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912B1 -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912B1
KR101681912B1 KR1020160015023A KR20160015023A KR101681912B1 KR 101681912 B1 KR101681912 B1 KR 101681912B1 KR 1020160015023 A KR1020160015023 A KR 1020160015023A KR 20160015023 A KR20160015023 A KR 20160015023A KR 101681912 B1 KR101681912 B1 KR 101681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image
display device
delete delete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호
이민주
차무상
배지민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거노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노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거노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015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912B1/ko
Priority to PCT/KR2016/008680 priority patent/WO2017135533A1/ko
Priority to PCT/KR2016/008955 priority patent/WO2017135535A1/ko
Priority to PCT/KR2016/008956 priority patent/WO2017135536A1/ko
Priority to US16/075,440 priority patent/US11284252B2/en
Priority to PCT/KR2016/008953 priority patent/WO2017135534A1/ko
Priority to CN201680080192.9A priority patent/CN10860540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912B1/ko
Priority to US17/580,941 priority patent/US1191018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5B37/022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9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a change in orientation, a movement or an accel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e.g. a tilt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H05B37/027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8Gesture-dependent or behaviour-depend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웨어러블 장치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응원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A WEARABLE DEVICE FOR DISPLAYING IMAGE USING AFTERIMAGE OF LIGHT SOURCE}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콘서트 장 또는 체육관 등에서 가수나, 운동 선수를 응원하기 위한 여러 응원 도구들이 존재한다. 하나의 예로 응원 피켓류가 존재한다. 예로부터 종이 등을 이용하여 만든 응원 피켓등이 많이 이용되었다. 최근에는 핸드폰이나, 태블릿 PC로 응원 문구를 표시함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핸드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이용하여 응원 문구를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응원 피켓류는 피켓에 기재된 내용이 보여지기 위하여 움직임 없이 고정된 상태를 가급적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응원 도구 중 응원 스틱류가 존재한다. 응원 스틱류는 사용자가 들고 흔드는 용도로 사용된다. 주로, 사용자들은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응원 스틱을 흔듬으로써 군집적 형태의 응원을 한다.
특허 문헌 : 한국특허공개 제10-2005-0017784호 (2005.02.23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웨어러블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응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사용자가 군집적 형태의 응원 영상을 간편하게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광원과 데이터 연결을 이루는 통신부;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부와 제어부를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광원의 공간적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하는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광원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연결부에는 상기 광원이 탈착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복수의 LED 칩이 선형으로 배열된 바(BAR)형 광원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원이 위치하는 공간적 위치,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원이 위치한 상대적 방향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광원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이 제 1 방향으로 이동 후 상기 광원이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광원이 이동을 시작한 위치와 이동을 종료한 위치, 상기 광원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시간 및 상기 광원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의 역방향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연동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연동된 외부 기기로 영상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영상 관련 정보는 영상 데이터 및 영상을 나타내는 참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인증 기기로 권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 기기로부터 권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외부 기기와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 권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권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외부 기기와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외부기기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연동된 외부 기기에 전송되는 영상 관련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외부기기의 위치가 변경됨을 식별하면, 상기 외부기기의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된 영상 관련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기록 매체가 착탈되는 데이터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슬롯에 장착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외부 기기와 데이터 연결을 이루는 통신부;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광원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광원의 공간적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외부기기에 탈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가 외부기기에 장착 되면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이 제 1 방향으로 이동 후 상기 광원이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광원이 이동을 시작한 위치와 이동을 종료한 위치, 상기 광원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시간 및 상기 광원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착탈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접이식 구조 및 안테나식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본체에서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측에 구비된 중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광원과 데이터 연결을 이루는 단계; 및 상기 광원과 데이터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이 발광하면 상기 광원의 공간적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의 공간적 위치,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원이 위치한 상대적 방향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광원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의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표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로 영상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관련 정보는 영상 데이터 및 영상을 나타내는 참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 데이터 연결을 이루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와 데이터 연결이 이루어지면,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광원의 공간적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방법은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고정부; 상기 제 1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하우징은 또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에서, 제 1 고정부와 광원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에서 제 2 고정부와 제 1 하우징의 광원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2 고정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 2 하우징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측면에 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고정부; 상기 제 1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2 고정부와 연결된 제 2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하우징은 또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에서, 제 1 고정부와 제 1 하우징의 광원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을 기준으로, 제 2 고정부와 제 1 하우징의 광원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2 고정부를 기준으로 제 2 하우징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제 2 고정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의 광원과 제 2 하우징의 광원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앞서 설명한 영상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웨어러블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응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사용자가 군집적 형태의 응원 영상을 간편하게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광원부 구조의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일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웨어러블 장치가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웨어러블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받은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장치가 응원 문구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응원 장치간 영상 데이터를 전송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제 1 응원 장치가 영상을 분배하는 예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1은 제 1 응원 장치가 타 응원장치의 위치정보에 따라 분배한 영상의 데이터를 타 응원 장치로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영상이 분배된 예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4는 응원 장치간 분배 영상 데이터의 전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응원 장치의 배치 변경에 따라 응원 장치의 표시 영상을 재분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마트 폰과 직접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0 내지 도 3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가 연결되어 구성된 응원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 내지 도 35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 내지 도 39는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장치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웨어러블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응원 장치로써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잔상효과(Persistence Of Vision effect)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흔들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가 이동되고, 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사용자의 망막에는 발광하는 디스플레이가 방출하는 빛에 의한 잔상이 남게 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 1의 A 방향 및 B 방향으로 흔들면, 디스플레이의 이동 궤적을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방출하는 빛의 잔상이 사용자의 망막에 맺히면서 사용자에게 L(301)과 O(302)와 같은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러한 잔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변화에 따라 표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LED 바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부(110), 전원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메모리(150), 센서부(160) 및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하우징(1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들어, 하우징(101)은 케이스일 수 있고, 본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시 예에 따라 광원부(110)와 하우징(101)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부(110)와 하우징(101)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외 전원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메모리(150) 및 센서부(160) 중 적어도 하나는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하우징(101)은 광원부(110), 전원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메모리(150), 센서부(160)를 수용한다. 