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749B1 - Separate base station - Google Patents

Separate bas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749B1
KR101697749B1 KR1020130106509A KR20130106509A KR101697749B1 KR 101697749 B1 KR101697749 B1 KR 101697749B1 KR 1020130106509 A KR1020130106509 A KR 1020130106509A KR 20130106509 A KR20130106509 A KR 20130106509A KR 101697749 B1 KR101697749 B1 KR 101697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s
base station
radio
digit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9991A (en
Inventor
김준우
문영진
방승재
최정필
문장원
박윤옥
권동승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40039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9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7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9Arrangements for range control, e.g. by using remot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은 국사측에 설치된 특정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DU), 가입자측에 설치된 특정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복수의 라디오 유닛(Radio Unit, RU), 및 이 복수의 디지털 유닛(DU)과 이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사이의 연결 관계가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cloud base station switch)를 포함한다.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is disclosed. 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s) according to a specific radio commun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national office, a plurality of radio units (RUs) according to a specific radio commun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subscriber, And a cloud base station switch in which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RU can be changed dynamically.

Description

분리형 기지국{Separate base station}Separate base st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지국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DU)과 복수의 라디오 유닛(Radio Unit, RU)을 포함하는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s) and a plurality of radio units (RUs).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은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유닛(DU)과 무선 신호의 처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라디오 유닛(RU)이 분리되어서 설치되는 형태의 기지국을 가리킨다.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은 디지털 유닛(DU)과 라디오 유닛(RU)이 같이 설치되는 종래의 기지국 시스템과 다르다. 통상적으로,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유닛(DU)이 국사에 집중하여 운용되며 라디오 유닛(RU)만 원격지에 설치되고 또한 디지털 유닛(DU)과 라디오 유닛(RU)은 광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은 RRH(Remote Radio Head)라고도 불린다.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은 종래의 기지국 시스템에 비하여 기지국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하며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refers to a type of base station in which one or more digital units (DU)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one or more radio units (RU) for processing a radio signal are installed separately. 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is different from a conventional base station system in which a digital unit DU and a radio unit RU are installed together. Typically, in the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the digital unit DU is operated in a centralized manner, only the radio unit RU is installed at a remote place, and the digital unit DU and the radio unit RU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such as an optical cable . This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is also referred to as a remote radio head (RRH). The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has advantages that it can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base st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ase station system, is easy to manage,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최근에는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에서 집중화된 디지털 유닛(DU)들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다수의 기지국의 디지털 유닛(DU)들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국사에 함께 배치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클라우드 통신 센터(Cloud Communication Center, CCC)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의하면, 국사에 집중화된 복수의 디지털 유닛(DU)들을 활용하여 협력 통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이종 통신 시스템간의 협력(HetNet)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recent years,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utilize centralized digital units (DUs) in 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For example, studies on a cloud communication center (CCC) technology in which digital units (DUs)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re arranged and operated together with the network company's country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According to this, cooperative communic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by using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concentrated on the national affairs, or cooperation (HetNet) betwe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이, 클라우드 통신 센터(CCC) 기술에 의하여 협력 통신, 이기종간 협력 등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지국(cloud base station)이라고 한다. 클라우드 기지국의 예로는 에스케이텔레콤의 SCAN(Smart Cloud Access Network), 케이티의 와프(warp), 엘지유플러스의 뱅크 기지국, NSN(Nokia Siemens Networks)의 리퀴드 라디오(liquid radio), 제이티이(ZTE)의 C-RAN 등이 있다.Thus, 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that supports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inter-species cooperation by means of the cloud communication center (CCC) technology is called a cloud base station. Examples of cloud basestations include SK Telecom's Smart Cloud Access Network (SCAN), Katie's warp, LGU Plus's bank base station, NSN's (Nokia Siemens Networks) liquid radio, JT's ZTE's C -RAN.

