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844B1 - A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n overhead door - Google Patents

A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n overhead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844B1
KR101691844B1 KR1020160107881A KR20160107881A KR101691844B1 KR 101691844 B1 KR101691844 B1 KR 101691844B1 KR 1020160107881 A KR1020160107881 A KR 1020160107881A KR 20160107881 A KR20160107881 A KR 20160107881A KR 101691844 B1 KR101691844 B1 KR 10169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control unit
sensor
over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to prevent an overhead door from colliding with a vehicle configured to, in a case where the overhead door installed in a garage comes a little down from a top thereof, prevent a generation of an accident in which a top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door while a driver enters into the garage due to no acquisition of the drivers view caused by a blind spot of the rear-view mirrors on which the driver performing rear-parking looks.

Description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n overhead do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and an overhead door,

본 발명은 오버헤드도어에 차량이 추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오버헤드도어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완전 개방 상태로 변환시키고, 승강문의 자동문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도 승강문이 자동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a vehicle from colliding with an overhead door. More specifically, when a part of the overhead door is opened, when the vehicle approaches, it is detected and converted into a fully opened state. When the door of the lift door is completely clo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a door from being automatically opened.

오버헤드도어는 동력에 의해서 도어를 상하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셔터', '스피드도어', '스태킹도어'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The overhead door is a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power, and is defined as a concept including 'shutter', 'speed door', 'stacking door'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오버헤드도어는 소방서 차고나 산업현장의 공장이나 창고의 차량출입구 등에 많이 설치되며, 개방 시 도어가 수직 상승하여 출입구 상부로 수납되므로 건물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Generally, the overhead door is installed in a fire department garage, an industrial factory factory, or a vehicle exit of a warehouse.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oor is vertically raised and stored in the upper part of the doorway.

그런데 내부로 소방차나 지게차 또는 화물차 같은 작업용 차량의 진출입이 이루어지는 차고나 공장 등에 설치되는 오버헤드도어는 도어에 진출입 차량이 추돌하거나 접촉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However, an overhead door installed in a garage or a factory where a work vehicle such as a fire truck, a forklift or a lorry enters and leaves the inside often collides wit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vehicle.

특히 소방차와 같은 차량은 빠른 출동을 위하여 차고에 후방주차를 한다. 그런데 차고 입구의 도어가 상부에서 약간만(대략 1m 이내) 내려와 있는 상태로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방차를 후방 주차할 때 운전자가 보는 사이드미러에는 내려와 있는 도어가 잘 비치지 않으므로, 차량 상부가 도어에 추돌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Especially vehicles such as fire engines are parked in the garage for quick mobilization. However, when the door of the garage entrance is opened in a state where the door of the garage entrance is slightly lowered (within approximately 1 m), since the door down to the side mirror seen by the driver when the fire truck is parked behind does not shine well, Accidents occur frequently.

이러한 사고를 막고자 소방서 등의 중요 시설에서는 보조요원이 육안으로 확인 후 차량의 진출입을 유도하기도 하나, 인력 소요가 커서 경제적이지 못하므로 도어의 승강제어를 자동으로 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ccidents, it is necessary for the auxiliary personnel to guide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after confirmation by the naked eye in important facilities such as the fire department, but it is necessary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elevation of the door because the manpower requirement is large and it is not economical.

종래 자동문 작동 자동 제어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Conventional automatic door operation automatic control techniques include the following.

우선 국내 공개특허 제2010-0046868호에는 자동문의 감지영역으로 접근한 사물을 안전센서가 감지하면 자동문을 개방하고 사물이 자동문을 지나가버려 안전센서로부터 일정시간 감지신호의 입력이 없게 되면 자동문을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First,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10-0046868, when a safety sensor detects an object approaching an automatic door detection area, the automatic door is opened, and when the object passes the automatic door, the automatic door is closed A techniqu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s proposed.

국내 등록특허 제10-1163833호에는 도어의 하강 동작 중에 하부 장애물의 감지 여부를 모터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엔코더 펄스를 통해 인식하여 도어 하강 동작의 반전동작(즉, 도어 상승)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163833 discloses a control system for recognizing whether a lower obstacle is detected during a door lowering operation by an encoder pulse generated by a motor operation so as to perform an inversion operation (i.e., a door elevation) Is proposed.

또 국내 공개특허 제2003-0086665호에는 도어가 하강할 때 하강 경로 상에 장애물의 개입이 감지기에 감지되면, 도어를 일단 정지 후 다시 열리게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03-0086665 discloses a technique for controlling the door to be stopped once after the intervention of the obstacle is detected by the sensor on the descending path when the door is descended.

그리고 국내 공개특허 제2005-0072067호에는 자동차 윈도 글라스의 폐쇄작동 중에, 이물이 끼워져 모터의 회전속도가 기준 값 이하로 저하하는 경우, 이를 이물이 끼워져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모터를 반전 구동시켜 윈도 글라스를 개방토록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0072067 disclose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foreign object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lowered to a reference value or less by inserting a foreign object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window glass, Open control is disclosed.

국내 공개특허 제2010-0046868호(공개일: 2010.05.0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46868 (published on May 28, 2010). 국내 등록특허 제10-1163833호(등록일: 2012.07.02.)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63833 (Registered on July 2, 2012) 국내 공개특허 제2003-0086665호(공개일: 2003.11.1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86665 (published on November 12, 2003). 국내 공개특허 제2005-0072067호(공개일: 2005.07.0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072067 (Published on Jul.

상기 종래기술 중 국내 공개특허 제2010-0046868호에 개시된 기술은 사물이 접근하여 센서에 감지되면 도어를 무조건 개방토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계없는 차량이나 사람이 지나갈 때에 도어가 함부로 열려서는 안 되는 소방서 차고나 공장의 출입구 등에는 이 종래기술을 활용할 수 없다. 그리고 도어가 부분 개방된 상태일 때 차량이 접근하면 무조건 도어를 완전 개방하여 도어의 하부와 출입 차량이 추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하여는 아무런 단서도 제공하지 않는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46868 of the related art is to control the door to be opened unconditionally when an object approaches and is detected by a sensor. Therefore, this conventional technique can not be utilized in a fire department garage or a doorway of a factory which should not be open when a vehicle or an unrelated person passes by. Further, there is no clue as to the technique of preventing the collision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and the entrance / exit vehicle by fully opening the door unconditionally when the vehicle approaches when the door is partially opened.

국내 등록특허 제10-1163833호와 국내 공개특허 제2003-0086665호 및 제2005-0072067호에 개시된 기술은 장애물이 도어의 개폐 경로 상에 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출입구를 개방토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 경로가 아닌 출입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있는 차량이나 사람 등을 감지하여 도어를 제어하는 용도로는 이 기술들은 적용할 수 없다. 설사 억지로 적용한다 하더라도 관계없는 차량이나 사람이 지나가도 경우에도 반응하여 출입구를 무조건 개방하게 될 것이므로, 보안이 필요한 소방서 차고나 공장의 출입구에 적용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 종래기술들에는 도어의 부분 개방된 상태일 때 차량이 접근할 경우의 도어 작동 제어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163833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s. 2003-0086665 and 2005-0072067 is to detect the obstacle when the obstacle is on the door opening / closing path and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door. Therefore, these techniques can not be applied to the control of the door by detecting a vehicle or a person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ront or rear of the doorway rather than the opening / closing path of the door. Even if applied forcefully,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entrance of the garage of the fire department or the factory which needs security because the door will be open unconditionally in response to the case where the vehicle or the person concerned does not pass. These prior arts have no reference to the door operation control when the vehicle approaches when the door is partially open.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버헤드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는 차량이나 사람이 접근하여도 도어가 개방되지 않아 보안을 유지할 수 있고, 부분 개방된 상태일 때 차량이 접근하면 무조건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여 도어의 하부와 출입 차량이 추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maintaining security when the overhead door is fully closed, So as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door and an entrance / exit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은 PLC제어를 하는 경우와 릴레이제어를 하는 경우의 실시례를 예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of an overhead door exemplifies the case of PLC control and relay control.

