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434B1 - Authoring device of image and authoring method of image - Google Patents

Authoring device of image and authoring method of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434B1
KR101691434B1 KR1020110007963A KR20110007963A KR101691434B1 KR 101691434 B1 KR101691434 B1 KR 101691434B1 KR 1020110007963 A KR1020110007963 A KR 1020110007963A KR 20110007963 A KR20110007963 A KR 20110007963A KR 101691434 B1 KR101691434 B1 KR 101691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utout
information
cut
inpu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9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6612A (en
Inventor
최윤철
손의성
전재웅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0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434B1/en
Publication of KR2012008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6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05General purpose rendering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저작 장치 및 영상 저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초보자들도 쉽고 빠르게 2D 및 3D 영상을 제작할 수 있고, 스케치 방식의 입력 모호성이 해결되어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 저작 장치 및 영상 저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작 방법은, (a) 객체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cutout)을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authoring apparatus and a video authoring metho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authoring apparatus and a video author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creating 2D and 3D images for novice users, ≪ / RTI >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uthoring a video image, comprising the steps of: (a) generating at least one cutout in which each of at least one region constituting an object is drawn according to an input of a user through an input interface; And (b) receiving motion information on motion of the at least one cutout; .

Description

영상 저작 장치 및 영상 저작 방법{AUTHORING DEVICE OF IMAGE AND AUTHORING METHOD OF IMA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auth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저작 장치 및 영상 저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초보자들도 쉽고 빠르게 2D 및 3D 영상을 제작할 수 있고, 스케치 방식의 입력 모호성이 해결되어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 저작 장치 및 영상 저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authoring apparatus and a video authoring metho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authoring apparatus and a video author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creating 2D and 3D images for novice users, ≪ / RTI >

애니메이션은 웹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애니메이션 저작을 위한 다양한 툴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툴은 학습자나 전문가에 의해서만 사용이 가능하다.Animation is widely used on the web, and there are various tools for authoring such animations, but most tools are available only to learners or experts.

최근에는 인터넷과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애니메이션을 보기만 하는 것어 넘어 직접 저작하여 사용하려는 일반인들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강사들은 애니메이션 일러스트를 추가한 강의 노트를 온라인 상에 등재함으로써 학생들이 애니메이션 일러스트를 추가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스포츠 블로거는 애니메이션 다이어그램을 통해 경기의 하이라이트에 대한 설명을 작성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애니메이션은 섬세하거나 다듬어질 필요는 없으므로, 기존의 툴보다는 사용자에게 간편하고 친숙하면서도 결과물의 품질은 높은 애니메이션 저작 방법 및 장치의 고안이 필요하다.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multimedia,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endency for the general public to try to use animation by themselves. For example, instructors can add lecture notes with animated illustrations online, allowing students to add and share animated illustrations, and sports bloggers create animated highlights of animations through animated diagrams. Since this kind of animation does not need to be delicate or polished, it is necessary to devise an animation authoring method and apparatus that is simple and familiar to the user, but high in quality of the result, rather than the existing tools.

본 발명은 초보자들도 쉽고 빠르게 2D 및 3D 영상을 제작할 수 있고, 스케치 방식의 입력 모호성이 해결되어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 저작 장치 및 영상 저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authoring apparatus and a video authoring method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creating 2D and 3D images even for novices, and solving the input ambiguity of the sketch metho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outpu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장치는, 객체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cutout)을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컷아웃 레이어 모듈; 및 상기 생성 모듈의 출력에 따라 상기 객체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구현하는 애니메이션 구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author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t least one cutout in which at least one region of an object is drawn, according to an input of a user through an input interface, A cutout layer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cutout from a user; An animation implementing unit for implementing an animation for the object according to an output of the generating module; And a control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장치는, 객체를 이루는 다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다수의 컷아웃(cutout)을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컷아웃이 관절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 서로 연결하여 계층 구조를 부여한 후에 상기 다수의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컷아웃 레이어 모듈; 입력받은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편집하는 생성 모듈; 및 상기 생성 모듈의 출력에 따라 상기 객체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구현하는 애니메이션 구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author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cutouts in which a plurality of regions constituting an object are drawn,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rough an input interface A cut-out layer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a motion of the plurality of cut-outs after a plurality of cut-outs form a joint structure by connecting to each other to form a hierarchical structure; A generation module for storing and editing information on the input motion; An animation implementing unit for implementing an animation for the object according to an output of the generating module; And a control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방법은, (a) 객체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cutout)을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방법을 (a)단계와 (b)단계로 구분하여 차례로 기재한 것은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a)단계와 (b)단계의 수행 순서는 필요에 따라 충분히 변경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uthoring a video imag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inputting at least one cutout in which at least one region of an object is drawn, ; And (b) receiving motion information on motion of the at least one cutout; And a control unit. Here, it is to be noted that the image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he steps (a) and (b) in order, for convenienc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 The order of the steps can be changed as necessa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방법은, (a) 객체를 이루는 다수의 영역이 각각 그려진 다수의 컷아웃(cutout)을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다수의 컷아웃을 서로 관절로 연결하여 계층 구조를 부여하는 단계; (c) 계층 구조가 부여된 상기 다수의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d) 저장된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방법을 (a)단계 내지 (d)단계로 구분하여 차례로 기재한 것은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a)단계 내지 (d)단계의 수행 순서는 필요에 따라 충분히 변경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horing a video imag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inputting a plurality of cutouts in which a plurality of regions constituting an object are drawn, ≪ / RTI > (b)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utouts to each other by joints to form a hierarchical structure; (c)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plurality of cutouts to which a hierarchical structure is assigned from a user and storing the information; And (d) implementing animation for the object using information about the stored motion; And a control unit. Here, it is to be noted that the image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he steps (a) to (d) in order, for convenienc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order of step (d) can be changed as necessary.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방법을 가지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영상 저작 장치 및 영상 저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초보자들도 쉽고 빠르게 2D 및 3D 영상을 제작할 수 있고, 스케치 방식의 입력 모호성이 해결되어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d method as described above relates to a video authoring apparatus and a video authoring method, and even a novic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produce 2D and 3D images, and the input ambiguity of the sketch method is solved, There is an effect that qua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 내지 도 10은 도 1의 영상 저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auth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video authoring apparatus of FIG. 1. FIG.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장치 및 영상 저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video authoring apparatus and a video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video auth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장치는,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 화이트보드 레이어 모듈(102), 생성 모듈(103) 및 애니메이션 구현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video auth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tout layer module 101, a whiteboard layer module 102, a creation module 103, and an animation implementing section 104 .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은 다수의 컷아웃(cutout)을 입력인터페이스의 컷아웃 레이어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컷아웃을 서로 관절로 연결하여 계층 구조를 부여한 후에 상기 다수의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며, 상기 화이트보드 레이어 모듈(102)은 입력인터페이스의 화이트보드 레이어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배경을 입력받고, 상기 생성 모듈(103)은 입력받은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편집하며, 상기 애니메이션 구현부(104)는 생성 모듈의 출력에 따라 상기 객체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구현한다.The cutout layer module 101 generates a plurality of cutouts in accordance with a user's input on a cutout layer of an input interface and assigns a hierarchical structure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utouts to each other through a joint, The whiteboard layer module 102 receives background information from the user on the whiteboard layer of the input interface, and the generation module 103 receives information on the input motion And the animation implementing unit 104 implements the animation for the object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generating module.

