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774B1 -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774B1
KR101694774B1 KR1020150154494A KR20150154494A KR101694774B1 KR 101694774 B1 KR101694774 B1 KR 101694774B1 KR 1020150154494 A KR1020150154494 A KR 1020150154494A KR 20150154494 A KR20150154494 A KR 20150154494A KR 101694774 B1 KR101694774 B1 KR 10169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time
input
secret key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신
Original Assignee
최승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신 filed Critical 최승신
Priority to KR102015015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774B1/ko
Priority to CN201610457915.4A priority patent/CN106485848B/zh
Priority to US15/207,856 priority patent/US117273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774B1/ko
Priority to US18/341,024 priority patent/US202303344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밀키가 설정된 이동식 메모리를 사용시 사용자가 비밀키를 입력하여 보안을 해제시켜 사용하는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장매체 별로 설정된 고유키가 저장되는 고유키 저장부와; 기 설정된 비밀키가 저장되는 비밀키 저장부와; 접속단자를 통해 단말기와 접속되는 접속모듈과; 단말기와의 연결 및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메모리와: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속인터페이스와; 사용자로부터 비밀키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일회성 비정형 배열 구조의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는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트롤러와; 사용자에게 입력 키패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상에서 이동식 저장매체에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있어, 입력 위치가 일회성으로 랜덤하게 배열된 원타임 키패드(OTK, Onetime Ketpad)를 생성하여, 원타임 키패드 상에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동식 저장매체의 보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USING ONETIME-KEYPAD }
본 발명은 이동식 메모리에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밀키가 설정된 이동식 메모리를 사용시 사용자가 비밀키를 입력하여 보안을 해제시켜 사용하는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컴퓨터 단말기에 기록된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하여 이동식 저장매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저장매체로는 대표적으로 USB 메모리 장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USB 메모리 장치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운영체계에 로딩하여 상기 USB 메모리 장치를 하나의 내부 메모리 장치로 인식한 후에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통신을 이행한다.
한편, 이와 같은 이동식 저장매체는 사용상의 편의성과 메모리 집약도의 발전에 따라, 다양하고 광범위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저장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식 저장매체는 보안성이 요구되는 전자화된 데이터를 대량으로 용이하게 유출시킬 수 있어, 보안상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식 저장매체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최근 가장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은 이동식 저장매체 및 이동식 단말기를 이용하는 단말기 내에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해당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와 이동식 저장매체만이 데이터의 입출력을 허용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다양한 단말기에서 이동식 저장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범용성이 확보되지 않아 사용상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7551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저장매체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일치된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이동식 저장매체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선행기술에서는 이동식 저장매체를 사용함에 있어, 비밀번호 입력 위치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경우, 이동식 저장매체의 보안이 무력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75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식 저장매체(USB)가 단말기(PC)에 삽입된 경우, 단말기 상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있어, 입력 위치가 일회성으로 랜덤하게 배열된 원타임 키패드(OTK, Onetime Ketpad)를 생성하여, 원타임 키패드 상에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동식 저장매체의 보안성이 향상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장매체 별로 설정된 고유키가 저장되는 고유키 저장부와; 기 설정된 비밀키가 저장되는 비밀키 저장부와; 접속단자를 통해 단말기와 접속되는 접속모듈과; 단말기와의 연결 및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메모리와: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속인터페이스와; 사용자로부터 비밀키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일회성 비정형 배열 구조의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는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트롤러; 그리고 사용자에게 입력 키패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원타임키패드를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키와 상기 이동식저장매체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식 메모리의 보안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식 메모리와 통신하는 NFC 통신부와; 상기 이동식 메모리로부터 고유키를 전송받아, 상기 고유키를 통해 일회성 비정형 배열 구조의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는 원타임키패드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원타임키패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력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식 메모리는, 상기 출력단말기와 근거리 통신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NFC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이고, 상기 입력단말기는 PC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 