PLC제어를 하는 경우의 실시례는, 제어부가 도어의 부분 개방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S10 단계; 상기 S10 단계에서 도어가 부분 개방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을 활성화하는 S20 단계; 제어부가 차량감지기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S30 단계; 제어부가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구동부를 구동하는 S50 단계; 제어부가 도어위치감지기로부터 도어의 완전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S60 단계; 제어부가 구동부의 작동을 종료시키는 S70 단계; 제어부가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을 비활성화시키는 S80 단계; 제어부가 조작부 신호 수신 라인을 활성화하는 S90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PLC control,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oor is partially opened (S10). If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partially open in step S10, the controller activates a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S30, in which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ensor; S50 of the controller driving the driving unit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Step S60 of the controller receiving a door open signal from the door position sensor; Step S70 of the control unit terminat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Step S80 in which the control unit deactivates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And a step S90 in which the control unit activates the operation unit signal reception line.

이때 상기 S10 단계에서 도어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을 비활성화시키는 S80 단계를 바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 that the door is fully opened or completely closed, the control unit proceeds directly to step S80 for deactivating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그리고 상기 S30 단계와 S50 단계 사이에는, 제어부가 조작부로부터 조작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S40 단계;와 상기 S40 단계에서 조작부로부터 조작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상기 조작부 신호 수신 라인을 비활성화하는 S4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상기 S40 단계에서 조작부로부터 조작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구동부를 구동하는 S50 단계를 바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 that the control unit has generated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 that an operation signal has been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unit, the control unit performs step S45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 that no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unit, the control unit proceeds directly to step S50 in which the drive unit is driven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릴레이제어를 하는 경우의 실시례는, 오버헤드도어의 도어가 하강 중이거나 부분 개방된 채로 정지되어 있을 때에 차량이 출입구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차량감지기가 차량을 감지하는 RS10 단계; 릴레이코일 R이 여자되어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가 작용하는 RS20 단계; 릴레이코일 U가 여자되어 도어상승 회로부 E가 작용하는 RS30 단계; 상단감지기의 작용으로 도어의 상승이 중지되는 RS40 단계;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가 차량감지기의 감지신호에 반응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들어가는 RS50 단계;를 포함한다.An example of the relay control is an RS10 step in which the vehicle sensor detects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entrance while the door of the overhead door is being stopped while the door is being lowered or partially opened. An RS20 step in which the relay coil R is excited to operate the door rising preparation circuit portion H; A step RS30 in which the relay coil U is excited to operate the door elevator circuit E; Step RS40 in which the elevation of the door is stopped by the action of the upper sensor; And an RS50 step in which the door lift preparation circuit part H enters a standby state in which it can respond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sensor.

그리고 상기 RS20 단계와 RS30 단계 사이에, 타이머 회로부 I가 작용하는 RS20-1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차량감지 시 도어하강 회로부 G의 작용을 차단하는 RS20-2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nd an RS20-1 step in which the timer circuit part I operates between the RS20 step and the RS30 step, and may further include an RS20-2 step of block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falling circuit part G when the vehicle is sensed have.

또한, RS30 단계와 RS40 단계 사이에 도어 상승 시 도어하강 회로부 G의 작용을 차단하는 RS30-1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RS30-1 step of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lowering circuit part G when the door is raised between the RS30 step and the RS40 step.

릴레이제어를 하는 경우의 실시례에서 오버헤드도어의 도어가 완전 하강한 상태로 있을 때에 차량이 출입구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하단감지기의 b접점 리밋스위치 D-ST가 떨어져 있어서, 도어상승방지 회로부 F가 작용하게 되는 RS60 단계; 릴레이코일 R이 소자되어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의 작용을 차단하는 RS70 단계; 도어상승 회로부 E가 작업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도어를 상승시켜야 하는 조작부모드로 대기하는 RS8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relay control,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entrance while the door of the overhead door is fully lowered, the b contact limit switch D-ST of the lower sensor is detached, Gt; RS60 < / RTI > An RS70 step of disconnec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rising preparation circuit part H by the relay coil R being opened; And an RS80 step in which the door ascending circuit section E waits in an operation section mode in which the operator must operate the operation section to raise the door.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을 PLC제어를 하는 경우와 릴레이제어를 하는 경우의 실시례를 예시한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s the case where PLC control and relay control are performed for the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of the overhead door performing the control method.

PLC제어를 하는 경우의 실시례는,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도어위치감지기; 도어에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차량감지기; 도어의 승강, 하강 또는 정지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조작부; 상기 도어위치감지기, 차량감지기, 조작부에서 전송된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의 활성화 여부, 조작부 신호 수신 라인의 활성화 여부, 도어를 승강, 하강 또는 정지시키는 구동부의 구동 여부를 PLC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example of the PLC control is a door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oor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 vehicle sensor that senses a vehicle approaching the door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n oper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of ascending, descending, or stopping the door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receiv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oor position detector, the vehicle detector, and the operation unit to control whether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is activated, whether the operation unit signal receiving line is activated, whether the driving unit for raising, lowering or stopping the door is driven And a control unit.

릴레이제어를 하는 경우의 실시례는,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도어위치감지기; 도어에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차량감지기; 도어의 승강, 하강 또는 정지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조작부; 상기 도어위치감지기, 차량감지기, 조작부의 정보를 입력받아, 도어상승 회로부 E와 도어상승방지 회로부 F와 도어하강 회로부 G와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의 작용을 선택적으로 실시하여 도어를 승강, 하강 또는 정지시키는 구동부의 구동 여부를 릴레이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example of the case of relay control includes a door position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door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 vehicle sensor that senses a vehicle approaching the door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n oper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of ascending, descending, or stopping the door to the control unit; The door elevator circuit portion F, the door descent circuit portion G and the door elevator preparation circuit portion H are selectively operated to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door position sensor, the vehicle sensor, and the operation portion, thereby to raise, lower or stop the do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the driving unit is driven or not.

그리고 상기 도어위치감지기는 출입구 도어의 완전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상단감지기와 출입구 도어의 완전 폐쇄 여부를 감지하는 하단감지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도어위치감지기를 구동부에 연결된 엔코더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door position sensor may include an uppe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fully opened and a lowe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If necessary, the door position sensor may be an encoder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You may.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오버헤드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는 차량 등이 접근하여도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관계없는 차량이나 사람 등의 이동이 많은 대로변에 위치한 소방서 차고나 보안이 필요하여 불필요한 도어의 개방이 있어서는 안 되는 산업현장의 출입구 등에 설치할 수 있다.In the overtop do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overhead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verhead door is in the fully closed state, the door is not opened even when the vehicle approaches, It can be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industrial site where there is no need to open the fire door garage or the unnecessary door because security is needed.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오버헤드도어가 부분 개방된 상태일 때 차량이 접근하면 자동으로 도어를 상승시켜 개방하므로, 도어와 출입 차량이 추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차량 출입을 유도할 별도의 보조 인력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The overturn prevention control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overhead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open and open the door when the vehicle approaches when the overhead door is partially open, And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eparate auxiliary manpower for driving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 구성도
도 2는 PLC제어로 구현된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따른 제어방법 흐름도
도 3은 릴레이 제어로 구현된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대한 회로도
도 4는 도 3의 실시례 2에 타이머가 부가된 실시례에 대한 회로도
도 5와 도 6은 릴레이제어로 구현된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따른 제어방법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by PLC control
3 is a circuit diagram for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with relay control
Fig. 4 is a circuit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a timer is added to the embodiment 2 of Fig. 3
5 and 6 are flow charts of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with relay control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terms used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se terms can be expressed in other term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designer or the user,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s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한 경우,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연결'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tate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 "connection" made by an indirect method do.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주지 관용 또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 prevention of an overhead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제어부(10)와 도어위치감지기(20), 차량감지기(30), 조작부(40) 및 구동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0, a door position sensor 20, a vehicle sensor 30, an operation unit 40, and a driving unit 50.