이러한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협력 통신, 이기종간 협력 등의 설정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디지털 유닛(DU)과 라디오 유닛(RU) 사이의 연결 관계가 다양한 유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안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유닛(DU)과 라디오 유닛(RU) 사이의 연결은 공지된 수동형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 PON) 시스템, 예컨대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구조를 갖는 PON 시스템이 그대로 적용되거나 또는 일부 변형이 되어 적용되기도 한다. 또는, 디지털 유닛(DU)과 라디오 유닛(RU)은 이더넷(Ethernet) 선로를 이용하여 연결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들에서는 설정된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디지털 유닛(DU)과 복수의 라디오 유닛(RU)들 사이의 특정한 연결 관계가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These separate base station systems are typically implemented using a wired network with a variety of connections between the digital unit (DU) and the radio unit (RU) to achieve the set objectives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inter-species coopera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unit DU and the radio unit RU may be performed by a known passive optical network (PON) system, for example, a PON system having a master-slave structure, Or applied in some variations. Alternatively, the digital unit DU and the radio unit RU may be connected using an Ethernet line. Thus, in the conventional separate base station systems, a specific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a plurality of radio units (RUs) is presented so as to efficiently achieve a set purpose.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여러 가지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providing various kinds of communication servic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모드로 활용될 수 있는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that can be utilized in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e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은 국사측에 설치된 특정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DU), 가입자측에 설치된 특정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복수의 라디오 유닛(Radio Unit, RU), 및 상기 복수의 디지털 유닛(DU)과 상기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사이의 연결 관계가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cloud base station switch)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s) according to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national office, a plurality And a cloud base station switch in which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RU can be changed dynamically do.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리형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복수의 디지털 유닛(DU)과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사이의 연결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은 특정 통신망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유형의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을 이용하면, 분산 안테나 시스템, 협력 통신, 다중 모드 기지국 등의 서비스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onnections between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a plurality of radio units RU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mmunication service supported by the separate base station. Therefore, the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ing used for a specific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be utilized for building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networks. Also, by using the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provide the services of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the multi-mode base 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의 일 구현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of Figure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s defin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when specifical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10)은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12),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cloud base station switch, 14), 및 복수의 무선 유닛(16)을 포함한다. 복수의 무선 유닛(16) 각각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18)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10 includes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s) 12, a cloud base station switch 14, and a plurality of wireless units 16. Each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units 16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antennas 18.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100)이란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유닛(12)과 무선 전파를 처리하고 송수신하는 라디오 유닛(16)을 분리하여 구성된 기지국 시스템이다. 이러한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100)은 휴대용 단말, 특히 스마트 폰과 테블릿 컴퓨터의 광범위한 보급에 따른 트래픽 증가와 통신 시설의 녹색(green)화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구조가 클라우드 통신 센터(Cloud Communication Center, CCC) 형태로 변경되면서 새로운 통신 네트워크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가 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100 is a base station system configured by separating a digital unit 12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s and a radio unit 16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radio waves. This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100 is designed to support the growing traffic and the greening of communication facilities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portable terminals, especially smart phones and tablet computers, CCC) is becoming a key component of new communication networks.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10)에서 통상적으로 디지털 유닛(12)은 국사 측에 위치하며 라디오 유닛(16)은 가입자(단말) 측에 위치한다. 즉, 기존의 기지국 위치인 옥외에는 라디오 유닛(16)만을 설치하는 대신 디지털 유닛(12)은 국사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옥외에 설치되는 통신 시설을 줄이고 경량화할 수 있다. 