및 원타임키패드 생성부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로부터 전송된 고유키를 통해 일회성 비정형 배열 구조의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원타임키패드로부터 식별표지가 삭제된 하나 이상의 널(null)키를 포함하는 보안키패드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 및 원타임키패드 생성부는, 상기 고유키와 생성시각에 따라 생성되는 동기화키를 이용하여 배열키를 생성하고, 상기 배열키를 이용하여 서로 동기화된 원타임 키패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원타임 키패드는, 설정된 순서 위치의 상기 배열키를 설정된 순서 위치의 키패드 위치에 매칭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입력단말기가 상기 이동식 메모리의 접속을 인식하는 단계와; (B) 상기 이동식 메모리로부터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유키 및 비밀키를 수신받는 단계와; (C) 수신된 상기 고유키를 통해 일회성 비정형 배열 구조의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사용자에게 입력 키패드를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E)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키와 상기 이동식 메모리로부터 전송된 비밀키를 비교하여, 상기 비밀키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식 메모리의 보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방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D) 단계의 입력 키패드는, 원타임키패드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원타임키패드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출력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식메모리의 접속을 인식하는 단계와; (b) 상기 이동식 메모리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고유키를 수신받는 단계와; (c) 수신된 상기 고유키를 통해 일회성 비정형 배열 구조의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d) 사용자에게 생성된 원타임키패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D) 단계의 입력 키패드는, 상기 원타임키패드로부터 식별표지가 삭제된 하나 이상의 널(null)키를 포함하여 생성된 보안키패드이고; 상기 (E) 단계의 사용자의 비밀키 입력은, 상기 보안키패드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타임키패드는, 상기 고유키와 생성시각에 따라 생성되는 동기화키를 이용하여 배열키를 생성하고, 상기 배열키를 이용하여 서로 동기화되어 생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원타임 키패드는, 설정된 순서 위치의 상기 배열키를 설정된 순서 위치의 키패드 위치에 매칭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 상에서 이동식 저장매체에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있어, 입력 위치가 일회성으로 랜덤하게 배열된 원타임 키패드(OTK, Onetime Ketpad)를 생성하여, 원타임 키패드 상에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동식 저장매체의 보안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생성된 원타임 키패드를 출력하는 단말기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말기를 분리하여 제공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단말기(PC)상에는 식별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보안성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유에스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의 동작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 생성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을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효과,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에서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된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이동식 메모리(300)와 입력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는 기 설정된 비밀키를 저장하여, 사용 디바이스 상에서 설정된 비밀키와 일치된 비밀키가 입력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이동식 저장매체로, 이를 위해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는 접속모듈(320), 제어모듈(330), 고유키저장부(340) 및 비밀키저장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모듈(320)은 컴퓨터에 연결되는 USB 단자로, 이동식 메모리(300)와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비밀키저장부(350)는 기 설정된 비밀키가 저장되는 부분으로, 상기 비밀키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의 보안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PC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유키저장부(340)는 고유키가 저장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유키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 별로 고유하게 설정된 값으로, 시리얼 번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330)은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가 상기 입력단말기(200)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접속모듈(320)을 통해 상기 비밀키 및 고유키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입력단말기(200)는 상기 이동식 단말기가 접속되는 경우,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여 상기 원타임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비밀키를 입력받고,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비밀키를 전송받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키와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에 설정된 보안의 해제 여부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입력단말기(200)는 접속인터페이스(210), 컨트롤러(240), 입력모듈(220) 및 출력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인터페이스(210)는 상기 접속모듈(320)을 통해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가 접속되는 부분으로, 통상의 USB 접속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모듈(220)은 사용자로부터 비밀키를 입력받는 부분으로, 터치스크린 또는 마우스 등의 휴먼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모듈(230)은 상기 원타임 키패드를 출력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240)는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24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모듈(230)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와 상기 입력모듈(220)을 통해 입력된 비밀키를 비교하여, 양 비밀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에 설정된 보안을 해제한다.
