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482B1 - Headset with a function for cancelling howling and echo - Google Patents

Headset with a function for cancelling howling and ech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482B1
KR101693482B1 KR1020150098929A KR20150098929A KR101693482B1 KR 101693482 B1 KR101693482 B1 KR 101693482B1 KR 1020150098929 A KR1020150098929 A KR 1020150098929A KR 20150098929 A KR20150098929 A KR 20150098929A KR 101693482 B1 KR101693482 B1 KR 10169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peaker unit
howling
headse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37291A (en
Inventor
김은동
Original Assignee
중소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소기업은행 filed Critical 중소기업은행
Priority to PCT/KR2015/00915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10610A1/en
Publication of KR2016013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2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7/00Details of public address [PA] systems covered by H04R27/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7/007Electronic adaptation of audio signals to reverberation of the listening space for P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제1 스피커 유닛이 구비된 제1 헤드와, 제2 스피커 유닛 및 착용시 사용자의 외이도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마이크가 구비된 제2 헤드와, 모바일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기기로부터 하울링 포착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스피커 유닛으로의 음향 신호 출력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헤드셋이 개시된다. 이에 의할 때, 외부로부터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음성을 충분히 포착하되 하울링과 에코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깨끗한 음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음성 인식 기기에 적용될 때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A first head having a first speaker unit; a second head having a second speaker unit and a microphone arranged to be positioned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the wearer when worn;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device; And stops the output of the acoustic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unit upon receiving the howling acquisition signal from the second speaker unit. In this case, not only the noise from the outside is effectively shielded, but also the user's voice is sufficiently captured, but the generation of the howling and the echo is originally blocked, thereby providing a clear sound to the user, The accuracy of recognition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하울링 및 에코 제거 기능을 갖는 헤드셋 {Headset with a function for cancelling howling and echo}[0001] Headset with a function for canceling howling and echo [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거나 통화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헤드셋(headset)에 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기기에 헤드셋을 연결하고 착용한 상태로 통화할 때의 하울링(howling) 및 에코(echo)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set used for listening to music or making a call using a mobile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necting a headset to a mobil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set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an echo.

과거에는 휴대전화를 손에 쥐고 통화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음악을 감상하거나 또는 통화를 하기 위한 용도로 헤드셋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the past, it was common to talk with a cell phone in hand, but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headsets are widely used to listen to music or make calls.

헤드셋은 통상 이어폰의 형태나 헤드폰의 형태를 가지며, 2개의 스피커(speaker)와 1개의 마이크(microphone)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 headset typically has the form of an earphone or a headphone, and typically has two speakers and one microphone.

사용자는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로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재생하여 듣다가, 전화가 오면 통화기능을 선택하여 헤드셋을 착용한 채로 통화하게 된다. The user wears a headset, plays music on a smartphone and hears it. When a call comes, the user selects a call function and talks while wearing the headset.

음악 감상시 마이크는 작동하지 않으며, 통화 기능이 선택되면 스마트폰은 음악 재생을 중단하고 마이크를 작동시켜 사용자의 음성을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동시에 상대방의 음성을 헤드셋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들려준다.When listening to music, the microphone does not work. When the call function is selected, the smartphone stops playing the music and activates the microphone to transmit the user's voice to the calling party. At the same time, the other party's voice is reproduced through the speaker of the headset to be heard to the user.

한편, 초기의 헤드셋은 통화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10)가 헤드(120)와 분리되며, 별도의 지지대에 의하여 사용자의 입 주위까지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Meanwhile, the initial headse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icrophone 110 is separated from the head 120 and extended to the user's mouth by a separate support, as illustrated in FIG. 1, in order to increase the call sensitivity.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전화 통화시에는 매우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나 일상적인 생활이나 또는 움직임이 많은 환경에서는 거추장스러우며 사용하기에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조깅을 하면서 음악 감상을 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However, such a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it performs very well at the time of telephone conversation but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use in everyday life or in an environment with many movements. For example, it is not suitable for jogging while listening to music.

