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650B1 - Movable multimedia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vable multimedia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650B1
KR101691650B1 KR1020150052550A KR20150052550A KR101691650B1 KR 101691650 B1 KR101691650 B1 KR 101691650B1 KR 1020150052550 A KR1020150052550 A KR 1020150052550A KR 20150052550 A KR20150052550 A KR 20150052550A KR 101691650 B1 KR101691650 B1 KR 101691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ultimedia device
terminal
mobi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22530A (en
Inventor
김주희
Original Assignee
김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희 filed Critical 김주희
Priority to KR1020150052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650B1/en
Publication of KR2016012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5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6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용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100)가 수납되는 수납홈(15)이 형성되는 메인몸체(10)와, 상기 메인몸체(10)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명령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몸체(10)에 적어도 그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이동수단(20,20')과, 상기 메인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수단(20,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에 이동수단(20,20')이 구비되어, 연동된 이동단말기(100) 또는 연동단말기(200)의 제어에 의해 물리적인 이동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능동적인 동작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활용도가 커지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multimedia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 main body 10 on which a receiving groove 15 for receiving the mobile terminal 100 is formed. The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by wire or wireless, (20, 20 '), which is rotatably provided at least partially in the main body (10) and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for executing command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And a driving sourc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transmit driving force to the moving means 20 and 20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is provided with the moving means 20 and 20 'so that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can be physically moved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rlocked mobile terminal 100 or the interlocking terminal 200, So that the utilization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is increased.

Description

이동단말기용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Movable multimedia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multimedia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와 연동하여 이동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multimedi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moving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terminal and reproducing various multimedia contents.

최근 휴대 정보 단말기로 핸드폰이나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표적인 예로 애플(Apple)사의 iPad(이하, '아이패드'라 함)를 들 수 있다. 이동단말기는 터치스크린 형식의 디스플레이부가 입력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전자장비를 말하는 바, 휴대성이 뛰어난 반면 종래 노트북 컴퓨터에 대응하는 작업처리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 그 사용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Recently, mobile phones and tablet computers are widely used a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A typical example is an Apple iPa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Pad'). The mobi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performs the function of an input device at the same time and is excellent in portability. On the other hand, have.

이와 더불어, 이와 같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멀티미디어재생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를 거치하여 음악을 듣는 도킹장비나, 이동단말기의 컨텐츠를 보다 큰 화면으로 재생시키기 위한 장비 등이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various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es using the mobile terminal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a docking device for listening to music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tents of the mobile terminal on a larger screen are used .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들은 다른 멀티미디어와 연동하거나 능동적인 작동을 수행하지는 못하며, 연결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를 단순히 재생하는데 그치는 한계가 있다.
However, such devices do not work in conjunction with other multimedia or actively operate, and there is a limit to simply reproducing the contents of a connected mobile terminal.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19685호Korean Patent No. 131968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기 및 연동단말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능동적으로 작동될 뿐아니라 물리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multimedia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and an interworking terminal to exchange data and actively operate,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명령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몸체에 적어도 그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메인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과, 상기 메인몸체에 구비되어 외부의 연동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객체를 인식하여 촬영하고 이를 추적하여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면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에 특정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방식이 적용되어, 추적하고자하는 객체의 ID를 비콘을 통해 탐색하고, 상기 객체의 ID가 탐색되면, 상기 객체의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상기 연동단말기에 전송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 mobile terminal; a main bod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 A main control unit for executing command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 moving unit provided at least partially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and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interactive terminal. The main control unit recognizes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and photographs the camera module. And if the mobile terminal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detects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searches for an ID of an object to be tracked using a beacon, and when the ID of the object is searched,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position coordinates of the object and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interworking terminal .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한 쌍의 이동수단은 각각 별개의 구동원에 연결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The moving means is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pair of moving means are connected to separate driving sources and are rot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삭제delete

상기 수납홈에는 상기 메인제어부에 연결된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수납홈에 상기 이동단말기가 수납되면 상기 스위치가 ON상태가 된다. The storage groove is provided with a switch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is housed in the storage groove, the switch is turned on.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또는 공기오염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모듈이 구비된다. The main control unit may include a sensor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n air pollution sensor.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스피커모듈이 구비된다. The main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speaker module.

상기 메인몸체의 전면에는 적외선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메인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수단을 통한 이동 중에 장애물과의 충돌이 방지된다. An infrared sensor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infrared sensor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so that collision with an obstacle during movement through the moving unit is prevented.