도 2에는 상기 애니메이션 구현부(104)가 구현한 애니메이션 결과물의 예와, 입력인터페이스 및 스케치용 펜(stylus)의 예와, 상기 입력인터페이스의 컷아웃 레이어의 예와, 상기 입력인터페이스의 화이트보드 레이어의 예를 도시하였다.FIG. 2 shows an example of an animation result implemented by the animation implementing unit 104, an example of an input interface and an example of a stylus for a sketch, an example of a cutout layer of the input interface,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장치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ach component of the video auth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은 컷아웃 생성부(101a), 관절 객체 생성부(101b), 애니메이션 효과 생성부(101c) 및 제1 트레이싱 애니메이션 생성부(10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utout layer module 101 includes a cutout generation unit 101a, a joint object generation unit 101b, an animation effect generation unit 101c, and a first tracing animation generation unit 101d.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의 컷아웃 생성부(101a)는 도 3과 같은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컷아웃을 생성한다.The cutout generator 101a of the cutout layer module 101 receives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as shown in FIG. 3 to generate a cutout.

상기 컷아웃 생성부(101a)가 컷아웃을 생성하는 첫 번째 방법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인터페이스의 컷아웃 레이어 상에 그리는 획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컷아웃을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컷아웃 생성부(101a)는 사용자가 입력인터페이스의 컷아웃 레이어 상에 획을 그리면 최소 제곱기법을 사용하여 획 상의 점들을 선으로 나타냄으로써 크기와 방향을 측정하여 컷아웃을 생성하며, 사용자가 그리는 획이 컷아웃의 경계에 가까이 도달하면 컷아웃의 크기를 확장시킨다.As shown in FIG. 4, the cut-out generating unit 101a generates a cut-out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troke drawn on the cut-out layer of the input interface There is a way. When the user draws a stroke on the cut-out layer of the input interface, the cut-out generating unit 101a generates a cut-out by measuring the size and the direction by expressing the points on the stroke with a line using a least-squares technique, Extends the size of the cutout when the stroke it draws nears the boundary of the cutout.

상기 컷아웃 생성부(101a)가 컷아웃을 생성하는 두 번째 방법으로는, 사용자에게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 빈 컷아웃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리는 그림을 포함시켜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컷아웃 생성부(101a)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서 사용자가 빈 컷아웃을 드래깅(dragging)하면 해당 빈 컷아웃의 위치를 변경시키고 사용자가 해당 빈 컷아웃의 경계를 움직이면 해당 빈 컷아웃의 크기를 변경시킨다.As a second method of generating the cut-out by the cut-out generating unit 101a, there is a method of providing a blank cut-out on the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to the user and including a picture drawn by the user. At this time, when the user drags an empty cutout on the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the cutout generating unit 101a changes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empty cutout. If the user moves the boundary of the empty cutout, Change the size.

상기 컷아웃 생성부(101a)가 컷아웃을 생성하는 세 번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웹이나 저장장치에 저장된 이미지를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 가져와서 다수의 부분으로 자르면 각 부분을 컷아웃으로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As a third method of generating the cut-out by the cut-out generating unit 101a, when the user takes the image stored on the web or the storage device on the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and cuts the image into a plurality of parts, There is a way.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의 관절 객체 생성부(101b)는 입력인터페이스의 컷아웃 레이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수의 컷아웃이 서로 관절로 연결되면 상기 다수의 컷아웃에는 연결에 따른 계층 구조를 부여한다.When a plurality of cutou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user on a cutout layer of an input interface, the joint object generation unit 101b of the cutout layer module 101 assigns a hierarchical structure according to a connection to the plurality of cutouts do.

도 5에는 입력인터페이스의 컷아웃 레이어 상에 다수의 컷아웃을 나열한 예와, 다수의 컷아웃을 관절로 연결하는 예와, 다수의 컷아웃이 관절로 연결되어 계층 구조를 이루는 예와, 관절로 연결된 다수의 컷아웃에 움직임을 부여하여 애니메이션을 구현한 예를 도시하였다.5 shows an example of arranging a plurality of cutouts on a cutout layer of an input interface, an example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cutouts with joint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utouts are connected by joints to form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an animation is implemented by assigning motions to a plurality of connected cutouts.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의 애니메이션 효과 생성부(101c)는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The animation effect generation unit 101c of the cutout layer module 101 receives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cutout from the user.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생성부(101c)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는 사용자가 스케치용 펜을 입력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컷아웃 각각의 조작지점 상에서 움직이면 그 지점을 강조 표시한 후에 사용자의 선택 및 조작에 의해 입력된다.Th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cut-out input from the user by the animation effect generation unit 101c includes path information and transform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on the input interface. When the user moves on the operation point of each cutout displayed on the input interface, the point is highlighted and then inputted by the user's selection and operation.

이때,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생성부(101c)가 상기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를 함께 입력받는 경우에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컷아웃의 경로 정보를 입력받은 후에 해당 컷아웃이 일시 정지된 모습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사용자로부터 변환 정보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컷아웃의 사본이 상기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에 따라 변화되는 모습을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In this case, when the animation effect generation unit 101c receives the path information and the transformation information together, the path information of the cutout is input on the input interface, and then the cutout is temporarily displayed to the user. And provides a convenience to the user by showing the user that a copy of the cutout changes according to the path information and the conversion information upon receiving the conversion information.

