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768B1 - A LED Driving Unit for Electromagnetic Waves Reduction - Google Patents

A LED Driving Unit for Electromagnetic Waves Re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768B1
KR101691768B1 KR1020160055487A KR20160055487A KR101691768B1 KR 101691768 B1 KR101691768 B1 KR 101691768B1 KR 1020160055487 A KR1020160055487 A KR 1020160055487A KR 20160055487 A KR20160055487 A KR 20160055487A KR 101691768 B1 KR101691768 B1 KR 101691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unit
power
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신
Original Assignee
김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 filed Critical 김신
Priority to KR1020160055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7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7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3/0884
    • H05B33/0815
    • H05B33/08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02B20/341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driving apparatus for reducing an electromagnetic wav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driving apparatus for reducing an electromagnetic wave which not only saves power consumption of an LED lighting and increases durability by reducing a heat amount generated when lighting the LED lighting, but also can restrain electromagnetic wave occurring. The LED driving apparatus compris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lternating current power; a conversion unit for receiving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and converting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into direct current power; a first curr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urrent amount to operate a first lighting block according to the direct current power converted by the conversion unit; a second curr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urrent amount to operate a second lighting block according to the direct current power converted by the conversion unit; a shielding unit connected between an output side of the first lighting block and an input side of the second lighting block, and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in parallel or in serial-parallel according to a change amount of operation voltage; and a current amou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ontrol range of the current amount when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operate in parallel or in series-parallel by the shielding unit.

Description

전자파 발생을 감소시키는 LED 구동장치{A LED Driving Unit for Electromagnetic Waves Reduc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driving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wave generation,

본 발명은 전자파 발생을 감소시키는 LED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 조명기구의 전력 소모를 절약하고, LED 조명기구의 점등시 발생하는 열량을 감소시켜 수명을 연장시킴은 물론, 전자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발생을 감소시키는 LED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driving apparatus for reducing the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LED driving apparatus which reduces power consumption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reduces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when the LED lighting apparatus is turned on, To the LED driving apparatus for reducing the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일반적으로, 교류 전기에너지 또는 직류 전기에너지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LED 조명기구는 LED의 전류를 제한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반드시 한류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여 임피던스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경우 직렬로 연결된 저항성 임피던스의 전압강하로 인하여 전기에너지의 소모량이 높아지며 열이 축적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In general, an LED lighting apparatus using alternating electric energy or DC electric energy as a power source is generally used in order to limit an electric current of an LED and to use an impedance of a constant current resistance connected in series. In this case, a resistive impedan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energy is increased and the heat accumulates.

즉,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종래 LED 조명기구는, 전원부(1)를 통해 교류전원(AC)을 변환부(2)에 공급하게 되면, 상기 변환부(2)에서는 공급받은 교류전원(AC)을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조명블럭(4A)(4B)의 구동에 필요한 적정 직류전원(DC)으로 변환시킨 후 이를 전류제어기(3)로 출력하게 된다.1, when the AC power source AC is supplied to the conversion unit 2 through the power source unit 1, the conversion unit 2 converts the supplied AC power source AC) to an appropriate DC power source (DC) necessary for driving the lighting blocks 4A, 4B made up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and outputs the DC power to the current controller 3.

이때, 상기 조명블럭(4A)(4B)은 직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전류제어기(3)는 변환부(2)를 통해 직류전원으로 전류량을 제어한 후 이를 1차 조명블럭(4A) 및, 1차 조명블럭(4A)를 통해 2차 조명블럭(4B)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조명블럭(4A)(4B)의 점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lighting blocks 4A and 4B are connected in series. The current controller 3 controls the amount of current to be supplied to the primary lighting block 4A, The lighting blocks 4A and 4B can be turned on by supplying the primary lighting blocks 4A to the secondary lighting blocks 4B.

한편, 첨부된 도 1에서, 0-220.5V 범위의 교류전압과 100mA의 전류를 저항부하와 3.15V의 구동전원이 필요로 하는 다수의 LED(예; 35개)로 이루어진 조명블럭(4A)(4B)에 각각 공급한다고 가정할 때, 도통개시전압은 220.5V× 0.7=154.35V이고, 전류 도통이 가능한 범위의 전압은 220.5V-154.35V=66.15V이므로, 발광전력은 66.15V×(0+100)mA/2=3.308W 가 된다.1, an AC voltage in the range of 0-220.5 V and a current of 100 mA is applied to an illumination block 4A (see FIG. 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EDs (for example, 35) requiring a resistive load and a driving power of 3.15 V 4B, the conduction start voltage is 220.5 V x 0.7 = 154.35 V, and the voltage in the range where current conduction is possible is 220.5 V-154.35 V = 66.15 V, so that the emission power is 66.15 V x (0+ 100) mA / 2 = 3.308W.

또한, 220.5V-310V 범위의 교류전압과 100mA의 전류를 저항부하와 조명블럭(4A)(4B)에 각각 공급한다고 가정할때, 전류 도통이 가능한 범위의 전압은 310V-220.5V=89.5V이므로, 발광전력은 89.5V×(100+140)mA/2=10.74W인 것이다.Assuming that an AC voltage in the range of 220.5 V to 310 V and a current of 100 mA are supplied to the resistance load and the illumination blocks 4A and 4B respectively, the voltage in the range where the current is possible is 310V-220.5V = 89.5V , And the emission power is 89.5 V × (100 + 140) mA / 2 = 10.74 W.

이에따라, 종래 도 1의 LED 조명기구에서는, 발광전력이 3.308+10.74=14.05W이고, 전력효율은 14.05W/22W=0.64로서 64%이며, 도통 개시각은 154.35V/311V=0.496으로서 30°이고, 도통각은 180°-(30°×2)=120°이며, 전력의율은 (1-n)/(1+n)=20%(n=120°/180°)이고, 불용전력은 22W-14.05W=7.95W 인 것이다.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LED lighting apparatus of FIG. 1, the emission power is 3.308 + 10.74 = 14.05W, the power efficiency is 64.05 at 14.05W / 22W = 0.64, the conduction opening time is 30.3 degrees at 154.35V / 311V = 0.496 (1-n) / (1 + n) = 20% (n = 120 ° / 180 °) 22W-14.05W = 7.95W.

그러나, 상기 조명블럭(4A)(4B)에 각각 구비되는 LED의 수명이 약 30,000시간이라고 할 때, 조명 밝기를 밝게하기 위해서는 피크전류 140mA를 200mA로 조절하면 되지만, 이 경우 89.5V×(100+200)mA/2=13.425W로, 220.5V-310V 범위의 교류전압과 100mA의 전류를 저항부하와 조명블럭(4A)(4B)에 각각 공급하는 것보다 발광전력이 약2.7W 정도 증가하지만, 이는 전등의 수명이 30,000×(140/200)가 되어 15,000시간 이내로 단축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when the lifetime of each of the LEDs included in the illumination blocks 4A and 4B is about 30,000 hours, the peak current 140mA may be adjusted to 200mA in order to brighten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However, in this case, 200) mA / 2 = 13.425 W, the emissive power is increased by about 2.7 W than the AC voltage in the range 220.5 to 310 V and the current of 100 mA is supplied to the resistive load and the illumination blocks 4A and 4B respectively,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shortening the life span of the lamp to 30,000 × (140/200) within 15,000 hours.