상기 메인몸체의 일측에는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향수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키는 디스펜서모듈이 구비된다. And a dispenser module for selectively discharging fragranc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수납홈에 안착되는 결합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1동기화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와 외부의 연동단말기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2동기화단계와, 특정장소에 구비된 위치확인장치와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수단 사이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정보 및 상기 이동단말기의 정보가 전용서버에 전달되는 위치정보전달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의 제어신호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메인제어부에 전달되어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가 동작하는 동작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는 상기 수납홈이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명령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몸체에 적어도 그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메인몸체에 구비되어 외부의 연동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 연동단말기가 서로 연동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객체를 인식하고 이를 추적하여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면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에 특정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방식이 적용되어, 추적하고자하는 객체의 ID를 비콘을 통해 탐색하고, 상기 객체의 ID가 탐색되면, 상기 객체의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상기 연동단말기에 전송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multimedia device including a combining step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placed in a receiving groove of a mobile multimedia device, a first synchronization step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are connected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 second synchronization step in which an external synchronous terminal is connected wirelessly, a communication step in which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provided in a specific place and a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re transmitted to a dedicated server and a control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linked terminal is transmitted to a main controller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to operate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Wherein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has the receiving groove formed therein A main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t least a part of the main body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interactive terminal, where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terworking terminal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The main control unit transfers the specific data to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applies the Bluetooth method to identify the ID of the object to be tracked Searches through the beacon, and if the ID of the object is searched, It receives the coordinat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interconnecting device.

상기 제1동기화단계에 이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어플실행단계가 더 추가되고,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상기 이동단말기는 전용서버와 연결된다. The application execution step of activat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further added after the first synchronization step. When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server.

상기 제1동기화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이 미설치 상태인 경우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안내하는 프로그램설치안내단계가 추가된다. If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in the first synchronization step, the dedicated server adds a program installation guide step to guide the installation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은 아동모드와 성인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hild mode and an adult mode.

상기 전용어플레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는 그래픽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그래픽정보는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그래픽정보이다. When the former term declaration is activated, graphic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graphic information is 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data in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상기 그래픽정보는 얼굴형상의 그래픽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연동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음성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얼굴형상의 그래픽정보를 출력한다. The graphic information is configured as a face graphic, and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outputs graphic information of a face shape corresponding to at least any one of data of text, voice, or image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에는 게임기능이 포함되고, 상기 게임기능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카메라모듈, 마이크모듈 또는 스피커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활용하여 이루어진다. The dedicated application includes a game function, and the game function is performed using at least one of a camera module, a microphone module, and a speaker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에는 알람기능이 포함되고, 상기 알람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메인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가 이동되도록 한다. The dedicated application includes an alarm function. When the alarm function is activated, the dedicated application controls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to move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상기 이동단말기와 연동단말기가 서로 연동되면, 특정 데이터가 상기 이동단말기에 입력되면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메인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가 상기 연동단말기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특정 데이터는 전화수신, 알람활성화, 음성데이터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나 전용서버로부터 전달된 사용자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Wh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terworking terminal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hen the specific data is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ontrols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to selectively move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toward the interworking terminal, The specific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telephone reception, alarm activation, voice data, or user data transmitted from the interworking terminal or the dedicated server.

상기 이동단말기와 연동단말기가 서로 연동된 후, 상기 이동단말기의 카메라모듈 또는 마이크모듈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연동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When the data input through the camera module or the microphone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after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terworking terminal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data is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interworking terminal.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는 사용자데이터를 전용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전용서버에는 저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축적된다. The mobile terminal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transmits user data to a dedicated server, and the dedicated server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to accumulate the user data.