실시 예에 따라 하우징(101)은 광원부(110)가 분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 하우징(101)은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하우징은 제 1 연결부(102)와 제 2 연결부(1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101a)에는 광원부(110)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01a)에는 제 1 연결부(102)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102)는 광원부를 제외한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101b)에 구성된 피연결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하우징(101a)은 제 1 연결부(102)를 통해 제 2 하우징(101b)에 탈착될 수 있다. 연결부는 데이터 선을 포함하여 하우징 내의 제어부로부터 광원에 대한 제어신호를 광원부로 전달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하우징의 일측에 구성된 제 2 연결부(103)는 도 6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에 구성된 피연결부(20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에 탈착될 수 있다. 연결부는 데이터 회선을 포함하여 웨어러블 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하우징(101)은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광원부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는 중공을 가지는 반지형태일 수 있다. 중공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관통할 수 있다. 예를들어, 광원부의 상단부에는 반지형태의 손잡이가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 또는 사용자의 손에서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광원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은 선형으로 광원부(110)에 배열될 수 있다. 광원은 사용자가 좌우로 흔드는 동작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잔상효과를 나타내거나 조명으로 발광될 수 있다.
광원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빛의 3원색을 발할 수 있다. 광원은 3색을 모두 발할 수 있는 LED일 수 있다. 또는 각 색을 발할 수 있는 복수의 광원이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광원부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적색 빛을 발하는 1개의 광원, 녹색 빛을 발하는 1개의 광원 및 청색 빛을 발하는 하나의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하나의 광원 세트를 구성하고, 이와 같이 구성된 광원 세트가 광원부에 배열될 수 있다. 광원부에는 16개 이상의 RGB 광원이 선형 또는 갈지자(之)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는 광원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의 (A)와 같이 광원부는 접이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접이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광원부의 길이는 연장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광원부는 도 4의 (B)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광원부의 일부분이 슬라이드 됨에 따라 중첩되어 연장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광원부는 단단한 소재로 구성되어 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광원부는 플렉서블 소재로 구성되어 광원부가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부는 단단한 소재 및 플렉서블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원부가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광원부에서 단단한 부분은 단일 제품으로 구성되거나, 단단한 여러 제품을 연속적으로 확장부(미도시)를 통해 연결하여 확장하거나, 단단한 부분이 접힐 수 있는 구조(Collapsible)로 구성되어, 광원부가 확장될 수 있다.
광원부가 플렉서블 소재로 구성된 경우, 플렉서블 광원부에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끈으로된 광원부에 LED가 선형으로 배치되어 팔 전체 길이만큼의 잔상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전원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부는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다. 전원부는 수용된 배터리로부터 디스플레이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획득하여 각 구성에 배분할 수 있다. 도 3은 하우징의 덮개가 개방됨에 따라 전원부가 도시된 상태를 도시한다. 전원부에는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다. 전원부(120)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광원부를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원부의 위치, 이동 방향, 이동 시간, 이동 속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원부로부터 수신한 전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를 제어하여 외부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센서부(160)에서 생성한 센싱 데이터를 웨어러블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웨어러블 장치에서 수신한 영상관련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달할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광원부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는 웨어러블 장치에서 수신한 제어데이터를 직접 광원부로 전달하여 웨어러블 장치가 광원의 발광을 직접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제어 데이터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의미로 기술된다.
메모리(15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중에 생성된 임시 데이터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RAM, ROM, FLASH 메모리 및 SSD 등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록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광원의 움직임을 센싱한다. 센서부(160)는 광원부의 위치, 이동 방향, 이동 시간, 이동 속도등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센서부(16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센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6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거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거나, GPS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독자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독자적으로 잔상 효과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의 제어를 받아 잔상 효과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잔상효과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웨어러블 장치는 표시부(210), 전원부(220), 입력부(230), 출력부(240), 제어부(250), 통신부(260), 메모리(270), 센서부(280) 및 하우징(2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210), 입력부(230), 출력부(240), 메모리(270) 및 센서부(28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하우징(201)은 표시부(210), 전원부(220), 입력부(230), 출력부(240), 제어부(250), 통신부(260), 메모리(270) 및 센서부(2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케이스일 수 있어서, 본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210)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화면, 동작화면 등을 표시하며 LCD, LED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LED 광원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 또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원부(220)는 웨어러블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부(22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20)는 배터리로부터 웨어러블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획득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각 구성에 배분할 수 있다. 전원부(220)는 탈착가능한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다. 또는 전원부(220)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여, 충전 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한다. 입력부는 키보드, 터치 스크린, 마이크와 같은 입력 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진동부 및 스피커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동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동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웨어러블 장치를 기준으로 광원이 위치하는 공간적 위치, 웨어러블 장치를 기준으로 광원이 위치한 상대적 방향 및 웨어러블 장치와 광원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광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웨어러블 장치가 전자 시계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시계, 타이머, 스톱워치 및 알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문구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270)에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입력부(230)를 이용하여 입력한 문구를 메모리(270)에 저장하거나, 통신부(2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메모리(270)에 저장된 영상이나 문구를 통신부(26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60)는 웨어러블 장치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들어, 통신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60)는 영상관련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부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부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직접 전달하여, 웨어러블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의 발광을 직접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웨어러블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 및 웨어러블 장치의 구동 중에 생성된 임시 데이터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 문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AM, ROM, FLASH 메모리 및 SSD 등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록매체일 수 있다.