한편, 종래 LED조명기구에서 피크전류를 변화시키지 않고 조명블럭(4A)(4B)을 구성하게 되는 LED의 개수를 증가 시켜 밝기를 조절할 수 있지만, 이는 도통각이 좁아지면서 빛의 떨림 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초래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엘이디 조명기구(등록특허공보 제 10-1496821호)로서, 알루미늄 방열판이 전자파를 포집하여 표면전류로 변환하고 이것을 접지를 통해 방전하는 엘이디 조명기구가 제안되어 있는바,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방열판을 이용하여 전자파의 접지를 유도하는 것으로, 엘이디 구동회로를 통해 직접 전자파를 차단하지 않아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496821호
Meanwhile, the brightness can be adjust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LEDs that constitute the illumination blocks 4A and 4B without changing the peak current in the conventional LED lighting fixture. However, since the conduction angle is narrowed, It causes problems.
As an LED lighting device using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wave interrupting circuit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496821), an LED lighting devic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n aluminum heat sink collects electromagnetic waves, converts them into surface currents, and discharges them through a ground. The conventional art uses a heat sink to induce grounding of an electromagnetic wave, which does not directly block the electromagnetic wave through the LED driving circuit, resulting in a problem of inefficiency.
Prior art literature
Patent literature
(Patent Document 000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968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를 이루는 조명블럭에 전류제어기를 직렬로 연결 구성시, 조명블럭으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전류제어기를 병렬 또는 직병렬 또는 직렬로 선택 동작시켜 조명블럭을 이루는 발광소자(LED)들에 도통개시전압에 따른 제한된 전류만을 인가시키는 차폐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피크전류를 낮추면서도 조명블럭의 점등에 따른 밝기를 높혀 LED 조명기구의 전력 소모를 절약함은 물론, LED 조명기구의 점등시 발생하는 열량을 감소시켜 수명을 연장시키고, 특히 조명의 도통각을 넓혀 LED의 빛떨림이나 눈부심을 방지하면서 교류전원의 사용에 따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직류전원의 고조파에 의한 전자파 발생을 차단하면서 경제성을 고려하여 교류전원 사용을 권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LED 조명기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rr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an illumination block when a current controller is connected in series to a plurality of lighting blocks, (LEDs) constituting an illumination block by applying only a limited current according to the conduction-starting voltage, thereby increasing the brightness due to lighting of the lighting block while lowering the peak current, In addition to saving power consumption, it also reduces the heat generated when the LED lighting fixtures are turned on to extend the life span. Especially, it enlarges the conduction angle of the lighting to prevent the LED light from glare or glare and compensates the disadvantages of using the AC power. While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due to the harmonics of the DC power supply, To provide an LED lighting fixture apparatus so as to be with the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교류전원을 공급받은 후 이를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되는 직류전원에 따라 제 1 조명블럭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 1 전류 제어기;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되는 직류전원에 따라 제 2 조명블럭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 2 전류 제어기; 상기 제 1 조명블럭의 출력측과 상기 제 2 조명블럭의 입력측 사이에 연결되고, 동작전압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를 병렬 또는 직병렬 또는 직렬로 동작시키는 차폐부;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가 상기 차폐부에 의해 병렬 또는 직병렬 또는 직렬로 동작시 그 전류량 제어의 범위를 결정하는 전류량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폐부에 전류가 흐르는지를 체크하여 차폐부 에러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수단(500)을 더 구비하고, 감지수단에 연결되어 차폐부가 에러인지를 파악하는 차폐부 제어부(600)를 구비하며, 상기 차폐부 제어부에 의해서 경보신호 출력 지령이 있으면 계속적인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며;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상기 차폐부에 에러가 발생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1101)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C power; A converter for receiving the AC power and converting the AC power to DC power; A first curr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current for operating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according to the DC power converted by the converter; A second curr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current for operating the second illumination block according to the DC power converted by the converter; A shield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side of the first lighting block and the input side of the second lighting block and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in parallel or in series or in series according to a variation amount of the operating voltage; And a current amoun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range of the current amount control when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operate in parallel or in series, in parallel, or in series by the shielding unit; And a shielding unit control unit 600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to detect whether the shielding unit is in error, wherein the sensing unit 500 senses whether a current flows in the shielding unit, And an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outputting a continuous alarm signal when an alarm signal output command is issued by the shielding unit control unit; The automatic error signal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1 for applying a power supply signal by its own power supply; An error signal output unit 1102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circuit when an error occurs in the shielding unit; An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which is supplied with electricity when the power supply unit 1101 is turned on and outputs a boosted AC current; A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turned on by electrical supply; A relay switch 1107 install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1108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hat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1107; An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for supplying power to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displaying an error signal when the relay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1107;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base e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emitter end and the collector end are connected to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part 1108. The operation of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part 1108 pulls the iron piece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forcibly turned off at this time, the closed circuit is broken, And the relay switch 1108 is turned on to turn o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so as to continuously output an error signal And a switching unit 1118 for maintenance.

또한, 상기 전류량 결정부는 일정레벨 이상의 전력에서 전류량 제어의 범위가 결정되도록 제 1,2 소자를 적용하되, 상기 제 1 소자는 제 2 조명블럭을 통해 피크전압의 1/2까지 충전된 후 제 1 조명블럭으로 방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소자는 제 1 조명블럭을 통해 피크전압의 1/2까지 충전된 후 제 2 조명블럭으로 방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first device may be charged up to a half of the peak voltage through the second lighting block, and then the first device may be charged to a first And the second element is charged to a half of the peak voltage through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and then discharged to the second illumination block.

또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 1 소자의 양전압(+)이 걸리는 음극(cathode)과, 상기 제 2 소자의 부전압(-)이 걸리는 양극(anode)을 가지는 차폐 다이오드인 것이 특징이다.The shielding unit is a shielding diode having a cathode to which positive voltage of the first element is applied and an anode to which a negative voltage of the second element is applied.

또한, 상기 차폐 다이오드는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이 일정전압 이하이면 차폐동작하여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를 병렬로 연결하도록 차폐되고, 상기 차폐 다이오드는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이 일정전압의 범위내이면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를 직병렬로 연결하며, 상기 차폐 다이오드는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를 직렬로 연결하도록 도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Also, the shielding diode is shielded to shiel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in parallel when the operating voltage applied to the cathod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and the shielding diode has an operating voltage applied to the cathode,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are connected in series if the voltage is with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voltage, and the shielding di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in series when the operating voltage applied to the cathod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

또한, 상기 전류량 결정부는 일정레벨 이하의 전력에서 전류량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1 조명블럭과 상기 차폐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제어기와, 상기 제 2 조명블럭과 상기 차폐 다이오드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current amount determina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controlle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and the shield to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at a certain level of power or less, a second controller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illumination block and the shield diode, 2 controller.

