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754B1 - Cane-chair - Google Patents

Cane-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754B1
KR101683754B1 KR1020160099817A KR20160099817A KR101683754B1 KR 101683754 B1 KR101683754 B1 KR 101683754B1 KR 1020160099817 A KR1020160099817 A KR 1020160099817A KR 20160099817 A KR20160099817 A KR 20160099817A KR 101683754 B1 KR101683754 B1 KR 10168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addle
delete delete
cap
fix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승기
Original Assignee
전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승기 filed Critical 전승기
Priority to KR1020160099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7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7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5/00Walking sticks or umbrellas convertible into seats; Hunt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ck functioning as a chair, which allows a user to quickly change the stick into a chair or change the chair into the stick. According to a prefer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stick functioning as a chair, which comprises: a body part in a shape of a rod; a supporting leg part comprising multiple supporting legs which are radi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by a hinge and can be opened outwards at a predetermined angle; a lower fixing cap which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supporting leg part to combine and fix the multiple supporting legs; a saddle part comprising multiple saddle frames which are rad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by a hinge and can be opened outward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upper fixing part which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saddle part to combine and fix the multiple saddle frames.

Description

의자 겸용 지팡이 {Cane-chair}Cane-chair

본 발명은 의자 겸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팡이의 상부에 내측으로 구비된 안장부와 지팡이의 하부에 내측으로 구비된 지지다리가 각각 외측으로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지팡이에서 의자로 또는 의자에서 지팡이로 신속하게 전환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겸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e combined with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ne having a chair and a support leg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cane and a support leg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ca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use stick capable of quickly switching from a chair to a cane.

노약자나 등산객들이 주로 이용하는 지팡이는 보행 및 산행시 가볍고 편리하게 소지하면서도, 안정한 보행 또는 산행을 도와줄 수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The cane, which is mainly used by the elderly or mountain climbers, is widely used because it can support stable walking or hiking while having a light and convenient walking and walking.

보행 또는 산행 중 잠시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착석 가능한 의자를 필요로 하지만, 지팡이와 별도로 의자를 소지하기는 매우 불편하며, 단지 지팡이에 기대서 쉼을 취하는 경우 넘어질 우려가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take a break while taking a walk or hiking, a chair that can be seated is required. However, it is very inconvenient to have a chair separate from the staff, and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staff is rested on the staff,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의자로서의 기능과 지팡이로서의 기능을 하나로 접목하는 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many techniques for combining the function as a chair and the function as a staff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종래 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76451호의 "의자 겸용 지팡이"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제 1지지봉과; 양쪽단부에 고무캡이 결합된 제 2, 3지지봉과; 원판형태로 등분 분할된 위치에 다수의 결합공이 관통되고, 각각의 결합공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도록 이루어진 연결구와; 세모서리부위 중 일측 모서리부위에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나머지 모서리부위에는 저면에 포켓부가 형성된 좌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행을 도모하기 위한 지팡이와 착석을 위한 의자로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there is a "chair combination cane " of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76451. The prior art includes a first support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handle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Second and third support rods having rubber caps attached to both ends thereof; A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penetrating at a position equally divided in the form of a disk, and a fixing screw being fastened to each coupling hole; Since the fitting hole is formed at one corner of the three corner portions and the seat portion having a pocket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other corner portion, the cane for walking and the chair for seating can be used together.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지팡이와 의자가 단순히 결합된 구조를 가지므로, 지팡이가 무겁고 부피가 커서 상시 휴대하거나 보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안장으로서 역할을 하는 좌판 등이 외부로 드러나 있어서, 안장부위가 쉽게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ane and the chair are simply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cane is heavy and bulky, making it difficult to carry or store at all time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seat plate or the like serving as a saddle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addle portion may be easily contaminated.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9955호의 "보행기 및 의자로도 사용되는 트랜스포머 지팡이"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의자로서 이용될 수 있는 부분이 몸체 내부로 절첩될 수 있어 외관상 지팡이의 형태를 가지며 쉽게 의자로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점이 있으나,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등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우므로 보행 또는 산행을 위한 지팡이로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is the "Transformer cane used as a walker and chair " of Korean Patent No. 10-1439955.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an advantage that a part which can be used as a chair can be folded into the body, and thus has the shape of a cane and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a chair. However, , And it is difficult to use it as a walking stick for walking or hiking because it is heavy.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팡이의 상부에 내측으로 절첩되어 구비된 안장부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펼쳐지고, 지팡이의 하부에 내측으로 절첩되어 구비된 지지다리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의자 겸용 지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ddle portion folded inwardly on an upper portion of a cane easily spread outwardly, So as to unfold the chair.

