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417B1 - Gateway server system for providing connection maintenance between central control server and terminal of vehicle in the 3G/LTE wireless network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Gateway server system for providing connection maintenance between central control server and terminal of vehicle in the 3G/LTE wireless network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417B1
KR101686417B1 KR1020160038997A KR20160038997A KR101686417B1 KR 101686417 B1 KR101686417 B1 KR 101686417B1 KR 1020160038997 A KR1020160038997 A KR 1020160038997A KR 20160038997 A KR20160038997 A KR 20160038997A KR 101686417 B1 KR101686417 B1 KR 101686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vehicle terminal
address
unit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일
우혁준
권우일
Original Assignee
(주)디지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파츠 filed Critical (주)디지파츠
Priority to KR102016003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4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4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6/0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04W76/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way server system for providing continuity of a connection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 vehicle terminal in a 3G or LTE wireless network, and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gateway server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way server system for providing continuity of a connection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 vehicle terminal in a 3G or LTE wireless network, which can detect an interruption adapted to occur in a connection for data communication with a currently connected control server or adapted to be caused by a change in an IP address of a vehicle terminal during handoff between wireless base stations attributable to movement of a vehicle, which can reestablish the connection, and which can resume the data communication, thereby maintaining continuity of the connection. For this purp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gateway server system for providing continuity of a connection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 vehicle terminal in a 3G or LTE wireless network, i.e., a network system for providing a connection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t least one vehicle terminal in a 3G or LTE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vehicle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the gateway server system comprising a gateway server which enables the at least one moving vehicle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ver the 3G or LTE wireless network, which assigns a reserved connectable IP address to the vehicle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a change in connection information for an IP address of the vehicle terminal during handoff attributable to transition between base stations for the vehicle terminal, and which chang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based on a new IP address of the vehicle terminal via the assigned reserved IP address and a port, so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in an IP address-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Furthermore, also provided is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gateway server system. Accordingly, a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Description

3G/LTE 무선망에서의 관제 서버와 차량 단말기 간의 연결 지속성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Gateway server system for providing connection maintenance between central control server and terminal of vehicle in the 3G/LTE wireless networks and control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way server system for providing connection continuity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 vehicle terminal in a 3G / LTE wireless network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쉐어링 서비스 관제 서버와 차량 단말기 간에 IP 기반 통신환경의 연결 지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G 또는 LTE와 같은 무선망에서 차량 단말기가 관제 서버와 통신 중인 상태에서, 차량의 위치 이동에 따른 무선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시 차량 단말기의 IP 주소 변경으로 인해 관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끊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다시 연결을 맺고 신속하게 통신을 재개함으로써, IP 기반 통신환경에서 카쉐어링 서비스용 차량 단말기와 관제 서버 간에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3G/LTE 무선망에서의 관제 서버와 차량 단말기 간의 연결 지속성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way serv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provide connection continuity of an IP-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a car sharing service control server and a vehic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at th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is disconnected due to the change of the IP address of the vehicle terminal during the handoff between the wireless base statio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 a gateway serv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provides continuity of connection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 vehicle terminal in a 3G / LTE wireless network that enables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vehicle terminal for a car sharing service and a control server to be maintained continuously in an IP-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

최근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의 발달로 인해 모바일 단말기뿐만 아니라 버스, 택시, 렌터카, 카 쉐어링 차량 등에 다양한 목적의 차량 단말기가 부착되어 3G, LTE 망에서 운용되고 있다.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IoT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various types of vehicle terminals such as buses, taxis, rental cars, car-sharing vehicles are attached to 3G terminals and LTE networks.

이러한 차량 단말기들은 카쉐어링 서비스, FMS(Fleet Management System), 위치 추적, 시동 제어 등을 위해 차량의 여러 가지 운행 정보를 주기적으로 관제 서버로 전송하거나, 관제 서버에서 제어 코드를 내려 받아 차량 제어에 사용하는데, 이러한 차량 단말기들이 장착된 자동차들은 대부분의 경우 빠른 속도로 먼 거리를 이동하게 되므로, 차량 단말기들은 3G, LTE 망에서 관제 서버와 통신하는 동안 이동 통신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환경에서 운용된다.These vehicle terminals periodically transmit various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the control server for car sharing service, FMS (Fleet Management System), location tracking, start control, etc., or download the control code from the control server However, since vehicles equipped with such vehicle terminals are moved at a high speed in a large distance at a high speed, vehicle terminals are likely to be in an environment where handoffs frequently occur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while communicating with a control server in a 3G or LTE network .