이때, 상기 원타임키패드는 일회성으로 생성되어 소멸되는 것으로, 키패드의 배열형태가 무작위적으로 생성된 것을 의미하고, 상기 무작위적 배열형태는 설치된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먼저 입력단말기(200)가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의 접속을 인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후,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의 제어모듈(330)은 비밀키저장부(350)에 저장된 비밀키와 고유키저장부(340)에 저장된 고유키를 접속모듈(320)을 통해 상기 입력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고유키는 필수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입력단말기(200)가 원타임 키패드를 생성함에 있어, 상기 고유키를 활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단말기(200)가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접속인터페이스(210)를 통해 고유키 및 비밀키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입력단말기(200)의 원타임 키패드 생성모듈(241)은 수신된 상기 고유키를 통해(임의의 랜덤 생성에 의해) 일회성 비정형 배열 구조의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원타임키패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단말기(200)는 생성된 상기 원타임키패드를 출력모듈(230)을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모듈(220)을 통해 비밀키를 상기 원타임키패드 상에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240)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키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 이동식 메모리(300)에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여 데이터의 이동 및 기록을 가능하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컨트롤러(240)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키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의 보안설정상태를 유지하면서, 비밀키입력이 잘못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류메시지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원타임키패드의 출력단말기(100)와 입력단말기(200)를 이원화하여 보안성을 강화한 실시예로,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의 동작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은 출력단말기(100), 이동식 메모리(300) 및 입력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력단말기(100)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고유키를 전송받아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으로, 이를 위해 상기 출력단말기(100)는 NFC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제어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부(110)는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고유키를 수신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20)는 단말기에 구비되는 입력장치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또한, 상기 출력부(130)는 생성된 원타임키패드를 출력하는 부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전송된 고유키를 이용하여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는 부분으로, 이를 위해 상기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는 원타임키패드 생성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부(141)는 시간동기화 방식에 의해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는 바,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 방법에 대하여는 이후 다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수신된 고유키를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는 동안 저장하는 부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캐시메모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는 기 설정된 비밀키를 저장하여, 사용 디바이스 상에서 설정된 비밀키와 일치된 비밀키가 입력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이동식 저장매체로, 이를 위해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는 NFC모듈(310), 접속모듈(320), 제어모듈(330), 고유키저장부(340) 및 비밀키저장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NFC모듈(310)은 상기 출력단말기(100)의 NFC 통신부(110)를 인식하여 근거리 무선통식 방식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접속모듈(320)은 컴퓨터에 연결되는 USB 단자로, 이동식 메모리(300)와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비밀키저장부(350)는 기 설정된 비밀키가 저장되는 부분으로, 상기 비밀키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의 보안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PC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유키저장부(340)는 고유키가 저장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유키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 별로 고유하게 설정된 값으로, 시리얼 번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고유키는 상기 출력단말기(100)와 후술할 입력단말기(200)로 전송되어 시간동기화 방식에 의한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함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330)은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가 상기 출력단말기(100)에 근거리무선통신방식으로 접속되는 경우, 상기 출력단말기(100)로 상기 고유키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가 상기 입력단말기(200)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접속모듈(320)을 통해 상기 비밀키 및 고유키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입력단말기(200)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가 접속되는 경우,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여 상기 원타임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비밀키를 입력받고,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비밀키를 전송받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키와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이동식 단말기에 설정된 보안의 해제 여부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입력단말기(200)는 접속인터페이스(210), 컨트롤러(240), 입력모듈(220) 및 출력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인터페이스(210)는 상기 접속모듈(320)을 통해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가 접속되는 부분으로, 통상의 USB 접속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모듈(220)은 사용자로부터 비밀키를 입력받는 부분으로, 터치스크린 또는 마우스 등의 휴먼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모듈(230)은 상기 원타임 키패드를 출력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240)는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24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원타임키패드로부터 보안키패드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모듈(230)을 통해 출력하며,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와 상기 입력모듈(220)을 통해 입력된 비밀키를 비교하여, 양 비밀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에 설정된 보안을 해제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부(141) 및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241)에서 생성되는 원타임키패드의 생성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원타임키패드는 일회성으로 생성되어 소멸되도록, 키패드의 배열 위치가 무작위적(여기서 무작위라 함은 알고리즘에 의해 랜덤으로 생성된 것을 의미한다)으로 생성된다.