보다 간편한 헤드셋을 제공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의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되 마이크(210)를 이어폰에 실장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headset, a method of mounting the microphone 210 on the earphone while mainta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wired or wireless earphone as shown in FIG. 2 is also us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부피를 최소화하며 착용의 편리함을 담보할 수는 있으나, 마이크가 사용자의 입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음성만을 정확하게 포착하기 어려우며 외부 소음이 그대로 유입되어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However, since the microphone is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mouth of the use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apture only the user's voice and the external noise is intact. As a result, And the lik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이어폰의 외이도 또는 귓바퀴에 삽입되는 부위에 위치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골전도 방식의 마이크를 이어폰 헤드에 배치하되, 외부로 노출시키는 대신 착용시 사용자의 외이도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외부의 소음이 차단된 상태에서 골전도 방식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만을 포착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이 그것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ttempts have been made to place the microphone on the ear canal or a portion of the ear canal to be inserted. Generally,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is placed on the earphone head, but instead of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ear canal when worn. Thus, in the state where the external noise is blocked, only the voice of the user is captured by the bone conduction system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예컨대, 유럽 특허 제2208367호 "Multifun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hearing and communication with noise cancellation and feedback management"는 외이도 내부에 배치된 골전도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하고, 외부 사운드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음향 청취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시한다.For example, European Patent No. 2208367 entitled " Multifun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hearing and communication with noise cancellation and feedback management "detects a user's voice using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disposed inside the external auditory canal, This paper presents a technique to improve the acoustic listening performance.

또한, 유럽 특허 제1748678호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feedback therein"는 커널형 이어폰의 형태를 채택하되, 마이크가 외이도에 직접 노출되도록 이어피스 내에 배치하는 기술을 공지한다. 이에 의할 때, 스피커와 마이크를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함으로써 스피커로부터 마이크에 이르는 소리의 이동을 감쇄시켜 하울링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European Patent No. 1748678 entitled "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feedback therein "discloses a technique of adopting the form of a canal type earphone, and arranging the microphone in the ear piece so as to be directly exposed to the ear canal. In this case, by arranging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movement of the sound from the speaker to the microphone can be attenuate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howling.

그러나, 이와 같이 골전도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충분한 크기로 검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비록 외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충분히 또렷하게 전달하기 어렵다는 기술적 한계를 가진다.However, when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is used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user's voice signal at a sufficient size. Thus, although this method can effectively block external noise, it has a technical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mit a user's voice signal sufficiently clearly.

또한, 헤드셋의 이어폰 안쪽에 골전도 마이크를 설치하면 외부 소음은 차단할 수 있으나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에 하울링 및/또는 에코가 발생하여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f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is installed inside the earphone of the headset, external noise can be blocked, but howling and / or echo are generated in the acoustic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thereby deteriorating the call quality.

또한, 최근 스마트 기기의 입력 방법으로 음성 인식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사용자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Ambient Noise)제거를 하지 않으면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사용자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섞여 있어 음성 인식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In recent years, voice recognition has been increasingly used as an input method of a smart device. However, if ambient noise generated by a user is not removed, a noise generated in the user's surroundings is mixed with a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There is a problem that accuracy of recognition is low.

문헌 1. 유럽 특허 제2208367호 Multifun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hearing and communiction with noise cancellation and feedback managementEuropean Patent No. 2208367 Multifun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hearing and communiction with noise cancellation and feedback management 문헌 2. 유럽 특허 제1748678호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feedback therein2. European Patent No. 1748678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feedback 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골전도 마이크를 사용하는 대신에, ECM(electret condenser/capacitor microphone) 마이크 또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마이크를 헤드에 실장하여, 외부로부터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음성을 충분히 포착하되 하울링과 에코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깨끗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micro microphone or an electret condenser / capacitor microphon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set capable of effectively shielding noises from the outside, capable of sufficiently capturing user's voice, and capable of providing a clear sound to the user by originally blocking the generation of howling and echo.