또한, 본 발명은 안장부 및 지지다리가 신속하게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으며, 지팡이 몸체에 각각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겸용 지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r-and-stick staff capable of quickly unfolding or collapsing the undergarment and the support legs, respectively, and being firmly coupled to the can body.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봉 형상의 몸체부; 복수의 지지다리가 방사상으로 상기 몸체부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으로 일정 각도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다리부; 상기 지지다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각 지지다리를 모아진 채로 고정하는 하부고정캡; 복수의 안장살이 방사상으로 상기 몸체부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 수평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장부; 및 상기 안장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각 안장살을 모아진 채로 고정하는 상부고정캡; 을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지팡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r-shaped body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leg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in a radial direction so as to be opened at an angle to the outside; A lower fixed cap selectively coupled to the support legs to fix the respective support legs together; A plurality of saddle-stitche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in a radi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be opened in an outer horizontal direction; And an upper fixed cap sel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saddle to hold the saddle fingers together while collecting the saddle fingers; And a chair-type cane is provided.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고정캡 상부에는 손잡이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fixed cap.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다리부의 하부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캡은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다리부의 하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각 지지다리가 모아진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support leg portion, and the lower fixed cap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its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ed and scre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leg portion, And each of the support legs can be fixed in a gathered state.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고정캡을 지지다리부 하부와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하부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fixed cap is screw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leg and slidably moved upward, so that the lower fixed cap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고정캡은 안장살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몸체부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ixed cap is a tubular shape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so that the upper fixed cap is provided inside the saddle.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고정캡의 상부에는 측면으로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fixed cap.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고정캡은 몸체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ixed cap is slidably movable toward the body portion.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상부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캡은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upper fixing cap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with a female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고정캡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외경이 확대된 확대부가 형성되어 각 안장살이 펼쳐진 상태에서 확대부의 상면이 각 안장살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fixed cap is formed with an enlarged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enlarged outwar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enlarged portion can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each saddle .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 하면 또는 확대부의 상면 중 어느 일측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손잡이부가 상부고정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 is provided at either on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or the top surface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handle is fixed to the upper fixed cap by a magnetic force.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부고정캡이 몸체부 측으로 하향 슬라이딩 이동되어 각 안장살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과,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 일측에는 상호 결합이 이뤄지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ixed cap is slid downward to the body portion side and each saddle stitch is unfolded, And a coupling means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to allow mutual coupling.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손잡이부와 몸체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와 몸체부 사이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can be varied in a state where the handle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re engaged, do.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다리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다리의 사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하며, 상기 지지다리의 벌림각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절첩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leg part further comprises a folded connection part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to each other and configured to limit an opening angle of the support leg .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다리부에는 상기 하부고정캡의 고정을 해제하면 탄성에 의해 각 지지다리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leg further includes elastic means for releasing the support legs outwardly by elasticity when the lower fixed cap is unfastened.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지팡이로 사용시 의자로서 사용되는 부분이 지팡이 내측으로 절첩되어 구비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외관상 지팡이 형상을 가지며, 지팡이로 사용시 이동, 보관이 편리하고, 사용자의 보행을 안정적으로 보조하는 지팡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First, when the cane is used as a chair, the cane can be folded inside the cane so that the cane can be easily moved and stored when the cane is used, and the cane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user .

둘째, 의자로 사용시 안장부 및 지지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의자로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Secondly, when the chair is used as a chair, the seat and the support leg can be firmly fixed in an unfolded state, so that the chair can be stably used as a chair.

셋째, 지팡이에서 의자로 또는 의자에서 지팡이로 신속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ir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quickly switched from a cane to a chair or from a chair to a cane.

넷째, 지팡이 또는 의자로 각각 사용시 각각의 용도에 최적화된 컴팩트한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re is an effect that a cane or a chair can be used while maintaining a compact shape optimized for each use when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의 의자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의 하부측의 절첩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의 상부측의 절첩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 측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 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의 상부측의 절첩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의 상부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의 상부측의 절첩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and-stick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like stick of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a lower side of a chair-and-stick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the upper side of a chair-and-pinion walk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portion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the upper side of a chair-and-stick c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upper side perspective view of a chair-w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the upper side of the chair-and-stick c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의 의자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and-stick ca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like chai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의 하부측의 절첩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의 상부측의 절첩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the lower side of the chair-and-pin ca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는, 봉 형상의 몸체부(10), 몸체부(10) 하단에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다리부(20) 및 몸체부(10) 상단에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안장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다리부(2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하부고정캡(30) 및 상기 안장부(4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상부고정캡(50)을 더 포함하여 이뤄진다.A chai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d-like body 10, a support leg 20 foldable on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 lower fixing cap 30 for maintaining the folded state of the support legs 20 and a lower fixing cap 30 for holding the folded state of the support legs 20, Further comprising a fixed cap (50).

상기 지지다리부(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를 의자로서 이용하는 경우 의자의 다리측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례로, 복수의 지지다리(21)가 방사상으로 상기 몸체부(10)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으로 일정 각도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leg portion 20 corresponds to the leg side of the chair when the chair-use ca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hair. For example, a plurality of support legs 21 radially And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so as to be widened outward at an angle.