또한, 상기 제 1 제어기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베이스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기준전압이 설정되는 제너다이오드 및 저항, 그리고 상기 스위칭소자의 에미터단에 연결되는 에미터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스위칭소자는 베이스단에 걸리는 전압과 에이터단에서 에미터 저항에 의해 전압 강하되는 에미터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 2 전류제어기의 전류량 제어가 일정레벨 이하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미터 전압이 베이스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면 온 동작하고, 상기 에미터 전압이 베이스전압보다 크면 오프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first controller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a Zener diode and a resistor to which a reference voltage is connected in parallel at a base end of the switching element, and an emitter resistor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 The switching device compares the voltage across the base end with the emitter voltage dropped by the emitter resistance at the emitter end so that the emitter voltage i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or below, And when the emitter voltage is higher than the base voltage, the transistor is turned off.

또한, 상기 제 2 제어기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베이스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기준전압이 설정되는 제너다이오드 및 저항, 그리고 상기 스위칭소자의 에미터단에 연결되는 에미터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스위칭소자는 베이스단에 걸리는 전압과 에이터단에서 에미터 저항에 의해 전압 강하되는 에미터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전류제어기의 전류량 제어가 일정레벨 이하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미터 전압이 베이스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면 온 동작하고, 상기 에미터 전압이 베이스전압보다 크면 오프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second controller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a Zener diode and a resistor to which a reference voltage is connected in parallel at a base end of the switching element, and an emitter resistor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 The switching device compares the voltage across the base end with the emitter voltage dropped by the emitter resistance at the emitter end so that the emitter voltage i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or below, And when the emitter voltage is higher than the base voltage, the transistor is turned of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를 이루는 조명블럭에 전류제어기를 직렬로 연결 구성시, 조명블럭으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전류제어기를 병렬 또는 직병렬 또는 직렬로 선택 동작시켜 조명블럭을 이루는 발광소자(LED)들에 도통개시전압에 따른 제한된 전류만을 인가시키는 차폐수단을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피크전류를 낮추면서도 조명블럭의 점등에 따른 밝기를 높혀 LED 조명기구의 전력 소모를 절약함은 물론, LED 조명기구의 점등시 발생하는 열량을 감소시켜 수명을 연장시키고, 특히 조명의 도통각을 넓혀 LED의 빛떨림이나 눈부심을 방지하면서 교류전원의 사용에 따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직류전원의 고조파에 의한 전자파 발생을 차단하면서 경제성을 고려하여 교류전원 사용을 권장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urrent controller is connected in series to a plurality of lighting blocks, a curr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lighting block is selected in parallel, in series or in series or in series, (LEDs) according to a conduction start voltag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LED lighting fixture by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block while lowering the peak curr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when the lighting apparatus is turned on to extend the life span and in particular to enlarge the conduction angle of the lighting so as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use of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while preventing the light shaking or glare of the LED, Considering economical efficiency while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harmonics,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encouraging the use of AC power will be.

도 1은 종래 LED 조명기구의 개략적인 동작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LED 조명기구의 개략적인 동작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LED 조명기구의 개략적인 동작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LED 조명기구의 개략적인 동작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류량 제어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출력부 회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출력부 회로도.
1 is a schematic operational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LED lighting apparatus.
2 is a schematic operational circuit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operational circuit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operational circuit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of current amount contro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n alarm signal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of an alarm signal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that are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per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 1은 종래 LED 조명기구의 개략적인 동작 회로도.1 is a schematic operational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LED light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LED 조명기구의 개략적인 동작회로도.2 is a schematic operational circuit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LED 조명기구의 개략적인 동작회로도.3 is a schematic operational circuit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LED 조명기구의 개략적인 동작회로도.Fig. 4 is a schematic operational circuit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류량 제어 그래프.5 is a graph of current amount contro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출력부 회로 블록도.6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n alarm signal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출력부 회로도로서,7 is a circuit diagram of an alarm signal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LED 조명기구의 개략적인 동작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schematic operational circuit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의 절전장치는, 교류전원(AC)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상기 교류전원(AC)을 공급받은 후 이를 직류전원(DC)으로 변환하는 변환부(20)에 더하여, 제 1,2전류제어기(30)(40)와 차폐부 및 전류량 결정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2, the power saving device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ource unit 10 for supplying an AC power source,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the shielding unit, and the current-amount determining unit 50, in addition to the converting unit 20 for converting the DC power to the DC power.

상기 제 1 전류제어기(30)는 상기 변환부(20)에 의해 변환되는 직류전원에 따라 제 1 조명블럭(100)의 점등에 필요로 하는 전류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first current controller 30 is configured to control an amount of current required for lighting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100 according to a DC power source converted by the converter 20.

상기 제 2 전류제어기(40)는 상기 변환부(20)에 의해 변환되는 직류전원에 따라 제 2 조명블럭(200)의 점등에 필요로 하는 전류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second current controller 4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required to turn on the second lighting block 200 according to the DC power converted by the converting unit 20. [

여기서,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에 각각 구성되는 다수의 발광소자(LED)[0030] 는 그 점등을 위한 전압값과 전류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전압값과 전류값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LED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and 200 may have the same voltage value and different current value for lighting, ,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voltage value and current value.

일예로,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에는 각각 3.1V의 전압값과 80mA의 전류값을 가지는 35개의 칩엘이디를 구성하거나, 또는 3.15V의 전압값과 100mA의 전류값을 가지는 35개의 칩엘이디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and 200 may have 35 chip LEDs each having a voltage value of 3.1 V and a current value of 80 mA, or a voltage value of 3.15 V and a current value of 100 mA Thirty-five chip LEDs can be 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 1 조명블럭(100)의 출력측과 상기 제 2 조명블럭(200)의 입력측 사이에 연결된 것으로, 동작전압(Vf)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를 병렬 또는 직병렬 또는 직렬로 동작시키는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shielding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side of the first lighting block 100 and the input side of the second lighting block 20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 In parallel or series-parallel or in series.

상기 전류량 결정부(50)는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상기 차폐부에 의해 병렬 또는 직병렬 또는 직렬로 동작시 그 전류량 제어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으로, 발열량이 높은 전력에서 전류량 제어의 범위가 결정되도록 제 1,2 소자(C11)(C12)를 적용하여둔 것이다.The current amount determination unit 50 determines the range of current amount control when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operate in parallel, in series, in parallel, or in series by the shielding unit.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C11 and C12 are applied so that the range of the current amount control is determined.

이때, 상기 제 1 소자(C11)는 제 2 조명블럭(200)을 통해 피크전압의 1/2까지 충전된 후 제 1 조명블럭(100)으로 방전되도록 구성한 충방전용 커패시터이고, 상기 제 2 소자(C12)는 제 1 조명블럭(100)을 통해 피크전압의 1/2까지 충전된 후 제 2 조명블럭(200)으로 방전되도록 구성한 충방전용 커패시터인 것이다.Here, the first element C11 is a charge-only capacitor that is charged to a half of the peak voltage through the second illumination block 200 and is discharged to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100, C12 are charged charges up to a half of the peak voltage through the first lighting block 100 and then discharged to the second lighting block 200. [

즉, 상기 제 1 소자(C11)는 제 2 조명블럭(200)을 통해 피크전압의 1/2까지 충전되면서 방전은 제 1 조명블럭(100)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고, 상기 제 2 소자(C12)는 제 1 조명블럭(100)을 통해 피크전압(311V)의 1/2까지 충전되면서 방전은 제 2 조명블럭(200)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at is, the first element C11 is configured to be charged to a half of the peak voltage through the second illumination block 200, and the discharge is made up of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100. The second element C12, Is configured to be charged to a half of the peak voltage (311V) through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100), and to discharge the second illumination block (200).