즉, 도 1의 종래 카쉐어링 네트워크 개략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재 대부분의 차량 단말기(100)들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 소켓 통신 또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방식으로 관제 서버(30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관제 서버(300)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버(210)를 통해 SMS 방식으로 차량 단말기(10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 이때 관제 서버(300)가 SMS를 사용하여 차량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유는 전술한 대로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100)가 빈번하게 기지국의 핸드오프를 거치는 환경에서 운용되고, 이에 따라 한 기지국에서 할당받은 IP 주소가 핸드오프 과정에서 다른 IP 주소로 변경되기 때문에 원활한 IP 기반 데이터 통신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제 서버에서 차량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는 핸드오프와 관계없이 특정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해 각 차량 단말기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SMS를 이용해 제어 코드를 내려 보내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That is, as illustrated in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conventional car sharing network of FIG. 1, most of the vehicle terminals 100 are currently controlled by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UDP (User Datagram Protocol) based socket communication or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The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data to the vehicle terminal 100 through the SMS (Short Message Service) server 210. [ At this time, the reason why the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data to the vehicle terminal 100 using the SMS is that the vehicle terminal 100 mounted on the vehicle moving at a high speed as described above frequently performs the handoff of the base station And thus the IP address allocated by one base station is changed to another IP address in the handoff process, so that it is impossible to use the seamless IP based data communication. Therefore,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to the vehicle terminal, a method of sending a control code using SMS to a telephone number assigned to each vehicle terminal is widely used to identify a specific terminal regardless of a handoff.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카쉐어링 네트워크에서는 LTE 망에서 서비스 구축시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IOT 서비스의 연동을 필요로 하게 되어 추가로 개발비용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r sharing network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interwork with a separate IOT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in constructing a service in the LTE network, which may cause further development costs.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카쉐어링 네트워크에서는, 차량 단말기가 TCP/UDP 기반 소켓 통신 또는 HTTP 방식을 이용하여 관제 서버로 데이터 전달시, 차량 단말기가 전송한 데이터를 관제서버가 100% 수신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 이유는 이동통신사의 패킷관문지원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는 'GGSN'이라 약칭하기로 함)에서 사설 IP 주소와 공인 IP 주소 매칭을 유지하는 단계에서 통상 UDP의 경우 1분, TCP의 경우 1시간 동안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후 다시는 해당 IP 주소로의 연결을 지원하지 않게 되는데, 차량 단말기가 TCP 연결을 한 상태(메시지를 보내는 단계)에서 서비스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여 GGSN에 할당된 TCP 포트가 열린 상태에서 1시간 이상 서비스 음영 지역에 차량이 머물 경우 해당 IP 주소를 가진 관제 서버와 재 연결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Also,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ar sharing network, when the vehicle terminal transmits data to the control server using the TCP / UDP-based socket communication or the HTTP method, a method of checking whether the control server 100% There was no.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the step of maintaining the private IP address matching with the public IP address in the Gateway GPRS Support Node (hereinafter, abbreviated as 'GGS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If the connection is not made for one hour, the connection to the IP address will not be supported again. If the vehicle terminal enters the shadow area of the TCP connection (sending a message) and the TCP If the vehicle stays in the shaded area for more than one hour with the port open, it can happen that it can not reconnect with the control server with the IP address.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카쉐어링 네트워크에서는, 관제 서버가 SMS 서버를 통해 차량 단말기로 SMS를 전달시, 하나의 SMS에 담을 수 있는 데이터 크기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또는 바이너리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데이터의 암호화도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SMS를 사용하는 데이터 전달방식은 IP 기반 데이터 통신에 비해 응답 대기 시간 및 수신까지 약 10~14초의 지연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국가 별, 사업자 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서비스 규모가 증가하는 경우 과다한 SMS 비용 발생의 우려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above conventional car sharing network, when the control server transmits the SMS to the vehicle terminal through the SMS server, the size of the data that can be contained in one SMS is limited and only the text type data can be transmitt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multimedia data or binary data such as the data. In additio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MS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be used for general purpose because it differs according to countries and operators as well as a response delay time and a delay of about 10 ~ There was a concern that excessive SMS costs would be incurred if the scale increased.

KR 10-2006-0127571 A 2006.12.13. 공개KR 10-2006-0127571 A 2006.12.13. ope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3G 또는 LTE와 같은 무선망에서 차량 단말기가 관제 서버와 통신 중인 상태에서, 차량의 위치 이동에 따른 무선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로 인해 차량 단말기의 IP 주소가 변경되어 현재 연결되어 있는 관제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이 끊어질 경우 이를 감지하여 빠르게 다시 연결을 맺고 통신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쉐어링 서비스용 차량 단말기와 관제 서버 간에 IP 기반 통신환경의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3G/LTE 무선망에서의 관제 서버와 차량 단말기 간의 연결 지속성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When the IP address of the vehicle terminal is changed due to the handoff between the wireless base stations and th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urrently connected control server is broken, it is detected that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again and the communication can be resumed quick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teway serv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provide connection continuity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 vehicle terminal in a 3G / LTE wireless network, which enables a connection status of an IP-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be continuously maintained between a terminal and a control serv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관제 서버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기를 포함하는 3G 또는 LTE 무선망에서, 관제 서버와 차량 단말기 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3G 또는 LTE 무선망에서 이동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기와 관제 서버 사이에 통신 가능하게 구비되며, 차량 단말기의 기지국 전환에 따른 핸드오프 시 차량 단말기의 IP 주소 접속정보 변경 요청에 따라 연결 가능한 예비 IP 주소를 해당 차량 단말기에 할당하고, 할당된 예비 IP 주소와 포트를 통해 차량 단말기의 새로운 IP 주소로 접속정보를 변경(재연결)하여, IP 기반 통신환경에서 차량 단말기와 관제 서버 간에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게이트웨이 서버를 포함하는, 3G/LTE 무선망에서의 관제 서버와 차량 단말기 간의 연결 지속성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시스템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twork system for providing a connection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 vehicle terminal in a 3G or LTE wireless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vehicle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ontrol server, Or at least one vehicle terminal that is moving in an LTE radio network and a control server, and is provided with a spare IP address that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a request to change the IP address access inform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at the time of hand- The connection information is changed (reconnected) to the new IP address of the vehicle terminal through the assigned spare IP address and port,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IP-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Connection between control server and vehicle terminal in 3G / LTE wireless network including gateway server It is a gateway server system that provides persiste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3G 또는 LTE 무선망에서 이동 중인 차량 단말기와 관제 서버 간에 IP 기반의 통신환경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 서버를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연결 유지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차량 단말기가, 무선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시 IP 주소가 변경되는 것을 확인하여 게이트웨이 서버에 새로운 IP 주소로 재연결(접속정보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1단계, (b) 게이트웨이 서버가, 차량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IP 주소로 재연결(접속정보의 변경) 요청을 확인하여 해당 차량 단말기의 접속정보를 새로운 IP 주소로 변경하는 제2단계; 및 (c) 차량 단말기가 관제 서버 간의 연결을 재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IP 기반 통신환경에서 차량 단말기와 관제 서버 간에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3G/LTE 무선망에서의 관제 서버와 차량 단말기 간의 연결 지속성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시스템 제어방법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ion maintenance control method in a network system having a gateway server supporting an IP-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a vehicle terminal and a control server moving in a 3G or LTE wireless network (A) a first step in which the vehicle terminal confirms that the IP address is changed upon handoff between the wireless base stations and requests reconnection (change of connection information) to a new IP address to the gateway server, (b) A second step of confirming a reconnection (change of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vehicle terminal to a new IP address and changing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terminal to a new IP address; And (c) a third step in which the vehicle terminal resumes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server and the control server in the 3G / LTE wireless network that continuously maintains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in the IP-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A gateway server system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connection continuity between vehicle terminals.