도 6에는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생성부(101c)가 사용자로부터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한 예를 도시하였다. 도 6a에는 컷아웃의 조작 지점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사각형 조작지점은 변형(translation), 경로 따르기(path following) 및 크기조정과 회전(scalling and rotation)을 위한 조작지점을 포함하고, 원형 조작지점은 회전(rotation)과 크기조정(scalling)을 위한 조작지점을 포함한다. 도 6b에는 기본 움직임(경로 따르기)을 스케칭하는 모습을 도시하였으며, 도 6c에는 기본 움직임에 회전을 중첩시키는 모습을 도시하였고, 도 6d에는 크기조정을 중첩시키는 모습을 도시하였으며, 도 6e에는 도 6b 내지 도 6d를 통한 애니메이션을 구현한 모습을 도시하였다.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nimation effect generation unit 101c receives information about a movement from a user and implements the animation. 6A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ng point of a cutout, wherein the rectangular operating point includes an operating point for translation, path following and scalling and rotation, Points include manipulation points for rotation and scalling. FIG. 6B shows a state in which basic movement (path following) is sketched, FIG. 6C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is superimposed on the basic movement, FIG. 6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ize adjustment is superimposed, and FIG. 6D are implemented.

그리고,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생성부(101c)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지움-다시그리기(erase-and-redraw)를 통해 드로잉 시퀀스(drawing sequence)를 입력받거나,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스케치용 펜을 이용하여 그리는 자취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The animation effect generation unit 101c may receive a drawing sequence through an erase-and-redraw operation by a user on an input interface, or may use a pen for a sketch on an input interface You can also input traces to draw.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생성부(101c)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스케치용 펜을 이용하여 그리는 자취를 입력받는 경우에 실시간 저장 모드와 터치시간 저장 모드가 가능하며, 실시간 저장 모드 시에는 스케치용 펜의 자취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터치시간 저장 모드 시에는 스케치용 펜의 자취를 스케치용 펜이 입력인터페이스 상에 터치되는 시간 동안만 저장한다.In the real-time storage mode, the animation effect generation unit 101c can generate a trace of a sketch pen when the user inputs a trace drawn using the pen for sketching on the input interface, In the touch time storing mode, the trace of the pen for sketching is stored only for the time that the pen for sketching is touched on the input interface.

도 7에는 말이 섭취하는 당근을 점점 지우는 방법에 의해 쉽게 나타내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생성부(101c)는 움직이는 컷아웃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사용자에게 입력인터페이스의 컷아웃 상에 그리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해당 컷아웃의 복제본이 대신 움직이도록 하고 사용자가 그리는 내용이 컷아웃의 복제본에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arrots consumed by horses are easily shown by a method of gradually erasing the carrots. Referring to FIG. 7, the animation effect generation unit 101c temporarily stops the moving cutout and allows the user to draw on the cutout of the input interface, while allowing the copy of the cutout to move instead, So that the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copy of the cutout and displayed to the user, thereby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도 8에는 움직이는 컷아웃을 그리는 추가적인 예를 도시하였다. 도 8a를 참조하면, 애니메이션 효과 생성부(101c)가 컷아웃이 일시 정지된 모습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사용자에게 컷아웃 상에 그리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해당 컷아웃의 복제본이 대신 움직이도록 하고 사용자가 그리는 내용이 컷아웃의 복제본에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며, 이로 인해 도 8b와 같은 애니메이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생성부(101c)는 사용자가 컷아웃 상에 그리는 입력을 받음에 있어서 휘발성 잉크 모드를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컷아웃 상에 그리는 내용이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사라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Figure 8 shows a further example of drawing a moving cutout. Referring to FIG. 8A, the animation effect generation unit 101c allows a user to show a state in which a cutout is temporarily stopped, allowing the user to draw on the cutout, and allows a copy of the cutout to move instead, The contents of the drawing are displayed on the duplicate of the cutout and are displayed to the user. As a result, the animation result as shown in FIG. 8B can be obtained. At this time, the animation effect generation unit 101c may support the volatile ink mode when the user receives the input to be drawn on the cutout,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that the content drawn by the user on the cutout disappears after a predetermined time .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의 제1 트레이싱 애니메이션 생성부(101d)는 컷아웃 상의 그림(또는 글자)이 서서히 완성되어가는 효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The first tracing animation generation unit 101d of the cutout layer module 101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effect that a picture (or character) on a cutout is gradually completed.

상기 화이트보드 레이어 모듈(102)은 입력인터페이스의 화이트보드 레이어 상에서 배경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며, 제2 트레이싱 애니메이션 생성부(10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hiteboard layer module 102 receiv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whiteboard layer of the input interface from the user and includes a second tracing animation generation unit 102a.

상기 화이트보드 레이어 모듈(102)의 제2 트레이싱 애니메이션 생성부(102a)는 배경의 그림(또는 글자)이 서서히 완성되어가는 효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The second tracing animation generation unit 102a of the whiteboard layer module 102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effect that the background picture (or character) is gradually completed.

상기 생성 모듈(103)은 레코딩부(103a)와 제어부(10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generation module 103 includes a recording unit 103a and a control unit 103b.

상기 생성 모듈(103)의 레코딩부(103a)는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의 애니메이션 효과 생성부(101c)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와, 제1 트레이싱 애니메이션 생성부(101d)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 및, 화이트보드 레이어 모듈(102)의 제2 트레이싱 애니메이션 생성부(102a)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입력받아서 레코딩(recoding)한다.The recording unit 103a of the creation module 103 is configured to recor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by the animation effect generation unit 101c of the cutout layer module 101 and information received by the first tracing animation generation unit 101d And the second tracing animation generation unit 102a of the whiteboard layer module 102 receives and recover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상기 생성 모듈(103)의 제어부(103b)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각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 중에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 선(timeline)을 사용자에게 보여주어서 사용자가 시간 선 중에 어느 지점에 머무르면 해당 지점에 대응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앞뒤로 해당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 미리보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수정되는 시간 선의 길이 및 위치를 획득한다.The control unit 103b of the generation module 103 displays a time line indicating the time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cutouts of each object on the input interface so that when the user stays at any point in the time line, And obtains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time line to be modified by the user by providing the user with a motion preview of the cutouts of the object back and forth based on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point.