여기서, 상기 피크전압은 311V인 것이다.Here, the peak voltage is 311V.

한편,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 1 소자(C11)의 양전압(+)이 걸리는 음극(cathode)과, 상기 제 2 소자(C12)의 부전압(-)이 걸리는 양극(anode)을 가지는 차폐 다이오드(D10)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는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Vf)이 일정전압(예; 150V) 이하이면 차폐동작하여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를 병렬로 연결하도록 차폐되고,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Vf)이 일정전압(예; 150V∼220V)의 범위내이면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를 직병렬로 연결하며,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Vf)이 일정전압(예; 220V) 이상이면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를 직렬로 연결하도록 도통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hielding portion includes a shielding diode having a cathode to which a positive voltage (+) of the first element C11 is applied and an anode to which a negative voltage (-) of the second element C12 is applied The shielding diode D10 shields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when the operating voltage Vf applied to the cathod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150 V)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when the operating voltage Vf applied to the cathode is with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voltage (e.g., 150 V to 220 V)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are connected in series when the operating voltage Vf applied to the cathod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220 V).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의 절전장치는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우선 전원부(10)를 통해 교류전원(AC)이 변환부(20)에 공급되면, 상기 변환부(20)는 교류전원(AC)을 직류전원(DC)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직류전원(DC)은 제 1 전류제어기(30)를 통해 제 1 조명블럭(100)으로 인가되어, 상기 제 1 조명블럭(100)의 점등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 1 조명블럭(100)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은 전류량 결정부(50)에 포함되는 제 2 소자(C12)를 충전시키게 된다.2, when the AC power source AC is supplied to the conversion unit 20 through the power source unit 10, the power saving unit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conversion unit 20 converts the AC power source AC into a DC power source DC and the converted DC power source DC is applied to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100 through the first current controller 30,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100 is turned on while the DC power applied to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100 charges the second element C12 included in the current amount determination unit 50. [

그리고, 상기 변환부(20)를 통해 변환 출력되는 직류전원(DC)은 전류량 결정부(50)에 포함되는 제 1 소자(C11)에 인가되어, 상기 제 1 소자(C11)를 충전시킴은 물론, 제 2 조명블럭(200)으로 인가되어, 상기 제 2 조명블럭(200)의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The DC power source DC converted and output through the conversion unit 20 is applied to the first element C11 included in the current amount determination unit 50 so as to charge the first element C11 The second illumination block 200 is turned on so that the second illumination block 200 is turned on.

이때,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에 연결되는 차폐부인 차폐 다이오드(D10)의 음극에는 상기 제 1 소자(C11)를 통과하는 양전압(+)이 걸리고, 양극에는 상기 제 2 소자(C12)를 통과하는 부전압(-)이 걸리게 되는데,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는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Vf)이 일정전압(예; 150V) 이하인 경우,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는 차폐동작하여,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를 병렬로 연결시키게 된다.At this time, a positive voltage (+) passing through the first element (C11) is applied to the cathode of the shielding diode (D10) which is a shield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200) A negative voltage (-) passing through the two elements C12 is applied to the shielding diode D10 when the operating voltage Vf applied to the cathod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e.g., 150 V) D10 are shielded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in parallel.

그리고,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의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Vf)이 일정전압(예; 150V∼220V220V)의 범위내인 경우,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는 직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의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Vf)이 일정전압(예; 220V) 이상인 경우에는 도통이 이루어져,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는 직렬로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다.When the operating voltage Vf applied to the cathode of the shielding diode D10 is with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150V to 220V220V),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When the operating voltage Vf applied to the cathode of the shielding diode D10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220 V), conduction is established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40 are connected in series.

일예로,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에 각각 3.1V의 전압값과 80mA의 전류값을 가지는 35개의 칩엘이디를 구성한 경우 그 동작전압(Vf)은 3.1V×35개=108.5V 이고, 도통개시전압은 상기 동작전압(Vf)의 70%인 75.95V 이므로, 상기 제 1,2 소자(C11)(C12)는 상기 도통개시전압으로부터 피크전압의 1/2까지 충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의 음극에 걸리는 동작전압(Vf)은 일정전압(예; 150V) 이하이므로,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는 차폐동작하게 되며, 이에따라 제 1,2 전류제어기(30)(40)는 병렬로 동작하여,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전류량을 80mA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and 200 have 35 chip LEDs having a voltage value of 3.1 V and a current value of 80 mA, respectively, the operation voltage Vf is 3.1 V × 35 =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C11 and C12 are charged from the conduction start voltage to 1/2 of the peak voltage since the conduction start voltage is 75.95 V which is 70% of the operation voltage Vf The shielding diode D10 is shielded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30 are turned on and off because the operating voltage Vf applied to the cathode of the shielding diode D1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40) operate in parallel to control the current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200) to 80 mA.

즉, 3.1V의 전압값과 80mA의 전류값을 가지는 35개의 칩엘이디를 구성하여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병렬로 동작시, 동작전압(Vf)은 3.1V×35개=108.5V이고, 도통개시전압은 108.5V×0.7=75.95V이므로, 전류도통이 가능한 범위의 전압은 상기 동작전압(Vf)와 도통개시전압의 연산을 통해 108.5V-75.95V=32.55V로 연산되면서,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병렬로 동작하여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전류량을 80mA로 제어시,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발광전력은 32.55V×80mA=2.604W인 것이다.That is, 35 chip LEDs having a voltage value of 3.1 V and a current value of 80 mA are constituted so that when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operate in parallel, the operating voltage Vf is 3.1 V x 35 Is 108.5 V and the conduction start voltage is 108.5 V x 0.7 = 75.95 V, the voltage in the range in which current conduction is possible is calculated to be 108.5 V-75.95 V = 32.55 V through calculation of the operating voltage V f and the conduction starting voltage When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operate in parallel to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and 200 to be 80 mA, The emission power of the light source 200 is 32.55 V x 80 mA = 2.604 W.

반면,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에 각각 3.15V의 전압값과 100mA의 전류값을 가지는 35개의 칩엘이디를 구성한 경우 그 동작전압(Vf)은 3.15V×70개=220.5V이고, 도통개시전압은 상기 동작전압(Vf)의 70%인 154.35V 이므로, 상기 제 1,2 소자(C11)(C12)는 상기 도통개시전압으로부터 피크전압의 1/2까지 충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의 음극에 걸리는 동작전압(Vf)은 일정전압(예; 150V) 이상이므로,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는 서서히 도통되면서,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는 직병렬로 동작하여,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전류량을 100mA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and 200 have 35 chip LEDs having a voltage value of 3.15 V and a current value of 100 mA, respectively, the operation voltage Vf is 3.15 V × 70 = 220.5 V and the conduction start voltage is 154.35 V which is 70% of the operation voltage Vf,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C11 and C12 are charged from the conduction start voltage to 1/2 of the peak voltage , The operating voltage Vf applied to the cathode of the shielding diode D10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150 V), so that the shielding diode D10 is gradually turned on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Operate in series and in parallel to control the current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and 200 to be 100 mA.