본 발명에 따르면, 3G 또는 LTE와 같은 무선망에서 통신 중인 다양한 차량 단말기가 기지국 간 전환에 따른 핸드오프시 IP 주소가 변경되는 것을 확인하여 차량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변경하여 빠르게 다시 연결을 맺고 통신을 재개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 이동에 따른 무선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시 연결 유지, 이동 통신 서비스 망의 변경 시 신속한 접속을 보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 단말기와 관제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여 차량 단말기와 관제서버 간에 연결 상태의 지속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vehicle terminals communicating in a wireless network, such as 3G or LTE, confirm that the IP address is changed at the time of handoff according to the switching between the base stations, change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nnection at the time of handoff between the wireless base statio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o ensure quick connec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network is changed. Accordingly,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can be preven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tinuity of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또한 발명에 의하면, 차량 단말기와 관제 서버 간의 데이터 암호화가 가능하게 되며, SMS 대비 빠른 전송속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SMS 미사용에 따른 비용 절감, 및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전송, 음악, 영상 스트리밍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고, 또한 통신 사업자에 의한 독립적인 서비스환경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crypt data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and it is possible not only to maintain a high transmission rate with respect to the SMS, but also to reduce costs due to SMS unused, various types of data transmiss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additional service is enabled, and an independent service environment can be realized by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도 1은 종래 카쉐어링 네트워크의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3G/LTE 무선망에서의 관제 서버와 차량 단말기 간의 연결 지속성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시스템을 간략히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게이트웨이 서버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2의 차량 단말기와 관제 서버 간 연결 유지를 위한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ar sharing network.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gateway server system providing connection continuity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 vehicle terminal in a 3G / LTE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gateway server of FIG.
4A and 4B are flowcharts of control operations for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3G/LTE 무선망에서의 관제 서버와 차량 단말기 간의 연결 지속성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gateway serv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continuity of connection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 vehicle terminal in a 3G / LTE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al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G/LTE 무선망에서의 관제 서버와 차량 단말기 간의 연결 지속성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게이트웨이 서버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이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게이트웨이 서버(500)가 각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단말기(100)와, 카쉐어링 서비스를 중앙에서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관제 서버(300) 사이에서 3G 또는 LTE 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구현되는 카쉐어링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아님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gateway server system that provides connection continuity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 vehicle terminal in a 3G / LTE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ateway server of FIG. In these drawings, a gateway server 5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between a vehicle terminal 100 mounted on each vehicle and a control server 300 that centrally controls a car sharing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ar sharing service system that is implemented to be communicable through a network.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merely an example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G 또는 LTE 무선망에서 이동 중인 각 차량에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기(100), 각각의 차량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차량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각각의 차량을 제어하는 관제 서버(300), 및 각각의 차량 단말기(100)와 관제 서버(300)를 3G 또는 LTE 망에서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 서버 시스템은 관제 서버(300)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3G 또는 LTE 무선망에서, 관제 서버(300)와 차량 단말기(100) 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t least one vehicle terminal 100 mounted on each moving vehicle in a 3G or LT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with each vehicle terminal 100, And a gateway server 500 for communicably connecting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server 300 in a 3G or LTE network, The gateway serv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server 300 and the vehicle terminal 100 in a 3G or LTE wireless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vehicle terminal 10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300.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being applied to a network system that provides a network.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단말기(100)는 관제 서버(300)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하트비트(heartbeat)을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 서버(500)에 전송하여 연결이 유지됨을 보고하며, 기지국 전환에 따른 핸드오프 시 IP 주소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변경된 새로운 IP 주소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500)에 전송하여 새로운 IP 주소로 접속정보의 변경(재 연결)을 요청하고 재 연결 시 기존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한다. 이를 위하여 차량 단말기(100)는 연결 관리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연결 관리부(110)는 연결 유지 보고부(111), IP 주소변경 확인부(112), 재연결 요청부(113), 및 전송 재개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관리부(110)의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Heartbeat의 전송 주기는 이미 연결이 수립된 상태에서는 패킷 통신에 의한 접속 관리가 진행되기 때문에 통상 40~60분 정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vehicle terminal 100 periodically transmits a heartbeat to the gateway server 500 to mainta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 server 300, reports that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The gateway server 500 transmits the changed IP address information to the gateway server 500, requests the change (reconnection) of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new IP address, and resumes the existing data transmission upon reconnection . The vehicle terminal 100 includes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0.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0 includes a connection maintenance report unit 111, an IP address change confirmation unit 112, a reconnection request unit 113, And a transmission resumption unit 114. [0033] FIG. The components of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ny one or both of a hardware module and a software module. Here, since the connection management by the packet communication proceeds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is already established,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heartbeat is preferably about 40 to 60 minutes. However, if necessary, it may be transmitted in a shorter period.