그리고, 상기 생성 모듈(103)의 제어부(103b)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각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 중에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 선을 사용자에게 보여주어서 사용자가 시간 선 중에 어느 지점을 클릭하고 슬라이딩(sliding)하면 해당 시각에 따른 모든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 미리보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수정되는 시간 선의 길이 및 위치를 획득한다.The controller 103b of the generation module 103 displays a time line indicating time information among pieces of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cutouts of each object on the input interface so that the user clicks any point on the time line, and provides the user with a preview of the motion of cutouts of all objects according to the time, thereby obtaining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time line to be modified by the user.

도 9에는 상기 생성 모듈(103)의 제어부(103b)가 입력인터페이스 상에 시간 선을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상용자가 시간 선의 제어를 통해 사과와 화살의 움직임의 동기를 맞추는 모습의 예를 나타내었다. 사용자는 도 9a와 같이 스케치용 펜을 사과에 대응되는 시간 선 중에 어느 지점에 머물러서 해당 지점에 대응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앞뒤로 사과의 움직임을 미리 관찰하고, 도 9b와 같이 스케치용 펜을 화살에 대응되는 시간 선 중에 어느 지점에 머물러서 해당 지점에 대응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앞뒤로 화살의 움직임을 미리 관찰하고, 사용자는 도 9c와 같이 화살에 대응되는 시간 선 중에 어느 지점을 클릭하여 해당 지점에 대응되는 시간의 화살의 모습을 해당 지점에 대응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앞뒤로 사과의 움직임 미리보기와 함께 관찰하여 화살의 움직임과 사과의 움직임의 동기가 맞는지 시각적으로 미리 확인해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 9d와 같이 화살에 대응되는 시간 선의 위치를 변경시켜서 화살의 움직임과 사과의 움직임의 동기를 맞출 수 있다.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trol section 103b of the generation module 103 shows the time line on the input interface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synchronize the movements of the apples and the arrows through the control of the time line. As shown in FIG. 9A, the user stays at a certain point on the time line corresponding to the apple, observes the movement of the apple back and forth in advance on the basis of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point, The user may observe the movement of the arrow back and forth based on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int, and the user may click on any point in the time line corresponding to the arrow, as shown in FIG. 9C, The user can observe the shape of the arrow of the arrow with the preview of the motion of the app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point and visually confirm whether the movement of the arrow is synchronous with the movement of the apple. The position of the time line corresponding to the arrow can be changed to synchronize the movement of the arrow with the movement of the apple have.

상기 생성 모듈(103)의 제어부(103b)는 컷아웃의 추가적인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며, 상기 추가적인 움직임에 대한 정보로는 페이드인(fade-in), 페이드아웃(fade-out), 이즈인(ease-in), 이즈아웃(ease-out), 찌그러짐(squash), 늘어남(stretch), 모션 블러(motion blur), 그림자(shadow), 반복(repetition) 등이 있으며,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roller 103b of the generation module 103 receives information on the additional movement of the cutout from the user. The information on the additional movement includes fade-in, fade-out, There are ease-in, ease-out, squash, stretch, motion blur, shadow, repetition and so on. Then,

페이드인(fade-in), 페이드아웃(fade-out), 이즈인(ease-in) 및 이즈아웃(ease-out)은 부드러운 움직임을 나타내는데 유용한 것으로서, 페이드인(fade-in) 및 페이드아웃(fade-out)의 기본 주기는 0.5[sec]일 수 있으며, 이즈인(ease-in) 및 이즈아웃(ease-out)의 기본 주기는 1[sec]일 수 있다. 찌그러짐(squash) 및 늘어남(stretch)은 주축(principal axis)를 따르는 크기 조정 계수인 S에 의해 제어된다. 2차원 크기조정(scaling) 행렬은

Figure 112011006516734-pat00001
이며, S는
Figure 112011006516734-pat00002
이다. 여기서, Smax는 최대 변형 값이고, Kstr는 늘어남의 비율이다. 상기와 같은 두 수학식을 통하여, 늘어남이 없을 때 S=1이고, 속도가 무한대를 향해 증가하는 경우에 S=Smax임을 알 수 있다. 모션 블러(motion blur)는 움직임이 더 부드럽게 나타나도록 하는데 유용하며, 거칠거나 노이즈가 있는 움직임을 개선한다. 이와 같은 모션 블러는, 컷아웃의 경로를 따라 컷아웃의 다수의 복사본을 만들어서 렌더링(rendering)하여 점차 사라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림자(shadow)는 컷아웃 전체에 의해 드리우는 '컷아웃 그림자(cutout shadow)' 또는, 컷아웃 상의 그림이나 텍스트에 의해 드리우는 '선 그림자(line shadow)'일 수 있다. 반복(repetition)은 반복적인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반복되는 움직임에 간격을 지정할 수도 있다.Fade-in, fade-out, ease-in, and ease-out are useful for indicating smooth motion, and fade-in and fade-out the basic period of the fade-out may be 0.5 [sec], and the basic period of ease-in and ease-out may be 1 [sec]. The squash and stretch is controlled by the scaling factor S along the principal axis. The two-dimensional scaling matrix
Figure 112011006516734-pat00001
And S is
Figure 112011006516734-pat00002
to be. Here, Smax is the maximum deformation value, and Kstr is the rate of increase. Through the above two equations, it can be seen that S = 1 when there is no increase and S = Smax when the velocity increases toward infinity. Motion blur is useful for making motion appear smoother and improves rough or noisy motion. Such a motion blur may be implemented so that multiple copies of the cutout are made along the path of the cutout and rendered to disappear gradually. A shadow can be a 'cutout shadow' applied by the entire cutout, or a 'line shadow' applied by a picture or text on the cutout. Repetition is intended to indicate repetitive movements, and it is also possible to specify intervals for repeated movements.

이와 같은 컷아웃의 추가적인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적용한 애니메이션 구현 결과물의 일 예는 도 10과 같다.FIG. 10 shows an example of an animation result obtained by applying information on the additional motion of the cutout.