본 발명의 오버헤드도어는 출입구가 완전 개방되는 도어 하단부 최고 위치와 출입구가 완전 폐쇄되는 도어 하단부 최저 위치가 존재한다.The overhead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highest position of the door lower end portion where the door is completely opened and the lowest position of the door lower end portion where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즉 상기 최고 위치는 오버헤드도어의 도어가 출입구 좌우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승하여 출입구가 완전히 개방되고 도어의 상승이 정지되었을 때 도어 하단부가 위치하는 지점이다. 그리고 상기 최저 위치는 도어가 하강하여 출입구가 완전히 폐쇄되면서 도어의 하강이 정지될 때 도어 하단부가 위치하는 지점이다.That is, the highest position is the point where the door of the overhead door rises along the guide rail installed at the right and left of the doorway, the doorway is fully opened, and the door bottom is located when the door is stopped from rising. The lowest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door bottom is located when the door is lowered and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and the door is stopped to descend.

본 발명의 도어위치감지기(20)는 오버헤드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상승 및 하강하도록 설치되는 도어의 하단부 위치를 감지하며, 감지된 위치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한다.The door position senso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door installed to raise and low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verhead door, and transmits sens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이를 위하여 도어위치감지기(20)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1468904호에 개시된 것처럼 구동모터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종동축에 결합하여 이 종동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접촉자가 접촉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완전 개방되는 도어 최고 상승점에 대응되는 종동축 위치에서 설치되는 리밋스위치(마이크로스위치)를 상단감지기(21)로 이용하고, 출입구가 완전 폐쇄되는 도어 최저 하강점에 대응되는 종동축 위치에서 설치되는 리밋스위치(마이크로 스위치)를 하단감지기(22)로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oor position sensor 20 is connected to a driven shaft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a drive motor, as disclosed in the applicant's No. 10-1468904, and the movable contact, which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n shaft, A limit switch (micro switch) installed at a slave axis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door-opening point at which the door is fully opened is used as the upper sensor 21, And a limit switch (micro switch)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limit sensor 22 is used.

또한, 앞에서 설명한 도어 하단부가 최고 위치에 달하여 출입구가 완전 개방되는 지점의 도어 가이드레일 등에 광전스위치나 리밋스위치를 설치하여 상단감지기(21)로 이용하고, 마찬가지로 도어 하단부가 최저 위치에 달하여 출입구가 완전 폐쇄되는 지점의 도어 가이드레일 등에 광전스위치나 리밋스위치를 설치하여 하단감지기(22)로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Further, the door bottom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the upper sensor 21 by providing a photoelectric switch or a limit switch to a door guide rail at a position where the door bottom reaches the highest position and the door is fully opene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hotoelectric switch or a limit switch to a door guide rail at a point where it is closed and use it as a lower stage sensor 22.

도어위치감지기(20), 즉 상단감지기(21)와 하단감지기(22)는 위에서 설명한 리밋스위치나 광전스위치 외에도, 도어가 출입구를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수단, 예를 들면 리드 스위치 같은 다양한 근접스위치들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들의 설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door position sensor 20, that is, the upper sensor 21 and the lower sensor 22 may be a variety of known means capable of detecting that the door is fully opened or fully closed, in addition to the limit switch or photoelectric switch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reed switch. Since the installation of these switches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한 센서형태의 상단감지기(21)와 하단감지기(22) 대신에 구동부(50)에 연결된 엔코더(25)를 도어위치감지기(20)로 사용할 수도 있다. An encoder 25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50 may be used as the door position sensor 20 in place of the sensor type upper sensor 21 and the lower sensor 22 described above.

즉 구동부(예를 들면 전동 모터)에 연결된 엔코더 축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값을 이용하면,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알 수 있으므로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도어가 상승 또는 하강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0)는 엔코더(25)의 펄스값에 의해 판별되는 도어 위치를 이용하여 도어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f the pulse valu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encoder shaf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for example, the electric motor) is used, the number of rotations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otor can be known. Therefore, .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0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door by using the door position determined by the pulse value of the encoder 25.

이렇게 엔코더를 이용하여 모터에 연결된 대상물의 이동거리나 방향 등을 검출하는 기술은 현재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technology for detecting the moving distance and the direction of the object connected to the motor using the encoder is a general technology widely used in the industry at present,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차량감지기(30)는 오버헤드도어의 출입구 전방에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며, 감지 정보를 제어부(10)로 송신한다.The vehicle sensor 30 detects the entry of the vehicle ahead of the entrance of the overhead door and transmits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0. [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서는 사용하는 차량감지기(30)는 공지의 동작감지센서나 루프센서 또는 피에조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vehicle sensor 30 to be used may be constructed using a known motion detection sensor, a loop sensor, a piezo sensor, or the like.

상기에서 출입구 전방이라 함은 차량이 출입구를 통과하기 전의 반드시 지나게 되는 공간을 가리킨다. 여기서 출입구 전방은 출입구를 기준으로 실외 쪽 방향만을 의미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출입구를 기준으로 실내외 양측 방향 모두를 의미할 수도 있다.The term " front entrance " as used herein refers to a space through which a vehicle must pass before passing through a doorway. Here, the front of the entrance may mean only the direction toward the outdoors with respect to the entrance, but in some cases, it may refer to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entrance based on the entrance.

차량감지기(30)로 사용할 수 있는 센서들의 구성과 설치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ensors that can be used as the vehicle sensor 30 ar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조작부(40)는 도어의 상승, 하강 및 정지 조작을 위한 버튼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조작부(40)의 버튼을 푸시버튼 스위치로 구성한다. The operation unit 40 is provided with buttons for the operation of raising, lowering and stopping the doo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40 is constituted by a push-button switch.

상기 버튼을 선택하여 누르면 제어부(10)는 도어를 상승, 하강 또는 정지시키도록 하는 구동 신호를 모터에 주게 된다.When the button is selected and pressed, the control unit 10 gives the motor a driving signal for raising, lowering or stopping the door.

조작부(40)는 통상의 호이스트 스위치, 또는 리모트컨트롤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어부(10)가 내장되어 있는 제어함에서 직접 버튼이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The operation unit 40 may be constituted by a normal hoist switch or a remote control switch. If necessary, the operation unit 4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button is directly projected from the control box in which the control unit 10 is built.

구동부(50)는 도어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출입구를 개폐한다. 여기서 구동부(50)는 모터가 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오버헤드도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The driving unit 50 opens or closes the door by raising or lowering the door. Here, the driving unit 50 may be a motor, and is generally connected to a rotary shaf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verhead door.

참고로, 통상의 오버헤드도어는 모터로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이 회전축에 체인이나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는 도어가 승강 또는 하강되는 구조를 갖는다.For reference, a conventional overhead door has a structure in which, when a rotary shaft is rotated by a motor, the door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by a chain or a wire is lifted or lowered.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라 오버헤드도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릴레이제어 또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verhead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perform relay control or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control.

제어부(10)는 상기 도어위치감지기(20), 차량감지기(30), 조작부(40)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받아, 도어를 승강, 하강 또는 정지시키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0 receives signals generated from the door position sensor 20, the vehicle sensor 30 and the operation unit 40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50 to elevate, lower or stop the door.

도 1에서, PLC제어인 경우의 제어부(10)는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제어프로그램 등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로 이루어진 CPU모듈과 외부의 센서나 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처리 결과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이고, 릴레이제어인 경우의 제어부(10)는 릴레이, 타이머 등의 각종 계전기를 결선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1, the control unit 10 in the case of PLC control includes a CPU module including a microprocessor for processing signals and a memory in which information such as a control program is stored,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signals from an external sensor or switch, And an output module for transmitting the result of the arithmetic processing of the relay device to an external device. In the case of relay control, the control unit 10 is configured by connecting various relays such as a relay and a timer.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overhead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ttached hereto.

<실시례 1><Example 1>

실시례 1은 PLC제어인 경우의 제어방법이다.Example 1 is a control method in the case of PLC control.

우선 제어부(10)는 오버헤드도어의 도어가 부분 개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단계).First, the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oor of the overhead door is partially open (step S10).