센서부(280)는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을 센싱한다. 센서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을 센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된 광원부의 위치, 이동 방향, 이동 시간, 이동 속도등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부(28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센서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시계 형태를 가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하우징(201)외에, 하우징(201)의 일부에 형성된 연결부(202) 및 고정부(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0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을 이룬다. 연결부(20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203)는 일반적인 시계에 부착되는 스트랩과 같이 하우징(20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고정부(203)는 일반 시계에 사용되는 두개의 스트랩이 고리로 고정되는 형태이거나, 시계와 한쪽만 연결된 뱅글 타입의 형태일 수 있다. 고정부(203)는 연결부(202)에 탈착 가능하여 교체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부(230)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다.
이하 웨어러블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각 실시예는 다른 실시 예와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일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S710). 웨어러블 장치는 스마트폰, 데스크탑 또는 웹 서버등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S720).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원을 제어한다(S730).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광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S740), 센싱 데이터에 따라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S750).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잔상 효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속도가 불규칙함에도 일정하게 표시되도록 광원의 이동 속도,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광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광원이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광원이 표현하는 화소의 값이 변경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어서, 광원은 해당 영상을 왜곡 없이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이 느리게 이동하는 경우 광원이 표현하는 화소의 값이 변경되는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와 데이터 연결(S910)을 수행한다. 데이터 연결 방식은 무선 연결, 유선 연결 또는 단자의 접촉에 의한 연결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와 데이터 연결 여부에 기반하여 광원을 제어한다(S92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와 데이터 연결이 수행된 때에만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수신한 때에만 광원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연결될 때에만 광원부를 제어할 수 있고, 인증 데이터를 가지지 않은 웨어러블 장치와 연결된 때에는 광원을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와 1회이상 연결된 이후에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였으면 분리된 경우에도 활성화 되어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의 연결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에 각각 구비된 외부 단자를 이용한 물리적 연결일 수 있다.
도 10은 웨어러블 장치가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가 서로 데이터 연결된다(S1010). 데이터 연결이 이루어지면, 웨어러블 장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1020).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생성한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한다(S1030).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한다(S1040).
도 11은 웨어러블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받은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는 데이터 연결을 이룬다(S1110).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S1120).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속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시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웨어러블 장치로 전달한다(S1130). 웨어러블 장치는 수신한 센싱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140). 제어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일 수 있다. 예를들어,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등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장치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한다(S1150).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한다(S1160).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잔상효과에 의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해상도에 기반하여 출력되는 영상의 부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출력 방식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전체를 출력하거나, 입력된 영상을 나누어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영상이 "I LOVE U"인 경우, "I LOVE U"를 한번에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I"를 출력하고, "LOVE"를 출력하고, "U"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격된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격된 거리를 결정한다(S1210).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세기 또는 무선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웨어러블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가 GPS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GPS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장치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의 체결여부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와의 거리에 따라 광원을 제어한다(S1220). 디스플레이 장치는 거리에 기반하여 광원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달리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이로 센서등을 더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웨어러블 장치를 왼쪽 팔에 차고, LED 스틱을 오른손으로 흔드는 경우에 있어서, (a) 왼쪽 팔을 늘어뜨렸을 때, (b) 왼쪽 팔을 가슴팍에 놓은 경우, (c) 왼쪽 팔을 머리 위로 올리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달라질 수 있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에 체결된 때, 웨어러블 장치와 가까운 위치에 위치할 때, 웨어러블 장치와 원거리에 위치할 때 각각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13(A)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체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도 13 (B)와 같이 "WE"가 잔상 효과에 의하여 표현될 수 있다. 도 14(A)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이격되는 경우, 도 14 (B)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OVE"가 잔상 효과에 의하여 표현될 수 있다. 도 15(A)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와 원거리 이격되는 경우, 도 15 (B)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YOU"가 잔상 효과에 의하여 표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격 거리 판단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는 웨어러블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할 수 있다. 근거리 및 원거리의 판단 기준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를 왼쪽 팔목에 차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왼쪽 손으로 잡고 흔드는 경우 도 14와 같이 근거리 인식이 수행되고,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를 왼쪽 팔목에 차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른쪽 손으로 잡고 흔드는 경우 도 15와 같이 원거리 인식이 수행되도록 근거리와 원거리의 거리 판단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과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아래로 반복적으로 흔드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방향(A)으로 이동한 후, 다시 제 2 방향(B)으로 이동하고, 다시 제 1 방향(A) 및 2 방향(B)으로 반복하여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흔드는 경우, 흔드는 속도가 일정하지 않게 됨에 따라 잔상효과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1601)은 일그러지게 된다. 