이때,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부(141) 및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241)에서 생성되는 원타임키패드는 동기화된 동일한 원타임키패드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부(141) 및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241)은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수신된 고유키를 이용하여 시간동기화 방식을 통해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부(141) 및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241)은 각각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수신된 동일한 고유키를 공유한다.
그리고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시, 생성시각에 의해 생성되는 동기화키와 상기 고유키를 이용하여 배열키가 생성된다. 이때, 상기 배열키 생성 알고리즘은 단순 연산으로부터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부(141) 및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241)의 원타임키패드 생성시각이 일치한다면,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부(141) 및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241)은 동일한 배열키를 생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시각의 오차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동기화키는 일정 시간단위(예를 들면 분 단위)로 구분된 단위시간별로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열키는 생성될 원타임키패드의 구분개수에 대응하는 진법의 키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원타임키패드의 구분개수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인 경우 상기 배열키는 12진법의 수로 생성되고, 만약 9개인 경우 상기 배열키는 9진법의 수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배열키를 통해 상기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는 경우, 매칭구분이 남거나 모자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부 및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은 각각 생성된 배열키를 이용하여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한다.
상기 원타임키패드는 생성된 배열키를 순차적으로 설정된 순서의 키패드 위치에 매칭하여 생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키가 12진법으로 '8757214493B560BA81'로 생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원타임키패드의 (1,1) 영역에 매칭단위(본 예에서는 숫자) '8'을 매칭하고, (1,2) 영역에 매칭단위 '7'을 매칭하며, (1,3) 영역에 매칭단위 '5'을 매칭하는 순으로 순차적으로 매칭을 수행한다.
여기서 (2,1) 영역에는 매칭단위 '7'이 매칭되어야 하나, 매칭단위 '7'은 이미 (1,2)영역에 매칭되어 있으므로, 배열키의 다음 매칭단위 '2'를 매칭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원타임키패드의 모든 영역에 매칭을 완료하여 상기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배열키로부터의 원타임키패드 매칭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매칭순서를 상기 배열키의 역순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배열키의 홀수 또는 짝수번째 매칭단위 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매칭 과정은 상기 원타임키패드의 영역 중 하나를 제외하고 수행되고, 마지막 한 영역에 대하여는 남은 매칭단위를 매칭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원타임키패드는 입력될 보안키의 개수만큼 생성되고, 상기 보안키 하나의 입력시마다 각각 다른 원타임키패드가 제공되어, 보안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모듈(230)을 통해 출력되는 보안키패드란 생성된 원타임키패드 상에 식별표지(숫자, #, *, 기호 등)가 표시되지 않은 것(이하 '널(null)키'라 한다)을 말한다.
즉, 상기 출력단말기(100)에는 생성된 원타임키패드를 식별표지가 표시된 그대로 출력하되, 상기 입력단말기(200)는 생성된 원타임키패드를 식별표지가 삭제된 보안키패드로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메모리(300)가 입력단말기(200) 또는 출력단말기(100)에 접속되는 것이 인식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먼저,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가 출력단말기(100)에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통해 접속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가 상기 출력단말기(100)에 접속되면(S20),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는 고유키를 상기 출력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0).
그리고 상기 출력단말기(100)가 상기 고유키를 수신하면(S34), 상기 수신된 고유키를 이용하여 원타임키패드(OTK)를 시간동기화 방식에 의해 생성한다(S36).