상기 지지다리부(20)는 적어도 2 이상의 지지다리(21)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각각의 지지다리(21)는 사각 또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봉으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지지다리(21)가 지지다리 힌지(22)에 의해 몸체부(10) 하단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legs 20 include at least two support legs 21, and each support leg 21 can be a rod having a rectangular or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support leg portion 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four support legs 21 ar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by a support leg hinge 22, as shown in FIG.

상기 하부고정캡(30)은 상기 지지다리부(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각 지지다리(21)를 모아진 채로 고정한다.The lower fixing cap 30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support legs 20 to fix the support legs 21 together.

일례로, 상기 하부고정캡(30)은 버튼식 잠금 수단, 회전식 잠금 수단, 버클 고정 수단, 나사 결합수단 등 다양한 공지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다리부(20)의 외측 적어도 일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고정캡(30)이 상기 지지다리부(20)와 분리되는 등 결합이 해제되면 각 지지다리(21)가 펼쳐지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the lower fixed cap 30 may be coupl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leg 20 by various known fastening means such as a button locking means, a rotary locking means, a buckle fastening means, When the lower fixing cap 3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leg 20 and the coupling is released, the supporting legs 21 are unfolded.

일례로, 상기 하부고정캡(30)은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예, 원통, 다각통)으로 이뤄지며, 상기 하부고정캡(30)의 내주면에 암나사산(3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부(20)의 하부 외측에는 나사산(23)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다리부(20)의 하부에 하부고정캡(30)이 나사결합됨으로써 각 지지다리(21)가 모아진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wer fixed cap 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 cylindrical shape, a polygonal shape) having open upper and lower portions, an female thread 32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fixed cap 30, A thread 23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20 so that the lower fixing cap 30 is screw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leg part 20 to fix the supporting legs 21 in a gathered state .

상기 몸체부(10)의 하부 외측에도 상기 하부고정캡(30)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13)이 형성될 수 있다.A screw thread 1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so as to be screwed with the lower fixed cap 30.

상기 하부고정캡(30)은 지지다리부(20) 하부와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몸체부(10)의 하부에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The lower fixing cap 30 is disengag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leg 20 and slidably moved upward to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부연하면, 지팡이로서 이용시 상기 하부고정캡(30)을 지지다리부(20)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지지다리부(20) 하부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23)에 나사결합하는 경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다리부(20)의 각각의 지지다리(21)가 접혀진 상태로 고정이 이뤄질 수 있다.3 (a) and 3 (b), when the lower fixing cap 30 is sli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leg 20 and is screwed to the thread 23 formed out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leg 20, , Each of the support legs 21 of the support leg portion 20 can be fixed in a folded state.

또한, 의자로서 이용시 먼저 상기 하부고정캡(30)을 상기 지지다리부(20) 하부로부터 나사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고정캡(30)을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지지다리(21)를 펼치는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다리(21)가 지지다리 힌지(2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하부고정캡(30)을 몸체부(10)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13)에 나사결합하는 경우 상기 하부고정캡(3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lower fixing cap 30 is slid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leg 20 in a state of being used as a chair, the lower fixing cap 30 is slid or moved upward, The respective support legs 21 are pivoted about the support leg hinges 22 and unfolded as shown in Fig. 3 (b). At this time, when the lower fixing cap 30 is screwed to the thread 13 form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body 10, the lower fixing cap 30 can be fixed without moving.

상기 지지다리부(20)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23) 상부의 지름은, 하부고정캡(30)이 몸체부(10)의 하부와 지지다리부(20)의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고정캡(30)의 내경보다 작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thread 23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leg portion 20 is adjusted by the lower fixed cap 30 so that the lower fixed cap 30 is slidabl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leg portion 2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tube (30).

상기 하부고정캡(30)은, 다른 예로, 상기 지지다리부(20)의 하부 외측과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로 결합이 해제(예, 나사결합이 풀림)되면서 지지다리부(20)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lower fixing cap 3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ower fixing cap 3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leg 20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lower outer side of the support leg 20 .

이 경우, 상기 하부고정캡(30)의 일측에는 연결선(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선(미도시)은 상기 몸체부(10)와 하부고정캡(30)의 사이를 연결하여 하부고정캡(30)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a connection lin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fixed cap 30, and the connection line (not shown) connects the body 10 and the lower fixed cap 30 Thereby preventing the lower fixing cap 30 from being los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다리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지지다리(21)의 사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하는 절첩연결부(24)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3, the supporting leg portion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old connecting portion 24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legs 21 .

