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292B1 - Isolation enhancement device using dummy cable - Google Patents

Isolation enhancement device using dummy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292B1
KR101682292B1 KR1020150033291A KR20150033291A KR101682292B1 KR 101682292 B1 KR101682292 B1 KR 101682292B1 KR 1020150033291 A KR1020150033291 A KR 1020150033291A KR 20150033291 A KR20150033291 A KR 20150033291A KR 101682292 B1 KR101682292 B1 KR 101682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able
dummy cable
isolation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9836A (en
Inventor
장서
전지환
곡용약
신현웅
김형동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60089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8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메인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안테나; 상기 메인 기판과 이격 형성되는 보조 기판; 상기 메인 기판 및 상기 보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및 일측 끝단이 상기 메인 기판의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더미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the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ard on which a ground is formed; An antenn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ard; An auxiliary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main substrate; A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board and the auxiliary board; And a dummy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main board.

Description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ISOLATION ENHANCEMENT DEVICE USING DUMMY CABLE}{ISOLATION ENHANCEMENT DEVICE USING DUMMY CAB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더미 케이블을 이용하여 신호 잡음의 간섭을 줄이는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apparatus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that reduces interference of signal noise by using a dummy cable.

무선 통신을 활용하는 이동 단말기는 보급률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보통 사용하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무선 이어셋, 스마트 리모콘, LTE 라우터 등 이동 단말기용 안테나가 적용된 분야는 매우 광범위하다.Mobile terminals that utilize wireless communication are not only very popular, but they also offer a wide variety of products. In addition to the usual smartphones, there are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 which mobile antennas are used, such as wireless ear sets, smart remote controls, and LTE routers.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의 경우 PCB상의 회로 또는 기구상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안테나로 흘러 들어가 안테나의 감도를 나쁘게 하거나, 2개 이상의 안테나가 하나의 이동 단말기에 존재할 때 두 안테나의 간섭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두 PCB를 연결하는 무선 블루투스 이어셋 구조에서 연결 케이블에 의해 노이즈가 방사를 일으킨다. 이러한 노이즈는 안테나로 흘러 들어가 감도를 나쁘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In the case of an antenna for a wireless terminal, the noise generated by a circuit or an apparatus on the PCB flows into the antenna to deteriorate the sensitivity of the antenna, or when two or more antennas are present in one mobile terminal, Occurs. For example, in the past, in a wireless Bluetooth earset structure connecting two PCBs, noise is emitted by a connecting cable. Such noise has a problem of flowing into the antenna and deteriorating the sensitivity.

한국공개특허 10-2010-0084417호는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호대잡음 특성을 향상시키며, 이동 단말기에 별도의 안테나 연결단자를 구비하지 않고 리셉터클(receptacle)을 통해 방송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를 외장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84417 discloses an antenna device for improving the signal-to-noise characteristic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through a receptacle, Describes a technique relating to a device capable of enclosing an antenna.

그러나, 편파와 방향성을 조절하여 고감도 안테나를 설계하는 기술은 안테나의 방사 효율, 동작 주파수, 대역폭과 같은 안테나 성능을 같이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신호 잡음과의 격리도는 전 주파수에 걸쳐 고루 분포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원하는 만큼의 격리도 개선 효과를 내기 매우 어렵다. However, the technique of designing a high-sensitivity antenna by adjusting the polarization and the direction is required not only to consider the antenna performance such as the radiation efficiency, the operating frequency and the bandwidth of the antenna, but also the isolation degree from the signal noise tends to be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frequency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improve the isolation as much as desired.

