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478B1 - Smart nappy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nappy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478B1
KR101682478B1 KR1020140186488A KR20140186488A KR101682478B1 KR 101682478 B1 KR101682478 B1 KR 101682478B1 KR 1020140186488 A KR1020140186488 A KR 1020140186488A KR 20140186488 A KR20140186488 A KR 20140186488A KR 101682478 B1 KR101682478 B1 KR 101682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ensor
management
diap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4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77373A (en
Inventor
박성섭
황도성
Original Assignee
황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도성 filed Critical 황도성
Priority to KR1020140186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478B1/en
Publication of KR2016007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3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4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저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저귀의 일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착용 단말 본체와, 상기 착용 단말 본체 내부에 내장되어 소변 및 대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모듈; 및 상기 송신모듈을 제어하는 착용 단말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착용 단말부와; 상기 송신모듈에서 송출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에서 수신된 감지정보를 저장 처리하는 관리 단말 제어모듈과, 상기 관리 단말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관리자에게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알람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 내지 알람모듈이 내장된 관리 단말 본체를 포함하는 관리 단말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대소변 유무를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받아 변동 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관리가 수월하며, 대소변 유무뿐만 아니라, 발생 시기, 회수, 주기 등과 같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와 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대변감지센서의 경우 대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비접촉식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부식 및 고장의 위험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a wearable terminal body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a diaper, a sensor module embedded in the wearable terminal body to detect whether urine and feces are present, A transmiss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a wearable terminal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module; A management terminal control module for stor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eption module, and an alarm for sending an alarm signal to the manager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 module; And a management terminal unit including a management terminal unit having the reception module and the alarm module built therein.
The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ceiv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small or large dementia of the demented elderly, intensive care unit, infant or newborn infant wirelessly through the terminal, displaying the change status and displaying the change status, The same information can be used as a database to check the health condition of a patient by using the same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stool sensor, the risk of corrosion and breakdown can be remarkably reduced by applying a non-contact sensor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the stool .

Description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Smart nappy management system}[0001] Smart nappy management system [0002]

본 발명은 스마트 기저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의 대소변 유무를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함으로써 기저귀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기저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mented elderly person, an intensive care person, and a baby, .

일반적으로 용변을 스스로 처리하지 못하는 유아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기저귀를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의 기저귀는 배설 후 일정 시간 내에 교체하지 않으면 배설물로 인해 발진이나 습진 또는 욕창을 유발하므로 신속한 교체가 필요하다. In general, infants who are unable to handle their own personal use or who are uncomfortable to wear tend to wear diapers. If the diaper is not replac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excretion, it may cause rash, eczema, or pressure sores due to excretion.

이에 따라 유아나 환자의 보호자는 수시로 대소변 유무를 후각, 시각이나 촉각을 이용하여 확인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특히 작은 양의 배설이 있을 경우에는 쉽게 확인이 불가능하여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질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t is very inconvenient for the infant or the caregiver of the patient to check the presence / absence of the small / small feces from time to time by using the olfactory, visual or tactile sense. Especially, when there is a small amount of excretion, it is not easy to check and is not unsanitary, .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4806호에는 기저귀의 배뇨 경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배뇨 경보장치는 도전성 검출선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장되고, 검출선의 연장선이 밴드부상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탈부착단자에 연결된 구성을 갖는 기저귀와, 기저귀의 탈부착단자에 부착될 수 있도록 일단으로 형성된 탈부착단자와, 상기 탈부착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검출선의 전류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변화에 따라 배뇨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IC와, 제어IC의 제어에 따라 배뇨 경보를 스피커를 통해 멜로디로 발생시키는 멜로디IC와, 멜로디IC의 음량조절을 위한 음량조절스위치와 교체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감지장치로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74806 discloses a diaper warning system for a diaper. In the above-described urinary alarm device, a conductive detection line is embed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extension line of the detection line is connected to a detachable terminal made of a magnetic body on the band portion. The detachable terminal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etachable terminal of the diaper A control IC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urination has occurr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curren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IC for controlling the urination alarm to a melody And a sensing device including a battery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replaced with a volume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melody IC.