상기 절첩연결부(24)는 지지다리(21)의 벌림각을 제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다리(21)가 일정한 각도만큼만 벌어지면서 펼쳐지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지지다리부(20)의 펼침 상태에서의 고정이 이뤄지게 된다.The folding connection portion 24 is formed so as to limit the opening angle of the support leg 21 so that the support leg 21 is extended and spreads only at a predetermined angle. .

상기 절첩연결부(24)는 지지다리(21)가 몸체부(10)측으로 접혀질 때 함께 접혀지도록 구성된다.The folded connection portion 24 is configured to be folded together when the support legs 21 are folded toward the body portion 10 s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다리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수단(25)을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으며, 상기 탄성수단(25)은 상기 하부고정캡(30)의 고정을 해제하면 탄성에 의해 각 지지다리(21)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지지다리(21)가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leg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ans 25 as shown in FIG. 3, 30, the support legs 21 can be opened outward by elasticity so that the support legs 21 can be automatically opened.

일례로, 상기 탄성수단(2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다리(21)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지지다리(21)를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써 지지다리(21)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3, the elastic means 25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legs 21 and pushes the support legs 21 outward by elasticity so that the support legs 21 are widened outwardly Lt; / RTI >

다른 예로, 상기 탄성수단(25)은 지지다리(21)와 몸체부(10)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지지다리(21)를 외측으로 당김으로써 지지다리(21)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elastic means 2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legs 21 and the body portion 10 so that the support legs 21 are pulled outward by elasticity so that the support legs 21 are opened outwardly It is possible.

상기 지지다리부(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를 지팡이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도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펼쳐진 지지다리부(20)에 의해 지팡이로 짚는 위치에서의 안정적인 지지 및/또는 의자 겸용 지팡이(1)가 세워진 상태에서 보관이 이뤄질 수 있다.The supporting leg portion 20 may maintain the unfolded state even when the chair-like walking stick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taff. In this case, Stable support in the position and / or storage in the standing position of the chair-wand 1 can be achieved.

상기 안장부(4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를 의자로서 이용하는 경우, 안장살(41)이 펼쳐져 의자의 안장측에 해당되는 것으로, 2 이상의 안장살(41)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When the chair 1 is used as a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ddle 40 is extended to the saddle side of the chair, and two or more saddle fingers 41 ).

상기 안장부(4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장살(41)이 방사상으로 상기 몸체부(10)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 수평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2 and 4, the saddle 40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saddle fingers 41 are radially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so as to be opened in an outer horizontal direction .

본 발명의 각각의 단면도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2개의 안장살(41)로 표현하였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개 이상의 안장살(41)이 촘촘히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each of the sectional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wo saddle fingers 41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s shown in FIG. 2, more than ten saddle fingers 41 may be arranged closely.

상기 안장살(41)이 촘촘히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둔부가 각각의 안장살(41) 사이의 틈으로 빠지지 않게 되며, 의자 겸용 지팡이(1) 내측에 수납되도록 가는 막대 형상으로 이뤄지는 안장살(41)이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When the saddle stitches 41 are closely arranged, the saddle stitch 41 (see FIG. 1), which is formed in a bar shape so that the buttocks of the user do not fall into the gap between the respective saddle stitches 41 and is stored inside the chair- ) Can be reliably support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장부(40)는, 외측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안장살(41)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전체적으로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장시트(43)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The sea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addle seat 43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addle fence 41 opened in an outer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as a whol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안장시트(43)는 상기 안장살(41)과 더불어 의자 겸용 지팡이(1) 내측에 수납될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안장살(41)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saddle seat 43 may be housed inside the saddle stitching stick 1 together with the saddle stitching 41, or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attached to the saddle stitching 41.

상기 상부고정캡(50)은 상기 안장부(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각 안장살(41)을 모아진 채로 고정한다.The upper fixing cap 50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seat 40 to fix the saddle 41 together.

일례로, 상기 상부고정캡(50)은 안장살(41)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몸체부(10)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통 형상(예, 원통, 다각통)으로 이뤄진다.For example, the upper fixed cap 5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 cylindr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so that the saddle 41 is disposed inside.

상기 상부고정캡(50)은 상기 안장부(40) 외측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지팡이로 사용시 안장부(4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하여 상기 안장부(40)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fixing cap 50 may be configured to enclose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inner side 40. When the upper side fixing cap 50 is used as a cane, the upper side fixing cap 50 may be configured to entirely cover the inner side 40, Lt; / RTI >

일례로, 상기 상부고정캡(50)은 버튼식 잠금 수단, 회전식 잠금 수단, 버클 고정 수단, 나사 결합수단 등 다양한 공지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의 외측 적어도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stationary cap 50 may be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body 10 by a variety of known fastening means, such as a button-type locking means, a rotary locking means, a buckle fastening means,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고정캡(50)은 몸체부(1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고정캡(50)의 상부가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몸체부(10) 일측으로 이동하면 각각의 안장살(41)이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고정캡(50)의 상부가 상기 안장살(41)의 적어도 일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fixing cap 50 can be slidably moved toward the body 1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cap 50 slides downward and the body 10 ), The saddle fingers 41 are configured to be unfolded. In this case,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cap 5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t least a part of the saddle fingers 41 from below.