이에,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이어셋의 안테나 잡음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지금까지 무수히 많이 이루어져왔으나, 실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간단한 모델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efforts to improve antenna noise of a mobile terminal and a wireless earset have been performed so far, but a simple model has not been proposed to be applicable to an actual produ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apparatus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테나와 신호 잡음원이 존재하는 접지면에 한 쪽 끝이 오픈된 더미 케이블을 구성하여 신호 잡음의 간섭을 줄이는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that reduces interference of signal noise by forming a dummy cable having one end open on a ground plane where an antenna and a signal noise source exis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더미 케이블을 구성하여 신호 잡음원과 안테나간의 격리도를 개선시킴으로써 안테나가 잡음의 간섭 없이 고감도로 동작하는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in which an antenna operates with high sensitivity without interference of noise by improving the isolation between a signal noise source and an antenna by constituting a dummy cable.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는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메인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안테나; 상기 메인 기판과 이격 형성되는 보조 기판; 상기 메인 기판 및 상기 보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및 일측 끝단이 상기 메인 기판의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더미 케이블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comprising: a main board on which a ground is formed; An antenn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ard; An auxiliary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main substrate; A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board and the auxiliary board; And a dummy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main board.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더미 케이블은 타측 끝단이 오픈되어 신호 잡음과 상기 안테나 사이에 디커플링을 구현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dummy cable is opened to realize signal-to-noise and decoupling between the antenna and the antenna.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판은 배터리가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auxiliary substrate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to supply power.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블루투스(Bluetooth) 환경에서 동작되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In yet another aspect, the antenna is operable in a wireless LAN (WLAN) or Bluetooth environment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판과 상기 보조 기판을 연결하는 밴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케이블에 의해 상기 메인 기판과 상기 보조 기판을 연결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nd portion connecting the main substrate and the auxiliary substrate is further formed, and the band portion connects the main substrate and the auxiliary substrate by the cable.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내부에 철심이 형성되고, 탄성을 가질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portion is formed with an iron core therein and may have elasticity.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하는 넥 밴드(Neck Band)이고, 상기 메인 기판과 상기 보조 기판의 외부는 각각 음향을 출력하는 바디가 형성되어, 상기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는 블루투스 이어셋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portion is a neck band used for hanging on a user's neck, and a body for outputting sound is formed outside the main board and the auxiliary board, The apparatu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y be a Bluetooth earset.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더미 케이블은 채널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피크 주파수를 조절 가능하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mmy cable can adjust the peak frequency by adjust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channel.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이격 형성되어 배치되는 제2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yet another aspec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ntenna spaced apart from the antenna.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휴대폰, 스마트폰 등), 무선 이어셋, GPS 단말기 등에서 PCB상의 잡음이 안테나로 흘러 들어와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고감도 안테나를 실현시킬 수 있는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noises on the PCB are caused to flow into the antenna in a mobile terminal (mobile phone, smart phone, etc.), wireless earset, GPS terminal, etc., and a dummy cable A device for improving the degree of isolation can be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모바일 안테나 분야에서 고감도, 고격리도 안테나를 매우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ly sensitive and highly isolated antenna can be implemented very efficiently in the field of mobile antennas.

도 1은 종래의 안테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잡음원과 안테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도 향상을 위한 더미 케이블을 적용하기 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도 향상을 위한 더미 케이블을 적용한 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ntenna struct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noise source and an antenna structure.
3 is a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measurement before applying a dummy cable for improving the degree of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measurement result after applying a dummy cable for improving the degree of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편파와 방향성을 조절하여 고감도 안테나를 설계하는 기술은 안테나의 방사 효율, 동작 주파수, 대역폭과 같은 안테나 성능을 같이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신호 잡음과의 격리도는 전 주파수에 걸쳐 고루 분포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원하는 만큼의 격리도 개선 효과를 내기 매우 어렵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que of designing a highly sensitive antenna by adjusting the polarization and direction is required to consider the antenna performance such as the radiation efficiency, the operation frequency, and the bandwidth of the antenna as well as the isolation degree from the signal noise is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frequency It is very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improvement in isol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안테나와 신호 잡음원이 존재하는 접지면에 한 쪽 끝이 오픈된 더미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더미 케이블은 PCB상에서 공진기 역할을 하고 등가회로적으로 커패시턴스를 제공하여 잡음과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더미 케이블을 구성하여 신호 잡음원과 안테나간의 격리도를 개선시킴으로써 안테나가 잡음의 간섭 없이 고감도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mmy cable having one end opened on the ground plane where the antenna and the signal noise source exist can be used. The dummy cable acts as a resonator on the PCB and can provide equivalent circuit capacitance, improving the isolation between noise and the antenna.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figure the dummy cable to improve the degree of isolation between the signal noise source and the antenna, thereby allowing the antenna to operate with high sensitivity without interference of noise.