판단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judgment method is as follows.

도어위치감지기(20)가 상단감지기(21)와 하단감지기(22)로 구성된 경우에, 제어부(10)는 도어 하단부가 상단감지기(21)에 감지될 때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완전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 하단부가 하단감지기(22)에 감지될 때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완전 폐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When the door position sensor 20 is constituted by the upper sensor 21 and the lower sensor 22, the controller 10 receives the signal generated when the lower end of the door is sensed by the upper sensor 21, And when it receives a signal generated when the lower end of the door is sensed by the lower sensor 22, it is judged that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그리고 도어 하단부가 상단감지기(21)와 하단감지기(22)로부터 이탈하여, 제어부(10)가 상단감지기(21)와 하단감지기(22)로부터 아무런 신호도 수신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 도어 부분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When the door 1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ensor 21 and the lower sensor 22 and the control unit 10 can not receive any signal from the upper sensor 21 and the lower sensor 22, .

도어위치감지기(20)가 엔코더(25)로 구성된 경우에는, 도어 하단부가 상기 최고 위치 또는 최저 위치일 때의 엔코더 펄스값을 각각 최고위치 기준 펄스값과 최저 위치 기준 펄스값으로 저장해둔다.When the door position sensor 20 is constituted by the encoder 25, the encoder pulse values when the door lower end is at the highest position or the lowest position are stored as the highest position reference pulse value and the lowest position reference pulse value, respectively.

이 상태에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엔코더(25)는 변화된 펄스값을 제어부(10)로 송신하며, 제어부(10)는 이 펄스값을 수신하여 상기 최고위치 기준 펄스값과 최저 위치 기준 펄스값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 후, 일치하지 않으면 오버헤드도어의 도어가 부분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motor is driven to open and close the door, and the encoder 25 transmits the changed pulse value to the control unit 10. The control unit 10 receives the puls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of the overhead door is partially open.

물론 이때 모터를 계속 구동하면 엔코더(25)는 연속적으로 변화된 펄스값을 제어부(10)로 송신하게 되며, 이렇게 하여 제어부(10)가 수신한 엔코더(25) 펄스값이 미리 저장된 최고위치 기준 펄스값 또는 최저 위치 기준 펄스값과 동일한 값에 도달하면, 제어부(10)는 도어가 완전 개방 상태 또는 완전 폐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Of course, when the motor is continuously driven at this time, the encoder 25 transmits the continuously changed pulse value to the control unit 10, and thus the pulse value of the encoder 25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0 is stored in advance as the highest position reference pulse value Or reaches the same value as the lowest position reference pulse value,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that the door is in a fully opened state or a fully closed state.

상기 S10 단계에서 도어가 부분 개방 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부(10)는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을 활성화 상태로 한다.(S20 단계)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 that the door is partially open, the controller 10 activates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step S20)

만일, 상기 S10 단계에서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10)가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을 비활성화 시키고(S80 단계), 이후 연속해서 조작부 신호 수신 라인을 활성화하도록(S90 단계) 제어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 that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the control unit 10 deactivates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step S80), and then controls the operation unit signal receiving line to be activated continuously (step S90).

도어가 부분 개방된 상태일 때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을 활성화하는 이유는, 도어가 상부에서 약간만 내려와 있어 도어가 후방주차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보는 사이드미러의 사각에 걸려 잘 보이지 않는 상태인 경우를 대비하여, 차량감지기(30)로 차량의 접근을 파악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activating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when the door is partially opened is because the door is slightly lowered from the upper part and the door is hung in the square of the side mirror view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in rear parking, So as to grasp the approach of the vehicle to the vehicle detector 30. [

또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을 비활성화시키는 이유는, 관계없는 차량이나 사람이 접근하였을 때 차량감지기(30)에 감지되어 출입구가 개방되는 일을 방지하여 보안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 차량을 출입구로 통과시키려면 조작 부(40)를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하여야 한다.The reason for deactivating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when the door is in the fully closed state is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doorway by sensing the vehicle sensor 30 when an unrelated vehicle or person approaches it to maintain security . Accordingly, in order to pass the vehicle through the doorway when the door is fully closed, the door must be opened by operating the operating portion 40.

한편, 상기 S10 단계에서 도어가 완전 개방 상태로 판단되면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의 활성화 여부는 따질 필요가 없는 것이나, 도어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후방주차 중인 차량과 도어의 충돌 위험이 없어 차량감지기(30)의 감지 신호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을 비활성화하는 편이 좋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 that the door is fully opened, it is not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is activated. However, in the door fully opened state, It is preferable to deactivate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상기 S20 단계에 의해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차량감지기(30)가 출입구 전방에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10)는 차량감지기(3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S30 단계).If the vehicle sensor 30 detects the approach of the vehicle ahead of the entrance and transmits a signal when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ption line is activated in step S20, the control unit 10 transmits a vehicle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ensor 30 (Step S30).

상기 S30 단계에서 제어부(10)가 차량감지기(3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10)는 도어를 개방하는 방향(도어 상승)으로 구동부(50)를 구동하게 된다(S50 단계).If the control unit 10 receives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ensor 30 in step S30, the control unit 10 drives the driving unit 50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door (step S50) .

그런데 도어가 부분 개방 상태로 되는 경우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도어가 정지해 있는 부분 개방 상태인 경우이고, 둘째는 제3자가 조작부(40)를 조작하여 도어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중에 있는 부분 개방 상태이다. However, there are two cases when the door is partially opened. The first is a partially opened state in which the door is stationary, and the second is a partially opened state in which the third person operates the operation unit 40 to raise or lower the door.

여기서 도어가 정지해 있는 부분 개방 상태라면, 제어부(10)는 차량감지기(3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할 때, 바로 구동부(50)에 도어 개방 방향의 구동 신호를 주게 될 것이다.When the door 10 is in the partially open state, the control unit 10 will immediately give the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unit 50 in the door opening direction when receiving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ensor 30.

도어가 하강 중에 있는 부분 개방 상태에서, 제어부가 차량감지기(3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어부(10)는 우선 구동부(50)의 도어 폐쇄 방향(도어 하강) 구동을 정지시킨 후, 연속해서 구동부(50)에 도어 개방 방향의 구동 신호를 주게 될 것이다.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ensor 30 in the partially open state in which the door is descending, the control unit 10 first stops driving the door closing direction (door falling) of the driving unit 50 , The driving signal in the door opening direction will be given to the driving unit 50 continuously.

이때 제어부(10)가 구동부(50)의 모터에 도어 폐쇄 방향(도어 하강) 구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보낸 후 바로 상승 구동으로 반전 구동 신호를 주게 되면, 모터가 기존 회전 관성을 극복하고 급격한 구동 방향 전환을 하여야 하므로, 모터 과부하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50)가 구동 정지된 후 상승 구동으로 반전 구동할 때까지 프로그램적으로 타이머를 설정하여 소정시간 반전 구동을 지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the control unit 10 sends a signal to stop the door closing direction (door down) driving to the motor of the driving unit 50 and immediately gives an inversion driving signal to the up driving, the motor overcomes the existing rotational inertia, This is because the motor is likely to fail due to overload of the moto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r is programmed to delay the reverse driving for a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driving unit 50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fter the driving unit 50 stops driving.

그리고 도어가 상승 중에 있는 부분 개방 상태인 경우는 이미 제어부(10)가 조작부의 상승버튼 입력신호를 받아 구동부(50)에 도어 개방 방향의 구동 신호를 준 상태이다. 따라서 제어부(10)가 구동부(50)에 도어 개방 방향의 구동 신호를 다시 준다 해도 도어의 작동 방향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므로 그 신호는 무의미하다. 결국 제어부(10)가 도어가 상승 중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별도의 구동신호를 발생하지 않도록 프로그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door is in the partially opened state, the control unit 10 has already received the rising button input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and has given the driving signal in the door opening direction to the driving unit 50. [ Therefore, even if the control unit 10 gives the driving unit 50 the driving signal in the door opening direction again,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door remains unchanged, so that the signal is meaningless. As a result, if the control unit 10 determines that the door is being raised, it is preferable to program so as not to generate a separate driving signal.