일례로,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외측에는 나사산(15)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캡(50)은 내주면에 암나사산(52)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외주면에 나사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For example, a thread 15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 and a female thread 5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art fixing cap 50, Bonding can be accomplished.

상기 상부고정캡(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암나사산(52a, 52b)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고정캡(50)의 내주면 하측에 형성된 암나사산(52b)과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5) 사이의 나사결합을 해제하고, 상부고정캡(50)을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부고정캡(50)의 내주면 상측에 형성된 암나사산(52a)과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5) 사이의 나사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4, the upper fixed cap 50 may be formed with female threads 52a and 52b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emale threads 52a and 52b formed o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fixed cap 50 52b of the upper fixing cap 50 and the thread 15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so as to slide the upper fixing cap 50 downward, A threaded connection between the thread 52a and the thread 15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can be achieved.

상기 상부고정캡(50)의 내경은 몸체부(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부고정캡(50)이 몸체부(10) 외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10)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15) 하부의 지름은, 상부고정캡(50)이 몸체부(10)의 상부를 포함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고정캡(50)의 내경보다 작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fixing cap 5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0 so that the upper fixing cap 50 is slidable up an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10. The body 10, The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w thread 15 formed on the upper portion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fixing cap 50 so that the upper fixing cap 50 can slide up and down inclu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Do.

일례로, 상기 상부고정캡(5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외경이 확대된 확대부(54)가 형성된다.For example,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fixing cap 50, an enlarged portion 54 whose outer diameter is enlarged is formed.

상기 확대부(54)는 각각의 안장살(41)이 펼쳐진 상태에서 확대부(54)의 상면이 각 안장살(4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확대부(54)에 의해 안장살(41)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하중이 상당부분 확대부(54)로 집중되어 안장살(4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nlarged portion 5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enlarged portion 54 can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each saddle flesh 41 in a state in which the respective saddle fingers 41 are unfolded, The saddle stalk 41 can be stably supported and the load of the user can be concentrated on the enlarged portion 54 to prevent the saddle stalk 41 from being b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는, 손잡이부(6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60)는 상기 상부고정캡(50)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chair combination sti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rip portion 60. The grip portion 6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ixed cap 50. [

상기 손잡이부(60)는 사용자가 지팡이의 손잡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관통 형성된 상부고정캡(50)의 상단이 상기 상부고정캡(50)과 결합되는 손잡이부(60)에 의해 폐쇄되어 안장살(4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andle 60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handle as a handle of the staff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fixing cap 50 is closed by the handle 60 coupled with the upper fixing cap 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esh 4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손잡이부(6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를 의자로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완만한 곡면의 상부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파지가 용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handle 60 can be configured to have a gently curved upper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sit comfortably when using the chair-w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hair, At least part of which protrudes outward and can be configured to be easy to grasp.

상기 손잡이부(60)는 상부고정캡(50)이 몸체부(10) 측으로 하향 슬라이딩 이동되어 각 안장살(41)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60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ixed cap 50 is slid downward to the body portion 10 side so that the saddle- have.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손잡이부(60)의 하부 일측에는 상호 결합이 이뤄지도록 하는 결합수단(80)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handle part 60 may be provided with coupling means 80 for mutual coupling.

일례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80)은 상기 몸체부(10)의 상면에 내측으로 형성되는 암나사산(80b)과 상기 손잡이부(60)의 하부에 외측으로 형성되는 나사산(80a)을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4 (a), the coupling means 80 includes a female thread 80b formed inward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a female thread 80b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knob 60 And an outer formed thread 80a.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살(41)이 외측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후 상기 손잡이부(60)를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부(60)의 하부가 몸체부(10)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안장살(41)이 손잡이부(60)와 상부고정캡(5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4 (c), after the saddle fingers 41 are unfolded in the outer horizontal direction, the knob portion 60 is rotate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knob portion 60 is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body portion 10 The saddle 41 can be firmly fixed between the grip portion 60 and the upper fixing cap 50. In addition,

이하 도 4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를 의자로서 이용하기 위한 안장부(40)의 펼침과정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a description will now be made of a process of unfolding the seat 40 to use the chair-w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hai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를 의자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지팡이 상태(도 4의 (a)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60)를 상측으로 분리하고, 상부고정캡(50)의 하측과 몸체부(10) 상측의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상부고정캡(50)을 하부로 몸체부(10)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In order to use the chair-wand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hair, the handle portion 60 is separated upward in the cane state (state (a) of Fig. 4) 50 and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10 to release the upper fixing cap 50 from sli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10 side.