또한, 표현되어야 할 영상이 문구인 경우, 문구의 길이가 길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흔드는 폭이 작은 경우 문구의 전체가 표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흔드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온전한 영상이 표시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을 제어 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인식한다(S1710).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원의 상태 데이터를 생성한다(S1720).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원의 이동 속도를 센싱하거나, 광원이 이동한 거리를 센싱하거나, 광원이 이동하는 시간을 센싱하거나, 이동하는 광원의 가속도 변화를 센싱하거나, 광원의 이동 궤적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이 제 2 방향으로 이동함을 인식한다(S1730).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이 제 1 방향과 연속성이 없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해당 방향을 제 2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이 위쪽으로 선형 이동(제 1 방향)하다가 왼쪽으로 선형이동 하면 이를 제 2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이 왼쪽으로 호를 그리며 이동(제 1 방향)하다가, 오른쪽으로 호를 그리며 이동하면 이를 제 2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이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광원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측정된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원의 발광을 제어한다(S1740). 예를 들어, 제 1 방향으로 광원이 이동한 시간, 이동한 거리, 이동시의 가속도 변화 등에 기반하여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원의 이동 시간, 이동거리, 이동시의 가속도 변화 등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방향으로 광원이 이동한 시간, 거리, 가속도 변화 등을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원의 이동 시간, 거리, 가속도 변화 등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원의 발광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가 잔상효과를 이용하여 왜곡되지 않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예를들어, 제 2 방향이 제 1 방향의 역방향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광원이 이동하는 중에 측정된 이동 시간, 이동 거리, 이동 속도 및 이동 궤적에 따른 가속도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영상이 모두 표시되도록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원이 표시하여야 할 픽셀 값들을 실시간으로 결정하여 광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등을 포함하여 광원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센서, 감압센서, 구슬, 추 등을 더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광원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전환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싱은 웨어러블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장치에서 센싱이 이루어진 경우 웨어러블 장치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터치 센서, 감압센서, 구슬, 추 등을 이용하여 특정 궤적을 반복하여 이동하는 광원이 궤적의 양 끝단에 도달하는 시점을 판별하고, 그에 따른 이동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다음 반복에서의 이동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의 다음 이동에 소요될 것으로 예측된 시간 내에 표시되어야 할 영상의 폭을 결정함으로써 광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영상이 문자열로 구성된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들의 열과 행의 수를 고려하여 문자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표시될 영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장치가 응원 문구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1 응원장치 내지 제 4 응원장치는 "LOVE"라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각 응원 장치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부를 스스로 제어하여 잔상효과에 따라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각 응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한 문구 데이터에 따라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9는 응원 장치간 영상 데이터를 전송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응원장치가 마스터 장치로써 다른 응원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한다. 실시에 따라 제 2 응원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써 동작할 수도 있고, 복수의 마스터 장치가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응원 장치간 전송되는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가 아니라 문구에 관한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다. 제 1 응원 장치는 하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외부 기기에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응원장치는 외부 기기로부터 권한을 부여하는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때에 한하여 하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인증을 수행하는 기기일 수 있으며, 인증용 서버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 1 응원장치의 통신부는 외부 기기로 권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권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다른 응원 장치와 연동을 이룰 수 있고, 연동이 이루어진 후에 영상의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응원 장치는 하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영상을 분배 받을 다른 응원 장치에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응원장치는 다른 응원 장치 로부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때에 한하여 분배 영상을 다른 응원 장치에 분배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1 응원장치의 통신부는 다른 응원 장치로 권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다른 응원 장치로부터 권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다른 응원 장치와 연동을 이룰 수 있고, 연동이 이루어진 후에 영상의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제 1 응원장치는 다른 응원 장치에 분배할 영상을 결정한다(S1910). 본 실시 예에서 제 1 응원 장치는 영상을 분배 받을 장치가 3개의 장치인 상황을 가정한다. 제 1 응원 장치는 영상을 분배 받을 장치의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제 1 응원 장치는 페어링된 응원 장치 모두에 영상을 분배할 수 있다. 또는 제 1 응원 장치는 페어링된 장치 중 영상이 분배될 응원 장치에 대한 질의를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택된 장치에 영상을 분배할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 1 응원 장치는 원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분배할 영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 1 응원 장치는 원 영상을 분할함으로써 분배할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응원 장치는 제 2 응원 장치가 표시할 제 2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제 2 응원 장치에 전송하고(S1920a), 제 3 응원 장치가 표시할 제 3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제 3 응원 장치에 전송하며(S1920b), 제 4 응원 장치가 표시할 제 4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제 4 응원 장치에 전송한다(S1920c).
다음으로, 제 1 응원 장치는 제 1 영상을 표시하고(1930a), 제 2 응원 장치는 제 2 영상을 표시하고(1930b), 제 3 응원 장치는 제 3 영상을 표시하며(1930c), 제 4 응원 장치는 제 4 영상을 표시한다(1930d). 응원 장치들은 잔상 효과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제 1 응원 장치가 영상을 분배하는 예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0의 예에서 원 영상(2000)은 2001, 2002, 2005, 2006을 포함하여 LO를 나타내는 제 1 부분 및 2003, 2004, 2007 및 2008을 포함하여 VE를 나타내는 제 2부분의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거나, 문자 L, O, V 및 E를 나타내는 4개의 부분으로 분할되거나 8개의 부분(2001, 2002, ... , 2008)으로 분할 될 수 있다. 영상의 분할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생성되어야 할 분배 영상의 수, 영상을 분배 받을 응원 장치의 수, 영상을 분배 받을 응원 장치의 위치를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생성되어야 할 분배 영상의 수, 영상을 분배 받을 응원 장치의 수, 영상을 분배 받을 응원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21을 참조하여 위치기반 영상 분배 방법을 설명한다. 도 21은 제 1 응원 장치가 타 응원장치의 위치정보에 따라 분배한 영상의 데이터를 타 응원 장치로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 2 응원장치 등은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2110). 제 2 응원 장치 등은 제 1 응원 장치와 페어링 된 상태일 수 있다. 제 2 응원 장치 등은 제 1 응원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응원 장치 등은 제 1 응원 장치로 생성된 위치정보를 전달한다(S2120a, S2120b, S2120c).