즉, 3.15V의 전압값과 100mA의 전류값을 가지는 35개의 칩엘이디를 구성하여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직병렬로 동작시, 동작전압(Vf)은 3.15V×70개=220.5V이고, 도통개시전압은 220.5V×0.7=154.35V이므로, 전류도통이 가능한 범위의 전압은 상기 동작전압(Vf)와 도통개시전압의 연산을 통해 154.5V-108.5V=45.85V로 연산되면서,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병렬로 동작하여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전류량을 100mA로 제어시,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발광전력은 45.85V×80mA=3.668W이고,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직렬로 동작시 전류도통이 가능한 범위의 전압은 상기 동작전압(Vf)와 도통개시전압의 연산을 통해 220.5V-154.35V=66.15V로 연산되면서,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병렬로 동작하여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전류량을 100mA로 제어시,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발광전력은 66.15V×(100+120)mA/2=5.954W인 것이다.That is, 35 LEDs having a voltage value of 3.15 V and a current value of 100 mA are configured so that when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operate in series-parallel, the operating voltage Vf is 3.15 V × 70 = 220.5 V and the conduction initiation voltage is 220.5 V x 0.7 = 154.35 V, the voltage in the range in which current conduction is possible is calculated as 154.5 V-108.5 V = 45.85 V When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are operated in parallel and the current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and 200 is controlled to be 100 mA, 100) 200 is 45.85V x 80mA = 3.668W. When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are operated in series, a voltage in a range in which current conduction is possible is equal to the operating voltage V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are operated in parallel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ing blocks 100 and 200 are operated while calculating 220.5V-154.35V = 66.15V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conduction start voltage. Is controlled to be 100 mA, the first and second lights The emission power of the blocks 100 and 200 is 66.15V x (100 + 120) mA / 2 = 5.954W.

또한,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에 각각 3.15V의 전압값과 120mA의 전류값을 가지는 35개의 칩엘이디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의 음극에 걸리는 동작전압(Vf)이 서서히 증가하여 220.5V∼305V 의 범위내인 경우, 전류는 100mA에서 120mA까지 증가되므로,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는 도통되며, 이에따라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는 직렬로 동작하여,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전류량을 120mA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and 200, 35 chip LEDs each having a voltage value of 3.15 V and a current value of 120 mA are formed, the operating voltage applied to the cathode of the shielding diode D10 The current is increased from 100 mA to 120 mA so that the shield diode D10 is conductive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are turned on when the voltage Vf gradually increases to within a range of 220.5 V to 305 V. Accordingly, Operates in series to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and 200 to 120 mA.

즉, 3.15V의 전압값과 120mA의 전류값을 가지는 35개의 칩엘이디를 구성하여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직렬로 동작시, 동작전압(Vf)은 3.15V×70개=220.5V이고, 전류도통이 가능한 범위의 전압은 305V-220.5V=84.5V로 연산되면서,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직렬로 동작하여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전류량을 120mA로 제어시,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발광전력은 84.5V×(100+120)mA/2=9.295W인 것이다.That is, when 35 LEDs having a voltage value of 3.15 V and a current value of 120 mA are configured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are operated in series, the operating voltage Vf is 3.15V x 70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are operated in series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ing blocks 30 and 40 are turned on while the voltage in the range where the current is allowed to flow is calculated as 305 V - 220.5 V = (100 + 120) mA / 2 = 9.295 W when the current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and 200 is controlled to be 120 mA.

따라서, 상기 병렬구간 및 직병렬구간과 직렬구간의 전체적인 발광전력은 2.604W+3.668W+5.954W+9.295W=21.521W로서, 상기 발광전력에 따른 전력효율은 21.521W/22W=0.98로서 98% 이고, 도통개시각은 75.95V/311V=0.2442=14°이며, 도통각은 180°-(14°×2)=152°이고, 전력의율은 1-n/1+n=8.4%(n=152/180)이며, 불용전력은 22W-21.521W=0.48W로, 본 발명은 피크전류를 낮추고 전력효율을 높여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점등에 따른 밝기를 높이면서 도통각을 넓혀 빛떨림이나 눈부심을 방지함으로써 교류전원 사용시의 단점을 보완하고, 전반적인 전력소모량을 줄임은 물론, 제 1,2 조명블럭(100)(200)을 구성하는 발광소자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total emission power of the parallel section, the serial section and the serial section is 2.604W + 3.668W + 5.954W + 9.295W = 21.521W, and the power efficiency according to the emission power is 98.52W / (14 ° x 2) = 152 °, and the power ratio is 1-n / 1 + n = 8.4% (n) = 152/180), and the insufficient power is 22W-21.521W = 0.48W.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peak current and improves the power efficiency to increase the brightness according to the lighting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ing blocks 100 and 200 Thereby preventing the light from being shaken or glar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and to extend the lif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lighting blocks 100 and 200 .

한편, 첨부된 도 3은 낮은 전력에서 전류량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전류량 결정부(50)를 충방전용 커패시터인 제1,2 소자(C11)(C12)를 사용하지 않고 제 1,2 제어기(51)(52)로 구성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3, the current amount determining unit 50 is controlled by the first and second controllers 51 and 52 without using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C11 and C12, which are the charge-only capacitors, 5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서 전류량 결정부(50)에 포함되는 제 1 제어기(51)는 제 1 조명블럭(100)과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의 사이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 2 제어기(52)는 상기 제 2 조명블럭(200)과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의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at is, the first controller 51 included in the current amount determining unit 5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lighting block 100 and the shielding diode D10, (52)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lighting block (200) and the shielding diode (D10).

이때, 상기 제 1 제어기(51)는 NPN형 트랜지스터인 스위칭소자(Q11)와, 상기 스위칭소자(Q11)의 베이스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기준전압(예; 1.8V)이 설정되는 제너다이오드(ZD11) 및 저항(R11), 그리고 상기 스위칭소자(Q1)의 에미터단에 연결되는 에미터 저항(R12)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스위칭소자(Q11)는 베이스단에 걸리는 전압(Vb)과 에이터단에서 에미터 저항(R12)에 의해 전압 강하되는 에미터 전압(Ve)을 비교하여 상기 제 2 전류제어기(40)의 전류량 제어가 일정레벨(예; 80mA) 이하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미터 전압(Ve)이 베이스전압(Vb)보다 작거나 같으면 온 동작하고, 상기 에미터 전압(Ve)이 베이스전압(Vb)보다 크면 오프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first controller 51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Q11 as an NPN transistor and a zener diode ZD11 having a reference voltage (for example, 1.8 V)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base end of the switching element Q11 And the emitter resistor R12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Q1 so that the switching element Q11 is connected between the voltage Vb applied to the base end and the emitter resistor R12, The emitter voltage Ve of the second current controller 40 is lowered by the emitter resistance R12 so that the current amount control of the second current controller 40 is performed at a constant level (V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base voltage (Vb), and when the emitter voltage (Ve) is greater than the base voltage (Vb), the off operation is performed.