다음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캡(50)을 회전시켜 상부고정캡(50)의 상측과 몸체부(10) 상측의 나사결합이 이뤄지며, 안장살(41)이 안장살 힌지(4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의자 겸용 지팡이(1)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진 후 손잡이부(60)를 결합수단(80)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에 결합시킴으로써 안장부(40)의 펼침이 완료된다(도 4의 (c) 상태).4 (b), the upper fixing cap 50 is rotated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ixing cap 50 is screw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saddle fingers 41 The saddle hinge 42 is rotated around the saddle hinge 42 so as to be radially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the chair-wand 1 and then the knob portion 60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 by the engaging means 80, (Fig. 4 (c)).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를 지팡이로서 이용하기 위한 상기 안장부(40)의 접힘과정은 펼침과정의 역순으로 이뤄지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olding process of the safety part 40 for using the chair-w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aff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folding process,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60) 측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60) 측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는, 상기 손잡이부(60) 하면 또는 확대부(54)의 상면 중 어느 일측에 자석(72)이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손잡이부(60)가 상부고정캡(5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A chai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agnet 72 is provided on either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6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enlarged portion 54, Is fixed to the upper fixed cap (50).

상기 손잡이부(60)와 상부고정캡(50)은 자력결합수단(70)에 의해 상호 결합이 이뤄질 수 있으며,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60) 하면에 구비된 철판(74)과 상기 확대부(54)의 상면에 구비된 자석(72)이 자력에 의해 상호 밀착, 고정이 이뤄질 수 있다.The grip portion 60 and the upper fixed cap 5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coupling means 7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iron plate 74 and the magnets 7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ifying portion 54 can be closely contacted and fixed by a magnetic force.

일례로, 상기 철판(74) 및 자석(72)은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6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자석(72)과 철판(7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손잡이부(6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ron plate 74 and the magnets 72 may be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iron plates 74 and the magnets 72 are uniformly spaced from each other. When the handle 6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grip portion 60 can be easily separated.

다른 예로, 상기 상부고정캡(50)을 한 손으로 고정하고 손잡이부(60)를 다른 손으로 파지하여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손잡이부(60)를 상부고정캡(5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detach the handle 60 from the upper fixing cap 50 by fixing the upper fixing cap 50 with one hand and grasping the handle 60 with the other hand and pulling the handle 60 upward .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의 상부측의 절첩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the upper side of the chair-and-stick can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80)은, 상기 손잡이부(60)와 몸체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60)와 몸체부(10) 사이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engaging means 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 portion 60 and the body portion 10 is varied in a state where the grip portion 60 and the body portion 10 are engaged The length of which can be adjusted.

일례로, 상기 결합수단(80)은 공지의 다단으로 이뤄진 길이조절 봉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60)와 몸체부(10) 사이가 길이조절 봉으로 상호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For exampl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upling means 80 includes a known multi-stage length-adjusting rod,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knob 60 and the body 10 can be made with a length- have.

상기 결합수단(80)은 손잡이부(60)가 의자 겸용 지팡이(1)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사용자에 맞도록 의자 겸용 지팡이(1)의 길이 조절이 이뤄질 수 있으며, 손잡이부(60)가 몸체부(1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다.The joining means 80 prevents the knob portion 6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hair-wand 1 and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while the length of the chair-wand 1 can be adjusted to suit the user, 60 are easily fixed to the body 10.

일례로, 상기 손잡이부(6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손잡이부(60)와 몸체부(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하면 상기 상부고정캡(50)의 슬라이딩 이동 및 안장살(41)의 펼침이 이뤄질 수 있으며, 안장살(41)이 펼쳐진 후 다시 손잡이부(60)를 몸체부(10) 측으로 밀면 손잡이부(60)와 몸체부(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자연스럽게 손잡이부(60)의 하면과 상부고정캡(50)의 상면 사이에 안장살(41)이 위치한 상태에서 손잡이부(60)의 고정이 이뤄지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handle portion 60 is moved upward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 portion 60 and the body portion 10, the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fixed cap 50 and the disengagement of the saddle- And when the grip portion 60 is again pushed toward the body portion 10 after the saddle stitch 41 is unfolded,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 portion 60 and the body portion 10 becomes close to each other, The grip portion 60 is fixed while the saddle 41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cap 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cap 50. [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의 상부측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의 상부측의 절첩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8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chai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a top side of a chai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는, 상기 상부고정캡(50)의 상부에 측면으로 손잡이부(6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chair-wand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andle 6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ixing cap 50 on the side.

일례로, 상기 손잡이부(60)는 상부고정캡(50)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60)와 상부고정캡(50)이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andle 6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fixing cap 50 to move the knob 60 and the upper fixing cap 50 simultaneously.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60)를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부고정캡(50)이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전술한 손잡이부(60)의 분리 또는 손잡이부(60)의 타측으로의 이동 과정이 생략된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when the pull tab 60 is slid downward, the upper fixed cap 50 slides simultaneously, so that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ull tab 60 or moving the pull tab 60 to the other side is omitted .