도 1은 종래의 안테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ntenna structure.

도 2는 종래의 잡음원과 안테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noise source and an antenna structur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는 메인 기판(10)과 보조 기판(1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메인 기판(10)과 보조 기판(11)은 밴드부(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밴드부(40)는 케이블(20)이 연결되어 메인 기판(10)과 보조 기판(11)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인 기판(10)에는 안테나(30)가 형성될 수 있다. 1 and 2, the antenna structure includes a main substrate 10 and an auxiliary substrate 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main substrate 10 and the auxiliary substrate 11 may be connected by a band portion 40 have. At this time, the band portion 40 is connected to the cable 2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main substrate 10 and the auxiliary substrate 11, respectively. An antenna 30 may be formed on the main board 10.

여기서, 메인 기판(10)에 신호 잡음원이 존재하는 경우, 밴드부(40)의 케이블(20)을 통해 방사를 일으키게 되며, 밴드부의 케이블의 방사에 의해 신호 잡음이 다시 안테나(30)로 들어오게 되어 안테나의 성능이 감소될 수 있다. When a signal noise source is present on the main board 10, radiation is generated through the cable 20 of the band unit 40, and signal noise is again input into the antenna 30 by radiation of the cable of the band unit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can be reduced.

즉, 신호 잡음원(50)과 안테나(30) 사이에 커플링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a coupling may be formed between the signal noise source 50 and the antenna 30.

아래에서는 16 x 60 mm2의 PCB 위에 설계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임의의 블루투스 이어셋 구조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안테나는 무선랜(WLAN), 블루투스(Bluetooth) 대역인 2.4-2.5GHz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임의의 블루투스 이어셋의 PCB 연결 케이블은 방사체로 작용하여 안테나의 잡음원이 될 수 있다. 잡음을 발생시키는 방사체인 케이블은 안테나가 설계된 PCB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In the following, any Bluetooth earset structure including an antenna designed on a PCB of 16 x 60 mm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ntenna may be designed to operate at 2.4-2.5 GHz, which is a wireless LAN (WLAN), Bluetooth band. The PCB connection cable of any bluetooth earset acts as a radiator and can be a noise source of the antenna. The cable, which is a radiator that generates noise, is connected to the PCB through which the antenna is designed.

즉, 두 PCB를 연결하는 무선 블루투스 이어셋 구조에서 연결 케이블에 의해 노이즈가 방사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노이즈는 안테나로 흘러 들어가 수신 감도를 떨어뜨린다.
In other words, in a wireless Bluetooth earset structure that connects two PCBs, noise is emitted by the connecting cable. Such noise flows into the antenna and lowers the reception sensitivit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는 메인 기판(100), 보조 기판(110), 케이블(200), 더미 케이블(210), 안테나(300), 그리고 밴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n apparatus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includes a main board 100, an auxiliary board 110, a cable 200, a dummy cable 210, an antenna 300, and a band unit 400. . ≪ / RTI >

메인 기판(100)은 절연 기판의 표면에 도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판으로, 프린트, 배선판, 및 절연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메인 기판(100)은 인쇄 배선 회로 기판인 PCB(Printed Circuit Board)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기판(100)에는 그라운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substrate 100 is a plate that can form a conductor pattern on the surface of an insulating substrate, and a print, a wiring board, an insulating substrate, or the like can be used. In particular, the main board 10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which is a printed wiring circuit board. A ground may be formed on the main substrate 100.