상기 동작단계에 앞서, 특정장소에 구비된 위치확인장치와 이동단말기의 통신수단 사이의 신호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정보 및 상기 이동단말기의 정보가 전용서버에 전달되는 위치정보전달단계가 더 포함된다.
A communication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a positioning device provided at a specific place and a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prior to the operation step; and a communication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mobile terminal to a dedicated server And a location information delivery step is further included.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용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ontrol method thereof,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서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에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연동된 이동단말기 또는 연동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물리적인 이동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능동적인 동작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활용도가 커지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obile means is provided in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physical movement can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linked mobile terminal or the synchronous mobile terminal, so that various activ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and thus the utilization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또는 이와 연결된 이동단말기의 센서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소리, 진동, 향기 또는 시각효과를 구현하고, 특히 사람의 표정을 형상화한 그래픽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내용을 보다 직감적이고 감성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와의 적극적이고 친밀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따라서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ppropriate sound, vibration, smell or visual effect is implemented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or a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hereto, and in particular, Can be communicated more intuitively and emotionally, thereby enabling active and intimat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and thus an effect of improving usability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사용한 사용자데이터가 전용서버에 저장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패턴 등을 분석하여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보다 능동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 data using a mobile terminal is stored in a dedicated server, and a usage pattern and the like are analyzed based on the user data, so that specific information or a message is transmitted to a user through a mobile multimedia device, And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를 이용하여 어린이나 유아를 관찰하고 그 정보를 연동단말기에 전달하거나,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를 통해 어린이나 유아의 학습/놀이가 가능하므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를 보다 다양한 연령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커지는 효과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serve a child or an infant by using a mobile multimedia device, transfer the information to an interlocking terminal, or allow a child or an infant to learn / play through a mobile multimedia device. Therefore,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users, and it has an effect of increasing utiliz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일실시례에 이동단말기가 결합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와, 이동단말기 및 연동단말기를 동기화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례를 보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제어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이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제어방법을 이용하여 주변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이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그래픽정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제어방법의 활용례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활용례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제어방법의 또 다른 활용례를 보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system including a mobi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synchronizing a mobile multimedia device, a mobile terminal and an interwork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 analyzing user data using a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playing the collected data.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 analyzing peripheral data us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playing the collected data.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various types of graphic information implemented through a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용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용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mobile multimedia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terminology is as follows.

(용어의 설명)(Explanation of terms)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소지한 통신기능이 있는 단말기를 의미하며, 사용자단말기에는 스마트폰, PDA, 컴퓨터, 태블릿PC를 비롯하여, 디스플레이(110)가 구비된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가 포함된다. The mobile terminal 100 refers to a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possessed by a user.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smart phone, a PDA, a computer, a tablet PC, and various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the display 110.

·연동단말기(200)는 이동단말기(100)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 PDA, 컴퓨터, 태블릿PC이거나, 스마트 시계, 스마트 밴드, 스마트 글래스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포함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단말기를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이동단말기(100), 연동단말기(200)와 같이 구별한다.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includes a smart phone, a PDA, a computer, a tablet PC, or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clock, a smart band, and a smart glass, as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order to distinguish user terminals owned by different user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are distinguish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는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메인몸체(10)가 그 골격 및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0)에는 이동단말기(100)가 수납되는 수납홈(15)이 형성되는데,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수납홈(15)에는 이동단말기(1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vable structure, and the main body 10 forms the skeleton and the appearance thereof. 2, a terminal portion 70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15,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0 has a receiving groove 15 for receiving the mobile terminal 100 therein.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홈(15)은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이동단말기(100)가 눕혀진 상태로 수납홈(15)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납홈(15)에는 상기 메인제어부에 연결된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수납홈(15)에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수납되면 상기 스위치가 ON상태가 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receiving groove 15 is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5 in a state where the mobile terminal 100 is laid down. A switch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15 so that the switch may be turned on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5.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에는 메인제어부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명령을 수행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수단(20,20'), 통신모듈, 스피커모듈(50), 센서모듈, 디스펜서모듈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제어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이동단말기(100) 또는 후술할 연동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된 명령신호를 처리하여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를 제어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main body 10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The main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performs command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ain control unit includes mobile means 20 and 20 ' (50), a sensor module, a dispenser module, and the like. The main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by processing the comma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상기 메인몸체(10)에는 이동수단(20,20')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수단(20,20')은 적어도 그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물리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이동수단(20,20')은 한 쌍의 바퀴로 구성되고, 상기 바퀴외면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고무재질이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충격흡수를 위한 완충수단(미도시)이 결합될 수도 있다.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moving means 20 and 20 '. The moving means 20 and 20 'are at least partly rotatable so that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is physically movab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ving means 20 and 20 'are constituted by a pair of wheels.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may be provided with a rubber material for increasing frictional force, Means (not shown) may be combined.

상기 이동수단(20,20')은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구동원은 전기모터이고, 상기 전기모터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source is an electric motor, and the electric motor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battery (not shown).