상기한 기저귀의 배뇨 경보장치는 대소변을 즉시 감지하여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검출선이 동선 또는 도전성 도료 등을 도포한 것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인체의 피부와 접촉될 경우 여전히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한계점이 있다. The above-mentioned diuretic alarm device of the diaper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immediately detect and inform the urine of the urine. However, since the detection line is coated with copper wire or conductive paint, it is still a limit point that causes skin troubles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human skin have.

또한, 금속선으로 형성된 검출선은 대소변과 반응할 경우 더욱 쉽게 산화되므로 유아나 환자의 연약한 피부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하고 기저귀 표면을 오염시키게 된다. Further, since the detection line formed of a metal wire is more easily oxidized when reacting with the feces, it causes serious adverse effects on the soft skin of the infant or patient and contaminates the surface of the diaper.

특히, 종래 검출선은 굵은 동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물감을 유발하고 쉽게 구부러지지 않아 착용감이 불량한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고가인 동선의 소요량 증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기저귀의 무게 또한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conventional detecting wire is formed of a thick copper wi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uses a foreign body feeling and does not easily bend so that the wearing feeling is poor.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opper wire, .

또한 이와 별도로, 병원의 중환자일 경우, 대소변의 횟수가 중요한 바, 이를 관리하기 위해 보호자, 간병인 또는 간호사가 수기로 소변과 대변의 횟수를 차트에 일일이 체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Separately, in the case of a critical patient in a hospital, the number of times of feces is important, and a caregiver, a caregiver or a nurse must manually check the number of times of urine and feces on the chart in order to manage it.

이렇게 소변과 대변의 횟수를 체크한 챠트를 통해 의사가 변동사항을 눈으로 보고 직접 비교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있으나, 환자의 소변과 대변 횟수를 한번에 직접 확인할 수 없어, 차트를 파악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에 따라 오진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In this way, the physician checks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urine and stools, and checks the patient's health condition. However, since the urine and stool frequency of the patient can not be confirmed at once, It takes a long ti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misdiagnosis exis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분과 직접 접촉되지 않아 부식과 고장의 염려가 적고, 관리가 용이하며, 의료용 보조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대소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base of information on feces so that there is less concern about corrosion and mal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having a structure of a smart diap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기저귀의 일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착용 단말 본체와, 상기 착용 단말 본체 내부에 내장되어 소변 및 대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모듈; 및 상기 송신모듈을 제어하는 착용 단말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착용 단말부와; 상기 송신모듈에서 송출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에서 수신된 감지정보를 저장 처리하는 관리 단말 제어모듈과, 상기 관리 단말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관리자에게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알람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 내지 알람모듈이 내장된 관리 단말 본체를 포함하는 관리 단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wearable terminal body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a diaper, a sensor module built in the wearable terminal body for detecting urine and feces, A transmiss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module; And a wearable terminal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module; A management terminal control module for stor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eption module, and an alarm for sending an alarm signal to the manager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 module; And a management terminal unit having a module and a management terminal unit having the reception module and the alarm module incorporated therein.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기저귀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소변 여부를 감지하는 소변감지센서와, 착용자의 대변 여부를 감지하는 대변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감지센서는 습도센서 또는 수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대변감지센서는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ensor module includes a urin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urine of the wearer wears the diaper, and a diape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wearer has a diaper, wherein the urine sensor includes a humidity sensor or a moisture sensor, The faecal detection sensor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gas sensor.

상기 관리 단말부에는 상기 착용 단말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송신모듈에서 송출되어 상기 수신모듈에 수신된 감지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리모듈은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수신모듈에서 수신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착용자의 대소변 시간, 횟수, 주기를 포함하는 대소변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된 데이터관리모드와, 인터넷 접속을 통해 기저귀를 주문할 수 있도록 된 주문모드 및 상기 알람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람제어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anagement terminal unit further comprises a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the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by the wearing terminal control module and received by the receiving module, A data management mode in which the user can check and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feces including the time, the number of times, and the cycle of the wearer based on the received detection information, the order mode in which the diaper can be ordered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And an alarm control mode for controlling the alarm control mode.