보조 기판(110)은 메인 기판(100)과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기판(110)은 메인 기판(100)과 마찬가지로 절연 기판의 표면에 도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판인, 프린트, 배선판, 및 절연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보조 기판(110)은 인쇄 배선 회로 기판인 PCB(Printed Circuit Board)가 사용될 수 있다.The auxiliary substrate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substrate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uxiliary substrate 11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a printed circuit board, an insulating substrate, or the like, which can form a conductor pattern on the surface of an insulating substr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main substrate 100. In particular, A printed circuit board (PCB) which is a printed wiring circuit board can be used.

이러한, 보조 기판(110)에는 배터리가 배치되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 battery may be disposed on the auxiliary substrate 11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케이블(200)은 메인 기판(100) 및 보조 기판(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밴드부(400)가 더 구성되어, 밴드부(400)는 메인 기판(100) 및 보조 기판(110)을 연결하되, 케이블(200)에 의해 메인 기판(100) 및 보조 기판(110)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 The cable 200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main board 100 and the auxiliary board 110. The band portion 400 is connected to the main substrate 100 and the auxiliary substrate 110 so that the main substrate 100 and the auxiliary substrate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able 200, You can connect.

더미 케이블(210)은 메인 기판(100)에 형성되어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더미 케이블(210)의 일측 끝단은 메인 기판(100)에 형성되고, 타측 끝단은 오픈되어 신호 잡음원(500)과 안테나(300) 사이에 디커플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안테나(300)와 신호 잡음의 결합을 줄이기 위해 한쪽 끝이 오픈된 더미 케이블(210)을 구성하여 잡음원(500)과 안테나(300) 두 포트간의 디커플링을 구현할 수 있다. The dummy cable 210 may be formed on the main board 100 and connected to the ground.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dummy cable 210 is formed on the main board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dummy cable 210 is opened to implement decoupling between the signal noise source 500 and the antenna 300. That is, a dummy cable 210 having one open end may be formed to reduce coupling between the antenna 300 and signal noise, so that decoupling between two ports of the noise source 500 and the antenna 300 can be realized.

그리고, 더미 케이블(210)은 채널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피크 주파수를 조절가능 하다. The dummy cable 210 can adjust the peak frequency by adjust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channel.

나아가 잡음원과 안테나뿐만 아니라, 둘 이상의 안테나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한쪽 끝이 오픈된 더미 케이블(210)을 구성하여 둘 이상의 안테나 간의 격리도를 개선함으로써 안테나가 잡음 간섭 없이 고감도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Furthermore, even when there are two or more antennas in addition to the noise source and the antenna, the dummy cable 210 having one end open can be formed to improve the degree of isolation between two or more antennas, so that the antenna can operate with high sensitivity without noise interference.

안테나(300)는 메인 기판(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300)는 메인 기판(100)에 부착되거나 몰딩(molding)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안테나(300)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블루투스(Bluetooth) 환경에서 동작되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The antenna 3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substrate 100. The antenna 300 may be attached to the main substrate 100 or may be formed by molding. The antenna 300 may operate in a wireless LAN (WLAN) or a Bluetooth environment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이러한, 안테나(300)는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antenna 300 may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또한, 무선통신 모듈이 형성되어 안테나(300)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무선통신 모듈은 안테나(300)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formed to allow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network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through the antenna 300. [ That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n transmit / receive wireless signals to /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300. [ For example, it includ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character data, video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for this purpose,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더 구체적으로, 무선통신 모듈은 안테나(300)를 통하여 이러한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모듈은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such wireless communication via the antenna 300.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여기서,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Here,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may be stored in a memory.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음성 데이터 등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can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such as voice data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in a mobile terminal or externally.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밴드부(4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기판(100)과 보조 기판(11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400)는 케이블(200)에 의해 메인 기판(100)과 보조 기판(110)을 연결할 수 있다. The band portion 400 may connect the main substrate 100 and the auxiliary substrate 110 as described above. The band unit 400 can connect the main substrate 100 and the auxiliary substrate 110 with the cable 200.

또한, 밴드부(400)는 내부에 철심이 형성되고,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nd portion 400 may have an iron core formed therein and be made elastic.