또한, 본 발명은 헤드셋의 하울링 및 에코를 제거하여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만이 정확히 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accuracy of speech recognition by removing the howling and echo of a headset so that only a user's voice signal is correctly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스피커 유닛이 구비된 제1 헤드와, 제2 스피커 유닛 및 착용시 사용자의 외이도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마이크가 구비된 제2 헤드와, 모바일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하울링 포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으로의 음향 신호 출력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A first head having a first speaker unit; a second head having a second speaker unit and a microphone arranged to be positioned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the wearer when worn;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output of the acoustic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unit upon receiving the howling acquisition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이때, 상기 마이크는 착용시 사용자의 외이도에 밀착되지 않고 외이도 내부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microphone is disposed so as no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the user when worn, but toward the inside of the external ear canal.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는 ECM(electret condenser/capacitor microphone) 마이크 또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마이크일 수 있다.Preferably, the microphone may be an electret condenser / capacitor microphone (ECM) microphone or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microphone.

한편,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하울링 또는 에코에 해당하는 파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Meanwhile, when a waveform corresponding to howling or echo is detected in the acoustic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he controller performs a process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peaker unit.

이러한 제어부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하울링 포착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천이하는데,The control unit transitions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upon receiving the howling acquisition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제1 상태에서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 상기 제1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상기 마이크로 유입되지 않도록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In the first state, the control unit drives the microphone, the first speaker unit, and the second speaker unit,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so that the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speaker unit is not micro-influenced.

제2 상태에서 제어부는,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In the second state, the controller stops driving the second speaker unit, transmits an acoustic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mobile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the acoustic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first speaker unit.

한편,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향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상기 제2 스피커 유닛로의 음향 신호 출력을 재개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resumes the output of the acoustic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unit while the acoustic signal is not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헤드셋에서 하울링이나 에코가 발생되는지 모니터링하여 이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을 충분히 포착하면서도 사용자에게 깨끗한 음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occurrence of howling or echo in the headset, and to provide a method of removing the echo.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sound of clean sound quality while sufficiently capturing the voice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셋의 하울링 및 에코를 제거하여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만이 정확히 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speech recognition by removing the howling and echo of the headset so that only the user's voice signal is correctly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도 1은 마이크와 헤드가 분리되는 구조의 헤드셋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마이크를 이어폰에 실장하는 구조의 헤드셋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가 헤드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헤드셋의 외형과 귀의 안쪽으로 목소리가 전달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과 모바일 기기의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dse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icrophone and a hea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dse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icrophone is mounted on an earphon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headse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icrophone is installed on a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inciple in which a voice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ear.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terlocking of a headset and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means ", "part "," module ", etc. in the specification means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Lt; / RTI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가 헤드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헤드셋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헤드셋을 착용하였을 때 귀의 안쪽으로 목소리가 전달되어 마이크로 신호가 입력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a) is a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a headse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icrophone is installed on a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b) And a voice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to input a micro signal.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은 제1 헤드(302) 및 제2 헤드(301)를 포함하고 있고, 두 헤드에는 각각 하나의 스피커 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두 헤드 중 하나의 헤드인 제2 헤드(301)에는 스피커 유닛(320)과 별도로 마이크(310)가 배치된다.3 (a), a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ead 302 and a second head 301, each head having one speaker unit, one of the two heads A microphone 310 is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speaker unit 320 in the second head 301,