상기 주문모드에서는 기저귀의 구매 일자, 구매 수량, 구매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내역제공모드와, 상기 착용 단말부의 고장 발생시 인터넷 접속을 통해 고장접수 또는 문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서비스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착용 단말부에는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관리 단말부와 상기 착용 단말부는 상호 인터페이싱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리 단말부는 상기 착용 단말부에 저장된 정보를 로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der mode provides a history providing mode for providing the purchase date of the diaper, the purchase quantity,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and a service mode in which a failure acceptance or an inquiry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wearable terminal And the wearable terminal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memory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module, wherein the management terminal unit and the wearable terminal unit are configured to be interfac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can be loaded.

상기 착용 단말부는 아이의 울음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음성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모듈에서 송출되는 감지정보는 상기 음성센서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arab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voic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cry of the child, and the sens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includes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voice sensor.

상기 착용 단말부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모듈에서 송출되는 감지정보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arab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emperature, and the sens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includes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대소변 유무를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받아 변동 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관리가 수월하며, 대소변 유무뿐만 아니라, 발생 시기, 회수, 주기 등과 같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와 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ceiv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mented elderly, intensive care unit, infant, or newborn infant wirelessly through the terminal and displaying the change status to facilitate management thereof. The same information can be used as a database to check the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또한, 대변감지센서의 경우 대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비접촉식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부식 및 고장의 위험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tool sens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isk of corrosion and breakdown can be remarkably lowered by applying the non-contact type sensor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the stoo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a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착용 단말부(100)와; 관리 단말부(200);를 포함한다.1 and 2 show a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able terminal unit 100; And a management terminal unit (200).

상기 착용 단말부(100)는 착용 단말 본체(110)와, 센서모듈(120)과, 송신모듈(150)과, 착용 단말 제어모듈(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한다.The wearing terminal unit 100 includes a wearing terminal body 110, a sensor module 120, a transmitting module 150, a wearing terminal control module 130 and a memory 140.

상기 착용 단말 본체(110)는 상기 기저귀(5)의 일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착용 단말 본체(110)는 기저귀(5)에 부착시 착용자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슬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일 측에 클립 등과 같은 파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arer's main body 110 is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iaper 5. It is preferable that the wearable terminal body 110 is slimly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earer when attached to the diaper 5,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a grip portion such as a clip on one side for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상기 센서모듈(120)은 상기 착용 단말 본체(110)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소변 및 대변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소변감지센서(121)와, 대변감지센서(1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sensor module 120 is built in the wearing terminal body 110 and detects urine and feces of a wearer and includes a urine detection sensor 121 and a feces detection sensor 122 .

상기 소변감지센서(121)는 습도센서 또는 수분센서 또는 온도센서 중 적어도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소변감지센서(121)는 습도센서 또는 수분센서 또는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만 적용할 수도 있지만, 감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선택된 둘 또는 셋 모두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urine detection sensor 121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humidity sensor, a moisture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The urine detection sensor 121 may be a humidity sensor, a moisture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but it may be applied to two or three select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detection.

상기 대변감지센서(122)는 가스센서를 적용한다. 상기 대변감지센서(122)는 가스센서 또는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도 있으나, 둘 모두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가스센서는 대변에서 발생하는 가스(일 예로, 암모니아) 등을 검출함으로써 대변 감지신호를 송출한다.The faucet detection sensor 122 applies a gas sensor. The faucet detection sensor 122 may be a gas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but both of them may be applied. The gas sensor detects a gas (for example, ammonia) generated in the feces and sends the feces detection signal.