제 1 응원 장치는 제 2 응원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분배 영상을 결정한다. 제 1 응원 장치는 제 2 응원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응원 장치들의 배치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응원 장치는 응원 장치들의 배치 구조에 따라 영상의 분배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1 응원 장치는 제 2 응원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응원 장치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분할된 영상을 제 2 응원 장치들로 분배할 수 있다. 제 2 응원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응원장치가 결정한 제 1 내지 제 4 응원 장치의 위치가 도 22와 같이 가로 선(horizontal line)배치(2210)를 나타내면, 제 1 응원 장치는 도 20의 응원 영상(2000)을 가로 선에 따라 균등 4분할하여 각 응원 장치에 분배 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 응원 장치는 제 1 응원 장치가 표시할 제 1 영상을 도면 부호 2001 및 2005에 대응되는 영상을 포함하여 L을 나타내는 영상(2220)으로 결정하고, 제 2 응원 장치가 표시할 제 2 영상을 도면 부호 2002 및 2006에 대응되는 영상을 포함하여 O를 나타내는 영상(2230)으로 결정하고, 제 3 응원 장치가 표시할 제 3 영상을 도면 부호 2003 및 2007에 대응되는 영상을 포함하여 V를 나타내는 영상(2240)으로 결정하며, 제 4 응원 장치가 표시할 제 4 영상을 도면 부호 2004 및 2008에 대응되는 영상을 포함하여 E을 나타내는 영상(225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도 23과 같이 제 1 내지 제 4 응원 장치의 위치가 2열의 가로선 배치를 나타내면, 제 1 응원 장치는 도 20의 응원 영상(2000)을 도 23과 같이 균등 4분할하여 각 응원 장치에 분배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도 23과 같이 응원 장치가 배치된 경우에도 제 1 응원 장치는 문구를 기준으로 응원 장치에 영상을 분배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제 1 응원 장치는 L, 제 2 응원장치는 O, 제 3 응원장치는 V 등을 표시하도록 영상을 분배할 수 있다. 영상의 분배는 영상의 데이터가 분배됨으로써 수행된다. 여기서 분배되는 데이터는 영상의 데이터이거나, 영상이 나타내는 문구의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다.
도 24는 응원 장치간 분배 영상 데이터의 전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서는 제 1 응원장치가 타 응원 장치로의 영상데이터 전송을 전담하는 예가 설명되었다. 제 1 응원 장치가 복수의 응원 장치로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지만, 도 24의 예와 같이 제 1 응원 장치가 분배된 영상의 데이터를 제 2 응원 장치에 전송하고, 제 2 응원 장치는 표시할 영상 데이터를 제외한 다른 영상 데이터를 다른 응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응원 장치는 분배된 영상의 데이터와 함께 분배 정보를 함께 응원 장치들에 분배할 수 있다. 분배 정보는 분배된 영상과 응원 장치의 매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영상 데이터와 분배 정보를 수신한 응원 장치는 분배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자신이 표시할 영상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고, 분배할 영상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으며, 분배할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응원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5 내지 28은 응원 장치의 배치 변경에 따라 응원 장치의 표시 영상을 재분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와 같이 응원 장치들은 영상 데이터가 분배됨으로써, 응원 장치들이 응원 문구를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응원 중 각 응원 장치를 소지하고 있는 사람들의 위치가 도 26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응원 장치에서 표시하는 영상은 도 26과 같이 OELV 순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스터 응원 장치는 변경된 응원 장치들의 위치를 인식하고 변경된 위치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재 분배 함으로써 도 27과 같이 LOVE의 순서로 각 응원 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도록 응원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마스터 장치는 제 1 응원 장치일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여 도 21의 실시 예에서의 영상 데이터 재분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응원 장치는 응원 장치들의 위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S2810). 제 1 응원 장치는 다른 응원 장치들로부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위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응원 장치들은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센싱하고, 응원 장치들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이탈한 경우 위치정보를 제 1 응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범위는 잔상 효과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가 응원 장치를 흔드는 범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응원 장치는 응원 장치들의 변경된 위치에 따라 영상을 배분한다. 예를들어, 제 1 응원 장치는 주변 응원 장치들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영상을 다시 배분하고, 배분된 영상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응원 장치들에 다시 배분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종료 입력에 따라 중단될 수 있다(S2830). 사용자의 종료 입력이 없다면, 제 1 응원 장치는 주기적으로 응원 장치들의 위치 변경을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폰과 직접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6A~E) 도 29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마트 폰과 직접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9의 순서도는 도 7의 순서도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당업자는 자명하게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간의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마트 폰과의 동작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 폰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마트 폰간의 통신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입력할 수 있다. 영상은 국문,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 케이션은 그림, 문자와 같은 영상을 LED 스틱에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하는 용도 외에도 하이브리드 앱으로서 사용자에게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은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직접 잔상효과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스마트 폰은 앞선 설명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동작하여 잔상효과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단독으로 동작하여 잔상효과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로부터 표시할 영상을 선택 받고, 이에 따른 영상을 광원부를 통해 잔상효과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광원부는 스마트 폰에 포함된 유기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LED 디스플레이 일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폰은 웨어러블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와의 데이터 연결을 통해 잔상효과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마트 폰에서 잔상효과는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좌우로 흔들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는 영상정보(문구, 이모티콘, 이미지 등)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정보의 컬러를 지정할 수 있다. 