상기 이동수단(20,20')은 메인몸체(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한 쌍의 이동수단(20,20')은 각각 별개의 구동원에 연결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20,20')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를 전/후진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20,20')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전진하거나 후진하게 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회전되어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것이다. The moving means 20 and 20 'are constituted by a pai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The pair of moving means 20 and 20' are connected to separate driving sources, . Thus, the moving means 20, 20 'can forward / backward or rotate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That is, when the pair of moving means 20 and 20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advances or reverses. When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rotates in different directions,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is rotated It can change.

상기 메인몸체(10)에는 통신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이동단말기(100)나 외부의 연동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GPS모듈, WIFI모듈, NFC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과 같이 '위치 등을 알리기 위해 일정한 신호를 전송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블루투스 모듈 중에서는 자신의 신호 도달 거리 내로 스마트폰을 가진 사람이 들어 오면 특정 ID 값을 내보내는 비콘(Beacon) 모듈을 포함한다.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module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or an external interworking terminal 200.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 certain signal to notify a location, etc., such as a GPS module, a WIFI module, an NFC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Means a device that is The Bluetooth module includes a beacon module that sends out a specific ID value when a person with a smartphone arrives within the reach of his / her own signal.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센서모듈이 구비되는데, 상기 센서모듈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또는 공기오염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센서모듈에 의해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위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또는 공기오염도가 측정될 수 있고, 이를 이동단말기(100) 또는 연동단말기(200)에 전달하여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메인제어부를 통해 이동단말기(100)에 직접 전달되어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거나, 또는 이러한 데이터를 이동단말기(100)가 수신하여 적절한 온도와 비교하고 그 결과를 다시 메인제어부로 전달하여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특정한 동작을 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특정한 동작이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스피커모듈(50)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이거나, 진동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또는 이동수단(20,20')을 통해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includes a sensor module, wherein the sensor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n air pollution sensor. The temperature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can be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and the temperature, humidity 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can be measur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interactive terminal 200, To be controlled appropriately.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ain control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main control unit so that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Here, the specific operation includes a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module 50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a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vibration module, or movement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through the mobile means 20, 20 ' can do.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스피커모듈(50)이 구비된다. 상기 스피커모듈(50)은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본 실시례에서는 한 쌍의 이동수단(20,20')의 외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스피커모듈(50)은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데, 단순히 이동단말기(100)의 DAC(digital-to-analog converter)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메인제어부에 의해 자체적으로 특정 소리, 예를 들어 메인제어부와 연결된 저장장치에 저장된 경고음, 사람의 음성, 동물의 울음소리, 음악 등을 재생할 수도 있다. The main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speaker module 50. The speaker module 50 is a device for generating sound, and in this embodiment, one each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air of moving means 20 and 20 '. The speaker module 50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The speaker module 50 amplifie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sound, for example, a warning sound, a human voice, an animal cry, music, and the like stored in a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상기 메인몸체(10)의 전면에는 적외선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메인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수단(20,20')을 통한 이동 중에 장애물과의 충돌이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메인몸체(10)의 전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메인몸체(10)의 전,후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An infrared senso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infrared sensor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to prevent collision with an obstacle while moving through the moving unit 20 or 20 '. The infrared senso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10, respectively.

상기 메인몸체(10)의 일측에는 디스펜서모듈(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모듈은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향수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상태나, 또는 이동단말기(100)나 연동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된 조작신호에 의해 향수를 토출시킬 수 있다. A dispenser module (not show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control unit controls the state of the air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or the state of the air deliver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interlocking terminal 200. [ The perfume can be discharged by the operation signal.

상기 이동단말기(100) 또는 연동단말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용서버(300)에 연결된다. 상기 전용서버(300)는 이동단말기(100) 또는 전용단말기와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저장공간이 구비된 것으로, 이동단말기(10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At least on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server 300. The dedicated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dedicated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and may have a storage space therein,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상기 전용서버(300)의 저장공간에는 사용자의 사용자데이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작동데이터, 이동단말기(100)의 사용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전용서버(300) 또는 이동단말기(100)에 의해 분석되고 가공된 후에 사용자측에 다시 제공될 수 있다. The user data of the user, the operation data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the usage data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lik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dedicated server 300, It can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the terminal 100 and then supplied again to the user si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이동단말기(100)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수납홈(15)에 안착되는 결합단계가 선행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수납홈(15)에 안착되면 이동단말기(100)의 암단자가 수납홈(15)의 단자부(70)에 결합되어 이동단말기(100)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First, a coupling step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5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is preced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5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the femal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upled to the terminal portion 70 of the receiving groove 15,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어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1동기화단계가 수행된다. 이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통신수단과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통신모듈이 서로 연결되는 것인데,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synchronization step is performed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are connected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his means that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an be connected in various ways such as Wi-Fi or Bluetooth.