한편, 상기 제 2 제어기(52)는, PNP형 트랜지스터인 스위칭소자(Q21)와, 상기 스위칭소자(Q21)의 베이스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기준전압(예; 1.8V)이 설정되는 제너다이오드(ZD21) 및 저항(R21), 그리고 상기 스위칭소자(Q21)의 에미터단에 연결되는 에미터 저항(R22)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스위칭소자(Q21)는 베이스단에 걸리는 전압(Vb)과 에이터단에서 에미터 저항(R22)에 의해 전압 강하되는 에미터 전압(Ve)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전류제어기(30)의 전류량 제어가 일정레벨(예; 80mA) 이하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미터 전압(Ve)이 베이스전압(Vb)보다 작거나 같으면 온 동작하고, 상기 에미터 전압(Ve)이 베이스전압(Vb)보다 크면 오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second controller 52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Q21 which is a PNP transistor and a zener diode C21 having a reference voltage (for example, 1.8 V)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base end of the switching element Q21 And the emitter resistor R22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Q21. The switching element Q21 thus has a voltage Vb across the base end The emitter voltage Ve of the first current controller 30 is lowered by the emitter resistance R22 at the emitter terminal so that the current amount control of the first current controller 30 is performed at a constant level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Ve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base voltage Vb and turned off when the emitter voltage Ve is greater than the base voltage Vb.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2 제어기(51)(52)는 상기 제 1,2 조명블럭(100)(200)에 연결되는 차폐다이오드(D10)의 음극에 양전압(+)이 걸리고, 양극에 부전압(-)이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의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Vf)이 일정전압(예; 150V) 이하로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병렬로 동작하거나,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의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Vf)이 일정전압(예; 150V∼220V)의 범위내로서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직병렬로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차폐 다이오드(D10)의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Vf)이 일정전압(예; 220V) 이상으로 도통되어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직렬로 동작할 때, 상기 제 1,2 제어기(51)(52)의 온/오프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30)(40)가 제 1,2 조명블럭(100)(200)의 전류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ntrollers 51 and 5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y a negative voltage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shielding diode D1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ing blocks 100 and 200 The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and the operating voltage Vf applied to the cathode of the shielding diode D1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150 V) The second current controller 30 or 40 operates in parallel or the operation voltage Vf applied to the cathode of the shield diode D10 is with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voltage (e.g., 150 V to 220 V) The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operate in series o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perating voltage Vf applied to the cathode of the shielding diode D10 become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The first and second controllers 51 and 52 are turned on and off while the two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are operated in series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30 and 40 40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blocks 100, 20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trol the ryuryang.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ame par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이는 교류전원(AC)을 공급하는 전원부(10); 상기 교류전원(AC)을 공급받은 후 이를 직류전원(DC)으로 변환 출력하는 변환부(20);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변환부(20)의 출력단에는 제 11 전류제어기(401)를 구성하며, 상기 제 11 전류제어기(401)에는 제 11 내지 제 13 조명블럭(100)(200)(300)을 순차적으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제 11,12 조명블럭(100)(200)의 사이에는 제 12 전류제어기(402)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제 12,13 조명블럭(200)(300)의 사이에는 제 13 전류제어기(403)를 연결 구성하여 둔 것이다.FIG. 4 is a circuit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0 for supplying AC power; A converter 20 for receiving the AC power and converting the AC power to DC power; And an eleventh current controller 401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converting unit 20 and the eleventh to thirteenth lighting blocks 100, 200, 300 And a twelfth current controller 402 is connected between the eleventh and twelfth lighting blocks 100 and 200. The twelfth and thirteenth lighting blocks 200 and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thirteenth current controller 403 is connected between them.

그리고, 상기 제 11 및 제 12 조명블럭(100)(200)에 구성되는 발광소자들은 그 점등을 위한 전압값과 전류값이 동일하고, 상기 제 13 조명블럭(300)에 구성되는 발광소자들은 그 점등을 위한 전압값과 전류값이 상기 제 11 및 제 12 조명블럭(100)(200)에 구성되는 발광소자들의 점등을 위한 전압값 및 전류값과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둔 것이다.The light emitting elements included in the eleventh and twelfth illumination blocks 100 and 200 have the same voltage value and current value for turning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s. The voltage value and the current value for lighting are different from the voltage value and the current value for light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s formed in the eleventh and twelfth illumination blocks 100 and 200. [

이때,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 11 및 제 12 전류제어기(401)(402)는 제 11 및 제 12 조명블럭(100)(200)으로 각각 도통개시전압(예; 148.8V)에 따른 제한된 전류(예; 80mA)를 인가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3 전류제어기(403)는 상기 제 13 조명블럭(300)으로 도통개시전압(예; 73.2V)에 따른 제한된 전류(예; 60mA)를 인가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3 전류제어기(403)는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402)에 의해 제 2 조명블럭(200)의 전류량 제어시 상기 제 3 조명블럭(300)의 전류량 제어가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402)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차단 바이어스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5, the eleventh and twelfth current controllers 401 and 40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11th and 12th lighting blocks 100 and 200 with a conduction starting voltage (e.g., 148.8 V) And the thirteenth current controller 403 is configured to apply a limited current (for example, 80 mA) according to the conduction starting voltage (e.g., 73.2 V) to the thirteenth lighting block 300 And the thirteenth current controller 403 controls the current amount control of the third illumination block 300 when the current control of the second illumination block 200 is controlled by the twelfth current controller 402 And the cut-off bias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by the twelfth current controller 402.

더불어, 상기 제 1 전류제어기(401)는 전류도통개시전압(226.8V∼311V)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제 1,2,3 조명블럭(100)(200)(300)에 도통 가능한 전류(예; 100mA)를 인가시키도록 전류량을 제어하고, 상기 전류도통개시전압(226.8V∼311V)의 변화량이 피크전압(예; 311V)에 도달시 상기 제 1,2,3 조명블럭(100)(200)(300)으로 도통 가능한 전류(예; 120mA)를 초과하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current controller 401 may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e.g., current) that may flow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ing blocks 100, 200, and 300 according to the variation amount of the current conduction start voltage (226.8V to 311V).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urrent conduction start voltage (226.8 V to 311 V) reaches a peak voltage (e.g., 311 V),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ing blocks 100, The amount of current can be controlled so that a current exceeding a current (for example, 120 mA) that can be conducted to the power supply 300 can be controlled.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제 11,12,13 전류제어기(401)(402)(403)를 부하측인 제 1,2,3 조명블럭(100)(200)(300)의 중간에 등간격으로 다단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 11,12,13 전류제어기(401)(402)(403)가 제1,2,3 조명블럭(100)(200)(300)의 전류량을 다단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를 통해 상기 제 1,2,3 조명블럭(100)(200)(300)의 점등에 따른 밝기를 높이면서 도통각을 넓혀 빛떨림이나 눈부심을 방지함은 물론, 전반적인 전력소모량을 줄이면서 제 1,2,3 조명블럭(100)(200)(300)을 구성하는 발광소자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11th, 12th, and 13th current controllers 401, 402, and 403 ar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ing blocks 100, 200, The current controllers 401, 402, and 403 control the current amoun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ing blocks 100, 200, and 300 in multiple stages Thereby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ing blocks 100, 200, and 300 while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ing blocks 100, 200, and 300 so as to prevent the light from being shaken or glare, The lif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constitu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ing blocks 100, 200, and 300 can be extended.