그리고 경량화된 라디오 유닛(16)은 확대 설치가 용이하여 무선 데이터의 폭증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망의 진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무선 통신 기술, 예컨대 와이브로(Wibro), 3세대 이동통신(WCDMA), 4세대 이동통신(LTE 등), 와이파이(WiFi) 등의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the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10, the digital unit 12 is typically located at the national office side and the radio unit 16 is located at the subscriber (terminal) side. That is, instead of installing only the radio unit 16 in the outside of the existing base station location, the digital unit 12 can be located within the national territory, thereby reducing the communication facilities installed outside and reducing the weight. The lightweight radio unit 16 can be easily enlarged and installed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explosion of wireless data. (WiBi),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WCDMA),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LTE, etc.), WiFi (WiFi), and the like,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can be integrally provided.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12)은 각각 디지털 신호를 처리한다.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12)은 총 N개로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12)은 모두 동일한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한 기지국의 디지털 유닛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한 기지국의 디지털 유닛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12)은 각각 LTE 기지국 디지털 유닛, 와이브로 기지국 디지털 유닛, WCDMA 기지국 디지털 유닛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12) each process digital signals.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12) are N in number, and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12 may all be digital units of a base station for the sam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or digital units of a base station for two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12 may be any one of an LTE base station digital unit, a WiBro base station digital unit, and a WCDMA base station digital un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16)은 각각 무선 신호를 처리한다.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16)은 총 M개로서, M도 2이상의 정수이다. M과 N이 동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복수의 라디오 유닛(DU, 16)은 모두 동일한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한 기지국의 라디오 유닛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한 기지국의 라디오 유닛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라디오 유닛(DU, 12)은 각각 LTE 기지국 라디오 유닛, 와이브로 기지국 라디오 유닛, WCDMA 기지국 라디오 유닛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plurality of radio units (RU, 16) each process radio signals. A plurality of radio units (RU, 16) are M, and M is an integer of 2 or mor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 and N need not be the same.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DU 16 may all be radio units of the base station for the same radio communication technology or radio units of the base station for two or more radio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DU 12 may be any one of an LTE base station radio unit, a WiBro base station radio unit, and a WCDMA base station radio un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16)은 각각 하나 이상의 안테나(18)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18)의 종류 및/또는 특성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각 라디오 유닛(RU, 16)에서 지원하는 무선 통신 기술에 따른 무선 신호의 송수신에 적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안테나(18)는 하나 이상의 통신 기술에 따른 무선 신호의 송수신도 지원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RU) 16 has one or more antennas 18. In this embodiment,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and / or the characteristic of the antenna 18, and it may be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adio signals according to the radio communication technology supported by each radio unit (RU) 16.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antenna 18 may also suppor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signals in accordance with one or more communication techniques.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14)는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12)과 복수의 라디오 유닛(16, RU)을 동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동적으로 연결한다'는 것은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12) 각각과 복수의 라디오 유닛(16, RU) 각각 사이의 연결 관계가 설정되는 네트워크의 목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둘 이상의 라디오 유닛(16, RU)이 집합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지털 유닛(12, DU)과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이종의 디지털 유닛(12, DU)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협력하면서 집합적으로 하나의 디지털 유닛으로서 기능하도록 복수의 라디오 유닛(16, RU)과 연결될 수 있다.The cloud base station switch 14 dynamically connects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12 with a plurality of radio units 16, RU. Here, 'dynamically connecting' means that various connections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network in which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12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16 and RU is set it means. For example, two or more radio units 16, RU may be collectively associated with one or more digital units 12, DU, or heterogeneous digital units 12, DU, which support different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adio units (16, RU) so as to function collectively as one digital unit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12)과 복수의 라디오 유닛(16, RU) 사이에 동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14)는 다양한 연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12)과 복수의 라디오 유닛(16, RU) 사이의 연결 형태는 스타형(star type)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12)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유닛(16, RU) 사이의 연결 형태는 링형(ring type), 나무형(tree type), 메쉬형(mesh type), 케스케이드형(cascade type) 등이 될 수 있다.The cloud base station switch 14 may have various connection forms so that a dynamic connection can be made between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12 and a plurality of radio units 16, RU. For example, the connection type between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12 and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16 and RU may be a star type. The connection form between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16 and RU to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12 may be a ring type, a tree type, a mesh type, a cascade type cascade type).