상기 제1동기화단계에 이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어플실행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전용서버(300)로부터 전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동단말기(100)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이를 설치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가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이 미설치 상태인 경우 상기 전용서버(30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안내하는 프로그램설치안내단계가 추가되는 것이다. 상기 어플실행단계에서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전용서버(300)와 연결된다. An application execution step in which the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activated after the first synchronization step is performed.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a kind of program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dedicated server 300 and installed. Of course, if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to install the dedicated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at is, when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dedicated server 300 adds a program installation guide step to guide the mobile terminal 100 to install the dedicated application. When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activated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tep,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server 300.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외부의 연동단말기(20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2동기화단계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스마트폰이고 연동단말기(200)는 웨어러블 장치인 스마트와치이다. At the same time, a second synchronization step is performed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interactive terminal 200 are wirelessly connected. In this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smart phone, and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is a smart watch that is a wearable device.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200)의 제어신호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메인제어부에 전달되어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동작하는 동작단계가 이어진다. In this state, a control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and the operation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is followed.

여기서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동작은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9 내지 도 11에는 다양한 실시례들이 도시되어 있다. Here, the operation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can be implemented in a wide variety of ways, and various embodiments are shown in Figs. 9-11.

도 9에서 보듯이,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에 결합된 이동단말기(100)는 객체인 아이를 향해 특정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스피커모듈(50)을 통해 음악이 나오도록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제어할 수 있는데, 물론 이러한 제어신호는 연동단말기(200)를 통해 이동단말기(100)에 전달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mobile terminal 100 coupled to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can generate a specific sound toward the object, the child.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ntrol the music to b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module 50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Of course, such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

그리고,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에 결합된 이동단말기(1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아이의 모습을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연동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이의 모습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연동단말기(200)를 통해 이동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동단말기(200)를 통해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그 신호는 이동단말기(10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동작되는 것이다.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동작되는 예로는, 이동수단(20,20')을 통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이동, 스피커모듈(50)을 통한 소리발생 등이 가능하다. The mobile terminal 100 coupled to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can take a picture of a child using a camera and transmit it to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user can monitor the state of the child and can control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 For example, when an operation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is operated accordingly. Examples of the operation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include movement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via the mobile means 20 and 20 ', sound generation through the speaker module 50, and the like.

또한,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에 구비된 센서모듈을 통해 특정 상태가 수신되면, 이동단말기(100)는 이를 연동단말기(200)에 알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입력된 데이터인 온도 보다 일정 수치 이상 높은 온도가 측정되면, 이동단말기(100)는 이를 연동단말기(200)에 전달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a specific state is received through the sensor module included in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the mobile terminal 100 may notify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of the specific state. For example, when a temperature higher than a certain value, which is the input data, is measured,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temperature to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그리고,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는 이동단말기(1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객체를 인식하고 이를 추적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으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통신모듈이 블루투스인 경우에는 특정 장소에서 발생되는 특정 ID 값을 비콘(Beacon)을 통해 수신할 수 있고, 따라서 추적하는 객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연동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may be controlled to recognize and track an object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is Bluetooth, The beacon can receive the specific ID value from the beacon, and can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tracked and transmit it to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연동단말기(200)가 서로 연동된 후,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카메라모듈 또는 마이크모듈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연동단말기(200)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보듯이,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인식하고 있는 객체가 기입력된 특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행위를 일정시간 이상 지속할 경우에 이를 알리거나 지정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If the data input through the camera module or the microphone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after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an object recognized by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continues an action corresponding to specific data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에 연결된 이동단말기(100)의 카메라가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객체인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같은 장소에 머물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알리는 방법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스피커모듈(50)일 수 있으며, 또는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특정 그래픽정보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amera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recognizes the object, and when the user who is the object remains in the same plac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user can be notified. Here, the method of informing the user may be the speaker module 50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or may activate the specific graphic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

그리고, 도 11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연동단말기(200)를 통해 이동단말기(100)를 음성제어함으로써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를 동작시키거나, 연동단말기(200)에 내장된 위치, 중력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이동단말기(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11, when the user operates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by voic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linked mobile terminal 200, or when the position, gravity or acceleration And may control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a sensor or the like.