상기 애니메이션 구현부(104)는 생성 모듈(103)의 출력에 따라 애니메이션을 구현한다.
The animation implementing unit 104 implements an anim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generating module 103.

이하,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video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영상 저작 장치와 동일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image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as the above-described image authoring apparatus will be omitted.

먼저,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은 객체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그려진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cutout)을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한다. (S101~S103)First, the cutout layer module 101 generates at least one cutout in which at least one region constituting the object is drawn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S101 to S103)

이때,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은 사용자가 입력인터페이스의 컷아웃 레이어 상에 획을 그리면 최소 제곱기법을 사용하여 획 상의 점들을 선으로 나타냄으로써 크기와 방향을 측정하여 컷아웃을 생성하거나, 사용자에게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 빈 컷아웃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리는 그림을 포함시켜서 생성하거나, 사용자가 웹이나 저장장치에 저장된 이미지를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 가져와서 다수의 부분으로 자르면 각 부분을 컷아웃으로 생성한다.When the user draws a stroke on the cut-out layer of the input interface, the cut-out layer module 101 generates a cut-out by measuring the size and the direction by expressing points on the stroke using a least-squares techniqu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n empty cutout on the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to include the picture to be drawn by the user, or the user may take the image stored on the web or storage device on the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and cut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It is generated by cutout.

다음으로,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은 입력인터페이스의 컷아웃 레이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수의 컷아웃이 상기 객체가 가지는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면 상기 다수의 컷아웃에는 연결에 따른 계층 구조를 부여한다.(S104~S105)Next, when the cutout layer module 101 is connected to the cutout layer of the input interface by the user so as to form the shape of the object, a plurality of cutouts are assigned a hierarch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104 to S105)

다음으로,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은 필요에 따라 컷아웃 상의 그림(또는 글자)이 서서히 완성되어가는 효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S106~S107)Next, the cutout layer module 101 receives information on the effect that the picture (or character) on the cutout is gradually completed as needed from the user. (S106 to S107)

다음으로,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은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즉, 애니메이션 효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S108~S109)Next, the cutout layer module 101 receives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cutout (i.e., information on the animation effect) from the user. (S108 to S109)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이 입력받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는 사용자가 스케치용 펜을 입력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컷아웃 각각의 조작지점 상에서 움직이면 그 지점을 강조 표시한 후에 사용자의 선택 및 조작에 의해 입력된다.Th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cutout layer module 101 includes path information and transform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on the input interface. The path information and the transformation information ar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pressed the sketch pen on the input interface Cutout When moving on each operation point, the point is highlighted and then input by user's selection and operation.

이때,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이 상기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를 함께 입력받는 경우에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컷아웃의 경로 정보를 입력받은 후에 해당 컷아웃이 일시 정지된 모습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사용자로부터 변환 정보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컷아웃의 사본이 상기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에 따라 변화되는 모습을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In this case, when the cutout layer module 101 receives the route information and the conversion information together, it receives the path information of the cutout on the input interface and then displays the cutout of the cutout to the user. And provides a convenience to the user by showing the user that a copy of the cutout changes according to the path information and the conversion information upon receiving the conversion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은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지움-다시그리기(erase-and-redraw)를 통해 드로잉 시퀀스(drawing sequence)를 입력받거나,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스케치용 펜을 이용하여 그리는 자취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101)은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스케치용 펜을 이용하여 그리는 자취를 입력받는 경우는 실시간 저장 모드와 터치시간 저장 모드를 포함하며, 실시간 저장 모드 시에는 스케치용 펜의 자취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저장하며, 터치시간 저장 모드 시에는 스케치용 팬의 자취를 스케치용 펜이 입력인터페이스 상에 터치되는 시간 동안만 저장한다.The cut-out layer module 101 receives a drawing sequence through an erase-and-redraw operation on the input interface, or uses a pen for a sketch on an input interface You can also input traces to draw. Here, the cutout layer module 101 includes a real-time storage mode and a touch-time storage mode when a user inputs a trace drawn using a pen for sketching on an input interface. In the real-time storage mode, In the touch time storage mode, the trace of the sketch fan is stored only for the time that the sketch pen is touched on the input interface.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단계를 수행하기 전 또는 후에, 화이트보드 레이어 모듈(102)은 입력인터페이스의 화이트보드 레이어 상에서 배경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화이트보드 레이어 모듈(102)은 필요에 따라 배경의 그림(또는 글자)이 서서히 완성되어지는 효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S201, S202)Before or after performing a number of steps as described above, the whiteboard layer module 102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background from the user on the whiteboard layer of the input interface. At this time, the whiteboard layer module 102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 that the background picture (or character) is gradually completed as needed, from the user. (S201, S202)

다음으로, 생성 모듈(103)은 컷아웃 레이어 모듈(102)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와 화이트보드 레이어 모듈(103)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입력받아서 레코딩(recording)한다. (S301)Next, the creation module 103 receives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by the cutout layer module 102 and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by the whiteboard layer module 103, and records the input. (S301)

다음으로, 생성 모듈(103)은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각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 중에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 선(time line)을 사용자에게 보여주어서 사용자가 시간 선 중에 어느 지점에 머무르면 해당 지점에 대응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앞뒤로 해당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 미리보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시간 선 중에 어느 지점을 클릭하고 슬라이딩(sliding)하면 해당 시각에 따른 모든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 미리보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수정되는 시간 선의 길이 및 위치를 획득한다. (S302, S303)Next, the generation module 103 displays to the user a time line indicating the time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cutouts of each object on the input interface, and when the user stays at any point in the time line, And provides a preview of the motion of the cutouts of the object back and forth based on the corresponding time. When the user clicks and slides at any point in the time line, the motion preview of all the object's cutout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time To obtain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time line to be modified by the user. (S302, S303)

그리고, 생성 모듈(103)은 컷아웃의 추가적임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며, 상기 추가적인 움직임에 대한 정보로는 페이드인(fade-in), 페이드아웃(fade-out), 이즈인(ease-in), 이즈아웃(ease-out), 찌그러짐(squash), 늘어남(stretch), 모션 블러(motion blur), 그림자(shadow), 반복(repetition) 등이 있다. (S302, S303)In addition, the generation module 103 receives information on the additional movement of the cutout from the user, and the information on the additional movement includes fade-in, fade-out, ease-in, ease-out, squash, stretch, motion blur, shadow and repetition. (S302, S303)

다음으로, 애니메이션 구현부(104)는 생성 모듈의 출력에 따라 애니메이션을 구현한다. (S304)
Next, the animation implementing unit 104 implements the anim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generating module. (S304)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방법을 가지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영상 저작 장치 및 영상 저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초보자들도 쉽고 빠르게 2D 및 3D 영상(예 : 애니메이션, 강의 자료 등)을 제작할 수 있고, 스케치 방식의 입력 모호성이 해결되어 애니메이션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authoring apparatus and a video authoring method, and even a novice can easily and quickly produce 2D and 3D images (e.g. animation, lecture data, etc.) The input ambiguity of the sketch method can be solved and the quality of the animation result can be improved.