도 2는 도 1의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복수의 디지털 유닛(DU)과 복수의 라디오 유닛(RU)을 연결하는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다만, 도 2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동작 제어부(142, 도 1 참조)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2에 도시된 예는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를 이용하여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을 구축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협력 통신(Coordinated Multi-Point, CoMP)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일 수 있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은 흩어져 있는 여러 개의 기지국 안테나가 하나의 셀(cell)을 형성하는 시스템을 가리키며, 협력 통신은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및/또는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사이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가리킨다.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ynam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a plurality of radio units RU using the cloud base station switch of FIG. In FIG. 2, the operation control unit 142 (see FIG. 1)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 example shown in FIG. 2 may be a case of constructing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using a cloud base station switch or a cooperative multi-point (CoMP) system, It is an example.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refers to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scattered base station antennas form one cell,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 or a plurality of radio units (RU) In-cooperation.

이러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 또는 협력 통신은 하나의 디지털 유닛(DU)에 복수의 라디오 유닛(RU)을 연결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정의 연결 형태를 갖는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14a)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디지털 유닛(예컨대, 참조 번호 12-1의 DU)은 복수의 라디오 유닛(예컨대, 참조 번호 16-1, 16-2, 16-3의 RU)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나머지 디지털 유닛(12-2, … ,12-N)과 복수의 라디오 유닛(16) 사이의 연결 관계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데, 이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통신 시스템의 목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Such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or cooperative communication can be realiz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radio units (RU) to one digital unit DU. 2, one of the digital units (e.g., DU of reference numeral 12-1)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adio units (e.g., reference numerals 16-1, 16-2, and 16-3) by a cloud base station switch 14a having a predetermined connection form, 16-2, and 16-3, respectively). In FIG. 2,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emaining digital units 12-2, ..., 12-N and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16 is not shown. This i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

도 3은 도 1의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복수의 디지털 유닛(DU)과 복수의 라디오 유닛(RU)을 연결하는 다른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다만, 도 3에서도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동작 제어부(142, 도 1 참조)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3에 도시된 예는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중 모드 기지국(multi-RAT base station)을 구축하거나 또는 협력 통신(Coordinated Multi-Point, CoMP)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일 수 있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협력 통신은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및/또는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사이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가리킨다. 그리고 다중 모드 기지국은 하나의 라디오 유닛(RU)이 복수의 통신 기술에 따른 기지국의 역할, 예컨대 와이브로(wibro), 와이파이(WiFi), LTE, WCDMA 등의 통신 표준에 따른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가리킨다. 그리고 이 라디오 유닛(RU)에는 담당하고 있는 셀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필요한 디지털 유닛(DU)이 동적으로 할당된다.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dynam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a plurality of radio units RU using the cloud base station switch of Fig. 3, the operation control unit 142 (see FIG. 1)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 example shown in FIG. 3 may be a case of building a multi-RAT base station or a Coordinated Multi-Point (CoMP) system using a cloud base station switch, will be. As described above,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refers to a system that supports communication through organic cooperation between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 or a plurality of radio units (RU). A multi-mode base station is a system in which one radio unit (RU) performs a role of a base station in accordance with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WiBro, WiFi, LTE and WCDMA Lt; / RTI > In this radio unit RU, necessary digital units DU are dynamically alloc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of the cell in charge.

이러한 다중 모드 기지국 또는 협력 통신은 하나의 라디오 유닛(RU)에 서로 다른 통신 표준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유닛(RU)을 연결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정의 연결 형태를 갖는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14b)에 의하여 서로 다른 통신 표준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유닛(예컨대, 참조 번호 12-1, 12-2, 12-3의 DU)은 특정 라디오 유닛(예컨대, 참조 번호 16-1의 RU)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참조 번호 12-1의 DU는 와이브로 통신 기술에 따른 디지털 유닛이고, 참조 번호 12-2의 DU는 WCDMA 통신 기술에 따른 디지털 유닛이고, 참조 번호 12-3은 LTE 통신 기술에 따른 디지털 유닛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는 나머지 복수의 디지털 유닛(12)과 나머지 라디오 유닛(16-2, … ,16-M) 사이의 연결 관계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데, 이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통신 시스템의 목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Such multi-mode base station or cooperative communication can be realiz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RU) accord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 standards to one radio unit (RU). 3,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e.g., DUs 12-1, 12-2, and 12-3) accord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 standards by the cloud base station switch 14b having a predetermined connection form And is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radio unit (e.g., an RU of reference numeral 16-1). Here, for example, DU of reference numeral 12-1 is a digital unit according to the WiBro communication technology, DU of reference numeral 12-2 is a digital unit according to WCDMA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reference numeral 12-3 is a digital unit according to the LTE communication technology Digital unit. In FIG. 3,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emaining plurality of digital units 12 and the remaining radio units 16-2, ..., 16-M is not shown,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14)는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10)에 포함되는 디지털 유닛(DU, 12)들 및/또는 라디오 유닛(RU, 16)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42)는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14)가 디지털 유닛(12) 및/또는 라디오 유닛(16)들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협력 통신, 다중 모드 기지국 시스템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디지털 유닛(12)과 라디오 유닛(16)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될 수 있도록 한다.1, the cloud base station switch 14 comprises an operation control unit 1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units DU, 12 and / or radio units RU 16 included in the discrete base station system 10, (Not shown). The operation control unit 14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unit 12 and / or the radio unit 16 to enable the cloud base station switch 14 to smoothly perform cooperative communication, a multi-mode base station system, And the maintenance / management cost of the radio unit 16 can be reduced.