상기 송신모듈(150)은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정보 즉, 소변 유무, 대변 유무 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서 송신모듈(150)은 후술하는 수신모듈(250)과 와이파이(Wi-Fi)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transmission module 150 wirelessly transmits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120, that is, presence / absence of urine and presence / absence of presence / absence. In the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mission module 150 is configured to perform Wi-Fi communication with the reception module 250 described lat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Bluetooth or ZigBee Zigbee) may be applied.

상기 메모리(140)는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착용 단말 본체(110)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착용 단말 제어모듈(13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The memory 140 stores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20. The memory 140 is mounted inside the wearable terminal body 110 and is controlled by a wearable terminal control module 130 .

상기 착용 단말 제어모듈(130)은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정보를 받아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송신모듈(15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착용 단말 제어모듈(130)은 센서모듈(120)에서 감지정보가 수신되면, 감지정보뿐만 아니라 감지정보가 수신된 시각의 정보도 함께 메모리(140)에 저장 처리하며, 송신모듈(150)을 통해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The wearable terminal control module 130 receives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20, processes the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memory 14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module 150.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120, the wearable terminal control module 130 stores not only the sensing information but also the information of the time at which the sensing information was received in the memory 140, So as to be transmitted wirelessly.

상기 착용 단말 제어모듈(130)은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소변 여부, 대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 예로, 소변감지센서(121)로 수분센서 또는 습도센서가 적용된 경우, 수분센서 또는 습도센서에서 전송되는 전기신호가 임계치 이하이면, 소변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소변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The wearable terminal control module 13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odule 120 to determine whether urine or feces are present. For example, when the moisture sensor or the humidity sensor is applied to the urine detection sensor 121, it is determined that no urine is generated when the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isture sensor or the humidity sensor is below the threshold value. Can be determined to have occurred.

상기 착용 단말부(100)는 수신모듈(250)과, 관리 단말 제어모듈(220)과, 알람모듈(230)과, 관리 단말 본체(210)를 포함한다.The wearing terminal unit 100 includes a receiving module 250, a management terminal control module 220, an alarm module 230, and a management terminal body 210.

상기 수신모듈(250)은 상기 송신모듈(150)에서 송출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송신모듈(150)과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ceiving module 250 receives the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150 and i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tting module 150 and can perform Wi-Fi, Bluetooth or ZigBee communication.

상기 관리 단말 제어모듈(220)은 상기 수신모듈(250)에서 수신된 감지정보를 저장 처리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착용 단말 제어모듈(130)과 같이 감지정보뿐만 아니라 감지정보의 수신 시각도 함께 저장처리하도록 되어 있다.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 module 220 stores th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eption module 250 and not only the detection information but also the reception time of the detection information, .

상기 알람모듈(230)은 상기 관리 단말 제어모듈(220)의 제어에 따라 관리자에게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서,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스피커(231) 또는 진동신호를 제공하는 진동소자(232) 또는 빛을 방출하는 LED(233)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LED(233)는 상기 관리 단말부(200)를 통상적인 스마트폰으로 적용하는 경우 생략할 수 있다.The alarm module 230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manager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 module 220 and may include a speaker 231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or a vibration element 232 for providing a vibration signal, And an LED 233 that emits light, may be used. The LED 233 may be omitted when the management terminal unit 200 is applied to a general smartphone.

상기 관리 단말 본체(210)는 상기 수신모듈(250) 내지 알람모듈(230)이 내장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적용하였다.The management terminal main body 210 includes the reception module 250 to the alarm module 230. In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phone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is applied.

상기 관리 단말부(200)에는 상기 착용 단말 제어모듈(130)에 의해 상기 송신모듈(150)에서 송출되어 상기 수신모듈(250)에 수신된 감지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모듈(240)을 더 구비한다.The management terminal unit 200 further includes a management module 240 for manag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module 150 by the wearable terminal control module 130 and received by the reception module 250 do.