또한, 이동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될 경우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메인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이동수단(20,20')을 통해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사용자 쪽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When a call is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a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to move toward the user.

이때, 상기 전용서버(300)는 사용자가 기입력한 데이터나 연동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패턴을 분석하여 특정시간의 TV프로그램을 안내하는 내용의 데이터를 이동단말기(100)에 전달하고, 이동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에 이를 표시하거나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를 제어하여 스피커모듈(50)이나 진동모듈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dedicated server 300 analyzes the data input by the user or the pattern of the user using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mobile terminal 100 to guide the TV program of the specific time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it on the display 110 or may control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to activate the speaker module 50 or the vibration module.

한편,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되는 그래픽정보는 얼굴형상의 그래픽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 또는 연동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음성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얼굴형상의 그래픽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사용자의 음성, 표정, 움직임을 통해 특정 정보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되는 기입력된 데이터가 다양한 얼굴형상으로 표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8, the graphic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mposed of graphical information of the face shape, and the display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graphic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ace 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any one of text, voice, and images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 FIG. 8 shows a case where specific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voice, facial expression, and movement of a user, and corresponding input data is expressed in various face shapes.

물론,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카메라모듈로 사용자의 표정을 인식하고 표정을 분석하여 같은 표정을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고개를 돌리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얼굴형상의 그래픽정보도 함께 사용자를 따라 움직이도록 표현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user may recognize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user using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alyze the facial expression to display the same facial expression on the display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user turns his or her head, The graphic information of the face shape shown in FIG.

한편,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은 아동모드와 성인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아동모드의 프로그램이나 성인모드의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동모드의 선택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와 연결된 이동단말기(100)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관찰한 후에, 기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성인인지 또는 어린이인지 판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미지가 다수일 경우에는 사용자 이미지의 크기 차이를 인식하여, 그 차이가 일정크기 이상(예를 들어 40cm이상)인 경우에는 성인과 아이가 함께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아동모드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The dedicated application may include a child mode and an adult mode, and a child mode program or an adult mode program may be activa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lternatively, the selection of the child mode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For example, after the mobile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observes the image of the user using the camera,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zes of the user images is larger than a certain size (for example, 40 cm or more), it is recognized that the adult and the child are present together You can also activate child mode automatically.

상기 전용어플레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에는 그래픽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그래픽정보는 이동단말기(100)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것이다. The graphic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data in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linked terminal 200 .

이때,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에는 게임기능이 포함되고, 상기 게임기능은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카메라모듈, 마이크모듈 또는 스피커모듈(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화, 숫자맞추기, 퍼즐, 악기소리 맞추기 등 다양한 게임이 가능하고, 유저인터페이스는 음성명령이나 동작인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dicated application may include a game function, and the game func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camera module, a microphone module, and a speaker module 50 of the mobile terminal 100. [ For example, a variety of games such as conversation, number matching, puzzles, musical instrument sounds,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and the user interface can be realized by voice commands or motion recognition.

한편,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에는 알람기능이 포함되고, 상기 알람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메인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를 찾아 이동식단말기를 조작할 동안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스피커모듈(50)을 통해 알람음이 지속적으로 울리도록 제어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edicated application may include an alarm function, and when the alarm function is activated, the dedicated application may control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to move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Accordingly, the alarm sound can be controlled to be continuously sounded through the speaker module 50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while the user operates the mobile terminal by searching for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연동단말기(200)가 서로 연동된 후, 특정 데이터가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입력되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메인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가 상기 연동단말기(200)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데이터는 전화수신, 알람활성화, 음성데이터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200)나 전용서버(30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When the specific data is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100 after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20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So that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can be selectively moved toward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 Here, the specific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telephone reception, alarm activation, voice data, or user data transmitted from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or the dedicated server 300.

한편,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동작에 앞서, 특정장소에 구비된 위치확인장치와 이동단말기(100)의 통신수단 사이의 신호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정보 및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정보가 전용서버(300)에 전달되는 위치정보전달단계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비콘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위치데이터를 전용서버(300)나 연동단말기(20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A communication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the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provided at a specific location and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prior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in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confirmation device and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re transmitted to the dedicated server 300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This is for locating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using the above-described beacon technology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data to the dedicated server 300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200. [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d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ing,"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1)의 메인몸체(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데이터가 표시될 수도 있으며, 메인몸체(10)에는 LED전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ata may be displayed not only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100 but also on a display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1. In the main body 10, May be included.