연결 유지 보고부(111)는 관제 서버(300)와 연결이 유지됨을 보고하기 위한 하트비트(heartbeat)를 게이트웨이 서버(500) 내의 단말 연결부(511)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The connection maintaining report unit 111 periodically transmits a heartbeat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511 in the gateway server 500 to report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server 300 is maintained.

IP 주소변경 확인부(112)는 차량의 이동에 의해 차량 단말기(100)가 접속되어 있는 3G 또는 LTE 망을 구성하는 기지국 전환에 따른 핸드오프 시 IP 주소 변경 여부를 확인한다.The IP address change confirming unit 112 confirms whether the IP address is changed at the time of handoff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switching constituting the 3G or LTE network to which the vehicle terminal 100 is connected by the movement of the vehicle.

재 연결 요청부(113)는 IP 주소변경 확인부(112)의 확인 결과 IP 주소 변경이 있을 경우, 변경된 새로운 IP 주소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500) 내의 단말 연결부(511)에 전송하여 변경된 새로운 IP 주소로 접속정보의 변경, 즉 재 연결을 요청한다.The reconnection request unit 113 transmits the changed new IP address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511 in the gateway server 500 when the IP address change confirmation unit 112 determines that the IP address has changed, To request the reconnection of the connection information.

전송 재개부(114)는 재 연결 요청부(113)에 의한 재 연결 요청 결과, 변경된 IP 주소로의 재 연결 시 기존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한다. 이때 차량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데이터는 차량의 배터리 전압 및 비인가 탈거여부의 감시정보, 차량 주행에 따른 상태정보(기어, 배터리 전압, 미등, 시동 상태 등), 위치정보, 영상 촬영정보, 및 차량 사용 이력 정보 등일 수 있다.The transfer resumption unit 114 resumes the existing data transfer upon reconnection to the changed IP address as a result of the reconnection request by the reconnection request unit 113. [ At this time, data transmitted by the vehicle terminal 100 includes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battery voltage and unattended removal of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gear, battery voltage, taillight, starting state, etc.), position information, Vehicle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like.

관제 서버(300)는 카쉐어링 서비스를 관제하는 서버인 경우, 서비스 이용 요청에 따라 차량 조회 및 예약정보를 입력받아 사용 가능한 차량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조회하여 제시하고, 사용자의 차량 예약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차량 내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100)로 해당 예약정보를 무선 전송하며, 차량 단말기(100)에서 송신되는 차량의 사용 이력 정보 등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 이력 정보와 초기 예약정보로 서비스 이용요금을 정산 처리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erver that controls a car sharing service, the control server 300 receives vehicle inquiry and reserv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service use request, inquires and presents usable vehicle information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s the reserva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100 mounted in the vehicle, wirelessly transmits the reserva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100, receives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of the vehicl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Settlement processing can be performed.

게이트웨이 서버(500)는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3G 또는 LTE 무선망에서 이동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기(100)와 관제 서버(300) 사이에 구비되어, 3G 또는 LTE 무선망에서 이동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기(100)와 관제 서버(300)를 IP 기반의 통신환경에서 양방향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며, 기지국 전환에 따른 핸드오프 시 차량 단말기(100)의 IP 주소 접속정보 변경 요청에 따라 연결 가능한 예비 IP 주소를 해당 차량 단말기(100)에 할당하고, 할당된 예비 IP 주소와 포트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의 변경된 새로운 IP 주소로 접속정보를 변경(재연결)하여, IP 기반 통신환경에서 차량 단말기(100)와 관제 서버(300) 간에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gateway server 500 is provided between at least one vehicle terminal 100 and a control server 300 that are moving in a 3G or LTE wireless network, and is provided in a 3G or LTE wireless network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300 in a bidirectional manner in an IP-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so that at least one vehicle terminal 100 in motion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server 300 in a bidirectional manner, (Reconnec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new IP address of the vehicle terminal 100 through the allocated spare IP address and port, and transmits the IP-based Thereby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server 300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이를 위하여 게이트웨이 서버(500)는 재연결 설정부(510), 데이터 처리부(520), 단말 데이터 캐쉬부(530), 및 외부 데이터 어댑터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gateway server 500 may include a reconnection setting unit 510, a data processing unit 520, a terminal data cache unit 530, and an external data adapter unit 540.

재연결 설정부(5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차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100)와 3G 또는 LTE 망을 통한 접속을 관리하는 단말 연결부(511)와, 차량 단말기(100)의 IP 주소와 연결 관리를 위해 단말 연결부(511)에 연결되고 디바이스 데이터 캐쉬부(530)와 연동하는 IP 조작부(512)를 포함하여, 차량 단말기(100)와 게이트웨이 서버(500) 간의 연결 상태를 유지시킨다.The reconnection establishing unit 510 includes a terminal connection unit 511 for managing connection through the 3G or LTE network with the vehicle terminal 100 installed in at least one vehicle,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gateway server 500 is maintained including the IP operation unit 512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511 and interlocked with the device data cache unit 530.