이때, 상기 원타임키패드의 생성 방법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도록 한다.
이후, 상기 출력단말기(100)는 상기 생성된 원타임키패드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한다(S38).
다음으로,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가 입력단말기(200)에 접속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가 상기 입력단말기(200)에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면(S10),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는 고유키를 상기 입력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상기 입력단말기(200)가 상기 고유키를 수신하도록 한다.(S30, S32).
또한,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는 비밀키를 상기 입력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상기 입력단말기(200)가 상기 비밀키를 수신하도록 한다.(S40, S42).
그리고 상기 입력단말기(200)가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유키 및 비밀키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입력단말기(200)의 원타임 키패드 생성모듈은 수신된 상기 고유키를 통해 시간동기화 방식에 의해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한다(S50).
여기서 상기 원타임키패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단말기(200)는 생성된 상기 원타임키패드로부터 식별표지가 삭제된 형태의 보안키패드를 생성하여 출력모듈(230)을 통해 출력한다(S60).
이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모듈(220)을 통해 비밀키가 상기 보안키패드 상에 입되면, 상기 컨트롤러(240)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키의 일치여부를 판별한다(S70, S80).
그리고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키가 일치하는 경우, 이동식 메모리(300)에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여 데이터의 이동 및 기록을 가능하도록 한다(S92).
반면에,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키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의 보안설정상태를 유지하면서, 비밀키입력이 잘못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류메시지를 출력한다(S94).
여기서, 각 수행단계의 시계열적 수행 순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예시적으로 구분한 것으로, 단위기능의 수행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식 메모리(300)의 출력단말기(100) 또는 입력단말기(200)의 접속 순서는 바뀔 수 있으며, 동시에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즉, 시간동기화 구분 단위 시간 이내에만 양 접속이 이루어지면 동일한 원타임키패드가 생성되므로 시간적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메모리(300)로부터 입력단말기(200)로의 비밀키 전송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키와의 일치 여부 판단 이전의 모든 시간에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원타임키패드의 출력위치(단말기)와 비밀키 입력위치를 이원화시켜, 입력단말기가 해킹되거나 비밀키 입력모습이 타인에게 노출되어도, 어떤 번호를 입력하는지 여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설정된 비밀키의 보안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비밀키가 설정된 이동식 메모리를 사용시 사용자가 비밀키를 입력하여 보안을 해제시켜 사용하는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상에서 이동식 저장매체에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있어, 입력 위치가 일회성으로 랜덤하게 배열된 원타임 키패드(OTK, Onetime Ketpad)를 생성하여, 원타임 키패드 상에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동식 저장매체의 보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00 : 출력단말기 110 : NFC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제어부 141 : 원타임키패드 생성부
150 : 저장부 200 : 입력단말기
210 : 접속인터페이스 220 : 입력모듈
230 : 출력모듈 240 : 컨트롤러
241 :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 300 : 이동식 메모리
310 : NFC모듈 320 : 접속모듈
330 : 제어모듈 340 : 고유키저장부
350 : 비밀키저장부

Claims (8)

  1. 저장매체 별로 설정된 고유키가 저장되는 고유키 저장부와;
    기 설정된 비밀키가 저장되는 비밀키 저장부와;
    접속단자를 통해 단말기와 접속되는 접속모듈; 그리고
    단말기와의 연결 및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메모리와:
    상기 이동식 메모리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속인터페이스와;
    사용자로부터 비밀키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일회성 비정형 배열 구조의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는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트롤러; 그리고
    사용자에게 입력 키패드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원타임키패드를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키와 상기 이동식메모리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식 메모리의 보안 해제 여부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메모리는 USB 저장장치이고,
    상기 입력단말기는 PC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은,
    상기 이동식 메모리로부터 전송된 고유키를 통해 일회성 비정형 배열 구조의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5. (A) 입력단말기가 이동식 메모리의 접속을 인식하는 단계와;
    (B) 상기 이동식 메모리로부터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유키 및 비밀키를 수신받는 단계와;
    (C) 수신된 상기 고유키를 통해 일회성 비정형 배열 구조의 원타임키패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사용자에게 입력 키패드를 출력하는 단계와;
    (E)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키와 상기 이동식 메모리로부터 전송된 비밀키를 비교하여, 상기 비밀키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식 메모리의 보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입력 키패드는,
    원타임키패드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원타임키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메모리는 USB 저장장치이고,
    상기 입력단말기는 PC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A)단계는,
    상기 입력단말기가 상기 이동식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키 입력을 위한 설치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방법.