컬러는 단색 또는 다양한 색상일 수 있다. 스마트 폰은 짧은 길이의 문구를 반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다양한 영상정보를 순차적 혹은 임의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10)와 웨어러블 장치(3020)의 연결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는 앞선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차이점을 가지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3010), 적어도 하나의 광원(3012)을 포함하는 광원부(3011),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부(3013), 웨어러블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30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고정부(3013)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3013)는 원형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고정부(3013)의 직경은 3cm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고정부(3013)의 직경은 0.2cm보다 클 수 있다. 제 1 고정부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하우징(3020),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부(3022) 및 제 2 고정부(3022)가 웨어러블 장치에 결속되는 결속부(3021)를 포함한다. 제 2 고정부(3022)는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고정부(3022)는 원형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고정부(3022)의 직경은 10cm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고정부(3013)의 직경은 3cm보다 클 수 있다. 제 2 고정부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의 세부 설명은 앞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는 연결되어 하나의 응원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다. 웨어러블 장치에 연결된 제 2 고정부(3022)는 웨어러블 장치의 하우징(3020) 하단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의 신체에 단단히 고정되게 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3010)은 제 2 고정부(302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부(3014)는 웨어러블 장치의 하우징(3020)이 장착되는 장착부(301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14)는 장착된 하우징(3020)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수단의 예로써, 고정 수단은 하우징(3020)의 일면에 고정되는 걸쇠(미도시)일수 있다. 예를들어, 하우징(3020)이 장착부(3015)에 장착될 때, 하우징(3020)이 장착부(301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쇠는 하우징(3020)의 일면에 위치한 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20)은 웨어러블 장치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견고한 연결을 위하여, 하우징(3020)의 하면의 단면적은 하우징(3020)의 상면의 단면적 보다 넓을 수 있다. 또는 하우징(3020) 및 장착부(3015)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여 연결을 보다 단단히 할 수 있다.
응원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고정부(3013)와 웨어러블 장치의 제 2 고정부(302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2와 도 33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응원장치의 측면도이다. 예를들어, 제 1 고정부(3013)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고정부(3022)는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4 및 도 35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는 앞선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차이점을 가지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웨어러블 장치의 하우징(3420)이 원형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크류 방식으로 웨어러블 장치의 하우징(34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웨어러블 장치의 하우징(3420)의 측부 외면에는 나사선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3410)의 연결부(3414)의 내면에도 웨어러블 장치의 하우징(342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나사산은 나사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들어, 나사선을 따라서 불연속적인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들의 연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가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의 하우징(342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쇠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부(3414)의 내면에는 웨어러블 장치의 하우징(3420)의 외면에 형성된 걸쇠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걸쇠와 홈의 연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걸쇠는 홈에 연결되는 돌기일 수 있다.
도 36은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장치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는 앞선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차이점을 가지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3610),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3611), 웨어러블 장치(3620)와 연결을 이루기 위한 제 1 연결홈(3612)과 연결 나사(3613),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부(3614), 및 제 1 고정부(3614)가 고정되어 제 1 고정부(3614)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슬라이더(36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3614)는 슬라이더(3615)를 따라 하우징(361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 1 고정부(3614)는 슬라이더(3615)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하우징(3620),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부(3622), 제 2 고정부(3622)와 하우징(3620)이 결속되는 결속부(3621)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제 2 연결홈(362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연결홈(3612)과 웨어러블 장치(3620)의 제 2 연결홈(3623)은 연결 나사(361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연결 나사(3613)는 제 1 연결홈(3612)을 관통할 수 있고, 제 2 연결홈(3623)에는 연결 나사(3613)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2 연결홈(3623)에는 연결 나사(3613)의 나사 끝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연결홈(3623)과 연결 나사(3613)는 탈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연결홈에 연결 나사(3613)를 탈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2 연결홈(3623)과 연결 나사(3613)는 나사 방식, 버튼 방식 또는 자석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다.