일례로, 동작 제어부(142)는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16)의 동작이 시간적으로 동기화(synchronization)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협력 통신 등을 위해서는 서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라디오 유닛(RU)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수적인데, 동작 제어부(142)에 의하여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16)의 동작이 동기화됨으로써, 협력 통신 등이 원활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기화를 위하여 동작 제어부(142)가 참조하는 시간 정보의 원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동작 제어부(142)는 지피에스(GPS)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42 may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RUs) 16 to be synchronized in terms of time.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cooperate with a plurality of radio units RU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RU 16 are synchroniz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142, Can be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ource of the time information referred to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142 for synchronization. For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42 may acquire time information using a GPS synchronization signal.

그리고 동작 제어부(142)는 디지털 유닛(DU, 12) 및/또는 라디오 유닛(RU, 16)들 각각의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14)에 의하여 특정 시간에 사용자 서비스가 할당되지 않은 디지털 유닛(DU)이나 라디오 유닛(RU)들은 저전력 모드인 휴지 상태(idle state)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시간에 휴지 상태에 있는 디지털 유닛(DU) 및/또는 라디오 유닛(RU)에 의한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디지털 유닛(DU) 및/또는 라디오 유닛(RU)이 활동 상태(active state)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142 can control the on / off states of the digital units DU and 12 and / or the radio units RU 16 to be switched. For example, digital unit DUs or radio units (RU) that are not assigned user services at a particular time by the cloud base station switch 14 may be in a low power mode idle state. And the digital unit DU and / or the radio unit RU is in an active state when service is required by the digital unit DU and / or the radio unit RU in the idle state at another time .

또한, 동작 제어부(142)는 디지털 유닛(DU)과 라디오 유닛(RU) 사이의 연결 관계가 변경되는 경우, 예컨대 연결 모드 등의 변경을 위하여 특정 라디오 유닛(RU)에 연결되는 디지털 유닛(DU)이 변경되거나 또는 반대의 경우에,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보들을 라디오 유닛(RU)들 사이 및/또는 디지털 유닛(DU)들 사이에 신속하게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연결된 라디오 유닛(RU)에 연결된 디지털 유닛(DU)이 변경되는 경우 등에도, 변경 전의 디지털 유닛(DU)이 가지고 있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변경 후의 디지털 유닛(DU)이 전달 받음으로써, 단말이 변경 후의 디지털 유닛(DU)으로부터 신속하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142 also controls the digital unit DU connected to the specific radio unit RU to change the connection mode or the like when the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 digital unit DU and the radio unit RU is changed, Or to transfer information between radio units (RUs) and / or digital units (DUs) quickly, in order to guarantee service continuity. This is because,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unit DU connected to the radio unit RU to which a particular user is connected is changed, information about the user owned by the digital unit DU before the change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unit DU ) So that the terminal can quickly receive service from the changed digital unit (DU).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만 특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is embodi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specified only by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and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2-1, 12-2, 12-3, 12-N : 디지털 유닛
14, 14a, 14b :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
16-1, 16-2, 16-3, 16-M : 라디오 유닛
142 : 동작 제어부
12-1, 12-2, 12-3, 12-N: Digital unit
14, 14a, 14b: Cloud base station switch
16-1, 16-2, 16-3, 16-M: radio unit
142:

Claims (6)