101 : 컷아웃 레이어 모듈 101a : 컷아웃 생성부
101b : 관절 객체 생성부 101c : 애니메이션 효과 생성부
101d : 제1 트레이싱 애니메이션 생성부
102 : 화이트보드 레이어 모듈
102a : 제2 트레이싱 애니메이션 생성부
103 : 생성모듈 103a : 레코딩부
103b : 제어부 104 : 애니메이션 구현부
101: Cutout layer module 101a: Cutout generator
101b: joint object creation unit 101c: animation effect creation unit
101d: a first tracing animation generation unit
102: Whiteboard layer module
102a: second tracing animation generation unit
103: generating module 103a: recording section
103b: control unit 104: animation implementation unit

Claims (29)

(a) 객체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cutout)을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되, 입력 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획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다수의 컷아웃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c) 상기 객체가 위치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지점과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적어도 일방향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지점을 구분하여 컷아웃을 조작하며, 컷아웃의 상기 움직임 정보와 컷아웃에 대한 조작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을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되,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객체를 변형시키거나 상기 객체의 경로를 설정하여 컷아웃을 조작하며 상기 제2 지점에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에 회전 및 크기 조정을 중첩시켜 컷아웃을 조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
(a) generating at least one cutout in which at least one region of an object is drawn according to an input of a user through an input interface, the size and shape of the stroke drawn by the user on the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Generating a plurality of cut-outs;
(b) receiving motion information on motion of the at least one cutout; And
(c) manipulating a cut-out by distinguishing a first point including an area in which the object is located and a second point including a peripheral area located at least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Out, manipulating the cut-out by manipulating the object at the first point or by setting the path of the object, and controlling the cut-out of the object at the second point, Manipulating the cutout by superimposing rotation and scaling on the motion
And generating a video image based on the image dat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움직임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b1) 생성된 다수의 컷아웃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및
(b2) 서로 연결된 다수의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움직임 정보로서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b)
(b1) connecting the generated plurality of cutouts to each other; And
(b2) receiving, as the mo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n motion of a plurality of cutout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generating a video image based on the image dat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객체를 이루는 다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다수의 컷아웃은,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의 빈 컷아웃에 사용자가 그림을 그림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tep (a), a plurality of cut-outs in which a plurality of regions constituting an object are drawn are generated by a user painting a blank cutout on a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Authoring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객체의 이루는 다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다수의 컷아웃이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획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생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획이 컷아웃의 경계에 가까이 도달하는 경우에 컷아웃의 크기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in the step (a), when a plurality of cutouts in which a plurality of regions of an object are drawn are generated according to a size and a shape of a stroke drawn by a user on a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Wherein the size of the cut-out is extended when a stroke of the cut-out reaches a boundary of the cut-ou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객체의 이루는 다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다수의 컷아웃이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의 빈 컷아웃에 사용자가 그림을 그림으로써 생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빈 컷아웃은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서 사용자의 드래깅(dragging)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며 경계가 사용자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에 크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in the step (a), when a plurality of cut-outs in which a plurality of regions of an object are drawn are generated by a user in an empty cut-out on a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Out is changed in position by dragging of the user on a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and the size is changed when the boundary is moved by the us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1)단계에서,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수의 컷아웃이 관절 구조를 이루도록 연결되면, 상기 다수의 컷아웃에는 연결에 따른 계층 구조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in step (b1), if a plurality of cut-outs are connected by a user to form a joint structure on a plane of an input interface, A method of authoring imag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tep (b), the motion information includes path information and transformation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on an input interfa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를 함께 입력받는 경우에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경로 정보를 입력받은 후에 컷아웃이 일시 정지된 모습을 사용자에게 보여줘서 변환 정보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컷아웃의 사본이 상기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에 따라 변화되는 모습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8, wherein, in the step (b), when the route information and the conversion information are input together, the route information is input on the input interface, And displaying a copy of the cutout according to the path information and the conversion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of receiving the cha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가 다수 개인 경우에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는 각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되며,
상기 움직임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에서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각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 중에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 선을 사용자에게 보여주어서 사용자가 시간 선 중에 어느 지점에 머무르면 해당 지점에 대응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앞뒤로 해당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 미리보기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며, 사용자에 의해 수정되는 시간 선의 길이 및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editing motion information on motion of cutouts of each object between steps (b) and (c) when the number of objects is plural,
In the step of editing the motion information, a time line indicating time information among pieces of information on motion of cutouts of each object on the input interface is displayed to the user. When the user stays at any point in the time line, Wherein a preview of the motion of the cutouts of the object is displayed to the user back and forth, and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time line to be modified by the user are obtain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에서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각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 중에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 선을 사용자에게 보여주어서 사용자가 시간 선 중에 어느 지점을 클릭하고 슬라이딩(sliding)하면 해당 시각에 따른 모든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 미리보기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며, 사용자에 의해 수정되는 시간 선의 길이 및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0, wherein, in the step of editing the motion information, a time line indicating time information among pieces of information on motion of cutouts of each object on the input interface is displayed to the user,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s a preview of the movement of cutouts of all objects according to the time, and acquires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time line to be modified by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는 컷아웃의 추가적인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되며,
상기 추가적인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페이드인(fade-in), 페이드아웃(fade-out), 이즈인(ease-in), 이즈아웃(ease-out), 찌그러짐(squash), 늘어남(stretch), 모션 블러(motion blur), 그림자(shadow), 반복(repetition)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information on additional movement of a cutout from a user between steps (b) and (c)
The information about the additional motion may include fade-in, fade-out, ease-in, ease-out, squash, stretch, Wherein the image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tion blur, a shadow, and a repetition.
제 1 항에 있어서, 배경을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background from a user through an input interface. (a) 객체를 이루는 다수의 영역이 각각 그려진 다수의 컷아웃(cutout)을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되, 입력 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획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다수의 컷아웃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다수의 컷아웃을 서로 관절로 연결하여 계층 구조를 부여하는 단계;
(c) 계층 구조가 부여된 상기 다수의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객체가 위치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지점과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적어도 일방향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지점을 구분하여 컷아웃을 조작하며, 컷아웃의 상기 움직임 정보와 컷아웃에 대한 조작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을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되,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객체를 변형시키거나 상기 객체의 경로를 설정하여 컷아웃을 조작하며 상기 제2 지점에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에 회전 및 크기 조정을 중첩시켜 컷아웃을 조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
(a) generating a plurality of cutouts in which a plurality of regions constituting an object are respectively drawn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rough an input interface,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cutouts according to a size and a shape of a stroke drawn by a user on a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Generating a cut-out of the image;
(b)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utouts to each other by joints to form a hierarchical structure;
(c)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plurality of cutouts to which a hierarchical structure is assigned from a user and storing the information; And
(d) manipulating a cut-out by distinguishing a first point including an area in which the object is located and a second point including a peripheral area located at least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Out, manipulating the cut-out by manipulating the object at the first point or by setting the path of the object, and controlling the cut-out of the object at the second point, Manipulating the cutout by superimposing rotation and scaling on the motion
And generating a video image based on the image data.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수의 컷아웃이 상기 객체의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면, 상기 다수의 컷아웃에는 연결에 따른 계층 구조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4, wherein, in the step (b), when a plurality of cut-outs are connected by a user on the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to form the shape of the object, A method of authoring a video. 객체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cutout)을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되, 입력 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획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다수의 컷아웃을 생성하는 컷아웃 레이어 모듈; 및