더욱이, 밴드부(400)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하는 넥 밴드(Neck Band)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기판(100)과 보조 기판(110)의 외부는 각각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바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는 블루투스 이어셋으로 구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band part 400 may be formed of a neck band used for hanging on the user's neck. Here, a body portion capable of outputting sound may be formed outside the main substrate 100 and the auxiliary substrate 110, respectively. Accordingly, a device for improving the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can be configured with a Bluetooth earse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a memory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improving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설명한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에서 더미 케이블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는 메인 기판(100)과 밴드부(400)가 케이블(2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더미 케이블(210)의 일측 끝단은 메인 기판(100)에 접속되어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오픈되어 신호 잡음과 안테나 사이에 디커플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안테나(300)와 신호 잡음의 결합을 줄이기 위해 한쪽 끝이 오픈된 더미 케이블(210)을 구성하여 잡음원과 안테나 두 포트간의 디커플링을 구현할 수 있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ummy cable more specifically in the apparatus for improving the degree of isolation using the dummy cable described in Fig. 3. Fig. As described above, in the apparatus for improving the isolation using the dummy cable, the main board 100 and the band unit 4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able 200. At this time, one end of the dummy cable 210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00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of the dummy cable 210 is opened, thereby achieving decoupling between the signal noise and the antenna. That is, a dummy cable 210 having one open end may be formed to reduce coupling between the antenna 300 and signal noise, thereby achieving decoupling between the noise source and two ports of the antenna.

여기서, 메인 기판(100)에 디지털 신호 잡음원이 존재하는 경우 밴드부의 케이블(200)을 통해 방사를 일으키게 되며, 밴드부의 케이블(200)의 방사에 의해 신호 잡음이 다시 안테나로 들어오게 되어 안테나의 성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기판(100)에 더미 케이블(210)을 추가 구성하여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if a digital signal noise source is present in the main board 100, the signal is radiated through the cable 200 of the band part, and signal noise enters the antenna again due to the radiation of the cable 200 of the band part,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dummy cable 21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main board 100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다시 말하면, 안테나와 신호 잡음원이 존재하는 접지면에 한 쪽 끝이 오픈된 더미 케이블(210)을 연결하여, PCB상에서 공진기 역할을 하고 등가회로적으로 커패시턴스를 제공하여 잡음과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더미 케이블(210) 구성하여 신호 잡음원과 안테나간의 격리도를 개선시킴으로써 안테나가 잡음의 간섭 없이 고감도로 동작하게 할 수 있게 한다.In other words, by connecting the dummy cable 210 having one end open to the ground plane where the antenna and the signal noise source exist, it functions as a resonator on the PCB and provides an equivalent circuit capacitance, thereby improving the isolation between noise and the antenna . This improves the degree of isolation between the signal noise source and the antenna by configuring the dummy cable 210, thereby enabling the antenna to operate with high sensitivity without interference of noise.

한편, 케이블의 배치상태 및 밴드부의 길이 등에 의해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저해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더미 케이블(210)은 커패시턴스를 키워 임피던스를 상대적으로 높게 보이게 하여 케이블이 방사하는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sensitivity of the antenna can be inhibited by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cable and the length of the band portion. The dummy cable 210 increases the capacitance so that the impedance is relatively high, thereby minimizing the radiation of the cable.

그리고, 채널에 따라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테나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tivity of the antenna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able according to the channel.

위에서 설명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더미 케이블이 적용된 장치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A device to which the dummy cable for improving the degree of isolation described above is applied can be specifically described as an example.

임의의 블루투스 이어셋 구조는 16 x 60 mm2의 PCB 위에 설계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는 무선랜(WLAN), 블루투스(Bluetooth) 대역인 2.4-2.5GHz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임의의 블루투스 이어셋의 PCB 연결 케이블은 방사체로 작용하여 안테나의 잡음원이 될 수 있다. 잡음을 발생시키는 방사체인 케이블은 안테나가 설계된 PCB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Any bluetooth earset structure may include an antenna designed on a 16 x 60 mm 2 PCB. The antenna may be designed to operate at 2.4-2.5 GHz, which is a wireless LAN (WLAN), Bluetooth band. The PCB connection cable of any bluetooth earset acts as a radiator and can be a noise source of the antenna. The cable, which is a radiator that generates noise, is connected to the PCB through which the antenna is designed.