한편, 본 실시례 1의 오버헤드도어는 상기한 도어의 부분 개방 상태가 어떤 경우에 해당하든, 제어부(10)가 차량감지기(3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할 때, 후술하는 S40 단계와 S45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구동부(50)를 도어의 개방 방향(도어 상승)으로 구동시키는 S50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verhead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controller 10 receives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ensor 30 regardless of the partial opening state of the door, , It is possible to enter the step S50 in which the driving unit 50 is driven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the door is raised).

즉, 상기 S30 단계에서 제어부(10)가 차량감지기(3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10)에서 조작부(40)로부터 조작 신호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우선 판별하고(S40 단계),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0 receives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ensor 30 in step S30, the control unit 10 first determines whether an operation signal is being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unit 40 (step S40)

상기 S40 단계에서 조작부(40)로부터 조작 신호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제어부(10)는 상기 조작부 신호 수신 라인을 비활성화 시켜(S45 단계) 조작부의 신호를 차단한 후, 상기 S50 단계를 진행하고,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 that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unit 40, the control unit 10 deactivates the operation unit signal reception line (step S45), cuts off the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만일 상기 S40 단계에서 조작부(40)로부터 조작 신호 발생이 없는 것으로 판별되면, 제어부(10)는 상기 S50 단계를 그대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 that no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unit 40, the control unit 10 proceeds to step S50 as it is.

상기 S50 단계에 의해 구동부(50)가 도어를 상승시켜 도어 하단부가 상기 최고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도어위치감지기(20)는 도어의 완전 개방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부(10)가 이를 수신하게 된다(S60 단계).When the door 50 is raised by the driving unit 50 and the lower end of the door reaches the highest position, the door position sensor 20 generates a door open signal and the control unit 10 receives the door open signal Step S60).

이후 제어부(10)는 구동부(50)의 작동을 종료시키고(S70 단계),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을 비활성화시킨다(S80 단계).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 terminate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50 (S70), and deactivates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S80).

그리고 연속해서 조작부 신호 수신 라인을 활성화함으로써(S90 단계), 차량진입 완료 후 사용자가 조작부(40)를 조작하여 도어를 하강시킴으로써 출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든다.Then, by continuously activating the operating unit signal receiving line (step S90),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ng unit 40 to lower the doo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ntry of the vehicle, thereby establish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can be closed.

<실시례 2><Practical Example 2>

실시례 2는 릴레이제어인 경우의 제어방법이다.Example 2 is a control method in the case of relay control.

도 3은 릴레이 제어로 구현된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대한 주요부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례 2에 타이머를 추가한 회로도이다.3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with relay control, and FIG. 4 is a circuit diagram in which a timer is add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제어방법의 설명 전에, 우선 도 3 및 도 4의 회로도 상의 주요 구성부를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control method, the main components in the circuit diagrams of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도 3과 도 4에서 P24는 DC 24V 전원의 양극을 의미하며, N24는 DC 24V 전원의 음극을 의미한다.3 and 4, P24 denotes the anode of the DC 24 V power source, and N24 denotes the cathode of the DC 24 V power source.

그리고 회로도 상의 up푸시버튼(41), off푸시버튼(42), down푸시버튼(43)은 각각 조작부(40)에 구비되어 도어를 상승, 정지 및 하강시키는 푸시버튼에 해당한다. The up push button 41, the off push button 42 and the down push button 43 on the circuit diagram correspond to a push button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40 for raising, stopping and lowering the door.

U는 도어의 상승에 관여하는 도어상승 릴레이며, D는 도어의 하강에 관여하는 도어하강 릴레이다. 그리고 R은 차량감지기에 신호에 연동하여 도어상승 릴레이가 도어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만드는 도어상승준비 릴레이고, R2는 출입구 완전 폐쇄 상태에서 차량감지기의 감지신호를 무시하는 작용에 관여하는 도어상승방지 릴레이다. 도 4에 추가되어 있는 T는 타이머 릴레이를 표시한다. U is a door lift relay involved in the door elevation, and D is a door descending relay involved in the door descent. And R is a door-up preparatory relay for allowing the door-up relay to raise the door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vehicle sensor, and R2 is a door-rise-prevention relay for ignor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All. T added to Fig. 4 indicates a timer relay.

도면에서 U, D, R, R2, T가 표기된 원은 릴레이 코일을 의미하고 각 접점 기호 옆에는 해당 릴레이의 문자가 부기되어 있다.In the drawing, circles denoted by U, D, R, R2, and T denote relay coils, and characters of corresponding relays are written next to each contact symbol.

U-ST는 상단감지기로 사용된 리밋스위치이며, D-ST는 하단감지기로 사용하는 리밋스위치이다. 그리고 PS는 차량감지기 센서의 접점을 의미한다.U-ST is the limit switch used as the upper detector, and D-ST is the limit switch used as the lower detector. And PS is the contact point of the vehicle sensor sensor.

각각의 계전기 및 기기 사이의 결선은 도 3 및 도 4의 회로도와 같이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between each relay and the device is done in the same way as the circuit diagrams of FIG. 3 and FIG.

상기 릴레이의 작용에 따라 도 3 및 도 4 회로도는 편의상 몇 개의 점선 박스로 구분하였다.3 and 4 are divided into several dotted boxe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도어상승 릴레이코일 U와 릴레이 D의 b접점을 포함하는 점선 박스 E는 도어상승 회로부로 정의한다.The dotted line box E including the door-up relay coil U and the contact b of the relay D is defined as a door-up circuit.

도어상승방지 릴레이코일 R2와 릴레이 R2의 a접점을 포함하는 점선 박스 F는 도어상승방지 회로부로 정의한다.Dotted line box F, which includes the a-contact of the door-rise prevention relay coil R2 and the relay R2, is defined as a door-lift prevention circuit.

도어하강 릴레이코일 D, 릴레이 U의 b접점과 릴레이 R의 b접점을 포함하는 점선 박스 G는 도어하강 회로부로 정의한다.The door downward relay coil D, the b contact point of the relay U and the b contact point of the relay R are defined as the door lowering circuit part.

도어상승준비 릴레이코일 R, 차량감지기 센서 접점 PS, 릴레이 U의 b접점을 포함하는 점선 박스 H는 도어상승준비 회로부로 정의한다.Dash line box H, which includes the door rising preparation relay coil R, the vehicle sensor sensor contact PS, and the contact b of the relay U, is defined as a door lift preparation circuit.

도 4에서 타이머릴레이코일 T와 릴레이 R의 a접점을 포함하는 점선박스 I는 타이머 회로부로 정의한다.In FIG. 4, the dotted line box I including the timer relay coil T and the a contact of the relay R is defined as a timer circuit section.

다음은 도 3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릴레이 제어로 구현된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있어서 '도어가 하강 작동 중이거나 부분 개방된 채로 정지되어 있을 때에 차량이 출입구로 접근하는 경우'에 대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3, FIG. 4, and FIG. 5,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with relay control,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doorway while the door is being lowered or partially stopped,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3 또는 도 4의 회로에 전원이 투입되어 있으며, 도어가 하강 작동 중이거나 부분 개방된 채로 정지되어 있을 때를 가정한다.First, it is assumed that power is applied to the circuit of FIG. 3 or FIG. 4, and the door is stopped while the door is being lowered or partially opened.