데이터 처리부(520)는 단말 연결부(511)에 연결되어 차량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 처리하고 암호화 처리된 데이터를 외부 데이터 어댑터부(540)에 전달하여 관리한다.The data processing unit 52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511, receives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performs encryption processing, and transmits the encrypted data to the external data adapter unit 540 for management.

단말 데이터 캐쉬부(530)는 신속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차량 단말기(10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IP 조작부(512)와 연동하여 변경 사항을 체크한다.The terminal data cache unit 530 stores data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for rapid data transmission and checks the change with the IP operation unit 512. [

외부 데이터 어댑터부(540)는 차량 단말기(100)와 관제 서버(300) 간의 프로토콜 데이터를 처리하며 연결에 따른 양방향 데이터를 유지 및 관리한다.The external data adapter unit 540 processes the protocol data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server 300 and maintains and manages bidirectional data according to the connection.

도 4a와 도 4b는 도 2의 카쉐어링 네트워크에서 차량 단말기와 게이트웨이서버에서 연결 유지를 위해 수행되는 동작 흐름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연결 유지 제어방법은 차량 단말기(100)가 처리하는 제1단계(a)와, 게이트웨이 서버(500)가 처리하는 제2단계(b), 및 차량 단말기(100)가 처리하는 제3단계(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연결 유지 제어방법은 3G 또는 LTE 무선망에서 이동 중인 차량 단말기(100)와 관제 서버(300) 간에 IP 기반의 통신환경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 서버(500)를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performed for maintaining a connection between a vehicle terminal and a gateway server in the CAS sharing network of FIG. A second step (b) of processing by the gateway server (500), and a third step (c) of processing by the vehicle terminal (100) The control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 network system having a gateway server 500 supporting an IP-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server 300 that are moving in the 3G or LTE wireless network.

도 4a는 차량 단말기(100)의 동작 흐름도로서,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a)는 차량 단말기(100)가 차량 이동에 따른 무선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시 IP 주소가 변경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8), 핸드오프에 따른 IP 주소 정보의 변경이 있는 경우 게이트웨이 서버(500)에 연결 가능한 예비 IP 주소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단계(S109,S110), 탐색 결과 게이트웨이 서버(500)에 연결 가능한 예비 IP 주소가 있는 경우 차량 단말기(100)의 변경된 새로운 IP 주소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500)로 전송하여 게이트웨이 서버(500)에 변경된 새로운 IP 주소로의 접속정보의 변경(재연결)을 요청하는 단계(S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4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00. As illustrated in FIG. 4A, the first step (a)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P address of the vehicle terminal 100 is changed at the time of hand- (Step S108). If there is a change in the IP address information due to the handoff,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spare IP address connectable to the gateway server 500 (steps S109 and S110) , The gateway server 500 transmits the changed IP address inform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00 to the gateway server 500 to change (reconnect)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changed IP address, (Step S111).

이러한 제1단계(a)는 차량 단말기(100)에 전원이 인가(S101)되고 최초 3G 또는 LTE GGSN에서 IP 주소가 할당(S102)되어 대기중인 상태(S103)에서 게이트웨이 서버(500)에 주기적으로 연결 유지 보고를 위한 하트비트를 전송(S104,S105)하면서 이벤트 발생시마다 해당 이벤트 데이터를 게이트웨이 서버(500)에 전송(S106,S107)하는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the first step (a), power is applied to the vehicle terminal 100 (S101) and the IP address is allocated (S102) in the first 3G or LTE GGSN and the gateway server 500 is periodically The event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gateway server 500 (S106, S107)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event while the heartbeat for the connection maintenance report is transmitted (S104, S105).

도 4b는 게이트웨이 서버(500)의 동작 흐름도로서,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b)는 게이트웨이 서버(500)가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새로운 IP 주소로 접속정보의 변경(재 연결) 요청을 확인하는 단계(S506), 확인결과,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새로운 IP 주소로 접속정보의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게이트웨이 서버(500)가 해당 차량 단말기(100)의 접속정보를 새로운 IP 주소로 변경하는 단계(S5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단계(a)는 게이트웨이 서버(500)가 차량 단말기(100)의 모니터링을 시작(S501)하여 차량 단말기(100)에서 데이터 수신을 대기(S502)하고 데이터 수신시(S503)마다 데이터 처리부(520)에서 해당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암호화 등의 전처리를 실시(S504)하고 외부 데이터 어댑터부(540)를 통해 관제 서버(300)에 데이터를 전송(S505)하는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4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gateway server 500. As illustrated in FIG. 4B, the second step (b) is a step in which the gateway server 500 changes the acces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to a new IP address (S506). If the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is chang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to the new IP address, the gateway server 500 transmi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terminal 100 to the new IP address (Step S507). In the second step (a), the gateway server 500 starts monitoring the vehicle terminal 100 (S501), waits for data reception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S502), and for each data reception (S503) (S504) for encryption or the like for transmiss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in the control unit 520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control server 300 (S505) through the external data adapter unit 540. [