광원부(3611)가 웨어러블 장치의 하우징(3620)에 포함된 표시부와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1 연결홈(3612)을 기준으로 광원부(3611)는 연결 나사(3613)의 나사 머리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610)와 웨어러블 장치(362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39는 도 36의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장치의 연결형태와,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된 예를 도시한다. 도 38 및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부(3614)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고정될 수 있고, 제 2 고정부(3622)는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3614)가 사용자의 어느 손가락에도 고정될 수 있도록, 제 1 연결홈(3612)은 연결 나사(3613)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 나사(3613)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연결 나사(3613)는 도 36에 도시와 다르게 원통 형태의 나사자루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7 내지 39의 연결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 나사를 축으로 회전 가능함에 따라, 제 1 고정부(3614)는 사용자의 어느 손가락에도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에 따라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앞선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참조된 도면 각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각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의 항목, 내용과 이미지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1)

  1. 광원과 데이터 연결을 이루는 통신부;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부와 제어부를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광원의 공간적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영상을 표시하되,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연동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연동된 외부 기기로 영상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영상 관련 정보는 영상 데이터 및 영상을 나타내는 참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통신부는 인증 기기로 권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 기기로부터 권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외부 기기와 연동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 권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권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외부 기기와 연동을 수행하며,
    제 1 응원장치의 통신부는 다른 응원 장치로 권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다른 응원 장치로부터 권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다른 응원 장치와 연동을 이룰 수 있고, 연동이 이루어진 후에 영상의 분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 1 응원장치는 다른 응원 장치에 분배할 영상을 결정하고, 영상을 분배 받을 장치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거나 페어링된 응원 장치 모두에 영상을 분배하고, 상기 페어링된 장치 중 영상이 분배될 응원 장치에 대한 질의를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을 수 있으며, 선택된 장치에 영상을 분배할 것으로 설정되어, 최종적으로 원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분배할 영상으로 결정하거나 원 영상을 분할함으로써 분배할 영상을 결정하며, 상기 영상의 분할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결정되되, 생성되어야 할 분배 영상의 수, 영상을 분배 받을 응원 장치의 수, 영상을 분배 받을 응원 장치의 위치를 고려하여 자동 또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광원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LED 칩이 선형으로 배열된 바(BAR)형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원이 위치하는 공간적 위치,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원이 위치한 상대적 방향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광원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이 제 1 방향으로 이동 후 상기 광원이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광원이 이동을 시작한 위치와 이동을 종료한 위치, 상기 광원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시간 및 상기 광원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의 역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외부기기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연동된 외부 기기에 전송되는 영상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외부기기의 위치가 변경됨을 식별하면, 상기 외부기기의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된 영상 관련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기록 매체가 착탈되는 데이터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슬롯에 장착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60015023A 2016-02-05 2016-02-05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1681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023A KR101681912B1 (ko) 2016-02-05 2016-02-05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PCT/KR2016/008680 WO2017135533A1 (ko) 2016-02-05 2016-08-08 광원의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CT/KR2016/008955 WO2017135535A1 (ko) 2016-02-05 2016-08-16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6/008956 WO2017135536A1 (ko) 2016-02-05 2016-08-16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US16/075,440 US11284252B2 (en) 2016-02-05 2016-08-16 Electronic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using visual afterimage of light source
PCT/KR2016/008953 WO2017135534A1 (ko) 2016-02-05 2016-08-16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CN201680080192.9A CN108605401A (zh) 2016-02-05 2016-08-16 利用光源的视觉残像显示影像的电子装置
US17/580,941 US11910189B2 (en) 2016-02-05 2022-01-21 Electronic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using visual afterimage of light sou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023A KR101681912B1 (ko) 2016-02-05 2016-02-05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987A Division KR101788551B1 (ko) 2016-10-06 2016-10-06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KR1020160128985A Division KR101788548B1 (ko) 2016-10-06 2016-10-06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0160128986A Division KR101788550B1 (ko) 2016-10-06 2016-10-06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0160128983A Division KR101788546B1 (ko) 2016-10-06 2016-10-06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60128988A Division KR101788552B1 (ko) 2016-10-06 2016-10-06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912B1 true KR101681912B1 (ko) 2016-12-02

Family

ID=5757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023A KR101681912B1 (ko) 2016-02-05 2016-02-05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284252B2 (ko)
KR (1) KR101681912B1 (ko)
CN (1) CN108605401A (ko)
WO (4) WO2017135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5113B2 (en) * 2018-10-22 2022-11-08 Nicole Lovett Drowning prevention and soothing device
KR102237603B1 (ko) * 2019-09-25 2021-04-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활성 부재를 포함하는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EP3832407B1 (fr) * 2019-12-06 2024-03-27 Tissot S.A. Procédé de connexion sécurisée d'une montre à un serveur dista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16A (ko) * 2002-12-05 2004-06-14 김영환 발광 소자를 이용한 잔상 표시 장치
KR20050017784A (ko) 2003-08-08 2005-02-23 주식회사 싸일로먼플래너스 잔상 효과를 이용한 표시장치 겸용 조명봉
JP2009025539A (ja) * 2007-07-19 2009-02-05 Nitto Kogaku Kk 残像表示装置および残像表示システム
JP2012163807A (ja) * 2011-02-08 2012-08-30 Ict:Kk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150065071A (ko) * 2013-12-04 2015-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6557A (en) * 1991-01-29 1992-08-04 Rpr Creative Marketing, Inc. Modular watch collar