1: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20,20': 이동수단
50: 스피커모듈 100: 이동단말기
200: 연동단말기 300: 메인서버
1: mobile multimedia device 20, 20 ': mobile means
50: speaker module 100: mobile terminal
200: interworking terminal 300: main server

Claims (21)

이동단말기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명령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몸체에 적어도 그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메인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과,
상기 메인몸체에 구비되어 외부의 연동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객체를 인식하여 촬영하고 이를 추적하여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면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에 특정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방식이 적용되어, 추적하고자하는 객체의 ID를 비콘을 통해 탐색하고, 상기 객체의 ID가 탐색되면, 상기 객체의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상기 연동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또는 공기오염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모듈이 연결되며,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스피커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몸체의 전면에는 적외선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메인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수단을 통한 이동 중에 장애물과의 충돌을 감지하여 충돌을 방지하며,
상기 메인몸체의 일측에는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향수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키는 디스펜서모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A main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mobile terminal,
A main controller which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 and performs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t least a part of which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which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A driving source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moving means,
And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interactive terminal.
The main control unit recognizes an object of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captures and tracks the object, and transmits specific data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linked terminal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met,
The communication module searches for an ID of an object to be tracked through a beacon, receives a position coordinate of the object when the ID of the object is searched, and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 to the interworking terminal,
A sensor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n air pollution degree sensor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The main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speaker module,
An infrared sensor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infrared sensor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to detect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while moving through the moving unit to prevent a collision,
And a dispenser module for selectively discharging fragranc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한 쌍의 이동수단은 각각 별개의 구동원에 연결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means is pair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pair of moving means is connected to a separate driving source and is independently rotat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에는 상기 메인제어부에 연결된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수납홈에 상기 이동단말기가 수납되면 상기 스위치가 ON상태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2.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torage groove is provided with a switch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tored in the storage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동단말기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수납홈에 안착되는 결합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1동기화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와 외부의 연동단말기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2동기화단계와,
특정장소에 구비된 위치확인장치와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수단 사이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정보 및 상기 이동단말기의 정보가 전용서버에 전달되는 위치정보전달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의 제어신호가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메인제어부에 전달되어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가 동작하는 동작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는
상기 수납홈이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명령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몸체에 적어도 그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메인몸체에 구비되어 외부의 연동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 연동단말기가 서로 연동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객체를 인식하고 이를 추적하여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면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에 특정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방식이 적용되어, 추적하고자하는 객체의 ID를 비콘을 통해 탐색하고, 상기 객체의 ID가 탐색되면, 상기 객체의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상기 연동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또는 공기오염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모듈이 연결되며,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스피커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몸체의 전면에는 적외선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메인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수단을 통한 이동 중에 장애물과의 충돌을 감지하여 충돌을 방지하며,
상기 메인몸체의 일측에는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향수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키는 디스펜서모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제어방법.
An engaging step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seated in a receiving groove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A first synchronization step of wired or wirelessly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A second synchronization step of wirelessly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interworking terminal;
A communication step in which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performed between a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provided in a specific place and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A location information delivery step in which information of the loca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r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a dedicated server;
And a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to operate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A main body having the receiving groove formed therein,
A main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for executing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t least a part of which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which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interactiv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terworking terminal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he object is recognized and track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the main control unit transmits specific data to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
The communication module searches for an ID of an object to be tracked through a beacon, receives a position coordinate of the object when the ID of the object is searched, and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 to the interworking terminal,
A sensor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n air pollution degree sensor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The main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speaker module,
An infrared sensor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infrared sensor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to detect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while moving through the moving unit to prevent a collision,
And a dispenser module for selectively discharging fragranc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기화단계에 이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어플실행단계가 더 추가되고,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상기 이동단말기는 전용서버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제어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9, further comprising an application execution step of activating a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llowing the first synchronization step, and when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dedicated server Device control metho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기화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이 미설치 상태인 경우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안내하는 프로그램설치안내단계가 추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n the first synchronization step, when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dedicated server adds a program installation guide step to guide installation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은 아동모드와 성인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에 결합된 이동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이미지크기를 판별하여 자동으로 아동모드 또는 성인모드를 활성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제어방법.
12.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of claim 11, wherein the dedicated application comprises a child mode and an adult mode, and the dedicated application identifies an image size of a user recogniz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a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Wherein the child mode or the adult mode is activat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는 그래픽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그래픽정보는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그래픽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제어방법.
13.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of claim 12, wherein, when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activated, graphic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graphic information is 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data in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Control meth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정보는 얼굴형상의 그래픽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연동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음성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얼굴형상의 그래픽정보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제어방법.
14. 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3, wherein the graphic information comprises a face-shaped graphic, and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face shape corresponding to at least any one of text, And outputting the graphic informa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에는 게임기능이 포함되고, 상기 게임기능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카메라모듈, 마이크모듈 또는 스피커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활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제어방법.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dedicated application includes a game function, and the game function utilizes at least one of a camera module, a microphone module, and a speaker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에는 알람기능이 포함되고, 상기 알람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메인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가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제어방법.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of claim 13, wherein the dedicated application includes an alarm function, and when the alarm function is activated, the dedicated application controls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to move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Device control method.
제 9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와 연동단말기가 서로 연동되고, 특정 데이터가 상기 이동단말기에 입력되면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의 메인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가 상기 연동단말기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특정 데이터는 전화수신, 알람활성화, 음성데이터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나 전용서버로부터 전달된 사용자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제어방법.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6, wherein wh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terworking terminal are interlocked and specific data is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ontrols the main controller of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Wherein the specific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 telephone call, an alarm activation, voice data, or user data transmitted from the interworking terminal or the dedicated server,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와 연동단말기가 서로 연동된 후, 상기 이동단말기의 카메라모듈 또는 마이크모듈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연동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제어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9, wherein when the data input through the camera module or the microphone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after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terworking terminal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data is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interworking terminal Wherein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control method compris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연동단말기는 사용자데이터를 전용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전용서버에는 저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축적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obile terminal or the interworking terminal transmits user data to a dedicated server, and the dedicated server has a storage unit to store the user data.
삭제dele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에 결합된 이동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인식된 다수의 사용자의 이미지크기를 각각 판별하여, 다수의 사용자의 이미지크기가 일정 수치 이상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아동모드를 활성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멀티미디어장치 제어방법.