제3단계(c)는 차량 단말기(100)가 게이트웨이 서버(500)에서 예비 IP 주소 목록을 수신하여 갱신하고 예비 IP 주소와 포트를 통해 접속 변경된 새로운 IP 주소로 관제 서버(300)와의 연결을 재개하는 단계(S112)이다.In the third step (c), the vehicle terminal 100 receives and updates the preliminary IP address list from the gateway server 500 and resumes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server 300 to the new IP address which is changed in connection through the preliminary IP address and port (Step S112).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3G/LTE 무선망에서의 관제 서버와 차량 단말기 간의 연결 지속성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상세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operation and effect of the gateway server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connection continuity between the control server and the vehicle terminal in the 3G / LTE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차량 단말기(100)는 전원이 인가(S101)되고 최초 3G 또는 LTE GGSN에서 IP 주소가 할당(S102)되면 대기중인 상태(S103)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 경과 여부를 체크(S104)하면서, 게이트웨이 서버(500)에 주기적으로 하트비트를 전송(S105)하여, 연결 유지됨을 보고하고, 아울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S106)하여, 차량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시마다 해당 이벤트 데이터를 게이트웨이 서버(500)에 전송(S107)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power is applied (S101) and the IP address is allocated (S102) in the first 3G or LTE GGSN, the vehicle terminal 100 check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the waiting state (S103) The gateway server 500 periodically transmits a heartbeat to the gateway server 500 in step S105 to report that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and confirms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step S106, (S107). ≪ / RTI >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 단말기(100)는 제1단계(a)에서, 차량 이동에 따른 무선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시 IP 주소가 변경되는지의 여부를 확인(S108)하고, 핸드오프에 따른 IP 주소 정보의 변경이 있는 경우(S108의 Y분기) 게이트웨이 서버(500)의 예비 IP 주소가 있는지를 탐색(S109)하여, 탐색된 예비 IP 주소가 연결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S110)한다.In this state, the vehicle terminal 100 confirms whether the IP address is changed at the time of handoff between the wireless base stations according to the vehicle movement (S108) in the first step (a), and changes the IP address information (Y branch in S108),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spare IP address of the gateway server 500 (S109), and it is confirmed whether the detected spare IP address is connectable (S110).

이때의 탐색 결과, 게이트웨이 서버(500)에 연결 가능한 예비 IP 주소가 있는 경우(S110의 Y분기) 차량 단말기(100)의 변경된 새로운 IP 주소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500)로 전송하여 게이트웨이 서버(500)에 변경된 새로운 IP 주소로의 접속정보의 변경(재연결)을 요청(S111)한다.If there is a spare IP addres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gateway server 500 (Y branch of S110) as a search result at this time, the changed new IP address inform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00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server 500, (Reconnect)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new IP address changed in step S111.

한편, 게이트웨이 서버(500)는 단말 연결부(511)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의 모니터링을 시작(S501)하여 차량 단말기(100)에서 데이터가 수신되기를 대기(S502)하고, 이러한 데이터 수신 대기 상태에서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S503)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이루어지면(S503의 Y분기) 그때마다 해당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데이터 처리부(520)에서 암호화 등의 전처리를 실시(S504)하여 외부 데이터 어댑터부(540)를 통해 관제 서버(300)에 데이터를 전송(S505)한다.The gateway server 500 starts monitoring the vehicle terminal 100 through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511 in step S501 and waits for data to be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in step S502. (S503). When data is received (Y branch in S503), the data processing unit 520 performs preprocessing such as encryption (S504) in order to transfer the corresponding data (Step S505) to the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control unit 540.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게이트웨이 서버(500)는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새로운 IP 주소로 접속정보의 변경(재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를 확인(S506)하고, 확인결과,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새로운 IP 주소로 접속정보의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S506의 Y분기) 게이트웨이 서버(500)는 IP 조작부(512)와 단말 데이터 캐쉬부(530)를 연동시켜 해당 차량 단말기(100)의 접속정보를 새로운 IP 주소로 변경(S507)하고, 아울러 예비 IP 주소 목록을 차량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제2단계를 수행한다.The gateway server 500 confirms whether a request to change (reconnect) the acces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to the new IP address is received (S506), and as a result, The gateway server 500 interlocks the IP operation unit 512 and the terminal data cache unit 530 to change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terminal 100 to a new IP address (step S504) IP address (S507), and transmits the preliminary IP address list to the vehicle terminal 100. The second step is to change the IP address to the IP address (S507).

따라서 마지막으로 차량 단말기(100)는 게이트웨이 서버(500)에서 전송된 예비 IP 주소 목록을 수신하여 갱신하고 예비 IP 주소와 포트를 통해 접속 변경된 새로운 IP 주소로 관제 서버(300)와의 연결을 재개하는 제3단계(S112)를 수행하게 된다.Finally, the vehicle terminal 100 receives the preliminary IP address list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server 500, updates the preliminary IP address list, and resumes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server 300 to the new IP address, Step S112 is performed.

이러한 본 발명은 3G, LTE 혹은 GPRS(GSM), CDMA 등에 상관없이 패킷 서비스가 지원되는 이동 통신 서비스 환경에 모두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기지국 간 핸드오프 시 연결 유지, 및 이동 통신 서비스 망의 변경 시 신속한 재접속을 보장해줄 수 있게 되며, 지속적인 차량 단말기에 대한 형상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environments in which packet services are supported regardless of 3G, LTE or GPRS (GSM), CDMA, etc.,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nection at handoff between base stations through a gateway server, It is possible to ensure quick reconnection when the network is changed, an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nage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단말기와 게이트웨이 서버 간 통신에 AES, DES 등의 암호화 지원이 가능하고 게이트웨이 서버와 관제 서버 간 통신에 HTTPS 혹은 SSL 등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하므로, 서비스를 위한 통신 전 구간에 대한 완벽한 암호화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ncryption support such as AES, DES, etc.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gateway server, and can be configured by HTTPS or SSL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gateway server and the control server. Therefore,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enabling encrypted transmission.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시스템과 호환을 유지하면서 국내 뿐만 아니라 사업자가 상이한 해외까지 서비스를 확장하기에 용이한 구조를 가지므로, 기존 차량 단말기를 이용하는 렌터카, FMS, 카 쉐어링 서비스 사업자로 하여금 기존에 구축된 차량 단말기과 관제 서버 간 프로토콜을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expand service to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the domestic market while maintaining compatibility with existing syst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ntal car, an FMS, and a car sharing service provider using existing vehicle terminals, And provides an advantage that the protocol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can be used without modification.