국사측에 설치된 특정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DU);
가입자측에 설치된 특정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복수의 라디오 유닛(Radio Unit, RU); 및
상기 복수의 디지털 유닛(DU)과 상기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사이의 연결 관계가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cloud base station switch)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유닛(DU)과 상기 복수의 라디오 유닛(RU)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유닛(DU)과 상기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각각의 온/오프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
A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s) according to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national office;
A plurality of radio units (RUs) according to a specific radio communication system installed on the subscriber side; And
And a cloud base station switch in which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RU can be dynamically changed,
The cloud base station switch includes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RU,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capable of switching on / off states of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RU).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라디오 유닛(RU)의 동작이 시간적으로 동기화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RU) to be synchronized in terms of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유닛(DU)과 상기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사이의 연결 관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서비스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디지털 유닛(DU)과 상기 복수의 라디오 유닛(RU)의 동작을 제어하는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RU so that continuity of service can be ensured even when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and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RU is changed. A separate base st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radio unit (RU).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중에서 하나의 디지털 유닛(DU)에 상기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중에서 둘 이상의 라디오 유닛(RU)을 연결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또는 협력 통신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oud base station switch includes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that connects two or more radio units (RU) among the plurality of radio units (RU) to one digital unit (DU) of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 Or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지국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라디오 유닛(RU) 중에서 하나의 라디오 유닛(RU)에 상기 복수의 디지털 유닛(DU) 중에서 서로 다른 통신 표준에 따른 둘 이상의 디지털 유닛(DU)을 연결하는 다중 모드 기지국 또는 협력 통신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oud base station switch includes a multi-mode base station (BS) for connecting two or more digital units (DU) accord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 standards among the plurality of digital units (DU) to one radio unit (RU) Or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KR1020130106509A 2012-09-24 2013-09-05 Separate base station KR10169774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054 2012-09-24
KR20120106054 2012-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991A KR20140039991A (en) 2014-04-02
KR101697749B1 true KR101697749B1 (en) 2017-02-01

Family

ID=5065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509A KR101697749B1 (en) 2012-09-24 2013-09-05 Separate bas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7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564B1 (en) 2020-12-23 2022-06-2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for processing the clustering and declustering of RU in C-RAN type base s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057B1 (en) * 2014-07-29 2015-11-23 (주)씨맥스와이어리스 Distributed radio base station
KR101701955B1 (en) 2015-05-14 2017-02-03 (주)엠에스전자 Power connection apparatus for radio unit
KR101877004B1 (en) * 2017-09-29 2018-07-10 주식회사 쏠리드 Openflow based distributed antenn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740B1 (en) * 2008-05-08 2010-12-01 유파인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Cascade type multiplex radio communication relay system
KR101082022B1 (en) * 2008-10-24 2011-11-10 주식회사 케이티 digital repeater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789559B1 (en) * 2010-08-11 201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to transmit/receive a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radio units
KR101472100B1 (en) * 2010-12-22 2014-12-11 주식회사 케이티 Base stat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564B1 (en) 2020-12-23 2022-06-2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for processing the clustering and declustering of RU in C-RAN type bas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991A (en)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790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61668B1 (en) Master reference for base station network interface sourced from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357515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implementing time synchronization
CN101959196B (en)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source sharing method and WLAN network system
JP53671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radio frequency unit discovery and topology construction
RU2012102074A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ND MOBILE COMMUNICATION CENTER
US10194331B2 (en) Remote radio unit hub (RHUB), indoor communications system,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JP5894094B2 (en) Distributed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OLT unit, and ONU unit
EP1947873B1 (en) Multi-mode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KR101697749B1 (en) Separate base station
CN104581737B (en) Base band frame, base station and method for realizing multi-mode base station by single base band frame
JP2020529784A (en) Core network access method by terminal, base station and terminal
CN105743582A (en) Multi-service access digital-analog hybrid networking all-optical distributed system
CN102186265A (en) Distributed base station and networking method thereof
EP3465440A1 (en) Multiple application devices for providing services in wireless distribution systems (wds), includ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52104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ignal path of a radio communication
CN103841591B (en)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handled for realizing base band data in BBU cell systems
CN103580708A (en) Transceiver device, array antenna device and indoor and outdoor cover system
CN107547135B (en) Method, device and networking system for realizing BBU (base band Unit) and RRU (remote radio unit) networking
EP1763179B1 (en) An integrative access system of wireless and wired network
CN108834111B (en) Dual-mod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d hoc network
CN102801452A (en) Data partitioning-based multi-antenna cooperative working method in multimode terminal
CN104661235A (en) Networking method and device
CN104320783A (en) ROF radio frequency switching system and radio frequency switching method
CN203968134U (en) Optical fiber, Ethernet mixed type multi-service Digital Acc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