즉, 손잡이부(60)가 분리되지 않더라도 상부고정캡(50)을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부고정캡(50)의 개구부(51)를 통해 상기 안장살(41)이 점점 외부로 드러나게 되며, 안장살(41)이 외측 수평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That is, if the upper fixing cap 50 is slid downward even if the knob 60 is not separated, the saddle 41 is gradu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51 of the upper fixing cap 50, The saddle fence 41 can be unfolded in the outer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상부고정캡(50)은 상기 개구부(51)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개구부(51)를 덮는 커버(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upper fixing cap 5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not shown) covering the opening 51 so that the opening 51 is block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지팡이(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살(41)이 외측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손잡이부(60)가 안장살(4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9, the handle portion 60 of the saddle stitch 41 is folded in a state in which the saddle stitching 41 is spread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60)가 사용자의 둔부에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손잡이부(60)의 형태를 파지가 용이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grip portion 60 does not contact the user's buttocks, the shape of the grip portion 60 can be variously configured to facilitate gripping.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60)가 결합된 상부고정캡(50)은 적어도 상측과 하측에 결합공(8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82)이 몸체부(10)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 탄성 결합돌기(16)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부고정캡(50)과 몸체부(10)의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upper fixing cap 50 to which the handle 60 is coupled may have a coupling hole 82 formed at least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The upper fixing cap 50 and the body 10 may be coupled with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fixing cap 50 and the body 10 are fitted to the elastic coupling protrusions 16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

일례로, 상기 상부고정캡(5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결합공(82)이 몸체부(10)의 탄성 결합돌기(16)와 결합되면, 상부고정캡(50)의 내측에 안장살(41)이 수납된 형태로 상부고정캡(50)이 고정되므로 상기 의자 겸용 지팡이(1)를 지팡이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coupling hole 82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ixing cap 50 is engaged with the elastic coupling projection 16 of the body 10, a saddle 41 So that the chair 1 can be used as a staff member.

또한, 상기 상부고정캡(5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공(82)이 몸체부(10)의 탄성 결합돌기(16)와 결합되면, 상기 안장살(41)이 외측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상부고정캡(50)이 고정되므로 상기 의자 겸용 지팡이(1)를 의자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engaging hole 82 formed on the upper fixing cap 50 is engaged with the elastic engaging projection 16 of the body 10, the saddle 41 is stretched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upper fixed cap 50 is fixed, so that the chair-use cane 1 can be used as a chair.

상기 탄성 결합돌기(16)의 일측 결합공(82)과의 결합 해제 및 타측 결합공(82)과의 결합은 탄성 결합돌기(16)를 몸체부(10)의 중심측 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상부고정캡(50)을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이뤄진다.The engagement release of the elastic engagement protrusion 16 with the one engagement hole 82 and the engagement with the other engagement hole 82 are achieved by pressing the elastic engagement protrusion 16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ody 10, The upper fixing cap 50 is slidably m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embodiments are also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의자 겸용 지팡이
10: 몸체부 20: 지지다리부
21: 지지다리 22: 지지다리 힌지
24: 절첩연결부 25: 탄성수단
30: 하부고정캡 40: 안장부
41: 안장살 42: 안장살 힌지
50: 상부고정캡 54: 확대부
60: 손잡이부 72: 자석
80: 결합수단
1: Combination chair
10: body portion 20: support leg
21: support leg 22: support leg hinge
24: folding connection 25: elastic means
30: Lower fixed cap 40: Notched portion
41: Saddle of the flesh 42: Saddle of the hinge
50: upper fixing cap 54: enlarged portion
60: handle 72: magnet
80: coupling means

Claims (14)