또한 본 발명은 IP 기반의 통신환경에서 연결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대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유롭고 원활하게 송수신 할 수 있어, 고속 데이터 전송을 통한 멀티미디어, 이진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connection persistence can be maintained in an IP-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a large amount of multimedia data can be freely and smoothly transmitted and transmitted, and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multimedia data and binary data can be quickly transmitted through high- This provides the advantag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at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차량 단말기 110 : 연결 관리부
111 : 연결 유지 보고부 112 : IP 주소 변경 확인부
113 : 재 연결 요청부 114 : 전송 재개부
300 : 관제서버 500 : 게이트웨이 서버
510 : 재 연결 설정부 511 : 단말 연결부
512 : IP 조작부 520 : 데이터 처리부
530 : 단말 데이터 캐쉬부 540 : 외부 데이터 어댑터부
100: vehicle terminal 110: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1: connection maintaining reporting unit 112: IP address change confirmation unit
113: reconnection request unit 114:
300: control server 500: gateway server
510: reconnection setting unit 511: terminal connection unit
512: IP operation unit 520: Data processing unit
530: terminal data cache unit 540: external data adapter unit

Claims (7)

관제 서버(300)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3G 또는 LTE 무선망에서, 상기 관제 서버(300)와 차량 단말기(100) 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3G 또는 LTE 무선망에서 이동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기(100)와 관제 서버(300) 사이에 통신 가능하게 구비되며, 차량 단말기(100)의 기지국 전환에 따른 핸드오프 시 차량 단말기(100)의 IP 주소 접속정보 변경 요청에 따라 연결 가능한 예비 IP 주소를 해당 차량 단말기(100)에 할당하고, 할당된 예비 IP 주소와 포트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기(100)의 새로운 IP 주소로 접속정보를 변경(재연결)하여, IP 기반 통신환경에서 차량 단말기(100)와 관제 서버(300) 간에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게이트웨이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차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100)와 3G 또는 LTE 망을 통한 접속을 관리하여 차량 단말기(100)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말 연결부(511)와, 상기 차량 단말기(100)의 IP 주소와 연결 관리를 위해 디바이스 데이터 캐쉬부(530)와 연동하는 IP 조작부(5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연결 설정부(510);
상기 차량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 처리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처리부(520);
신속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상기 차량 단말기(10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변경 사항을 체크하는 단말 데이터 캐쉬부(530); 및
상기 차량 단말기(100)와 관제 서버(300) 간의 프로토콜 데이터를 처리하며 연결에 따른 데이터를 유지 및 관리하는 외부 데이터 어댑터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단말기(100)는,
연결이 유지됨을 보고하기 위한 하트비트(heartbeat)을 주기적으로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500) 내의 단말 연결부(511)에 전송하며,
차량의 이동에 의해 차량 단말기(100)가 접속되어 있는 3G 또는 LTE 망을 구성하는 기지국 전환에 따른 핸드오프 시 IP 주소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IP 주소 변경이 있을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500) 내의 단말 연결부(511)에 변경된 IP 주소 정보를 전송하여 변경된 IP 주소로 재 연결을 요청하며, 재 연결 시 기존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연결 관리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관리부(110)는,
관제서버와 연결이 유지됨을 보고하기 위한 하트비트(heartbeat)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500) 내의 단말 연결부(511)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연결 유지 보고부(111);
차량의 이동에 의해 차량 단말기(100)가 접속되어 있는 3G 또는 LTE 망을 구성하는 기지국 전환에 따른 핸드오프 시 IP 주소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IP 주소변경 확인부(112);
상기 IP 주소변경 확인부(112)의 확인 결과 IP 주소 변경이 있을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500) 내의 단말 연결부(511)에 변경된 IP 주소 정보를 전송하여 변경된 IP 주소로 재 연결을 요청하는 재연결 요청부(113); 및
상기 재연결 요청부(113)에 의한 재연결 요청 결과, 변경된 IP 주소로의 재 연결 시 기존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전송 재개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G/LTE 무선망에서의 관제 서버와 차량 단말기 간의 연결 지속성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시스템
A network system for providing a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server (300) and a vehicle terminal (100) in a 3G or LTE wireless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vehicle terminal (10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ontrol server (300)
(100) and a control server (300) that are in motion in a 3G or LTE wireless network and are capable of communicating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server (300) Allocates a connectable spare IP address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terminal 100 in response to the address access information change request, and changes (redirects)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new IP address of the vehicle terminal 100 through the assigned spare IP address and port And a gateway server 500 for continuously maintaining a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server 300 in an IP-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gateway server (500)
A terminal connection unit 511 which manages connection with the vehicle terminal 100 mounted on at least one or more vehicles and maintains connection with the vehicle terminal 100 by managing connection through the 3G or LTE network, A reconnection establishing unit 510 including an IP manipulation unit 512 interlocked with the device data cache unit 530 for connection management;
A data processing unit 520 for receiving, encrypting and managing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A terminal data cache unit 530 for storing data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checking a change for quick data transmission; And
And an external data adapter unit (540) for processing protocol data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server (300) and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data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he vehicle terminal (100)
Transmits a heartbeat for reporting that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periodically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511 in the gateway server 500,
It is checked whether the IP address is changed at the time of handoff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base station constituting the 3G or LTE network to which the vehicle terminal 100 is connected by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0) for transmitting the changed IP address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511), requesting reconnection to the changed IP address, and resuming the existing data transmission upon reconnection,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0,
A connection maintenance report unit (111) for periodically transmitting a heartbeat for reporting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server is maintain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511) in the gateway server (500);
An IP address change confirmation unit 112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IP address is changed when handoff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base station switching constituting the 3G or LTE network to which the vehicle terminal 100 is connected by the movement of the vehicle;
When the IP address change confirmation unit 112 confirms that the IP address has changed, the changed IP addr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511 in the gateway server 500 to request reconnection to the changed IP address A request unit 113; And
And a transmission resumption unit (114) for resuming the existing data transmission upon reconnection to the changed IP address as a result of the reconnection request by the reconnection request unit (113). Gateway server system that provides persistence of connection between control server and vehicle terminal in networ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38997A 2016-03-31 2016-03-31 Gateway server system for providing connection maintenance between central control server and terminal of vehicle in the 3G/LTE wireless network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864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997A KR101686417B1 (en) 2016-03-31 2016-03-31 Gateway server system for providing connection maintenance between central control server and terminal of vehicle in the 3G/LTE wireless network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997A KR101686417B1 (en) 2016-03-31 2016-03-31 Gateway server system for providing connection maintenance between central control server and terminal of vehicle in the 3G/LTE wireless network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417B1 true KR101686417B1 (en) 2016-12-15