여기서,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PCB에 일측 끝단이 오픈된 더미 케이블을 사용하여 격리도 향상 기술을 추가함으로써 고감도 안테나를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안테나가 동작하는 2.4-2.5GHz 대역에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안테나의 구조에 비해 매우 큰 신호 잡음 감소를 나타낼 수 있다. Her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 highly sensitive antenna can be designed by adding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having one end opened on the main PCB. This structure can exhibit a very large signal noise reduction in the 2.4-2.5 GHz band where the antenna operates, a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of the antenna shown in FIGS. 1 and 2.

일례로, 단말기 구조 내에 안테나와 임의의 잡음 회로(디지털회로, 케이블로 인해 생긴 회로)가 존재할 때, 추가적인 더미 케이블을 접지면에 삽입하여 안테나와 임의의 공진 회로간의 격리도를 개선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n antenna and an arbitrary noise circuit (a circuit caused by a digital circuit or a cable) exist in the terminal structure, an additional dummy cable can be inserted into the ground plane to improve the isolation between the antenna and any resonant circui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도 향상을 위한 더미 케이블을 적용하기 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measurement before applying a dummy cable for improving the degree of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도 향상을 위한 더미 케이블을 적용한 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measurement after applying a dummy cable for improving the degree of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미 케이블의 적용 전과 후의 안테나 성능 측정 결과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5 and 6,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antenna performance measurement result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dummy cable.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서 안테나의 방사성능을 나타내는 TRP(Total Radiation Power)에서 알 수 있듯이, 실제 안테나가 동작하는 주파수대역에서는 안테나 송신 성능의 감소가 거의 없으며, 수신성능을 나타내는 TIS(Total Isotropic Sensitivity)는 매우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can be seen from TRP (Total Radiation Power) indicating the radiation performance of the antenna in FIGS. 5 and 6, there is almost no decrease in the antenna transmission performance in th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actual antenna operates, Total Isotropic Sensitivity) is greatly improved.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WCDMA, LTE, GPS, Wi-Fi, 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을 위해 안테나가 장착된 모든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PCB상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mobile terminals equipped with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CDMA, LTE, GPS, Wi-Fi, and Bluetooth.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on the PCB of the product.

또한,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단말기, 2개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단말기, MIMO 안테나를 사용하는 단말기, PCB 상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해야 하는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termi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 terminal using two or more antennas, a terminal using a MIMO antenna, a terminal for removing high-frequency noise on a PCB, and the like.

예를 들어,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는 안테나와 이격 형성되어 배치되는 제2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안테나는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인입된 신호의 위상이 반전되는 페이딩(fading) 신호가 상쇄(cancel out)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무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고속 하향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대역에서 전원을 최소화시키는데도 유리하다.For example, the apparatus for improving the isolation using the dummy cab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ntenna spaced apart from the antenna. Since a plurality of antennas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fading signal in which the phase of a signal input through another path is inverted is canceled out,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it is also advantageous to minimize power in the band of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무선 이어셋, GPS 단말기 등에서 PCB상의 신호 잡음이 안테나로 흘러 들어와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고감도 안테나를 실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모바일 안테나 분야에서 고감도, 고격리도 안테나를 매우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a problem that signal noise on a PCB flows into an antenna in a mobile terminal, a wireless earpiece, and a GPS terminal, and realize a high-sensitivity antenna. Therefore,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ly sensitive and highly isolated antenna can be implemented very efficiently in the field of mobile antennas.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have.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unless the configuration is applicable only to a mobile terminal.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메인 기판
110: 보조 기판
200: 케이블
210: 더미 케이블
300: 안테나
400: 밴드부
100: main substrate
110: auxiliary substrate
200: Cable
210: Dummy cable
300: antenna
400: band portion