한편, 상기 차폐부에 전류가 흐르는지를 체크하여 차폐부 에러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수단(500)을 더 구비하고, 차폐부가 에러이면 차폐부 제어부(500)에서 파악하여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계속적인 경보음을 출력하여 차폐부가 고장난 경우 에러신호를 출력한다.If the shielding unit is in error, the shielding unit control unit 500 detects the error and outputs the error signal to the automatic error outputting unit 1000. The error detecting unit 500 detects the error of the shielding unit by checking whether current flows through the shielding unit. And outputs an error signal when the shielding portion fails.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구성을 상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회로 전원부(1101)와,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발진 트랜스(1103)와,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릴레이 스위치(1107)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통신 단말기 전원 스위치(sw2)와,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relay power supply unit 1101, an error signal output unit 1102, an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a relay switch 1107,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 communication terminal power switch sw2, and a power source holding switching section 1118. [

상기 전원부(1101)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킨다.The power supply unit 1101 applies a power supply signal by itself.

상기 에러신호 출력부(1102)는 차폐부가 반응하지 않으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킨다.The error signal output unit 1102 switches the power supply circuit if the shielding unit does not respond.

상기 발진 트랜스(1103)는 전원부(1101)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is supplied with electricity when the power supply unit 1101 is turned on, and outputs the boosted AC current.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는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The switching unit 1108 for relay operation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is turned on by electrical supply.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킨다.The relay switch 1107 is install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and generates a magnetic force.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by pulling the iron wire by the relay switch (1107).

상기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power switch for outputting the error signal sw2 induces an error signal to be displayed by supplying power to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strip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1107. [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한다.The power supply switching unit 1118 is connected to the base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emitter end and the collector end are connected to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The wire is pull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108 to form a closed circuit while switching is turned on,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1107 is stopped. At this time, i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forcibly turned off, the closed circuit is broken while the closed circuit is broken and the relay operating switch 1108 is turned on and the relay switch is turned o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turned on to induce the error signal to be output continuously.

이하에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error signal output unit will be described.

먼저,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이 연결되어 발진 트랜스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트랜스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First, when the error signal output unit 1102 is turned on, a DC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oscillation transformer, and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oscillation transformer.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The power source induced on the secondary side becomes a DC power source of a half wave through a rectifying diode, and this half wave DC power source becomes a more stable DC power source due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action of the condenser.

이 직류 전원은 릴레이 스위치(1107)의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을 통과하면서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1107)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This DC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thyristor through the coil of the relay switch 1107, while the DC power source charges the capacitor through the resistor. The elevated voltage passes through the die and triggers the switching section 1108 for relay operation so that the node node and the cathode node are switch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is made, The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turned on to apply power to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display an error signal.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트랜스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activated, a base end of the power supply maintaining switch 1118 is activated, and a closed circuit is induced in the emitter end and the collector end of the power supply holding switch 1118 to supply power to the transformer Off.

즉, 저항(1109)과 콘덴서(1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120)를 통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스위칭을 위해 계속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멈추게 된다.That is, a voltage between the resistor 1109 and the capacitor 1110 flows through the diode 1120 to flow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holding switching unit 1118, and the resistance between the resistor by the bypass and the capacitor When the voltage between the resistor and the capacitor is lowered, the trigger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for relay operation 1108 is stopped, so that the node end and the tail end are turned off and the current flows to the relay switch 1107 So that the power supply is continuously stopped for switching.

한편, 만약 관리자가 에러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의 전류 흐름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anager turns of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during the output of the error signal, no current flows in the closed circuit and accordingly the bias voltage flowing between the emitter end and the base end of the power- And the power supply switching unit 1118 is turned off.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120)를 통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10)에 충전된다.The power supply switching unit 1118 is turned off to remove the bypass voltage between the resistor and the capacitor through the diode 1120 and the voltage is charged in the capacitor 1110.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보조 스위치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출력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에러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charged voltage causes a break-over phenomenon of the die 1111 and a trigger signal is output from the die to the switching section 1108 for auxiliary switch operation to move the iron piece, while maintaining the closed circuit, an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error signal display unit 1150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즉, 본 발명은 에러요인을 치유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에러요인을 치유한 다음에 조명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rror factor is not cured, the warning sound is continuously output, and the lighting device can be operated after necessarily correcting the error factor.

10: 전원부 20: 변환부
30: 제 1 전류제어기 40: 제 2 전류제어기
50: 전류량 결정부 C11: 제 1 소자
C12: 제 2 소자 51: 제 1 제어기
52: 제 2 제어기 100: 제 1 조명블럭
200: 제 2 조명블럭 300: 제 3 조명블럭
401: 제 11 전류제어기 402: 제 12 전류제어기
403: 제 13 전류제어기 D10: 차폐 다이오드
10: power supply unit 20:
30: first current controller 40: second current controller
50: Amount of current determination unit C11: First element
C12: second element 51: first controller
52: second controller 100: first lighting block
200: second lighting block 300: third lighting block
401: eleventh current controller 402: twelfth current controller
403: thirteenth current controller D10: shielding diode