상기 관리모듈(240)은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수신모듈(250)에서 수신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착용자의 대소변 시간, 횟수, 주기를 포함하는 대소변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된 데이터관리모드와, 인터넷 접속을 통해 기저귀(5)를 주문할 수 있도록 된 주문모드 및 상기 알람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람제어모드를 제공한다.The management module 240 has a data management mode that allows the user to check and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feces including the time, frequency, and period of the wearer's feces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eiving module 250, An order mode in which the diaper 5 can be ordered through an Internet connection, and an alarm control mod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larm module 230.

상기 관리 단말 제어모듈(220)은 관리 단말 본체(210)에 구비된 입력모듈을 통해 관리자가 실행 신호를 입력하면, 관리모듈(240)이 실행되면서 관리자가 데이터관리모드, 주문모드, 알람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메뉴를 관리 단말 본체(2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When the manager inputs an execu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module provided in the management terminal main body 210, the management terminal module 220 controls the management module 240 such that the administrator can set the data management mode, the order mode, The management terminal body 210 displays a selection menu that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 selection menus through a display module provided in the management terminal main body 210. [

상기 데이터관리모드에서는 착용자의 소변 또는 대변 시간을 일별, 달별, 연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별, 달별, 연별 횟수 및 소변 주기 및 대변 주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된다.In the data management mode, the urine or feces time of the wearer can be confirmed on a daily, monthly or yearly basis,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daily, monthly, yearly frequency, urine cycle and faeces cycle.

한편, 상기 주문모드에서는 착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기저귀(5)를 구매할 수 있도록 된 구매모드와, 기저귀(5)의 구매 일자, 구매 수량, 구매 제품정보 등을 제공하는 내역제공모드와, 상기 착용 단말부(100)의 고장 발생시 인터넷 접속을 통해 고장접수 또는 문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서비스모드를 제공한다.Meanwhile, in the order mode, a purchase mode in which the diaper 5 worn by the wearer can be purchased, a history providing mode in which the date of purchase of the diaper 5, the purchase quantity, and the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are provided, And provides a service mode in which a failure acceptance or an inquiry can be performed through an Internet connection when a failure of the unit 100 occurs.

한편, 상기 관리 단말부(200)와 상기 착용 단말부(100)는 상호 인터페이싱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리 단말부(200)는 상기 착용 단말부(100)에 저장된 정보를 로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관리 단말부(200)와 착용 단말부(100)를 무선통신방식뿐만 아니라, 유선통신방식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관리 단말부(200)와 상기 착용 단말부(100) 간 인터페이싱 방식으로 데이터전송케이블 이외에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통해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management terminal unit 200 and the wearable terminal unit 100 are configured to be interfaced with each other, and the management terminal unit 200 can load information stored in the wearable terminal unit 100 have. That is, the management terminal unit 200 and the wearable terminal unit 1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as well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in addition to the data transmission cable in the interfacing method between the management terminal unit 200 and the wearable terminal unit 100.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 시스템의 상기 착용 단말부에는 아이의 울음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음성센서(160)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earable terminal of the smart diap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oice sensor 160 capable of detecting a cry of a child and a temperature sensor 170 capable of measuring temperature .

상기 음성센서(160)는 아이의 울음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활 잡음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아이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대역의 음성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voice sensor 160 is for detecting a cry of a child and further includes a band-pass filter for selectively passing only a voice corresponding to a cry of the child so as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life noise .

상기 온도센서(170)는 기저귀(5)를 착용하는 대상인 유아나, 환자 등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온도센서(170)는 착용 단말 본체(110)에 장착되되, 착용 단말 본체(110)를 기저귀에 부착시킬 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센서(170)에서 측정된 온도정보는 송신모듈(150)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 단말부(200)로 송출된다.The temperature sensor 170 measures the body temperature of a wearer, such as an infant or a patient, to which the diaper 5 is worn. The temperature sensor 170 is mounted on the wearing terminal body 110 and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temperature sensor 170 is in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when the wearing terminal body 110 is attached to the diaper.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70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terminal unit 200 in real time via the transmission module 150.