이때는 off푸시버튼(42)는 b접점이므로 회로 내에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릴레이코일 R2(140)는 전류가 흘러 여자되므로 a접점 R2(141)가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붙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off pushbutton 42 is the contact b, a current can flow in the circuit, and the relay coil R2 (140) is excited by flowing current, so that the a contact R2 (141)

다만, 작업자가 회로도 상의 down푸시버튼(43)을 눌러 도어가 하강 중일 때에는 다음의 과정이 선행된다. However, when the operator depresses the down push button 43 on the circuit diagram and the door is descending, the following procedure is preceded.

down푸시버튼(43)을 누를 때, 릴레이코일 D(160)는 전류가 흘러 여자되므로 a접점 D(161)가 붙어 자기유지가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는 구동부(50)에 하강 구동신호를 보내어 도어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이때 b접점 D(162)는 떨어져 도어상승 릴레이코일 U(150)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므로 제어부(10)는 도어 상승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When the down push button 43 is pressed, the relay coil D 160 is energized by the current flow, so that the a contact D 161 is held and self-retain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 sends a downward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unit 50 to lower the door. At this time, since the b contact D (162) falls and the current does not flow to the door up relay coil U150, the controller 10 does not generate the door up driving signal.

위 상태에서 차량이 출입구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접근하여 차량감지기(30)에 감지되면(RS10 단계), 차량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를 완전 상승시켜야 하므로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가 작용한다.(RS20 단계)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front or rear of the doorway and is detected by the vehicle sensor 30 (RS10 step), the door lift preparation circuit portion H works because the door must be completely raised to prevent collision of the vehicle. step)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The operation of the door rising preparation circuit portion H is as follows.

우선 차량 감지신호가 제어부(10)로 입력되면 a접점 PS(31)가 붙어 릴레이 코일 R(170)로 통전이 이루어진다.First, when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0, the a contact PS (31) is energized to energize the relay coil R (170).

이에 따라 릴레이 코일 R(170)은 여자되고 a접점 R(171)이 붙어 자기유지가 된다.As a result, the relay coil R (170) is energized, and a contact R (171) is attached and held.

여기서, 도 4와 같이 타이머 T를 추가한 경우에는 도어의 상승 작동 전에 타이머 회로부 I가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RS20-1 단계) Here, when the timer T is added as shown in Fig. 4, the timer circuit portion I can be operated before the door is raised. (Step RS20-1)

즉, a접점 R(172)을 타이머 릴레이코일 T(180) 앞에 배치하고, 도 3의 a접점 R(172) 위치에는 a접점 T(181)을 배치하여 릴레이코일 U(150)의 여자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도어상승 회로부 E의 작용을 늦출 수 있다.That is, the a-contact point R (172)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imer relay coil T (180), and the a-contact point T (181) The operation of the door-up circuit E can be delayed by delaying the time.

도 4를 참고하여 타이머 회로부 I의 구체적인 작용과정을 살펴본다.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timer circuit I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접점 PS(31)가 붙어 통전되면 릴레이코일 R(170)이 여자되어 b접점 R(173)은 떨어지고, a접점 R(172)은 붙는다.When the a contact PS (31) is energized, the relay coil R (170) is energized and the b contact R (173) falls and the a contact R (172) sticks.

b접점 R(173)이 떨어지면 구동부로 보내는 하강 구동신호가 차단되고, a접점 R(172)이 붙으면 타이머 릴레이코일 T(180)로 전원이 공급되어 타이머가 작동되기 시작한다.When the b contact R 173 is disconnected, the falling driving signal sent to the driving unit is interrupted. When the contact a R 172 is connected, power is supplied to the timer relay coil T 180 to start the timer.

도어가 부분개방상태로 정지해 있는 경우에는 상관없지만, 도어 하강 구동하던 중에 구동부 모터를 바로 상승 구동으로 반전 구동하게 되면, 모터의 회전 관성을 극복하고 급격한 구동방향 전환을 이루어야 하므로 모터 과부하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기 쉽다.However, if the drive motor is reversely driven by the drive motor immediately during the door lowering driv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rotational inertia of the motor and to change the drive direction rapidly. Therefore, .

따라서, 도 4의 실시례처럼 타이머를 설치하면 b접점 R(173)이 떨어지고 구동부로의 하강 구동신호가 차단될 때 모터의 관성 회전이 남아있더라도, 타이머 설정시간이 지나는 동안에 모터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하게 되므로, 상승 구동으로 역전 회전할 때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4, if the b contact R (173) drops and the inertial rotation of the motor remains when the downward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unit is interrupted, the rotation of the motor is completely stopped , So that the motor is not overloaded when the motor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한편, 차량 접근 시에는 도어의 하강이 방지되어야 하므로, 도어하강 회로부 G가 다음과 같이 그 작용이 차단된다.(RS20-2 단계)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door should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door lowering circuit G is interrupted as follows (step RS20-2)

위에서 릴레이 코일 R(170)이 여자되었으므로 b접점 R(173)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릴레이코일 D(160)는 전류가 흐르지 못해 소자되므로 제어부(10)는 하강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지 못하게 된다.Since the relay coil R 170 is excited from the upper side, the b contact R 173 drops, and the relay coil D 160 fails to generate a current, so that the controller 10 can not generate the downward driving signal.

이때 릴레이코일 D(160)가 소자되므로 릴레이 D의 b접점(162)은 도로 붙어 At this time, since the relay coil D 160 is disconnected, the b contact 162 of the relay D is connected to the road

도어상승 회로부 E가 작용할 수 있게 된다.The door lifting circuit portion E can operate.

다음은 도어가 완전히 상승하여야 하므로, 도어상승 회로부 E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RS30 단계)Next, since the door must be completely raised, the door lifting circuit E acts as follows (step RS30)

도 3에서는 릴레이 코일 R(170)이 여자되면 a접점 R(172)이 붙게 된다. In FIG. 3, when the relay coil R 170 is excited, a contact R 172 is attached.

도 4와 같이 타이머 T가 추가된 경우에는 릴레이 코일 R(170)이 여자되면 a접점 R(172) 붙어서 타이머 T가 작동하고, 이후 소정의 설정시간이 지나면 타이머 릴레이코일 T(180)가 여자되면서 타이머 a접점 T(181)가 붙게 된다.When the timer T is added as shown in FIG. 4, when the relay coil R 170 is energized, the timer T is activated with the contact a R 172.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timer relay coil T 180 is energized And a timer a contact T (181) is attached.

따라서, 어느 경우든지 릴레이코일 U(150)로 전류가 흘러 여자되며 a접점 U(151)가 붙어 자기유지가 이루어진다.Therefore, in any case, current flows to the relay coil U150 and the self-holding is performed with the a-contact U115 attached thereto.

이에 따라 제어부(10)는 구동부(50)에 상승 구동신호를 보내어 도어를 상승시킨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 sends a rising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unit 50 to raise the door.

이때 릴레이코일 U(150)가 여자된 상태이므로 b접점 U(153)는 떨어져 있고,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의 a접점 PS(3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한다. 따라서 도어가 상승 중일 때에는 차량감지기(30)의 감지신호에 제어부(10)가 반응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relay coil U 150 is excited, the b contact U 153 is disconnected, and the current flowing to the a contact PS 31 of the door rising preparation circuit portion H is cut off. Accordingly, when the door is being raised, the control unit 10 does not respond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sensor 30. [

그리고 도어 상승 중에 도어 하강 구동 신호가 발생하는 것은 신호의 혼선을 초래하여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도어상승 시 도어하강 회로부 G의 작용을 차단한다.(RS30-1 단계)In addition, since the door downward driving signal is generated during the rising of the door, the door falling circuit G is interrupted when the door is elevated (RS30-1 step).

RS30-1 단계의 작용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the RS30-1 step is as follows.

도어 상승 시 릴레이코일 U(150)는 여자된 상태이므로 떨어진 b접점 U(153) 때문에 릴레이 코일 R(170)이 소자되고 b접점 R(173)은 다시 붙게 된다. 대신 b접점 U(152)은 떨어져 있게 되므로 릴레이코일 D(160)로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고, 도어 상승 중에 도어 하강 구동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Because the relay coil U 150 is excited when the door is raised, the relay coil R 170 is disconnected due to the b contact U 153 and the contact b R 173 is attached again. Instead, the b contact U 152 is away from the relay coil D 160, so that the current flowing to the relay coil D 160 is cut off and the door downward driving signal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during the door elevation.