Claims (7)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교류전원을 공급받은 후 이를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되는 직류전원에 따라 제 1 조명블럭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 1 전류 제어기;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되는 직류전원에 따라 제 2 조명블럭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 2 전류 제어기;
상기 제 1 조명블럭의 출력측과 상기 제 2 조명블럭의 입력측 사이에 연결되고, 동작전압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를 병렬 또는 직병렬 또는 직렬로 동작시키는 차폐부;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가 상기 차폐부에 의해 병렬 또는 직병렬 또는 직렬로 동작시 그 전류량 제어의 범위를 결정하는 전류량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폐부에 전류가 흐르는지를 체크하여 차폐부 에러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수단(500)을 더 구비하고, 감지수단에 연결되어 차폐부가 에러인지를 파악하는 차폐부 제어부(600)를 구비하며, 상기 차폐부 제어부에 의해서 경보신호 출력 지령이 있으면 계속적인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며;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상기 차폐부에 에러가 발생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1101)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발생을 감소시키는 LED 구동장치.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C power;
A converter for receiving the AC power and converting the AC power to DC power;
A first curr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current for operating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according to the DC power converted by the converter;
A second curr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current for operating the second illumination block according to the DC power converted by the converter;
A shield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side of the first lighting block and the input side of the second lighting block and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in parallel or in series or in series according to a variation amount of the operating voltage;
And a current amoun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range of the current amount control when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operate in parallel or in series, in parallel, or in series by the shielding unit;
And a shielding unit control unit 600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to detect whether the shielding unit is in error, wherein the sensing unit 500 senses whether a current flows in the shielding unit, And an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outputting a continuous alarm signal when an alarm signal output command is issued by the shielding unit control unit;
The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outputs,
A power supply unit 1101 for applying a power supply signal by its own power supply;
An error signal output unit 1102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circuit when an error occurs in the shielding unit;
An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which is supplied with electricity when the power supply unit 1101 is turned on and outputs a boosted AC current;
A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turned on by electrical supply;
A relay switch 1107 install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1108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hat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1107;
An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for supplying power to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displaying an error signal when the relay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1107;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base e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emitter end and the collector end are connected to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part 1108. The operation of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part 1108 pulls the iron piece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forcibly turned off at this time, the closed circuit is broken, And the relay switch 1108 is turned on to turn o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so as to continuously output an error signal And a switching unit (1118) for holding the LE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량 결정부는 일정레벨 이상의 전력에서 전류량 제어의 범위가 결정되도록 제 1,2 소자를 적용하되, 상기 제 1 소자는 제 2 조명블럭을 통해 피크전압의 1/2까지 충전된 후 제 1 조명블럭으로 방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소자는 제 1 조명블럭을 통해 피크전압의 1/2까지 충전된 후 제 2 조명블럭으로 방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발생을 감소시키는 LED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are charged to a half of a peak voltage through a second illumination block,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are turned on. Respectively,
Wherein the second element is charged to a half of the peak voltage through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and then discharged to the second illumination block.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 1 소자의 양전압(+)이 걸리는 음극(cathode)과, 상기 제 2 소자의 부전압(-)이 걸리는 양극(anode)을 가지는 차폐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발생을 감소시키는 LED 구동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ield is a shielding diode having a cathode to which a positive voltage of the first element is applied and an anode to which a negative voltage of the second element is applied.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다이오드는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이 일정전압 이하이면 차폐동작하여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를 병렬로 연결하도록 차폐되고, 상기 차폐 다이오드는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이 일정전압의 범위내이면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를 직병렬로 연결하며, 상기 차폐 다이오드는 음극(cathode)에 걸리는 동작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 1,2 전류제어기를 직렬로 연결하도록 도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발생을 감소시키는 LED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hielding diode is shield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are connected in parallel when the operating voltage applied to the cathod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and the shielding diod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perating voltage applied to the cathode is a constant voltage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lers are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when the operating voltage applied to the cathod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The LED driving apparatus compri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량 결정부는 일정레벨 이하의 전력에서 전류량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1 조명블럭과 상기 차폐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제어기와, 상기 제 2 조명블럭과 상기 차폐 다이오드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발생을 감소시키는 LED 구동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urrent amount determination unit includes a first controlle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illumination block and the shield so that current amount control is performed at a power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a second controller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illumination block and the shield diode, Wherein the LED driving device is configured to reduce the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베이스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기준전압이 설정되는 제너다이오드 및 저항, 그리고 상기 스위칭소자의 에미터단에 연결되는 에미터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스위칭소자는 베이스단에 걸리는 전압과 에이터단에서 에미터 저항에 의해 전압 강하되는 에미터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 2 전류제어기의 전류량 제어가 일정레벨 이하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미터 전압이 베이스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면 온 동작하고, 상기 에미터 전압이 베이스전압보다 크면 오프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발생을 감소시키는 LED 구동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controller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a Zener diode and a resistor to which a reference voltage is connected in parallel at a base end of the switching element, and an emitter resistor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The emitter voltage is lower than the base voltage so that the current amount control of the second current controller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level or lower by comparing the voltage across the base end with the emitter voltage dropped by the emitter resistance at the emitter end And when the emitter voltage is larger than the base voltage, the transistor is turned of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기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베이스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기준전압이 설정되는 제너다이오드 및 저항, 그리고 상기 스위칭소자의 에미터단에 연결되는 에미터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스위칭소자는 베이스단에 걸리는 전압과 에이터단에서 에미터 저항에 의해 전압 강하되는 에미터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전류제어기의 전류량 제어가 일정레벨 이하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미터 전압이 베이스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면 온 동작하고, 상기 에미터 전압이 베이스전압보다 크면 오프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발생을 감소시키는 LED 구동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controller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a Zener diode and a resistor to which a reference voltage is connected in parallel at a base end of the switching element, and an emitter resistor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The emitter voltage is lower than the base voltage so that the current amount control of the first current controller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by comparing the voltage across the base end and the emitter voltage dropped by the emitter resistance at the emitter end And when the emitter voltage is larger than the base voltage, the transistor is turned off.
KR1020160055487A 2016-05-04 2016-05-04 A LED Driving Unit for Electromagnetic Waves Reduction KR1016917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487A KR101691768B1 (en) 2016-05-04 2016-05-04 A LED Driving Unit for Electromagnetic Waves Re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487A KR101691768B1 (en) 2016-05-04 2016-05-04 A LED Driving Unit for Electromagnetic Waves Re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768B1 true KR101691768B1 (en) 2016-12-30

Family

ID=5773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487A KR101691768B1 (en) 2016-05-04 2016-05-04 A LED Driving Unit for Electromagnetic Waves Re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76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55A (en) * 1998-08-12 2000-03-06 이용인 Emergency breaker of inducted heating type cooker
KR100670843B1 (en) * 2004-06-10 2007-01-18 삼성물산 주식회사 Lighting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intensity of illumination upon detecting light
KR101432222B1 (en) * 2014-02-26 2014-08-21 주식회사 현대엠앤케이 Led driver circuit for life extension
KR20150099120A (en) * 2014-02-21 2015-08-31 우승환 Power saving device og LED lighting fixt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55A (en) * 1998-08-12 2000-03-06 이용인 Emergency breaker of inducted heating type cooker
KR100670843B1 (en) * 2004-06-10 2007-01-18 삼성물산 주식회사 Lighting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intensity of illumination upon detecting light
KR20150099120A (en) * 2014-02-21 2015-08-31 우승환 Power saving device og LED lighting fixtures
KR101432222B1 (en) * 2014-02-26 2014-08-21 주식회사 현대엠앤케이 Led driver circuit for life exten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1180B2 (en) LED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5333769B2 (en) LED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US9743470B2 (en) Lighting control circuit, illuminating lamp using the lighting control circuit,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illuminating lamp
CN101861009B (en) Control circuit for light emitting device
EP2528418B1 (en) Dimming signal gener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control system using same
CN107637169B (en) Time-delay lighting circuit and device
US10362644B1 (en) Flyback converter with load condition control circuit
JP6087960B2 (en) LED light source
US20100295478A1 (en) Led driving circuit
CN102647827A (en) Illumination device
CN110536506B (en) LED stroboscopic flashing circuit
KR101377038B1 (en) LED lighting apparatus
CN101652012B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US8575847B2 (en) Control circuit of light-emitting element
JP2008104272A (en) Phase-control power supply
TW201230862A (en) Led driving apparatus
KR101691768B1 (en) A LED Driving Unit for Electromagnetic Waves Reduction
KR101376152B1 (en) Led lighting apparatus
Pinto et al. Compact lamp using high-brightness LEDs
JP2018073702A (en) Illumination device and lighting fixture
JP2012160284A (en) Led lighting device, luminaire, and lighting control system
KR101597773B1 (en) Power saving device og LED lighting fixtures
JP7380174B2 (en) Lighting devices and luminaires
JP7247558B2 (en) Lighting devices, luminaires and power supplies
US9426869B2 (en) Multi-output electronic ball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