US5444456A (en) * 1991-05-23 1995-08-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ED display apparatus
ATE154718T1 (de) * 1991-12-12 1997-07-15 Avix Inc Anzeige-stock mit einer anordnung lichtemittierender zellen
JP3526634B2 (ja) * 1994-09-26 2004-05-17 アビ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機能を備えたスキャン式表示装置
US5457900A (en) * 1994-03-31 1995-10-17 Roy; Avery J. Footwear display device
US5548300A (en) * 1994-12-20 1996-08-20 Avix Inc. Manual rotation type display device
US5748157A (en) * 1994-12-27 1998-05-05 Eason; Richard O. Display apparatus utilizing persistence of vision
US6894663B1 (en) * 1995-10-31 2005-05-17 Mitchell A. Altman Method for creating an image for an event or promotion
US6239774B1 (en) * 1995-10-31 2001-05-29 Mitchell A. Altman Persistent image maker
US5800039A (en) * 1997-06-27 1998-09-01 Lee; Jen-Wang Warning device for bicycle having changeable patterns
US6404409B1 (en) * 1999-02-12 2002-06-11 Dennis J. Solomon Visual special effects display device
US6265984B1 (en) * 1999-08-09 2001-07-24 Carl Joseph Molinaroli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7072621B1 (en) * 2001-07-17 2006-07-04 Wildseed Ltd. Luminescent signaling displays utiliz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096046B2 (en) * 2001-07-17 2006-08-22 Wildseed Ltd. Luminescent and illumination signaling displays utiliz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laser
US7142173B2 (en) * 2001-10-31 2006-11-28 Arthur Lane Bentley Kinet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visual displays
US20030227425A1 (en) * 2002-06-05 2003-12-11 Mckay Michael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a visual signaling device
US7236146B2 (en) * 2003-02-12 2007-06-26 Axxion Group Corporation Hand-held display device
JP4069005B2 (ja) * 2003-04-30 2008-03-26 日東光学株式会社 残像表示装置
JP4471586B2 (ja) * 2003-05-09 2010-06-02 任天堂株式会社 スイング式表示装置
EP1602873B1 (en) * 2003-06-23 2010-03-24 Sanriki Kogyo Kabushiki Kaisha Portable signal light, motor vehicle guiding tool, and motor vehicle guiding method
US7372430B2 (en) * 2004-07-15 2008-05-13 Nittoh Kogaku K.K.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receiving and emitting driving circuit
KR101175547B1 (ko) * 2004-11-30 2012-08-21 지웰전자 주식회사 유에스비인터페이스 장치와 패턴인식을 이용한 잔상 디스플레이 장치
US8049688B2 (en) * 2006-07-07 2011-11-01 Playvisi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crowd-based visual display with pixels that move independently
US8960988B2 (en) * 2010-02-23 2015-02-24 Tseng-Lu Chien LED light with special effects
US20110058363A1 (en) * 2009-09-09 2011-03-10 Anthony Fattizzi Candle or Lighter with LED Simulated Flame and Wireless System For Same
US8771085B1 (en) * 2010-08-06 2014-07-08 Arthur C. Clyde Modular law enforcement baton
JP4865085B1 (ja) * 2010-12-10 2012-02-01 株式会社エクスプロア 発光表示スティック
US8851372B2 (en) * 2011-07-18 2014-10-07 Tiger T G Zhou Wearable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changeable bendable battery and expandable display used as standalone electronic payment card
GB201113805D0 (en) * 2011-08-11 2011-09-21 Rb Concepts Ltd Interactive lighting effect and wristband
US8947382B2 (en) * 2012-02-28 2015-02-03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 for presenting output on the same
US9215787B2 (en) * 2013-01-21 2015-12-15 Bespark Led Corporation Light device with remote function
KR20150065508A (ko) * 2013-12-05 2015-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시스템
KR20150106229A (ko) * 2014-03-11 2015-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를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US9454180B2 (en) * 2014-07-22 2016-09-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earable flexible interface with interlocking modules
US9467795B2 (en) * 2014-09-11 2016-10-1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ptimization and collaboration of wearable devices
US10108082B1 (en) * 2015-05-19 2018-10-23 Christopher F. Hoth Persistence of vision article having a semi-rigid element shaft
USD799355S1 (en) * 2016-08-29 2017-10-10 Innovative Imports, Inc. LED light pole
US9895620B1 (en) * 2016-11-16 2018-02-20 Fsd, Llc Hand spinner novelty with integrated lights
US20190137947A1 (en) * 2017-11-05 2019-05-09 Karim Jean Yaghmour Module-Driven Smartwatc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16A (ko) * 2002-12-05 2004-06-14 김영환 발광 소자를 이용한 잔상 표시 장치
KR20050017784A (ko) 2003-08-08 2005-02-23 주식회사 싸일로먼플래너스 잔상 효과를 이용한 표시장치 겸용 조명봉
JP2009025539A (ja) * 2007-07-19 2009-02-05 Nitto Kogaku Kk 残像表示装置および残像表示システム
JP2012163807A (ja) * 2011-02-08 2012-08-30 Ict:Kk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150065071A (ko) * 2013-12-04 2015-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4252B2 (en) 2022-03-22
WO2017135533A1 (ko) 2017-08-10
WO2017135535A1 (ko) 2017-08-10
CN108605401A (zh) 2018-09-28
US20190073930A1 (en) 2019-03-07
US20220150697A1 (en) 2022-05-12
WO2017135534A1 (ko) 2017-08-10
US11910189B2 (en) 2024-02-20
WO2017135536A1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7782B (zh) 可移除殼體,手錶錶帶,及電子裝置
US11910189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using visual afterimage of light source
CN105100395B (zh) 手表型移动终端
US10409090B2 (en) Light-emitting diode glasses, control system for multiple light-emitting diode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465520B2 (en) Messaging device
EP2992774B1 (en) Smart bracelet
KR102212030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60196693A1 (en)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7327277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monitoring apparatus
KR101518395B1 (ko) 스마트 레이저 폰
KR1023158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7058840A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88546B1 (ko)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788552B1 (ko)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KR101788550B1 (ko)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101788548B1 (ko)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101788551B1 (ko)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KR20180057951A (ko)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을 함양시켜 주는 학습용 전자펜 시스템.
KR102323488B1 (ko) 디지털 그림 그리기 장치 및 디지털 그림 그리기 방법
KR101988835B1 (ko) 움직임 가능한 큐브형 마우스
KR100875512B1 (ko) 휴대용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기능들을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182539B (zh) 电子设备和显示方法
KR10160484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0491448B1 (ko) 발광 소자를 이용한 잔상 표시 장치
KR101608906B1 (ko) 스마트 레이저 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