이후 도어의 상승하여 출입구가 완전 개방되면, 상단감지기(21)의 작용으로 도어의 상승이 중지된다.(RS40 단계)When the door is then raised and the door is fully opened, the upward movement of the door is stopped by the action of the upper sensor 21. (Step RS40)

즉 도어가 미리 설정된 출입구 완전 개방 지점에 도달하면 상단감지기(21)로 사용되는 b접점 리밋스위치 U-ST(210)가 떨어져 전류가 차단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10)는 구동부(50)의 도어 상승 구동을 정지시킨다.The b contact limit switch U-ST 210 used as the upper sensor 21 is cut off and the current is cut off when the door reaches a predetermined entrance entrance full opening point, And stops the rising drive.

도어가 완전 개방되어 b접점 리밋스위치 U-ST(210)가 떨어지면, 릴레이코일 U(150)는 소자된다. 따라서 b접점 U(153)는 다시 붙어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의 a접점 PS(31)로 전류가 흐르므로 차량감지기(30)의 감지신호에 반응할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된다.(RS50 단계)When the door is fully opened and the b contact limit switch U-ST 210 is released, the relay coil U 150 is disengaged. Therefore, the b contact U53 is attached again, and a current flows to the a contact PS 31 of the door rising preparation circuit portion H, so that it is in a standby state that can respond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sensor 30. (RS50)

이러한 대기상태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추후 down푸시버튼(43)을 눌러 도어를 하강시킬 때 출입구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도어를 역전 상승시켜야 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waiting state is that when the door is lowered by pressing the down push button 43 later, the door must be reversely raised by detecting the vehicle entering the doorway.

다음은 '도어가 상승 중일 때 차량이 출입구로 접근하는 경우', 즉 작업자가 회로도 상의 up푸시버튼(41)을 눌러 도어를 상승시키는 중에 차량이 출입구로 접근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도 3 및 도 4의 회로도를 설명한다.3 and 4, assuming that the vehicle approaches the doorway while the door is being raised by pushing the up push button 41 on the circuit diagram, that is,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doorway when the door is being raised, The circuit diagram of FIG.

도 3 및 도 4에서 up푸시버튼(41)을 누르면 도어상승 회로부 E의 릴레이코일 U(150)로 전류가 흘러 여자되므로 a접점 U(151)가 붙어 자기유지가 이루어지고, 따라서 제어부(10)는 구동부(50)에 상승 구동신호를 보내어 도어를 상승시키게 된다.3 and 4, when the up push button 41 is pressed, electric current flows through the relay coil U 150 of the door lifting circuit part E to excite the contact a U 151, The controller 50 sends a rising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unit 50 to raise the door.

이때 도어하강 회로부 G의 b접점 U(152)는 떨어지므로 릴레이코일 D(160)가 여자될 수 없고, 이에 따라 구동부(50)로 보내는 하강 구동신호가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그리고 동시에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의 b접점 U(153)도 떨어지므로 a접점 PS(31)로 가는 전류가 차단되고, 이에 따라 차량감지기(30)의 감지신호도 제어부(10)가 받아들이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b contact U 152 of the door lowering circuit portion G is dropped, the relay coil D 160 can not be excited, and accordingly, the downward driving signal sent to the driving unit 50 is intrinsically blocked. At the same time, since the b contact U (153) of the door rising preparation circuit portion H is also dropped, the current flowing to the a contact PS (31) is interrupted, so that the control unit 10 does not receive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sensor 30.

다시 말해 작업자가 회로도 상의 up푸시버튼(41)을 눌러 도어를 상승시키는 중에는 출입구로 차량의 접근 여부에 관계없이 무조건 도어 상승작용이 유지된다.In other words, while the operator pushes up the push button 41 on the circuit diagram to raise the door, the unconditional door synergism is maintained regardless of whether the vehicle is approaching the entrance or not.

다음은 도 3과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릴레이 제어로 구현된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있어서, '도어가 완전 하강 상태일 때 차량이 출입구로 접근하는 경우'에 대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3, FIG. 4 and FIG. 6,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ntrol method for the case where the vehicle approaches the entrance when the door is in a fully lowered stat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with relay control do.

도 3과 도 4에서 도어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일 때는 도어상승방지 회로부 F가 작용한다.(RS60 단계)3 and 4, when the door is completely lowered, the door-up prevention circuit F acts. (Step RS60)

도어상승방지 회로부 F가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The operation of the door lift prevention circuit F is performed as follows.

도어가 완전히 하강하면 하단감지기(21)의 b접점 리밋스위치 D-ST(220)가 떨어진다. 따라서 릴레이코일 R2(140)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여 소자되므로 a접점 R2(141)는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When the door is completely lowered, the b contact limit switch D-ST 220 of the bottom sensor 21 drops. Accordingly, since the relay coil R2 140 can not conduct current, the a-contact R2 (141) is separated.

상기와 같이 도어상승방지 회로부 F가 작용하면.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차단된다.(RS70 단계)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lift preventing circuit F operates. The operation of the door rising preparation circuit portion H is cut off as follows (step RS70)

상기 RS60 단계에 의해 a접점 R2(141)이 떨어지면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의 릴레이코일 R(170)에 전류가 차단된다. 따라서 출입구로 접근하는 차량을 차량감지기(30)가 감지하더라도 a접점 PS(31)는 동작하지 않는다.When the a contact point R2 (141) falls by the step RS60, the relay coil R (170) of the door rising preparation circuit section H is cut off. Therefore, even if the vehicle sensor 30 detects a vehicle approaching the entrance, the a contact PS 31 does not operate.

상기와 같이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의 작용이 차단되면, 추후 출입문 개방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조작부(40)의 조작하여 도어상승 회로부 E가 작용하도록 만드는 조작부모드로 대기하게 된다.(RS80 단계)When the operation of the door lift-up preparation circuit part H is interrupt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pen the door at a later time, the operator waits in the operation unit mode for operating the door lift circuit part E by operating the operation part 40. (RS80 step)

도어상승 회로부 E의 조작부모드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The operation mode of the door lift circuit E acts as follows.

RS70 단계에서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의 릴레이코일 R(170)은 소자되므로 a접점 R(172)이 붙을 수 없고, 도어상승 회로부 E의 도어 상승 릴레이코일 U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In the step RS70, the relay coil R (170) of the door rising preparation circuit portion H is broken, so that the a contact R (172) can not be attached and the current does not flow to the door rising relay coil U of the door rising circuit portion E.

그러나 이때 작업자가 up푸시버튼(41)을 누르면 도어 상승 릴레이코일 U가 여자되고 a접점 U(151)가 붙어 자기유지가 되므로 도어를 상승 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however,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up push button 41, the door up relay coil U is excited, and the contact a (151) is attached to the door up relay.

이와 같이 실시례 2는 출입구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는, 관계없는 차량이나 사람이 출입구로 접근하여 차량감지기(30)에 감지되더라도 출입구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the entrance is not opened even if an unrelated vehicle or a person approaches the doorway and is detected by the vehicle sensor 30, so that security can be maintained.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례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양한 형태로 쉽게 변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various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 제어부
20: 도어위치감지기 21: 상단감지기
22: 하단감지기 25: 엔코더
30: 차량감지기
40: 조작부
50: 구동부
10:
20: door position sensor 21: upper sensor
22: bottom detector 25: encoder
30: Vehicle Detector
40:
50:

Claims (13)

오버헤드도어가 부분 개방된 상태일 때 차량이 추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헤드도어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도어의 부분 개방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S10 단계;
상기 S10 단계에서 도어가 부분 개방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을 활성화하는 S20 단계;
제어부가 차량감지기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S30 단계;
제어부가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구동부를 구동하는 S50 단계;
제어부가 도어위치감지기로부터 도어의 완전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S60 단계;
제어부가 구동부의 작동을 종료시키는 S70 단계;
제어부가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을 비활성화시키는 S80 단계;
제어부가 조작부 신호 수신 라인을 활성화하는 S9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오버헤드도어의 부분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오버헤드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변환시키고,