상기 음성센서(160)와 상기 온도센서(170)에서 각각 감지된 음성정보와 온도정보는 각각 상기 착용 단말 제어모듈(130)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처리됨과 동시에, 상기 착용 단말 제어모듈(130)의 제어에 의해 송신모듈(150)을 통해 무선으로 송출된다.The voice information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voice sensor 160 and the temperature sensor 170 are stored in the memory by the wearer terminal control module 130 and stored in the memory of the wearer terminal control module 130, And is transmitted wirelessly through the transmission module 150 by control.

상기 관리 단말부(200)에서는 상기 송신모듈(150)에서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받아 저장처리하며, 상기 관리모듈(240)을 통해서는 착용자의 온도정보, 온도변화, 울음 빈도, 울음 크기 등과 같은 부가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management terminal unit 200 receives and stores radio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module 150. The management module 240 receives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module 150 through the management module 240,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and manag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 관리시스템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an example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5 : 기저귀
100 : 착용 단말부
110 : 착용 단말 본체
120 : 센서모듈
130 : 착용 단말 제어모듈
140 : 메모리
150 : 송신모듈
200 : 관리 단말부
210 : 관리 단말 본체
220 : 관리 단말 제어모듈
230 : 알람모듈
240 : 관리모듈
250 : 수신모듈
5: diaper
100: Wear terminal unit
110: wearing terminal body
120: Sensor module
130: wear terminal control module
140: Memory
150: Transmission module
200:
210: Management terminal body
220: Management terminal control module
230: Alarm module
240: Management module
250: Receiving module

Claims (7)

기저귀의 일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착용 단말 본체와, 상기 착용 단말 본체 내부에 내장되어 소변 및 대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모듈; 및 상기 송신모듈을 제어하는 착용 단말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착용 단말부와;
상기 송신모듈에서 송출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에서 수신된 감지정보를 저장 처리하는 관리 단말 제어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에 수신된 감지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모듈과, 상기 관리 단말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관리자에게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알람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 내지 알람모듈이 내장된 관리 단말 본체를 포함하는 관리 단말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모듈은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수신모듈에서 수신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착용자의 대소변 시간, 횟수, 주기를 포함하는 대소변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된 데이터관리모드와, 인터넷 접속을 통해 기저귀를 주문할 수 있도록 된 주문모드 및 상기 알람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람제어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주문모드에서는 기저귀의 구매 일자, 구매 수량, 구매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내역제공모드와, 상기 착용 단말부의 고장 발생시 인터넷 접속을 통해 고장접수 또는 문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서비스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A wearable terminal body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iaper, a sensor module built in the wearable terminal body for detecting urine and feces, and a transmiss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module; And a wearable terminal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module;
A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eiving module; a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ceiving module; And a management terminal unit including an alarm module for sending an alarm signal to an administr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 module and a management terminal body having the reception module and the alarm module built therein,
The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data management mode for check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of the feces including the time, frequency and period of the wearer's feces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manager, And an alarm control mod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larm module,
The order mode provides a history providing mode for providing the purchase date of the diaper, the purchase quantity,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and a service mode in which a failure acceptance or an inquiry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wearable terminal A smart diaper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기저귀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소변 여부를 감지하는 소변감지센서와, 착용자의 대변 여부를 감지하는 대변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감지센서는 습도센서 또는 수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대변감지센서는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module includes a urin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urine of a wearer wearing the diaper is present and a diape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wearer has a diaper,
The urin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humidity sensor or a moisture sensor,
Wherein the faecal detection sensor comprises a gas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단말부에는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관리 단말부와 상기 착용 단말부는 상호 인터페이싱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리 단말부는 상기 착용 단말부에 저장된 정보를 로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arab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module,
Wherein the management terminal unit and the wearable terminal unit are configured to be interfaced with each other, and the management terminal unit is capable of load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wearable termina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단말부는 아이의 울음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음성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모듈에서 송출되는 감지정보는 상기 음성센서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ab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voic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cry of the child,
Wherein the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includes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voic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단말부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모듈에서 송출되는 감지정보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aring terminal unit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temperature,
Wherein the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includes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KR1020140186488A 2014-12-22 2014-12-22 Smart nappy management system KR1016824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88A KR101682478B1 (en) 2014-12-22 2014-12-22 Smart nappy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88A KR101682478B1 (en) 2014-12-22 2014-12-22 Smart nappy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373A KR20160077373A (en) 2016-07-04
KR101682478B1 true KR101682478B1 (en) 2016-12-06