Family

ID=5757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997A KR101686417B1 (en) 2016-03-31 2016-03-31 Gateway server system for providing connection maintenance between central control server and terminal of vehicle in the 3G/LTE wireless network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41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683B1 (en) 2017-07-31 2018-01-12 (주)디지파츠 Connected gateway server system for real-time vehicle control service
KR102008631B1 (en) * 2018-12-26 2019-10-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of monitoring vehicle and vehicle search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10620998A (en) * 2019-09-20 2019-12-27 广东以诺通讯有限公司 Device and method for interaction between vehicles and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0234A (en) * 2003-02-24 2004-09-16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node and gateway used for the system
KR20060127571A (en) 2005-06-08 2006-12-13 (주) 엘지텔레콤 Method for vertical handoff between wlan and cdma based on mobile internet protocol
JP2007325191A (en) * 2006-06-05 2007-12-13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ession continuing method
KR100876762B1 (en) * 2006-12-08 2009-01-08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media service method on wireless network
JP2012120089A (en) * 2010-12-03 2012-06-21 Hitachi Ltd Hybrid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0234A (en) * 2003-02-24 2004-09-16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node and gateway used for the system
KR20060127571A (en) 2005-06-08 2006-12-13 (주) 엘지텔레콤 Method for vertical handoff between wlan and cdma based on mobile internet protocol
JP2007325191A (en) * 2006-06-05 2007-12-13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ession continuing method
KR100876762B1 (en) * 2006-12-08 2009-01-08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media service method on wireless network
JP2012120089A (en) * 2010-12-03 2012-06-21 Hitachi Ltd Hybrid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683B1 (en) 2017-07-31 2018-01-12 (주)디지파츠 Connected gateway server system for real-time vehicle control service
WO2019027061A1 (en) 2017-07-31 2019-02-07 (주)디지파츠 Connected gateway server system for real-time vehicle control service
US11388005B2 (en) 2017-07-31 2022-07-12 Digiparts, Inc. Connected gateway server system for real-time vehicle control service
KR102008631B1 (en) * 2018-12-26 2019-10-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of monitoring vehicle and vehicle search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10620998A (en) * 2019-09-20 2019-12-27 广东以诺通讯有限公司 Device and method for interaction between vehicles an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535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utilization of core based nodes for state transfer
US73428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er-to-peer wireless communication over unlicensed communication spectrum
CN110073686B (en) Session activ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9036601B2 (en) Support for continuity of tunnel communications for mobile nodes having multiple care of addressing
KR101686417B1 (en) Gateway server system for providing connection maintenance between central control server and terminal of vehicle in the 3G/LTE wireless network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323088A1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200253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wireless data service
EP2847874B1 (en) Digital relay for out of network devices
CN104883683A (en) APN accessing restricting method and GGSN
US8369868B2 (en) Location service based secure user plane location
US8773990B1 (en) Detecting unauthorized tethering
EP2009948A2 (en) Client resource reservation in access networks for roaming
WO20211347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terminal connection
EP2754318B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disparate devices
US20210166566A1 (en) Vehicle platooning
CN101390312A (en) Method of roaming in broadcast service and system and terminal thereof
KR100894965B1 (en) Universal gateway system for managing session information between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and method thereof
EP1407591A1 (en) Network-aware application in a 4g environment
EP2015596A1 (en) QoS SER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936853B1 (en) Transmission of binding update based on a timer set according to the delay of a session
KR101516973B1 (en) Method for supporting hybrid mobility based on Internet Protocol and Apparatus thereof
KR101921636B1 (e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orolling sesseion
KR101800267B1 (en) Gateway apparatus for heterogeneous push services and method for delivering push message
KR102061837B1 (en) Gateway apparatus for heterogeneous push services and method for delivering push message
KR1015536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Handover Among User Equip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