13.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of claim 12, wherein the dedicated application identifies an image size of a plurality of users recogniz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a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and when the image size of the plurality of users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Wherein the child mode is activated by the child mode.


KR1020150052550A 2015-04-14 2015-04-14 Movable multimedia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916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50A KR101691650B1 (en) 2015-04-14 2015-04-14 Movable multimedia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50A KR101691650B1 (en) 2015-04-14 2015-04-14 Movable multimedia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30A KR20160122530A (en) 2016-10-24
KR101691650B1 true KR101691650B1 (en) 2017-01-02

Family

ID=5725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550A KR101691650B1 (en) 2015-04-14 2015-04-14 Movable multimedia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6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2054A (en) * 2018-05-24 2018-09-18 周楚骎 A kind of child position State Feedback Approach and Intelligent bracelet
WO2023140394A1 (en) * 2022-01-19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media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69B1 (en) * 2003-10-13 2006-03-10 학교법인 순천향대학 Robotic cellular phone
KR20090103078A (en) * 2008-03-27 2009-10-0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phone combination robot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KR100972958B1 (en) * 2008-06-09 2010-08-09 옥윤선 A Holder for Electric Machine
KR101319685B1 (en) 2012-05-21 2013-10-17 임태희 A apparatus for holding and fixing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30A (en)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4139B2 (en) Robot
CN102270043B (en) Coordinating device interaction to enhance user experience
JP4972218B1 (en) Action body toy
US95945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and remote-controlled user interface
CN107707817B (en) video shoo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1622087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103180800A (en) Advanced remote control of host application using motion and voice commands
CA2906804A1 (en) Intelligent device connection for wireless media ecosystem
CN104813642A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riggering a gesture recognition mode and device pairing and sharing via non-touch gestures
US20140282204A1 (en)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ndom number in virtual keyboard
CN110673770B (en) Message display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US9770827B2 (en) Robot control system
US201403377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lectronic device
CN201435143Y (en) Remote control device
CN104090655A (en) Terminal and termi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6412810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09144176A (en) Display screen interactive display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in virtual reality
KR101691650B1 (en) Movable multimedia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208893A1 (en) Audio output mode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231515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parable module of terminal, and terminal
CN109542218B (en) Mobile terminal, human-computer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KR20160025229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200479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Smart Device
KR101773464B1 (en)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multiplayer gam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3042476A (en) Moving body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