사람의 목소리는 입 밖으로 나가기도 하지만 귀 안쪽으로 고막을 통해 전달이 되기도 한다. 귀를 막고 말을 해보면 본인의 목소리가 들리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어폰 헤드에 마이크를 설치하여 이어폰 착용시 도 3(b)와 같이 마이크가 귀 안쪽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외부 소음을 차단하면서 귀의 안쪽으로 전달되는 목소리만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The voice of a person goes out of the mouth, but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eardrum to the inside of the ear. This is the case where you can hear your voice when you close your ears and talk. Accordingly, when the earphone is worn by attaching a microphone to the earphone head, the microphone is positioned inside the ear as shown in FIG. 3 (b), so that only the voice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ear can be transmitted while blocking external noise.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의 마이크(310)는 사용자가 귀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외이도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것이다. 이를 위해 마이크(310)는 착용시에 사용자의 외이도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거나, 도 3과 같이 외이도 내부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310)가 사용자의 외이도에 밀착되지 않고 외이도 내부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귀의 안쪽으로 전달되는 목소리를 더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을 것이다.The microphone 310 of the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rranged to be located in the ear canal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it in the ear. To this end, the microphone 310 may be dispos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ear canal at the time of wearing, or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side of the ear canal as shown in FIG. When the microphone 310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ear canal without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ear canal of the user, the voice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ear can be captured more efficientl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410)는 헤드셋(420)과 연결되어 헤드셋(420)으로 제어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헤드셋(420)의 마이크(424-2)를 통해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서, 음향 정보의 재생, 통화 기능 및/또는 음성 인식 기능을 가지는 장치일 것이다.4, the mobile device 410 is connected to the headset 420 and transmits control signals and sound signals to the headset 420 and receives sound signals through the microphone 424-2 of the headset 420 And may be a device having playback of audio information, a calling function, and / or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모바일 기기(410)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카메라를 내장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MP3 플레이어를 내장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화기로 구현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410 can use a voice communication,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ervice, and the lik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device 410 can embed a camera to photograph a subject, A portab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that can incorporate a player and reproduce music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모바일 기기(410)와 헤드셋(420) 간의 통신을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써 블루투스(Bluetooth), 인프라레드(Infrare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어느 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be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410 and the headset 420. For example,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Infrared, or Zigbee may be used But it is not limited in any way.

모바일 기기(410)는, 헤드셋(420)으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하울링이나 에코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모니터링의 결과 마이크 수신 신호에서 하울링 또는 에코에 해당하는 파형이 감지되는 경우, 헤드셋(420)으로 하울링이나 에코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리는 '하울링 포착 신호'를 전송한다.The mobile device 410 monitors the acoustic signal received from the headset 420 to detect whether a howling or an echo is generated. When a waveform corresponding to howling or echo is detected in the microphone reception signal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420 transmits a 'howling acquisition signal' indicating that howling or echo is occur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420)은, 제1 스피커 유닛(423-1)을 구비한 제1 헤드(423)와, 제2 스피커 유닛(424-1) 및 마이크(424-2)를 구비한 제2 헤드(424)를 포함하며, 모바일 기기(41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421), 통신부(421)로 수신된 음향 신호를 제1 스피커 유닛(423-1) 및/또는 제2 스피커 유닛(424-1)으로 출력하고 마이크(424-2)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통신부(421)를 통해 모바일 기기(410)로 송신하는 등의 오디오 처리를 수행하는 회로로 구현되는 제어부(422)를 포함할수 있다.The headse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ead 423 having a first speaker unit 423-1 and a second head unit 423 having a second speaker unit 424-1 and a microphone 424-2, A communication unit 421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410 and a first speaker 423-1 and a second speaker 423-1 for receiving the sound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421. [ Or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and transmits the sound signal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424-2 to the mobile device 4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21 And a control unit 42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헤드셋(420)의 제2 헤드(424)에 구비되는 마이크(424-2)는 착용시 사용자의 외이도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더 크고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외이도에 밀착되지 않고 외이도 내부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424-2)는 ECM(electret condenser/capacitor microphone) 마이크 또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마이크일 수 있다.The microphone 424-2 provided in the second head 424 of the headset 420 is disposed to be positioned in the ear canal of the user when worn and is not in contact with the ear canal of the user so as to capture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But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side of the ear canal. Further, the microphone 424-2 may be an electret condenser / capacitor microphone (ECM) microphone or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microphone.