봉 형상으로, 상부 외측과 하부 외측에 각각 나사산(15, 13)이 형성된 몸체부(10);
복수의 지지다리(21)가 방사상으로 상기 몸체부(10)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으로 일정 각도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부 외측에 나사산(23)이 형성된 지지다리부(20);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내주면에 암나사산(32)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다리부(20)의 하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각 지지다리(21)를 모아진 채로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지지다리부(20) 하부와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상부로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몸체부(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하부고정캡(30);
복수의 안장살(41)이 방사상으로 상기 몸체부(10)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 수평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장부(40);
상기 각 안장살(41)이 내부에 모아진 채로 고정되도록 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10)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되, 몸체부(1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부고정캡(50); 및
상기 상부고정캡(50)의 상부에 측면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고정캡(50)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손잡이부(60);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상부고정캡(50)의 상부가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몸체부(10) 일측으로 이동하면 각각의 안장살(41)이 펼쳐지고, 상기 상부고정캡(50)은 내주면에 암나사산(52)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상부고정캡(50)의 상부가 상기 안장살(41)의 적어도 일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지팡이.
A body portion 10 having a rod shape and having threads 15 and 13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outer side of the lower portion, respectively;
A support leg 20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21 radially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so as to be widened outward at an angle and having threads 23 on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legs 21;
And a female thread 3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so as to be scre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leg 20 to fix the support legs 21 together. A lower fixing cap 30 selectively engageable with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by unscrew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0 and sliding it upward;
A saddle 40 configured to be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radially so that a plurality of saddle fingers 41 can be opened in an outer horizontal direction;
And an upper fixed cap 50 (not shown) which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10 and is slidable toward the body part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fix the saddle- ); And
And a handle 60 integral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cap 50 so as to be slidable in concert with the upper fixing cap 50,
Each of the saddle fingers 41 is opened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ixed cap 50 slides downward and moves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The upper fixed cap 50 has a female thread 52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the top of the upper fixing cap (50) is configured to support at least a part of the saddle stitch (41) from the lower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지지다리부(20)는 상기 복수의 지지다리(21)의 사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하며, 상기 지지다리(21)의 벌림각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절첩연결부(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ing leg portion 20 further includes a fold connecting portion 24 connect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legs 21 and limiting the opening angle of the supporting legs 21 A combination of a chair and a cane.
제1항에서,
상기 지지다리부(20)에는 상기 하부고정캡(30)의 고정을 해제하면 탄성에 의해 각 지지다리(21)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25)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leg portion 20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ans 25 for allowing the support legs 21 to extend outward by elasticity when the lower fixed cap 30 is unfastened. Chair combination arm.
KR1020160099817A 2016-08-05 2016-08-05 Cane-chair KR101683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17A KR101683754B1 (en) 2016-08-05 2016-08-05 Cane-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17A KR101683754B1 (en) 2016-08-05 2016-08-05 Cane-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754B1 true KR101683754B1 (en) 2016-12-07

Family

ID=5757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817A KR101683754B1 (en) 2016-08-05 2016-08-05 Cane-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75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440A1 (en) * 2019-10-07 2021-04-15 Niko Stefan Folding stool with rotatable folding reinforced seat and adjustable height
CN112890392A (en) * 2021-03-25 2021-06-04 珠海中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Walking stick with hidden seat
KR102385413B1 (en) * 2020-12-14 2022-04-12 장주하 Cane for the handicapped to stan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2955A (en) * 1951-01-13 1956-04-24 Richard A Dominguez Collapsible seat structure
JP2003061721A (en) * 2001-08-27 2003-03-04 Sashida Yoshio Stick doubling as portable chair
JP2008253637A (en) * 2007-04-09 2008-10-23 Oshima Kenichiro Stick with chair function
JP2010279627A (en) * 2009-06-06 2010-12-16 Mutsumi Giken Kk Stick also serving as 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2955A (en) * 1951-01-13 1956-04-24 Richard A Dominguez Collapsible seat structure
JP2003061721A (en) * 2001-08-27 2003-03-04 Sashida Yoshio Stick doubling as portable chair
JP2008253637A (en) * 2007-04-09 2008-10-23 Oshima Kenichiro Stick with chair function
JP2010279627A (en) * 2009-06-06 2010-12-16 Mutsumi Giken Kk Stick also serving as chai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440A1 (en) * 2019-10-07 2021-04-15 Niko Stefan Folding stool with rotatable folding reinforced seat and adjustable height
KR102385413B1 (en) * 2020-12-14 2022-04-12 장주하 Cane for the handicapped to stand
CN112890392A (en) * 2021-03-25 2021-06-04 珠海中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Walking stick with hidden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754B1 (en) Cane-chair
US7219679B2 (en) Dual-purpose cane
US7740308B2 (en) Portable stool
US8091748B2 (en) Dressing aid
KR101433339B1 (en) Stick
CN208659841U (en) A kind of multi-function walking stick
JP2006334185A (en) Walking stick used as crutch, stool and carrier
JP3623931B2 (en) Portable chair / cane
JP4768887B1 (en) Umbrella holder belt
JP2004344609A (en) Portable walking stick used as chair
KR200437589Y1 (en) Portable walker
KR101796577B1 (en) Stick having a foldable chair
CN214511832U (en) Multipurpose walking stick
KR101363093B1 (en) Umbrella assembly
JP3165458U (en) Holders for canes, walking sticks, etc.
KR20130104730A (en) Foldable stick capable of adjusting length
KR101480922B1 (en) An artificial leg for disabled person
JP6633799B1 (en) One piece holder of cane and umbrella
CN210988579U (en) Multifunctional walking stick
TWM518904U (en) Reverse walking-stick umbrella
TWI638618B (en) Simple crutches
KR20170141482A (en) Folding type chair
TWM629979U (en) Walking stick umbrella
CN206137654U (en) Quick folding portable bench
CN106037313A (en) Fast-folding portable 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