KR1020150154494A 2015-08-31 2015-11-04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694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94A KR101694774B1 (ko) 2015-11-04 2015-11-04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201610457915.4A CN106485848B (zh) 2015-08-31 2016-06-22 利用一次性键盘的密钥输入系统及方法
US15/207,856 US11727371B2 (en) 2015-08-31 2016-07-12 Security key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one-time keypad
US18/341,024 US20230334452A1 (en) 2015-08-31 2023-06-26 Security key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one-time key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94A KR101694774B1 (ko) 2015-11-04 2015-11-04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774B1 true KR101694774B1 (ko) 2017-01-10

Family

ID=5781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494A KR101694774B1 (ko) 2015-08-31 2015-11-04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7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3064A (ko) * 2006-10-10 2008-04-16 김상훈 외장형데이터저장장치의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87551B1 (ko) 2008-09-18 2009-03-09 (주)화이트클라우드 잠금장치를 구비한 유에스비
KR102009003B1 (ko) * 2013-02-08 2019-08-08 시게이트 테크놀로지 엘엘씨 다중 계층 메모리 구조에 에러 정정 코드(ecc) 데이터의 저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3064A (ko) * 2006-10-10 2008-04-16 김상훈 외장형데이터저장장치의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87551B1 (ko) 2008-09-18 2009-03-09 (주)화이트클라우드 잠금장치를 구비한 유에스비
KR102009003B1 (ko) * 2013-02-08 2019-08-08 시게이트 테크놀로지 엘엘씨 다중 계층 메모리 구조에 에러 정정 코드(ecc) 데이터의 저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1989B2 (en) Secure shared key sharing systems and methods
EP3333753A1 (en) Verified privacy mode devices
EP2930642A1 (en) Method and password verifying device for verifying an input password, and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password verifying device
CN103220280A (zh) 动态口令牌、动态口令牌数据传输方法及系统
US2015012151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ntering data
US20180309744A1 (en) Storag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N103946856A (zh) 加解密处理方法、装置和设备
KR100664680B1 (ko) 다수의 비밀번호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용 관리장치
KR20210017083A (ko) 퓨즈된 키에 기반하여 증명 인증서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6547435B (zh) 输入设备及其控制方法
CN112612486A (zh) 存储器烧录方法、装置和待烧录芯片
WO2016106774A1 (zh) 一种图案锁的解锁方法及终端
CN103793644A (zh) 信息安全设备实现多应用的方法、信息安全设备和系统
US11210678B2 (en) Component for provisioning security data and product including the same
KR101694774B1 (ko)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657388B1 (ko) 암호화될 데이터의 정보량에 기반하여 암호화에 사용될 키를 선택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9560918B (zh) 一种ntru密钥生成的方法和终端设备
KR20200088591A (ko) 세션 키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101704741B1 (ko) 이동식 메모리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109313684B (zh) 可编程显示器、可编程显示器的安全管理方法及可编程显示器的安全管理程序
CN108990041B (zh) 一种进行主副卡设置的方法和设备
WO2014156693A1 (ja) 情報端末、ロック解除方法及びロック解除プログラム
KR101692919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키패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3919A (ko)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WO2018105304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