Family

ID=5650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488A KR101682478B1 (en) 2014-12-22 2014-12-22 Smart nappy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47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469A1 (en) * 2022-10-31 2024-05-10 한국센서연구소 주식회사 Diaper sensor and patien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51Y1 (en) * 2017-01-11 2019-03-11 김지민 Smart menstruation sensing device using moisture sensor
KR102404410B1 (en) 2017-08-29 2022-06-0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Self-powered urine sensor device and diaper device employing the same
KR102157199B1 (en) 2018-08-24 2020-09-18 리틀원주식회사 Apparatus for informing excretions and contorl method thereof
CN109549782A (en) * 2018-11-26 2019-04-02 深圳市善行智能生物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mother and baby's linked system
KR102116665B1 (en) * 2018-12-14 2020-05-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apparatus for detecting bowel move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186B1 (en) * 2011-10-21 2013-08-01 박창열 Diaper for sensing exceta and system for sensing diaper state using the same
KR101390845B1 (en) * 2010-06-18 2014-05-02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Diaper-type vit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445A (en) * 2009-02-04 2010-08-12 김종명 Urination sensing device
KR20110034751A (en) * 2009-09-29 2011-04-06 정명덕 Excrements sensing apparatus offering personalized ser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845B1 (en) * 2010-06-18 2014-05-02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Diaper-type vit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KR101292186B1 (en) * 2011-10-21 2013-08-01 박창열 Diaper for sensing exceta and system for sensing diaper stat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469A1 (en) * 2022-10-31 2024-05-10 한국센서연구소 주식회사 Diaper sensor and patien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373A (en)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478B1 (en) Smart nappy management system
KR101705278B1 (en) Smart nappy management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US20210196529A1 (en) Remote monitoring of absorbent article
US9545342B2 (en) Multifunctional medical monitoring system
US8471715B2 (en) Disposable diaper with wireless alarm system
JP5642200B2 (en) Portable EEG monitor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N105125348B (en) Intelligent urine-wet alarm method and system
US20150164703A1 (en) Excreta detecting sensor and detecting device using electrically-conductive fibrous conducting wire
KR101260997B1 (en) A urine and feces detecting sensor of a electric capacity type with many electrodes, Making method and a urine and feces detecting device
KR101681514B1 (en) Diaper Alarm and Baby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s
JP2014202744A (en) Walking detector and transmitter for detecting walking
JP2007501664A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human body
KR20090081886A (en) Detection Device of Feces And Urine Using Capacitive Sensors
EP3478236B1 (en) A system for diaper survellance for determining the existence and class of human excreta in a diaper
US20150356852A1 (en) Temperature and Humidity Alerting System
KR20190086112A (en) Smart care system having real time diagnosis function
KR101557692B1 (en) Diaper Alarm Systems
WO2015172246A1 (en) Multifunctional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sensors attached to an absorbent article
WO2011145787A1 (en) Reusable automatic device for sensing feces and urine
KR20100089445A (en) Urination sensing device
JP3147110U (en) Diaper sensor device
KR20220017248A (en) Detachable wireless paging system of diaper for detecting urine and feces
WO2017198978A1 (en) Temperature monitoring garment and system
US20210205151A1 (en) Incontinence detection system
KR20190071526A (en) Discharge sensing monitoring system having discharge sensing apparatus for diaper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