통신부(421)를 통해 모바일 기기(410)로부터 '하울링 포착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422)는 제2 스피커 유닛(424-1)의 구동을 중지시켜 제2 스피커 유닛(424-1)으로의 음향 신호 출력이 차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 스피커 유닛(424-1)의 출력 성분이 마이크(424-2)로 유입됨으로써 발생하는 하울링 및 에코를 제거할 것이다.When receiving the 'howling acquisition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4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21, the control unit 422 stops the driving of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and outputs it to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So that the output component of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will be canceled out of howling and echo caused by entering the microphone 424-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22)는 헤드셋(420)의 상태를 관리하고 각 상태에 따라 스피커 유닛들(423-1, 424-1)과 마이크(424-2)의 동작을 아래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22 manages the state of the headset 42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units 423-1 and 424-1 and the microphone 424-2 according to the respective states, You can control it as well.

제어부(422)는, 음악이나 오디오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초기의 '대기 상태'에서 마이크(424-2)를 구동하지 않고 제1 스피커 유닛(423-1) 및 제2 스피커 유닛(424-1)을 모두 구동하여 음향 신호가 사용자의 양쪽 귀로 출력되도록 할 것이다.The control unit 422 controls the first speaker unit 423-1 and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without driving the microphone 424-2 in the initial 'standby state' in which the music or the audio file is being reproduced, So that the acoustic signal is output to both ears of the user.

모바일 기기(410)로부터 통화 상태의 시작을 알리는 '통화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422)는 헤드셋(420)의 상태를 '대기 상태'에서 '제1 상태(통화 상태)'로 천이하면서 마이크(424-2)를 구동하여 음향 신호를 포착하도록 하고 포착된 음향 신호를 통신부(421)를 통해 모바일 기기(410)로 전송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410)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는 계속해서 제1 스피커 유닛(423-1) 및 제2 스피커 유닛(424-1)로 출력시킨다.The control unit 422 changes the state of the headset 420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first state (call state)' while receiving the 'call signal' indicating the start of the call state from the mobile device 410, (424-2) to capture an acoustic signal, and transmits the acquired acoustic signal to the mobile device (4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21). Further, the acoustic signals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410 are continuously output to the first speaker unit 423-1 and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모바일 기기(410)로부터 하울링이나 에코의 발생을 알리는 '하울링 포착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422)는 헤드셋(420)의 상태를 '제1 상태(통화 상태)'에서 '제2 상태(하울링 제거 상태)'로 천이하고 하울링 발생에 따른 조치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422)는 제2 스피커 유닛(424-1)의 구동을 중지시켜 제2 스피커 유닛(424-1)으로의 음향 신호 출력이 차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 스피커 유닛(424-1)의 출력 성분이 마이크(424-2)로 유입됨으로써 발생하는 하울링 및 에코를 제거한다.The controller 422 changes the state of the headset 420 from the first state (call state) to the second state (howling state) when the mobile terminal 410 receives the 'howling acquisition signal' Removed state) " and performs the ac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howling. That is, the control unit 422 stops the driving of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sound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to be interrupted so that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And eliminates howling and echoes generated when the output component of the microphone 424-2 is introduced into the microphone 424-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22)는 마이크(424-2)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나 스피커 유닛(423-1, 424-1)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스스로 분석하여 하울링 또는 에코에 해당하는 파형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하울링 또는 에코에 해당하는 파형이 감지되면 제2 스피커 유닛(424-1)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22 analyzes the acoustic signals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424-2 or the speaker units 423-1 and 424-1 by itself, Or echo can be detected. If the waveform corresponding to howling or echo is detecte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can be stopp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22)는 상기 제1 상태(통화 상태)에서, 마이크(424-2), 제1 스피커 유닛(423-1) 및 상기 제2 스피커 유닛(424-1)을 모두 구동시키고 제2 스피커 유닛(424-1)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마이크(424-2)로 유입되지 않도록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22 controls the microphone 424-2, the first speaker unit 423-1 and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in the first state (call state) 1) and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so that the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is not introduced into the microphone 424-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22)는 제2 상태에 있더라도 마이크(424-2)를 통해 음향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에는 제2 스피커 유닛(424-1)로의 음향 신호 출력을 재개하였다가, 마이크(424-2)로부터 음향 신호가 수신되기 시작하면 다시 제2 스피커 유닛(424-1)로의 음향 신호 출력을 중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22 resumes the output of the sound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while the acoustic signal is not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424-2 even in the second state It is possible to stop the output of the acoustic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unit 424-1 again when the acoustic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424-2.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과 모바일 기기의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terlocking of a headset and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음향 정보를 재생하여 듣거나 통화하는 동안 기본적으로 제1 헤드(302) 및 제2 헤드(301)에 구비된 스키퍼 유닛들 모두로 음향 신호를 출력 시켜, 사용자가 좋은 품질로 음향 신호를 듣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5, a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skipper units (not shown) provided in the first head 302 and the second head 301 while a user reproduces and hears audio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device,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sound signal with good quality.

