이 되도록 도전성 기재층을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기재층은 점착제층을 매개로 중간 기재층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도전성 기재층이 부착되기 전, 점착제 조성물의 층에 가교 반응을 유도하여 형성되고,
상기 점착제층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80 중량부 내지 99.9 중량부, 지환식 측쇄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5 내지 30 중량부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다관능성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점착성 조성물의 층이 형성된 중간 기재층을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유지하는 1차 공정 및 50 내지 90℃에서 유지하는 2차 공정의 순차적인 수행에 의해 가교한 후에 도전성 기재층을 중간 기재층에 부착하고,
도전성 기재층을 부착한 후, 상기 도전성 기재층의 도전층을 19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결정화시키는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6116172548-pat00015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2 이상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다.
And attaching the conductive base layer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base layer so that the room temperature peeling force for the intermediate base layer measured at a peeling rate of 0.3 m / 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is 1,000 gf / inch or more,
Wherein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base layer via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inducing a crosslinking reaction in a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efore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adhered,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es a mixture comprising 80 to 99.9 parts by weight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5 to 30 parts by weight of a (meth) acrylic acid ester having an alicyclic side chain and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pressure-sensitive crosslinking agent,
After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having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rosslinked by a sequential process of a primary process of holding the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at a temperature of 100 to 200 DEG C and a secondary process of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50 to 90 DEG C, Respectively,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crystallized by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190 to 300 DEG C after attaching the conductive base layer to the conductive base layer,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6116172548-pat00015

In Formula (1), R 1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R 2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2 or more carbon atom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06868A 2013-08-16 2014-08-18 Condu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KR1016991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222 2013-08-16
KR20130097223 2013-08-16
KR1020130097223 2013-08-16
KR20130097222 2013-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150A KR20150020150A (en) 2015-02-25
KR101699125B1 true KR101699125B1 (en) 2017-01-23

Family

ID=5257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868A KR101699125B1 (en) 2013-08-16 2014-08-18 Condu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1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3428B2 (en) 2015-05-29 2018-11-2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lexible substrate having a bending part and a conductive pattern at least partially disposed on the bending par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1683A (en) 2010-09-15 2012-03-29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2775B2 (en) 2002-07-31 2009-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Surface protective film for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with surface protective film
KR100813388B1 (en) 2005-11-24 2008-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KR101435240B1 (en) * 2010-10-27 2014-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Touch panel
KR101647156B1 (en) * 2010-11-24 2016-08-09 (주)엘지하우시스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EP2722736B1 (en) * 2011-07-19 2018-07-11 LG Chem, Ltd. Touch pa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1683A (en) 2010-09-15 2012-03-29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150A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5775B (en) Adhesive and adhesive sheet
TWI645967B (en) Surface protection film
JP6492572B2 (en) Surface protection film
US20200332153A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comprising same
TW202244228A (en) Adhesive layer for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laminate for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and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US20200317968A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comprising same
JP6492573B2 (en) Surface protection film
TWI719150B (en) Adhesive, optical adhesive sheet, polarizing plate adhesive sheet and liquid crystal cell component
KR20160063987A (en) Surface protectiv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surface protective film and optical member
TW201942608A (en) Adhesive layer-equipp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90039917A (en)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 adhesive film for optical film
KR101435240B1 (en) Touch panel
KR20170119641A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ptica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for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cell member
JP4768099B2 (en) Film roll
JP6550386B2 (en) Conduct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88720B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TWI701145B (en) Reinforcing film with spacer
KR101699125B1 (en) Condu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KR101584841B1 (en) Conductive laminate
KR101943472B1 (en) Scattering protection film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718805A (en) Adhesive,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dhesive sheet and liquid crystal cell member wherein the adhesive has excellent peeling property, and is difficult to produce blister or peeling from the adherend when exposure to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or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KR102212135B1 (en) The temperature variabl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KR101864922B1 (en) Scattering protectiob film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110811A (en) Carrier film using flexible organic electronic device
KR20230106137A (en) Adhesive sheet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