생성 모듈의 출력에 따라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구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은 상기 객체가 위치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지점과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적어도 일방향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지점을 구분하여 컷아웃을 조작하되,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객체를 변형시키거나 상기 객체의 경로를 설정하여 컷아웃을 조작하고, 상기 제2 지점에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에 회전 및 크기 조정을 중첩시켜 컷아웃을 조작하며,
상기 영상 구현부는 컷아웃의 움직임 정보와 컷아웃에 대한 조작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을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
At least one cutout in which at least one region constituting an object is drawn is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rough an input interface and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cutout is input from a user, A cutout layer module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cutouts according to a size and a shape of a stroke drawn by a user on a plane; And
An image implementing unit for implementing an image for the object according to an output of the generating module;
/ RTI >
Wherein the cutout layer module is configured to operate a cutout by distinguishing a first point including an area in which the object is located and a second point including at least a surrounding area located in at least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Manipulating the cut-out by manipulating the object, setting the path of the object, manipulating the cut-out by superimposing rotation and resizing on the motion of the object at the second point,
Wherein the image implementing unit implements an image for the object based on the cutout motion information and the cutout operation informatio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은, 생성한 다수의 컷아웃을 서로 연결한 후에, 연결한 다수의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The video authoring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6, wherein the cutout layer module receives information on motion of a plurality of connected cutouts after connecting the generated plurality of cutouts to each oth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레이어 모듈은 객체를 이루는 다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컷아웃을 생성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 빈 컷아웃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리는 그림을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ut-out layer module generates a cut-out in which a plurality of regions constituting the object are draw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blank cut- And the image data i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레이어 모듈은 객체를 이루는 다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컷아웃을 생성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 그리는 획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생성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획이 컷아웃의 경계에 가까이 도달하면 컷아웃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1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when the cutout layer module generates a cutout in which each of a plurality of regions constituting an object is drawn, And when the stroke reaches a boundary of the cutout, enlarges the size of the cutou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레이어 모듈은 객체를 이루는 다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컷아웃을 생성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 빈 컷아웃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리는 그림을 포함시켜 생성하는 경우에,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서 사용자가 빈 컷아웃을 드래깅(dragging)하면 해당 빈 컷아웃의 위치를 변경시키고 사용자가 해당 빈 컷아웃의 경계를 움직이면 해당 빈 컷아웃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ut-out layer module provides a blank cut-out on a plane of an input interface to a user to generate a cut-out in which a plurality of regions constituting the object are drawn, The use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blank cutout when the user drags the blank cutout on the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and changes the size of the blank cutout when the user moves the boundary of the blank cutout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레이어 모듈은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수의 컷아웃이 관절 구조를 이루도록 연결되면, 상기 다수의 컷아웃에는 연결에 따른 계층 구조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18.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when the cutout layer module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utouts by a user so as to form a joint structure on a plane of an input interface, Video authoring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이 입력받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The video authoring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cutout layer module includes path information and transformation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on an input interfac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은 상기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를 함께 입력받는 경우에,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경로 정보를 입력받은 후에 컷아웃이 일시 정지된 모습을 사용자에게 보여줘서 변환 정보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컷아웃의 사본이 상기 경로 정보 및 변환 정보에 따라 변화되는 모습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when the path information and the transform information are received together, the cut-out layer module receives the path information on the input interface and then displays the cut- And displays a copy of the cutout according to the path information and the conversion information to the us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이 다수의 객체에 대한 컷아웃들을 입력받은 경우에 상기 생성 모듈은 컷아웃 레이어 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각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편집하며,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각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 중에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 선을 사용자에게 보여주어서 사용자가 시간 선 중에 어느 지점에 머무르면 해당 지점에 대응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앞뒤로 해당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 미리보기를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수정되는 시간 선의 길이 및 위치를 획득하는 생성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when the cutout layer module receives cutouts for a plurality of objects, the creation module edits information about movement of cutouts of each object input from the cutout layer module,
A time line indicating time information among pieces of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cutouts of each object on the input interface is displayed to the user so that when the user stays at any point in the time line, A generation module for acquiring a length and position of a time line to be modified by a user by showing a motion preview to a user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mage is to be watermarked.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은 입력인터페이스 상에서 각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 중에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 선을 사용자에게 보여주어서 사용자가 시간 선 중에 어느 지점을 클릭하고 슬라이딩(sliding)하면 해당 시각에 따른 모든 객체의 컷아웃들의 움직임 미리보기를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수정되는 시간 선의 길이 및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generating module displays a time line representing time information among pieces of information on movement of cutouts of each object on the input interface, and when the user clicks and slides at any point in the time line And displays a motion preview of cut-outs of all object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time to the user, thereby obtaining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time line to be modified by the user.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은 컷아웃의 추가적인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며,
상기 추가적인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페이드인(fade-in), 페이드아웃(fade-out), 이즈인(ease-in), 이즈아웃(ease-out), 찌그러짐(squash), 늘어남(stretch), 모션 블러(motion blur), 그림자(shadow), 반복(repetition)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
25. The apparatus of claim 24, wherein the generating module receives information about additional motion of a cutout from a user,
The information about the additional motion may include fade-in, fade-out, ease-in, ease-out, squash, stretch, Wherein the at least one image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tion blur, a shadow, and a repetition.
제 17 항에 있어서, 배경을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화이트보드 레이어 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The video autho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7, further comprising a whiteboard layer module for receiving background information from a user via an input interface. 객체를 이루는 다수의 영역 각각이 그려진 다수의 컷아웃(cutout)을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컷아웃이 관절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 서로 연결하여 계층 구조를 부여한 후에 상기 다수의 컷아웃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되, 입력 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획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다수의 컷아웃을 생성하는 컷아웃 레이어 모듈;
입력받은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편집하는 생성 모듈; 및
상기 생성 모듈의 출력에 따라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구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은 상기 객체가 위치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지점과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적어도 일방향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지점을 구분하여 컷아웃을 조작하되,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객체를 변형시키거나 상기 객체의 경로를 설정하여 컷아웃을 조작하고, 상기 제2 지점에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에 회전 및 크기 조정을 중첩시켜 컷아웃을 조작하며,
상기 영상 구현부는 컷아웃의 움직임 정보와 컷아웃에 대한 조작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을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
A plurality of cutouts in which a plurality of regions constituting an object are drawn are created according to an input of a user through an input interface, and when the plurality of cutouts form a joint structure, A cutout layer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utout motions from a user, the cutout layer module generating a plurality of cutouts according to a size and a shape of a stroke drawn by a user on a plane of the input interface;
A generation module for storing and editing information on the input motion; And
An image implementing unit for implementing an image for the object according to an output of the generating module;
/ RTI >
Wherein the cutout layer module is configured to operate a cutout by distinguishing a first point including an area in which the object is located and a second point including at least a surrounding area located in at least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Manipulating the cut-out by manipulating the object, setting the path of the object, manipulating the cut-out by superimposing rotation and resizing on the motion of the object at the second point,
Wherein the image implementing unit implements an image for the object based on the cutout motion information and the cutout operation information.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 레이어 모듈은 입력인터페이스의 평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다수의 컷아웃이 상기 객체가 가지는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면, 상기 다수의 컷아웃에는 연결에 따른 계층 구조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작 장치.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when the cutout layer module is connected to the input interface by the user to form a shape of the object, the cutout layer module assigns a hierarchical structure to the plurality of cutouts Wherein the video data i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KR1020110007963A 2011-01-26 2011-01-26 Authoring device of image and authoring method of image KR101691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963A KR101691434B1 (en) 2011-01-26 2011-01-26 Authoring device of image and authoring method of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963A KR101691434B1 (en) 2011-01-26 2011-01-26 Authoring device of image and authoring method of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612A KR20120086612A (en) 2012-08-03
KR101691434B1 true KR101691434B1 (en) 2017-01-02