그러나 통화 연결이 되고 모바일 기기로부터 '하울링 포착 신호'가 수신되면, 헤드셋은 마이크(310)와 동일한 헤드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스피커 유닛(320)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하울링이나 에코 신호를 제거한다.However, when a call connection is established and a 'howling acquisi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the headset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peaker unit 320 installed in the same head as the microphone 310, thereby removing the howling or echo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울링 포착 신호'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헤드셋에 전달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wling acquisi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headset automatically or manually.

자동으로 전달되는 경우, 모바일 기기가 헤드셋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거나 통화 연결 상태가 되면, 모바일 기기에서 하울링 및 에코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하울링 및 에코 신호가 감지될 때 '하울링 포착 신호'를 헤드셋에 전달할 것이다. When delivered automatically, if the mobile device receives an acoustic signal from the headset or is in a call connection state, it will monitor the howling and echo signals at the mobile device and deliver a 'howling acquisition signal' to the headset when the howling and echo signals are detected .

반면, 수동으로 전달되는 경우, 도 6과 같이 하울링이 발생되고 있음을 인식한 사용자가 모바일 화면을 통해 '하울링 포착 신호 전송' 버튼(610)을 누르면, '하울링 포착 신호'가 모바일 기기로부터 헤드셋으로 전송되고, 헤드셋은 '하울링 포착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스피커 유닛(320)의 동작을 중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over is manually performed, if a user recognizing that howling is occurring as shown in FIG. 6 presses a 'howaring acquisition signal transmission' button 610 on the mobile screen, a 'howling acquisition signal' And the headset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peaker unit 320 in response to the 'howling acquisition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which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which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본 발명은 음향기기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technical field of sound equipment.

410 : 모바일 기기
420: 헤드셋
421: 통신부
422: 제어부
423: 제1 헤드
423-1: 제1 스피커 유닛
424: 제2 헤드
424-1: 제2 스피커 유닛
424-2: 마이크
410: Mobile device
420: Headset
421:
422:
423: first head
423-1: first speaker unit
424: second head
424-1: second speaker unit
424-2: Microphone

Claims (8)

제1 스피커 유닛이 구비된 제1 헤드와,
제2 스피커 유닛 및 착용시 사용자의 외이도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마이크가 구비된 제2 헤드와,
모바일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하울링 포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으로의 음향 신호 출력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통화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마이크, 제1 스피커 유닛 및 제2 스피커 유닛을 구동시켜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 유닛 및 제2 스피커 유닛으로 계속 출력시키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분석하여 하울링 또는 에코의 발생을 알리는 ‘하울링 포착 신호’가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상태를 하울링 제거 상태로 천이하여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의 음향 신호 출력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울링 제거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향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의 음향 신호 출력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A first head having a first speaker unit,
A second head having a second speaker unit and a microphone arranged to be placed in the ear canal of the user when worn,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output of the sound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unit upon receiving the howling acquisition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microphone, the first speaker unit, and the second speaker unit to continuously output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to the first speaker unit and the second speaker unit,
When receiving a 'howling acquisition signal' for analyzing an acoustic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informing the occurrence of howling or echo, the control unit transitions the talk state to the howling cancel state, Stop the sound signal output,
Wherein the control unit resumes the output of the acoustic signal of the second speaker unit while the acoustic signal is not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in the howling-remov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착용시 사용자의 외이도에 밀착되지 않고 외이도 내부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phone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ear canal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ear canal of the user when wo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ECM(electret condenser/capacitor microphone) 마이크 또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phone is an electret condenser / capacitor microphone (ECM) microphone or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micro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98929A 2015-05-22 2015-07-13 Headset with a function for cancelling howling and echo KR1016934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9155 WO2017010610A1 (en) 2015-05-22 2015-08-31 Headset having audio feedback and echo elimina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479 2015-05-22
KR20150071479 2015-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291A KR20160137291A (en) 2016-11-30
KR101693482B1 true KR101693482B1 (en) 2017-01-06