상기 단계 중에 S10 단계에서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차량감지기 신호 수신 라인을 비활성화시키는 S80 단계를 바로 진행함으로써,
상기 오버헤드도어의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오버헤드도어를 완전 폐쇄 상태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of an overhead door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from colliding when an overhead door is partially open,
A step S10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control unit is in the partially opened state of the door;
If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partially open in step S10, the controller activates a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S30, in which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ensor;
S50 of the controller driving the driving unit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Step S60 of the controller receiving a door open signal from the door position sensor;
Step S70 of the control unit terminat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Step S80 in which the control unit deactivates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And a step S90 of causing the control unit to activate the operation unit signal reception line
When the vehicle is approaching the partially opened state of the overhead door, detects the approach and converts the overhead door into a fully opened stat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 that the door is in the fully closed state, the control unit proceeds directly to step S80 for deactivating the vehicle sensor signal receiving line,
And maintains the overhead door in a fully closed state when the vehicle approaches in a fully closed state of the overhead doo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와 S50 단계 사이에,
제어부가 조작부로부터 조작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 단계);
상기 S40 단계에서 조작부로부터 조작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상기 조작부 신호 수신 라인을 비활성화하는 단계(S4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steps S30 and S50,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unit (S40);
The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for an overhead doo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ep (S45) of inactivating the control unit signal reception line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n operation signal has been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unit in step S40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에서 조작부로부터 조작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구동부를 구동하는 S50 단계를 바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 that no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unit, the control unit proceeds directly to step S50 in which the driving unit is driven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오버헤드도어가 부분 개방된 상태일 때 차량이 추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헤드도어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감지기가 차량을 감지하는 RS10 단계;
릴레이코일 R이 여자되어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가 작용하는 RS20 단계;
릴레이코일 U(150)가 여자되어 도어상승 회로부 E가 작용하는 RS30 단계;
상단감지기(21)의 작용으로 도어의 상승이 중지되는 RS40 단계;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가 차량감지기(30)의 감지신호에 반응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들어가는 RS5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오버헤드도어의 도어가 부분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오버헤드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변환시키고,

하단감지기(21)의 b접점 리밋스위치 D-ST(220)가 떨어져 있어서, 도어상승방지 회로부 F가 작용하게 되는 RS60 단계;
릴레이코일 R(170)이 소자되어 도어상승준비 회로부 H의 작용을 차단하는 RS70 단계; 및
도어상승 회로부 E가 작업자가 조작부(40)를 조작하여 도어를 상승시켜야 하는 조작부모드로 대기하는 RS80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오버헤드도어의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오버헤드도어를 완전 폐쇄 상태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of an overhead door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from colliding when an overhead door is partially open,
An RS10 step in which the vehicle sensor senses the vehicle;
An RS20 step in which the relay coil R is excited to operate the door rising preparation circuit portion H;
A step RS30 in which the relay coil U 150 is energized to operate the door elevator circuit E;
Step RS40 in which the elevation of the door is stopped by the action of the upper sensor 21;
And an RS50 step in which the door rising preparation circuit part H enters a standby state in which it can respond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sensor 30
When the door of the overhead door approaches the vehicle when the door is partially opened, the overhead door is detected to convert the overhead door into a fully opened state,

A step RS60 in which the b-contact limit switch D-ST 220 of the lower sensor 21 is disconnected so that the door-up prevention circuit F acts;
A step RS70 in which the relay coil R 170 is removed to block the operation of the door rising preparation circuit portion H; And
And an RS80 step in which the door ascending circuit section E waits in an operation section mode in which the operator operates the operation section 40 to raise the door
And maintains the overhead door in a fully closed state when the vehicle approaches in a fully closed state of the overhead door.
청구항 9에 있어서,
RS20 단계와 RS30 단계 사이에, 타이머 회로부 I가 작용하는 RS20-1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step RS20-1 between the RS20 step and the RS30 step in which the timer circuit part I operates.
청구항 9에 있어서,
RS20 단계와 RS30 단계 사이에 차량감지 시 도어하강 회로부 G의 작용을 차단하는 RS20-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n RS20-2 step of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down circuit part (G) when the vehicle is sensed between the RS20 step and the RS30 step.
청구항 9에 있어서,
RS30 단계와 RS40 단계 사이에 도어 상승 시 도어하강 회로부 G의 작용을 차단하는 RS30-1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lowering circuit part (G) when the door is raised between the RS30 step and the RS40 step.
삭제delete
KR1020160107881A 2016-04-27 2016-08-24 A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n overhead door KR10169184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65 2016-04-27
KR20160051565 2016-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844B1 true KR101691844B1 (en) 2017-01-02

Family

ID=5781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881A KR101691844B1 (en) 2016-04-27 2016-08-24 A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n overhead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8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851A (en)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Multi-speed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an overhead door for preventing vehicle collisio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223U (en) * 1991-11-30 1993-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utomatic door using microwave sensor
US5684372A (en) * 1991-04-09 1997-11-04 The Chamberlain Group, Inc. Garage door operator safety apparatus
KR20030086665A (en) 2002-05-06 2003-11-12 주식회사 하나기공 Overhead door system
KR20050072067A (en) 2004-01-05 2005-07-08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apparatus for open/close memb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n/close member
KR20100046868A (en) 2008-10-28 2010-05-07 이기택 Safty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door
KR20110020630A (en) * 2009-08-24 2011-03-03 박경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KR101163833B1 (en) 2009-09-03 2012-07-09 박경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US20140145824A1 (en) * 2009-01-02 2014-05-29 Richard J. Chutorash System for causing garage door opener to open garage door and metho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4372A (en) * 1991-04-09 1997-11-04 The Chamberlain Group, Inc. Garage door operator safety apparatus
KR930011223U (en) * 1991-11-30 1993-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utomatic door using microwave sensor
KR20030086665A (en) 2002-05-06 2003-11-12 주식회사 하나기공 Overhead door system
KR20050072067A (en) 2004-01-05 2005-07-08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apparatus for open/close memb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n/close member
KR20100046868A (en) 2008-10-28 2010-05-07 이기택 Safty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door
US20140145824A1 (en) * 2009-01-02 2014-05-29 Richard J. Chutorash System for causing garage door opener to open garage door and method
KR20110020630A (en) * 2009-08-24 2011-03-03 박경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KR101163833B1 (en) 2009-09-03 2012-07-09 박경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851A (en)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Multi-speed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an overhead door for preventing vehicle collision
KR102227984B1 (en) * 2017-10-11 2021-03-15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Multi-speed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an overhead door for preventing vehicle colli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4002869A1 (en) Elevator door control device
EP3365260B1 (en) Elevator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safe working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shaft
JP2011088721A (en) Autonomous travel robot and control system of autonomous travel robot
KR101691844B1 (en) A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n overhead door
KR101468904B1 (en) Limit switch for overhead door collision detection and overhead door using the same
CN107021409B (en) The control method of lift appliance and lift appliance
CN103569838A (en) Control method of elevator door
US20070294946A1 (en) Garage Door Control System
JP2017145554A (en) Construction electric shutter apparatus
KR102227984B1 (en) Multi-speed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an overhead door for preventing vehicle collision
JPH05170388A (en) Controller of elevator
JP2000038886A (en) Obstacle detector of motor-driven shutter
JP2013011129A (en) Opening/closing body control system
JP5158831B2 (en) Electric shutter
CN211004103U (en) Novel elevator anti-pinch structure
KR20090026395A (en)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system of lift for construction
KR101996496B1 (en) Intrusion management system for car of elevator
JP7253935B2 (en) DETECTION DEVICE, AUTOMATIC DOOR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MATIC DOOR SYSTEM
JPH0789676A (en) Operation controller for elevator for construction
US20240052691A1 (en) Roll door unit, roll-up door and use of a roll door unit for covering a door opening
KR200430625Y1 (en) Contro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of cage door in elevator
JP3691455B2 (en) Shutter open / close control device
JPH0398984A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door
JP2618628B2 (en) Safety shutter
JP2008074560A (en) Passenger trapped-state alarming device for elevat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