Family

ID=4687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963A KR101691434B1 (en) 2011-01-26 2011-01-26 Authoring device of image and authoring method of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43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954B1 (en) 2017-02-27 2018-10-17 (주)진명아이앤씨 An apparatus for performing cut-out through real-time automatic tracking of the region of interest in videos and the method thereof
WO2024085701A1 (en) * 2022-10-20 2024-04-25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sketched vehicl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손의성, 손원성, 임순범, 최윤철, 이중 레이어 방식의 애니메이션 스케치 인터페이스,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09.11, 88-89P
손의성, 손원성, 최윤철, Cut-out 방식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스케칭 기법,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09.5, 303-304P
손의성, 최윤철, 웹 문서 내장형 컷아웃 애니메이션 인터페이스,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7(1A), 2010.6, 119-120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954B1 (en) 2017-02-27 2018-10-17 (주)진명아이앤씨 An apparatus for performing cut-out through real-time automatic tracking of the region of interest in videos and the method thereof
WO2024085701A1 (en) * 2022-10-20 2024-04-25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sketch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612A (en) 201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iva et al. Pronto: Rapid augmented reality video prototyping using sketches and enaction
De Araújo et al. Mockup Builder: 3D modeling on and above the surface
US7324069B2 (en) Animation review methods and apparatus
US20160139786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reation and visualization of a manuscript from text and/or other media
US201501211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Multi-Slide Presentations
KR1009605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emotion based digital storyboard
Henrikson et al. Storeoboard: Sketching stereoscopic storyboards
Freitas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rapid prototyping tools for augmented reality
Santosa et al. Direct space-time trajectory control for visual media editing
Lavrič et al. Collaborative view-aligned annotations in web-based 3D medical data visualization
Sohn et al. Sketch-n-Stretch: sketching animations using cutouts
Jahanlou et al. Katika: An end-to-end system for authoring amateur explainer motion graphics videos
Galvane et al. Vr as a content creation tool for movie previsualisation
Walther-Franks et al. Dragimation: direct manipulation keyframe timing for performance-based animation
KR101691434B1 (en) Authoring device of image and authoring method of image
Jeong et al. WIKA: A projected augmented reality workbench for interactive kinetic art
Tobita Comic engine: interactive system for creating and browsing comic books with attention cuing
JP2014096010A (en) Motion comic creation support program and motion comic creation support device
Jeon et al. A sketch interface to empower novices to create 3D animations
JP478648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60099218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Quevedo-Fernández et al. idAnimate: a general-Purpose animation sketching tool for Multi-Touch devices
Wacker et al. 3D Sketching Application Scenarios
Calvert Animating dance
JP7011363B1 (en) Storyboard production equipment, storyboard production method and storyboard produc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