Family

ID=5770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929A KR101693482B1 (en) 2015-05-22 2015-07-13 Headset with a function for cancelling howling and echo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3482B1 (en)
WO (1) WO201701061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6569A (en) * 2017-12-24 2018-06-12 广西玉林市风益餐饮管理有限公司 A kind of articles for washing sells loudspeaker
CN116456236A (en) * 2023-02-16 2023-07-18 东莞市猎声电子科技有限公司 Oscillator wire shielding low-echo howling type bone conduction earphone and low-echo how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65B1 (en) * 2010-04-19 2011-07-04 신두식 Uses the grade signal of the speaker echo actual condition removal technique of the microphon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432A (en) * 2001-12-31 2003-07-07 삼성물산 주식회사 Audio signal input/output device and earphone employing microphone
DE102005034646B3 (en) 2005-07-25 2007-02-01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ea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feedback
KR200409487Y1 (en) * 2005-12-14 2006-02-24 진 초우 차이 Low-Noise Transmitting Receiving Earset
KR20070105555A (en) * 2006-04-26 2007-10-31 허명선 Earphone having microphone
EP2208367B1 (en) 2007-10-12 2017-09-27 Earlens Corporation Multifun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hearing and communiction with noise cancellation and feedback management
JP2009141698A (en) * 2007-12-06 2009-06-25 Rohm Co Ltd Headset
KR101330476B1 (en) * 2012-03-29 2013-11-15 신두식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65B1 (en) * 2010-04-19 2011-07-04 신두식 Uses the grade signal of the speaker echo actual condition removal technique of the microphon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291A (en) 2016-11-30
WO2017010610A1 (en)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2413B (en) The Headphone device of specific environment sound prompting mode
CN105814913B (en) Name sensitive listening device
KR101756674B1 (en) Active noise reduction headset device with hearing aid features
KR101731714B1 (en) Method and headset for improving sound quality
US9491542B2 (en) Automatic sound pass-through method and system for earphones
EP3188495A1 (en) A headset with hear-through mode
CN106210960B (en) Headphone device with local call situation affirmation mode
JP2012516091A (en) In-ear sound detection for earphones
CN106170108B (en) Earphone device with decibel reminding mode
US20180249277A1 (en) Method of Stereophonic Recording and Binaural Earphone Unit
KR101693483B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ncelling howling and echo in a headset
US20220406285A1 (en) Headset with Automatic Noise Reduction Mode Switching
CN105554664A (en) Headset based soun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headset
CN113194383A (en) Sound play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693482B1 (en) Headset with a function for cancelling howling and echo
US20230143588A1 (en) Bone conduction transducers for privacy
KR101861357B1 (en) Bluetooth device having function of sensing external noise
CN113596662B (en) Method for suppressing howling, device for suppressing howling, earphone, and storage medium
JP6813176B2 (en) Voice suppression system and voice suppression device
US11696065B2 (en) Adaptive active noise cancellation based on movement
US20230209239A1 (en) Wireless headphone system with standalone microphone functionality
WO2023007840A1 (en) Telephone conversation apparatus
KR20140103733A (en) Noise-cancelling apparatus using earphone for smar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N105450859A (en) Remin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wearing earphone
JP2019036868A (en) Noise cance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