Claims (9)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메인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안테나;
상기 메인 기판과 이격 형성되는 보조 기판;
상기 메인 기판 및 상기 보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일측 끝단이 상기 메인 기판의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더미 케이블; 및
상기 메인 기판과 상기 보조 기판을 연결하는 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더미 케이블은,
타측 끝단이 오픈되어 방사체로 동작되는 상기 케이블의 신호 잡음원과 상기 안테나 사이에 디커플링이 구현되며, 상기 케이블의 방사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커패시턴스의 크기가 조절되고, 채널에 따라 상기 더미 케이블의 길이가 조절되어 피크 주파수가 조절되며,
상기 밴드부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넥 밴드(Neck Band)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에 의해 상기 메인 기판과 상기 보조 기판을 연결하며, 상기 메인 기판과 상기 보조 기판의 외부는 각각 음향을 출력하는 바디가 형성되어, 상기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는 블루투스 이어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
A main board on which a ground is formed;
An antenn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ard;
An auxiliary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main substrate;
A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board and the auxiliary board;
A dummy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main board; And
And a band portion connecting the main substrate and the auxiliary substrate
Lt; / RTI >
The dummy cable includes:
And the other end is opened so that the signal noise source of the cable operated as a radiator is decoupled between the antenna and the antenna. The size of the capacitance is adjusted to minimize the radiation effect of the cable, and the length of the dummy cable Became The peak frequency is adjusted,
The band portion is made of a neck band to be worn on the neck of the user and connects the main board and the auxiliary board by the cable, and the body outside the main board and the auxiliary board each output sound Wherein the apparatus for enhancing the isolation using the dummy cable is a Bluetooth earse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판은
배터리가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substrate
Batteries are placed to supply power
And a device for improving the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블루투스(Bluetooth) 환경에서 동작되어 외부와 통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tenna
It is operated in a wireless LAN (WLAN) or Bluetooth (Bluetooth) environment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a device for improving the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내부에 철심이 형성되고, 탄성을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nd portion
An iron core is formed in the interior thereof,
And a device for improving the isolation using a dummy c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이격 형성되어 배치되는 제2 안테나
를 더 포함하는 더미 케이블을 이용한 격리도 향상을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antenna disposed apart from the antenna,
Wherein the dummy cabl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bles.
KR1020150033291A 2015-01-19 2015-03-10 Isolation enhancement device using dummy cable KR1016822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638 2015-01-19
KR20150008638 2015-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836A KR20160089836A (en) 2016-07-28
KR101682292B1 true KR101682292B1 (en) 2016-12-05

Family

ID=5668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291A KR101682292B1 (en) 2015-01-19 2015-03-10 Isolation enhancement device using dummy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292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877B1 (en) * 2011-10-14 201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KR20130102169A (en) *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팬택 Wireless terminal with a plurality of antennas
KR20130102170A (en) *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mproved isolation
KR20140039637A (en) * 2012-09-24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Noise reduction connect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836A (en)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6170B2 (en) Antenna and mobile terminal
US957733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763573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538054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art of human body as antenna in human body communication
US7511669B2 (en) Antenna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9114622A1 (en) Antenna tuning circuit, ante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CN105337040B (en)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8111180B (en) Tuning switch control circuit,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TWI653845B (e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ntenna and a method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signal using the electronic device
US980035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8148973A1 (en)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technology
US10763571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CN105428805A (en) Antenna devi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wearable device
KR20150124096A (en) Antenna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240317A1 (en) Mobile terminal switching antenna and switching method therefor
US9142876B2 (en) Planar antenna and handheld device
KR101682292B1 (en) Isolation enhancement device using dummy cable
TWI668910B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same
WO2020043108A1 (en) Fm antenna circuit and terminal device
US9455496B2 (en) Antenna assembly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JP2006121633A (en) Radio communication module
US8090040B2 (en) Method and system to maintain shapes of temporal pulses in wireless broadband signals transmitted through a dispersive antenna
US11095026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extended grounding structure to enhance antenna performance
CN108964674A (en) Communication device
US20230008446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Concurrent Radio-Frequency Transmission and S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